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공동체 역량강화 및 선순환적 지원체계 구축을 통하여 공동체 주민주체성을 확립하고 핵심리더를 양성하고자 함
◇ 추진방향(목표)
– 복지공동체 발전적 모델 지향을 위한 사업 정체성 재정립
– 공동체간 소모임 및 온라인 커뮤니티 등 상호교류 확대
– 복지공동체 핵심리더 역량 강화를 위한 컨설팅 및 교육 확대
– 사례발표 공유를 통해 도내 복지공동체 확산
◇ 지원대상
– 시·군 ‘복지공동체’참여주민 및 공무원
◇ 운영내용
– 복지공동체 자원개발 및 단계별 맞춤형 컨설팅 추진 및 공유
구분 | 사업명 | 세부내용 |
---|---|---|
자원개발 및 욕구조사 | 실행위원회 | 복지공동체 현장자문단 구성 복지공동체 실행위원 간담회 (지원공동체 선정 및 지원모니터링) |
운영간담회 | 복지공동체 현장방문 욕구조사 컨설팅 관련 욕구조사 및 의견수렴 – 복지공동체 담당자 간담회 및 교육 복지공동체 운영 모니터링 | |
자원개발 및 연계 | 복지공동체 지원 가용자원개발 및 연계 | |
맞춤형 컨설팅 지원 | 맞춤형 컨설팅 | 2016년 공동체 사업계획 컨설팅 현장욕구 단계별 컨설팅 계획 수립 – 복지공동체별 현황조사 및 욕구 분석 – 욕구별 단계(사업설계·점검, 자원개발, 주민 조직화, 자조모임 등) 지원프로세스 설계 – 단계별 맞춤형 컨설팅 계획수립 복지공동체 단계별 맞춤형 컨설팅 – 복지공동체 욕구 단계별 교육(담당자, 참여자, 공통과정 등) 및 자문 – 복지공동체 영역별 소모임 조직 및 피어슈퍼비전 – 맞춤형 컨설팅 모니터링 – 자조모임 조직화 및 사례 공유 |
사례발표회 | 공동체별 운영평가(성과) 사례 공유 복지공동체 사례발굴 및 사례공유회 | |
온라인 커뮤니티 |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정보 교류 복지공동체 빅데이터 활용의 장 마련 |
◇ 운영절차
◇ 기대효과
– 사업 단계별 맞춤지원을 통해 복지공동체 자생적인 사업 모델화
– 경기도 복지공동체 추가발굴 및 확산을 통한 복지공동체 생태계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