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정책보고시리즈 2010 - 4 l 정책보고서의 전문을 홈페이지(www.ggwf.or.kr)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목 차 요 약 3 Ⅰ. 서 론 6 Ⅱ. 새로운 복지국가와 개혁과제 2 Ⅲ. 복지국가전략의 세 가지 유형과 사회서비스 37 Ⅳ. 고용 창출형 사회서비스국가로의 전환 과제 62 Ⅴ. 결 론 68 참고문헌 72 새로운 복지국가와 사회서비스 일자리 2010. 4 안상훈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정책보고시리즈 2010-4 3 이 연구는 현금이전과 사회서비스라는 복지국가의 구성방식에 입각한 새로운 유형화의 분석틀을 제시하고, 어떠한 종류의 복지국가 구성전 략에서 일자리 창출과 같은 경제적인 성과가 우수한가를 타진하는 비 교사회정책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화 시대에도 여전히 잘 작동 하고 있는 나라들의 생산친화적인 복지국가 구성전략에 주목한다. 성 공적인 복지국가의 핵심어는 사회서비스 중심의 복지전략이다. 사회서 비스 지향의 정책노선이 생산적인 이유는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와 일 자리 창출 등이 지니는 성장친화적인 효과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의 맥락에서 현금이전형 대비 사회서비스형 복지전략 의 경제적 성과를 비교하여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주 내용이다. 글 의 구성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복지국가체제론의 제도 결정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경제적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유형화의 준거를 제안한다. 연구의 후반부는 사회서비스를 강화하는 복지국가 전략의 생산적 성과에 주목하여, 현금급여 중심의 복지국가 발전전략과 사회서비스 중심의 전략을 상호 비교하는 내용으로 채워 진다.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국가의 성과를 평가 SUMMARY

4할 경우, 복지국가의 경제적인 성공과 실패가 절대적인 총량뿐만 아니 라 구성방식의 상대적 비중에 좌우된다는 점이 밝혀졌다. 둘째, 현금이 전에만 몰두하는 국가보다는 사회서비스를 함께 강화하려 노력한 경우 에 일자리 창출을 비롯하여 전반적 경제적인 성과가 높은 것으로 밝혀 졌다. 연구의 주요 정책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자리 창출 등에서 생산적 보완성이 높은 한국형 복지국가전략이 필요하다면 그 근본적 지향점은 현금급여의 지나친 팽창을 지양하는 대신 사회서비스를 발전 시키는 사회서비스국가의 창달에 있을 것이다. 복지국가에 관한 논의 가 시장의 실패보다는 정부의 실패에 근거한 담론으로 흐르고 있는 신 자유주의적 세계화 시대에도 복지국가를 전반적으로 철폐하는 것이 사 실상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주어진 시급한 과제는 분배와 성 장이 조화를 이룬 한국형 복지국가의 모형을 개발하는 일이고, 새로운 복지국가전략의 핵심적 과제는 일자리 창출과 연계될 수 있는 사회복 지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선도하는 것이다. 둘째, 보편적으로 제공 되는 사회서비스는 친복지적 정치의 활성화에 있어서도 우월한 전략이 될 것이다. 대부분의 사회보험과 관련된 현금급여는 잠재적 욕구에 대 한 위험만 해결하기 때문에, 보다 일상적인 욕구의 해결을 직접적으로 해결해주는 사회서비스보다 사람들을 감동시키기 힘들다는 점에서 이 러한 제안은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다. 사회서비스의 확대가 가져올 서비스 고용 확대는 보다 많은 사회성원이 복지국가에서 직·간접적으 로 일자리를 찾게 할 것이고, 복지국가에서 일자리를 확보한 사람들은 복지국가를 지지할 수밖에 없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복지국가에 대한 국민적 지지가 복지국가의 유지에 필수적인 정치적 요소라면, 보편적

정책보고시리즈 2010-4 5 인 사회서비스 투자는 정치적인 차원에서 지속가능성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지방정부 차원의 복지개혁안 마련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될 수 있는 문제일 것이다.

6I 서 론 ○ 본론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이지만 본 보고서에서 제안하는 미래 한국형 복지국가의 핵심은 고용주도형 사회서비스국가의 창출 임. 1 - 사회서비스를 강화하는 새로운 종류의 복지국가전략은 고용 없는 성장, 저출산·고령화, 그리고 사회 양극화라는 지금 우 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제반 사회문제들에 대한 가장 효과적 인 정책 대안물임. - 아래에서는 우리가 겪고 있는 문제의 상황을 잠시 정리해보도 록 함. ○ 일자리 동향 및 일자리 창출의 방향 - 한국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은 선진국 수준에 비하여 낮 은 편임. 이것은 앞으로 더 많은 일자리 창출을 통하여 고용률 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함. 따라서 한국 경제의 거시경제 조정 및 산업정책의 방향은 고부가가치형 제조업과 서비스업 분야의 중소기업 육성을 통 해 기본적으로 산업 분야의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두어야 함. 1 이 보고서는 경기복지재단과의 협의 하에 필자의 기존 연구 중 일부를 일반인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글의 형식으로 발췌·수정한 것임. 따로 표기하지 않 은 경우는 다음 연구들을 참고하기 바람( cf . 안상훈 외, 2007; 김혜원 외, 2006; 안상훈, 2002; 안상훈, 2005; 안상훈, 2007).

정책보고시리즈 2010-4 7 | 그림 1 | 서비스 산업 부문의 국제비교(2003, 서비스업에서의 비중) 자료 : 금재호, 노동리뷰  , 2005; 김혜원·안상훈·조용훈, 사회서비스 분야 일자리 창출 방안에 관한 연구  , 2006에서 재인용 - 하지만 시장에서 해결할 수 없는 복지욕구와 관련된 공공주도 의 사회서비스 고용 창출이 간과되어서는 안 됨. 공공 부문의 사회서비스를 증가시키는 정책은 일자리 창출 을 극대화하며 저출산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주고,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방지하면서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 관계 형성에 중요 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임. - 한국의 서비스 부분은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해 볼 때, 도소 매·음식·숙박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고 사회서비스업과 보건의료 부문의 비중이 매우 낮은 편임(그림 1).

8다시 말해서 일자리 창출에서 사회복지서비스 부문과 보건 의료 부문의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것을 의미함. 도소매·음 식·숙박업은 저임금과 불안정노동시장 구조를 갖고 있는 반 면에 교육, 보건의료, 사회서비스 등은 비교적 안정된 임금과 노동시장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의 고용 창출이 필요함. - 그렇다면 사회서비스 분야의 확대를 공공 부문이 맡을 것인가, 시장에 맡길 것인가가 중요한 이슈가 됨.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 관계를 위해 서는 사회서비스업의 공공화가 매우 중요한 조건임을 알 수 있 음. 사회서비스의 공공화가 시장화보다 몇 가지 점에서 장점이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음(전병유, 2005). ○ 사회서비스업의 고용 창출에서 공공의 역할 강화가 중요한 이유 - 첫째, 보육, 노인 간병·수발 및 기타 사회서비스의 경우, 민간 에 의해서 공급되기보다는 국가나 비영리조직에 의해서 공급 될 때 더 숙련도가 높고 임금수준이 높은 일자리를 특히 여성 에게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선진국의 사례가 보여줌. 전통적인 신고전주의 경제학에서는 고용 창출과 양질의 일 자리 간의 대체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가설임. 그러나 스웨덴, 덴마크와 같이 양질의 사회서비스를 공공 부문에서 공급하는 국가들은 고용 창출을 저임금에 의존하지

정책보고시리즈 2010-4 9 않는 방식으로 이루어내 고용 창출과 불평등의 완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보여주고 있음. - 둘째, 우리의 경우, 경제수준에 비하여 사회서비스가 과소공급 되어온 것은 그동안 가족주의로 인해 수요가 적었기 때문일 수 도 있지만, 시장 부문의 공급실패도 주요 원인일 수 있음. 사회서비스 부문에서의 시장실패는 기술적인 문제, 정보의 제한 등의 이유로 서비스의 거래와 생산에서 과다한 비용을 유 발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금전적인 제약이 개인의 사적 인 선택을 크게 제약할 가능성이 높음. 따라서 공공 부문 주도의 사회서비스 고용 창출전략은 새로 운 시장을 창출하고 기존 시장을 확대하는 데 촉진자 역할을 할 수 있음. - 셋째, 복지서비스 부담을 기업보다 국가가 책임짐으로써 기업 단위의 노동비용 축소 조정을 유도하여 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고용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음. 글로벌 경제구조가 심화되면서 기여금에 의해 급여를 받는 사회보험 중심의 유럽대륙 국가들은 기업의 비노동임금 증가 로 인해 노동시장의 유연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반면, 조세에 의한 사회서비스가 중심인 스칸디나비아의 보 편주의적 복지국가들은 오히려 글로벌 시대에 기업의 구조조 정과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이루기 쉬 움( Schapf , 2000).

1 0 - 넷 째, 장기적으로 보면 공공 부문의 고용 창출전략이 가사노동 의 사회화전략과 결 합 될 경우, 가사노동의 시장노동으로서의 전환에 따라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이는 GDP 증가와 세원의 확대로 이어 져 정부 예 산 적자를 유발하지 않는 지 속 가능한 전 략이 될 수 있음. 또 한 공공사회서비스의 확대는 그 혜 택을 전 국민이 상시적 으로 누릴 수 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도 지 속 적인 지지를 받을 수 있음. ○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는 일자리 정책 : 노인을 위한 일자리 창출 - 고령화가 진 행 되면서 생산가능인구가 줄 어들 뿐 만 아 니 라 노 인들의 소비를 진 작 시키는 것 또 한 중요해짐. - 고령화 사회에서는 연금과 같은 소 득 보장정책만으로는 노인들 의 안정적인 노 후 소 득 을 보장할 수 없음. 노인계 층 이 가능한 일을 하는 것은 생산에 기여하고 연금재정의 부담을 줄 이는 수 단이 됨. 노인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임금체계의 개편이 필 요함. 고령자 고용에 있어서 기본 정책방향은 기업의 고령자 고용수요를 증대시키는 데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감 소되는 시점부 터 고령자의 임금체계를 유연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함. 또 한 노인들이 일할 수 있는 비영리 영역 등에서의 다양한

정책보고시리즈 2010-4 1 1 사회적 일자리를 만 드 는 것이 필요함. 그리고 가능한 한 퇴 직을 늦추 는 한편, 퇴 직 후 직업이동에 필요한 직업능력개발 프 로그 램 도 동시에 실시되어야 함. - 이는 뒤 에 논 의되는 인적자원개발체제의 한 축으로서 노인들 의 직업능력개발사업이 필요하며, 연금제도도 가능한한 노인 들이 일을 하고자 하는 인 센티브 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개선되 어야 함을 의미함. ○ 고숙련 사회 형성과 고용가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사회서비스 고용 창출의 전략이 고려할 사항 : 인적자원개발체제 - 인적자원개발체제는 성장과 복지가 조화를 이루는 데 중요한 매개적인 기제가 됨. 인적자원개발이 란 인적자원의 효율적 양성·공급, 배 분·활 용 및 유지·관리를 위한 관련 주체들의 종 합 적 노력을 의미함. 글로벌 경제구조와 지식기반사회에서는 물적자원보다 지식 및 인적자원이 경쟁력의 원 천 이 되기 때문에 미래의 고령화 사 회에 대비하기 위해서, 그리고 고용가능성의 증대와 일을 통한 복지를 실 현 하기 위해서 더 욱 중요함. - 성장과 분 배 가 조화를 이루기 위한 인적자원개발체제의 목 적 은 한 사회의 구성원들의 지식과 숙련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 은 수준으로 균 형을 이 룰 수 있는 교육 훈 련 및 활용시스 템 을 갖 춘 고숙련 사회( high-skill society )를 지향하는 것임. 2

1 2 고급 및 중 견 인력의 개발과 확산을 통해 새로운 기술과 생 산성 향상이 그 사회의 산업에 부가가치 산업을 진 작 시키고, 고급 및 중 견 기술인력에 대한 고용의 증대와 결 합 되면서 사회 전체적으로 숙련수준의 향상과 소 득 증대를 가 져 오는 것이 중 요함( Brown , Green , & Lauder , 2001). 인적자원개발에서 국가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시장의 실 패가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영역이기 때문임. ○ 인적자원개발체제가 경쟁력 강화와 경제성장에 기여하며 고용을 통한 복지를 이루기 위해서는 크게 세 가지 영역에서 각각의 특징 에 맞는 인적자원개발체제가 만들어져야 하고 이 세 영역은 상호 2 여기서 숙련(skill)의 개념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일을 하는 과정에서의 기능적인 기술의 수준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를 포함하여 사회 전체적으로 또는 조직,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knowledge) 및 기술(technologies) 수준을 일컫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고숙련 균형(high-skil equilibrium)이란 한 사회의 인적자원 개발체제의 제도적 특징이 개인 및 기업들이 능력개발을 위한 교육 및 직업훈련 에 대한 투자가 유인되도록 만들어져 이에 상응하는 산업체가 형성되고, 결과적 으로 사회 전체적으로 구성원들의 숙련수준이 향상되는 방향으로 균형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Culpepper, 2003; Estebez, Iversen, & Soskice, 2001; Brown, Green, & Hugh, 2001). 따라서 비시장적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 사회는 저숙련 균형으로 진행하게 된다. 반면에, 저숙련 균형(low-skill equilibrium)이란 사회에서 개인이나 기업이 자신 및 근로자를 위한 능력개발을 위해 투자를 하지 않는 방향을 수렴하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의 입장에서는 고용이 불안정할 때, 기업특수적이고 구체적인 인적자원개발에 투자하지 않는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장기적인 고용안정이 확보되지 않으면 근로자들에게 인적자원개발에 대하여 투 자하지 않고, 대신에 필요인력을 노동시장에서 스카우트하는 형식으로 충원한 다. 장기적으로는 개인이나 기업이 인적자원개발에 투자를 적게 하게 됨으로써, 소수의 경쟁력 집단을 제외하고는 인적자원의 수준이 떨어지게 된다.

정책보고시리즈 2010-4 1 3 유기적인 연계를 맺어야 함. - 첫째, 선도 지식과 기술을 창출하기 위한 고급인력 집 단의 인적 자원개발임. 고급수준의 연구인력, 전문가, 기술인력이 여기에 해당됨. 이들은 각 분야에서 최 고 수준의 지식 및 기술을 창출할 수 있 는 영재 및 수 월 성 교육에 초점을 두어야 함. 그리고 이러한 지식이 다양한 하위 분야와 연계·확산될 수 있도록 국가 혁 신 체제와 연계되어야 함. 고급인력개발시스 템 은 폐쇄 적이어서는 안 되며, 항 상 개방 적이어서 중 견 인력이나 취 약계 층 에게도 항 상 열 려 있고 연계 되어 있어야 할 것임. - 둘째, 중간수준의 전문가 및 중 견 인력의 양성체제가 강화되어 야 함. 이들은 각 분야에서 산업에 적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식 과 기술을 중심으로 한 국가 산업의 중심 기술인력 집 단이 될 것임. 소수의 고급인력만으로는 국내적으로 생산과 분 배 의 선순환 을 이루는 산업구조를 가질 수 없음. 3 소수의 고급인력이 창출 해 낸 지식이 산업생산을 통해 경쟁력 강화와 경제 성장으로 이 어지기 위해서는 중 견 인력 계 층 이 두 터워 야 함( 독 일, 일본의 3 미국이나 영국과 같이 우수한 대학이 있어서 고급연구인력의 양성은 첨단기술을 선도할 수는 있지만, 이들 국가들은 중간계층의 기술인력 부족으로 양극화의 길 을 가게 된다.

