본문 바로 가기

정책연구보고서

Home > 2. 발간물 > 정책연구보고서

정책연구소보고서 게시판 상세(제목, 저자, 발행일, 권호, 첨부)
제목 경기도 노인일자리 전달체계 활성화 방안 연구
저자 경기복지재단
발행일 2018.12
권호 2018-15
첨부 [정2018-15]경기도 노인일자리 전달체계 활성화 방안 연구.pdf 미리보기
목차

|
연구개요 1

1. 연구 필요성 3
2. 연구 목적 4
3. 연구 방법 5



|
노인일자리사업 현황 7

1. 노인일자리사업 개요 9
2. 노인일자리사업 전달체계 17
3. 경기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현황 20
4. 경기도 노인일자리사업 현황 37



|
경기도 노인일자리사업 실태 분석 57

1. 경기도 노인일자리사업 실태조사 개요 59
2. 실태 분석 결과 60
1) 응답기관의 일반적 현황 60
2) 노인일자리사업 운영현황 63
3) 노인일자리사업 운영의 영향 요인 64
4) 앙코르라이프 플랜의 대응 현황 68
3. 시사점 73



|
경기도 노인일자리 전달체계 활성화 방안 77

1. 경기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확대 79
2. 경기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내실화 82


|
참고문헌 85
요약

□ 연구의 필요성
○ 급격한 고령화와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노인의 사회참여와 빈곤해소를 위한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이하 노인일자리사업)이 시행 중에 있음
○ 제2차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종합계획(이하 앙코르 라이프 플랜)수립에 따라 노인일자리사업은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경기도 노인일자리 인프라 강화 방안 필요
– 경기도 수행기관의 기능을 분석하고 수행기관 확대,  참여노인을 위한 통합서비스 제공 가능성 검토 필요 

□ 연구 목적
○ 경기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보건복지부 앙코르 라이프 플랜의 인프라 강화를 위한 경기도 노인일자리 전달체계 활성화 방안 모색에 있음
– 경기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유형별 운영현황(참여노인수, 사업 수, 등) 파악
– 경기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확대 방안 모색
– 경기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내실화 방안 모색

□ 노인일자리사업 운영실태 및 인식조사 분석결과
○ 수행기관별 노인일자리사업 현황을 보면, 공익활동의 총 사업단 수는 노인복지관(실버인력뱅크 포함), 시장형사업단의 총 사업단 수는 시니어클럽이 많음
○ 수행기관 1개소 당 공익활동의 누적 참여노인 수는 수행기관이 전반적으로 시간에 흐름에 따라 증가하고 있고, 시장형사업단의 누적 참여노인 수의 증가는 시니어클럽이 두드러짐

□ 경기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확대
○ 중앙정부의 「제2차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종합계획(앙코르 라이프 플랜)」의 지자체 시니어클럽 설치 유도 정책에 실행을 위해 시·군의 여건을 고려한 경기도의 시니어클럽 확대 방안 마련
– 경기도의 수행기관은 노인일자리전담기관인 시니어클럽, 대한노인회 취업지원센터, 경기도형 노인일자리수행기관 실버인력뱅크, 노인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지자체, 등이 있으며 이중 노인일자리를 고유 업무로 하고 있는 수행기관은 시니어클럽과 실버인력뱅크가 있음
– 앙코르 라이프 플랜의 지자체 시니어클럽의 설치 유도 정책의 실현과 실버인력뱅크의 현실성 있는 운영을 위한 방안 모색
– 실버인력뱅크를 시니어클럽으로 전환할 경우 시·군의 의지, 현재 실버인력뱅크의 운영기관과 운영법인, 해당 시·군의 시니어클럽 유무 등 지역 환경을 고려하여 점진적 시행
– 시니어클럽 설치 유도를 위해 경기도는 시·군 부담비율의 상향조정과 초기 설치비의 지원 필요
○ 향후 노인일자리 80만 자리까지의 확대와 다양화 요구에 대응하여 종합사회복지관 등 사회복지기관과 사회적 경제조직 대상 수행기관 확대를 위한 지원

□ 경기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내실화
○ 노인일자리사업이 단순한 일자리 제공에 그치지 않고 노인에게 삶의 보람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기 위해서 참여노인의 개별계획과 사후관리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지역사회에서의 노인일자리 지역 회의 운영
○ 수행기관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종사자 교육 프로그램 지원
○ 장기적으로 일정규모 이상의 수행기관에 대해 전담인력에 대한 슈퍼비전과 참여노인 지원, 노인일자리 운영을 위한 전문인력 배치 검토
– 전담인력이외의 관리인력이나 추가재원을 지원하는 시·군이 응답기관의 50.5%에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