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단기정책보고서

Home > 2. 발간물 > 단기정책보고서

단기정책보고서 게시판 상세(제목, 저자, 발행일, 권호, 첨부)
제목 경기도 일자리 기준선 연구
저자 경기복지재단
발행일 2020.03
권호 2020-02
첨부 경기도 일자리 기준선 연구.pdf 미리보기
목차
Ⅰ |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 경기도 일자리 현황과 지표/7
1. 경기도 일자리 현황 7
2. 경기도 일자리 지표 24

Ⅲ | 경기도 일자리 기준선 설정/27
1. 경기도 일자리 기준선의 개념 27
2. 경기도 일자리 기준선 설정 28

Ⅳ | 경기도 일자리 기준선 도달을 위한 전략과제/33
1. 전략과제의 원칙 33
2. 전략과제 1. 생활임금 확대 34
3. 전략과제 2. 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 확대 36
4. 전략과제 3. 청년 재도전론(Loan) 시범 사업 38
5. 전략과제 4. 장애인 직업훈련적응시설 확대 41
6. 전략과제별 우선 추진 시군 43
7. 기준선 도달 후속조치 48

| 참고문헌/51

| 부록/53
요약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일자리는 개인의 경제적 자립과 가정의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소득원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으나, 지역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격차가 발생

    – 경기도내 31개 시‧군의 일자리 여건을 살펴보면, 고용률이 가장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 간 격차는 13.3%p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고,

    – 취업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장애인, 노인, 청년 계층들의 고용률 역시 시‧군별로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시‧군 간의 차이는 광역적 관점에서 볼 때, 균형 및 포용적 발전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불균형을 방치할 경우, 중‧장기적으로 경기도의 성장과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음

  ○ 경기도와 시‧군 간 균형적 발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경기도와 31개 시‧군의 일자리 여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기도 및 31개 시․군별 기준선 설정과 전략 모색 필요

    – 경기도와 31개 시‧군별 일자리 여건이 매우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31개 시‧군별 일자리 현황 진단이 부재하고,

    – 31개 시 ‧군민이 동등하게 누려야 할 일자리의 격차 완화를 위한 개입과 개입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 근거가 미흡함

    – 31개 시 ‧군의 일자리 현황 진단 및 전략과제 모색을 통해 일자리 영역의 격차를 완화할 수 있는 연구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