1 4 예 ). 그래야 양극화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 중 견 인 력 양 성 체 제 의 견 실 화 는 고 급 숙 련 균 형 ( h i g h - s k i l l equilibrium )을 위한 필요조건임. 중 견 기술인력 층 이 두 터울 수록 노동시장에 다수의 노동계 층 에게 고임금과 고용안정이 유 지되며, 이에 상 응 하는 복지체제의 성 립 과 함 께 생산과 복지가 선순환이 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됨( Streeck , 1 99 2 ; Estevez- Abe , Iversen , & Soskice , 2001). - 셋째, 취 약계 층 에 대한 인적자원개발임. 취 약계 층 의 구성원은 다양함. 우선 저숙련 근 로자들은 급 격 히 변 화하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장기실업자 층 을 이루거나 임 시직, 저임금 직종에 종사하게 될 가능성이 높음. 이 외 에 장 애 인, 빈곤층 , 노인, 여성 등은 노동시장에서 불이 익 을 받으면서 사회 취 약계 층 의 다수를 이루고 있음. 한 사회의 산업구조나 노동시장구조에서 모든 사 람 들이 고 급 내지는 중 견 인력을 구성할 수 없음. 오히려 지식기반사회의 산업구조에서 첨 단산업 분야는 자본 집 약산업( capital intentive industries )이기 때문에 고용 창출에 제한적일 수 밖 에 없음. 그러나 취 약계 층 에 대한 지 속 적인 능력개발 기회가 주어지 지 않을 경우, 사회는 불평등이 심화되고 이로 인한 정치·사 회적 갈 등이 야기됨. 또 한 경제적으로도 이들의 소비능력을 저 하할 뿐 만 아 니 라 인적자원 활용의 과소소비와 복지지출의 증 가로 이어짐.

정책보고시리즈 2010-4 1 5 ○ 집단별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인적자원개발체제의 형성 방향 -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능력개발을 통한 노인들의 고용가능성 증대가 매우 중요함. 이들에 대한 지 속 적인 자기능력개발이 주어지지 않으면 빈 곤층 으로 전 락 하게 되고, 결국 젊 은 세대의 부담이 됨. 따라서 근 로능력이 있는 노인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생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인적자원개발체제가 필요함. - 여성은 이제 21세기 지식기반산업에 주요 생산자가 되고 있음. 과거의 포 디 즘 적 제조업 중심의 사회에서는 남 성인력이 중 심이 되었지만, 지식, 문화, 서비스가 주요 산업구조로 등장하 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여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 그동안 차별 , 배 제된 여성인력의 개발과 활용에 중점을 두는 인력개발체제와 이를 보완해주는 다양한 여성정책이 필요함. 따라서 여성인력을 이제는 취 약계 층 이 아 닌 주류 인력계 층 으로 인식하고 대 응 해야 함. - 한국 사회에서 큰 비중을 차 지하고 있는 자영업자에 대한 창업 교육, 사업관리능력개발교육이 필요함. 우리의 경우, 양극화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가 재 취 업이 안 되면 자영업으로 나서는 사 람 들이 많고, 그 대부분은 영세자영 업자들이기 때문임. IMF 구조조정 이 후 중 견 실업자들이 자영 업으로 창업을 하 였 으나, 경쟁력이 없는 자영업의 증가는 이들 간의 경쟁을 강화하여 부실을 심화시키며, 결국 이들은 빈곤층

1 6 으로 추락 하게 됨. 앞으로도 서비스산업은 증가할 수 밖 에 없기 때문에 자영업의 비중은 줄 어들지 않을 것임. 따라서 자영업자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 프 로그 램 도 필요함. 경쟁력 있는 자영업의 육성은 조세수 입 이나 사회보험 제도의 운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함. ○ 우리나라에서 미래의 수요에 대비하는 효과적인 인적자원개발체 제의 수립이 중요한 이유 - 현 재 우리 경제가 지식기반형 산업구조로 옮겨 가는 과정에서 숙련의 불일치( skill mismatch ) 현 상이 발생하고 있음. 이에 따라 청년 실업이 급증하고 있으며, 산업체는 이중으로 인력 난 을 겪고 있음. 사회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고급 연구 및 기술인력이 대학에 서 제대로 양성되지 못 하고 있고,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직업 교육기관 등 직업교육체제의 특성화·다양화를 통한 산업수요 에 부 응 하는 능력있는 인력 양성이 미 흡 함. - 첨 단 분야를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공유할 수 있는 산업구조로 만들기 위해서는 인력양성을 맡고 있는 교육제도와 직업 훈 련 체제가 산업구조의 변 화에 따른 노동시장의 인력수요에 대 응 할 수 있어야 함. 따라서 미래의 인력수요를 예측 하고 이에 따라 체계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다양한 산업 별 ·지역 별 수준에서의 인력수

정책보고시리즈 2010-4 1 7 요와 공급의 체계적인 조정이 필요함. - 앞으로 우리 경제가 선진지식기반형 산업구조로 원활하게 전 이하기 위해, 또 한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대비해 국민들의 고 용가능성( employability )을 증대시 켜 일을 통한 복지를 실 현 하 기 위해 당분간 정부 중심의 체계적인 인적자원개발과 관리에 대한 조정이 필요함. ○ 공공 사회서비스를 강화하는 복지국가전략의 의미 : 유연·안정성 과 사회적 투자로서 복지제도의 역할 강화 - 성장과 분 배 의 선순환 구조에서 고용증대를 수반하는 거시경 제조정과 산업정책, 이에 대 응 하는 인적자원개발체제에 맞추 어 사회복지제도가 이들과 상 호 보완관계를 갖는 방향으로 개 혁 이 필요함. - 유연·안정성이 란 생산 부문과 노동시장의 유연화에 따른 고 용 및 소 득 의 불안정 그리고 연관되는 다양한 사회적 위험들을 사회복지제도가 보 호 해줌으로써, 생산과 노동시장에서의 유연 화와 사회적 안정화를 동시에 달성하도록 하여 경제적 조정을 유연하게 하면서 사회적 보 호 도 동시에 할 수 있는 기능을 수 행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 개방경제구조에 따른 국내적 충격 완화와 포 스 트 포 디 즘 으 로의 생산체제 및 산업구조의 변 화는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불 가 피 하게 만들고 다수의 고용불안정 계 층 을 발생시 킴 .

1 8 또 한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는 노인들이 지 속 적으로 일을 해야 하며, 다양한 형 태 의 가족이 출 현 함에 따라 노인을 비 롯 한 고용불안정 취 약계 층 들이 증가하게 될 것임. 이에 따라 유연성·안정성이 필요함. - 또 한 사회복지제도는 시장에서의 실패자에게 사 후 적인 보 호 의 차 원이 아 니 라, 장기적으로 경제성장과 인적자원개발에 적극 적으로 기여하는 사회적 투 자( social investment )의 개 념 으로서 의 역할을 지향해야 함. 전통적인 사회복지제도의 기능이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중심 의 소 득 보장에 초점을 두었다면, 사회적 투 자의 기능으로서 사 회복지제도는 교육, 보건을 비 롯 하여 보육, 여성, 노인 등 다양 한 보편적·공적 시스 템 의 사회복지서비스를 강화함으로써 사 회 전반적인 인적자원의 질을 높이고, 여성 및 노인들의 노동 시장 참여를 촉진시 킴 으로써 이들이 생산에 기여하게 하고 일 을 통한 복지를 가능하게 해준다는 의미임. 이는 궁 극적으로 세수를 확대하고 정부의 소 득 이전성 복지 지출을 줄 이는 결과를 가 져올 것임. 4 ○ 우리나라 사회복지제도의 현실과 개혁의 필요성 - < 표 1 > 에서 보는 바와 같이 1만 5,000달러 수준에서 선진국의 사회보장지출에 비해 우리가 이 부문에 투 여하는 국가적 투 자 4 안소니 기든스의 제3의 길  에서 복지역할의 핵심을 사회적 투자로 강조하였다.

정책보고시리즈 2010-4 1 9 국가명 연 도 GDPPC 현금이전/ 사회서비스 비용 GDP 대비 현금이전 비용 GDP 대비 사회서비스 비용 GDP 대비 사회보장 지출비 노르웨이 1985 15,388 1.4 10.6 8.3 19.7 스웨덴 1981 14,609 0.9 14.6 14.0 30.0 덴마크 1980 13,353 1.3 16.2 12.9 29.1 핀란드 1986 14,583 1.6 14.3 8.9 23.5 오스트리아 1980 10,530 2.5 16.5 6.5 23.3 벨기에 1987 14,464 2.4 18.4 7.8 26.5 프랑스 1986 13,297 2.2 18.3 8.1 26.4 독 일 1986 14,903 1.7 12.8 7.7 20.9 아일랜드 1992 15,001 1.7 12.1 7.2 20.1 이탈리아 1989 15,361 1.9 15.6 6.2 21.8 네덜란드 1987 15,345 2.5 18.8 7.7 27.3 뉴질랜드 1999 14,571 1.9 11.6 6.8 20.0 호 주 1988 16,628 1.0 6.3 5.9 12.4 캐나다 1987 15,655 1.1 7.7 6.8 16.7 스위스 1985 14,903 1.8 9.7 5.5 16.2 영 국 1989 14,768 1.8 11.4 6.4 18.9 미 국 1983 14,979 1.8 9.0 4.6 14.0 일 본 1985 11,318 1.2 5.9 4.9 11.0 | 표 1 | 1만 5,000달러 시점에서의 사회보장지출비 구성 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현 재 우리 사회복지제도의 현 실은 유연성·안정성이나 사회적 투 자의 개 념 과는 아직 거리가 먼

2 0 것으로 판 단됨. 우리의 현 복지제도는 IMF 위기극복을 위해 김 대중 정부의 ‘ 생산적 복지 ’ 라는 이 념 하에 실시된 사회복지개 혁 의 결과물임. 이 념 상으로는 생산과 복지를 조화시키 겠 다는 의도가 포 함되 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여전히 사 후 적인 사회안전 망 으로서의 기능 확대에 그치고 말 았 음. 5 그동안 미루어 왔던 자영업자와 5인 미만의 사업자 사회보 험제도의 적용을 전 국민으로 확대시키면서 보편주의적 사회 보험제도를 완성시키고, 공적부조제도도 근 로 무 능력자 뿐 만 아 니 라 근 로하는 저소 득 계 층 에게도 생계를 보장해주는 국민기초 생활보장제도로 개 혁 하 였 음. 그 결과 과거에 비하여 사회보험 의 수 혜 계 층 이 늘 어나고 빈곤층 의 보 호 가 많이 강화되었음. 그 럼 에도 불구하고 양극화의 심화에 따라 저소 득 , 비정 규 직 등의 취 약계 층 들이 사회보험의 적용을 받지 못 하는 광범 위한 급여 사 각 지대를 형성하고 있음(정 무권 , 2002). 결과적으로 현 한국 복지제도의 취 약한 수준은 악 순환 구조 형성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으 므 로 실질적인 성장과 복지의 선 순환 구조 속 에서 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인 개 혁 이 필요함. 5 지난 산업화시기에 발전주의 국가체제 하에서 가용자원을 최대한 경제적 투자 부문에 투입을 하고, 복지 부문의 투자를 최소한으로 하는 가운데, 산업화 과정 에서 필요한 핵심 산업인력을 최소한으로 보호하는 ‘발전주의적 복지체제’의 유 산을 극복하지 못함.

정책보고시리즈 2010-4 2 1 1979 1984 1989 1994 1997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735 626 573 540 475 459 475 482 490 516 534 자료 : 영국 Cabinet Office(Personnel Statistics), 2005; 김혜원 ·안상훈·조용훈, 사 회서비스 분야 일자리창출 방안에 관한 연 구  , 2006에서 재인용 | 표 2 | 영국 국가공무원 연도별 변동 추세 (단위 : 천 명) - 대부분의 선진국은 1 98 0 ~ 1 99 0 년 대 신자유주의적 경향에 따라 정부 규모 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정부개 혁 을 추 진해 왔 으나, 최 근 효율성과 시민 - 기업 - 정부의 거 버넌 스를 강조하면서 새로 운 국정관리의 틀 구축에 집 중하고 있음. 투입 요소를 강조하는 ‘작 은 정부 ’ 보다는 산출과 성과에 역점을 두는 ‘ 능력 있는 정 부 ’ ( enabling government )를 지향하고 있는 것임. < 표 2 > 와 같이 영국의 경우, 1 98 0 년 대 대 처 정부 직 후 정부 규모 감 축을 추 진하 였 으나 1 999년 이 후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 고 있음. 뉴 질 랜드 의 경우도 1 99 0 년 대 중반 정부기능을 책임운영기 관이나 공기업 등으로 이전하면서 획 기적으로 공 무 원인력을 감 축하 였 으나 2001 년 을 기점으로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미국의 경우, 클린턴 정부인 1 99 0 년 대 초부 터 약 3 0만 명 의 공 무 원을 감 축하 였 으나 정부인력의 누 수발생 등으로 국회는 정부인력 보강 필요성을 제기하고, 회계 감 사원( GAO )에서도 정부인력 관리를 핵 심 감 시대상 사업으로 선정, 2000 년 이 후

2 2 수 년 간 연방공 무 원이 증원되고 있는 실정임. - 외 국의 예 를 굳 이 따지지 않더라도, 소 득 2만 달러 시대 구 현 과 선진사회 진 입 을 위한 ‘ 제2의 도약 ’ 을 추 구하고 있는 한국은 더 욱 적극적인 국가의 역할이 요 청 되는 상황임. 왜냐 하면 다원화된 민주사회일수록 개인적 이해 추 구가 국가 적 공공이 익 으로 수 렴 될 수 있도록 국가의 적극적인 조정능력 과 창조적 리더 십 이 요구되기 때문임. ‘ 정부실패 ’ 를 경계하되 국가의 창조적 리더 십 과 조정능력은 선진사회 진 입 을 위해 필수불가결하게 배 양해야 할 전제조건 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해야 할 것임. - 이러한 사 항 을 염 두에 두고 미래 한국 복지전략으로서 사회서 비스 국가로의 전환에 관한 본 격 적인 논 의를 시 작 하 겠 음. Ⅱ 새로운 복지국가와 개혁과제 1. 사회서비스 복지국가전략의 개념적 출발 □ 이 글에서 사회정책의 의미 ○ 우리가 말하는 사회정책은 공공부조, 사회보험 등 일반적인 사회 보장정책에 더하여 노동정책, 교육정책, 양성평등정책 등을 포괄

