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GWF Report는 사회복지분야의 주요현안에 관하여 정책의 방향설정과 실현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조사를 통한 정책제안이나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작성된 자료입니다. ■ 본 보고서는 경기복지재단의 공식적인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과 관련한 의견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Tel : 031-267-9364 Fax : 031-898-5935 E-mail : whitemh@ggwf.or.kr

i목 차 Ⅰ. 연구개요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2 3. 연구방법 • 3 Ⅱ. 기존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 검토 / 6 1. 푸드뱅크 및 마켓 개요 • 6 2. 서울시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 검토 • 11 3. 평가지표 구축방향 • 15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 20 1. 평가모형 설계 • 20 2. 푸드뱅크 및 마켓 유형 분류 • 22 3. 평가지표별 가중치 부여 • 27 Ⅳ. 평가지표(안) / 56 1. 평가지표 구성 • 56 2. 평가지표(안) • 58 Ⅴ. 결 론 / 64

Ⅰ. 연구개요 1 연구개요Ⅰ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푸드뱅크는 1998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사업 충실화를 위한 다각 적인 방안이 모색되었으며, 2006년에는 「식품기부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식품기부 확대에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이는 사업자 수 및 기부식품 증대로 이어짐. 한편 2009년부터는 이용대상자의 접근성 해소 차원에서 푸드마 켓을 설치하는 등 인프라 확충에 주력해옴. 그러나 이와 같은 양적 성장에 비해 중앙정부의 확고한 방향 제시 미흡과 지방자치단체의 지도・감독 소홀, 푸드뱅크 및 마켓 운영 주체의 다양성에 따른 운영능력의 차이 등으로 인한 질적 성장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 옴. - 2011년 국무총리실의 전국 푸드뱅크 및 마켓 점검 결과를 근 거로 보건복지부는 푸드뱅크 및 마켓의 성과관리를 위해 평가를 할 계획에 있음.

2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실제로 그 동안 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푸드뱅크 및 마켓이 있음에도 불구하고1) 다른 사업에 비해 운영 전략이 미비한 수준 이었으며, 관련 단체에서는 도내 푸드뱅크 및 마켓의 운영 및 성과 관리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됨. 또한 최근 경기도는 「기부식품 활성화에 관한 조례」 제정(2012.1.5) 을 시작으로 푸드뱅크 및 마켓의 운영 활성 및 역량증진을 위한 노력에 집중하기 시작했으며, 그 방법의 일환으로 평가를 통한 지원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남. 이에 본 연구는 첫째, 그 동안 접수와 배분의 실적 위주 평가의 한계를 보완하여 도내 푸드뱅크 및 마켓의 운영현황을 점검하고 둘째, 경기도 평가를 통해 보건복지부 평가를 대비 및 지원하기 위한 평가의 기준인 지표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본 연구의 대상인 푸드뱅크 및 마켓은 본질적으로 ‘기부식품 제공 사업’ 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써 사업평가라고 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사업의 성과만을 평가하지 않고 운영의 전반 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한다는 점에서 기관평가의 성격을 지님. 그리하여 투입단계에서 성과단계까지 1) 2012년 6월 현재 총 67개소 : 푸드뱅크 51개소, 푸드마켓 16개소.

Ⅰ. 연구개요 3 종합적으로 고려한 평가모델을 적용함.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평가대상과 평가방향을 분명히 해야 함. 이에 본 연구는 평가대상을 2010년 12월 31일 이전 설치한 푸드 뱅크 및 마켓으로 하며, 평가기간은 2011년을 기준으로 함2).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첫째, 푸드뱅크 및 마켓의 개념 및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서울시 푸드뱅크 및 마켓의 평가체계와 평가지표를 분석함. - 둘째, 평가모형 설계와 푸드뱅크 및 마켓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유형 분류, AHP 조사를 통해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산정함. - 셋째, 개발된 평가지표의 평가영역별 평가항목 및 배점과 평가 지표별 측정산식을 정리함. 3 연구방법 1) 연구방법 서울시 평가 및 행정자료 분석 : 2006년부터 평가를 실시한 서울시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 체계와 평가지표를 검토・분석함. 또한 경기 도의 협조로 푸드뱅크 및 마켓 관련 각종 행정자료를 수집・검토함. 2) 단, 일부 평가지표의 특성상 3년간 실적으로 고려함.

4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자문위원 위촉 및 FGI : 푸드뱅크 및 마켓의 현장성을 감안하기 위한 노력으로 도내 푸드뱅크 및 마켓을 관리・ 감독하는 경기광역푸드뱅크 담당자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하여 평가 지표 개발 과정에 참석하도록 함. ⋅제 1차 자문회의 및 FGI : 2012.3.13, 본 재단 회의실 ⋅제 2차 자문회의 및 FGI : 2012.3.27, 본 재단 회의실 ⋅제 3차 자문회의 및 FGI : 2012.6.5, 경기광역푸드뱅크 ⋅제 4차 자문회의 및 FGI : 2012.6.21, 경기광역푸드뱅크 평가지표 모니터링 : 평가지표의 적용가능성과 타당성을 검토하 고자 두 가지 방법으로 평가지표 모니터링을 실시함. - 서면 모니터링 : 개발된 평가지표를 도내 모든 푸드뱅크 및 마 켓에 공개하고, 일정 기간 동안 의견을 접수하여 연구진에서 검토 및 처리함. ⋅의견서 접수 : 2012.6.13~18 ⋅의견서 검토 : 2012.6.22 - 모니터링 회의 : 경기도 푸드뱅크 담당자, 경기광역푸드뱅크 와 도내 푸드뱅크 및 마켓 대표자가 모여 개발된 평가지표에 대해 모니터링을 실시함. ⋅회의 : 2012.6.18, 15:00~17:00, 본 재단 회의실 - 시・군 담당자 서면 모니터링 : 경기도 추천을 통해 시・군의 푸드 뱅크 및 마켓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서면 모니터링을 실시함. ⋅의견서 접수 : 2012.6.15~20 ⋅의견서 검토 : 2012.6.22

Ⅰ. 연구개요 5 푸드뱅크 및 마켓 유형 분류를 위한 회귀분석 : 푸드뱅크 및 마켓의 각기 다른 내・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성과의 차이를 고려하기 위해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함. 평가지표별 가중치 부여를 위한 AHP 조사 : 평가지표별 가중치 설정을 위한 분석기법으로 다수 대안에 대한 다면적 평가기준을 통한 의사결정 지원방식인 계층분석법(AHP :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적용함. 2) 평가지표 개발과정 평가지표 개발과정은 [그림Ⅰ-1]과 같음. [그림 Ⅰ-1] 평가지표 개발과정

6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기존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 검토Ⅱ 푸드뱅크 및 마켓의 사업형태 및 운영체계를 살펴본 후, 서울시의 2012년 푸드뱅크 및 마켓의 평가체계와 평가지표를 분석함3). 1 푸드뱅크 및 마켓 개요 푸드뱅크 및 마켓은 식품제조・유통회사 및 개인으로부터 식품을 기부받아 지역 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결식아동, 독거노인, 재가 장애인 및 사회복지시설 등에 식품을 지원해주는 사회복지 물적 자원 전달체계이며, 다음과 같은 운영체계로 운영됨. 3) 서울시에서는 2006년부터 3년을 주기로 기초 푸드뱅크 및 마켓에 대한 평가를 시행해 왔음.

Ⅱ. 기존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 검토 7 [그림 Ⅱ-1] 전국 운영체계도 사업형태 및 운영체계를 푸드뱅크와 푸드마켓을 구분하여 살펴 보면 다음과 같음. - 푸드뱅크는 식품업체 및 개인으로부터 식품을 기부받아 지역 내 개인이용대상자 및 사회복지시설(기관)에 지원하며, 푸드마켓은 푸드뱅크의 한계점인 이용대상자의 기부식품 선택권을 보장 하고자 실시된 것으로 개인이용대상자가 편의점 형태인 푸드 마켓에 방문하여 본인이 원하는 식품을 일정범위 내에서 이용할 수 있음.

