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보고 2015-10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연구책임 | 공동연구 | 황경란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박경순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원 정도선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사무국장 김나연 경기복지재단 연구원 이미영 경기복지재단 연구원

정책연구보고 2015-10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연구책임 | 공동연구 | 황경란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박경순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원 정도선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사무국장 김나연 경기복지재단 연구원 이미영 경기복지재단 연구원

경기복지재단 정책연구보고 2015-10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발행일 2015년 12월 발행인 박춘배 발행처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 16207 Tel. 1577-4312 Fax. 031-898-5937 Homepage. www.ggwf.or.kr 발 간 사 ‘일자리가 복지’라는 생각이 널리 공유되면서 2004년 노인일자리사업이 시행되었다. 일 자리는 단순히 소득의 원천으로서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는 기회로 매 우 중요하다. 특히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의 노동시장 참여와 통합은 여러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중요한 정책으로서 의미가 있다. 경기도는 다양한 계층의 일자리를 확대하고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 출과 정책수립을 위해 사회적일자리과를 신설하고 관련 조례로 제정하는 등 일자리 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쳐나가고 있다. 이에 보호와 수혜자의 위치에 있던 노인이 스스로 일을 하고 생활하는 주체적인 위치로 변화해 가고 있으며, 2008년부터 시행된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 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은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평등권 실현을 재확인하는 과정이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노인과 장애인은 각각 영역에서 사회적일자리를 개발하고 확대해 왔 으나 사회통합차원에서 함께 일하려는 시도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아직 초보적인 단계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의 일자리사업현황을 파악하고 노인과 장애인이 함께 일하고 있는 사업장 3곳을 사례분석함으로써 노인과 장애인이 함께 일함으 로 소득보전과 자립을 위한 노력, 그리고 사회통합으로 이끄는 일의 힘이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경기도의 정책방향에 따라 각 대상별 서로 다른 여건과 현황을 파악하고 일자리 전략을 도출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었다. 노인과 장애인이 함께 일하기 위해서 사전 이해교육 · 직무교육, 일의 완성도를 위한 세 밀한 직무분석, 협업을 위한 통합된 행정적 지원 등 여러 가지 성공요인들이 작용하고 있었 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성공요인을 제시함으로 사회적 취약계층이 함께 일할 수 있는 협업일자리 창출방안으로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보고서가 향후 사회적 취약계층의 일자리창출에 주요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연구에 도움을 주신 많은 학계전문가와 현장전문가, 담당공무원에게 감사드린다. 2015년 12월 경기복지재단 대표이사 박 춘 배 발간사

경기복지재단 정책연구보고 2015-10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발행일 2015년 12월 발행인 박춘배 발행처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 16207 Tel. 1577-4312 Fax. 031-898-5937 Homepage. www.ggwf.or.kr 발 간 사 ‘일자리가 복지’라는 생각이 널리 공유되면서 2004년 노인일자리사업이 시행되었다. 일 자리는 단순히 소득의 원천으로서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는 기회로 매 우 중요하다. 특히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의 노동시장 참여와 통합은 여러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중요한 정책으로서 의미가 있다. 경기도는 다양한 계층의 일자리를 확대하고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 출과 정책수립을 위해 사회적일자리과를 신설하고 관련 조례로 제정하는 등 일자리 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쳐나가고 있다. 이에 보호와 수혜자의 위치에 있던 노인이 스스로 일을 하고 생활하는 주체적인 위치로 변화해 가고 있으며, 2008년부터 시행된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 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은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평등권 실현을 재확인하는 과정이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노인과 장애인은 각각 영역에서 사회적일자리를 개발하고 확대해 왔 으나 사회통합차원에서 함께 일하려는 시도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아직 초보적인 단계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의 일자리사업현황을 파악하고 노인과 장애인이 함께 일하고 있는 사업장 3곳을 사례분석함으로써 노인과 장애인이 함께 일함으 로 소득보전과 자립을 위한 노력, 그리고 사회통합으로 이끄는 일의 힘이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경기도의 정책방향에 따라 각 대상별 서로 다른 여건과 현황을 파악하고 일자리 전략을 도출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었다. 노인과 장애인이 함께 일하기 위해서 사전 이해교육 · 직무교육, 일의 완성도를 위한 세 밀한 직무분석, 협업을 위한 통합된 행정적 지원 등 여러 가지 성공요인들이 작용하고 있었 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성공요인을 제시함으로 사회적 취약계층이 함께 일할 수 있는 협업일자리 창출방안으로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보고서가 향후 사회적 취약계층의 일자리창출에 주요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연구에 도움을 주신 많은 학계전문가와 현장전문가, 담당공무원에게 감사드린다. 2015년 12월 경기복지재단 대표이사 박 춘 배 발간사

요 약 i 1 연구의 목적 ○ 일자리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하여 일할 수 있는 사회적일자리 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노인일자리와 장애인일자리는 각각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으나 생산성, 유연 성 등 부족한 부분이 있음. 이를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영역을 모색하고자 함. 2 연구 방법 □ 연구 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노인과 장애인 협업일자리사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거나 진행하고 있는 3개 기관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함. ○ 연구내용 - 노인일자리의 현황, 장애인일자리의 현황분석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사례분석 내용 ・ 노인·장애인에게 있어서의 일의 의미 ・ 노인·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 형태 ・ 노인·장애인이 함께 일할 경우의 장단점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요인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필요 요건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를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 ・ 노인·장애인의 협업가능한 일자리 요약

요 약 i 1 연구의 목적 ○ 일자리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하여 일할 수 있는 사회적일자리 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노인일자리와 장애인일자리는 각각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으나 생산성, 유연 성 등 부족한 부분이 있음. 이를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영역을 모색하고자 함. 2 연구 방법 □ 연구 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노인과 장애인 협업일자리사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거나 진행하고 있는 3개 기관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함. ○ 연구내용 - 노인일자리의 현황, 장애인일자리의 현황분석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사례분석 내용 ・ 노인·장애인에게 있어서의 일의 의미 ・ 노인·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 형태 ・ 노인·장애인이 함께 일할 경우의 장단점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요인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필요 요건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를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 ・ 노인·장애인의 협업가능한 일자리 요약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ii 3 연구 결과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의의 ○ 협업사회적일자리 경험을 대한 노인과 장애인의 삶의 의미 변화 - 중증장애인에게 있어서 일의 의미는 소득창출에 의한 생계유지에 그치지 않고 사회에서 삶을 살아가는 힘의 근원이 됨. - 노인에게 일의 의미는 노동의 개념보다는 장애인들을 위해 봉사하고 복지사업 을 돕는다는 인식이 있어 즐거움과 보람이 됨. ○ 협업사회적일자리를 통한 인식개선 - 노인과 장애인 상호간의 인식개선 - 협업일자리사업의 담당자와 관련자도 노인과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경험과 따 뜻함이 있는 노인, 일을 하고 싶어 하는 장애인으로 인지하게 됨.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성공요인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을 위한 선행요인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으로 일할 때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은 상호간의 이해를 위한 충분한 교육임. - 지속가능한 협업사회적일자리가 되기 위해서는 노인과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 무교육이 선행적으로 실시되어야 함. - 성폭력에 대한 예방교육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을 위한 필요요인 - 지속적 일자리가 가능하도록 경영마인드를 가진 경력자 투입 - 노인과 장애인의 신체적·정서적 특성에 맞는 일자리 발굴 - 구체적인 업무분장과 세밀한 작업메뉴얼 필요 요 약 iii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개발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할 수 있는 직종 개발 - 지역특성을 활용한 공원관리 - 지역특성을 활용한 화훼농가 취업 - 노인요양병원 또는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돌봄(요양보호사) 식당, 세탁실 등의 업무 보조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 직무 개발 - 노인중심일자리에 장애인이 포함되는 형태 : 실버택배에서 전화받는 직무 등 - 장애인중심 일자리에 노인이 포함되는 형태 : 카페의 서브매니저, 직무지도원 보조 등의 형태 ○ 사업운영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 원활한 사업운영을 위하여 공공장소 임대 등 행정적 지원 - 민간영역에서는 사회공헌차원에서의 일반기업의 기술력 지원 및 생산품 구매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중간자 역할을 담당하는 노인의 임금보조 필요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기대효과 ○ 참여자에 대한 기대효과 - 노인은 장애인에게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지원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하는 기 회를 갖고, 장애인과 노인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사회통합의 기회를 부여함. - 노인 특유의 여유로움과 사교성, 유머와 위트로 밝은 분위기를 조성하여 작업의 능률을 높이고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기회와 사회성 증대에 긍정적 역할을 함. ○ 수행기관에서의 기대효과 - 장애인의 생산성과 비장애인 직원의 직무를 보완함. 노인은 장애인이 할 수 없 는 고난이도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어 비장애인 직원의 추가 투입 없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음.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ii 3 연구 결과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의의 ○ 협업사회적일자리 경험을 대한 노인과 장애인의 삶의 의미 변화 - 중증장애인에게 있어서 일의 의미는 소득창출에 의한 생계유지에 그치지 않고 사회에서 삶을 살아가는 힘의 근원이 됨. - 노인에게 일의 의미는 노동의 개념보다는 장애인들을 위해 봉사하고 복지사업 을 돕는다는 인식이 있어 즐거움과 보람이 됨. ○ 협업사회적일자리를 통한 인식개선 - 노인과 장애인 상호간의 인식개선 - 협업일자리사업의 담당자와 관련자도 노인과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경험과 따 뜻함이 있는 노인, 일을 하고 싶어 하는 장애인으로 인지하게 됨.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성공요인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을 위한 선행요인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으로 일할 때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은 상호간의 이해를 위한 충분한 교육임. - 지속가능한 협업사회적일자리가 되기 위해서는 노인과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 무교육이 선행적으로 실시되어야 함. - 성폭력에 대한 예방교육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을 위한 필요요인 - 지속적 일자리가 가능하도록 경영마인드를 가진 경력자 투입 - 노인과 장애인의 신체적·정서적 특성에 맞는 일자리 발굴 - 구체적인 업무분장과 세밀한 작업메뉴얼 필요 요 약 iii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개발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할 수 있는 직종 개발 - 지역특성을 활용한 공원관리 - 지역특성을 활용한 화훼농가 취업 - 노인요양병원 또는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돌봄(요양보호사) 식당, 세탁실 등의 업무 보조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 직무 개발 - 노인중심일자리에 장애인이 포함되는 형태 : 실버택배에서 전화받는 직무 등 - 장애인중심 일자리에 노인이 포함되는 형태 : 카페의 서브매니저, 직무지도원 보조 등의 형태 ○ 사업운영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 원활한 사업운영을 위하여 공공장소 임대 등 행정적 지원 - 민간영역에서는 사회공헌차원에서의 일반기업의 기술력 지원 및 생산품 구매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중간자 역할을 담당하는 노인의 임금보조 필요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기대효과 ○ 참여자에 대한 기대효과 - 노인은 장애인에게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지원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하는 기 회를 갖고, 장애인과 노인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사회통합의 기회를 부여함. - 노인 특유의 여유로움과 사교성, 유머와 위트로 밝은 분위기를 조성하여 작업의 능률을 높이고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기회와 사회성 증대에 긍정적 역할을 함. ○ 수행기관에서의 기대효과 - 장애인의 생산성과 비장애인 직원의 직무를 보완함. 노인은 장애인이 할 수 없 는 고난이도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어 비장애인 직원의 추가 투입 없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음.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iv - 노인이 장애인이 하는 일에 투입되면 복잡한 공정을 담당하여 완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장애인의 작업을 독려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함. - 자원봉사 모집에 어려움이 있는데 노인이 자원봉사의 역할을 대신함. ○ 사회통합의 효과 - 노인은 육체적으로 힘든 부분을 장애인이 보완하고 장애인에게 부족한 인지적 부분을 노인이 보완하는 방식으로 함께 사회에 참여함으로 사회통합을 이룸 - 발달장애인들이나 노인들이나 자립능력유지하면서 활동함으로 국가적으로 의 료비절감과 여러 가지 파급효과가 있음. 4 정책적 제언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참여자와 내용에 대한 제한요건 완화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부문별 참여자 제한 요건의 완화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컨텐츠의 다양화 - 경기도 자체사업으로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에 맞는 노인선발조건의 차별화이 나 일자리 내용을 마련하고 제도적 기반을 조성해야함. ○ 사업평가 시 인센티브 제공 - 공공영역에서는 일자리 평가 시 협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인센티브를 신설하 거나 평가항목 조정 필요. ・ 중증장애인고용 시 의무고용의 가산점가 더블 카운트되는 것과 같이 노인과 장 애인이 협업사회적일자리 사업에 대해 인센티브를 고려해야 함. - 장애인복지기관으로 평가를 받으며 협업사회적일자리사업을 운영할 경우는 보 건복지부의 평가기준에 맞추기 어려움이 있음. ○ 노인과 장애인이 취업 후 관리하는 중간관리기구 설치 - 사회적일자리와 관련된 직무교육, 훈련은 사업기관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나, 요 약 v 취업한 장애인에 대한 상담, 계속적인 관심을 사업기관에서 수행하기에는 한 계가 있음. - 노인과 장애인 상호 간의 이해교육과 직무교육이 지속적으로 운영되어야 함.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일자리 창출과 지속적 고용을 위한 중간관리기구를 조례 에 의해 설치, 운영 - 중간관리기구의 역할 ・ 노인의 장애인에 대한 이해교육과 직무교육을 지속적으로 운영 ・ 장애인에 대한 직무교육과 상담실시 ・ 협업일자리에 대한 인식개선 ○ 사회적 취약계층의 협업을 통한 일자리는 단순한 소득보전을 넘어 사회통 합의 방법이며, 자립과 사회통합에 따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돌봄서 비스 비용 절감의 방법임. 그러나 협업을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취약계층을 담당하고 있는 행정조직이 함께 논의하고 협업할 때 가능함. 이를 위한 논 의의 장을 마련해야 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iv - 노인이 장애인이 하는 일에 투입되면 복잡한 공정을 담당하여 완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장애인의 작업을 독려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함. - 자원봉사 모집에 어려움이 있는데 노인이 자원봉사의 역할을 대신함. ○ 사회통합의 효과 - 노인은 육체적으로 힘든 부분을 장애인이 보완하고 장애인에게 부족한 인지적 부분을 노인이 보완하는 방식으로 함께 사회에 참여함으로 사회통합을 이룸 - 발달장애인들이나 노인들이나 자립능력유지하면서 활동함으로 국가적으로 의 료비절감과 여러 가지 파급효과가 있음. 4 정책적 제언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참여자와 내용에 대한 제한요건 완화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부문별 참여자 제한 요건의 완화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컨텐츠의 다양화 - 경기도 자체사업으로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에 맞는 노인선발조건의 차별화이 나 일자리 내용을 마련하고 제도적 기반을 조성해야함. ○ 사업평가 시 인센티브 제공 - 공공영역에서는 일자리 평가 시 협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인센티브를 신설하 거나 평가항목 조정 필요. ・ 중증장애인고용 시 의무고용의 가산점가 더블 카운트되는 것과 같이 노인과 장 애인이 협업사회적일자리 사업에 대해 인센티브를 고려해야 함. - 장애인복지기관으로 평가를 받으며 협업사회적일자리사업을 운영할 경우는 보 건복지부의 평가기준에 맞추기 어려움이 있음. ○ 노인과 장애인이 취업 후 관리하는 중간관리기구 설치 - 사회적일자리와 관련된 직무교육, 훈련은 사업기관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나, 요 약 v 취업한 장애인에 대한 상담, 계속적인 관심을 사업기관에서 수행하기에는 한 계가 있음. - 노인과 장애인 상호 간의 이해교육과 직무교육이 지속적으로 운영되어야 함.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일자리 창출과 지속적 고용을 위한 중간관리기구를 조례 에 의해 설치, 운영 - 중간관리기구의 역할 ・ 노인의 장애인에 대한 이해교육과 직무교육을 지속적으로 운영 ・ 장애인에 대한 직무교육과 상담실시 ・ 협업일자리에 대한 인식개선 ○ 사회적 취약계층의 협업을 통한 일자리는 단순한 소득보전을 넘어 사회통 합의 방법이며, 자립과 사회통합에 따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돌봄서 비스 비용 절감의 방법임. 그러나 협업을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취약계층을 담당하고 있는 행정조직이 함께 논의하고 협업할 때 가능함. 이를 위한 논 의의 장을 마련해야 함.

목 차 vii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4 3. 연구 방법 ····································································································· 4 Ⅱ 노인과 장애인일자리 현황과 유형/ 9 1. 노인 사회활동(일자리) 지원 사업 현황 ························································· 9 2. 장애인 일자리 현황 ···················································································· 21 3. 노인 · 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개념 ························································ 28 4. 노인 · 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 30 Ⅲ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결과 / 35 1. 노인ㆍ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개요 ·········································· 35 2. 노인ㆍ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결과 ·········································· 38 3. 노인ㆍ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분석결과 ··················································· 79 Ⅳ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 방안 / 87 1.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의의 ·········································································· 87 2.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성공요인 ····································································· 88 3.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개발 ···························································· 90 4.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 ············································ 93 5.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기대효과 ····················································· 94 목차

목 차 vii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4 3. 연구 방법 ····································································································· 4 Ⅱ 노인과 장애인일자리 현황과 유형/ 9 1. 노인 사회활동(일자리) 지원 사업 현황 ························································· 9 2. 장애인 일자리 현황 ···················································································· 21 3. 노인 · 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개념 ························································ 28 4. 노인 · 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 30 Ⅲ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결과 / 35 1. 노인ㆍ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개요 ·········································· 35 2. 노인ㆍ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결과 ·········································· 38 3. 노인ㆍ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분석결과 ··················································· 79 Ⅳ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 방안 / 87 1.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의의 ·········································································· 87 2.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성공요인 ····································································· 88 3.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개발 ···························································· 90 4.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 ············································ 93 5.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기대효과 ····················································· 94 목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viii Ⅴ 결론/ 99 1. 요약 ············································································································ 99 2. 정책적 제언 ······························································································ 101 참고문헌 / 104 목 차 ix 표 차례 <표 Ⅱ-1>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주요 연혁 ··········································· 11 <표 Ⅱ-2>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유형 ·················································· 15 <표 Ⅱ-3>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유형별 예산지원 기준 ······················· 16 <표 Ⅱ-4> 연도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추진 실적 ································· 17 <표 Ⅱ-5> 시·도별 노인일자리사업 추진 실적 ··············································· 18 <표 Ⅱ-6> 2014년도 경기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 현황 ········· 19 <표 Ⅱ-7> 2014년도 경기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 유형 및 참여 현황 ················································································ 19 <표 Ⅱ-8> 경기도 시군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 현황 ·············· 20 <표 Ⅱ-9> 장애인공공일자리 사업유형별 개요 ··············································· 21 <표 Ⅱ-10> 연도별 일반형 일자리의 장애인 수 변화 ···································· 22 <표 Ⅱ-11> 연도별 복지일자리의 장애인수 변화 ··········································· 22 <표 Ⅱ-12> 연도별 특화형(시각안마사) 일자리의 장애인수 변화 ·················· 23 <표 Ⅱ-13> 시도 장애인직업재활 시설 현황(2014.12.) ································ 26 <표 Ⅱ-14> 경기도 장애인직업재활시설현황(2014.12.) ································ 27 <표 Ⅱ-15> 장애 분류 ··················································································· 29 <표 Ⅱ-16> 노인의 전문성 유무와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에 따른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 31 <표 Ⅲ-1> 심층면접 질문 ·············································································· 36 <표 Ⅲ-2>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정보 ·························································· 37 <표 Ⅲ-3> D노인복지관 시설현황 ·································································· 39 <표 Ⅲ-4> 노인·장애인 협업의 형태 ······························································ 80 <표 Ⅲ-5>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의미와 성공요인 ························ 81 <표 Ⅳ-1> 노인·장애인의 협업 직무형태 ······················································· 92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viii Ⅴ 결론/ 99 1. 요약 ············································································································ 99 2. 정책적 제언 ······························································································ 101 참고문헌 / 104 목 차 ix 표 차례 <표 Ⅱ-1>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주요 연혁 ··········································· 11 <표 Ⅱ-2>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유형 ·················································· 15 <표 Ⅱ-3>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유형별 예산지원 기준 ······················· 16 <표 Ⅱ-4> 연도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추진 실적 ································· 17 <표 Ⅱ-5> 시·도별 노인일자리사업 추진 실적 ··············································· 18 <표 Ⅱ-6> 2014년도 경기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 현황 ········· 19 <표 Ⅱ-7> 2014년도 경기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 유형 및 참여 현황 ················································································ 19 <표 Ⅱ-8> 경기도 시군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 현황 ·············· 20 <표 Ⅱ-9> 장애인공공일자리 사업유형별 개요 ··············································· 21 <표 Ⅱ-10> 연도별 일반형 일자리의 장애인 수 변화 ···································· 22 <표 Ⅱ-11> 연도별 복지일자리의 장애인수 변화 ··········································· 22 <표 Ⅱ-12> 연도별 특화형(시각안마사) 일자리의 장애인수 변화 ·················· 23 <표 Ⅱ-13> 시도 장애인직업재활 시설 현황(2014.12.) ································ 26 <표 Ⅱ-14> 경기도 장애인직업재활시설현황(2014.12.) ································ 27 <표 Ⅱ-15> 장애 분류 ··················································································· 29 <표 Ⅱ-16> 노인의 전문성 유무와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에 따른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 31 <표 Ⅲ-1> 심층면접 질문 ·············································································· 36 <표 Ⅲ-2>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정보 ·························································· 37 <표 Ⅲ-3> D노인복지관 시설현황 ·································································· 39 <표 Ⅲ-4> 노인·장애인 협업의 형태 ······························································ 80 <표 Ⅲ-5>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의미와 성공요인 ························ 81 <표 Ⅳ-1> 노인·장애인의 협업 직무형태 ······················································· 92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x 그림 차례 <그림 Ⅱ-1>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전달체계 ··········································· 14 <그림 Ⅱ-2> 지역별 현황 등록장애인비율 (2014.) ······································· 24 <그림 Ⅲ-1> D노인복지관 조직도 ·································································· 40 <그림 Ⅲ-2> G기관 1층 매장 안내도 ···························································· 55 <그림 Ⅲ-3> G기관 조직도 ············································································ 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x 그림 차례 <그림 Ⅱ-1>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전달체계 ··········································· 14 <그림 Ⅱ-2> 지역별 현황 등록장애인비율 (2014.) ······································· 24 <그림 Ⅲ-1> D노인복지관 조직도 ·································································· 40 <그림 Ⅲ-2> G기관 1층 매장 안내도 ···························································· 55 <그림 Ⅲ-3> G기관 조직도 ············································································ 5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 노인과 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의 필요성 - 노인·장애인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일의 의미는 소득의 의미보다 사회의 일원으 로 살아가는 삶 자체의 의미가 있음. - 노인일자리와 장애인일자리가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각 각의 고유영역의 일자리와 겹쳐지는 영역의 일자리가 있음. 공공근로나 카페 등 겹쳐지는 영역은 서로간의 경쟁보다는 오히려 노인과 장애인 일자리가 상 호보완적인 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영역임. - 노인과 장애인은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독립적으로 일자리를 구성하기 보다는 서로의 장점으로 협력하는 것이 상생의 효과가 있음. 노인의 전문적인 지식 또 는 경험과 장애인의 특성이 서로 보완적으로 융합되면 사회통합적인 면에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함. -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 장애인, 자활, 경력단절여성 등을 대상으로 많은 공 공영역의 일자리와 사업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러한 영역은 이미 포화상태에 가까움. 이러한 상황에서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사회적일자리를 구성하면 틈새 시장을 공략하여 공공영역 진입이 수월할 것으로 예상됨. ○ 장애인만 고용되어있는 경우, 실질적인 경쟁노동시장으로의 노동통합 및 사회적 통합은 가능하지 않을 수 있으며, 기업의 낮은 생산 수준은 장애인 노동통합기업을 기존의 자선기관으로 인식하게 함. 이러한 관점에서 비장 애인 종업원의 고용은 장애인 노동통합기업에게 중요하며 비장애인이 노인 인 경우에는 사회통합의 기능이 더욱 강화됨. ⨠⨠Ⅰ 서 론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 노인과 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의 필요성 - 노인·장애인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일의 의미는 소득의 의미보다 사회의 일원으 로 살아가는 삶 자체의 의미가 있음. - 노인일자리와 장애인일자리가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각 각의 고유영역의 일자리와 겹쳐지는 영역의 일자리가 있음. 공공근로나 카페 등 겹쳐지는 영역은 서로간의 경쟁보다는 오히려 노인과 장애인 일자리가 상 호보완적인 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영역임. - 노인과 장애인은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독립적으로 일자리를 구성하기 보다는 서로의 장점으로 협력하는 것이 상생의 효과가 있음. 노인의 전문적인 지식 또 는 경험과 장애인의 특성이 서로 보완적으로 융합되면 사회통합적인 면에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함. -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 장애인, 자활, 경력단절여성 등을 대상으로 많은 공 공영역의 일자리와 사업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러한 영역은 이미 포화상태에 가까움. 이러한 상황에서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사회적일자리를 구성하면 틈새 시장을 공략하여 공공영역 진입이 수월할 것으로 예상됨. ○ 장애인만 고용되어있는 경우, 실질적인 경쟁노동시장으로의 노동통합 및 사회적 통합은 가능하지 않을 수 있으며, 기업의 낮은 생산 수준은 장애인 노동통합기업을 기존의 자선기관으로 인식하게 함. 이러한 관점에서 비장 애인 종업원의 고용은 장애인 노동통합기업에게 중요하며 비장애인이 노인 인 경우에는 사회통합의 기능이 더욱 강화됨. ⨠⨠Ⅰ 서 론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2 - 장애인의 직업능력향상과 고용확대를 목적으로 지속적인 경제활동을 시행하고 자 하는 대부분의 경우 장애인 종사자의 인적관리와 경영상의 애로점을 동시 에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어서, 적절한 장애인 훈련 전문가와 경영능력 보유자를 포함하고 있어야 함. 또한, 근로 장애인의 세세한 부분의 지원이나 업무 보완 역할을 노인이 하게 되면, 사회통합의 기능이 더욱 강화될 수 있음. ○ 노인과 장애인에게 일자리 참여의 의미 - 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는 노후 준비가 부족한 노인의 소득보전효과와 건강효 과를 통한 의료비 절감효과 뿐만 아니라 심리적 만족 및 사회네트워크 수준의 향상과 같은 비경제적 효과가 있음(이소정. 2013). ・ 삶의 질 향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이소정. 2013). 사회참여 는 생활만족도와 사회적 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녀들에 대한 부양기 대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김수영. 2014, 이재영. 2012). ・ 일자리사업에 참여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높은 자아존중감과 낮은 우 울감을 나타냄(임중철. 2012). - 장애인의 일자리사업 참여 등 경제활동참여는 장애인의 건강, 삶의 만족도 향 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문필동. 2014, 김동주. 2012). ○ 노인·장애인과 같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의 적합성이란 그들의 능력, 기술, 제한성에 맞는 적합한 생산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을 의미함(정영순. 2010). - 취약계층의 일자리는 대부분 상대적으로 기술이 낮고 저임금, 단기고용, 승진 부재 등 2차 노동시장1)으로 형성되며 장애인근로사업장이나 보호작업장, 노인 일자리수행기관 등 일자리수행기관은 재정적 자립이 어려워 정부의 지원이나 지역사회의 자원 활용이 중요하게 기능함. 1) 2차 노동시장 : 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직업들이 저임금, 단기적 고용관계, 열악한 근로조건, 승진의 기회 부재, 불합리한 노무관계로 특징지어지는 추상적 노동시장 (실무노동용어사전 http://terms.naver.com) Ⅰ 서 론 3 ○ 사회적일자리의 개념 - 사회적일자리는 사회적으로 유용하지만 수익성이 낮아 민간기업이 참여하기 어렵고 시장에서도 충분하게 노동력이 공급되지 못하기 때문에 정부가 재정지 원을 부담하고 비영리민간단체가 주도하여 빈곤계층이나, 사회적 취약계층에 게 제공하는 사회적 서비스분야 일자리임. 취약계층의 공통문제를 해결하고 고용과 복지 양극화 해소,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일자리를 지칭함(정인서 2009). - 사회적일자리는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생활비 보조형식의 단순한 의미부여 에서 사회구성원의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통합,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하여 일할 수 있는 사 회적일자리의 창출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 ○ 2014년 사회적기업총람에 의하면 경기도의 사회적기업 중 노인·장애인이 함께 일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수는 6개소로 나타남. - 그러나 2015년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곳은 5개소이며, 사무용품 제조, 패션잡 화 제조, 조명기구 제조 및 판매 등 제조사업 위주였으며 세분화된 공정라인에 따라 노인과 장애인이 다른 라인에서 일을 하고 있음. 경비용역기업도 노인과 장애인이 소속되어있지만, 각각 다른 곳으로 파견되고 있음. - 노인일자리지원사업의 카페 운영에서 장애인이 실습생으로 일하거나, 노인복 지관에서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자원봉사를 하는 경우,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서 노인일자리지원사업의 파견형일자리로 근무하는 경우 등이 발견됨.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의 어려움 - 노인과 장애인 양자 모두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협업과정에서 또 다른 인력에 의한 지원이 필요할 수 있음. - 전문성과 생산성 효율성을 함께 필요로 하는 일자리영역에는 사회적 취약계층 이 참여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며, 생산성과 효율성의 측면에서 투입대비 저 조한 성과물을 생산할 가능성이 있음.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2 - 장애인의 직업능력향상과 고용확대를 목적으로 지속적인 경제활동을 시행하고 자 하는 대부분의 경우 장애인 종사자의 인적관리와 경영상의 애로점을 동시 에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어서, 적절한 장애인 훈련 전문가와 경영능력 보유자를 포함하고 있어야 함. 또한, 근로 장애인의 세세한 부분의 지원이나 업무 보완 역할을 노인이 하게 되면, 사회통합의 기능이 더욱 강화될 수 있음. ○ 노인과 장애인에게 일자리 참여의 의미 - 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는 노후 준비가 부족한 노인의 소득보전효과와 건강효 과를 통한 의료비 절감효과 뿐만 아니라 심리적 만족 및 사회네트워크 수준의 향상과 같은 비경제적 효과가 있음(이소정. 2013). ・ 삶의 질 향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이소정. 2013). 사회참여 는 생활만족도와 사회적 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녀들에 대한 부양기 대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김수영. 2014, 이재영. 2012). ・ 일자리사업에 참여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높은 자아존중감과 낮은 우 울감을 나타냄(임중철. 2012). - 장애인의 일자리사업 참여 등 경제활동참여는 장애인의 건강, 삶의 만족도 향 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문필동. 2014, 김동주. 2012). ○ 노인·장애인과 같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의 적합성이란 그들의 능력, 기술, 제한성에 맞는 적합한 생산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을 의미함(정영순. 2010). - 취약계층의 일자리는 대부분 상대적으로 기술이 낮고 저임금, 단기고용, 승진 부재 등 2차 노동시장1)으로 형성되며 장애인근로사업장이나 보호작업장, 노인 일자리수행기관 등 일자리수행기관은 재정적 자립이 어려워 정부의 지원이나 지역사회의 자원 활용이 중요하게 기능함. 1) 2차 노동시장 : 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직업들이 저임금, 단기적 고용관계, 열악한 근로조건, 승진의 기회 부재, 불합리한 노무관계로 특징지어지는 추상적 노동시장 (실무노동용어사전 http://terms.naver.com) Ⅰ 서 론 3 ○ 사회적일자리의 개념 - 사회적일자리는 사회적으로 유용하지만 수익성이 낮아 민간기업이 참여하기 어렵고 시장에서도 충분하게 노동력이 공급되지 못하기 때문에 정부가 재정지 원을 부담하고 비영리민간단체가 주도하여 빈곤계층이나, 사회적 취약계층에 게 제공하는 사회적 서비스분야 일자리임. 취약계층의 공통문제를 해결하고 고용과 복지 양극화 해소,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일자리를 지칭함(정인서 2009). - 사회적일자리는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생활비 보조형식의 단순한 의미부여 에서 사회구성원의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통합,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하여 일할 수 있는 사 회적일자리의 창출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 ○ 2014년 사회적기업총람에 의하면 경기도의 사회적기업 중 노인·장애인이 함께 일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수는 6개소로 나타남. - 그러나 2015년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곳은 5개소이며, 사무용품 제조, 패션잡 화 제조, 조명기구 제조 및 판매 등 제조사업 위주였으며 세분화된 공정라인에 따라 노인과 장애인이 다른 라인에서 일을 하고 있음. 경비용역기업도 노인과 장애인이 소속되어있지만, 각각 다른 곳으로 파견되고 있음. - 노인일자리지원사업의 카페 운영에서 장애인이 실습생으로 일하거나, 노인복 지관에서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자원봉사를 하는 경우,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서 노인일자리지원사업의 파견형일자리로 근무하는 경우 등이 발견됨.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의 어려움 - 노인과 장애인 양자 모두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협업과정에서 또 다른 인력에 의한 지원이 필요할 수 있음. - 전문성과 생산성 효율성을 함께 필요로 하는 일자리영역에는 사회적 취약계층 이 참여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며, 생산성과 효율성의 측면에서 투입대비 저 조한 성과물을 생산할 가능성이 있음.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4 - 노인과 장애인의 서로 간의 이해 부족에 의한 불협화음이 생기고 심한 경우 폭 력을 유발할 우려가 있음.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를 정부에서 운영되고 있는 기존 사업을 활 용할 경우, 노인은 노인사회활동지원(일자리지원)사업에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 키는 대상자를, 장애인은 공공일자리 조건에 맞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협업사 회적일자리를 구성해야 하는 등 각각의 행정조건과 절차에 따른 대상자만을 선정하게 됨으로 다양한 협업사회적일자리 구성에 한계가 예상됨. ○ 사회적 취약계층이 협업하여 사회적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개개인의 소득에 만 관련된 것이 아니라 사회통합 차원에서 의미를 갖게 되는데, 협업사회적 일자리의 기저에는 서로간의 이해와 배려가 있기 때문임. - 서로간의 장점을 살리고 취약점을 보완하여 상생할 수 있는 사회적일자리 창 출이 요구됨. 2 연구 목적 ○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하여 일할 수 있는 사회적일자리 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노인일자리와 장애인일자리는 각각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으나 생산성, 유연 성 등 부족한 부분이 있음. 이를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영역을 모색하고자 함. 3 연구 방법 □ 연구 내용 ○ 노인일자리의 현황, 장애인일자리의 현황분석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의 사례분석 내용2) 2) 3개의 사례분석으로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 Ⅰ 서 론 5 - 노인·장애인에게 있어서의 일의 의미 - 노인·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 형태 - 노인·장애인이 함께 일할 경우의 장단점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요인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필요 요건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를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 - 노인·장애인의 협업가능한 일자리 □ 연구 방법 ○ 문헌연구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모색을 위해 행정자료 및 선행연 구를 통해 일자리와 장애인일자리의 현황을 분석하고 협업사회적일자리의 개 념을 정리함. ○ 사례분석 - 노인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를 시행하고 있는 사례의 경영자와 근로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분석함. - 본 연구의 윤리에 대해 인터뷰 실시 전에 참여자에게 익명이 보장되며, 인터뷰 내용은 협업사회적일자리 연구에 활용되고 인터뷰내용은 연구진 이외에는 비 공개됨을 분명히 설명하고 동의를 얻어 녹음함. - 연구의 일관성을 위해 연구진은 인터뷰내용을 녹음, 메모하였으며 범주화, 개 념화함. - 연구진은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인터뷰 전에 이메일을 통해 참여자에 게 전달함. - 인터뷰는 2시간 이상 소요되었으며, 연구진은 참여자의 이야기에 개입을 자제 하며 참여자가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유도함.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사례연구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4 - 노인과 장애인의 서로 간의 이해 부족에 의한 불협화음이 생기고 심한 경우 폭 력을 유발할 우려가 있음.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를 정부에서 운영되고 있는 기존 사업을 활 용할 경우, 노인은 노인사회활동지원(일자리지원)사업에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 키는 대상자를, 장애인은 공공일자리 조건에 맞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협업사 회적일자리를 구성해야 하는 등 각각의 행정조건과 절차에 따른 대상자만을 선정하게 됨으로 다양한 협업사회적일자리 구성에 한계가 예상됨. ○ 사회적 취약계층이 협업하여 사회적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개개인의 소득에 만 관련된 것이 아니라 사회통합 차원에서 의미를 갖게 되는데, 협업사회적 일자리의 기저에는 서로간의 이해와 배려가 있기 때문임. - 서로간의 장점을 살리고 취약점을 보완하여 상생할 수 있는 사회적일자리 창 출이 요구됨. 2 연구 목적 ○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하여 일할 수 있는 사회적일자리 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노인일자리와 장애인일자리는 각각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으나 생산성, 유연 성 등 부족한 부분이 있음. 이를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영역을 모색하고자 함. 3 연구 방법 □ 연구 내용 ○ 노인일자리의 현황, 장애인일자리의 현황분석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의 사례분석 내용2) 2) 3개의 사례분석으로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 Ⅰ 서 론 5 - 노인·장애인에게 있어서의 일의 의미 - 노인·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 형태 - 노인·장애인이 함께 일할 경우의 장단점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요인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필요 요건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를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 - 노인·장애인의 협업가능한 일자리 □ 연구 방법 ○ 문헌연구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모색을 위해 행정자료 및 선행연 구를 통해 일자리와 장애인일자리의 현황을 분석하고 협업사회적일자리의 개 념을 정리함. ○ 사례분석 - 노인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를 시행하고 있는 사례의 경영자와 근로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분석함. - 본 연구의 윤리에 대해 인터뷰 실시 전에 참여자에게 익명이 보장되며, 인터뷰 내용은 협업사회적일자리 연구에 활용되고 인터뷰내용은 연구진 이외에는 비 공개됨을 분명히 설명하고 동의를 얻어 녹음함. - 연구의 일관성을 위해 연구진은 인터뷰내용을 녹음, 메모하였으며 범주화, 개 념화함. - 연구진은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인터뷰 전에 이메일을 통해 참여자에 게 전달함. - 인터뷰는 2시간 이상 소요되었으며, 연구진은 참여자의 이야기에 개입을 자제 하며 참여자가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유도함.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사례연구

