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보고 2015-14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연구책임 | 공동연구 | 성은미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민소영 경기대학교 교수 박경숙 경기대학교 교수 안혜영 고려대학교 근거중심의학연구소 백민희 경기복지재단 전문연구원 황상미 경기복지재단 연구원

경기복지재단 정책연구보고 2015-14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발행일 2015년 12월 발행인 박춘배 발행처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 10267 Tel. 1577-4312 Fax. 031-898-5937 Homepage. www.ggwf.or.kr

발 간 사 2013년 이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가 추진된 이후 2015년은 읍면동 통합사례관리, 동 사회보장협의체 설치 등이 구체화되는 이른바 복지동 사업에 있어 전환기였다. 그러나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을 일선현장에서 운영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혼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선, 다양한 정보가 부족하고, 다른 지자체의 여건과 선택을 알지 못한 상황에서 조직변화나 인력 재배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둘째, 중앙 차원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이 큰 방향만을 제시하는 것이기에 실제 지역에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셋째, 무엇보다 과거와 달리 단일 모형을 지역에 실시하는 방식이 아니라 지역여건에 따른 맞춤형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이 추진되는 상황에서 지자체의 정책적 판단은 더욱 어렵고 조심스러울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보고서는 읍면동 복지기능의 의미와 개편의 방향, 그리고 정책결정의 순간 고려 해야할 점들을 정리하고 있다. 31개 시군 내 읍면동의 복지수요자와 공급자를 고려해 적합한 모형을 제시하였고, 제시된 모형이 지역사회 내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정책선택의 설계도를 제시하였다. 비록, 경기도내 지역에 제한되어 있지만 향후 여러 지자체들이 스스로 맞춤형 모형을 설계하는데 있어 안내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광역인 경기도 차원에서는 무한돌봄센터의 전문 인력을 활용해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 사업을 지원하고, 경기도 NEXT방문서비스 T/F를 구성해 보다 체계적인 경기도형 방문 서비스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항상 공공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의 핵심은 인력확충이라 이야기되어왔다. 그러나 예산이 제한되어 있어 현장에서 기대하는 만큼의 인력확충은 쉽지 않은 일이다. 때문에 제한된 예산여건에도 불구하고 통합적인 전문 복지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는 여전히 남아있는 숙제라 할 수 있다. 향후에도 우리 재단은 복지전달체계 개편 관련한 사업이 단순히 연구로만 끝나는 것이 아닌 도내 31개 시군의 맞춤형 전달체계 개편 모형 설계와 안착화에 도움이 되는 ‘복지 발전소’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다. 2015년 12월 경기복지재단 대표이사 박 춘 배 발간사

요 약 i □ 연구목적 ○ 중앙정부 차원에서 2013년부터 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을 제시하고 있음. 동별로 방문서비스, 종합상담, 동 사회보장협의체, 통합사례관리가 결합된 동 복지 기능강화 사업을 중앙정부차원에서 2015년~2017년 사이에 추진 중에 있음. ○ 그러나 지역특성에 반영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상황임. 도농복합지역과 농촌 지역, 도시지역 등 관련된 지역특징이 존재하며, 지역사회 내 인력구성 등이 다양한 상황임. 또한 복지팀장 배치여부나 방문간호사와의 업무협조 여부 역시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상황 ○ 이에 지역맞춤형으로 경기도의 전달체계 개편을 추진하기 위한 설계도가 필요 □ 연구방법 ○ 문헌연구 : 전달체계에 대한 검토 ○ 기초행정 통계자료 분석 : 31개 시군 내 읍면동 현황에 대한 조사자료 ○ 설문조사 : 서비스 공급자 중심(부천, 의왕, 양주, 성남) ○ 실무자 FGI : 부천, 의왕, 양주, 성남, 용인 □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설계도 ○ 개편의 원칙 - 통합성, 전문성, 접근성, 효율성 ○ 설계도 - 환경적 요건 : 면적, 동인구, 복지대상자 등을 고려해 개별동, 중심동, 일반동 수를 확인. 제시된 구분이 적합한지 판단하는 것이 필요 - 투입 : 제시된 개편모형에 적합한 인력배치 가능성 검토(복지팀장, 통합사례관리 관련 인력 2인 배치 등), 종합상담을 위한 인력배치 가능성 검토 요 약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ii - 환경과 투입을 고려해 모형을 확정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의 핵심사업인 종합상담, 방문서비스, 통합사례관리, 민관 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그림 1> 경기도 동 복지기능강화 사업 설계도 □ 경기도 차원의 대응 ○ 첫째, 무한돌봄센터 인력 활용 - 민간사례관리사들의 전문성이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와 밀접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센터 인력을 활용 - 채용방식 : 민간경력직 공무원 채용, 무기계약직 채용, 네트워크팀 소속 - 통합사례관리 결합 : 통합사례관리 서비스 구매계약, 읍면동 자체사례관리 수행 ○ 둘째, NEXT 방문서비스 T/F 구성

요 약 iii - 동 복지기능강화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 사실상 방문서비스임. 그러나 가장 체계적 으로 추진되지 않는 업무 역시 방문서비스임. - 방문서비스는 운영인력, 서비스연계인력, 대상자에 대한 지속적 관리 인력이 명확하지 않음. - 또한 방문서비스가 지역 내 대상자 방문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체계라는 점이 지역 내에서 간과되고 있음. - 무엇보다 사각지대 발굴이 간과되고 있는 문제가 있음. - 이에 경기도 차원에서 동에 NEXT 방문서비스 T/F를 구성하도록 독려하고, 방문 서비스에 대한 지원 ○ 셋째, NEXT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지원단 구성 - 시군에서 추진되는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내용을 도 차원에서 모니터링하고 행정적 이거나 전문적인 지원이 필요한 경우 지원할 수 있는 지원단 구성 - 구성 : 경기도-경기복지재단-희망복지지원단 중앙지원센터 - 주요내용 ・ 경기도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 모니터링 및 행정적 지원(예산 등) ・ 경기복지재단 : 경기도와 함께 시군 사업 모니터링, 모델개발(매뉴얼 개발 및 보급), 희망복지지원단과 협업해 교육 및 컨설팅

목 차 v Ⅰ 서론 / 1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 3 2. 연구방법 ······································································································ 8 Ⅱ 전달체계 개편의 현황과 한계 / 13 1. 전달체계 개편 시범사업 현황 ··································································· 15 2. 최근 전달체계 개편 동향 ········································································· 24 3. 전달체계 개편의 함의 ·············································································· 36 Ⅲ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 설계도 / 39 1. 경기도 복지전달체계의 특징과 쟁점 ························································ 41 2. 경기도 복지기능강화 모형의 목적과 가치 ·············································· 47 3.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 설계도 ·············································· 52 Ⅳ 사례 분석 : 경기도내 5개 지역 / 59 1. 기초행정자료 분석 ····················································································· 61 2. 서비스공급자 인식 및 만족도 조사 ························································· 86 3. 지역별 모형 ······························································································ 117 Ⅴ 나가며 / 155 참고문헌 / 163 부록 / 165 목차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vi 표 차례 <표 Ⅰ-1> 실무자 FGI 참석자 ······················································································· 11 <표 Ⅱ-1> 동 주민센터복지허브화 주요 내용 ································································ 25 <표 Ⅱ-2> 연도별 복지공무원 확충계획(’15 ~’17년 4,823명) ········································ 26 <표 Ⅱ-3> 개별동모형과 중심동모형 비교 ···································································· 29 <표 Ⅱ-4>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책임읍면동제 비교 ······················································ 33 <표 Ⅲ-1> 전달체계개편 원칙별 모형설계의 전제 ························································· 53 <표 Ⅳ-1> 5개 지역 일반적 사항 ·················································································· 61 <표 Ⅳ-2> 인구 수 ······································································································· 71 <표 Ⅳ-3> 등록장애인,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우선돌봄차상위 수급자 ····························· 73 <표 Ⅳ-4> 인구밀도 현황 ····························································································· 75 <표 Ⅳ-5> 인구밀도 ‘높음’ 지역의 서비스 공급자 및 수요자 현황(평균) ························ 76 <표 Ⅳ-6> 인구밀도 ‘약간 높음’ 지역의 서비스 공급자 및 수요자 현황(평균) ················ 77 <표 Ⅳ-7> 인구밀도 ‘평균’ 지역의 서비스 공급자 및 수요자 현황(평균) ························ 79 <표 Ⅳ-8> 인구밀도 ‘약간 낮음’ 지역의 서비스 공급자 및 수요자 현황(평균) ··············· 80 <표 Ⅳ-9> 인구밀도 ‘낮음’ 지역의 서비스 공급자 및 수요자 현황(평균) ························ 81 <표 Ⅳ-10> 각 시군별 읍면동 군집분포 ······································································· 82 <표 Ⅳ-11> 읍면동 전체 공무원 정ㆍ현원 ····································································· 83 <표 Ⅳ-12> 시군별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 배치 현황 ··············································· 85 <표 Ⅳ-13> 설문조사 응답률 ························································································ 87 <표 Ⅳ-14> 신뢰도 검증 ······························································································ 87 <표 Ⅳ-15> 응답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 89 <표 Ⅳ-16> 시별 직무만족도 ························································································ 90 <표 Ⅳ-17> 근무지별 직무만족도 ·················································································· 92 <표 Ⅳ-18> 시군별 업무내용별 만족도 ········································································· 95 <표 Ⅳ-19> 근무지별 업무내용별 만족도 ······································································ 97 <표 Ⅳ-20> 의왕시 전달체계 각 모형별 원칙에 따른 선호 ··········································· 121 <표 Ⅳ-21> 의왕시 전달체계 각 모형별 추가필요인력 ················································· 122 <표 Ⅳ-22> 성남시 중원구의 인력배치(안) ·································································· 131 <표 Ⅳ-23> 양주시 전달체계 모형별 업무 ··································································· 135

목 차 vii <표 Ⅳ-24> 용인시 전달체계 동일 모형과 구별 특성유지 모형 비교 ···························· 140 <표 Ⅳ-25>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1 : 전체 개별동 모형 필요인력 ······························ 142 <표 Ⅳ-26>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2 : 전체 중심동 모형 필요인력 ······························ 144 <표 Ⅳ-27> 구 모형과 중심동 모형 비교 ···································································· 146 <표 Ⅳ-28>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3 : 구 중심+ 개별동 모형 필요인력 ······················· 147 <표 Ⅳ-29>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4 : 구 중심+ 개별동 모형 필요인력 ······················· 150 <표 Ⅳ-30>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5 : 개별동 및 중심동 혼합 모형 필요인력 ············· 152 <표 Ⅳ-31> 용인시 전달체계 각 모형별 장단점 비교 분석 ··········································· 153 <표 Ⅳ-32> 용인시 전달체계 각 모형별 원칙에 따른 선호 ·········································· 153 <표 Ⅳ-33> 용인시 전달체계 각 모형별 추가필요인력 ················································· 154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viii 그림 차례 <그림 Ⅱ-1>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동 복지팀 역할 ························································ 26 <그림 Ⅱ-2> 중심동과 개별동의 모형도 ········································································ 27 <그림 Ⅱ-3> 광역동 모형의 구조 ················································································· 29 <그림 Ⅱ-4> 중심동 모형의 구조 ················································································· 30 <그림 Ⅱ-5> 대동 조직도 ····························································································· 31 <그림 Ⅱ-6> 대동 조직편성 모형(4개과 모형) ······························································ 32 <그림 Ⅲ-1> 무한돌봄센터 조직 ··················································································· 45 <그림 Ⅲ-2> 모형별 효율성과 통합성의 관계 ······························································· 54 <그림 Ⅲ-3>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 설계도 ················································· 55 <그림 Ⅳ-1> 사례분석 대상 지역 분포현황 ··································································· 63 <그림 Ⅳ-2> 의왕시 읍면동 현황 ················································································· 65 <그림 Ⅳ-3> 부천시 읍면동 현황 ················································································· 66 <그림 Ⅳ-4> 부천시 동 복지동 모형 ············································································ 67 <그림 Ⅳ-5> 성남시 읍면동 현황 ················································································· 68 <그림 Ⅳ-6> 중원구 복지지원과 조직도 ······································································· 69 <그림 Ⅳ-7> 양주시 읍면동 현황 ················································································· 69 <그림 Ⅳ-8> 용인시 읍면동 현황 ················································································· 70 <그림 Ⅳ-9> 의왕시 군집분석 결과 ············································································· 118 <그림 Ⅳ-10> 의왕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의 기본방향 설계 ································ 118 <그림 Ⅳ-11> 의왕시 2개 모형 ···················································································· 119 <그림 Ⅳ-12> 부천시 군집분석 결과 ··········································································· 123 <그림 Ⅳ-13> 부천시 책임동제 조직도 ········································································ 126 <그림 Ⅳ-14> 성남시 군집분석 결과 ··········································································· 126 <그림 Ⅳ-15> 성남시 복지지원과 조직체계 변화 모형 ················································· 128 <그림 Ⅳ-16> 양주시 군집분석 결과 ··········································································· 132 <그림 Ⅳ-17> 양주시 전달체계 모형(안) ······································································ 134 <그림 Ⅳ-18> 용인시 읍면동 군집분석 결과 ································································ 139 <그림 Ⅳ-19> 용인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의 기본방향 설계 ······························· 139 <그림 Ⅳ-20>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1 : 전체 개별동 모형 ·········································· 141

목 차 ix <그림 Ⅳ-21>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2 : 6개 중심동 모형 ··········································· 143 <그림 Ⅳ-22>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3 : 수지구(구중심) + 개별동모형 ························ 145 <그림 Ⅳ-23>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4 : 수지구(구중심) + 중심동모형 ························ 148 <그림 Ⅳ-24>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5 : 개별동 및 중심동 혼합 모형 ························· 150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2. 연구 방법

Ⅰ 서 론 3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연구배경 □ 공공복지조직의 종적, 횡적연계체계 미흡 ○ 시군구와 읍면동(종적) 조직 간의 연계가 이뤄지지 않음 - 현 주민생활지원국 체계는 대민 복지서비스가 시군구, 읍면동으로 나눠져 있음. 시군구에서는 사례관리, 통합조사, 급여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읍면동은 초기 상담과 각종 서비스 신청, 사후관리 업무를 수행 - 시군구와 읍면동이 효율적으로 연계되지 않을 경우 정보의 단절, 대상자 누락문제 발생할 수 있음. 즉 종적연계가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음에 따라 대상자에 대한 정보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복지사각지대 문제 발생 ○ 각 부서별(횡적) 조직연계의 어려움 - 각 부처별로 업무가 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간의 정보공유가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못해 수요자의 통합적 욕구파악 어려움. - 또한 욕구가 파악되었다고 하더라도 부서 간 연결을 통해 통합적 서비스 제공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음. 때문에 대상자 입장에서는 보건과 복지, 일자리 등의 다양한 분야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 발생 ○ 전문적 서비스 제공의 어려움 - 읍면동의 인적, 조직적 역량이 낮아서 필요한 대민복지서비스 업무를 수행하기 어려움. ⨠⨠Ⅰ 서 론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4 - 대상자에 밀착된 대부분의 복지업무가 읍면동에서 수행되도록 되어 있음. 그러나 동에는 적합한 인력이 배치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복지업무가 과소평가되면서 업무수행에 한계가 있음. □ 이에 복지사각지대 발생과 단편적 서비스 제공의 문제 발생 ○ 대상자 누락 발생 등 느슨한 사회적 안전망 - 업무의 분업화에 따라 대상자는 읍면동 초기상담과정, 통합조사과정, 급여자격 관리, 사후관리 모든 과정에서 누락될 가능성이 있음. - 자원 활용이 제한되어 있어 수요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음. ○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있는 대상자에게 통합적 서비스 제공 어려움. - 복지, 주거, 고용 등 현재 시군구와 읍면동 행정라인에 존재하지 않는 서비스를 연계하기 어려워 통합적 서비스 제공되지 않는 상황 - 동일한 공공조직 내에 있더라도 부서가 다르다보니 대상자에게 통합적 서비스 제공이 이뤄지지 않고 있음. □ 새로운 복지환경의 변화에 대한 전달체계 변화 필요 ○ 복지서비스의 양적인 확대 - 25년 간 공공부조와 사회서비스 재정이 119배 증대하였음. 기초연금과 아동관련 예산, 의료와 관련된 예산이 증대되면서 복지서비스에 대한 양적 확대가 이뤄져왔음. ○ 복지대상자의 확대 - 과거 공공부조 중심의 저소득층 대상의 복지서비스를 주를 이뤄왔으나 현재는 그 대상자가 노인과 아동 등 보편적 대상자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임. ○ 복지서비스 종류의 다양화, 주민들의 복지욕구 다양화 속에서 기존 저소득층- 공공부조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필요성 증대 □ 이에 중앙정부차원에서 2013년 이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가 본격화되고 있으나 획일적임.

Ⅰ 서 론 5 ○ 중앙정부 차원에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 제시 - 현재 추진 중이 전달체계 개편은 시군구와 읍면동으로 나눠져 있던 대민서비스 업무의 상당수를 다시 읍면동으로 통합하는 변화임. - 동별로 방문서비스, 종합상담, 동 사회보장협의체, 통합사례관리가 결합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을 중앙정부차원에서 2015년~2017년 사이에 추진 중에 있음. - 또한 통합사례관리는 중심동과 일반동, 개별동으로 모형을 다양화해서 업무 추진 중 ○ 그러나 지역특성 반영에는 한계가 있음 - 과거와 달리 시군구 단위 전달체계 개편 모형 적용이 아니라 읍면동 단위의 적용이기 때문에 조직변화와 조직변화에 따른 서비스의 내용변화가 복잡하고 다양한 것이 사실임. 그러나 이런 특징을 지역사회 내에서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가 명확하지 않음. - 또한 지역사회 내 인력구성 등이 다양하며 복지팀장 배치여부나 방문간호사와의 업무협조 여부 역시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상황 - 이에 지자체 차원에서 지역에 맞는 모형을 개발하고 실현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여의치 않은 문제가 있음. □ 이에 중앙정부와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의 기본방향을 유지하면서 이미 경기도 무한돌봄센터 등 자체적인 전달체계 개편 실험을 추진하고 있는 경기도 차원의 해법마련이 필요 ○ 중앙정부의 전달체계 개편의 기본적 취지 유지 - 종적, 횡적연계 강화를 통해 대상자에게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 있어 중앙정부 전달체계와 그 맥을 같이하는 개편이 경기도 차원에서도 필요함. - 특히, 전달체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한다는 점에서도 그 방향성을 공유하는 것은 중요한 일임. ○ 동시에 경기도만의 특성 반영이 필요 - 경기도는 현재 경기도 차원의 무한돌봄센터를 운영하고 있음. 무한돌봄센터는 위기가구에 대한 통합사례관리에 집중되어 있는 체계로서 민관협력-거점 중심의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6 모형임. - 민관협력체계를 구축했던 문제의식의 핵심은 바로 전문성과 통합성 때문임. ・ 전문성 : 공공인력이 제공할 수 있는 사례관리의 역량이 아직 제한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며, 공공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대부분의 현금중심의 서비스임. 때문에 민간서비스 제공과정의 노하우를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 때문임. ・ 통합성 : 공공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민간서비스를 연계할 수 있는 기능적 통합체계(네트워크체계)를 구축해서 운영 - 거점을 중심으로 무한돌봄센터를 설계하고 운영한 이유는 바로 접근성 때문임. ・ 예를 들어, 서울의 경우 지역별로 복지대상자 특징은 다를 수 있지만, 대도시로서 인구밀도가 높고, 복지서비스 대상자수 자체가 많다는 공통점이 있음. 때문에 단일모형을 설계하고 운영하기에 적함. ・ 그러나 경기도나 그 외의 광역시도는 단일모형 적용이 어렵고, 경기도는 특히나 접근성 측면에서 단일모형 적용이 어려움. 접근성과 효율성 사이에서 늘 모형 설계에 기준을 설정해야 하는 상황임. - 무한돌봄센터를 설계해 운영해왔던 중요한 문제의식 즉 전문성, 통합성, 접근성이 경기도 차원에서 유지 및 확대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 특히 현재의 무한돌봄센터가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과정에서 순기능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한 상황 2.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성, 전문성, 접근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경기도 차원의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임. □ 과거와 달리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은 모형 제시가 아니라 지자체가 직접적으로 업무를 추진할 수 있는 구체적안 가이드 제공이 필요한 상황 ○ 과거 전달체계 개편의 중요한 특징은 단일 모형 제시 - 보건복지사무소, 사회복지사무소는 단일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도시지역, 농촌 지역 혹은 인구규모에 따라 선택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모형이었음. 때문에 지자체 차원에서 정책적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 크지 않았음.

Ⅰ 서 론 7 - 이렇게 단일모형을 적용하는 것은 시군구 차원에서 가능한 일임. 즉 시군구 차원 에서 전달체계 개편을 추진할 경우에는 단일 모형 적용이 가능함. ○ 읍면동 차원의 개편에 단일 모형 제시는 한계가 있음. - 그러나 현재 추진 중이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은 시군구가 아니라 읍면동 단위에서 추진되는 사업임. 때문에 단일한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일괄적으로 추진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 상황 현재 추진 과거와 같이 단일한 모형 혹은 2~3개의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일률적으로 지역에 설계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임. ○ 때문에 경기도가 적용할 수 있는 단일한 모형을 제시하기 보다는 지역에서 지역에 맞는 모형을 설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 □ 이에 경기도 전체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고, 실제 적용방식을 보여주기 위해 5개 지역에 대한 실제 적용사례를 제시 ○ 경기도 31개 지역이 아니라 5개 지역에 집중하는 이유는 지역에 대한 집중 적인 분석과 이에 기초한 지역맞춤 모형제시를 위해서임. ○ 특히, 시군차원이 아니라 이번 전달체계 개편 핵심이 읍면동단위라는 점에서 몇 개 지역에 집중해 연구를 추진함. - 이를 위해 도시유형을 도농복합지역, 도시지역으로 구분함. 현재 전달체계 개편이 주로 읍동 중심이라 면지역보다는 읍과 동이 많은 도농복합지역과 도시지역을 선정함. - 또한 지역규모를 고려함. 동일한 도시지역이라 하더라도 인구가 적은 과천, 의왕과 인구가 많은 수원, 성남은 지역특징이 상이하기 때문임. - 이에 경기도 31개 시군 중에서 5개 지역을 선정함. ・ 규모가 큰 도시 : 부천과 성남. 두 지역 모두 일반구가 있는 지역임. 부천의 경우 2014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과정에서 구의 역할이 제한되어 있는 지역임. 반면, 성남은 아직 구를 중심으로 업무를 추진하는 대표적인 지역임. 이에 성남시도 구 별로 특징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빈곤층이 밀집되어 있는 중원구만을 대상 으로 구와 동간의 모형설계에 집중하도록 함. ・ 소규모 도시 : 의왕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8 ・ 규모가 큰 도농복합지역 : 용인 ・ 소규모 도농복합지역 : 양주 2 연구방법 1. 문헌연구 □ 문헌연구 ○ 복지전달체계와 관련된 문헌을 통해 과거 전달체계 개편 특징 분석 ○ 사회복지사무소, 보건복지사무소의 특징을 개괄함으로서 현재 추진 중인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특징 분석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에 대한 최근 복지부의 변화 흐름을 분석 ○ 경기도 전달체계 특징 분석과 읍면동별 특징 분석 - 선행연구를 통해 이미 분석된 자료를 기초해 읍면동별 특징 제시 ○ 이를 통해 지역에서 활용 가능한 전달체계 개편의 원칙과 가이드 제공 2. 지역사례 분석 1) 기초행정자료 분석 □ 필요성 ○ 5개 지역의 객관적인 현황파악을 위해서는 행정자료 분석이 필요 - 해당 지역의 인구수나 복지수요, 서비스 공급자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객관적인 지역현황 파악의 기초자료라 할 수 있음. - 특히, 도시지역이라 하더라도 해당 동의 특징이 상이하다는 점에서 행정자료 분석이 필요함.

Ⅰ 서 론 9 □ 자료 ○ 성은미 외(2015) 연구과정에서 수거된 원자료 활용 ○ 자료의 특징 - 조사대상 : 경기도 31개 시군 내 읍면동 - 조사내용 ・ 서비스 공급자 : 동별 인력배치현황(민원, 복지업무담당자, 사회복지직) ・ 서비스 이용자 : 보편적 급여(기초노령연금, 보육료지원), 저소득층(기초생활보장, 우선돌봄차상위 등의 사업) ・ 기타 행정자료 : 동별 면적, 인구수(접근성 고려) - 조사기간 : 2015.5.28~8.25 ○ 분석방법 - SPSS자료를 활용해 분석함. 5개 지역과 31개 시군을 비교함으로서 각 지역별 특징 파악을 위해 활용함. 2) 설문조사 □ 목적 ○ 행정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제한되어 있어서 서비스공급자와 대상자의 인식조사 진행 ○ 서비스 공급자들의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에 대한 인식과 문제점,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함. □ 대상 ○ 4개 지역 추진 - 성남, 부천, 의왕, 양주 - 용인시의 경우 2015~2017년까지 추진되는 읍면동 조직 및 인력변화에 따른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관련 된 변화가 없는 상황. 이에 별도의 조사를 진행하는 것이 본 연구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아 4개 지역에 집중해 조사 ○ 조사대상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0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등 전달체계와 관련된 시 담당자 : 무한돌봄센터, 전달체계 업무를 담당하는 주무팀의 직원 - 읍면동 사무소 : 복지직뿐만 아니라 복지업무를 담당하는 전체 직원 대상 조사 ○ 모집단 : 전체 4개 지역 386명 대상으로 조사 - 전수조사를 목표로 하며, 해당 지역에서 조사대상명단을 받아 조사 수행 - 총 386명을 대상으로 조사 진행 □ 조사내용 ○ 직무에 대한 만족도 조사 - 읍면동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서비스 공급자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 소진 등을 파악하기 위해 추진 - 이현주 외(2014) 보고서의 설문조사내용을 활용. 이현주 외(2014)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서비스 공급자들의 직무에 대한 인식파악을 위한 설문지를 개발함. 다만, 이현주 외(2014)의 경우 5점 척도로 조사했으나 본 연구에서는 10점 척도로 조사를 진행 ・ 조사의 성격상 서비스 공급자들이 실제 만족도보다 높은 점수를 주는 경향이 있음. 5점 척도를 조사를 진행했을 때, 만족도가 4점 이상 나타나 실제 항목별로, 서비스 공급자별로 인식의 파악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음. ○ 통합성, 전문성, 접근성을 중심으로 인식조사 추진 - 선행연구 등을 통해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의 핵심개념으로 통합성과 접근성을 제시함. - 또한 복지서비스 특히, 통합사례관리업무의 경우 일부 전문성을 포함하고 있는 특징이 있음. 이에 통합성, 전문성, 접근성을 기초로 해당 지역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 사업에 대한 인식조사 □ 조사 시기 : 2015.11월~12월 □ 분석방법 ○ SPSS자료를 활용해 분석하며, 전수조사를 목표로 하고 응답률이 90%이상 이라는 점에서 주로 빈도와 교차분석을 통해 평균값의 차이를 제시

Ⅰ 서 론 11 담당업무 의왕 부천 성남 양주 용인 동 복지업무(복지팀장 및 복지담당공무원) 의왕-E 부천-A 성남-E 양주-B 용인-A 의왕-F 부천-B 성남-F 양주-C 용인-B 의왕-G 부천-C 성남-G 양주-D 용인-C 의왕-H 부천-D 성남-H 양주-E 용인-D 의왕-I 부천-E 성남-I 양주-F 용인-E 의왕-J 성남-A 양주-G 용인-F 의왕-K 성남-B 양주-H 용인-G 시 전달체계 담당업무 부천-F 의왕-A 성남-C 양주-A 용인-가 부천-G 의왕-B 성남-D 양주-가 용인-나 의왕-C 용인-다 의왕-D 용인-라 ○ 평균값의 유의미한 차이 확인을 위해 아노바 분석을 함께 수행 3) 실무자 FGI □ 조사목적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에 대한 실무자의 인식을 파악하고, 지역특징 파악을 위해 진행 □ 조사대상 ○ 5개 지역 실무자 중심으로 추진 ○ 총 2회 추진 - 1차 FGI : 통합사례관리업무 담당자 대상으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에 대한 우려 점 검토 - 2차 FGI : 복지팀장 및 동 업무 수행 대상으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에 대한 의견 조사 ○ 성남의 경우 중원구청과 동으로 구분해서 2차례 진행함. <표 Ⅰ-1> 실무자 FGI 참석자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2 담당업무 의왕 부천 성남 양주 용인 사례관리업무담당(민간사례관 리사, 통합사례관리사) 의왕-L 부천-가 양주-나 용인-마 의왕-M 부천-나 양주-다 의왕-N 부천-다 양주-라 의왕-O 부천-라 양주-마 부천-마 양주-바 □ 조사내용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의 현황에 대한 인식 - 방문서비스 - 종합상담 - 통합사례관리 ○ 사업의 성과 한계 ○ 사업수행의 애로사항 ○ 지역에 맞는 전달체계 모형에 대한 의견 □ 분석 ○ 반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해 인터뷰내용을 반복적으로 읽고 주요어 중심으로 의미 분석

Ⅱ 전달체계 개편의 현황과 한계 1. 전달체계 개편 시범사업 현황 2. 최근 전달체계 개편 동향 3. 전달체계 개편의 함의

Ⅱ 전 달 체 계 개 편 의 현 황 과 한 계 15 1 전달체계 개편 시범사업 현황 1. 개요 □ 공공복지전달체계는 1987년 사회복지전문요원을 읍면동사무소에 배치 하는 것부터 시작해 근 30년간 다양한 개편을 시도 ○ 공공복지전달체계의 그 동안의 변화과정 - 그간의 개편은 25년 간 119배 증가한 공공부조와 사회서비스 재정을 63배 증가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일선 일반행정 기관에서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점진적인 조직개편으로 해결하고자 한 시도였음.1) - 과거 25년간 사회복지예산의 증가에서 현금 급여는 공공복지기관에서 제공하고, 현금급여 외 사회서비스는 대부분 민간복지기관에서 제공하도록 하는 복지 서비스제공주체의 역할분담이 복지전달체계의 큰 틀로 자리매김하고 있었음. - 이로 인하여 지역사회에서는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민간복지기관들이 분산 되어 있어 주민이 필요한 서비스를 찾아가기 어려운 상황이 해결되지 않고 있었음. ○ 이렇게 분산되어 있는 다양한 사회복지급여와 서비스 전달에서 나타나는 서비스제공의 분절성, 단편성, 중복성, 비접근성 등의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 증대 - 국민의 복지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다양하게 분산되어 있는 사회 복지관련 서비스들을 지역주민에 맞게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복지 1) 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예산은 1990년 5,060억에서 2014년 603,551억으로 119배 증가하였으며, 사회복 지직 공무원은 1990년 228명에서 2014년 14,344명으로 63배 증가하였음(복지부, 1990; 복지부, 2014). ⨠⨠Ⅱ 전달체계 개편의 현황과 한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6 허브기관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으며, 이에 대한 공공복지행정기관의 역할이 요청되고 있었음. ○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위기가구 사례관리 중심의 개편이 진행되어 왔음. - 그동안의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은 일부 시범사업을 제외하고는 일반행정 기관 에서 전문적인 복지행정을 함께 제공하는 틀을 유지하면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인력을 점진적으로 충원하고 위기가구에 대한 사례관리체계를 만들어 사회복지 업무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음. - 그러나 국가예산의 제약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급격한 충원을 할 수 없어 서비스 연계, 위기가구에 대한 사례관리를 분리시켜 전문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됨. - 이에 사례관리 주체가 읍면동, 시군구 간에 자주 바뀌면서 읍면동과 시군구 간의 역할분담 모호, 서비스대상자 의뢰체계의 원활하지 못한 작동, 민관협력체계의 불안정 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있음. ○ 따라서 현 박근혜 정부가 들어설 때 까지도 맞춤형 통합적 서비스를 전달 하는 공공복지전달체계 구축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었음. - 아래에서는 맞춤형 통합적 서비스를 전달하려고 했던 과거의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시도의 내용과 성과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 공공복지전달체계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함. 2. 과거 전달체계 개편의 주요내용 1)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읍면동사무소 배치 □ 1980년대부터 사회복지전문요원 배치 ○ 1980년대 후반부터 사회복지급여와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사회복지업무의 전문성을 강화할 필요가 생기자 1987년부터 사회복지전문요원을 대도시 중심 으로 읍면동사무소에 배치하기 시작하였음(박경숙ㆍ강혜규, 1992). 당시 사회 복지전문요원은 통합적 서비스 제공자였음.