8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그림 Ⅱ-2] 푸드뱅크 운영체계도 [그림 Ⅱ-3] 푸드마켓 운영체계도 경기도 운영 현황을 기부 및 배분 실적, 기부자(처) 수, 이용대상자 (처)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경기도에는 푸드뱅크 51개소, 푸드마켓 16개소가 있음. <표 Ⅱ-1>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수 (2012년 6월 현재) 구 분 푸드뱅크(%) 푸드마켓(%) 전국 296(100) 127(100) 경기도 51(17.2) 16(12.6) - 기부실적(기부식품 접수 환가액)을 살펴보면, 경기도는 2009년에 비해 2010년에 기부실적이 감소하였으나 2011년에는 증가한 것 으로 나타남. 또한 전체 기부실적 대비 2009년과 2010년에는 서울 다음으로 높은 기부실적으로 나타났으나 2011년에는 전국 푸드뱅크보다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Ⅱ. 기존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 검토 9 <표 Ⅱ-2> 경기도 기부실적 (단위: 천원) 합 계 2009 2010 2011 56,757,465 (100%) 67,945,177 (100%) 92,836,819 (100%) 전국푸드뱅크 7,957,161 (14%) 11,885,911 (17.4%) 20,155,032 (21.7%) 경기도푸드뱅크 13,477,855 (23.7%) 12,746,073 (18.7%) 16,261,030 (17.5%) 서울푸드뱅크 16,887,753 (29.7%) 17,533,519 (25.8%) 22,277,543 (23.9%) 기타지역 18,434,696 (32.4%) 25,779,674 (37.9%) 34,143,214 (36.7%) - 배분실적(기부식품 배분 환가액)을 살펴보면, 경기도는 2009년 이후 증가하고 있으며, 2011년은 서울푸드뱅크 보다 높은 배분 실적을 보임. <표 Ⅱ-3> 경기도 배분실적 (단위: 천원) 합 계 2009 2010 2011 55,460,244 (100%) 60,701,627 (100%) 81,845,404 (100%) 경기도푸드뱅크 14,847,936 (26.7%) 15,016,319 (24.7%) 19,918,618 (24.3%) 서울푸드뱅크 16,811,957 (30.3%) 15,736,271 (25.9%) 18,246,100 (22.2%) 기타지역 23,800,351 (42.9%) 29,949,037 (49.3%) 43,680,686 (53.3%)

10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 기부자(처) 수를 살펴보면, 2009년 이후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표 Ⅱ-4> 경기도 기부자(처) 수 (단위: 개소, 명) 합 계 2009 2010 2011 8,443 (100%) 10,557 (100%) 11,999 (100%) 전국푸드뱅크 54 (0.6%) 70 (0.6%) 64 (0.5) 경기도푸드뱅크 1,737 (20.5%) 1,991 (18.8%) 2,251 (18.7%) 서울푸드뱅크 1,940 (22.8%) 2,677 (25.3%) 2,888 (24%) 기타지역 4,712 (56.1%) 5,819 (55.1%) 6,796 (56.6%) - 이용대상자(처) 수를 살펴보면, 단체 이용대상자는 점차 증가 했으나 개인 이용대상자는 2010년 감소했다가 2011년 증가함. 한편 경기도는 서울에 비해 개인・단체 이용대상자 모두 월등히 많으며 특히 개인 이용대상자는 3배 이상 많음.

Ⅱ. 기존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 검토 11 영역 중지표 문항수 인력 전담직원 관리 ⋅전담직원 인원, 겸직유무 ⋅전담직원 퇴사 횟수 ⋅교육・훈련 참석 3 보조인력 ⋅보조인력 인원⋅보조인력 관리 2 <표 Ⅱ-5> 경기도 이용대상자(처) 수 (단위: 개소, 명) 합 계 2009 2010 2011 단체 이용자 개인 이용자 단체 이용자 개인 이용자 단체 이용자 개인 이용자 11,314 (100%) 56,795 (100%) 11,484 (100%) 78,655 (100%) 14,786 (100%) 83,210 (100%) 경기도푸드뱅크 1,929 (17%) 12,821 (22.5%) 2,191 (19%) 9,529 (12.1%) 2,795 (18.9%) 12,988 (15.6%) 서울푸드뱅크 1,653 (14.6%) 4,525 (7.9%) 1,421 (12.3%) 15,963 (20.3%) 1,735 (11.7%) 4,081 (4.9%) 기타지역 7,732 (68.4%) 39,449 (69.4%) 7,872 (68.7%) 53,163 (67.6%) 10,256 (69.3%) 66,141 (79.5%) 2 서울시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 검토 1) 서울시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요 서울시의 평가지표는 인력, 재무⋅행정관리, 기부물품모집 및 홍보, 기부물품 배분관리, 총체적 정성평가의 5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음. <표 Ⅱ-6> 서울시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12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영역 중지표 문항수 재무⋅ 행정관리 사업계획평가 ⋅2011년 사업계획 및 결과의 운영 반영 1 행정문서관리 ⋅전산입력 정확성 ⋅기부물품 입・출고 대장의 정확성 ⋅기부식품 영수증 발급여부, 증빙자료 정확성 3 재정확보 ⋅운영주체의 기여금 ⋅후원금 비율 2 시설관리 ⋅차량의 타 용도 사용여부 ⋅냉장, 냉동고 관리 ⋅창고관리 3 기부물품 모집 및 홍보 사업홍보 ⋅홍보 실시 횟수 ⋅이벤트 실시 횟수 ⋅이용자 발굴을 위한 사업 안내 2 기부업체관리 ⋅기부업체와의 협약 체결 ⋅정기적 관리 여부 ⋅우수 기부회원 관리 3 지역사회연계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 실시 횟수 ⋅자치구의 기부물품 연계 횟수 ⋅자원봉사자 유무 및 활용정도 3 기부물품 배분관리 이용자관리 푸드 뱅크 ⋅이용자 관리 서류 ⋅비수급 취약계층 지원 여부 ⋅만족도 조사 실시 여부 및 횟수 3 푸드 마켓 ⋅이용불편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 노력 ⋅비수급 취약계층 관리 ⋅만족도 조사 실시 여부 및 횟수 3 배분 관리 푸드 뱅크 ⋅이용시설에 대한 형평성 고려 ⋅FMS 입력 오류 정도 2 푸드 마켓 ⋅이용자 대비 수급자 비율 ⋅포스시스템 입력 오류 정도 2 위생관리 ⋅기부식품 위생관리 매뉴얼 준수여부 ⋅차량, 냉장고 위생정도 ⋅제공시설 대상 위생 인지교육 3 총체적 정성평가 후원 및 홍보, 지역특화사업, 자치구지원 우수사례 1

Ⅱ. 기존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 검토 13 인력은 전담직원 관리와 보조인력에 대한 관리 부문으로 평가항목 이 구성됨. - 전담직원 관리는 전담직원의 겸직정도와 퇴사횟수, 교육 훈련 참여도를 평가함. 보조인력 관리는 보조 인력의 인원 수, 보조 인력 활용을 위한 관리도를 평가함. 재무・행정관리는 사업계획평가, 행정문서관리, 재정확보, 시설관리 항목으로 구성됨. - 사업계획평가는 사업계획 및 결과의 운영 반영정도를 평가함. 행정문서관리의 경우, 전산입력 사항, 기부물품 입출고 대장 작성 상태, 기부식품 영수증 발급 정도를 평가함. 재정확보의 경우, 운영주체의 기여금 비율 및 후원금 비율을 평가함. 시설 관리항목의 경우, 차량의 타 용도 활용 여부와 냉장・냉동시설 및 창고의 관리정도를 평가함. 기부물품모집 및 홍보는 사업홍보와 기부업체 관리, 지역사회 연계 활동으로 구성됨. - 기부업체 관리는 기부업체와의 협약 체결 정도, 기부업체에 대한 정기적 관리 정도, 우수 기부회원에 대한 관리도를 평가함. 사업홍보는 언론 노출 건수 및 기부활성화 이벤트 등의 홍보 활동 횟수, 이용자 발굴을 위한 홍보사항을 평가함. - 지역사회 연계활동은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활동 및 자치구의 기부물품 모집 지원도, 자원봉사자 관리와 활용을 평가함.