Ⅱ 노인과 장애인 일자리 현황과 유형 1. 노인 사회활동(일자리) 지원 사업 현황 2. 장애인 일자리 현황 3.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개념 4.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Ⅱ 노인과 장애인 일자리 현황과 유형 1. 노인 사회활동(일자리) 지원 사업 현황 2. 장애인 일자리 현황 3.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개념 4.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9 1 노인 사회활동(일자리) 지원 사업 현황 □ 노인 사회활동(일자리) 지원 사업의 개요와 정책 변화 ○ 노인 사회활동(일자리) 지원 사업(이하: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개요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노인이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 도록 다양한 사회활동을 지원하여 노인복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을 가 진 대표적인 노인복지사업임. - 2004년부터 노인일자리 사업이라는 명칭으로 시작된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 업은 사업 초기에는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인문제에 대비하고자 65세 이상의 일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일자리 를 창출·제공함으로써 노인 소득창출 및 사회 참여의 기회 제공, 노인문제 예 방 및 사회적 비용 절감, 노인인력 활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및 민간참 여 도모, 노인인력 교육 연계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의 목적을 갖고 시작됨. - 노인일자리 사업은 사업시행 초기에는 공익형, 교육형, 복지형, 시장형, 인력 파견형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었으나, 2009년부터 공익형, 교육형, 복지형이 포함된 공공분야와 인력파견형, 시장형, 창업모델형의 민간분야로 단순 분류 함. 이후 사업의 성격에 따라 유형이 분리·추가되어 2014년까지 사회공헌형 (공익형, 교육형, 복지형)과 시장진입형(인력파견형, 시장형)으로 운영되었음. - 2015년부터 사업명칭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으로 변경하여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공익활동, 재능나눔활동, 취업·창업활동, 경력유지활동, 자원봉사활 동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개편하여 다양한 노인의 활동욕구를 반영하고, 활 동 유형별로 특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재구조화함. 이를 통해 더 많 ⨠⨠Ⅱ 노인과 장애인 일자리 현황과 유형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9 1 노인 사회활동(일자리) 지원 사업 현황 □ 노인 사회활동(일자리) 지원 사업의 개요와 정책 변화 ○ 노인 사회활동(일자리) 지원 사업(이하: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개요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노인이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 도록 다양한 사회활동을 지원하여 노인복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을 가 진 대표적인 노인복지사업임. - 2004년부터 노인일자리 사업이라는 명칭으로 시작된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 업은 사업 초기에는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인문제에 대비하고자 65세 이상의 일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일자리 를 창출·제공함으로써 노인 소득창출 및 사회 참여의 기회 제공, 노인문제 예 방 및 사회적 비용 절감, 노인인력 활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및 민간참 여 도모, 노인인력 교육 연계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의 목적을 갖고 시작됨. - 노인일자리 사업은 사업시행 초기에는 공익형, 교육형, 복지형, 시장형, 인력 파견형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었으나, 2009년부터 공익형, 교육형, 복지형이 포함된 공공분야와 인력파견형, 시장형, 창업모델형의 민간분야로 단순 분류 함. 이후 사업의 성격에 따라 유형이 분리·추가되어 2014년까지 사회공헌형 (공익형, 교육형, 복지형)과 시장진입형(인력파견형, 시장형)으로 운영되었음. - 2015년부터 사업명칭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으로 변경하여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공익활동, 재능나눔활동, 취업·창업활동, 경력유지활동, 자원봉사활 동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개편하여 다양한 노인의 활동욕구를 반영하고, 활 동 유형별로 특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재구조화함. 이를 통해 더 많 ⨠⨠Ⅱ 노인과 장애인 일자리 현황과 유형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0 은 노인에게 사회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이를 통해 노인복지 향상을 목 적으로 함.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일자리(취업·창업 등), 공익활동, 재능나눔 등을 통한 적극적 사회참여, 소득보충 및 건강증진 등으로 노인문제를 예방하고 사 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참여노인을 통한 노노케어, CCTV 상시관제, 보 육교사 도우미 등 유용한 공익활동 확대로 공공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 려는 목적을 갖고 있음.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아직까지는 사회공헌형의 재정지원일자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시장형과 인력파견형 등의 시장진입형 일자리 실적 을 조금씩 늘려오고 있는 추세임. 또한 2011년부터 시작한 시니어인턴십, 고 령자친화기업, 시니어직능클럽 등의 시장자립형 일자리도 점차 늘고 있는 실 정임. 2014년부터 시작된 재능활용형 일자리사업을 통해 2014년에 3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함.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노인복지법」 제23조와 제23조의 2, 「저출산 고령사회기본법」 제11조와 제14조에 근거하여 추진되고 있음. ・ 노인복지법 제23조(노인사회참여 지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노인의 사 회참여 확대를 위하여 노인의 지역봉사 활동기회를 넓히고 노인에게 적합한 직종의 개발과 그 보급을 위한 시책을 강구하며 근로능력 있는 노인에게 일할 기회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노인복지법 제23조의2(노인일자리전담기관의 설치·운영 등): 국가 또는 지방 자치단체는 노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일자리의 개발·보급과 교육훈련 등을 전담할 기관을 설치·운영하거나 그 운영의 전부 또는 일부를 법인·단체 등에 위탁할 수 있다. ・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제11조(고용과 소득보장): 노인에게 적합한 일자리창출 등 안정된 노후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제14조(여가·문화 및 사회활동의 장려): 국가 및 지방 자치단체는 자원봉사 등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를 촉진하는 사회적 기반을 조 성하여야 한다.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11 연 도 내용 2004  대통령 비서실 고령사회대책 및 사회통합기획단 산하의 인구·고령사회대책팀은 1월 국 정과제회의에서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국가실천전략 현안과제로 노인일자리 창 출 및 추진계획을 발표함  이후부터 전국 단위의 본격적인 노인일자리 사업이 시작됨  일자리 유형을 공공참여형, 공익강사형, 인력파견형, 시장참여형으로 구분하고, 보수는 공공참여형과 공익강사형에 6개월간 20만원씩 지급함  부대경비는 공공참여형과 인력파견형은 1인당 10만원, 공익강사형은 20만원이 지원됨. 시장형은 수행기관 요청예산을 근거로 탄력 지원하도록 함 2005  공공참여형은 공익형으로, 사회참여형(공익강사형, 인력파견형)은 교육복지형(교육형, 복지형)으로, 시장참여형은 자립지원형(시장형, 인력파견형)으로 사업유형을 재분류함  교통질서, 환경 감시 등 단순일자리 비율을 축소하고 일자리 창출 적합 직종을 택배사 업, 간병인 사업 등의 시장형 위주로 추진 2006  사업기간을 7개월로 연장하고 복지형 사업이 전략사업으로 육성됨 사업수행기관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전담보조인력 운영을 가능하게 함 2007  사업수행기관 전담인력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 참여노인 150명당 1명 수준으로 월 60~80만원 정도의 보수를 지급하게 됨  일자리의 일정범위(10%) 내에서 지역혁신사업 선정·추진 2008  사업수행기관 전담인력을 120명당 1명 배치로 확대하고 월 90만원에 9개월 채용을 기본으로 함 2009  기존 5개 유형을 공공분야와 민간분야로 대분류(공공분야 공익, 교육, 복지형)  기존 민간분야 일자리 유형(인력파견형과 시장형)외 창업모델형을 신설  사업유형별 의무비율 전면개선(공공분야 중 복지형만 20%이상, 나머지 유형비율은 폐 지함) 2010  공공분야 일자리를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사회적 유용성이 강한 전략분야 중심으로 특화(노노케어: 10년 집중 전략사업, 아동안전보호, 문화재보호 및 해설, 숲생태 해설 등)  근무형태 및 노동 강도에 따라 근로시간 탄력운영제를 시범 실시. 획일화된 근무체계 (일 3~4시간, 중 3~4일, 월 20만원)를 유형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  기존에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수급자, 정부부처 및 지자체에서 추진 중인 일자리사업 참여자이었던 선발제외자에 건강보험 직장가입자를 포함함(교육형사업 전문 인력에 한 해 제한적 참여 가능) 2011  참여연령의 제한을 공익형, 복지형은 만 65세 이상 참여 가능하게 함(단, 노노케어사업 은 만 60~64세도 참여 허용). 교육형, 시장형, 파견형은 만 65세 이상만 참여(만 60~64세 예외적 참여 허용) 가능  공익형, 복지형 참여자격을 기초노령연금수급권자로 제한  건강보험직장가입자는 모든 사업 유형에 참여 제한(파견형 제외)  민간기업 등과의 연계성 확보를 통해, 최소한의 재정투입만으로도 일자리 창출력, 지속 력, 확장력이 담보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마련 2012  교육형 사업은 학습, 해설, 전문상담 및 통번역으로 분류. 노인학대예방사업은 교육형의 상담으로 분류, 각종 통번역 활동은 교육형의 통번역으로 분류함  공익형 초등학교급식도우미사업 참여조건을 만 60~64세로 예외적 참여 허용으로 완화  노노케어 수요처에 장기요양보험 지정기관은 제외함 <표 Ⅱ-1>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주요 연혁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0 은 노인에게 사회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이를 통해 노인복지 향상을 목 적으로 함.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일자리(취업·창업 등), 공익활동, 재능나눔 등을 통한 적극적 사회참여, 소득보충 및 건강증진 등으로 노인문제를 예방하고 사 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참여노인을 통한 노노케어, CCTV 상시관제, 보 육교사 도우미 등 유용한 공익활동 확대로 공공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 려는 목적을 갖고 있음.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아직까지는 사회공헌형의 재정지원일자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시장형과 인력파견형 등의 시장진입형 일자리 실적 을 조금씩 늘려오고 있는 추세임. 또한 2011년부터 시작한 시니어인턴십, 고 령자친화기업, 시니어직능클럽 등의 시장자립형 일자리도 점차 늘고 있는 실 정임. 2014년부터 시작된 재능활용형 일자리사업을 통해 2014년에 3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함.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노인복지법」 제23조와 제23조의 2, 「저출산 고령사회기본법」 제11조와 제14조에 근거하여 추진되고 있음. ・ 노인복지법 제23조(노인사회참여 지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노인의 사 회참여 확대를 위하여 노인의 지역봉사 활동기회를 넓히고 노인에게 적합한 직종의 개발과 그 보급을 위한 시책을 강구하며 근로능력 있는 노인에게 일할 기회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노인복지법 제23조의2(노인일자리전담기관의 설치·운영 등): 국가 또는 지방 자치단체는 노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일자리의 개발·보급과 교육훈련 등을 전담할 기관을 설치·운영하거나 그 운영의 전부 또는 일부를 법인·단체 등에 위탁할 수 있다. ・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제11조(고용과 소득보장): 노인에게 적합한 일자리창출 등 안정된 노후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제14조(여가·문화 및 사회활동의 장려): 국가 및 지방 자치단체는 자원봉사 등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를 촉진하는 사회적 기반을 조 성하여야 한다.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11 연 도 내용 2004  대통령 비서실 고령사회대책 및 사회통합기획단 산하의 인구·고령사회대책팀은 1월 국 정과제회의에서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국가실천전략 현안과제로 노인일자리 창 출 및 추진계획을 발표함  이후부터 전국 단위의 본격적인 노인일자리 사업이 시작됨  일자리 유형을 공공참여형, 공익강사형, 인력파견형, 시장참여형으로 구분하고, 보수는 공공참여형과 공익강사형에 6개월간 20만원씩 지급함  부대경비는 공공참여형과 인력파견형은 1인당 10만원, 공익강사형은 20만원이 지원됨. 시장형은 수행기관 요청예산을 근거로 탄력 지원하도록 함 2005  공공참여형은 공익형으로, 사회참여형(공익강사형, 인력파견형)은 교육복지형(교육형, 복지형)으로, 시장참여형은 자립지원형(시장형, 인력파견형)으로 사업유형을 재분류함  교통질서, 환경 감시 등 단순일자리 비율을 축소하고 일자리 창출 적합 직종을 택배사 업, 간병인 사업 등의 시장형 위주로 추진 2006  사업기간을 7개월로 연장하고 복지형 사업이 전략사업으로 육성됨 사업수행기관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전담보조인력 운영을 가능하게 함 2007  사업수행기관 전담인력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 참여노인 150명당 1명 수준으로 월 60~80만원 정도의 보수를 지급하게 됨  일자리의 일정범위(10%) 내에서 지역혁신사업 선정·추진 2008  사업수행기관 전담인력을 120명당 1명 배치로 확대하고 월 90만원에 9개월 채용을 기본으로 함 2009  기존 5개 유형을 공공분야와 민간분야로 대분류(공공분야 공익, 교육, 복지형)  기존 민간분야 일자리 유형(인력파견형과 시장형)외 창업모델형을 신설  사업유형별 의무비율 전면개선(공공분야 중 복지형만 20%이상, 나머지 유형비율은 폐 지함) 2010  공공분야 일자리를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사회적 유용성이 강한 전략분야 중심으로 특화(노노케어: 10년 집중 전략사업, 아동안전보호, 문화재보호 및 해설, 숲생태 해설 등)  근무형태 및 노동 강도에 따라 근로시간 탄력운영제를 시범 실시. 획일화된 근무체계 (일 3~4시간, 중 3~4일, 월 20만원)를 유형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  기존에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수급자, 정부부처 및 지자체에서 추진 중인 일자리사업 참여자이었던 선발제외자에 건강보험 직장가입자를 포함함(교육형사업 전문 인력에 한 해 제한적 참여 가능) 2011  참여연령의 제한을 공익형, 복지형은 만 65세 이상 참여 가능하게 함(단, 노노케어사업 은 만 60~64세도 참여 허용). 교육형, 시장형, 파견형은 만 65세 이상만 참여(만 60~64세 예외적 참여 허용) 가능  공익형, 복지형 참여자격을 기초노령연금수급권자로 제한  건강보험직장가입자는 모든 사업 유형에 참여 제한(파견형 제외)  민간기업 등과의 연계성 확보를 통해, 최소한의 재정투입만으로도 일자리 창출력, 지속 력, 확장력이 담보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마련 2012  교육형 사업은 학습, 해설, 전문상담 및 통번역으로 분류. 노인학대예방사업은 교육형의 상담으로 분류, 각종 통번역 활동은 교육형의 통번역으로 분류함  공익형 초등학교급식도우미사업 참여조건을 만 60~64세로 예외적 참여 허용으로 완화  노노케어 수요처에 장기요양보험 지정기관은 제외함 <표 Ⅱ-1>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주요 연혁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2 2013  복지형 노노케어사업을 거동불편노인 돌봄지원사업과 생활시설이용자 돌봄지원사업의 2개 유형으로 재편함. 공익형 미래세대 지원사업 내 CCTV상시 관제사업 신설  복지형 사업에 연중일자리시범사업 신설함  교육형 참여자 중 기초노령연금수급권자에 가점부여  신청제외자 조건에 전년도 부적격 참여자와 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자를 추가함 2014  연중일자리 참여자 모집은 공개모집을 원칙으로 하되, ‘13년 사업 참여자가 계속 참여를 희망하고 부적격 사유가 없는 경우에는 신규로 늘어나는 일자리에 대해서만 추가 모집 실시  공익형 세부사업 신설(녹색환경 관리지원 사업 중 도시농업환경관리사업, 기타사업으로 사회적 기업 연계지원(시범))  복지형 거동불편노인돌봄지원사업 세분화(거동불편노인 도시락배달 및 안부확인사업, 거동불편노인 가사 및 활동보조사업, 경증치매노인 활동보조사업, 경로당 노노케어사업 신설). 생활시설이용자 돌봄지원사업은 노노케어사업 분류에서 제외 2015  사업명칭을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으로 변경하고 사업을 공익활동, 재능나눔활동, 창 업활동, 취업활동, 경력유지활동, 자원봉사활동으로 구분함  공익활동의 신청자격을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수급자로 제한함(취업·창업의 경우 60세 이상도 가능, 지역형 중 교육형 사업의 경우 ‘15년 한시적으로 참여신청 사업의 시작시 점에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미수급권자도 참여 가능) 자료 : 보건복지부(2004~2015), 각 연도별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정책 변화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초기에 일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맞춤 형 일자리를 창출·제공함으로써 노인의 소득창출에 기여하고, 사회 참여의 기 회를 제공하여 노인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는 한편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절 감하려는 목적을 갖고 시작됨.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저소득 취약계층 노인에 대한 긴급지원으로써 소 득보충, 건강과 사회참여 등의 효과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직접적인 공공일 자리 창출방식의 답습, 중앙정부의 하향식 사업체계로 지자체와 민간단체 역 할의 미미, 기존 노인 고용지원 관련 프로그램과의 연계성이 취약하다는 비판 을 받음. - 이에 따라 최근 노인일자리사업은 일자리의 양적 팽창보다는 질적 내실화에 초점을 두고, 정부예산으로 임금을 나누어주는 식의 일자리를 지양하는 한편 일자리를 통해 인건비를 창출하는 시장형 자립모델을 강조하고 있음. ・ 2011년부터 민간기업 및 단체와 연계한 시니어인턴십, 고령자 친화기업, 시니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13 어직능클럽 등의 ‘자립형 일자리’사업모델을 운영함으로써 소득창출형 사업모 델을 강화하는 노력을 함. - 베이비부머 세대 등 신노년층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면서 경제적 욕구뿐만 아 니라 노인의 자원봉사나 사회참여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들과 노인일자리사업 과의 유기적 연계가 필요하다는 논의가 대두됨. ・ 2015년부터 노인일자리사업의 명칭을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으로 변경하고, 사업 내용에 자원봉사활동과 재능나눔활동을 포함하여 다양한 노인의 활동욕 구를 반영하고, 활동 유형별 특성화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재구조화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초기에는 공공형 일자리가 중심이었으나 고령화 및 가족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한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라 복지형 사업을 추 가·확대하고 있는 형편임.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추진체계 - 노인일자리사업의 전달체계는 2005년까지 보건복지가족부 산하기관인 국민 연금관리공단의 노인인력운영센터에서 주관하였으나 2006년 이후부터 한국 노인인력개발원에서 업무를 주관하고 있고 보건복지부,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지방자치단체, 사업수행기관 등이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보건복지부는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정책의 결정 및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에 대한 법령 및 제도 운영, 지자체 및 사업수행기관의 사업에 예산과 인 력 등을 지원하는 한편 사업에 대한 대국민 홍보 담당 ・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전국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추진과 지원을 총괄하 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신규 사업개발 및 표준화된 사업의 전국 보급 및 심사, 지원 관계자 교육·훈련, 노인인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조사연구, 참여자 DB 및 업무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지원 사업 수행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노인 사 회활동 지원 사업에 관한 조사·연구, 민간분야 기반조성 사업 추진을 함. ・ 광역자치단체는 시·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재정 을 지원하며 사업 수행 전반에 관한 총괄·조정·심사를 맡고 있음. ・ 기초자치단체는 시·군·구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사업의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사업 수행 전반에 관한 총괄·조정·심사를 맡고 사업수행기관 선정 및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2 2013  복지형 노노케어사업을 거동불편노인 돌봄지원사업과 생활시설이용자 돌봄지원사업의 2개 유형으로 재편함. 공익형 미래세대 지원사업 내 CCTV상시 관제사업 신설  복지형 사업에 연중일자리시범사업 신설함  교육형 참여자 중 기초노령연금수급권자에 가점부여  신청제외자 조건에 전년도 부적격 참여자와 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자를 추가함 2014  연중일자리 참여자 모집은 공개모집을 원칙으로 하되, ‘13년 사업 참여자가 계속 참여를 희망하고 부적격 사유가 없는 경우에는 신규로 늘어나는 일자리에 대해서만 추가 모집 실시  공익형 세부사업 신설(녹색환경 관리지원 사업 중 도시농업환경관리사업, 기타사업으로 사회적 기업 연계지원(시범))  복지형 거동불편노인돌봄지원사업 세분화(거동불편노인 도시락배달 및 안부확인사업, 거동불편노인 가사 및 활동보조사업, 경증치매노인 활동보조사업, 경로당 노노케어사업 신설). 생활시설이용자 돌봄지원사업은 노노케어사업 분류에서 제외 2015  사업명칭을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으로 변경하고 사업을 공익활동, 재능나눔활동, 창 업활동, 취업활동, 경력유지활동, 자원봉사활동으로 구분함  공익활동의 신청자격을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수급자로 제한함(취업·창업의 경우 60세 이상도 가능, 지역형 중 교육형 사업의 경우 ‘15년 한시적으로 참여신청 사업의 시작시 점에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미수급권자도 참여 가능) 자료 : 보건복지부(2004~2015), 각 연도별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정책 변화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초기에 일하기를 희망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맞춤 형 일자리를 창출·제공함으로써 노인의 소득창출에 기여하고, 사회 참여의 기 회를 제공하여 노인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는 한편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절 감하려는 목적을 갖고 시작됨.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저소득 취약계층 노인에 대한 긴급지원으로써 소 득보충, 건강과 사회참여 등의 효과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직접적인 공공일 자리 창출방식의 답습, 중앙정부의 하향식 사업체계로 지자체와 민간단체 역 할의 미미, 기존 노인 고용지원 관련 프로그램과의 연계성이 취약하다는 비판 을 받음. - 이에 따라 최근 노인일자리사업은 일자리의 양적 팽창보다는 질적 내실화에 초점을 두고, 정부예산으로 임금을 나누어주는 식의 일자리를 지양하는 한편 일자리를 통해 인건비를 창출하는 시장형 자립모델을 강조하고 있음. ・ 2011년부터 민간기업 및 단체와 연계한 시니어인턴십, 고령자 친화기업, 시니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13 어직능클럽 등의 ‘자립형 일자리’사업모델을 운영함으로써 소득창출형 사업모 델을 강화하는 노력을 함. - 베이비부머 세대 등 신노년층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면서 경제적 욕구뿐만 아 니라 노인의 자원봉사나 사회참여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들과 노인일자리사업 과의 유기적 연계가 필요하다는 논의가 대두됨. ・ 2015년부터 노인일자리사업의 명칭을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으로 변경하고, 사업 내용에 자원봉사활동과 재능나눔활동을 포함하여 다양한 노인의 활동욕 구를 반영하고, 활동 유형별 특성화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재구조화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초기에는 공공형 일자리가 중심이었으나 고령화 및 가족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한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라 복지형 사업을 추 가·확대하고 있는 형편임.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추진체계 - 노인일자리사업의 전달체계는 2005년까지 보건복지가족부 산하기관인 국민 연금관리공단의 노인인력운영센터에서 주관하였으나 2006년 이후부터 한국 노인인력개발원에서 업무를 주관하고 있고 보건복지부,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지방자치단체, 사업수행기관 등이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보건복지부는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정책의 결정 및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에 대한 법령 및 제도 운영, 지자체 및 사업수행기관의 사업에 예산과 인 력 등을 지원하는 한편 사업에 대한 대국민 홍보 담당 ・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전국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추진과 지원을 총괄하 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신규 사업개발 및 표준화된 사업의 전국 보급 및 심사, 지원 관계자 교육·훈련, 노인인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조사연구, 참여자 DB 및 업무지원 전산시스템 구축, 지원 사업 수행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노인 사 회활동 지원 사업에 관한 조사·연구, 민간분야 기반조성 사업 추진을 함. ・ 광역자치단체는 시·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재정 을 지원하며 사업 수행 전반에 관한 총괄·조정·심사를 맡고 있음. ・ 기초자치단체는 시·군·구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사업의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사업 수행 전반에 관한 총괄·조정·심사를 맡고 사업수행기관 선정 및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4 수행기관 사업운영에 대한 관리·감독과 재정·행정 지원을 함. ・ 수행기관은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실행계획을 수립·시행하는 역할을 하며 사업 참여자 모집, 등록, 선발, 교육, 현장 투입 등 일자리 관련 제반 업무를 수행. <그림 Ⅱ-1>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전달체계 자료 : 보건복지부(2005). 2015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사업 종합안내.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유형별 내용 - 2015년부터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공익활동, 창업활동, 취업활동, 재능 나눔활동, 경력유지활동, 자원봉사활동으로 유형이 구분됨. - 공익활동은 전국형(지원봉사활동)과 지역형(표준사업)으로 나누어지며, 전국 형은 취약노인 가구를 방문하여 일상생활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안 부확인, 말벗활동, 생활실태 점검 등을 수행함. 지역형은 지역사회 환경개선, 학습지도 및 공공기관 업무지원 등 지역사회 활성화 및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30개의 표준프로그램) 중 지자체가 선택하여 추진.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15 - 취업활동(기존의 인력파견형이 포함)은 수요처 요구에 의해 일정 교육을 수료 하거나 관련된 업무능력이 있는 자를 해당수요처로 파견하여 근무기간에 대 한 일정 보수를 지급받을 수 있는 일자리. - 창업활동(기존의 공동작업형과 제조판매형이 포함)은 노인에게 적합한 업종 중 소규모 창업 및 전문 직종 사업단을 공동으로 운영하여 창출되는 일자리 임. 일정기간 사업비 또는 참여자 인건비를 일부 보충지원하고 추가 사업소득 으로 연중 운영하는 일자리. - 재능나눔활동은 재능과 경험이 있는 노인이 전국형 활동과 연계하여 취약·학 대 노인 발굴, 상담, 교육 등 노인 권익증진 활동 등을 추진. <표 Ⅱ-2>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유형 구분 유형 설명 에산지원 공익활동 전국형(지원봉사활동) 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예산에서 참여 노인 활동비와 부대 경비를 전액 지원 자치단체경상보조지역형(표준프로그램) 재능나눔활동 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예산에서 참여 노인 활동비를 전액 지원 민간경상보조 창업활동 공동작업형 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예산에서 일정 기간 사업비 또는 참여자 인건비를 일부 보충지 원하고 추가 사업소득으로 연중 운영 자치단체경상보조 제조판매형 고령자친화기업 민간경상보조 취업활동 인력파견형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예산에서 수행기관에 사업 비를 지원하고, 기업 등 노인인력 활용 업체에서 인건비를 지급 자치단체경상보조 시니어인턴십  기업 등 노인인력 활용 업체에서 인건비를 지급 하고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예산에서 부대 경비, 사업비, 운영비 등을 지원 민간경상보조경력유지활 동 시니어직능클럽 자원봉사활동  노인단체 지원 예산에서 운영비 등을 지원 민간경상보조 자료 : 보건복지부(2015). 2015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사업 종합안내.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유형별 예산지원 기준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급여 수준은 전국형과 지역형의 공익활동의 경우 월 20만원으로 획일적이며, 취업·창업활동 등의 민간일자리의 경우 사업의 수익성에 따라 달라짐.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4 수행기관 사업운영에 대한 관리·감독과 재정·행정 지원을 함. ・ 수행기관은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실행계획을 수립·시행하는 역할을 하며 사업 참여자 모집, 등록, 선발, 교육, 현장 투입 등 일자리 관련 제반 업무를 수행. <그림 Ⅱ-1>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전달체계 자료 : 보건복지부(2005). 2015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사업 종합안내.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유형별 내용 - 2015년부터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공익활동, 창업활동, 취업활동, 재능 나눔활동, 경력유지활동, 자원봉사활동으로 유형이 구분됨. - 공익활동은 전국형(지원봉사활동)과 지역형(표준사업)으로 나누어지며, 전국 형은 취약노인 가구를 방문하여 일상생활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안 부확인, 말벗활동, 생활실태 점검 등을 수행함. 지역형은 지역사회 환경개선, 학습지도 및 공공기관 업무지원 등 지역사회 활성화 및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30개의 표준프로그램) 중 지자체가 선택하여 추진.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15 - 취업활동(기존의 인력파견형이 포함)은 수요처 요구에 의해 일정 교육을 수료 하거나 관련된 업무능력이 있는 자를 해당수요처로 파견하여 근무기간에 대 한 일정 보수를 지급받을 수 있는 일자리. - 창업활동(기존의 공동작업형과 제조판매형이 포함)은 노인에게 적합한 업종 중 소규모 창업 및 전문 직종 사업단을 공동으로 운영하여 창출되는 일자리 임. 일정기간 사업비 또는 참여자 인건비를 일부 보충지원하고 추가 사업소득 으로 연중 운영하는 일자리. - 재능나눔활동은 재능과 경험이 있는 노인이 전국형 활동과 연계하여 취약·학 대 노인 발굴, 상담, 교육 등 노인 권익증진 활동 등을 추진. <표 Ⅱ-2>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유형 구분 유형 설명 에산지원 공익활동 전국형(지원봉사활동) 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예산에서 참여 노인 활동비와 부대 경비를 전액 지원 자치단체경상보조지역형(표준프로그램) 재능나눔활동 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예산에서 참여 노인 활동비를 전액 지원 민간경상보조 창업활동 공동작업형 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예산에서 일정 기간 사업비 또는 참여자 인건비를 일부 보충지 원하고 추가 사업소득으로 연중 운영 자치단체경상보조 제조판매형 고령자친화기업 민간경상보조 취업활동 인력파견형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예산에서 수행기관에 사업 비를 지원하고, 기업 등 노인인력 활용 업체에서 인건비를 지급 자치단체경상보조 시니어인턴십  기업 등 노인인력 활용 업체에서 인건비를 지급 하고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예산에서 부대 경비, 사업비, 운영비 등을 지원 민간경상보조경력유지활 동 시니어직능클럽 자원봉사활동  노인단체 지원 예산에서 운영비 등을 지원 민간경상보조 자료 : 보건복지부(2015). 2015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사업 종합안내.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유형별 예산지원 기준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급여 수준은 전국형과 지역형의 공익활동의 경우 월 20만원으로 획일적이며, 취업·창업활동 등의 민간일자리의 경우 사업의 수익성에 따라 달라짐.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6 - 공익활동의 전국형은 전국 단위로 예산에 따라 시간제 일자리를 배분하여 이 를 수행하면 정해진 20만원의 임금을 공공의 예산으로 받는 방식임. 공익활 동의 지역형 및 취업·창업활동들은 각 시·도별로 사업량을 할당하여 지원하는 방식임. <표 Ⅱ-3>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유형별 예산지원 기준 유형 참여자 1인 예산지원 기준 유형비율 국고보조 활동비(월) 참여기간 부대경비(연) 계 전국형 지원봉사활동 20만원 9개월 14만원 194만원 사업량 별도 안내 50% (서울 30%) 20만원 12개월 16만원 256만원 지역형 표준프로그램 20만원 9개월 14만원 194만원 시·군·구별 1개 프로그램당 총사업량의 20%미만추진 취업활동 인력파견형 - 연중 15만원 (예산범위 내 탄력적용 가능) 15만원 시·도·별 사업량 할당 창업활동 공동 작업형 - 연중 180만원 180만원 각 시·도별 사업량 할당 제조 판매형 - 연중 200만원 200만원 각 시·도·별 사업량 할당 수행기관 전담인력 1,167천원 11개월 - 12,837천원 자료 : 보건복지부(2015). 2015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사업 종합안내.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실적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실적 - 2004년도부터 시작된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2004년 3만 5천개의 일자 리 창출실적을 시작으로 2008년에는 12만 6천개, 2010년에는 21만 6천개, 2012년에는 24만 8천개, 2014년에는 33만 6천개의 일자리를 창출. ・ 2011년부터 시니어인턴십, 고령자친화기업, 시니어직능클럽 등의 시장자립형 일자리 창출을 시작하여 2011년에 5,151개의 일자리 창출을 시작으로 2012년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17 에 5,146개, 2014년에 6,300개의 일자리를 창출. ・ 2014년부터는 재능활용형 일자리 창출사업을 시작하여 30,609개의 일자리 창 출 실적을 나타냄. <표Ⅱ-4> 연도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추진 실적 (기준: 2014.12.31, 단위: 개) 구분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실적 35,127 83,038 126,370 216,441 248,395 336,431 재정지원일자리창출실적 35,127 83,038 126,370 216,441 243,249 299,522 사회 공헌형 소계 32,173 73,712 110,389 191,676 217,710 269,244 공익형 28,373 47,195 61,732 126,894 143,478 174,945 교육형 3,800 8,708 14,493 17,480 27,505 33,284 복지형 - 17,809 34,164 47,302 49,727 61,015 시장 진입형  소계 2,954 9,326 15,981 24,765 25,539 30,278 시장형 1,748 7,459 11,530 15,984 16,190 19,764 인력파견형 1,206 1,867 4,451 8,781 9,349 10,514 시장자립형일자리창출실적 - - - - 5,146 6,300 시장 자립형 시니어인턴십 - - - - 3,612 5,103 고령자친화기업 - - - - 1,126 721 시니어직능클럽 - - - - 408 476 재능활용형창출실적 - - - - - 30,609 자료 : 한국노인인력개발원(2015). 2014 노인일자리 통계 동향. ○ 2014년 시·도별 노인일자리사업 추진 실적 - 전체적인 노인일자리 사업량은 서울이 40,219건, 경기도가 38,387건으로 수 도권의 비중이 26.2%로 상당히 높은 편임. ・ 경기도의 노인일자리 사업량은 12.8%로 전국에서 서울(13.4%)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경기도의 목표 대비 추진 실적은 110.1%임.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6 - 공익활동의 전국형은 전국 단위로 예산에 따라 시간제 일자리를 배분하여 이 를 수행하면 정해진 20만원의 임금을 공공의 예산으로 받는 방식임. 공익활 동의 지역형 및 취업·창업활동들은 각 시·도별로 사업량을 할당하여 지원하는 방식임. <표 Ⅱ-3>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유형별 예산지원 기준 유형 참여자 1인 예산지원 기준 유형비율 국고보조 활동비(월) 참여기간 부대경비(연) 계 전국형 지원봉사활동 20만원 9개월 14만원 194만원 사업량 별도 안내 50% (서울 30%) 20만원 12개월 16만원 256만원 지역형 표준프로그램 20만원 9개월 14만원 194만원 시·군·구별 1개 프로그램당 총사업량의 20%미만추진 취업활동 인력파견형 - 연중 15만원 (예산범위 내 탄력적용 가능) 15만원 시·도·별 사업량 할당 창업활동 공동 작업형 - 연중 180만원 180만원 각 시·도별 사업량 할당 제조 판매형 - 연중 200만원 200만원 각 시·도·별 사업량 할당 수행기관 전담인력 1,167천원 11개월 - 12,837천원 자료 : 보건복지부(2015). 2015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사업 종합안내.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실적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실적 - 2004년도부터 시작된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2004년 3만 5천개의 일자 리 창출실적을 시작으로 2008년에는 12만 6천개, 2010년에는 21만 6천개, 2012년에는 24만 8천개, 2014년에는 33만 6천개의 일자리를 창출. ・ 2011년부터 시니어인턴십, 고령자친화기업, 시니어직능클럽 등의 시장자립형 일자리 창출을 시작하여 2011년에 5,151개의 일자리 창출을 시작으로 2012년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17 에 5,146개, 2014년에 6,300개의 일자리를 창출. ・ 2014년부터는 재능활용형 일자리 창출사업을 시작하여 30,609개의 일자리 창 출 실적을 나타냄. <표Ⅱ-4> 연도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추진 실적 (기준: 2014.12.31, 단위: 개) 구분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실적 35,127 83,038 126,370 216,441 248,395 336,431 재정지원일자리창출실적 35,127 83,038 126,370 216,441 243,249 299,522 사회 공헌형 소계 32,173 73,712 110,389 191,676 217,710 269,244 공익형 28,373 47,195 61,732 126,894 143,478 174,945 교육형 3,800 8,708 14,493 17,480 27,505 33,284 복지형 - 17,809 34,164 47,302 49,727 61,015 시장 진입형  소계 2,954 9,326 15,981 24,765 25,539 30,278 시장형 1,748 7,459 11,530 15,984 16,190 19,764 인력파견형 1,206 1,867 4,451 8,781 9,349 10,514 시장자립형일자리창출실적 - - - - 5,146 6,300 시장 자립형 시니어인턴십 - - - - 3,612 5,103 고령자친화기업 - - - - 1,126 721 시니어직능클럽 - - - - 408 476 재능활용형창출실적 - - - - - 30,609 자료 : 한국노인인력개발원(2015). 2014 노인일자리 통계 동향. ○ 2014년 시·도별 노인일자리사업 추진 실적 - 전체적인 노인일자리 사업량은 서울이 40,219건, 경기도가 38,387건으로 수 도권의 비중이 26.2%로 상당히 높은 편임. ・ 경기도의 노인일자리 사업량은 12.8%로 전국에서 서울(13.4%)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경기도의 목표 대비 추진 실적은 110.1%임.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8 <표 Ⅱ-5> 시·도별 노인일자리사업 추진 실적 (기준: 2014.12.31, 단위: 개) 구분 창출목표 창출실적 참여노인수 확정 내시목표 사업량 (A) 배정 일자리 사업량 (B) 수행 일자리 사업량 (C) 비율 목표대비 추진율 ((C/A)*100) 2013년 수행 일자리 수 참여인원 (누적) 2013년 참여자수 (누적) 계 274,200 289,405 299,522 100 109.2 255,521 330,167 291,918 서울 41,040 39,856 40,219 13.4 98.0 35,626 44,373 40,295 부산 19,598 19,726 20,904 7.0 106.7 17,528 22,784 19,527 대구 13,190 13,603 14,419 4.8 109.3 11,822 15,604 12,972 인천 16,059 18,522 19,246 6.4 119.8 16,704 21,297 19,017 광주 8,459 8,601 8,799 2.9 104.0 7,817 9,930 8,976 대전 9,713 9,830 10,333 3.4 106.4 8,389 11,766 10,214 울산 5,167 5,504 5,610 1.9 108.6 5,018 6,100 5,644 경기 34,873 36,563 38,387 12.8 110.1 35,387 42,295 39,845 강원 15,930 18,590 19,062 6.4 119.7 15,178 21,665 18,696 충북 11,998 13,226 14,129 4.7 117.8 10,214 15,031 11,624 충남 13,671 13,599 14,064 4.7 102.9 11,660 15,333 13,225 전북 21,642 24,661 25,156 8.4 116.2 18,219 27,491 21,339 전남 17,766 18,537 19,346 6.5 108.9 18,304 20,705 22,279 경북 18,763 20,557 21,238 7.1 113.2 22,048 23,925 24,208 경남 20,503 22,250 22,699 7.6 110.7 17,167 25,536 19,009 제주 4,369 4,328 4,372 1.5 100.1 3,538 4,723 3,939 세종 1,459 1,452 1,540 0.5 105.6 902 1,609 1,109 자료 : 한국노인인력개발원(2015). 2014 노인일자리 통계 동향. □ 경기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현황 ○ 경기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의 분포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은 노인복지관 27%, 대한노인회 26%, 지 자체 11%, 시니어클럽 10%, 종합사회복지관 8%, 기타 18%임.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19 <표 Ⅱ-6> 2014년도 경기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 현황 (단위: 개소, %) 지자체 시니어클럽 대한노인회 노인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기타(실버인 력뱅크 등) 합계 기관 수 18 16 42 43 12 29 160 비중 11 10 26 27 8 18 100 자료 : 한국노인인력개발원(보건복지부) 새누리 시스템 2014 ○ 경기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 기관 및 참여 현황 - 기관 유형별 사업단의 수는 지자체 42개, 시니어클럽 200개, 대한노인회 195 개, 노인복지관이 412개, 종합사회복지관 57개, 기타 228개임. ・ 수행기관 1개당 참여 노인 수의 평균은 33.32명이며 각 기관별로는 노인복지 관 23.64명, 시니어클럽 33.95명, 대한노인회 43.99명, 종합사회복지관19.46 명, 지자체 115.38명, 기타 29.49명임. <표 Ⅱ-7> 2014년도 경기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 유형 및 참여 현황 (단위: 개, %) 구분 공익형 교육형 복지형 시장형 인력파견형 합계 사 업 단 참여 노인 사업 단 참여 노인 사업 단 참여 노인 사업 단 참여 노인 사 업 단 참여 노인 사업 단 참여 노인 지자체 36 4,818 5 14 1 14 - 0 - 0 42 4,846 시니어클럽 44 2,152 30 794 16 565 92 1,967 18 1,312 200 6,790 대한노인회 96 5,218 34 801 28 1,621 20 367 17 572 195 8,579 노인복지관 126 3,841 149 2,823 88 2,109 32 423 17 545 412 9,741 종합사회복 지관 17 445 13 201 22 419 1 8 4 36 57 1,109 기타 72 3,210 83 1,346 41 1,046 13 225 19 896 228 6,723 합계 391 19,684 314 5,979 196 5,774 158 2,990 75 3,361 1,134 37,788 자료 : 한국노인인력개발원(보건복지부) 새누리 시스템 2014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8 <표 Ⅱ-5> 시·도별 노인일자리사업 추진 실적 (기준: 2014.12.31, 단위: 개) 구분 창출목표 창출실적 참여노인수 확정 내시목표 사업량 (A) 배정 일자리 사업량 (B) 수행 일자리 사업량 (C) 비율 목표대비 추진율 ((C/A)*100) 2013년 수행 일자리 수 참여인원 (누적) 2013년 참여자수 (누적) 계 274,200 289,405 299,522 100 109.2 255,521 330,167 291,918 서울 41,040 39,856 40,219 13.4 98.0 35,626 44,373 40,295 부산 19,598 19,726 20,904 7.0 106.7 17,528 22,784 19,527 대구 13,190 13,603 14,419 4.8 109.3 11,822 15,604 12,972 인천 16,059 18,522 19,246 6.4 119.8 16,704 21,297 19,017 광주 8,459 8,601 8,799 2.9 104.0 7,817 9,930 8,976 대전 9,713 9,830 10,333 3.4 106.4 8,389 11,766 10,214 울산 5,167 5,504 5,610 1.9 108.6 5,018 6,100 5,644 경기 34,873 36,563 38,387 12.8 110.1 35,387 42,295 39,845 강원 15,930 18,590 19,062 6.4 119.7 15,178 21,665 18,696 충북 11,998 13,226 14,129 4.7 117.8 10,214 15,031 11,624 충남 13,671 13,599 14,064 4.7 102.9 11,660 15,333 13,225 전북 21,642 24,661 25,156 8.4 116.2 18,219 27,491 21,339 전남 17,766 18,537 19,346 6.5 108.9 18,304 20,705 22,279 경북 18,763 20,557 21,238 7.1 113.2 22,048 23,925 24,208 경남 20,503 22,250 22,699 7.6 110.7 17,167 25,536 19,009 제주 4,369 4,328 4,372 1.5 100.1 3,538 4,723 3,939 세종 1,459 1,452 1,540 0.5 105.6 902 1,609 1,109 자료 : 한국노인인력개발원(2015). 2014 노인일자리 통계 동향. □ 경기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현황 ○ 경기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의 분포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은 노인복지관 27%, 대한노인회 26%, 지 자체 11%, 시니어클럽 10%, 종합사회복지관 8%, 기타 18%임.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19 <표 Ⅱ-6> 2014년도 경기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 현황 (단위: 개소, %) 지자체 시니어클럽 대한노인회 노인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기타(실버인 력뱅크 등) 합계 기관 수 18 16 42 43 12 29 160 비중 11 10 26 27 8 18 100 자료 : 한국노인인력개발원(보건복지부) 새누리 시스템 2014 ○ 경기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 기관 및 참여 현황 - 기관 유형별 사업단의 수는 지자체 42개, 시니어클럽 200개, 대한노인회 195 개, 노인복지관이 412개, 종합사회복지관 57개, 기타 228개임. ・ 수행기관 1개당 참여 노인 수의 평균은 33.32명이며 각 기관별로는 노인복지 관 23.64명, 시니어클럽 33.95명, 대한노인회 43.99명, 종합사회복지관19.46 명, 지자체 115.38명, 기타 29.49명임. <표 Ⅱ-7> 2014년도 경기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 유형 및 참여 현황 (단위: 개, %) 구분 공익형 교육형 복지형 시장형 인력파견형 합계 사 업 단 참여 노인 사업 단 참여 노인 사업 단 참여 노인 사업 단 참여 노인 사 업 단 참여 노인 사업 단 참여 노인 지자체 36 4,818 5 14 1 14 - 0 - 0 42 4,846 시니어클럽 44 2,152 30 794 16 565 92 1,967 18 1,312 200 6,790 대한노인회 96 5,218 34 801 28 1,621 20 367 17 572 195 8,579 노인복지관 126 3,841 149 2,823 88 2,109 32 423 17 545 412 9,741 종합사회복 지관 17 445 13 201 22 419 1 8 4 36 57 1,109 기타 72 3,210 83 1,346 41 1,046 13 225 19 896 228 6,723 합계 391 19,684 314 5,979 196 5,774 158 2,990 75 3,361 1,134 37,788 자료 : 한국노인인력개발원(보건복지부) 새누리 시스템 2014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20 구분 노인복지관 대한노인회 시니어클럽 실버인력뱅크 종합사회복지관 기타 합계 수원시 0 1 4 4 2 1 12 성남시 1 2 3 5 2 3 16 부천시 0 1 3 3 0 2 9 안양시 2 1 2 1 0 1 7 안산시 0 1 2 3 0 1 7 용인시 3 1 3 2 1 0 10 평택시 1 0 1 3 0 1 6 광명시 1 0 1 1 3 1 7 시흥시 0 1 1 1 0 1 4 군포시 0 1 1 1 0 1 4 화성시 0 1 1 3 0 - 5 이천시 0 0 1 0 0 2 3 김포시 1 1 1 0 0 1 4 광주시 1 0 1 1 0 0 3 안성시 0 0 1 0 0 1 2 하남시 0 0 1 0 0 1 2 의왕시 0 1 1 2 0 0 4 오산시 0 0 1 0 1 1 3 여주시 1 0 1 1 0 0 3 양평군 1 0 0 1 1 2 5 과천시 0 0 1 0 0 1 2 고양시 0 1 3 2 0 1 7 의정부시 0 1 1 3 0 2 7 남양주시 0 1 1 2 0 1 5 파주시 1 0 1 1 1 0 4 구리시 1 1 1 0 1 1 5 포천시 1 0 1 1 0 2 5 양주시 1 0 1 0 0 0 2 동두천시 0 0 0 0 0 1 1 가평군 1 0 1 1 0 0 3 연천군 1 0 1 1 0 0 3 합계 18 16 42 43 12 29 160 ○ 경기도 시군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의 분포 - 경기도 시군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은 총 160개소이며 시군에 따른 지역별 격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2014년 기준). ・ 경기도에서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 수가 가장 많은 곳은 성남시 (16개소), 수원시(12개소), 용인시(10개소), 부천시(9개소)의 순이며 동두천시 가 1개소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남. <표 Ⅱ-8> 경기도 시군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 현황 (단위: 개소) 자료 : 한국노인인력개발원(보건복지부) 새누리 시스템 2014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21 2 장애인 일자리 현황 □ 장애인일자리는 공공일자리, 지원고용·일반고용, 직업재활로 분류 ○ 고용의 형태는 그룹홈·공동작업장과 같은 보호고용과 일반사업장에서 직 업재활의 지원고용 그리고 경쟁고용의 형태가 있음. 공공일자리는 보호고 용의 형태로 나타나며, 지원고용은 사회통합과 소득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직업재활서비스의 형태를 갖게 됨. ○ 장애인 공공일자리 사업개요 - 장애인일자리사업은 크게 일반형일자리, 복지일자리, 특화형일자리로 구분됨. ・ 모집기관은 거주 지역의 시군구청과 민간위탁기관이며 참여기간은 1월~12월임 <표 Ⅱ-9> 장애인공공일자리 사업유형별 개요 구분 일반형 복지형 특화형 참여형 특수교육-복지연계형 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사업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모집기관 거주 지역의 시․군․구청 및 민간위탁기관 참여기간 1월~12월(12개월) 참여대상 만 18세 이상 등록장애인 만 18세 이상 등록장애인 특수교육기관 고등부 3학년 및 전공과 학생 만 18세 이상 안마사자격을 취득한 시각 장애인 만 18세 이상 지적장애 및 자폐성 등록 장애인 근무시간 주 5일(40시간) 주 14시간 이내(월 56시간) 주 5일(25시간) 급여 1,167천원 313천원 1,000천원 731천원 지원인원 4,903명 4,903명 4,903명 263명 업무내용 행정도우미 전담지원 행정도우미 복지서비스 지원요원 도서관 사서보조, 주차단속보조, 환경정리, 디앤디 케어 등 참여자의 직업능력을 반영한 맞춤혐 직무수행 어르신 대상 전문 안마서비스 제공 요양보호사 업무 보조 자료 : 한국장애인개발원(2015) http://www.koddi.or.kr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20 구분 노인복지관 대한노인회 시니어클럽 실버인력뱅크 종합사회복지관 기타 합계 수원시 0 1 4 4 2 1 12 성남시 1 2 3 5 2 3 16 부천시 0 1 3 3 0 2 9 안양시 2 1 2 1 0 1 7 안산시 0 1 2 3 0 1 7 용인시 3 1 3 2 1 0 10 평택시 1 0 1 3 0 1 6 광명시 1 0 1 1 3 1 7 시흥시 0 1 1 1 0 1 4 군포시 0 1 1 1 0 1 4 화성시 0 1 1 3 0 - 5 이천시 0 0 1 0 0 2 3 김포시 1 1 1 0 0 1 4 광주시 1 0 1 1 0 0 3 안성시 0 0 1 0 0 1 2 하남시 0 0 1 0 0 1 2 의왕시 0 1 1 2 0 0 4 오산시 0 0 1 0 1 1 3 여주시 1 0 1 1 0 0 3 양평군 1 0 0 1 1 2 5 과천시 0 0 1 0 0 1 2 고양시 0 1 3 2 0 1 7 의정부시 0 1 1 3 0 2 7 남양주시 0 1 1 2 0 1 5 파주시 1 0 1 1 1 0 4 구리시 1 1 1 0 1 1 5 포천시 1 0 1 1 0 2 5 양주시 1 0 1 0 0 0 2 동두천시 0 0 0 0 0 1 1 가평군 1 0 1 1 0 0 3 연천군 1 0 1 1 0 0 3 합계 18 16 42 43 12 29 160 ○ 경기도 시군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의 분포 - 경기도 시군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은 총 160개소이며 시군에 따른 지역별 격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2014년 기준). ・ 경기도에서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 수가 가장 많은 곳은 성남시 (16개소), 수원시(12개소), 용인시(10개소), 부천시(9개소)의 순이며 동두천시 가 1개소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남. <표 Ⅱ-8> 경기도 시군별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수행기관 현황 (단위: 개소) 자료 : 한국노인인력개발원(보건복지부) 새누리 시스템 2014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21 2 장애인 일자리 현황 □ 장애인일자리는 공공일자리, 지원고용·일반고용, 직업재활로 분류 ○ 고용의 형태는 그룹홈·공동작업장과 같은 보호고용과 일반사업장에서 직 업재활의 지원고용 그리고 경쟁고용의 형태가 있음. 공공일자리는 보호고 용의 형태로 나타나며, 지원고용은 사회통합과 소득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직업재활서비스의 형태를 갖게 됨. ○ 장애인 공공일자리 사업개요 - 장애인일자리사업은 크게 일반형일자리, 복지일자리, 특화형일자리로 구분됨. ・ 모집기관은 거주 지역의 시군구청과 민간위탁기관이며 참여기간은 1월~12월임 <표 Ⅱ-9> 장애인공공일자리 사업유형별 개요 구분 일반형 복지형 특화형 참여형 특수교육-복지연계형 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사업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모집기관 거주 지역의 시․군․구청 및 민간위탁기관 참여기간 1월~12월(12개월) 참여대상 만 18세 이상 등록장애인 만 18세 이상 등록장애인 특수교육기관 고등부 3학년 및 전공과 학생 만 18세 이상 안마사자격을 취득한 시각 장애인 만 18세 이상 지적장애 및 자폐성 등록 장애인 근무시간 주 5일(40시간) 주 14시간 이내(월 56시간) 주 5일(25시간) 급여 1,167천원 313천원 1,000천원 731천원 지원인원 4,903명 4,903명 4,903명 263명 업무내용 행정도우미 전담지원 행정도우미 복지서비스 지원요원 도서관 사서보조, 주차단속보조, 환경정리, 디앤디 케어 등 참여자의 직업능력을 반영한 맞춤혐 직무수행 어르신 대상 전문 안마서비스 제공 요양보호사 업무 보조 자료 : 한국장애인개발원(2015) http://www.koddi.or.kr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22 - 일반형일자리 ・ 미취업장애인의 일반노동시장으로 전이를 위한 실무능력 습득을 지원하고, 일 정기간 소득을 보장하는 일자리로 전국 시‧도, 읍‧면‧동 주민센터, 공공기관 등 에 배치하여 장애인복지행정 등의 업무를 수행. ・ 참여대상 : 만18세이상 등록장애인 ・ 근무조건 : 주5일(40시간), 1일 8시간 ・ 급여 : 1,167천원 ・ 지원인원 : 4,093명(2015년) <표 Ⅱ-10> 연도별 일반형 일자리의 장애인 수 변화 (단위: 명) 연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장애인수 2,000 2,000 2,000 2,620 3,500 3,500 3,500 4,844 4,903 자료 : 한국장애인개발원(2015) http://www.koddi.or.kr - 복지일자리 ・ 취업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에게 장애유형별 다양한 일자리를 개발·제공하여 직 업생활 및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직업경험을 지원하는 일자리로, 18세 이상 등록장애인은 누구나 참여 가능한 참여형 일자리와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특수교육-복지연계형 일자리 ・ 참여대상 : 만18세이상 등록장애인, 특수교육기관 고등부 3학년 및 전공과 학생 ・ 근무조건 : 주14시간 이내 (월 56시간) ・ 급여 : 131천원 ・ 지원인원 : 9,010명(2015년) <표 Ⅱ-11> 연도별 복지일자리의 장애인수 변화 (단위: 명) 연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장애인수 2,900 3,000 3,500 4,000 6,500 7,000 7,700 8,850 9,010 자료 : 한국장애인개발원(2015) http://www.koddi.or.kr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23 - 특화형일자리 ・ 시각장애인 안마사 : 안마사 자격을 지닌 미취업 시각장애인이 노인복지관, 경로당 등을 이용하는 어르신들에게 양질의 안마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자리. ・ 참여대상 : 만18세이상 안마사자격을 취득한 시각장애인 ・ 근무조건 : 주5일(25시간) ・ 급여 : 1,000천원 ・ 지원인원 : 703명(2015년) <표 Ⅱ-12> 연도별 특화형(시각안마사) 일자리의 장애인수 변화 (단위: 명)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장애인수 300 300 300 600 703 자료 : 한국장애인개발원(2015) http://www.koddi.or.kr ・ 발달장애인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 발달장애인을 요양보호사의 전반적인 업 무를 지원하는 일자리에 배치하여 직무능력 습득 및 일자리 경험을 제공하는 일자리('14년 300명→'15년 263명). ・ 참여대상 : 만18세이상 지적장애 및 자폐성 등록장애인 ・ 근무조건 : 주 5일 (25시간) ・ 급여 : 731천원 ・ 지원인원 : 263명(2015년) □ 장애인 직업재활 현황 ○ 장애인 직업재활의 의의 - 장애로 인해 비장애인과 동등한 직업능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일 은 신체적 자립과 경제적 독립, 생계유지의 의미를 가지며, 사회통합 및 사회 발전에 참여하고 자기개발 및 자아실현의 방편이 됨. - 장애인의 직업재활은 사업주가 장애인을 고용함으로서 필요한 인력을 확보하 고 간접적으로 사회공헌 활동을 하며, 장애인에게 사회발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의미를 가짐.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22 - 일반형일자리 ・ 미취업장애인의 일반노동시장으로 전이를 위한 실무능력 습득을 지원하고, 일 정기간 소득을 보장하는 일자리로 전국 시‧도, 읍‧면‧동 주민센터, 공공기관 등 에 배치하여 장애인복지행정 등의 업무를 수행. ・ 참여대상 : 만18세이상 등록장애인 ・ 근무조건 : 주5일(40시간), 1일 8시간 ・ 급여 : 1,167천원 ・ 지원인원 : 4,093명(2015년) <표 Ⅱ-10> 연도별 일반형 일자리의 장애인 수 변화 (단위: 명) 연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장애인수 2,000 2,000 2,000 2,620 3,500 3,500 3,500 4,844 4,903 자료 : 한국장애인개발원(2015) http://www.koddi.or.kr - 복지일자리 ・ 취업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에게 장애유형별 다양한 일자리를 개발·제공하여 직 업생활 및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직업경험을 지원하는 일자리로, 18세 이상 등록장애인은 누구나 참여 가능한 참여형 일자리와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특수교육-복지연계형 일자리 ・ 참여대상 : 만18세이상 등록장애인, 특수교육기관 고등부 3학년 및 전공과 학생 ・ 근무조건 : 주14시간 이내 (월 56시간) ・ 급여 : 131천원 ・ 지원인원 : 9,010명(2015년) <표 Ⅱ-11> 연도별 복지일자리의 장애인수 변화 (단위: 명) 연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장애인수 2,900 3,000 3,500 4,000 6,500 7,000 7,700 8,850 9,010 자료 : 한국장애인개발원(2015) http://www.koddi.or.kr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23 - 특화형일자리 ・ 시각장애인 안마사 : 안마사 자격을 지닌 미취업 시각장애인이 노인복지관, 경로당 등을 이용하는 어르신들에게 양질의 안마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자리. ・ 참여대상 : 만18세이상 안마사자격을 취득한 시각장애인 ・ 근무조건 : 주5일(25시간) ・ 급여 : 1,000천원 ・ 지원인원 : 703명(2015년) <표 Ⅱ-12> 연도별 특화형(시각안마사) 일자리의 장애인수 변화 (단위: 명) 연도 2011 2012 2013 2014 2015 장애인수 300 300 300 600 703 자료 : 한국장애인개발원(2015) http://www.koddi.or.kr ・ 발달장애인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 발달장애인을 요양보호사의 전반적인 업 무를 지원하는 일자리에 배치하여 직무능력 습득 및 일자리 경험을 제공하는 일자리('14년 300명→'15년 263명). ・ 참여대상 : 만18세이상 지적장애 및 자폐성 등록장애인 ・ 근무조건 : 주 5일 (25시간) ・ 급여 : 731천원 ・ 지원인원 : 263명(2015년) □ 장애인 직업재활 현황 ○ 장애인 직업재활의 의의 - 장애로 인해 비장애인과 동등한 직업능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일 은 신체적 자립과 경제적 독립, 생계유지의 의미를 가지며, 사회통합 및 사회 발전에 참여하고 자기개발 및 자아실현의 방편이 됨. - 장애인의 직업재활은 사업주가 장애인을 고용함으로서 필요한 인력을 확보하 고 간접적으로 사회공헌 활동을 하며, 장애인에게 사회발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의미를 가짐.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24 ○ 장애인직업재활 실태 - 장애인은 중도에 또는 태어나면서 갖게 된 장애로 인해 같은 조건에서 비장애 인과 동등한 직업적 능력을 발휘하기가 어려워 비장애인에 비해 취업의 기회 가 적고 일을 가져도 이를 유지하기는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임. - 2014년도의 장애인의 취업률은 37.0%이며, 이는 비장애인의 취업률 60.8% 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이며, 최저임금 적용제외 제도로 인해 최저 시급을 받지 못하고 있어 근로자의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함. - 경기도는 전국에서 장애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전체 장애 인구 중 20.2%(506,464명)의 장애인이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어 장애인의 일자리 정 책이 도차원에서 필요한 지역임. <그림 Ⅱ-2> 지역별 현황 등록장애인비율 (2014.) 주 : 시도별 등록장애인 비율(%)=(시도별 등록장애인 인구/전체 등록장애인 인구)×100 자료 : 보건복지부, 「2014 등록장애인현황」. 2015.5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정의 - 「장애인복지법」 제58조에서 정의하고 있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일반 작 업환경에서는 일하기 어려운 장애인이 특별히 준비된 작업환경에서 직업훈련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25 을 받거나 직업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임. - 장애인복지사업안내에서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장애인이 자신의 능력과 적 성에 맞는 직업생활을 통하여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장애인직업재활 과 관련된 제반 서비스(보호고용, 직업상담, 직업능력평가, 직업적응훈련, 직 업훈련, 작업활동, 취업알선, 취업 후 지도, 장애인생산품 판매 및 판로 확대 등)를 제공하고 취업기회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정의 됨.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운영 목적은 장애인이 직업을 통해 장애인의 자활·자 립을 도모하는 것임.