Ⅱ 전 달 체 계 개 편 의 현 황 과 한 계 17 □ 성과와 한계 ○ 일반행정 기관인 읍면동사무소에서 1명이 모든 사회복지업무를 담당하는 환경 에서 증가하는 사회복지업무를 소화해내기가 어려웠으며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사례관리업무는 자산조사와 자격심사에 점차 집중되게 되었음. 2) 보건복지사무소 시범사업(1995.7~1999.12) □ 보건복지사무소 시범사업 1995년부터 실시 ○ 일반행정 기관에 사회복지전담요원을 두는 것으로는 사회복지업무의 전문성을 발휘하기 어려운 한계가 나타남. - 이에 사회복지업무를 전문적으로 하는 독립된 기관을 만들어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보건복지사무소 시범사업이 1995년 7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약 4년간 진행되었음. □ 보건복지사무소 시범사업의 주요 목적 ○ 읍면동사무소에 있던 사회복지전문요원을 보건소에 보내 복지업무의 전문성을 향상 - 보건과 복지의 조직통합을 통하여 주민에게 통합적 보건ㆍ복지서비스를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었음. ○ 이 시범사업은 도시규모가 다른 5개 지역에서 시행되었음. - 보건소 조직 내 복지사업과(계)를 설치하고, 복지사업과내에 방문간호팀을 만들어 보건과 복지서비스의 연계를 꾀하는 방식이었음. - 보건복지사무소 시범사업은 사회복지전문요원을 한 장소에 모아 놓으면서 현금 급여 외 현재 사례관리라고 지칭되는 상담과 조치 같은 대인서비스를 증가시키는 것임. □ 성과와 한계 ○ 성과 - 수급자 자격관리를 보건복지사무소로 집중화하여 공공부조 자격선정에 있어 지역격차를 줄이고 형평성을 증가시켰다는 성과가 있었음.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8 - 또한 일반행정 업무 부담이 대폭 감소됨에 따라 사회복지업무에 대한 집중도가 증가하고 각 읍면동별로 중복 수행되던 행정업무감소로 효율성이 증가한 성과도 보였음(강혜규, 1998). ○ 한계 - 통합성 : 방문간호팀이 복지사업과내에 설치된 지역은 한 지역뿐이었고, 보건과 복지서비스 연계가 원활하게 되지 못하고 보건과 복지직간의 갈등 발생 - 전문성 ・ 보건복지사무소 시범사업에 따른 복지전문 인력의 충원이 따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회복지전문요원은 수급자자격관리업무 위주로 하게 됨. ・ 이에 지역사회서비스 연계를 포함한 사례관리가 계획처럼 진행되지 못하였음. ・ 또한 보건복지사무소를 만들면서도 중간관리자인 복지사업과의 과(계)장은 순환 보직을 하는 일반 행정직을 둠으로써 전문적인 지도와 감독도 어려웠음(강혜규, 1998). - 효율성 : 행정전산망이 발전 초기에 있어 사회복지전문요원에게 접근이 제한되어 읍면동에서 독립된 상태에서 수급자 관리가 어려운 문제 발생 - 접근성 : 읍면동에서 보건복지사무소로 사회복지업무의 이관은 주민의 물리적 접근성을 감소시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음. 3)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2004.7~2006.6) □ 읍면동 전문요원의 업무과다 등 문제 발생 ○ 보건복지시범사업이 끝난 후 원점으로 돌아간 공공복지전달체계 - 전달체계 개편은 읍면동사무소에서 사회복지전문요원이 제공하는 원점으로 돌아 갔으며 증가하는 사회복지수요에 대한 대응은 사회복지전문요원을 점차적으로 늘리는 것이었음. - 사회복지전문요원이 2002년까지 7,200명으로 증원되었지만 아동, 장애인, 노인 등에 대한 사회서비스가 증가함. - 이에 대부분의 읍면동사무소에 1인 정도 있는 사회복지전문요원들은 생활보호 대상자를 비롯하여 보호가 필요한 노인, 장애인, 아동 등 취약가구까지 1인당 약 467가구를 담당하고 있어서 인력부족으로 인한 업무과다는 지속적인 문제가 되고

Ⅱ 전 달 체 계 개 편 의 현 황 과 한 계 19 있었음(복지부, 2002). ○ 이 와중에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손길이 닿지 못하는 빈곤층의 생활고, 아동학대, 고독사 등의 문제가 종종 사회적으로 큰 사건 으로 터지면서 공공복지전달체계에 대한 개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 되었음. □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 ○ 이에 정부는 사회복지업무만을 전담하는 사회복지사무소를 시군구에 설치 - 복지업무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고 공공부조제도의 현금급여 외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사회복지 사무소 시범사업을 2004년 7월에 시작하였음. - 사회복지사무소는 별도의 독립된 조직으로 시군구와 읍면동의 사회복지 인력을 가져와 사회복지업무만을 전담하는 조직을 만들어 사회복지전문성을 높이려고 함. - 서비스연계팀을 분리해서 설치하고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만들어 지역사회 다양한 복지관련 서비스들과 서비스연계를 지원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음. □ 성과와 한계 ○ 그러나 시범사업이 시작한지 2년도 되기 전에 참여정부는 중앙정부 차원 에서 새로운 전달체계 개편안을 준비하기 시작함. - 이에 따라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은 동력을 잃고 2년 만에 종결되었음. - 이 새로운 개편안은 읍면동을 다시 사회복지업무의 핵심 일선기관으로 만드는 것 으로 시군구에 별도로 독립적인 사회복지전문기관인 사회복지사무소를 만드는 시범사업의 방향과 상치되는 것이었기 때문이었음. ○ 성과 -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은 짧은 기간 동안의 시도였지만 수급자선정의 공정성이 증진되고, 업무처리기간이 단축되어 효율성도 증가하였으며, 서비스연계팀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민간복지기관들과 서비스연계가 활성화되어 통합성이 개선됨.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20 - 전문성 측면에서 상담이 좀 더 내실화되었고, 수직적 또는 수평적 지도ㆍ감독이 원활해지고, 지역특성에 맞는 사업들을 활발하게 기획하여 지역복지욕구에 대한 대응능력이 강화되는 등의 성과가 있었음(백종만 외 7인, 2006). ○ 한계 - 이와 같은 성과와 동시에 보건복지사무소가 겪었던 시범사업의 문제점이 반복 되었는데 이를 개선할 시간적 여유가 없이 시군구 주민생활지원국 행정 개편이 진행 되었음. - 사회복지사무소에서 여전히 팀장 이상 직급은 일반 행정직이 담당함으로서 전문적 지도감독의 한계가 남아있었으며, 인력 충원 없이 늘어난 복지업무량의 과다로 사례관리를 충분히 하기 에는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었음. - 주민들의 물리적 접근성 저하와 사회복지전산망 부재로 일반행정 기관에 주민들의 정보를 받기 위해 의존해야 하는 것 등이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었음. 4) 시군구 주민생활지원국 행정 개편(2006.7~2012.3) □ 주민생활지원 통합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기본 계획 ○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이 진행되는 도중에 2005년 12월에 행정자치부의 주민서비스혁신추진단이 주축이 되어 개선안을 만듦. - 이 계획은 전달체계 개편의 비전으로 “맞춤형 통합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내세움. - 핵심적인 내용은 시군구에 복지, 보건, 보육, 고용, 주거, 교육, 문화, 생활체육을 포함해서 8대 영역을 전담하는 주민생활지원국을 설치하여 통합성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복지부, 2006). - 주민과의 물리적 접근성을 고려하여 읍면동사무소를 “주민센터”로 명칭을 바꿈. - 주민생활지원팀(6급 담당)을 신설하여 읍면동의 복지서비스 기능을 강화하고 8대 서비스가 원스톱으로 제공되도록 읍면동 조직개편이 이루어졌음. - 2010년 1월부터 사회복지통합관리망(행복e음, 이하 사통망)이 운영되기 시작. 사통망은 중복수급자 발견 외에도 복지수급자 선정의 정확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수급자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임. 이를 통해 일반행정 공무원에 대한 자료의존성을 감소시킨 점에서 복지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음.

Ⅱ 전 달 체 계 개 편 의 현 황 과 한 계 21 □ 성과와 한계 ○ 그러나 2006년부터 2012년까지 6년간 시행된 주민생활지원국 체계에 대한 기본적인 평가는 매우 부정적임. ○ 특징 - 기본적으로 읍면동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2011년까지 평균 1.6명으로 충원 (안상훈, 2011). 시군구에 통합조사팀과 서비스연계팀을 두어 읍면동의 사례관리 에서 조사와 서비스연계를 분리함. 이로 인해 읍면동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 부담을 줄여주었고, 과거 일반행정 기관인 읍면동에서 소수의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이 복지업무를 보는 형태는 그대로 유지 - 이때부터 상담, 사례관리로부터 조사와 서비스연계를 분리한 것은 한 대상자에 대한 사례관리의 지속성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음. - 이 기간 동안 기초연금(2008년), 가정 양육수당(2009), 만0~2세 보육료지원(2012), 만 3~5세 누리과정 보육료 지원(2012) 등 새로운 보편적 복지를 추구하는 사회 서비스가 시행되면서 읍면동의 사회복지업무는 폭증함. 이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부담은 여전히 과다하여 8대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한다는 목표는 달성 되지 못하였음. - 특히, 일반행정 기관 내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일하는 조직 환경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중요한 문제점으로 남아있었음. - 일반행정 기관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증원되면 사회복지업무를 맡고 있던 일반 행정직을 다른 업무로 전환하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 부담이 경감 되지 않는 현상이 일선에서 계속 진행되고 있었음(강혜규, 2011). - 읍면동에 신설된 6급의 90%이상이 일반 행정직으로 배치되면서 “무보직 6급을 위한 개편”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어(강혜규, 2011), 사회복지업무에 지도ㆍ감독의 전문성의 목표도 실현되지 못하였음. 5)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 설치 운영(2012.4~2014.4) □ 통합사례관리 운영 ○ 주민생활지원국 행정개편의 한계 드러남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22 - 통합성과 전문성 향상 등의 실질적 성과를 얻지 못하여 주민들의 복지체감도가 높아지지 않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폭적인 인력증가가 어려운 한계 발생 - 이에 통합적 사례관리를 위기가구에 집중하여 사례관리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고자 2012년 4월부터 전국 시군구 단위에 지역사회자원을 발굴하고 사례 관리를 전담하는 희망복지지원단을 설치하는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을 실시 ○ 통합사례관리 인력증원 - 사례관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사회복지공무원의 인력충원이 필요하여 읍면동에 2012년 현재 평균 1.6명에서 3명으로 증원 -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에는 기존 민간계약직으로 있는 통합서비스전문요원 평균 4명에 평균 6명의 복지공무원을 확충 배치한다는 계획을 세우고(복지부, 2011, 2012 업무계획: 주요정책 추진방향) 점차적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인력을 확충해왔음. ○ 희망복지지원단과 읍면동 연계 강화 - 시군구에 위기가구 사례관리를 하는 희망복지지원단이 설치됨에 따라 읍면동은 문지기(gate keeper)의 역할 - 찾아오는 지역주민의 복지욕구가 무엇인지 파악한 후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사례는 희망복지지원단으로 의뢰 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 - 읍면동과 희망복지지원단간의 역할분담과 밀접한 연계를 통한 의뢰의 활성화가 개편의 핵심 - 시군구의 서비스연계팀에 평균 10명(기존 통합서비스전문요원 4명 + 복지공무원 6명)의 인력배치를 목표로 하여 서비스연계팀의 사례관리기능을 확대 □ 사회복지통합관리망 ○ 2010년부터 복지부관할 사회복지사업을 통합적으로 관리ㆍ운영하던 사통망이 2012년 8월부터 사회보장정보시스템으로 바뀌어 운영되기 시작 하였음. -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은 범 부처 복지사업 대상자의 자격 정보 및 수급이력 정보를 통합 DB에 연계하여 주민센터와 각 부처(기관)의 복지사업 담당자가 상담과정 에서 대상자의 선정과 관리의 효율성, 정확성개선

Ⅱ 전 달 체 계 개 편 의 현 황 과 한 계 23 - 이는 대상자가 제공받고 있는 복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파악하여 서비스 중복과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정보처리기반이 됨(복지부, 2014b). - 희망복지지원단은 복지ㆍ고용ㆍ보건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통합사례관리 가구를 확대하고(2011년 47천 가구에서 2013년 54천 가구), 자원 관리 담당자를 지정하여 민간ㆍ공공 복지자원 통합DB를 운영하면서 신규자원 발굴을 증가(2011년 44천 건에서 2013년 507천 건). - 일부 지역에서 방문형서비스 간 연계사업, 읍면동 방문상담 활성화와 같은 사각 지대 발굴과 지원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탄생시키는 등의 성과를 보여주었음 (복지부, 2014c). □ 성과와 한계 ○ 읍면동에서의 위기가구 의뢰에 기초하여 사례관리를 진행하는 희망복지 지원단의 체계는 읍면동에서의 사례발굴과 의뢰활동이 역동적이고 활성화 된다는 것이 전제될 때 작동 ○ 그러나 읍면동 사회복지담당공무원들의 업무과다가 여전히 심각한 상황에서 국민에게 맞춤형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표달성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음(박경숙 외 4인, 2012). - 시군구와 읍면동 간에 사례관리주체가 바뀌어 일관성이 결여되면서 서비스 대상자 측면에서 볼 때 사례관리의 지속성이 담보되지 못하였음. - 또한 일반행정 기관 내에서 업무를 추진함으로서 일반행정 기관의 조직 환경의 한계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음.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24 2 최근 전달체계 개편 동향 1.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 □ 주민센터허브화 사업 ○ 박근혜정부 들어서 주민센터허브화란 이름으로 추진된 사업은 도시형과 농촌형으로 모형을 구분하고 도시형을 다시 4가지 모형으로 제시함. - 통합형2) : 인구 4만명 이상의 동 주민센터 2∼3개를 통합하는 모형임. 통합된 동에서는 현재 동에서 추진하고 있는 각종 민원업무와 복지업무를 수행하며, 그 외의 동들은 폐지되는 형태임. 이 모형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동제 모형 중에서 광역동과 유사한 형태라 할 수 있음. - 거점형 : 인구 4만명 이상으로 동 주민센터 2∼3개의 복지업무를 통합해 운영 하는 거점형 주민센터를 설치하는 방식임. 이 모형은 통합형과 같이 광역동을 현실적으로 설치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서 제시된 방법임. 현행 동은 그대로 유지하되 복지업무는 거점동으로 이동하는 방식임. - 부분거점형 : 남양주같은 형태로서 동은 그대로 유지하고 별도의 거점에서 관련된 복지업무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임. 과거 복지사무소를 거점단위로 설치하는 형태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음. - 마지막으로 기능보강형3) : 복지상담 강화(분야확대), 방문서비스 활성화 모형임. 지금 이 모형은 현재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복지동 모형으로 발전되어 운영되고 있음. ○ 반면, 농촌형은 권역센터를 설치하는 모형임. 2) 통합형과 부분거점형, 거점형에 대한 구체적인 모형에 대해서는 복지부 등을 통해 제시되진 않고 있음. 관련해 강혜규 외 (2013), 󰡔지방자치단체 복지 전달체계 개편방안연구󰡕에 상대적으로 상세하게 통합형, 거점형, 부분거점형 모형이 설명되어 있음. 3) 국무조정실ㆍ복지부가 2013년 9월 10일자로 보도한 “맞춤형 복지전달체계 구축 방안” 내용을 중심 으로 정리

Ⅱ 전 달 체 계 개 편 의 현 황 과 한 계 25 <표 Ⅱ-1> 동 주민센터복지허브화 주요 내용 구분 개편형태 서비스 내용 개편 중심조직 서비스 대상자 통합형 조직통합 : 2∼3개 동,희망복지지원단 일반 행정업무 동 복지업무, 통합사례 관리 거점화된 동 동 주민(위기가구 포함) 거점형 조직통합 : 2∼3개 동 內 복지담당자, 희망복지 지원단 동복지업무, 통합사례 관리 거점화된 동 동 주민 (위기가구 포함) 부분거점형 공간변화 : 희망복지 지원단 근무지변경 (시군구→거점) 동 : 동 업무 강화 통합사례관리 : 거점 중심 거점, 동 동 주민 (위기가구 포함)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기능보강형) 인력확대(통합사례관리 포함은 시범사업 추진) 동 복지업무 동 동 주민 출처 : 성은미(2014). □ 복지동 사업 ○ 복지동 - 과거 행정업무 중심의 동에서 복지업무 중심의 동으로 변화하는 모형 - 핵심적인 내용은 첫째, 복지인력확충임. 사회복지업무담당공무원을 7,000명, 6,000명 충원하면서 이들을 읍면동에 우선 배치해 둘째, 읍면동을 중심으로 다시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복지서비스를 연계하는 방식임. 확충된 인력들이 사각 지대 해소,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실현을 추진 ○ 복지동 업무 - 복지동의 주요업무는 아래 그림에 제시되어 있듯이 기존 동 업무 더불어 방문 서비스, 통합사례관리, 민관협력으로서 사각지대 발굴과 자원 발굴임. 앞서 제시 했듯이 시군구에서 진행하는 업무 중에서 동으로 이관되는 업무는 통합사례관리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26 계 ’14년 3개년 계획 ’15년 ’16년 ’17년 계 6,000 1,177 1,600 1,600 1,623 사회복지직 소계 4,537 1,177 1,120 1,120 1,120 정원 순증 4,057 1,177 960 960 960 <그림 Ⅱ-1>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동 복지팀 역할 동 주민센터 및 읍면 사무소 주무팀 복지팀 (현행) (신규) ▪상담안내 ▪신청ㆍ접수 ▪민관협력 - 단순 서비스 연계 + ▪찾아가는 서비스* ▪사례관리 ▪민관협력 - 사각지대 발굴 - 자원 발굴 * 현행 읍면동 기능이나 인력부족 등 사유로 사실상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 자료 : 복지부(2015.6). - 통합사례관리가 읍면동에서 수행되더라도 시군구에서도 통합사례관리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음. 즉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중에서 고난위도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시군구에서 통합사례관리를 하도록 하고 있음. - 이는 시군구에서 수행하는 통합사례관리를 읍면동으로 기능이전 하더라도 시군구 에서도 관련된 업무를 보다 전문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고 있음. 이는 첫째, 시군구도 대민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역할정립하고 있다는 점 둘째, 현재의 읍면동이 대민서비스를 전문적이고 통합적으로 추진하는데 역량이 부족하다는 인식을 반영하고 있음. - 인력은 「자치단체 사회복지담당공무원 확충 시행지침(’14.12월, 행자부)」에 따라 ’15~’17년까지 시군구별 배정인원(6~69名)을 읍면동에 배치 <표 Ⅱ-2> 연도별 복지공무원 확충계획(’15 ~’17년 4,823명)

Ⅱ 전 달 체 계 개 편 의 현 황 과 한 계 27 계 ’14년 3개년 계획 ’15년 ’16년 ’17년 자연결원 대체 480 - 160 160 160 행정직 등 소계 1,463 - 480 480 503 행정직 순증 983 - 320 320 343 행정직등 재배치 480 - 160 160 160 자료: 관계부처합동(2014.10.29), 사회보장위원회 안건자료. ○ 복지동과 통합사례관리 - 복지동 사업 추진과정에서 수요자에게 원스탑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통합사례 관리가 읍면동에서 수행되는 것이 필요 - 그러나 통합사례관리의 특성상 모든 동에서 추진하기에 어려운 규모의 경제가 존재함. - 때문에 개별동, 중심동, 일반동 모델을 제시하고 있음. 이런 모델은 현재는 통합 사례관리에 집중되어 있으나 복지업무를 권역단위로 실시한다는 점에서 거점동과 부분거점형의 소극적 형태라 볼 수 있음. ・ 중심동 모형 : 일반동과 중심동으로 구성. 일반동의 경우 방문서비스 추진, 중심동은 해당 권역의 통합사례관리 업무 수행 ・ 개별동 모형 : 지역이 넓거나 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해당 동에서 방문서비스, 통합사례관리까지 원스톱으로 수행하는 방식임. <그림 Ⅱ-2> 중심동과 개별동의 모형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28 ○ 개별동 모형 - 장점 ・ ① 모든 지역에서 개별동모형을 적용하면,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력이 전체 읍면동에 배치는 것이기에 주민들의 입장에서는 복지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됨. ・ ② 담당지역이 1개 읍면동이기 때문에 행정읍면동간의 업무연계과정에서 역할 정립, 연계과정에서 불필요한 갈등이 없음. ・ ③ 1개 읍면동만 담당하기 때문에 행정구역간 업무 편차가 발생하지 않음. - 그러나 현실적으로 개별동을 추진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점검사항들이 있음. ・ ① 인력투여문제 : 개별동 모델을 전체 읍면동에서 실시할 경우 인력투입이 많이 필요함. 이는 읍면동마다 통합사례관리와 방문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을 배치해야하기 때문임. ・ ② 역량의 문제 : 모든 읍면동에서 상대적으로 전문 업무라 할 수 있는 통합사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이 얼마나 확보될 수 있는가? 그런 전문성이 확보될 수 있는가에 대한 점검 필요 ・ ③ 규모의 경제 : 동 지역의 경우 동의 면적이 좁거나 복지대상자가 적은 지역의 경우 모든 읍면동에 관련 전문서비스 제공인력을 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인가 하는 부분에 대한 검토 필요 ○ 중심동의 장단점 - 장점 : 개별동과 반대되는 장점을 보이고 있음. ・ ① 현실적인 인력투여가 가능 : 몇 개 중심적인 지역에 통합사례관리업무 담당자를 배치하기 때문에 현실성이 높음. ・ ② 전문적인 서비스 질 관리 가능 : 역량 있는 전문가를 배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비스 질 관리 가능 ・ ③ 규모의 경제 실현 : 읍면동이 작고, 대상자가 적은 경우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음. - 단점 ・ ① 중심동과 일반동 간의 서비스 편차가 발생하고, 이것이 수요자에 대한 서비스 편중으로 연결될 수 있음. ・ ② 중심동과 일반동 사이의 뜻하지 않은 갈등 발생소지 있음.

Ⅱ 전 달 체 계 개 편 의 현 황 과 한 계 29 <표 Ⅱ-3> 개별동모형과 중심동모형 비교 개별동모형 중심동 모형 특징 - 1개 동 내에서 방문서비스, 통합사례관리, 동 사회보장협의체 등 원스탑 서비스 제공 - 권역별 접근 - 모든 동에서 방문서비스, 동 사회보장협의체 - 중심동에서 통합사례관리 추진 장점 - 전체 주민들이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 - 읍면동별 업무연계, 행정체계에 대한 혼란 없음. - 읍면동의 서비스 편중현상 없음. - 전문가를 통한 서비스질 관리 가능 - 현실적인 인력투여 - 읍면동이 작은 경우 규모의 경제실현 가능 단점 - 막대한 인력투여 필요 - 전문가 투입 가능성 불투명 - 규모의 경제 실현이 어려움 - 읍면동간 서비스 편차 - 읍면동간 행정체계, 업무연계에서의 갈등소지 있음. 2. 행정자치부의 책임읍면동제 □ 책임읍면동제의 도입배경 ○ 책임읍면동제의 개념 - 몇 개의 읍, 동을 하나로 묶고 그 중에 하나의 읍, 동의 기능을 확대하는 방식을 의미 - 행정동의 통합과 관련해서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음. 광역동 모형, 책임읍면동제 등 다양한 방식의 동 통합방식이 있음. - 광역동 모형은 2~3개의 행정동이 하나의 대동으로 통합되는 조직통합방식임. 이 모형에서는 현행동이 없어지고 하나의 동으로 통합되는 경우임. 금창호ㆍ김건위 (2014)는 이런 광역동 모형은 일반구의 폐지를 전제로 한 경우임(금창호, 2014: 66). <그림 Ⅱ-3> 광역동 모형의 구조 시 본청 광역동 광역동 광역동 현행 동 현행 동 현행 동 현행 동 현행 동 현행 동 출처 : 금창호ㆍ김건위(2014).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30 - 반면, 책임읍면동제는 여러 개의 읍면동을 하나로 묶지만, 광역동과 같이 동을 통합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읍면동 모두 관련 업무 수행. 다만, 책임읍면동에서 읍과 동의 기능이 확대되는 방식임. <그림 Ⅱ-4> 중심동 모형의 구조 시 본청 가 대동 (과) 나 대동 (과) 다 대동 (과)동 동 동 동 동 동 동 출처 : 안전행정부(2014). - 두 모형 모두 시에서 수행하던 일부 업무를 읍면동으로 이관하면서 읍면동의 업무범위를 확대시킨다는 점은 공통점임. 반면, 일반동을 유지하느냐, 아니면 통합하느냐는 전달체계 개편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음. ○ 도입배경 - 책임읍면동제가 도입된 이유는 일반구가 있는 지역의 전달체계를 보다 효율화하기 위해서임. 일반행정과 복지행정이 읍면동단위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상황에서 시와 구의 구분은 행정 처리의 속도, 행정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임. - 즉 읍면동단위로 각종 민원업무에 대한 신청과 접수, 발급이 가능해지는 상황 에서 시는 기획업무와 조정업무를 수행함. 반면, 일반구가 있는 지역은 구와 시간 역할 모호 - 실제 금창호ㆍ김건위(2014)는 일반구는 행정계층의 증가에 따른 경로비용의 발생, 행정계층간의 기능중복, 기구 및 중원의 증가 등 비효율성이 초래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음. - 이에 일반구가 있는 지역과 계속적으로 구 설치를 요구해왔던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 중. 2015년 현재 경기도의 군포와 시흥, 강원도 원주시에서 사업 수행 중 - 2016년부터는 남양주, 부천, 의정부, 화성, 양주 등에서 실시 예정임. 또한 그 외 지역들에서 책임읍면동제 실시계획을 제출하고 있어 책임읍면동제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임.

Ⅱ 전 달 체 계 개 편 의 현 황 과 한 계 31 □ 책임읍면동제의 특징 ○ 조직 - 책임읍면동제를 실시할 경우 복지동과 유사하게 책임읍면동과 일반읍면동으로 구성 - 책임읍면동은 복지와 안전, 산업을 중심으로 3개 과로 구성 - 복지문화과 혹은 다른 이름으로 설치되는 과 내에는 동에서 수행하는 복지업무와 시에서 동으로 이관되는 복지업무 담당 부서로 구성됨. <그림 Ⅱ-5> 대동 조직도 대동장(4급) 복지문화과(5급) 안전행정과(5급) 산업경제과(5급) 복지/여성가족/노인/문화(6급) 총무/안전/민원/세정(6급) 도시/건설/경제/환경(6급) 출처 : 안전행정부(2014). - 좀 더 구체화된 2015년 행정자치부의 책임읍면동제의 조직편성 모형은 아래와 같음. - 복지부분에 집중해서 보면, 복지지원과 내에는 3팀이 구성되어 있는데, 앞의 그림 과는 달리 자원 발굴팀, 통합조사팀, 현장방문팀으로 업무역할별로 구분되어 있음. ・ 자원 발굴팀은 발굴 및 관리하는 기존의 서비스연계팀 및 희망복지지원단의 자원 관리 업무를 의미 ・ 통합조사팀은 시나 구에서 수행하던 통합조사 및 관리업무 ・ 현장방문팀은 동의 기준 업무를 수행하는 팀 혹은 방문서비스를 의미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32 <그림 Ⅱ-6> 대동 조직편성 모형(4개과 모형) 대동 행정복지센터장(4과 14팀) 민원행정과 (5팀) 복지지원과 (3팀) 환경정비과 (3팀) 안전관리과 (3팀) 총무팀 자치기획팀 민원1팀 민원2팀 세무팀 자원 발굴팀 통합조사팀 현장방문팀 환경위생팀 가로정비팀 마을청결팀 재난관리팀 도로관리팀 건축팀 ○ 인력 - 광역동과 같이 동이 통합되는 모형이 아닌 경우 책임읍면동 모델은 인력확대가 전제되어야함.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시나 구에서 여러 명이 담당했던 업무를 읍면동에서 수행할 경우 관련된 인력확충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임. - 첫째, 4급과 5급의 확대가 이뤄짐. 동장을 4급이 담당하게 되면서 전반적으로 5급 과장자리 확대. 때문에 책임읍면동은 공무원 인사적체가 심한 지역의 경우 인사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되기도 함. - 둘째, 시에서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던 사람들을 읍면동으로 배치함으로서 업무를 추진 - 2014년의 안전행정부에 의하면, 책임읍면동의 인력은 기능배분에 따라 40명에서 80명으로 제안하고 있음. ○ 업무 - 책임읍면동에서 어떤 복지업무를 수행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다만, 2014년에 제시된 가이드에 의하면, 시는 기본적인 시설, 법인 설치 및 관리, 각종 심의위원회 운영을 담당하고, 그 외의 대민서비스는 책임동에서 실시 하도록 설계함.

Ⅱ 전 달 체 계 개 편 의 현 황 과 한 계 33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와 책임읍면동제 ○ 책임읍면동제를 앞의 복지동과 비교해볼 때, 중심형 모델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음. 즉 모든 동에서 방문서비스 등 동에서 수행해야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중심동 혹은 책임읍면동에서는 시군구의 업무를 동에서 수행하기 때문임. -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상이한 부분이 있음. - 책임읍면동제와 관련된 자료에 의하면, 복지업무는 과거 시에서 수행하던 업무 일부를 동으로 이관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음. 즉 수요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수행 할 때, 어떤 업무를 주민 가까이에서 수행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 보다는 기획과 조정, 교육 등의 지원업무를 제외하고는 읍면동으로 업무를 이관코자하기 때문임. <표 Ⅱ-4>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책임읍면동제 비교 구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책임읍면동제 목표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구-동 행정체계의 효율화 동 주요 업무 일반동 - 방문서비스, 민관협력 확대 - 현행과 동일 중심동의 확대기능 - 통합사례관리 - 외적인 방문간호, 직업상담 등으로 확대 - 통합조사 및 관리 - 서비스연계팀 - 그 외 시설관리 등의 업무 시의 역할 - 기획, 조정, 대민서비스 - 기획, 조정 고려사항 - 현재 동에서 대민서비스,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성 확보 어려움. - 인력확충, 승진 전제 - 둘째, 동의 중요한 업무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사업은 방문서비스와 민관협력 부분인 반면, 책임읍면동제는 현행 동의 업무변화에 대해서 특별한 방안이 없음. - 셋째, 중심동의 업무 역시 동 복지강화사업은 통합사례관리와 외적인 서비스 영역 확대에 집중되어 있고, 책임읍면동제는 종적인 시군구의 기능 이관에 집중 - 넷째,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은 현재 읍면동이 과연 주민들에게 원스탑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조직적, 인력, 물리적 환경적)인지를 점검. 반면, 책임읍면동제의 경우 인력확충, 승진, 청사개편 등이 함께 검토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34 □ 책임동의 장점 ○ 주민접근성의 개선 - ① 통합조사 및 관리에 대한 민원을 동에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② 아직 체계화되진 않았지만 책임동에서 복지자원을 관리하게 될 경우 주민 들이 보다 편리하게 다양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서비스 공급자측면의 접근성 개선 - 시청사에서 대상자 가정방문이 접근성 측면에서 어려운 경우 있음. - 반면, 동에서 근무함에 따라 통합조사 및 관리 등 대상자 자격관리를 위한 방문이 좀 더 용이 ○ 서비스 신속성 - 대상자에 대한 상담, 조사, 급여업무가 체계적으로 연계될 경우 신속하게 서비스 연계 가능 □ 책임동의 검토사항 ○ 구체적인 업무연계방식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현재 상황에서 책임읍면동은 복지측면에서 큰 성과가 나타날 수 있을지 우려됨. 즉 책임동의 구체적인 운영체계가 구축되지 않을 경우 앞서 제시한 책임동의 장점이 나타날 수 있을지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 ○ 주민 접근성측면 - 통합조사 및 관리 보다 중요한 것은 대상자 측면에서 자원에 대한 접근성임. - 그러나 ①현재 책임동은 자원 발굴, 관리, 연계에 대한 부분이 과소평가되고 있음. - ②발굴된 자원이 대상자에게 신속하게 연계될 수 있는 책임동의 각 부서별 연계체계가 없음. - ③책임동과 일반동 간의 연계체계도 부족한 상황임. ○ 서비스 신속성 - 서비스 신속성은 책임동내 각 팀간의 횡적연계가 원활하고, 책임동과 일반동의 소통이 원활 할 때 그 효과가 커질 수 있음. 그러나 단지 시청사에서 수행하던 업무를 책임동에서 수행하는 근무지 변화로 책임동에 접근할 경우 서비스

Ⅱ 전 달 체 계 개 편 의 현 황 과 한 계 35 신속성의 큰 개선을 기대하긴 어려움. ○ 업무분장과 조율의 문제 - ① 시흥의 경우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활용 중. 다만 업무의 중복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어 조정 역할이 중요 - ② 경로당, 지역아동센터 설치 등 업무가 동으로 이관될 때 복지동 사업에 투여할 인력이 적어진다는 점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 - ③ 본청과 책임동간의 관계 문제 : 동일한 국장급이 동장이 되면서 복지담당국과 업무협조가 원활하게 추진되지 못할 여지가 있음. - ④ 동 단위에서 복지대상자 발굴, 맞춤형 서비스 제공, 사후관리 등의 원스탑 서비스 제공을 위한 control towel가 없음. 복지과장이 전반적인 복지업무에 대한 조정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개인의 전문성에 따라 편차가 클 수밖에 없는 상황임. ○ 일반동의 변화가 함께 수반되어야 함 - 군포와 시흥의 모든 책임동이 여러 가지 법정 외 사무를 해당 권역 전체 즉 책임 읍면동과 일반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 문제는 현재 수행하는 법정 외 사무가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에서 모든 동이 추진해야하는 중요한 업무인 방문상담 이라는 점임. - 일반동이 변화되지 않고 책임동에서만 업무를 추진하려 하다 보니 신설된 팀에서 주로 신규업무로 담당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 이에 책임동과 일반동의 연계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의 효과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음. 또한 책임동과 일반동 간의 관계 역시 모호해지는 한계 발생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36 3 전달체계 개편의 함의 □ 성과와 한계 ○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이 전국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 읍면동 사회복지업무 전문화를 위한 사회복지전문요원배치 - 시군구 사회복지업무 전문화와 읍면동에서의 통합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민 생활지원국 체제 구축 - 그 외는 보건복지사무수와 사회복지사무소는 시범사업에 그친 것이 사실임. ○ 전국적으로 실현된 사업이나 시범사업이나 실제 몇 가지 중요하게 해결 되어야 할 과제를 남겨두었다고 할 수 있음. □ 조직 문제 ○ 서비스 연속성 확보 어려움 - 읍면동에서 8대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읍면동과 시군구 연계를 희망복지지원단 통해 추진함. - 이런 모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부서간의 연계가 강화되고, 읍면동과 시군연계가 기초되어야 하는 것임. - 현재 전달체계시스템은 이런 연계를 사통망을 통해 추진코자 함. 그러나 이런 정보를 유통하는 전산시스템은 그 자체로 중요한 힘을 가지지만, 업무를 보조 하고 지원하는 성격에 그치는 것이 사실임. 읍면동과 시군구의 서비스 공급자가 어떻게 활동하느냐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에 정보망 구축만으로 횡적, 종적연계가 확보되는 것은 아님. - 실제 8대 서비스는 대상자에게 연결되지 못했고, 위기가구에 대한 서비스 연계는 단절됨. - 또한 서비스제공자간에 역할분담의 모호함, 서비스 책임성 감소, 사례관리의 이중화, 의뢰의 비활성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주민의 입장에서는 통합적 서비스를 받기 힘든 상황 발생.

Ⅱ 전 달 체 계 개 편 의 현 황 과 한 계 37 □ 인력문제 ○ 첫째, 인력부족 -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사회복지재정과 사업수의 증가로 복지대상자수가 482만 명에서 1,250만 명으로 2.59배가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여 사회복지직 공무원은 10,113명에서 12,907명으로 1.28배 늘렸음(감사원, 2013). - 읍면동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인력을 충원하면 사회복지업무를 보던 일반 행정직 사회담당공무원을 타 업무로 전환시키거나 행정직으로 신규 충원한 복지 인력을 비복지 분야에 배치하는 등의 인력조정으로 인력충원의 효과가 없어지는 문제가 여전히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음(감사원, 2013; 김이배ㆍ김보형, 2014). ○ 둘째, 순환보직문제 - 시군구와 읍면동에서 사회복지업무의 중간관리자의 대부분이 일반 행정직 공무원 으로서 직위분류제가 아닌 계급제적 인사행정의 특성인 순환보직에 의해 한 부서 에서의 평균 재직연수가 2년(지방일반직공무원 2.2년)(안전행정부, 2013)에 그침. - 이에 나날이 복잡해지는 사회복지업무의 전문성을 키우기 어렵고, 따라서 사례 관리와 같이 전문성을 요하는 업무의 지도ㆍ감독의 어려움이 사회복지행정의 비효율을 낳는 큰 장애물로 존재하고 있음. ○ 현재 복지부에서 실행하고 있는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 행자부에서 추진 하고 있는 책임읍면동제 역시 모형별 장단점이 존재하는 상황 - 읍면동으로 다시 서비스를 통합한다는 점은 동일하지만, 두 모형의 문제의식 에는 차이가 있는 상황 - 무엇보다 점검되어야 하는 것은 첫째, 과연 읍면동이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 할 준비가 되어 있느냐 하는 것임. 이런 준비는 조직적 여건뿐만 아니라 인력수와 인력의 역량과 관련된 것임. - 둘째, 읍면동과 시군구가 업무를 추진함에 있어 시군고와 읍면동의 역할 재정 필요

Ⅲ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 설계도 1. 경기도 복지전달체계의 특징과 쟁점 2. 경기도 복지기능강화 모형의 목적과 가치 3.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 설계도

Ⅲ 경 기 도 읍 면 동 복 지 기 능 강 화 모 형 설 계 도 41 1 경기도 복지전달체계의 특징과 쟁점 1. 최근 동복지기능강화 사업의 특징 □ 다시 읍면동으로 ○ 최근에 이뤄지는 읍면동 복지기능강화는 다시 서비스의 핵심점, 서비스의 통합 중심을 다시 읍면동으로 설정하고 있음. - 사례관리체계에 있어 중심동, 일반동, 개별동 개념을 활용하더라도 모두 별도의 공간이나 시가 아니라 동에서 업무를 추진하는 체계임. ○ 때문에 읍면동장의 마인드와 읍면동의 운영체계가 현재 전달체계 개편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됨. □ 분화된 서비스의 통합 ○ 주민생활지원서비스체계에서 시군구와 읍면동, 시군구의 부서별로 나눠져 있던 복지업무가 다시 통합되고 있음. ○ 책임읍면동제 - 실현과 맞물려 통합조사 및 관리업무가 다시 동으로 이관될 여지가 있고, 이미 시군구 중심의 희망복지지원단은 읍면동단위에서 업무를 추진하고 있음. ○ 복지동 연계 - 이에 과거 신청업무 중심에서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직접 연계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다시 통합되고 있음. ⨠⨠Ⅲ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 설계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42 - 뿐만 아니라 보건서비스와 고용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가 동을 매개로 연계되어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 구축 2. 경기도전달체계의 특징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을 그대로 경기도에서 실현하는데 있어 검토 되어야할 사항들이 있음. 경기도는 다양한 특징을 가진 시군으로 구성된 광역도이기 때문임. □ 공공조직의 특징 ○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체계 - 경기도 역시 중앙정부차원에서 구성되어 있는 기본적인 공공복지전달체계를 유지하고 있음. - 때문에 주민생활서비스를 관장하는 국 내지는 과가 설치되어 있음. 통합조사 및 관리역할을 담당하는 팀, 통합사례관리를 담당하는 팀, 자원 및 서비스연계 업무를 담당하는 팀, 각종 급여를 관리하는 팀들로 시청 조직이 구성되어 있음. -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체계 구성이후 배치되었던 읍면동 복지팀장은 중앙정부에서 복지팀장제를 운영하지 않는 것과 맥을 같이해 복지팀장이 거의 대부분 배치 되어 있지 않음. ・ 도농복합지역이나 농촌지역의 경우 예외적으로 복지팀장이 배치되어 있었음. - 그러나 최근은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추진과정에서 읍면동에 복지팀장이 배치되는 지역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임. - 업무를 보면, 초기상담과 서비스 신청은 읍면동, 통합사례관리는 통합사례관리 담당팀에서 수행하도록 업무 역시 읍면동과 시군구로 분화되어 있음. 때문에 앞서 언급했던 공공복지전달체계의 근본적인 한계 즉 횡적연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종적으로 대상자가 연계되지 않는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상황임. - 이렇게 주민생활지원스체계라는 기본적인 골격은 경기도 역시 다른 지역과 동일함. 그러나 경기도는 앞서 언급했듯이 몇 가지 점에서 특징이 있음.