14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기부물품 배분관리는 이용자 관리와 배분관리, 위생관리의 항목으로 구성됨. - 이용자관리는 이용 불편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 노력도, 차상위 계층 및 위기가정 등 비수급 취약계층 지원 노력도, 만족도 조사 실시 정도를 평가함. 배분관리는 푸드뱅크의 경우에는 이용자 대상 형평성 고려 정도를, 푸드마켓은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대비 제공율을 평가하며, FMS 관리도를 평가함. 위생관리는 기부 식품 위생관리 매뉴얼 준수 정도, 차량 및 냉동・냉장고, 창고의 위생도, 이용자 대상 위생관리 인지사항을 평가함. 총체적 정성평가는 평가위원이 후원 및 홍보, 지역특화사업, 자치 구지원 우수사례에 대해 각각 평가함. 2) 서울시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검토 서울시 평가지표는 사업실적과 운영과정 평가에 중점을 두면서 최대한 평가지표를 간소화한 특성을 가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평가지표 검토를 통해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함. - 첫째, 서울시 평가지표는 영역별 구분의 기준이 모호함. 푸드 뱅크 및 마켓이 투입, 전환, 산출의 과정으로 진행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투입 차원의 행정, 전환 차원의 관리, 산출 차원의 실적으로 평가영역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음. - 둘째, 서울시의 평가지표는 평가기준이 모호한 4점 척도의 단계

Ⅱ. 기존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 검토 15 별 평가방법을 사용함. 정성평가 지표가 있지만 평가지표의 대 다수가 4점 척도 정량평가 지표들을 사용하고 있어 각 푸드뱅 크 및 마켓이 처한 환경적 요건을 고려할 수 없음.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노력이나 노력을 제한하는 환경적 요건들을 고려할 수 있는 질적인 평가를 위해 실적영역을 제외한 행정과 관리영역에 정성평가 지표를 제시하고자 함. - 셋째, 서울시는 세 번째 평가라는 점에서 평가지표를 간소화하 고자 했으며, 서울시가 목표하는 몇 가지 핵심성과를 중심으로 평가지표를 구성함. 그러나 경기도는 평가가 처음이고, 푸드뱅 크 및 마켓별 실태파악 자료가 전무하다는 점에서 운영 과정과 성과를 동시에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함. - 넷째, 경기도 내 31개 시・군은 지역별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각 시・군 단위에서 운영되는 푸드뱅크 및 마켓의 환경 및 역 량의 편차가 매우 큼. 따라서 이와 같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유형을 분류하고자 함. 3 평가지표 구축방향 1) 평가지표 구성 조건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평가 결과의 활 용을 통한 성과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평가지표 체계를 구축함.

16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평가가 신뢰성을 얻고 평가 결과가 통제의 수단을 넘어서 성과 증진에 효과적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평가의 핵심인 측정의 문 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함. - 측정의 문제는 지표체계의 구축과 긴밀히 연계되는데 지표는 평가의 목적과 평가대상에 따라 달라지며, 차별화가 존재할 때 비로소 성과평과의 신뢰성이 증진될 수 있음. - 즉, 평가지표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평가의 결과가 달리 나타나게 되며,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올 수도 있고, 평가를 하고자 했던 본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수도 있음. - 따라서 평가에서 평가지표가 차지하는 중요성은 매우 큼. 즉,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측정할 수 없다면 관리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평가지표의 적절한 구성은 성과 평가를 위한 초석이 됨. 한편 지표는 과거와 현재 뿐만 아니라 미래의 달성 수준을 종합 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목적의 복잡성과 인간의 인지적 한계로 인하여 완벽성을 보장 받기 어려움. - 평가지표가 추구해야 하는 목표는 완전성에 있으나 제한된 합 리성과 환경적 요건 등에 의하여 완전 합리성에 기반한 내용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어려움. - 따라서 평가지표는 구축된 이후 매년 평가대상기관의 환경적 속성, 평가 추구 방향 등을 종합 고려하여 개선되어야 함. 외부적 속성 등에 의하여 완벽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면, 구축 과정

Ⅱ. 기존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 검토 17 에서 내용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지켜야 하는 요소들이 존재함. - 평가지표는 최소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함. 일반적 으로 성과지표가 가져야할 기본원칙으로는 대표성, 적절성, 인 과성, 구체성, 측정가능성, 적시성, 비교가능성 등임. [그림 Ⅱ-4] 성과지표의 조건 ⋅대표성은 푸드뱅크와 푸드마켓의 전략목표와 성과목표의 핵심 적인 내용이 포함되도록 성과지표를 개발해야 함을 의미함. ⋅적절성은 성과지표의 목표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그 근거를 명확하게 제시해 주어야 함을 의미함. ⋅성과지표의 인과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 요인의 통제가 가능한 지표를 개발하여야 함. 외부 요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성과 지표를 개발하여야 목표와 결과 간의 인과관계 파악이 가능하며, 인과관계가 명확할 때 보상 및 책무성의 부여가 용이함.

18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성과목표 또는 사업의 핵심적 내용을 대상으로 명확하고 구체 적인 성과지표를 개발하여야 함. 명확하고 구체적인 성과지표는 목표 달성정도를 쉽게 판별할 수 있게 해주고, 조직 구성원들의 이해가 용이함. ⋅성과지표가 대표성과 적절성을 갖추었다고 하더라도 지표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 할 수 없다면 그 성과 지표를 활용하기 어려움. 따라서 성과지표의 측정방법을 명확히 제시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개발하여야 함. ⋅성과지표의 적시성은 사업 종료 후 산출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 되지 않아 해당 연도에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여야 하며, 빈번하게 측정되어짐으로써 사업의 진행상황의 파악에 도 움을 주어야 함. ⋅성과지표는 예산편성 등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과거의 성과 및 유사 사업의 성과와 비교 가능하도록 설정하여야 함. 즉 현재의 성과를 과거의 성과 및 다른 사업, 과제의 성과와 비교가 가능해야 함. 2) 평가지표 구축 과정 본 연구에서는 앞서 제시한 평가지표 구성 조건을 충족하기 위하 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함. - 비교가능성과 적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서울시에서 수행하고 있는 평가 지표의 재점검 및 검토를 실시함. 평가지표의 재점검 및 검토는 위에 제시한 평가 지표의 구축 방향에 맞추어 메타평 가(meta analysis) 형식으로 연구진이 검토한 후 벤치마킹 지표를

Ⅱ. 기존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 검토 19 추출하는 방식을 택함. ⋅경기도에서 처음 구축하는 평가 지표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 유사 사례를 충분히 검토한 뒤, 경기도의 특성을 반영한 지표를 구축하고자 노력함. - 대표성과 인과성 그리고 구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브레인스 토밍(brainstorming)을 통하여 합의된 지표를 구축함. 이에 더해 해당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직접이해관계자와의 심도 있는 논의 (FGI: 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해 보다 적절한 지표를 구축함. 아 울러 평가지표별 가중치 설정을 위한 분석기법으로 다수 대안에 대한 다면적 평가기준을 통한 의사결정 지원방식인 계층분석법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적용함. - 측정가능성과 적시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조적 제약에 의하여 평가 결과가 고착화 되는 상황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뮬 레이션을 실시하였음. 특히 구조적 속성에 의한 주요 성과의 영향 요인을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제시함.

20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Ⅲ 1 평가모형 설계 평가모델은 무엇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와 연계되는 것으로써 평가의 목적에 의해 다양하게 구축됨. 본 연구의 대상인 푸드뱅크 및 마켓은 특정 사업을 평가하는 사업 평가 보다 그 범위가 확대될 필요가 있음. 물론 궁극적으로 사업 성과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 평가의 목적이긴 하나 성과는 기 관운영의 전 과정에 의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운영 및 절차 등 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이 필요함. 따라서 투입단계에 서부터 성과단계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고, 핵심 성과에 대한 환류 시스템을 구축·운영해야 함. 본 연구에서는 기관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의 하나인 MB(Malcom Baldrige)를 적용하고자 함. - 기존의 조직진단 모형은 조직성과에 대한 진단 및 점검에 초 점을 둔 반면, MB(Malcom Baldrige) 모델은 조직의 역량에 초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21 점을 두고 있음. 조직의 성과뿐 아니라 조직의 역량을 증진하기 위해 어떻게 혁신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강조함. MB 모형은 외부 기준에 의거하여 자체 조직을 평가해보고 조직의 장・단점을 확인하여 개선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조직 내 서비스와 상품의 질・시의성・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의 설정이 가능함. 이러한 맥락에서 푸드뱅크 및 마켓은 MB 모델을 변형한 투입 (input), 전환(conversion), 산출(output)의 과정 평가모델을 구축함. [그림 Ⅲ-1] 평가모형 - 투입은 푸드뱅크 및 마켓 운영을 위한 행정활동으로, 전환은 관리 영역으로, 산출은 실적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음. 평가영역은 행정, 관리, 실적의 세 부문으로 구성함.

