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GWF Report는 사회복지분야의 주요현안에 관하여 정책의 방향설정과 실현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ㆍ조사를 통한 정책제안이나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작성된 자료입니다. ■ 본 보고서는 경기복지재단의 공식적인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과 관련한 의견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Tel : 031-267-9378 Fax : 031-898-5935 E-mail : swkim@ggwf.or.kr

i요 약 본 연구는 2014년 경기도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일환으로 실시된 지역주민 욕구조사의 자료를 분석하여 경기도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유형을 설명하 고, 사회문제해결의 우선순위 설정, 개입 대상, 복지서비스의 수요 측정 과 전망 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음. 경기도 전체 지역주민과 소득수준별로 복지욕구유형을 분석하고, 이러한 복지욕구유형이 지역유형별로 다르게 분포하는가를 살펴보았음. - 경기도 지역주민의 생활여건, 식생활, 의생활, 주택 및 주거환경, 의료 및 건강, 가족활동 및 문화생활, 사회적 지지, 저축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욕구를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하기 위해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 을 실시하였음. 경기도 전체 지역주민에 대한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 경기도 전체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유형은 5개로 구분되었음. 첫째, ‘낮 은 욕구 집단(39.4%)’, 둘째,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15.3%)’ 셋째, ‘문화생활 욕구 집단(20.8%)’, 넷째,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 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14.7%)’, 다섯째,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9.7%)’으로 구분되었음. - 다섯 개 유형 가운데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 구 집단’과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은 욕구수준 이 높을뿐만 아니라 생활의 어려움이나 박탈의 정도가 복합적인 영역 에서 나타나고 있어 이들에 대해 우선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음.

ii 경기도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유형 집단별로 가족 수, 가구주의 연령, 학력, 경제활동 및 만성질환 유무, 가구유형, 소득수준, 주거유형 등은 차이를 보였음. -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가 높은 집단’의 경우 1인가구 이면서, 가구주가 60대 이상, 초졸의 학력, 비경제활동 인구, 만성질환 을 가진 경우가 많았음. - 다른 집단에 비해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가 높은 집 단’은 자가가구의 비율이 적고 보증부 월세나 월세의 비율이 높았음. - 가구유형별로 살펴보면,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 단’은 여성가구주 가구, 노인가구주 가구, 장애인가구주 가구의 비율이 다른 네 집단에 비해 모두 높았음. - 기초수급가구의 비율 또한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 활 욕구 집단’이나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과 같이 욕구 또는 박탈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많이 나타났음.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유형은 지역유형별로 분포의 차이가 있었음. - 전반적으로 농촌 지역이 욕구 및 박탈수준이 높은 집단의 비율이 높았 고, 개입이 필요한 영역 역시 다양하게 나타났음. 반면, 도시의 경우 욕 구집단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이 공존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박탈감 의 차이가 더 클 것으로 보임. 무엇보다 대・중도시 지역은 소득뿐만 아 니라 생활용품과 의식주와 같은 기본적인 생활영역의 결핍수준이 높은 집단의 비율이 높았음. 이러한 지역간 차이를 반영하여 정책적 개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을 것임. 소득수준별 복지욕구유형 분석결과에서도 생활상의 어려움이나 박탈의 정도가 높은 집단의 비율 및 지역유형별 분포의 정도에 차이가 있었음.

iii - 기초수급가구의 경우, 모두 경제적인 어려움만을 호소하는 것은 아니 었으며, 경제적 어려움 및 일상생활과 관련된 박탈수준이 모두 높거나, 경제적으로 어렵고 일상생활과 관련된 박탈수준도 높았으며, 동시에 정신건강 상에 어려움이 있는 집단의 비율이 높았음. - 다른 유형과 달리 기초수급가구 대상 분석에서만 정신건강과 관련된 욕구가 높게 나타나, 이들 가구를 대상으로한 정신건강 문제 및 서비스 개발에 좀 더 관심을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임. 이러한 집 단은 특히 농촌지역에서 그 비율이 높게 나타남. - 한편, 도농복합시의 경우 식생활 욕구가 높은 집단의 비율이 높았고, 대・중도시의 경우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에서 욕구가 높은 집단의 비율이 높았음. 경기도 전체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유형은 여러 이질적인 하위집단으로 구 성되어 있으므로, 소득뿐만 아니라 다른 생활영역에서 결핍과 박탈의 수 준이 높은 집단으로 정책 개입의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결과, 경기도 전체 지역주민의 약 24.4% 정도는 여러 차원에서 높은 박탈이나 결핍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 - 이러한 결과는 빈곤정책이나 서비스가 단순히 기초수급가구만을 대상 으로 해서는 안되며 여러 차원의 결핍을 고려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내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빈곤층을 발굴하고 이들에 대해 서비스를 제 공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함. 소득 및 일자리 영역 욕구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적인 계획 수립 필요 - 욕구가 낮거나 문화생활이 주된 욕구로 나타난 집단을 제외한 다른 세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욕구영역은 소득과 관련된 영역이었음.

iv - 소득과 취업 관련 어려움이 높은 집단은 가정 내 불화와 같은 가족관 계의 어려움과 개인적으로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어려움을 동시에 겪고 있었음. - 이는 경제활동 및 일자리 영역의 주된 대상이 되는 가구의 경우 가족 관계나 정신건강과 같은 영역에서의 욕구를 사정하고 개입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함. 예를 들어, 저소득층 가구의 사례관리 시 가구의 구성 등을 고려하여 경제적인 영역 외에 정서적 영역에 있어서도 문제가 있 는지 살펴보고 개입할 필요가 있을 것임.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기본적인 의식주 생활보장 필요 - 경제적 어려움 외에도 생활용품이나 식생활, 의생활, 주거환경 등과 같 이 생활에 필수적인 영역에서 박탈이 높은 집단이 전체 응답가구의 약 9.7%에 해당했음. - 의식주생활은 빈곤층의 신체적 및 심리적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영역임. 따라서 빈곤층을 위한 정책개발 시 의식주영역의 서비 스를 함께 제공할 필요가 있음. - 예를 들어, 주거급여나 임대주택 외에 효율적인 난방, 채광, 안전성 등 을 확보할 수 있는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지속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 을 것임. 기초수급가구 및 빈곤층 가구 내에서도 욕구나 결핍의 영역은 다양하게 나타났음. 따라서 소득지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 및 문제영역에 대한 지원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 - 기초수급가구 내에서도 식생활 욕구, 정신건강 욕구가 특히 더 높은 집 단이 있었고,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모두에서 결핍이나

v박탈의 정도가 높은 집단도 있었음. - 단순히 소득지원만으로는 이들 빈곤층 가구의 다양한 욕구 충족이 어 려우므로 사례관리 시 여러 생활영역의 욕구 유무를 확인하고 서비스 를 연계할 필요가 있음. 지역유형별로 우선적으로 개입해야 할 대상자 규모와 욕구 순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지역복지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 대・중도시에서는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의 비 율이 다른 욕구집단에 비해 높았음. - 농촌지역은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이 대・중도 시 다음으로 많았고, ‘낮은 욕구 집단’의 비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낮았으며, 여러 영역에 박탈이나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음. - 기초수급가구만을 대상으로 복지욕구유형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도농복 합시의 경우 ‘식생활 욕구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농촌 지역에서는 ‘소득, 정신건강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지역유형별로 우선적으로 개입해야 할 문제가 다소 차이가 있었음. - 경기도 31개 시군별로 지역복지계획을 수립할 시에는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자원배분 등에 있어 우선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을 것임. 향후 지역복지계획수립을 위한 복지욕구조사는 조사진행 과정에서 발생하 는 시군간 편차와 문항의 결측치를 줄일 수 있도록 보완할 필요가 있음. - 경기도의 경우 31개 시군별로 조사가 진행되어 조사진행시기, 조사원교육, 조사진행방법, 설문지의 하위문항, 코딩방법 등에 있어 차이가 있었고 이로 인해 수집된 자료에서도 편의(bias)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음. - 향후 조사에서는 시군간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조사방법이나 조사원

vi 교육 등에 있어 보완책이 필요할 것임. - 결측치가 많이 발생한 소득, 재산, 부채 등과 관련 문항은 필수문항만 선택하여 전체 문항 수를 줄이거나 다른 문항으로 대체할 필요가 있음. 설문조사 내용 구성에 있어서 지역주민의 욕구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 할 수 있는 문항 개발 필요 - 향후 조사에서는 지역주민의 구체적인 욕구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문 항 개발이 필요할 것임. 이를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모두 갖춘 욕구 측정 문항개발을 위한 사전연구 및 사전조사가 시행되어야 할 것임.

vii 목 차 Ⅰ. 서 론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 3 3. 연구의 제한점 • 4 Ⅱ.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 현황 / 6 1. 시군별 조사 현황 • 6 2. 지역주민의 일반적 특성 • 7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 30 1. 지역주민 복지욕구 잠재적 유형분석 • 30 2. 복지욕구유형별 일반적 특성 • 36 3. 소득수준별 복지욕구유형 분석 • 51 Ⅳ. 결 론 / 65 1. 요약 • 65 2. 정책적 제언 • 69 참고문헌 / 74

Ⅰ. 서 론 1 서 론Ⅰ 1. 연구배경 및 목적 경기도 지역주민의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욕구 파악의 필요성 - 소득기준의 전통적인 빈곤측정방식은 다양한 생활영역에서의 결핍이 나 부족의 정도를 측정하지 못하며, 실질적인 생활수준을 보여주지 못 하는 제한점이 있음(김세원, 2013). - 지역주민의 복지욕구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경제적 욕구뿐만 아니라 생활여건, 식생활, 의생활, 주택 및 주거환경, 의료 및 건강, 가족활동 및 문화생활, 사회적 지지, 저축, 자녀교육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욕구를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음. - 예를 들어, 소득이 낮고 다른 분야의 욕구는 모두 충족된 가구는 드물 것임. 그러나 소득이 낮으면서 주거나 의료에 대한 욕구가 높은 가구와 소득수준은 비교적 높으나 가족활동 및 문화생활, 자녀교육에 대한 욕 구가 높은 가구와 같이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 - 이는 개별 지표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움. 따 라서 다양한 생활영역에서 결핍 또는 부족의 정도를 측정하여, 경기도 지역주민의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욕구를 설명할 필요가 있음.

2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경기도는 사회경제적 및 인구학적으로 다양한 특성을 가진 시군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주민의 복지욕구를 이해할 필요가 있음. - 경기도는 시군별 자원 및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상당한 차이가 있 으며, 도시, 농촌, 도농복합시 등 지역의 유형 또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음. - 경기도 다차원적 빈곤실태 분석(김세원, 2013)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 널 자료를 이용하여 경기도에 거주하는 가구의 다차원적 빈곤실태를 파악하였으나, 자료의 한계로 인하여 경기도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 여 다차원적 빈곤실태는 설명하지 못하였음. - 2014년 지역주민 복지욕구조사에서 수집된 시군별 정보를 이용하여 경기도 지역주민의 욕구가 어떻게 유형화되는지 설명하는 동시에 지 역유형별로 어떠한 잠재적 욕구 유형이 주를 이루는가를 분석할 필요 가 있음. 경기도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유형 분석을 통해 복지서비스의 수요 및 정 책방향 전망을 위한 자료 제공 - 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의 일환으로 수행된 복지욕구조사의 자료 를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 전반의 사회문제를 확인하고, 필요한 복지 급여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 - 욕구조사 결과는 사회문제해결의 우선순위 설정, 개입이 필요한 대상 집단 설정, 복지서비스의 수요 측정과 향후 전망 등을 위한 정책 자료 로 활용할 수 있음(이소영, 2013).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음. - 본 연구는 소득중심의 화폐적, 단차원적 접근에서의 빈곤측정에서 벗어

Ⅰ. 서 론 3 나 다양한 생활영역에서의 결핍이나 부족의 정도를 다차원적으로 측정 하여 경기도 지역주민의 복지수준 및 욕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함. - 본 연구의 결과는 실질적인 복지수요 및 빈곤정책의 대상 범위를 측정 하여 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수립 및 지역복지의 정책적 개입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음. - 첫째, 경기도 지역주민의 다양한 생활영역의 복지욕구유형은 어떠한가? - 둘째, 지역유형별로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은 차이가 있는가?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연구범위 - 지리적 범위 : 경기도 31개 시・군 - 내용적 범위 : 지역사회, 복지욕구, 잠재적 유형 연구방법 - 경기도 31개 시군별로 실시된 지역주민 복지욕구조사 데이터를 활용하 여 지역주민의 일반적 특성과 복지욕구유형을 분석하고자 함. - 지역주민의 일반적 특성은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고, 복지욕구유형은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통해 파 악하고자 함. ・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은 잠재적 군집분석의 한 종류로서, 점수들의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집단 내에 존재하는 이질적인 하위집단을 찾아

4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낼 수 있는 방법임. ・ 자료를 최적으로 설명하는 집단의 수는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에서 제공하는 지표, 예를 들어 BIC와 AIC, LMRT, 엔트로피 값을 활용하 여 결정할 수 있음. ・ AIC와 BIC의 값은 낮을수록, LMRT 값이 유의미할 경우 k-1개 집단이 k개 집단보다 자료를 더 잘 설명하는 것을 의미하며, 엔트로피 값이 1 에 가까울수록 해당 모형이 자료에 잘 적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은 M-plus 5.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음. 가중치 적용 - 경기도 31개 시군별로 각기 조사를 진행하여 조사시기, 표집방법 및 면 접방법 등에 있어 차이가 있었음. - 시군별로 동일한 기준에서 비교분석을 하기 위해 표본가중치를 산출하 였으며, 연구에서는 가중치를 적용한 후 기술통계분석과 잠재적 프로 파일 분석을 하였음. - 가중치 적용 전 경기도 31개 시군의 총 응답가구 수는 15,727 가구였으 며, 가중치 적용 후 총 응답가구 수는 4,704,419 가구였음. 3. 연구의 제한점 조사내용 및 방법으로 인한 편의(bias)의 가능성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제시되기는 하였으나, 경 기도 31개 시군에서 개별적으로 조사를 시행하여 대상자 표집방법, 조사 원 교육 방법, 조사기간, 면접 진행 시간 등은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음.