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종류와 기능 - 우리나라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종류는 기능에 따라 장애인보호작업장과 장 애인근로사업장 두 가지 유형임(「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제41조 [별표 4]). ・ 장애인보호작업장은 ‘직업능력이 낮은 장애인에게 직업적응능력 및 직무기능 향상훈련 등 직업재활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보호가 가능한 조건에서 근 로의 기회를 제공하며, 이에 상응하는 노동의 대가로 임금을 지급하며, 장애 인 근로사업장이나 그 밖의 경쟁적인 고용시장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돕는 역 할을 하는 시설’임. ・ 장애인근로사업장은 ‘직업능력은 있으나 이동 및 접근성이나 사회적 제약 등 으로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근로의 기회를 제공하고, 최저임금 이상의 임 금을 지급하며, 경쟁적인 고용시장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시설’임. - 장애인보호작업장과 근로사업장의 차이점 ・ 첫째, 근로장애인의 인원에서 보호작업장은 최저 10인 이상, 근로사업장은 최 저 30인 이상임. ・ 둘째, 장애인근로자의 비율에서 두 유형 모두 장애인이 70% 이상 되어야하지 만, 그 중 중증장애인의 비율에서는 보호작업장이 80%이상, 근로사업장은 60%이상임. ・ 셋째, 임금 기준에서 보호작업장은 근로장애인 중 2/3에게 최저임금의 40%를 지급, 평균임금은 최저임금의 30% 이상을 지급하도록 하며, 근로사업장은 근 로장애인의 2/3이상에게 최저임금 지급, 1인당 평균임금은 최저임금의 80%이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24 ○ 장애인직업재활 실태 - 장애인은 중도에 또는 태어나면서 갖게 된 장애로 인해 같은 조건에서 비장애 인과 동등한 직업적 능력을 발휘하기가 어려워 비장애인에 비해 취업의 기회 가 적고 일을 가져도 이를 유지하기는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임. - 2014년도의 장애인의 취업률은 37.0%이며, 이는 비장애인의 취업률 60.8% 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이며, 최저임금 적용제외 제도로 인해 최저 시급을 받지 못하고 있어 근로자의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함. - 경기도는 전국에서 장애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전체 장애 인구 중 20.2%(506,464명)의 장애인이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어 장애인의 일자리 정 책이 도차원에서 필요한 지역임. <그림 Ⅱ-2> 지역별 현황 등록장애인비율 (2014.) 주 : 시도별 등록장애인 비율(%)=(시도별 등록장애인 인구/전체 등록장애인 인구)×100 자료 : 보건복지부, 「2014 등록장애인현황」. 2015.5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정의 - 「장애인복지법」 제58조에서 정의하고 있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일반 작 업환경에서는 일하기 어려운 장애인이 특별히 준비된 작업환경에서 직업훈련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25 을 받거나 직업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임. - 장애인복지사업안내에서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장애인이 자신의 능력과 적 성에 맞는 직업생활을 통하여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장애인직업재활 과 관련된 제반 서비스(보호고용, 직업상담, 직업능력평가, 직업적응훈련, 직 업훈련, 작업활동, 취업알선, 취업 후 지도, 장애인생산품 판매 및 판로 확대 등)를 제공하고 취업기회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정의 됨.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운영 목적은 장애인이 직업을 통해 장애인의 자활·자 립을 도모하는 것임.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종류와 기능 - 우리나라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종류는 기능에 따라 장애인보호작업장과 장 애인근로사업장 두 가지 유형임(「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제41조 [별표 4]). ・ 장애인보호작업장은 ‘직업능력이 낮은 장애인에게 직업적응능력 및 직무기능 향상훈련 등 직업재활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보호가 가능한 조건에서 근 로의 기회를 제공하며, 이에 상응하는 노동의 대가로 임금을 지급하며, 장애 인 근로사업장이나 그 밖의 경쟁적인 고용시장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돕는 역 할을 하는 시설’임. ・ 장애인근로사업장은 ‘직업능력은 있으나 이동 및 접근성이나 사회적 제약 등 으로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근로의 기회를 제공하고, 최저임금 이상의 임 금을 지급하며, 경쟁적인 고용시장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시설’임. - 장애인보호작업장과 근로사업장의 차이점 ・ 첫째, 근로장애인의 인원에서 보호작업장은 최저 10인 이상, 근로사업장은 최 저 30인 이상임. ・ 둘째, 장애인근로자의 비율에서 두 유형 모두 장애인이 70% 이상 되어야하지 만, 그 중 중증장애인의 비율에서는 보호작업장이 80%이상, 근로사업장은 60%이상임. ・ 셋째, 임금 기준에서 보호작업장은 근로장애인 중 2/3에게 최저임금의 40%를 지급, 평균임금은 최저임금의 30% 이상을 지급하도록 하며, 근로사업장은 근 로장애인의 2/3이상에게 최저임금 지급, 1인당 평균임금은 최저임금의 80%이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26 상 지급하도록 함. ○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현황 - 2014년 12월 현재 전국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수는 총 539개소로 보호작업 장이 475개소, 근로사업장 64개소가 운영 중이며,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총 근로장애인 수는 15,641명이며, 종사자 수는 3,158명임. <표 Ⅱ-13> 시도 장애인직업재활 시설 현황(2014.12.) (단위 : 시설수, 명) 시도 시설수 근로장애인 근로사업장 보호작업장 종사자 시설수 근로장애인 시설수 근로 장애인 정원 현원 합계 539 15,641 64 2,721 475 12,920 3,561 3,158 서울 122 3,877 12 683 110 3,194 676 618 부산 26 798 2 62 24 736 142 126 대구 34 907 5 195 29 712 157 150 인천 29 825 4 187 25 638 190 159 광주 20 611 4 161 16 450 177 152 대전 15 519 3 144 12 375 184 157 울산 14 278 1 29 13 249 53 57 세종 1 55 - - 1 55 5 5 경기 85 2,525 14 541 71 1,984 725 640 강원 34 751 4 148 30 603 192 171 충북 20 669 1 70 19 599 137 137 충남 17 598 1 5 16 593 159 139 전북 19 504 2 68 17 436 99 97 전남 17 381 1 26 16 355 79 66 경북 34 993 2 97 32 896 210 175 경남 43 1,027 5 166 38 661 266 230 제주 9 323 3 139 6 184 100 79 - 경기도에는 83개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이 있으며, 그 중 장애인보호작업장은 69개, 근로사업장은 14개소가 있음. ・ 경기도 내 장애인직업재활시설 근로장애인 수는 2,230명(현원)이며, 그 중 보 호작업장 장애인근로자는 1,724명, 근로사업장의 장애인근로자는 506명이며, 종사자 수는 755명임.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27 <표 Ⅱ-14> 경기도 장애인직업재활시설현황(2014.12.) (단위 : 시설수, 명) 시도 시설수 근로장애인 근로사업 보호작업장 종사자 시설수 근로장애인 시설수 근로장애인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합계 83 2795 2230 14 733 506 69 2062 1724 833 755 수원시 9 399 302 1 150 103 8 249 199 66 63 성남시 7 245 204 2 95 84 5 150 120 59 51 부천시 4 150 126 1 60 47 3 90 79 30 29 안양시 2 120 115 - - - 2 120 115 19 19 안산시 4 160 147 1 45 35 3 115 112 35 31 용인시 5 115 99 - - - 5 115 99 31 27 평택시 5 155 119 1 50 30 4 105 89 30 30 광명시 2 94 93 - - - 2 94 93 19 19 시흥시 1 30 30 - - - 1 30 30 6 6 군포시 3 72 70 - - - 3 72 70 20 16 화성시 4 172 58 - - - 4 172 58 40 17 이천시 3 130 80 2 100 50 1 30 30 36 32 김포시 3 92 69 - - - 3 92 69 26 26 광주시 3 105 92 - - - 3 105 92 24 20 안성시 2 63 30 1 33 0 1 30 30 22 13 하남시 1 38 38 - - - 1 38 38 6 6 의왕시 0 - - - - - - - - - - 오산시 1 25 20 - - - 1 25 20 6 4 여주시 1 30 30 - - - 1 30 30 9 9 양평군 2 60 60 - - - 2 60 60 16 12 과천시 0 - - - - - - - - - - 고양시 8 96 80 1 40 34 7 56 46 229 223 의정부시 1 30 31 - - - 1 30 31 4 4 남양주시 4 119 118 1 30 30 3 89 88 32 33 파주시 2 100 71 1 50 40 1 50 31 21 21 구리시 3 93 91 1 30 29 2 63 62 24 24 포천시 2 70 27 1 50 24 1 20 3 16 16 양주시 0 - - - - - - - - - - 동두천시 1 32 30 - - - 1 32 30 7 4 가평군 0 - - - - - - - - - - 연천군 0 - - - - - - - - - - 출처 : 2015년 경기도장애인복지사업안내(2). 경기도. 2015.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26 상 지급하도록 함. ○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현황 - 2014년 12월 현재 전국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수는 총 539개소로 보호작업 장이 475개소, 근로사업장 64개소가 운영 중이며,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총 근로장애인 수는 15,641명이며, 종사자 수는 3,158명임. <표 Ⅱ-13> 시도 장애인직업재활 시설 현황(2014.12.) (단위 : 시설수, 명) 시도 시설수 근로장애인 근로사업장 보호작업장 종사자 시설수 근로장애인 시설수 근로 장애인 정원 현원 합계 539 15,641 64 2,721 475 12,920 3,561 3,158 서울 122 3,877 12 683 110 3,194 676 618 부산 26 798 2 62 24 736 142 126 대구 34 907 5 195 29 712 157 150 인천 29 825 4 187 25 638 190 159 광주 20 611 4 161 16 450 177 152 대전 15 519 3 144 12 375 184 157 울산 14 278 1 29 13 249 53 57 세종 1 55 - - 1 55 5 5 경기 85 2,525 14 541 71 1,984 725 640 강원 34 751 4 148 30 603 192 171 충북 20 669 1 70 19 599 137 137 충남 17 598 1 5 16 593 159 139 전북 19 504 2 68 17 436 99 97 전남 17 381 1 26 16 355 79 66 경북 34 993 2 97 32 896 210 175 경남 43 1,027 5 166 38 661 266 230 제주 9 323 3 139 6 184 100 79 - 경기도에는 83개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이 있으며, 그 중 장애인보호작업장은 69개, 근로사업장은 14개소가 있음. ・ 경기도 내 장애인직업재활시설 근로장애인 수는 2,230명(현원)이며, 그 중 보 호작업장 장애인근로자는 1,724명, 근로사업장의 장애인근로자는 506명이며, 종사자 수는 755명임.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27 <표 Ⅱ-14> 경기도 장애인직업재활시설현황(2014.12.) (단위 : 시설수, 명) 시도 시설수 근로장애인 근로사업 보호작업장 종사자 시설수 근로장애인 시설수 근로장애인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합계 83 2795 2230 14 733 506 69 2062 1724 833 755 수원시 9 399 302 1 150 103 8 249 199 66 63 성남시 7 245 204 2 95 84 5 150 120 59 51 부천시 4 150 126 1 60 47 3 90 79 30 29 안양시 2 120 115 - - - 2 120 115 19 19 안산시 4 160 147 1 45 35 3 115 112 35 31 용인시 5 115 99 - - - 5 115 99 31 27 평택시 5 155 119 1 50 30 4 105 89 30 30 광명시 2 94 93 - - - 2 94 93 19 19 시흥시 1 30 30 - - - 1 30 30 6 6 군포시 3 72 70 - - - 3 72 70 20 16 화성시 4 172 58 - - - 4 172 58 40 17 이천시 3 130 80 2 100 50 1 30 30 36 32 김포시 3 92 69 - - - 3 92 69 26 26 광주시 3 105 92 - - - 3 105 92 24 20 안성시 2 63 30 1 33 0 1 30 30 22 13 하남시 1 38 38 - - - 1 38 38 6 6 의왕시 0 - - - - - - - - - - 오산시 1 25 20 - - - 1 25 20 6 4 여주시 1 30 30 - - - 1 30 30 9 9 양평군 2 60 60 - - - 2 60 60 16 12 과천시 0 - - - - - - - - - - 고양시 8 96 80 1 40 34 7 56 46 229 223 의정부시 1 30 31 - - - 1 30 31 4 4 남양주시 4 119 118 1 30 30 3 89 88 32 33 파주시 2 100 71 1 50 40 1 50 31 21 21 구리시 3 93 91 1 30 29 2 63 62 24 24 포천시 2 70 27 1 50 24 1 20 3 16 16 양주시 0 - - - - - - - - - - 동두천시 1 32 30 - - - 1 32 30 7 4 가평군 0 - - - - - - - - - - 연천군 0 - - - - - - - - - - 출처 : 2015년 경기도장애인복지사업안내(2). 경기도. 2015.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28 3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개념 □ 개념 ○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이 함께 일하며, 소득보존과 사회통합의 의미를 갖는 사회적일자리를 협업사회적일자리로 정의함.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대상 ○ 노인 - 노인은 노인복지법에 의해 정의되어있지 않으나, 노인관련 사업이 대부분 65 세 이상을 노인으로 보고 있으며, 노인복지관이용은 60세 이상으로 하고 있 음. 최근에는 노인연령상향 조정에 대해 논의 중에 있음. - 노인일자리의 대표적 사업인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대상 노인은 65세 이상이며 기초연금 수급대상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협업사회적일자리의 대상 노인은 60세 이상 건강한 노인으로 하는 것이 다양한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 에 바람직함. ○ 장애인 - 취업의 기회를 갖기가 어려운 중증장애인이 생산적인 직업에 참여하고자 하 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 - 장애인은 장애인복지법에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 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 정의되어있음. ・ 법에 의한 장애분류는 신체적 장애와 발달장애 또는 정신질환에 의한 정신적 장애로 분류됨. ・ 장애분류를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음. 신체적 장애는 외부신체기능의 장애, 내 부기관의 장애로 세분화되며, 정신적 장애에는 발달장애(자폐성장애·지적장 애), 정신장애로 분류할 수 있음.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29 <표 Ⅱ-15> 장애 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신체적 장애 외부신체기 능의 장애 지체장애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장애, 변형 등의 장애 뇌병변장애 뇌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 시각징애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 청각장애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언어장애 언어장애, 음성장애, 구어자애 안면장애 안면부의 추상,함몰, 비후 등 변형으로 인한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신장장애 특석치료 중이거나 신장을 이식받은 경우 심장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 간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간기능 이상 호흡기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호흡기기능 이상 장루·요루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장루·요루 잔질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간질 정신적 장애 발달장애 지적장애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경우자폐장애 소아청소년 자폐 등 자폐성 장애 정신장애 정신장애 정신분열병, 분열형정동장애, 야극성정동장애, 반복성우울장애 자료 : 보건복지부(2015) - 직업재활은 장애인의 직업적응을 돕기 위해 계획된 체계적인 서비스로 목표 지향적이고 개별화된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임. 「장애인고용 촉진 및 직업재 활법」에서 직업재활과정을 직업지도(제10조), 직업적응훈련(제11조), 직업능 력개발훈련(제12조), 지원고용(제13조), 보호고용(제14조), 취업알선(제15조), 취업 후 적응지도(제19조)등으로 규정함. ・ 일반고용 : 일반기업 등에 고용되는 형태로 의무고용제도가 적용됨. ・ 지원고용 : 일반사업체에서 고용이 어려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비장애인과 통 합된 작업장에서 계속적인 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고용을 안정되게 유지하도 록 돕는 고용의 형태(강위영 외,2009. 정무성 ,2015재인용). ・ 보호고용 : 중증장애로 일반 경쟁 노동시장에서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들을 위 하여 특별한 환경이나 지원을 통해 고용을 유도하는 제도임(ILO,1955. 정무 성,2015 재인용). - 장애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협업할 수 있는 직종과 직무가 다르게 나타날 것임. ・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의 경증인 경우 부족하나마 의무고용제도 활용으로 일반고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활동보조인제도를 활용하여 출퇴근에 지원을 받고 있음. 중증장애인 고용 시 의무고용제도의 인센티브가 더블카운트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28 3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개념 □ 개념 ○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이 함께 일하며, 소득보존과 사회통합의 의미를 갖는 사회적일자리를 협업사회적일자리로 정의함.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대상 ○ 노인 - 노인은 노인복지법에 의해 정의되어있지 않으나, 노인관련 사업이 대부분 65 세 이상을 노인으로 보고 있으며, 노인복지관이용은 60세 이상으로 하고 있 음. 최근에는 노인연령상향 조정에 대해 논의 중에 있음. - 노인일자리의 대표적 사업인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대상 노인은 65세 이상이며 기초연금 수급대상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협업사회적일자리의 대상 노인은 60세 이상 건강한 노인으로 하는 것이 다양한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 에 바람직함. ○ 장애인 - 취업의 기회를 갖기가 어려운 중증장애인이 생산적인 직업에 참여하고자 하 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 - 장애인은 장애인복지법에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 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 정의되어있음. ・ 법에 의한 장애분류는 신체적 장애와 발달장애 또는 정신질환에 의한 정신적 장애로 분류됨. ・ 장애분류를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음. 신체적 장애는 외부신체기능의 장애, 내 부기관의 장애로 세분화되며, 정신적 장애에는 발달장애(자폐성장애·지적장 애), 정신장애로 분류할 수 있음.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29 <표 Ⅱ-15> 장애 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신체적 장애 외부신체기 능의 장애 지체장애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장애, 변형 등의 장애 뇌병변장애 뇌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 시각징애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 청각장애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언어장애 언어장애, 음성장애, 구어자애 안면장애 안면부의 추상,함몰, 비후 등 변형으로 인한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신장장애 특석치료 중이거나 신장을 이식받은 경우 심장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 간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간기능 이상 호흡기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호흡기기능 이상 장루·요루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장루·요루 잔질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간질 정신적 장애 발달장애 지적장애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경우자폐장애 소아청소년 자폐 등 자폐성 장애 정신장애 정신장애 정신분열병, 분열형정동장애, 야극성정동장애, 반복성우울장애 자료 : 보건복지부(2015) - 직업재활은 장애인의 직업적응을 돕기 위해 계획된 체계적인 서비스로 목표 지향적이고 개별화된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임. 「장애인고용 촉진 및 직업재 활법」에서 직업재활과정을 직업지도(제10조), 직업적응훈련(제11조), 직업능 력개발훈련(제12조), 지원고용(제13조), 보호고용(제14조), 취업알선(제15조), 취업 후 적응지도(제19조)등으로 규정함. ・ 일반고용 : 일반기업 등에 고용되는 형태로 의무고용제도가 적용됨. ・ 지원고용 : 일반사업체에서 고용이 어려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비장애인과 통 합된 작업장에서 계속적인 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고용을 안정되게 유지하도 록 돕는 고용의 형태(강위영 외,2009. 정무성 ,2015재인용). ・ 보호고용 : 중증장애로 일반 경쟁 노동시장에서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들을 위 하여 특별한 환경이나 지원을 통해 고용을 유도하는 제도임(ILO,1955. 정무 성,2015 재인용). - 장애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협업할 수 있는 직종과 직무가 다르게 나타날 것임. ・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의 경증인 경우 부족하나마 의무고용제도 활용으로 일반고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활동보조인제도를 활용하여 출퇴근에 지원을 받고 있음. 중증장애인 고용 시 의무고용제도의 인센티브가 더블카운트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30 ・ 시각장애인 안마사파견사업,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등의 공공일 자리사업이 운영 중에 있음. ・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는 전국 시범사업을 운영 중에 있으나, 사 업 초기와 달리 요양보호사가 자격증 제도로 변경됨에 따라 시범사업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경기도에는 남양주시에 1개소에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가 운영되고 있음. - 중증장애로 취업이 어려운 발달장애인은 사회적응훈련, 보호고용, 일반고용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자립생활과 사회통합에 노력하고 있으나 쉽지 않 은 상황임(양희택,2014). - 본 연구에서는 중증장애로 취업에 취약한 발달장애를 중심으로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4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유형은 노인의 전문성 유무와 장애 정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음. ○ 직무상 노인의 전문성 유무와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에 따라 협업사회적 일자리의 유형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음. - 직무에 전문성이 있는 노인과 발달장애인이 함께 일할 경우 발달장애인의 장 애정도에 따라 기능형(셔틀 콕공정 등), 기능중심사회통합형으로 구성됨 - 전문성이 없는 노인과 발달장애인의 협업은 사회통합형과 케어형으로 구성됨. - 기능형 ·기능중심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 전문성을 가진 노인과 발달장애인의 협업일자리로 발달장애인의 참여 정도에 따라 기능형과 기능중심 사회통합형으로 분류함. ・ 전문성을 갖춘 노인의 기능을 충분히 살리는 협업일자리로 경증발달장애인과 협업을 하며 지속성을 가지고 습관화하면 발달장애인에게 기능 전수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됨. 예를 들어 발달장애인에게 바리스타 교육 후 바리스타 기능을 갖춘 노인과 협업을 하게 되면 발달장애인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 음.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31 ・ 노인이 전문성과 경험을 갖추었다 해도 장애인이 중증인 경우 기능 전수가 어 렵워 기능중심의 사회통합형 협업일자리가 성립됨. ・ 조경, 원예, 바리스타 등의 전문성을 갖춘 노인과 보조인력으로 발달장애인을 배치할 수 있음. ・ 교사나 특수교사의 경우 재능기부의 형태로 직무지도원으로 활동 - 사회통합형·케어형 협업사회적일자리 ・ 노인에게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경우, 단순한 일거리의 협업이 이루어 짐. 물품정리, 물품운반, 등의 업무를 협업함. ・ 보호고용된 발달장애인의 업무지원 등의 역할을 노인이 수행함. <표 Ⅱ-16> 노인의 전문성 유무와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에 따른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발달장애인의 장애 정도 경증 중증 노인 전문성 있음 기능형 협업사회적일자리 기능중심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전문성 없음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케어형 협업사회적일자리 ○ 본 연구에서는 4가지 협업사회적일자리 중 일자리 창출의 실현가능성과 지속적 일자리 유지의 필요성을 기준으로 사례를 선정함. - 여러 가지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나,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과 일자리의 지속성 유지가 어려운 발달장애인이 협업하고 있는 사례를 선정함. - 일반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협업사회적일자리는 기능중심 사회통합형, 단순 한 직무 수행으로 전문성이 없는 노인과 경증의 발달장애인이 협업하는 사회 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와 보호작업장 중심으로 한 케어형 협업사회적 일자 리임. - 기능중심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로 복지관의 카페에서의 협업사례적일 자리를 분석하고,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는 물품재활용센터의 물류관 리일자리, 케어형 협업사회적일자리는 보호작업장에서의 일자리를 분석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30 ・ 시각장애인 안마사파견사업,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등의 공공일 자리사업이 운영 중에 있음. ・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는 전국 시범사업을 운영 중에 있으나, 사 업 초기와 달리 요양보호사가 자격증 제도로 변경됨에 따라 시범사업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경기도에는 남양주시에 1개소에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가 운영되고 있음. - 중증장애로 취업이 어려운 발달장애인은 사회적응훈련, 보호고용, 일반고용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자립생활과 사회통합에 노력하고 있으나 쉽지 않 은 상황임(양희택,2014). - 본 연구에서는 중증장애로 취업에 취약한 발달장애를 중심으로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4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유형은 노인의 전문성 유무와 장애 정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음. ○ 직무상 노인의 전문성 유무와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에 따라 협업사회적 일자리의 유형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음. - 직무에 전문성이 있는 노인과 발달장애인이 함께 일할 경우 발달장애인의 장 애정도에 따라 기능형(셔틀 콕공정 등), 기능중심사회통합형으로 구성됨 - 전문성이 없는 노인과 발달장애인의 협업은 사회통합형과 케어형으로 구성됨. - 기능형 ·기능중심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 전문성을 가진 노인과 발달장애인의 협업일자리로 발달장애인의 참여 정도에 따라 기능형과 기능중심 사회통합형으로 분류함. ・ 전문성을 갖춘 노인의 기능을 충분히 살리는 협업일자리로 경증발달장애인과 협업을 하며 지속성을 가지고 습관화하면 발달장애인에게 기능 전수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됨. 예를 들어 발달장애인에게 바리스타 교육 후 바리스타 기능을 갖춘 노인과 협업을 하게 되면 발달장애인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 음. Ⅱ 노 인 과 장 애 인 일 자 리 현 황 과 유 형 31 ・ 노인이 전문성과 경험을 갖추었다 해도 장애인이 중증인 경우 기능 전수가 어 렵워 기능중심의 사회통합형 협업일자리가 성립됨. ・ 조경, 원예, 바리스타 등의 전문성을 갖춘 노인과 보조인력으로 발달장애인을 배치할 수 있음. ・ 교사나 특수교사의 경우 재능기부의 형태로 직무지도원으로 활동 - 사회통합형·케어형 협업사회적일자리 ・ 노인에게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경우, 단순한 일거리의 협업이 이루어 짐. 물품정리, 물품운반, 등의 업무를 협업함. ・ 보호고용된 발달장애인의 업무지원 등의 역할을 노인이 수행함. <표 Ⅱ-16> 노인의 전문성 유무와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에 따른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발달장애인의 장애 정도 경증 중증 노인 전문성 있음 기능형 협업사회적일자리 기능중심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전문성 없음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케어형 협업사회적일자리 ○ 본 연구에서는 4가지 협업사회적일자리 중 일자리 창출의 실현가능성과 지속적 일자리 유지의 필요성을 기준으로 사례를 선정함. - 여러 가지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나,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과 일자리의 지속성 유지가 어려운 발달장애인이 협업하고 있는 사례를 선정함. - 일반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협업사회적일자리는 기능중심 사회통합형, 단순 한 직무 수행으로 전문성이 없는 노인과 경증의 발달장애인이 협업하는 사회 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와 보호작업장 중심으로 한 케어형 협업사회적 일자 리임. - 기능중심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로 복지관의 카페에서의 협업사례적일 자리를 분석하고,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는 물품재활용센터의 물류관 리일자리, 케어형 협업사회적일자리는 보호작업장에서의 일자리를 분석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32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참여노인이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한정될 경우, 전문성을 갖춘 노인의 인력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한정된 컨텐츠로 인해 사회통합형과 케어형으로만 개발될 수 있으므로 전문성, 소득수준을 확대 하여 협업사회적일자리를 개발할 경우, 기능형, 기능중심 사회통합형의 다양한 유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Ⅲ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결과 1.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개요 2.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결과 3.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분석결과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32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참여노인이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한정될 경우, 전문성을 갖춘 노인의 인력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한정된 컨텐츠로 인해 사회통합형과 케어형으로만 개발될 수 있으므로 전문성, 소득수준을 확대 하여 협업사회적일자리를 개발할 경우, 기능형, 기능중심 사회통합형의 다양한 유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Ⅲ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결과 1.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개요 2.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결과 3.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분석결과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35 1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개요 □ 사례조사 개요 ○ 본 연구의 주제에 부합되는 일자리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기관을 기획회의 참여자 및 각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받아 소속 기관 담당자에게 사전에 전 화와 이메일로 조사에 대해 설명을 하여 동의를 얻은 후 연구진이 기관을 방문하여 인터뷰를 진행함. 협업사회적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는 지원 사업 참여자, 사업 담당자, 기관장를 각 기관의 상담실 또는 회의실에서 만나 심 층 면접을 실시함. ○ 심층 면접 시 연구윤리에 대한 사전 공지 - 본 연구의 윤리에 대해 면접을 실시하기 전에 참여자에게 익명성의 보장과 심 층면접을 통해 확보된 자료는 연구진 외에 비공개되며 연구자료로만 활용됨을 설명한 후 동의를 얻은 후 심층면접을 실시함. ○ 자료수집 기간 - 노인중심의 협업사회적일자리 자료수집은 2015년 10월 14일 경기도 K시 D복 지관 상담실에서 2시부터 6시까지 진행함. - 장애인중심의 협업사회적일자리 1차 자료수집은 2015년 10월 12일 서울시 G 직업재활시설 회의실에서 10시부터 18시까지 진행함. 2차 자료수집은 2015년 ⨠⨠Ⅲ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분 석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결과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35 1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개요 □ 사례조사 개요 ○ 본 연구의 주제에 부합되는 일자리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기관을 기획회의 참여자 및 각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받아 소속 기관 담당자에게 사전에 전 화와 이메일로 조사에 대해 설명을 하여 동의를 얻은 후 연구진이 기관을 방문하여 인터뷰를 진행함. 협업사회적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는 지원 사업 참여자, 사업 담당자, 기관장를 각 기관의 상담실 또는 회의실에서 만나 심 층 면접을 실시함. ○ 심층 면접 시 연구윤리에 대한 사전 공지 - 본 연구의 윤리에 대해 면접을 실시하기 전에 참여자에게 익명성의 보장과 심 층면접을 통해 확보된 자료는 연구진 외에 비공개되며 연구자료로만 활용됨을 설명한 후 동의를 얻은 후 심층면접을 실시함. ○ 자료수집 기간 - 노인중심의 협업사회적일자리 자료수집은 2015년 10월 14일 경기도 K시 D복 지관 상담실에서 2시부터 6시까지 진행함. - 장애인중심의 협업사회적일자리 1차 자료수집은 2015년 10월 12일 서울시 G 직업재활시설 회의실에서 10시부터 18시까지 진행함. 2차 자료수집은 2015년 ⨠⨠Ⅲ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분 석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결과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36 10월 23일 서울시 I직업재활시설 회의실에서 13시부터 18시까지 진행함. ○ 심층면접 방법 - 연구자가 직접 비구조적이고 개방적인 질문을 통해 30분~1시간 2(연구자):1 (연구참여자) 혹은 2(연구자):3(연구참여자)로 실시함. - 심층면접은 참여자의 표현을 빠짐없이 기록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기와 연구메모 등을 사용함. - 면접방법은 연구 참여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인위적인 개입은 자제하였으며 시간의 제한을 두지 않음. - 심층면접 질문지 내용 일자리참여자와 사업담당자, 기관경영자 각각을 대상으로 질문을 작성함. 일자리 참여자의 질문내용에는 일자리 참여 동기와 일하는 것의 의미, 노인과 장애인 서 로에 대한 의견, 서로에 대한 질문이 포함됨. 사업담당자에게는 협업사회적일자리 의 가능성과 협업의 장단점, 제도적 제약 등에 대한 질문이 있음. <표 Ⅲ-1> 심층면접 질문 구분 질문 내용 일자리 참여자 일자리 참여 동기 참여자에게 ‘일하는 것’ 이란?, 일의 의미 노인·장애인과 함께 일하면서 느낀 점(장점, 단점, 어려운 점) 현재의 직장은 이전에 일했던 직장과 어떤 점이 다른지?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과 직업재활사업 관련해서 필요한 것(정책적 지원 등) 일자리사업 담당자 장애인과 노인협업사회적일자리의 가능성, 가능 직종, 협업의 장점과 단점, 제도적 제약, 필요한 지원(서비스, 정책, 교육, 인력 등) 기관경영자 장애인과 노인협업사회적일자리의 가능성, 가능 직종, 협업의 장점과 단점, 제도적 제약, 필요한 지원(서비스, 정책, 교육, 인력 등) ○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정보 - 연구 참여자는 협업사회적일자리에 참여하는 노인과 장애인과 사업담당자, 경영 자이며,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자는 가능한 장기간 일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함.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37 <표 Ⅲ-2>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정보 번호 구분 성별 소속/직책 특성 1 D참여노인1 여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일자리 사업 참여 7년차(노인) 2 D참여노인2 여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일자리 사업 참여 4년차(노인) 3 D참여노인3 여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일자리 사업 참여 4년차(노인) 4 D사업담당과장 남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담당 과장 노인 일자리사업 담당 3년차 5 D부장 남 노인복지관 부장 정신의료사회복지 경력 5년 6 지원센터 부장 여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 부장 청소년 장애인 취업 담당 7 G참여노인1 남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G기관 참여 2년차(노인) 8 G참여노인2 여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G기관 참여 2년차(노인) 9 G참여장애인1 남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G기관장애인근로자(장애인) 카페 담당 10 G참여장애인2 남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G기관 장애인근로자(장애인), 기증품 수거담당 11 G참여장애인3 여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G기관 장애인근로자(장애인), 매장 담당 12 G사무국장 남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사무국장 장애인 분야 6년, 노인 분야 1년, G기관 관리 행정 2년차 13 G원장 남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원장 G기관 원장, 유통업계 21년 경력 14 I참여노인1 남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I센터 참여 2년차(노인) 15 I참여노인2 여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I센터 참여 2년차(노인) 16 I참여노인3 남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I센터 참여(노인) 17 I참여장애인1 남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I센터 장애인근로자(장애인), 임가공 조장 18 I참여장애인2 여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I센터 장애인근로자(장애인), 임가공 담당 19 I시설 팀장 남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팀장 I센터 팀장, 장애인 분야 6년 20 I대표 남 장애인직업재활시설 대표 I센터원장, 장애인복지공무원 25년, 직업재활시설 5년 경력 ○ 연구참여기관의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 D복지관 : 기능중심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 참여노인은 D복지관 시니어클럽 소속으로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바리스타자격증을 소지하여 전문성을 갖추고 있음. ・ 참여장애인은 중증발달장애인 특수학교 학생임.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36 10월 23일 서울시 I직업재활시설 회의실에서 13시부터 18시까지 진행함. ○ 심층면접 방법 - 연구자가 직접 비구조적이고 개방적인 질문을 통해 30분~1시간 2(연구자):1 (연구참여자) 혹은 2(연구자):3(연구참여자)로 실시함. - 심층면접은 참여자의 표현을 빠짐없이 기록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기와 연구메모 등을 사용함. - 면접방법은 연구 참여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인위적인 개입은 자제하였으며 시간의 제한을 두지 않음. - 심층면접 질문지 내용 일자리참여자와 사업담당자, 기관경영자 각각을 대상으로 질문을 작성함. 일자리 참여자의 질문내용에는 일자리 참여 동기와 일하는 것의 의미, 노인과 장애인 서 로에 대한 의견, 서로에 대한 질문이 포함됨. 사업담당자에게는 협업사회적일자리 의 가능성과 협업의 장단점, 제도적 제약 등에 대한 질문이 있음. <표 Ⅲ-1> 심층면접 질문 구분 질문 내용 일자리 참여자 일자리 참여 동기 참여자에게 ‘일하는 것’ 이란?, 일의 의미 노인·장애인과 함께 일하면서 느낀 점(장점, 단점, 어려운 점) 현재의 직장은 이전에 일했던 직장과 어떤 점이 다른지?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과 직업재활사업 관련해서 필요한 것(정책적 지원 등) 일자리사업 담당자 장애인과 노인협업사회적일자리의 가능성, 가능 직종, 협업의 장점과 단점, 제도적 제약, 필요한 지원(서비스, 정책, 교육, 인력 등) 기관경영자 장애인과 노인협업사회적일자리의 가능성, 가능 직종, 협업의 장점과 단점, 제도적 제약, 필요한 지원(서비스, 정책, 교육, 인력 등) ○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정보 - 연구 참여자는 협업사회적일자리에 참여하는 노인과 장애인과 사업담당자, 경영 자이며,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자는 가능한 장기간 일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함.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37 <표 Ⅲ-2>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정보 번호 구분 성별 소속/직책 특성 1 D참여노인1 여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일자리 사업 참여 7년차(노인) 2 D참여노인2 여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일자리 사업 참여 4년차(노인) 3 D참여노인3 여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일자리 사업 참여 4년차(노인) 4 D사업담당과장 남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담당 과장 노인 일자리사업 담당 3년차 5 D부장 남 노인복지관 부장 정신의료사회복지 경력 5년 6 지원센터 부장 여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 부장 청소년 장애인 취업 담당 7 G참여노인1 남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G기관 참여 2년차(노인) 8 G참여노인2 여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G기관 참여 2년차(노인) 9 G참여장애인1 남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G기관장애인근로자(장애인) 카페 담당 10 G참여장애인2 남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G기관 장애인근로자(장애인), 기증품 수거담당 11 G참여장애인3 여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G기관 장애인근로자(장애인), 매장 담당 12 G사무국장 남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사무국장 장애인 분야 6년, 노인 분야 1년, G기관 관리 행정 2년차 13 G원장 남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원장 G기관 원장, 유통업계 21년 경력 14 I참여노인1 남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I센터 참여 2년차(노인) 15 I참여노인2 여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I센터 참여 2년차(노인) 16 I참여노인3 남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I센터 참여(노인) 17 I참여장애인1 남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I센터 장애인근로자(장애인), 임가공 조장 18 I참여장애인2 여 노인·장애인 협업 참여자 I센터 장애인근로자(장애인), 임가공 담당 19 I시설 팀장 남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팀장 I센터 팀장, 장애인 분야 6년 20 I대표 남 장애인직업재활시설 대표 I센터원장, 장애인복지공무원 25년, 직업재활시설 5년 경력 ○ 연구참여기관의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 D복지관 : 기능중심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 참여노인은 D복지관 시니어클럽 소속으로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바리스타자격증을 소지하여 전문성을 갖추고 있음. ・ 참여장애인은 중증발달장애인 특수학교 학생임.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38 - G기관 :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 재활용센터로 물건을 분류하거나 정리하는 작업을 함. ・ 참여노인은 지역노인복지관의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여자였으며 전문적 인 지식이나 경험은 없음. ・ 참여장애인은 소통이 가능하며 경증발달장애인 - I센터 : 케어형 협업사회적일자리 ・ 참여노인은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이며 전문성없음 ・ 참여장애인 중증의 발달장애인 2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결과 1. 경기도 K시 D노인복지관 사례 □ 경기도 K시 D노인복지관 기관개요 ○ 설립연도 : 2000년 노인종합복지관으로 개관 ○ 사업내용 - 상담사업 ・ 노인이 복지관 이용에 필요한 내용을 적절히 안내하고 문의사항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일반상담과 신체적 노화에 따른 심리적 위축, 가족구조의 재편,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전문상담시스템 운영 - 평생교육사업 ・ 노인의 건강유지 및 증진, 특기개발을 통해 외부활동의 강화와 학습기회제공 을 위해 어학, 건강, 교양, 예능 등의 분과 운영 - 재가복지사업 ・ 신체적, 정서적, 경제적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서비스 제공 - 지역복지사업 ・ 사업의 전문성과 저변확대를 위한 조사, 연구, 직원역량강화, 홍보, 출판 등의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39 대외사업 전개 - 경로당활성화사업 ・ 경로당 활성화를 위해 다양하고 흥미로운 프로그램 기획 및 지원 - 일자리지원사업 ・ 소득증대와 여가선용을 위한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운영 - 복리후생사업 ・ 셔틀버스, 경로식당, 이·미용서비스, 이불세탁사업 운영 ○ 시설현황 - 대지 7,574m2, 연면적 10,399m2(지하 2층, 지상4층) - 꽃향기동산(화원), 체력단련실, 탁구실, 당구&포켓볼실, 대강당, 배움터, 다도 실, 건강증진실, 상담실, 노인자살예방센터, 사무실 등이 있음. <표 Ⅲ-3> D노인복지관 시설현황 구분 사랑관 행복관 4층 관장실, 총무부 사무실, 컴퓨터실 꽃향기동산(화원) 3층 체력단련실, 탁구실 당구&포켓볼실 2층 복지사업부 사무실, 강사실, 대한노인회 덕양구지회사무실, 장기・바둑실 대강당,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사무실, 휴게실 1층 시립덕양어린이집 배움터2, 배움터3, 배움터4(서예실), 세미나실, 건강증진실, 다도실, 상담실, 노인자살예방센터, 안내실, 로비자유이용실(컴퓨터, 도서 등) 지하1층 소강당, 배움터1, 멀티미디어실, 카페 아르젠토 빨래터(빨래방), 가꿈터(이미용실), 맛샘터(경로식당), 주차장 지하2층 주차장, 감사실, 기계실, 저수조실 야외 야외광장, 야외공연장, 다목적운동장, 산책로, 버스 승・하차장 ○ 인력현황 - 관장을 포함하여 총 93명임. 총무부, 복지사업1부, 복지사업2부와 1개 센터로 조직되어있음.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38 - G기관 :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 재활용센터로 물건을 분류하거나 정리하는 작업을 함. ・ 참여노인은 지역노인복지관의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여자였으며 전문적 인 지식이나 경험은 없음. ・ 참여장애인은 소통이 가능하며 경증발달장애인 - I센터 : 케어형 협업사회적일자리 ・ 참여노인은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이며 전문성없음 ・ 참여장애인 중증의 발달장애인 2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조사 결과 1. 경기도 K시 D노인복지관 사례 □ 경기도 K시 D노인복지관 기관개요 ○ 설립연도 : 2000년 노인종합복지관으로 개관 ○ 사업내용 - 상담사업 ・ 노인이 복지관 이용에 필요한 내용을 적절히 안내하고 문의사항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일반상담과 신체적 노화에 따른 심리적 위축, 가족구조의 재편,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전문상담시스템 운영 - 평생교육사업 ・ 노인의 건강유지 및 증진, 특기개발을 통해 외부활동의 강화와 학습기회제공 을 위해 어학, 건강, 교양, 예능 등의 분과 운영 - 재가복지사업 ・ 신체적, 정서적, 경제적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서비스 제공 - 지역복지사업 ・ 사업의 전문성과 저변확대를 위한 조사, 연구, 직원역량강화, 홍보, 출판 등의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39 대외사업 전개 - 경로당활성화사업 ・ 경로당 활성화를 위해 다양하고 흥미로운 프로그램 기획 및 지원 - 일자리지원사업 ・ 소득증대와 여가선용을 위한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운영 - 복리후생사업 ・ 셔틀버스, 경로식당, 이·미용서비스, 이불세탁사업 운영 ○ 시설현황 - 대지 7,574m2, 연면적 10,399m2(지하 2층, 지상4층) - 꽃향기동산(화원), 체력단련실, 탁구실, 당구&포켓볼실, 대강당, 배움터, 다도 실, 건강증진실, 상담실, 노인자살예방센터, 사무실 등이 있음. <표 Ⅲ-3> D노인복지관 시설현황 구분 사랑관 행복관 4층 관장실, 총무부 사무실, 컴퓨터실 꽃향기동산(화원) 3층 체력단련실, 탁구실 당구&포켓볼실 2층 복지사업부 사무실, 강사실, 대한노인회 덕양구지회사무실, 장기・바둑실 대강당,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사무실, 휴게실 1층 시립덕양어린이집 배움터2, 배움터3, 배움터4(서예실), 세미나실, 건강증진실, 다도실, 상담실, 노인자살예방센터, 안내실, 로비자유이용실(컴퓨터, 도서 등) 지하1층 소강당, 배움터1, 멀티미디어실, 카페 아르젠토 빨래터(빨래방), 가꿈터(이미용실), 맛샘터(경로식당), 주차장 지하2층 주차장, 감사실, 기계실, 저수조실 야외 야외광장, 야외공연장, 다목적운동장, 산책로, 버스 승・하차장 ○ 인력현황 - 관장을 포함하여 총 93명임. 총무부, 복지사업1부, 복지사업2부와 1개 센터로 조직되어있음.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40 <그림 Ⅲ-1> D노인복지관 조직도 □ D노인복지관 사례 분석 결과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자의 일자리 경험 - 노인에게 일의 의미 ・ 일을 통한 사회참여로 인해 얻게 되는 자신에 대한 존재감과 생산적인 활동으 로 인한 성취감 때문에 적은 보수와 과중한 노동에도 불구하고 일자리에 참여 저희는 공간이 좀 넓습니다. 공간이 넓어서 관리가 많아요. 쓸고 걸레질하고 범위가 굉장히 넓어요. 주문받아야죠, 생산해야죠, 계산해야죠, 다 합니다. 일 일이, 그렇기 때문에 상노동이에요. 상노동인데 제가 처음에는 아까 말씀드렸 지만 창업취지로 저도 배웠고, 요즘에는 어떠냐, 제가 벌써 7년 7개월 되었기 때문에 그냥 존재감, 성취감 그리고 보수도 조금이라도 저희가 받지 않습니까, 30만원 받는다고 해도 생산적인 거잖아요. 매일 내가 돌아다니면서 돈 쓰는 것 보다 내가 조금이라도 노력해서, 성취해서 받으니까 그 성취감에 행복해요. (D참여노인1) - 노인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 청소년 장애인을 처음 만나게 되면서 장애가 있어 불쌍하고 안쓰러운 마음과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장애인에게서 양가감정을 경험함.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41 처음에는 와서 쑥스럽고 이러니까 말도 잘 안 하고 있다가, 우리가 다 같이 또 그렇잖아요? 빠르면 손녀 같고 이러니까 다 잘해준 거예요. 학교 끝나면 오거 든요. 그러니까 하루 1시에서 2시 사이에 와요. 그러면 여름에는 땀 흘리고 이 러면 할머니들이니까 주스 같은 것도 얼른 먹고 하라고 주기도 하고. (D참여 노인1) 그리고 또 저녁 때 같이 담당을 하면 제가 저녁을 잘 사줬거든요. 같이 차타고 가면서, 그랬더니 얘가 나중에는 제가 언제 일하느냐고 시간표 좀 줄 수 없냐 고 해서 아직도 기다리더라고요. 저녁에 끝나고 꼭 내가 진짜 아마, 거의 90% 를 내가 같이 지냈어요. 끝나면 꼭, 전화도 하고 그래요. 그랬는데 그런 애들도 아주 자기한테 쓸모가, 아 저 선생님이 나 밥 사주니까 그 날은 어디 약속을 했는데도 그걸 취소했다는 거예요. 그렇게 따뜻하게 해주니까 엄청 따르더라 고요. 일도 잘해요. 얘기도 잘해요. (D참여노인2) 따뜻하게 해주면 따르더라고요. 그러니까 배신을 안 하는 것 같아, 단순하기 때문에 (D참여노인3) ・ 지체 장애인에 비해 정신 장애를 가진 장애인에 대한 두려움과 편견이 있음 그런데 우울증에 대해서는 조금 문제가 있을 것 같은데, 여기는 왜냐하면 그 장애우가 나 하고 만의 사이가 아니잖아요. 손님들이 오기 때문에 그건 글쎄 요. 나는 조금 곤란할 것 같은데....... (D참여노인3) 차라리 육체적인 장애는 괜찮아요. 그런데 정신적인 장애는 좀 그렇더라고요. 그리고 잘 못 알아듣고, 그래서 여기는 조금 곤란한 것 같아요. 그런 게 있더라 고, 지체는 괜찮아요. (D참여노인2) - 노인이 인식하는 장애인과의 협업 경험 ・ 현재의 까페 일자리(바리스타)에서는 노인이 중심이 되고 장애인이 보조하여야 한다고 생각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40 <그림 Ⅲ-1> D노인복지관 조직도 □ D노인복지관 사례 분석 결과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자의 일자리 경험 - 노인에게 일의 의미 ・ 일을 통한 사회참여로 인해 얻게 되는 자신에 대한 존재감과 생산적인 활동으 로 인한 성취감 때문에 적은 보수와 과중한 노동에도 불구하고 일자리에 참여 저희는 공간이 좀 넓습니다. 공간이 넓어서 관리가 많아요. 쓸고 걸레질하고 범위가 굉장히 넓어요. 주문받아야죠, 생산해야죠, 계산해야죠, 다 합니다. 일 일이, 그렇기 때문에 상노동이에요. 상노동인데 제가 처음에는 아까 말씀드렸 지만 창업취지로 저도 배웠고, 요즘에는 어떠냐, 제가 벌써 7년 7개월 되었기 때문에 그냥 존재감, 성취감 그리고 보수도 조금이라도 저희가 받지 않습니까, 30만원 받는다고 해도 생산적인 거잖아요. 매일 내가 돌아다니면서 돈 쓰는 것 보다 내가 조금이라도 노력해서, 성취해서 받으니까 그 성취감에 행복해요. (D참여노인1) - 노인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 청소년 장애인을 처음 만나게 되면서 장애가 있어 불쌍하고 안쓰러운 마음과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장애인에게서 양가감정을 경험함.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41 처음에는 와서 쑥스럽고 이러니까 말도 잘 안 하고 있다가, 우리가 다 같이 또 그렇잖아요? 빠르면 손녀 같고 이러니까 다 잘해준 거예요. 학교 끝나면 오거 든요. 그러니까 하루 1시에서 2시 사이에 와요. 그러면 여름에는 땀 흘리고 이 러면 할머니들이니까 주스 같은 것도 얼른 먹고 하라고 주기도 하고. (D참여 노인1) 그리고 또 저녁 때 같이 담당을 하면 제가 저녁을 잘 사줬거든요. 같이 차타고 가면서, 그랬더니 얘가 나중에는 제가 언제 일하느냐고 시간표 좀 줄 수 없냐 고 해서 아직도 기다리더라고요. 저녁에 끝나고 꼭 내가 진짜 아마, 거의 90% 를 내가 같이 지냈어요. 끝나면 꼭, 전화도 하고 그래요. 그랬는데 그런 애들도 아주 자기한테 쓸모가, 아 저 선생님이 나 밥 사주니까 그 날은 어디 약속을 했는데도 그걸 취소했다는 거예요. 그렇게 따뜻하게 해주니까 엄청 따르더라 고요. 일도 잘해요. 얘기도 잘해요. (D참여노인2) 따뜻하게 해주면 따르더라고요. 그러니까 배신을 안 하는 것 같아, 단순하기 때문에 (D참여노인3) ・ 지체 장애인에 비해 정신 장애를 가진 장애인에 대한 두려움과 편견이 있음 그런데 우울증에 대해서는 조금 문제가 있을 것 같은데, 여기는 왜냐하면 그 장애우가 나 하고 만의 사이가 아니잖아요. 손님들이 오기 때문에 그건 글쎄 요. 나는 조금 곤란할 것 같은데....... (D참여노인3) 차라리 육체적인 장애는 괜찮아요. 그런데 정신적인 장애는 좀 그렇더라고요. 그리고 잘 못 알아듣고, 그래서 여기는 조금 곤란한 것 같아요. 그런 게 있더라 고, 지체는 괜찮아요. (D참여노인2) - 노인이 인식하는 장애인과의 협업 경험 ・ 현재의 까페 일자리(바리스타)에서는 노인이 중심이 되고 장애인이 보조하여야 한다고 생각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42 그런데 메인은 장애인이 될 수가 없고. 하면 옆에서 보고 안 바쁠 때는 네가 이제 내려 봐라, 그래서 내리고, 청소도 도와주고 그렇게 했어요. 그런데 이제 처음에는 많이 쑥스러워도 하고 좀 그렇다가도 나중에는 우리가 할머니이다 보니까 부딪치고 이런 건 없었어요.. (D참여노인1) ・ 장애인들은 맡겨진 업무 이외에는 스스로 찾아서 일하려는 자기 주도적이며 능 동적인 태도가 없다고 인식함 아니 닦으라고 그러면 있지, 물만 묻혀서 슬슬 닦죠. 그런데 또 안 해. (D참여 노인1) 그러니까 집에서도 장애가 있고 그러면 안쓰럽고 그러니까 이렇게 안 시키고 하는 것 같아요. 말하자면 와서 커피 내리는 건 하려고 하지, 이렇게 잡일은 안 해요. (D참여노인2) 그리고 그 사람들은 아 우리가 해야 할 일이네 하고 자진해서 하잖아요. 그런 데 걔네는 시키면 그것만 하고 가만히 있고 이런 게 있더라고 (D참여노인3) ・ 업무에 따라 장애인이 일할 수 있거나 없는 분야가 따로 있으며, 장애인도 함께 일하기 부적합한 사람이 있다고 봄 그런 게 있어요. 우리가 걔네들을 다독이고 함께 하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걔 네가 우리하고 거리감을 두는 애들이 있어요. 왜 그때 잠만 자는 애 있었잖아 요. 오면 잠만 자고, 엄마가 따라와서 말해도 안 해. 그래서 며칠 하고 안 나오 고, 그래서 그런 애들이 있어요. 그런 애들은 좀 곤란한 것 같아. 여기는 사람 상대하는 곳이잖아요.. (D참여노인1)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참여 동기 ・ 자녀 출가 후 여가시간을 보람있게 보내고 싶어 일자리에 참여함.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43 너무 무료하고 시간이 너무 많이 남더라고요. 애들이랑 같이 있으면 시간이 24 시간 부족했는데 다 결혼시키고 있으니까 시간이 많이 남아요. 그래서 뭔가 처 음에는 여기가 무료봉사라고 생각하고 왔는데 조금씩이라도 돈도 받고 그래서 좋은 것 같아요. (D참여노인2) 전 집에만 있었어요. 40년 정도 전업주부였는데요, 애들 다 출가시키고. 남편 과 둘이 이렇게 있는데 남편하고 많이 부딪히더라고요. 네, 그래서 뭔가 잠깐 이라도 내 일을 좀 가지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누가 말씀을 해주시더라고 요. 그래서 와서 신청을 했는데 두 달 있다가 연락이 왔어요. 교육이 있다고 그 래서 교육을 받고 선배님들 밑에서, 선배님들이 하시고 우리는 뒤에서 하면서 배운 거죠.. (D참여노인3) ・ 처음에는 창업을 목표로 하였으나 여러 사정으로 일자리 참여에 머물게 됨. 저도 처음에는 한 번 배워서 창업을 해보려고. 그 때만 하더라도 그리고 여기 취지가 그렇게 가르쳐서, 나가서, 창업을 하는 그런 취지였어요. 처음에는. 꼭 노인일자리라기 보다 창업을 시켜주기 위한 준비를 하려고 부장님이 구상을 해서 하신 거잖아요. 저도 처음에는 사실 창업을 하기 위해서 배웠어요. (중 략)...... 그렇다 보니까 돈도 많이 쓰고 뭐 좀 해보려고 해도 돈도 취직한다고 쓰고 그래서 점점 자신이 없어지는 거예요. 자꾸 시간이 지나니까 그래서 지금 이러고 있어요. (D참여노인1)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형태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 일자리 형태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일환인 창업형 까페에서 참여 노인들은 상시 일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장애인 학생들이 학교에서 바리스타교육을 마치고 이곳으 로 실습을 나와 카페 일을 배운 후 다른 곳으로 취업을 나가는 형태 몇 팀이 와서 했어요. 한 팀이 온 게 아니라, 이제 그 3학년 때 실습으로 왔다 가 그만두고, 이제 실습으로 왔다가 취직을 해서 그만두고 또 세 팀이 왔지? 예진이하고 남자애하고. 여기서는 실습을 하고 다른 곳에서 취업을 하고 (D참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42 그런데 메인은 장애인이 될 수가 없고. 하면 옆에서 보고 안 바쁠 때는 네가 이제 내려 봐라, 그래서 내리고, 청소도 도와주고 그렇게 했어요. 그런데 이제 처음에는 많이 쑥스러워도 하고 좀 그렇다가도 나중에는 우리가 할머니이다 보니까 부딪치고 이런 건 없었어요.. (D참여노인1) ・ 장애인들은 맡겨진 업무 이외에는 스스로 찾아서 일하려는 자기 주도적이며 능 동적인 태도가 없다고 인식함 아니 닦으라고 그러면 있지, 물만 묻혀서 슬슬 닦죠. 그런데 또 안 해. (D참여 노인1) 그러니까 집에서도 장애가 있고 그러면 안쓰럽고 그러니까 이렇게 안 시키고 하는 것 같아요. 말하자면 와서 커피 내리는 건 하려고 하지, 이렇게 잡일은 안 해요. (D참여노인2) 그리고 그 사람들은 아 우리가 해야 할 일이네 하고 자진해서 하잖아요. 그런 데 걔네는 시키면 그것만 하고 가만히 있고 이런 게 있더라고 (D참여노인3) ・ 업무에 따라 장애인이 일할 수 있거나 없는 분야가 따로 있으며, 장애인도 함께 일하기 부적합한 사람이 있다고 봄 그런 게 있어요. 우리가 걔네들을 다독이고 함께 하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걔 네가 우리하고 거리감을 두는 애들이 있어요. 왜 그때 잠만 자는 애 있었잖아 요. 오면 잠만 자고, 엄마가 따라와서 말해도 안 해. 그래서 며칠 하고 안 나오 고, 그래서 그런 애들이 있어요. 그런 애들은 좀 곤란한 것 같아. 여기는 사람 상대하는 곳이잖아요.. (D참여노인1)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참여 동기 ・ 자녀 출가 후 여가시간을 보람있게 보내고 싶어 일자리에 참여함.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43 너무 무료하고 시간이 너무 많이 남더라고요. 애들이랑 같이 있으면 시간이 24 시간 부족했는데 다 결혼시키고 있으니까 시간이 많이 남아요. 그래서 뭔가 처 음에는 여기가 무료봉사라고 생각하고 왔는데 조금씩이라도 돈도 받고 그래서 좋은 것 같아요. (D참여노인2) 전 집에만 있었어요. 40년 정도 전업주부였는데요, 애들 다 출가시키고. 남편 과 둘이 이렇게 있는데 남편하고 많이 부딪히더라고요. 네, 그래서 뭔가 잠깐 이라도 내 일을 좀 가지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누가 말씀을 해주시더라고 요. 그래서 와서 신청을 했는데 두 달 있다가 연락이 왔어요. 교육이 있다고 그 래서 교육을 받고 선배님들 밑에서, 선배님들이 하시고 우리는 뒤에서 하면서 배운 거죠.. (D참여노인3) ・ 처음에는 창업을 목표로 하였으나 여러 사정으로 일자리 참여에 머물게 됨. 저도 처음에는 한 번 배워서 창업을 해보려고. 그 때만 하더라도 그리고 여기 취지가 그렇게 가르쳐서, 나가서, 창업을 하는 그런 취지였어요. 처음에는. 꼭 노인일자리라기 보다 창업을 시켜주기 위한 준비를 하려고 부장님이 구상을 해서 하신 거잖아요. 저도 처음에는 사실 창업을 하기 위해서 배웠어요. (중 략)...... 그렇다 보니까 돈도 많이 쓰고 뭐 좀 해보려고 해도 돈도 취직한다고 쓰고 그래서 점점 자신이 없어지는 거예요. 자꾸 시간이 지나니까 그래서 지금 이러고 있어요. (D참여노인1)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형태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 일자리 형태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일환인 창업형 까페에서 참여 노인들은 상시 일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장애인 학생들이 학교에서 바리스타교육을 마치고 이곳으 로 실습을 나와 카페 일을 배운 후 다른 곳으로 취업을 나가는 형태 몇 팀이 와서 했어요. 한 팀이 온 게 아니라, 이제 그 3학년 때 실습으로 왔다 가 그만두고, 이제 실습으로 왔다가 취직을 해서 그만두고 또 세 팀이 왔지? 예진이하고 남자애하고. 여기서는 실습을 하고 다른 곳에서 취업을 하고 (D참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44 여노인2) 어떤 일이냐면 뒤에서 그릇도 닦아 주고, 청소도 도와주고 때로는 손님이 적을 때는 복지사님들이 말씀하세요. 손님이 없을 때는 해보라고 해라, 그리고 자기 네들도 엄청 하고 싶어 해요. 그렇게 지나갔죠. (참여자3) 바쁜 시간만 아니면 걔네가 주로 하죠. 왜냐하면 취업을 해야 하니까.......(D참 여노인2)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장단점 -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점 ・ 노인은 장애인에게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지원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하는 기회를 가짐. 어르신들도 노년에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고 얘가 살아갈 수도 있도록 서포트 해주는 거, 자원봉사도 하는데 지금 하는 일이 굉장히 가치 있는 일이거든요. 결국 함께 가는 게 이 사회에서 가장 아름다운 일이잖아요. 어르신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 것 중에 하나가 할 일이 없다는 거잖아요. 그런데 어르신들이 장 애인들이 정말 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얘네들이 못 하는 걸 어르신들이 그동안의 경험으로 알려주실 수 있잖아요. 우리 친구들은 경험이 없어서 못하 는 게 너무 많아요. 왜냐하면 어려서부터 아프고 장애가 있으니까 다 해주는 거예요..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노인이 육체적으로 힘든 부분은 장애인이 보완하고 장애인에게 부족한 부분은 인지적 부분은 노인이 보완하는 방식으로 함께 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사회통합 을 이룸. 그래서 함께 한다고 할 때 보면 어르신들은 육체적으로 힘드신 연령대가 되니 까 그런 건 우리 친구들이 같이 하고 어떤 일에 대해서 우리 친구들이 논리적 이고 체계적으로 하는 건 좀 부족해요. 그러니까 어떤 일에 대하 순서라든가,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45 인지적인 것을 가르쳐주는 건 어르신들이 좀 하시고, 몸으로 할 수 있는 거, 반 복적인 거, 운반한다든가 몸을 좀 많이 써서 해야 하는 건, 우리 친구들은 건강 하니까. 아직 젊은 나이고 그런 건 같이 하고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비장애인들이 지루하게 생각하는 단순·반복적인 일을 장애인들은 좋아하고 잘 수행하기 때문에 노인과의 협업이 능률적임. 그리고 우리 친구들이 훈련을 하면 정말 단순한 거지만 반복적으로 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주 장점 중에 하나가 싫증을 안 내요. 일반인들은 쉽게 싫증내서 매일 반복적이니까 지겨워, 이러는 것도 우리 친구들은 그게 없어요. 꾸준히 반복적인 것도, 반복하면서 습득되는 경우가 더 있거든요. 반복하니까 더 자신 감 있게 하는 경우도 있고요.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장애인과 노인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사회통합의 기회 우선 어르신들도 장애인과 같이 함께 했었던 일자리 사업이 없었기 때문에 새 로운 모형이라는 생각이 들고 장애인 친구들이 노인을 이해하는 측면에서 좋 았던 것 같고. 어르신들이 장애인 친구들이 못 하는 부분을 옆에서 챙겨줄 수 있다는 장점이 컸던 것 같아요.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담당자) ・ 사회적 비용의 절감 그러니까 사실은 이게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 중에 하나거 든요. 정신장애우들이나 발달장애인들이나 노인들이나 자립능력이 있으면 결 국 국가에서 보조할 수 있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거고 활동을 하게 됨으로써 의료비도 여러 가지 파급효과가 많은데.......