Ⅲ 경 기 도 읍 면 동 복 지 기 능 강 화 모 형 설 계 도 43 ○ 첫째, 특징이 서로 다른 31개 시군으로 구성 - 다른 어떤 지역과도 복합적인 특징을 가진 지역이 바로 경기도라고 할 수 있음. 또한 타 도와 달리 31개나 도는 시군이 포함되어 있는 광역임. ・ 첫째,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도농복합지역이 모두 포함되어 있음. 더욱 복잡한 것은 도시지역이라 하더라도 도농복합지역과 같은 지역적 특징이 있는 지역이 있음. 반대로 농촌지역으로 읍과 면이 있지만, 지역적 특징은 다른 도시와 유사한 지역들 역시 존재하는 상황임. 단순한 행정적 구분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지역 마다의 특징이 있는 상황 ・ 둘째, 일반구가 있는 지역임. 서울이나 대전의 경우 선거구이기 때문에 구 자체 에서 정책을 결정하고 구에 맞는 전달체계 모형을 실험할 수 있음. 반면, 일반구의 경우 서비스 전달 및 관리의 중간조직이라 할 수 있음. 때문에 공공복지전달체계 조직개편이나 역할 구성에서 언제나 비효율성과 역할혼선이 발생하는 상황 ・ 셋째, 위와 유사하지만, 지역적 여건이 동일하지 않다는 점임. 면적이나 복지 대상자의 수와 특징이 다른 지역과 비교해볼 때, 편차가 크다고 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서울의 경우 지역별로 소득격차에 따라 복지대사자 수는 상이할 수 있지만, 인구밀도가 높다는 점과 접근성이 좋다는 특징이 있음. 또한 그 외의 광역도의 경우 1개~2개의 대표적인 시를 제외하고 다른 지역은 유사한 특징을 보이지만, 경기도의 지역들은 면적이나 인구밀도, 복지대상자 특징 모두 상이하다는 점임. - 이런 상이한 특징은 결과적으로 동일한 모형을 경기도내 31개 시군에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임. 특히, 최근과 같이 시군단위가 아니라 읍면 동단위로 복지전달체계개편을 추진하는 과정에서는 단일 모형을 만들어서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많은 방식이라 할 수 있음. - 또한 최근 이뤄지고 있는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은 특정한 조직적 변화보다는 업무의 추진방식, 역할과 인력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조직모형에 집중해서 새로운 모형을 만들어서 적용하는 것 보다는 지역특정에 맞는 맞춤형 모형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음. ○ 둘째, 전반적인 복지자원의 부족 - 우리 사회의 복지수준이 충분히 성숙하지 못했다는 점, 복지에 대한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어떤 지역이라 해도 복지자원이 충분하다고 보긴 어려움.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44 - 일부 시의 경우 지자체장의 마인드에 따라 복지부분에 대한 집중투자가 이뤄 지기도 하지만, 이 역시 지속가능하지 않고 시군별 편차 증대로 연계되고 있는 상황임. 그러나 이런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경기도내 대부분의 지역들은 복지 자원이 부족한 것이 사실임. ・ 서비스 공급자들이 부족함. 서울의 경우 찾아가는 복지동 사업을 추진하면서 자체적으로 서비스 공급자들을 채용해 인력확대를 추진해왔음. 그러나 이는 시에서 막대한 예산투자를 해야 한다는 점에서 쉽게 시행하기 어려운 방식임. 때문에 대부분의 경기도내 지자체들은 충분한 인력확보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 ・ 서비스 공공기관이 부족함. 도내 복지관이 없는 지역들, 노인 및 장애인 복지관이 없는 시군들이 있는 상황임. 복지관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민간 기관들이 부족한 지역들이 경기도 내 다수 존재함. - 때문에 경기도의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 모형을 설계함에 있어서는 이런 제한된 자원을 고려하여 진행하는 것이 필요 □ 경기도 무한돌봄센터 ○ 경기도가 다른 지역과 특징적으로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은 바로 무한돌봄 센터 즉 경기도형 희망복지지원단이라 할 수 있음. ○ 무한돌봄센터의 도입목표 - 2009년 무한돌봄센터 모형이 설계되었고, 2010년 남양주를 시작으로 시군 무한 돌봄센터가 설치 및 운영되고 있음. 경기도 광역차원에서도 경기도 무한돌봄 센터를 설치해서 시군 무한돌봄센터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해왔음. - 설치 목표는 수요자에게 맞춤형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임. 중요한 것은 위기가구에 대한 집중되어 있는 전문적-위기가구 중심-통합사례관리체계라 할 수 있음. ○ 조직과 인력 - 아래 그림은 무한돌봄센터의 기본적인 조직도임. - 무한돌봄센터는 시청 조직으로 주민생활지원국 내에 포함되어 있음. 대부분 팀 단위로 설치되어 있음. 인력은 공무원, 통합사례관리, 경기도 무한돌봄사업 차원 에서 채용해서 근무하고 있는 민간사례관리사로 구성되어 있음. - 네트워크팀은 거점단위에서 설치된 조직됨. 민간위탁방식으로 설치되며 개소 수는 지역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남. 무한돌봄센터의 가장 특징적인 것이 바로

Ⅲ 경 기 도 읍 면 동 복 지 기 능 강 화 모 형 설 계 도 45 이 네트워크팀이라 할 수 있음. 시군구와 읍면동 사이에 민간위탁방식인 조정자 및 통합사례관리기관을 설치함으로서 민관협력의 기틀을 마련하였기 때문임. - 네트워크팀은 다시 기본형과 확장형으로 구분되어 경기도만의 특징을 반영함. ・ 확장형 :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기관이 없는 지역에 주로 설치 되는 방식으로 기본적인 서비스 제공과 통합사례관리업무를 수행함. 인력은 현재 5명 이상으로 구성 ・ 기본형 : 지역사회 내 복지서비스 제공기관이 다수 있는 지역의 경우 조정자 역할 및 네트워킹을 위해 운영되는 네트워크팀으로 민간사례관리사가 1명 배치되어 있음. <그림 Ⅲ-1> 무한돌봄센터 조직 주민생활지원과 시군 복지 기획 통합 조사 무한돌봄센터 (통합사례관리) 복지자원 관리 통합 관리 무한돌봄 네트워크팀(민간위탁) 지역에 다라 개소수 다양 거점 읍면동 읍면동 - 인력의 경우 정리하자면, ・ 시 : 민간사례관리사 2명, 공무원팀장, 공무원, 통합사례관리사 ・ 네트워크팀 : 민간사례관리사 1명~5명으로 구성, 네트워크팀의 수에 따라 민간 사례관리사 인력 수에 차이 발생 ・ 읍면동 : 공무원 ○ 업무 - 현재 주민생활지원국체계 시스템에서 전문적인 통합사례관리를 추진하기 위해 운영되는 방식 - 읍면동의 경우 초기상담과 대상자 연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46 - 대상자 판정 및 배분, 긴급한 위기가구에 대한 사례관리 : 시군 - 집중대상자에 대한 사례관리 : 네트워크팀 ○ 무한돌봄센터의 특징과 의미 - 무한돌봄센터가 가지는 가장 중요한 의미는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전문적인 통합사례관리조직을 설치했다는 점임. 전문성을 강조했던 것은 2010년 무한돌봄센터 설치와 관련된 경기도내 공문과 매뉴얼에서도 제시되어 있듯이 인건비 기준을 높여 전문가가 해당 업무를 수행하도록 유인함. - 거점중심의 통합사례관리 : 시군구나 읍면동이 아니라 거점을 활용해서 전달체계 모형을 설계한 점임. 거점이 경기도에서 중요한 이유는 경기도의 특수성 때문임. 시군 차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접근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기 때문임. 반면, 읍면동단위에서 사업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경기도의 제한된 자원 때문임. 이에 접근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거점을 활용 - 민관협력 : 통합사례관리의 경우 민간복지기관에서도 중요하게 여기고 있고, 전문가들이 다수 있는 영역이라 할 수 있음. 또한 앞서 제시했듯이 공무원들이 순환 배치되는 과정에서 통합사례관리와 같은 전문적인 업무 수행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음. 때문에 민간기관의 전문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민관협력 모형을 설계함. 무한돌봄센터에서 핵심적인 통합사례관리는 민간에서 주로 담당 하고 자원관리 및 시스템 운영은 공공이 담당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음. ○ 무한돌봄센터의 현재 - 무한돌봄센터가 2010년부터 설치되어 운영되는 과정에서 중앙정부 차원의 통합 사례관리를 위한 희망복지지원단이 설치되 운영되었음. 이 과정에서 무한돌봄 센터의 여러 가지 변화가 이뤄짐. - 첫째, 초기에는 무한돌봄센터가 별도의 조직으로 구성되지 않고 서비스연계팀 내부에 있었으나 현재는 앞의 조직도에서 제시되었듯이 별도의 팀으로 구성 - 둘째, 대상자의 변화임. 무한돌봄센터는 주로 심각한 문제를 가진 위기가구에 집중한 서비스 제공체계였음. 그러나 심각하지 않더라도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가구에 대한 지원 역시 필요하여 대상자가 변화되고 있음. - 셋째, 시군-읍면동 중심의 변화임. 네트워크팀과 같이 별도의 중간조직이 아니라 공식적인 행정조직인 시군과 읍면동에 집중해서 업무를 추진코자 함.

Ⅲ 경 기 도 읍 면 동 복 지 기 능 강 화 모 형 설 계 도 47 - 넷째, 사례관리에서의 공공역할 강화 : 무한돌봄센터와 같이 민관협력보다는 확충되는 공공인력을 중심으로 한 공공역할이 강화되었음. 2 경기도 복지기능강화 모형의 목적과 가치 1. 단일 모형보다는 설계도가 필요 □ 경기도는 경기도만의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 추진을 위한 설계도가 필요 ○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경기도는 - 첫째, 경기도는 다양한 특징을 가진 시군으로 구성되어 있어 단일 모형 구성이 어렵다는 점 - 둘째, 복지자원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는 점 - 셋째, 위기가구 중심-거점-민관협력체계로 운영되는 무한돌봄센터가 운영되고 있다는 점. -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경기도만의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의 설계도를 마련 하는 것이 필요 □ 기존의 복지전달체계 개편 사업은 모두 단일화 된 모형을 개발하고, 그 모형을 지역에 정착시키는 방향으로 추진되어 옴. ○ 기존 시범사업 - 각 시범사업은 동과 시군구, 보건과 복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추진되어 왔음. 또한 그 업무 영역 역시 사례관리, 각종 복지서비스, 공공부조 등 다양함. - 그러나 공통된 점은 단일한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지역에 적용하는 방식이었다는 점임. - 경기도 무한돌봄센터의 경우 네트워크팀을 확장형과 기본형을 제시했으나 경기도 31개 시군에 동일한 모형(조직, 인력배치 등) 적용함.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48 ○ 단일 모형 적용의 한계 : 지역특성에 맞춰 운영되기 어려움. - 사실 중앙정부차원에서는 느슨한 가이드라인 이상을 제시하기 어려움. - 17개 광역지자체 여건이 상이하지만 다양한 민관협력방식, 동의 여건과 역량을 고려할 수 없음. 때문에 모든 지역에 적용될 수 있는 느슨한 형태이 가이드라인 이상의 모델이 개발되기 어려움. - 지역의 면적을 고려한 접근성이 확보된 모형 적용 필요 서울의 경우 면적이 좁고 인구가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시군구 단위의 사업 수행이 가능함. 그러나 그 외의 지역의 경우 시군구단위로 사업을 추진할 경우 주민 접근성이 낮은 한계가 있음. - 때문에 면적이 좁고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과 면적이 넓은 지역에는 서로 상이한 모형 제시한 필요함. □ 동과 시군구의 조직현황과 인력현황에 기초한 모형 제시 필요 ○ 동일한 시군구 내에서도 동마다 여건이 상이함. 동에 거주하는 인구가 적어서 사회복지업무 담당자가 1명 이상 배치되기 어려운 지역이 있음. - 또한 이동인구가 많은 동, 젊은 인구가 많은 동 등 동마다 여건이 상이함. - 또한 동의 인적 역량, 동 주민조직의 여건 역시 상이한 상황임. ○ 이런 환경에 맞춰 실제 동마다 운영할 수 있는 방식의 모형과 업무추진 방향이 제시될 필요가 있음.

Ⅲ 경 기 도 읍 면 동 복 지 기 능 강 화 모 형 설 계 도 49 2. 전달체계 개편의 가치4) □ 중앙정부차원의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 : 통합성, 접근성 ○ 현재 중앙정부에서 추진하는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을 통해 확인되는 전달 체계 개편의 두 가지 중요한 원칙은 통합성과 접근성임. ○ 통합성 - 정의 ・ 서비스이용자 측면에서 필요한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되는 것을 의미. 즉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가 이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연계되는 정도를 의미함. 읍면동 뿐만 아니라 방문간호사, 직업상담사, 공공과 민간과의 연계를 의미함. ・ 대상자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의미함. 복지서비스 net에 진입했을 경우 그 대상자 에게 통합적인 관리를 의미함. 통합적 관리는 초기상담-조사-서비스제공 및 통합 사례관리의 일련의 과정에서 대상자 누락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연계되는 체계를 의미함. - 이렇게 통합적 서비스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다양한 분야서비스 연계(통합 사례관리서비스, 방문간호서비스, 직업상담 서비스, 각종 물품 및 민간서비스 제공)된 체계가 있고, 이런 체계가 작동되면서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가 동으로 통해 연계 - 서비스 공급자간 연계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음. ・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연계하는 방식 ・ 서비스 공급자들이 한 곳에서 공간적으로 통합되어 연계하는 방식(입직구 통일) ・ 1명의 서비스 공급자가 모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권한과 지위를 갖는 방식 - 첫째, 사회보장정보시스템 ・ 읍면동과 시군구가 연계된다는 점에서 대상자에게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는 마련되어 있음. ・ 그러나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은 접근권한이 제한되어 민간기관이 공유할 수 없음. 4) 전달체계 개편의 가치, 전달체계를 평가할 때는 다양한 지표를 활용함. 성은미 외(2012a)에 의하면, 전달체계를 평가하고 전달체계 개편 방향 설정에 있어 다양한 지표를 활용함. 통합성, 포괄성, 효과성, 효율성, 전문성, 지속성, 접근성, 편의성, 체감도, 적절성 등 다양한 지표를 활용함.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50 ・ 전산망은 하나의 기초적인 시스템일 뿐 실제 연계업무를 수행하는 것은 인력과 조직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제한적임. - 둘째, 서비스 공급자들 간의 공간적 통합(입직구 통일) ・ 서비스 공급자들이 여러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여러 기관들이 서로 통합 되기 어려운 경우에 활용될 수 있는 방법임. 보건소소속의 방문간호사와 일자리 센터 소속의 직업상담사가 동에서 근무하고 대상자에 대한 종합적 지원을 하는 방식이 여기에 포함됨. ・ 현재 시점에서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 할 수 있음. - 셋째, 1명의 서비스 공급자가 모든 서비스 제공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가지는 방법임. ・ 대상자 입장에서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 1번의 상담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 받거나 신청할 수 있기 때문임. ・ 그러나 1명의 서비스 공급자가 모든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공급조직이 통합되어 있지 않는 한 현실적으로 이뤄지기 어려움. ○ 이에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을 설계함에 있어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은 기본 적인 사업운영의 기초조적이며, 서비스 공급자들 간의 공간적 통합(입직구 통일)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임. ○ 이 과정에서 대상자는 욕구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됨. ○ 접근성 - 공적인 전달체계 중에서 읍면동만큼이나 지역주민 가까이 포진되어 있는 곳은 없는 상황임. 복지서비스 제공의 핵심기관을 읍면동으로 설계한다는 것은 곧 대상자 입장에서 접근성 높은 곳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체계 구축을 의미함. □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의 가치 : 전문성, 효율성 ○ 중앙정부에서 추진하는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의 통합성과 접근성뿐만 아니라 경기도 차원의 전달체계 개편을 보다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중요한 가치가 바로 전문성과 효율성임.

Ⅲ 경 기 도 읍 면 동 복 지 기 능 강 화 모 형 설 계 도 51 ○ 전문성 : 통합사례관리에 있어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 - 통합사례관리서비스는 그 성격상 전문적인 영역의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음. 욕구 사정과 상담, 적절한 개입과 사후관리 등의 일련의 과정은 전문적인 기술을 요함. - 자원연계 역시 지역사회 내 존재하는 자원에 대한 정보와 필요한 자원을 대상자 에게 효과적으로 연계하는 전문성이 필요함. - 경기도의 경우 무한돌봄센터를 통해 이런 전문적인 서비스의 노하우를 축적해 왔으며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력이 이미 민간사례관리사를 통해 배치 되어 있는 상황 - 기존 시군구에서 통합사례관리업무를 수행할 경우 사례관리업무 수행 인력이 한 공간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상호협업과 상호슈퍼비전, 모니터링이 가능하였음. 또한 팀장과 무한돌봄네트워크팀, 외부전문가를 통한 슈퍼비전이 좀 더 자유로움. - 그러나 동에서 통합사례관리 업무를 수행할 경우 상호협업과 모니터링은 동에서 근무하는 공무원과 함께 업무를 수행해야 함. 또한 슈퍼비전을 체계적으로 받을 수 있는 구조마련도 어려움. - 이런 측면에서 동에서 통합사례관리업무를 수행하더라도 전문성을 갖춘 인력 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 ○ 효율성 : 규모의 경제의 실현으로서 인력배치의 효율성 - 전달체계 및 서비스 제공에 무한대의 인력활용이 가능하다면, 효율성은 중요한 가치가 아님. 그러나 제한된 인력을 통해 최대한의 효과를 내고자 할 경우에 효율성은 중요한 가치 중 하나라 할 수 있음. - 특히, 읍면동 단위로 관련 복지인력 등이 배치되어 업무를 추진하기에 때문에 과연 모든 읍면동에 인력배치가 효율적인지 검토 필요함. - 또한 동의 규모 자체가 적은 지역들이 있는데, 이런 지역의 경우에도 여러 전문 인력을 동 마다 배치하는 것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52 3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 설계도 □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의 가치와 목적 ○ 가치 - 통합성 : 읍면동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연계.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 제공자들의 연계되도록 운영 - 접근성 : 읍면을 비롯해 도농복합지역에서도 접근성이 낮아지지 않도록 연계 - 전문성 : 통합사례관리서비스는 전문적인 서비스라는 점에서 충분한 인력을 배치 하고 복지팀장 배치 등의 제반여건 마련 - 효율성 : 제한된 투입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설계 ○ 목적 - 복지사각지대 발굴 - 대상자 맞춤형(통합적)서비스 제공 ○ 대상 - 긴급한 문제를 가진 위기가구뿐만 아니라 복합적 욕구가 있는 대상자 - 지역의 여력에 따라 대상자 범위를 보편적 대상자로 확대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위의 개편 원칙을 달성하기 위한 전제조건과 내용을 정리한 것이 아래 표임. ○ 모형설계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지역 환경과 조직 및 인력부분. 아래의 세 가지 요소를 검토하여 모형을 설계 - 환경 : 면적과 이동거리(접근성), 동의 규모(복지대상자 등의)가 고려되어야 효율적인 개편 모형 설계가능 - 조직 : 통합성 제고를 위해 다양한 방문기기관과의 T/F를 구성할 수 있는지, 전문성확보를 위해서는 복지팀을 설치. - 인력 : 종합상담을 위한 인력배치 여력, 사례관리업무수행 인력을 2명씩 배치 할 때 사례관리업무 수행이 가능한 동의 수, 충원 가능한 복지인력 수

Ⅲ 경 기 도 읍 면 동 복 지 기 능 강 화 모 형 설 계 도 53 ○ 사업 : 조직과 인력이 마련되었다고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을 추진되는 것은 아님. 사업추진을 위한 내용과 모니터링 및 연계체계 구축 필요 - 방문서비스가 체계화되기 위해서는 사각지대 발굴규모를 포함해 방문서비스의 목표량을 설정. 복지팀장이 방문서비스를 전담도록 함으로서 방문서비스에 대한 조직 내 취상강화 - 종합상담 인력확충을 통해 내방민원인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제공과 대상자의 신뢰체계 강화 - 방문서비스, 종합상담, 통합사례관리간의 연계 강화 <표 Ⅲ-1> 전달체계개편 원칙별 모형설계의 전제 모형설계 전제(구조, 투입) 내용 환경 조직 인력 과정 산출 통합성 - 지역 내 복지자원의 총량 - T/F 구성 ㆍ방문간호사, 정신보건사회 복지사, 직업상담사, 지역복지서비스 기관과의 연계 - 민관합동근무 (확장형) - 종합상담 인력 배치(복지코디 네이터 활성화) - 방문서비스 목표 부여 - 종합상담 체계화 : 질, 실적관리 - 방문서비스 → 종합 상담, 통합사례 관리 연계 강화 - 동 자체적인 대상자 관련 회의 - T/F를 통한 통합적 서비스 연계강화 - 사각지대 발굴 (대상자 증대) - 통합적 대상자 관리와 서비스 (사례관리 대상자 증대) 전문성 - 복지팀 설치 - 사례관리 전담인력 2명 배치(면 지역 제외) - 통합사례관리와 방문서비스 연계 - 민관협업 사례관리 추진(기본형네트 워크팀 조정) - 동, 중심동 단위 자원관리 - 질 좋은 서비스 제공(문제해결 + 지역사회 내 자활 능력 개선 등) 접근성 - 면적 : 모형설계 에서 접근성이 낮아지지 않도록 설계 - 서비스 신속성 효율성 - 동의 규모- 자원의 범위 - 충원 가능인력 수 - 횡적연계, 종적 연계 강화를 통해 업무중복 조율 - 제한된 인력으로 효과적인 사업수행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54 □ 위의 내용에 의거해서 모형을 설계할 때, 접근성과 효율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음. ○ 동의 규모와 인력배치를 기준으로 통합성과 효율성, 전문성 등을 살펴보는 기준표라 할 수 있음. - 실제 지역에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을 설계할 경우에는 인력의 수, 인력의 경력에 따라 나타나는 효과는 상이할 수 있음. 그러나 아래 표는 대략적인 인력 배치와 동의 규모에 따라 적정한 가이드를 제공하는데 집중한 것임. - 첫째, 동의 규모가 큰 경우에 통합성, 접근성 전문성 측면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중심동과 개별동, 일반 구가 있는 지역은 구 중심 모형을 선택할 수 있음. 이때 인력배치를 얼마나 할 수 있느냐에 따라 개별동과 중심동으로 구분됨. 전달체계 개편의 통합성, 전문성, 접근성측면에서 동의 규모가 클 경우에는 개별동이 좀 더 효과적임. 그러나 투여할 수 있는 자원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 에는 중심동이 효율적 측면에서 좀 더 긍정적임. - 둘째, 동의 규모가 작은 경우 일반동, 개별동으로의 선택이 가능함. 이때 개별동을 선택하고 이에 맞춰 인력을 배치할 경우 효율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함. <그림 Ⅲ-2> 모형별 효율성과 통합성의 관계 <전 동에 팀장, 통합사례관리인력 2명> 개별동 (효율성 낮음) 인 력 배 치 개별동 (통합성 높음) <동의 규모> 일반동 (중심동과의 연계체계구축 핵심) 중심동, 구 중심 (통합성, 전문성, 접근성 중간점수)

Ⅲ 경 기 도 읍 면 동 복 지 기 능 강 화 모 형 설 계 도 55 □ 구체적인 모형설계 <그림 Ⅲ-3>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 설계도 ○ 위의 그림은 환경과 인력, 조직, 내용을 고려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의 설계도임. 각 단계별로 중요하게 작동하는 가치도 함께 표시함. ○ 1단계 - 앞에서 계속지적 했듯이 해당 지역의 면적이 어떠한지, 동의 인구와 복지대상자 수를 고려함. 이를 기초로 동의 규모가 크고 접근성이 낮은 지역은 개별동, 동의 규모가 크고 접근성이 좋은 지역은 중심동(구의 경우 구 중심) - 성은미 외(2015)의 경우 해당 자료에 기초해 31개 시군이 각 읍면동이 동의 규모 측면에서 개별동, 중심동, 일반동 중 어떤 것이 적합한지 이미 제시한 것이 있음. 이에 기초해 해당 지역의 각 개별동, 중심동, 일반동 수를 살펴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56 ○ 2단계 : 적절성의 검토 - 첫째, 위의 분석은 자료에 기초한 분석임. 때문에 실제 해당지역에서 개별동과 중심동으로 선정하는 것이 타당한지 검토 필요. 예를 들어, 이동자가 많아 해당 동의 인구나 수급자 이외의 복지상담 민원이 많은 지역이나, 복지대상자가 많지만 실제 사례관리대상가구는 많지 않은 동이 있을 수 있음. 이를 일괄적으로 분석 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해당 지역에서 각 읍면동 여건이 위의 분석한 자료에 적합 한지 재검토 필요 - 둘째, 중요한 것은 바로 이동임. 중심동과 일반동만 표시되어 있지 어떻게 권역화 할 것인지가 제시되어 있지 않음. 이때 이동시간이 길이서 대상자가 접근하기 어렵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 - 셋째, 일반구의 활용정도를 검토해야 함. 일반구가 있는 지역의 경우 일반구에서 통합사례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접근성 측면에서 문제가 없는지 검토 필요함. ・ 일반구 내의 동의 수가 적고, 면적이 좁으며, 대상자가 적은 경우 일반구 중심 으로 서비스 전달에 대해 검토 가능함. 다만, 복지부가 읍면동을 중심으로 전달 체계를 개편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적 등 검토 필요 ・ 일반구내의 면적이 좁고, 대부분의 동을 개별동과 중심동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을 정도로 복지수요가 많은 지역임. 이 경우 예산 및 인력을 투여하는 것이 적합 하지만, 지역의 여건상 자원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 일반구를 중심으로 사례 관리를 수행하는 모형검토 가능. 그러나 이 경우 첫째, 동에서도 대상자 발굴 및 방문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확보는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앞서 언급 했듯이 복지부와 정책방향이 다소 상이하여 나타나는 제한점 등을 고려해야 함. - 넷째, 면 지역임. 경기도의 면 지역은 다시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행정구역은 면 이지만 인구규모가 이미 읍지역과 유사한 지역과 전형적인 면의 특징을 보이는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음. 면 지역의 경우 통합사례관리를 위한 별도의 인력을 면에 배치하는 것이 효율성 측면에서 어렵다는 점에서 개별동과 중심동 검토가 필요함. 그러나 이 경우에는 또한 접근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함. 때문에 면 지역의 경우 대부분 개별동모형으로 설계하되 공무원을 중심으로 통합사례관리 등을 추진하는 모형 검토 ○ 3단계 : 시 자체 투입 가능성 검토함. 위에서 제시했듯이 복지팀장이 배치 가능한지, 통합사례관리인력 2명 이상 배치가 가능한지, 가능한 동이 몇

Ⅲ 경 기 도 읍 면 동 복 지 기 능 강 화 모 형 설 계 도 57 개인지 검토 - 인력투여과정에서 네트워크팀의 구조 역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함. 몇 개의 네트 워크팀이 있으며, 사례관리 과정에서 차지하는 역할은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 - 사례관리 뿐만 아니라 종합상담과 방문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공공 인력이 확보되었는지, 확보가능한지 역시 검토되어야 함. ○ 4단계 : 2단계와 3단계를 고려해 모형 확정 - 현재 해당 지역의 공공복지전달체계의 여건을 기본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 이미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거나 복지팀장을 배치하는 등의 변화가 여러 시군에서 추진된 상황임. 해당 상황을 고려하여 적용가능한지 검토 하는 것이 필요 - 2단계에서 객관적인 환경상 개별동과 중심동으로 구분한 것과 3단계에서 실제 투입가능 한 인력을 고려하여 실제 해당 지역의 모형을 설계하도록 함. - 전체적으로 투입할 자원이 부족한 경우 해당 지역이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세 가지임. - 첫째, 전문성을 다소 약화시키면서 동에 필요한 인력을 줄이는 방법임. 즉 팀장을 배치하지 않거나 통합사례관리업무를 수행할 인력을 제한적으로 배치할 수 있음. ・ 이렇게 인력을 제한할 경우에는 원하는 서비스 효과가 나오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음. ・ 인력의 수를 제한하면서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은 시군이 읍면동과 밀착되어 자원 연계, 서비스연계, 슈퍼비전 등을 지원하는 방법이며, 이 경우 시군 실무자의 전문적 역량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임. 때문에 인사발령 이후에 지속가능하지 않은 어려움이 있음. ・ 실제 아래에서 살펴보겠지만, 인력을 제한할 경우에는 대상자 발굴이나 종합상담 등의 원하는 전달체계 개편 목표 자체를 달성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음. 때문에 가능한 개별동과 중심동 수를 줄이는 방식으로 선택하는 것이 필요 - 둘째, 개별동과 중심동 수를 제한하는 방법임. 인력규모를 고려해 개별동으로 설계가 필요하지만 이를 중심동으로 설계해 인근지역의 사례관리업무를 함께 수행하도록 설계할 수 있음. 이때 중요한 것은 주민 접근성이 낮아지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58 - 셋째, 슬라이딩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방법임. 비록 현재는 투입할 자원이 부족하지만, 장기적으로 충원계획을 수립하면서 단계별로 접근하는 방법임. ○ 5단계 : 방문서비스 기관과의 연계 - 4단계를 통해 대략적으로 시군에 적합한 모형이 확정되고 나면, 실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을 추진하는 단계가 바로 5단계임. - 우선,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에 있어 동에서 수행하는 기본적인 업무가 방문서비스 라는 점에서 방문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거나 하고 있는 지역사회 기관과의 연계 체계를 구축하는 것임. - 공공조직과 관련해서는 보건소와의 연계 강화, 직업상담사와의 연계강화를 통해 대상자가 통합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 ○ 6단계 : 프로그램 개발 - 방문서비스를 수행할 때, 어떤 대상자에게 어떤 내용으로 방문서비스를 수행 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단계임. - 방문서비스는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사각지대는 어떻게 발굴할 수 있을지에 대한 프로그램을 검토하는 제시하는 단계임. - 이때에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복지기관들과 연계해서 프로그램을 개발해 운영 하는 것이 현실가능하며, 그 효과도 높일 수 있음.