22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 행정영역은 푸드뱅크 및 마켓의 사무 효율성과 투명성 등을 평가함. - 관리영역은 푸드뱅크 및 마켓의 운영 및 사업활동의 적법성, 효율성, 효과성 등을 평가함. - 실적영역은 푸드뱅크 및 마켓의 접수 및 배분 성과를 평가함. 2 푸드뱅크 및 마켓 유형 분류 경기도에서 운영되는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은 내・외부 환경적 요인의 편차가 크므로 이를 고려한 평가가 실시되도록 유형을 분 류함. - 특히, 정량평가는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푸드뱅크 및 마켓의 속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할 경우 구조화 된 평가 결과가 도출될 가능성이 큼. 따라서 정량평가 적용 이 전에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인 요인을 충분히 검토해야 함. - 내부적 특성은 인력, 예산, 푸드뱅크 및 마켓 성숙도(설립년도) 등이 포함되고, 외부적 특성은 푸드뱅크 및 마켓이 위치한 소비지 속성 모두를 의미함. 따라서 외부적 속성은 논리성에 의하여 변 수를 구성함. ⋅푸드뱅크 및 마켓의 성과인 배분 수준은 해당 기관이 입지한 지역의 인구, 면적, 소득, 사회적 약자, 자치단체의 지원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예상할 수 있음.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23 ⋅인구가 많다는 것은 푸드뱅크 및 마켓을 이용할 수 있는 잠 재적 공급자와 수요자가 많을 가능성이 크며, 특히 잠재적 공급자가 많을 경우 배분 금액이 높아질 가능성이 큼. ⋅면적은 배분금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행정 비용의 증가를 유발하게 되며, 이는 성과 도출의 사전 단계인 행정 및 관리 영역의 업무 과중을 발생시킬 소지가 큼. 따라서 경상적 경비의 증가로 인해 배분금액이 감소될 소지가 있음. ⋅소득이 높다는 것은 교육 및 학력 수준이 높다는 상태에 대한 대리변수이자 푸드뱅크 및 마켓의 이용가능성 및 공급 수준 증대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아 궁극적으로 배분금액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게 될 가능성이 높음. ⋅또한 푸드뱅크 및 마켓의 주요 사업은 기초자치단체로부터의 보조수준에 의해서 그 성과가 달리 도출될 가능성이 높은데, 무엇보다 해당 자치단체의 복지비 지출수준에 의해서도 지원 금액의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에 배분금액의 증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큼. ⋅마지막으로 푸드뱅크 및 마켓은 무엇보다 수요자 중심에서 업무가 진행되는데, 해당지역의 사회적 약자는 수요자의 증가를 유발함과 동시에 기초자치단체의 재정수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 이는 직접적으로 배분금액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 으나 기초자치단체의 복지비지출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배분금액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소지가 높음.

24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한편 사전 분석을 위해서는 분석의 시계가 중요함. 단년도만을 기준으로 분석할 경우 연도별 속성 변수를 누락시켜 자칫 왜곡된 목표치를 부여할 가능성이 큼.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모든 분석 기준을 3년 시계열 자료를 이용해 분석하고자 함. 푸드뱅크 및 마켓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함. 그러나 회귀분석에 앞서 전술한 내・외부의 변수 타당성 검증이 먼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각 변수별 상관관계를 분석함. <표 Ⅲ-1> 변수의 상관관계 구 분 소득 면적 인구 사회적약자 복지비 지출 직원 수 예산 배분 금액 소득 1 면적 .192 1 인구 .671(**) .004 1 사회적약자 수 .765(**) .083 .909(**) 1 복지비지출 .721(**) .015 .897(**) .945(**) 1 직원 수 -.016 .102 -.122 -.096 -.096 1 예산 .164 -.024 .314(*) .373(**) .337(*) .026 1 배분금액 .338(**) -.071 .412(**) .455(**) .450(**) -.094 .483(**) 1 ** p<0.01, * p<0.05 - 분석결과, 배분금액에는 소득, 인구, 사회적 약자, 복지비 지출 등 외적 변수와 예산 등 내적 변수가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25 ⋅한편 내적인 변수 중 예산과 외적변수 중 복지비지출 수준과 사회적 약자 수준은 상호간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이 경우 다중공선성이 발생될 소지가 큼. 따라서 이 연구 에서는 예산을 제외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함. 그 이유는 아래 기술통계분석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예산은 결측치가 매우 높기 때문에 회귀분석 시 변량 및 상관성을 충실히 보여주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임. <표 Ⅲ-2> 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 구 분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소득 87 .00 356097.00 78187.65 77408.77 면적 81 33.00 827.00 264.78 240.72 인구 81 62603.00 1086995.00 421229.11 296450.33 사회적약자 수 87 .00 79565.00 28419.43 20825.35 복지비지출 81 34104426.00 344024521.00 130612728.66 80342831.04 배분금액 81 14024.00 1620241.00 569742.82 387031.68 직원 수 57 1.00 2409.00 66.75 316.96 예산 55 4600.00 371400.00 133449.60 97499.87 * 자료1: 복지비지출, 소득 - 지방재정연감 / 사회적 약자, 인구, 규모 - 한국도시연감 / 배분 금액, 예산 - 경기광역푸드뱅크 - 변수의 타당성 검토 후, 푸드뱅크 및 마켓의 배분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해당 자치단체 복지비 지출 수준인 것 으로 나타남. ⋅배분수준은 3년 동안의 배분 환가액이며, 지역의 소득은 3년

26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간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주민세와 재산세의 합으로, 면적은 3년간 자치단체의 면적으로, 인구는 3년간 해당 기초자치단 체의 인구를, 복지지출액은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총 세출 중 복지비 지출액으로 구성함. <표 Ⅲ-3> 회귀분석 결과 구 분 B t 유의확률 (상수) 286,340.875 3.865  - 복지비지출 0.450 4.484 <0.001 소득 0.028 0.195 0.846 면적 -0.077 -0.768 0.445 인구 0.043 0.188 0.851 이는 복지비 지출수준에 따라 푸드뱅크 및 마켓의 노력 여부와 상관없이 성과가 도출될 수 있음을 의미함. - 복지비 지출 수준을 기준으로 평균 이상 집단을 유형 A, 평균 이하 집단을 유형 B, 그리고 4개 군을 유형 C로 구분함. ⋅평균은 시(city)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평균은 120,035백만원인 것으로 나타남. ⋅유형별 구분은 상대평가를 위한 정량지표(목표부여 상향평가, 평균대비 실적평가) 적용 시 이용되며, 유형 분류 결과는 다 음과 같음.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27 <표 Ⅲ-4> 유형 분류 결과 (단위: 천원) 유형A(11개) 유형B(16개) 유형C(4개) 화성시 145,900,430 과천시 41,075,713 여주군 58,806,088 평택시 147,482,386 의왕시 42,798,219 연천군 32,922,376 의정부시 158,464,100 하남시 47,036,324 가평군 47,027,836 안양시 158,590,131 오산시 51,763,120 양평군 55,813,362 남양주시 161,508,145 동두천시 54,642,391 용인시 218,487,881 구리시 59,732,511 고양시 246,256,711 김포시 75,811,783 안산시 247,351,107 군포시 75,981,621 부천시 249,540,022 포천시 80,540,211 수원시 267,170,211 양주시 81,555,167 성남시 320,033,093 광주시 82,551,992 안성시 83,643,874 이천시 85,557,139 광명시 93,341,574 파주시 123,022,544 시흥시 126,705,276 평균 210,980,383 평균 75,359,966 평균 48,642,416 3 평가지표별 가중치 부여 평가지표별 가중치 산정을 위해 경기광역푸드뱅크 추천으로 충청 남도의 푸드뱅크 및 마켓을 담당하여 일한 경력이 3년 이상인 담 당자 6인을 대상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조사를 실시