Ⅰ. 서 론 5 - 특히 조사가 낮 시간동안 집중적으로 진행되었을 경우 상대적으로 주 부나 노인이 응답한 경우가 많을 것임. -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가중치를 적용하여 인구규모 등은 조정하려 노 력하였으나 조사의 내용은 일부 편의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연구결과 를 해석하는데 있어 이러한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을 것임. 2차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 있어서의 제한점 - 본 연구는 지역복지계획 수립의 일환으로 수행된 복지욕구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음. 따라서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만을 분석에 활용할 수 있으 며, 수집되지 않은 자료의 경우 분석에 포함하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 음. 이는 2차 자료를 활용한 연구가 갖는 공통적인 한계점임.

6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시군명 비율 시군명 비율 가평군 0.6 안양시 4.7 고양시 7.8 양주시 1.6 과천시 0.5 양평군 1.0 광명시 2.8 여주시 1.0 광주시 2.4 연천군 0.4 구리시 1.5 오산시 1.7 군포시 2.2 용인시 7.3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 현황Ⅱ 1. 시군별 조사 현황 31개 시군별 조사 현황은 다음과 같음. - 수원시(9.4%) 성남시(8.2%), 고양시(7.8%), 용인시(7.3%)와 같이 인구가 많은 시군에서 조사대상자가 많으며, 다음으로 부천시(6.9%), 안산시 (6.0%), 남양주시(5.0%)가 전체 응답자의 5%이상을 차지함. 그 외 반면 가평군(0.6%), 연천군(0.4%), 동두천시(0.9%)와 같이 인구가 적은 지역 은 1% 미만의 조사현황을 보임. <표 1> 시군별 응답률 (N=4,704,419, 단위: %)

Ⅱ.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 현황 7 시군명 비율 시군명 비율 김포시 2.6 의왕시 1.2 남양주시 5.0 의정부시 3.6 동두천시 0.9 이천시 1.7 부천시 6.9 파주시 3.5 성남시 8.2 평택시 3.8 수원시 9.4 포천시 1.4 시흥시 3.3 하남시 1.2 안산시 6.0 화성시 4.2 안성시 1.6 합계 100.0 2. 지역주민의 일반적 특성 1) 지역주민의 일반적 특성 지역주민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가구 규모별 분포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 하는 가구 규모는 4인 가구(30.5%)이며, 다음으로 2인(19.9%), 3인 (19.7%), 1인(17.5%)의 순으로 나타남. 그 외 5, 6, 7인 가구는 10%미만 의 분포를 가짐. - 또한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3.05인인 것으로 나타남. 이는 경기도 (2013년 12월 현재) 세대당인구 2.60인보다 다소 많게 나온 결과임.

8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표 2> 가구규모 (N=4,704,419, 단위: %) 구분 비율 구분 비율 1인 17.4 5인 9.3 2인 19.9 6인 2.5 3인 19.7 7인 이상 0.7 4인 30.5 합계 100.0 (1) 가구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구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먼저 성별은 여성(24.2%)보다 남성(75.8%)인 가구주가 높은 비율을 차 지함. - 가구주의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60세 이상(36.2%)이 가장 많으며, 다 음으로 50세 이상 60세 미만・40세 이상 50세 미만(26.7%), 30세 이상 40 세 미만(8.9%), 20세 이상 30세 미만(1.5%)의 순으로 나타남. - 가구주의 학력분포를 살펴보면, 고등학교 졸업 이하(34.7%)와 대학교 졸업 이하(28.9%)를 합한 비율이 과반 비율을 넘으며, 다음으로 초등학 교 졸업 이하(11.1%), 중학교 졸업 이하(8.4%), 전문대학 졸업 이하 (8.0%), 대학원 졸업 이하(4.5%)의 순으로 나타남. 한편 미취학(0.7%)과 무학(3.6%)도 일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가구주의 경제활동 참여형태 분포를 살펴보면, 상용직 임금근로자 (39.2%)가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비경제활동인구(24.2%), 자영업자 (20.04%)까지의 분포가 전체의 80%이상을 차지함. 그 밖에 임시직 임 금근로자(4.6%), 일용직 임금근로자(3.8%), 실업자(3.1%) 등이 적지 않 게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가구주의 장애 분포를 살펴보면, 장애인(11.2%)보다 비장애인(88.8%)이 월등히 많으며 장애인 중에서는 중증(2.9%)보다 경증(7.4%)이 많은 것

Ⅱ.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 현황 9 구분 비율(%) 성별 (무응답=1.7%) 남성 75.8 여성 24.2 합계 100.0 연령 (무응답=752) 20세 이상 30대 미만 1.5 30세 이상 40세 미만 8.9 40세 이상 50세 미만 26.7 50세 이상 60세 미만 26.7 60세 이상 36.2 합계 100.0 학력 (무응답=1,074) 미취학 0.7 무학 3.6 초졸 이하 11.1 중졸 이하 8.4 고졸 이하 34.7 초대졸 이하 8.0 대졸 이하 28.9 대학원졸 이하 4.5 합계 100.0 으로 나타남. - 가구주의 건강 분포를 살펴보면, 만성질환이 있는 가구주(24.8%)보다 없는 가구주(66.1%)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가구주의 동거여부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 가구주의 대부분(97.9%)이 가구원과 동거하고 있으며, 극히 일부(2.1%)만이 동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표 3> 가구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N=4,704,419, 단위: %)

10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구분 비율(%) 경제활동 참여형태 (무응답=327) 비해당 0.9 상용직 임금근로자 39.2 임시직 임금근로자 4.6 일용직 임금근로자 3.8 자활근로 및 공공근로 2.9 자영업자 20.0 무급가족 1.4 실업자 3.1 비경제활동 인구 24.2 합계 100.0 장애 (무응답=3,237) 비장애인 88.8 장애인 중증 2.9 경증 7.4 비등록장애인 0.8 합계 100.0 건강 (무응답=399) 모름 9.1 만성질환 있음 24.8 만성질환 없음 66.1 합계 100.0 동거여부 (무응답=354) 동거 97.9 비동거 2.1 합계 100.0 2) 주거 지역주민의 주거유형, 점유형태 등과 같은 주거상황에 대해 분석한 결과 는 다음과 같음.

Ⅱ.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 현황 11 - 주거유형은 일반아파트(50.2%)와 일반단독주택(15.20%)이 약 70%에 달 하며, 그 외 연립주택(10.1%), 다세대주택(6.7%), 다가구용 단독주택 (6.5%), 국민임대 아파트(5.1%), 영구임대 아파트(2.4%), 점포주택 등 복 합용도주택(1.4%)의 순으로 나타남. 그 외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 오피 스텔, 비닐하우스, 임시가건물은 1% 미만의 주거율을 보임. <표 4> 주거유형 (N=4,704,419, 단위: %) 구분 비율 구분 비율 일반단독주택 15.2 점포주택 등 복합용도주택 1.4 다가구용 단독주택 6.5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공장, 상가) 0.6 다세대주택 6.7 오피스텔 0.5 연립주택(빌라) 10.1 비닐하우스, 움막, 판잣집 0.3 일반아파트 50.2 임시가건물 0.2 영구임대 아파트 2.4 기타 0.7 국민임대 아파트 5.1 합계 100.0 - 점유형태 분포를 살펴보면, 자가인 경우(59.9%)가 과반수 이상이며, 그 외 전세(20.5%), 보증부 월세(9.6%), 월세(7.3%), 기타(2.8%) 순으로 나 타남. <표 5> 점유형태 (N=4,704,419, 단위: %) 구분 비율 구분 비율 자가 59.9 월세(사글세 포함) 7.3 전세 20.5 기타(관사, 사택 등) 2.8 보증부 월세 9.6 합계 100.0

12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 거주하는 집의 주택가격 분포를 살펴보면, 1억원 이상 3억원 미만 (47.9%)이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3천만원 이상 1억원 미만(17.9%), 3억 원 이상 6억원 미만(17.8%), 3천만원 미만(12.4%)의 순으로 나타남. 또 한 주택가격의 평균은 2억 89만원이며, 중위값은 1억 5천만원인 것으로 나타남. <표 6> 주택가격 (N=4,704,419, 단위: 만원, %) 구분 비율 구분 비율 3천만원 미만 12.4 6억원 이상 4.0 3천만원 이상 1억원 미만 17.9 합계 100.0 1억원 이상 3억원 미만 47.9 평균(표준편차) 20089.32 (27337.75) 3억원 이상 6억원 미만 17.8 중위값 15,000 - 시군별 거주하는 집의 주택가격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평균 주택가격 이 1억 미만인 시군은 가평군(7,782만원), 동두천시(7,082만원), 여주시 (9,600만원), 연천군(8,637만원), 오산시(9,561만원), 포천시(9,772만원) 등 6개 시군임. 반면 과천시(4억 7,388만원)가 유일하게 4억을 웃도는 가격 으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파주시(3억 2,501만원), 용인시(3억 1,012만 원)가 3억 이상임. - 그 외 의왕시(2억 5,887만원), 군포시(2억 5,708만원), 부천시(2억 4,242 만원), 구리시(2억 4,028만원), 하남시(2억 2,070만원), 고양시(2억 1,837 만원), 수원시(2억 1,556만원) 등 13개 시군 응답자의 주택가격이 평균 2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남.

Ⅱ.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 현황 13 <표 7> 시군별 주택가격 (단위: 만원) 시군명 평균(표준편차) 시군명 평균(표준편차) 가평군(N=27,464) 7,782(16,346.33) 안양시(N=182,448) 20,179(16,320.57) 고양시(N=351,673) 21,837(25,778.51) 양주시(N=16,760) 12,960(9,842.00) 과천시(N=22,038) 47,388(37,785.56) 양평군(N=46,280 ) 18,748(25,737.71) 광명시(N=127,144) 18,945(25,460.82) 여주시(N=37,784) 9,600(8,959.61) 광주시(N=101,589) 18,000(13,155.52) 연천군(N=20,543) 8,637(12,644.21) 구리시(N=16,249) 24,028(18,655.29) 오산시(N=63,356) 9,561(11,090.52) 군포시(N=75,259) 25,708(31,273.81) 용인시(N=308,087) 31,012(32,757.04) 김포시(N=84,705) 20,376(22,968.47) 의왕시(N=55,651) 25,887(17,612.85) 남양주시(N=230,904) 19,120(25,034.97) 의정부시(N=164,404) 16,289(17,559.20) 동두천시(N=41,357) 7,082(12,887.36) 이천시(N=61,396) 17,118(15,793.53) 부천시(N=226,725) 24,242(35,345.45) 파주시(N=141,165) 32,501(64,306.39) 성남시(N=250,916) 16,619(35,239.87) 평택시(N=142,929) 17,541(10,332.01) 수원시(N=440,095) 21,556(24,144.30) 포천시(N=63,240) 9,772(22,911.60) 시흥시(N=142,694) 12,153(9,730.59) 하남시(N=49,030) 22,070(25,024.16) 안산시(N=283,778) 16,226(19,119.54) 화성시(N=129,367) 17,563(15,715.96) 안성시(N=73,948) 10,868(9,752.66) 전체(N=3,978,977) 20,089(27,337.75) 3) 가구경제 가구주와 가구주 이외 가구원의 근로자, 자영자, 농립・축산업 경영주로써의 연간 소득을 합산하여 월평균 소득으로 환산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월 근로소득 분포를 살펴보면, 3백만원 이상 6백만원 미만(31.4%)이 가 장 많으며, 다음으로 1백만원 미만(30.4%), 1백만원 이상 3백만원 미만 (26.3%), 6백만원 이상 9백만원 미만(8.8%), 9백만원 이상(3.1%)의 순으 로 나타남. 또한 월 근로소득 평균은 360만원이며, 중위값은 300만원으 로 나타남.