Ⅳ 사례 분석 : 경기도내 5개 지역 1. 기초행정자료 분석 2. 서비스공급자 인식 및 만족도 조사 3. 지역별 모형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61 1 기초행정자료 분석 1. 5개 지역의 기본적 특징 1) 행정체계 □ 행정적 구분 ○ 아래 표는 5개 지역의 일반적인 행정적인 특징임. - 의왕은 총 6개동으로 구성되어 있음. 부천은 3개구의 36개동, 성남 역시 3개의 일반구와 48개동, 용인시는 3개구에 읍, 면, 동이 모두 있는 도농복합지역임. 이 세 지역 모두 일반구가 있는 특징이 있는 지역임. 현재 복지부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전달체계 개편 과정에서 일반구에 대한 개편방향 검토 필요 - 양주시는 도농복합지역으로 11개 읍면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양주와 용인시에는 총 2개의 읍과 10개의 면이 있음. <표 Ⅳ-1> 5개 지역 일반적 사항 구분 행정구역 인구 면적 인구밀도 전체 구성 명수 경기도 전체 비율 의왕시 6개동 - 158,482 (1.3%) 54.10 2929.4 부천시 36개동 3개구 855,292 (6.9%) 53.40 16016.7 성남시 48개동 3개구 995,349 (8%) 138.84 7169.0 양주시 11개 읍면동 1읍, 4면, 6동 202,813 (1.6%) 310.36 653.5 용인시 31개 읍면동 3개구, 1읍, 6면, 24개동 983,094 (7.9%) 591.37 1662.4 ⨠⨠Ⅳ 사례 분석 : 경기도내 5개 지역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62 ○ 면적을 보면, - 경기도 전체가 10,132㎢로 나타남. 용인시가 가장 큰 591.37㎢, 양주시가 310.37㎢로 나타나고 있음. 용인시는 경기도 면적의 5.8%, 양주시는 경기도 면적의 3.1%를 차지하고 있음. 두 지역 모두 도농복합지역이라는 점 때문에 읍과 면지역이 있어 넒음. - 부천과 의왕은 그 면적이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 ○ 인구 수 - 경기도 인구는 12,323,172명이며, 이 중 고양시(1,012,038명), 수원시(1,175,695명)가 백만이 넘고 성남시(995,349명), 용인시(983,094명), 부천시(855,292명)와 같이 남부 지역의 대도시가 인구가 많음. - 용인시는 경기도 전체 인구의 7.9%, 양주시는 1.6%, 성남시는 8%, 의왕시는 1.3%, 부천시는 6.9%를 차지하고 있음. ○ 인구밀도를 보면, - 경기도 전체의 1㎢당 인구수는 1,222.9명으로 나타남. - 의왕은 인구밀도가 2,929.4로 경기도 평균보다 높고, 용인의 1㎢당 인구수는 1,662.4명으로 경기도 평균과 유사함. - 부천은 1㎢당 인구수가 16,016.7명으로 경기도 전체 평균의 10명 정도로 인구 밀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 성남 역시 1㎢당 인구수가 71,690명으로 상당히 많은 인구가 밀집되어 거주하고 있음. - 반면, 양주는 1㎢당 인구가 653.5명으로 상대적으로 인구밀도가 낮음.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63 <그림 Ⅳ-1> 사례분석 대상 지역 분포현황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64 □ 행정적 특징을 보면, ○ 일반구가 있는 도시지역과 도농복합지역 - 면적이나 인구밀도를 고려할 때, 부천과 성남, 의왕의 경우 도시적 특징이 강한 지역임. - 반면, 양주는 도농복합지역이며, 용인은 수지구, 기흥구는 동 중심의 도시 지역적 특징을, 처인구는 도농복합 지역적 특징을 보임. ○ 면적을 보면, 부천이나 의왕의 경우 면적 자체가 적어서 시내에서 이동에 긴 시간이 걸리지 않지만, 용인이나 양주의 경우 면적이 넓어 이동시간이 긴 지역임. 2) 전달체계 개편 현황 ○ 사례분석의 대상이 되는 각 지역들은 2013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몇 가지 제도 변화를 해오고 있는 상황임. 이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아야 좀 더 구체적인 시범사업 모형 등이 제시될 수 있음. □ 의왕 ○ 의왕시장 공약사항으로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복지기능강화 사업이 2015년 상반기 추진됨. ○ 핵심적인 내용 - 명칭 : 참여하는 시민중심도시 - 동 주민센터 복지기능강화 - 목적 ・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원스톱 서비스 제공 ・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 추진 방식 : 6개 동에 서비스인력 동 배치 ・ 별도의 복지팀장 없이 복지코디네이터 배치 ・ 사례관리사 동에 배치 : 통합사례관리사 5명, 시 민간사례관리사 1명을 동에 배치함. ・ 방문간호사 ・ 직업상담사 배치 - 무인발급기 보급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65 <그림 Ⅳ-2> 의왕시 읍면동 현황○ 업무 - 종합상담 : 복지코디네이터 담당 - 방문서비스 : 복지동장제 실시에 따라 동장과 복지코디네이터, 방문간호사가 함께 추진토록 함. - 통합사례관리 : 시, 네트워크팀에서 주로 집중사례관리를 수행. 동의 통합 사례관리사 등의 통합사례관리인력은 동에서 대상자 접수 하고, 무한돌봄 및 긴급복지제 관련 사업 추진해옴. ○ 운영 시기 : 의왕시는 시장님 공약 사항으로 2015년 1월부터 동장을 중심으로 방문서비스를 수행 ○ 특징 - 6개동의 소규모 도시라는 점, 접근성에 큰 어려움이 없다는 점이 지리적인 특징임. - 사업운영방식 관련해서는 복지팀장이 없이 사례관리 인력을 1명 배치한 상황. 때문에 시스템 운영에 불안요인이 존재 ・ 첫째, 동장과 사무장의 마인드에 따라 업무의 변화가 클 수밖에 없는 특징이 있음. ・ 둘째, 동에 배치된 통합사례관리사의 개인적 역량에 따라 업무편차가 발생 ・ 셋째, 사례관리업무의 특성상 슈퍼비전을 비롯한 동료 커뮤니케이션이 어렵다는 점에서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에 한계 발생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66 <그림 Ⅳ-3> 부천시 읍면동 현황□ 부천시 ○ 2013년부터 시 자체적으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을 설계 운영. 2016년 책임 읍면동제 운영을 앞두고 있음. ○ 핵심내용 : 8개 권역으로 구분된 중심동 모형 - 부천시는 3개의 일반구와 동으로 행정체계가 마련되어 있던 지역이었음. - 실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 과정에서 구의 복지 업무를 시와 동으로 이관해서 업무를 추진하고 있음. - 동은 중심동과 일반동으로 구성. 중심동은 부천시내 복지관과 연계되어 업무 추진함. - 인력 : 모든 동에 복지팀장 배치, 통합사례관리사가 중심동에 배치, 복지매니저 배치(방문서비스 담당 계약직), 방문간호사, 직업상담사 배치 - 네트워크팀과 동 연계 강화 : 네트워크팀에서 수행하는 통합사례관리 사례를 공공과 공유하고 연계하는 시스템 구축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67 <그림 Ⅳ-4> 부천시 동 복지동 모형 ○ 업무 - 방문서비스 : 전 동에서 수행, 복지매니저 수행 - 종합상담 : 전 동에서 수행, 복지코디네이터 수행 - 동 복지협의체 : 전 동에서 수행, 복지팀장 수행 - 통합사례관리 : 통합사례관리사와 네트워크팀이 업무 수행 - 마더서비스, 효자손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가 동과 연계되어 추진 ○ 운영시기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관련 지침 : 2013.11.27 - 시범동 운영 : 2014.4(6개동) - 전체 동 운영 : 2014.7 ○ 특징 - 중심동 모형을 전 지역에 설계한 특징이 있음. 이는 면적이 좁고 인구가 많은 지역적 특징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음.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과정에서 일반구의 업무가 동과 시로 이관됨. - 종합상담, 방문서비스 동 복지협의체까지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마더서비스 및 효자손서비스 등의 직접 서비스 제공프로그램을 혼합해서 운영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68 <그림 Ⅳ-5> 성남시 읍면동 현황 - 때문에 지역환경-인력투입이 고려된 모형이 운영되고 있고, 각종 프로그램이 함께 운영되고 있는 방식임. □ 성남시 ○ 성남시는 중원구를 대상 으로 구 중심 복지전달 체계 개편을 진행함. 2015년 4월에 구에 관련 팀이 설치되었고, 7월 부터 본격적으로 업무가 추진됨. ○ 핵심내용 - 성남시는 일반구가 있고, 아래에서 살펴보겠지만, 중원구의 경우 복지대상 자가 상대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특징이 있음. 이에 읍면동 중심으로 인력확 충이 어렵다는 점에서 구 중심 전달체계 개편을 추진 - 중원구청에 복지지원과 설치. 복지지원 내에 희망복지팀장, 복지발굴팀, 사례 관리팀을 설치해 방문서비스와 자원관리, 통합사례관리 업무를 구청 중심으로 진행함.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69 <그림 Ⅳ-7> 양주시 읍면동 현황 <그림 Ⅳ-6> 중원구 복지지원과 조직도 복지지원과 구(舊) 조직도 복지지원과 현 조직도 ○ 업무 - 복지, 보건, 주거, 고용, 의료 등 One-Stop 통합서비스 제공, 사례관리 전문화 컨트롤타워 역할 구축 - 동 주민센터 : 방문서비스, 통합사례관리 - 구 복지지원과 : 방문서비스, 통합사례 관리, 자원관리 업무 수행 ○ 운영시기 : 2015년 4월부터 실시 □ 양주시 ○ 양주시는 2015년 8월부터 통합사례 관리, 9월부터 방문서비스와 관련된 시범사업을 추진함. 특히, 양주시는 도농복합지역이라는 점에서 전체 지역이 아니라 일부 지역에 집중해 시범 사업을 추진 함. ○ 핵심내용 - 개별동과 중심동 모형으로 시범사업 추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70 <그림 Ⅳ-8> 용인시 읍면동 현황 - 개별동 : 양주 2동 중심으로 추진 ・ 동에서 방문서비스, 통합사례관리, 자원관리 등과 관련된 업무가 해당 동에서 추진 ・ 인력 : 양주시는 이미 전체 읍면동에 복지팀장 배치됨. 복지직 공무원 확충, 통합 사례관리 관련 인력 2명 배치, 방문서비스 수행을 위해 방문간호사와 연계 - 중심동 : 회천권역(회천 2동 중심동, 회천 1동, 3동, 4동 일반동) ・ 모든 동에서 방문서비스 사업 추진(방문간호사와 연계해 방문서비스 추진). 중심동은 해당 권역 동에서 의뢰되는 통합사례관리업무 담당함. 일반동은 방문형통합서비스 추진, 통합사례관리가 필요한 가구 의뢰 ・ 인력 : 복지직 공무원 확충, 1명의 통합사례관리사 배치. 확장형 네트워크팀이 회천 2동에 함께 근무해 사례관리와 관련된 전문성 확보 ○ 업무 - 모든 동 : 방문서비스 사업 추진(방문간호사와 연계해 방문서비스 추진) - 중심동 : 해당 권역 동에서 의뢰되는 통합사례관리업무 담당 - 일반동 : 방문형통합서비스 추진, 통합사례관리가 필요한 가구 의뢰 - 개별동 : 방문서비스, 통합사례관리, 자원관리 업무 수행 ○ 운영시기 - 통합사례관리 : 2015년 9월 - 방문서비스 : 2015년 8월 1일 □ 용인시 ○ 용인시는 일반구가 있는 도농복합지역의 특징이 있음.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과 관련해서 - 복지동장제 실시와 복지 팀장제를 운영해왔음.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71 - 그 외의 조직적 변화는 준비 중인 상황임. 2. 서비스 수요측면 1) 전체 평균 - 여기에서는 읍면동별 서비스 수요자 현황 분석. 이를 위해 인구, 노인 및 아동, 등록장애인,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우선돌봄차상위지원 사업, 긴급복지지원 사업, 무한돌봄사업 대상자 수 분석 □ 인구 ○ 시군의 읍면동별 평균 인구수를 살펴보면, 경기도 평균은 21,137명임. - 부천시는 총 855,292명이며, 동별 평균 23,758명임. 성남시 중원구는 총 251,788명이며, 동별 평균 22,890명임. 양주시는 총 202,813명이며, 동별 평균 8,437명임. 용인시는 총 983,094명이며, 동별 평균 31,712명임. 의왕시는 총 158,482명이며, 동별 평균 26,413명임. - 용인시가 전체적으로 인구가 많기 때문에 읍면동별 인구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반면, 양주시는 도농복합지역으로서 읍면동별 인구 역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남. <표 Ⅳ-2> 인구 수 시군명 인구 수 노인(65세 이상) 아동(만 5세 미만) 전체 읍면동별 평균 전체 읍면동별 평균 전체 읍면동별 평균 경기도 12,323,172 21,137 1,307,782 2,378 675,719 1,229 의왕시 158,482 26,413 15,625 2,604 8,472 1,412 부천시 855,292 23,758 93,121 2,587 38,292 1,064 성남시 995,349 20,736 109,579 2,283 50,352 1,049 양주시 202,813 18,437 24,927 2,266 12,219 1,111 용인시 983,094 31,712 100,426 3,240 54,471 1,757 주1) 평균 : 읍면동별 평균값임. 주2) 자료기준 : 2014.12월 말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72 ○ 노인 수 - 시군별 전체 노인 수를 살펴보면, 용인시가 가장 많은 3,240명으로 나타남. 양주시는 읍면동별 인구수는 적지만, 노인인구는 읍면동별로 타 지역과 유사한 2,266명으로 나타나고 있음. - 상대적으로 의왕과 부천 역시 읍면동별 노인인구수가 2,600명으로 높은 수준 ○ 아동 현황을 살펴보면, - 용인이 가장 많고, 그 뒤를 의왕시가 쫓고 있음. 용인시는 전체적으로 인구가 많고 인구에 비해 읍면동수가 적기 때문에 읍면동당 담당해야 되는 수급자, 노인 및 아동 수는 많은 상황임. 그러나 인구에 비하면, 그 비율은 타 지역보다 낮은 상황 □ 등록장애인,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우선돌봄차상위 수급자 수 ○ 등록장애인 현황을 살펴보면, - 등록장애인이 부천시에 가장 많고, 그 음으로 용인시가 있음. 성남시 전체로 보면 성남시 역시 높지만, 중원구에 집중한 경우 11,708명으로 나타남. - 평균적으로 읍면동별 900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남. ○ 기초생활보장수급자 현황을 살펴보면, - 시군별 기초생활보장수급 대상자 수를 살펴보면, 성남시가 가장 많게 나타남. 다만, 성남시를 중원구에 집중할 경우 4,991명으로 나타남. 이 수치는 용인시 전체와 유사하며, 양주와 의왕보다 많은 수치임. - 읍면동별 평균을 보면, 성남시가 동별 수급자가 454명으로 가장 많고, 용인시는 169명 으로 적게 나타남. 반면, 용인시의 경우 동별 인구수가 많은 특징이 있었음. ○ 우선돌봄차상위 수급자 현황을 살펴보면, - 경기도 전체적으로는 16,301명이며 전체 읍면동별 평균은 34명임. 읍면동별 평균을 보면, 성남시가 75명, 의왕시가 79명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73 <표 Ⅳ-3> 등록장애인,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우선돌봄차상위 수급자 (단위 : 명) 시군명 등록장애인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우선돌봄차상위 수급자 인원 평균 인원 평균 인원 평균 경기도 164,351 335 16,301 34 의왕시 6,002 1,000 1,239 207 472 79 부천시 35,256 979 12,694 353 1,302 36 성남시 중원구 11,708 1,064 4,991 454 820 75 용인시 31,240 1,008 5,068 169 1,007 35 양주시 10,349 941 3,960 360 532 48 주1) 평균 : 읍면동별 평균값임. 주2) 해당 값이 없는 시군은 해당 시군의 자료가 확보되지 않아 통계에서 제외함. 주3) 성남시는 중원구만 통계에 포함함 ○ 수요측면에서 보면, - 용인시는 읍면동별 인구, 노인인구수, 아동인구수가 다른 지역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음. 때문에 보편적 복지업무에 대한 민원수요가 높다고 할 수 있음. 반면, 기초 생활보장제도와 우선돌봄차상위의 경우 부천과 성남의 수요가 높은 상황임. 2) 동별 특징 ○ 위에서는 서비스 공급자와 수요자의 특징을 5개 지역 중심으로 살펴봄. 이를 통해서는 5개 지역 비교를 통해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음. 그러나 위의 수치는 시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것으로 시 내부의 동별 특징을 보여주진 못함. 이에 아래에서는 인구밀도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5개 지역의 읍면동별 특징을 살펴봄. □ 인구밀도의 구분 ○ 도시와 농촌이 혼재되어 있는 경기도의 특징을 고려할 때, 단순히 동과 읍, 면을 구분해서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 - 동이라 할지라도 도시지역 특징을 보이는 지역이 있고, 농촌지역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지역이 있기 때문임. 거꾸로 읍 지역이라 하더라도 도시적 특징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74 보이는 지역이 있는 것이 사실임. - 이런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농가면적을 활용할 수 있음. 그러나 농가면적을 읍면동 단위로 적용하는데 있어 통계자료의 접근에 한계가 있음.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밀도를 중심으로 지역을 구분함. 인구밀도는 면적과 해당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수를 고려한 것임. 이는 도시지역이 상대적으로 인구밀도가 높고, 농촌지역일수록 인구밀도가 낮다는 점을 고려해 구분한 것임. ○ 인구밀도5) 현황 - 5개 시군의 인구밀도 구간 분류 : 31개 각 시군 관할 읍면동의 인구밀도 값을 구한 후, 그 값을 적용해 분류 - 의왕시는 약간 높음(구간4)부터 약간 낮음(구간8)까지 분포함. 부천이나 성남시 중원구의 동과는 달리 약간 높은 인구밀도와 중간정도의 인구밀도를 보이는 동들로 구성되어 있음. 또한 청계동은 동이지만, 인구밀도가 용인시의 면과 읍지역과 유사하게 분류되는 상황임. - 부천시 총 36개 동은 인구밀도가 높음(구간1)부터 평균(구간7)까지 분포함. 구체적 으로 살펴보면, 4개동을 제외한 모든 동은 인구밀도가 높음과 약간 높음 구간에 속함. 부천시는 대부분 도시지역의 특징을 가진 동들로 구성되어 있고, 인구 밀집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성남시 중원구내 읍면동은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구간1)에서 평균인 지역(구간6)까지 분포함.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금광 1,2동, 상대원 2,3동, 은행 1동, 중앙동 등 6개 동은 인구밀도가 가장 높으며(구간1), 그 외 약간 높은(구간3)부터 평균(구간6)인 지역까지 분포함. 성남시 중원구의 경우 도천동과 상대원 1동의 경우 도시지역이라 하더라고 그 밀도가 낮은 지역이 있음. - 양주시는 평균(구간5)부터 낮음(구간9)까지 분포함. 회천3동, 양주2동, 회천 2동의 경우 동이라 하더라고 인구밀도가 높은 상황은 아니며, 양주1동은 동이지만, 인구밀도가 낮아 농촌지역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음. - 용인시내의 읍면동은 높음(구간2)부터 낮음(구간9)까지 분포함. 도시지역의 경우 인구밀도가 높고, 용인시의 인구가 많이 거주하는 동백동과 신갈동은 평균의 인 5) 인구밀도=인구 수/면적. 즉 각 지역(읍면동)의 인구를 그 지역(읍면동)의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1㎢당 거주 하는 인구가 몇 명인지를 의미함.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75 구밀도를 보이고 있음. 반면, 기흥동, 동천동, 동부동은 동 지역이지만 인구밀도가 낮고 면, 읍지역과 함께 분류됨. <표 Ⅳ-4> 인구밀도 현황 (단위 : 개) 구분 의왕시 부천시 성남시 양주시 용인시 높음 구간1 - 상1동, 소사본3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2동, 원종2동, 중4동, 중동 금광1동, 금광2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은행1동, 중앙동 - - 구간2 - 괴안동, 상2동, 상3동, 상동, 송내1동, 송내2동, 심곡1동, 심곡본1동, 심곡본동, 약대동, 역곡2동, 중1동, 중2동, 중3동 - - 풍덕천2동죽전1동 약간 높음 구간3 - 고강본동, 소사동, 역곡1동, 역곡3동, 원미1동, 원종1동 성남동 - 풍덕천1동 상현1,2동 구간4 내손1동, 내손2동 고강1동, 도당동, 성곡동, 소사본동 은행2동 - - 평균 구간5 오전동 범박동, 신흥동 하대원동 회천3동 구갈동, 구성동 동백동, 마북동 보정동. 성복동 신갈동, 신봉동 죽전2동 구간6 - 오정동, 춘의동 도촌동, 상대원1동 양주2동, 회천2동 상갈동, 상하동 서농동, 영덕동 유림동, 중앙동 약간 낮음 구간7 고천동, 부곡동 - - - 기흥동, 동천동 역삼동 구간8 청계동 - - 백석읍, 회천1동, 회천4동 동부동, 모현면 양지면, 포곡읍 낮음 구간9 - - - 광적면, 남면, 양주1동, 은현면, 장흥면 남사면 백암면 원삼면, 이동면 구간10 - - - - - □ 동별 현황 ○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구간1, 2)의 현황을 살펴보면, - 부천시의 구간1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4.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389명, 노인ㆍ아동 2,991명, 저소득층 168명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76 - 부천시의 구간2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3.7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283명, 노인ㆍ아동 3,604명, 저소득층 121명임. - 성남시 중원구의 구간1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2.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480명, 노인ㆍ아동 3,399명, 저소득층 161명임. - 용인시의 구간2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3.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126명, 노인ㆍ아동 7,360명, 저소득층 184명임. - 정리하면, 같은 인구밀도를 가진 이 구간에서 용인시는 타 지역에 비해 전체 공무원, 인구, 노인ㆍ아동이 많음. - 반면, 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성남시 중원구와 부천시의 구간 1에 속하는 동들에 많음을 알 수 있음. 아래에서 언급하겠지만, 모형설계과정에서 이렇게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의 관련된 동별 인구수는 개별동과 중심동 설계에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됨. 즉 인구밀도가 높고, 동별 담당해야 하는 수급자와 대상자가 많은 경우 개별동으로 설계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임. 반면, 동별로 담당 인력이 적은 경우 중심동과 일반동 모델을 고려해볼 수 있음. <표 Ⅳ-5> 인구밀도 ‘높음’ 지역의 서비스 공급자 및 수요자 현황(평균) (단위 : 명) 구분 의왕시 부천시 성남시 중원구 양주시 용인시 ㆍ 구간1 구간2 구간1 ㆍ 구간2 ㆍ 상1동 소사본3 심곡2동 심곡3동 원미2동 원종2동 중4동 중동 송내2동 심곡1동 심곡본1동 심곡본동 약대동 역곡2동 중1동 중2동 중3동 금광1동 금광2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은행1동 중앙동 ㆍ 풍덕천2동죽전1동 높음 공 급 자 전체 공무원 수 ㆍ 11.6 11.1 9.0 ㆍ 13.0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 수 ㆍ 4.0 3.7 2.0 ㆍ 3.0 수 요 자 인구 수 ㆍ 22,692 24,821 20,069 ㆍ 50,339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수 ㆍ 389 283 480 ㆍ 126 노인ㆍ아동 수 ㆍ 2,991 3,604 3,399 ㆍ 7,360 저소득층 수 ㆍ 168 121 161 ㆍ 184 주1) 저소득층 : 무한돌봄사업 대상자+긴급복지지원 사업 대상자+차상위 본인부담경감 대상자 주2) 전체 공무원.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현원 기준임.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77 ○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구간3, 4)의 현황을 살펴보면, - 의왕시의 구간4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5.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460명, 노인ㆍ아동 4,668명, 저소득층 284명임. - 부천시의 구간3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3.3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337명, 노인ㆍ아동 3,789명, 저소득층 203명임. - 부천시의 구간4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4.3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531명, 노인ㆍ아동 5,801명, 저소득층 272명임. - 성남시 중원구의 구간3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2.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608명, 노인ㆍ아동 1,776명, 저소득층 163명임. - 성남시 중원구의 구간4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2.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517명, 노인ㆍ아동 4,127명, 저소득층 263명임. - 용인시의 구간3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3.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105명, 노인ㆍ아동 6,040명, 저소득층 153명임. - 정리하면, 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성남시 중원구(구간3)가 가장 많은 반면 용인시는 1백 명 약간 상회하여 지역 간 차이가 큼. 반면 용인시는 노인ㆍ아동 수가 타 지역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을 알 수 있음. <표 Ⅳ-6> 인구밀도 ‘약간 높음’ 지역의 서비스 공급자 및 수요자 현황(평균) (단위 : 명) 구분 의왕시 부천시 성남시 중원구 양주시 용인시 구간4 구간3 구간4 구간3 구간4 ㆍ 구간3 내손1동 내손2동 고강본동 소사동 역곡1동 역곡3동 원미1동 원종1동 고강1동 도당동 성곡동 소사본동 성남동 은행2동 ㆍ 풍덕천1동 상현1,2동 약간 높음 공 급 자 전체 공무원 수 13.0 11.3 12.8 11.0 11.0 ㆍ 12.0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 수 5.0 3.3 4.3 2.0 2.0 ㆍ 3.0 수 요 자 인구 수 29,428 21,634 28,042 32,126 29,007 ㆍ 38,762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수 460 337 531 608 517 ㆍ 105 노인ㆍ아동 수 4,668 3,789 5,801 1,776 4,127 ㆍ 6,040 저소득층 수 284 203 272 163 263 ㆍ 153 주1) 저소득층 : 무한돌봄사업 대상자+긴급복지지원 사업 대상자+차상위 본인부담경감 대상자 주2) 전체 공무원.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현원 기준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78 ○ 인구밀도가 평균인 지역(구간5, 6)의 현황을 살펴보면, - 의왕시의 구간5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5.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652명, 노인ㆍ아동 7,138명, 저소득층 328명임. - 부천시의 구간5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4.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191명, 노인ㆍ아동 2,848명, 저소득층 111명임. - 부천시의 구간6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4.5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19,098명, 노인ㆍ아동 2,694명, 저소득층 176명임. - 성남시 중원구의 구간5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2.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151명, 노인ㆍ아동 3,213명, 저소득층 75명임. - 성남시 중원구의 구간6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3.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418명, 노인ㆍ아동 4,407명, 저소득층 185명임. - 양주시의 구간5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5.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460명, 노인ㆍ아동 4,668명, 저소득층 284명임. - 양주시의 구간6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5.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652명, 노인ㆍ아동 7,138명, 저소득층 328명임. - 용인시의 구간5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3.7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159명, 노인ㆍ아동 6,258명, 저소득층 114명임. - 용인시의 구간6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3.5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218명, 노인ㆍ아동 4,795명, 저소득층 202명임. - 정리하면, 같은 인구밀도를 가진 이 구간에서 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양주시 (구간6)와 부천시(구간6)가 많으며, 노인ㆍ아동은 용인시(구간5), 의왕시(구간 5)가 6천명 이상으로 많음. 반면 부천시(구간5,6)는 타 지역에 비해 적은 것을 알 수 있음.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79 <표 Ⅳ-7> 인구밀도 ‘평균’ 지역의 서비스 공급자 및 수요자 현황(평균) (단위 : 명) 구분 의왕시 부천시 성남시 중원구 양주시 용인시 구간5 구간5 구간6 구간5 구간6 구간5 구간6 구간5 구간6 오전동 범박동신흥동 오정동 춘의동 하대원동 도촌동 상대원1 동 회천3동 양주2동회천2동 구갈동 구성동 동백동 마북동 보정동 성복동 신갈동 신봉동 죽전2동 상갈동 상하동 서농동 영덕동 유림동 중앙동 평 균 공 급 자 전체 공무원 수 12.0 10.0 11.0 10 11 13.0 14.5 12.0 11.8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 수 4.0 4.0 4.5 2.0 3.0 5.0 5.0 3.7 3.5 수 요 자 인구 수 42,224 23,050 19,098 15,332 27,454 29,428 41,036 38,064 35,573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수 296 191 550 151 418 460 652 159 218 노인ㆍ아동 수 6,052 2,848 2,694 3,213 4,407 4,688 7,138 6,258 4,795 저소득층 수 206 111 176 75 185 284 328 114 202 ㅜ주1) 저소득층 : 무한돌봄사업 대상자+긴급복지지원 사업 대상자+차상위 본인부담경감 대상자 주2) 전체 공무원.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현원 기준임. ○ 인구밀도가 약간 낮은 지역(구간7, 8)의 현황을 살펴보면, - 의왕시의 구간8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3.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260명, 노인ㆍ아동 3,483명, 저소득층 228명임. - 양주시의 구간8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3.3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316명, 노인ㆍ아동 2,935명, 저소득층 174명임. - 용인시의 구간7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3.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159명, 노인ㆍ아동 4,391명, 저소득층 122명임. - 용인시의 구간8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3.0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182명, 노인ㆍ아동 3,523명, 저소득층 156명임. - 의왕시의 구간7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2.5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181명, 노인ㆍ아동 3,467명, 저소득층 193명임. - 정리하면, 같은 인구밀도를 가진 이 구간에서 기초생활보장수급자와 노인ㆍ아동은 용인시(구간7)가 가장 많으며, 저소득층은 의왕시(구간8)만이 2백 명을 상회함.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80 <표 Ⅳ-8> 인구밀도 ‘약간 낮음’ 지역의 서비스 공급자 및 수요자 현황(평균) (단위 : 명) 구분 의왕시 부천시 성남시 중원구 양주시 용인시 구간7 구간8 구간7,8 구간7,8 구간8 구간7 구간8 고천동 부곡동 청계동 ㆍ ㆍ 백석읍 회천1동회 천4동 기흥동 동천동 역삼동 동부동 모현면 양지면 포곡읍 약간 낮음 공 급 자 전체 공무원 수 9.5 9.0 ㆍ ㆍ 11.7 11.0 17.2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 수 2.5 3.0 ㆍ ㆍ 3.3 3.0 3.0 수 요 자 인구 수 19,389 20,789 ㆍ ㆍ 16,069 29,093 23,435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수 181 260 ㆍ ㆍ 316 159 182 노인ㆍ아동 수 3,467 3,483 ㆍ ㆍ 2,935 4,391 3,523 저소득층 수 193 228 ㆍ ㆍ 174 122 156 주1) 저소득층 : 무한돌봄사업 대상자+긴급복지지원 사업 대상자+차상위 본인부담경감 대상자 주2) 전체 공무원.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현원 기준임. ○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구간9, 10)의 현황을 살펴보면, - 양주시의 구간9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3.2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250명, 노인ㆍ아동 1,875명, 저소득층 79명임. - 용인시의 구간9 공급자 중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2.5명임. 또한 수요자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132명, 노인ㆍ아동 2,425명, 저소득층 61명임. - 정리하면, 같은 인구밀도를 가진 이 구간에서 양주시가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저소득층은 용인시보다 많은 반면 용인시는 인구, 노인ㆍ 아동이 양주시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음.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81 <표 Ⅳ-9> 인구밀도 ‘낮음’ 지역의 서비스 공급자 및 수요자 현황(평균) (단위 : 명) 구분 의왕시 부천시 성남시 중원구 양주시 용인시 구간9,10 구간9,10 구간9,10 구간9 구간10 구간9 구간10 ㆍ ㆍ ㆍ 광적면 남면 양주1동 은현면 장흥면 ㆍ 남사면 백암면 원삼면 이동면 ㆍ 낮음 공 급 자 전체 공무원 수 ㆍ ㆍ ㆍ 12.0 ㆍ 16.2 ㆍ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 수 ㆍ ㆍ ㆍ 3.2 ㆍ 2.5 ㆍ 수 요 자 인구 수 ㆍ ㆍ ㆍ 8,621 ㆍ 11,772 ㆍ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수 ㆍ ㆍ ㆍ 250 ㆍ 132 ㆍ 노인ㆍ아동 수 ㆍ ㆍ ㆍ 1,875 ㆍ 2,425 ㆍ 저소득층 수 ㆍ ㆍ ㆍ 79 ㆍ 61 ㆍ 주1) 저소득층 : 무한돌봄사업 대상자+긴급복지지원 사업 대상자+차상위 본인부담경감 대상자 주2) 전체 공무원.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은 현원 기준임. 3) 동별 개별동, 중심동 구분 □ 동의 규모와 수요 ○ 위의 표에서 분석한 것을 기초로 하여 동을 구분 - 앞서 제시했듯이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을 설계할 경우에는 통합성, 접근성, 전문성, 효율성과 함께 동의 규모를 함께 고려해 모형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 - 관련해 성은미 외(2015)의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31개 읍면동 대상으로 서비스 대상자, 인구밀도, 공급자를 고려해 군집분석을 통해 지역별 적합모형을 제시한 바가 있음.심동과 3개의 일반동으로 군집분석 결과 도출됨.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82 <표 Ⅳ-10> 각 시군별 읍면동 군집분포 지자체명 구분 읍면동 명 수  합계 의왕 일반동 내손1동, 고천동, 청계동 3 6개별동 0 중심동 내손2동, 오전동, 부곡동 3 성남 일반동 시흥동, 신촌동, 운중동, 복정동, 판교동, 양지동, 정자2,3동, 백현동, 태평1,2동, 이매2동, 수내1,2,3동, 수진1,2동, 단대동, 산성동, 서현2동, 신흥1,3동, 태평3,4동, 야탑1,2동, 금광1동, 상대원2,3동, 은행1동, 중앙동, 하대원동 33 46 개별동 정자1동 1 중심동 금곡동, 서현1동 야탑3동 삼평동 분당동, 신흥2동 이매1동 금광2동 성남동 은행2동 도촌동, 상대원1동 12 양주 일반동 회천 1,4동, 양주1동, 광적면, 남면, 은현면, 장흥면 7 11개별동 양주2동 1 중심동 회천2,3동, 백석읍 3 용인 일반동 죽전2동, 서농동, 기흥동, 동부동, 양지면, 남사면, 백암면, 원삼면, 이동면 10 33 개별동 죽전1동, 동백동 2 중심동 상현1동, 상현2동, 풍덕천1,2동, 구갈동, 구성동, 마북동, 보정동, 성복동, 신갈동, 신봉동, 상갈동, 상하동, 영덕동, 유림동, 중앙동, 동천동, 역삼동, 모현면, 포곡읍 21 출처 : 성은미 외, 2015: 60. 3. 서비스 공급 : 투입 □ 읍면동 전체 공무원 정ㆍ현원 ○ 읍면동 전체 공무원 현황을 살펴보면, - 정원의 경우 경기도 평균은 12.7명임. 용인시(13.7명)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양주시(13.2명), 부천시(12.0명), 성남시(10.6명), 의왕시(10.0명)의 순으로 나타남. - 현원은 경기도 평균은 12.3명으로 정원에 비해 0.4명 적은 것으로 나타남. 현원 기준으로 봐도 용인시(13.2명)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양주시(12.5명), 부천시 (11.4명), 성남시(9.9명), 의왕시(9.8명)의 순으로 나타남.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83 - 용인시의 경우 정원대비 현원이 0.5명, 양주 0.7명, 부천 0.6명, 성남 0.7명, 의왕 0.2명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표 Ⅳ-11> 읍면동 전체 공무원 정ㆍ현원 구분 읍면동별 전체 공무원 평균 읍면동별민원담당 공무원 평균 읍면동별 복지업무담당 공무원 평균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경기도 12.7 12.3 8.1 8.5 2.7 2.5 의왕시 10.0 9.8 6.3 7.2 3.5 2.8 부천시 12.0 11.4 - 7.7 - 3.8 성남시 10.6 9.9 6.2 8.1 4.4 2.3 양주시 13.2 12.5 9.2 8.7 4.0 3.7 용인시 13.7 13.2 10.9 9.5 3.1 3.2 주1) 평균은 읍면동 평균값임. 주2) 부천시(정원)의 자료 미확보로 통계에서 제외, 성남시는 중원구만 통계에 포함함 ○ 읍면동 일반행정ㆍ민원 공무원 - 정원은 경기도 평균이 8.1명. 용인시(10.9명)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양주시 (9.2명), 의왕시(6.3명), 성남시(6.2명)의 순으로 나타남. - 현원은 경기도 평균이 8.5명임. 정원보다 0.4명 많은 것으로 나타남. 용인시 (9.5명)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양주시(8.7명), 성남시(8.1명), 부천시(7.7명), 의왕시(7.2명)의 순으로 나타남. - 정원과 현원을 비교해볼 때, 용인시는 정원보다 현원이 1.4명 적고, 양주시는 0.5명 적은 것으로 나타남. 반면, 의왕은 현원이 0.9명, 성남은 1.9명 현원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읍면동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 정ㆍ현원 - 읍면동 전체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 정원을 살펴보면, 경기도 평균은 2.7 명임. 성남시(4.4명)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양주시(4.0명), 의왕시(3.5명), 용인시 (3.1명)의 순으로 나타남. - 읍면동 전체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 현원을 살펴보면, 경기도 평균 2.5명임. 부천시(3.8명)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양주시(3.7명), 용인시(3.2명), 의왕시 (2.8명), 성남시(2.3명)의 순으로 나타남.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84 - 정원과 현원을 비교해보면, 정원에 비해 현원이 경기도 전체적으로 0.2명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성남시의 경우 정원이 4.4명이지만 현원은 2.3명으로 정원에 비해 2.1명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양주는 0.3명, 의왕시는 0.7명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반면, 용인시는 현원이 0.1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전체적으로 볼 때, - 위의 수치가 동별 평균이라는 점을 감안하는 것이 필요함. 읍면이 포함되어 있는 양주시와 용인시는 상대적으로 정원이나 현원이 많은 특징이 있음. 반면, 도시 지역이라 할 수 있는 성남, 의왕의 경우 정원과 현원이 10명 정도로 나타남. - 민원담당공무원과 복지업무담당공무원을 비교해보면, 복지직 공무원의 3.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남. 저원기준으로 볼 때, 성남시와 의왕시는 복지업무담당자의 2배가 민원업무를 담당하며, 양주와 용인의 경우 복지업무담당자의 3배정도가 민원업무를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남. - 복지업무담당자를 보면, 기본적으로 동별 평균이 3명 기준이라고 할 때, 부천시와 양주시, 용인시는 현원이 3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남. 이는 아래 살펴보겠지만, 세 지역은 복지팀장이 배치됨으로서 3명 이상의 정원이 나타남. - 정원과 현원을 비교해보면, 경기도 전체적으로 볼 때, 복지업무를 담당해야하는 공무원들이 민원업무를 담당하는 것을 알 수 있음. 즉 복지업무담당자는 정원에 비해 현원이 적은 반면, 민원담당공무원은 정원에 비해 현원이 더 많기 때문임. - 지역별로 보면, 성남시의 경우 복지업무를 담당해야 하는 2명의 인력이 민원담당 업무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런 현상은 의왕도 마찬가지임. 복지업무를 수행해야하는 인력은 정원보다 현원이 적지만, 민원담당공무원은 정원보다 현원이 많은 상황 ○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 - 시군별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 현황을 살펴보면, 경기도 전체는 사회복지직 (73%), 행정직(25%), 기타직(1%)의 순으로 나타남. -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5개 지역을 보면, 성남시와 의왕시는 복지업무담당자의 98%, 100%가 복지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이는 모든 복지업무를 복지직이 담당하는 것으로서 이른바 보편적 업무라 하는 업무 역시 복지직이 담당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85 - 반면, 복지업무담당자 중 부천은 68%, 양주는 41%, 용인은 68%이 복지직 공무원 으로 나타남. - 복지업무 중 전문성이 필요한 업무는 전문성을 가진 복지직이 수행하는 것이 타당하지만, 보편적 업무의 경우 행정직이 일부 지원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임. 이런 측면에서 정원에 비해 복지 업무 담당하는 현원이 적었던 성남과 의왕은 대부분 행정직의 지원 없이 복지직이 모든 복지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반면, 양주시의 경우 복지업무수행자의 절반이상이 행정직 및 기타직렬이라는 점에서 복지업무의 전문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임. <표 Ⅳ-12> 시군별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 배치 현황 (단위 : 명, %) 구분 사회복지업무 담당공무원 총 인원 사회복지직 행정직 기타직 인원 백분율 인원 백분율 인원 백분율 경기도 1,370 1,006 73 348 25 16 1 의왕시 17 17 100 0 0 0 0 부천시 130 88 68 50 38 0 0 성남시 117 114 98 1 1 2 1 양주시 41 17 41 24 59 0 0 용인시 100 68 68 26 26 6 6 주1) 현원 기준임. ○ 시군별 복지팀장 배치 현황을 살펴보면, - 앞서 제시했듯이 각 지역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점차 읍면동에 복지팀장을 설치하는 추세임. 현재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지역 중에서 부천, 양주, 용인은 전체 읍면동에 복지팀장을 배치함. - 성남과 의왕은 아직 복지팀장이 배치되지 않은 지역임. ○ 방문간호사 및 직업상담사 배치 현황 - 방문간호사 배치 현황을 살펴보면, 방문간호사는 보건소 소속으로 만성질환자, 독거노인 대상의 방문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음. 최근 이들 방문간호사를 읍면동과 연계해 방문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도록 개편되고 있음.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86 - 5개 지역의 경우 부천시, 의왕시의 경우 동과 방문간호사가 연계되어 주 2~3회 방문서비스 수행 시 함께 방문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음. - 직업상담사 배치 현황을 살펴보면, 부천, 용인, 의왕은 시 일자리센터에 있는 직업 상담사를 동으로 배치해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 2 서비스공급자 인식 및 만족도 조사 ○ 본 연구에서 사례분석으로 하고 있는 5개의 지역은 이미 자체적인 방식으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 앞서 제시했듯이 의왕은 2015년 상반기부터 전체 6개동에 방문간호사와 통합 사례관리인력 1명을 동으로 배치함. 부천은 2014년부터 중심동 모형으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성남은 중원구 대상으로 구 중심 전달체계 모형 개별을 추진 중이며, 양주는 회천권역과 양주 2동 대상으로 중심동과 개별동 모형 시범사업 중임. - 때문에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는 지역에 맞는 모형설계를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실무자들이 현 시스템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이를 기초로 조직이나 인력, 업무의 내용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이 도출 될 수 있기 때문임. 설문조사과정에서는 용인을 제외하였는데, 이는 아직 용인시 읍면동으로 조직이나 인력배치에 큰 변화가 없었기 때문임. - 이를 위해 아래에서는 우선, 서비스 공급자 대상의 설문조사와 FGI내용을 살펴봄. 1. 설문조사 □ 모집단 ○ 4개 지역에서 복지전달체계 업무, 통합사례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시, 구 지역 및 읍면동 직원대상의 조사임. 전체 대상자가 368명임. 대상자 명단은 해당 지역으로부터 직접 전달받음.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87 Cronbach의 알파 항목 수 .941 34 항목 총계 통계량 구분 항목이 삭제된 경우 척도 평균 항목이 삭제된 경우 척도 분산 수정된 항목-전체 상관관계 항목이 삭제된 경우 Cronbach 알파 현 업무에 대해 자긍심(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212.25 1376.135 .550 .939 현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나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다. 212.61 1379.736 .551 .939 근무량과 근무시간이 나의 능력에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212.91 1364.767 .582 .939 상사와 의사소통이 원활하다. 212.28 1354.800 .678 .938 나의 상사는 나의 고민이나 건의사항을 수렴해준다. 212.24 1362.999 .633 .938 나의 상사는 나의 직무수행에 많은 도움을 준다. 212.26 1361.945 .609 .938 <표 Ⅳ-13> 설문조사 응답률 시 명칭 모집단 응답자(응답비율) 의왕 34 30(88.2%) 부천 229 196(85.6%) 성남 53 52(98.1%) 양주 52 52(100%) 전체 368 330(89.7%) - 양주의 경우 52명 중 52명 응답해 응답률이 100%, 의왕의 경우 34명 중 30명이 응답해 응답률이 88.2%이며 성남의 경우 53명 중 52명이 응답해 응답률이 98.1%, 부천은 229명 중 196명이 응답해 응답률이 85.6%로 나타남. □ 신뢰도 검증 ○ 조사항목을 중심으로 신뢰도 검증을 진행함. - 부천, 성남, 의왕, 양주를 대상으로 진행한 총 34개 설문조사 항목을 대상으로 신뢰도 검증 결과 Cronbach의 알파 값이 .941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 - 모든 응답항목에 대한 제거 없이 분석 추진 <표 Ⅳ-14> 신뢰도 검증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88 Cronbach의 알파 항목 수 .941 34 나의 상사는 나의 개인적인 일/문제 발생시 관심을 가져준다. 212.30 1368.854 .608 .939 나는 상사에 대해 존경을 표하고 있다. 212.11 1372.068 .598 .939 업무성과에 대해 보상이 있다. 214.06 1373.884 .480 .940 업무 수행시 재량권이 있다. 213.28 1390.650 .422 .940 우리 기관의 업무량은 과중한 편이다(역코딩함) 214.89 1415.839 .257 .942 나의 업무와 권한이 명백하다. 212.89 1387.775 .527 .939 종사자로서 나는 인격적으로 존중받고 있다. 212.59 1354.382 .684 .938 출근을 하면서 결근하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역코딩함) 213.78 1363.038 .442 .941 이직을 심각하게 고려해본 적이 있다.(역코딩함) 213.18 1361.529 .456 .941 나의 담당 업무량은 적절한 편이다. 213.46 1373.020 .575 .939 내가 하는 업무의 전문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212.69 1398.450 .400 .940 방문서비스에 적절한 인력이 배치되어 있다 213.91 1378.607 .458 .940 방문간호사와 의사소통이 원활하다. 213.23 1362.790 .617 .938 방문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조직구성이 적절하다 213.27 1371.052 .601 .939 방문서비스 수행시 적절한 업무분장이 이뤄져있다 213.99 1365.749 .589 .939 방문서비스로 복지사각지대 발굴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213.34 1386.333 .526 .939 종합상담시간이 늘어났다. 213.13 1381.453 .657 .938 신규종합상담대상자가 늘어났다 212.68 1402.627 .440 .940 통합사례관리에 적절한 인력이 배치되어 있다. 213.56 1377.874 .515 .939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시와의 연계가 원활하다 212.85 1374.780 .661 .938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네트워크팀과의 연계가 원활하다 212.59 1388.232 .600 .939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읍면동(중심동, 개별동)과의 연계가 원활하다 212.56 1392.045 .556 .939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읍면동(일반동)와의 연계가 원활하다 212.74 1385.517 .630 .939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전문적인 슈퍼비전을 받는다 213.39 1378.881 .569 .939 우리 지역사회의 상항을 고려할 때 현재의 복지서비스 전달체계는 적절하다. 213.48 1381.299 .618 .939 나는 현 우리 지역사회의 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에 만족 한다. 213.68 1370.883 .634 .938 내가 생각하는 복지서비스 대상자들의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 점수는 ( )점이다(오른쪽에 체크). 213.43 1371.701 .635 .938 내가 생각하는 복지서비스 대상자가 느끼는 복지제도에 대한 신뢰도 점수는 ( )점이다(오른쪽에 체크). 212.76 1382.977 .634 .939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89 □ 일반적 현황 ○ 업무 특성을 보면 - 응답률은 89.7%이며, 부천시가 압도적으로 많은 59.4%를 차지하고 있음. 그 뒤를 성남과 양주가 15.8%를 차지하고 있고, 시가 적은 의왕이 91.%를 차지 하고 있음. - 근무지를 보면, 시에서 근무하는 경우 13.3%, 읍면동이 가장 많은 74.2%를 차지 하고 있음. 성남시의 경우 중원구에 집중하고 있고 구청도 조사한다는 점에서 구 근무자도 3.9%로 나타남. - 현재의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 평균기간은 29.5개월로 나타남. 이는 공무원의 근무기간도 길지만 복지관과 통합사례관리업무 수행자 중에 경력이 긴 대상자 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임. - 담당업무의 경우에는 읍면동에서 다양한 복지업무를 수행하는 비율이 48.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합사례관리업무가 16.7%, 통합조사가 8.4%로 나타남. ○ 개인적 특성 - 개인적 특성을 보면, 남성이 96명으로 29.4%, 여성이 231명으로 70.6%를 차지 하고 있음. - 평균연령은 38.9세로 나타남. <표 Ⅳ-15> 응답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구분  빈도 유효 퍼센트 구분  빈도 유효 퍼센트 시 의왕시 30 9.1 담당 업무 다양한 복지업무 156 48.1 부천시 196 59.4 국민기초업무 56 17.3 성남시 52 15.8 통합조사업무 27 8.4 양주시 52 15.8 사례관리 54 16.7 합계 330 100.0 복지매니저 23 7.1 근무지 시 44 13.3 이웃돕기 7 2.2 동 245 74.2 합계 323 100.0 복지관 28 8.5 성별 남성 96 29.4 구청 13 3.9 여성 231 70.6 합계 330 100.0 합계 327 100.0 현 업무 수행 평균 월 29.45개월 연령 38.91세(평균)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90 시구분  의왕시 부천시  성남시 양주시 유의도 평균 N SD 평균 N SD 평균 N SD 평균 N SD 현 업무가 적성에 맞으며, 흥미와 열정을 갖고 있다. 7.23 30 1.91 7.06 196 1.90 6.75 52 2.30 6.00 15 2.67   현 업무에 대해 자긍심(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7.33 30 2.09 7.40 196 1.93 6.81 52 2.26 6.20 15 3.08   현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나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다. 6.90 30 1.94 7.06 196 1.85 6.75 52 2.00 6.07 15 2.58   근무량과 근무시간이 나의 능력에 적당 하다고 생각한다. 6.30 30 2.34 6.82 196 2.05 5.60 52 2.24 6.00 13 3.76 .001 상사와 의사소통이 원활하다. 7.33 30 1.71 7.40 196 2.03 7.21 52 1.95 7.13 15 1.51   나의 상사는 나의 고민이나 건의사항을 수렴해준다. 