정책보고시리즈 2010-4 2 3 하는 광의의 개념. ○ 사회정책이 전달되는 형태로 본다면 수급자에게 현금이 직접 전 달되는 ‘ 현금 이전 ’ 프로그램과 수급자를 위한 서비스 인프라의 형 성을 통해 무형의 서비스가 전달되는 ‘ 사회서비스 ’ 프로그램으로 구성됨. - 현 금 이전 프 로그 램 의 종류를 자세히 나 누 어 보면, 연금, 산재, 실업보험 등 잠재적 수 혜 자가 갹 출한 보험료에 의해 운영되는 각 종 사회보험이 대 표 적이고, 이에 더해 빈곤 한 사 람 들에게 조 세를 재원으로 하여 기초생활비를 제공하는 공공부조, 특정 인 구학적 범 주에만 해당되면 정 액 의 현 금급여를 지급하는 아동 수당, 기초연금 등 데 모 그 란트 가 있음. - 사회서비스 프 로그 램 에는 노인·장 애 인 수발이나 보육과 같은 돌봄 ( care ) 문제, 학 습 기 아동· 청 소 년 혹 은 평생교육 대상자 들과 관련된 교육문제, 삶 의 기본적인 요소로서 주거문제, 실 업에 대한 대책으로서 혹 은 거시경제 운용의 한 축으로서 고용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각 종 공공서비스가 포 함됨. ○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정책 개념은 위에서 정의한 광의의 개념에 서 멀고, 경제정책과 사회정책의 통합적 운용을 지향하는 정책적 사고가 일반화되어 있지 못하였음. - 만약 우리가 미래 한국형 복지국가의 전략을 마련함에 있어서

2 4 지 속 가능성을 중요시한다면, 기초생활보장과 함 께 인적자원의 개발을 통해 고용확대로 연계되는 보다 넓 은 의미의 사회복지 개 념 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은 분 명 함. - 선진 복지국가의 과거 경험을 살펴 보면, 국민의 삶 의 질은 경 제정책과 사회정책의 균 형 잡힌 병 행 으로 제고 가능하다는 것 이 관련 학계의 다수설임. 어 떤 좋 은 복지 프 로그 램 도 경제적인 재원확보가 없이는 지 속 가능하지 못 하며, 높은 수준의 경제발 전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사회정책을 통한 양극화의 해소 가 병 행 되지 않고서는 지 속 적인 발전이 담보되지 않음. - 사실 현 대국가의 양대 목표 는 ‘ 성장 ’ 과 ‘ 분 배’ 이며 이 두 목표 는 수많은 국제 협 약, 조약 들을 통해 분 명 히 천명 되어 있기도 함. □ 최근 비교사회정책 분야의 주류론 ○ 최근 비교사회정책 분야의 주류론은 사회정책이 여전히 중요한 국가의 역할로서 작동하고 있다는 것임. ○ 세계화의 진전, 그리고 신자유주의 이념의 전파와 함께 ‘ 작은 정 부 ’ 담론이 확산되고 있으나, 실제 상황은 특정국가가 어떠한 유 형의 자본주의체제를 선택하고 있는가에 따라 상이함. 즉, ‘ 작은 정부 ’ 는 결코 일반적이거나 보편타당한 원칙이 아님. 경험 자료를 보아도 복지국가의 체제유형과 지출 비중은 20세기 후반의 그것 이 유지되고 있음이 쉽게 확인됨.

정책보고시리즈 2010-4 2 5 유럽연합과 한국 미국과 한국 호주/뉴질랜드와 한국 일본과 한국 | 그림 2 | 주요국과 한국의 사회지출과 1인당 GDP 추이 (1960~1997, 한국은 1990~2001) ○ 각종 통계자료를 보면, 1960년 이후 주요 선진국의 사회지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이와 동시에 국가 간 지출규모의 차이 도 여전히 유지되고 있음이 확인 가능함. ILO 사회보장지출 통계 에 따르면, GDP 대비 공공사회지출은 북유럽 평균 26.7%, 대륙유 럽 24.6%, 영·미권 17.4%로 체제마다 다르고 그 수준은 1990년

2 6 대의 경제적 범세계화 시대에도 유지되고 있음. 이러한 사실은 사 회지출이 경제성장을 저해한다는 주장이 실증적 근거가 없음을 대변하는 증거가 될 수 있음. ○ 물론 1990년대 중반 이후 총사회지출비의 감소추세가 나타나기 도 하나, 이를 복지국가의 축소로 받아들이거나 수렴현상의 증거 로 해석하는 데에는 주의가 필요함. 또한 총사회지출비의 감소와 동시에 OECD 국가의 경제성장률이 1990년대 초반보다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사회지출과 경제성장 간의 역관계를 증명하는 것 은 아님. - OECD 국가 전체로 보나 EU 15개국의 경우를 보나 모 두 1 9 0 년 대 초반 이 후 의 1인당 GDP 증가율은 별 차 이가 없고, 영·미 권 및 북 유럽 권 국가의 경우에 사회지출의 감 소세와 1인당 GDP 의 증가세가 함 께 나타나고 있으나 유럽대륙 국가들의 경 우 1 99 0 년 대 후 반 사회지출의 감 소에도 불구하고 1인당 GDP 증가율은 1 99 0 년 대 초반과 동일하게 나타 남 . - 또 한 GDP 총규모 는 1 99 0 년 대 초반에 비해 1 99 0 년 대 후 반에 증가세가 크게 둔 화되고 있음. - 이러한 사실은 사회지출이 경제성장을 저해한다는 주장에 실 증적 근 거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음. ○ 현재 진행 중인 선진국의 복지개혁 방향을 살펴보아도 복지국가

정책보고시리즈 2010-4 2 7 가 없이는 경제성장을 위한 구조 개혁이 쉽게 이루어질 수 없음을 알 수 있음. - 경제적 범 세계화와 무 한경쟁의 시대에 경제성장을 위한 개 혁 의 화두는 유연화 였 음. - 이러한 유연화 개 혁 과정에서도 복지의 역할이 오히려 강화된 사례가 많은데 이는 유연화 개 혁 이 노정할 충격 의 제어장치로 서 복지국가가 기여할 부분이 많기 때문이었음. 유럽역내에서 시장 유연화와 경제적 성공의 대 표 적 사례로 회자되고 있는 아 일 랜드 모델 의 경우, 노동시장 유연화의 안전장치로서 복지국 가의 역할이 지대하 였 고 이는 특히 노사 합 의의 배 경으로서 그 의미가 큼 . 스웨덴 모델 도 구조조정의 안전장치로서 복지국가 가 사용된 사례이며, 1 99 0 년 대 초반의 경제위기를 넘 어 최근 에 는 경제성장을 지 속 하고 있음. - 북 유럽의 복지국가 크기가 여전히 큼 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성 장이 이루어진다는 점에 주 목 할 필요가 있음. □ 성장과 분배를 조화시킨 성공사례들의 특징 및 시사점 ○ 첫째, 사회정책과 경제정책 사이의 상호 연계를 강화하고 있음. - 21세기에도 여전히 성공적인 복지국가와 그렇지 못 한 국가의 차 이는 복지정책, 노동정책, 교육정책, 조세정책 등을 큰 틀 에 서 연계시 켜 주는가에서 명 확하게 드 러 남 .

2 8 - 복지정책을 복지의 틀 에서만 바라보는 국가들은 성장· 친 화적 인 복지개 혁 과 거리가 먼 형 태 로 복지국가를 운영하게 되고 이 러한 나라들에서 경제적 지 속 가능성은 현 저히 낮아짐. ○ 둘째, 사회정책 부문의 지방화나 민영화의 추진을 가속화하는 경 우에 중앙·지방정부 간 역할 조정과 민간위탁에 따른 성과관리 강화가 전제될 경우에만 복지개혁의 합리성이 고양됨. - 특히 지방화와 민영화가 복지재정 삭감 의 도구로 전 락 하게 되 면 사회양극화 현 상이 심화될 뿐 아 니 라 효과적인 급여와 서비 스의 전달이 침 해되어 복지국가의 전반적인 효율성마저도 위 협 받게 됨. ○ 셋째, 고령화와 저출산 등 인구변화에 대응하는 장기요양서비스 (long-term care), 보육과 교육 등을 강화하면서 현금급여를 합리 적으로 감축한 나라들의 성공이 눈에 띔. - 사회서비스의 강화는 복지서비스의 품 질 제고와 고용 창출을 동시에 이 룰 수 있다는 면에서 경제적인 지 속 가능성을 높이는 것임. ○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해보면 복지국가의 크기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어떠한 방 식 으로 복지국가를 구성해 낼 것인가가 중요하다 는 사실이 부각됨. 그리고 성공적인 복지국가 구성방 식 혹 은 구성 전 략 은 나라마다 시대마다 독 특한 맥락 에서 재구성될 필요가 있

정책보고시리즈 2010-4 2 9 다는 점 도 확인이 가능. 요 컨 대, 현 시 점 에서 한국에 적합한 모형 에 대한 신중한 탐색 필요. - 이를 위해서는 정치구조, 사회경제시스 템 등 조건의 차 이를 신 중히 고려하되, 유연한 경제구조 개 혁 혹 은 혁 신도 사회 통 합 적 복지국가를 필히 전제할 때 가능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할 필 요가 있음. □ 우리나라 복지국가의 현황 ○ 우리나라는 경제성장에서도 복지국가에서도 후 발 국이라고 할 수 있음. 후 발 국가로서의 이 점 은 선진국이 경험한 실 패 의 요소를 배 제하고 성공의 요소만을 배 합할 수 있는 여지가 충 분히 주어진다 는 것. - 이 런 점에서 우리는 최근 주 목 받고 있는 동아시아 선도복지국 가로서 한국의 변 화가능성을 도 모 하고자 함. - 한 발 더 나아가, 통일 시대 혹 은 남북 화 합 시대의 전제조건으 로서 사회통 합 형 복지국가의 전환이 필수적이라는 점도 간과 해서는 안 될 것임. ○ 그 렇 다면 지금 우리가 처 한 현실이 작은 정부 담론을 넘 어 복지국 가의 확대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인가가 관 건 이 될 것임. 문제는 국 민들이 복지국가의 확대를 정 치 적으로 지지할 것인가로 집 중됨.

3 0 - 선진국의 경우, 복지국가의 확대로 국민들의 정치 참여가 확대 되고 복지국가가 보편주의적으로 개 혁 될수록 ‘친 ( 親 )복지정치 ’ 의 극대화가 이루어 졌 음. 즉 , 복지국가가 확대될수록 복지국가의 지지 규모 가 확대되 며, 이는 복지 수급자들의 정치참여를 확대시 켜 친 ( 親 )복지적 투표 율 상 승 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줌. 복지수급자들은 이미 받고 있는 혜 택의 유지·확대를 위해 서, 비수급자들은 수급의 확대를 위해 투표 에 참여하고 복지국 가에 대한 강한 지지를 표명 하는 경향을 낳 게 되는 복지정치의 선순환이 가능한 것임. 더구나 사회복지의 확대는 해당 분야의 고용을 확대시키고, 공공 부문 고용인력은 복지국가를 지지하게 되는 경향이 농후 함도 분 명 한 경험적 사실임. 복지정치의 선순환이 시 작 되면 결 과적으로 개인주의적 투표행 위가 아 닌 사회 전체의 이 익 을 우 선시하게 되어 사회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됨. 동시에 복지 국가에 대한 지지 규모뿐 만 아 니 라 지지강도 또 한 비례하여 증 가하게 되 므 로 ‘ 민주정부 ’ 와 ‘ 복지국가 ’ 의 결 합 은 국민의 신 뢰 와 지지를 바 탕 으로 안정적 국정 운영을 가능 케 하는 선진적 민주 정치의 근 간이 됨. - 이러한 친 복지정치( pro-welfare politics )의 선순환 가능성이 선 진국가의 경험에서 확인되는 실증적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이 러한 선순환의 단초를 어 떻 게 마련할 수 있는가는 우리에게 남

정책보고시리즈 2010-4 3 1 겨 진 숙제가 됨. 이 점에 대해서는 뒤 에서 좀 더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할 것임. ○ < 표 3 > 은 국가 별 사회지출 구성비를 비교한 것으로 현재 우리의 경우, 총 사회지출 수준부 터 선진국과 엄청난 차이를 보이고 있음 이 확인됨. - 더 욱 문제인 것은 추후 현 금이전지출의 비중은 연금의 성숙효 과 등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증가할 것이 예 상되는 데 비해 사 회서비스지출의 비중은 현 상 태 로부 터 의 괄목 할 만한 제도적 인 변 화가 수반되지 않을 경우 거의 정체할 것이 분 명 하다는 점임. - 이 경우, 선진국들과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현 금급여의 비 중이 높아질 것이고, 성장 친 화적인 복지국가로의 지 속 가능한 발전은 불가능할 것으로 판 단됨. ○ 국가가 지향하는 사회조정양 식 에서도 복지국가의 의미를 파 악 할 수 있음. - < 표 4 > 는 치안유지비와 사회보장비 사이에 역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임. 앞선 < 표 3 > 과 함 께 살펴 보면 사회질서를 유 지하는 방식에서 국가 간에 차 이가 있음이 확인됨. - 하나의 국가는 주로 영미형의 국가로서 사 후 적인 사회질서유 지비, 즉 치안 분야에 경도되어 있음. 다른 한 축은 북 구형 국

3 2 구 분 공공 사회 지출 정책영역별 Ⅰ 정책영역별 Ⅱ 연금 (노인층) 소득지원 (근로 연령층) 보건 사회 서비스 현금 급여 서비스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덴마크 29.2 6.5 8.7 7.1 5.4 15.2 12.5 1.5 스웨덴 28.9 7.4 7.0 7.4 5.8 14.4 13.2 1.4 핀란드 24.8 8.0 7.3 5.3 3.2 15.4 8.5 0.9 노르웨이 23.9 4.8 6.8 6.8 4.7 11.6 11.5 0.8 프랑스 28.5 11.9 6.0 7.2 2.0 17.9 9.2 1.3 독 일 27.4 11.2 4.5 8.0 2.6 15.6 10.6 1.1 벨기에 27.2 11.2 6.6 6.4 1.7 17.8 8.1 1.3 오스트리아 26.0 12.9 6.0 5.2 1.2 18.9 6.5 0.5 이탈리아 24.4 13.8 3.3 6.3 0.6 17.1 6.9 0.5 영 국 21.8 8.3 5.9 6.1 1.2 14.1 7.3 0.3 뉴질랜드 18.5 4.9 6.7 6.1 0.3 11.6 6.4 0.5 캐나다 17.8 5.3 2.8 6.7 2.7 8.0 9.4 0.4 미 국 14.8 6.1 1.8 6.2 0.5 7.9 6.7 0.2 아일랜드 13.8 3.2 4.4 4.9 0.6 7.5 5.5 0.7 일 본 16.9 7.6 1.5 6.3 1.3 9.1 7.5 0.3 터 키 13.2 6.3 2.6 3.9 0.2 8.9 4.1 0.1 멕시코 11.8 7.6 0.4 2.7 1.1 8.0 3.7 0.1 한 국 6.1 1.3 1.0 3.2 0.3 2.3 3.6 0.3 | 표 3 | 국가별 사회지출 구성 비교 가들인데, 이들은 예 방적인 사회질서유지비로서 복지지출을 늘 려 사 후 적인 치안유지비의 비중이 작 음을 알 수 있음.