(노인복지관 부장) - 노인·장애인 협업의 단점 ・ 장애인들이 자립성을 잃고 노인에게 일을 맡겨버리는 의존성이 생김 아이들의 성향에 따라서 틀리지만 아이들이 어르신을 너무 믿어버리는 경우가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44 여노인2) 어떤 일이냐면 뒤에서 그릇도 닦아 주고, 청소도 도와주고 때로는 손님이 적을 때는 복지사님들이 말씀하세요. 손님이 없을 때는 해보라고 해라, 그리고 자기 네들도 엄청 하고 싶어 해요. 그렇게 지나갔죠. (참여자3) 바쁜 시간만 아니면 걔네가 주로 하죠. 왜냐하면 취업을 해야 하니까.......(D참 여노인2)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장단점 -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점 ・ 노인은 장애인에게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지원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하는 기회를 가짐. 어르신들도 노년에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고 얘가 살아갈 수도 있도록 서포트 해주는 거, 자원봉사도 하는데 지금 하는 일이 굉장히 가치 있는 일이거든요. 결국 함께 가는 게 이 사회에서 가장 아름다운 일이잖아요. 어르신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 것 중에 하나가 할 일이 없다는 거잖아요. 그런데 어르신들이 장 애인들이 정말 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얘네들이 못 하는 걸 어르신들이 그동안의 경험으로 알려주실 수 있잖아요. 우리 친구들은 경험이 없어서 못하 는 게 너무 많아요. 왜냐하면 어려서부터 아프고 장애가 있으니까 다 해주는 거예요..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노인이 육체적으로 힘든 부분은 장애인이 보완하고 장애인에게 부족한 부분은 인지적 부분은 노인이 보완하는 방식으로 함께 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사회통합 을 이룸. 그래서 함께 한다고 할 때 보면 어르신들은 육체적으로 힘드신 연령대가 되니 까 그런 건 우리 친구들이 같이 하고 어떤 일에 대해서 우리 친구들이 논리적 이고 체계적으로 하는 건 좀 부족해요. 그러니까 어떤 일에 대하 순서라든가,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45 인지적인 것을 가르쳐주는 건 어르신들이 좀 하시고, 몸으로 할 수 있는 거, 반 복적인 거, 운반한다든가 몸을 좀 많이 써서 해야 하는 건, 우리 친구들은 건강 하니까. 아직 젊은 나이고 그런 건 같이 하고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비장애인들이 지루하게 생각하는 단순·반복적인 일을 장애인들은 좋아하고 잘 수행하기 때문에 노인과의 협업이 능률적임. 그리고 우리 친구들이 훈련을 하면 정말 단순한 거지만 반복적으로 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주 장점 중에 하나가 싫증을 안 내요. 일반인들은 쉽게 싫증내서 매일 반복적이니까 지겨워, 이러는 것도 우리 친구들은 그게 없어요. 꾸준히 반복적인 것도, 반복하면서 습득되는 경우가 더 있거든요. 반복하니까 더 자신 감 있게 하는 경우도 있고요.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장애인과 노인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사회통합의 기회 우선 어르신들도 장애인과 같이 함께 했었던 일자리 사업이 없었기 때문에 새 로운 모형이라는 생각이 들고 장애인 친구들이 노인을 이해하는 측면에서 좋 았던 것 같고. 어르신들이 장애인 친구들이 못 하는 부분을 옆에서 챙겨줄 수 있다는 장점이 컸던 것 같아요.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담당자) ・ 사회적 비용의 절감 그러니까 사실은 이게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 중에 하나거 든요. 정신장애우들이나 발달장애인들이나 노인들이나 자립능력이 있으면 결 국 국가에서 보조할 수 있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거고 활동을 하게 됨으로써 의료비도 여러 가지 파급효과가 많은데.......(노인복지관 부장) - 노인·장애인 협업의 단점 ・ 장애인들이 자립성을 잃고 노인에게 일을 맡겨버리는 의존성이 생김 아이들의 성향에 따라서 틀리지만 아이들이 어르신을 너무 믿어버리는 경우가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46 있어요. 그 친구들 같은 경우는 일자리를 계속 하려면 반복학습을 통해서 일자 리를 하게 되는데 어르신들을 믿어버리고, 처음에는 자기들이 하려고 하다가 편한 걸 알게 되면서 어르신들한테 조금 맡긴다고 해야 하나요? 그래서 레시 피라던지 그런 것들을 잃어버린 경우가 발생을 하더라고요. (노인 사회활동 지 원 사업 담당자) ・ 장애인들의 규칙성과 반복성에 준한 업무 습득을 노인이 방해 시스템에 대해서 편리한 걸 어르신들이 너무 가르치려고 하지 마라, 왜냐하면 갑자기 본인들의 스타일대로 배웠던 게 있는데 흐트러져 버리면, 깨져버리면 퇴행될 수 있다는 걸 얘기하거든요. 그런데 어르신들이 가끔 그걸 지적하죠. 왜 이렇게 해? 이렇게 하는 게 더 편해. 아니에요,라고 애들은 얘기하다가. 그 런 부분도 발생하는 것 같아요.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담당자) ・ 능률과 효율을 우선하는 노인의 성향과 장애인의 업무 처리 특성의 조화가 어려움. 어르신들이 장애인이 주로 되는 일자리에서 일을 같이 했을 때는 어르신들이 내가 이걸 해도 되나? 아이들 성향이 달라서 무조건 자기가 알아서 한다고 그 러고 할머니는 저기 나와 있어. 하는 애들도 있거든요. 내가 이걸 나서야 하 나? 어르신들도 빨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옆에서 지켜보는 게 잘 안 되는 거죠. 그러니까 마음이 그렇다라는 말씀을 하세요. 답답하고 속병이 날 것 같 다.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담당자) ・ 장애인들이 업무를 제대로 하지 못할 것이라는 노인들의 편견이 장애인의 직무 적응을 방해 맨 처음에 근무를 할 때 어르신들이 장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건 사실이거든 요. 그런 부분에서 편견인거죠.. 이 친구들도 학교에서 바리스타 교육을 다 마 치고 온 친구들인데 어르신들도 마찬가지로 다른 데 가면 기계도 틀리고 하는 방식도, 레시피도 틀리기 때문에 서툰 건 맞는데, 어르신들이 얘네를 무시해 요. 처음에.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담당자)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47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요인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선행 요건들 ・ 비장애인들의 장애에 대한 인식 변화 장애에 대한 이해가 너무 안 되어 있기 때문에 장애인하면 벌써 공격성 있다 문제 있다, 이런 거부감만 갖고 있는 거예요. 그래서 장애에 대한 교육도 정말 필요하더라고요.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장애인 부모들의 자녀 교육과 인식 개선 필요 교육이 정말 필요하다는 걸 절실히 느끼고 부모님 인식개선을 많이 해요. 어머 님들이 느껴야 해요. 학교에서 가르치는 건 부분적이고 방법을 가르쳐주는 거 지 습관화가 되려면 가정에서 해야 해요. 그래서 부모교육을 시켜요.. (장애인 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장애인들에 대한 직업훈련 교육 필요 지금은 학교에서 직업교육을, 센터에서도 가르치고 면접 보는 거, 서비스교육 다 시켜요. 그래서 직장 나가기 전에 기본적인 자세를 많이 배우고 나가요. 그 래서 훈련도 하고, 실습도 하고 직무지도도 나가고 이렇게 해서 하니까 자립하 는데 훨씬, 처음부터 그렇게 훈련을 시켜서 하기 때문에 가르쳐 나가면 훨씬 자립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죠..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양 당사자에 대한 성추행·성희롱 예방 교육 여학생들 같은 경우는 할아버지들은 조심스럽게, 그래서 우리 아이들한테 자 기 표현하는 걸 굉장히 강조를 해요. 자기 의사표현 표현을 분명히 하고 항상, 요새는 휴대폰 잘 해요. 그래서 그런 것들 다 남겨놓게 하고, 그런 교육도 필요 하죠. 그런 서로에게 다 필요한 것 같아요. 그런데 어르신들도 요새 세상이 무 서워서 조심스러운 부분도 없지 않아 있죠.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46 있어요. 그 친구들 같은 경우는 일자리를 계속 하려면 반복학습을 통해서 일자 리를 하게 되는데 어르신들을 믿어버리고, 처음에는 자기들이 하려고 하다가 편한 걸 알게 되면서 어르신들한테 조금 맡긴다고 해야 하나요? 그래서 레시 피라던지 그런 것들을 잃어버린 경우가 발생을 하더라고요. (노인 사회활동 지 원 사업 담당자) ・ 장애인들의 규칙성과 반복성에 준한 업무 습득을 노인이 방해 시스템에 대해서 편리한 걸 어르신들이 너무 가르치려고 하지 마라, 왜냐하면 갑자기 본인들의 스타일대로 배웠던 게 있는데 흐트러져 버리면, 깨져버리면 퇴행될 수 있다는 걸 얘기하거든요. 그런데 어르신들이 가끔 그걸 지적하죠. 왜 이렇게 해? 이렇게 하는 게 더 편해. 아니에요,라고 애들은 얘기하다가. 그 런 부분도 발생하는 것 같아요.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담당자) ・ 능률과 효율을 우선하는 노인의 성향과 장애인의 업무 처리 특성의 조화가 어려움. 어르신들이 장애인이 주로 되는 일자리에서 일을 같이 했을 때는 어르신들이 내가 이걸 해도 되나? 아이들 성향이 달라서 무조건 자기가 알아서 한다고 그 러고 할머니는 저기 나와 있어. 하는 애들도 있거든요. 내가 이걸 나서야 하 나? 어르신들도 빨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옆에서 지켜보는 게 잘 안 되는 거죠. 그러니까 마음이 그렇다라는 말씀을 하세요. 답답하고 속병이 날 것 같 다.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담당자) ・ 장애인들이 업무를 제대로 하지 못할 것이라는 노인들의 편견이 장애인의 직무 적응을 방해 맨 처음에 근무를 할 때 어르신들이 장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건 사실이거든 요. 그런 부분에서 편견인거죠.. 이 친구들도 학교에서 바리스타 교육을 다 마 치고 온 친구들인데 어르신들도 마찬가지로 다른 데 가면 기계도 틀리고 하는 방식도, 레시피도 틀리기 때문에 서툰 건 맞는데, 어르신들이 얘네를 무시해 요. 처음에.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담당자)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47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요인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선행 요건들 ・ 비장애인들의 장애에 대한 인식 변화 장애에 대한 이해가 너무 안 되어 있기 때문에 장애인하면 벌써 공격성 있다 문제 있다, 이런 거부감만 갖고 있는 거예요. 그래서 장애에 대한 교육도 정말 필요하더라고요.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장애인 부모들의 자녀 교육과 인식 개선 필요 교육이 정말 필요하다는 걸 절실히 느끼고 부모님 인식개선을 많이 해요. 어머 님들이 느껴야 해요. 학교에서 가르치는 건 부분적이고 방법을 가르쳐주는 거 지 습관화가 되려면 가정에서 해야 해요. 그래서 부모교육을 시켜요.. (장애인 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장애인들에 대한 직업훈련 교육 필요 지금은 학교에서 직업교육을, 센터에서도 가르치고 면접 보는 거, 서비스교육 다 시켜요. 그래서 직장 나가기 전에 기본적인 자세를 많이 배우고 나가요. 그 래서 훈련도 하고, 실습도 하고 직무지도도 나가고 이렇게 해서 하니까 자립하 는데 훨씬, 처음부터 그렇게 훈련을 시켜서 하기 때문에 가르쳐 나가면 훨씬 자립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죠..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양 당사자에 대한 성추행·성희롱 예방 교육 여학생들 같은 경우는 할아버지들은 조심스럽게, 그래서 우리 아이들한테 자 기 표현하는 걸 굉장히 강조를 해요. 자기 의사표현 표현을 분명히 하고 항상, 요새는 휴대폰 잘 해요. 그래서 그런 것들 다 남겨놓게 하고, 그런 교육도 필요 하죠. 그런 서로에게 다 필요한 것 같아요. 그런데 어르신들도 요새 세상이 무 서워서 조심스러운 부분도 없지 않아 있죠.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48 양쪽 다 필요하고 어르신들한테도 어르신들은 사실 예뻐서 하실 수도 있어요. 애들이라고 생각하고. 그런데 이쪽에서 성희롱으로 느꼈으면 이건 안 되는 거 니까 그거에 대한 교육을 시키셔야 해요. 옛날 어르신들은 그냥 예쁘면 엉덩이 툭툭 그냥 할 수 있는 거지만 이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걸 어르신들도 아셔 야 해요. 세월이 바뀌었으니까 그것에 맞춰서 교육이 정말 필요해요.. (장애인 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노인복지관 담당자들도 장애에 대한 교육이 필요 사실 담당자들도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다시 또 교육이 들어가야 하는 것 같아 요. 어디 사업에 파견하더라도 어르신들 교육뿐만 아니라 담당자, 관리자 교육 이런 것도 필요할 것 같아요..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담당자)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필요 요건(성공 요인) ・ 노인에게 장애에 대한 이해, 장애인에 대한 이해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필 요가 있음. 장애인들을 위해서 그리고 또 어르신들이 장애에 대한 이해 부분이 한번으로 는 부족한 것 같아요. 그 때 저희가 활기찬 동행했을 때, 한 2회기였나, 3회기 였나, 장애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교육을 했었거든요. 그래도 마음속으로 이해 는 하되 실질적으로 그게 잘 안 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교육받을 때는 아, 나도 그 정도는 알지라고 생각하지만 이게 와 닿지가 않는 거죠.. (노인 사 회활동 지원사업 담당자) ・ 구체적인 작업 매뉴얼이 필요 어느 정도 매뉴얼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성격 같아서는, 그런 걸 느낀. 어르신들 사이에서 내가 위인가? 매니저인가? 같은 직원인가? 그런 갭의 차이. 같은 동등한 직원으로 보는 게 아니라, 어르신들 사이에서는 사실 서열이 있거 든요. 같이 일하시는 어르신들 중에서도 내가 리더 역할을 해서 어르신들한테 가르쳐주고 전파해주는 걸 좋아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항상 서열 정리가 되는 데 그 친구들과는 서열정리가 어떻게 될 것인가, 제 생각은 (노인 사회활동 지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49 원사업 담당자) ・ 장애인과 노인 참여자간의 확실한 업무 분장이 필요 보조의 역할이 어디까지인가 정확히 어르신들한테 전달을 해서 그 역할을 나 눠야 해요. 완전히 확실하게. 비슷한 업무를 드리게 되면 그 장애인 친구가 할 것인가, 내가 할 것인가 서로 신경전이 있는 것 같아요. 장애인 친구들도 나도 할 수 있어, 내가 할 거야, 긍정적인 친구들은 하거든요. 그런 친구들한테는 많 이 일할 수 있고 내가 혼자서 할 수 있는 거리를 줘야 하는데, 좀 그게 안 될 수도 있다는 점. 빨리 하기 위해서 어르신들이 먼저 한다던가.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담당자)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를 위해 필요한 지원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부문별 참여자 제한 요건 완화 필요 기초연금도, 뭐 장애인분들 같은 경우는 저희가 항상 보면 의사, 이런 분들이 노후 은퇴하시고 나면 봉사활동이나 이런, 자원봉사를 고민 했거든요. 그런 전 문 직종에 잇는 분들이 은퇴하면 우리 쪽 전문봉사단을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 하는데 그런 분들은 은퇴를 하셔도 할 일이 되게 많다는 거예요. 그런데 지금 그런 분들이 들어올 수 있는 재산이 있기 때문에 자원봉사로 끌어들일 수는 있 겠지만 일자리 쪽에서는 흡수할 수 없다는 거죠. 아무리 좋은 취지를 설명해서 한다고 해도 들어올 수 있는 영역이 없는 거예요.. (노인복지관 부장) 그러다보니 결국은 수급자하고 차상위도 안 들어가는 정말 틈새계층에 있으신 분들이 죄다 일자리로 흡수가 되는데 그 중에서도 고령이시고 교육수준 낮은 분들이 선발될 가능성이 거의100%죠. (노인복지관 부장)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별 참여자 선발 기준의 차별화 필요 그거의 변별력 없이 다 되시는 거예요. 점점 아까 말했던 지역형, 제가 아까도 얘기 할까, 말까 했지만 만약 강사파견형식으로 했을 때, 양질의 일자리, 그분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48 양쪽 다 필요하고 어르신들한테도 어르신들은 사실 예뻐서 하실 수도 있어요. 애들이라고 생각하고. 그런데 이쪽에서 성희롱으로 느꼈으면 이건 안 되는 거 니까 그거에 대한 교육을 시키셔야 해요. 옛날 어르신들은 그냥 예쁘면 엉덩이 툭툭 그냥 할 수 있는 거지만 이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걸 어르신들도 아셔 야 해요. 세월이 바뀌었으니까 그것에 맞춰서 교육이 정말 필요해요.. (장애인 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노인복지관 담당자들도 장애에 대한 교육이 필요 사실 담당자들도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다시 또 교육이 들어가야 하는 것 같아 요. 어디 사업에 파견하더라도 어르신들 교육뿐만 아니라 담당자, 관리자 교육 이런 것도 필요할 것 같아요..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담당자)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필요 요건(성공 요인) ・ 노인에게 장애에 대한 이해, 장애인에 대한 이해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필 요가 있음. 장애인들을 위해서 그리고 또 어르신들이 장애에 대한 이해 부분이 한번으로 는 부족한 것 같아요. 그 때 저희가 활기찬 동행했을 때, 한 2회기였나, 3회기 였나, 장애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교육을 했었거든요. 그래도 마음속으로 이해 는 하되 실질적으로 그게 잘 안 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교육받을 때는 아, 나도 그 정도는 알지라고 생각하지만 이게 와 닿지가 않는 거죠.. (노인 사 회활동 지원사업 담당자) ・ 구체적인 작업 매뉴얼이 필요 어느 정도 매뉴얼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성격 같아서는, 그런 걸 느낀. 어르신들 사이에서 내가 위인가? 매니저인가? 같은 직원인가? 그런 갭의 차이. 같은 동등한 직원으로 보는 게 아니라, 어르신들 사이에서는 사실 서열이 있거 든요. 같이 일하시는 어르신들 중에서도 내가 리더 역할을 해서 어르신들한테 가르쳐주고 전파해주는 걸 좋아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항상 서열 정리가 되는 데 그 친구들과는 서열정리가 어떻게 될 것인가, 제 생각은 (노인 사회활동 지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49 원사업 담당자) ・ 장애인과 노인 참여자간의 확실한 업무 분장이 필요 보조의 역할이 어디까지인가 정확히 어르신들한테 전달을 해서 그 역할을 나 눠야 해요. 완전히 확실하게. 비슷한 업무를 드리게 되면 그 장애인 친구가 할 것인가, 내가 할 것인가 서로 신경전이 있는 것 같아요. 장애인 친구들도 나도 할 수 있어, 내가 할 거야, 긍정적인 친구들은 하거든요. 그런 친구들한테는 많 이 일할 수 있고 내가 혼자서 할 수 있는 거리를 줘야 하는데, 좀 그게 안 될 수도 있다는 점. 빨리 하기 위해서 어르신들이 먼저 한다던가.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담당자)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를 위해 필요한 지원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부문별 참여자 제한 요건 완화 필요 기초연금도, 뭐 장애인분들 같은 경우는 저희가 항상 보면 의사, 이런 분들이 노후 은퇴하시고 나면 봉사활동이나 이런, 자원봉사를 고민 했거든요. 그런 전 문 직종에 잇는 분들이 은퇴하면 우리 쪽 전문봉사단을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 하는데 그런 분들은 은퇴를 하셔도 할 일이 되게 많다는 거예요. 그런데 지금 그런 분들이 들어올 수 있는 재산이 있기 때문에 자원봉사로 끌어들일 수는 있 겠지만 일자리 쪽에서는 흡수할 수 없다는 거죠. 아무리 좋은 취지를 설명해서 한다고 해도 들어올 수 있는 영역이 없는 거예요.. (노인복지관 부장) 그러다보니 결국은 수급자하고 차상위도 안 들어가는 정말 틈새계층에 있으신 분들이 죄다 일자리로 흡수가 되는데 그 중에서도 고령이시고 교육수준 낮은 분들이 선발될 가능성이 거의100%죠. (노인복지관 부장)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별 참여자 선발 기준의 차별화 필요 그거의 변별력 없이 다 되시는 거예요. 점점 아까 말했던 지역형, 제가 아까도 얘기 할까, 말까 했지만 만약 강사파견형식으로 했을 때, 양질의 일자리, 그분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50 들을 교육하고 훈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씀드렸던 부분이 아예 처음부터 선발을 양질의 어르신을 선발할 수 없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는 거죠. (노인복 지관 부장)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내용의 지나친 경직성 재능형 일자리는 기초연금을 안 받으시는 분들 그런 분들은 갈 수 있죠. 그런 데 재능기부형 일자리는 문제점이요 컨텐츠가 정해져 있어요. 캠페인, 노인을 위한 권익증진. (노인복지관 부장) ・ 장애인 작업시설 확충 저는 보호 작업장 같은 데를, 정책 고민하시는 분들이 시설도 조금 확충을 해 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제가 부모라도 저도 개발을 하려고 가보면 내가 보 내라고 해도 안 보내고 싶다. 내가 참 추천하기 뭐한 데가 많아요. 그래도 집에 있는 것보다는 나으니까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장애인이 취업 후 장애인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중간관리기구가 필요 제가 생각했던 것은 어찌됐건 장애인 친구들이 저희 기관으로 오게 된다면 소 속장애복지관이 되었건 홀트가 되었건 거기 기관에 책임이 어느 정도 정확하 게 담당을 맡아야 하지 않을까, 그러니까 교육훈련이라든지 여러 가지 훈련을 하지만 이 친구에 대한 상담, 잘못된 점, 고치는 점, 계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는 거죠. 그런 역할까지 어르신들이 할 수 있는 건 아니니까. 저희 쪽에서 그 런 걸 정확히 연결해주는 기관이, 담당해줘야 가능하지 않을까, 저희 쪽에서도 직접 오는 경우는 많지 않잖아요. 장애인 친구를 직접 모집하는 것도 쉽지 않 고 (노인복지관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담당자) 사실은 저희 일자리사업 팀에서는 카페라든지 시장형만 담당하는 게 아니라 공익형 사업도 있고 총 400명의 어르신을 관리를 하고 교육, 훈련을 다 담당하 다 보니까 사실상 어르신 외에 다른 친구들을 돌볼 수 있는 상담이라든지, 관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51 리할 여력이 저희 쪽은 어르신에 맞춰있으니까 어려움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 이 들고요. (노인복지관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담당자)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가 가능한 분야 ・ K시의 지역특성을 활용한 공원관리 우리 친구들은 시킨 건 열심히 하는데 관리는 필요한 경우죠. 얘네들에게만 맡 길 수가 없는 상황이니까 그럴 때 그런 걸 같이. 어르신도 운동 삼아 슬슬 다 니시면서 그 구역을 담당할 수 있게끔.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K시의 지역특성을 활용한 화훼농가 취업 비닐하우스가 많아서 취업을 시키고 싶어요. 보조하고 운반하고 도와드릴 일 이 많거든요. 그런데 굉장히 고기능이에요. 그 직무가. 생각보다. 그런데 그런 거는 우리 친구들이 잘못하면 상품을 망칠 수가 있으니까 누군가가 케어하면 서 같이 하면 그런 일도 굉장히 좋다는 거죠. 어르신들과 같이 하면. 우리 친구 들이 부족한 걸 어르신들이 도와서. 어르신들은 경험이 많잖아요. 일에 대한 순서를 아실 수도 있고. 그러면 그 지시에 따라서 같이. 사업주가 일일이 얘네 들을 가르칠 수 없어서 싫어하시거든요. 인력은 필요해도, 그 인력을 같이 접 목하면 도움이 되죠.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노인요양병원 또는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돌봄(요양보호사) 보조 사실 저는 요양보호도 참 좋다고, 그 자리를 마련해 주시면 아까 말씀해주셨듯 이 요새 요양병원이 엄청 많아져요. 그런데 인력이 부족하거든요. 그런데 우리 친구들이 어느 부분에서는 프로그램지원도 되고 치료실 운반도 되고 해줄 수 있거든요.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우리 친구들이 요새 많아지는 노인요양원이라든가 병원도 많은데 우리 친구들 이 거기로 취업할 수 있도록 길이 열렸으면 좋겠어요. 제가 또 실습 연계를 하 려고 노인 병원 같은 곳인데 거기는 안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해요. 치료프로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50 들을 교육하고 훈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씀드렸던 부분이 아예 처음부터 선발을 양질의 어르신을 선발할 수 없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는 거죠. (노인복 지관 부장)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내용의 지나친 경직성 재능형 일자리는 기초연금을 안 받으시는 분들 그런 분들은 갈 수 있죠. 그런 데 재능기부형 일자리는 문제점이요 컨텐츠가 정해져 있어요. 캠페인, 노인을 위한 권익증진. (노인복지관 부장) ・ 장애인 작업시설 확충 저는 보호 작업장 같은 데를, 정책 고민하시는 분들이 시설도 조금 확충을 해 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제가 부모라도 저도 개발을 하려고 가보면 내가 보 내라고 해도 안 보내고 싶다. 내가 참 추천하기 뭐한 데가 많아요. 그래도 집에 있는 것보다는 나으니까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장애인이 취업 후 장애인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중간관리기구가 필요 제가 생각했던 것은 어찌됐건 장애인 친구들이 저희 기관으로 오게 된다면 소 속장애복지관이 되었건 홀트가 되었건 거기 기관에 책임이 어느 정도 정확하 게 담당을 맡아야 하지 않을까, 그러니까 교육훈련이라든지 여러 가지 훈련을 하지만 이 친구에 대한 상담, 잘못된 점, 고치는 점, 계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는 거죠. 그런 역할까지 어르신들이 할 수 있는 건 아니니까. 저희 쪽에서 그 런 걸 정확히 연결해주는 기관이, 담당해줘야 가능하지 않을까, 저희 쪽에서도 직접 오는 경우는 많지 않잖아요. 장애인 친구를 직접 모집하는 것도 쉽지 않 고 (노인복지관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담당자) 사실은 저희 일자리사업 팀에서는 카페라든지 시장형만 담당하는 게 아니라 공익형 사업도 있고 총 400명의 어르신을 관리를 하고 교육, 훈련을 다 담당하 다 보니까 사실상 어르신 외에 다른 친구들을 돌볼 수 있는 상담이라든지, 관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51 리할 여력이 저희 쪽은 어르신에 맞춰있으니까 어려움이 있지 않나 하는 생각 이 들고요. (노인복지관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담당자)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가 가능한 분야 ・ K시의 지역특성을 활용한 공원관리 우리 친구들은 시킨 건 열심히 하는데 관리는 필요한 경우죠. 얘네들에게만 맡 길 수가 없는 상황이니까 그럴 때 그런 걸 같이. 어르신도 운동 삼아 슬슬 다 니시면서 그 구역을 담당할 수 있게끔.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K시의 지역특성을 활용한 화훼농가 취업 비닐하우스가 많아서 취업을 시키고 싶어요. 보조하고 운반하고 도와드릴 일 이 많거든요. 그런데 굉장히 고기능이에요. 그 직무가. 생각보다. 그런데 그런 거는 우리 친구들이 잘못하면 상품을 망칠 수가 있으니까 누군가가 케어하면 서 같이 하면 그런 일도 굉장히 좋다는 거죠. 어르신들과 같이 하면. 우리 친구 들이 부족한 걸 어르신들이 도와서. 어르신들은 경험이 많잖아요. 일에 대한 순서를 아실 수도 있고. 그러면 그 지시에 따라서 같이. 사업주가 일일이 얘네 들을 가르칠 수 없어서 싫어하시거든요. 인력은 필요해도, 그 인력을 같이 접 목하면 도움이 되죠.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노인요양병원 또는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돌봄(요양보호사) 보조 사실 저는 요양보호도 참 좋다고, 그 자리를 마련해 주시면 아까 말씀해주셨듯 이 요새 요양병원이 엄청 많아져요. 그런데 인력이 부족하거든요. 그런데 우리 친구들이 어느 부분에서는 프로그램지원도 되고 치료실 운반도 되고 해줄 수 있거든요.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우리 친구들이 요새 많아지는 노인요양원이라든가 병원도 많은데 우리 친구들 이 거기로 취업할 수 있도록 길이 열렸으면 좋겠어요. 제가 또 실습 연계를 하 려고 노인 병원 같은 곳인데 거기는 안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해요. 치료프로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52 그램을 많이 하는데 거기에서도 보조가 많이 필요해요. 그런데 병원 측에서 좀 꺼려하죠. 혹시 노인들이 다치거나 이럴 때 법적으로 해줄 수 있는 게 없는 거 예요.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노인요양시설의 식당, 세탁실 등의 업무 보조 제가 가서 직무분석을 해보니까 식당도 많고요. 급식실에 식판 껴서 옮겨주는 거, 휠체어 옮겨주는 거, 거기도 인력을 필요로 하는 게 많거든요. 세탁실이 있 으면 빨래 다 개어서 옮겨주는 거, 찾아보면 일이 굉장히 많아요. 그런데 그걸 우리 친구들이 갈 수 없다는 게, 그래서 그렇게 장애인이라든가 노인, 같이. 만 약에 그것도 짝을 지어서 같이 할 수 있으면 세탁방도 다 있어요. 어르신들 게 고 하는 거 얼마든지 하실 수 있잖아요. 우리 친구들 배워서 같이 하고 운반도 하고. 찾아보면 좀 많아요.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에 노인들이 보조 인력(직무지도원)으로 투입 아까 말씀 드렸던 것처럼 직업재활시설에 어르신들이 보조 인력으로 들어가는 게 긍정적인 것 같아요. 현장에서는.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담당자) ・ 장애인 학교 직업훈련에 노인 강사 파견사업 강사파견이라든지, 사실상 아까 말씀했던 학생들 직업훈련에 대한 강사로 파 견하는 건 강사파견이 사실은 맞거든요..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담당자) 그래서 그런지, 장애우들도 원하는 일자리가 한정적이에요. 최근에 지금 고등 학생에 해당하는 아이들이 가장 원하는 일자리가 바리스타인 거 같고요. 그 다 음에 이제 산업단지 쪽에 가면 단순직들이 굉장히 많이 있거든요. 출판단지나 가구단지나 단순직들이 많은데 그런 걸 굉장히 하고 싶어 해요. 그래서 저는 이것도 그 중에 하나인데........그것에 대한 훈련을, 그런 쪽에 연륜 있고 경험 많았던 노인들이 직업훈련 시켜주는 게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가구장인, 출판 이런 쪽 장인, 그리고 바리스타 장인들 중에 시니어들이 그런 걸 저희 같은 시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53 니어 카페나 혹은 직업능력개발원이나 장애인복지관에 들어가셔서 교육해주시 는 게 좋지 않나, 그런데 보통은 그런 것들이 다 강사비를 주고 채용을 해서 교육을 제공을 하는데 그런 곳 입장에서는 정말 장인으로 인정받은 분이라면 급여는 어차피 인력개발원에서 나올 거고, 채용을 마다할 이유가 없는 거죠. (노인복지관 부장)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52 그램을 많이 하는데 거기에서도 보조가 많이 필요해요. 그런데 병원 측에서 좀 꺼려하죠. 혹시 노인들이 다치거나 이럴 때 법적으로 해줄 수 있는 게 없는 거 예요.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노인요양시설의 식당, 세탁실 등의 업무 보조 제가 가서 직무분석을 해보니까 식당도 많고요. 급식실에 식판 껴서 옮겨주는 거, 휠체어 옮겨주는 거, 거기도 인력을 필요로 하는 게 많거든요. 세탁실이 있 으면 빨래 다 개어서 옮겨주는 거, 찾아보면 일이 굉장히 많아요. 그런데 그걸 우리 친구들이 갈 수 없다는 게, 그래서 그렇게 장애인이라든가 노인, 같이. 만 약에 그것도 짝을 지어서 같이 할 수 있으면 세탁방도 다 있어요. 어르신들 게 고 하는 거 얼마든지 하실 수 있잖아요. 우리 친구들 배워서 같이 하고 운반도 하고. 찾아보면 좀 많아요. (장애인학교 취업지원센터부장)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에 노인들이 보조 인력(직무지도원)으로 투입 아까 말씀 드렸던 것처럼 직업재활시설에 어르신들이 보조 인력으로 들어가는 게 긍정적인 것 같아요. 현장에서는.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담당자) ・ 장애인 학교 직업훈련에 노인 강사 파견사업 강사파견이라든지, 사실상 아까 말씀했던 학생들 직업훈련에 대한 강사로 파 견하는 건 강사파견이 사실은 맞거든요..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담당자) 그래서 그런지, 장애우들도 원하는 일자리가 한정적이에요. 최근에 지금 고등 학생에 해당하는 아이들이 가장 원하는 일자리가 바리스타인 거 같고요. 그 다 음에 이제 산업단지 쪽에 가면 단순직들이 굉장히 많이 있거든요. 출판단지나 가구단지나 단순직들이 많은데 그런 걸 굉장히 하고 싶어 해요. 그래서 저는 이것도 그 중에 하나인데........그것에 대한 훈련을, 그런 쪽에 연륜 있고 경험 많았던 노인들이 직업훈련 시켜주는 게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가구장인, 출판 이런 쪽 장인, 그리고 바리스타 장인들 중에 시니어들이 그런 걸 저희 같은 시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53 니어 카페나 혹은 직업능력개발원이나 장애인복지관에 들어가셔서 교육해주시 는 게 좋지 않나, 그런데 보통은 그런 것들이 다 강사비를 주고 채용을 해서 교육을 제공을 하는데 그런 곳 입장에서는 정말 장인으로 인정받은 분이라면 급여는 어차피 인력개발원에서 나올 거고, 채용을 마다할 이유가 없는 거죠. (노인복지관 부장)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54 2. 서울시 G기업 사례 □ 서울시 G기업 개요 ○ 설립연도 - 2012년 보건복지부의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3)으로 선정, 2013년 2월 28일 D구청으로부터 건물을 임대하여 개소 ○ 사업내용 - 소매유통업 ・ 기증된 중고물품, 기업 후원품, 의류, 생활용품, 주방용품, 문화용품 등을 장애 인근로자들이 손질하고 정리하여 매장에 진열하여 판매함 - 식음료사업 ・ 매장에서 장애인과 노인, 비장애인 바리스타가 함께 일하는 까페 “파구스”운영 - 용역서비스 사업 ・ 조립, 분류, 포장, 수선, 점검, 팩킹, 품질, 레이블, 바인등, 폴딩 등의 사업을 실 시하며, 현재에는 오뚜기식품과 선물상품 포장 임가공 연계사업 중 - 장애인 및 소외계층 직원 제공 서비스 ・ 고용된 장애인과 소외계층의 직원들이 자신의 가능성을 최대한 발휘하여 자립 을 이루어내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훈련프로그램과 여가활동 서비 스 제공 - 개인 및 일상생활 적응훈련, 직업준비 및 작업수행 ・ 적용능력 훈련, 작업능력향상 및 작업유지 적용능력 훈련, 직업 상담 및 업무능 력 평가, 댄스파티, 동아리활동, 현장견학, 캠프 등의 여가활동 3)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이란: 2008년 3월부터 보건복지부에 의해 시범사업으로 시작된 중증장애 다 수고용사업장은 중증장애인 보호고용의 확대를 위해 소규모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운영형태를 탈피한 새로운 직업재활시설 모델의 필요성에 의해 시작되었다.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에는 30억원을 지원 하되 보건복지부 50%, 지자체 50%로 조성된 예산을 통해 지원한다. G기관은 2012년 운영법인인 OO복 지재단에서 신청하여 24억의 지원금으로 조성된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 모델이다.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55 ○ 시설현황 - 1층(150여평): 장애인생산품, 기업 기증물품등 전시판매장, 노인과 장애인바 리스타들이 운영하는 공익카페 파구스, 상품포장 용역사업장 - 2층: 작업장, 봉사자실, 프로그램실 <그림 Ⅲ-2> G기관 1층 매장 안내도 ○ 인력현황 - 총 46명(장애인 31명), 비장애인 7명, 종사자 8명, 자원봉사자 10명 <그림 Ⅲ-3> G기관 조직도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54 2. 서울시 G기업 사례 □ 서울시 G기업 개요 ○ 설립연도 - 2012년 보건복지부의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3)으로 선정, 2013년 2월 28일 D구청으로부터 건물을 임대하여 개소 ○ 사업내용 - 소매유통업 ・ 기증된 중고물품, 기업 후원품, 의류, 생활용품, 주방용품, 문화용품 등을 장애 인근로자들이 손질하고 정리하여 매장에 진열하여 판매함 - 식음료사업 ・ 매장에서 장애인과 노인, 비장애인 바리스타가 함께 일하는 까페 “파구스”운영 - 용역서비스 사업 ・ 조립, 분류, 포장, 수선, 점검, 팩킹, 품질, 레이블, 바인등, 폴딩 등의 사업을 실 시하며, 현재에는 오뚜기식품과 선물상품 포장 임가공 연계사업 중 - 장애인 및 소외계층 직원 제공 서비스 ・ 고용된 장애인과 소외계층의 직원들이 자신의 가능성을 최대한 발휘하여 자립 을 이루어내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훈련프로그램과 여가활동 서비 스 제공 - 개인 및 일상생활 적응훈련, 직업준비 및 작업수행 ・ 적용능력 훈련, 작업능력향상 및 작업유지 적용능력 훈련, 직업 상담 및 업무능 력 평가, 댄스파티, 동아리활동, 현장견학, 캠프 등의 여가활동 3)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이란: 2008년 3월부터 보건복지부에 의해 시범사업으로 시작된 중증장애 다 수고용사업장은 중증장애인 보호고용의 확대를 위해 소규모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운영형태를 탈피한 새로운 직업재활시설 모델의 필요성에 의해 시작되었다.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에는 30억원을 지원 하되 보건복지부 50%, 지자체 50%로 조성된 예산을 통해 지원한다. G기관은 2012년 운영법인인 OO복 지재단에서 신청하여 24억의 지원금으로 조성된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장 모델이다.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55 ○ 시설현황 - 1층(150여평): 장애인생산품, 기업 기증물품등 전시판매장, 노인과 장애인바 리스타들이 운영하는 공익카페 파구스, 상품포장 용역사업장 - 2층: 작업장, 봉사자실, 프로그램실 <그림 Ⅲ-2> G기관 1층 매장 안내도 ○ 인력현황 - 총 46명(장애인 31명), 비장애인 7명, 종사자 8명, 자원봉사자 10명 <그림 Ⅲ-3> G기관 조직도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56 ○ 직무현황 - 노인의 직무 : 기증품을 1차적으로 분류하는 작업, 카페 바리스타 - 장애인의 직무 : 1차 분류된 기증품을 2차 분류, 상품화 작업 □ 서울시 G기관 사례 분석 결과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 경험 - 장애인에게 일의 의미 ・ 출근 자체에서가 생활의 활력소가 되고, 동료나 상사, 고객과의 관계에서 비장 애인과 소통하는 통로가 생기며, 소득을 통해 경제적 자립의 기회가 제공되어 궁극적으로 삶의 질이 개선됨. 저희 어떤 미션은 일의 힘을 통해서 장애인들한테 자립을 할 수 있도록 그런 기회를 주고 삶의 질을 개선하고 그런 어떤 미션이 있습니다. (G원장) 일을 하면서 두 가지 큰 변화가 있는데, 첫 번째는 표정이 밝아지더라고요. 두 번째는 소통이죠. ...장애인 직원들하고 비장애인 고객들이 소통하는, ...또 장 애인 직원들이 출근해서 일을 하면서 우리 비장애인 직원들이 업무 지시하는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도 소통이 좀... 처음에는 어려웠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좀 되고 있고, 장애인 직원 들 끼리도 자기들끼리도 소통이.. 어쨌든 일하면서 좀 좋아지고 있고요. (G원장) ・ 일 자체가 즐거움을 주고, 삶의 목표를 세우고 노력하는 의지 부여 일이 재미있어요...월급을 모아서 차를 살거예요.. (G참여장애인2) ・ 중도장애로 인해 우울했던 삶을 변화시켜 열심히 살아가야하고 발전할 수 있다 는 의지를 찾게 해줌. 어느 날 보건소에서 연락이 왔어요. 거기 회원인데 연락이 왔더라고요. 무슨 일인가 했더니만 카페 일을 한번 배워보지 않겠느냐고. 저는 때마침 하는 일도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57 없고 해서 한번 해보겠다고. 해보니까 이상하게 재밌고, 나한테 맞는 것 같고. 즐거웠어요. 그래가지고 그 일을 배워서 테스트에 통과해서 거기서 일을 보건 소 카페에서 일을 한 6개월 동안 했어요.. (G참여장애인1) ・ 적성에 맞는 새로운 일은 장애인이 좌절에서 벗어나 평생 할 수 있는 안정된 직 장에서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삶의 방편이 될 수 있음. 저는 컴퓨터일은 마음에서 접었고요. 그리고 카페일은 제가 해보니까 저한테 맞는 것 같고, 일하는 동안 즐겁고 일하는 동안 시간이 빨리 가는 것 같아요. (G참여장애인1) 커피 만들고, 고객님들 응대하고 이런 것들이 참 마음에 드는 것 같아요. 제가 여러 가지 일을 많이 해본 건 아닌데, 그래도 이쪽일이 저한테 제일 맞는 것 같다고 각이 들거든요. 근데 제가 자격증을 준비해야 되는데...... (G참여장애 인1) - 노인에게 일의 의미 ・ 100세 시대가 도래하여 건강한 노인이 많지만 일자리는 적으며, 게다가 은퇴 시기는 빨라져서 은퇴 노인이 계속 일할 수 있는 자리가 많이 필요함. 실버 분들이 계속 잡을 갖고 일을 해야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데, 60세에 은 퇴한다는 것은 너무 빠르지 않나 생각하고요, 그러면 65세나 70세가지 일을 해야된다는 생각입니다. (G원장) 거의 연세가 60~70세 이상 가까이 되셨거든요, 그 분들은 그냥 여기서 일한 다는 자체만으로도, 소일거리 한다 해도 되게 좋아하시더라고요.. (사무국장) ・ 꾸준히 일을 하며 살아온 노인에게 일은 삶 자체로서, 사회에서 역할이 종료된 것 같은 우울감에서 벗어나 자신의 가치를 찾고 자존감을 회복하는 역할을 함. ...나이가 많이 먹어서, 그런데 저희같이 시니어들은 사실 일하는 거기가 참 좁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56 ○ 직무현황 - 노인의 직무 : 기증품을 1차적으로 분류하는 작업, 카페 바리스타 - 장애인의 직무 : 1차 분류된 기증품을 2차 분류, 상품화 작업 □ 서울시 G기관 사례 분석 결과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 경험 - 장애인에게 일의 의미 ・ 출근 자체에서가 생활의 활력소가 되고, 동료나 상사, 고객과의 관계에서 비장 애인과 소통하는 통로가 생기며, 소득을 통해 경제적 자립의 기회가 제공되어 궁극적으로 삶의 질이 개선됨. 저희 어떤 미션은 일의 힘을 통해서 장애인들한테 자립을 할 수 있도록 그런 기회를 주고 삶의 질을 개선하고 그런 어떤 미션이 있습니다. (G원장) 일을 하면서 두 가지 큰 변화가 있는데, 첫 번째는 표정이 밝아지더라고요. 두 번째는 소통이죠. ...장애인 직원들하고 비장애인 고객들이 소통하는, ...또 장 애인 직원들이 출근해서 일을 하면서 우리 비장애인 직원들이 업무 지시하는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도 소통이 좀... 처음에는 어려웠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좀 되고 있고, 장애인 직원 들 끼리도 자기들끼리도 소통이.. 어쨌든 일하면서 좀 좋아지고 있고요. (G원장) ・ 일 자체가 즐거움을 주고, 삶의 목표를 세우고 노력하는 의지 부여 일이 재미있어요...월급을 모아서 차를 살거예요.. (G참여장애인2) ・ 중도장애로 인해 우울했던 삶을 변화시켜 열심히 살아가야하고 발전할 수 있다 는 의지를 찾게 해줌. 어느 날 보건소에서 연락이 왔어요. 거기 회원인데 연락이 왔더라고요. 무슨 일인가 했더니만 카페 일을 한번 배워보지 않겠느냐고. 저는 때마침 하는 일도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57 없고 해서 한번 해보겠다고. 해보니까 이상하게 재밌고, 나한테 맞는 것 같고. 즐거웠어요. 그래가지고 그 일을 배워서 테스트에 통과해서 거기서 일을 보건 소 카페에서 일을 한 6개월 동안 했어요.. (G참여장애인1) ・ 적성에 맞는 새로운 일은 장애인이 좌절에서 벗어나 평생 할 수 있는 안정된 직 장에서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삶의 방편이 될 수 있음. 저는 컴퓨터일은 마음에서 접었고요. 그리고 카페일은 제가 해보니까 저한테 맞는 것 같고, 일하는 동안 즐겁고 일하는 동안 시간이 빨리 가는 것 같아요. (G참여장애인1) 커피 만들고, 고객님들 응대하고 이런 것들이 참 마음에 드는 것 같아요. 제가 여러 가지 일을 많이 해본 건 아닌데, 그래도 이쪽일이 저한테 제일 맞는 것 같다고 각이 들거든요. 근데 제가 자격증을 준비해야 되는데...... (G참여장애 인1) - 노인에게 일의 의미 ・ 100세 시대가 도래하여 건강한 노인이 많지만 일자리는 적으며, 게다가 은퇴 시기는 빨라져서 은퇴 노인이 계속 일할 수 있는 자리가 많이 필요함. 실버 분들이 계속 잡을 갖고 일을 해야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데, 60세에 은 퇴한다는 것은 너무 빠르지 않나 생각하고요, 그러면 65세나 70세가지 일을 해야된다는 생각입니다. (G원장) 거의 연세가 60~70세 이상 가까이 되셨거든요, 그 분들은 그냥 여기서 일한 다는 자체만으로도, 소일거리 한다 해도 되게 좋아하시더라고요.. (사무국장) ・ 꾸준히 일을 하며 살아온 노인에게 일은 삶 자체로서, 사회에서 역할이 종료된 것 같은 우울감에서 벗어나 자신의 가치를 찾고 자존감을 회복하는 역할을 함. ...나이가 많이 먹어서, 그런데 저희같이 시니어들은 사실 일하는 거기가 참 좁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58 잖아요. 그런데 좋은데 연결이 되가지고, 제가 하고 싶은 거를 워낙 커피를 좋 아했기 때문에 젊어서부터 배우고 싶었는데 배우고 취득하고 이제 이렇게 하 다보니까 여기까지 왔는데. 참 좋은 것 같아요.. (G참여노인2) ・ 봉사와 접목된 일을 통해 의미있는 일을 한다는 보람을 느끼고, 삶에 생기가 넘 치고, 질병을 예방함. ...하루 종일 서 있어야 되잖아요. 그러니까 힘은 들죠. 저희 아들이 하는 말이 ‘엄마는 링거 맞으면서라도 다녀야 돼. 그게 약이야.’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 이제 그러면서 다니는 거죠. 일거리가 있다는 게 그게 즐거운 거죠. 퇴임하고 여기 다닌다는 거는. (G참여노2)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형태 - 노인·장애인 협업의 배경 ・ 시혜적 복지대상자를 직업적․사회적 주체로 변화시키려는 기업의 가치인 “자선 이 아닌 기회를”이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장애인을 고용하여 시혜적 복지대상 자에서 직업을 가진 경제활동과 사회참여의 주체로 바꾸어주는 가치를 실현하 고 있음. ・ 법인에서 운영하고 있는 특수학교 졸업생들의 일터를 만들어주기 위해 미국의 기업을 프랜차이즈하여 창업함. 처음에 장애인들 부모 어머님이 기도를 하실 때, 이 아이가 내가 죽기 한 달 전에 먼저 죽었으면 좋겠다. 그런 기도를 들으시고 학교를 시작하셨고……… 유 치부부터 해서 들어가서 졸업할 때에는 성인이 돼서 졸업하게 되는데, 아이 때 는 엄마들이 감당할 수가 있는데, 아이들이 장성해서 힘이 세지고 하니까 엄마 들이 감당할 수 없죠. 그래서 일자리를 만들어 줘야겠다하는 생각을 하고, 학 교 내에서 다양한 시도를 해보았지만, 좀 마땅한 어떤 그런 게 없었는데, 미국 의 모델을 보시고 2011년에 G기관을 처음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G원장) ・ 같은 지역 내에 있는 서울시 D노인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시니어클럽 사업 중 노인이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인 G기관에 파견되는 형태로 장애인이 하는 일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59 을 지원하는 업무를 수행함. 저희 필요 때문에 일단은 좀 써서 했었고, 여기도 우리 관내에 시니어 클럽이 있습니다. 거기 원장님이 저희 같은 밀알 산하 기관이라서 제안을 했었는데, 좋은 인력이면 한번 써보겠다 해서. 처음에 시니어클럽에서 인원을 파견해서 그렇게 해서 썼는데, (G원장) - 노인·장애인 협업 형태 ・ 주요 사업아이템은 기업이나 교회, 개인후원자들로부터 기증받은 중고 의류, 가 방, 소형가전제품 등을 분류하고 손질하여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 장형태의 중고물품 유통업임. 저희가 현재 기증에 대한 인프라를 갖고 있는 것은 교회하고 연계해서 캠페인 을 하고, 캠페인을 통해서 교회에서 기증 들어오는 것들이 있고, 또 교인 분들 이 개인적으로 이사할 때라든지, 물건들이 있을 때 저희들한테 수거 전화를 하 게 되면, 개인기증자로 연결이 되고 있고, 그 다음에 지금 아직까지는 기업기 증이 절반정도 됩니다. 전체기증에서. 특별히 이랜드라든지, 오뚜기, LG생활 건강, 또 중소기업들부터 많이. 심지어는 동대문 시장상인들까지도 저희들이 연결이 돼서 기증이 들어오고 있고요. 학교 단체 이런 데서도 저희들이 기증을 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저희가 우리동네 개인기증자 포션이 전체기증의 한 30%정도, 그 다음에 교회나 이런데 한 20%, 그리고 기업 기증이 한 50% 이정 도 포션이 되고 있습니다. (G원장) ・ 기증품 유통사업에서는 노인과 장애인이 각 집단의 직무능력에 적합한 과정에 구분되어 투입됨. 고난이도의 의사결정력을 요하는 1차 분류 직무는 3명의 노 인이 담당함. 1차 분류 후 상품화까지의 직무와 판매에 장애인이 투입되며, 장 애인이 약한 계산직무는 경력단절여성, 탈북민 등이 담당함. 남자 어르신들 같은 경우에는 1차 분류, 기증 들어온 물건들은 시즌 분류하고 있고, 그 다음에 폐기할 것들은 폐기하고, 판매할 것들은 해서 1차 분류가 끝 나고 나면, 2층 작업장 안에서, 우리 직원들이 분류 작업하고, 상품화 작업하 기 전 단계 1차 분류 작업을 실버 어르신들이 하고 있습니다. 우리 장애인들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58 잖아요. 그런데 좋은데 연결이 되가지고, 제가 하고 싶은 거를 워낙 커피를 좋 아했기 때문에 젊어서부터 배우고 싶었는데 배우고 취득하고 이제 이렇게 하 다보니까 여기까지 왔는데. 참 좋은 것 같아요.. (G참여노인2) ・ 봉사와 접목된 일을 통해 의미있는 일을 한다는 보람을 느끼고, 삶에 생기가 넘 치고, 질병을 예방함. ...하루 종일 서 있어야 되잖아요. 그러니까 힘은 들죠. 저희 아들이 하는 말이 ‘엄마는 링거 맞으면서라도 다녀야 돼. 그게 약이야.’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 이제 그러면서 다니는 거죠. 일거리가 있다는 게 그게 즐거운 거죠. 퇴임하고 여기 다닌다는 거는. (G참여노2)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형태 - 노인·장애인 협업의 배경 ・ 시혜적 복지대상자를 직업적․사회적 주체로 변화시키려는 기업의 가치인 “자선 이 아닌 기회를”이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장애인을 고용하여 시혜적 복지대상 자에서 직업을 가진 경제활동과 사회참여의 주체로 바꾸어주는 가치를 실현하 고 있음. ・ 법인에서 운영하고 있는 특수학교 졸업생들의 일터를 만들어주기 위해 미국의 기업을 프랜차이즈하여 창업함. 처음에 장애인들 부모 어머님이 기도를 하실 때, 이 아이가 내가 죽기 한 달 전에 먼저 죽었으면 좋겠다. 그런 기도를 들으시고 학교를 시작하셨고……… 유 치부부터 해서 들어가서 졸업할 때에는 성인이 돼서 졸업하게 되는데, 아이 때 는 엄마들이 감당할 수가 있는데, 아이들이 장성해서 힘이 세지고 하니까 엄마 들이 감당할 수 없죠. 그래서 일자리를 만들어 줘야겠다하는 생각을 하고, 학 교 내에서 다양한 시도를 해보았지만, 좀 마땅한 어떤 그런 게 없었는데, 미국 의 모델을 보시고 2011년에 G기관을 처음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G원장) ・ 같은 지역 내에 있는 서울시 D노인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시니어클럽 사업 중 노인이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인 G기관에 파견되는 형태로 장애인이 하는 일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59 을 지원하는 업무를 수행함. 저희 필요 때문에 일단은 좀 써서 했었고, 여기도 우리 관내에 시니어 클럽이 있습니다. 거기 원장님이 저희 같은 밀알 산하 기관이라서 제안을 했었는데, 좋은 인력이면 한번 써보겠다 해서. 처음에 시니어클럽에서 인원을 파견해서 그렇게 해서 썼는데, (G원장) - 노인·장애인 협업 형태 ・ 주요 사업아이템은 기업이나 교회, 개인후원자들로부터 기증받은 중고 의류, 가 방, 소형가전제품 등을 분류하고 손질하여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 장형태의 중고물품 유통업임. 저희가 현재 기증에 대한 인프라를 갖고 있는 것은 교회하고 연계해서 캠페인 을 하고, 캠페인을 통해서 교회에서 기증 들어오는 것들이 있고, 또 교인 분들 이 개인적으로 이사할 때라든지, 물건들이 있을 때 저희들한테 수거 전화를 하 게 되면, 개인기증자로 연결이 되고 있고, 그 다음에 지금 아직까지는 기업기 증이 절반정도 됩니다. 전체기증에서. 특별히 이랜드라든지, 오뚜기, LG생활 건강, 또 중소기업들부터 많이. 심지어는 동대문 시장상인들까지도 저희들이 연결이 돼서 기증이 들어오고 있고요. 학교 단체 이런 데서도 저희들이 기증을 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저희가 우리동네 개인기증자 포션이 전체기증의 한 30%정도, 그 다음에 교회나 이런데 한 20%, 그리고 기업 기증이 한 50% 이정 도 포션이 되고 있습니다. (G원장) ・ 기증품 유통사업에서는 노인과 장애인이 각 집단의 직무능력에 적합한 과정에 구분되어 투입됨. 고난이도의 의사결정력을 요하는 1차 분류 직무는 3명의 노 인이 담당함. 1차 분류 후 상품화까지의 직무와 판매에 장애인이 투입되며, 장 애인이 약한 계산직무는 경력단절여성, 탈북민 등이 담당함. 남자 어르신들 같은 경우에는 1차 분류, 기증 들어온 물건들은 시즌 분류하고 있고, 그 다음에 폐기할 것들은 폐기하고, 판매할 것들은 해서 1차 분류가 끝 나고 나면, 2층 작업장 안에서, 우리 직원들이 분류 작업하고, 상품화 작업하 기 전 단계 1차 분류 작업을 실버 어르신들이 하고 있습니다. 우리 장애인들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60 같은 경우에는 사실 저희들이 일을 해보니까, 남자 옷, 여자 옷을 구분하는 것 그리고 여자 옷하고 아동복 구분하는 게 거의 안 됩니다. 이게 지금 수준도 그 렇고, 또 옷걸이가 남자 옷 하고 여자 옷이 틀린데...예를 들어서 의류 같은 경 우에, 기증자분들은 봄, 여름, 가을, 겨울 다 상관없이 받는데, 지금 시즌에 춘 추 물건을 팔아야 되는데, 이 분류를 실버어르신들이 하고 계시고 캐셔라든지 작업장에서 의류 상품화작업, 잡화 상품화작업 하시는 분들이 주부세요. 여기 는 이제 장애인하고 탈북민 한분이 이렇게 하고 있고요. (G원장) ・ 카페사업에서는 함께 배치되어 노인이 장애인의 직무를 보완하는 역할을 함. ・ 카페사업은 G기업매장 입구에 소규모 카페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주로 테이크아웃 고객이 많으며, 장애인이 고객의 커피 주문을 받아 커피를 생산하고 노인이 계산하는 업무과정임. 마스터는 전문바리스타로서 카페 매장 전반을 총 괄, 커피 생산, 노인과 장애인의 직무 중재 및 조정 임무를 수행함. 일단은 장애인 직원들이 일할 수 있는 게 우선이고, 그 다음에 실버 분들이 돕 는 역할을 좀 해 달라 그렇게 부탁을 드렸었고, 현재 우리 카페 같은 경우는 카페 매니저 한명, 비장애인 한명하고 우리 장애인 바리스타 2명, 실버 3명 이 렇게 일을 하고 있습니다. 아주머니 실버 분들이죠...초기에는 이제 실버 어르 신들이 장애인들이 이게 느리고 더디니까, 당신이 알아서 하셨는데, 그런 부분 들에 대해서는 일단 장애인들이 우선이다...그러니까 먼저 장애인직원들보다 먼저 당신들이 주문받으면 먼저 해보고 이렇게 하는 거야. 저희가 카페가 잘되 는 편이에요. 한 하루에 매출이 25만원에서 30만 원정도. 그리고 저희가 싸게 팔거든요. (G원장) ○ 노인·장애인 협업의 근무조건 - 장애인은 근로자의 지위를 가지며, 최저시급 이상의 임금 수령 ・ 장애인의 임금은 G기업에서 전액 지급하며, 주 5일․하루 6시간 근무, 4대 보험 가입으로 근로자의 지위 보장하고 장애인근로자 월 평균 급여 평균 86만원이 며, 최저임금 적용 주30시간 하루에 6시간 일을 하고요. 주 5일 일을 합니다. 실제로 회사에서 4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61 대 보험하고 퇴직연금까지 하게 되면 95만 원정도 인당 부담금이 그 정도 되 더라고요. ・ 근로자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훈련생은 동일한 근무조건에서 월 24만원을 훈련 비로 수령하며 3개월 마다 평가를 통해 승급이 결정됨. 사실 근로 장애인들 같은 구성도 제가 급여를 주고 있고요. 그리고 훈련생이 16 명 정도 있는데, 그런 애들은 현재24만 원정도 급여를 주고 있습니다. (G원장) - 노인은 단기계약직으로 근로자의 지위는 보장받지 못하지만 최저시급 수령 ・ 초기 시니어클럽의 파견사업으로 노인의 임금은 시니어클럽에서 60%, G기업에 서 40%를 지급하는 협조체제였으며, 당시 주 12시간 근무에 월 50만원 수령하 였음. 현재 시니어클럽 파견사업 중단으로 G기관이 직접 채용하여 동일한 근무 시간에 30만원 수령하는 수준임. 4대 보험 미가입, 주 12시간 근무, 6개월 계약 직이며, 대부분 계약만료 이후 지속적으로 재계약 하고 있음. 처음에 시니어클럽에서 인원을 파견해서 그렇게 해서 썼는데, 그 분들 같은 경 우에는, 시니어클럽에서 파견된 인원 같은 경우에 예를 들어서 저희가 30만원 급여를 주면, 그 쪽에서 한 20만 원정도 그렇게 지원해 주는 게 시니어클럽 프 로그램이 있더라고요. 근데 이제 그게 올해 들어와서 다 끊어졌어요. 시니어 클럽에서 그 프로그램이 없어졌다고 해서, 그래서 저희가 시급으로만 지금 운 영을 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참 계속 주지 왜 또 안 되는 건지. 이 분들을 3개월 계약하고, 아 6개월 계약하고 이렇게 했었는데, 지금 이제 하 시는 분들은 1년이 됐어요. 그래서 내년에 다시 또 재계약을 해야 되는데, 사 실 써보니까 아 이분들이 굉장히 친절하시고 우리 장애인 직원들한테도 자기 손주처럼 잘 대해 주시고, 그래서 참 감사하죠.. (대표) - 협업사회적 일자리의 노인투입(채용) 기준 ・ 면접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선입견과 부담감이 있으면 채용 시 탈락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60 같은 경우에는 사실 저희들이 일을 해보니까, 남자 옷, 여자 옷을 구분하는 것 그리고 여자 옷하고 아동복 구분하는 게 거의 안 됩니다. 이게 지금 수준도 그 렇고, 또 옷걸이가 남자 옷 하고 여자 옷이 틀린데...예를 들어서 의류 같은 경 우에, 기증자분들은 봄, 여름, 가을, 겨울 다 상관없이 받는데, 지금 시즌에 춘 추 물건을 팔아야 되는데, 이 분류를 실버어르신들이 하고 계시고 캐셔라든지 작업장에서 의류 상품화작업, 잡화 상품화작업 하시는 분들이 주부세요. 여기 는 이제 장애인하고 탈북민 한분이 이렇게 하고 있고요. (G원장) ・ 카페사업에서는 함께 배치되어 노인이 장애인의 직무를 보완하는 역할을 함. ・ 카페사업은 G기업매장 입구에 소규모 카페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주로 테이크아웃 고객이 많으며, 장애인이 고객의 커피 주문을 받아 커피를 생산하고 노인이 계산하는 업무과정임. 마스터는 전문바리스타로서 카페 매장 전반을 총 괄, 커피 생산, 노인과 장애인의 직무 중재 및 조정 임무를 수행함. 일단은 장애인 직원들이 일할 수 있는 게 우선이고, 그 다음에 실버 분들이 돕 는 역할을 좀 해 달라 그렇게 부탁을 드렸었고, 현재 우리 카페 같은 경우는 카페 매니저 한명, 비장애인 한명하고 우리 장애인 바리스타 2명, 실버 3명 이 렇게 일을 하고 있습니다. 아주머니 실버 분들이죠...초기에는 이제 실버 어르 신들이 장애인들이 이게 느리고 더디니까, 당신이 알아서 하셨는데, 그런 부분 들에 대해서는 일단 장애인들이 우선이다...그러니까 먼저 장애인직원들보다 먼저 당신들이 주문받으면 먼저 해보고 이렇게 하는 거야. 저희가 카페가 잘되 는 편이에요. 한 하루에 매출이 25만원에서 30만 원정도. 그리고 저희가 싸게 팔거든요. (G원장) ○ 노인·장애인 협업의 근무조건 - 장애인은 근로자의 지위를 가지며, 최저시급 이상의 임금 수령 ・ 장애인의 임금은 G기업에서 전액 지급하며, 주 5일․하루 6시간 근무, 4대 보험 가입으로 근로자의 지위 보장하고 장애인근로자 월 평균 급여 평균 86만원이 며, 최저임금 적용 주30시간 하루에 6시간 일을 하고요. 주 5일 일을 합니다. 실제로 회사에서 4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61 대 보험하고 퇴직연금까지 하게 되면 95만 원정도 인당 부담금이 그 정도 되 더라고요. ・ 근로자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훈련생은 동일한 근무조건에서 월 24만원을 훈련 비로 수령하며 3개월 마다 평가를 통해 승급이 결정됨. 사실 근로 장애인들 같은 구성도 제가 급여를 주고 있고요. 그리고 훈련생이 16 명 정도 있는데, 그런 애들은 현재24만 원정도 급여를 주고 있습니다. (G원장) - 노인은 단기계약직으로 근로자의 지위는 보장받지 못하지만 최저시급 수령 ・ 초기 시니어클럽의 파견사업으로 노인의 임금은 시니어클럽에서 60%, G기업에 서 40%를 지급하는 협조체제였으며, 당시 주 12시간 근무에 월 50만원 수령하 였음. 현재 시니어클럽 파견사업 중단으로 G기관이 직접 채용하여 동일한 근무 시간에 30만원 수령하는 수준임. 4대 보험 미가입, 주 12시간 근무, 6개월 계약 직이며, 대부분 계약만료 이후 지속적으로 재계약 하고 있음. 처음에 시니어클럽에서 인원을 파견해서 그렇게 해서 썼는데, 그 분들 같은 경 우에는, 시니어클럽에서 파견된 인원 같은 경우에 예를 들어서 저희가 30만원 급여를 주면, 그 쪽에서 한 20만 원정도 그렇게 지원해 주는 게 시니어클럽 프 로그램이 있더라고요. 근데 이제 그게 올해 들어와서 다 끊어졌어요. 시니어 클럽에서 그 프로그램이 없어졌다고 해서, 그래서 저희가 시급으로만 지금 운 영을 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참 계속 주지 왜 또 안 되는 건지. 이 분들을 3개월 계약하고, 아 6개월 계약하고 이렇게 했었는데, 지금 이제 하 시는 분들은 1년이 됐어요. 그래서 내년에 다시 또 재계약을 해야 되는데, 사 실 써보니까 아 이분들이 굉장히 친절하시고 우리 장애인 직원들한테도 자기 손주처럼 잘 대해 주시고, 그래서 참 감사하죠.. (대표) - 협업사회적 일자리의 노인투입(채용) 기준 ・ 면접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선입견과 부담감이 있으면 채용 시 탈락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62 어르신들이 고집이 있을 수 있어서, 일단은 장애인들을 만나고 장애인들을 대 할 때 좀 최대한 많이 섬겨주시라고 그렇게 좀 교육을 하고 (G원장) ・ 면접 시 술 담배 등 장애인에게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줄 부정적 습관이나 태도 가 있을 경우 배제함. 남자 실버어르신들 이렇게 같이 일을 할 때면, 더러 장애인들에 대해서 함부로 대하시는 것도 있었고, 그리고 어떤 분은 담배를 피우시니까, 우리 장애인애들 은 보고서 따라 하잖아요. 그런 것들을 좀 경계를 해야 되겠다 해서, 어르신들 뽑을 때 담배 피우시는 분들은 배제를 했습니다. (G원장) ・ 6개월 이상 근무하는 계약직이므로 건강상태를 보며, 활동적으로 일할 수 있는 60-70세 사이의 노인을 주로 선호함. 그래서 좀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걱정이 좀 덜되고, 또 면접 할 때 좀 건강 상태도, 아무래도 좀 이렇게 일하신 지 얼마 안 되서 입원하시고 하셔야 되는 그런 상황이 되면 안 되잖아요. (G원장) - 협업사회적 일자리의 장애인투입(채용) 기준 ・ 장애인채용의 기준은 G기업규정에 의하며, 훈련기간을 거쳐 평가 후 결정 기증사업부는 분리된 협업이므로 기관의 장애인채용 기준에 따라 훈련기간을 거쳐 평가 후 채용함. 카페사업부는 통합 고용 협업이고 고객에 직접 서비스하 는 직무이므로 비교적 기능이 좋고 커피 생산능력이 있는 정신장애인이 투입됨. 실제로는 3년 이내에 근로 인을 승급 시키는 게 목표입니다. 사실 근로인으로 승급이 안 되는 경우가 더러 있는데, 전혀 저희 생산 활동에 기여를 못하는 사 람들이죠. 그런 부분들을 계속 저희가 따로 교육하고 훈련하고 하지만, 일단은 저희가 3년 동안은 기회를 주고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장애인들이 실제로 업 무에 어떤 퍼포먼스가 나올 수 있게끔 저희가 하고 있고요. (G원장) 발달장애인의 경우 카페에서 고객응대나 이런거에 어려움이 있어서 정신장애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63 인이 담당하고 있어요... 원래 지적장애인이 한 적이 있는데, 현금관리나 언어 표현이 잘 안되어서 직무배치를 달리 했습니다. (사무국장) -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와 기업의 다른점 ・ 기업은 이익의 극대화를, G기관은 고용복지 창출의 가치를 추구 ・ 기업은 수익창출이 전부이자 기업의 목적이지만 G기관은 복지와 수익창출, 미 션의 수행이 병행됨. 기업은 합리적인 경영을 원칙으로 하지만 G기관은 비합리 적인 부분을 ‘가치’를 위해 감수하고 운영해야 하는 특성이 있음. 저희들은 어쨌든 직업 재활 쪽에 어떤 리더십을 한번 가는 비전이 있고요. 저 희 미션은 일의 힘을 통해서 장애인들한테 자립을 할 수 있도록 그런 기회를 주고 삶의 질을 개선하자는 미션이 있습니다. (G원장) ・ 기업은 수익성으로 평가받지만 본 사업은 미션수행과 무형의 가치에 대해 목표 달성률을 정하여 평가받고 정부나 지차체로부터 꾸준히 점검 받으며 운영함. 힘들다기 보다는 사회적으로, 구조적으로 뭔가 이렇게 같이 끌어가는 느낌이 들어야 하는데, 쉽지 않은 것 같아요. 사회복지사가 구딜 사업이라는 게, 대외 적으로 보기에는 되게 뭐 근사해 보이는데 근데 미국 쪽도 얘기 들어보니까 거 기는 거의 전문 CEO들이 운영을 한다고 그러더라고요. 그리고 거기는 이런 지 역사회 유관 기업들하고 좀 상부라인들하고도 잘되어 있다 그러고. 우리나라 는 사회복지 서비스 조직시설이잖아요. 장애 복지 중에. 그러니까 어찌 보면 다르죠. 구조적으로도 다르고, 이런 실적을 위한 그런 것도 해야 되는데. 막상 인력 투자라는 장애인들을 개별적으로 관리를 한다는 게, 47,6명을 그런 보건 복지부에서 원하는 그런 평가기준에 맞춰서 한다는 게 솔직히 말이 안 되죠. (G사무국장) ・ 기업은 직원의 복지후생을 위해 힘쓰지만 본 사업은 사회적 약자와 공공복리 증진에 기여함. ...저는 한 기업에서 21년 정도 유통에 종사를 했었고요. 여기 와서 보니까 기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62 어르신들이 고집이 있을 수 있어서, 일단은 장애인들을 만나고 장애인들을 대 할 때 좀 최대한 많이 섬겨주시라고 그렇게 좀 교육을 하고 (G원장) ・ 면접 시 술 담배 등 장애인에게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줄 부정적 습관이나 태도 가 있을 경우 배제함. 남자 실버어르신들 이렇게 같이 일을 할 때면, 더러 장애인들에 대해서 함부로 대하시는 것도 있었고, 그리고 어떤 분은 담배를 피우시니까, 우리 장애인애들 은 보고서 따라 하잖아요. 그런 것들을 좀 경계를 해야 되겠다 해서, 어르신들 뽑을 때 담배 피우시는 분들은 배제를 했습니다. (G원장) ・ 6개월 이상 근무하는 계약직이므로 건강상태를 보며, 활동적으로 일할 수 있는 60-70세 사이의 노인을 주로 선호함. 그래서 좀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걱정이 좀 덜되고, 또 면접 할 때 좀 건강 상태도, 아무래도 좀 이렇게 일하신 지 얼마 안 되서 입원하시고 하셔야 되는 그런 상황이 되면 안 되잖아요. (G원장) - 협업사회적 일자리의 장애인투입(채용) 기준 ・ 장애인채용의 기준은 G기업규정에 의하며, 훈련기간을 거쳐 평가 후 결정 기증사업부는 분리된 협업이므로 기관의 장애인채용 기준에 따라 훈련기간을 거쳐 평가 후 채용함. 카페사업부는 통합 고용 협업이고 고객에 직접 서비스하 는 직무이므로 비교적 기능이 좋고 커피 생산능력이 있는 정신장애인이 투입됨. 실제로는 3년 이내에 근로 인을 승급 시키는 게 목표입니다. 사실 근로인으로 승급이 안 되는 경우가 더러 있는데, 전혀 저희 생산 활동에 기여를 못하는 사 람들이죠. 그런 부분들을 계속 저희가 따로 교육하고 훈련하고 하지만, 일단은 저희가 3년 동안은 기회를 주고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장애인들이 실제로 업 무에 어떤 퍼포먼스가 나올 수 있게끔 저희가 하고 있고요. (G원장) 발달장애인의 경우 카페에서 고객응대나 이런거에 어려움이 있어서 정신장애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63 인이 담당하고 있어요... 원래 지적장애인이 한 적이 있는데, 현금관리나 언어 표현이 잘 안되어서 직무배치를 달리 했습니다. (사무국장) -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와 기업의 다른점 ・ 기업은 이익의 극대화를, G기관은 고용복지 창출의 가치를 추구 ・ 기업은 수익창출이 전부이자 기업의 목적이지만 G기관은 복지와 수익창출, 미 션의 수행이 병행됨. 기업은 합리적인 경영을 원칙으로 하지만 G기관은 비합리 적인 부분을 ‘가치’를 위해 감수하고 운영해야 하는 특성이 있음. 저희들은 어쨌든 직업 재활 쪽에 어떤 리더십을 한번 가는 비전이 있고요. 저 희 미션은 일의 힘을 통해서 장애인들한테 자립을 할 수 있도록 그런 기회를 주고 삶의 질을 개선하자는 미션이 있습니다. (G원장) ・ 기업은 수익성으로 평가받지만 본 사업은 미션수행과 무형의 가치에 대해 목표 달성률을 정하여 평가받고 정부나 지차체로부터 꾸준히 점검 받으며 운영함. 힘들다기 보다는 사회적으로, 구조적으로 뭔가 이렇게 같이 끌어가는 느낌이 들어야 하는데, 쉽지 않은 것 같아요. 사회복지사가 구딜 사업이라는 게, 대외 적으로 보기에는 되게 뭐 근사해 보이는데 근데 미국 쪽도 얘기 들어보니까 거 기는 거의 전문 CEO들이 운영을 한다고 그러더라고요. 그리고 거기는 이런 지 역사회 유관 기업들하고 좀 상부라인들하고도 잘되어 있다 그러고. 우리나라 는 사회복지 서비스 조직시설이잖아요. 장애 복지 중에. 그러니까 어찌 보면 다르죠. 구조적으로도 다르고, 이런 실적을 위한 그런 것도 해야 되는데. 막상 인력 투자라는 장애인들을 개별적으로 관리를 한다는 게, 47,6명을 그런 보건 복지부에서 원하는 그런 평가기준에 맞춰서 한다는 게 솔직히 말이 안 되죠. (G사무국장) ・ 기업은 직원의 복지후생을 위해 힘쓰지만 본 사업은 사회적 약자와 공공복리 증진에 기여함. ...저는 한 기업에서 21년 정도 유통에 종사를 했었고요. 여기 와서 보니까 기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64 업에서 보는 관점하고 좀 많이 다르다 하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 굉장히 어떤 합리적인 경영이 어렵다는 생각이 좀 있습니다. 2011년에 와서 송파 오 픈하고 도봉오픈 하면서 여러 가지 제약들이 좀 있고, 사회복지가 기업하고 많 이 다르구나 하는 것들을 현장에서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G원장) ○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단점 -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점 ・ 기관차원에서 장애인의 생산성과 비장애인 직원의 직무를 보완함. 노인은 장애 인이 할 수 없는 고난이도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어 비장애인 직원 의 추가 투입 없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음. 생산성 부분들을 봤을 때 비장애인들에 비해 장애인들은 40~50% 수준이라 면, 노인은 80~90%생산성을 갖고 있어요.. (G원장) 사실 써보니까 아 이분들이 굉장히 친절하시고 우리 장애인 직원들한테도 자 기 손주처럼 잘 대해 주시고, 그래서 참 감사하죠. (G사무국장) 또 사실 우리 카페 장애인직원들이 커피를 생산했는데, 지금은 많이 좋아졌지 만, 초기에는 아이들이 기분에 따라서 아무래도 아메리카노 맛이 틀려질 수도 있었는데..., 우리 고객님들이 많이 이해를 해주시고, 맛있다고 해주시니까. (G 원장) 커피를 아이템별로 생산하는 것은 실버분들이 장애인들보다 낫죠....기증품의 경우는 의사결정이 필요한 1차 분류가 굉장히 중요한데, 이 분류를 실버분들 이 하고 계시고... (G원장) ・ 노인은 장애인과의 협업을 통해 봉사의 보람과 자부심을 느끼며, 생활의 활력을 찾아 건강이 증진됨. 투입된 노인은 경제적으로 어렵지 않은 상황으로 일자리에 서 받는 대가는 적지만, 경제 활동을 한다는 의미보다 장애인들을 위해 봉사한 다는 보람과 자부심을 더 강하게 느낌.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65 보수 그런 건 생각 안합니다. 돈보고 올 것 같으면 택시하지. 일하는 활력소가 있고, 그게 장애인을 위해 한다는 사회봉사의 개념들이 있어서 (G참여노인1) ・ 일자리 참여를 통해 가족에게 용돈을 주는 여유가 생기며, 이를 통해 가족지지 가 더욱 향상됨. 저희 아들이 아는 말이 ‘엄마는 링거를 맞으면서라도 다녀야 돼, 그게 약이야.’,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이제 그러면서 다니는 거죠. 일거리가 있다는 게 그게 즐거운 거죠. (G참여노인2) ・ 보람을 느끼는 일을 함으로서 노출되기 쉬운 우울증을 예방하고 생활의 활력소 를 되찾아 신체적․정신적 건강이 증진됨. 작년에부터 왔어요. 해보니까 너무 좋습니다. 보람을 느낍니다. 장애인이라고 해서 생각할 때 완전히 밖에서 보는 생각하고, 안에서 보는 생각하고 전혀 다 릅니다. 