7.37 30 2.14 7.45 196 1.98 7.02 52 2.15 5.50 4 1.00   나의 상사는 나의 직무수행에 많은 도움을 준다. 7.47 30 2.00 7.42 196 2.10 7.08 52 1.95 5.50 4 1.00   나의 상사는 나의 개인적인 일/문제 발생시 관심을 가져준다. 7.23 30 2.18 7.35 196 1.93 7.04 52 1.90 6.80 10 2.94   나는 상사에 대해 존경을 표하고 있다. 7.47 30 2.15 7.48 195 1.94 7.23 52 1.87 7.50 10 1.51   업무성과에 대해 보상이 있다. 5.20 30 2.44 5.55 195 2.29 5.16 51 1.99 8.60 10 0.84   업무 수행시 재량권이 있다. 6.13 30 2.22 6.35 194 1.96 5.71 51 2.24 7.70 10 1.34   □ 시별 직무만족도 ○ 항목별로 보며, 업무성과에 대한 보상, 업무량에 대한 보상부분이 상대적으로 평균값을 보임. - 이는 다른 업무에 비해 업무가 많고, 이에 대한 보상이 적합하지 않다는 인식을 보여줌. ○ 시별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음. - 4개 지역별로 유의도를 포함해 평균값을 비교했음. 각 항목별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이는 지역에 음영을 표시함. - 양주시가 대부분의 항목에서 다른 의왕시, 부천시, 성남시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표 Ⅳ-16> 시별 직무만족도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91 시구분  의왕시 부천시  성남시 양주시 유의도 평균 N SD 평균 N SD 평균 N SD 평균 N SD 우리 기관의 업무량은 과중하지 않은 편이다 4.90 30 1.47 4.66 195 2.12 3.90 51 2.14 7.60 10 1.35   나의 업무와 권한이 명백하다. 6.40 30 1.83 6.75 194 1.82 6.22 51 2.10 8.40 10 1.43   종사자로서 나는 인격적으로 존중받고 있다. 6.33 30 2.32 7.04 196 2.02 6.29 51 2.19 6.91 22 1.90 .035 출근을 하면서 결근하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없다. 6.10 30 2.94 5.80 196 2.75 5.51 51 2.91 6.64 22 1.84   이직을 심각하게 고려해본 적이 없다 6.00 30 2.68 6.52 196 2.70 5.94 51 3.14 7.00 32 1.19   나의 담당 업무량은 적절한 편이다. 6.13 30 2.03 6.27 196 1.99 5.27 51 2.23 .021 내가하는 업무의 전문성이 높다고 생각 한다. 6.93 29 1.93 6.98 196 1.90 6.33 51 2.00   - 부천이 높게 나타나는 항목은 업무성과에 대한 보상, 업무 권한에 대한 구분, 적합한 업무량으로 나타남. - 의왕의 경우 높게 나타난 것은 업무량의 과중하지 않다는 부분, 출근하면서 결근 하고 싶은 등의 소진 등이 적게 나타나고 있음. - 성남은 전반적으로 모든 항목에서 값들이 낮게 나타나고 있음. - 현재의 직무만족도는 실무자들의 인식에 기초한 것이지만, 이에 의하면, 개별동과 중심동 모형을 설계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양주시의 경우 공급자들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음. 또한 구 중심 모형을 실시하고 있는 성남시 중원구의 경우 타 지역에 비해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낮고 소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의왕과 같이 전문성이 담보되지 않은 개별동 모형에서 소진과 업무량에 대해서만 만족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음. □ 근무지별 직무만족도 ○ 아래 표는 근무지 즉 시, 읍면동, 구에 따른 업무만족도를 표시한 것임. - 항목별로 보면, 업무성과에 대한 보상, 기관업무량에 대한 항목은 다른 항목에 비해 만족도 점수가 낮은 특징이 있음.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92 구분 시 읍면동 중원구청 복지관 유의도 평균 N SD 평균 N SD 평균 N SD 평균 N SD 현 업무가 적성에 맞으며, 흥미와 열정을 갖고 있다. 6.39 44 1.92 7.01 245 1.96 7.69 13 1.49 8.36 28 1.16 .000 현 업무에 대해 자긍심(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6.64 44 2.07 7.22 245 2.00 7.92 13 1.44 8.82 28 1.09 .000 현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나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다. 6.59 44 1.92 6.89 245 1.87 7.31 13 1.65 8.50 28 1.26 .000 근무량과 근무시간이 나의 능력에 적당 하다고 생각한다. 6.16 44 2.09 6.58 245 2.13 6.46 13 1.90 7.57 28 2.17   상사와 의사소통이 원활하다. 7.00 44 2.17 7.48 245 1.96 6.85 13 1.34 7.93 27 1.86   나의 상사는 나의 고민이나 건의사항을 수렴해준다. 7.25 44 2.10 7.43 245 2.01 6.54 13 1.71 8.04 27 1.95   나의 상사는 나의 직무수행에 많은 도움을 준다. 7.07 44 2.03 7.47 245 2.05 6.62 13 1.56 8.19 27 1.75   나의 상사는 나의 개인적인 일/문제 발생시 관심을 가져준다. 7.14 44 2.05 7.35 245 1.91 6.46 13 1.71 8.11 27 1.89   나는 상사에 대해 존경을 표하고 있다. 7.36 44 2.04 7.46 244 1.94 6.69 13 1.97 8.44 27 1.31 .028 업무성과에 대해 보상이 있다. 5.34 44 2.15 5.49 243 2.20 4.46 13 2.70 5.79 28 2.48   업무 수행시 재량권이 있다. 6.41 44 1.97 6.11 242 1.99 4.85 13 2.67 7.79 28 1.34 .000 우리 기관의 업무량은 과중하지 않은 편이다 3.70 44 1.72 4.76 243 2.05 4.23 13 1.88 4.21 28 2.01 .010 나의 업무와 권한이 명백하다. 6.77 44 1.43 6.48 242 1.93 6.31 13 1.89 7.39 28 1.59   - 또한 조사에 응한 복지관은 민간사례관리사, 네트워크팀 조정자인데, 이들은 대부분의 모든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 이에 복지관을 제외하고 공공기관인 시, 읍면동, 구청만 보았을 때 만족도가 높은 부분에 음영처리 함. ○ 적성, 자긍심, 전문성과 관련된 부분은 중원구청이 다른 읍면동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음. ○ 읍면동의 경우 - 근무량과 근무시간, 상사와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부분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음. <표 Ⅳ-17> 근무지별 직무만족도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93 구분 시 읍면동 중원구청 복지관 유의도 평균 N SD 평균 N SD 평균 N SD 평균 N SD 종사자로서 나는 인격적으로 존중받고 있다. 6.61 44 1.97 6.79 244 2.14 6.31 13 1.80 8.46 28 1.67 .000 출근을 하면서 결근하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없다. 4.77 44 2.88 5.97 244 2.77 4.77 13 2.71 6.57 28 2.91 .014 이직을 심각하게 고려해본 적이 없다 6.14 44 2.83 6.52 244 2.78 5.31 13 3.12 6.18 28 2.79   나의 담당 업무량은 적절한 편이다. 5.93 44 1.91 6.10 244 2.04 5.38 13 2.43 6.39 28 2.04   내가하는 업무의 전문성이 높다고 생각 한다. 6.75 44 1.89 6.74 243 1.92 7.46 13 1.81 8.46 28 1.32 .000 □ 시군별 업무내용에 대한 만족도 ○ 아래 표는 시군별, 업무내용별 만족도임. 음영은 각 항목에서 가장 값이 높은 항목을 표시한 것임. ○ 방문서비스 - 방문서비스와 관련해 수행한 질문은 방문서비스에 적절한 인력과 조직구성, 업무 분장과 관련된 투입지표임. - 투입지표에서 인력과 관련해 성남 점수가 낮게 나타남. 반면, 양주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음. - 방문서비스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조직구성인지에 대한 부분은 의왕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음. 이는 읍면동에 통합사례관리사와 방문간호사 배치로 인한 효과라 할 수 있음. - 방문서비스 업무분장과 관련해서도 양주시가 좀 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방문간호사와의 의사소통은 방문간호사가 배치되어 있는 의왕시와 부천시를 살펴봐야 하며, 의왕시와 부천시를 비교할 때 의왕시가 부천시보다 좀 더 높음을 알 수 있음. - 방문서비스가 복지사각지대 해소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양주가 7.13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반면, 성남시는 방문서비스와 관련해서 다른 지역과 비교할 때, 현저하게 만족도가 낮은 상황이라 구 중심 모형에서 방문서비스를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94 - 양주시는 방문서비스의 인력, 업무분장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사각지대 발굴에 대해서도 만족도가 높음. 의왕은 주로 조직과 방문간호사 등의 배치와 관련된 만족도가 높음. ○ 상담 - 동에서 추진하는 상담과 관련해서는 실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으로 인해 종합상담시간이 늘어났고, 신규대상자수가 늘어났는지를 조사함. - 두 항목 모두 의왕시가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음. 또한 부천시 역시 의왕시와 별 차이 없이 종합상담시간 증대, 대상자 발굴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서비스 공급자들이 응답함. - 반면, 양주의 경우 동에서 이뤄지는 종합상담에 대해서는 4개 지역 중에서 가장 만족도가 낮게 나타남. ○ 통합사례관리 - 앞서 언급했듯이 양주시의 경우 2015년 7월부터 통합사례관리와 관련해 시범 사업이 추진 중임. 이에 따라 통합사례관리와 관련된 항목의 경우 다른 지역과 비교해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음. 시와의 연계, 네트워크팀과의 연계, 동간의 연계에 대한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 - 중심동 모형을 추진하고 있는 부천은 동간의 연계에 대해서는 7점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지만, 적절한 인력배치, 슈퍼비전과 관련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음. - 전문성이 약한 개별동 모형을 추진하고 있는 의왕의 경우 적절한 인력배치와 관련된 부분, 시와의 연계부분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네트워크 팀과의 연계, 동간의 연계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 - 구 중심 모형을 운영하는 성남의 경우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임. - 양주시와 같이 개별동, 중심동 모형을 혼합해서 운영하고, 이에 맞춰 통합사례 관리 인력을 배치한 지역은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음.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95 <표 Ⅳ-18> 시군별 업무내용별 만족도 구분 의왕시 부천시 성남시 양주시 유의도 평균 N SD 평균 N SD 평균 N SD 평균 N SD 방문서비스에 적절한 인력이 배치되어 있다. 5.33 27 2.27 5.79 196 2.18 2.93 45 2.11 6.00 15 2.67 .000 방문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조직구성이 적절하다. 7.45 22 1.26 6.26 193 1.92 3.67 42 2.23 6.20 15 3.08 .000 방문서비스 수행시 적절한 업무분장이 이뤄져있다. 5.96 23 2.27 5.66 194 2.08 3.76 41 2.18 6.07 15 2.58 .000 방문간호사와 의사소통이 원활하다. 7.83 24 1.90 6.26 196 1.98 3.26 43 2.11 6.00 13 3.76 .000 방문서비스로 복지사각지대 발굴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6.87 23 1.71 6.15 196 1.83 5.56 41 2.61 7.13 15 1.51 .014 종합상담 시간이 늘어났다. 6.67 21 1.85 6.46 195 1.55 5.98 44 2.14 5.50 4 1.00   신규종합상담대상자가 늘어났다. 6.94 17 1.98 6.91 195 1.68 6.16 44 2.36 5.50 4 1.00 .044 통합사례관리에 적절한 인력이 배치되어 있다. 5.44 27 1.97 6.09 192 2.01 3.63 48 2.79 6.80 10 2.94 .000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시와의 연계가 원활하다. 6.12 17 1.45 6.73 192 1.73 4.67 43 2.35 7.50 10 1.51 .000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네트워크팀과의 연계가 원활하다. 7.58 19 1.46 6.95 193 1.61 5.31 42 2.36 8.60 10 0.84 .000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읍면동(중심동, 개 별동)과의 연계가 원활하다. 7.41 17 2.18 7.03 192 1.53 4.47 34 2.54 7.70 10 1.34 .000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읍면동(일반동)과의 연계가 원활하다. 7.00 15 1.85 6.89 192 1.54 4.73 11 2.00 7.60 10 1.35 .000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전문적인 슈퍼 비전을 받는다. 7.00 16 1.71 6.20 188 1.85 3.96 45 2.15 8.40 10 1.43 .000 우리 지역사회의 상항을 고려할 때 현재의 복지서비스 전달체계는 적절하다. 6.71 17 1.31 6.03 196 1.69 4.40 48 2.26 6.91 22 1.90 .000 나는 현 우리 지역사회의 복지서비스 전달 체계 개편에 만족한다. 6.14 21 2.01 5.92 196 1.78 3.96 48 2.37 6.64 22 1.84 .000 내가 생각하는 복지서비스 대상자들의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 점수는 ( )점이다. 5.81 21 1.94 6.18 196 1.77 5.38 48 1.96 7.00 32 1.19 .001 ○ 현재 전달체계에 대한 평가 - 전반적인 전달체계에 대한 평가를 보면, 양주시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 나고 있음. 현재의 복지전달체계가 적절하다는 부분,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부분 모두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음.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96 - 의왕의 경우에도 평균적인 점수를 보이고 있지만, 성남시는 이 역시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음. - 방문서비스 ・ 의왕의 경우 방문서비스 수행에 적절한 인력이 배치되어 있고, 방문간호사가 동에 배치됨에 따라 방문간호사와의 연계가 원활 ・ 양주 : 업무분장, 복지사각지대 발굴에 대한 효과 부분 ・ 부천 : 복지사각지대, 인력배치와 업무분장 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타 항목에 비해 점수가 낮음 ・ 성남 : 전반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음. - 종합상담 : 의왕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의왕은 복지코디네이터를 통해 종합 상담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임. - 통합사례관리 : 모든 항목에서 양주시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 □ 근무지별 업무내용에 대한 만족도 ○ 아래 표는 근무지별 업무내용별 만족도임. 음영은 각 항목에서 가장 값이 높은 항목을 표시한 것임. 앞과 유사하게 전반적으로 복지관의 만족도 항목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 ○ 방문서비스 - 방문서비스와 관련해서 시가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적절한 인력과 업무분장과 관련된 부분임. 반면, 읍면동에서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조직구성과 방문간호사와 관련된 부분임. 이는 앞서와 연동해서 볼 때, 동의 경우 방문간호사, 부천의 경우 복지매니저와의 연계를 통한 방문서비스 수행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음. - 종합상담에 대해서는 읍면동이 높은 만족도를 보임. ○ 통합사례관리 - 시의 경우 통합사례관리에 적절한 인력이 배치되어 있고, 시와의 연계가 원활 하다고 하는 항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 또한 시는 다른 동과의 연계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읍면동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 - 읍면동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은데, 특히, 인력과 슈퍼비전, 전달체계 개편이 적절한지, 만족하는지에 대한 부분이 낮음.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97 - 복지관은 전반적으로 사례관리와 관련해서는 만족도가 다른 근무지의 실무자 보다 높게 나타남. <표 Ⅳ-19> 근무지별 업무내용별 만족도 구분 시 읍면동 구청 복지관 유의도 평균 N SD 평균 N SD 평균 N SD 평균 N SD 방문서비스에 적절한 인력이 배치되어 있다. 5.37 30 1.88 5.27 219 2.53 4.10 10 2.51 6.00 24 1.89   방문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조직구성이 적절 하다. 5.79 29 2.14 6.00 212 2.27 4.25 8 1.39 6.26 23 2.26   방문서비스 수행시 적절한 업무분장이 이뤄져있다. 5.50 28 1.97 5.45 216 2.27 4.29 7 1.25 5.41 22 2.56   방문간호사와 의사소통이 원활하다. 5.80 30 1.83 5.94 215 2.50 3.88 8 1.89 6.52 23 2.31   방문서비스로 복지사각지대 발굴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5.55 29 2.26 6.21 216 1.93 7.71 7 1.80 6.13 23 1.74   종합상담 시간이 늘어났다. 5.97 30 1.61 6.47 210 1.64 5.38 8 2.07 6.56 16 1.50   신규종합상담 대상자가 늘어났다. 6.67 30 2.01 6.82 208 1.82 5.63 8 2.33 6.79 14 1.48   통합사례관리에 적절한 인력이 배치되어 있다. 6.30 30 1.62 5.37 208 2.47 5.17 12 2.76 7.04 27 1.53 .002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시와의 연계가 원활하다. 6.44 27 1.70 6.35 201 2.04 5.40 10 1.78 7.00 24 1.69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네트워크팀과의 연계가 원활하다. 6.82 28 1.61 6.64 202 1.86 7.10 10 1.52 8.00 24 1.96 .008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읍면동(중심동, 개 별동)과의 연계가 원활하다. 7.32 28 1.47 6.51 201 2.02       7.96 24 1.20 .001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읍면동(일반동)과의 연계가 원활하다. 7.14 28 1.38 6.84 166 1.59 4.73 11 2.01 7.26 23 1.48 .000 통합사례관리 과정에서 전문적인 슈퍼 비전을 받는다. 6.42 26 1.58 5.75 198 2.12 4.55 11 2.12 7.63 24 1.86 .000 우리 지역사회의 상항을 고려할 때 현재의 복지서비스 전달체계는 적절하다. 5.87 31 2.00 5.89 214 1.91 4.54 13 1.94 6.28 25 1.79   나는 현 우리 지역사회의 복지서비스 전달 체계 개편에 만족한다. 5.78 32 1.86 5.74 217 2.05 3.85 13 1.86 5.76 25 2.13 .013 내가 생각하는 복지서비스 대상자들의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 점수는 ( )점이다. 6.03 32 1.84 6.06 227 1.84 6.23 13 1.48 6.64 25 1.67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98 □ 전반적으로 볼 때, ○ 인력배치와 관련된 부분, 보상과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실무자 만족도가 낮음. 이에 대한 전반적 점검 필요 ○ 직무만족도 - 양주, 복지관의 근무자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 - 상사에 대한 관계와 관련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 ○ 업무내용 만족도 - 양주 : 통합사례관리와 관련된 적정인력배치. 이에 따라 통합사례관리에 대한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음. 또한 통합사례관리업무로 배치된 인력이 함께 방문서비스도 수행함에 따라 방문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아 지고 있음. 반면, 종합상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 필요 - 의왕 : 중간정도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음. 방문서비스의 경우 방문간호사와의 연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종합상담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음. 사례 관리의 경우 인력과 슈퍼비전과 관련된 만족도가 낮음. - 부천 : 중심동 모형을 유지하고 있는 부천의 경우 중간정도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음. - 성남 : 전반적인 만족도가 낮다는 점에서 업무추진에 대한 변화가 필요 2. 실무자 FGI 1) 방문서비스 □ 방문서비스 ○ 성과 - 방문서비스의 성과는 주로 양주와 부천을 중심으로 제시되었음. 이는 앞서 제시 했듯이 방문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이 확보되고 전달체계 개편이 추진 되었기 때문임. 반면, 업무추진이 체계적이지 않은 의왕과 용인은 방문서비스의 성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음.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99 - 우선 제시된 방문서비스 성과는 첫째, 지역사회 관심 증대 즉 공공인력부터 시작된 방문서비스에 대한 인식개선임. 실제 시범사업을 통해 이뤄지는 방문 서비스나 통합사례관리에 대한 인식개선은 동시에 대상자 가정에 대한 방문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음. 초기상담 할 때 가정방문을 하느냐 안 하느냐는 엄청난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옆에서 보다보면 아 이게 초기상담 한 번으로 안 되는구나. 그리고 가정 방문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사님들이 많이 인식을 하는 것 같고.... 그래서 이런 게 조금 더 효과가 있지 않나 싶어요(부천-나). - 둘째, 대상자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파악. 방문서비스를 통해 대상자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됨. 저도 가서 직접 보면서 상담을 하다 보니 그분들이 찾아왔을 때 더 친근감 있게 대할 수 있고 제가 방문했던 내용을 직원이 바빠서 나가지 못하니 방문 내용을 설명해주면 그동안 그 사람에 대해 전혀 몰랐던 내용을 알고 어떻게 연계해 주어야겠다 라고 직원이 쉽게 파악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이 좋아요(양주-B). 직접 방문을 나갔을 때와 대상자가 이곳에 방문하는 것이 정말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면서도(의왕-G) 그런데 그 집을 가서 실생활을 보는 것 하고 듣는 것하고 정말 달라요(양주-G). - 셋째, 방문서비스를 통해 사례관리로 연계되는 사례수가 증대. 정기적으로 방문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방문서비스를 통한 사례관리 대상자 증대 효과가 일부 발생 동장이 가정방문에 적극적이라 1주일에 한 번 3~4가구 씩 방문을 해요. 그래서 한 달에 13~15가구를 방문하는 것 같아요(의왕-D). 전체 케이스 중에 45%정도 방문형 서비스를 통해 발굴된 사례입니다(양주-바) 저희는 방문형 서비스에서 사례관리로 간 케이스가 00케이스에요(양주-C)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00 - 넷째, 방문서비스 이후 대상자에 대한 정보공유와 서비스연계회의를 추진함 으로서 대상자에게 좀 더 신속하고 통합적인 서비스 제공 가능 다녀와서 다섯 시 정도에 한 가구 이 집은 어떤 서비스가 필요하다, 이 집은 사례관리를 해야 하겠다 하면서 회의를 해요(양주-C). 방문하면서 수급자들과 조금 더 밀접해지고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만나고, 모르던 것을 가서 보면서 문제가 뭐가 있는지 새로운 것을 알게 되기 때문에 서비스의 연계나 사례관리도 점차적으로(양주-E) 회의를 해도 모든 참여자가 다 알아요. 이 사례에 대해 다 알고 있어요. 계획, 판정, 연계, 서비스 지원까지 다 나온다. 굉장히 다이렉트하게 갈 수 있어요. 아무것도 모르는 집단과 얘기하는 것과는 달라요(양주-나). - 다섯째, 양주시의 회천권역의 경우 회천 2동에 확장형 네트워크팀과 합동근무 하고 있음. 이에 따라 공간 통합으로 인해 정보의 소통 등이 원활하게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남. 복합적 욕구가 있는 경우 사례를 넘기고, 서비스 집중 관리를 하면서 저희한테 얘기를 하면 서로 소통 되면서 업무를 하니 이런 점은 좋아요(양주-C). 저희가 방문을 하고 바로 사례를 진행하다 보니 그날에 사례관리가 필요한 대상자는 바로바로 같은 부서 안에 계시니 사례관리 선생님이 연계가 훨씬 쉬워지긴 했어요(양주-D). 무한돌봄이 옆에 와있으니 뭐든지 바로바로 해결이 되고 후원이 들어와도 바로 연결해주고 그 쪽에서도 대상자를 얼른 찾아서 해주고 활성화가 될 수 있는데 저희는 지금 이런 운영은 바람직 한 것 같아요(양주-E). 저희가 지금 가장 좋게 생각하는 부분은 접근성이에요. 대상자 분들이 상담을 오셨는데 예전에는 공무원 담당자들이 기준이 안 된다 이게 안 된다고 말씀을 하셨다가, 이제는 이런 문제가 있는데 저쪽에서 상담 받아보시겠어요 하는 경우가 있어요(양주-다).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01 ○ 한계 - 위의 방문서비스 성과는 주로 양주와 부천을 중심으로 논의되었음. 의왕과 성남의 경우 대상자수가 증대했지만, 그 외의 적극적인 성과에 대해서는 크게 강조되지 않았음. 그렇다면, 방문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은 무엇인지 아래 에서 살펴봄. - 첫째, 공통적인 문제는 사각지대 발굴 효과 낮다는 점임. 방문서비스는 기존 대상자 관리와 신규대상자 발굴이 함께 수행되어야 하는 업무임. 그러나 주로 기존대상자 중심으로 방문서비스 추진됨에 따라 사각지대 발굴이 이뤄지지 못함. 또한 사각지대 발굴이 중심동만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 한 번 나갈 때 2~3번 가구를 방문하며, 한 달에 10~12가구를 방문하는 것 같아요. 처음 보는 대상자가 찾아와서 이야기 하면 가정방문을 나가고 신규발굴을 따로 하지는 않아요. 기존에 계신 분들을 뽑아서 가정방문을 가는 식이라……. 차상위의 경우 제가 서류를 직접 작성하여 서비스 연계까지 해 준 적이 있어요 (의왕-F). 무한돌봄과 희망지원의 취지자체가 달라요. 무한돌봄은 복지사각지대를 발굴하는 것이 목적이고 위기지원단은 위기가정을 지원하는 것이 목적 이예요. 복지부와 경기도에서 원하는 것도 달라요. 겉으로는 같게 보이지만 안으로 들어가면 확연히 다르죠…...그렇게 확 늘거나 그러지 않고 거의 비슷해요(부천-라). 이게 사례로 연결되는 것은 크게 느껴지지 않아요. 사례가 더 많아질 것이라 예상했는데 생각보다 별로 늘어나지 않았거든요(부천-가). 신규 사례관리 발굴은 효과를 보고 있는 것 같지는 않아요. 기존 수급자 관리를 하면서 그분들의 서비스 연계 쪽이지 사례관리 쪽으로 신규를 발굴하는 것은 효과가 없는 것 같다. 그래서 사각지대 발굴은 다른 액션을 취하거나 해야 할 것 같다(양주-D). (중심동 이후 사례 수는)크게 차이가 없는 것 같아요(부천-다). 시스템이 예전보다 많이 잡혔지만 케이스가 늘어나지는 않고 있는 듯해요(부천-마).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02 ○ 한계 발생원인 - 첫째, 방문서비스 자체가 체계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가장 핵심적인 이유는 방문서비스 수행 인력에 대한 부분임. 가장 중요하게 지적되는 이유는 방문 서비스 수행할 인력이 부족하다는 점임. 지금 시스템 상으로는 상담 나가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요. 너무 일이 많아 상담 나가는 것이 부담스럽거든요(의왕-G). 코디네이터가 종합상담을 한다면은 나머지 실무자 두 명이 이제 가정방문을 가야돼요. 그런데 이 모든 게 저희가 하는 기본행정적인 업무들이 없다면 가능 한데, 영구임대아파트 신청, 이웃돕기, 희망키움통장까지 그게 지금 저희 주 업무거든요. 근데 주 업무들을 다 배제한 상태에서 이거 사례관리를 하라고 하니까 문제인 것 같구요(성남-F). 가정방문이 사실 매우 어려운 실정 이예요. 주민센터로 방문하는 사람들과 관련된 일도 다 제대로 처리를 못하고 있어서(의왕-C)……. 기초수급자 업무까지 저희가 해야 하는 것은 힘들어요. 초기 창구가 되어 사후 관리까지 하는 것은 할 수 있겠지만(의왕-G)……. 수급자 업무 자체가 하기 힘들어요(의왕-D). 발굴 관련해서 또 복지조사도 해야 되고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도 해야 되고 그러니까 부담은 엄청나게 커졌는데 그 인원증원에 대한 체감도는 거의 없다는 거죠. 정원은 늘려놨어도 현원이 늘지를 않았으니까요(성남-A). 기존 인원을 가지고 하니 힘이 들어요. 자신의 본연의 업무만도 힘든데 이 사업 으로 인해 사례관리도 신경 써야 하고 방문 서비스도 직접 나가서 해야 하니 이런 점은 개선이 필요해요. 인력충원 문제가 제일 커요(양주-C). - 둘째, 방문서비스 수행 인력이 명확하지 않거나 적절하지 않음. 앞서 제시했듯이 지역마다 방문서비스 수행 인력이 다르고, 동장이나 팀장의 결합도가 낮아 지면서 관리가 어려운 측면이 있음.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03 매뉴얼대로는 하지 않는 거죠. 복지동장의 방문은 불필요한 것 같아요. 대상자와 약속잡기가 힘드니 동장님과 같이 나가는 것 자체가 어렵거든요(부천-C). 복지매니저가 실태조사를 해요(부천-B). 사실 직원들이 수시로 나가는 것은 힘들어요. 복지매니저가 있으면 바로 나가고 전달할 것 전달할 수 있기에 좋기는 하죠(부천-A). - 셋째, 방문서비스와 통합사례관리와의 역할배분문제임. 이 문제는 통합사례 관리를 담당하는 곳(중심동, 구, 시)과 일반동 간의 역할이 정확하게 배분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문제임. 대표적으로 성남시의 경우 시범사업 추진과정에서 통합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주체가 불명확해짐에 따라 방문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추진되지 못함. 집중사례관리 말씀하시는 거는... 그거는 저희가 다.. 동에서 의뢰 들어온 거는 거의 없었어요(성남-A). 전문 사례관리사들이 계시고 교육도 받으실 거고, 그거를 중점적으로 하시는 분들이잖아요. 그분들에 비해서 저희가 그 계획대로 단계단계마다 맞취서 시스템에 입력 하려니 너무나 힘든 거예요(성남-E). (통합사례관리 관련 정보입력)시간에 나가서 방문서비스 하는 게 나아요(성남-G). 저희가 필요성은 방문은 인식하고 있어요. 해야 된다는 건 알고 있는데(성남-C) 성남시 자체 복지업무가 너무 많습니다. 어르신행복가득생활비도 있고, 교복비, 65세미만 틀니지원 등 너무나 많은 복지업무가 있고 더 늘어나요. 그렇다면 성남시는 복지전달체계를 생각할 때 사례관리는 동에서 하기 어렵죠(성남-F). □ 타 분야와의 연계 ○ 방문간호사와 방문서비스를 함께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긍정적인 평가들이 이뤄짐.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04 - 첫째, 대상자에게 간단한 보건관련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대상자 만족도 개선됨. 가정방문을 나갈 경우 부천의 경우 방문간호사와 함께 나가도록 하고 있음. 방문간호사는 만성적인 질환자 약물관리뿐만 아니라 비타민 제공, 혈압 체크 등의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독거노인 등 건강에 관심 있는 대상자의 경우 방문간호사의 방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수밖에 없음. 아무튼 방문간호사가 나가면 (대상자가) 좋아하기는 하죠. 너무 좋아하고 감사해 하는데 방문간호사 선생님도 보건소 업무를 해야 하다 보니... 오전에는 여기 (동) 일을 하고 오후에는 보건소에 가서 일을 해야 하죠(부천-C). 출장 갈 때는 매일매일 일지를 어떤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은 확인해요. 1달에 1번 보건소장에게 출장서를 보내요. 방문간호사가 직접 방문하여 피검사도 다 해주고 그래서 엄청 큰 도움을 받고 있어요. 어르신의 경우 병원에 가지 않고 방치되는 분들이 계시는데 이렇게 방문서비스를 해주니(부천-B) 대상자들은 간호사들이 뭐 가져다주는 것을 좋아하죠(부천-B). - 둘째, 방문간호사와의 소통을 통해서 라포형성 등이 원활함. 방문간호사가 방문 서비스를 함께 수행함에 따라 대상자에 대한 기본적 정보를 방문간호사가 제공하기도 하고, 대상자가 쉽게 맘을 열고 필요한 욕구 등을 이야기할 수 있는 계기가 됨. 방문서비스가 활성화 되어 있지 않았는데, 거기는 업무 자체가 방문 서비스였기 때문에 대상자 접근이 방문간호사가 알고 있는 경우에는 라포형성도 빨리 될 수 있었고(양주-C) - 반면, 아직 방문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운영되지 않는 지역의 경우 방문간호사와의 연계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임. 저는 우리 동을 담당하는 간호사가 누구인지도 몰라요(용인-D). 대상자들에게 방문보건서비스를 실시해도 방문간호사들이 그 집에 갔는지 안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05 갔는지 확인이 잘 안 되어요. 저 같은 경우는 우리 동이 방문간호서비스를 받고 있다는 것을 뒤늦게 알았어요(용인-A). ○ 타 분야와의 연계 어려움 - 첫째, 중앙부처 차원에서 분야 간 연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지자체 에서 연계할 수 있는 수준이 제한됨. 즉 중앙단위에서 보건 분야와 복지 분야 간의 협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지역사회 내에서 연계하는 것은 쉽지 않음. 전달체계 개편을 이렇게 하면서 느꼈던 게 복지부에서는 방문간호사, 교육복지 사랑 이런 식으로 협업을 하라고 하면서... 지금 지역복지가 내려오잖아요, 그럼 중앙부처에서 합의를 봐야 하는데.... 그 쪽하고 이야기가 전혀 없이 지자체로만 뚝 떨어지다 보니까....(중략) 그러니까 그 자체 부서(복지, 보건 등)에서는 협의가 하나도 안 된 상태에서 지자체에 니들이 협조에서 알아서 만들어내라고 하는 자체가... 그럼 이게 보건소에 안 먹히는 거예요. 내려온 것도 없는데 왜 우리가 해 줘야 하는데? 가 되어 버리는 거죠(용인-F). - 이런 연계의 어려움은 직업상담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임. 실제 직업상담사는 그 업무 특성상 복지서비스 수요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는 점, 복지팀이 아닌 민원관련 팀에 배치되어 있는 상황임. 때문에 직업상담사를 동에 배치했으나 체계적인 서비스연계가 이뤄진다고 보긴 어려움. 직업상담사는 우리 관할이 아니 예요. 보건소 자체에서 방문간호사 배치를 허락해 주지 않아요. 복지부인데 복지가 보건과 별로 안 친한 것 같네요. 총리부가 (용인- 복지와 보건 연계를) 나서서 해줘야지(용인-E). - 둘째, 인식차이임. 방문간호사는 간호업무를 담당하는 인력이고 복지직은 복지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으로 서로 대상자를 바라보는 시각과 서비스 접근법이 상이한 것이 사실임. 이런 점들이 서로 사전에 공유되지 않을 경우 대상자에게 혼란을 발생시킬 수 있음. 동일한 내용을 질문을 다시 하는 경우가 있어요(양주-C).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06 대상자에 관한 관점이 조금 다를 경우에, 대상자에게 저희가 상의를 하고 얘기를 해야 하는데...... 의견이 다를 때는 좀 그런 경우가 있어요(양주-D). 2) 종합상담 ○ 종합상담은 내방하는 대상자에게 종합적인 복지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읍면동에서 대상자 누락방지를 위해 추진 - 종합상담은 복지코디네이터를 통해 추진되도록 되어 있음. -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5개 지역 중에서 종합상담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지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며, 복지코디네이터의 배치, 이들의 종합상담이 현실적 으로 불가능하다는 의견들이 다시 제시되었음. ○ 종합상담이 어려운 이유 - 종합상담이 어려운 첫 번째 이유는 앞서 같이 1명이 전담해서 복지코디네이터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인력부족 문제 때문임. (종합상담은) 한 명이 다 못해(성남-E). 복지코디네이터를 2명 이상 배치해야 하지 않나 싶어요. 2명이 번갈아가면서 내부에서 상담을 하거나 외부에 가정방문을 나가는 식으로(의왕-G). 종합상담을 복지코디네이터 한사람이 한다면 수급자 상담이 최소 30분 정도 걸리는데, 민원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서 있어야 되는데 이게 이 매뉴얼이 동 현실하고 너무 안 맞는다는 거죠(성남-F). - 둘째, 복지코디네이터의 업무가 무엇인지 체계적으로 교육받은 적이 없음. 또한 충실한 종합상담을 위해서는 내부적인 업무분장이 변화되어 종합상담에 집중 하도록 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함. 복지코디네이터 업무와 관련하여 따로 교육을 받은 적은 없어요. 저의 경우 상담스킬이 없다는 생각을 하는데……. 그리고 대상자가 말하고자 하는 부분이 정확하게 파악이 안 되는 경우가 있어요(의왕-E).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07 복지코디네이터로 하긴 했는데, 기존 업무 그대로 솔직히 하고 있어요. 변화된 것은 없고 코디네이터가 되었다고 해서 복지 전반적인 상담을 제가 하는 것도 아니고, 상담을 하다가 담당자가 다른 분이면 연계해주고 이 정도이지 코디네이터 로서의 역할을 잘 모르겠어요. 복지코디네이터라고 해서 따로 하고 있지는 않아요(양주-D). 복지코디네이터가 무엇인지에 대해 명확하게 알려주었으면 좋겠어요. 제가 복지 코디네이터라고 하니까 어떤 분이 코디는 정수기에 사용하는 단어가 아니냐고 했어요. 그리고 코디네이터에 대해 설명을 해야 할 때가 있을 때 이에 대해 설명을 하지 못하겠어요. 저 조차도 제가 무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건지 잘 알지 못해서(의왕-B)……. 복지코디네이터라고 되어 있는데 업무분장에 매뉴얼이 되어 있지 않아요. 그래서 저의 경우 오랫동안 이 일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복지코디네이터가 무엇인지,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어요. 복지코디네이터가 가정방문을 하는 역할이라고 생각했는데 가정방문을 전혀 나가지 못하고 있어요(의왕-G). - 셋째, 전문 인력의 부족문제임. 종합상담을 하기 위해서는 상담이 가능한 전문 인력이 동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그런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는 것임. 일단은 경험이 짧아요. 복지 코디네이터가 되기 위해서는 경력도 웬만큼 되어야 해요(양주-E). 복지직이 아닌 직이 복지직 팀장으로 오게 될 경우 복지코디네이터가 그 일을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해요(용인-E). - 넷째, 자원이 부족해서 상담자체가 어렵다는 점도 지적됨. 즉 종합적인 상담을 진행할 순 있지만, 상담 이후에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가 제한되어 있다는 점 에서 상담자체를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임. 차상위도 수급자도 아닌 민원인들이 상담을 받으러 올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 하고 난감해요. 그리고 의왕시에 민간자원이 없기에 법정급여 외의 사람들은 상담할 필요성이 없다고 생각해요(의왕-C).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08 3) 통합사례관리 □ 성과 ○ 동에서 통합사례관리를 추진하게 됨에 따라 여러 가지 성과가 도출될 수 있음. ○ 부천은 중심동 모형, 양주는 중심동과 개별동 모형, 성남은 구 중심 모형을 추진 중에 있는 상황 ○ 첫째, 신속성과 접근성의 개선 - 동을 중심으로 원스탑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과거 시와 구로 연결되는 시스템이 동으로 간소화되었음. 때문에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신속성이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음. 가정방문 한 번에 욕구조사가 가능하면 욕구조사를 끝내는 데(부천-다) 직원과 그 때 그 때 마다 소통이 되고 바로 나가게 된다고 보면 되요(부천-가). 정말 중요한 것만 사례관리를 했는데 지금은 좀 더 시에 있을 때보다 금방금방 서비스를 해줘요. 예전보다 접근성이 좋아졌어요(부천-E). 조금이라도 이 분이 필요한 것 같으면 바로 말씀을 드리니 연계 진행 속도가 빨라졌어요. 서비스 집중 연계도 되고 원스톱 처리도 되고 접근성이 좋아서 다 좋은데(양주-C) 저도 가보니 2주 동안 다이렉트로 원스톱이 다 되요(양주-나). ○ 둘째, 동과의 자원공유 - 과거 시를 중심으로 이뤄졌던 자원이 동으로 공유되지 못하거나 동별로 발굴된 자원이 시와 소통되지 못하는 문제들이 있었음. 그러나 동에서 통합사례관리 업무가 추진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사례관리 중심으로 자원이 공유되고 연계될 수 있음.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09 저희 권역 같은 경우 이걸 하고 나서부터 (중략).. 자원공유가 되는 것은 좋은 점이라고 생각해요(부천-다). 발굴팀에서 지난번에 만든 성금 예치금은 긴급하게 지원해야 할 대상자가 발생 했을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 아주 잘 만든 것 같아요. 동에서는 수급자나 차상위 책정자 아니면 이웃돕기 지원해줄 수가 없는데, 저소득으로 책정된 대상자가 아니더라도 어려운 세대에 후원 연계가 가능해져 동의 부담을 덜어주고 있어서 잘한 것 같아요(성남-F). 자원도 마찬가지에요. 그래서 내가 자원을 개발하고 발굴하고 서비스까지 나가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종결도 빨라질 수 있고 자립도 더 빨라 질 수 있어요(양주-나). 저희는 00센터 자원 발굴을 잘하고 계시고 열심이셔서 문제가 있으면 얘기만 하면 해결이 되요(양주-E). ○ 셋째, 통합사례관리업무에 대한 동의 관심 증대 - 과거에서는 시나 구 중심으로 통합사례관리 업무를 추진해옴. 그러나 이를 동에서 진행함에 따라 동에 있는 실무자들이 통합사례관리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음. - 이는 일반동에 있는 공무원들도 마찬가지임. 대상자 추천이 좀 더 원활해졌고, 이에 대한 사례판정회의와 서비스제공회의에 공무원이 참여함으로서 통합사례 관리에 대한 지역사회의 이해도가 높아지고 있음. 거점동 팀장은 통합사례회의에 다 참여하기에 사례관리 흐름에 대해 잘 알고 있어요(부천-c) 복지동 기능강화라고 해서 피부로 느끼는 것은 잘 모르겠지만 사례관리에 대한 이해도가 전반적으로 높아졌어요(부천-다). 예전 같으면 사례관리를 연계해야겠다는 생각까지는 못했다고 하면, 어떡하면 사례관리를 연계할 수 있는 사람을 발굴할까 이 생각을 먼저 하다 보니 그건 좋은 점 같아요(양주-D).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10 과거에는 형식적으로 했었다고 하면 지금은 적극적으로 하는 것 같아요(양주-D). 과거에는 (통합사례관리를)저희(읍면동)가 안하고 시에서 일괄적으로 했기 때문에 초기상담만 올리면 끝 이였어요. 실제적으로 같이 그 사람에 대해서 고민하고 확실히 저희도 다양한 케이스를 알게 되고 그런 면에서 같이 어울려서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요(양주-E). 예전에는 본인이 듣고 흘려버릴 수 있던 것을 사례관리로 올리기에는 애매하기도 하고 잘 모르는 경우에는 저희(사례관리사업무 담당인력)한테 바로 얘기를 하시니까 그런 점은 정말 좋다고 생각해요(양주-다). ○ 넷째,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발굴이 용이 - 동에서 근무함에 따라 과거보다 대상자에게 좀 더 밀접하게 관련될 수 있음. 또한 동에서 추진되는 방문서비스와 연계되어 통합사례관리 대상자가 발굴 되는데 용인한 부분이 있음. 시에 있을 때보다 동에 있으면 사례관리 발굴이 더 수월해요(의왕-G). □ 한계점 ○ 첫째, 통합사례관리가 전문적인 업무라는 점에서 전문성 확보와 관련되어 어려움을 토로함. - 통합사례관리업무는 위기가구 뿐만 아니라 복합적 욕구가 있는 대상자와 관련 되어 있다는 점에서 전문가가 업무를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강하게 제시되었음. 우리 같은 경우는 단순히 사람을 한 번 만나고 안 만나는 게 아니기에 전문성이 있어야 해요. 그렇기에 사례관리사는 경력직이 필요한데. 그리고 그 지역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이 사례관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의왕-G). 복지팀장이 있다고 해도 사례관리사 선생님이 더 전문가라고 볼 수 있어요. 그래서 굳이 이 역할을 복지팀장이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요. 팀장이 꼭 복지직이라고 해서 행정팀보다 나으라는 법은 없지만 인사팀이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요(부천-B).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11 - 그러나 실제 시에서 위기가구에 대한 고난이도 중심의 사례관리를 추진하다가 동에서 업무를 추진하는 경우 통합사례관리의 범위, 역할에 대한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고 있음. 사례관리의 범위는 다양해요(양주-나). 우리는 집중으로 포커스가 맞추어져 있기는 한데..(양주-다) ○ 둘째, 슈퍼비전에 대한 필요성 제시 - 동에서 업무를 추진하다보면, 시에서 업무를 추진할 때에 비해 슈퍼비전을 받을 기회가 줄어들게 됨. 동의 여건에 따라 복지팀장이나 동장님이 복지업무에 관심이 없는 경우에는 더더욱 그러함. 사례가 반드시 슈퍼비전이 필요해요(중략). 일반적으로 슈퍼비전 없이 사례관리를 진행한다는 것은 조금 무리가 있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개별동이 생긴다 해도 반드시 뒤에 체계를 가지고 들어가야지만 제대로 된 사례관리이지 안 그러면 서비스 연계수준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해요(양주-다). 슈퍼비전을 줄 수 있는 인사가 배치 안 되면 다 꽝이에요. 하나마나가 되요 (양주-나). 성과가 분명히 있을 것 같은데, 아까 말씀하셨던 것처럼 슈퍼비전 체계는 분명히 필요해요(양주-가). ○ 셋째, 동의 특수성에 의해 통합사례관리업무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임. - 대표적으로 동에서 업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동장의 마인드가 여전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업무에 동장님이 안 들어와 있기에 동장님은 우리가 실재로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잘 모르고 있는 상황 이예요. 그래서 일하면서 위축되기도 해요(의왕-G).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12 - 또한 동에서 근무하다보면, 동의 다양한 행사에 동원되는 문제에 대한 지적도 있었음. 특히, 사례관리사들의 경우 시 소속으로 업무를 추진했으나 읍면동 복지 기능강화 추진 이후 동으로 배치되었을 경우 동 행사에 참여해야 하는 부담에 대한 지적이 이뤄짐. 동으로 내려가라고 하면 동은 주말마다 행사가 많아요. 우리의 주 업무는 사례 관리인데 동 소속이기에 동의 행사에 참여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그곳 에서도 우리가 동 직원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을 것 같구여(의왕-G). 동으로 파견되어 힘들었어요. 동에서는 동 소속으로 동의 일에 신경 쓰기를 바라요(의왕-N). 동으로 내려가면 출장도 자유롭게 가지 못하고……. 눈치를 보면서 일을 하게 될 것 같아요(용인-바). ○ 넷째, 동의 통합사례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인프라 부족문제도 한계점으로 제시되었음. - 통합사례관리사가 방문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있어 2인 1조 운영이 어렵다는 점이 지적됨. 이는 동에서 1인 배치되어 업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담당 주무관이 업무가 과다할 경우 동행방문이 어렵기 때문임. 시에 있을 때는 정신질환자가 있다고 하면 같이 방문을 나갔는데 현재는 함께 방문을 갈 사람이 전혀 없어요. 정말 같이 가야한다고 하면 주무관님이 계시기는 하는데 너무 바쁘셔서 같이 가자고 말을 꺼낼 수가 없어요. 공익들도 바쁘고.... (의왕-G) 주무관과 공익에게 요청을 해도 함께 나가기가 힘들어요. 미리 말을 해서 예약해 놓지 않는 이상 함께 나가기는.....(의왕-C) 현재 사례관리 대상자 집이 걸어 다닐 수 있는 거리이기는 하지만 더운 여름날과 쌀 배달할 때는 불편해요(의왕-G).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13 ○ 다섯째, 시의 조정역할 - 동에서 통합사례관리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동과 시와의 소통문제, 읍면동간의 조정의 문제가 발생함. - 우선, 동과 시와의 소통문제임. 현재 결재라인이 시로 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주사님에게 깜빡하고 이야기를 하지 않았을 경우가 있어요(의왕-G). - 또한 사례관리부분에 있어서도 시에서 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됨. 이에 종결 등 사례관리절차에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는데, 이 역시 역할과 관련해 조정이 필요한 부분임. 사례관리라고 선정된 것이 다른 권역에서는 아니라고 보는 경우가 있거든요. 결정된 것은 인정해 줘야 한다고 생각하죠. 권역별로 편차가 너무 심하기에 격차를 줄여야 한다고 봐요. 공무원 시스템이 계속 사람이 바뀌는 형태고 복지 팀장의 역량이 다 다르다 보니(부천-다) 8개의 권역이 너무 편차가 심하죠. 판정회의는 주 1회 하며 거점마다 주 사례 관리사가 참여해요.(부천-라) 종결심사만 시에서 하는데 종결만 시에서 하는 것이 이해되지 않아요. 종결은 각 동에서 하는 것이 맞죠(부천-가). □ 통합사례관리 업무추진의 한계발생이유 ○ 첫째, 고용관계에 따른 전문 인력 확보의 어려움. 사례관리사가 무기 계약직이 되지 않는다면 계약 기간이 (2년으로) 짧기에 전문성이 많이 떨어지게 되요. 좀 배울만하다 싶으면 나가버리기 때문에……. 정말 안정적인 복지서비스를 해 주기를 원한다면 고용안전을 해주어야(의왕-B)……. 동 중심의 사례관리를 하게 된다면 동 소속의 무기 계약직이 되어야 한다고 봐요. 그렇지 않으면 의미가 없어요(의왕-L).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14 현재 통합사례관리사는 무기계약이예요. 사례관리 업무를 6년이든 7년이든 했어도 통합사례관리사는 1호봉으로 계약을 하였어요. 현재 직렬이 사례관리자가 아닌 단순 업무로 되어 있어요. 우리는 외부에서 봐도 전문가인데... 민간에서 경력을 갖고 온 건데..... 이에 대한 인정을 받고 있지 못해요. 사례관리사들의 복리후생이 보장되었으면 좋겠어요(용인-나). 사회복지사로서의 경력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죠(용인-다).... 통합사례관리 업무를 독립적으로 인정받았으면 좋겠어요. 구와 동으로 나누어 봤을 때 동으로 내려가면 (통합사례관리) 업무가 희미하게 되지 않을까 싶거든요 (용인-마). ○ 둘째, 중심동과 개별동의 조직적 한계 - 중심동 모형을 운영할 경우에는 중심과 일반과의 관계 설정에서 한계가 발생 할 수밖에 없는 태생적인 한계가 있음. 거점동에는 2명을 배치하고 나머지 동에는 1명씩 배치하면 거점동에는 사례가 많고 나머지 동에는 사례관리 대상자가 없다는 느낌이 들지 않을까……. 거점동의 사회복지팀장이 이 사람들을 어떻게 잘 아우를 수 있을지(의왕-L)……. 권역마다 다르게 운영되는 것 같기는 한데 어떤 지역은 동별로 나누어 일을 해요 (부천-가) 시에서 셋팅을 할 때 순번으로 돌았으면 좋겠다고 했어요. 각각 맡은 동마다 사례수가 많은 지역이 있을 수 있으니 입력하는 것은 동별로 맡지만 욕구조사는 순번으로.... 장단점이 있는 곳도 편차가 심해요(부천-라). 정확한 데이터를 뽑지는 않았지만 예전에는 사례관리사들이 발굴하는 게 많았는데.... 동끼리 경쟁을 해야 해요. 민감한 동은 많이 올리는데 민감하지 않은 동은 한 건도 올리지 않아요. 동별로 편중이 굉장히 심하죠(부천-라). - 업무배분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고 연계측면에서도 차이가 발생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15 현장에 나갈 상황이 되는 사람이 나가든가 순번제로 하죠. 오늘 내가 나갔으면 다음번에는 다른 사람이 나가는 식이예요(부천-가). 한 사람이 4사례를 맡는 경우도 있고 한 사람이 10사례를 맡는 경우도 있어요. 복지팀장의 권한인데 복지팀장이 거의 없고 사례관리와 무관한 분들도 계시는데.... 아직까지 그런 역량이 없어요(부천-라). 그 때 그 때 여건이 되는 사람이 해요. 저는 현재 8개의 사례를 담당하고 있어요. 같이 일하는 사람들과 여건이 되는대로 자유롭게 사례를 맡고 있어요(부천-가). - 개별동의 경우 제한된 인력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업무수행자의 부담이 높다는 점이 지적됨.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00사례관리사 선생님이 거의 많은 역할을 하셨어요. 부담이 있었을 것 같네요(양주-D). 인력도 사실은 두 분정도 파견이 되었으면 그분들은 사례관리를 전담 마크를 해야 하는 것이 사실 자원 발굴이나 서비스까지 주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기는 해요(양주-가). 저희도 자원이 필요하다고 하면 어떻게든 해 와요. 기존에 알고 지냈던 지인 분들에게 받아온다고 해여. 그런데 그게 어떻게 보면 부담이에요(양주-C). ○ 셋째, 민과 관의 시각차이 - 민간은 나름의 통합사례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상황임. 때문에 민과 관이 통합사례관리 실천 활동에 대한 접근방법이 다를 수밖에 없음. 이런 차이가 조정 되지 않고 운영되다보니 현장에서는 동별, 권역별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 네트워크팀이 네트워크팀이라고 하더라도 복지관안의 사례관리팀 안에 있기 때문에 사례관리팀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가 없어요(부천-마). 지역사회 사례관리 케이스가 굉장히 많은데 어떤 것은 사례관리로 보고 어떤 것은 사례관리로 않고... 