정책보고시리즈 2010-4 3 3 국가명 사회보장비 대비 치안유지비 국가명 사회보장비 대비 치안유지비 핀란드 0.07 이탈리아 0.12 스웨덴 0.06 네덜란드 0.08 덴마크 0.04 포르투갈 0.14 노르웨이 0.06 캐나다 0.14 오스트리아 0.07 호 주 0.15 벨기에 0.09 미 국 0.17 프랑스 0.06 한 국 0.44 독 일 0.08 | 표 4 | 치안유지비와 사회보장비의 역관계 - 우리의 경우는 현 재 전형적인 사 후 적 처 방에 경도된 유형이며, 사회질서의 유지를 위한 혹 은 사회질서의 통 합 을 위한 비용을 지출할 수 밖 에 없다면 예 방적인 방식으로의 전향적인 방향전 환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음. 2. 선진복지국가 변화의 추세와 현황 □ 복지국가는 정체된 것이 아니라 지속된 변화체임 ○ 지속적인 변화에 노출 된 복지국가의 운명은 복지국가가 국민들의 욕 구(nee ds )에 부응하는 정책의 구성물이라는 사실에서 기인. 많 은 국민들의 욕 구가 해결되지 못한 상황을 우리는 사회문제적 상황

3 4 이라고 표 현하는데, 사회문제는 시대에 따라 나라에 따라 매 우 다른 성 격 을 보이게 됨. 따라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의 총체로서 복지국가가 변화할 수 밖 에 없다는 것은 당연한 일임. ○ 복지국가의 변화는 복지국가 본연의 존 재 이유에서 뿐 만 아니라 복지국가의 상황적 적합성에서도 추론됨. 복지국가는 성장하는 경제로부 터 의 지속적인 자원 제공 없이는 지속될 수 없음. 따라서 복지국가를 둘러 싼 경제 환 경의 변화는 복지국가 변화를 야기하 게 됨. □ 아래에서는 복지국가의 내생적·외생적 변화에 따라 복지국가가 어 떠한 변화를 겪어왔는지에 관해 시기별로 살펴보도록 함 ○ 첫 번 째 시기는 자유방임주의 시대 - 현 대적 의미의 복지국가의 태 동은 양 차 대전 이전에 이루어 졌 는데, 이 시기는 자유방임주의적 사고가 지 배 적이었으며 복지 국가의 역할은 사회적 취 약계 층 을 구제하는 데 국한되어 구체 적인 프 로그 램 으로 보자면 공공부조제도를 중심으로 하는 소 득 보장정책이 이루어 졌 음. - 본 격 적인 복지국가의 틀 이 짜 이지는 못했 으나 유럽의 몇몇 국 가들에서 건강, 고용, 산재, 연금제도 등 사회보험형 태 의 현 금이 전 프 로그 램 이 도 입 되기도 하 였 음. 사회 권 발달의 단초가 확보 되기도 하 였 는데 대 표 적으로 모 성보 호 , 아동양육에 대한 사회

정책보고시리즈 2010-4 3 5 적 책임 부담 등을 규 율하는 사회적 법 률의 도 입 이 이루어 졌 음. ○ 두 번 째 시기는 복지국가 황금기 - 본 격 적인 의미에서 현 대적인 복지국가가 확 립 된 시기는 양 차 대전 직 후 부 터 오일 쇼 크의 악 영향이 가시화되는 1 97 0 년 대 중· 후 반 까 지라고 할 수 있음. 이 시기는 고도 성장에 의한 복 지재원이 풍 부한 시기 였 음. - 이 시기는 사회 권 의 전 영역에서 괄목 할 만한 확장이 목 도되는 시기임. 이전 시기에 맹 아가 뿌 려진 사회보험제도에서 적용자 의 확대 및 보장수준의 충 실화가 본 격 적으로 이루어 졌 으며, 현 금급여 외 에 다양한 분야의 사회서비스 영역으로 복지국가의 틀 을 확대해간 시기임. - 이 시기는 산업화로 인한 노령화, 핵 가족화, 공동체 기능의 약 화가 진전됨에 따라 공공 부문이 복지욕구를 책임지는 시대로 전환되었다는 점에서 질적으로 매우 다른 새로운 국가형 태 가 출 현 한 시기임. 풍 부한 자원이 가능하 였던 자본주의 황금기이 기에 선진복지국가들에서는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보편주의적 인 사회서비스정책이 도 입 되고 확대되었음. ○ 세 번 째 시기는 최근의 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 복지국가 재편의 시대 - 오일 쇼 크의 충격파 는 자본주의의 기적적 성장에 종 언 을 고하

3 6 고, 수정된 형 태 의 자본주의로서 복지국가의 한계와 위기에 관 한 논 의가 등장하는 데 기여함. 이 시기는 세계경제의 전반적인 침 체에 따라 국가복지 확대에 대한 사회적 합 의에 균열 이 발생 한 시기이기도 함. 대 처 리 즘 과 레 이거노 믹 스로 대 표 되는 신자 유주의 개 혁 이 영국과 미국 등 몇몇 나라를 중심으로 급 격 히 번 지게 됨. 이에 따라, 국가부담의 감 소와 복지제도에의 시장 원리 침투 라는 복지국가 삭감 전략이 횡행 하고, 영국과 미국 등 앵 글로 색슨 국가를 중심으로 신자유주의적 복지개 혁 이 시 작 됨. - 이 시기에는 경제적인 면에서 뿐 만 아 니 라 인구구조의 변 화에 의해서도 기존 복지국가의 규칙 들이 지 속 가능할 수 없다는 인 식이 확산됨. 인구구조의 급 속 한 노령화와 출산율의 저하 혹 은 정체에 따라 의료보장과 노 후 소 득 보장의 재정 위기가 가시화 되고 이에 대한 대 응 노력이 다 각 적으로 이루어지기 시 작 함. - 복지국가 프 로그 램 의 성 격변 화를 통해 복지국가를 변 화된 상황에 맞추 어가려는 재편노력도 곳 에서 벌어짐. 근 로연계( workfare ) 복지정책의 강화 및 사회서비스 산업의 확장을 통한 사회적 일 자리 창출전략 도 입 , 현 금급여 프 로그 램 의 합 리적 구조조정이 이 시기를 대 표 하는 복지재편전략의 사례들임. 본 격 적인 삭감 이 아 닌 이러한 형 태 의 복지국가 구조조정 노력은 영·미국가 뿐 만 아 니 라 유럽 각 국, 특히 전통적으로 매우 큰 복지국가를 일구었 던 북 유럽국가들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음.

정책보고시리즈 2010-4 3 7 □ 우리나라의 복지국가 변화 시기의 특징 및 과제 ○ 우리나라의 경우, 정 치 적 민주화가 경제적 민주화로 확대되는 과 정을 겪 게 된 시기, 즉 복지국가의 발 전이 본 격 화되는 시기가 세 계적인 복지재편기와 겹치 고 있어 복지국가의 구축과 변화가 동 시에 이루어지는 묘 한 상황에 처 하고 있음. ○ 따라서 자 칫 하면 매 우 왜곡된 복지국가 제도화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 며 , 이에 대한 각성이 시급하다고 판단 됨. Ⅲ 복지국가전략의 세 가지 유형과 사회서비스 ○ 지금까지 우리는 복지국가가 하나가 아니라는 점 을 여러 번 강조 하였음. - 복지국가가 하나가 아 니 라 몇 개의 대 별 되는 유형으로 나 눌 수 있는 것이라면 어 떠 한 종류의 복지국가전략이 우리에게 맞 는 것인지를 따 져 보아야 함. - 복지국가의 유형에 관한 학술적 논 의는 주로 Esping-Andersen (1 99 0)이 제안한 세 가지 복지체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 는 바, 여기서의 논 의도 그의 유형화를 기초로 진 행 하기로 함.

3 8 1. 세 가지 복지자본주의체제 ○ 본 격 적인 논의에 앞 서, ‘ 현상적으로 목 도되는 ’ 생 산적 복지체제의 세 가지 유형이라는 것이 무 엇 인지 살펴보 겠 음. - 사실상 모든 복지국가는 근 본적으로 생산적이고자 함. 6 즉 , 모 든 복지국가는 ‘ 생산적 복지국가 ’ 를 지향한다고 할 수 있음. 복 지국가의 기본적 목 적이 평등의 추 구라고 할지라도, 복지국가 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효율을 완전히 등한시할 수는 없기 때 문. 따라서 어 떤 이데 올 로기나 국정의 방향을 가진 정 권 이라도 ‘ 복지 ’ 를 제공함에 있어서 ‘ 생산 ’ 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극대 화하려는 노력을 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임( Ahn , 2000 ; Esping-Andersen & Regini , 2000 ; Esping-Andersen et al ., 2002). - 하지만 실제로 효율과 평등의 혼합 을 어 떻 게 할 것인가 하는 점에 있어서는 한 국가의 제도적 배 경과 정 권 의 선택에 따라 상이한 방식을 채 택하는 경향이 있음. - 요 컨 대, 생산적 복지국가라는 것은 하나의 존재형식을 보이는 것이 아 니 라 다양한 형식으로 존재하는 것임. 이러한 인식은 현 대 복지국가에 관한 비교연구의 분야에서 하나의 공리 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 사실임. 6 이러한 의미에서, 생산적 복지라는 슬로건은 지난 ‘국민의 정부’가 개발해낸 새로 운 발명품이 결코 아니다.

정책보고시리즈 2010-4 3 9 2. 생산적 복지체제들의 성격적 분화 □ ‘복지국가 ’들은 어떠한 종류로 구분되며 각각은 어떠한 배경과 성격 을 지니고 있고 어떠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가? ○ 이러한 의문에 대한 답 은 복지국가론 혹 은 비교사회정책론의 분 야에서 새 로운 인 식 의 틀 을 제공한 것으로 찬 사를 받아 온 ‘ 복지국 가체제론 ’ 을 재고함으로 써 실마리를 얻 을 수 있을 것임. 7 ○ 아 래 에서는, E spi ng- A n d er s en(1990, 1999)의 제 안 을 좇 아 복지 자본주의가 세 가지 상이한 체제로 나 뉠 수 있다고 보고, 각 체제 에서 생 산과 복지의 조응이라는 문제에 천착 한 학술 적 노 력 들을 살펴보기로 함. 8 7 제도주의를 표방하는 복지국가체제론의 주요 업적은 Esping-Andersen의 논의에 관한 비판과 수정을 중심으로 축적됐다. 그의 1990년도 저작인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이 발간된 이후, 사회정책학의 연구자들은 복지국 가란 것이 주로 세 가지 복지국가체제로 대별될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Esping-Andersen(1990, 1999)에 의하면, 복지국가 혹은 복지자본주의는 사회민 주주의체제, 보수주의체제, 자유주의체제로 분류된다. 각 체제는 경제, 사회, 문 화, 정치적으로 독특한 시스템구성양식을 보이는 한편, 평등과 효율의 견지에서 각기 배타적인 장단점을 보여준다. 8 물론, Esping-Andersen이 제안한 복지체제론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학술적 비판 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예를 들면, Mishra(1999)의 경우에는 세계화와 그에 따 른 신진보주의적 노선의 태동 등 최근의 거시경제사회적 변화 속에서 복지체제 론의 고전적 분류방식이 유효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Sainsbury(1994, 1999)를 필두로 하는 페미니스트들의 경우에는 복지체제론이 가부장적 사회구 조 극복에 관한 아무런 시사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이 러한 다양한 비판들에 대한 반응이 Esping-Andersen의 1999년 저작인데, 이 최 근 저작에서 그는 복지체제론의 분류가 최근의 변화들과 여성을 중심으로 한 새

4 0 □ 복지의 생산적 기능에 관한 논의 ○ 사실, 현대 복지국가의 중 심목표 가 성장과 분 배 임은 두 말할 나위가 없음. 그 런 데 이러한 양대 목표 가 과연 ‘ 두 마리 토끼 ’ 인지 ‘ 일석이 조 ’ 가 가능한 것인지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해 답 이 없음. - 현 대 복지국가의 제반 현 상, 특히 그 위기의 원 천 에 관한 우리 학계의 지식축적에서 부족한 부분이 바로 복지국가의 경제적 기초에 관한 연구라고 할 수 있음. 그중에서도 사회적 보 호 의 ‘ 생산적 기능( productive function ) ’ 에 관해서는 별 다른 학술적 주 목 이 없었 던 것이 사실. 9 - 이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라고 판 단됨. 한편으로는 복지국가의 진보적 기능, 즉 재분 배 적 측 면에 과도한 주의를 기 울였 기 때 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복지국가가 기본적으로 소 모 적이거나 생산적이지 못 할 것이라는 편 견 때문임. ○ 지속가능한( sus ta i na b le) 복지국가의 설 계도에서는 분 배뿐 만 아 로운 진보의 영역에서도 여전히 유효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Esping-Andersen의 논리에 전반적으로 동의한다는 전제하에서 출발한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남겨지는 문제는 간결성(parsimony)의 이름으로 사상되는 복지 국가의 다양한 변종들과 그 역동적 변화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는 거시적 안목에서 이루어지는 비교복지국가론연구의 영역에서 완 벽히 소화되기 힘든 지점일 것이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우리의 맥락에서 해석하 는데 제한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9 세 가지 복지자본주의에서의 생산적 복지를 성장과 분배의 견지에서 평가한 안 상훈(2002, 2005)의 연구는 이러한 경향의 대표적인 예외사례이다.

정책보고시리즈 2010-4 4 1 니라 성장도 중요함. - 이러한 전제를 수용한다면, 복지국가체제와 더불어 광범 위한 의미에서의 생산체제가 어 떠 한 방식으로 상 호 조 응 하는지에 관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여 겨 짐. 다른 말로 하면, 복지 체제와 생산체제의 성 격 이라는 차 원에서 양자 간에 어 떠 한 연 계성이 파악 되고, 양자의 연계에 따라 어 떠 한 종류의 성과가 도출되었는지를 탐 구하는 것은 흥 미 롭 고도 중요한 사회정책적 연구과제라고 할 수 있음. 10 - 일 찍 이 Esping-Andersen (1 99 0)이 우리에게 상이한 복지체제에 관한 화두를 던졌 을 때, 생산체제에 관한 메 시지도 그 화두의 중요한 부분이었음(안상 훈 , 2002, 2005). 그 럼 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우리나라 사회정책학계에서는 ‘ 분 배 정치 ’ 에 보다 몰 입 한 나 머 지 복지체제가 생산체제와 조 응 하는 방식에 관해서는 별 다른 관심을 견 지하지 못 한 것으로 판 단됨. - 여기서는 현 대 복지국가가 자본주의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그 리고 어 떤 분 배 론 자도 복지발전을 위한 성장의 필요성을 인정 할 수 밖 에 없을 것이라는 사실에서 출발하여, 도대체 생산체제 과 복지체제가 어 떤 관계에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함. 10 우리는 우파의 주류 경제학자들이 복지가 소모적이라고 공격하거나, 좌파진영 에서 복지국가가 자본주의의 시녀에 불과하다고 강변할 때, 답변할 충분한 준 비를 하고 있는가? 다만, 복지를 하나의 선업(善業)으로서 가치적으로만 파악 하고 있지 않은가? 본 연구는 복지국가에 대한 좌·우파로부터의 다양한 공박 에 대해 보다 건설적인 답변을 준비해야 한다는 절박함에서 출발한다.