14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표 8>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 (N=4,704,419, 단위: 만원, %) 구분 비율 구분 비율 1백만원 미만 30.4 9백만원 이상 3.1 1백만원 이상 3백만원 미만 26.3 합계 100.0 3백만원 이상 6백만원 미만 31.4 평균(표준편차) 360.08 (550.81) 6백만원 이상 9백만원 미만 8.8 중위값 300 재산소득, 사회보험, 민간보험, 정부보조금(장애수당, 기초노령, 국가유공 자, 근로장려 등), 국민기초생활보장 급여, 기타 소득을 근로소득 이외 소 득으로 정의 및 합산하여 월평균 소득으로 환산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음. - 월 근로소득 이외 소득 분포를 살펴보면, 즉, 전체 가구 대부분의 근로 소득 이외 소득에서 월 1백만원 미만(91.0%)의 소득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남. 그 외 1백만원 이상 3백만원 미만(6.8%), 3백만원 이상 6백만원 미만(1.3%)의 순으로 나타남. 또한 평균 46만원이며, 중위값은 9만원인 것으로 나타남. <표 9>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 이외 소득 (N=4,704,419, 단위: 만원, %) 구분 비율 구분 비율 1백만원 미만 91.0 9백만원 이상 0.3 1백만원 이상 3백만원 미만 6.8 합계 100.0 3백만원 이상 6백만원 미만 1.3 평균(표준편차) 46.91 (547.91) 6백만원 이상 9백만원 미만 0.5 중위값 9

Ⅱ.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 현황 15 4) 재산 및 부채 가구원이 보유한 전체 자산을 부동산, 금융자산, 기타재산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부동산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1억 2천만원 이상(64.2%)이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9천만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12.8%), 3천만원 이상 6천만 원 미만(9.0%), 3천만원 미만(8.0%), 6천만원 이상 9천만원 미만(6.0%) 의 순으로 나타남. 또한 평균은 1억 740만원임. - 금융자산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3천만원 미만(66.6%)이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18.1%), 1억 2천만원 이상(6.8%), 9천만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5.4%)의 순으로 나타남. 또한 평균은 2,396만원이며, 중위값은 100만원으로 나타남. - 기타재산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3천만원 미만(83.7%)이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9.2%), 1억 2천만원 이상(4.2%), 9 천만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1.7%)의 순으로 나타남. 또한 평균은 1,679만원이며, 중위값은 0임. - 위의 부동산, 금융자산, 기타재산을 합한 전체자산의 분표 현황을 살펴 보면, 3천만원 미만(46.2%)이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1억 2천만원 이상 (30.5%),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13.0%), 9천만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5.6%)의 순으로 나타남. - 자산 현황을 전반적으로 볼 때, 부동산 자산이 금융이나 기타재산보다 많으며, 또한 기타재산보다는 금융자산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음.

16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표 10> 자산 현황 (N=4,704,419, 단위: 만원, %) 구분 비율 구분 비율 부동산 3천만원 미만 8.0 1억 2천만원 이상 64.2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 9.0 합계 100.0 6천만원 이상 9천만원 미만 6.0 평균(표준편차) 10740.06 (47073.71) 9천만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 12.8 중위값 0 금융 자산 3천만원 미만 66.0 1억 2천만원 이상 6.8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 18.1 합계 100.0 6천만원 이상 9천만원 미만 3.8 평균(표준편차) 2396.62 (10544.08) 9천만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 5.4 중위값 100 기타 재산 3천만원 미만 83.7 1억 2천만원 이상 4.2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 9.2 합계 100.0 6천만원 이상 9천만원 미만 1.2 평균(표준편차) 1679.25 (23771.54) 9천만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 1.7 중위값 0 전체 자산 3천만원 미만 46.2 1억 2천만원 이상 30.5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 13.0 합계 100.0 6천만원 이상 9천만원 미만 4.7 평균(표준편차) 10511.72 (39337.94) 9천만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 5.6 중위값 550 가구의 부채는 금융기관 대출, 서민금융, 카드빚, 임대보증금 등이 포함 되며, 자세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부채액 분포를 살펴보면, 3천만원 미만(37.1%)이 가장 많으며, 다음으

Ⅱ.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 현황 17 로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24.2%), 1억 2천만원 이상(15.7%), 9천만 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13.1%), 6천만원 이상 9천만원 미만(9.8%)의 순으로 나타남. 응답가구의 과반수 이상이 6천만원 미만의 부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또한 평균은 5,662만원이며, 중위값은 800만원임. <표 11> 부채 현황 (N=4,704,419, 단위: 만원, %) 구분 비율 구분 비율 3천만원 미만 37.1 1억 2천만원 이상 15.7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 24.2 합계 100.0 6천만원 이상 9천만원 미만 9.8 평균(표준편차) 5662.08 (31181.90) 9천만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 13.1 중위값 800 5) 가구유형별 특성 수급, 여성, 노인, 장애인, 아동, 청소년가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음. - 해당 각 가구의 수를 살펴보면, 노인가구(22.7%)가 가장 많으며, 다음으 로 여성가구(20.4%), 청소년가구(17.9%), 초등재학 아동가구(13.5%), 수 급가구(9.1%), 장애인가구(8.5%), 7세 미만 아동가구(7.9%)의 순으로 분 표 현황이 나타남. - 또한 각 가구유형의 모집단은 기초수급가구는 116,963가구(2013년 현 재)로 경기도 전체 가구의 2.5%이며, 여성가구는 879,797가구(2010년 현재)로 경기도 전체 가구의 18.7%를 차지함. 그러나 지역사회복지계획 욕구조사의 특성상 각 모집단의 일부만이 조사되었으며 각 가구의 특 성은 다음과 같음.

18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구분 여성가구 노인가구 장애인가구 연령 20세 이상 30세 미만 2.3 - 0.7 30세 이상 40세 미만 7.4 - 2.8 40세 이상 50세 미만 17.1 - 13.7 50세 이상 60세 미만 19.7 - 20.7 60세 이상 53.6 - 62.2 합계 100.0 - 100.0 <표 12> 가구유형별 정의 (단위: %) 가구유형 정의 가구 수(비율) 경기도 현황 수급가구 가구원 중 1명이상 수급자가 있는 가구 500,916가구 (9.1) 116,963가구 여성가구 가구주의 성별이 여성인 가구 1,121,191가구 (20.4) 879,797가구 노인가구 가구주의 연령이 65세 이상인 가구 1,245,974가구 (22.7) 12,234,630명 장애인가구 가구주가 등록 장애인인 가구 463,845가구 (8.5) 506,000명 아동 가구 7세 미만 7세 미만의 아동이 가구원으로 있는 가구 438,291가구 (7.9) 1,005,523명 초등생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가구원이 있는 가구 740,556가구 (13.5) 820,895명 청소년가구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가구원이 있는 가구 988,926가구 (17.9) 1005,960명 합계 5,499,699가구 (100.0) - 자료: 기초수급가구, 여성가구 수는 경기통계(www.stat.gg.go.kr), 노인, 장애인 인구수는 2014년 보건복지 업무통계(경기도), 7세 미만(0∼7세), 초등생(8∼13세), 청소년(14∼19세) 인원 은 안정행정부 인구통계. 주1) 는 경기도 전체 가구의 %, 여성가구는 경기도 전체 가구의 %임. (1) 인구・사회학적 특성 수급가구, 아동가구, 청소년가구를 제외한 가구주의 특성에 따라 가구 유형 이 구분된 여성가구, 노인가구, 장애인가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음. <표 13> 가구유형별 인구・사회학적 특성 (N=4,704,419, 단위: %)

Ⅱ.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 현황 19 구분 여성가구 노인가구 장애인가구 학력 미취학 1.7 1.9 2.0 무학 11.0 12.3 6.3 초졸 이하 24.0 32.5 26.4 중졸 이하 10.5 16.9 15.0 고졸 이하 32.0 22.7 34.2 초대졸 이하 5.0 1.2 2.8 대졸 이하 13.7 11.0 10.7 대학원졸 이하 2.1 1.6 2.5 합계 100.0 100.0 100.0 경제 활동 참여 형태 비해당 1.1 1.0 1.8 상용직 임금근로자 16.6 5.4 12.4 임시직 임금근로자 7.6 4.4 4.1 일용직 임금근로자 4.6 2.1 4.3 자활근로 및 공공근로 7.5 7.6 5.7 자영업자 9.1 8.7 8.0 무급가족 0.9 1.6 3.2 실업자 2.9 2.4 11.7 비경제활동 인구 49.7 67.0 48.9 합계 100.0 100.0 100.0 장애 비장애인 85.1 78.8 - 장 애 인 중증 4.0 3.7 26.6 경증 9.5 15.4 65.6 비등록장애인 1.4 2.1 7.7 합계 100.0 100.0 100.0 건강 모름 8.2 5.8 6.0 만성질환 없음 49.9 35.2 27.0 만성질환 있음 41.9 59.0 67.0 합계 100.0 100.0 100.0

20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구분 여성가구 노인가구 장애인가구 동거 여부 동거 96.1 97.4 96.5 비동거 3.9 2.6 3.5 합계 100.0 100.0 100.0 여성가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음. - 가구주가 여성인 가구의 가구주 연령은 60세 이상(53.6%)이 가장 많으 며, 다음으로 50세 이상 60세 미만(19.7%), 40세 이상 50세 미만(17.1%), 30세 이상 40세 미만(7.4%)의 순으로 나타남. 즉 나이가 적은 여성가구 주보다 나이가 많은 가구주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 가구주 학력은 고졸 이하(32.0%), 초졸 이하(24.0%), 대졸 이하(13.7%), 중졸 이하(10.5%), 무학(11.0%), 초대졸 이하(5.0%), 대학원졸 이하(2.1%) 의 순으로 나타남. - 가구주 경제활동 참여형태는 앞에서 연령이 60세 이상인 가구주가 과 반수를 넘었던 것과 같이 비경제활동 인구(49.7%)가 과반수 이상임. 다 음으로 상용직 임금근로자(16.6%), 자영업자(9.1%), 임시직 임금근로자 (7.6%), 자활근로 및 공공근로(7.5%), 일용직 임금근로자(4.6%)의 순으 로 나타남. - 가구주는 비장애인(85.1%)이 거의 대부분이며, 장애인 중에서는 중증 (4.0%)보다 경증(9.5%)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가구주의 건강은 만성질환 없음(49.9%)이 있음(41.9%)보다 다소 많음. 동거여부는 대부분 동거(96.1%)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노인가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음. - 65세 노인이 가구주인 가구의 가구주 학력은 초졸 이하(32.5%)가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고졸 이하(22.7%), 중졸 이하(16.9%), 무학(12.3%), 대

Ⅱ.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 현황 21 졸 이하(11.0%)의 순으로 나타남. - 가구주의 경제활동 참여형태는 비경제활동 인구(67.0%)가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자영업자(8.7%), 자활근로 및 공공근로(7.6%), 상용직 임금근 로자(5.4%), 임시직 임금근로자(4.4%), 실업자(2.4%)의 순으로 나타남. - 가구주는 비장애인(78.8%)이 많으며, 장애인 중에서는 중증(3.7%)보다 경증(15.4%)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 가구주의 건강은 만성질환 있음(59.0%)이 없음(35.2%)보다 약 두 배 가 량 많은 것으로 나타남. - 동거여부는 대부분 동거(97.4%)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장애인가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음. - 가구주가 장애인인 가구의 가구주 연령은 60세 이상(62.2%)이 가장 많 으며, 다음으로 50세 이상 60세 미만(20.7%), 40세 이상 50세 미만 (13.7%), 30세 이상 40세 미만(2.8%), 20세 이상 30대 미만(0.7%)의 순으 로 나타남. - 가구주의 학력은 고졸 이하(34.2%)가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초졸 이하 (26.4%), 중졸 이하(15.0%), 대졸 이하(10.7%)의 순으로 나타남. - 가구주의 경제활동 참여형태는 비경제활동 인구(48.9%), 상용직 임금근 로자(12.4%), 실업자(11.7%), 자영업자(8.0%), 자활근로 및 공공근로 (5.7%)의 순으로 나타남. - 가구주의 장애는 중증(26.6%)보다 경증(65.6%)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 가구주의 건강은 만성질환 없음(27.0%)보다 있음(67.0%)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 동거여부는 주로 동거(96.5%)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22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2) 주거 가구유형별 주거유형, 주거지 점유형태, 주택가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주거유형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기초수급가구는 일부 주거유형에 집중 적으로 거주하기보다 일반단독주택, 다가구용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연 립주택, 일반아파트, 영구임대 아파트, 국민임대 아파트 각각에 15% 내외 씩 고루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 외 7세 미만 아동가구, 초등재학 아 동가구와 청소년가구는 일반아파트(64.5%, 64.3%, 60.8%)에 과반수 이상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남. 또한 여성가구, 노인가구, 장애인가구는 일반아 파트, 일반단독주택, 연립주택의 순으로 많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남. 한편 비닐하우스, 임시가건물과 같은 유형의 주거지에는 아동, 청소년가 구는 거의 거주하지 않으나 기초수급가구와 장애인, 노인가구는 일부 거 주하는 것으로 나타남. 점유형태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기초수급가구를 제외한 모든 가구에서 자가가 많으며, 다음으로 전세, 보증부 월세, 월세의 순으로 나타남. 기초 수급가구는 가구의 특성상 자가(16.2%)는 적으며, 월세(27.8%), 보증부 월 세(25.9%), 전세(21.8%)의 순으로 나타남. 주택가격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기초수급가구는 3천만원 미만(52.4%), 청소년가구는 1억원 이상 3억원 미만(52.0%), 7세 미만 아동가구(57.7%), 초등재학 아동가구(56.7%)인 주택에서 과반수 이상 거주하며, 그 외 여성 가구(35.2%)와 노인가구(39.2%) 역시 그 범위 내 주거가 많지만 그 비율 은 타 가구에 비해 다소 적음. 또한 주택가격의 평균값을 살펴보면, 기초 수급가구가 6,022만원으로 가장 적으며, 다음으로 1억 2,604만원, 여성가 구 1억 4,210만원, 노인가구 1억 6,676만원, 7세 미만 아동가구 1억 8,776