동의 경우 위기가구가 아니는 것은 사례관리로 안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16 보는 듯해요(부천-마). 기본적인 취지는 복지관과 공공의 사례관리를 구분 짓지 않겠다는 거죠. 어떤 복지관은 100% 연계해서 하는 경우가 있어요(부천-라) 판정회의 할 때 통사선생님들이 사례라고 하면 민사선생님들이 사례가 아니 라고 하는 경우가 있어요(부천-G). 4) 소결 □ 사업의 성과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을 추진한 양주, 부천의 경우 사업의 성과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음. - 방문서비스를 통해 일정정도 대상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 확인, 인식개선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음. - 또한 통합사례관리가 동에서 추진됨으로서의 서비스 통합성, 접근성, 신속성이 개선되었다고 지적함. ○ 의왕 - 방문서비스가 추진되고 있지만 그 성과가 모호하며, - 통합사례관리와 방문서비스의 통합을 통해 대상자발굴효과가 있다고 지적함. ○ 성남 - 성남은 구와 동, 통합사례관리와 방문서비스와의 업무배분과정으로 인해 방문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수행되진 못함. - 사례관리 역시 구가 아니라 인력확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동에서 추진됨에 따라 여러 가지 갈등발생 ○ 용인 - 용인은 방문서비스나 통합사례관리업무가 추진되지 못해 그 성과가 크게 지적 되진 못함.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17 □ 사업의 개선사항 ○ 업무수행에 적합한 인력 배치 - 방문서비스 수행 인력을 명확히 명시하고, 방문서비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 해야 방문서비스가 균등하게 전 지역에서 이뤄지고 성과가 창출될 수 있음. 특히, 읍면동 복지기능강화로 인력이 동에 충원되고 있지만 실제 현원이 늘지 않은 상황에서 방문서비스를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음. - 통합사례관리 역시 업무수행에 적합한 전문 인력이 배치되어야 동 중심의 통합 사례관리가 운영될 수 있는 상황임을 알 수 있음. ○ 방문서비스의 경우 사각지대 발굴에 집중 - 방문서비스가 대부분 기존 대상자 관리에 그치고 있어 이를 좀 더 확대해 사각 지대 발굴에 집중해서 업무추진 필요 ○ 통합사례관리 - 중심동과 일반동과의 연계체계 - 동과 시와의 역할배분과 동간의 편차 완화 - 읍면동의 기본행정체계의 특징이 통합사례관리 등의 업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모니터링 하는 것이 필요 3 지역별 모형 1. 의왕시 전달체계 모형 1) 의왕시 동 환경과 현 전달체계에 대한 평가 □ 의왕시의 동 환경 ○ 앞에서 분석된 군집분석에 의하면, 의왕시는 - 총 6개 동 중에서 3개 동이 중심동 설계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남. - 내손2동, 오전동, 부곡동이 그 대상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18 <그림 Ⅳ-9> 의왕시 군집분석 결과○ 현재 시스템에 대한 공급자의 인식 - 현재 의왕시는 전체 6개 동에 복지 코디네이터 배치, 방문간호사와 직업상담사 배치, 통합사례관리 관련 인력 1인 배치 모형을 실시 중임. - 이에 의하면, 방문서비스의 경우 방문간호사 등의 배치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남. - 종합상담의 경우 실시하고 싶지만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통합사례관리의 경우 인력이 1명 배치된 수준이고 복지팀장이 없이 운영된다는 점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2) 의왕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설계도 □ 의왕시는 동복지기능강화 사업을 다양한 모델로 선택할 수 있음. ○ 아래 설계도는 의왕시가 현재의 시 수준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모델임. <그림 Ⅳ-10> 의왕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의 기본방향 설계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19 ○ 위의 설계도에 의하면, 우선, 의왕시의 6개 동에 단일모형을 적용할지, 아니면 동일한 모형을 적용할지 결정하는 것이 필요 - 단일모형은 관리측면에서 통일성을 가질 수 있음 - 혼합모형은 동의 특징을 반영하는 장점이 있음. - 의왕시는 사실 6개동이기 때문에 동별로 별도 모형을 적용하는 관리비용이 다양성을 인정한 비용보다 높을 가능성이 있음. - 때문에 통일성 있는 모형설계가 좀 더 유리함. <그림 Ⅳ-11> 의왕시 2개 모형 개별동 모형 중심동 모형 ○ 단일 모형을 설계한다고 할 때, 그 다음에 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과연 의왕시가 읍면동 복지기능강화를 위해 얼마나 투입할 수 있느냐에 대한 것임. - 복지팀장 배치 ・ 동 내에서 동복지기능강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복지부 2015년 7월에 제출된 지침처럼 동에 복지팀장을 두는 것이 필요함. ・ 복지팀장이 동에 배치되어야 일관성 있는 업무추진이 가능하며 전반적인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20 ・ 특히, 사례관리업무를 수행할 경우에는 동에 복지팀장이 사례배분, 서비스연계에 대한 점검 등을 수행해야 함. ・ 이에 복지팀장을 둘 수 있는지, 몇 명이나 둘 수 있는지 결정해야 함. - 통합사례관리담당인력 2명 이상 배치 ・ 통합사례관리의 업무특성상 전문성을 요하는 업무임. 현재 단순사례관리와 같이 동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사례관리영역이 확대되었다 하더라도 전문성이 필요 하고 혼자 수행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음. ・ 첫째, 통합사례관리를 복합적인 문제가 있는 대상자의 삶의 이력, 문제와 강점, 사회적 관계를 비롯한 종합적인 판단, 향후 삶의 방향에 대해 함께 논의하는 전문적인 업무임. 때문에 1명이 타인의 삶에 개입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 ・ 둘째, 통합사례관리담당인력이 1명 배치될 경우 1명의 개인적 역량에 따라 업무 수행에 차이가 발생함 ・ 셋째, 통합사례관리담당인력 1명이 배치될 경우 동에서 통합사례관리가 아닌 그 외의 복지업무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음. - 차량, 전화기, 상담실, 사례관리비 등의 재정적 지원 ・ 사례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조건이 마련되어야 함. 이를 위한 제반 여건을 마련할 수 있는 여건 - 위의 것들을 검토해 의왕시에서 자원투여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모형을 선택 하는 것이 필요함. □ 모형별 장단점 ○ 모든 모형은 장단점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대상자에게 통합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가까운 곳에서 제공할 수 있는 방식이라는 점은 동일함. - 모든 모형은 기본적으로 달성되어야할 통합성, 전문성, 접근성은 모두 달성할 수 있는 모형임. - 다만, 각 모형에 따라 통합성이 달성될 수 있는 정도, 접근성의 정도, 효율성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 방식이라 할 수 있음. ○ 각 모형별 정책선호도 - 아래 표는 위의 모형별 정책선호도를 표시한 것임.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21 - 전체 개별동 모형 : 통합성과 접근성측면에서 장점이 있음. 그러나 의왕시의 인구규모를 고려해볼 때, 효율성이 낮음. 또한 1명의 통합사례관리 인력배치만 으로는 전문적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고 할 수 있음. - 전체 중심동 모형 : 통합성과 접근성은 중간정도의 장점이 있음. 중심동에서 업무를 추진하기 때문임. 반면, 상대적으로 인력투여가 가능한 모델이라는 점에서 전문성과 효율성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음. 이런 측면에서 정책선호가 1순위임. - 개별동과 중심동 혼합모형 : 통합성과 전문성, 접근성을 최대한 반영해 모형을 설계할 경우 효과가 있을 수 있음. 그러나 문제는 앞서 언급했듯이 의왕시가 총 6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별도의 모델을 적용할 때, 오히려 관리 비용이 더 높을 수 있는 우려가 있음. <표 Ⅳ-20> 의왕시 전달체계 각 모형별 원칙에 따른 선호 구분 통합성 전문성 접근성 효율성 정책선호 전체 개별동 모형 ◌ x(1명 배치)◌(2명 배치) ◌ x 3(7점) 전체 중심동 모형 △ ◌ △ ◌ 1(10점) 개별동+중심동 혼합모형 ◌ ◌ ◌ x 2(9점) ○ 모형별 필요인력 - 아래는 모형별 필요인력임. 동별 필요인력은 동에서 방문서비스, 종합상담, 동 복지협의체를 업무를 수행한다고 할 때 최소한의 인력을 책정한 것임. - 개별동의 경우 동 마다 통합사례관리 인력이 2명씩 배치되는 모형임. 통합사례 관리업무담당자들이 사례관리를 위한 발굴 등의 서비스를 동의 실무자와 함께 진행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공무원 인력은 팀장에 한정해서 추계하였음. - 개별동과 중심동의 혼합모형의 경우 개별동(부곡동), 2개의 중심동을 설계하는 모형으로 복지팀장 3명, 해당동 통합사례관리담당 2명 배치 모형으로 설계함. 공무원 인력은 중심동 이외의 동, 중심동의 방문서비스 인력확충이 필요해서 동별 팀장 포함해 3.58~3.6명으로 구상 - 중심동 2개인 모형의 경우 2개의 동에 복지팀장, 통합사례관리사를 배치하는 모형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22 <표 Ⅳ-21> 의왕시 전달체계 각 모형별 추가필요인력 구분 공무원 인력 사례관리 인력 필요인력 추가인력 필요인력 추가인력 전체 개별동 모형* - 6급 : 6명 - 7~9급 : 17명(동별 2.8) - 6급 : 6명 - 7~9급 : 0명 - 동 : 12명 - 시 : 1명 - 6명 개별동+중심동 혼합모형 - 6급 : 3명- 7~9급 : 19명(동별 3.2) - 6급 : 3명 - 7~9급 : 2명 - 동 : 6명 - 시 : 1명 - 없음 중심동 중심동 3개 - 6급 : 3명 - 7~9급 : 19명(동별 3.2) - 6급 : 3명 - 7~9급 : 2명 - 동 : 6명 - 시 : 1명 - 없음 중심동 2개 - 6급 : 2명 - 7~9급 : 20명(동별 3.3) - 6급 : 2명 - 7~9급 : 3명 - 동 : 6명 - 시 : 1명 - 없음 * 업무분장표( 2015.6.16일 기준) 복지업무 담당 공무원 : 고천 3명, 내손1동 2명, 내손2동 2.5명, 부곡동 2.5명, 오전 동 4명, 청계 3명, 통합사례관리 인력 : 통합사례관리사 5명, 시 민간사례관리사 2명, 네트워크팀 2명 * 동별 필요인력 규모 산정(부록 1 직무조사의거) : a+b=3.58명(통합사례관리제외) - a(현재 동 기본업무) : 1.25(2.8 현재 동별 평균인력-1.55 방문 및 상담) - b(방문서비스, 초기상담서비스 1.5배 증대) : 2.33(1.55*1.5배 ) - 복지팀장은 직무의 0.8만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해 동별 3.58~3.56명 인력 배치 가능하도록 설계 □ 의왕시 적합모형의 도출 ○ 단일 모형의 적용 : 동의 수가 6개이기 때문에 단일 모형 적용이 타당 ○ 정책타당성을 검토에 따라 중심동 모형으로 설계 ○ 부곡동의 접근성 측면을 고려해 중심동 2개, 3개 모형 설계가 의왕시에 적합함. 2. 부천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 1) 부천시 동 환경과 현 전달체계에 대한 평가 □ 부천시 동 환경 ○ 앞에서 분석된 군집분석에 의하면, 부천시는 - 아래 그림에 제시되어 있듯이 중심동과 일반동이 혼합된 모형임. - 총 14개의 동이 중심동으로 설계되는 것이 타당하게 나타남. - 부천시의 인력현황을 고려하여 현재 8개의 중심동 모형으로 전달체계 개편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상황임.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군집분석 상 중심 동으로 선별된 지역을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23 ○ 현재 시스템에 대한 공급자의 인식 - 현 시스템에 대한 공급자들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의 성과가 방문서비스, 종합상담, 사례관리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음. - 그러나 방문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인력 배치, 업무분장, 통합사례관리에 대해서는 일정정도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특히, 실무자 FGI,에서 나타났듯이 복지사각지대 발굴 등에 있어서 사업성과 관리가 필요 <그림 Ⅳ-12> 부천시 군집분석 결과 부천시 군집분석 결과 부천시 현 중심동 모형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24 2) 부천시 전달체계 개편 방향 ○ 부천시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양주시까지 행정자치부에서 수행 하는 책임읍면동제와 관련된 개편이 예정되어 있는 상황. 책임읍면동세 실시를 앞두고 있어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의 모형 변화보다는 책임 읍면동제와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의 연계, 업무프로세스의 변화에 집중한 개편방향 제시 □ 일반동의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 강화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의 강화 - 현재 모든 동에서 추진하고 있는 방문서비스, 동사회보장협의체 업무를 보다 강화해서 추진하는 것이 필요 - 일부 책임동 실시 이후 일반동의 방문서비스 등을 책임동에서 추진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음. 그러나 부천시 책임동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일반동의 시스템 변화가 전제되어야 함. 즉 일반동에서 대상자 발굴, 대상자 연계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책임읍면동제 하에서 원스탑 복지서비스 제공이 어려움. ○ 이에 일반동의 방문서비스 강화를 위해 앞의 분석을 통해 다음의 개선이 필요 - 복지매니저 뿐만 아니라 복지팀장 및 공무원이 결합된 방문서비스 추진 필요 - 기존 대상자뿐만 아니라 복지사각지대발굴이라는 측면에서 신규대상자 발굴을 위한 각종 기획사업과 신규복지사각지대 발굴 - 방문서비스에 대한 관리 강화 : 책임읍면동제 실시 이후 일반동에서 방문서비스를 보다 강화할 수 있도록 시차원에서 지원하고 모니터링 필요 ○ 초기상담, 종합상담 강화 - 복지코디네이터를 지정하고 복지코디네이터가 종합상담 할 수 있도록 교육, 환경 개선 추진 - 복지대상자가 종합적인 정보와 상담을 통해 필요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 ○ 일반동과 중심동의 연계강화 - 일반동과 중심동이 밀접하게 연계되어 업무를 추진할 수 있도록 중심동 중심 으로 회의체계 운영 및 통합사례관리 및 조사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피드백을 수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25 있도록 함. ○ 통합사례관리 관련 - 책임읍면동제 하에서 통합사례관리자 중 일반대상자 주사례관리를 일반동에서 진행할지, 이를 중심동에서 진행할지 판단할 필요가 있음. □ 중심동 ○ 조직형태를 업무연계가 가능하도록 설계 필요 - 이를 위해 업무별로 팀을 구성하도록 함. - 또한 업무별 연계체계를 구체화해 전체적으로 복지대상자가 누락과 중복 없이 서비스를 받도록 지원 ○ 상담 및 신청팀 - 과거 동에서 수행해왔던 복지대상자에 대한 종합적 상담과 각종 급여신청 업무를 수행하는 부서임. 또한 통합조사 및 관리담당자를 한 팀으로 묶어 사업을 추진하도록 함. 1개팀 내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대상자에 대한 공공급여여부가 원스탑으로 결정될 수 있음. - 상담 및 신청 팀에서 대상자에 대한 충분한 지원이 이뤄지지 않은 경우 방문 및 사례관리팀으로 대상자를 의뢰함. ○ 방문 및 사례관리팀 - 가정방문을 통해 복지사각지대 발굴, 위기가구에 대한 서비스지 원함. 방문 서비스는 관내에서 수행하며, 타 일반동 방문서비스를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지원 하는 역할 담당 - 사례관리 : 중심동과 일반동 대상의 사례관리 추진. 현재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 모형과 유사하게 운영됨. 다만, 현재 사례관리체계에서 혼란이 발생하는 부분 개선 필요 ・ 권역별 차이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원 필요 ・ 시와 동간의 소통체계 강화 등 필요 ○ 복지자원팀 - 책임동제하의 일반동을 포함하여 필요한 자원을 발굴 및 관리, 연계하는 역할을 담당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26 <그림 Ⅳ-14> 성남시 군집분석 결과 <그림 Ⅳ-13> 부천시 책임동제 조직도 동장 복지과장 상담 및 신청팀 방문 및 사례관리팀 복지자원팀 3. 성남시 중원구 전달체계 개편 모형 1) 성남시 동 현황과 현 전달체계에 대한 평가 □ 성남시 동 현황 ○ 아래 그림은 성남시 읍면동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임. - 중원구의 경우 전반적으로 중심동 으로 설계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반면, 분당구의 경우 야탑과 이매 지역은 중심동, 그 외의 지역은 일반동으로 설계로 제시되었고, 수정구의 경우에도 대부분 일반 동으로 설계하는 것이 타당하게 제시되었음. - 이는 성남시 중원구의 경우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이 많다는 점 때문이며, 수정구의 상대적으로 인구대비 저소득층이 적은 지역이기 때문임.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27 -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성남시의 경우 모형을 설계함에 있어 얼마나 투입할 수 있느냐에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음. ○ 우선, 성남은 투입이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중원구를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 - 중원구청내에 복지지원과를 설치하고 업무를 추진해옴 - 그러나 서비스 공급자들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으며, 서비스가 횡적-종적 연계가 체계적이지 않은 한계라 할 수 있음. - 특히, 중원구가 복지업무에 대한 집중도가 높은 지역이라는 점에서 전반적으로 현 중원구 시스템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 2) 성남시 전달체계 개편 모형 □ 2015년 중원구를 시작으로 2016년 수정구, 2017년 분당구를 대상으로 사업 추진 예정 □ 수정구 모형 고려사항 ○ 일반구의 활용 - 중원구와 마찬가지로 성남시가 전달체계 개편의 중요한 방향으로 일반구를 활용할 것인지, 동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할 것인지에 방향 설정이 필요 - 다만, 구를 중심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경우에는 중원구와 달리 수요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선이 필요 ○ 면적 - 수정구는 중원구에 비해 면적이 넓은 특징이 있음. 때문에 접근성을 고려한 모형 설계가 필요 ○ 규모의 경제(효율성) - 수정구의 대부분의 동이 일반동으로 분류되어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복지 업무에 대한 집중도가 중원구 등에 비해 낮다고 할 수 있음. 이런 경우에는 상대적 으로 적은 인력으로 큰 효과를 낼 수 있는 효율적인 접근방법 고려 필요 □ 수정구 전달체계 개편 모형 ○ 횡적연계 강화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28 - 통합복지행정이 가능한 팀으로 전환 ・ 현재는 단위업무별로 팀이 구성되어 있음. 자원 발굴, 통합사례관리의 업무별로 팀이 나눠서 있어 팀 간 연계가 제한되어 있음. - 이에 1팀 내에 통합사례관리, 자원관리 및 발굴, 사각지대 발굴 기획 등을 수행 할 수 있는 인력을 배치함. ・ 아래 조직체계에서 볼 수 있듯이 1팀, 2팀, 3팀 모두 동일하게 자원관리 및 발굴, 사각지대 발굴 기획, 통합사례관리업무를 수행함으로서 대상자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가능한 구조 마련 ○ 종적연계 강화 - 업무담당권역 지적 ・ 각 팀이 해당 관내 담당 동을 지정하여 해당 동과의 업무연계체계 강화 ・ 동의 사각지대 발굴 지원, 대상자에 대한 통합사례관리 지원을 통해 동과 구의 연계강화 - 근무지 이동 ・ 구에서 근무하는 팀도 있지만, 대상자 접근성 측면에서 대상자에게 가까운 별도의 공간에서 근무함으로서 대상자의 접근성 확보, 해당 권역의 동과의 연계체계 강화 ・ 동으로 배치될 경우 동의 팀장과 희망행복팀장이 모두 6급이라는 점에서 불필요한 업무배분의 갈등 발생소지가 있음. 이를 고려해 해당지역 내 보건소 등의 공간을 활용 ・ 다양한 민간기관들과 공간적 합동근무를 통해 민관협력, 자원협력방안 모델 검토 가능 <그림 Ⅳ-15> 성남시 복지지원과 조직체계 변화 모형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29 □ 업무분장 명확화 ○ 시 - 전반적인 사업의 기획과 관장 - 교육사업 기획 및 지원(구 자체적인 교육사업 지원) - 인력확충, 보건소와 일자리센터와의 연계 강화 - 사업모니터링 - 워크숍 등 소진예방사업 ○ 구 - 자원관리 및 발굴 : 해당 권역내의 자원을 구-동으로 연계하며 관리 - 복지사각지대 발굴 기획 : 직접 방문서비스를 수행하기보다는 사각지대를 발굴 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획 사업을 마련하고 동에서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 - 통합사례관리 : 여러 가지 욕구를 가진 가구에 대한 욕구조사, 위기도조사, 서비스 연계 등을 추진함. 심각한 위기가구와 더불어 복합적 욕구가 있는 대상으로 범위 확대 ○ 동 - 방문서비스 추진 : 사각지대 발굴 아이템을 활용해 기존 대상자 모니터링 및 신규 복지대상자 발굴 - 종합상담 : 동의 인력배치현황, 내방자를 중심으로 코디네이터를 유연하게 적용. 다만, 복지코디네이터가 종합상담을 할 수 있는 교육지원 - 서비스연계 : 동에 자원, 구의 담당팀의 자원을 활용해 서비스연계 - 복합적문제가 있는 가구는 구의 담당으로 대상자 의뢰 □ 인력확충 및 배치 변화 ○ 시 - 성남시의 전달체계 전체 업무와 사례관리부서가 통합되어 운영 중임. 실제 업무가 연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두 부서간의 통합은 타 지역에서도 검토하고 있는 방안 중 하나임. ・ 기획팀으로 전달체계 및 통합사례관리업무를 통합할 경우 전달체계업무에 대한 조직의 관심이 높아질 수밖에 없음. 반면, 기획업무와 사례관리업무가 통합 되어 운영되다보니 관련된 업무에 대한 집중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함.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30 ・ 통합사례관리담당부서로 전달체계업무를 통합할 경우 업무에 대한 집중도와 전문은 높아질 수 있음. 그러나 읍면동과의 관계 설정에 있어서는 영향력이 낮을 수밖에 없음. 특히, 행정자치부의 지침이나 인사 및 조직과 관련해서는 영향 력이 낮아질 수 있는 단점이 있음. - 성남시의 경우 사회복지과내 복지기획팀에서 전달체계를 담당한다는 점에서 앞서 지적했듯이 전달체계에 대한 조직 내 관심이 높아질 여지가 있음. - 그러나 보다 성남시 구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을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개선점이 있는 상황임. - 현재 성남시 복지기획팀의 경우 복지사업기획과 전달체계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여러 가지 사업이 복합적으로 이뤄지면서 전달체계업무에 집중하기 어려운 구조로 마련되어 있음. ・ 사회복지시설, 종합사회복지관, 푸드뱅크와 마켓, 사회복지의 날, 군 사회복지 등의 단위사업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음. - 또한 서비스연계팀의 경우 시 전체의 복지자원에 대한 관리 및 조정역할을 수행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실제 총괄적인 자원관리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한 상황임. 복지자원은 전달체계 개편의 중요한 한축이라는 점, 구 복지 협의체와 동 복지협의체가 복지자원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서비스연계팀과 복지 기획팀의 연계 강화와 복지자원 역할 강화가 필요함. - 이에 성남시 복지전달체계 개편 사업에 대한 소통이 중요하고 사업의 일관성 있는 추진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상황 ・ 1안 : 복지기획팀에서 수행 중인 각종 사업과 지원업무를 타부서로 이관해 복지 기획팀은 복지사업기획과 전달체계 집중하는 방식임. ・ 2안 : 복지기획팀에서 수행 중인 전달체계 관련된 업무를 서비스연계팀에서 수행 하는 방법 ・ 3안 : 복지기획팀에서 수행 중인 전달체계 관련업무와 서비스연계팀의 자원관리 업무를 통합해 복지전달체계팀을 구성하는 방법 ○ 구의 인력배치 - 아래 표는 최소한의 인력확충을 전제로 인력배치 안을 제시한 것으로 1명의 인력 으로 업무를 추진하는 방식임.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31 - 희망행복1팀은 주무팀이기 때문에 관련된 과의 업무추진이 필요함. 또한 각종 실적관리, 각 팀의 연계 등을 담당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른 팀과 달리 1명의 인력확충이 필요 - 통합사례관리사는 현재처럼 통합사례관리팀에 배치된 것이 아니라 각 팀으로 나눠서 배치됨. 전문성 확보를 위해 최소 사례관리 인력을 2명씩 배치함. 이를 위해 네트워크팀의 민간사례관리가 구청사에서 근무하는 방식을 통해 사례 관리의 기본적 업무 수행토록 지원 <표 Ⅳ-22> 성남시 중원구의 인력배치(안) 구분 공무원 인력 사례관리 인력 필요인력 추가인력 필요인력 추가인력 희망행복1팀 - 팀장(6급) : 복지직- 7~9급 : 3명 - 1명 - 통합사례관리사 2명 - 희망행복2팀 - 팀장(6급) - 7~9급 : 2명 - - 통합사례관리사 2명 - 희망행복3팀 - 팀장(6급) - 7~9급 : 2명 - 통합사례관리사 1명, 민간사례관리사 1명(네트워크팀) - * 현재 중원구 인력을 기준 * 팀장은 복지직이거나 통합사례관리 관련된 조정이 가능한 인력으로 배치 필요 ○ 동 인력지원 - 2016년 확충되는 복지직 인력 중에 구에 배치되지 않는 인력은 동으로 배치하되 행정직의 이탈이 없도록 관리 - 동에서 방문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인력지원. 시간선택제임기제, 한시임기제를 활용해 방문서비스의 활성화 지원 - 가칭 행복매니저 채용 : 시간선택제임기제로 각 동에 배치 ・ 부천시 : 2014년부터 복지매니저를 각 동에 배치. 복지매니저는 유급자원봉사자로 채용되었다가 시간선택제 임기제공무원으로 2015년부터 채용되어 업무 추진 중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32 <그림 Ⅳ-16> 양주시 군집분석 결과 4. 양주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 1) 읍면동 환경과 기존 모형에 대한 평가 □ 양주시 읍면동 환경 ○ 앞의 장에서 분석했듯이 양주시 읍면동 군집분석결과에 의하면, - 개별동 : 양주 2동 - 중심동 : 회천 2동, 회천 3동, 백석읍 - 일반동 ; 회천 1동, 회천 4동, 양주 1동, 광적면, 남면, 은편면, 장흥면 - 도농복합지역이라는 특징 때문에 다양 하게 분류되어 나타나고 있음. ○ 지리적으로 보면, - 양주1동과 2동, 백석읍, 회천지역은 상대적 으로 접근성이 확보되지만, 면 지역의 경우 면적이 넓어서 접근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 □ 현 시범사업에 대한 평가 ○ 현재는 회천 권역 중심의 중심동 모형, 양주 2동의 개별동 모형 시범사업 추진 중 - 실무자 설문조사와 FGI 결과 인력부족 문제, 일반동의 비협조 문제, 통합사례 관리 인력의 업무 어려움 등이 지적되었음. - 반면, 방문서비스와 통합사례관리와 관련되어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 2) 양주시 전달체계 개편 모형 □ 모형 1 : 현재 시범사업 유지 모형 ○ 회천권역과 양주 2동 모형 그대로 유지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33 - 회천권역의 중심동은 변경될 수 있으나 권역은 그대로 유지 - 양주 2동 역시 그대로 유지하는 모형임 ○ 양주 1동이 백석권역으로 묶여 중심읍동으로 추진 - 양주1동의 확장형 네트워크팀 인력 3명이 백석읍에서 근무 □ 모형 2 : 양주1동~2동 변화 모형 ○ 양주 1동과 2동을 중심동 모형으로 변화 - 양주 1동과 2동을 중심으로 전환하고 양주 2동이 중심동으로 역할 - 확장형 네트워크팀은 양주 2동에서 민관합동근무 추진 ○ 백석읍 : 개별읍으로 업무 추진 - 현재 양주 2동에 배치되어 있는 통합사례관리인력 2명이 백석읍에서 근무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34 <그림 Ⅳ-17> 양주시 전달체계 모형(안) <모형 1> 양주시 전달체계 모형 1 <모형 2> 양주시 전달체계 모형 2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35 구분 중심동 모형 개별동 면 모델 중심동 일반동 시청 - 사각지대 발굴 기획 - 통합사례관리지원 - 자원관리 - 사각지대 발굴 기획 - 통합사례관리지원 - 고난위도 사례에 대한 접수 및 담당자 배정 - 슈퍼비젼 제시 및 슈퍼바이저 연계 - 자원관리 3) 업무 □ 업무내용 ○ 방문서비스(전체 읍면동) - 동에서 추진되었어야 하는 방문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서 방문 간호사 및 직업상담사 등과 업무연계해서 추진 - 해당 지역 통합사례관리담당인력이 있는 경우 해당인력과 연계해 추진 - 그러나 해당 업무의 담당자는 동 복지팀장 ○ 종합상담 - 동에서 초기상담과 서비스신청에 머무르지 않고 종합적인 대상자 상담을 추진, - 시 차원에서 복지코디네이터가 현실화될 수 있도록 교육 사업을 연차별로 확대해 추진 필요 ○ 민관협력 - 동사회보장협의체를 동별로 구성해서 민관협력, 사각지대 발굴, 자원연계 업무 추진 ○ 아래 표는 모형별로 업무를 제시한 것임. - 중심동과 개별동 : 시는 지원 및 관리업무, 자원관리 업무에 집중하고 동내에서 통합사례관리에 대한 제반업무 수행 - 면 모형 : 모형 상 개별동으로 모든 면에서 사례관리까지 수행하도록 함. ・ 다만, 고난위도 사례의 경우 시와 확장형 네트워크팀의 지원을 받아 업무를 수행 하도록 함. <표 Ⅳ-23> 양주시 전달체계 모형별 업무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36 구분 중심동 모형 개별동 면 모델 중심동 일반동 읍면동 특화 업무 - 통합사례관리(단순사례 관리, 집중사례관리) * 권역 내 일반동 통합 사례관리 포함 - 자원관리 - - 개별동 통합사례 관리(단순사례관리, 집중사례관리) - 자원관리 - 단순사례관리 동일 업무 서비스연계 - 방문서비스 - 종합상담 - 동사회보장협의체 3) 인력과 업무조정 □ 1단계 : 회천권역과 양주 2동 ○ 방문서비스와 통합사례관리 등 새롭게 추가되는 업무를 추진하기 위해 1명의 인력 필요 ○ 결원 및 당초 예정되어 있는 인력배치 필요 □ 2단계 : 읍동 모형 확대 ○ 면 지역보다 읍과 동을 중심으로 우선 사업 추진 - 면 지역에서 통합사례관리 업무를 당장수행하기에는 제반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임. - 인력확충이나 업무조정이 되어 있지 않음. 무엇보다 통합사례관리 업무를 수행 할 수 있는 경험과 전문성이 적은 상황임. - 때문에 시간을 두고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타당하여 읍과 동을 우선 실시 - 특히, 백석읍은 인구가 많고 대상자도 많다는 점에서 우선 운영하는 것이 필요 □ 3단계 : 인력확충 및 업무조정 ○ 면 지역중심으로 통합사례관리 업무 수행을 위해서는 인력확충과 더불어 업무조정이 필요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37 ○ 업무조정 - 보편적 업무 : 행정직이 담당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 - 경로당 업무 등을 행정직이 담당하도록 전환해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 추진 지원 □ 확장형 네트워크팀의 확대 ○ 양주시가 별도의 복지관이 없는 상황에서 재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이 없는 상황임. ○ 또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과정에서 중심동 및 개별동과의 결합도를 높이면서 사업의 성과가 높아질 수 있다는 점에서 확장형 네트워크팀을 확대해 전달체계 개편을 완성하는 것이 필요 ○ 확대방안 1 : 확장형 네트워크팀 1개소 추가 설치 - 양주시의 인구규모, 면적을 고려할 때, 2개의 확장형 네트워크팀으로 업무를 소화 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무엇보다 도농복합지역에 적합한 복지관 모형으로서의 특화가 가능 - 백석읍을 중심으로 1개 네트워크팀 추가 설치 ○ 확대방안 2 : 네트워크팀 인력 확대 - 5명의 인력으로 중심동 사례관리, 자원 발굴 및 연계,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이 있음. 현재의 인력을 유지할 경우 확장형 네트워크팀의 업무과부화문제 발생 할 소지가 있음. - 이에 현재 인력을 7명으로 확대하여 3명이 중심동에서 근무하더라도 나머지 인력이 자원 발굴 및 연계, 직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 필요 ○ 네트워크팀이 확대되지 않을 경우 중심동이 아닌 지역의 경우 직접 복지 서비스를 받을 기회가 감소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이에 확장형 네트워크팀 확대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 □ 이를 요약하자면, ○ 현재의 시범사업 모형을 책임읍면동제 도입이전까지 유지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38 ○ 책임읍면동제 도입을 염두에 두고 중심동이 결정되는 과정에서 고려사항은 - 첫째, 회천권역 : 2동과 3동 중 장단점 고려해 선택가능. 합동근무 가능지 우선 선정 - 둘째, 양주1동 ・ 양주 2동으로 권역화 : 확장형 네트워크팀이 양주 2동에서 합동근무 수행, 백석읍은 개별읍으로 업무수행(현재 양주 2동 통합사례관리인력 백석읍으로 이동) ・ 백석읍으로 권역화 : 확장형 네트워크팀 백석읍에서 합동근무 수행 ○ 면 지역 : 통합사례관리전담인력 배치 없이 공무원인력확충, 업무조정 통해 통합사례관리 추진 ○ 단계별 확장 : 동, 읍지역 우선(2016년 상반기), 면 지역은 2016년 하반기 추진 ○ 확장형 네트워크팀 확대 - 1개소를 추가 설치하거나 인력을 최소 7명으로 확대 추진 ○ 인력확충 - 읍동 지역 중심으로 우선 인력배치 추진 ・ 행정직이 보편적 복지업무를 수행토록 조치 ・ 회천권역의 일반동, 양주1동, 백석읍 인력 우선 확충 5. 용인시 전달체계 개편 모형 1) 읍면동 현황과 현 전달체계에 대한 평가 □ 읍면동 현황 ○ 용인시 - 도농복합지역 - 일반구가 있는 지역 ○ 군집분석 결과 - 수지구는 면적이 좁지만 중심동으로 분류된 지역이 다수 있음. - 기흥구는 대부분 중심동과 개별동으로 분류되는 상황 - 처인구는 전형적인 도농복합지역으로 일반동으로 분류되는 상황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39 <그림 Ⅳ-18> 용인시 읍면동 군집분석 결과○ 현 전달체계에 대한 평가 - 구 중심으로 이뤄지는 사례 관리체계에 대해서는 전반적 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나 읍면 동의 경우 특별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과 관련된 체감도가 높진 않는 것으로 나타남 - 이에 용인시는 체계적인 읍면 동 복지기능강화 모형 설계 부터 필요한 대표적인 지역 이라 할 수 있음. 2) 설계도 □ 용인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전달체계 모형 선택위의 표는 다양한 모형을 제시할 때, 동별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임. <그림 Ⅳ-19> 용인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의 기본방향 설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40 ○ 위의 자료에 기초해 용인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설계를 위해서는 아래 간략 설계도에 따라 모형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 - 첫째, 일관성 유지 vs 구별 특성유지 : 31개 읍면동이 여러 가지 특징이 있지만, 이를 한 가지로 통일하는 방법, 구별 특징을 반영하는 방법 중 선택하는 것이 필요 <표 Ⅳ-24> 용인시 전달체계 동일 모형과 구별 특성유지 모형 비교 동일 모형 적용 다양한 모형 적용 특징 - 읍면동 특징을 반영하기 보다는 1개의 모형을 전체 지역에 반영 - 읍면동의 특징을 반영 장점 - 행정적으로 업무분장, 업무연계에 혼선이 적음- 관리가 용이 - 동별 특징을 반영한 모형으로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 가능 단점 - 읍면동별 특징이 반영되지 않아 업무의 효율성과 효과성 측면에서 검토 필요(중심동 선택시) - 읍면동별 특징 반영 - 규모의 경제 실현 가능 - 둘째, 개별동 모형 vs 중심동 모형 : 앞서 두 모형의 장단점에서 설명했듯이 두 모형은 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 상황임. ・ 개별동 : 개별동에 맞는 인력투여가 가능한 경우 실시할 수 있고, 접근성과 통합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음. ・ 중심동 : 규모의 경제 실현 가능. 그러나 읍면지역의 경우 접근성이 낮기 때문에 전체 읍면동을 1모형으로 설계할 경우 적합하지 않음. - 셋째, 구별로 상이한 모형을 제시하는 경우에는 구중심 모형, 개별동, 중심동 모형을 설정할지, 개별동과 중심동 중에 하나를 선택할지에 따라 모형이 달라짐. 3) 각 모형별 기본 특징 □ 모형 1 : 전체 개별동 모형 ○ 전체 용인시를 하나의 모형으로 설계하는 방식 - 전체 31개 읍면동에서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개별동 모형으로 설계하는 방식임. - 전체 읍면동에서 방문서비스, 동복지협의체, 통합사례관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임.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41 <그림 Ⅳ-20>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1 : 전체 개별동 모형 ○ 조직 - 시 : 무한돌봄팀과 복지전달체계 개편팀을 통합해서 전달체계 전반에 대한 관장 진행 ・ 통합사례관리업무는 동으로 이관되어 운영되는 방식 ・ 고난이도 사례(솔루션이 필요한)는 시에서 사례관리 진행 ・ 전반적인 사업운영 지원 등 추진 - 구청 : 면지역의 청소업무 등 업무일부를 구청으로 이관 - 읍면동 ・ 복지직 팀장 : 통합사례관리(사례판정, 방문서비스 총괄, 민관협력총괄) ・ 복지코디네이터 : 동 종합상담 담당 ・ 방문서비스 담당자 ・ 통합사례관리담당자 : 통합사례관리 업무 담당 ○ 업무 - 통합사례관리 : 사례관리 업무 전반적으로 추진(고난이도 사례는 시로 의뢰) - 방문서비스 : 동에서 추진되었어야 하는 방문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서 방문간호사 및 직업상담사 등과 업무연계해서 추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42 - 종합상담 : 동에서 초기상담과 서비스신청에 머물지 않고 종합적인 대상자 상담을 추진, 이는 복지코디네이터를 통해 추진 - 민관협력 : 동사회보장협의체를 동별로 구성해서 민관협력, 사각지대 발굴, 자원 연계 업무 추진 방문서비스 ○ 필요인력 - 앞서 언급했듯이 용인시의 경우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읍면동근무가 필요한 상황임. 모든 동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적합함. - 아래 표는 용인시 31개 읍면동을 모두 개별동으로 전환했을 경우 필요한 인력을 산출한 것임. - 어떤 모형을 추진하던 모든 동에서 방문서비스와 동복지협의체 업무를 추진 한다는 점, 통합사례관리와 관련해 팀장의 역할이 증대된다는 점에서 공무원 인력 증원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상황임. - 이에 따라 필요한 공무원 인력은 총 21.5명으로 나타남. - 통합사례관리와 관련해서는 2가지 모형설계가 가능한데, 전문성 확보라는 원칙을 유지할 경우 필요한 인력이 39명으로 나타남. 네트워크팀의 인력을 읍면동 복지 기능강화와 연계할 경우 필요인력은 총 36명임. <표 Ⅳ-25>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1 : 전체 개별동 모형 필요인력 구분 공무원 인력 1명 추가 공무원 인력 0.5명 추가 개별 및 중심동수 필요인력수(사례관리 현원제외) 현행 유지 네트워크팀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결합 읍면동수 12 19 25 - - 공무원 필요인력 12 9.5 21.5 21.5 통합 사례 관리 1명투입    - 25 14 11 2명투입 (사례관리전문성 확보) 50 39 36 합계 12 9.5 25 35.5 32.5 50 60.5 57.5 * 공무원 인력 1인(12읍면동) 추가지역 : 동일인구밀도 타 지역과 비교해 1인당 담당하는 노인 및 아동 수, 기초생활보장 수급자가 평균보다 많은 지역 * 공무원 인력 0.5 추가지역 : 방문서비스, 동복지협의 활성화에 따른 필요인력 * 개별동 및 중심동수 25개 지역 : 위의 군집분석 결과 * 통합사례관리 :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는 최소 통합사례관리 인력이 2명 배치되어야 함. 그러나 인력소요가 크다는 점에서 1명 추가 시, 2명 추가 시 구분해서 산정 * 시 : 고난이도 사례, 사례관리 실적 관리를 위해 1명 시 배치 * 네트워크팀 : 현행 유지방식과 동복지기능강화 사업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분해서 인력추계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43 □ 모형 2 : 전체 중심동 모형 ○ 전체 용인시를 하나의 모형으로 설계하는 방식 - 전체 31개 읍면동을 6개의 중심동모형으로 전환하는 방식임. - 앞서 언급했듯이 이 모형은 주민접근성 측면에서 처인구까지 모두 적용하긴 어려운 모형임. 이에 처인구의 읍면지역은 제외하고 설계함. <그림 Ⅳ-21>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2 : 6개 중심동 모형 ○ 조직 - 시 : 무한돌봄팀과 복지전달체계 개편팀을 통합해서 전달체계 전반에 대한 관장 진행 ・ 통합사례관리업무는 중심동으로 이관되어 운영되는 방식 ・ 고난이도 사례(솔루션이 필요한)는 시에서 사례관리 진행 ・ 전반적인 사업운영 지원 등 추진 - 구청 : 면지역의 청소업무 등 업무일부를 구청으로 이관 - 중심동 ・ 복지직팀장 : 통합사례관리(사례판정, 방문서비스 총괄, 민관협력총괄) ・ 복지코디네이터 : 동 종합상담 담당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44 ・ 방문서비스 담당자 ・ 통합사례관리담당자 : 통합사례관리 업무 담당 - 일반동 : 방문서비스, 민관협력업무 추진 ○ 업무 - 통합사례관리 : 중심동에서만 추진 - 일반동 : 방문서비스, 종합상담, 민관협력 ○ 필요인력 - 중심동 필수배치인력 : 방문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 그 외의 공무원과 통합사례관리사 필요인력임. - 앞과 동일하게 어떤 모형을 추진하던 공무원 인력을 동일하게 21.5명 추가로 필요 - 통합사례관리와 관련해서는 2가지 모형설계가 가능한데, 전문성 확보라는 원칙을 유지할 경우 필요한 인력이 39명으로 나타남. 네트워크팀의 인력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와 연계할 경우 필요인력은 총 36명임. <표 Ⅳ-26>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2 : 전체 중심동 모형 필요인력 구분 공무원 인력 1명 추가 공무원 인력 0.5명 추가 중심동수 필요인력수(사례관리 현원제외) 현행 유지 네트워크팀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결합 읍면동수 12 19 6 - - 공무원 필요인력 12 9.5 21.5 21.5 통합사례관리 (사례관리전문성 확보)    - 12 4 1 합계 12 9.5 12 25.5 22.5 * 공무원 인력 1인(12읍면동) 추가지역 : 동일인구밀도 타 지역과 비교해 1인당 담당하는 노인 및 아동 수, 기초생활보장 수급자가 평균보다 많은 지역 * 공무원 인력 0.5 추가지역 : 방문서비스, 동복지협의 활성화에 따른 필요인력 * 중심동수 6개 지역 : 위의 군집분석 결과 * 통합사례관리 :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는 최소 통합사례관리 인력이 2명 배치되어야 함. * 시 : 고난이도 사례, 사례관리 실적 관리를 위해 1명 시 배치 * 처인구 : 중심동으로 연계되지 않는 읍면을 위해 현행 통합사례관리 인력 중 3명이 처인구 읍면통합사례관리 담당 * 네트워크팀 : 현행 유지방식과 동복지기능강화 사업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분해서 인력추계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45 □ 모형 3 : 수지구(구중심)+개별동 모형 ○ 전체 용인시를 구중심 모형과 개별동 모형으로 설계하는 방식 - 수지구는 기본적으로 면적이 좁고 복지대상자수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구를 중심으로 전달체계 개편을 추진 - 그 외의 지역은 개별동으로 설계하는 방식임. <그림 Ⅳ-22>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3 : 수지구(구중심) + 개별동모형 ○ 조직 - 시 : 무한돌봄팀과 복지전달체계 개편팀을 통합해서 전달체계 전반에 대한 관장 진행 ・ 통합사례관리업무는 수지구, 동으로 이관되어 운영되는 방식 ・ 고난이도 사례(솔루션이 필요한)는 시에서 사례관리 진행 ・ 전반적인 사업운영 지원 등 추진 - 구청 ・ 수지구 : 통합사례관리팀 설치. 방문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배치 ・ 그 외의 구청 : 면 지역의 청소 등의 업무를 이관해서 실시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46 - 수지구 관내 동 ・ 복지직팀장 : 방문서비스 총괄, 민관협력총괄 ・ 복지코디네이터 : 동 종합상담 담당 ・ 방문서비스 담당 - 기흥구, 처인구 관내 읍면동 ・ 복지직팀장 : 통합사례관리 총괄, 방문서비스 총괄, 민관협력총괄 ・ 복지코디네이터 : 동 종합상담 담당 ・ 방문서비스 담당 ・ 통합사례관리사 ・ 방문서비스, 정신보건사회복지사 배치 <표 Ⅳ-27> 구 모형과 중심동 모형 비교 구 중심모형 중심동 모형 특징 - 구 : 통합사례관리, 자원관리, 사각지대 발굴 기획- 동 : 방문서비스, 동 사회보장협의체 - 구 : 정책, 사각지대 발굴 기획 - 동 : 통합사례관리, 자원관리, 방문서비스, 동사회 보장협의체 장점 - 효율성 높음(복지대상자가 적기 때문에 동마다 인력배치 불필요) - 주민접근성 개선 - 중앙정책과 동일한 방향 단점 - 구와 동의 업무분장, 업무조정 명확화 필요 - 중앙정부와 개편방향이 달라 협의 필요 (평가 등에서 감점 가능) - 적절한 인력배치와 업무량 ○ 업무 - 수지구 ・ 구청 : 전반적인 사례관리 서비스, 방문서비스 및 정신보건관련서비스에 대한 지원여할 담당 ・ 동 : 방문서비스, 종합상담, 민관협력 추진, 방문서비스 추진시 구청과 협업해 추진 - 기흥구, 처인구 ・ 구청 : 청소업무 이관 등 ・ 동 : 통합사례관리, 방문서비스, 종합상담, 민관협력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47 ○ 필요인력 - 수지구 필수배치인력 : 방문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 앞과 동일하게 어떤 모형을 추진하던 공무원 인력을 동일하게 21.5명 추가로 필요 - 통합사례관리와 관련해서는 2가지 모형설계가 가능한데, 전문성 확보라는 원칙을 유지할 경우 필요한 인력이 26명으로 나타남. 네트워크팀의 인력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와 연계할 경우 필요인력은 총 23명임. <표 Ⅳ-28>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3 : 구 중심+ 개별동 모형 필요인력 구분 공무원 인력 1명 추가 공무원 인력 0.5명 추가 개별동수 필요인력수(사례관리 현원제외) 현행 유지 네트워크팀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결합 읍면동수 12 19 17 - - 공무원 필요인력 12 9.5 21.5 21.5 통합사례관리 (사례관리전문성 확보)    - 34 26 23 합계 12 9.5 34 47.5 44.5 * 공무원 인력 1인(12읍면동) 추가지역 : 동일인구밀도 타 지역과 비교해 1인당 담당하는 노인 및 아동 수, 기초생활보장 수급자가 평균보다 많은 지역 * 공무원 인력 0.5 추가지역 : 방문서비스, 동복지협의 활성화에 따른 필요인력 * 중심동수 6개 지역 : 위의 군집분석 결과 * 통합사례관리 :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는 최소 통합사례관리 인력이 2명 배치되어야 함. * 시 : 고난이도 사례, 사례관리 실적 관리를 위해 1명 시 배치 * 수지구 : 수지구내 통합사례관리 업무 추진을 위해 현행보다 1명 추가한 3명으로 배치 * 네트워크팀 : 현행 유지방식과 동복지기능강화 사업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분해서 인력추계 □ 모형 4 : 수지구(구중심)+개별동, 중심동 혼합 모형 ○ 전체 용인시를 구중심 모형과 중심동 모형으로 설계하는 방식 - 수지구는 기본적으로 면적이 좁고 복지대상자수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구를 중심으로 전달체계 개편을 추진 - 그 외의 지역은 중심동으로 설계하는 방식임. - 그러나 처인구 읍면지역은 중심동으로 설계하는 것이 해당 지역은 개별동으로 유지 하는 방식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48 <그림 Ⅳ-23>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4 : 수지구(구중심) + 중심동모형 ○ 조직 - 시 : 무한돌봄팀과 복지전달체계 개편팀을 통합해서 전달체계 전반에 대한 관장 진행 ・ 통합사례관리업무는 수지구, 동으로 이관되어 운영되는 방식 ・ 고난이도 사례(솔루션이 필요한)는 시에서 사례관리 진행 ・ 전반적인 사업운영 지원 등 추진 - 구청 ・ 수지구 : 통합사례관리팀 설치. 방문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배치 ・ 그 외의 구청 : 면 지역의 청소 등의 업무를 이관해서 실시 - 수지구 관내 동 ・ 복지직팀장 : 방문서비스 총괄, 민관협력총괄 ・ 복지코디네이터 : 동 종합상담 담당 ・ 방문서비스 담당 - 기흥구, 처인구 관내 중심동 ・ 복지직팀장 : 통합사례관리 총괄, 방문서비스 총괄, 민관협력총괄 ・ 복지코디네이터 : 동 종합상담 담당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49 ・ 방문서비스 담당 ・ 통합사례관리사 ・ 방문서비스, 정신보건사회복지사 배치 - 기흥구, 처인구 관내 일반동 ・ 복지직팀장 : 방문서비스 총괄, 민관협력총괄 ・ 복지코디네이터 : 동 종합상담 담당 ・ 방문서비스 담당 ○ 업무 - 수지구 ・ 구청 : 전반적인 사례관리 서비스, 방문서비스 및 정신보건관련서비스에 대한 지원여할 담당 ・ 동 : 방문서비스, 종합상담, 민관협력 추진, 방문서비스 추진시 구청과 협업해 추진 - 기흥구, 처인구 ・ 구청 : 청소업무 이관 등 ・ 중심동 : 통합사례관리, 방문서비스, 종합상담, 민관협력 ・ 일반동 : 방문서비스, 종합상담, 민관협력 ○ 필요인력 - 수지구 필수배치인력 : 방문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 기흥구 및 처인구 중심동 : 방문간호사, 정신보건사회사 필수배치 - 앞과 동일하게 어떤 모형을 추진하던 공무원 인력을 동일하게 21.5명 추가로 필요 - 통합사례관리와 관련해서는 2가지 모형설계가 가능한데, 전문성 확보라는 원칙을 유지할 경우 필요한 인력이 3명으로 나타남. 네트워크팀의 인력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와 연계할 경우 필요인력은 총 0명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50 <표 Ⅳ-29>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4 : 구 중심+ 개별동 모형 필요인력 구분 공무원 인력 1명 추가 공무원 인력 0.5명 추가 개별동수 필요인력 수(사례관리 현원제외) 현행 유지 네트워크팀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결합 읍면동수 12 19 4 - - 공무원 필요인력 12 9.5 21.5 21.5 통합사례관리 (사례관리전문성 확보)    - 8 3 0 합계 12 9.5 8 24.5 21.5 * 공무원 인력 1인(12읍면동) 추가지역 : 동일인구밀도 타 지역과 비교해 1인당 담당하는 노인 및 아동 수, 기초생활보장 수급자가 평균보다 많은 지역 * 공무원 인력 0.5 추가지역 : 방문서비스, 동복지협의 활성화에 따른 필요인력 * 중심동수 6개 지역 : 위의 군집분석 결과 * 통합사례관리 :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는 최소 통합사례관리 인력이 2명 배치되어야 함. * 시 : 고난이도 사례, 사례관리 실적 관리를 위해 1명 시 배치 * 수지구 : 수지구내 통합사례관리 업무 추진을 위해 현행보다 1명 추가한 3명으로 배치 * 처인구 : 중심동으로 연계되지 않는 읍면을 위해 현행 통합사례관리 인력 중 3명이 처인구 읍면통합사례관리 담당 * 네트워크팀 : 현행 유지방식과 동복지기능강화 사업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분해서 인력추계 □ 모형 5 : 개별동, 중심동 혼합 모형 ○ 전체 용인시를 여러 가지 모형으로 설계하는 방식임. <그림 Ⅳ-24>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5 : 개별동 및 중심동 혼합 모형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51 ○ 조직 - 시 : 무한돌봄팀과 복지전달체계 개편팀을 통합해서 전달체계 전반에 대한 관장 진행 ・ 통합사례관리업무는 중심동, 개별동으로 이관되어 운영되는 방식 ・ 고난이도 사례(솔루션이 필요한)는 시에서 사례관리 진행 ・ 전반적인 사업운영 지원 등 추진 - 구청 : 면 지역의 청소 등의 업무를 이관해서 실시 - 개별동 : 해당 1개동 관내 ・ 복지직팀장 : 통합사례관리, 방문서비스 총괄, 민관협력총괄 ・ 복지코디네이터 : 동 종합상담 담당 ・ 방문서비스 담당 - 중심동 : 권역관장 ・ 복지직팀장 : 통합사례관리 총괄, 방문서비스 총괄, 민관협력총괄 ・ 복지코디네이터 : 동 종합상담 담당 ・ 방문서비스 담당 ・ 통합사례관리사 ・ 방문서비스, 정신보건사회복지사 배치 - 일반동 ・ 복지직팀장 : 방문서비스 총괄, 민관협력총괄 ・ 복지코디네이터 : 동 종합상담 담당 ・ 방문서비스 담당 ○ 업무 - 개별동 : 1개 관내 통합사례관리, 방문서비스, 종합상담, 민관협력 - 중심동 : 권역 내 통합사례관리, 방문서비스, 종합상담, 민관협력 - 일반동 : 방문서비스, 종합상담, 민관협력 ○ 필요인력 - 개별동, 중심동 필수배치인력 : 방문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 앞과 동일하게 어떤 모형을 추진하던 공무원 인력을 동일하게 21.5명 추가로 필요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52 - 통합사례관리와 관련해서는 2가지 모형설계가 가능한데, 전문성 확보라는 원칙을 유지할 경우 필요한 인력이 8명으로 나타남. 네트워크팀의 인력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와 연계할 경우 필요인력은 총 5명임. <표 Ⅳ-30> 용인시 전달체계 모형 5 : 개별동 및 중심동 혼합 모형 필요인력 구분 공무원 인력 1명 추가 공무원 인력 0.5명 추가 개별동수 필요인력 수(사례관리 현원제외) 현행 유지 네트워크팀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결합 읍면동수 12 19 8 - - 공무원 필요인력 12 9.5 21.5 21.5 통합사례관리 (사례관리전문성 확보)    - 16 8 5 합계 12 9.5 16 29.5 26.5 * 공무원 인력 1인(12읍면동) 추가지역 : 동일인구밀도 타 지역과 비교해 1인당 담당하는 노인 및 아동 수, 기초생활보장 수급자가 평균보다 많은 지역 * 공무원 인력 0.5 추가지역 : 방문서비스, 동복지협의 활성화에 따른 필요인력 * 중심동수 6개 지역 : 위의 군집분석 결과 * 통합사례관리 :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는 최소 통합사례관리 인력이 2명 배치되어야 함. * 시 : 고난이도 사례, 사례관리 실적 관리를 위해 1명 시 배치 * 처인구 : 중심동으로 연계되지 않는 읍면을 위해 현행 통합사례관리 인력 중 3명이 처인구 읍면통합사례관리 담당 * 네트워크팀 : 현행 유지방식과 동복지기능강화 사업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분해서 인력추계 4) 모형별 비교 □ 아래 표에 각 모형별 장단점 제시 ○ 각 모형별 장단점이 아래 표에 제시되어 있음. - 개별동모형은 필요인력규모가 크다는 점에서 용인시 차원에서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인지 현실성 검토가 필요 - 중심동모형의 경우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운영하면 접근성이 낮아진다는 점에서 문제가 될 수 있음.