4 2 □ 생산적 복지체제들의 분화에 관한 기존 연구 검토 ○ 지 난 세기의 마지 막 십 년을 통하여 붐 을 일으 켰던 중요한 사회과 학 적 관 점 의 하나가 제도주의( i n s t i t u t i onal is m)임. 이러한 관 점 에 기초하여 현대국가의 다양성에 주 목 한 연구들은 본 연구와 관 련 해서는 크게 두 종류로 나 뉘 어 진행되어 온 것으로 파 악 됨. - 비교정치경제학 분야에서는 ‘ 자본주의의 다양성 접 근 ( varieties of capitalism approach ) ’ 이 관심을 끌 었고, 비교복지국가 론 분 야에서는 ‘ 세 가지 복지자본주의 접 근 (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approach ) ’ 이 하나의 유 행 이 되었음. - 사실 양대 접 근 간에 공유되는 부분이 상당히 많음. 그 럼 에도 불구하고 생산체계와 사회적 보 호 체계 사이의 접 합 점 혹 은 연 결고리를 밝 히려는 학술적 시도가 본 격 적으로 시 작 된 것은 최 근 의 일임( cf . Ebbinghaus & Manow , 2001 ; K itschelt et al ., 1 999; H uber & Stephens , 2001). ○ 자본주의의 다양성에 주 목 한 학 자들은 생 산의 사회적 체계, 즉 일 국적 수준에서의 자본주의 경제에 관 심 을 가 짐 ( H oll i ng sw ort h & B o y er, 1997). 11 이러한 연구의 맥 은 조직화 된 자본주의에 관한 신조합주의 관 점 (neo-cor p orat is t p er sp ect iv e)의 연구로 이어지 11 Ebbinghaus & Manow(2001)에 의하면, 이러한 자본주의 다양성 연구의 세 가 지 주제는 다음과 같다. ① 경제체제의 제도적 구성요소의 기능에 관한 체계적 설명, ② 국가수준의 생산모델과 그 비교우 위 의 유 형 화, ③ 제도가 어떻게 행위 자들의 행위 를 형 성하고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는지에 관한 연구들이 그것이다.

정책보고시리즈 2010-4 4 3 며 ( S c h m i ter & Le h m b r u c h , 19 8 1 ; Le h m b r u c h & S c h m i ter, 19 8 2 ; Gol d t h or p e, 19 8 4, among ot h er s ), 1 2 제도주의 경제 학 에서 일 정 정도의 이론적 수 혈 을 거 쳐 본 격 적인 자본주의 다양성에 관한 비교정 치 경제 학 연구로 발 전하게 됨(I v er s en et al., 2000 ; H all & S o ski ce, 2001 ; B erger & Dore, 1996 ; Cro u c h & S treec k , 1997 ; H oll i ng sw ort h & B o y er, 1997 ; H oll i ng sw ort h et al., 1994 ; among ot h er s ). ○ 자본주의를 연구대상으로 삼 거나 복지국가에 주 목 하거나 할 것 없이, 제도주의적 관 점 에 기초한 연구들은 상이한 생 산 레짐 , 노사 관계, 사회적 보호체계 사이에 모종의 ‘ 제도적 상보성( 制度的 相 補性: i n s t i t u t i onal com p lementar i e s ) ’ 이 존 재한다는 인 식 을 공유 하고 있으 며 , 경험적인 증거들을 차 곡 차 곡 쌓 아가고 있음( Hub er & S te ph en s , 2001 ; 안 상 훈 , 200 5; 백승 호, 200 5 ). ‘ 자본주의의 다 양성( v ar i et i e s o f ca pi tal is m) ’ 명제는 결국 복지체제와 명 백 하게 연결 된 다고 할 수 있음(E bbi ng h a us & M ano w , 2001). ○ 수렴이 냐 확산이 냐 의 논 쟁 은 지 난 세기말 비교사회정책 학 과 정 치 1 2 정부, 노동, 고용주 관계에 주목한 조 합 주의 연구들도 사실상 자본주의 다양성 연구의 한 분파라고 할 수 있으며, 자본주의 다양성에 관한 문 헌 들이 기업 (en t erprises), 금융 제도( f inan c ia l ins t i t u t ions), 정부 관계에 주목한 데 비해 (A l ber t , 1991 ; Sos k i c e, 1991 ; H o ll ingwor t h, S c hmi tt er, & S t ree ck , 1994 ; H a ll , 1999), 조 합 주의 연구들은 의사결정의 측 면에 보다 주의를 기 울였 다는 차 이가 있 을 뿐 이다(S c hmi tt er & L ehmbru c h 19 8 1 ; L ehmbru c h & S c hmi tt er, 19 8 2 ; G o l d t horpe, 19 8 4, among o t hers).

4 4 경제 학 의 주 된 관 심 사였으나 최근에는 개 별 국가 혹 은 국가 군 의 제도적 집락 이 존 재한다는 관 점 이 다수 설 로 굳 어 져 가는 분위기임 ( B o y er, 1996 ; Ki t s c h elt et al., 1999 ; Rh o d e s & Ap el d oorn, 1997). - 개 별 복지국가는 사회적 제도, 통제, 그리고 통치형식에서 상이 한 조 합 을 가지고 있음. 국민국가가 다양한 조정에 관한 법 적 통제를 독 점함과 동시에 그러한 조정을 뒷 받 침 하는 제도를 발 전시 켜 왔 기 때문에 국가 간에 조정의 형식에 있어 체계적인 차 이를 보이게 되는 것임( H all , 1 999 ). ○ 그 런 데, 개 별 국가 혹 은 국가 군 은 왜 특이한 종류의 제도적 발 전을 보이게 되는가 ? 여기에 대한 해 답 은 ‘ 제도적 동형태( i n s t i t u t i onal is omor phis m) ’ 1 3 에 관한 논의에서 찾 을 수 있음. 14 특히 근자의 경제적 범세계화 속에서 상이한 종류의 제도 관 련 모 델 들이 여전 히 존 재할 뿐 만 아니라 실제로 경 쟁 하고 있다면, 각기의 모 델 들이 나 름 대로의 독 특한 생존 방 식 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임 1 3 덜 구조화된 상 황 에서 개인의 행 동은 유사한 종류의 구조화된 상 황 , 즉 유사한 상 황 의 규칙 으로서 잘 조 직 된 제도 아 래 서의 자신의 행 동이 어 떠 한 양식으로 구체화될 것인가에 관한 유 추 를 통 해 결정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 해 새 롭 게 떠 오르 는 혹은 변화하는 제도의 형 식이 정해지게 된다는 것이다( D ore, 199 7 ). 14 D iMaggio & P owe ll (19 83 )은 제도적 특 징 을 공유하는 동 형 태의 복제를 통 해, 경제적 활 동의 국가적 형 식인 사회적 메커 니 즘 이 창 출된다고 지적하 였 다. 그리 고 이 렇 게 생성되는 제도는 한 국가 내 에서 매 우 조 직 적·유기적으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다. 자본주의의 특정 모델들이 제도적으로 그 하 위 체계들과의 일관성 속에서 조 직됨 으로 써 배타적으로 구분 가능해지는 것이다.

정책보고시리즈 2010-4 4 5 (E bbi ng h a us & M ano w , 2001). - 이러한 인식은 제도주의적 모델 들에 관한 비교연구를 촉발시 켰 음. 제도적 분기에 관심을 표명 하는 근 자의 비교 정치경제학은 실제로 경제적 활동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이분 법 ( dichotomy ) 을 양산한 바 있음. 예컨 대, 포드 주의 생산 대 특화된 생산 ( Piore & Sabel , 1 984 ), 앵 글로 색슨 자본주의 대 라인 자본주의 ( Albert , 1 99 1), 탈 규 제적인 정치경제 대 제도화된 정치경제 ( Crouch & Streeck , 1 997 ), 조정된 시장경제 대 조정되지 않은 시장경제( Soskice , 1 99 1, 1 999 ) 등과 같은 양분 법 은 이러한 제 도적 유형화의 대 표 적인 사례들임. ○ 우리에게 보다 익숙 한 비교사회정책에서의 복지체제에 관한 논의 도 생 산 레짐 에 관한 정 치 경제 학 적 논의와 매 우 유사한 방 식 으로 전개되고 있기 때 문에 양자 간의 연계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은 충 분히 타당함. -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Esping-Andersen (1 99 0, 1 999 )의 복지 체제 연구만 예 로 들더라도 이미 생산 레 짐에 관한 시사를 제공 하고 있음이 발 견 됨. 그의 연구에서는 사회보장체계가 광범 위 하고 체계적인 관점에서 분 석 됨으로써 국가적 생산체계에 관 한 설 명 이 포 함됨. 게다가 이렇게 분 석 된 복지체제는 집락 ( cluster )을 이루는 것으로 판명 되어 제도적으로 구분됨이 강조 됨. 복지정책과 노동시장 관계의 연계성에 관한 분 석 에서는 복

4 6 지와 경제의 연결고리가 통계적으로 확인되기도 하 였 음(안상 훈 , 2005). - 요 컨 대, Esping-Andersen 이 그의 연구에서 체제( regime )를 중 심 개 념 으로 삼 아 복지국가의 집락 을 증 명 한 것은, 국가와 경 제 간의 관계에 주 목 하고 그 속 에서 법 적·조직적 특 징 들이 매 우 체계적으로 상관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에 다 름 아 닌 것이며, 앞에서 살펴 본 다양한 자본주의 생산 레 짐에 관한 논 의 들과 동일한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는 것이라 평가할 수 있음 ( Lange & Meadwell , 1 99 1). - 이러한 인식은 그 이전의 복지국가에 관한 이 론 적 관점들로부 터 명 시적인 차별 성을 지 님 . 복지제공의 원 칙 에 있어 매우 상 이한 체계성을 내 포 하는 집락 이 존재한다는 식의 복지체제를 중심으로 한 탈 수 렴 론 적 인식이 중요함. 1 5 3. 세 가지 복지체제의 정치경제적 성과 ○ 안 상 훈 (200 5 )은 선진자본주의 국가들을 복지와 생 산이 조응하는 1 5 Esping-Andersen의 1990년 저작,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이 후, 제도주의적 관점에 기 초 한 복지자본주의의 다양성에 관한 관심이 비교사회 정책학의 화두로 자리를 잡 게 된다. 복지자본주의의 다양성에 관한 이러한 관 심은 20세기의 진보적 사회발전이라는 맥락에서 복지국가를 찬 양했 던 복지국 가 연구자들이 전후 자본주의 황금 기의 종 언 과 더 불어 불어 닥친 신자유주의적 헤 게모니 속에서 복지국가의 전반적 몰 락이 필연적인 역사적 귀 결은 아 닐 것이 라는 기대를 경 험 적으로 증 명하기 위 한 노 력 의 일 환 이기도 하다.

정책보고시리즈 2010-4 4 7 방 식 에서 차이를 보이는 세 체제로 나 누 어 복지국가와 생 산체계 의 다양한 변수들의 견 지에서 통계적으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분석하였는데, 세 가지 체제는 각기 특유한 방 식 의 생존 전 략 을 배 타적으로 소유한 것으로 확인되 었 음. 흥 미로운 결과는 성장의 과실에 있어서는 별 차이가 없이 분 배 수준의 달성 정도만 사민주 의, 보수주의, 자유주의 순 으로 확연히 서 열 화 된 다는 점 임. ○ 안 상 훈 (200 5 )이 확인한 세 체제의 특성변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 음. - 사민주의는 복지국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며 이전지출 뿐 만 아 니 라 사회복지서비스와 같은 비이전지출 분야에 많은 노력 을 기 울 이는 체제임. 복지국가를 유지하기 위한 시장 규 제의 정 도가 높고, 노사관계는 강력한 노동운동과 사회적 협 력을 기초 로 함. 분 배 의 성적, 즉 평등의 달성도가 다른 체제들보다 훨씬 높은 특성을 지 님 . 시장 규 제와 동시에 평등을 추 구하는 정책지 향에도 불구하고 1인당 실질 GDP 로 표현 되는 경제성과는 다 른 체제와 별 반 다를 바가 없음. 그 이유는 고세율과 시장 규 제 에도 불구하고 코 포 라 티즘 에 기초한 노사 간 협 력과 산업조정 이 가능하고, 전반적인 교육수준의 고양,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여성노동참여 등에 노력을 경주함으로써 복지를 생산에 기여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정책초점을 맞추 고 있기 때문임. 사민주 의적 생산 - 복지체제는 복지의 확대가 생산적일 수 있는 부문 에 상당히 집 중되며, 이를 통해 양질의 인적자원을 확보함으로

4 8 써 생산성 높은 첨 단산업의 지 속 적 혁 신이 가능하고, 결국 복 지와 생산 양자의 성공으로 이어지는 체제라고 할 수 있음. - 자유주의체제는 복지국가의 크기가 작 고 시장이 탈 규 제적이며 노사관계도 노동운동의 힘 이 약하기 때문에 자본우위의 시장 자본주의가 가능한 체제임. 이 체제에서는 복지수준이 낮기 때 문에 복지의 생산화 노력이 필요하지 않기도 함. 분 배 성적도 당연히 저 열 한 수준임. 그러나 이상하게도 이 체제의 경제적 성과는 가시적이지 못 함. 적어도 사민주의나 보수주의 체제에 비해 경제적 성과가 월 등하지 못 한 것임. 이러한 결과는 시장 자본주의를 주장하는 자유주의 경제학의 기본적 논 점인 시장 의 성공과 정부의 실패가 경험적으로는 허 상일 수 있음을 암 시 하는 결과임. 요 컨 대, 자유주의체제는 복지를 희 생한 만 큼 의 경제적 성공을 보장해주지 못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 보수주의는 복지국가의 노력 정도는 상당히 크지만 산업적 성 취 에 기초한 즉 , 소 득 과 기여에 상 응 하는 현 금이전지출에 치중 하여 분 배 성적이 세 체제 중에서 중간 정도에 머 무 는 데 그 침 . 시장 규 제가 상당히 높지만 국가를 통한 생산적 복지에 대한 노 력은 사민주의보다 떨 어지는 편임. 다만, 산업조정과 노사관계 의 협 력은 경제적으로 긍 정적인 효과를 지 니 는 방향으로 자리 매 김 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음. 결과적으로 경제적 성과는 다른 두 체제와 다를 바 없는 수준이지만, 사민주의에 버 금가 는 높은 수준의 복지지출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인 사회서비스

정책보고시리즈 2010-4 4 9 의 확대를 통한 생산성 제고의 노력이 결여됨으로써 결과적인 분 배 성과는 양 체제의 중간 정도 성적을 거두는 체제라고 할 수 있음. - 요 컨 대, 세 체제 모 두 나 름 대로의 방식으로 복지와 생산을 결 합 하고 있으나 적어도 분 석 된 시기에 있어서는 사민주의의 성 공이 가시적이며 보수주의, 자유주의 순으로 생산과 복지의 기 본 목표 를 달성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됨(안상 훈 , 2005). - 물 론 , 안상 훈 (2005 ; cf . 2002)이 정리하고 있는 1 98 0 년 전 후 의 상황이 경제적 범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헤 게 모니 이 후 현 재 까 지도 적용된다는 보장은 절 대적일 수 없을 것임. 이와 관련 해서 Crouch (2001)는 복지체제와 생산 레 짐의 관계를 ‘ 제도적 확률주의( institutional probabilism ) ’ 로 파악 하여, 특정 체제의 발달양상이 특정한 경로를 따 르 게 될 공산이 크지만 완 벽 하게 제도적 유산에 의해 설 명 되어지는 것은 아 니 라고 한 바 있음. 다른 말로 하면, 양자 간의 상보성은 ‘ 확률적 ’ 으로만 경로 의존 적이라는 주장임. - 이러한 문제제기에 대해 보다 최근 의 상황을 반영하는 자료에 입각 해서 복지국가의 지 속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 목 적 중 하나임.