Ⅱ.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 현황 23 구분 수급가구 여성 가구 노인 가구 장애인 가구 아동가구 청소년 가구7세미만 초등생 주 거 유 형 일반단독주택 12.0 14.9 22.0 16.5 6.3 8.1 11.0 다가구용 단독주택 12.9 8.0 7.6 9.1 6.9 5.4 5.2 다세대주택 15.1 10.5 9.2 9.5 5.0 5.7 4.5 연립주택(빌라) 12.6 12.2 9.6 13.4 9.6 8.0 11.2 일반아파트 16.4 35.3 36.7 28.1 64.5 64.3 60.8 영구임대 아파트 11.5 5.3 4.3 8.6 1.4 1.5 1.5 국민임대 아파트 13.2 10.0 7.1 9.6 4.2 5.1 3.2 점포주택 등 복합용도주택 0.4 1.0 0.9 0.7 1.2 1.2 1.0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 0.5 0.5 0.4 0.3 0.0 0.2 0.4 오피스텔 0.2 0.4 0.0 0.5 0.5 0.2 0.7 비닐하우스, 움막, 판잣집 1.6 0.4 0.8 1.3 0.0 0.1 0.0 임시가건물 0.4 0.1 0.1 0.4 0.0 0.1 0.0 기타 3.1 1.4 1.2 2.0 0.4 .3 0.6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점 유 형 태 자가 16.2 44.4 57.0 39.4 47.9 60.3 65.9 전세 21.8 23.4 17.9 17.1 33.1 22.7 19.8 보증부 월세 25.9 15.0 11.0 18.5 10.8 9.7 7.0 월세(사글세 포함) 27.8 13.1 10.0 19.2 5.5 5.3 5.4 기타(관사, 사택 등) 8.3 4.0 4.0 5.7 2.8 1.9 1.9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3천만원 미만 52.4 24.6 21.4 32.0 9.4 7.8 6.3 3천만원 이상 1억원 미만 25.5 25.9 21.7 22.9 16.7 13.7 14.6 만원, 초등재학 아동가구 2억 1,490만원, 청소년가구 2억 2,834만원의 순 으로 나타남. <표 14> 가구유형별 주거유형 (N=4,704,419, 단위: 만원, %)

24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구분 수급가구 여성 가구 노인 가구 장애인 가구 아동가구 청소년 가구7세미만 초등생 주 택 가 격 1억원 이상 3억원 미만 17.6 35.2 39.2 31.6 57.7 56.7 52.0 3억원 이상 6억원 미만 4.0 11.6 13.5 11.1 13.7 17.9 23.2 6억원 이상 0.5 2.7 4.2 2.5 2.6 3.9 3.9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평균 (표준편차) 6,022.97 (0093.84 14,210.87 (23835.84) 16,676.37 (24198.62) 12,604.42 (20193.11) 18,776.48 (21607.97) 21,490.46 (25325.29) 22,834.66 (28151.38) 중위값 2,100 8,100 10,000 6,000 16,000 18,000 20,000 (3) 가구경제 가구유형별 가구경제 특성을 월평균 근로소득과 월평균 근로소득 이외 소득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월평균 근로소득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기초수급가구(82.1%), 여성가구 (58.4%), 노인가구(72.3%), 장애인가구(66.3%)는 과반수 이상이 월 1백만 미만의 소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7세 미만 아동가구(47.2%), 초등 재학 아동가구(48.3%), 청소년가구(43.4%)는 월 3백만원 이상 6백만원 미 만의 소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또한 월 6백만원 이상 9백만원 미만의 소득이 있는 가구 역시 타 가구유형이 1%인데 반해 아동가구와 청소년 가구는 10%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남. 월평균 근로소득의 평균값을 살펴 보면, 기초수급가구가 99만원으로 가장 적으며, 다음으로 노인가구 147만 원, 장애인가구 193만원, 여성가구 199만원임. 그 외 아동가구와 청소년 가구는 월 약 4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남.

Ⅱ.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 현황 25 월평균 근로소득 이외 소득은 모든 가구에서 90%이상이 1백만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남. 또한 평균값을 살펴보면, 초등재학 아동가구가 32만원으 로 가장 적고, 그 외 가구는 약 50만원 내외인 것으로 나타남. <표 15>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 (N=4,704,419, 단위: 만원, %) 구분 기초수급가구 여성가구 노인가구 장애인 가구 아동가구 청소년 가구7세미만 초등생 월 평 균 근 로 소 득 1백만원 미만 82.1 58.4 72.3 66.3 8.2 11.4 13.2 1백만원 이상 3백만원 미만 13.3 26.3 17.7 22.0 33.0 25.7 24.1 3백만원 이상 6백만원 미만 3.3 10.7 7.8 9.2 47.2 48.3 43.4 6백만원 이상 9백만원 미만 1.2 3.1 1.1 1.7 10.1 10.2 14.6 9백만원 이상 0.2 1.5 1.1 0.9 1.5 4.3 4.6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평균 (표준편차) 99.19 (166.75) 199.27 (269.81) 147.62 (702.78) 192.38 (1063.15) 398.00 (335.52) 438.79 (729.21) 434.16 (357.08) 중위값 30 125 25 85 333 358 400 월 평 균 근 로 소 득 이 외 소 득 1백만원 미만 90.0 92.7 88.9 87.2 94.2 94.1 92.6 1백만원 이상 3백만원 미만 9.3 6.1 9.6 10.8 4.3 4.1 5.0 3백만원 이상 6백만원 미만 0.2 0.6 0.8 1.6 0.8 0.9 1.2 6백만원 이상 9백만원 미만 0.4 0.4 0.4 0.3 0.2 0.7 0.8 9백만원 이상 0.0 0.2 0.3 0.2 0.4 0.3 0.5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평균 (표준편차) 53.04 (42.83) 48.63 (958.48) 56.00 (414.56) 54.68 (113.47) 44.93 (200.28) 32.03 (104.25) 54.09 (1086.92) 중위값 68 10 20 28 22 6 0

26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4) 자산 및 부채 부동산, 금융자산, 기타재산과 같은 자산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부동산 자산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기초수급가구를 제외한 모든 가구에 서 1억 2천만원 이상이 반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초등재학 아 동가구가 1억 1,353만원으로 가장 높은 평균값을 가지며 다음으로 청소년 가구 9,273만원, 노인가구 8,544만원, 7세 미만 아동가구 8,256만원, 여성가 구 5,603만원, 장애인가구 5,110만원, 기초수급가구 926만원으로 나타남. 금융자산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모든 가구에서 3천만원 미만의 자산이 과반수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또한 평균값은 기초수급 가구 341만원으로 가장 적으며, 그 외 여성가구 1,582만원, 노인가구 1,814만원, 장애인가구 2,011만원, 7세 미만 아동가구 2,103만원, 청소년가 구 2,562만원, 초등재학 아동가구 2,982만원의 순으로 나타남. 부동산과 금융자산을 제외한 기타재산의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역시 3 천만원 미만이 모든 가구에서 약 80%를 차지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 남. 또한 평균값을 살펴보면, 기초수급가구가 37만원으로 가장 적으며, 다음으로 장애인가구 282만원, 여성가구 775만원, 청소년가구 1,491가구, 노인가구 1,700만원, 그 외 아동가구는 3천만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남.

Ⅱ.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 현황 27 구분 수급가구 여성 가구 노인 가구 장애인 가구 아동가구 청소년 가구7세미만 초등생 부 동 산 3천만원 미만 23.1 12.7 9.3 12.3 6.7 8.1 6.0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 15.3 9.0 8.6 14.2 10.5 7.8 9.0 6천만원 이상 9천만원 미만 5.2 6.8 6.9 5.3 8.8 9.4 4.6 9천만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 19.0 9.7 11.8 14.4 16.5 15.6 13.1 1억 2천만원 이상 37.3 61.9 63.4 53.8 57.5 59.1 67.3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평균 (표준편차) 926.30 (5735.83) 5,603.13 (30946.33) 8,544.92 (36476.55) 5,110.54 (21676.67) 8,256.89 (46223.84) 11,353.98 52163.58) 9,273.71 (24754.52) 중위값 0 0 0 0 0 0 0 금 융 자 산 3천만원 미만 88.9 75.4 72.2 72.9 71.4 63.3 60.0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 7.2 10.6 12.1 11.3 16.5 21.4 23.0 6천만원 이상 9천만원 미만 0.0 2.7 3.3 3.7 3.7 2.8 6.0 9천만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 1.0 5.3 5.4 1.7 3.2 4.8 5.2 1억 2천만원 이상 2.9 6.0 7.0 10.4 5.2 7.8 5.9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평균 (표준편차) 341.16 (2145.21) 1,582.10 (7591.23) 1,814.47 (10938.85) 2,011.09 (16727.03) 2,103.01 (7558.31) 2,982.34 (10315.21) 2,562.50 (7721.69) 중위값 0 0 0 0 300 300 350 기 타 재 산 3천만원 미만 97.3 83.1 87.8 89.0 85.1 87.3 83.1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 1.7 5.7 3.9 5.7 9.3 7.5 9.0 6천만원 이상 9천만원 미만 1.0 2.0 0.4 1.6 0.2 1.0 1.0 <표 16> 자산 현황 (N=4,704,419, 단위: 만원, %)

28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구분 수급가구 여성 가구 노인 가구 장애인 가구 아동가구 청소년 가구7세미만 초등생 9천만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 0.0 2.2 1.5 2.9 1.0 1.1 2.5 1억 2천만원 이상 0.0 7.0 6.3 .9 4.4 3.2 4.4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평균 (표준편차) 37.99 (290.02) 775.86 (8748.58) 1,700.43 (32506.48) 282.24 (2445.20) 3,487.44 (46392.70) 3,282.37 (39158.74) 1,491.42 (11392.03) 중위값 0 0 0 0 0 0 0 전 체 자 산 3천만원 미만 79.0 55.5 47.3 57.9 56.3 50.3 44.7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 8.9 9.7 9.6 10.4 14.5 15.6 14.5 6천만원 이상 9천만원 미만 0.9 3.8 4.5 3.9 5.9 4.2 5.5 9천만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 3.6 5.6 5.9 4.2 3.0 4.4 5.4 1억 2천만원 이상 7.5 25.4 32.7 23.6 20.4 25.3 29.8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평균 (표준편차) 915.64 (5557.20) 5,180.67 (19133.41) 8,730.48 (37450.15) 5,623.35 (27629.88) 5,847.36 (16747.33) 9,963.55 (32162.90) 112,28.40 (42325.48) 중위값 0 0 0 0 1,000 1,000 1,000 가구유형별 부채 현황을 살펴보면 같음. 기초수급가구(64.4%), 여성가구 (52.9%), 장애인가구(58.5%)는 각각 3천만원 미만의 부채를 가진 가구가 절반 이상이며, 다음으로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19.2%, 19.4%, 17.8%)의 부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남. 한편 아동가구, 청소년가구는 3천 만원 미만의 부채를 가진 가구와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의 부채를 가진 가구의 비율이 각 30% 내외로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또한 여성가구, 노인가구, 아동가구, 청소년가구는 1억 2천만원 이상의 부채를 가진 가구가 10%이상을 차지함. 평균값을 살펴보면, 초등재학 아동가구

Ⅱ.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 조사 현황 29 가 8,318만원으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7세 미만 아동가구 7,733만원, 청소년가구 6,345만원, 장애인가구 3,727만원, 여성가구 3,414만원, 노인 가구 3,121만원, 기초수급가구 1,526만원의 순으로 나타남. <표 17> 부채 현황 (N=4,704,419, 단위: 만원, %) 구분 기초수급가구 여성가구 노인가구 장애인 가구 아동가구 청소년 가구7세미만 초등생 3천만원 미만 64.4 52.9 48.6 58.5 32.9 30.4 30.8 3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 19.2 19.4 20.2 17.8 27.9 26.2 26.5 6천만원 이상 9천만원 미만 9.5 8.4 9.8 9.6 13.1 12.9 9.7 9천만원 이상 1억 2천만원 미만 3.7 8.7 7.7 4.7 15.3 15.5 16.0 1억 2천만원 이상 3.3 10.6 13.7 9.4 10.9 15.1 16.9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평균(표준편차) 1,562.69 (5325.05) 3,414.26 (22334.35) 3,121.48 (30507.06) 3,727.17 (18799.52) 7,733.71 (51816.21) 8,318.98 (44022.95) 6,345.85 (18236.16) 중위값 0 0 0 0 2,500 3,000 2,500