Ⅳ 사 례 분 석 : 경 기 도 내 5 개 지 역 153 <표 Ⅳ-31> 용인시 전달체계 각 모형별 장단점 비교 분석 구분 장점 단점 전체 개별동 모형 - 대상자 원스톱 서비스 체계 구축 가능 - 필요인력규모가 큼 전체 중심동 모형 - 효율적 서비스 구축 가능 - 읍면지역에 적용하기 어려움 수지구+개별동모형 - 구의 특성을 반영하고 대상자 원스톱 서비스 체계 구축가능 - 필요인력규모가 적정 수지구+중심동모형 - 구의 특성을 반영하고 효율적 서비스 구축 가능 - 읍면지역에 적응 어렵고, 접근성이 낮음. 개별동+중심동 혼합모형 - 지역특성을 반영해 서비스전달의 효과성, 효율성 담보 가능 - 행정체계가 복잡 ○ 아래 표는 위의 정책들은 전달체계 개편의 중요한 원칙을 기준으로 평가해 본 것임. - 통합성, 전문성, 접근성, 효율성을 중심으로 평가해본 결과, 용인시에 가장 적합한 모형은 수지구는 구 중심모형으로 설계하고 그 외 지역은 개별동모형으로 설계 하는 방식임. - 이 방식은 기본적으로 인력정도 이상의 인력확충을 전제로 한다고 할 수 있음. - 2순위는 전체 31개 읍면동을 개별동으로 하거나, 개별동과 중심동 혼합모형임. 2가지 모형 모두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검토가 필요함. <표 Ⅳ-32> 용인시 전달체계 각 모형별 원칙에 따른 선호 구분 통합성 전문성 접근성 효율성 정책선호 전체 개별동 모형 ◌ x(1명 배치)◌(2명 배치) ◌ x 6점(4순위) 9점(2순위) 전체 중심동 모형 ◌ △ X ◌ 8점(3순위) 수지구+개별동모형 ◌ ◌ △ △ 10점(1순위) 수지구+중심동모형 ◌ △ x ◌ 8점(3순위) 개별동+중심동 혼합모형 ◌ ◌ ◌ x 9점(2순위)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54 □ 모형별 필요인력 ○ 아래 표는 모형별 필요인력추계임. - 공무원 인력은 방문서비스, 민관협력, 종합상담, 통합사례관리 일부 지원에 필요한 인력임. - 모든 모형에 21.5명이 필요 - 모형별로 사례관리 인력추가 제시되어있음. 앞서 제시했듯이 전체 개별동모형은 사례관리 인력이 최대 39명이 필요한 모형임. 반면, 모형 4는 현재에서 추가인력 없이 운영되는 모형임. <표 Ⅳ-33> 용인시 전달체계 각 모형별 추가필요인력 구분 사례관리 인력 방문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공무원 인력네트워크팀 현행유지 읍면동 결합강화 전체 개별동 모형* 14 11 12 12(인력확충 필요동) 21.5 (초기 12명) 39 36 전체 중심동 모형 4 1 7 7(중심동) 수지구+개별동모형 26 23 7 7(구+인력확충 필요동) 수지구+중심동모형 3 0 6 6(구+중심동) 개별동+중심동 혼합모형 8 5 9 9(개별, 중심) * 전체 개별동 모형은 필요인력규모가 커서 사례관리 인력투입을 1명인 모형과 2명인 모형으로 구분해서 제시함. 그러나 1명만 투입할 경우 전문적인 사례관리를 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음. ○ 정신보건사회복지사 -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경우 용인시 특징상 알콜대상자, 정신장애인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기관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필요한 추가인력이라 할 수 있음. 모형에 따라 필요인력수가 다른데, 최소 6명에서 최대 12명까지 필요한 상황임. - 현재 용인시에서 활용하는데 가장 적합한 모형 3의 경우 7명의 정신보건사회 복지사가 배치되는 것이 필요 ○ 방문간호사 - 방문간호사는 정신보건사회복지와 동일하게 최소 6명에서 최대 12명까지 필요함.