5 0 4. 지속가능성 요소의 추출 ○ 우리는 지금까지 복지자본주의의 다양성이라는 이론적 견 지에서 복지국가의 구조를 체제 간의 특성차이를 중 심 으로 살펴보 았 음. 복지자본주의를 몇 개의 제도적으로 상이한 체제로 구분하는 것 이 최근 비교사회정책 학 의 주류적 관 점 임은 두 말할 나위가 없지 만, 선진복지국가의 발 전과정에서 지속가능성의 요소들을 추출하 려 는 목 적을 지 닌 본 연구의 맥락 에서는 제도주의적인 경로 의 존 성 외 에 몇 가지 다른 논 점 들을 함께 생 각해 볼 필요가 있음. 그 것은 인 식 론적 혹 은 방 법 론적 차원에서 제도주의적 체제중 심 론을 재고( 再考 )하는 것과 관 련 이 있음. ○ 주지하다시 피 , 주류적인 사회 학 적 제도주의에서는 제도적 경로 의 존 성을 강조함. 한 시대, 한 국가의 정책적 구성은 과거의 유산으 로서 정책적 제도에 종속적이라는 것이 이 관 점 의 핵심 적 명제임. - 하지만, 이러한 관점의 논 의가 역사적 변 곡 점( historical turning point )에 관한 새로운 인식에 근 거하지 않고서는 지나 친 결정 론 으로 흐르 게 된다는 것 또 한 최근 의 사회과학을 달구고 있는 논 쟁점임( N ee & Ingram , 1 998; Rothstein & Steinmo , 2002 ; 안 상 훈 , 2005). 이러한 새로운 관점은 어 떠 한 제도도 역사적으로 중요한 변 화를 겪으면 새로운 모습 으로 바 뀔 수 있다는 가능성 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제도주의적 결정 론 을 벗 어 던 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음.

정책보고시리즈 2010-4 5 1 ○ 제도적 종속성이 완 전한 결정 력 을 지 닌 것이 아니고 새 로운 변화 의 단 초는 언 제 든 지 마 련 될 수 있다는 신제도주의적 각성을 수용 할 때 , 비로소 지속가능한 복지국가의 전 략 적 요소들을 고 려 할 근 거가 확보됨. - 역사적 변 곡 점에 관한 각 성은 ‘ 이미 만들어 져버린 어 떤 것 ’ 으로 복지국가제도를 바라보는 수동적 자세에서 새로운 복지국가의 제도적 계기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적극 신 념 으로 우리를 인도함. - 더구나 한국적 상황은 아직 복지국가의 틀 이 완결된 상 태 가 아 니 며, 정치적·사회적 변 화의 속 도 또 한 매우 빠르 기 때문에 한국적 복지국가를 지 속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 혹 은 우리 복 지국가를 지 속 가능한 모 형으로 개 혁 해 낼 수 있는 가능성이 상 대적으로 더 크다고 볼 수 있음. - 선진복지국가 제도화의 경험을 통해 지 속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제도적 특성요소를 추 출하는 이 연구의 작 업이 의미를 가 지게 될 수 있는 까 닭 이 여기에 있음. ○ 지속가능성을 증가시 키 는 방향으로 한국 복지국가를 개혁할 수 있다는 혹 은 개혁해야 한다는 주장의 타당성은 다음과 같 은 사실 들로부 터 도 그 근거가 확보됨. - 한국 복지국가의 성 격 에 관한 논 쟁을 통해 잘 알려진 바와 같 이, 한국의 복지국가는 서구 선진복지국가의 혼 성사례( hybrid case )로서 파악 되는 경향이 있음과 동시에 성 격 이 변 화하고 있

5 2 다는 관 찰 이 도 처 에서 제기되고 있음( cf . 김 연 명 편, 2002) - 현 재 우리나라가 거시경제구조, 산업의 성 격 , 인구구성, 문화적 경향 등 매우 다양한 차 원에서 급 격 한 변 화를 겪고 있으며 이 러한 변 화가 고용 없는 성장, 여성 참여의 사회적·문화적 장 애 , 저출산·고령화와 같은 새로운 종류의 사회문제로 이어지 고 있다는 것도 새로운 전략으로 한국 복지국가를 개 혁 해야할 시점에 도달 했 음을 보여주는 상황 변 화라고 할 것임. ○ 제도적 유산이 결코 절 대적인 것은 아니 며 , 새 로운 복지국가의 전 략 지도, 특히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선진복지국가의 요소들을 결 합할 수 있는 시 점 에 우리가 서있다고 한다면, 남겨 진 문제는 지속 가능성의 요소들을 어떠한 방 식 으로 확인할 것인가로 연결됨. ○ 여기서의 분석은 맥락 중 심 적 접근에서 시작하여 지속가능성이 높 은 체제를 확인하고, 변수중 심 적 접근을 통해 각 요소의 지속가능 성을 실증적으로 일반화하는 두 단 계로 이루어 짐 ( R ag i n, 19 8 7). - 이러한 방 법 론 의 채 택은 세 가지이건 네 가지이건 상이한 복지 체제로 모든 것을 설 명 하기보다는, 경험적으로 구분이 가능한 복지체제들의 장점을 취합 해서 새로운 종류의 복지국가전략 마련에 활용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함. 즉 , 여기서의 분 석 은 사민주의, 자유주의, 보수주의 등 어 떤 특정 모 형을 답 습 하 는 방식의 전략이 아 니 라 여러 체제의 장점과 단점을 정리하

정책보고시리즈 2010-4 5 3 고, 어 떤 특성이 복지국가의 경제적 지 속 성에 도움을 줄 수 있 는지 확인함으로써 우리 고유의 모 형을 새 롭 게 작 성할 수 있다 는 관점을 취 함. ○ 사실상, E spi ng- A n d er s en(1990)을 필 두 로 한 복지국가체제론의 논의 속에서도 체제들이 질적으로 구분되고 있지만 성 격 적인 면 에서는 완 전히 배 타적인 실체들로 다루어지고 있지는 않 으 며 , 이 들에서 다루어지는 체제의 성 격 들도 결국 서 열 적으로 취 급되고 있다는 사실은 기 존 의 연구들에서도 제기하고 있는 문제임( Ah n, 2000 ; Sh ale v , 199 8 ). 예컨 대, 탈 상 품 화의 경우에도 지수화 된 총 점 수는 국가 간의 서 열 로 취 급되고 있으 며 , 사회계 층 화의 각 요소 들도 비 록 특정체제와 연결되어 설 명되고 있지만, 그 값 들이 배 타 적으로 점 수화되기보다 서 열 적인 것으로 취 급되고 있다는 점 은 분명한 사실임( cf . E spi ng- A n d er s en, 1990). ○ 복지국가가 경제적으로 또 정 치 적으로 지속가능한가의 문제는 최 근 비교사회정책 학 분야에서 다시 주 목 받고 있는 문제지만, 결코 새 로운 주제는 아님. - 복지국가 위기 논 쟁에서 신 좌 파 와 신우 파 의 학자들이 복지국가 가 지 속 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기 시 작 한 이래, 복지국가 가 기본적으로 가능한 것인지에 관한 논 의는 이미 하나의 고전 적 주제임( Pierson , 1 99 1).

5 4 - 물 론 , 복지국가 체제 론 의 다양한 이 론 적·경험적 연구들이 결 정 론 적 위기 론 , 즉 모든 복지국가에 관한 사형선고가 타당하지 않다는 점을 속속 밝혀 왔 고, 더 이상 모든 복지국가가 지 속 가 능하지 못 할 것이라는 학술적 신 념 은 폐 기되어가는 추 세임. 어 떤 나라도 복지국가의 지출을 0 % 에서 묶 는다는 것이 그 차 제 로 불가능한 상황이기도 함. - 이제 문제는 과연 어 떤 종류의 복지국가가 위기에서 상대적으 로 강건한가, 혹 은 어 떤 요소들이 복지국가의 지 속 성을 담보하 는가에 집 중됨. ○ 복지국가가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것인가의 질문은 복지국가의 정책들이 비 생 산적인가 생 산적인가, 혹 은 어 떤 프로그램들이 더 욱 생 산적일 것인가로 나 뉠 수 있음. 복지체제에 관한 위의 논의 에서 이미 그 실마리가 언 급 된 바 있지만 여기서는 조금 더 자세 히 살펴보도 록 함. - 복지국가의 정책 프 로그 램 은 크게 복지욕구의 대 표격 인 소 득 보 장을 직 접 적으로 해결하는 현 금급여 프 로그 램 과 기타 다양한 복지욕구에 관한 서비스 프 로그 램 으로 대 별 됨. 사회서비스가 내용면에서 포괄 적이고 대상 면에서 보편적일 경우, 기본적인 소비의 비용을 절 감 함으로써 국민들의 가 처 분 소 득 을 증가시키 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두 종류의 프 로그 램 이 동전의 양면이 라고 생 각 할 수도 있음. 하지만 기존의 여러 연구들에서 암 시적

정책보고시리즈 2010-4 5 5 으로 시사하고 있는 바와 같이, 두 종류의 프 로그 램 중에서 어 떤 것을 우선하는가에 따라 경제적인 면에서 상이한 효과가 기 대됨( H uber & Stephens , 2001 ; Esping-Andersen et al ., 2002 ; 안상 훈 , 2005 ; 백 승호 , 2005 ; 홍 경준, 2005). - 복지국가가 경제성장에 어 떠 한 영향을 지 니 는가에 대해서는 이미 경제학의 다양한 연구들이 존재함. 복지국가가 경제성장 에 해 악 을 미 친 다는 부정 론 은 지 속 가능성의 요소 추 출과 근 본 적으로 배 치되 므 로 여기서의 논 의는 긍 정 론 의 경우에만 집 중 하도록 함. K eynes (1 973 ) 이 후 가장 잘 알려진 긍 정적 측 면은 복지급 여를 통해 유효수요가 창출되고 이는 경제성장으로 이어진다 는 논 리임. 유효수요와 관련된 현 금급여와 사회서비스의 차 이는 별 로 크지 않을 것으로 예 상됨. 소 득 이 일정할 경우, 사회서비스를 통해 욕구가 해결되는 것도 가 처 분소 득 의 증가효과를 가지기 때문임. 현 금급여가 유효수요 창출을 통한 생산적 기여를 하는 것이 거의 전부인 데 비해, 사회서비스는 인적자본양성과 고용 창출 에 보다 직 접 적인 효과와 관련되기 때문에 생산에 기여할 바가 더 욱 클 것이라 예 상됨( Esping-Andersen , et al ., 2002 ; 안상 훈 , 2002). - 이 론 적인 차 원에서 사회서비스가 현 금서비스보다 생산에 기여

5 6 하는 측 면이 클 것이라는 가설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도출 되는 시사점은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음. 첫째, 보편적 사회서비스와 현 금서비스를 동시에 발전시 킨 스칸디나비아형 복지체제가 다른 두 체제보다 우수한 경제적 인 성과를 보임. 둘째, 총 공공복지 지출에서 사회서비스 지출이 차 지하는 부분이 클 수록 ( 혹 은 현 금서비스지출이 작 을수록) 경제적인 성 과가 커 지는 경향이 있음. 5. 세 가지 복지체제 유형의 경제적·정치 지속가능성에 관한 평가 ○ 우리는 위에서 복지자본주의의 세 가지 유형에 관한 평가를 통해 지속가능한 한국형 복지국가를 위한 요소들을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음. 이제 아 래 에서는 한국형 복지국가전 략 을 위한 세 가 지의 평가를 시도하기로 함. ○ 지속가능한 복지국가의 첫 번 째 측 면은 경제적인 면에서의 평가 와 관 련 되고, 우리가 주 목 하는 질문은 결국 ‘ 복지국가와 경제성장 의 관계가 항 상 역인가 ? ’ 라는 것으로 정리됨. - 시장 역동성은 공공사회정책이 미발달한 ‘앵 글로 색슨 형 ’ 이 가 장 탁 월 하지만, 이 모 형은 동시에 전형적인 사회양극화 모 형이 라고 할 수 있음. 즉 , 시장을 위해 사회통 합 을 포 기하는 체제가

정책보고시리즈 2010-4 5 7 | 그림 3 | 복지 정 치와 조세저 항 의 패러독스 바로 앵 글로 색슨 형 복지자본주의체제인 것임. - 공공복지가 발달한 ‘ 스칸디나비아형 ’ 은 생산적 요소가 많아 조 정된 시장경제가 가능한 체제로서, 특히 공공사회서비스정책 관련 일자리 창출이 용이하고 인적자원에 대한 투 자로 장기적 인 생산성 향상 효과를 담보하는 유형임. - 현 금급여 중심의 ‘ 대륙유럽형 ’ 은 유효수요 창출 이 외 에는 생산 에 기여하는 복지라고 보기에는 무 리가 있으며, 실제로 이 유 형의 복지국가들이 사회보험에 대한 대개 혁 을 시도하고 있다 는 것은 이미 유 명 한 사실임. ○ 다음으로는 정 치 적인 면에서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함. 즉, 복지국가 가 필요하다고 전제할 때 , ‘ 국민적 지지는 어 떻 게 확보할 것인가 ? ’

