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복지재단 정책연구보고 2011-11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발행일 2011년 12월 발행인 인경석 발행처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로 178 󰂕 442-835 Tel. 1577-4312 Fax. 031-898-5937 Homepage. www.ggwf.or.kr 제작처 도서출판 한학문화 서울시 서대문구 대현동 53-37 󰂕 120-170 Tel. 02-313-7593 Fax. 02-393-3016 E-mail. h6332@hanmail.net

요 약 ◀◀ i 본 연구는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의 소진의 원 인을 파악하여, 사회복지 분야의 소진 극복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방향 을 제시하기 위해 경기도내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진의 원인을 6가지 영역(직무요구, 직무자원, 개인적 대처역량, 조직지원, 관계적 차원 및 부합도 차원)으로 분류하여 조사하고, 이들 다 양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있어서 차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소진의 원인으로 밝혀진 6가지 영역(직무요구, 직무자원, 개인적 대처역량, 조직지원, 관계적 차원 및 부합도 차원)이 소진 및 소진의 하위 차원인 감정적 고갈, 냉소 및 효능감 감소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를 분 석하였다. 셋째, 6가지 영역내의 하위구성 요소들이 소진 및 소진의 하위차원인 감정적 고갈, 냉소 및 효능감 감소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분야의 소진 극복방안 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모두 소진의 핵심차원인 감정적 고갈의 수준은 상당히 높은 수준을 나타내 이에 대한 관리가 시급히 요구된다. 둘째, 소진에 영향을 주는 6가지 원인들에 대한 중요도를 검토한 결과, 사회복지종사자와 사회복지직공무원 모두에서 직무요구와 스트레스에 대 요 약

ii ▶▶ 요 약 한 대처와 같은 개인역량이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객들 을 직접 접하는 직무의 특성상 직무관련 요구에 빈번하게 노출되어 소진 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대처와 같은 개인역 량 강화를 통해 소진의 가능성을 낮추거나 완충시켜야 함을 제시한다. 셋째, 소진 극복을 위해서는 소진 후의 관리도 중요하지만 선제적으로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조직차원의 다차원적인 대처가 요구된다. 이는 진 단차원, 예방차원 및 사후관리 차원으로 분류될 수 있다. 진단차원에서는 조직 구성원들의 소진 및 스트레스 수준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 는 스트레스 감시제도를 통해 조직 구성원들의 소진 수준을 진단하는 것 이다. 예방차원에서는 종업원 지원제도나 수퍼바이저 양성 및 배치, 웰니 스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으로부터 적절한 관심을 받고 있다는 인식 및 개인적으로 건강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하여야 한다. 또한 고객응대 매뉴얼을 정교화하여 강성고객들에 대해 적절히 대 처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후관리 차원으로서는 심리 코칭 과 같은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일단 소진을 경험한 사회복지 분야의 종사 자들에게 소진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는 개입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감정노동자인 사회복지인력의 소진완화와 정서순화를 위해 주기 적으로 심리코칭 및 관련 교육을 이수하도록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차 례 ◀◀ iii 서 론Ⅰ 1 이론적 배경Ⅱ 7 1. 소진관련 이론 ············································································· 9 2. 선행연구 고찰 ··········································································· 20 연구방법 및 모형Ⅲ 21 1. 연구방법 ··················································································· 23 2. 연구모형 ··················································································· 30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Ⅳ 31 1. 조사대상자 특성 ········································································ 33 2. 결과변수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 검증 ························ 35 3. 소진 원인변수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 검증 ················ 43 4. 소진 영향요인 검증 ··································································· 58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Ⅴ 69 1. 조사대상자 특성 ········································································ 71 2. 결과변수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 검증 ························ 73 3. 소진 원인변수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 검증 ················ 81 4. 소진 영향요인 검증 ··································································· 96 C ․ o ․ n ․ t ․ e ․ n ․ t ․ s

iv ▶▶ 차 례 요약 및 정책제언Ⅵ 109 1. 연구요약 ················································································· 111 2. 정책제언 ················································································· 116 ■ 참고문헌 ················································································· 123 부 록Ⅶ 127 <부록 1> 연구설문지(사회복지종사자) ······································· 129 <부록 2> 연구설문지(사회복지직공무원) ········································ 135 <부록 3> 심층면접 설문지 ··························································· 141 <부록 4> 심층면접 결과 ······························································· 145