완전히 활발하고 웃고 활기차고 너무 좋아요. (G참여노인1) 나이가 먹어서, 저희같은 시니어들은 사실 일할 거리가 참 좁잖아요, 그언데 좋은데 연결되어가지고... 제가 워낙 젊어서부터 커피를 좋아하는데 젊어서부 터 배우고 싶었는데, 배우고 자격을 취득하다보니 여기까지 왔는데, 참 좋은 것 같아요 (G참여노인2) ・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효과가 있음. 장애인을 접할 기회가 없을 때는 몰랐던 장 애인의 장점을 알게 되고, 손주들이나 다름이 없는 사람들이라는 것을 느끼게 됨. 맨 처음에 장애인하고 같이 일하는 거에 대해서 거부감 같은 건 있었죠. 근데 굉장히 밝고 친근감이 있게 저희들한테도 아주 착착 감긴다. ..그런 선입견에 대해서 완전히 타파 한거죠. (G참여노인2) 저희 나이또래에 장애인들이 어린애들이 하는 행동을 보고 참 천진하다, 맑다, 참 좋은 점이 많구나. 그런 거를 느끼면서 저 부모들은 마음이 어떨까하는 역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64 업에서 보는 관점하고 좀 많이 다르다 하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 굉장히 어떤 합리적인 경영이 어렵다는 생각이 좀 있습니다. 2011년에 와서 송파 오 픈하고 도봉오픈 하면서 여러 가지 제약들이 좀 있고, 사회복지가 기업하고 많 이 다르구나 하는 것들을 현장에서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G원장) ○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단점 -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점 ・ 기관차원에서 장애인의 생산성과 비장애인 직원의 직무를 보완함. 노인은 장애 인이 할 수 없는 고난이도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어 비장애인 직원 의 추가 투입 없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음. 생산성 부분들을 봤을 때 비장애인들에 비해 장애인들은 40~50% 수준이라 면, 노인은 80~90%생산성을 갖고 있어요.. (G원장) 사실 써보니까 아 이분들이 굉장히 친절하시고 우리 장애인 직원들한테도 자 기 손주처럼 잘 대해 주시고, 그래서 참 감사하죠. (G사무국장) 또 사실 우리 카페 장애인직원들이 커피를 생산했는데, 지금은 많이 좋아졌지 만, 초기에는 아이들이 기분에 따라서 아무래도 아메리카노 맛이 틀려질 수도 있었는데..., 우리 고객님들이 많이 이해를 해주시고, 맛있다고 해주시니까. (G 원장) 커피를 아이템별로 생산하는 것은 실버분들이 장애인들보다 낫죠....기증품의 경우는 의사결정이 필요한 1차 분류가 굉장히 중요한데, 이 분류를 실버분들 이 하고 계시고... (G원장) ・ 노인은 장애인과의 협업을 통해 봉사의 보람과 자부심을 느끼며, 생활의 활력을 찾아 건강이 증진됨. 투입된 노인은 경제적으로 어렵지 않은 상황으로 일자리에 서 받는 대가는 적지만, 경제 활동을 한다는 의미보다 장애인들을 위해 봉사한 다는 보람과 자부심을 더 강하게 느낌.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65 보수 그런 건 생각 안합니다. 돈보고 올 것 같으면 택시하지. 일하는 활력소가 있고, 그게 장애인을 위해 한다는 사회봉사의 개념들이 있어서 (G참여노인1) ・ 일자리 참여를 통해 가족에게 용돈을 주는 여유가 생기며, 이를 통해 가족지지 가 더욱 향상됨. 저희 아들이 아는 말이 ‘엄마는 링거를 맞으면서라도 다녀야 돼, 그게 약이야.’,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이제 그러면서 다니는 거죠. 일거리가 있다는 게 그게 즐거운 거죠. (G참여노인2) ・ 보람을 느끼는 일을 함으로서 노출되기 쉬운 우울증을 예방하고 생활의 활력소 를 되찾아 신체적․정신적 건강이 증진됨. 작년에부터 왔어요. 해보니까 너무 좋습니다. 보람을 느낍니다. 장애인이라고 해서 생각할 때 완전히 밖에서 보는 생각하고, 안에서 보는 생각하고 전혀 다 릅니다. 완전히 활발하고 웃고 활기차고 너무 좋아요. (G참여노인1) 나이가 먹어서, 저희같은 시니어들은 사실 일할 거리가 참 좁잖아요, 그언데 좋은데 연결되어가지고... 제가 워낙 젊어서부터 커피를 좋아하는데 젊어서부 터 배우고 싶었는데, 배우고 자격을 취득하다보니 여기까지 왔는데, 참 좋은 것 같아요 (G참여노인2) ・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효과가 있음. 장애인을 접할 기회가 없을 때는 몰랐던 장 애인의 장점을 알게 되고, 손주들이나 다름이 없는 사람들이라는 것을 느끼게 됨. 맨 처음에 장애인하고 같이 일하는 거에 대해서 거부감 같은 건 있었죠. 근데 굉장히 밝고 친근감이 있게 저희들한테도 아주 착착 감긴다. ..그런 선입견에 대해서 완전히 타파 한거죠. (G참여노인2) 저희 나이또래에 장애인들이 어린애들이 하는 행동을 보고 참 천진하다, 맑다, 참 좋은 점이 많구나. 그런 거를 느끼면서 저 부모들은 마음이 어떨까하는 역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66 지사지로 많이 생각하게 되요. 그런 마음이 많이 들었어요. (G참여노인2) ・ 노인일자리를 통해 장애인복지사업의 어려움과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게 되어 장애인복지사업의 인식개선에도 효과가 있으며, 잠재적 후원자 확보가 가능함. ‘야 정말 이 단체의 윗사람들이 희생이 많겠구나.’를 느꼈고, 제가 채용이 되고 나서는 더 헌신적으로 해야 되겠다는 마인드가 바뀐 거죠.. (G참여노인2) ・ 장애인은 노인에게 가족의 정을 느끼며,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면에서 노인과 일하는 것에 만족함. 노인들이 장애인을 손주처럼 이해해주고 친근하게 대해주 어 마음 편히 일할 수 있고 장애인이 실수할 수 있는 부분을 채워주어 좋음. 일단 제가 생각하기에는 마음이 편하죠. 요즘 일반적으로 제 또래 친구들이나 아니면 저보다 나이가 많거나 조금 어린 친구들하고 같이 일을 하면은 아무래 도 마찰도 생길 수도 있고, 서로간의 트러블도 많이 생기는데 그런 부분에서는 어떻게 보면 다 어머님 같고, 옆집 사람 같고, 친근함이 있죠. (G참여장애인1) 네. 잘해주고, 맨날 인사하고 하니까. (G참여장애인2)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의 단점 ・ 노인 중 일부가 모방의 위험을 예측하지 못하고 부적절한 행동을 함. 발달장애인이 쉽게 모방하는 특성이 있음을 간과하고 노인에게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음주나 흡연을 함으로서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발 생함. 이후 채용 시 음주나 흡연의 습관을 가진 노인을 면접을 통해 배제함. 어떤 분은 담배를 피우시니까, 우리 장애인애들은 보고서 따라 하잖아요. 그런 것들을 좀 경계를 해야 되겠다 해서, 어르신들 뽑을 때 담배 피우시는 분들은 배제를 했습니다. 그래서 우리 장애인 직원들이 따라서 담배를 사가지고 저기 우리 구청 저 끝에 여기 회사는 못 피우니까, 그런데 가서 한쪽에서 피고 있는 데, 저희 유니폼 입고서 피고 있으니까, 구청 직원들이 일로 와갖고 굿윌 스토 어 직원들이 담배피고 있다고 이야기를 하니까, (G원장)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67 ○ 노인·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요인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필요요건 ・ 노인의 신체적, 정서적 특성에 적합한 일자리 제공 노인은 성실하고 일에 대한 가치를 소중히 여기며, 사회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자 부심을 갖고 있음. 또한, 기능적으로 직무능력이 우수한 장점을 살려 적절한 직무 에 투입해야 함. 평생을 놀지 않고 일하다보니 일 중독자가 되어버렸나봐요, 내가 여기 일을 안하 는 날은 양주에 있는 농장에 갑니다. 일이 좋으니까 하는 거예요.. (G참여노인1) 집에 있기만 하면 우울해져요, 무조건 자기가 나가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하고, 봉사도 하고, 이런 것이 사는 보람이죠. (G참여노인2) 제가 돈을 벌어보니까 하루종일 있다가 집에 들어가서 주물러라, 뭐해라 하지 만 아들이 이런 거 다 받아주면서도 나와서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더라고요. (G참여노인2) ・ 지속적인 일자리 운영이 가능하도록 경영마인드를 가진 경력자 투입 수익을 창출하여 장애인과 노인의 임금을 지급해야하기 때문에 복지적 마인드 보다는 경영의 경력이 있는 인력 투입 필요 유통업 경영경력 21년의 CEO가 투입됨으로서 수익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가능 아무래도 G기관 입장에서는 저 같은 경력 있는 사람이 있어야 되는 필요가 있 으니까...미국 같은 경우도 다 CEO가 있고요, 대부분 자립을 하고 있더라고요 (G원장) ・ 사업 아이템에서 노인과 장애인인 협업할 수 있는 일거리가 많음. 기증품 수거, 분류, 정리, 의류 생활잡화 진열 판매 등 다양한 직무가 있어서 노인과 장애인 이 협업할 수 있는 직무개발이 가능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66 지사지로 많이 생각하게 되요. 그런 마음이 많이 들었어요. (G참여노인2) ・ 노인일자리를 통해 장애인복지사업의 어려움과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게 되어 장애인복지사업의 인식개선에도 효과가 있으며, 잠재적 후원자 확보가 가능함. ‘야 정말 이 단체의 윗사람들이 희생이 많겠구나.’를 느꼈고, 제가 채용이 되고 나서는 더 헌신적으로 해야 되겠다는 마인드가 바뀐 거죠.. (G참여노인2) ・ 장애인은 노인에게 가족의 정을 느끼며,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면에서 노인과 일하는 것에 만족함. 노인들이 장애인을 손주처럼 이해해주고 친근하게 대해주 어 마음 편히 일할 수 있고 장애인이 실수할 수 있는 부분을 채워주어 좋음. 일단 제가 생각하기에는 마음이 편하죠. 요즘 일반적으로 제 또래 친구들이나 아니면 저보다 나이가 많거나 조금 어린 친구들하고 같이 일을 하면은 아무래 도 마찰도 생길 수도 있고, 서로간의 트러블도 많이 생기는데 그런 부분에서는 어떻게 보면 다 어머님 같고, 옆집 사람 같고, 친근함이 있죠. (G참여장애인1) 네. 잘해주고, 맨날 인사하고 하니까. (G참여장애인2)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의 단점 ・ 노인 중 일부가 모방의 위험을 예측하지 못하고 부적절한 행동을 함. 발달장애인이 쉽게 모방하는 특성이 있음을 간과하고 노인에게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음주나 흡연을 함으로서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발 생함. 이후 채용 시 음주나 흡연의 습관을 가진 노인을 면접을 통해 배제함. 어떤 분은 담배를 피우시니까, 우리 장애인애들은 보고서 따라 하잖아요. 그런 것들을 좀 경계를 해야 되겠다 해서, 어르신들 뽑을 때 담배 피우시는 분들은 배제를 했습니다. 그래서 우리 장애인 직원들이 따라서 담배를 사가지고 저기 우리 구청 저 끝에 여기 회사는 못 피우니까, 그런데 가서 한쪽에서 피고 있는 데, 저희 유니폼 입고서 피고 있으니까, 구청 직원들이 일로 와갖고 굿윌 스토 어 직원들이 담배피고 있다고 이야기를 하니까, (G원장)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67 ○ 노인·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요인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필요요건 ・ 노인의 신체적, 정서적 특성에 적합한 일자리 제공 노인은 성실하고 일에 대한 가치를 소중히 여기며, 사회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자 부심을 갖고 있음. 또한, 기능적으로 직무능력이 우수한 장점을 살려 적절한 직무 에 투입해야 함. 평생을 놀지 않고 일하다보니 일 중독자가 되어버렸나봐요, 내가 여기 일을 안하 는 날은 양주에 있는 농장에 갑니다. 일이 좋으니까 하는 거예요.. (G참여노인1) 집에 있기만 하면 우울해져요, 무조건 자기가 나가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하고, 봉사도 하고, 이런 것이 사는 보람이죠. (G참여노인2) 제가 돈을 벌어보니까 하루종일 있다가 집에 들어가서 주물러라, 뭐해라 하지 만 아들이 이런 거 다 받아주면서도 나와서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더라고요. (G참여노인2) ・ 지속적인 일자리 운영이 가능하도록 경영마인드를 가진 경력자 투입 수익을 창출하여 장애인과 노인의 임금을 지급해야하기 때문에 복지적 마인드 보다는 경영의 경력이 있는 인력 투입 필요 유통업 경영경력 21년의 CEO가 투입됨으로서 수익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가능 아무래도 G기관 입장에서는 저 같은 경력 있는 사람이 있어야 되는 필요가 있 으니까...미국 같은 경우도 다 CEO가 있고요, 대부분 자립을 하고 있더라고요 (G원장) ・ 사업 아이템에서 노인과 장애인인 협업할 수 있는 일거리가 많음. 기증품 수거, 분류, 정리, 의류 생활잡화 진열 판매 등 다양한 직무가 있어서 노인과 장애인 이 협업할 수 있는 직무개발이 가능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68 여기서 하는 장애인, 노인분들하고 같이 매칭할 수 있는게 되게 많죠. 상품수거 하는 것에서 시작해서 의류ㅡ 생활잡화 이런 것들, 전체 다 할 수 있습니다. 장 애인들보다 어르신들이 더 잘하겠죠... 충분히 엮어서 할 수 있어요...임가공 물량이 막 쏟아질 경우 어르신들을 그런 쪽에 투입할 수도 있어요. (G사무국장) -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의 선행요건 ・ 장애인 노인 서로간의 이해와 배려 노인은 초기에 장애인을 처음 접해보는데 따른 놀람과 답답함을 매니저의 도움 과 협업을 통해 장애인의 특성으로 이해하고, 어려워하는 직무는 도와 장애인이 불편함 없이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지원함. 아무래도 세대차이가 분명히 나죠. 그러다보니까 말도 조심해서 하게 되고, 나 보다 훨씬 나이가 많으신 분이다 이렇게 생각하니까 조심하게 되는 부분도 많 이 있죠. (G참여장애인1) 왜냐하면 장애인들이기 때문에 이쪽에서는 완전히 배려를 바탕으로 하고 해야 되고, 반복이에요. 생각하는 게 금방 가르쳐줘도 조금 있으면 다시 잊어버리기 때문에 아주 반복학습을 해야 되는 입장이기 때문에 여기서 일하시는 분들이 대단하다 하는 것을 느꼈어요. (G참여노인2) 지금은 굉장히 융화가 잘되어 있고, 계속해서 실버 분들 영역을 좀 넓혀가야 되지 않나하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저희가 실버 어르신들 10명 정도 늘릴 생각을 하고 있는데, 기증센터에 기증 접수 받는 곳이라든지, 아까 1차 분류하는데도 좀 더 인원을 늘려야 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고요. (G사무 국장) ・ 장애인에게 함부로 하는 노인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장애인 이해교육 필요 장애인을 위한 고용시설이므로 장애인을 섬기는 마음으로 일하기를 당부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그러한 것을 기정사실로 잘 받아들이고 일함.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69 처음에 남자 실버어르신들 이렇게 같이 일을 할 때면, 더러 장애인들에 대해서 함부로 대하시는 것도 있었고, (G원장) 자기를 버리라고 하고 싶어요.. 자기 고집을 버리라는게, 상황판단을 잘 해야 하는 것이죠...여기 오시는 분들은 대부분 잘 하시는 것 같아요. 살아온 경력이 있으니까... (노인2) 자기 나이를 판단해서 눈높이를 낮춰가지고 거기에 생활에 만족을 느껴야 돼 요. 옛날에 저쨌는데 이런 식이면 못해요. (노인1) -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 제언 ・ 노인 인력 사용에서 정부 등에서 일정 부분을 보조 필요 장애인의 수익보다 상당히 적은 수입을 노인이 취하게 되는 상황이므로, 노인 일자리에 정부에서 일정 부분을 보조하여 최저시급 이상의 시급을 보장할 수 있 도록 하여 노인들의 생활 개선에도 기여하기를 바람. 근데 이 부분들도 실버인력을 쓸 때, 정부나 이런 기관들에서 조금 보조를 해 주면, 그 분들한테 좀 더 가져갈 수 있는 게 있을 것 같은데, 저희가 그냥 최저 시급으로 쓰고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 장애인의 직업훈련 목적과 배치되게 노인이 먼저 과업을 완수해버리는 문제에 대해서 중간관리자가 장애인에 대해 노인에게 이해시키고, 장애인이 우선적으 로 직무를 수행하는 원칙을 노인에게 주지시킴. 초기에는 실버 어르신들이 장애인들이 느리고 더디니까, 당신이 알아서 하셨 는데,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일단 장애인들이 우선이다. 라고 지속적으로 매 니저가 가르쳤습니다. 이제는 이해를 잘 하시고요 (G원장)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68 여기서 하는 장애인, 노인분들하고 같이 매칭할 수 있는게 되게 많죠. 상품수거 하는 것에서 시작해서 의류ㅡ 생활잡화 이런 것들, 전체 다 할 수 있습니다. 장 애인들보다 어르신들이 더 잘하겠죠... 충분히 엮어서 할 수 있어요...임가공 물량이 막 쏟아질 경우 어르신들을 그런 쪽에 투입할 수도 있어요. (G사무국장) -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의 선행요건 ・ 장애인 노인 서로간의 이해와 배려 노인은 초기에 장애인을 처음 접해보는데 따른 놀람과 답답함을 매니저의 도움 과 협업을 통해 장애인의 특성으로 이해하고, 어려워하는 직무는 도와 장애인이 불편함 없이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지원함. 아무래도 세대차이가 분명히 나죠. 그러다보니까 말도 조심해서 하게 되고, 나 보다 훨씬 나이가 많으신 분이다 이렇게 생각하니까 조심하게 되는 부분도 많 이 있죠. (G참여장애인1) 왜냐하면 장애인들이기 때문에 이쪽에서는 완전히 배려를 바탕으로 하고 해야 되고, 반복이에요. 생각하는 게 금방 가르쳐줘도 조금 있으면 다시 잊어버리기 때문에 아주 반복학습을 해야 되는 입장이기 때문에 여기서 일하시는 분들이 대단하다 하는 것을 느꼈어요. (G참여노인2) 지금은 굉장히 융화가 잘되어 있고, 계속해서 실버 분들 영역을 좀 넓혀가야 되지 않나하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저희가 실버 어르신들 10명 정도 늘릴 생각을 하고 있는데, 기증센터에 기증 접수 받는 곳이라든지, 아까 1차 분류하는데도 좀 더 인원을 늘려야 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고요. (G사무 국장) ・ 장애인에게 함부로 하는 노인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장애인 이해교육 필요 장애인을 위한 고용시설이므로 장애인을 섬기는 마음으로 일하기를 당부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그러한 것을 기정사실로 잘 받아들이고 일함.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69 처음에 남자 실버어르신들 이렇게 같이 일을 할 때면, 더러 장애인들에 대해서 함부로 대하시는 것도 있었고, (G원장) 자기를 버리라고 하고 싶어요.. 자기 고집을 버리라는게, 상황판단을 잘 해야 하는 것이죠...여기 오시는 분들은 대부분 잘 하시는 것 같아요. 살아온 경력이 있으니까... (노인2) 자기 나이를 판단해서 눈높이를 낮춰가지고 거기에 생활에 만족을 느껴야 돼 요. 옛날에 저쨌는데 이런 식이면 못해요. (노인1) -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 제언 ・ 노인 인력 사용에서 정부 등에서 일정 부분을 보조 필요 장애인의 수익보다 상당히 적은 수입을 노인이 취하게 되는 상황이므로, 노인 일자리에 정부에서 일정 부분을 보조하여 최저시급 이상의 시급을 보장할 수 있 도록 하여 노인들의 생활 개선에도 기여하기를 바람. 근데 이 부분들도 실버인력을 쓸 때, 정부나 이런 기관들에서 조금 보조를 해 주면, 그 분들한테 좀 더 가져갈 수 있는 게 있을 것 같은데, 저희가 그냥 최저 시급으로 쓰고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 장애인의 직업훈련 목적과 배치되게 노인이 먼저 과업을 완수해버리는 문제에 대해서 중간관리자가 장애인에 대해 노인에게 이해시키고, 장애인이 우선적으 로 직무를 수행하는 원칙을 노인에게 주지시킴. 초기에는 실버 어르신들이 장애인들이 느리고 더디니까, 당신이 알아서 하셨 는데,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일단 장애인들이 우선이다. 라고 지속적으로 매 니저가 가르쳤습니다. 이제는 이해를 잘 하시고요 (G원장)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70 3. 서울시 I기관 사례 □ 서울시 I기관 개요 ○ 설립연도 - 2007년 IT산업 분야의 새로운 일자리 개척을 위해 특수학교인 육영학교 졸업생 (지적장애, 자폐성장애인)들을 주축으로 설립, 초기에는 전자기타 부품 임가공업 ○ 시설현황 - 3층(100여평) 임가공작업장, 프로그램실, 행정사무실, 사랑의 PC보내기 운동 본부 등 ○ 인력현황 - 총 60명(장애인 31명, 노인 9명, 종사자 3명, 비장애인 7명, 자원봉사자 10명) ○ 직무현황 ・ 장애인의 직무-임가공업, 천연비누, 모기 퇴치 스프레이, 명함첩 생산 ・ 노인의 직무-임가공업 □ 서울시 I기관 사례조사 분석 결과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 경험 - 노인·장애인에게 일의 의미 ・ 노인에게 일은 노동의 개념보다는 장애인들을 위해 봉사하고 사회에서 하는 복 지사업을 돕는다는 의미가 있으며, 적은 금액이지만 생활에 보탬이 되며, 일자 리를 통해 즐거움과 보람을 느낌. 여기도 좋고 우리도 좋고 우리는 건강도 좋고 돈도 좋지만 일도 도와주면 좋다 하더만... (I참여노인3) 노인들에 입장에서 보면 틀림없이 20만원이라는 페이가 그 분들에게 작용을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71 하거든요. 그러다보니까 어떤 분들은 자기가 받으면서도 즐겁게 아이들에게 봉사하는 부분들은 같지만 어떤 분들은 자기가 일하는 시간을 따지세요. 내가 오늘 못하면 내일 2시간 하면 그 다음 2시간하고 그 다음 3시간 그 다음 4시 간 자기 일하라는 시간을 따지는 분들이 계세요. (I대표) 우리는 기초생활 수급자라서 국가에서 20만원 정도 주는 것과 여기서 20만원 정도 버는 것을 합치면 생활에 보탬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큰 돈은 안 되어도 할 일 없이 있는 것보다 장애인들을 돌보고 여기 선생님들 돕는 다는 것에 큰 보람과 기쁨을 느낀다. (I참여노인2) 회사처럼 말이죠, 토요일 일요일은 쉬고 그 안에는 일을 계속 했으면 좋겠어 요. (I참여노인1) 분야별로 일자리가 있잖아요? 노노케어를 일자리를 더하라고 하면 지루해서 못해. 환자들하고 대화들이라... (I참여노인3) ・ 장애인에게 일은 “가치 있는 무엇을 하고 있다”는 의미로서 삶의 가장 중요한 일부라 할 수 있음. 일은 사회참여, 세금 내는 국민의 지위 획득, 경제적 독립 등의 의미도 갖지만, 더 중요한 것은 발달장애인에게 문제행동의 감소, 체력 유 지, 삶에 활력소 부여 등 치료 효과임.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주는 장애인의 일의 의미는 최저임금 적용제외로 받는 저임금으로 ‘소득’의 개념은 약함. 장애 인 스스로 소비능력을 갖고 가족에게 소득으로 도움이 될 수 있음. 첫째. 사회참여도 있고요, 둘째 나도 사회참여 속에 물론 있지만 나도 세금을 내는 사람이라는 부분도 있지만 우리 장애인친구들이 일을 한다는 부분은 삶 의 일부입니다. (I대표) 삶을 살아가는 일부다, 사실 잘 알다시피 일을 하면서 사람에게 얻어지는 이익 이라는 것이 크거든요. 일을 하면서 얻어지는 질병치유의 효과를 보면 그렇기 때문에 ‘삶의 일부다’라는 표현 속에는 여러 가지가 포함되어 있죠. (I대표) 소득력이 너무 약해서 일이 잘 안 되는 친구들이 있어요. 이제 조그만 거라도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70 3. 서울시 I기관 사례 □ 서울시 I기관 개요 ○ 설립연도 - 2007년 IT산업 분야의 새로운 일자리 개척을 위해 특수학교인 육영학교 졸업생 (지적장애, 자폐성장애인)들을 주축으로 설립, 초기에는 전자기타 부품 임가공업 ○ 시설현황 - 3층(100여평) 임가공작업장, 프로그램실, 행정사무실, 사랑의 PC보내기 운동 본부 등 ○ 인력현황 - 총 60명(장애인 31명, 노인 9명, 종사자 3명, 비장애인 7명, 자원봉사자 10명) ○ 직무현황 ・ 장애인의 직무-임가공업, 천연비누, 모기 퇴치 스프레이, 명함첩 생산 ・ 노인의 직무-임가공업 □ 서울시 I기관 사례조사 분석 결과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 경험 - 노인·장애인에게 일의 의미 ・ 노인에게 일은 노동의 개념보다는 장애인들을 위해 봉사하고 사회에서 하는 복 지사업을 돕는다는 의미가 있으며, 적은 금액이지만 생활에 보탬이 되며, 일자 리를 통해 즐거움과 보람을 느낌. 여기도 좋고 우리도 좋고 우리는 건강도 좋고 돈도 좋지만 일도 도와주면 좋다 하더만... (I참여노인3) 노인들에 입장에서 보면 틀림없이 20만원이라는 페이가 그 분들에게 작용을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71 하거든요. 그러다보니까 어떤 분들은 자기가 받으면서도 즐겁게 아이들에게 봉사하는 부분들은 같지만 어떤 분들은 자기가 일하는 시간을 따지세요. 내가 오늘 못하면 내일 2시간 하면 그 다음 2시간하고 그 다음 3시간 그 다음 4시 간 자기 일하라는 시간을 따지는 분들이 계세요. (I대표) 우리는 기초생활 수급자라서 국가에서 20만원 정도 주는 것과 여기서 20만원 정도 버는 것을 합치면 생활에 보탬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큰 돈은 안 되어도 할 일 없이 있는 것보다 장애인들을 돌보고 여기 선생님들 돕는 다는 것에 큰 보람과 기쁨을 느낀다. (I참여노인2) 회사처럼 말이죠, 토요일 일요일은 쉬고 그 안에는 일을 계속 했으면 좋겠어 요. (I참여노인1) 분야별로 일자리가 있잖아요? 노노케어를 일자리를 더하라고 하면 지루해서 못해. 환자들하고 대화들이라... (I참여노인3) ・ 장애인에게 일은 “가치 있는 무엇을 하고 있다”는 의미로서 삶의 가장 중요한 일부라 할 수 있음. 일은 사회참여, 세금 내는 국민의 지위 획득, 경제적 독립 등의 의미도 갖지만, 더 중요한 것은 발달장애인에게 문제행동의 감소, 체력 유 지, 삶에 활력소 부여 등 치료 효과임.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주는 장애인의 일의 의미는 최저임금 적용제외로 받는 저임금으로 ‘소득’의 개념은 약함. 장애 인 스스로 소비능력을 갖고 가족에게 소득으로 도움이 될 수 있음. 첫째. 사회참여도 있고요, 둘째 나도 사회참여 속에 물론 있지만 나도 세금을 내는 사람이라는 부분도 있지만 우리 장애인친구들이 일을 한다는 부분은 삶 의 일부입니다. (I대표) 삶을 살아가는 일부다, 사실 잘 알다시피 일을 하면서 사람에게 얻어지는 이익 이라는 것이 크거든요. 일을 하면서 얻어지는 질병치유의 효과를 보면 그렇기 때문에 ‘삶의 일부다’라는 표현 속에는 여러 가지가 포함되어 있죠. (I대표) 소득력이 너무 약해서 일이 잘 안 되는 친구들이 있어요. 이제 조그만 거라도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72 청소라도 물건을 나르는 걸 통해서 자기가 일을 하고 있다는 것, 그것이 삶의 일부라는 것을 알려주는 부분이 필요하다. 내가 사고 싶은 것 사고, 어머니 생 신 때 선물도 사고... (I참여장애인1)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형태 - 노인·장애인 협업의 배경 ・ 노인복지관의 요청과 구청의 연계로 협업사회적일자리 생성 노인복지관의 노인일자리 사업 중 노인을 파견하는 기관으로 I기관 요청함.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기관 인력 부족의 문제해결을 위해 해당구청이 지역에서 중증자폐성장애인이 가장 많이 일하고 있는 I기관과 연계통로가 됨. 노인복지관으로 부터 요청이 와서 연계되었습니다. 두 가지 경로였는데요. 하 나는 구청에서 그런 사업이 있다는 것을 알았고 동시에 노인복지관에서 요청 이 왔어요. 우리 노인들이 가서 일할 수 있느냐는 요청이 왔을 때 흔쾌히 받아 들었죠.. (I대표) - 노인·장애인 협업 형태 ・ 장애인은 주 40시간 근무의 계약직으로 일하고 있으며, 4대 보험 가입으로 근 로자의 지위를 갖지만 임금은 최저임금 제외를 적용받고 있음. ・ 노인은 주당 12시간 근무(주3일, 하루 4시간), 월 20만원 수준의 임금을 받으 며, 4대 보험 무가입이며, 노인일자리 참여자 지위임. ・ 노인은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장애인이 주로 작업하고 있는 임가공업에 장애 인과 함께 같은 작업에 투입되며, 노인은 조장의 역할을 담당함. ○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단점 -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점 ・ 노인들이 장애인이 하는 일에 투입되면서 주로 장애인들이 하지 못하는 일들을 담당하는데, 하자를 검수하거나 복잡한 공정을 담당하여 완성도를 높이며, 장 애인의 작업을 독려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함.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73 여기가 장애인일자리인데, 그것은 미흡한 것이 있으면 장애인들보다 조금 더 낫게 일할 수 있으니까 그것을 같이 도와주는 그렇게 보면 되죠. (I참여노인2) 안 바쁠 때는 우리가 하는데 바쁠 때 도와주니까 좋죠...일을 빨리할 수 있어서 좋아요 (I참여장애인1) 장애인들이 셀 줄 몰라... 늙어서도 똑똑하거든..우리는 추진을 잘 하잖아요. (I 참여노인2) 주로 노인 분들이 많이 하시는 일은 장애인들이 하는 일들을 같이 옆에서 하시 면서 장애인들이 특히 발달장애인들이 하지 못하는 일들을 하고 있습니다. 같 은 공정이라고 하더라도 중간에 못하는 공정을 옆에서 도와주고 장애인이 할 수 있는 공정을 못할 경우에는 한 공정이라도 빠지면 못하는데 노인분이 도와 주면서 그 공정을 같이 마무리 할 수 있고 그것이 흠이 없이 하자 없이 잘됐는 지 안됐는지를 노인분이 봐주실 수 있으니까 하는 분들이 있고요. 일을 안 하 고 그런 부분을 찾아서 넣어줄 수 있는 부분하고 일을 알려고 하는 아이들과 일을 안 하려고 하는 친구들에게 일을 할 수 있게 독려고 해주고 그런 부분들 이 상당히 필요해서 노인들이 이 과정이 있어야 되겠다. (I원장) ・ 협업 과정에서 노인 특유의 여유로움과 사교성, 유머와 위트로 밝은 분위기를 조성하여 작업의 능률을 높이고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기회와 사회성 증대에 긍 정적 역할을 함. 발달장애인특성상 대화하는 노인 분들이 옆에서 사랑으로 이야기를 해줄 수 있는 것들, 사랑으로 대화를 통해서 작업하는 과정에도 대화가 끊이지 않는다 는 것, 발달장애인들 특히 장애인들이 일을 하다가 보면 일하는 과정에서 일에 만 몰입하면 그냥 일만하죠. 근데 우리 사회성이라는 게 일하는 과정에서도 대 화도 하고 일하는 과정에서도 서로 질문하고 또 마음을 곧 내놓기도 하고 하 죠. 노인분들하고 장애인들하고 일을 하면서 그런 부분들이 오갈 수 있도록 해 주는 거죠. 발달장애인들이 표현을 다 못할 수도 있지만 노인들은 그 부분을 표현할 수 있도록 끌어내 줄 수도 있고... (I원장)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72 청소라도 물건을 나르는 걸 통해서 자기가 일을 하고 있다는 것, 그것이 삶의 일부라는 것을 알려주는 부분이 필요하다. 내가 사고 싶은 것 사고, 어머니 생 신 때 선물도 사고... (I참여장애인1)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형태 - 노인·장애인 협업의 배경 ・ 노인복지관의 요청과 구청의 연계로 협업사회적일자리 생성 노인복지관의 노인일자리 사업 중 노인을 파견하는 기관으로 I기관 요청함.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기관 인력 부족의 문제해결을 위해 해당구청이 지역에서 중증자폐성장애인이 가장 많이 일하고 있는 I기관과 연계통로가 됨. 노인복지관으로 부터 요청이 와서 연계되었습니다. 두 가지 경로였는데요. 하 나는 구청에서 그런 사업이 있다는 것을 알았고 동시에 노인복지관에서 요청 이 왔어요. 우리 노인들이 가서 일할 수 있느냐는 요청이 왔을 때 흔쾌히 받아 들었죠.. (I대표) - 노인·장애인 협업 형태 ・ 장애인은 주 40시간 근무의 계약직으로 일하고 있으며, 4대 보험 가입으로 근 로자의 지위를 갖지만 임금은 최저임금 제외를 적용받고 있음. ・ 노인은 주당 12시간 근무(주3일, 하루 4시간), 월 20만원 수준의 임금을 받으 며, 4대 보험 무가입이며, 노인일자리 참여자 지위임. ・ 노인은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장애인이 주로 작업하고 있는 임가공업에 장애 인과 함께 같은 작업에 투입되며, 노인은 조장의 역할을 담당함. ○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단점 -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점 ・ 노인들이 장애인이 하는 일에 투입되면서 주로 장애인들이 하지 못하는 일들을 담당하는데, 하자를 검수하거나 복잡한 공정을 담당하여 완성도를 높이며, 장 애인의 작업을 독려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함.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73 여기가 장애인일자리인데, 그것은 미흡한 것이 있으면 장애인들보다 조금 더 낫게 일할 수 있으니까 그것을 같이 도와주는 그렇게 보면 되죠. (I참여노인2) 안 바쁠 때는 우리가 하는데 바쁠 때 도와주니까 좋죠...일을 빨리할 수 있어서 좋아요 (I참여장애인1) 장애인들이 셀 줄 몰라... 늙어서도 똑똑하거든..우리는 추진을 잘 하잖아요. (I 참여노인2) 주로 노인 분들이 많이 하시는 일은 장애인들이 하는 일들을 같이 옆에서 하시 면서 장애인들이 특히 발달장애인들이 하지 못하는 일들을 하고 있습니다. 같 은 공정이라고 하더라도 중간에 못하는 공정을 옆에서 도와주고 장애인이 할 수 있는 공정을 못할 경우에는 한 공정이라도 빠지면 못하는데 노인분이 도와 주면서 그 공정을 같이 마무리 할 수 있고 그것이 흠이 없이 하자 없이 잘됐는 지 안됐는지를 노인분이 봐주실 수 있으니까 하는 분들이 있고요. 일을 안 하 고 그런 부분을 찾아서 넣어줄 수 있는 부분하고 일을 알려고 하는 아이들과 일을 안 하려고 하는 친구들에게 일을 할 수 있게 독려고 해주고 그런 부분들 이 상당히 필요해서 노인들이 이 과정이 있어야 되겠다. (I원장) ・ 협업 과정에서 노인 특유의 여유로움과 사교성, 유머와 위트로 밝은 분위기를 조성하여 작업의 능률을 높이고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기회와 사회성 증대에 긍 정적 역할을 함. 발달장애인특성상 대화하는 노인 분들이 옆에서 사랑으로 이야기를 해줄 수 있는 것들, 사랑으로 대화를 통해서 작업하는 과정에도 대화가 끊이지 않는다 는 것, 발달장애인들 특히 장애인들이 일을 하다가 보면 일하는 과정에서 일에 만 몰입하면 그냥 일만하죠. 근데 우리 사회성이라는 게 일하는 과정에서도 대 화도 하고 일하는 과정에서도 서로 질문하고 또 마음을 곧 내놓기도 하고 하 죠. 노인분들하고 장애인들하고 일을 하면서 그런 부분들이 오갈 수 있도록 해 주는 거죠. 발달장애인들이 표현을 다 못할 수도 있지만 노인들은 그 부분을 표현할 수 있도록 끌어내 줄 수도 있고... (I원장)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74 ・ 노인들이 트로트 등 노동요를 부르면 장애인이 노래를 따라 부르거나 춤을 추 는 등으로 작업분위기를 밝게 하며 단순작업에 재미를 부여함. 저희가 일하면서 장애인들보면서 같이 하다못해 노래를 해도 같이 흥미롭게 할 수 있고... (I참여노인2) 어르신과 함께 일하면 재미있어요. (I참여장애인2) 어르신이 오셔서 예전 우리들만 할 때보다 재미있어진 것은 맞아요...어르신들 은 노래부르고 00이는 춤을 추고...장끼자랑도 하고 (I참여장애인1) 분업이 되니까 작업량도 많아지고 빨라지고... 장애인들이 어려웠던 업무를 대 신 해주다보니까... (I팀장) ・ 노인이 하기에 적합한 수준의 일이라 자신감 있게 할 수 있음. 다른 노인일자리 에 비해 일의 강도는 약하면서 보람을 느끼는 일자리 특성으로 노인들이 계속 일하는 것을 원하고 있음. 복지관보다 훨씬 좋다고 내년에도 똑같이 이곳에서 일하고 싶다고 말씀하셔 요...일정한 작업량이 있고 음악 틀어놓고 같이 이야기 하시고 농담도 주고받 으시고 장애인친구들이랑 같이 노래라든지 가르쳐주시면 굉장히 즐거워하셨나 보더라고요 (I팀장) ・ 기관 차원에서 노인이 자원봉사자 모집에 어려움이 있는데, 노인이 자원봉사자 로서 역할을 대신함. 저희도 외출을 하거나 야외활동을 갈 때 봉사자로 해서 같이 가주시다 보니까 봉사자 모집에 어려움이 없어요. 어르신도 야외 가가서 좋고요 (I팀장)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75 - 노인·장애인 협업에 투입되는 기준 ・ 노인은 복지관을 통해 수동적으로 파견을 받는 입장으로 기준 없으며, 노인복지 관에서도 투입의 기준은 따로 정하고 있지 않고 있음. 노인들 간 정보교환을 통해 자신들이 좋다고 느낀 곳으로 친한 노인을 파견 오도록 하는 경우가 있음. 장애인은 보호작업장 운영규정에 따라 투입되며, 협업 투입 기준은 없음. 노인복지관에서 그냥 보내시는 거 같아요. 사전에 어떤 얘기도 없이 ‘당신은 어디어디로 가라’이정도로 보내시는 것 같아요. 그리고 일부 노인들 보니까 “‘여기가 좋더라’, ‘일하기 좋더라’, ‘이쪽으로 와라’라고 해서 오시는 분들도 계 세요. (I팀장)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성공요인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선행요건 ・ 장애인에 대한 이해, 의사소통 방법 등에 대한 사전교육과 노인의 투입 직무에 대 한 계획 필요함. 노인에게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인식개선 교육이 선행되어야함. 노인들의 사업이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에 준비라기보다는 노인이 왔을 때 우 리가 어떤 일을 부탁하자 라고 접근을 했지, 사전에 일찍 준비하는 거는 없었 습니다. (I대표) 처음에는 장애인들과 어르신이 같은 공간에 있는 것을 싫어하셨어요...소리를 지르거나 책상을 치거나 할 때 어르신이 심장이 약하다고 굉장히 놀라시더라 고요. (I팀장) 사전에 철저한 준비가 있었다면 좀 더 체계적인 협업이 될 수 있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이 조금 약했죠. 내년에 만약에 된다면 철저한 분석을 해서 체계적인 회복 관계가 될 수 있도록 해볼까 합니다...사전에 준비가 없이 즉흥적인 생활 에서 이분들이 이렇게 하면 좋겠다. 라는 생각에서 받아들여지다 보니까 사실 체계적인 협업관계를 이룰 수 없어서 좀 더 체계적으로 한다면 치밀한 사전준 비가 있었으면 좋겠다. (I대표)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74 ・ 노인들이 트로트 등 노동요를 부르면 장애인이 노래를 따라 부르거나 춤을 추 는 등으로 작업분위기를 밝게 하며 단순작업에 재미를 부여함. 저희가 일하면서 장애인들보면서 같이 하다못해 노래를 해도 같이 흥미롭게 할 수 있고... (I참여노인2) 어르신과 함께 일하면 재미있어요. (I참여장애인2) 어르신이 오셔서 예전 우리들만 할 때보다 재미있어진 것은 맞아요...어르신들 은 노래부르고 00이는 춤을 추고...장끼자랑도 하고 (I참여장애인1) 분업이 되니까 작업량도 많아지고 빨라지고... 장애인들이 어려웠던 업무를 대 신 해주다보니까... (I팀장) ・ 노인이 하기에 적합한 수준의 일이라 자신감 있게 할 수 있음. 다른 노인일자리 에 비해 일의 강도는 약하면서 보람을 느끼는 일자리 특성으로 노인들이 계속 일하는 것을 원하고 있음. 복지관보다 훨씬 좋다고 내년에도 똑같이 이곳에서 일하고 싶다고 말씀하셔 요...일정한 작업량이 있고 음악 틀어놓고 같이 이야기 하시고 농담도 주고받 으시고 장애인친구들이랑 같이 노래라든지 가르쳐주시면 굉장히 즐거워하셨나 보더라고요 (I팀장) ・ 기관 차원에서 노인이 자원봉사자 모집에 어려움이 있는데, 노인이 자원봉사자 로서 역할을 대신함. 저희도 외출을 하거나 야외활동을 갈 때 봉사자로 해서 같이 가주시다 보니까 봉사자 모집에 어려움이 없어요. 어르신도 야외 가가서 좋고요 (I팀장)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75 - 노인·장애인 협업에 투입되는 기준 ・ 노인은 복지관을 통해 수동적으로 파견을 받는 입장으로 기준 없으며, 노인복지 관에서도 투입의 기준은 따로 정하고 있지 않고 있음. 노인들 간 정보교환을 통해 자신들이 좋다고 느낀 곳으로 친한 노인을 파견 오도록 하는 경우가 있음. 장애인은 보호작업장 운영규정에 따라 투입되며, 협업 투입 기준은 없음. 노인복지관에서 그냥 보내시는 거 같아요. 사전에 어떤 얘기도 없이 ‘당신은 어디어디로 가라’이정도로 보내시는 것 같아요. 그리고 일부 노인들 보니까 “‘여기가 좋더라’, ‘일하기 좋더라’, ‘이쪽으로 와라’라고 해서 오시는 분들도 계 세요. (I팀장)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성공요인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선행요건 ・ 장애인에 대한 이해, 의사소통 방법 등에 대한 사전교육과 노인의 투입 직무에 대 한 계획 필요함. 노인에게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인식개선 교육이 선행되어야함. 노인들의 사업이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에 준비라기보다는 노인이 왔을 때 우 리가 어떤 일을 부탁하자 라고 접근을 했지, 사전에 일찍 준비하는 거는 없었 습니다. (I대표) 처음에는 장애인들과 어르신이 같은 공간에 있는 것을 싫어하셨어요...소리를 지르거나 책상을 치거나 할 때 어르신이 심장이 약하다고 굉장히 놀라시더라 고요. (I팀장) 사전에 철저한 준비가 있었다면 좀 더 체계적인 협업이 될 수 있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이 조금 약했죠. 내년에 만약에 된다면 철저한 분석을 해서 체계적인 회복 관계가 될 수 있도록 해볼까 합니다...사전에 준비가 없이 즉흥적인 생활 에서 이분들이 이렇게 하면 좋겠다. 라는 생각에서 받아들여지다 보니까 사실 체계적인 협업관계를 이룰 수 없어서 좀 더 체계적으로 한다면 치밀한 사전준 비가 있었으면 좋겠다. (I대표)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76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필요 요건 ・ 장애인을 대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투입 초기에 장애인에 대한 막연한 편견 을 갖고 장애인을 대하게 됨노인들에게 장애인에 대해 처음부터 알아서 잘 이 해해주기를 바라는 것은 어려우며, 장애 특성에 대한 교육과 한 시간 정도의 사 전 교감을 통해 이해를 높임. 어려운 점이라고 얘기하긴 뭐한데 노인분들이 장애에 대한 특성을 잘 이해를 잘 못하세요. 사실 그 부분들을 가르쳐 드리죠. 이 아이들은 자폐아이다. 자폐 아이의 특성은 이렇다. 그래서 사전에 노인분들하고 교감을 가지세요. 한 시간 정도 장애에 대한 특성, 장애에 대한 이해 이런 부분들은 사전에 교육을 하고. (I대표) 혹시 아이들에게 섭섭하게 할 수도 있고 예를 든다면 말을 반말을 한다든가 “어디갔어?”, “왜 그래?”, “아니야”이런 식으로 얘기할 수도 있으니까 그런 교육 을 시키지만 그런 부분에 대해서 이해를 돕고, 또 이제 우리가 어린아이들이 갓난아이들이(학교안다니는 애들) 할머니를 대할 때 “할머니 나 이거 사줘”이 렇게 이야기를 하듯이 그런 식으로 아이들을 대해 달라 지적수준이 떨어지니 까 손주처럼 대해주면 그런 부분들이 나쁘지 않을 거다. 사실 그런 부분들이 이게 우리가 교육을 그런 식으로 했는데 지나가면서 그런 부분들을 많이들 이 해들 하세요. 초반에는 그런 부분들이 어려워질 수가 있어요.....지금도 이렇게 보면 말씀을 안 하시는 부분들은 그게 아직까지는 좀 장애인친구들이 좀 이야 기하기가 “내 손주처럼 대하기가 어렵다“ 이런 분들이 계시는 같다는 생각이 든다는 것 같습니다. 제일 애로사항이 있다는 것이 그런 거죠.. (I대표) ・ 장애인들의 대인관계는 정을 느끼면서 소통되지만 노인들이 2~3일 간격을 두고 오시므로 장애인들이 노인들에게 다가가는 방법에서 어려움 있음. 장애인들 입장에서는 어느 부분을 다가가야 될지, 지속적인 관계가 이루어지 지 않으니까 “정이라는 걸 쉽게 붙이지 못하는 것“그런 부분들이 있다고 봐야 죠. 우리발달장애인친구들이 아무리 그래도 여려 행동이나 여러 관계를 통해 서 정을 느끼려고 하는 부분들이거든요. 이분들이 언제 오냐면 일주일에 3번 그것도 오전이나 오후 프로그램 쪽으로 오니까 사실 드문드문 대하거든요. 그 런 과정에서도 일부는 저희들의 의도를 알고 가깝게 대해주지만 일부는 장애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77 인이니까 비장애인들 입장에서는 한발 물러서고 싶다는 마음들이 있잖아요. 그런 노인 분들도 계세요.. (I대표)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에서 노인 선발 기준이 필요함 현재는 노인복지관에서 파견하는 대로 노인이 참여하고 있지만 협업 일자리를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임금을 주고 운영할 경우 노인의 기능, 건강상태, 장애 인에 대한 인식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정하여 할 필요가 있음. 노인에게 보 다 적극적인 요구나 협의를 할 수 있도록 노인 선발 기준을 정하고, 관리하는 방식이 바람직함. 오시는 분들의 연령층이 상당히 높아요. 그리고 실제적으로 거동이 불편하신 분도 계시고 그렇게 때문에 그 부분을 한다면 저희들도 이제 어떤 그 가치와 이 가치를 같이 생각해야 되기 때문에 선발하는 과정이 조금 신중해야 되겠다. 그리고 이제 노인들이 갖고 있는 생각, 장애인들에 대한 생각이 어떤 건지도 생각을 해야 되니까 상당히 신중하게 선발을 해야 되겠다 생각합니다. 노인들 이 진짜로 당신들이 보람을 갖고 있는 할 수 있는 일들을 찾게 하려면 공급하 는 노인파트를 생각하는 것보다는 필요한 장애인파트를 아니면 노인쪽에서 일 을 맞는 장애인을 수용하는 어떤 장애인을 불러온다든가 하는 일을 주관하는 그 쪽에다가 돈을(예산을) 줘서 노인을 뽑든 장애인을 뽑든 협업관계를 이루 게 하는 게 좋지요. (I대표) ○ 노인·장애인 협업 형태와 효과 - 장애인기관이 일자리 운영의 주도권을 가질 때 효율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 며, 서로 장점을 주고받으며 보완하는 관계 설정이 바람직하고, 평가 시 양적 가치와 질적 가치 모두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장애인 기관에서 하는 일에 노인이 투입되는 형식이므로 장애인 기관이 운영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체계화하는 것이 바람직함 물론 노인기관에 줘서 노인 쪽에서 하는 것도 좋아요. 근데 이거를 장애인쪽 기관에다가 줘서 장애인쪽 기관에서 맞는 실제적으로 맞는 노인들과 같이 협 업을 하면 어떻겠냐. 그러면 노인쪽에서 단순하게 이런 말하기에 상당히 왜곡 되게 들려질지 모르는데 그냥 돈을 푸는 사업이 아니고 옛날에 우리 새마을청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76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필요 요건 ・ 장애인을 대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투입 초기에 장애인에 대한 막연한 편견 을 갖고 장애인을 대하게 됨노인들에게 장애인에 대해 처음부터 알아서 잘 이 해해주기를 바라는 것은 어려우며, 장애 특성에 대한 교육과 한 시간 정도의 사 전 교감을 통해 이해를 높임. 어려운 점이라고 얘기하긴 뭐한데 노인분들이 장애에 대한 특성을 잘 이해를 잘 못하세요. 사실 그 부분들을 가르쳐 드리죠. 이 아이들은 자폐아이다. 자폐 아이의 특성은 이렇다. 그래서 사전에 노인분들하고 교감을 가지세요. 한 시간 정도 장애에 대한 특성, 장애에 대한 이해 이런 부분들은 사전에 교육을 하고. (I대표) 혹시 아이들에게 섭섭하게 할 수도 있고 예를 든다면 말을 반말을 한다든가 “어디갔어?”, “왜 그래?”, “아니야”이런 식으로 얘기할 수도 있으니까 그런 교육 을 시키지만 그런 부분에 대해서 이해를 돕고, 또 이제 우리가 어린아이들이 갓난아이들이(학교안다니는 애들) 할머니를 대할 때 “할머니 나 이거 사줘”이 렇게 이야기를 하듯이 그런 식으로 아이들을 대해 달라 지적수준이 떨어지니 까 손주처럼 대해주면 그런 부분들이 나쁘지 않을 거다. 사실 그런 부분들이 이게 우리가 교육을 그런 식으로 했는데 지나가면서 그런 부분들을 많이들 이 해들 하세요. 초반에는 그런 부분들이 어려워질 수가 있어요.....지금도 이렇게 보면 말씀을 안 하시는 부분들은 그게 아직까지는 좀 장애인친구들이 좀 이야 기하기가 “내 손주처럼 대하기가 어렵다“ 이런 분들이 계시는 같다는 생각이 든다는 것 같습니다. 제일 애로사항이 있다는 것이 그런 거죠.. (I대표) ・ 장애인들의 대인관계는 정을 느끼면서 소통되지만 노인들이 2~3일 간격을 두고 오시므로 장애인들이 노인들에게 다가가는 방법에서 어려움 있음. 장애인들 입장에서는 어느 부분을 다가가야 될지, 지속적인 관계가 이루어지 지 않으니까 “정이라는 걸 쉽게 붙이지 못하는 것“그런 부분들이 있다고 봐야 죠. 우리발달장애인친구들이 아무리 그래도 여려 행동이나 여러 관계를 통해 서 정을 느끼려고 하는 부분들이거든요. 이분들이 언제 오냐면 일주일에 3번 그것도 오전이나 오후 프로그램 쪽으로 오니까 사실 드문드문 대하거든요. 그 런 과정에서도 일부는 저희들의 의도를 알고 가깝게 대해주지만 일부는 장애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77 인이니까 비장애인들 입장에서는 한발 물러서고 싶다는 마음들이 있잖아요. 그런 노인 분들도 계세요.. (I대표)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에서 노인 선발 기준이 필요함 현재는 노인복지관에서 파견하는 대로 노인이 참여하고 있지만 협업 일자리를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임금을 주고 운영할 경우 노인의 기능, 건강상태, 장애 인에 대한 인식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정하여 할 필요가 있음. 노인에게 보 다 적극적인 요구나 협의를 할 수 있도록 노인 선발 기준을 정하고, 관리하는 방식이 바람직함. 오시는 분들의 연령층이 상당히 높아요. 그리고 실제적으로 거동이 불편하신 분도 계시고 그렇게 때문에 그 부분을 한다면 저희들도 이제 어떤 그 가치와 이 가치를 같이 생각해야 되기 때문에 선발하는 과정이 조금 신중해야 되겠다. 그리고 이제 노인들이 갖고 있는 생각, 장애인들에 대한 생각이 어떤 건지도 생각을 해야 되니까 상당히 신중하게 선발을 해야 되겠다 생각합니다. 노인들 이 진짜로 당신들이 보람을 갖고 있는 할 수 있는 일들을 찾게 하려면 공급하 는 노인파트를 생각하는 것보다는 필요한 장애인파트를 아니면 노인쪽에서 일 을 맞는 장애인을 수용하는 어떤 장애인을 불러온다든가 하는 일을 주관하는 그 쪽에다가 돈을(예산을) 줘서 노인을 뽑든 장애인을 뽑든 협업관계를 이루 게 하는 게 좋지요. (I대표) ○ 노인·장애인 협업 형태와 효과 - 장애인기관이 일자리 운영의 주도권을 가질 때 효율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 며, 서로 장점을 주고받으며 보완하는 관계 설정이 바람직하고, 평가 시 양적 가치와 질적 가치 모두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장애인 기관에서 하는 일에 노인이 투입되는 형식이므로 장애인 기관이 운영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체계화하는 것이 바람직함 물론 노인기관에 줘서 노인 쪽에서 하는 것도 좋아요. 근데 이거를 장애인쪽 기관에다가 줘서 장애인쪽 기관에서 맞는 실제적으로 맞는 노인들과 같이 협 업을 하면 어떻겠냐. 그러면 노인쪽에서 단순하게 이런 말하기에 상당히 왜곡 되게 들려질지 모르는데 그냥 돈을 푸는 사업이 아니고 옛날에 우리 새마을청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78 소, 영세민들 그분들이 무슨 일이 하는 게 중요하는 게 아니라 그분들이 대한 지원하다가 그냥 지원해주지 않고 돈을 준다. 생계비를 지원해 준다. 이런 뜻 이잖아요. 노인들한테는 그런 일이 안 됐으면 좋겠다. (I대표) ・ 협업 참여 유형인 장애인과 노인이 필요한 것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체계 화 될 필요 있음. 장애인한테 필요한 것을 노인한테 받아오고, 노인한테 필요한 것을 장애인한테 받아오고 이렇게 해야 되는 협업을 해야 더 강해지지 내 꺼를 그냥 주고 이렇게 되면 이게 강해질 수 없고 뺏어 와서 일을 하면 일이 강해지거든요. (I대표) 분명히 협업을 하면 장애인이 모자라는 부분, 노인이 모자라는 부분을 “서로 가져올 수 있지 않겠느냐” 내가 누구를 도와주는 측면보다는 가져와서 나를 살 려보자는 측면에서 생각한다면 (I대표) ・ 협업 일자리 개발에 있어서 평가기준은 양적 가치와 질적 가치가 모두 고려되 어야 함. 협업하려고 하는 목적이 현물적인 가치를 얻어낼 거냐, 정신적인 가치를 중시 할 거냐 라는 부분들의 비중의 있을 텐데, 분명한 거는 “두 가지를 다 추구해야 된다. 발달장애인측면에서는 전적인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부분들, 그 리고 사회에 한 일원으로써 우리에게 장애인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는 부분 들 정신적인 도움(정서적 도움 아니고), 일의 양적인 도움(작업의 양적인 도 움)을 줄 수 있다는 부분에서 장애인들이 하지 못하는 것들을 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는 어떤 도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장애인들이 혜택이 크 다. (I 대표) ・ 노인에 대한 대우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한다면 가치와 생산성을 따졌을 때 개 발 가능성이 있음. 사실 작업이라는 부분들은 저희 입장에서 보면 작업이라는 부분은 그렇게 큰 비중은 아닌 것 같아요? 왜냐하면 하루 종일 4시간 해봐야 몇 천원벌이 밖에 안 돼요(1인당).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79 만약에 이분들을 우리가 고용을 해서 같이 협업을 한다고 하면 비중이 그쪽보 다는 작업 쪽으로 많이 봐야 되겠죠. 그러면 전자에 얻어지는(전자에서 기대하 는 효과)포괄적으로 가치는 조금 떨어질 수는 있죠. 그러나 협업한다면 괜찮겠 다고 생각합니다. (I대표) ・ 노인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고 보람있고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일자리 개발 필 요하며, 장애인과의 협업 일자리는 노인에게 일하는 즐거움과 보람, 건강을 주 므로 적합함. 참 필요하고, 사랑하고 굉장히 행복하고요, 앞으로도 이런 일자리를 마련해서 우리 노인들한테 해줬으면 고맙고 바라는 마음입니다. (노인 2) 노인들한테 큰 저거보다는 노인들의 삶이죠 이것이. 삶인데 건강과 더불어 또 금전적 도움과 하는 일이 누구한테 도움을 준다는 것에 더더욱 애착을 느끼고 반가운 일이고 고마운 일이죠. (노인3) 3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분석결과 □ 사례조사 대상기관의 노인·장애인 협업 형태 ○ 사례조사 대상기관의 협업형태는 <표4-4>와 같음 - 참여자 ・ 노인 : D노인복지관과 I센터는 노인일자리지원사업 참여자이며, G기관은 일반 노인임. ・ 장애인 : 3개 기관모두 발달장애인이었으며, G기관에는 발달장애인과 정신장 애인이 있음. - 협업의 배경 및 진행현황 ・ D노인복지관 : 지역사회연계 사업으로 진행되었으나, 현재 종료됨. ・ G기관 : 당초 지역사회의 시니어클럽과의 연계였으나, 지역노인복지관의 시니 어클럽에서 사업이 종료되어 현재 G기관 자체 운영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78 소, 영세민들 그분들이 무슨 일이 하는 게 중요하는 게 아니라 그분들이 대한 지원하다가 그냥 지원해주지 않고 돈을 준다. 생계비를 지원해 준다. 이런 뜻 이잖아요. 노인들한테는 그런 일이 안 됐으면 좋겠다. (I대표) ・ 협업 참여 유형인 장애인과 노인이 필요한 것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체계 화 될 필요 있음. 장애인한테 필요한 것을 노인한테 받아오고, 노인한테 필요한 것을 장애인한테 받아오고 이렇게 해야 되는 협업을 해야 더 강해지지 내 꺼를 그냥 주고 이렇게 되면 이게 강해질 수 없고 뺏어 와서 일을 하면 일이 강해지거든요. (I대표) 분명히 협업을 하면 장애인이 모자라는 부분, 노인이 모자라는 부분을 “서로 가져올 수 있지 않겠느냐” 내가 누구를 도와주는 측면보다는 가져와서 나를 살 려보자는 측면에서 생각한다면 (I대표) ・ 협업 일자리 개발에 있어서 평가기준은 양적 가치와 질적 가치가 모두 고려되 어야 함. 협업하려고 하는 목적이 현물적인 가치를 얻어낼 거냐, 정신적인 가치를 중시 할 거냐 라는 부분들의 비중의 있을 텐데, 분명한 거는 “두 가지를 다 추구해야 된다. 발달장애인측면에서는 전적인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부분들, 그 리고 사회에 한 일원으로써 우리에게 장애인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는 부분 들 정신적인 도움(정서적 도움 아니고), 일의 양적인 도움(작업의 양적인 도 움)을 줄 수 있다는 부분에서 장애인들이 하지 못하는 것들을 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는 어떤 도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장애인들이 혜택이 크 다. (I 대표) ・ 노인에 대한 대우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한다면 가치와 생산성을 따졌을 때 개 발 가능성이 있음. 사실 작업이라는 부분들은 저희 입장에서 보면 작업이라는 부분은 그렇게 큰 비중은 아닌 것 같아요? 왜냐하면 하루 종일 4시간 해봐야 몇 천원벌이 밖에 안 돼요(1인당).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79 만약에 이분들을 우리가 고용을 해서 같이 협업을 한다고 하면 비중이 그쪽보 다는 작업 쪽으로 많이 봐야 되겠죠. 그러면 전자에 얻어지는(전자에서 기대하 는 효과)포괄적으로 가치는 조금 떨어질 수는 있죠. 그러나 협업한다면 괜찮겠 다고 생각합니다. (I대표) ・ 노인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고 보람있고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일자리 개발 필 요하며, 장애인과의 협업 일자리는 노인에게 일하는 즐거움과 보람, 건강을 주 므로 적합함. 참 필요하고, 사랑하고 굉장히 행복하고요, 앞으로도 이런 일자리를 마련해서 우리 노인들한테 해줬으면 고맙고 바라는 마음입니다. (노인 2) 노인들한테 큰 저거보다는 노인들의 삶이죠 이것이. 삶인데 건강과 더불어 또 금전적 도움과 하는 일이 누구한테 도움을 준다는 것에 더더욱 애착을 느끼고 반가운 일이고 고마운 일이죠. (노인3) 3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분석결과 □ 사례조사 대상기관의 노인·장애인 협업 형태 ○ 사례조사 대상기관의 협업형태는 <표4-4>와 같음 - 참여자 ・ 노인 : D노인복지관과 I센터는 노인일자리지원사업 참여자이며, G기관은 일반 노인임. ・ 장애인 : 3개 기관모두 발달장애인이었으며, G기관에는 발달장애인과 정신장 애인이 있음. - 협업의 배경 및 진행현황 ・ D노인복지관 : 지역사회연계 사업으로 진행되었으나, 현재 종료됨. ・ G기관 : 당초 지역사회의 시니어클럽과의 연계였으나, 지역노인복지관의 시니 어클럽에서 사업이 종료되어 현재 G기관 자체 운영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80 ・ I센터: 노인복지관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짐. - 급여 ・ 노인 : 급여는 평균 20~30만원임. ・ 장애인 : G기관은 최저시급으로 70~80만원이며 I센터는 20만원정도임. - 채용방법 ・ 노인 : D노인복지관과 G기관은 직접 채용이며, I센터는 노인복지관에서 파견함. ・ 장애인 : D노인복지관은 지역의 특별학교의 실습생으로 추천받음. G기관과 , I 센터는 직업재활시설 장애인 채용기준에 준함. - 직무 ・ D노인복지관 : 노인이 주업무인 바리스타업무를 진행하며 장애인이 보조업무 를 함. ・ G기관 : 장애인과 구분된 직무를 노인이 수행하며 난이도가 높은 업무를 담당함. ・ I센터 : 노인은 장애인 업무를 지도 또는 보완함. <표 Ⅲ-4> 노인·장애인 협업의 형태 D노인복지관 G기관 I센터 협업 일자리 참여노인 일반 노인 (노인일자리지원사업) 일반 노인 기초생활수급자 노인 (노인일자리지원사업)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장애인 발달장애인(학생) 정신장애인, 발달장애인 발달장애인 협업의 배경 시니어클럽사업으로 지역사회 학교와 연계 본래의 가치 실현 당초 계획에는 시니어클럽과 연계사업 노인복지관의 요청에 의해 진행현황 협업사회적일자리진행 종료4) 시니어클럽의 사업이 없어져 시설 자체 고용5) 노인일자리지원사업 파견 실시 노인 월임금수준 평균30만원 평균30만원 평균 20만원 장애인 월임금수준 - 최저시급(평균70~80만원) 평균 20만원 노인 채용 방법 시니어클럽 채용 면접을 거쳐 직접 채용 노인 복지관에서 파견, 면접 없음 장애인 채용 방법 장애인복지일자리 직업재활시설 장애인채용 기준에 준함 직업재활시설 장애인채용 기준에 준함 직무 노인이 바리스타 업무를 수행하고 장애인의 보조업무 장애인과 구분된 직무 노인은 장애인이 하기에 난이도가 높은 업무 담당 노인은 장애인의 업무를 지도, 보완 4) D복지관은 특수학교 실습생이 취업하게 되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으며 2016년 사업운영 예정 5) 지역노인복지관의 시니어클럽의 사업종료에 따라 노인고용이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에서 일반고용으로 전환됨.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81 대 주제 세부 주제 주제어 노인·장애인 협업일자리 참여 경험 노인과 장애인에게 일의 의미 보람 있는 여가활동(노인) 삶 그 자체(장애인) 사회봉사, 사회에 기여 존재감과 성취감 획득 기회 생활의 활력소 노인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지적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두려움 불쌍하고 안쓰러운 장애인 자기이익에 적극적인 장애인 자기 주도적이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장 애인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내용분석 결과 ○ 노인·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의 내용분석은 4개의 대주제와 13개 의 세부주제로 분류함.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경험 ・ 노인과장애인이 협업사회적일자리에 참여하면서 얻어지는 경험을 내용분석하 여 세부주제로 일의 의미, 노인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협업사회적일자리 형태 등을 분류함. 장애인의 노인에 대한 인식은 장애인 당사자 인터뷰로 내용을 추 출하기 어려웠음.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형태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 생성배경과 협업형태, 근무조건, 선발기준 에 대한 세부주제를 선정함. -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단점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함에 있어서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였음. 장점의 핵심적 인 주제어는 사회통합, 보완, 사회기여 등이었으며, 단점의 주제어는 의존성, 노 인의 성향과 장애에 대한 편견으로 적응방애 등이 있음.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요인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선행요건, 협업이 가능한 일 자리, 협업사회적일자리의 필요한 요건과 지원,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한계 등의 내용을 추출함. <표 Ⅲ-5>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의미와 성공요인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80 ・ I센터: 노인복지관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짐. - 급여 ・ 노인 : 급여는 평균 20~30만원임. ・ 장애인 : G기관은 최저시급으로 70~80만원이며 I센터는 20만원정도임. - 채용방법 ・ 노인 : D노인복지관과 G기관은 직접 채용이며, I센터는 노인복지관에서 파견함. ・ 장애인 : D노인복지관은 지역의 특별학교의 실습생으로 추천받음. G기관과 , I 센터는 직업재활시설 장애인 채용기준에 준함. - 직무 ・ D노인복지관 : 노인이 주업무인 바리스타업무를 진행하며 장애인이 보조업무 를 함. ・ G기관 : 장애인과 구분된 직무를 노인이 수행하며 난이도가 높은 업무를 담당함. ・ I센터 : 노인은 장애인 업무를 지도 또는 보완함. <표 Ⅲ-4> 노인·장애인 협업의 형태 D노인복지관 G기관 I센터 협업 일자리 참여노인 일반 노인 (노인일자리지원사업) 일반 노인 기초생활수급자 노인 (노인일자리지원사업)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장애인 발달장애인(학생) 정신장애인, 발달장애인 발달장애인 협업의 배경 시니어클럽사업으로 지역사회 학교와 연계 본래의 가치 실현 당초 계획에는 시니어클럽과 연계사업 노인복지관의 요청에 의해 진행현황 협업사회적일자리진행 종료4) 시니어클럽의 사업이 없어져 시설 자체 고용5) 노인일자리지원사업 파견 실시 노인 월임금수준 평균30만원 평균30만원 평균 20만원 장애인 월임금수준 - 최저시급(평균70~80만원) 평균 20만원 노인 채용 방법 시니어클럽 채용 면접을 거쳐 직접 채용 노인 복지관에서 파견, 면접 없음 장애인 채용 방법 장애인복지일자리 직업재활시설 장애인채용 기준에 준함 직업재활시설 장애인채용 기준에 준함 직무 노인이 바리스타 업무를 수행하고 장애인의 보조업무 장애인과 구분된 직무 노인은 장애인이 하기에 난이도가 높은 업무 담당 노인은 장애인의 업무를 지도, 보완 4) D복지관은 특수학교 실습생이 취업하게 되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으며 2016년 사업운영 예정 5) 지역노인복지관의 시니어클럽의 사업종료에 따라 노인고용이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에서 일반고용으로 전환됨.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81 대 주제 세부 주제 주제어 노인·장애인 협업일자리 참여 경험 노인과 장애인에게 일의 의미 보람 있는 여가활동(노인) 삶 그 자체(장애인) 사회봉사, 사회에 기여 존재감과 성취감 획득 기회 생활의 활력소 노인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지적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두려움 불쌍하고 안쓰러운 장애인 자기이익에 적극적인 장애인 자기 주도적이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장 애인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내용분석 결과 ○ 노인·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의 내용분석은 4개의 대주제와 13개 의 세부주제로 분류함.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경험 ・ 노인과장애인이 협업사회적일자리에 참여하면서 얻어지는 경험을 내용분석하 여 세부주제로 일의 의미, 노인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협업사회적일자리 형태 등을 분류함. 장애인의 노인에 대한 인식은 장애인 당사자 인터뷰로 내용을 추 출하기 어려웠음.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형태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 생성배경과 협업형태, 근무조건, 선발기준 에 대한 세부주제를 선정함. -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단점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함에 있어서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였음. 장점의 핵심적 인 주제어는 사회통합, 보완, 사회기여 등이었으며, 단점의 주제어는 의존성, 노 인의 성향과 장애에 대한 편견으로 적응방애 등이 있음.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요인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선행요건, 협업이 가능한 일 자리, 협업사회적일자리의 필요한 요건과 지원,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한계 등의 내용을 추출함. <표 Ⅲ-5>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의미와 성공요인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82 대 주제 세부 주제 주제어 노인이 인식하는 장애인과의 협업 경험 노인이 중심에 있고 장애인이 보조 업무 장애인이 할 수 없는 분야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 일자리 형태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 리 배경 노인복지관의 지역사회연계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대한 노인복지관의 요청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 형태 노인일자리지원사업과 장애인복지일자리의 협업 노인일자리지원사업과 장애인 직업재할사업의 협업 일반노인과 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협업 협업의 채용 및 근무조건 노인 : 노인일자리지원사업 기준장애인 : 최저시급, 장애인복지일자리 기준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단점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점 장애인과 노인이 서로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사회통합의 기회 노인은 장애인에게 사회 경험 전수를 통해 사회에 기여 단순작업에 싫증내는 비장애인과 작업에 싫증내지 않는 장애인 특성의 능률적인 결합 노인의 체력적 한계와 장애인의 인지적 한계를 서로 보완 사회적 비용의 절감 노인·장애인 협업의 단점 장애인이 노인에게 일을 맡겨버리는 의존성이 생김 장애인의 규칙성과 반복성에 준한 업무 습득을 노인이 방 해 능률과 효율을 우선하는 노인의 성향과 장애인의 업무 처 리 특성의 조화가 어려움 노인의 장애에 대한 편견이 장애인의 직무 적응을 방해 노인의 술·담배 등 행동을 장애인이 모방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 성공요인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의 선행요건 비장애인(노인·기관종사자)의 장애에 대한 인식 변화 비장애인(노인·기관종사자)의 장애에 대한 이해 교육 장애인 부모들의 자녀 교육과 인식 개선 장애인들에 대한 직업훈련 교육 필요 양 당사자에 대한 성추행·성희롱 예방 교육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의 필요 요건 지속적인 일자리 운영이 가능하도록 경영마인드를 가진 경영자투입 노인과 장애인 특성에 적합한 일자리제공 구체적인 작업 매뉴얼 필요 장애인과 노인참여자간의 확실한 업무 분장이 필요 노인에게 지속적인 장애 이해교육 노인선발기준 필요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를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 장애인의 요양보호 보조가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 장애인 작업 시설 확충 취업한 장애인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중간 기구가 필요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부문별 참여자 제한 요건 완 화 필요(선발인원, 선발기준의 차별화)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내용의 지나친 경직성 노인일자리지원사업의 중도 종료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83 대 주제 세부 주제 주제어 노인·장애인 협업 가능 일자리 공원 관리 화훼농가 취업 요양보호사 보조 노인요양시설의 잡무 보조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에 노인들이 보조 인력으로 투입 장애인 학생 직업훈련장에 노인 강사 파견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82 대 주제 세부 주제 주제어 노인이 인식하는 장애인과의 협업 경험 노인이 중심에 있고 장애인이 보조 업무 장애인이 할 수 없는 분야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 일자리 형태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 리 배경 노인복지관의 지역사회연계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대한 노인복지관의 요청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 형태 노인일자리지원사업과 장애인복지일자리의 협업 노인일자리지원사업과 장애인 직업재할사업의 협업 일반노인과 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협업 협업의 채용 및 근무조건 노인 : 노인일자리지원사업 기준장애인 : 최저시급, 장애인복지일자리 기준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단점 노인·장애인 협업의 장점 장애인과 노인이 서로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사회통합의 기회 노인은 장애인에게 사회 경험 전수를 통해 사회에 기여 단순작업에 싫증내는 비장애인과 작업에 싫증내지 않는 장애인 특성의 능률적인 결합 노인의 체력적 한계와 장애인의 인지적 한계를 서로 보완 사회적 비용의 절감 노인·장애인 협업의 단점 장애인이 노인에게 일을 맡겨버리는 의존성이 생김 장애인의 규칙성과 반복성에 준한 업무 습득을 노인이 방 해 능률과 효율을 우선하는 노인의 성향과 장애인의 업무 처 리 특성의 조화가 어려움 노인의 장애에 대한 편견이 장애인의 직무 적응을 방해 노인의 술·담배 등 행동을 장애인이 모방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 성공요인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의 선행요건 비장애인(노인·기관종사자)의 장애에 대한 인식 변화 비장애인(노인·기관종사자)의 장애에 대한 이해 교육 장애인 부모들의 자녀 교육과 인식 개선 장애인들에 대한 직업훈련 교육 필요 양 당사자에 대한 성추행·성희롱 예방 교육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의 필요 요건 지속적인 일자리 운영이 가능하도록 경영마인드를 가진 경영자투입 노인과 장애인 특성에 적합한 일자리제공 구체적인 작업 매뉴얼 필요 장애인과 노인참여자간의 확실한 업무 분장이 필요 노인에게 지속적인 장애 이해교육 노인선발기준 필요 노인·장애인 협업 일자리를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 장애인의 요양보호 보조가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 장애인 작업 시설 확충 취업한 장애인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중간 기구가 필요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부문별 참여자 제한 요건 완 화 필요(선발인원, 선발기준의 차별화)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내용의 지나친 경직성 노인일자리지원사업의 중도 종료 Ⅲ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사 례 조 사 결 과 83 대 주제 세부 주제 주제어 노인·장애인 협업 가능 일자리 공원 관리 화훼농가 취업 요양보호사 보조 노인요양시설의 잡무 보조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에 노인들이 보조 인력으로 투입 장애인 학생 직업훈련장에 노인 강사 파견