28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함4). - AHP 분석은 계층화된 의견수렴을 위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 졌으며 이 방법을 통해 지표별 가중치를 최종 완료함. 1) 푸드뱅크 (1) 행정영역의 중요도 산정 결과 가) 평가부문에서의 중요도 산정 행정영역의 평가부문별 상대적 중요도를 묻는 문항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평가부문 중요도 순위 FMS 0.2193 3 문서 0.2893 2 운영계획 0.4914 1 일관성 비율 0.3323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49.14%가 ‘운영계획’ 부문을 상대적 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부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4) AHP 기법은 다수 대안에 대한 다면적 평가기준을 통한 의사결정지원 방법으로,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간의 상대비교를 통해 평가자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포착 하는 의사결정방법론 중 하나임.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29 나) 평가지표에서의 중요도 산정 ‘문서’의 평가지표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묻는 문항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기부식품 접수문서 작성 및 관리 0.1011 5 기부식품 배분문서 작성 및 관리 0.0657 6 기부자(처) 문서 작성 및 관리 0.1181 4 이용대상자(처) 문서 작성 및 관리 0.0586 7 회계문서 작성 및 관리 0.2194 1 기부식품폐기 문서 작성 및 관리 0.2194 1 기부식품 영수증 작성 및 관리 0.2175 3 일관성 비율 0.0442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21.94%가 ‘회계문서 작성 및 관리’와, ‘기부식품폐기 문서 작성 및 관리’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푸드뱅크 행정영역의 상대적 중요도 도출을 통해 평가지표의 배 점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평가부문별 중요도 배점은 ‘FMS’ 30점, ‘문서’ 34점, ‘운영계획’ 36점으로 이루어짐. -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별 배점 산정 결과는 다음과 같음.

30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표 Ⅲ-5> 푸드뱅크 행정영역 가중치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중요도 가중치 FMS FMS 활용 FMS 활용성, 숙지성, 적응성 30 7.50 문서 문서작성 및 관리 기부식품 접수문서 작성 및 관리 4.6 1.15 기부식품 배분문서 작성 및 관리 4.2 1.05 기부자(처) 문서 작성 및 관리 4.8 1.20 이용대상자(처) 문서 작성 및 관리 3.6 0.90 회계문서 작성 및 관리 6.0 1.50 기부식품폐기 문서 작성 및 관리 5.6 1.40 기부식품 영수증 작성 및 관리 5.2 1.30 운영계획 운영계획서 운영계획서 수립 및 집행 36 9.00 (2) 관리영역의 중요도 산정 결과 가) 평가부문에서의 중요도 산정 관리영역의 평가부문별 상대적 중요도를 묻는 문항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평가부문 중요도 순위 인력 0.3779 1 재무 0.3189 2 시설 및 장비 0.1629 3 운영 0.1403 4 일관성 비율 0.2686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31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37.79%가 ‘인력’ 부문을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부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나) 평가항목에서의 중요도 산정 관리영역의 평가부문별 평가항목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묻는 문항에 대한 응답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음. ‘인력 부문’의 세 가지 평가항목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78.26%가 ‘전담직원 수, 관리도’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평가항목 중요도 순위 전담직원 수, 관리도 0.7826 1 자원봉사자 수, 관리도 0.1142 2 보조인력 수, 관리도 0.1032 3 일관성 비율 0.0157 ‘시설 및 장비 부문’의 두 가지 평가항목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69.10%가 ‘장비현황’ 항목을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시설현황’ 30.90%의 중요 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32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평가항목 중요도 순위 장비현황 0.6910 1 시설현황 0.3090 2 일관성 비율 0.0000 ‘운영 부문’의 여섯 가지 평가항목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 자의 38.62%가 ‘기부자(처)’ 항목을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이용대상자(처) 관리’가 22.72%의 중요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평가항목 중요도 순위 위생관리 0.1386 4 기부자(처) 0.3862 1 지역사회 연계활동 0.0408 5 기부물품 배분의 공정성 0.1768 3 이용대상자(처) 관리 0.2272 2 특화 사업 및 프로그램 0.0303 6 일관성 비율 0.0805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33 다) 평가지표에서의 중요도 산정 인력부문 ‘보조인력 수, 관리도’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86.35%가 ‘공익요원 수, 관리도’ 지표를 상 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으며, 다음으로 ‘공공근로 수, 관리도’ 지표가 13.65%인 것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보조인력 공공근로 수, 관리도 0.1365 2 공익요원 수, 관리도 0.8635 1 일관성 비율 0.0000 재무부문 ‘운영예산’의 평가지표에 대한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53.14%가 ‘사업비 비중’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보조금, 법인전입금 비중’ 지표가 46.86%의 순으로 나타남.

34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보조금, 법인전입금 비중 0.4686 2 사업비 비중 0.5314 1 일관성 비율 0.0000 운영부문 ‘기부자(처)’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88.81%가 ‘기부자(처) 관리’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기부자(처) 개발’ 11.19%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기부자(처) 관리 0.8881 1 기부자(처) 개발 0.1119 2 일관성 비율 0.0000 운영부문 ‘기부물품 배분의 공정성’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 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87.03%가 ‘이용대상자(처) 배분의 공정성’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35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중요도 가중치 인력 인적자원관리 전담직원 수, 관리도 8.88 3.55 자원봉사자 수, 관리도 8.50 3.40 보조인력 수, 관리도 8.38 3.35 재무 운영예산 보조금, 법인전입금 비중 10.50 4.20 사업비 비중 15.00 6.00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자체 소비율’ 12.97%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이용대상자(처) 배분의 공정성 0.8703 1 자체소비율 0.1297 2 일관성 비율 0.0000 푸드뱅크 관리영역의 상대적 중요도 도출을 통해 평가지표의 배 점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평가부문별 배점은 ‘인력’ 25.76점, ‘재무’ 25.50점, ‘시설 및 장비’ 25.00점, ‘운영’ 23.76점으로 이루어짐. -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별 배점 산정 결과는 다음과 같음. <표 Ⅲ-6> 푸드뱅크 관리영역 가중치

36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중요도 가중치 시설 및 장비 장비현황 차량, 냉장・냉동고 관리 13.75 5.50 시설현황 식품창고 관리 11.25 4.50 운영 위생관리 기부식품 위생관리 4.00 1.60 기부자(처) 기부자(처) 개발 2.50 1.00 기부자(처) 관리 2.00 0.80 지역사회 연계활동 유관기관 협력사업 횟수 및 내용 3.88 1.55 기부물품 배분의 공정성 자체소비율 2.38 0.95 이용대상자(처) 배분의 공정성 1.75 0.70 이용대상자(처) 관리 이용대상자(처) 만족도조사의 적절성 4.25 1.70 특화 사업 및 프로그램 특화 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성 3.00 1.20 (3) 실적영역의 중요도 산정 결과 가) 평가부문에서의 중요도 산정 실적영역의 평가부문별 상대적 중요도를 묻는 문항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분석결과임. 평가부문 중요도 순위 접수 0.3090 2 배분 0.6910 1 일관성 비율 0.0000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37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69.10%가 ‘배분’ 부문을 상대적으 로 가장 중요한 평가부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다음으로 ‘접수’ 30.90%의 순으로 나타남. 나) 평가항목에서의 중요도 산정 실적영역의 평가부문별 평가항목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묻는 문항에 대한 응답자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56.80%가 ‘기부자(처) 수’ 항목을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인식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평가항목 중요도 순위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0.1977 3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0.2343 2 기부자(처) 수 0.5680 1 일관성 비율 0.0063 배분 부문의 두 가지 평가항목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 답자의 60.44%가 ‘배분건수’ 항목을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다음으로 ‘배분환가액’ 39.56%의 중요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38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평가항목 중요도 순위 배분 환가액 0.3956 2 배분건수 0.6044 1 일관성 비율 0.0000 다) 평가지표에서의 중요도 산정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상 대적 중요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46.79%가 ‘자체 기부 식품 접수 환가액 증가율’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 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3년 평균’ 42.99%,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지표가 10.22%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0.1022 3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증가율 0.4679 1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3년 평균 0.4299 2 일관성 비율 0.0063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상 대적 중요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46.54%가 ‘자체 기부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39 식품 접수건수 3년 평균’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 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자체 기부식 품 접수건수 증가율’ 38.87%, ‘자체 기부식품 접수 건수’ 14.59%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0.1459 3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증가율 0.3887 2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3년 평균 0.4654 1 일관성 비율 0.0290 ‘기부자(처) 수’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48.41%가 ‘기부자(처) 증가율’ 지 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기부자(처) 3년 평균’ 42.09%, ‘당해년 기부 자(처) 수’ 9.50%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기부자(처) 수 0.0950 3 기부자(처) 증가율 0.4841 1 기부자(처) 3년 평균 0.4209 2 일관성 비율 0.0173