차 례 ◀◀ v 표 차례 <표 Ⅱ-1> 소진의 일반적인 증상들 ························································ 17 <표 Ⅱ-2> 소진 증상: 개인 수준 ···························································· 18 <표 Ⅱ-3> 소진 증상: 대인관계 수준 ····················································· 19 <표 Ⅱ-4> 소진 증상: 대조직 수준 ························································ 19 <표 Ⅲ-1> 설문조사 영역별 조사내용 ····················································· 26 <표 Ⅲ-2> 연구변수들에 대한 조작적 정의 ············································· 26 <표 Ⅲ-3> 연구변수들에 대한 신뢰도 ····················································· 28 <표 Ⅳ-1> 조사대상자의 특성(사회복지종사자) ········································ 34 <표 Ⅳ-2>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소진 ··································· 35 <표 Ⅳ-3>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감정적 고갈 ························ 37 <표 Ⅳ-4>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냉소 ··································· 39 <표 Ⅳ-5>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효능감 ································ 41 <표 Ⅳ-6>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직무관련 요구 ····················· 43 <표 Ⅳ-7>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직무관련자원 ······················· 45 <표 Ⅳ-8>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조직관련 지원 ····················· 47 <표 Ⅳ-9>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관계관련 지원 ····················· 49 <표 Ⅳ-10>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개인역량 관련 지원 ············· 51 <표 Ⅳ-11>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부합도 ································ 53 <표 Ⅳ-12> 사회복지종사자 연구결과 요약 ··············································· 55 <표 Ⅳ-13> 소진 영향요인(사회복지종사자) ·············································· 56 <표 Ⅳ-14> 예측변수의 상대적 중요도 파악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사회복지종사자) ··································································· 58 <표 Ⅳ-15> 소진의 원인들과 소진간의 관계(사회복지종사자) ····················· 59 <표 Ⅳ-16> 사회복지종사자의 표본에 대한 소진 영향요인 세부분석 결과 · · 62 <표 Ⅳ-17> 직무관련 요인(사회복지종사자) ·············································· 64 <표 Ⅳ-18> 직무자원 관련 요인(사회복지종사자) ······································ 64 <표 Ⅳ-19> 조직관련 요인(사회복지종사자) ·············································· 65 <표 Ⅳ-20> 관계관련 요인(사회복지종사자) ·············································· 66 <표 Ⅳ-21> 개인관련 요인(사회복지종사자) ·············································· 66 <표 Ⅳ-22> 부합도 관련 요인(사회복지종사자) ········································· 67

vi ▶▶ 차 례 <표 Ⅴ-1> 조사대상자의 특성(사회복지직공무원) ····································· 72 <표 Ⅴ-2>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 변수-소진 ······························ 73 <표 Ⅴ-3>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 변수-감정적 고갈 ··················· 75 <표 Ⅴ-4>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 변수-냉소 ······························ 77 <표 Ⅴ-5>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 변수-효능감 감소 ··················· 79 <표 Ⅴ-6>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변수-직무관련 요구 ·················· 81 <표 Ⅴ-7>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변수-직무관련 요구 ·················· 83 <표 Ⅴ-8>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변수-조직관련 지원 ·················· 85 <표 Ⅴ-9>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변수-관계관련 지원 ·················· 87 <표 Ⅴ-10>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변수-개인역량 관련 ·················· 89 <표 Ⅴ-11>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변수-부합도 관련 ····················· 91 <표 Ⅴ-12> 사회복지직공무원 연구결과 요약 ··········································· 93 <표 Ⅴ-13> 소진 영향요인(사회복지직공무원) ··········································· 94 <표 Ⅴ-14> 예측변수의 상대적 중요도 파악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사회복지직공무원) ······························································· 96 <표 Ⅴ-15> 소진의 원인들과 소진간의 관계(사회복지직공무원) ·················· 97 <표 Ⅴ-16> 사회복지직공무원의 표본에 대한 소진 영향요인 세부분석 결과 ····································································· 100 <표 Ⅴ-17> 직무관련 요인 ····································································· 102 <표 Ⅴ-18> 직무자원 관련 요인 ····························································· 103 <표 Ⅴ-19> 조직관련 요인 ····································································· 104 <표 Ⅴ-20> 관계관련 요인 ····································································· 105 <표 Ⅴ-21> 개인관련 요인 ····································································· 106 <표 Ⅴ-22> 부합도 관련 요인 ································································ 107 <표 Ⅵ-1> 소진 수준비교 ····································································· 112

차 례 ◀◀ vii 그림 차례 [그림 Ⅱ-1] 소진의 발생조건 ··································································· 15 [그림 Ⅲ-1] 연구절차 ·············································································· 24 [그림 Ⅲ-2] 연구모형 ·············································································· 30 [그림 Ⅳ-1] 소진 요인(사회복지종사자) ···················································· 57 [그림 Ⅴ-1] 소진 영향 요인(사회복지직공무원) ········································· 95