Ⅳ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 방안 1.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의의 2.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성공요인 3.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개발 4.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 5.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기대효과

Ⅳ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 방안 1.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의의 2.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성공요인 3.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개발 4.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 5.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기대효과

Ⅳ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창 출 방 안 87 1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의의 ○ 사회적일자리의 제도적 기반구축 - 취업의 기회를 갖기 어려웠던 중증 신체장애인이나 지적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지원하기 위해 1990년 1월 13일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 - 동 법률은 2000년 이 법 목적을 더욱 구체화하기 위해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 재활법」으로 개정되어 장애인의 직업생활을 통한 인간적 가치 구현을 위한 법적 토대를 구축하였고, 더 나아가 직업재활서비스 기반 조성 및 중증 장애인의 직업재 활 체계구축에 많은 영향을 줌(이선우외5인. 장애유형별 고용현황과 직업재활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 중증장애인도 그들 스스로 배울 수 있고, 그들 자신의 삶을 통제하며 발달시킬 수 있다는 인식 하에 실질적으로 기관고용을 지원하며 직업재활담당자나 직무 지도원에 의해 중증장애인이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고용상태가 유지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 - 노인사회활동지원(일자리지원)사업은 2004년에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사회문 제에 대비하고자 일하기를 희망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일 자리를 창출·제공함으로써 노인 소득창출 및 사회 참여의 기회 제공, 노인문제 예방 및 사회적 비용 절감, 노인인력 활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및 민간참 여 도모, 노인인력 교육 연계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의 목적을 갖고 시작됨. ○ 협업사회적일자리 경험을 대한 노인과 장애인의 삶의 의미 변화 - 중증장애인에게 있어서 일의 의미는 소득창출에 의한 생계유지에 그치지 않고 ⨠⨠Ⅳ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 방안