30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Ⅲ 1. 지역주민 복지욕구 잠재적 유형분석 1) 연구방법 복지욕구 측정에 있어 다차원적 접근 필요 - 소득기준의 전통적인 빈곤측정은 개인이 빈곤에 처한 위험 정도를 제 대로 보여주지 못함. - 소득중심의 관점에 대한 대안으로 여러 생활영역에서 결핍 또는 부족 의 정도를 측정하는 다차원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활영역에서 욕구나 결핍의 정도를 동시에 측 정하여 복지욕구의 잠재적 유형을 파악하고자 함. - 이를 위해 잠재적 군집분석의 일종인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방법을 사용하고자 함. 지역주민 복지욕구 측정변인 -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변인을 사용하였음. - 생활여건 ・ 생활여건은 다음과 같은 7개 문항별로 생활의 어려움을 1(전혀 심각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31 구분 문항 내용 식생활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한번 이상 고기나 생선을 사먹는 것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한번 이상 신선한 과일을 사먹는 것 기호식품(차, 커피, 과자류, 아이스크림, 음료 등)을 사먹는 것 하지 않다)부터 5(매우 심각하다)까지 점수로 측정하였음. <표 18> 생활여건 어려움 측정 문항 구분 문항 내용 생활 여건 저(무)소득, 과다 지출로 인한 생활상의 어려움 부채청산으로 인한 어려움 등 실직, 재취업, 퇴직으로 인한 어려움 등 성인 돌봄, 환자, 장애인 돌봄의 어려움(직업포기, 스트레스 등) 자녀양육 및 자녀 교육에 관한 어려움 가정 내 불화・단절로 인한 어려움(이혼·별거·사별 등) 정신건강의 어려움(우울증, 의욕상실, 스트레스, 알코올 중독 등) - 박탈의 정도 ・ 첫째, 가정 내 해당 생활용품(세탁기, 전자레인지, 김치냉장고, 진공 청소기, 휴대폰, 디지털카메라, 컴퓨터, 유선방송 또는 케이블 TV, 인 터넷 연결, 자동차)의 유무의 총점으로 계산하였음. ・ 둘째, 식생활, 의생활, 주택 및 주거환경, 의료 및 건강, 가족활동 및 문화생활, 사회적 지지, 저축에 대한 해당 문항의 유무의 총점으로 계산하였음. 구체적인 문항은 다음과 같음. <표 19> 박탈정도 측정 문항

32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구분 문항 내용 의생활 매우 추운 날 입을 수 있는 오버류(코트,파카,털이나 가죽옷 등)을 두 벌 정도는 가지고 있는 것 예식장 갈 때와 같은 특별한 날에 입을 수 있는 정장을 한 벌 정도는 가지고 있는 것 정장에 어울리는 구두 한 켤례는 가지고 있는 것 일년에 한 벌 정도 외출용이나 정장 등의 옷을 구입하는 것 주택 및 주거환경 가스나 기름보일러를 사용하거나 중앙난방이 되는 것 가족 수에 맞게 적정한 방을 사용하는 것 ※ 예) 6세 이상의 자녀와 8세 이상의 자녀의 경우, 성별이 다르면 방을 따로 쓰는 것 걸어서 10분 안의 거리에 버스 정거장이나 전철역이 있는 것 옥탑방이나 (반)지하가 아닌 지상에 거주하며, 전용 수세식의 화장실 및 온수 목욕 시설을 갖추는 것 의료 및 건강 질병으로 오랫동안(3개월 이상) 앓고 있는 경우 정기적으로 진료받는 것 이가 아프면 치과에 가는 것 건강을 위해 보약이나 영양제 또는 보조식품 등을 먹는 것 의사에게서 처방받은 의약품이나 필요한 (일반)의약품을 구입하는 것 가족활동 및 문화생활 1년에 한 번 이상 (가족 또는 자녀와) 2∼3일 정도의 여행(피서)를 다녀오는 것 3개월에 한 번 이상 (가족 또는 자녀와) 외식하는 것 원한다면 정기적으로 혹은 종종 취미생활이나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것 1년에 한 번 이상 (가족 또는 자녀와) 영화나 공연을 보러가는 것 사회적 지지 어려울 때 이야기를 나누고 위로를 받을 수 있는 친척이나 친구가 있는 것 일자리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친척이나 친구가 있는 것 물질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친척이나 친구가 있는 것 저축 긴급한 경우를 대비하여 저축하는 것 긴급한 재정적 지출(약 50만원 정도)을 감당하는 것 노후를 위해 (국민,개인)연금에 가입하거나 저축하는 것 사회보험 외에 사적보험(의료보험, 종신보험, 생명보험 등의 보장성 보험)에 가입 하는 것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33 분석방법 -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을 하 였으며, 분석에 투입된 모든 지표는 측정 값의 범위가 다른 것을 표준 화하기 위하여 표준화 점수로 변환하여 사용하였음. 연구모형은 M-plus 5.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음. - 경기도 31개 시군별로 진행된 지역주민 복지욕구조사는 조사시점 및 표본추출방법이 시군 간 다소 상이하므로, 이러한 불완전성을 보정하 기 위해 표본가중치 산출 후 잠재적 유형분석 시 이를 사용하였음. - 한편, 군포시의 경우 다른 지역과 다른 응답범주를 사용하여(일부 문항 에서 가이드라인으로 제시된 설문지에 없는 ‘해당없음’ 범주 포함) 분 석에서 제외되었음. 다음은 총 30개 시군 자료 15,226개 가구의 응답자 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임. 2)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분석결과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의 잠재적 유형 - 자료를 최적으로 설명하는 모형을 찾기 위해 집단의 수를 하나씩 증가 시키며 분석한 결과, AIC와 BIC의 값은 집단의 수가 증가할 때마다 감 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그러나 LMRT는 4개 모형일때 유의미하며, 5 개 모형에서는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4개의 하위집 단으로 구성된 모형을 최종적으로 선택하였음.

34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표 20> 전체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모형적합도 집단 Fit Index AIC BIC LMRT 엔트로피 1 318086.489 318294.257 - - 2 296682.349 297000.927 21287.080** 0.902 3 291228.511 291657.897 5447.692** 0.894 4 286936.065 287476.261 4907.687** 0.855 5 283628.843 284279.849 3316.002** 0.874 6 281673.519 282435.334 1973.505 0.875 **p<.01, *p<.05 - 경기도 30개 시군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유형에 대한 5개 집단은 다음과 같음. - 첫 번째 집단은 생활의 어려움이나 생활용품 등 박탈의 정도를 측정한 모든 문항의 점수가 5개 집단 가운데 가장 낮았음. 이 집단은 ‘낮은 욕 구 집단’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응답자의 약 39.4%가 이 집단에 속하 였음. 5개 집단 가운데 가장 크기가 큰 집단이었음. - 두 번째 집단은 생활상의 어려움은 높았으나 박탈의 정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음. 이 집단은 경제적인 영역과 자녀양육, 가정내 불화, 정신건강과 관련된 욕구가 높아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으 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응답자의 약 15.3%가 이 집단에 속하였음. - 세 번째 집단은 생활여건상의 어려움은 크지 않았으며, 가족여행이나 외식, 정기적인 취미, 여가생활이나 영화, 공연을 보러가는 것 등으로 측정한 가족활동 및 문화생활 욕구를 측정한 지표가 높게 나타났음. 이 집단은 ‘문화생활 욕구 집단’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응답자의 약 20.8%가 이 집단에 속하였음.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35 - 네 번째 집단은 생활여건상의 어려움 및 박탈의 정도가 전반적으로 모 두 높아 고위험집단으로 볼 수 있음. 다른 집단과 다르게 이 집단은 이 혼이나 별거 등으로 인한 가정 내 불화와 정신건강과 관련된 욕구가 높았고 가족활동 및 문화생활의 박탈의 정도가 높았음. 이 집단은 ‘소 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으로 명명하였으 며, 전체 응답자의 약 14.7%가 이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다섯째 집단은 생활여건상의 어려움 중에서 저소득 및 과다지출로 인한 어려움만이 높았으나 박탈의 정도는 전반적으로 높았고 특히 생활용품, 식생활 및 의생활에 있어서의 박탈이 더욱 높았음. 이 집단 또한 경제적 어려움과 일상생활 영위에 필요한 물품에 대한 박탈이 높아 고위험 집단 으로 볼 수 있음. 이 집단은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 단’으로 명명하였음. 전체 응답자의 약 9.7%가 이 집단에 속하였음. [그림 1]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36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2. 복지욕구유형별 일반적 특성 1) 복지욕구유형별 가구규모 및 가구주 특성 경기도 복지욕구유형별 가족 수 분포는 <표 21>과 같음. - ‘낮은 욕구 집단’의 경우 4인 가구가 가장 많은 반면,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의 경우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 장 높았음. 즉 1인 가구의 경우 경제적인 어려움과 의식주 등 일상생활 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인 요인이 상당부분 결핍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 음을 알 수 있음. - 따라서 가구규모 측면에서는 1인 가구의 문제를 보다 집중적으로 살펴 보고 개입할 필요가 있을 것임. <표 21> 복지욕구유형별 가족 수 분포 (단위: %) 가족 수 유형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 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1인 8.40 5.80 24.70 18.20 56.20 2인 16.00 13.00% 26.30 25.40 28.20 3인 23.00 23.20 16.70 22.60 7.30 4인 38.70% 40.00 21.90 21.50 4.30 5인 이상 13.70 17.90 10.30 12.20 3.90 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37 복지욕구유형별 가구주 연령 - 경기도 복지욕구유형별 가구주 연령 분포는 <표 22>와 같음. - ‘낮은 욕구 집단’은 40대와 50대 가구주의 비율이 가장 많았음. -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 또한 40대와 50대 가구주 비율이 가장 많았음. 50대 가구주의 경우 은퇴시기가 얼마 남지 않았거나 이미 퇴직하여 취업과 관련된 영역에서 욕구가 높음을 알 수 있었음. 이들은 가족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에서도 욕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이들의 문제나 욕구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노년기의 경제적 및 가족관 련 어려움이 더욱 심각해질 수 있음. - ‘문화생활 욕구 집단’에서는 60대 이상 가구주 비율이 가장 높았음. 전 반적으로 문제나 어려움이 크지 않은 집단이기 때문에 필요한 용품이 나 문화적인 욕구가 잘 해결된다면 만족도가 높을 것임. -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에서는 60대 이상 가구주가 가장 많았음. 전반적으로 욕구수준이 높은 노인가구이 므로 고위험집단으로 설정하고 자원배분 시 우선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을 것임. -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에서는 60대 이상 가구 주의 비율이 77.0%로 상당히 높았음. 이들은 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 이 되는 소득, 특히 의식주 영역에서의 욕구가 상당히 높게 나타났음. 생활의 필수영역에서의 박탈이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정책적으로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음.

38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표 22> 복지욕구유형별 가구주 연령 분포 (단위: %) 구분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가구주 연령 20대 2.2 1.3 1.6 1.1 .7 30대 12.3 9.2 7.1 3.3 2.1 40대 31.9 38.6 14.6 26.1 8.1 50대 28.9 31.5 27.5 26.0 11.3 60대 이상 24.8 19.3 49.1 43.5 77.0 무응답 0.0 0.1 0.0 0.0 0.7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지욕구유형별 가구주 학력 - 복지욕구유형별 가구주 학력 분포는 <표 23>과 같음. - ‘낮은 욕구 집단’에서는 대졸 이상이 38.6%로 가장 높았음. -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에서는 고졸이 40.8%로 가장 많았음. - ‘문화생활 욕구 집단’에서도 고졸이 37.9%로 가장 많았음. -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에서도 고졸이 42.7%로 가장 많았음. -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에서는 초졸이 32.8%로 가장 많았으며, 무학인 경우도 21.3%였음.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39 <표 23> 복지욕구유형별 가구주 학력 분포 (단위: %)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가구주 학력 무학 1.4 10.0 4.3 7.7 21.3 초졸 3.4 3.8 18.0 17.1 32.8 중졸 5.4 4.0 12.8 13.5 17.0 고졸 33.4 40.8 37.9 42.7 21.1 초대졸 10.7 10.9 5.2 5.3 1.8 대졸 38.6 33.9 19.1 11.5 5.6 대학원 이상 7.1 5.6 2.7 2.2 0.4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지욕구유형별 가구주 경제활동 - 복지욕구유형별 가구주의 경제활동 특성은 <표 24>와 같음. - ‘낮은 욕구 집단’과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에서는 상용직 임금근로자가 각각 53.4%와 48.7%로 가장 많았음. - ‘문화생활 욕구 집단’,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 구 집단’,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에서는 비경 제활동인구의 비율이 각각 31.3%, 37.0%, 55.6%로 가장 많았음. - 즉 여러 영역에서 욕구나 박탈수준이 높은 집단은 가구주가 안정적인 소득활동을 하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았음.