서 론

Ⅰ. 서 론 ◀◀ 3 Ⅰ 서 론 서비스업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고객과의 상호작용이 매우 빈번하다 는 것이다. 흔히 사람을 대하는 일만큼 어려운 일은 없다는 말처럼 고객 을 직접 상대하는 직업은 다양한 직무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 특히 대인간 접촉에서 발생하는 특수한 직무스트레스인 소진 은 서비스업의 증가와 함께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었다. 소진에 대한 연구는 경찰, 상담가, 의사, 간호사와 같이 사람을 직접 상대하는 전문서 비스직에서 출발하였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직종으로 연구가 확장되었고, 일반 서비스업에서도 소진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다원화되고 전문화되는 사회에서 사회복지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복지사는 주로 청소년, 노인, 여성, 가족, 장애인 등 다양한 사회적, 개인적 욕구를 가진 사람들의 문제에 대한 사정과 평가를 통해 문제 해결을 돕고 지원하 고 있다. 이들은 사회적, 개인적 문제로 어려움에 처한 의뢰인을 만나 그 들이 처한 상황과 문제를 파악하고, 문제를 처리, 해결하는 데 필요한 방 안을 찾기 위해 관련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대안을 제시하며, 사회복지정

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책 형성과정에 참여하여 정책분석과 평가를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즉, 이들이 하는 활동은 고객과의 접점에서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고객들과 면대면 접촉을 통한 직접적인 방식과 전화통화 를 통해 하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빈번한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사회복지사들은 다른 집단에 비해 상당한 수 준으로 소진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공무원은 국민의 공복으로서 국민들이 자유롭고 질서 있는 사회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이다. 공무원은 다 른 직업에 비해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그들에게는 국가와 국민에 대한 사명감과 책임이 요구되며 국민의 공복이라는 이유 때문에 다른 직 업에 비해 높은 수준의 윤리 규범을 요구받고, 무조건적인 사명감과 책임 감을 강요받게 되며 이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무원의 정신건강, 즉 직무 스트레스 연구의 중요성에도 불 구하고 그 동안 우리나라 공공부문에 있어서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스트 레스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공공조직’은 본질적으로 기업조직과 다르다고 여김으로써 스트레스로 인한 조직의 효 율성 저하 문제를 그리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았던 것을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조직은 근본적으로 조직구성원이 직무스트레스를 덜 받아서 정신적으 로 건강해야 일에 대해 만족을 느끼고, 좀 더 열심히 하려는 동기가 생겨 나며, 결과적으로 성과 및 조직의 생산성이 증가하게 된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종업원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내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의 소진의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예방․극복하고 질적 성장 방안을 마련하 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기도내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들에 대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이들이 일터에서 경험하는 소진의 원인이 무

Ⅰ. 서 론 ◀◀ 5 엇인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객관적인 소진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소진을 줄이고 건강한 조직을 형성하기 위해 조직 차원의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 1 소진관련 이론 2 선행연구 고찰

Ⅱ. 이론적 배경 ◀◀ 9 Ⅱ 이론적 배경 1 소진관련 이론 소진(Burnout)에 대한 연구는 Bradley(1969)가 보호관찰관들에게서 발생 하는 심리적 현상을 관찰한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정신과 의사였 던 Freudenberger(1974)는 약물남용자들에게 무료진료를 해주는 자원봉사 자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치고, 동기를 상실하고, 다양한 신체적, 정 신적 증상을 보이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는 "staff burnout(1974)"이란 논문 을 통해 소진의 다양한 증상들을 정교화하고, 소진에 대한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소진은 사람을 상대로 하는 직업에서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 의 특수한 형태로, 초기에는 간호사, 경찰, 교사, 사회사업가, 자원봉사자 등 휴먼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시작되었지만, 현 재는 관리자, 경영자, 정책입안자 등 다양한 조직구성원으로 확대되어 연 구가 진행 중이다. 소진은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말하며, 함께 일하는 사