5 8 구 분 공공부조 중시형 사회보험 중시형 사회서비스 중시형 주요 표적 대상 극빈자 보험가입자 전국민 재분배 매우 미약 제한적 강력 복지개혁의 용이성 상 하 상 조세반동수준 상 중 하 주요 국가 앵글로색슨 (미국, 영국 등) 대륙유럽 (독일, 프랑스 등) 북유럽 (스웨덴, 노르웨이) | 표 5 | 세 가지 전략유형의 개요 - 앵 글로 색슨 형은 정치적 사회통 합 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음. 이 체제에서의 복지 프 로그 램 구성은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납 세자와 수급자의 철 저한 분리가 일반적임. 이 러한 분리는 결국 복지정치의 국민적 균열 을 극단적인 1 : 9 로 양분하게 됨. 정치적인 면에서 이 체제가 가지는 하나의 장점 이 있기는 함. 복지지출 자체가 낮고, 공공복지의 종류도 많지 않기 때문에 지 속 적인 복지국가 개 혁 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는 사실이 그것인데, 이 또 한 복지 저발전과 사회양극화의 온 존이라는 면에서 좋 은 평가로 이어질 수 없을 것임. - 대륙유럽형은 사회보험을 중심으로 복지국가가 구성되고 있어 복지국가의 수 혜 자와 납 세자가 겹 치는 체제로, 사회통 합 의 견 지에서 앵 글로 색슨 형보다 우 월 한 유형이라 할 수 있음. 하지만, 현 금급여의 개 혁 을 보완하는 사회서비스의 미발달로 인해 저기 여·고급여형 연금을 필두로 하는 현 금급여 부문의 개 혁 이 곤

정책보고시리즈 2010-4 5 9 란 한 체제임. 현 금급여의 개 혁 에 따른 상실효과가 사회서비스 의 발달로 보상되지 못 할 경우, 복지국가의 개 혁 은 정치적으로 매우 제한될 수 밖 에 없다는 교 훈 을 되새길 필요가 있을 것임. - 스칸디나비아형은 사회통 합 적 복지정치와 보편적 사회서비스 의 존재 덕 분에 현 금급여 부문의 사회보장개 혁 이 상대적으로 용이함. 1 998년 의 스웨덴 연금개 혁 은 변 화된 시장과 재정 상황 에 신 속 히 부 합 한 복지국가 수정개 혁 의 대 표 적 사례로서 널 리 알려 져 있기도 함. 이것이 가능 했던 것은 연금개 혁 을 상 쇄 하는 노인서비스의 발전 덕 분이라고 할 수 있음. 이는 사회보험개 혁 이 필요할 경우, 수 혜 자 집 단의 욕구를 현 금급여에서 사회서비스 로 전환함으로써 불필요한 정치적 저 항 을 막 은 전형적 사례임. 6. 한국의 현황과 선진국 경험의 교훈 ○ 우리는 위에서 세 가지 복지자본주의의 장· 단점 을 평가하고 한 국형 복지국가의 지속성을 위한 원칙을 도출하였음. 여기서는 현 재 우리의 복지국가가 어 디 에 서있는가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로 함. ○ OECD 국가와 비교할 때 우리나라는 공공사회지출비가 매 우 낮 은 상태임. - 공공사회지출의 GDP 대비 비율은 6 .1 % 로 OECD 3 0개국 중

6 0 최 하위임. 동시에 복지지출의 구성도 지 속 가능성이 낮은 현 금 급여(사회보험·공공부조)에 편중되어 있음. GDP 대비 사회 서비스의 비율도 0. 3 % 로 OECD 최 하위 권 이며( OECD 평 균 사 회서비스 GDP 대비 1. 7 % ), 전체 사회지출대비로 보아도 4 . 9 % 에 불과한 실정임. - 이러한 현 재의 문제는 한국 복지국가의 미래에 관한 암 울 한 예 측 으로 종종 이어짐. 무 엇 보다 사회보험 및 공공부조의 보장수 준과 재정부담의 문제가 지 속 될 것으로 예 상됨. - 사회보험 재정 책임이 노사 양자부담 구조이기 때문에 조세를 통한 일반 재정의 역할이 미미하고, 공공부조 대상자 선정의 기준소 득 수준이 낮고 급여도 저 열 한 상 태 임. ○ 사회서비스에 관한 욕 구와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재정·조직· 인 력 등의 면에서 인프라 구축은 매 우 미 흡 한 실정임. 사회복지서 비스의 재정분권이 본 격 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서비스 공급의 중앙 - 지방 - 민간 간 역할분담 방 식 이 모호한 상태로 남 아 있음. - 서비스 분야의 제도적 인 프 라가 없는 상황에서 무 리한 분 권 화 는 오히려 사회서비스 저발전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바, 사 회서비스 분야에 관한 국가적 책임성 천명 이 지방화와 민간역 할 강조에 선 행 되어야 할 것으로 판 단됨. ○ 복지국가가 사회 통합적 기제로서 작동하는 기저에는 복지국가

정책보고시리즈 2010-4 6 1 자체에 관한 국가·시장·시민사회 간의 대타 협 이 필요하고 이는 역사가 웅 변하는 사실임. - 하지만 현 재 우리 복지국가는 주로 정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 어 타 협 의 실마리조 차 부재한 상황이라는 우려가 팽 배 함. 이에 따라 사회보험 등 현 금급여 구조의 합 리적 개 혁 이 지지부진한 상황이고, 특히 국민연금 분야의 개 혁 이 국회 차 원에서도 누누 이 좌 초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 - 사회정책의 구조적 합 리화에 관한 총 체적 밑 그림이 없는 상황 에서 정부 주도의 일방적인 급여하향 시도가 정치적 부담을 초 래한다는 사실은 이미 누차 언 급하 였 는데, 연금개 혁 과 동시에 노 후 생활안정 서비스 도 입 을 국가가 해결할 것이라는 의지의 천명 이 그 어 느 때보다 절 실한 상황임. ○ 지금까지 확인한 사실을 종합할 때 , 지속가능한 한국형 복지국가 의 기본적인 지향 점 은 현금급여의 합리적 개혁과 사회서비스 확 충 으로 모아 짐 . 동시에 국민 통합과 사회정책에 대한 지지확보를 위해 국민 모 두 에게 편 익 이 돌 아가는 보편주의적인 복지국가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는 점 도 기 억 해야 함. 하지만 우리의 현실은 이러한 기본원칙에서 동 떨 어 져 있는 것으로 판단 됨. - 현 재 사회보험 이 외 사회복지제도는 선 별 주의적으로 경도됨으 로써 대상이 사회적 약자 층 으로 극히 제한되어 있어 복지국가 의 납 세자와 수 혜 자의 분리 현 상이 매우 가시적임. 보편주의 방

6 2 식이 복지 관련 조세 변 동을 낮 추 는 효과가 지대함을 상기한다 면 이러한 현 실은 일정 정도의 수정이 필수불가결함. - 동시에 우리나라 복지국가의 구성은 현 금급여에 지나치게 편 중되어 있다고 할 수 있음. 건전재정 확보가 중요한 시점에서 현 금급여의 효과를 상 승 시 킬 수 있는 사회서비스 부문의 확 충 과 국가적 책임성의 확보가 그 어 느 때보다 절 실하다고 생 각 함. 보편적 사회서비스는 인적자원에의 투 자, 인적자원에 대한 포괄 적 관리의 견 지에서도 매우 생산적일 수 있는 사회정책 부 문임을 잊 지 말아야 할 것임. Ⅳ 고용 창출형 사회서비스국가로의 전환 과제 □ 국민적 관심과 요구에의 부흥 ○ 앞 에서도 강조한 사실이지만 복지국가가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하 다고 하더라도 국민적 관 심 과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다면 정 치 적 인 지속가능성이 확보될 수 없음. ○ 우리 국민은 정부가 수행해야 할 우선적 과제로 사회복지, 성장 동 력 확보, 고령화 사회 대비 등을 지적하고 있는데, 이는 경제성장 일변도의 작은 정부담론이 여론의 지지를 얻 지 못한다는 증거가 됨(한국 갤 럽연구소 설 문조사, 200 5 . 3 . 1 8 ~ 20). 같 은 조사에서 정

정책보고시리즈 2010-4 6 3 | 그림 4 | 공무원 증원이 필요한 우선순위 정책 분야 부의 우선 대 처 가 필요한 정책 분야 중 ‘ 사회복지·보 건 서비스 ’ 분 야의 공무원 충 원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 었 는데, 이는 정부 구조 개혁의 지향 점 으로서 사회서비스국가로의 전 환 을 요구하는 본 연구가 국민적 지지를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음. ○ 비 단 우리 국민의 인 식뿐 만 아니라 사회공 학 적 견 지에서 보더라 도 국민 복지에 대한 국가의 역할 확대는 여전히 필요함. - 특히 이와 관련해 정치적·경제적 문제를 동시에 고려하는 모 형 을 확 립 할 필요가 있음. 복지국가 확장은 사회통 합 의 정치적 문제 이자 성장동력 활성화와 연계되는 경제적 문제이기 때문임.

6 4 ○ 지속가능한 복지국가 모형의 설 정에 관해 우리는 다음과 같 은 원 칙을 제 안 하였음. - 첫째는 현 금급여 제도운용의 합 리화와 건전 재정의 확보 그리 고 시장 친 화적인 수준에서의 관리가 필요함. - 둘째는 정치적 지지확보가 용이하고 인적자원 투 자, 사회적 일 자리 창출 등 생산적 의미가 큰 사회서비스 분야의 보편화로 방향을 전환해야 함. ○ 이는 결국, 경제적·정 치 적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복지모형을 사회서비스 확 충 을 통한 고용주도형 복지정책으로 설 정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는 결론으로 이어 짐 . - 선진국의 경험에 비 추 어보면, 국민부담 및 조세부담 수준의 상 한선과 같은 경제적 고려 외 에도 사회통 합 을 위한 정치적 고려 까 지를 병 행 해서 설정할 수 있다는 사실은 작 은 정부만이 답 이 아 니 라는 우리의 제안을 위한 경험적 증거임. - 조세저 항 은 보편적·일상적인 사회서비스 수급자의 확대전략 을 통해 완화될 여지가 다분한 것임. 따라서 사회정책의 내용 구성을 사회보험이나 공공부조와 같은 현 금급여 중심에서 사 회서비스 중심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결 론 지을 수 있음. 이러한 변 화는 사회서비스에 대한 이용가능성을 높여 사회복 지, 사회정책에 대한 국민적 인식의 확대와 함 께 정책의 지지, 국민 부담의 확대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판 단함.

정책보고시리즈 2010-4 6 5 □ 사회서비스 확장을 위한 구체적 전략 ○ 그 렇 다면 사회서비스 확장을 위한 구체적인 전 략 은 무 엇 인가 ? 이 에 대한 정책적 답 변은 추후 보 충 될 여지가 있을 것이지만, 대 략 적인 구상을 밝 히자면 다음과 같 음. - 먼 저, 돌봄 ( care )서비스와 관련해서는 노인·장 애 인 돌봄 과 같 은 분야의 국가책임을 천명 하고 전 국민 대상의 보편적 서비스 인 프 라를 우선적으로 확 충 할 필요가 있다고 봄 . 보육서비스는 저출산 시대의 일 차 적 관심거리로서, 영·유아기부 터 국가가 보육, 양육, 교육의 환경을 조성하는 보편적 정책을 추 진할 필 요가 있음. 이는 선진복지국가가 이미 실 천 하고 있는 바, ‘ 보육 의 의 무 교육 化 ’ 를 의미함. 초등학교 ‘ 방과 후 보육 ’ 프 로그 램 의 내실화·보편화로 청년 실업자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보육대상 연령의 확대를 통해 어 머 니 들의 사회진출을 진 작 하는 것도 경 제에 보 탬 이 될 것임. - 교육서비스의 확 충 . 고등학교와 대학교 교육의 인적 투 자에 관 한 전략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생 각 함. 고등교육은 지식기반사 회의 고급인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방향으로 탈 시장 화( demarketize )할 필요가 있고 구체적으로는 ‘ 장기 학비 융 자 기금 ’ 과 ‘ 국가장학생 선발제도 ’ 의 도 입 등을 고려할 수 있음. - 주거서비스는 인간의 기본욕구를 충 족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 로서 우리나라의 주거비용문제는 이미 주지의 사실임. 임대주

6 6 택 활성화, 고급화로 주택담 론 을 소유에서 거주로 전환하되, 우선적으로 빈곤층 을 위한 임대주택 공급을 늘 려서 사회적 안 전 망 의 기본을 충 족할 필요가 있음. - 적극적 노동시장서비스( active labor market services )는 복지 국가가 성장 친 화적일 수 있는 대 표 적인 분야임. ‘ 고용 없는 성 장 ’ 의 문제는 경제성장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고 보다 적극적인 정책적 대 응 이 필요함. 실업자를 재교육함과 동시에 적재적소 에 재 배 치하는 정책의 개발이 필요하고, 전국 차 원의 고용서비 스에 관한 국가 역할의 강화가 시급하다는 판 단임. 고용서비스 의 내용과 관련하여서는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과 적극적 노 동시장서비스의 연계가 필요함. 근 로능력이 있는 빈 자에 대한 특 별 급여지원과 자활 프 로그 램 을 복지부 소관이 아 닌 노동시장 정책의 일환으로 전환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고, 장기적으 로는 노동부와 복지부의 통 합 과 사회부 총 리제의 도 입 이 필요 하다는 판 단임. - 최근 주요 정책경향인 지방화와 관련해서는 국가 주도형 사회 서비스 공급체계의 확 립 을 제안함. 사회정책에 있어서는 공공 부문의 책임성 원 칙 에 입각 하여 재정 및 전달체계를 합 리화· 일원화할 필요가 있음. 이 부문은 시장원리가 작 동하지 않는 대 표 적 분야이고 지방에 모든 것을 맡길 경우, 비효율이 증대 되는 분야이기 때문임. 따라서 지자체의 역할도 중 앙 정부의 책 임 하에 이루어질 필요가 있어 예컨 대 법 적인 가이 드 라인의 제

정책보고시리즈 2010-4 6 7 시와 집행 에 관한 감 시· 감독 을 중 앙 정부가 수 행 해야할 것임. 장기적 사회정책 발전과정에서 미진한 부문은 민간의 자원복 지를 이용하되, 민간 부문에의 책임 전가를 피 하고 매개자 혹 은 조정자로서 국가의 역할에 충 실할 필요가 있음. - 보통 협 의의 사회정책 정의에서 빠 지는 분야로서 문화와 환경 부문이 있음. 문화서비스에도 사회정책적 함의가 확산될 필요 가 있는데, 문화 란 것이 결 코 상류 층 의 전유물이 아 니 기 때문. 고급문화에 대한 일반 서민 층 의 접 근 도를 고양할 필요가 있고, 우선적으로는 빈곤층 을 위한 ‘ 문화상 품권 ( voucher ) ’ 에서 시 작 하여 공연·전시에서의 일반적 소 외현 상을 극복할 여러 정책 대안이 개발되어야 함. 선진복지국가들에서 국가지원을 받는 문화사업의 경우, 대중 접 근 의 무 제를 시 행 하고 있음도 고려하 여, 길거리 공연, 공원전시, 저소 득층 공연료 감액 제 등의 의 무 화를 추 진할 필요가 있음. 노 년층 여 행 상 품 에서 간 호 사 등 응 급의료진 동 행 을 의 무 화하거나 지원하는 것도 이 분야에서 추 진할 정책의 예 가 됨. - 환경서비스도 중요한 고려의 대상일 수 있음. 예컨 대, 복지선 진국에서 시 행 하는 저소 득층 을 위한 일자리로서 환경 감 시 도 우미, 쓰 레 기분리수거 도우미 등을 지자체와의 협 의로 추 진할 필요가 있고, 이는 적극적 노동시장 서비스의 콘텐츠 로서 개발 될 여지가 충 분함. 사회복지시설 인 프 라확 충 과 공원 등 녹 지공 간 조성을 연계함으로써 장 애 인시설, 노인시설 등에 대한 님 비