40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표 24> 복지욕구유형별 가구주 경제활동 분포 (단위: %) 구분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가구주 경제 활동 비해당 0.7 0.6 0.4 1.2 1.3 상용직 임금근로자 53.4 48.7 29.0 19.2 7.2 임시직 임금근로자 2.5 4.1 6.4 5.5 4.8 일용직 임금근로자 1.6 3.9 5.8 8.2 4.9 자활근로 및 공공근로 0.8 1.1 1.6 6.4 11.3 자영업자 23.9 23.5 22.5 13.3 5.6 무급가족 1.2 2.0 1.0 .7 1.4 실업자 1.5 3.0 1.9 8.6 7.9 비경제활동인구 14.4 13.1 31.3 37.0 55.6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지욕구유형별 가구주 만성질환 유무 -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 ‘문화생활 욕구 집단’ 은 가구주가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가 각각 78.4%, 76.6%, 60.5%였음. -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과 ‘소득, 의식 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과 같이 욕구수준이나 박탈의 정도 가 높은 집단은 가구주가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가 39.8%와 61.5%로 상 당히 높았음. -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은 일상생활영역과 관련된 박탈의 정도는 낮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41 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러 영역에서 모두 어려움이나 박탈의 정도가 높은 경우 가구주 또한 건강과 관련된 어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표 25> 복지욕구유형별 가구주 만성질환 유무 분포 (단위: %)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가구주 만성 질환 모름 7.3 9.7 8.0 8.2 6.5 만성질환 없음 78.4 76.6 60.5 51.9 31.9 만성질환 있음 14.3 13.8 31.5 39.8 61.5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지욕구유형별 주택유형 - 복지욕구유형별 주택유형별 가구분포는 <표 26>과 같음. ・ ‘낮은 욕구 집단’에서는 자가가구가 70.9%로 가장 많았으며,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과 ‘문화생활 욕구 집단’에서도 자가가 구가 각각 64.7%와 65.8%로 많았음. ・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에서도 자가 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기는 하였으나 40.7%로 앞의 3가지 집단에 비 해 비율이 다소 낮았음. 한편 보증부월세의 비율이 20.9%로 높게 나 타났음. ・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은 자가가구의 비율 이 28.7%로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낮았으며, 전세와 보증부월세, 월 세 등의 비율이 각각 24.7%, 22.4%, 18.8%로 나타나 다른 집단에 비 해 주거의 지원이 특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42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표 26> 복지욕구유형별 주택유형 분포 (단위: %) 구분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자가 70.9 64.7 65.8 40.7 28.7 전세(월세없음) 20.7 21.8 16.5 18.3 24.7 보증부월세 4.0 7.6 8.8 20.9 22.4 월세(사글세 포함) 3.2 4.2 4.9 15.8 18.8 기타 1.2 1.7 4.1 4.3 5.5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2) 복지욕구유형별 가구유형 분포 복지욕구유형별 여성가구주 가구 현황 - 복지욕구유형별로 여성가구주 가구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는 <표 27>과 같음. - 낮은 욕구나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 욕구 등과 같이 일부 영 역에서 욕구가 높은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결핍수준이 심 각한 어려움을 보이고 있는 집단의 경우 여성가구주인 경우가 더 많았음. <표 27> 복지욕구유형별 여성가구주 가구 분포 (단위: %) 구분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여성 가구주 가구 비해당 85.5 83.8 73.8 66.9 42.3 해당 14.5 16.2 26.2 33.1 57.7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43 복지욕구유형별 노인가구주 가구 현황 - 복지욕구유형별 노인가구주 가구 비율은 <표 28>과 같음. - ‘낮은 욕구’나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과 달리 ‘소득, 의식 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에 욕구가 있는 집단’이 특히 노인가구주 가구 의 비율이 높았음. <표 28> 복지욕구유형별 노인가구주 가구 분포 (단위: %) 구분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노인 가구주 가구 비해당 85.4 88.2 61.7 66.5 30.5 해당 14.6 11.8 38.3 33.5 69.5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지욕구유형별 장애인가구주 가구 현황 - 복지욕구유형별 장애인가구주 가구 분포는 <표 29>와 같음. - ‘낮은 욕구’나‘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에 비해 ‘소득, 취업 가족문제 및 전반적인 생활 욕구 집단’과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 활영역 욕구 집단’과 같이 욕구의 수준이 높고 여러 영역에서 어려움을 동시에 겪고 있는 집단에서 장애인가구주 가구의 비율이 좀 더 높았음.

44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표 29> 복지욕구유형별 장애인가구주 가구 분포 (단위: %) 구분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장애인 가구주 가구 비해당 95.9 94.8 89.3 77.7 76.2 해당 4.1 5.2 10.7 22.3 23.8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지욕구유형별 7세 미만 아동가구 현황 - 복지욕구유형별 7세 미만 아동가구 분포는 다음과 같음. - 7세 미만 아동가구는 ‘낮은 욕구’나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 단’과 같이 전반적으로 생활의 어려움이 크지 않거나 가족과 관련된 욕 구가 있는 집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음. <표 30> 복지욕구유형별 7세 미만 아동가구 분포 (단위: %) 구분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아동 가구 비해당 88.3 87.4 94.4 93.3 98.6 해당 11.7 12.6 5.6 6.7 1.4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지욕구유형별 초등학생가구 현황 - 복지욕구유형별 초등학생가구 분포는 <표 30>과 같음. - 7세 미만 아동가구에 비해 초등학생가구는 ‘낮은 욕구’나 ‘소득, 취업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45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더욱 높았음. <표 31> 복지욕구유형별 초등학생가구 분포 (단위: %) 구분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초등생 가구 비해당 79.9 76.2 92.9 86.1 96.2 해당 20.1 23.8 7.1 13.9 3.8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지욕구유형별 청소년가구 현황 - 복지욕구유형별 청소년가구 분포는 다음과 같음. -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이 31.1%로 가장 높았는데 이는 40 대 가구주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과도 연관이 있음. 즉 40대 부모와 청 소년 자녀로 구성된 가구는 박탈의 정도는 낮고 소득, 취업 및 가족문 제 욕구수준은 다소 높았음. <표 32> 복지욕구유형별 청소년가구 분포 (단위: %) 구분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청소년 가구 비해당 76.1 68.9 86.5 76.6 95.4 해당 23.9 31.1 13.5 23.4 4.6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46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3) 복지욕구유형별 기초수급가구 및 소득수준별 가구 현황 복지욕구유형별 기초수급가구 현황 - 복지욕구유형별 기초수급가구의 비율은 다음과 같음. - ‘낮은 욕구 집단’에서는 3.1%로 상당히 비율이 낮았으나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과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 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과 같이 여러 영역에서 어려움이나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각각 33.2%와 42.5%를 차지하였음. - 한편,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이나 ‘소 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과 같이 고위험집단에 속 함에도 불구하고 기초수급을 받지 못하는 경우는 경제적 어려움이 있 지만 제도적인 지원을 받지 못하는 가구가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표 33> 복지욕구유형별 기초수급가구 분포 (단위: %) 구분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기초수급 가구 비해당 96.9 96.6 94.0 66.8 57.5 해당 3.1 3.4 6.0 33.2 42.5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지욕구유형별 소득수준 집단별 현황 - 다음은 복지욕구유형별로 소득수준 집단의 분포를 살펴본 것임. 소득 수준은 2013년 가구의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하여, 빈곤층은 가구의 시 장소득1)이 2013년 중위소득의 50% 미만, 중산층은 중위소득의 50%이 1) 시장소득은 근로소득, 사업 및 부업소득, 재산소득, 사적이전소득을 합하여 계산하였음.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47 상∼150%미만, 상류층은 중위소득 150% 이상의 가구를 의미함. ・ 빈곤층 가구는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에서 86.7%,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에서 67.1%를 차지하였음. ・ 즉 빈곤층의 경우 모든 영역에서 욕구나 박탈수준이 가장 높거나 의 식주와 같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들에서 박탈수준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표 34> 복지욕구유형별 빈곤층 가구 분포 (단위: %) 구분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빈곤층 비해당 86.6 79.9 59.1 32.9 13.3 해당 13.4 20.1 40.9 67.1 86.7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 중산층 가구는 ‘경제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에서 61.5%, ‘낮은 욕구 집단’에서는 54.2%로 나타났음. ・ 즉 중산층 가구는 경제활동이나 가족영역과 관련된 욕구가 있거나 문화생활영역과 같이 일부 영역에서 욕구가 있으나, 여러 복합적인 차원에서 모두 어려움이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음.

48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표 35> 복지욕구유형별 중산층 가구 분포 (단위: %) 구분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중산층 비해당 45.8 38.5 50.7 69.3 87.3 해당 54.2 61.5 49.3 30.7 12.7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 상류층 가구는 ‘낮은 욕구 집단’에서 비율이 32.4%로 가장 높았고,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집단’에서는 18.4%를 차지하였음. <표 36> 복지욕구유형별 상류층 가구 분포 (단위: %) 구분 낮은 욕구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문화생활욕구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상류층 비해당 67.6 81.6 90.2 97.8 99.4 해당 32.4 18.4 9.8 2.2 0.6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4) 지역유형별 복지욕구유형 분포 경기도 지역유형 정의 - 경기도는 도시, 농촌, 도농복합도시가 혼재되어 있으며 지역 간 소득, 복지자원 분포 등의 차이가 있어 지역의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남. - 이와 같은 경기도의 지역적 특성에 따라 복지욕구유형 분포가 다른가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49 를 살펴보기 위해 지역을 대・중도시, 소도시, 도농복합도시, 농촌으로 구분하였음. 지역유형별 구분과 시군 분포는 <표 37>과 같음. <표 37> 지역유형 구분 구분 시군 유형 정의 대・중도시 인구 50만명 이상 수원 인구 10∼50만명 미만 고양, 광명, 구리, 군포, 부천, 성남, 시흥, 안산, 안양, 의왕, 의정부, 하남 소도시 인구 10만명 미만 과천, 동두천 도농복합시 도농 복합시 광주, 김포, 남양주, 안성, 양주, 여주, 용인, 이천, 파주, 평택, 포천, 화성 농촌 농촌지역 가평, 양평, 연천 경기도 지역유형별 복지욕구유형 분포 - 경기도 지역유형별 복지욕구유형분포는 <표 38>과 같음. 카이제곱검증 결과 지역유형별 복지욕구유형분포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음. - 대・중도시의 경우 ‘낮은 욕구 집단’이 35.1%로 가장 높았고, ‘문화생활 욕구 집단’이 22.7%로 나타났음. 그러나 다른 지역에 비해 ‘소득, 의식 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집단’이 13.4%로 가장 높았음. - 소도시의 경우도 대・중도시와 유사하게 ‘낮은 욕구’가 35.5%로 가장 많 았고, 다음으로 ‘문화생활 욕구 집단’이 28.7%로 많았음. - 반면 도농복합도시는 ‘낮은 욕구 집단’이 54.6%로 가장 많고, ‘소득, 의 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이 5.0%로 가장 적었음. - 농촌 지역은 ‘낮은 욕구 집단’은 17.9%로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적었 고, ‘문화생활 욕구 집단’이 33.3%로 가장 많았고, ‘소득, 취업, 가족문 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이 29.4%로 다음을 차지하였음.

50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한편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이 10.9%로 다른 집단 유형에 비해 적었으나, 대・중도시 다음으로 욕구수준이 높은 유형 이 많았음. <표 38> 경기도 지역유형별 복지욕구유형 분포 구분 지역유형 카이제곱 대・중도시 소도시 도농복합시 농촌 낮은 욕구 35.1 35.5 54.6 17.9 162488.78**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14.6 12.7 19.5 8.6 문화생활 욕구 22.7 28.7 13.2 33.3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14.1 16.2 7.7 29.4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13.4 6.9 5.0 10.9 계 100.0 100.0 100.0 100.0 **p<.01 - 즉 [그림 2]에서와 같이 인구가 많은 도시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욕구나 박탈수준이 높은 집단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음. - 도농복합시는 ‘낮은 욕구 집단’의 비율이 높은 반면, 농촌지역은 여러 생활영역에서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집단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음. 따라서 지역유형을 고려하여 사회문제 대상 집단의 규모 및 개입 의 우선순위를 배정할 필요가 있을 것임.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51 [그림 2] 경기도 지역유형별 복지욕구유형 분포 3. 소득수준별 복지욕구유형 분석 소득수준별 가구 현황 - 경기도의 기초수급가구 및 소득수준별 가구의 비율은 다음과 같음. 소 득수준별 가구는 빈곤층(중위소득 50% 미만), 중산층(중위소득 50%이 상 ∼ 150% 미만), 상류층(중위소득 150% 이상)으로 구분하였음. <표 39> 경기도 소득수준별 가구 현황 (N=4,704,419, 단위: %) 기초수급가구 빈곤층 중산층 상류층 10.5 28.9 40.9 16.3 기초수급가구 복지욕구유형 - 경기도 기초수급가구를 대상으로 복지욕구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표

52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40>과 같음. -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결과 기초수급가구의 복지욕구유형은 3개 집단 모형이 자료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표 40> 기초수급가구복지욕구유형 모형 적합도 집단 Fit Index AIC BIC LMRT 엔트로피 1 32335.707 32472.580 - - 2 30689.323 30899.196 1662.550** 0.956 3 29967.536 30250.407 746.676* 0.921 4 29674.997 30030.868 321.477 0.915 **p<.01, *p<.05 - 경기도 기초수급가구의 복지욕구유형 3개 집단의 특성은 다음과 같음. - 첫 번째 집단은 생활상의 어려움이 크지 않고, 식생활과 관련된 박탈의 정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이 집단은 ‘식생활 욕구 집단’으로 명명하였음. 전체 기초수급가구의 22.4%가 이에 해당하였음. - 두 번째 집단은 저소득 및 과다지출과 관련된 어려움이 높고, 생활용 품, 식생활, 의생활, 저축과 관련된 박탈의 수준이 높았음. 이 집단은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으로 명명하였음. 전체 기초수급가구 가운데 45.8%가 이 집단에 해당하였음. - 세 번째 집단은 저소득 및 과다지출로 인한 생활상의 어려움이 있고 특히 정신건강의 어려움이 가장 높았음. 전반적으로 박탈과 관련된 지 표 또한 높은 수준을 보였음. 이 집단은 ‘소득, 정신건강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으로 명명하였음. 전체 기초수급가구 가운데 31.7% 가 이 집단에 속하였음.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53 - 이와 같이 기초수급가구라 하더라도 생활상의 어려움이 박탈에 있어 그 수준의 차이가 있었음. 따라서 기초수급가구 지원시 현금이나 물품 지원 외에도 이러한 생활상의 어려움, 특히 정신건강문제를 고려하여 개입할 필요가 있을 것임. [그림 3] 기초수급가구 복지욕구유형 - 경기도 지역유형별 기초수급가구의 복지욕구유형 분포는 <표 41>과 같음. ・ 첫째, 대・중도시와 소도시에서는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 역 욕구 집단’이 각각 60.7%와 53.6%로 가장 많았음. 이는 도시 지역 에서는 여러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기초수급가구가 많이 분포하고 특히 다른 지역과 달리 주거와 관련된 욕구 또한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 도농복합시에서는 ‘식생활 욕구 집단’이 41.5%로 가장 높았음. 도농 복합시의 경우 기초수급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식생활 지원 서비스를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임.