10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람들에 대한 관심이 상실된 상태라고 정의된다(Maslach, 1978). 이러한 정의 를 좀 더 상세화하는 과정에서 Maslach(1982)는 소진을 감정적 고갈 (emotional exhaustion), 비인격화(depersonalization), 개인적 성취감(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감소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고 제안하 였다. 감정적 고갈(emotional exhaustion)은 정서적으로 지나치게 무리해서 자신의 정서적 자원이 고갈된 느낌을 의미한다. 이러한 감정적 고갈은 주 로 과도한 업무량과 직장에서 겪는 갈등에 기인한다. 감정적 고갈을 보이 는 종업원은 에너지 부족으로 인해 직장 생활에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 비인격화(depersonalization)는 다른 사람들에 대해 부정적이고 냉소적이며 과도하게 거리감 있는 태도를 보이는 것을 말하며, 소진의 대인관계 차원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성취감 감소(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는 직무에서 유능감을 갖지 못하고 직무 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다는 자기 평가를 의미한다. 이러한 초기의 정의는 소진을 서비스업에 한정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취급하였기 때문에 적용할 수 있는 표본에 한계성이 있어 일반직 종사자 에 대한 적용을 위해서 새로운 정의가 제시되었다. Maslach, Schaufeli와 Leiter(2001)는 감정적 고갈, 냉소주의 및 감소된 직무 효능감을 핵심요소 로 제시하였다. 여기서 감정적 고갈은 소진에서 개인의 기본적인 스트레 스 영역으로, 정서적이고 육체적인 자원이 과도하게 소모된 상태를 말하 고, 냉소주의는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직무로부터 거리감을 갖는 냉소적 인 태도를 말하며, 감소된 직무 효능감은 직무에서 느끼는 낮은 자존감과 함께 아무것도 성취한 것이 없다고 느끼는 것으로 정의된다. 1) 소진의 선행변수 및 결과변수 많은 연구자들이 기존의 직무스트레스 이론들과 경험적인 측정 등을 통해 소진의 가능한 원인과 결과를 탐색하였다. Cordes와 Dougherty(1993) 는 1983년에서부터 1992년까지 주요 사회과학저널에 게재된 논문들을 중 심으로 소진의 가능한 원인과 결과들을 정리하였고, Schaufeli와 Enzmann

Ⅱ. 이론적 배경 ◀◀ 11 (1998)는 MBI로 측정된 연구논문들을 중심으로 소진의 가능한 선행변수 와 결과들을 개인, 대인관계, 조직 차원으로 요약하였다. (1) 소진의 선행변수 소진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직무요구-자원 모형은 직장 내 종업원이 겪는 소진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통합적 모형으로, 직무수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개인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결과들을 설명해주는 중간과정 이 론으로써 여러 연구들을 통해 발전 및 적용되어 왔다(Schaufeli & Bakker, 2004). 직무요구-자원 모형은 소진을 일으키는 선행변수를 크게 직무요구 및 자원으로 분류하고 이들이 소진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먼저 직무요구(demand)는 지속적으로 물리적 정신적 노력을 야기하는 직무의 물리적, 사회적 혹은 조직적 측면을 말하는 것으로 생리적이고 심 리적인 비용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정의된다(Demerouti 등, 2001; Schaufeli & Bakker, 2004). 또한 Jones와 Fletcher(1996)는 직무 요구를 ‘환경이 개인 에게 주의와 반응을 반드시 요구하는 자극을 포함하는 정도’라고 정의하 였다(Schaufeli & Bakker, 2004). Demerouti 등(2001)에 따르면, 환경적 요구 가 큰 상황에서 개인은 자신의 현재 수행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교감신경 을 활성화 시키고 주관적인 노력을 증대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교감신경 의 활성화와 노력의 증대는 생리적 비용을 더 많이 발생시켜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직무요구에 해당하는 변수들은 직무과부하, 대인관계적 갈등 및 일가 정 갈등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선행변수들은 기본적으로 소진과 정적 인 관계성을 나타낸다고 많은 연구들에서 지지되었다. ① 과도한 직무요구 많은 연구자들은 역할요구가 감정적 고갈과 비인격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Schaufeli & Buunk, 1996). 결과에 따르면, 역할모호성, 역할갈등, 역할과부하와 같은 역할에 대한 요구는 종업원들