40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배분부문 ‘배분 환가액’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52.14%가 ‘배분 환가액 증 가율’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배분 환가액 3년 평균’ 28.23%, ‘배 분 환가액’ 19.63%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배분 환가액 0.1963 2 배분 환가액 증가율 0.5214 1 배분 환가액 3년 평균 0.2823 3 일관성 비율 0.0290 ‘배분건수’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70.70%가 ‘배분건수 증가율’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다음으로 ‘3년 평균 배분건수’ 17.30%, ‘배분건수’ 12.00% 의 순으로 나타남.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41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중요도 가중치 접수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4.80 1.68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증가율 5.26 1.84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3년 평균 5.09 1.78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5.29 1.85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증가율 5.43 1.90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3년 평균 5.57 1.95 기부자(처) 수 기부자(처) 수 5.43 1.90 기부자(처) 증가율 6.00 2.10 기부자(처) 3년 평균 5.71 2.00 배분 배분환가액 배분 환가액 8.14 2.85 배분 환가액 증가율 8.29 2.90 배분 환가액 3년 평균 7.86 2.75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배분건수 0.1200 3 배분건수 증가율 0.7070 1 배분건수 3년 평균 0.1730 2 일관성 비율 0.0292 푸드뱅크 실적영역의 상대적 중요도 도출을 통해 평가지표의 배 점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평가부문별 배점은 ‘접수’ 48.57점, ‘배분’ 51.43점으로 이루어짐. -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별 배점 산정 결과는 다음과 같음. <표 Ⅲ-7> 푸드뱅크 실적영역 가중치

42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중요도 가중치 배분건수 배분건수 8.00 2.80 배분건수 증가율 10.00 3.50 배분건수 3년 평균 9.14 3.20 2) 푸드마켓 (1) 행정영역의 중요도 산정 결과 가) 평가부문에서의 중요도 산정 행정영역의 평가부문별 상대적 중요도를 묻는 문항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평가부문 중요도 순위 FMS 0.1735 4 문서 0.2250 3 운영계획 0.3430 1 운영절차 0.2584 2 일관성 비율 0.1410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34.30%가 ‘운영계획’ 부문을 상대 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부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43 나) 평가지표에서의 중요도 산정 문서의 평가지표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묻는 문항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24.55%가 ‘회계문서 작성 및 관리’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한편 ‘이용대상자(처) 문서 작성 및 관리’는 5.26%로 가장 낮은 중요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기부식품 접수문서 작성 및 관리 0.1019 5 기부식품 배분문서 작성 및 관리 0.0728 6 기부자(처) 문서 작성 및 관리 0.1212 4 이용대상자(처) 문서 작성 및 관리 0.0526 7 회계문서 작성 및 관리 0.2455 1 기부식품폐기 문서 작성 및 관리 0.2122 2 기부식품 영수증 작성 및 관리 0.1938 3 일관성 비율 0.0655 푸드마켓 행정영역의 상대적 중요도 도출을 통해 평가지표의 배 점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평가부문별 배점은 ‘FMS ’ 21.20점, ‘문서’ 25.60점, ‘운영계획’ 27.20점, ‘운영절차’ 26.00점으로 이루어짐. -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별 배점 산정 결과는 다음과 같음.

44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표 Ⅲ-8> 푸드마켓 행정영역 가중치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중요도 가중치 FMS FMS 활용 FMS 활용성, 숙지성, 적응성 21.20 5.30 문서 문서작성 및 관리 기부식품 접수문서 작성 및 관리 3.20 0.80 기부식품 배분문서 작성 및 관리 3.60 0.90 기부자(처) 문서 작성 및 관리 3.40 0.85 이용대상자(처) 문서 작성 및 관리 2.80 0.70 회계문서 작성 및 관리 4.40 1.10 기부식품폐기 문서 작성 및 관리 4.20 1.05 기부식품 영수증 작성 및 관리 4.00 1.00 운영계획 운영계획서 운영계획서의 적절성 27.20 6.80 운영절차 운영위원회 운영위원회 운용 26.00 6.50 (2) 관리영역의 중요도 산정 결과 가) 평가부문에서의 중요도 산정 관리영역의 평가부문별 상대적 중요도를 묻는 문항에 대한 전체 응 답자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45.36%가 ‘인력’ 부문을 상대 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부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45 평가부문 중요도 순위 인력 0.4536 1 재무 0.0479 4 시설 및 장비 0.2921 2 운영 0.2064 3 일관성 비율 0.0546 나) 평가항목에서의 중요도 산정 관리영역의 평가부문별 평가항목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묻는 문항에 대한 응답자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76.97%가 ‘전담직원 수, 관리도’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평가항목 중요도 순위 전담직원 수, 관리도 0.7697 1 자원봉사자 수, 관리도 0.1216 2 보조인력 수, 관리도 0.1087 3 일관성 비율 0.0027 ‘시설 및 장비 부문’의 평가항목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 답자의 72.57%가 ‘장비현황’ 항목을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

46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항목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다음으로 ‘시설현황’ 27.43%의 중요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평가항목 중요도 순위 장비현황 0.7257 1 시설현황 0.2743 2 일관성 비율 0.0000 ‘운영 부문’의 평가항목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39.91%가 ‘기부자(처)’ 항목을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항목 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평가항목 중요도 순위 위생관리 0.0989 4 기부자(처) 0.3991 1 지역사회 연계활동 0.0416 5 기부물품 배분의 공정성 0.1831 3 이용대상자(처) 관리 0.2401 2 특화 사업 및 프로그램 0.0373 6 일관성 비율 0.0754 다) 평가지표에서의 중요도 산정 ‘보조인력 수, 관리도’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85.54%가 ‘공익요원 수, 관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47 리도’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공근로 수, 관리도’ 지표가 14.46% 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보조인력 공공근로수, 관리도 0.1446 2 공익요원수, 관리도 0.8554 1 일관성 비율 0.0000 재무부문 ‘운영예산’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87.03%가 ‘사업비 비중’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보조금, 법인전입금 비중’ 지표가 12.97% 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보조금, 법인전입금 비중 0.1297 2 사업비 비중 0.8703 1 일관성 비율 0.0000

48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운영부문 ‘기부자(처)’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88.81%가 ‘기부자(처) 관리’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기부자(처) 개발’ 11.19%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기부자(처) 관리 0.8881 1 기부자(처) 개발 0.1119 2 일관성 비율 0.0000 운영부문 ‘기부물품 배분의 공정성’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 답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88.81%가 ‘이용대상자(처) 배분의 공정성’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체소 비율’ 11.19%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이용대상자(처) 배분의 공정성 0.8881 1 자체소비율 0.1119 2 일관성 비율 0.0000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49 푸드마켓 관리영역의 상대적 중요도 도출을 통해 평가지표의 배 점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평가부문별 배점은 ‘인력’ 30.00점, ‘재무’ 17.50점, ‘시설 및 장비’ 27.50점, ‘운영’ 25.00점으로 이루어짐. -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별 배점 산정 결과는 다음과 같음. <표 Ⅲ-9> 푸드마켓 관리영역 가중치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중요도 가중치 인력 인적자원관리 전담직원 수, 관리도 12.50 5.00 자원봉사자 수, 관리도 10.00 4.00 보조인력 수, 관리도 7.50 3.00 재무 운영예산 보조금, 법인전입금 비중 7.50 3.00 사업비 비중 10.00 4.00 시설 및 장비 장비현황 차량, 냉장・냉동고 관리 15.00 6.00 시설현황 식품창고 및 독립사무실 관리 12.50 5.00 운영 위생관리 기부식품 위생관리 4.00 1.60 기부자(처) 기부자(처) 개발 3.25 1.30 기부자(처) 관리 2.75 1.10 지역사회 연계활동 유관기관 협력사업 횟수 및 내용 3.00 1.20 기부물품 배분의 공정성 자체소비율 2.25 0.90 이용대상자(처) 배분의 공정성 2.00 0.80 이용대상자(처) 관리 이용대상자(처) 만족도 조사의 적절성 5.00 2.00 특화 사업 및 프로그램 특화 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성 2.75 1.10