54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 농촌 지역에서는 ‘소득, 정신건강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 이 51.0%로 가장 많았음. 즉 다른 지역과 달리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 는 기초수급가구가 집중되어 있어 이들을 선별하고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임. <표 41> 지역유형별 기초수급가구 복지욕구유형 분포 (단위: %) 대・중도시 소도시 도농복합시 농촌 카이제곱 식생활 욕구 11.8 8.1 41.5 7.9 27990.04**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60.7 53.6 32.1 41.1 소득, 정신건강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27.5 38.3 26.3 51.0 계 100.0 100.0 100.0 100.0 **p<.01 - [그림 4]에서와 같이 기초수급가구의 복지욕구유형은 지역유형별로 차 이가 있었음. 농촌 지역의 경우 정신건강영역에서 욕구수준이 가장 높 게 나타난 유형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도농복합시의 경우 식생활 욕 구 유형의 비율이 가장 많았음. 반면 도시지역의 경우, 소득과 의식주 와 같이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영역에서 결핍 수준이 높게 나타났음. - 동일한 기초수급가구라하더라도 거주하는 지역유형에 따라 결핍이나 욕구의 영역은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기초수급가구에 대한 서 비스 및 정책개발 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55 [그림 4] 지역유형별 기초수급가구 복지욕구유형 분포 빈곤층가구 복지욕구유형 - 경기도 지역유형별 빈곤층 가구의 복지욕구유형 분포는 <표 42>와 같음. -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결과 3개 집단 모형이 빈곤층 가구의 복지욕구유 형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표 42> 빈곤층 복지욕구유형 모형 적합도 집단 Fit Index AIC BIC LMRT 엔트로피 1 94226.682 94396.101 - - 2 89819.905 90079.681 4402.794** 0.832 3 88025.346 88375.480 1811.751* 0.826 4 87130.728 87571.218 919.107 0.821 **p<.01, *p<.05

56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 경기도 빈곤층 가구의 복지욕구유형 3개 집단의 특성은 다음과 같음. - 첫 번째 집단은 전반적인 생활상의 어려움이나 박탈의 정도가 평균 정 도였음. 이 집단은 ‘전체 영역 욕구 집단’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빈곤 층 가구의 40.3%가 이 집단에 속하였음. - 두 번째 집단은 저소득 및 과다지출로 인한 어려움이 약간 높고 생활 용품과 관련된 박탈수준이 높았음. 이 집단은 ‘소득, 생활용품 및 전반 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빈곤층 가구 가운데 32.7%가 이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세 번째 집단은 전반적으로 생활상의 어려움과 박탈의 수준이 높았음. 이 집단은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빈곤층 가구의 26.9%가 이 집단에 속하 였음. [그림 5] 빈곤층 복지욕구유형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57 - 지역유형별 빈곤층 가구의 복지욕구유형 분포는 <표 43>과 같음. ・ 첫째, 대・중도시의 경우 ‘전체 영역 평균 욕구 집단’, ‘소득, 생활용품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 ‘소득, 취업, 가족문제 및 전반적 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의 비율이 각각 31.9%, 37.7%, 30.4%로 큰 차 이가 없었음. ・ 둘째, 소도시의 경우 ‘전체 영역 평균 욕구 집단’이 43.0%로 가장 많 았고, 다음은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이 31.9%로 많았음. ・ 셋째, 도농복합시의 경우 ‘전체 영역 욕구 집단’이 61.6%로 다른 지 역유형에 비해 더 많았으며, ‘소득, 생활용품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과 ‘소득, 취업, 가족문제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 단’은 다른 지역유형에 비해 낮게 나타났음. ・ 넷째, 농촌 지역 또한 세 가지 유형의 비율이 고르게 나타났음. ‘소 득, 생활용품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가 38.5%로 가장 많았음. <표 43> 지역유형별 빈곤층가구 복지욕구유형 분포 (단위: %) 대・중도시 소도시 도농복합시 농촌 카이제곱 전체 영역 평균 욕구 31.9 43.0 61.6 29.5 44035.39** 소득, 생활용품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37.7 25.1 19.4 38.5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30.4 31.9 19.0 32.0 계 100.0 100.0 100.0 100.0 **p<.01

58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 빈곤층가구의 복지욕구유형 비율을 지역유형별로 그래프로 나타낸 것 은 [그림 6]과 같음. 도농복합시의 경우 전반적인 생활영역 모두에서 보통 수준의 결핍을 보인 유형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도시 지역에서는 소득이나 취업과 같은 경제활동 영역에서 결핍이 높은 복지욕구유형 비율이 높았음. [그림 6] 지역유형별 빈곤층가구 복지욕구유형 분포 중산층가구 복지욕구유형 - 가구의 월 시장소득이 중위소득 50% 이상 150% 미만인 중산층 가구의 복지욕구유형 분석결과는 <표 44>와 같음. -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결과 경기도 중산층 가구의 복지욕구유형은 4개 집단 모형일 때 자료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59 <표 44> 중산층 복지욕구유형 모형 적합도 집단 Fit Index AIC BIC LMRT 엔트로피 1 111152.992 111332.207 - - 2 105855.684 106130.481 5287.861** 0.864 3 103205.824 103576.203 2661.002** 0.898 4 101729.461 102195.421 1496.633* 0.887 5 100890.207 101451.749 864.478 0.823 **p<.01, *p<.05 - 경기도 중산층 가구의 복지욕구유형 4개 집단의 특성은 다음과 같음. - 첫 번째 집단은 전반적으로 생활상의 어려움이나 박탈의 정도가 낮은 집단으로, ‘낮은 욕구 집단’으로 명명하였음. 전체 중산층 가구의 55.3% 가 이 집단에 속하였음. - 두 번째 집단은 생활상의 어려움은 보통 수준이었으나 식생활과 관련 된 박탈의 수준이 매우 높고 다른 박탈 지표 역시 약간 높은 것으로 나 타났음. 이 집단은 ‘식생활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으로 명명 하였으며, 전체 중산층 가구의 10.9%가 이에 속하였음. - 세 번째 집단은 생활상의 어려움이 전반적으로 높은 반면 박탈의 수준 은 낮았음. 이 집단은 ‘소득, 취업, 가족문제 및 정신건강 욕구 집단’으 로 명명하였음. 전체 중산층 가구의 15.6%가 이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네 번째 집단은 생활상의 어려움은 보통 수준이었으며, 식생활과 관련 된 박탈을 제외하고 다른 박탈 지표의 수준 또한 보통 수준이었고 사 회적 지지와 관련된 박탈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이 집단은 ‘건강 및 사회적 지지 욕구 집단’으로 구분하였음. 전체 중산층 가구 가

60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운데 18.2%가 이 집단에 속하였음. [그림 7] 중산층 복지욕구유형 - 지역유형별 중산층 가구의 복지욕구유형 분포는 <표 45>와 같음. ・ 첫째, 대・중도시의 경우 ‘낮은 욕구 집단’이 54.4%로 가장 많았고, 다 음으로는 ‘건강 및 사회적 지지 욕구 집단’이 21.7%를 차지하였음. ・ 둘째, 소도시에서는 ‘낮은 욕구 집단’이 56.4%로 가장 많았고, ‘건강 및 사회적 지지 욕구 집단’이 21.7%로 나타났음. ・ 도농복합시에서는 ‘낮은 욕구 집단’이 58.5%로 가장 많았고,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이 19.7%를 차지하였음. ・ 농촌에서는 ‘건강 및 사회적 지지 욕구 집단’이 47.9%로 가장 많았 고, ‘낮은 욕구 집단’이 34.0%로 다음을 차지하였음.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61 <표 45> 지역유형별 중산층 가구 복지욕구유형 분포 (단위: %) 대・중도시 소도시 도농복합시 농촌 카이제곱 낮은 욕구 54.4 56.4 58.5 34.8 27123.67** 식생활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11.0 10.5 8.9 4.5 소득, 취업, 가족문제 및 정신건강 욕구 12.9 8.2 19.7 12.9 건강 및 사회적 지지 욕구 21.7 24.9 12.9 47.9 계 100.0 100.0 100.0 100.0 **p<.01 - [그림 8]에서와 같이 농촌 지역의 경우 중산층 가구 가운데 ‘건강 및 사 회적 지지 욕구’가 높은 유형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도농복합시와 도시지역에서는 욕구 낮은 중산층 가구의 비율이 높았음. - 한편 다른 지역유형에 비해 도농복합시에서는 ‘소득이나 취업 및 가족 문제 욕구가 높은 복지욕구유형 집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음. [그림 8] 지역유형별 중산층 가구 복지욕구유형 분포

62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상류층가구 복지욕구유형 - 가구의 월 시장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상인 상류층 가구의 복지욕구 유형 분석결과는 <표 46>과 같음. -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결과 상류층 가구의 복지욕구유형은 2개 집단일 때 자료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표 46> 상류층 복지욕구유형 모형 적합도 집단 Fit Index AIC BIC LMRT 엔트로피 1 34389.832 34538.529 - - 2 32883.923 33111.924 1524.215* 0.869 3 31892.137 32199.443 1014.670 0.906 **p<.01, *p<.05 - 경기도 상류층 가구의 복지욕구유형 2개 집단의 특성은 다음과 같음. - 첫 번째 집단은 생활상의 어려움과 박탈의 수준이 모두 낮았음. 이 집 단은 ‘낮은 욕구 집단’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 상류층 가구의 76.5%가 이 집단에 해당하였음. - 두 번째 집단은 생활상의 어려움은 약간 높았고 박탈의 수준은 모두 낮았음. 이 집단은 ‘돌봄 및 자녀양육 욕구 집단’으로 명명하였고, 전체 상류층 가구의 23.5%가 이 집단에 속하였음.

Ⅲ. 경기도 지역주민 복지욕구유형 63 [그림 9] 상류층 복지욕구유형 - 지역유형별 상류층 가구의 복지욕구유형 분포는 <표 47>과 같음. ・ 모든 지역유형에서 ‘낮은 욕구 집단’이 가장 많았으며, 특히 대・중도 시가 77.8%로 많았음. ・ 농촌의 경우 ‘돌봄 및 자녀양육 욕구 집단’이 34.9%로 다른 지역유형 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음. <표 47> 지역유형별 상류층 가구 복지욕구유형 분포 (단위: %) 대・중도시 소도시 도농복합시 농촌 카이제곱 낮은 욕구 77.8 74.6 76.8 65.1 345.94**돌봄 및 자녀양육 욕구 22.2 25.4 23.2 34.9 계 100.0 100.0 100.0 100.0 **p<.01

64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 모든 지역유형에서 상류층 가구는 욕구수준이 낮은 집단의 비율이 가장 높았음. [그림 10] 지역유형별 상류층 가구 복지욕구유형 분포

Ⅳ. 결 론 65 결 론Ⅳ 1. 요약 본 연구는 2014년 경기도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일환으로 실시된 지역주민 욕구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생활영역에서의 결핍이나 부족의 정 도를 측정하여 경기도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유형을 설명하고자 하였음. 즉 본 연구에서는 소득이나 개인의 욕구를 개별문항으로 분석하는 것을 넘어 생활영역별 결핍의 정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유 형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고, 이러한 복지욕구유형이 지역유형별 로 다르게 분포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음. - 경기도 지역주민의 생활여건, 식생활, 의생활, 주택 및 주거환경, 의료 및 건강, 가족활동 및 문화생활, 사회적 지지, 저축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욕구를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하기 위해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 을 실시하였음. - 소득수준은 기초수급가구,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한 빈곤층, 중산층, 상 류층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음. - 지역유형은 대・중도시, 소도시, 도농복합시, 농촌으로 구분하였음.