12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의 감정적 고갈과 비인격화를 증가시키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이, 재직기간, 부정정서성, 사회적 지지를 통제한 후에도 역할모호성, 역할갈등, 역할과부하는 소진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Zohar, 1997).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은 일종의 직무요구이고, 직무과부하, 시간 적 압력, 주당 근무시간, 고객이 가진 문제의 심각성, 내담자의 사례에 대 한 부담(caseload) 등과 같은 직무요구들은 일반적으로 소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Koeske & Koeske, 1989). ② 대인 관계적 갈등 최근에는 서비스업의 증가로 고객과의 상호작용이 더 많아지면서 서비 스 종사자들은 더욱 다양한 고객들을 상대하게 되었다. 이러한 고객들 중 에는 불쾌하고 종업원들을 힘들게 하는 고객들도 포함되어 있다. 최근 Dormann과 Zapf(2004)는 종업원들에게 사회적 스트레서가 되는 고객상호 작용 특성을 고객관련 사회적 스트레서(customer-related social stressors; CSS)라고 정의하고, 고객의 부당한 기대, 고객의 언어적 공격, 불쾌하고 싫은 고객, 고객의 모호한 기대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CSS 와 소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고객으로부터 언어적 공격을 받 기 쉽고, 불쾌한 고객을 많이 접하고, 고객이 모호하고 부당한 기대를 하 는 상황은 종업원들의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의 감소, 감정적 고갈을 예 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Dormann & Zapf, 2004). ③ 일·가정 갈등 Greenhaus와 Buetell(1985)은 일·가정 갈등은 직장 내에서의 역할 간 갈 등뿐만 아니라 가정에서의 역할과 직장인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 는 데서 발생하는 역할 간 갈등이 개인의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전제하에, 일·가정 갈등을 하나의 영역에서 요구하는 것과 다른 또 하나의 영역이 요구하는 것과 서로 양립하지 않을 때 발생하게 되는 것으 로 정의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 13 소진과 관련하여 일·가정 갈등은 많은 연구들에서 소진을 유발하는 원 인임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최근에 수행된 메타연구에서도 일·가정 갈등 은 직무 및 인생만족, 소진 및 결근을 유발하는 주요원인임이 밝혀졌다 (Allen, Herst, Bruck & Sutton, 2000). 즉, 여러 역할에 대한 요구는 소진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원인변수로 역할을 하여, 소진을 유발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직무자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직무자원은 직무요구로 인한 생리적, 신체적 비용을 감소시키고, 과업목표를 성취하는데 기능적인 역 할을 하며, 개인의 성장, 학습, 발전을 자극하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조직적인 측면이라고 정의된다(Demerouti et al., 2001). 소진과 관련하여 대표적인 자원관련 변수들은 직무관련 변수로서 피드백, 직무자율성, 의 사소통 참여정도 및 조직 관련 변수로서 사회적지지 및 지각된 조직지원 등이 제시되었다. ④ 피드백, 자율성 및 의사소통 참여정도 소진은 일에 대한 피드백, 직무자율성, 의사결정 참여정도에 영향을 받는 다. 일에 대한 피드백과 소진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들은 많지 않지만, 결 과는 매우 일관적이다. 여섯 개의 관련연구들을 토대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피드백의 부족은 감정적 고갈을 18%, 비인격화를 12%, 감소 된 개인적 성취감을 9% 설명한 반면 직무자율성과 의사결정 참여정도는 일관적으로 소진과 부적인 상관을 보인다. 즉,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재량이나 직무자율성이 적은 사람들은 정서적 소진과 비인격화, 일에 대한 낮은 성취감을 경험하는 경향을 보임이 밝혀졌다(Lee & Ashforth, 1996). ⑤ 지각된 조직지원 소진은 직무관련 특성뿐 아니라 조직차원의 사회적 지지나 조직풍토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사회적 지지는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거나 완화시키고, 개인이 작업환경에서 스트레스의 원인에 대처하도록 하는 자 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Hobfoll & Freedy, 1993). 소진 연구자들 역시 사

1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회적 지지와 소진의 부적인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Jackson et al., 1986), 사회적 지지가 소진을 감소시키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가 소진의 하위요소들을 동일하게 감소시키는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1994년까지의 약 61개 소진 관련 연구들을 메타분석한 결과에 따르 면, 정서적 소진과 사회적 지지, 정서적 소진과 감독자의 지지, 비인격화 와 감독자의 지지 간에는 부적인 상관을 보이지만, 사회적 지지와 성취 간에는 유의미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 Ashforth, 1996). 조직특성과 관련된 자원에 관해서도 소진과의 관련성에 있어서 직무특 성과 동일한 결과를 보임이 제시되었다. 조직의 특성과 관련하여 가장 소 진을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한 변수는 지각된 조직지원이다. 지각된 조직 지원이란 조직이 구성원의 기여에 대해 가치 있게 여기며 구성원들의 안 념감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조직구성원들이 느끼는 총체적인 믿음이라고 정의된다(Eisenberger et al., 1986). 원래 지각된 조직지원은 조직 구성원들 이 자신이 속한 조직에 대한 감정적인 애착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개념 이다. 즉, 지각된 조직자원이 조직 구성원의 의무감과 보상의식을 증가시 킨다는 것이다. 이는 조직구성원이 조직이 자신을 배려하고 자신에게 관 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지각할 때, 바람직한 태도와 행동 등의 방법으 로 교환의 의무를 이행할 것이라는 것을 말한다(Wayne, Shore & Liden, 1997). 다시 말해서 조직이 조직 구성원들의 웰빙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고 조직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경우 조직 구성원들은 호혜성의 관점에서 자신이 맡은 직무를 더 열심히 수행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이다. 지각된 조직지원과 소진에 관해서는 지각된 조직지원과 소진은 부적인 관련성을 가짐이 밝혀졌다. Copanzano, Howes, Grandey와 Toth(1997)는 비 정규직 종업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지각된 조직 지원이 소진과 부적 인 관련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최근의 연구에서 Maslach, Schaufeli와 Leiter(2001)는 소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개관하면서 소진은 사람과 작업환경 간에 불일치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제시하면서, 작업환경의 6가 지 영역(업무과부하, 통제감, 보상, 커뮤니티, 공정성 및 가치)을 설정하였 다. Maslach 등(2001)이 제시한 보상은 단순히 금전적인 차원을 넘어 자신