Ⅳ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창 출 방 안 87 1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의의 ○ 사회적일자리의 제도적 기반구축 - 취업의 기회를 갖기 어려웠던 중증 신체장애인이나 지적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지원하기 위해 1990년 1월 13일 「장애인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 - 동 법률은 2000년 이 법 목적을 더욱 구체화하기 위해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 재활법」으로 개정되어 장애인의 직업생활을 통한 인간적 가치 구현을 위한 법적 토대를 구축하였고, 더 나아가 직업재활서비스 기반 조성 및 중증 장애인의 직업재 활 체계구축에 많은 영향을 줌(이선우외5인. 장애유형별 고용현황과 직업재활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 중증장애인도 그들 스스로 배울 수 있고, 그들 자신의 삶을 통제하며 발달시킬 수 있다는 인식 하에 실질적으로 기관고용을 지원하며 직업재활담당자나 직무 지도원에 의해 중증장애인이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고용상태가 유지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 - 노인사회활동지원(일자리지원)사업은 2004년에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사회문 제에 대비하고자 일하기를 희망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일 자리를 창출·제공함으로써 노인 소득창출 및 사회 참여의 기회 제공, 노인문제 예방 및 사회적 비용 절감, 노인인력 활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및 민간참 여 도모, 노인인력 교육 연계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의 목적을 갖고 시작됨. ○ 협업사회적일자리 경험을 대한 노인과 장애인의 삶의 의미 변화 - 중증장애인에게 있어서 일의 의미는 소득창출에 의한 생계유지에 그치지 않고 ⨠⨠Ⅳ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 방안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88 사회에서 삶을 살아가는 힘의 근원이 됨. ・ 출근자체가 생활의 활력소이며, 동료, 상사, 등과의 관계에서 비장애인과 소통하 고 소득을 통해 경제적 자립의 기회가 제공되어 궁극적으로 삶의 질이 향상됨. ・ 적성에 맞고 다양한 연령층과 함께하는 일은 장애라는 좌절에서 벗어나 안정된 직장에서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삶의 방편이 됨. - 노인에게 일의 의미는 노동의 개념보다는 장애인들을 위해 봉사하고 복지사업 을 돕는다는 인식이 있어 즐거움과 보람이 됨. ・ 삶 자체로 사회에서 역할이 종료된 것 같은 우울감에서 벗어나 일을 통한 사회 참여로 인해 얻어지는 자신에 대한 존재감과 성취감에 있음. ・ 노인에게 일은 존재감, 성취감 등 개인의 정신적 보상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 사회적비용을 감소시키는 요인 으로 작용함. ○ 협업사회적일자리를 통한 인식개선 - 노인과 장애인 상호간의 인식개선 ・ 노인은 협업사회적일자리에 참여하면서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변화를 가져옴. ・ 무서움, 두려움, 안쓰러움 등 편견의 대상인 장애인에 대해 함께 일하면서 이해 와 배려의 대상으로 인식됨. - 협업일자리사업의 담당자와 관련자도 노인과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경험과 따 뜻함이 있는 노인, 일을 하고 싶어하는 장애인으로 인지하게 됨. 2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성공요인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실패사례와 개선책 - 노인의 부적절한 행동을 모방하는 장애인 : 노인선발기준을 조정함 ・ 쉽게 모방하는 특성이 있는 발달장애인이 노인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장 애인에게 문제가 될 수 있는 흡연이나 음주를 따라 함. ・ 노인선발 시 흡연자와 음주자를 배제함. ・ 노인의 고용형태가 일반 고용일 때 가능한 선택사항임. Ⅳ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창 출 방 안 89 - 장애인의 업무를 이해하지 못하는 노인의 편견으로 장애인의 직무적응을 방해 함 : 노인에게 장애와 장애인의 특성을 교육함. ・ 일에 서투른 장애인에게 일을 주지 않고 장애인보다 직무능력이 있는 노인이 모든 일을 처리함. ・ 반복에 의해 업무를 습득해야 하는 장애인에게는 업무습득의 기회가 박탈됨. ・ 장애인이 노인에게 일을 맡겨버림으로 자립성을 잃고 의존성이 강해짐. ・ 노인을 대상으로 업무분장과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교육함. - 장애와 장애인의 이해 부족과 의사표현 방식의 다름에서 오는 오해 : 대화와 교육실시 매장의 경우는 홍보방송을 내보냄. ・ 카페 손님의 표현이 성희롱으로 문제가 된 경우가 있음. ・ 행동이 늦은 장애인에 대해 매장 손님이 불만을 표시한 경우가 있음. ・ 협업하는 노인, 카페 손님, 매장 손님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장애와 장애인에 대 한 인식개선을 실시함.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을 위한 선행요인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으로 일할 때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은 상호간의 이해를 위한 충분한 교육임. ・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분석을 통해 노인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지적장애인 에 대한 편견과 두려움’, ‘불쌍하고 안쓰러운 마음’, ‘주도적이지 못하고 수동적 인 업무처리’ 등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부분이 있음. ・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은 장애와 장애인에 대해 알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사업에 참여하기 전에 참여노인 대상 장애에 대한 이해교육과 인식 개선이 필수적임. 이러한 이해교육은 사업 진행 중에도 지속적으로 필요함. ・ 사업담당자를 위한 노인과 장애인의 이해 교육 필요. - 지속가능한 협업사회적일자리가 되기 위해서는 노인과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 무교육이 선행적으로 실시되어야 함. ・ 장애인의 교육이 습관화되기 위해서는 가정에서 협력이 필요하여 부모의 일자 리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 - 성폭력에 대한 예방교육 ・ 협업사회적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 장애인, 사업담당자 관련자에 대한 성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88 사회에서 삶을 살아가는 힘의 근원이 됨. ・ 출근자체가 생활의 활력소이며, 동료, 상사, 등과의 관계에서 비장애인과 소통하 고 소득을 통해 경제적 자립의 기회가 제공되어 궁극적으로 삶의 질이 향상됨. ・ 적성에 맞고 다양한 연령층과 함께하는 일은 장애라는 좌절에서 벗어나 안정된 직장에서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삶의 방편이 됨. - 노인에게 일의 의미는 노동의 개념보다는 장애인들을 위해 봉사하고 복지사업 을 돕는다는 인식이 있어 즐거움과 보람이 됨. ・ 삶 자체로 사회에서 역할이 종료된 것 같은 우울감에서 벗어나 일을 통한 사회 참여로 인해 얻어지는 자신에 대한 존재감과 성취감에 있음. ・ 노인에게 일은 존재감, 성취감 등 개인의 정신적 보상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 사회적비용을 감소시키는 요인 으로 작용함. ○ 협업사회적일자리를 통한 인식개선 - 노인과 장애인 상호간의 인식개선 ・ 노인은 협업사회적일자리에 참여하면서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변화를 가져옴. ・ 무서움, 두려움, 안쓰러움 등 편견의 대상인 장애인에 대해 함께 일하면서 이해 와 배려의 대상으로 인식됨. - 협업일자리사업의 담당자와 관련자도 노인과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경험과 따 뜻함이 있는 노인, 일을 하고 싶어하는 장애인으로 인지하게 됨. 2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성공요인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실패사례와 개선책 - 노인의 부적절한 행동을 모방하는 장애인 : 노인선발기준을 조정함 ・ 쉽게 모방하는 특성이 있는 발달장애인이 노인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장 애인에게 문제가 될 수 있는 흡연이나 음주를 따라 함. ・ 노인선발 시 흡연자와 음주자를 배제함. ・ 노인의 고용형태가 일반 고용일 때 가능한 선택사항임. Ⅳ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창 출 방 안 89 - 장애인의 업무를 이해하지 못하는 노인의 편견으로 장애인의 직무적응을 방해 함 : 노인에게 장애와 장애인의 특성을 교육함. ・ 일에 서투른 장애인에게 일을 주지 않고 장애인보다 직무능력이 있는 노인이 모든 일을 처리함. ・ 반복에 의해 업무를 습득해야 하는 장애인에게는 업무습득의 기회가 박탈됨. ・ 장애인이 노인에게 일을 맡겨버림으로 자립성을 잃고 의존성이 강해짐. ・ 노인을 대상으로 업무분장과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교육함. - 장애와 장애인의 이해 부족과 의사표현 방식의 다름에서 오는 오해 : 대화와 교육실시 매장의 경우는 홍보방송을 내보냄. ・ 카페 손님의 표현이 성희롱으로 문제가 된 경우가 있음. ・ 행동이 늦은 장애인에 대해 매장 손님이 불만을 표시한 경우가 있음. ・ 협업하는 노인, 카페 손님, 매장 손님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장애와 장애인에 대 한 인식개선을 실시함.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을 위한 선행요인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으로 일할 때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은 상호간의 이해를 위한 충분한 교육임. ・ 협업사회적일자리 사례분석을 통해 노인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지적장애인 에 대한 편견과 두려움’, ‘불쌍하고 안쓰러운 마음’, ‘주도적이지 못하고 수동적 인 업무처리’ 등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부분이 있음. ・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은 장애와 장애인에 대해 알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사업에 참여하기 전에 참여노인 대상 장애에 대한 이해교육과 인식 개선이 필수적임. 이러한 이해교육은 사업 진행 중에도 지속적으로 필요함. ・ 사업담당자를 위한 노인과 장애인의 이해 교육 필요. - 지속가능한 협업사회적일자리가 되기 위해서는 노인과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 무교육이 선행적으로 실시되어야 함. ・ 장애인의 교육이 습관화되기 위해서는 가정에서 협력이 필요하여 부모의 일자 리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 - 성폭력에 대한 예방교육 ・ 협업사회적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 장애인, 사업담당자 관련자에 대한 성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90 폭력 예방교육이 필수적임.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을 위한 필요요인 - 지속적 일자리가 가능하도록 경영마인드를 가진 경력자 투입 ・ 협업사회적일자리는 복지일자리와 구분되며, 일반기업의 일자리와도 구분됨. 사회통합의 가치적 의미와 생산성 담보의 경제적 의미가 있음. 지속가능한 일 자리 유지를 위해서는 경영마인드를 바탕으로 한 운영이 요구됨. - 노인과 장애인의 신체적·정서적 특성에 맞는 일자리 발굴 ・ 취약계층의 일자리는 대부분 상대적으로 기술이 낮고 저임금, 단기고용 등으로 이루어짐. 노인과 장애인이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일자리 예를 들면 카페 요양보 호, 원예 등 신체적․정서적 특성을 고려한 일자리 발굴이 필요함. ・ 장애인은 비장애인이 지루하게 생각하는 단순 · 반복적인 일을 장애인들은 좋 아하고 잘 수행하는데 이러한 장애인의 장점과 능률과 효율을 우선하는 노인의 성향을 살릴 수 있는 일자리 발굴이 필요함. - 구체적인 업무분장과 세밀한 작업메뉴얼 필요 ・ 노인과 장애인 모두 일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는데 통합된 협업(같은 현장에 투입)의 경우, 구체적인 업무분장이 되어있지 않으면 노인과 장애인 그리고 사 업담당자 사이에서 불필요한 소모가 발생함. 특히 장애인은 지속적으로 일을 행하면서 습관화되어야 하는데 노인이 먼저 일을 진행하게 되면 퇴행하는 경우 도 발견됨. ・ 직업재활시설에 노인이 사업담당자 보조역할로 투입되는 경우는 장애인의 일과 노인의 일이 명확히 구분되도록 구체적인 업무분장과 장애인이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세밀한 작업메뉴얼이 작성되어야 함. 3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개발 ○ 노인·장애인 사회적일자리의 유형 - 노인과 장애인의 사회적일자리 유형을 지역사회참여형 유형화 시장형 유형으 로 분류 가능 - 협업사회적일자리는 지역사회참여형 일자리 중 노인의 재능나눔형 일자리와 Ⅳ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창 출 방 안 91 장애인의 케어형일자리영역와 시장형 일자리 중 노인의 창업형일자리에서도 협업사회적일자리 개발이 가능함.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할 수 있는 직종 개발 - 지역특성을 활용한 공원관리 ・ 공원관리 업무는 비교적 단순한 업무로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중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이나, 케어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에 해당함. ・ 노인과 장애인은 함께 업무를 수행하고 노인이 발달장애인의 업무를 약간 지원 함. - 지역특성을 활용한 화훼농가 취업 ・ 화훼농업은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며 체력을 요하는 직종임. ・ 기능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에 속하며, 화훼의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갖춘 노인이 주도적으로 일거리를 수행하며 장애인은 운반, 작업 보조의 일을 수행 함. - 노인요양병원 또는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돌봄(요양보호사), 식당, 세탁실 등 의 업무 보조 ・ 직무에 따라 기능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로 분류될 수 있음. ・ 노인요양병원이나 노인요양시설의 노인돌봄보조 업무는 기능형 협업사회적일 자리 유형으로 전문성을 갖춘 노인의 업무를 발달장애인이 보조함. ・ 식당 또는 세탁실 업무는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와 케어형 협업사회적일 자리 유형임. ・ 체력이 필요하거나 단순한 업무를 발달장애인이 수행하고 노인은 함께 일하면 서 구체적인 행동을 지시하는 역할을 수행함. ・ 급식실에 식판 껴서 옮겨주는 것, 휠체어 옮겨주는 것, 빨래를 노인이 개고 장 애인이 옮기는 것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 직무 개발 - 장애인중심 일자리에 노인이 포함되는 형태 ・ 기능형 협업사회적일자리, 기능중심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케어형 협업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90 폭력 예방교육이 필수적임.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을 위한 필요요인 - 지속적 일자리가 가능하도록 경영마인드를 가진 경력자 투입 ・ 협업사회적일자리는 복지일자리와 구분되며, 일반기업의 일자리와도 구분됨. 사회통합의 가치적 의미와 생산성 담보의 경제적 의미가 있음. 지속가능한 일 자리 유지를 위해서는 경영마인드를 바탕으로 한 운영이 요구됨. - 노인과 장애인의 신체적·정서적 특성에 맞는 일자리 발굴 ・ 취약계층의 일자리는 대부분 상대적으로 기술이 낮고 저임금, 단기고용 등으로 이루어짐. 노인과 장애인이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일자리 예를 들면 카페 요양보 호, 원예 등 신체적․정서적 특성을 고려한 일자리 발굴이 필요함. ・ 장애인은 비장애인이 지루하게 생각하는 단순 · 반복적인 일을 장애인들은 좋 아하고 잘 수행하는데 이러한 장애인의 장점과 능률과 효율을 우선하는 노인의 성향을 살릴 수 있는 일자리 발굴이 필요함. - 구체적인 업무분장과 세밀한 작업메뉴얼 필요 ・ 노인과 장애인 모두 일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는데 통합된 협업(같은 현장에 투입)의 경우, 구체적인 업무분장이 되어있지 않으면 노인과 장애인 그리고 사 업담당자 사이에서 불필요한 소모가 발생함. 특히 장애인은 지속적으로 일을 행하면서 습관화되어야 하는데 노인이 먼저 일을 진행하게 되면 퇴행하는 경우 도 발견됨. ・ 직업재활시설에 노인이 사업담당자 보조역할로 투입되는 경우는 장애인의 일과 노인의 일이 명확히 구분되도록 구체적인 업무분장과 장애인이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세밀한 작업메뉴얼이 작성되어야 함. 3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개발 ○ 노인·장애인 사회적일자리의 유형 - 노인과 장애인의 사회적일자리 유형을 지역사회참여형 유형화 시장형 유형으 로 분류 가능 - 협업사회적일자리는 지역사회참여형 일자리 중 노인의 재능나눔형 일자리와 Ⅳ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창 출 방 안 91 장애인의 케어형일자리영역와 시장형 일자리 중 노인의 창업형일자리에서도 협업사회적일자리 개발이 가능함.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할 수 있는 직종 개발 - 지역특성을 활용한 공원관리 ・ 공원관리 업무는 비교적 단순한 업무로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중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이나, 케어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에 해당함. ・ 노인과 장애인은 함께 업무를 수행하고 노인이 발달장애인의 업무를 약간 지원 함. - 지역특성을 활용한 화훼농가 취업 ・ 화훼농업은 전문적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며 체력을 요하는 직종임. ・ 기능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에 속하며, 화훼의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갖춘 노인이 주도적으로 일거리를 수행하며 장애인은 운반, 작업 보조의 일을 수행 함. - 노인요양병원 또는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돌봄(요양보호사), 식당, 세탁실 등 의 업무 보조 ・ 직무에 따라 기능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로 분류될 수 있음. ・ 노인요양병원이나 노인요양시설의 노인돌봄보조 업무는 기능형 협업사회적일 자리 유형으로 전문성을 갖춘 노인의 업무를 발달장애인이 보조함. ・ 식당 또는 세탁실 업무는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와 케어형 협업사회적일 자리 유형임. ・ 체력이 필요하거나 단순한 업무를 발달장애인이 수행하고 노인은 함께 일하면 서 구체적인 행동을 지시하는 역할을 수행함. ・ 급식실에 식판 껴서 옮겨주는 것, 휠체어 옮겨주는 것, 빨래를 노인이 개고 장 애인이 옮기는 것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 직무 개발 - 장애인중심 일자리에 노인이 포함되는 형태 ・ 기능형 협업사회적일자리, 기능중심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케어형 협업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92 사회적일자리 유형 가능 ・ 장애인의 직업재활일자리 등에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갖춘 노인이 서브매니저, 조정, 관리의 역할로 참여하는 형태 - 노인중심일자리에 장애인이 포함되는 형태 ・ 기능형 헙업사회적일자리, 기능중심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가능 ・ 화훼농업 등의 형태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갖춘 노인일자리에 장애인이 보조 로 들어오는 형태 <표 Ⅳ-1> 노인·장애인의 협업 직무형태 구분 사례 장애인 일자리 중심의 직무에 노인이 포함되는 형태 - 카페 : 기능형협업사회적일자리, 기능중심 사회통 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장애인이 바리스타로 일하는 일자리에 노인이 서 브매니저의 역할로 참여함. - 직업재활시설의 직무지도원 보조 ·장애인의 일자리에 노인이 직무지도원 또는 직무 지도원 보조로 참여함. - 보호작업장 :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로 노 인의 역할은 지원자의 역할을 수행함. 노인 일자리 중심의 직무에 장애인이 포함되는 형태 - 실버택배의 전화업무(장애인담당) ·분리된 공정에서 업무를 수행하거나 노인이 주도 적으로 업무를 수행함. ○ 사업운영을 위한 환경조성 - 노인·장애인 각각의 담당행정기관 간의 업무 협조 및 조정 - 공공영역에서는 일자리 평가 시 협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인센티브를 신설하 거나 평가항목 조정 필요. - 원활한 사업운영을 위하여 공공장소 임대 등 행정적 지원 - 민간영역에서는 사회공헌차원에서의 일반기업의 기술력 지원 및 생산품 구매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중간자 역할을 담당하는 노인의 임금보조 필요 ・ 협업사회적일자리에 참여하는 노인의 고용형태가 일반고용이면 고용기관의 부 담이 되거나, 너무 적은 임금을 받게 됨. Ⅳ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창 출 방 안 93 4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참여자와 내용에 대한 제한요건 완화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부문별 참여자 제한 요건의 완화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제시하는 사업 안내를 바 탕으로 진행되는데 2015년 사업부터 공익활동 참여대상 요건이 강화되어 65세 이상 기초연금대상자로 제한되어 조건이 강화됨. ・ 저소득 우선으로 선발되기 때문에 전문성과 활동성을 요하는 협업사회적일자리 에는 한계가 있음.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컨텐츠의 다양화 ・ 사회경험이 풍부하고 전문성이 있는 노인을 참여대상으로 하여 협업사회적일자 리를 운영하기에는 현재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유형이 구분되어 있어 한계 가 있음. ・ 전문성을 가진 노인을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대상으로 선정하려면 재능나눔활 동유형 일자리로 참여해야 하나 재능나눔활동유형 일자리는 캠페인, 권익증진 등으로 한정되어있어 다양한 컨텐츠를 담기에는 어려움이 있음. - 경기도 자체사업으로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에 맞는 노인선발조건의 차별화이 나 일자리 내용을 마련하고 제도적 기반을 조성해야함. ○ 사업평가 시 인센티브 제공 - 중증장애인고용 시 의무고용의 가산점가 더블 카운트되는 것과 같이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사회적일자리 사업에 대해 인센티브를 고려해야 함. - 장애인복지기관으로 평가를 받으며 협업사회적일자리사업을 운영할 경우는 보 건복지부의 평가기준에 맞추기 어려움이 있음. ○ 노인과 장애인이 취업 후 관리하는 중간관리기구 설치 - 사회적 취약계층이 협업하여 일할 경우에는 이들을 교육하고 지원하는 기구가 필요함. - 중간관리기구의 역할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92 사회적일자리 유형 가능 ・ 장애인의 직업재활일자리 등에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갖춘 노인이 서브매니저, 조정, 관리의 역할로 참여하는 형태 - 노인중심일자리에 장애인이 포함되는 형태 ・ 기능형 헙업사회적일자리, 기능중심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 가능 ・ 화훼농업 등의 형태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갖춘 노인일자리에 장애인이 보조 로 들어오는 형태 <표 Ⅳ-1> 노인·장애인의 협업 직무형태 구분 사례 장애인 일자리 중심의 직무에 노인이 포함되는 형태 - 카페 : 기능형협업사회적일자리, 기능중심 사회통 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 ·장애인이 바리스타로 일하는 일자리에 노인이 서 브매니저의 역할로 참여함. - 직업재활시설의 직무지도원 보조 ·장애인의 일자리에 노인이 직무지도원 또는 직무 지도원 보조로 참여함. - 보호작업장 : 사회통합형 협업사회적일자리로 노 인의 역할은 지원자의 역할을 수행함. 노인 일자리 중심의 직무에 장애인이 포함되는 형태 - 실버택배의 전화업무(장애인담당) ·분리된 공정에서 업무를 수행하거나 노인이 주도 적으로 업무를 수행함. ○ 사업운영을 위한 환경조성 - 노인·장애인 각각의 담당행정기관 간의 업무 협조 및 조정 - 공공영역에서는 일자리 평가 시 협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인센티브를 신설하 거나 평가항목 조정 필요. - 원활한 사업운영을 위하여 공공장소 임대 등 행정적 지원 - 민간영역에서는 사회공헌차원에서의 일반기업의 기술력 지원 및 생산품 구매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중간자 역할을 담당하는 노인의 임금보조 필요 ・ 협업사회적일자리에 참여하는 노인의 고용형태가 일반고용이면 고용기관의 부 담이 되거나, 너무 적은 임금을 받게 됨. Ⅳ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창 출 방 안 93 4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참여자와 내용에 대한 제한요건 완화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부문별 참여자 제한 요건의 완화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제시하는 사업 안내를 바 탕으로 진행되는데 2015년 사업부터 공익활동 참여대상 요건이 강화되어 65세 이상 기초연금대상자로 제한되어 조건이 강화됨. ・ 저소득 우선으로 선발되기 때문에 전문성과 활동성을 요하는 협업사회적일자리 에는 한계가 있음.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컨텐츠의 다양화 ・ 사회경험이 풍부하고 전문성이 있는 노인을 참여대상으로 하여 협업사회적일자 리를 운영하기에는 현재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 유형이 구분되어 있어 한계 가 있음. ・ 전문성을 가진 노인을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대상으로 선정하려면 재능나눔활 동유형 일자리로 참여해야 하나 재능나눔활동유형 일자리는 캠페인, 권익증진 등으로 한정되어있어 다양한 컨텐츠를 담기에는 어려움이 있음. - 경기도 자체사업으로 협업사회적일자리 유형에 맞는 노인선발조건의 차별화이 나 일자리 내용을 마련하고 제도적 기반을 조성해야함. ○ 사업평가 시 인센티브 제공 - 중증장애인고용 시 의무고용의 가산점가 더블 카운트되는 것과 같이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사회적일자리 사업에 대해 인센티브를 고려해야 함. - 장애인복지기관으로 평가를 받으며 협업사회적일자리사업을 운영할 경우는 보 건복지부의 평가기준에 맞추기 어려움이 있음. ○ 노인과 장애인이 취업 후 관리하는 중간관리기구 설치 - 사회적 취약계층이 협업하여 일할 경우에는 이들을 교육하고 지원하는 기구가 필요함. - 중간관리기구의 역할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94 ・ 노인과 장애인이 이해하고 함께 일할 수 있도록 노화 · 장애의 특성에 대한 교육 ・ 지속가능한 일자리 참여를 위한 직무교육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확대를 위하여 다양한 업무의 직무분석을 통해 협업이 가 능한 직무개발 ・ 협업사회적일자리에 대한 홍보 및 인식개선 ・ 협업일자리를 운영하는 기관에 대한 지원 방안모색 및 실시 - 중간관리기구의 조직구성 ・ 중간관리기구는 장애에 대한 전문지식과 노인·장애인에 대한 이해가 있는 사회 복지전문가와 기관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경영전문가가 포함된 조직으로 구성 ・ 비영리조직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함. ・ 향후 노인·장애인협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취약계층의 협업을 고려해야함. 5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기대효과 ○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자에 대한 기대효과 - 노인은 장애인에게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지원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하는 기 회를 갖고, 장애인과 노인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사회통합의 기회를 부여함. - 노인 특유의 여유로움과 사교성, 유머와 위트로 밝은 분위기를 조성하여 작업의 능률을 높이고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기회와 사회성 증대에 긍정적 역할을 함. ○ 협업사회적일자리 수행기관에서의 기대효과 - 장애인의 생산성과 비장애인 직원의 직무를 보완함. 노인은 장애인이 할 수 없 는 고난이도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어 비장애인 직원의 추가 투입 없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음. - 노인이 장애인이 하는 일에 투입되면 복잡한 공정을 담당하여 완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장애인의 작업을 독려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함. - 자원봉사 모집에 어려움이 있는데 노인이 자원봉사의 역할을 대신함. Ⅳ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창 출 방 안 95 ○ 사회통합효과 - 노인은 육체적으로 힘든 부분을 장애인이 보완하고 장애인에게 부족한 인지적 부분을 노인이 보완하는 방식으로 함께 사회에 참여함으로 사회통합을 이룸 ・ 노인은 장애인에게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지원함으로 사회에 기여하는 기 회를 갖게 됨. - 발달장애인들이나 노인들이나 자립능력유지하면서 활동함으로 국가적으로 의 료비절감과 여러 가지 파급효과가 있음.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94 ・ 노인과 장애인이 이해하고 함께 일할 수 있도록 노화 · 장애의 특성에 대한 교육 ・ 지속가능한 일자리 참여를 위한 직무교육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확대를 위하여 다양한 업무의 직무분석을 통해 협업이 가 능한 직무개발 ・ 협업사회적일자리에 대한 홍보 및 인식개선 ・ 협업일자리를 운영하는 기관에 대한 지원 방안모색 및 실시 - 중간관리기구의 조직구성 ・ 중간관리기구는 장애에 대한 전문지식과 노인·장애인에 대한 이해가 있는 사회 복지전문가와 기관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경영전문가가 포함된 조직으로 구성 ・ 비영리조직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함. ・ 향후 노인·장애인협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취약계층의 협업을 고려해야함. 5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기대효과 ○ 협업사회적일자리 참여자에 대한 기대효과 - 노인은 장애인에게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지원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하는 기 회를 갖고, 장애인과 노인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사회통합의 기회를 부여함. - 노인 특유의 여유로움과 사교성, 유머와 위트로 밝은 분위기를 조성하여 작업의 능률을 높이고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기회와 사회성 증대에 긍정적 역할을 함. ○ 협업사회적일자리 수행기관에서의 기대효과 - 장애인의 생산성과 비장애인 직원의 직무를 보완함. 노인은 장애인이 할 수 없 는 고난이도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어 비장애인 직원의 추가 투입 없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음. - 노인이 장애인이 하는 일에 투입되면 복잡한 공정을 담당하여 완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장애인의 작업을 독려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함. - 자원봉사 모집에 어려움이 있는데 노인이 자원봉사의 역할을 대신함. Ⅳ 노 인 ㆍ 장 애 인 협 업 사 회 적 일 자 리 창 출 방 안 95 ○ 사회통합효과 - 노인은 육체적으로 힘든 부분을 장애인이 보완하고 장애인에게 부족한 인지적 부분을 노인이 보완하는 방식으로 함께 사회에 참여함으로 사회통합을 이룸 ・ 노인은 장애인에게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지원함으로 사회에 기여하는 기 회를 갖게 됨. - 발달장애인들이나 노인들이나 자립능력유지하면서 활동함으로 국가적으로 의 료비절감과 여러 가지 파급효과가 있음.