6 8 현 상을 제어하는 것도 복지와 환경의 연결고리가 환경서비스 를 통해 구축될 수 있는 하나의 예 라고 할 수 있음. V 결 론 ○ 지금까지 본 연구에서는 생 산적으로 보 완 성이 높은 복지국가전 략 의 단 초를 어 떻 게 마 련 할 것인지를 세계화 시대 복지국가의 경제 적·정 치 적 지속성에 관한 논의를 중 심 으로 살펴보 았 음. 1 6 ○ 선진국의 선 례 를 보면, 복지국가는 현금급여를 중 심 으로 발 전하 는 경향이 농 후하지만 유럽의 몇몇 나라의 경우 사회서비스도 더 불 어 발 전시 켜 왔 음. - 흥 미로운 점은, 사회서비스를 중시한 나라들이 ‘무 한경쟁 ’ 으로 요약될 수 있는 세계화 시대에도 여전히 생산과 복지를 조화 롭 게 끌 고 나가고 있다는 것임. 하지만 현 금급여에서 지나 친 급 여수준의 문제는 그들에게도 개 혁 의 대상이고 최근 의 개 혁 은 사회보험과 관련된 현 금급여의 수준재조정에 맞추 어 져 왔 음. - 사회서비스의 보편주의적 발전 없이 현 금급여에 지나치게 치 중 했던 나라들은 소위 유럽병의 증상에 괴 로 워 하며 합 리화개 1 6 이 글 은 한국연구 재 단의 중점연구소 지 원 사업인 “ 사회의 질 연구 : 제도정책적 측 면 ” (과제 번호 : J 01 6 01)의 일부성과를 포 함함.

정책보고시리즈 2010-4 6 9 혁 을 추 진하고 있음. - 사회서비스는 물 론 보편적인 현 금급여조 차 발달시키지 못했던 나라들은 성장을 위한 동력은 확보하고 있으나 빈 부 격차 문제 를 필두로 한 각 종 사회문제에 적나라하게 노출되어 있음. ○ 선진국 간의 신사 협 정으로서 국제기구에서의 선 언 문들을 다시 들 출 필요도 없이, 현대 복지국가의 양대 목표 는 성장과 분 배 의 조 화임. 이 렇 게 본다면 무조 건 작기만 한 복지국가가 보편타당한 진 리이거나 유일한 정 답 은 아 닐 것임. ○ 복지국가에 관한 논의가 시장의 실 패 보다는 정부의 실 패 에 근거 한 담론으로 흐 르고 있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시대에도 복지국 가를 전반적으로 철폐 하는 것이 불 가능하다면, 우리에게 주어진 시급한 과제는 분 배 와 성장이 조화를 이 룬 한국형 복지국가의 모 형을 개 발 하는 일임. - 생산적 보완성이 높은 한국형 복지국가전략이 필요하다면 그 근 본적 지향점은 현 금급여의 지나 친 팽 창을 지양하는 대신, 사 회서비스를 발전시키는 사회서비스국가의 창달에 있을 것임. - 더구나 보편적으로 제공되는 사회서비스는 친 복지적 정치의 활성화에 있어서도 우 월 한 전략임(안상 훈 , 200 3 ). 대부분의 사 회보험과 관련된 현 금급여는 잠재적 욕구에 대한 위험만 해결 하기 때문에, 일상적인 욕구의 해결을 직 접 적으로 해결해주는

7 0 사회서비스보다 사 람 들을 감 동시키기 힘듬 . 사회서비스의 확 대가 가 져올 이 부문의 서비스 고용확대는 보다 많은 사회성원 이 복지국가에서 직간 접 적으로 일자리를 찾 게 할 것이고, 복지 국가에서 일자리를 확보한 사 람 들은 복지국가를 지지할 수 밖 에 없게 될 것임. 복지국가에 대한 국민적 지지가 복지국가의 유지에 필수적인 정치적 요소라면, 보편주의적인 사회서비스 국가는 정치적인 차 원에서의 지 속 가능성도 훨씬 높음. ○ 이제, 경제적으로 또 정 치 적으로 지속가능한 한국형 복지국가 전 략 은 사회서비스 부문을 중시하는 새 로운 복지국가모형에서 찾 아 야 한다는 점 이 자명해 졌 음. - 그러나 우리의 경우는 보편적 사회서비스의 결여 현 상이 매우 가시적이며( Ahn & Lee , 2005 ; 홍 경준, 2005), 이는 우리나라 복지국가의 지 속 성이 높지 않을 수 있다는 비관적 전 망 을 가능 케 함. - 기존 연구들에 의하면 서구의 복지국가는 재정적자, 실업, 소 득 불평등이라는 동시에 해결할 수 없는 트릴레 마에 직면하고 있음이 지적됨. 하지만 상대적으로 국가복지지출 총 량 이 낮은 수준인 우리의 경우, 트릴레 마에서 자유 롭 다는 주장이 제기되 기도 함( 홍 경준, 2005). - 남겨 진 문제는 지금 까 지의 현 금급여를 중시하는 정책적 관성 이 앞으로의 발전적 개 혁 에서 사회서비스를 중시하는 방향으

정책보고시리즈 2010-4 7 1 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임. 국가경영의 틀 거리로서 성장 친 화적인 복지국가가 더 이상 부 차 적인 문제가 아 니 라면, 또 복지국가 개 혁 의 시기를 놓칠 경우 악 순환의 제도적 종 속 성 이라는 늪 에 빠 지게 된다는 서구의 경험을 보면, 우리에게 주 어진 시간은 그리 길지 않다고 생 각 됨.

7 2 금재호,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을 위한 고용전략의 탐색”, 노동리뷰  통권 제10호, 2005. 10, pp. 41 - 59. 김연명 편,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I  ,   서울: 인간과 복지, 2002, pp. 177 - 207. 김혜원·안상훈·조영훈, 사회서비스 분야 일자리창출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06. 백승호, “복지체제와 생산체제의 제도적 상보성에 관한 비교사회정책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안상훈, “세 가지 복지자본주의에서의 생산적 복지, 그 성적표: 복지국가의 경제적 효과와 평등달성의 차이에 관한 체제론적 비교연구”, 한국사회 복지학  통권 제49호, 2002, pp. 162 - 189. _, “세계화 시대, 생산적 보완성이 높은 복지전략에 관한 비교사회정책 연구: 사회서비스형 복지국가 전략의 경제적 성과를 중심으로”, 사회 복지연구  제32호, 2007. 안상훈 외, “지속가능한 한국의 복지국가 비전과 전략”. 서울: 서울대학교 사 회과학연구원, 2007. _, “생산과 복지의 제도적 상보성에 관한 비교연구: 선진자본주의 국가 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제2호, 205, p. 205 - 230. 전병유, “노동시장 양극화 해결을 위한 고용전략 모색”, 노동리뷰  통권 제 참 고 문 헌

정책보고시리즈 2010-4 7 3 10호, 2005. 10, pp. 4 - 21. 정무권, “김대중 정부의 복지개혁과 한국 복지제도 성격 논쟁에 대하여: 발전 주의 유산과 복지개혁의 한계”, 김연명 편, 한국복지국가 성격 논쟁 I  , 서울: 인간과 복지, 2002. 홍경준, “한국 복지체제의 전환을 위한 현실진단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005. Ahn, S. H., Pro-Welfare Politics: A Model for Changes in European welfare states , Uppsala: Uppsala University Press, 2000. Ahn, S. & Lee, S., “The Development of the South Korean Welfare Regime”, in Walker, A. & Wong, C., (eds.), East Asian Welfare Regimes in Transition: From Confucianism to globalisation , Bristol: Policy Press, 2005. Albert, M., Capitalisme contre capitalisme , Paris: Seuil, 1991. Berger, S. & Dore, R. (eds.), National Diversity and Global Capitalism ,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Boyer, R., “The Convergence Hypothesis Revisited: Globalization but still the Century of Nations?”, in National Diversity & Global Capitalism (ed.), Suzanne Berger and Ronald Dore ,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pp. 29 - 59. Brown, P., Gren, A., & Lauder, H., High Skills: Globalization, Competitiveness, and Skill Formation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Crouch, C., “Welfare State Regimes and Industrial Relations Systems: the questionable role of path dependency theory”, in Comparing Welfare Capitalism: Social policy and political economy in Europe . Japan & the USA, edited by Ebinghaus, B. & Manow, P., London: Routledge,

7 4 2001. Crouch, C. & Streck, W. (eds.), “Politcal Economy of Modern Capitalism”, Mapping Convergenceand Diversity . London: Sage, 197. Culpepper, Pepper. D., Creating Cooperation: How States Develop Human Capital in Europe ,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3. DiMaggio, P. & Powell, W., “The Iron Cage Revisi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2), 1983, pp. 147 - 160. Dore, R., “The Distinctiveness of Japan”, in Political Economy of Modern Capitalism , edited by C. Crouch et al., London: Sange Publications, 1997. Ebbinghaus, B. & Manow, P., Comparing Welfare Capitalism , London: Routledge, 2001. Esping-Andersen, G.,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 Cambridge: Polity Press, 1990. Esping-Andersen, G.,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Esping-Andersen, G. & Regini, M., Conclusions. In Esping-Andersen, G. & Regini, M., (eds.), Why Deregulate Labour Markets?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Esping-Andersen, G., Gallie, D., Hemerijck, A., & Myles, J.,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Estebez-Abe, M., Torbern I., & David S., “Social Protection and the Formation of Skills: A Reinterpretation of the Welfare State,” Hall, Peter A. & David, S., (eds.), Varieties of Capitalism: The Institutional

정책보고시리즈 2010-4 7 5 Foundations of Comparative Advantage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Goldthorpe, J. H. (eds.), Order and Conflict in Contemporary Capitalism , Oxford: Claredon Press, 1984. Hall, P. A. & Soskice, D. (eds.), Varieties of Capitalism: The Institutional Foundations of Comparative Advantage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Hall, P., “The Political Economy of Europe in an Era of Inter- dependence”, in Continuity & Change in Contemporary Capitalism , edited by Herbert Kitschelt et 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pp. 135 - 163. Hollingsworth, J. R. & Boyer, R., “Coordination of Economic Actors and Social Systems of Production”, in Contemporary Capitalism: The Embeddedness of Institutions , edited by J. R. Hollingsworth & R. Boyer,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Hollingsworth, J. R., Schmitter, P. C., & Streeck, W. (eds.), Governing Capitalist Economies: Performance and Control of Economic Sectors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Huber, E. & Stephens, J. D., Development and Crisis of the Welfare State: Parties and Policies in Global Markets ,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Iversen, T., Pontusson, J., & Soskice, D. (eds.), Unions, Employers, and Central Banks: Macroeconomic Coordination and Institutional Change in Social Market Economies ,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7 6 Keynes, M.,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 London: Macillan, 1973. Kitschelt, H., Lange, P., Marks, G., Stephens, & John, D., Continuity and Change in Contemporary Capitalism , Cambri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Lange, P. & Meadwell, H., “Typologies of Democratic Systems: Form Political Inputs to Political Econmy”, in New Directions in Comparative Politics , edited by Wiarda, H. J., Boulder, CO: Westview, 1991. Lehmbruch, G. & Schmitter, P. C. (eds.), Patterns of Corporative Policy- Making , London: Sage, 1982. Mishra, R., Globalization and the Welfare State . Northampton, MA: Edward Elgar, 1999. Ne, V. & Ingram, P., “Embedednes and Beyond: Institutions, Exchange, and Social Structure”. M. C. Brighton & V. Nee (eds.), The New Institutionalism in Sociology .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8. OEC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SOCX), 1980-2001 , Paris, 2004. Pierson, C., “Beyond the Welfare State?”, The New Political Economy of Welfare , Oxford: Blackwell Publishers, 1991. Piore, M. J. & Sabel, C. F., The Second Industrial Divide , New York: Basic Books, 1984. Ragin, C. C., The Comparative Method: Moving beyon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rategies ,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7. Rhodes, M. & van Apeldoorn, B. “Capitalism Versus Capitalism in Western Europe”, in Developments in West European Politics , edited

정책보고시리즈 2010-4 7 7 by Rhodes, M., et al., London: Macmillan, 1997. Rothstein, B. & Steinmo, S., “Restructuring politics: Institutional Analysis and the Challenges of Modern Welfare States”, Rothstein, B. & Steinmo, S., (eds.) Restructuring the Welfare State ,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2. Sainsbury, D., “Women’s and Men’s Social Rights: Gendering Dimensions of Welfare States”, in Gendering Welfare States , edited by Sainsbury, D., London: Sage, 1994. Sainsbury, D. (ed.), Gender and Welfare State Regimes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Scharpf, Fritz W., “Economic Changes, Vulnerabilities, and Institutional Capabilities,” in Scharpf, Fritz W. & Schmidt, Vivien A., Welfare and Work in the Open Economy: From Vulnerabilities to Competitiveness, 1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Schmitter, P. C. & Lehmbruch, G. (eds.), Trends Toward Corporatist Intermediation , Beverly Hills, CA: Sage, 1981. Shalev, M., “Limits of and Alternatives to Multiple Regression in Macro Comparative Research,”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2nd conference on The Welfare State at the Crossroads , Stockholm, 1998 June, pp. 12 - 14. Soskice, D., “Th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 nes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K and Germany”, in Economies for the New Europe , edited by Atkinson, A. B. & Brunetta, R., London: Macmillan, 1991. Soskice, D., “Divergent Production Regimes: Cordinated and Uncordinat-

7 8 ed Market Economies in the 1980s and 1990s”, in Continuity and Change in Contemporary Capitalism , edited by Kitschelt, H. et al.,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경기복지재단 정책보고시리즈201 - 4 발행인 서상목 발행처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수원시팔달구 인계동16 - 1 42 - 835 Tel. 157 - 4312 Fax.0 - 89 - 5937 Homepag. wf.or.k 제작처 북코리아 서울시 마포구공덕동 15 - 13 2층 12 - 801 Tel. 02 - 704 - 7840 Fax.2 - 704 - 784 Homepag. wsunhak.com E - mail. sunhak@orea.com * 본지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