Ⅱ. 이론적 배경 ◀◀ 15 의 성취에 대해서 조직이 얼마나 인정해 주는 가와 같은 사회적 보상 및 내적 보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현재까지 Maslach 등(2001)이 제안한 작 업환경의 6가지 영역을 모두 포함하여 수행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 만, 불충분한 보상이 소진을 유발한다는 근거는 존재한다. 예를 들어, Chappell과 Noval(1992)은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서 보상과 같은 지원이 주어지는 경우에 있어 소진을 감소시킴을 보여주었다. 종합하면, 개인의 기질적인 특성을 제외했을 때, 소진은 직무요구가 과 도하게 부과되거나 직무자원이 부족한 조직 환경에서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앞서 논의한 연구들을 토대로 소진이 발생하는 조건을 그림으로 표 현하면 [그림Ⅱ-1]과 같다. [그림 Ⅱ-1] 소진의 발생조건 위에서 제시한 소진을 일으키는 직무와 관련된 변수 이외에 개인차 변 수들도 소진을 예측하는데 중요함이 제시되었다. 소진 연구에서 정적·부 적 정서와 같은 개인적 특성을 소진의 예측과 관련하여 포함되어야 한다 고 주장된다(Iverson 등 1998). Freudenberger(1974)는 소진이 개인적 성격 과 관계가 있으며 개인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개인의 행동을 예측하는 데에 있어서 개인적, 상황적 요소 모두를 고려해야 함을 인정한다면 개인의 정서성을 고려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Iverson

16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등(1998)은 의료업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부적 정서성과 정적 정서성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부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원과 직무만족이 낮아지고 감정적 소모와 비인격화를 증가시키는 반면, 정적 정서성은 그 반대 결과를 보였다고 하였다. 더욱이 부적 정서성은 직무과부하의 증가 와 관련된 반면, 정적 정서성은 개인성취감과 결근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정적, 부적 정서성과 같이 한 번 형 성되면 변화되기 어려운 속성으로부터 비교적 개발 노력에 의해 학습이 되는 상태적인 속성을 가지는 개념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대처 행 동이라고 불리는 개념으로 심리학자들이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의식적 인 과정에 초점을 두어 연구함에 의해서 현재까지도 주목을 받고 있다. Lazarus와 Folkman(1984)은 대처(coping)란 “스트레스 상황으로 인한 내적 및 외적 요구를 다루고, 감소시키고, 참아내려는 인지적·행동적 노력”으로 정의하고, 스트레스에서 인지적 요인의 역할에 대한 종합적 이론을 발전시 켰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개인이 사건을 어떻게 평가하는가는 스트레스 반응 의 정도뿐 아니라 개인이 스트레스를 다루기 위해 사용하는 대처방식의 종 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Folkman과 Lazarus(1980)에 따르면 사람들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해결을 목적으로 의사결정을 하 거나 직접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과 같이 스트레스 상황 자체를 변화시키고 자 적극적인 노력을 하는 문제중심적 대처(problem-focused coping)를 사용 하기도 하고 스트레스 상황을 변화시키기보다는 그에 수반되는 부정적인 정 서를 다루거나 완화시키는데 초점을 두는 정서중심적 대처(emotional-focused coping)를 사용한다고 제안하였다. 이러한 두 유형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소진과 관련하여 차별적인 효과 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통제감을 유지하는데 문제 중심 대처방식은 소진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고, 정서중심 대처방식은 조직 내 개인에게 불안 등 부 정적 결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Leiter, 1991). 이와 관련하여 Billigs 와 Moos(1981)는 문제 중심 대처방식은 긍정적인 성과와 관련이 있고, 정 서중심 대처방식은 부정적인 성과와 관련이 있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 17 (2) 소진의 결과변수 소진의 결과에 대해서는 다양한 부정적인 결과가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 다. 과거 오랜 기간 동안 소진은 직무만족, 결근, 이직과 같은 조직에 미치 는 결과와 관련하여 연구되어 왔다. 소진은 이직의도의 중요한 선행요인으 로 보고되어 왔다(Iverson 등, 1998).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소진을 점진적인 과정이라는데 동의하고 있다.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와 반복적이고 지속 적으로 계속될 때 개인은 감정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고갈 상태를 경험하 게 된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개인이나 대상자, 조직의 측면에서 부정적이 고 비인격적 태도가 증가하고, 직무만족감이나 성취감을 상실하여 결국 높 은 수준의 이직의도, 낮은 수준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등과 같이 조직의 성과와 관련된 부정적인 결과 뿐 만 아니라 심리적 및 신체적으로 부정적 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즉, 이는 개인, 대인관계 및 조직 수준에 미치는 부정적인 결과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표 Ⅱ-1, Ⅱ-2, Ⅱ-3, Ⅱ-4). <표 Ⅱ-1> 소진의 일반적인 증상들 심리적 증상 신체적 증상 낙오자가 된 느낌 분노와 원한 죄책감 단념과 무관심 비관주의 고립과 허탈감 매일 출근하는데 대한 높은 저항 고객에 대한 긍정적인 느낌의 상실 고정된 듯한 느낌 고객에 대한 냉소 사고의 경직과 변화에 대한 저항 편견, 의심과 편집증 부부 및 가족과의 갈등 하루 종일 피곤한 느낌 자주 시계를 쳐다봄 퇴근 후 심한 피로 고객과의 접촉을 머뭇거림 집중력 또는 청취력 저하 규정대로만 따라하는 행동 동료와의 업무적 토론 회피 잦은 감기 또는 독감 잦은 두통과 소화장애 신경안정제와 같은 행동억제약물 과다복용 과도한 마약복용 잦은 결근 불면증 출처: Cary Cherniss(1987) Staff burnout: Job stress in the human service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p.17