50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3) 실적영역의 중요도 산정 결과 가) 평가부문에서의 중요도 산정 ‘실적영역’의 평가부문별 상대적 중요도를 묻는 문항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69.10%가 ‘배분’ 부문을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부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나며, 다음으로 ‘접수’ 30.90%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부문 중요도 순위 접수 0.3090 2 배분 0.6910 1 일관성 비율 0.0000 나) 평가항목에서의 중요도 산정 ‘실적영역’의 평가부문별 평가항목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묻는 문항에 대한 응답자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56.80%가 ‘기 부자(처) 수’ 항목을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인식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51 평가항목 중요도 순위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0.1977 3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0.2343 2 기부자(처) 수 0.5680 1 일관성 비율 0.0063 배분의 평가항목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60.44%가 ‘배분건수’ 항목을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인식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배분 환가액’ 39.56%의 중 요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평가항목 중요도 순위 배분 환가액 0.3956 2 배분건수 0.6044 1 일관성 비율 0.0000 다) 평가지표에서의 중요도 산정 접수의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 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46.79%가 ‘자 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증가율’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체 기

52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부식품 접수 환가액 3년 평균’ 42.99%,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 액’ 지표가 10.22%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0.1022 3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증가율 0.4679 1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3년 평균 0.4299 2 일관성 비율 0.0063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상 대적 중요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46.54%가 ‘자체 기부 식품 접수건수 3년 평균’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 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증가율’ 38.87%, ‘자체 기부식품 접수 건수’ 14.59%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0.1459 3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증가율 0.3887 2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3년 평균 0.4654 1 일관성 비율 0.0063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53 ‘기부자(처) 수’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74.31%가 ‘기부자(처) 증가율’ 지 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기부자(처) 수’ 14.64%, ‘기부자(처) 3년 평균’ 11.04%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기부자(처) 수 0.1464 2 기부자(처) 증가율 0.7431 1 기부자(처) 3년 평균 0.1104 3 일관성 비율 0.0173 배분부문 ‘배분 환가액’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이는 평가지표는 ‘배분 환가액 증가율’ 임. -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응답자의 52.14%가 ‘배분 환가액 증가율’ 지표를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 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3년 평균 배분 환가액’ 28.23%, ‘배분 환가액’ 19.63%의 순으로 나타남.

54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배분 환가액 0.1963 2 배분 환가액 증가율 0.5214 1 배분 환가액 3년 평균 0.2823 3 일관성 비율 0.0290 ‘배분건수’의 평가지표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70.70%가 ‘배분건수 증가율’ 지표를 상 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으며, 다음으로 ‘배분건수 3년 평균’ 17.30%, ‘배분건수’ 12.00%의 순으로 나타남.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배분건수 0.1200 3 배분건수 증가율 0.7070 1 배분건수 3년 평균 0.1730 2 일관성 비율 0.0292

Ⅲ. 평가모형 설계와 평가지표 체계 55 푸드마켓 실적영역의 상대적 중요도 도출을 통해 평가지표의 배 점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평가부문별 배점은 ‘접수’ 48.57점, ‘배분’ 51.43점으로 이루어짐. -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별 배점 산정 결과는 다음의 표와 같음. <표 Ⅲ-10> 푸드마켓 실적영역 가중치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중요도 가중치 접수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4.80 1.68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증가율 5.26 1.84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3년 평균 5.09 1.78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자체 깁식품 접수건수 5.29 1.85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증가율 5.43 1.90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3년 평균 5.57 1.95 기부자(처) 수 기부자(처) 수 5.71 2.00 기부자(처) 증가율 6.00 2.10 기부자(처) 3년 평균 5.43 1.90 배분 배분환가액 배분 환가액 8.14 2.85 배분 환가액 증가율 8.29 2.90 3년 평균 배분 환가액 7.86 2.75 배분건수 배분건수 8.00 2.80 배분건수 증가율 10.00 3.50 3년 평균 배분건수 9.14 3.20

56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평가 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적용 지표성격 배점 (100) 비고뱅크 마켓 정량 정성 행정 FMS FMS 활용 ○ ○ - ○ 25 푸드뱅크 및 마켓 공통지표 문서 문서작성 및 관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운영계획 운영계획서 ○ ○ - ○ 운영절차 운영위원회 - ○ - ○ 푸드마켓 관리 인력 인적자원관리 ○ ○ ○ ○ 40 푸드뱅크 및 마켓 공통지표 ○ ○ ○ ○ ○ ○ ○ ○ 재무 운영예산 ○ ○ ○ - 평가지표(안)Ⅳ 1 평가지표 구성 평가지표 구성은 <표 Ⅳ-1>과 같음. <표 Ⅳ-1> 평가지표 구성

Ⅳ. 평가지표(안) 57 평가 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적용 지표성격 배점 (100) 비고뱅크 마켓 정량 정성 ○ ○ ○ - 시설 및 장비 장비현황 ○ ○ ○ ○ 시설현황 - ○ ○ - 푸드마켓 ○ - ○ ○ 푸드뱅크 운영 위생관리 ○ ○ ○ - 푸드뱅크 및 마켓 공통지표 기부자(처) ○ ○ ○ ○ ○ ○ - ○ 지역사회 연계활동 ○ ○ ○ ○ 기부물품 배분의 공정성 ○ ○ ○ ○ ○ ○ - ○ 이용대상자(처) 관리 ○ ○ - ○ 특화 사업 및 프로그램 ○ ○ ○ ○ 실적 접수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 ○ ○ - 35 푸드뱅크 및 마켓 공통지표 ○ ○ ○ - ○ ○ ○ -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 ○ ○ - ○ ○ ○ - ○ ○ ○ - 기부자(처) 수 ○ ○ ○ - ○ ○ ○ - ○ ○ ○ - 배분 배분환가액 ○ ○ ○ - ○ ○ ○ - ○ ○ ○ - 배분건수 ○ ○ ○ - ○ ○ ○ - ○ ○ ○ -

58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평가 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측정산식 행정 FMS FMS 활용 1. FMS 활용성, 숙지성, 적응성 활용성, 적응성, 숙지성 문서 문서작성 및 관리 2. 기부식품 접수문서 작성 및 관리 문서 구비, 문서 처리 및 관리, FMS와의 일치도 3. 기부식품 배분문서 작성 및 관리 4. 기부자(처) 문서 작성 및 관리 5. 이용대상자(처) 문서 작성 및 관리 6. 회계문서 작성 및 관리 문서구비, 문서 처리 및 관리 7. 기부식품폐기 문서 작성 및 관리 문서 구비, 문서 처리 및 관리, FMS와의 일치도8. 기부식품 영수증 작성 및 관리 운영계획 운영계획서 9. 운영(사업)계획서의 적절성 운영계획서 작성, 운영 계획서 내용의 체계성, 운영계획서의 평가 2 평가지표(안) 1) 행정 행정영역은 FMS, 문서, 운영계획, 운영절차 평가부문으로 구성됨. - FMS는 FMS 활용성, 숙지성, 적응성을 평가함. - 문서는 기부식품 접수문서, 기부식품 배분문서, 기부자(처) 문서, 이용대상자(처) 문서, 회계문서, 기부식품폐기 문서, 기부식품 영수증의 작성 및 관리정도를 평가함. - 운영계획은 운영(사업)계획서의 적절성을 평가함. - 운영절차는 운영위원회 운용을 평가함(푸드마켓에 한함). <표 Ⅳ-2> 행정영역 평가지표(안)