Ⅴ 나가며

Ⅳ 나 가 며 157 □ 본 연구는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의 설계도 마련에 집중 ○ 본 연구는 최근 추진되고 있는 복지부의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을 경기 도내에 도입할 때, 어떤 방식으로 도입되면 좋을지에 대한 모형제시를 목적 으로 함. ○ 그러나 과거와 같이 단일한 모형을 제시해 전체 지역에 실시하기 보다는 지역 환경과 지자체의 여건에 맞는 모형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도를 마련하는데 집중 - 즉 전달체계 개편 모형이 읍면동단위에서 진행됨에 따라 과거와 같이 일률 적인 모형 제시가 어려움. - 또한 1개 시군 내에서도 상이한 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화가 발생 하고 있음. - 때문에 단일한 모형 제시는 더 이상 현재 전달체계 개편에 부합하기 어렵고, 지자체가 각 여건에 맞춰 모형을 스스로 설계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이 필요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계도 마련에 필요한 원칙과 모형을 제시함 ○ 통합성, 전문성, 효율성, 접근성에 기초하여 모형 제시함. ○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해당 지차에서 투입할 수 있는 인력과 재정규모에 따라 모형설계에 차이가 발생하는 방식이었음. ○ 또한 제한된 인력과 재정 속에서도 가능한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중심동과 일반동, 개별동, 구 중심 모형 설계 모형을 제시함. ⨠⨠Ⅴ 나가며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58 □ 또한 위의 모형에 기초해 5개 지역에 기초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및 전달체계개편 모형을 제시함. ○ 소규모 도시인 의왕의 경우 단일 모형을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것이 효율성 - 2개의 중심동 모형으로 설계함. - 방문서비스는 전체 동에서 추진하며, 사각지대 발굴과 기존 대상자 모니터링에 집중해 업무 추진 ○ 일반구가 있는 성남, 용인의 경우 - 일반구를 전달체계 개편에 포함할지 여부에 따라 모형설계가 상이해짐. - 성남시 중원구의 경우 성남시 자체가 구 중심으로 전달체계 개편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구를 중심으로 동과 구가 연계되는 전달체계 개편을 시도함. - 용인의 경우 수지구의 경우 면적이나 대상자 측면에서 일반구를 활용하되 그 외의 구는 대상자가 많고 면적이 넓다는 점에서 개별동과 중심동 혼합모형을 제시함. ○ 도농복합지역 - 용인과 양주와 같이 도농복합지역의 경우 단일모형을 제시하기 어려움. 면과 읍, 동의 여건이 상이하기 때문임. - 이에 동 중심으로 중심동과 개별동을 고려하고, 접근성이 훼손되지 않는 선에서 읍지역까지 중심동과 개별동을 고려할 수 있음. - 그러나 용인이나 양주 모두 면지역에 상대적으로 인구가 많고, 읍지역의 특징을 보인다고 하더라도 접근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음. 이에 면 지역은 면 자체에서 단순사례관리를 수행하는 등 변형모형 적용 ○ 책임읍면동 예정 지역 - 부천은 2016년 7월 책임읍면동제 실시가 예정되어 있음. 때문에 읍면동 복지 기능강화 사업과 책임동의 결합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이 필요 - 이를 위해 일반동의 방문서비스 등을 복지사각지대 발굴에 맞춰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 - 중심동의 경우 통합조사와 사례관리를 한 팀으로 구성해 대상자에 대한 통합적 서비스 제공의 가능성을 확장. 방문서비스와 연계팀을 따로 구성해 동과의 소통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함.

Ⅳ 나 가 며 159 □ 설계도와 5개 지역 사례가 각 지자체별로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 설계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또한 경기도 차원에서 시군의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을 보다 적극적 으로 지원하는 역할이 필요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과 관련해서 조직과 인사는 대부분 시군의 권한 이라는 점에서 도 차원에서의 지원 사업이 제한될 수밖에 없음. - 현재 추진되는 사업이 복지부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사업이라는 점, 복지부와 시군이 협업하여 업무를 추진하고 있음. 이는 조직과 인사에 대한 권한이 지자체에 있기 때문에 광역의 역할이 모호한 것이 사실임. - 또한 경기도 무한돌봄센터 외에 자체적인 정책수단이 현재 없다는 점에서 경기도 차원에서는 첫째, 무한돌봄센터 인력을 활용해 지역의 동복지기능강화 사업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며 둘째, 복지부 및 무한돌봄사업에서 제공하는 사례관리비를 통해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지원 셋째, 별도의 사업비 확보가 필요함. ○ 첫째, 무한돌봄센터 인력 활용 - 무한돌봄센터는 민간사례관리사를 시와 네트워크팀에 채용해서 근무하고 있음. 민간사례관리사들은 공공과 민간을 연계하는 허브로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음. - 공공과 민간과의 연계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이지만, 전달체계 개편 등 정책 환경 변화 속에서 무한돌봄센터의 민간사례관리사들의 역할 재정립이 필요한 상황 - 무한돌봄센터는 경기도와 시군이 협력하는 사업이라는 점에서 경기도 차원 에서의 가이드 제공이 필요 - 첫째, 지역의 공공사례관리 수행을 위한 인력과 전문 인력이 부족할 경우, 또한 민간 영역에 전문적인 사례관리수행기관이 있는 지역의 경우 ・ 민간사례관리사의 역할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의 공공사례관리 지원에 좀 더 밀접하게 관련되도록 배치 ・ 근무지를 개별동과 중심동으로 이동하여 주사례관리사로서 역할 수행 ・ 근무방식 : 민간경력직 공무원, 무기계약직, 네트워크팀 소속의 파견(각 모형별 장단점 존재)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60 - 둘째, 공공사례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일정정도의 여력이 될 경우, 또한 민간 영역에서의 전문적인 사례관리수행기관이 있거나 특정분야의 사례관리를 보강 해야할 경우 ・ 민간사례관리를 민간의 전문사례관리사로서 업무수행 배치 ・ 네트워크팀에 통합사례관리 단위사업을 할당하고 서비스구매계약방식(POS)으로 사례관리비 지급(별도의 인건비 없이 사업비로 지급) ・ 네트워크팀이 특정분야에 전문적인 사례관리 수행가능(알콜, 아동, 폭력 등)하며, 성과관리 가능 ○ 둘째, NEXT 방문서비스 T/F 구성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 사실상 방문서비스임. 그러나 가장 체계적으로 추진되지 않는 업무 역시 방문서비스임. - 방문서비스는 운영인력, 서비스연계인력, 대상자에 대한 지속적 관리 인력이 명확 하지 않음. - 또한 방문서비스가 지역 내 대상자 방문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하는 체계라는 점이 지역 내에서 간과되고 있음. - 무엇보다 사각지대 발굴이 간과되고 있는 문제가 있음. - 이에 경기도 차원에서 동에 NEXT 방문서비스 T/F를 구성하도록 독려하고, 방문 서비스에 대한 지원 - 수행과정 ・ 동별 방문서비스 T/F 참석기관 섭외 및 MOU 체결 ・ 동별 방문서비스 계획 수립(사각지대 발굴 포함) ・ 경기도는 주기적인 방문서비스 모니터링 수행 - 경기도 지원 ・ 시간선택임기제 공무원 지원 : 방문서비스 전담인력 배치 ・ 방문서비스에 활용할 자원 연계 : 무한돌봄사업비 활용 ○ 셋째, NEXT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지원단 구성 - 시군에서 추진되는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내용을 도 차원에서 모니터링하고 행정적이거나 전문적인 지원이 필요한 경우 지원할 수 있는 지원단 구성 - 구성 : 경기도-경기복지재단-희망복지지원단 중앙지원센터 - 주요내용

Ⅳ 나 가 며 161 ・ 경기도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사업 모니터링 및 행정적 지원(예산 등) ・ 경기복지재단 : 경기도와 함께 시군 사업 모니터링, 모델개발(매뉴얼 개발 및 보급), 희망복지지원단과 협업해 교육 및 컨설팅 추진 ・ 희망복지지원단 중앙지원센터 : 경기도 관해 시군에 대한 교육 및 컨설팅을 재단과 함께 수행해 현장성 및 활동서 확보, 경기도내 읍면동 변화 동향에 대한 정보를 공유

참 고 문 헌 163 강혜규(1998). “한국의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 실험의 성과분석 – 보건복지사무소 시범 사업을 중심으로-”. 󰡔연세사회복지연구 5호󰡕. pp.1-36. _______(2011).“공공 사회복지 전달체계 개선을 위한 대안과 전략의 모색”. 󰡔공공사회복지 전달체계 개선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2011.4.19, 이춘식의원실주최. 김이배ㆍ김보영(2014). “경상북도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 중앙개편안을 중심으로”. 경북행복재단. 박경숙ㆍ강혜규(1992). “사회복지사무소 모형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경숙ㆍ김영종ㆍ강혜규ㆍ민소영ㆍ최민정(2012).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방안”. 한국 사회복지행정연구회ㆍ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박경숙ㆍ오금주(2012). “남양주 희망케어센터 효과성과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역할 평가”. U-쾌한 남양주지역사회복지협의체. 백종만ㆍ김영종ㆍ박경숙ㆍ이봉주ㆍ이재완ㆍ황선영ㆍ박경하ㆍ오성우(2006).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 2차년도 평가 및 사회복지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ㆍ한국 사회복지학회. 성은미ㆍ민소영ㆍ전재현(2012). 경기도 무한돌봄센터 효과성 검증 연구, 경기복지재단. 안상훈(2011). “국민중심 전달체계 개혁방안”. 󰡔고용복지 정책세미나-국민중심의 한국형 고용복지 모형 구축󰡕. pp. 55-89. 이현주ㆍ임완섭ㆍ금현섭ㆍ민소영ㆍ박형존ㆍ김선(2014). “복지전달체계 개편평가 및 확산 방안 마련 연구”. 보건복지부ㆍ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감사원(2013). 󰡔감사결과보고서 - 복지전달체계 운영실태󰡕. 관계부처 합동(2013.9). “국민 중심의 맞춤형 복지전달체계 구축방안: 지자체 복지행정 체계 개편 및 민관협력 활성화”, 제4차 사회보장위원회 안건자료. _____________(2014a). 제1차 사회보장 기본계획('14~'18)안: 국민행복을 향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고용ㆍ복지. _____________(2014b). “사회복지담당공무원 확충 및 관리방안”, 제9차 사회보장위원회 안건자료. 보건복지부(1990). 󰡔1990년 보건사회통계연보󰡕. 참고문헌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64 __________(2002). 󰡔2002 보건복지백서󰡕. __________(2006). 󰡔2006 보건복지백서󰡕. __________(2012). “업무계획: 주요정책 추진방향”. __________(2014a). “주요업무참고자료”. __________(2014b). 󰡔2014 보건복지백서󰡕. __________(2014c).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 개요,” 11월 25일 지역복지과 내부자료. __________(2015). “방문형서비스사업 연계 협력체계 구축,” 지역복지과 내부자료. __________(2015b). “사회복지담당공무원 확충에 따른 맞춤형 복지서비스 강화 방안”. 부천시(2014). “부천형 민관 협력 복지전달체계 「동 부한돌봄복지센터」”. 안전행정부(2013). 󰡔2013 공무원 총 조사보고서󰡕. __________(2014). “대동제 시범실시 대상 선정방안”. 안정행정부 내부자료. 보건복지부. 보건사회통계연보. http://stat.mw.go.kr/front/statData/mohwAnnals WpView.jsp?menuId=14&bbsSeq=1&nttSeq=125&nttClsCd=01&searchKey= nttTitle&searchWord=&nPage=3

부 록 165 <31개 시군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모형 설계 기초자료> ○ 경기복지재단에서 2015년 발간된 󰡔경기도 31개 시군 읍면동별 복지업무 특성분석󰡕 보고서에 보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이 제시되어 있음. □ 조사방법과 내용 ○ 조사방법 - 경기도내 554개 읍면동에 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초로 동별 특징을 유형화함. - 조사대상 : 경기도 31개 시군 - 조사 내용 : 서비스 공급자(읍면동별 인력배치현황), 서비스 수요자(읍면동별 저소득층(국민기초생활보장, 차상위본인부담경감, 우선돌봄차상위, 긴급복지, 무한돌봄사업), 등록장애인, 노인(65세 이상), 아동(만 5세 미만)), 기타 행정자료 (읍면동별 면적, 인구수) - 조사기간 : 2015.5.28.~8.25(2개월 28일) - 조사방법 : 경기도 무한돌봄복지과에서 31개 시군에 협조 공문발송, 각 시군에서 연구자에게 해당 자료를 회신 ○ 분석방법 : SPSS를 활용한 군집분석 - 아래는 집단별 특징임. 모형설계시에 참조 가능함. □ 분석결과 ○ 일반동의 평균 면적은 21.4, 인구수 13,299명, 기초생활수급자수는 252명임. 이를 고려해 해당 지역의 모형을 설계할 때, 면적, 인구수 등 고려 부 록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66 지자체명 군집No. 읍면동 명 수  합계 고양 일반동 마두2동, 백석2동, 일산2동, 성사2동, 주교동, 능곡동, 송포동, 신도동, 원신동, 행주동, 대덕동, 장항1동, 창릉동, 화전동, 효자동 15 39개별동 탄현동, 행신3동, 2 중심동 일산1,3동, 주엽1,2동, 행신1동, 백석1동, 정발산동, 중산동, 화정1,2동, 대화동, 마두1동, 성사1동, 장항2동, 행신2동, 풍산동, 식사동,홍도동,고봉동,고양동,관산동,송산동 22 과천 일반동 부림동, 별양동, 갈현동, 중앙동, 과천동, 문원동 6 6 <표 부록-2> 각 시군별 읍면동 군집분포 구분 군집 합계 F 1(일반동) 2(개별동) 3(중심동) 군집수 195 23 158 376 면적 21.4 22.0 10.5 16.8 8.384***1,2>3 인구수 13,299 60,814 33,523 24,704 636.156***2>3>1 노인아동합계 2,427 9,505 4,857 3,881 359.796***2>3>1 기초생활수급자수 252 603 422 345 26.000***2>3>1 우선돌봄차상위, 무한돌봄 및 긴급복지대상자 합계 127 392 247 193 53.409***2>3>1 사회복지직현원 1.7 3.4 2.5 2.2 47.432***2>3>1 사회복지담당공무원현원 2.4 4.4 3.2 2.8 50.946***2>3>1 <표 부록-1> 군집분석결과 ○ 아래 표는 실제 각 지역별 분류 - 아래표는 위의 기준에 따라 실제 읍면동을 분류한 것임. 이에 의하면, 고양시는 일반동이 15개, 개별동 2개, 중심동이 22개로 분류됨. 이는 면적과 인구수,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수 등을 고려한 것임. - 실제 활용에서는 실제 각 읍면동간의 거리와 이동시간, 교통상황이 고려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권역이나 개별동 설계시에 이동시간 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

부 록 167 지자체명 군집No. 읍면동 명 수  합계 개별동 - 0 중심동 - 0 광주 일반동 도척면, 퇴촌면, 중부면, 곤지암읍 4 8개별동 오포읍 1 중심동 경안동, 광남동, 초월읍 3 군포 일반동 재궁동, 금정동, 궁내동, 수리동 4 9개별동 군포2동 1 중심동 산본2동, 오금동, 광정동, 군포1동 4 남양주 일반동 금곡동, 지금동, 별내동, 양정동, 수동면, 조안면 6 16개별동 별내동, 오남읍, 와부읍, 진접읍, 화도읍 5 중심동 도농동, 평내동, 호평동, 퇴계원면, 진건읍 5 동두천 일반동 생연2동, 중앙동, 생연1동, 상패동, 보산동, 소요동 6 8개별동 0 중심동 송내동, 불현동 2 성남 일반동 시흥동,신촌동,운중동,복정동,판교동,양지동,정자2,3동, 백현동 태평1,2동, 이매2동, 수내1,2,3동 수진1,2동 단대동, 산성동 서현2동 신흥1,3동 태평3,4동,야탑1,2동 금광1동 상대원2,3동, 은행1동, 중앙동 하대원동 33 46개별동 정자1동 1 중심동 금곡동, 서현1동 야탑3동 삼평동 분당동, 신흥2동 이매1동 금광2동 성남동 은행2동 도촌동, 상대원1동 12 수원 일반동 우만1,2동, 조원2동 매교동 매산동, 매탄1,2동 영화동 지동 고등동 광교2동 송죽동 행궁동 세류1동 입북동 연무동 16 42개별동 태장동, 금호동 2 중심동 화서1동, 광교1동, 권선1,2동, 정자1,2,3동, 구운동, 매탄3,4동, 율천동, 인계동, 조원1동, 화서2동, 곡선동, 서둔동, 세류2,3동, 원천동, 영통1,2동, 파장동, 평동 24 시흥 일반동 장곡동, 월곳동, 능곡동, 매화동, 목감동, 신현동, 과림동 7 16개별동 0 중심동 신천동,은행동,정왕2동, 대야동, 정왕1,3,4,본동, 군자동,연성동 9 안산 일반동 원곡2동, 선부1동, 고잔 1,2동, 원곡1동, 사3동, 반월동, 안산동, 대부동 9 25개별동 0 중심동 본오1,2,3동, 사1동, 성포동, 와동, 이동,호수동, 사2동, 선부2동, 일동, 선부3동, 월피동, 부곡동, 원곡본동, 초지동 16 양주 일반동 회천 1,4동, 양주1동, 광적면, 남면, 은현면, 장흥면 7 11

경기도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중심의 전달체계 개편 모형개발 연구 168 지자체명 군집No. 읍면동 명 수  합계 개별동 양주2동, 1 중심동 회천2,3동, 백석읍 3 오산 일반동 남촌동, 초평동 2 5개별동 대원동, 신장동 2 중심동 중앙동 1 용인 일반동 죽전2동, 서농동,기흥동, 동부동, 양지면, 남사면, 백암면, 원삼면, 이동면 10 33 개별동 죽전1동, 동백동 2 중심동 상현1동, 상현2동, 풍덕천1,2동,구갈동,구성동,마북동,보정동,성복동,신갈동,신봉동,상갈동,상 하동,영덕동,유림동,중앙동,동천동,역삼동,모현면,포곡읍 21 의왕 일반동 내손1동, 고천동, 청계동 3 6개별동 0 중심동 내손2동, 오전동, 부곡동 3 의정부 일반동 자금동, 가능2동, 의정부2동, 녹양동, 호원1동, 가능3동, 6 15개별동 0 중심동 신곡2동, 의정부 1,3동, 가능1동, 호원2동, 신곡1동, 장암동, 송산1,2동 9 파주 일반동 월롱면,탄현면,적성면,파평면,파주읍,법원읍 6 16개별동 운정3동, 문산읍 2 중심동 금촌1,2,3동, 운전1,2동, 교하동, 광탄면, 조리읍 8 평택 일반동 통복동, 신장2동, 지산동, 세교동, 송북동, 신장1동, 원평동, 송탄동, 고덕면, 진위면, 청북면, 서탄면, 오성면, 현덕면, 14 22개별동 비전2동 1 중심동 서정동, 중앙동, 신평동, 비전1동, 안중읍, 팽성읍, 포승읍 7 포천 일반동 포천동, 가산면, 군내면, 신북면, 일동면, 관인면, 내촌면, 영북면, 영중면, 이동면, 창수면, 화현면, 12 13개별동 0 중심동 소홀읍 1 하남 일반동 덕풍2동, 신장1동, 덕풍1동, 미사2동, 미사1동, 감북동, 초이동, 천현동, 춘궁동,풍산동 11 13개별동 0 중심동 덕풍3동, 신장2동 2 화성 일반동 병점1,2동, 동탄1,3동, 반월동, 화산동, 마도면, 동탄면, 매송면, 장안면,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