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단기정책보고서

Home > 2. 발간물 > 단기정책보고서

단기정책보고서 게시판 상세(제목, 저자, 발행일, 권호, 첨부)
제목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저자 경기복지재단
발행일 2018.12
권호 2018-29
첨부 [ggwf2018-29]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pdf 미리보기
목차

|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3







|
문헌검토 / 9

1.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추진현황과 주요업무 9
2.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교육현황 15







|
설문조사 결과분석 / 21

1. 조사개요 21
2. 직무별 중요도, 빈도, 난이도 분석 23
3. 직무별 지식/스킬/태도의 보유도, 중요도 분석 24
4. 직책별 지식/기술/태도의 보유도, 중요도 분석 31
5. 직책별 중요도-보유도 IPA 분석 35
6. 교육요구 분석 46







|
직무교육체계 개발 / 51

1. 지식/기술/태도의 개발 우선순위 51
2. 직무교육체계(안) 58







|
결 론 / 67

1. 요약 67
2. 정책제언 70







|
참고문헌 / 73



|
부록 / 75


요약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정부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추진으로 읍면동이 지역복지의 중심기관이 되어 주민의 다양한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활동을 수행하도록 함.
  • 경기도는 561개 읍면동이 해당하며, 사회복지직 이외에 행정직, 기술직, 보건직 등 다양한 직렬이 배치되고 있음. 사회복지직이 타 직렬이 복지업무를 맡게 되면서 복지전문성 부족의 우려가 있음.
  • 찾아가는 복지전담팀에서 수행하여야 하는 업무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으나, 담당인력의 전문성 부족의 우려와 업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지원이 부족함.
  • 현재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교육을 시행하는 기관에서 대부분 통합사례관리와 특정 직무를 중심으로 교과내용을 구성하고 있어 직무교육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담당하는 담당공무원에게 요구되는 지식/스킬/태도는 무엇이며, 현재 교육현황과 향후 바라는 교육방법 등을 살펴봄으로써 직무교육체계(안)를 제시하고자 함.

연구방법

  • 문헌연구 단계에서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와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직무분석 결과 및 활용 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탐색함.
  •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들의 직무와 과업별로 필요한 지식/스킬/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시행함.
  • 복지상담, 복지사각지대 발굴, 자원관리, 읍면동서비스연계,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통합사례관리의 6개 핵심직무와 21개의 과업, 총 79개의 지식/스킬/태도가 도출됨.
  •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직무 및 필요한 지식/스킬/태도에 대한 타당도를 분석하고자 설문조사를 함.
  • 설문조사 내용은 직무별 중요도와 수행빈도, 난이도, 지식/스킬/태도의 보유도와 중요도를 주요내용으로 하였고, 이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하여야 할 지식/스킬/태도의 우선순위, 직무교육체계(안)를 도출함.

설문조사 결과

  • 경기도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들은 복지상담, 복지사각지대 발굴, 자원관리, 읍면동서비스연계, 통합사례관리,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등 모든 직무영역의 중요도가 높은 것에 비해 현재 보유도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팀장은 읍면동서비스연계, 자원관리, 통합사례관리에 대한 역량개발이 필요하며, 팀원은 복지상담, 읍면동서비스연계, 자원관리에 대한 역량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 팀장과 팀원 간 지식/기술/태도 보유도의 차이가 급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장은 사회복지직과 행정직 간 지식/기술/태도 보유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전환배치된 행정직 팀장 대상의 교육과정 개설 및 필수의무화, 팀장의 슈퍼비전으로 업무지식과 노하우를 전달할 수 있는 체계 마련, 지역별 학습조직 결성과 지원 등 공식적인 교육훈련 이외에 또 다른 인터벤션이 제공되어야 함.
  • 교육요구분석 결과 교육훈련의 기회는 많은데 반해, 업무에 도움이 되지 않고 또한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음.
  • 증가하는 복지수요와 복지정책의 총량 확대는 공공복지전달체계의 인력 규모를 증가시키기도 했지만, 이들에 대한 교육훈련 시스템이 강화되어야 함을 나타냄.

직무교육체계 개발

  • 직책별 지식/기술/태도의 개발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팀장은 욕구 및 위기도 조사, 후원자 발굴, 접수, 서비스 연계, 심층민원상담, 서비스제공계획수립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원은 복합민원상담, 후원자 발굴, 심층민원상담, 욕구 및 위기도 조사, 후원연계, 서비스연계,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에 대한 교육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남.
  • 직무교육은 개념원리 이해, 사례분석/원리적용, 현업적용/계획수립 등 세 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음.
  • 개념원리 이해에 해당하는 학습모듈은 ‘통합사례관리 기초’와 ‘보건복지서비스 기초’이며, 사례분석/원리적용에 해당하는 학습모듈은 ‘민원상담’, ‘사업계획서 작성’, ‘대상자 사정 기술’, ‘대상자 촉진 기술’이며, 현업적용/계획수립에 해당하는 학습모듈은 ‘상담위기대응’, ‘자원개발’, ‘서비스연계’, ‘협의체 및 주민조직화’, ‘슈퍼비전 기술’ 등이 해당됨.
  • 교육방법으로는 경기도 지역특수성 및 복지전담팀 직무 특성상,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맞춤교육’ 확대, 현장 중심의 OJT 요구대응, 비구조적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자기주도학습 촉진을 위한 강사의 스캐폴딩(Scaffolding) 실행’, ‘문제해결력을 위한 자원기반 학습’을 제안함.
  • 직무교육의 효과성은 반응평가, 사전-사후 학습평가, 행동평가로 측정할 수 있음.

정책적 제언

  • 첫째, 신규채용자 또는 전환배치직을 위한 별도의 교육 마련 필요
  • 둘째, 현장사례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 필요
  • 셋째, 경기도와 시‧군‧구 차원에서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인력의 안전대책 강구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