Ⅳ. 평가지표(안) 59 평가 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측정산식 운영절차 운영위원회 10. 운영위원회 운용 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기준, 구성의 적합성, 운용 평가 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측정산식 관리 인력 인적자원관리 1. 전담직원 수, 관리도 전담직원 수 × 50%총 직원수 전담직원 수, 전담직원의 업무량, 교육 프로그램 참여, 목표대비 실적평가 2) 관리 관리영역은 인력, 재무, 시설 및 장비, 운영 평가부문으로 구성됨. - 인력은 전담직원, 자원봉사자, 보조인력의 수와 관리도를 평가함. - 재무는 보조금과 법인전입금 비중, 사업비 비중을 평가함. - 시설 및 장비는 차량, 냉장・냉동고, 식품창고, 독립사무실(푸드 마켓에 한함) 관리정도를 평가함. - 운영은 기부식품 위생관리, 기부자(처) 개발 및 관리, 유관기관 협력사업 횟수 및 내용, 기부물품 자체소비율 및 배분의 공정성, 이용대상자(처) 만족도 조사의 적절성, 특화 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성을 평가함. <표 Ⅳ-3> 관리영역 평가지표(안)

60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평가 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측정산식 2. 자원봉사자 수, 관리도 자원봉사자수 총 직원수 자원봉사자의 활동 정도, 자원 봉사자 관리 3. 보조인력 수, 관리도 공공근로자 수 × 20% + 총 직원수 공익요원 수 × 20% +총 직원수 기타 × 20% 총 직원수 보조인력 확보 노력, 보조인력 관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 관리 재무 운영예산 4. 보조금, 법인전입금 비중 1- 보조금 × 50%+세출 총액 법인전입금 × 50%세출 총액 5. 사업비 비중 사업비세출 총액 시설 및 장비 장비현황 6. 차량, 냉장・냉동고 관리 적절하다고 통과된 항목 수 × 70% 점검표 상의 모든 항목 수 장비관리의 적절성, 장비 관리 전략 시설현황 7. 식품창고 및 독립 사무실 관리 식품창고와 독립사무실 유무 푸드마켓 시설 점검시 적절하다고 통과된 항목 수 × 50% 점검표 상의 모든 항목 수 7. 식품창고 관리 적절하다고 통과된 항목 수 × 70% 점검표 상의 모든 항목 수 시설관리의 적절성, 시설 관리 전략 운영 위생관리 8. 기부식품 위생관리 기준준수 여부

Ⅳ. 평가지표(안) 61 평가 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측정산식 기부자(처) 9. 기부자(처) 개발 개발 계획 유무, 개발 계획의 창 의성, 개발 계획의 실행성, 평가 평가대상의 투입예산 대비 홍보 횟수 유형 내 투입예산 대비 홍보 횟수 평균의 120% 10. 기부자(처) 관리 관리 계획 유무, 관리계획의 체계성, 관리 계획의 실행성, 평가 지역사회 연계활동 11. 유관기관 협력사업 횟수 및 내용 협력사업 계획 유무, 계획의 실 행성, 평가 평가대상의 유관기관 협력사업 횟수 유형 내 투입예산 대비 홍보 횟수 평균의 120% 관리 운영 기부물품 배분의 공정성 12. 자체소비율 자체소비율 준수 노력 이용대상자(처) 배분 환가액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80% 13. 이용대상자(처) 배분의 공정성 배분기준 유무, 배분 공정성 이행 노력, 평가 이용대상자 (처) 관리 14. 이용대상자(처) 만족도 조사의 적절성 만족도 조사 여부, 조사 내용의 적절성, 조사 결과의 활용 특화 사업 및 프로그램 15. 특화 사업 및 프로 그램 운영의 효과성 지속성, 보급성, 탁월성 3) 실적 실적영역은 기부식품 접수와 기부식품 배분 평가부문으로 구성됨. - 기부식품 접수는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자체 기부식품접수 건수, 기부자(처) 수・전년대비 증가율・3년 평균 실적을 평가함. - 기부식품 배분은 배분 환가액과 배분건수의 수, 증가율, 자체 기부식품 배분 환가액, 기부식품 배분 건수・전년대비 증가율・3 년 평균 실적을 평가함.

62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평가 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측정산식 실적 접수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1.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평균대비 실적평가 해당 기초의 실적 유형내 평균×120% 2.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증가율 목표부여 상향평가 실적-최저목표 최고목표-최저목표 실적 접수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3. 3년 평균 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평균대비 실적평가 해당 기초의 3년 실적 유형내 3년 평균×120%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4.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평균대비 실적평가 해당 기초의 실적 유형내 평균×120% 5.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증가율 목표부여 상향평가 실적-최저목표 최고목표-최저목표 6. 3년 평균 자체 기부식품 접수건수 평균대비 실적평가 해당 기초의 3년 실적 유형내 3년 평균×120% 기부자(처) 수 7. 기부자(처) 수 평균대비 실적평가 해당 기초의 실적 유형내 평균×120% 8. 기부자(처) 증가율 목표부여 상향평가 실적-최저목표 최고목표-최저목표 9. 3년 평균 기부자(처) 평균대비 실적평가 해당 기초의 3년 실적 유형내 3년 평균×120% 배분 배분환가액 10. 배분 환가액 평균대비 실적평가 해당 기초의 실적 유형내 평균×120% <표 Ⅳ-4> 실적영역 평가지표(안)

Ⅳ. 평가지표(안) 63 평가 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 평가지표 측정산식 11. 배분 환가액 증가율 목표부여 상향평가 실적-최저목표 최고목표-최저목표 12. 3년 평균 배분 환가액 평균대비 실적평가 해당 기초의 3년 실적 유형내 3년 평균×120% 배분건수 13. 배분건수 평균대비 실적평가 해당 기초의 실적 유형내 평균×120% 실적 배분 배분건수 14. 배분건수 증가율 목표부여 상향평가 실적-최저목표 최고목표-최저목표 15. 3년 평균 배분건수 평균대비 실적평가 해당 기초의 3년 실적 유형내 3년 평균×120%

64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결 론Ⅴ 본 연구는 저소득 빈곤계층의 결식문제완화를 통한 민간 사회안 전망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 중인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음. 평가지표는 푸드뱅크 및 마켓이 일반적인 사업평가보다 범위를 확대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투입단계에서 성과단계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 평가항목과 평가지표는 푸드뱅크 및 마켓의 현실적인 측면을 고려 하기 위해 자문회의와 연구진 회의를 통해 구체화하고, 경기광역 푸드뱅크 담당자 FGI를 통해 개발함. 또한 시・군의 지역별 편차 혹은 푸드뱅크 및 마켓의 성과에 영향 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고, 평가지표별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 과학적인 통계방법을 활용함.

Ⅴ. 결 론 65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행정영역은 FMS, 문서, 운영계획, 운영절차 평가부문과 평가 항목 그리고 10개의 평가지표로 구성함. - 관리영역은 인력(인적자원관리), 재무(운영예산), 시설 및 장비, 운영(기부자(처), 지역사회 연계활동, 기부물품 배분의 공정성, 이용대상자(처) 관리, 특화 사업 및 프로그램) 평가부문과 평가 항목 그리고 15개의 평가지표로 구성함. - 실적영역은 접수(자체 기부식품 접수 환가액, 자체 기부식품 접수 건수, 기부자(처)), 배분(배분 환가액, 배분 건수)의 평가 부문과 평가항목 그리고 15개의 평가지표로 구성함. 한편 평가지표의 목표는 완전성에 있으나 제한된 합리성과 환경적 요건 등에 의하여 완전 합리성에 기반한 내용적 정당성을 확보하 기 어려움. 따라서 구축된 이후 매년 푸드뱅크 및 마켓의 환경적 속성, 평가 목적 등을 종합 고려하여 변경 및 개선되어야 함. 마지막으로 본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실제 평가를 시행할 경우 유 념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음.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평가지표는 모니터링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개발하였으나 추후 예비 평가를 통해 푸드뱅크 및 마켓 적용 가능성(평가내용, 증빙자료 등)을 구체적으로 살 펴볼 필요가 있음. - 평가는 일반적으로 준비단계(평가단 구성 및 운영, 평가지표 설명회), 실행단계(서면평가, 실사평가), 평가결과 처리 및 활

66 경기도 푸드뱅크 및 마켓 평가지표 개발 용단계(평가결과 보고, 평가결과에 따른 컨설팅 등 지원)의 순 으로 진행됨. 이 전 과정을 전문적・객관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서는 인력과 기간 확보와 같은 사항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시 행계획 수립이 우선되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