18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표 Ⅱ-2> 소진 증상: 개인 수준 정서 인지 신체 행동 우울한 기분 슬픔 정서적 소진 기분변화 정서통제 감소 막연한 공포감 긴장증가 불안 무력감 희망과 의미 상실 미쳐가는듯 한 공포 무력감과 무능감 고립감 실패감 불만족 낮은 자아존중감 죄책감 자살사고 집중력 부족 건망증 복잡한 과제 수행의 어려움 편견과 고정관념 의사결정의 어려움 몽상과 환상 주지화 외로움 참을성감소 (공격적 행동 증가로) 두통 및 현기증 신경쇠약 신경질적인 틱행동 근육통 성적 문제 수면장애 (불면, 악몽, 과수면) 식욕증가 및 체중변화 생리 전 긴장증가 생리주기 변화 만성피로 신체적 소진 과도한 감정표출 신체허약 궤양 및 위장장애 고혈압과 심장병 잦고 장기적인 감기 과거 경험한 장애의 재발(천식, 당뇨) 위험한 행동으로 인한 상해 심장박동증가 피부전도반응 증가 콜레스테롤 증가 과잉행동 충동성 지연(미루기) 카페인, 담배, 알콜, 마리화나, 불법약물의 소비증가 과식 지나친 소식 위험한 행동 (예: 스카이다이빙) 사고증가 여가활동 포기 강박적인 불평동기 열정감소 이상감소 환멸 단념 포기 실망 싫증 사기저하 출처: Schaufeli & Enzmann(1998) The burnout companion to study & practice: Taylor & Francis, p. 21-22.

Ⅱ. 이론적 배경 ◀◀ 19 <표 Ⅱ-3> 소진 증상: 대인관계 수준 정서 인지 동기 행동 민감 과민 냉소 상대방에 대한 정서적 공감감소 분노증가 상대에 대한 냉소적이고 비인간적인 인식 상대에 대한 비관주의 상대에 대한 회의 상대방에 대한 인지적 공감감소 고정관념 파괴적인 방식으로 상대를 분류 순교, 헌신, 희생 적대감 의심, 투사, 편집증 흥미감소 좌절 상대에 대한 무관심 개인적, 사회적 욕구를 채우기 위해 상대를 이용 지나친 관여 격렬한 분출 폭력적 난폭한 행동 대인관계, 부부, 가족과의 갈등 사회적 고립과 철회 상대와의 분리 상대에 대한 기계적인 반응 다른 동료로부터의 고립이나 지나친 연대 상대에게 무력감, 무의미함, 무망감 표현 출처: Schaufeli & Enzmann(1998) The burnout companion to study & practice: Taylor & Francis,p. 23. <표 Ⅱ-4> 소진 증상: 대조직 수준 정서 인지 동기 행동 직무불만족 일에 대한 냉소주의 감사하지 않으려함 관리혐오 동료, 상사 혐오 작업동기 부족 출근거부 일에 대한 초심이 약해짐 낮은 사기 효율성감소 낮은 업무수행 생산성감소 지각, 이직, 결근 증가 변화에 대한 거부 상사에게 지나치게 의존 시계 자주보기 사고증가 조직화능력 부족 시간관리능력 부족 출처: Schaufeli & Enzmann(1998) The burnout companion to study & practice: Taylor & Francis,p. 24.