Ⅴ 결론 1. 요약 2. 정책적 제언

Ⅴ 결론 1. 요약 2. 정책적 제언

Ⅴ 결 론 99 1 요약 ○ 사회적일자리는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생활비를 보조하는 하나의 방법에 서 사회구성원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통합,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 향 상을 위한 방법으로 확대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하여 일할 수 있는 사회적일자리의 창출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음. ○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공공영역의 일자리와 사업이 운영되고 있으 나,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음.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적 취약계층간의 협업사회적일자리를 구성으로 공공영역의 일자리가 확대되고 사업진입이 수월할 것으로 예상됨.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진행된 본 연구는 먼저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를 사 례분석하고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의의와 성공요인, 제도적 지원방안 등을 제시함.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를 통한 성과 중 주목할 부분은 노인과 ⨠⨠Ⅴ 결 론

Ⅴ 결 론 99 1 요약 ○ 사회적일자리는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생활비를 보조하는 하나의 방법에 서 사회구성원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통합,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 향 상을 위한 방법으로 확대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하여 일할 수 있는 사회적일자리의 창출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음. ○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공공영역의 일자리와 사업이 운영되고 있으 나,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음.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적 취약계층간의 협업사회적일자리를 구성으로 공공영역의 일자리가 확대되고 사업진입이 수월할 것으로 예상됨.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진행된 본 연구는 먼저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를 사 례분석하고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의의와 성공요인, 제도적 지원방안 등을 제시함.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사회적일자리를 통한 성과 중 주목할 부분은 노인과 ⨠⨠Ⅴ 결 론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00 장애인 사업 담당자의 인식개선을 통한 사회통합이라 할 수 있음. - 협업일자리사업의 담당자와 관련자, 노인과 장애인이 상호간의 편견이 경험과 따뜻함이 있는 노인, 일을 하고 싶어하는 장애인 등 긍정적으로 변화함. - 협업사회적일자리 경험을 대한 노인과 장애인의 삶의 의미 변화 ・ 중증장애인에게 있어서 일의 의미는 소득창출에 의한 생계유지에 그치지 않고 사회에서 삶을 살아가는 힘의 근원이 됨. ・ 노인에게 일의 의미는 노동의 개념보다는 장애인들을 위해 봉사하고 복지사업 을 돕는다는 인식이 있어 즐거움과 보람이 됨.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성공요인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으로 일할 때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은 상호간의 이해를 위한 충분한 교육임. - 지속가능한 협업사회적일자리가 되기 위해서는 노인과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 무교육이 선행적으로 실시되어야 함. - 성폭력에 대한 예방교육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을 위한 필요요인 - 지속적 일자리가 가능하도록 경영마인드를 가진 경력자 투입 - 노인과 장애인의 신체적·정서적 특성에 맞는 일자리 발굴 - 구체적인 업무분장과 세밀한 작업메뉴얼 필요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개발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할 수 있는 직종 개발 ・ 지역특성을 활용한 공원관리 ・ 지역특성을 활용한 화훼농가 취업 ・ 노인요양병원 또는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돌봄(요양보호사) 식당, 세탁실 등의 업무 보조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 직무 개발 Ⅴ 결 론 101 ○ 사업운영을 위한 환경조성 - 노인·장애인 각각의 담당행정기관 간의 업무 협조 및 조정 - 공공영역에서는 일자리 평가 시 협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인센티브를 신설하 거나 평가항목 조정 필요. - 원활한 사업운영을 위하여 공공장소 임대 등 행정적 지원 - 민간영역에서는 사회공헌차원에서의 일반기업의 기술력 지원 및 생산품 구매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중간자 역할을 담당하는 노인의 임금보조 필요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기대효과 - 노인은 장애인에게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지원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하는 기회를 갖고, 장애인과 노인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사회통합의 효과가 있음. ・ 노인은 육체적으로 힘든 부분을 장애인이 보완하고 장애인에게 부족한 인지적 부분을 노인이 보완하는 방식으로 함께 사회에 참여함으로 사회통합을 이룸 ・ 발달장애인들이나 노인들이나 자립능력유지하면서 활동함으로 국가적으로 의 료비절감과 여러 가지 파급효과가 있음. - 협업사회적일자리 수행기관에서는 노인인 장애인의 생산성과 비장애인 직원의 직무를 보완함. 노인은 장애인이 할 수 없는 고난이도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어 려움이 없어 비장애인 직원의 추가 투입 없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음. - 자원봉사 모집에 어려움이 있는데 노인이 자원봉사의 역할을 대신함. 2 정책적 제언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참여자의 참여조건이 2016년부터 65세 이상 기초 연금수급자로 한정이 되면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겸비한 노인의 참여에 한 계가 있음.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이 중앙정부 사업으로 참여조건의 완화가 어렵다면, 경기도 특화사업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음. ・ 노인 재능기부사업도 노인권익 등 사업콘텐츠가 한정되어있으므로 지역의 특성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00 장애인 사업 담당자의 인식개선을 통한 사회통합이라 할 수 있음. - 협업일자리사업의 담당자와 관련자, 노인과 장애인이 상호간의 편견이 경험과 따뜻함이 있는 노인, 일을 하고 싶어하는 장애인 등 긍정적으로 변화함. - 협업사회적일자리 경험을 대한 노인과 장애인의 삶의 의미 변화 ・ 중증장애인에게 있어서 일의 의미는 소득창출에 의한 생계유지에 그치지 않고 사회에서 삶을 살아가는 힘의 근원이 됨. ・ 노인에게 일의 의미는 노동의 개념보다는 장애인들을 위해 봉사하고 복지사업 을 돕는다는 인식이 있어 즐거움과 보람이 됨.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성공요인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으로 일할 때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은 상호간의 이해를 위한 충분한 교육임. - 지속가능한 협업사회적일자리가 되기 위해서는 노인과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 무교육이 선행적으로 실시되어야 함. - 성폭력에 대한 예방교육 ○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성공을 위한 필요요인 - 지속적 일자리가 가능하도록 경영마인드를 가진 경력자 투입 - 노인과 장애인의 신체적·정서적 특성에 맞는 일자리 발굴 - 구체적인 업무분장과 세밀한 작업메뉴얼 필요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개발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할 수 있는 직종 개발 ・ 지역특성을 활용한 공원관리 ・ 지역특성을 활용한 화훼농가 취업 ・ 노인요양병원 또는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돌봄(요양보호사) 식당, 세탁실 등의 업무 보조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 직무 개발 Ⅴ 결 론 101 ○ 사업운영을 위한 환경조성 - 노인·장애인 각각의 담당행정기관 간의 업무 협조 및 조정 - 공공영역에서는 일자리 평가 시 협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인센티브를 신설하 거나 평가항목 조정 필요. - 원활한 사업운영을 위하여 공공장소 임대 등 행정적 지원 - 민간영역에서는 사회공헌차원에서의 일반기업의 기술력 지원 및 생산품 구매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중간자 역할을 담당하는 노인의 임금보조 필요 ○ 노인·장애인협업사회적일자리 기대효과 - 노인은 장애인에게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지원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하는 기회를 갖고, 장애인과 노인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사회통합의 효과가 있음. ・ 노인은 육체적으로 힘든 부분을 장애인이 보완하고 장애인에게 부족한 인지적 부분을 노인이 보완하는 방식으로 함께 사회에 참여함으로 사회통합을 이룸 ・ 발달장애인들이나 노인들이나 자립능력유지하면서 활동함으로 국가적으로 의 료비절감과 여러 가지 파급효과가 있음. - 협업사회적일자리 수행기관에서는 노인인 장애인의 생산성과 비장애인 직원의 직무를 보완함. 노인은 장애인이 할 수 없는 고난이도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어 려움이 없어 비장애인 직원의 추가 투입 없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음. - 자원봉사 모집에 어려움이 있는데 노인이 자원봉사의 역할을 대신함. 2 정책적 제언 ○ 협업사회적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의 참여자의 참여조건이 2016년부터 65세 이상 기초 연금수급자로 한정이 되면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겸비한 노인의 참여에 한 계가 있음. ・ 노인 사회활동 지원 사업이 중앙정부 사업으로 참여조건의 완화가 어렵다면, 경기도 특화사업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음. ・ 노인 재능기부사업도 노인권익 등 사업콘텐츠가 한정되어있으므로 지역의 특성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02 을 살릴 수 있도록 경기도 사업으로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함.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사회적일자리 사업에 대해 의무고용 가산점을 더블 카운 트해야함. ・ 취업과 지속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고용 시 의무고용의 가산점가 더블 카운 트되고 있음. ・ 노인·장애인 협업은 사회적 취약계층이 취업하는 것으로 중증장애인 고용 시 더블카운트 하는 것과 같은 인센티브 부여가 필요함. ○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 및 운영을 위한 행정적 지원 - 현재 경기도는 사회적일자리과에 노인일자리팀과 장애인일자리팀으로 분리되 어있어, 협업일자리를 운영할 경우 주무부서의 역할부재를 초래할 수 있음. - 협업일자리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통합된 행정적 지원이 요구됨. ○ 취업한 노인과 장애인의 모니터링과 지원을 위한 중간관리기구 설치 - 사회적일자리와 관련된 직무교육, 훈련은 사업기관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나, 취업한 노인과 장애인에 대한 상담, 계속적인 관심을 사업기관에서 수행하기 에는 한계가 있음.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일자리 창출과 지속적 고용을 위한 중간관리기구를 조례 에 의해 설치, 운영 - 중간관리기구의 역할 ・ 노인의 장애인에 대한 이해교육과 직무교육을 지속적으로 운영 ・ 장애인에 대한 직무교육과 상담실시 ・ 협업일자리에 대한 인식개선 - 중간관리기구의 조직구성 ・ 중간관리기구는 장애에 대한 전문지식과 노인·장애인에 대한 이해가 있는 사회 복지전문가와 기관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경영전문가가 포함된 조직으로 구성 ・ 비영리조직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함. ・ 향후 노인·장애인협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취약계층의 협업을 고려해야함.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 사회적 일자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노인 사회활동 Ⅴ 결 론 103 지원사업과 장애인일자리의 단순한 결합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협업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노인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활용할 수 있도록 노 인일자리 참여조건 완화와 제약 없는 재능기부와 행정적·제도적 환경조성 이 필요함. ○ 사회적 취약계층의 협업을 통한 일자리는 단순한 소득보전을 넘어 사회통 합의 방법이며, 자립과 사회통합에 따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돌봄서 비스 비용 절감의 방법임. 그러나 협업을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취약계층을 담당하고 있는 행정조직이 함께 논의하고 협업할 때 가능함. 이를 위한 논 의의 장을 마련해야 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02 을 살릴 수 있도록 경기도 사업으로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함. - 노인과 장애인이 협업사회적일자리 사업에 대해 의무고용 가산점을 더블 카운 트해야함. ・ 취업과 지속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고용 시 의무고용의 가산점가 더블 카운 트되고 있음. ・ 노인·장애인 협업은 사회적 취약계층이 취업하는 것으로 중증장애인 고용 시 더블카운트 하는 것과 같은 인센티브 부여가 필요함. ○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 및 운영을 위한 행정적 지원 - 현재 경기도는 사회적일자리과에 노인일자리팀과 장애인일자리팀으로 분리되 어있어, 협업일자리를 운영할 경우 주무부서의 역할부재를 초래할 수 있음. - 협업일자리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통합된 행정적 지원이 요구됨. ○ 취업한 노인과 장애인의 모니터링과 지원을 위한 중간관리기구 설치 - 사회적일자리와 관련된 직무교육, 훈련은 사업기관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나, 취업한 노인과 장애인에 대한 상담, 계속적인 관심을 사업기관에서 수행하기 에는 한계가 있음.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일자리 창출과 지속적 고용을 위한 중간관리기구를 조례 에 의해 설치, 운영 - 중간관리기구의 역할 ・ 노인의 장애인에 대한 이해교육과 직무교육을 지속적으로 운영 ・ 장애인에 대한 직무교육과 상담실시 ・ 협업일자리에 대한 인식개선 - 중간관리기구의 조직구성 ・ 중간관리기구는 장애에 대한 전문지식과 노인·장애인에 대한 이해가 있는 사회 복지전문가와 기관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경영전문가가 포함된 조직으로 구성 ・ 비영리조직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함. ・ 향후 노인·장애인협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취약계층의 협업을 고려해야함. ○ 노인과 장애인의 협업 사회적 일자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노인 사회활동 Ⅴ 결 론 103 지원사업과 장애인일자리의 단순한 결합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협업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노인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활용할 수 있도록 노 인일자리 참여조건 완화와 제약 없는 재능기부와 행정적·제도적 환경조성 이 필요함. ○ 사회적 취약계층의 협업을 통한 일자리는 단순한 소득보전을 넘어 사회통 합의 방법이며, 자립과 사회통합에 따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돌봄서 비스 비용 절감의 방법임. 그러나 협업을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취약계층을 담당하고 있는 행정조직이 함께 논의하고 협업할 때 가능함. 이를 위한 논 의의 장을 마련해야 함.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04 김동주ㆍ고민석(2012). “지적장애인의 경제활동상태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정신지 체연구』, 제14집 제1호, pp.241-261,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김수영ㆍ이민홍ㆍ장수지(2014).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심리사회적 건강 변화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64호, pp.371-393, 한국노인복지학회. 문필동ㆍ이정화(2014). “장애인의 경제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건강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26호, pp.173-192, 한국장애인복지학 회. 양희택(2014).“경기도 발달장애청년 직업재활 사업 분석”,경기복지재단 임중철ㆍ주경희ㆍ임병우(2012). “노인의 일자리참여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자아존 중감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7권, pp.29-50, 한국노인복지학회. 이소정(2013).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의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노인복 지연구』59권, pp.331-354. 이재영ㆍ김진숙(2012). “노인 일자리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연 구-부양기대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58호, pp.353-381, 한국노 인복지학회. 정영순(2010). 『노동통합 사회적기업 발전방안연구 : 영국과 한국의 비교분석』, 사회 보장연구 제26권 제4호, pp.265-292. 정인서, 윤영숙(2009). “사회적 일자리 사업의 추진현황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산업 연구』, 22호, 1권 경기도(2015). 『경기도장애인복지사업안내(2)』. 보건복지부(2004~2014).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보건복지부(2015). 『2015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사업 종합안내』. 보건복지부(2015).『장애인복지사업안내』. 한국노인복지학회(2012). 『노인복지연구』, 58권0호, pp.353-381. 한국노인복지학회(2014). 『노인복지연구』, 64권, pp.371-393. 한국노인인력개발원(2015). 『2014 노인일자리 통계 동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2012). 『지적장애연구』, 14권1호, pp.241-261.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015). http://www.socialenterprise.or.kr/. 사회적기업총람. 참고문헌

노인·장애인 협업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104 김동주ㆍ고민석(2012). “지적장애인의 경제활동상태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정신지 체연구』, 제14집 제1호, pp.241-261,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김수영ㆍ이민홍ㆍ장수지(2014).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심리사회적 건강 변화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64호, pp.371-393, 한국노인복지학회. 문필동ㆍ이정화(2014). “장애인의 경제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건강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26호, pp.173-192, 한국장애인복지학 회. 양희택(2014).“경기도 발달장애청년 직업재활 사업 분석”,경기복지재단 임중철ㆍ주경희ㆍ임병우(2012). “노인의 일자리참여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자아존 중감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7권, pp.29-50, 한국노인복지학회. 이소정(2013).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의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노인복 지연구』59권, pp.331-354. 이재영ㆍ김진숙(2012). “노인 일자리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연 구-부양기대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58호, pp.353-381, 한국노 인복지학회. 정영순(2010). 『노동통합 사회적기업 발전방안연구 : 영국과 한국의 비교분석』, 사회 보장연구 제26권 제4호, pp.265-292. 정인서, 윤영숙(2009). “사회적 일자리 사업의 추진현황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산업 연구』, 22호, 1권 경기도(2015). 『경기도장애인복지사업안내(2)』. 보건복지부(2004~2014).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보건복지부(2015). 『2015 노인 사회활동(노인일자리) 지원 사업 종합안내』. 보건복지부(2015).『장애인복지사업안내』. 한국노인복지학회(2012). 『노인복지연구』, 58권0호, pp.353-381. 한국노인복지학회(2014). 『노인복지연구』, 64권, pp.371-393. 한국노인인력개발원(2015). 『2014 노인일자리 통계 동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2012). 『지적장애연구』, 14권1호, pp.241-261.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015). http://www.socialenterprise.or.kr/. 사회적기업총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