66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경기도 전체 지역주민에 대한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 경기도 전체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유형은 5개로 구분되었음. 첫째, ‘낮 은 욕구 집단(39.4%)’, 둘째,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15.3%)’ 셋째, ‘문화생활 욕구 집단(20.8%)’, 넷째,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 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14.7%)’, 다섯째,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9.7%)’로 구분되었음. - 다섯 개 유형 가운데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 구 집단’과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은 욕구수준 이 높을뿐만 아니라 생활의 어려움이나 높은 박탈감이 복합적인 영역 에서 나타나고 있어 이들에 대해 우선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음. 경기도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유형로 가족 수, 가구주의 연령, 학력, 경제활 동 및 만성질환 유무, 가구유형, 소득수준, 주거유형 등은 차이를 보였음. - ‘낮은 욕구 집단’은 4인 가구의 비율이 가장 많았으나, 소득 의삭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가 높은 집단의 경우 1인가구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음. - 연령별로도 ‘낮은 욕구 집단’은 40대와 50대 가구주의 비율이 많은 반 면,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에서는 60 대 이상이 가장 많았음.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 단’에서도 60대 이상의 가구주가 77.0%로 매우 높게 나타났음. - 한편,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에서는 40대와 50대 가구주 비율이 높게 나타났음. 50대 가구주의 경우 이미 퇴직을 했거나 은퇴가 얼마 남지 않은 시점으로 실업 및 취업에 대한 욕구가 높았음. 이 시기 의 소득문제는 노년기의 빈곤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들이 안정적인 경제활동이나 자산관리 등을 할 수 있도록 개입할 필요가 있을 것임. - 가구주 학력분포는 ‘낮은 욕구 집단’에서는 대졸 이상이 가장 많았던

Ⅳ. 결 론 67 반면,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에서는 초졸의 비 율이 가장 높았음. - 가구주의 경제활동 상태에서도 ‘낮은 욕구 집단’과 ‘소득, 취업 및 가족 문제 욕구 집단’과 같이 전반적으로 생활의 어려움이 크지 않은 집단에 서는 상용직 임금근로자가 가장 많았음. 그러나 ‘소득, 의식주 및 전반 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과 같이 복합적인 욕구나 박탈수준이 높은 집 단은 가구주가 비경제활동 인구인 경우가 가장 많았음. - 가구주가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또한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 역 욕구가 있는 집단’이 가장 많았음. 이는 욕구가 높은 이 집단의 경우 노인가구가 많아 전반적으로 건강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임. - 가구유형별 특성은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은 여성가구주 가구, 노인가구주 가구, 장애인가구주 가구의 비율이 다른 네 집단에 비해 모두 높았음. 반면, 7세 미만 아동가구, 초등학생가구, 청소년가구는 ‘낮은 욕구 집단’,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 집단’, 문화생활 욕구 집단에서 비율이 더 높았음. - 기초수급가구의 비율 또한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 활 욕구 집단’이나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과 같이 욕구 또는 박탈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많이 나타났음. - 중산층 가구의 경우 경제 및 가족문제 욕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상 류층의 경우 ‘낮은 욕구 집단’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음. 소득수준 이 중산층 이상인 경우 돌봄이나 자녀양육과 관련된 욕구가 많았음. - 주거유형을 살펴보면, 욕구가 낮은 집단은 자가가구의 비율이 가장 많 았고, ‘소득, 취업 및 가족문제 욕구와 문화생활 욕구 집단’, ‘소득, 취 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에서도 자가가구의 비 율이 높았으나,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 단’의 경우 앞의 세 집단에 비해 보증부 월세 가구의 비율이 높았음.

68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의 경우도 자가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기는 하였으나, 전세와 보증부 월세 가구 비율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음. 이 집단의 경우 안정적인 주거환경에 대한 욕구가 상대적으로 높았음. 복지욕구유형은 지역유형별로 분포가 차이가 있었음. - 대・중도시의 경우 ‘낮은 욕구 집단’이 가장 많기는 하였으나 다른 집단 에 비해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의 비율이 가장 높았음. - 도농복합시의 경우 ‘낮은 욕구 집단’이 과반수 이상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많았으며,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 단’이나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낮았음. - 농촌의 경우 ‘낮은 욕구 집단’의 비율이 다른 세 지역유형에 비해 가장 적었고, ‘문화생활 욕구 집단’이 가장 많았고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 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이 각각 1/3을 차지하였음. 대・중도시 다음 으로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의 비율이 높았음. - 전반적으로 농촌 지역이 욕구 및 박탈수준이 높은 집단의 비율이 높았 고, 개입이 필요한 영역 역시 다양하게 나타났음. 반면, 도시의 경우 욕 구집단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이 공존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박탈감 의 차이가 더 클 것으로 보임. 이러한 지역간 차이를 반영하여 정책적 개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을 것임. 소득수준별 복지욕구유형 분석결과에서도 생활상의 어려움이나 박탈의 정도가 높은 집단의 비율 및 지역유형별 분포의 정도에 차이가 있었음. - 기초수급가구의 경우, 모두 경제적인 어려움만을 호소하는 것은 아니

Ⅳ. 결 론 69 었으며, 경제적 어려움과 일상생활과 관련된 박탈수준이 모두 높거나, 경제적으로 어렵고 박탈수준도 높으면서 특히 정신건강 상에 어려움이 있는 집단의 비율이 높았음. - 기초수급가구 대상 분석에서는 상대적으로 정신건강과 관련된 욕구가 높게 나타나, 이들 가구를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 문제 및 서비스 개발 에 좀 더 관심을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임. - 그러나 전반적으로 욕구가 높은 영역은 소득과 의식주 등과 같이 생활 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인 영역이었음. - 지역유형별로는 대・중도시의 경우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의 분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 도농복합시의 경우 ‘식생활 욕구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농촌 지역에 서는 ‘소득, 정신건강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의 비율이 높게 나 타나 지역유형별로 우선적으로 개입해야 할 문제가 다소 차이가 있었음. - 기초수급가구보다 대상층을 좀 더 확장하여 빈곤층 가구를 대상으로 분 석을 한 결과에서도 지역유형별로 욕구 집단의 분포는 차이가 있었음. 2. 정책적 제언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잠재적 빈곤층의 범위를 확대하여, 소득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영역에서 결핍 및 박탈이 높은 집단을 우선적으로 정 책 개입의 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음. - 본 연구는 생활문제나 박탈수준이 높은 고위험 집단의 규모를 추정하 고, 이러한 유형이 집중된 지역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음.

70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결과, 경기도 전체 지역주민의 약 24.4% 정도는 여 러 차원에서 높은 박탈이나 결핍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 - 경기도 다차원적 빈곤실태 분석(경기복지재단, 2013) 연구에서도 경기 도의 경우 2개 이상 차원에서 결핍된 가구가 약 37.9%, 3개 이상 차원 에서 결핍된 경우가 16.6%으로 나타났음. - 이러한 결과는 빈곤정책이나 서비스의 대상은 단순히 기초수급가구만 을 해서는 안되며 여러 차원의 결핍을 고려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내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빈곤층을 발굴하고 이들에 대해 서비스를 제 공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함. 소득 및 일자리 영역 욕구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적인 계획 수립 필요 - 욕구가 낮거나 문화생활이 주된 욕구로 나타난 집단을 제외한 다른 세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욕구영역이 소득과 관련된 영역이었음. - ‘소득, 취업, 가족문제, 정신건강 및 문화생활 욕구 집단’은 다른 집단 에 비해 가구주가 상용직 임금근로자인 경우가 상대적으로 낮아, 일자 리의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음. 안정적인 일자리가 없는 경우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동시에 겪을 수 밖에 없어 소득과 일자리 영역의 욕구가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임. - 한편, 소득과 취업 관련 어려움이 높은 집단은 가정 내 불화와 같이 가 족관계의 어려움과 개인적으로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어려움을 동시에 겪고 있었음. - 이는 경제활동 및 일자리 영역의 주된 개입 대상이 되는 가구는 가족 관계나 정신건강과 같은 영역에서의 욕구를 사정하고 개입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함. 예를 들어, 저소득층 가구의 사례관리 시 가구의 구성 등을 고려하여 경제적인 영역 외에 정서적 영역에 있어서도 문제가 있 는지 살펴보고 개입할 필요가 있을 것임.

Ⅳ. 결 론 71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기본적인 의식주 생활보장 필요 - 경제적 어려움 외에도 생활용품이나 식생활, 의생활, 주거환경 등과 같 이 생활에 필수적인 영역에서 박탈이 높은 집단이 전체 응답가구의 약 9.7%에 해당했음. -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은 5개 집단 가운데 생 활용품, 의식주 영역에 대한 박탈이 가장 높았고, 해당 집단 내에서도 이러한 기본적인 생활영역의 박탈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음. - 이는 빈곤층의 신체적 및 심리적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영역임. 따라서 빈곤층을 위한 서비스 및 정책개발 시 의식주 영역의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필요가 있음. - 특히 기초생활보장수급노인의 삶의 질 연구(김세원・주경희・백민희, 2013) 에 의하면 빈곤층의 경우 생활비에서 월세나 난방비 등의 지출비율이 높 아 경제적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음. - 따라서 주거급여나 임대주택 외에 효율적인 난방, 채광, 안전성 등을 확보할 수 있는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지속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을 것임. 기초수급가구 및 빈곤층 가구 내에서도 욕구나 결핍의 영역은 다양하게 나타났음. 따라서 소득지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 및 문제영역에 대한 지원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 - 소득수준별로 집단을 구분하여 복지욕구유형을 분석한 결과, 기초수급 가구 및 빈곤층 가구의 복지욕구유형 역시 다르게 구분되었음. - 기초수급가구 내에서도 식생활 욕구, 정신건강 욕구가 특히 더 높은 집 단이 있었고,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모두에서 결핍이나 박탈의 정도가 높은 집단도 있었음.

72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경제적 상황 하에서도 개별가구의 욕구와 결핍의 영역은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개입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함. - 또한 단순히 소득지원만으로는 이들 빈곤층 가구의 다양한 욕구 충족 이 어려우므로 사례관리 시 여러 생활영역의 욕구 유무를 확인하고 서 비스를 연계할 필요가 있음. 지역유형별로 우선적으로 개입해야 할 대상자 규모와 욕구 순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지역복지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 대・중도시에서는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의 비 율이 다른 욕구집단에 비해 높았음. - 농촌지역은 ‘소득, 의식주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이 대・중도 시 다음으로 많았고, ‘낮은 욕구 집단’의 비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낮았으며, 여러 영역에 박탈이나 욕구수준이 높은 집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음. - 기초수급가구만을 대상으로 복지욕구유형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도농복 합시의 경우 ‘식생활 욕구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농촌 지역에서 는 ‘소득, 정신건강 및 전반적인 생활영역 욕구 집단’의 비율이 높게 나 타나 지역유형별로 우선적으로 개입해야 할 문제가 다소 차이가 있었음. - 전반적으로 농촌 지역이 욕구 및 박탈수준이 높은 집단의 비율이 높았 고, 개입이 필요한 영역 역시 다양하게 나타났음. 반면, 도시의 경우 욕 구집단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이 공존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박탈감 의 차이가 더 클 것으로 보임. 이러한 지역간 차이를 반영하여 정책적 개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을 것임. - 경기도 31개 시군별로 지역복지계획을 수립할 시에는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자원배분 등에 있어 우선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을 것임.

Ⅳ. 결 론 73 향후 지역복지계획수립을 위한 복지욕구조사는 조사진행 과정에서 발생하 는 시군간 편차와 문항의 결측치를 줄일 수 있도록 보완할 필요가 있음. - 경기도의 경우 31개 시군별로 조사가 진행되어 조사진행시기, 조사원교 육, 조사진행방법, 설문지의 하위문항, 코딩방법 등에 있어 차이가 있었 고 이로 인해 수집된 자료에서도 편의(bias)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음. - 향후 조사에서는 시군간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조사방법이나 교육 등 에 있어 보완책이 필요할 것임. 이는 수집된 자료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제한된 조사 관련 예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 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 결측치의 상당 부분은 소득, 재산, 부채 등과 관련된 문항에서 발생하 였음. 결측치가 많을 경우 분석에 사용하는데 제한적임. 욕구를 측정하 는데 있어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핵심적인 소득관련 지표만을 이 용하거나 문항을 대체하여 전체 무응답 문항 수를 줄여야 할 것임. 설문조사 내용 구성에 있어서 지역주민의 욕구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 할 수 있는 문항 개발 필요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설문 내용의 상당 부분은 소득, 재산, 부채 등과 관련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욕구를 파악할 수 있는 문항이 많지 않음. - 가구특성별로 측정된 문항은 대체로 관련 기관의 인지도나 이용경험, 이용의사에 대한 것으로 이 또한 욕구수준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데는 한계가 있음. - 향후 조사에서는 지역주민의 구체적인 욕구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문 항 개발이 필요할 것임. 이를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모두 갖춘 욕구 측정 문항개발을 위한 사전연구 및 사전조사가 시행되어야 할 것임.

74 2014 경기도 복지욕구유형 분석 연구 참고문헌 경기도(2014). 2014년 보건복지 업무통계. 경기도. 김세원(2013). 경기도 다차원적 빈곤실태 분석. 경기복지재단. 김세원・주경희・백민희(2013). 기초생활보장수급 노인의 삶의 질 연구. 경기복지재단. 이소영(2014).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을 위한 복지욕구조사. 복지포럼, 208호, p. 43-50.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3). 2013년 한국복지패널기초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경기통계 http://stat.gg.go.kr 안정행정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rcps.egov.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