20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2 선행연구 고찰 소진과 관련한 사회복지분야의 선행연구를 살펴보자면, 사회복지직공 무원은 물론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 서비스형태별로 아동, 노인, 의료사 회복지사 등 다양한 형태의 근무자들의 소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엄명용, 2003; 이명신, 2004; 최명민 외, 2005; 이선영 외, 2007; 황선영 외, 2007; 강현아 외, 2008; 이주재; 2011). 이 연구들에서는 소진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으로 개인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들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소진의 4가지 구성요소인 신체적 탈진, 심리적 탈진,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인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학력, 직급, 근속연수, 결혼상태 등이며 환경적 인 요인으로는 동료와의 관계,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슈퍼바이저와의 관 계, 업무의 자율성, 업무량 그리고 조직 내에서 명문화되어 있지는 않은 숨은 규칙, 불문율 또는 관행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특히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의 업무 특성이 대인상대 서비스 업종이기 때문에 다른 직종에 비해 소진의 정도가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소진을 주제로 한 많은 연구들이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하게 된 이유는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를 대상으로 그리고 복지서비스 유형별 기관을 망라한 연구는 부족하기 때 문이다. 그리고 사회복지직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소진관련 연구는 아직 미흡하고, 또 경기도 사회복지직공무원을 한 연구는 더욱 부족한 형편이 므로 본 연구를 통하여 이들의 소진 수준과 대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높다 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와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소 진 원인을 규명하여 이를 해소 및 예방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하 고자 하는 의도도 포함되어 있다.

연구방법 및 모형 1 연구방법 2 연구모형

Ⅲ. 연구방법 및 모형 ◀◀ 23 Ⅲ 연구방법 및 모형 1 연구방법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사용하였다. 첫째, 소진 과 관련된 다양한 국내외의 논문 등의 관련 연구문헌들을 분석하였다. 둘 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인 사회복지종사자와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을 대상 으로 소진의 원인을 파악하고 기존 문헌연구의 결과들과 비교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셋째, 기존의 연구문헌의 자료와 심층면접의 결 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사할 설문지를 완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상 연구의 진행내용과 방법 을 제시하면 다음 [그림 Ⅲ-1]과 같다.

2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그림 Ⅲ-1] 연구절차 1) 문헌 분석 기존 문헌 분석을 통하여 직무 스트레스의 일종인 소진에 대한 접근 방 법을 바탕으로 본 연구팀은 연구를 어떻게 수행할지에 대한 전반적인 연 구 방향을 잡을 수 있었다. 본 연구팀은 사회복지종사자와 사회복지직공 무원에 대한 소진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해당 조직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 로 조직 특성, 구조, 문화 등을 먼저 파악한 뒤 질적 면접을 통해 자세한 소진 요인들을 파악하고, 해당 직무의 소진 요인에 관한 조직 차원의 해 결 방안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 심층면접 실시 본 연구는 지난 2011년 9월, 소진 원인에 대한 사례를 수집하기 위해 경 기도내의 사회복지종사자 5명 및 사회복지직공무원(6,7,8,9급) 각 1명에 대해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은 미리 질문 내용을(면접 질문지는 부록 1 참조) 작성하여 진행하였으며 면접관의 재량에 따라 중간에 추가 질문을 하는 반구조화 면접 방법을 사용하였다. 면접 질문지에서 보듯이 처음부터 직무스트레스원인이 무엇인지 물어보면 부담을 가질 것 같아 스트레스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을 물어본 뒤 후반부에 가서 구체적인 직 무스트레스원인이 무엇인지 물어보았다. 사전에 면접이 진행될 것이라는 것을 피면접자에게 통보한 뒤, 당일 시 간에 맞추어 출, 퇴근 하는 직원들에게 양해를 구하여 면접 대상을 확보

Ⅲ. 연구방법 및 모형 ◀◀ 25 하였다. 면접은 하루 동안 총 2명의 보조 연구원들이 독립된 공간에서 60 여여 분간 이루어졌으며, 면접자들의 양해 아래 면접 내용을 녹음하며 진 행하였으며 사전에 개인적인 정보는 절대 비밀이 보장됨을 약속하였다. 이후 녹취한 자료를 기초로 먼저 면접한 내용을 분석하여 직무스트레 스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가능한 내용을 구체적이고 포괄적으로 기술한 다음 소진 원인 범주로 구분하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범주로 구분할 때 추후 집단 논의 과정에서 범주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처음에는 가능 한 많은 수의 범주로 구분하도록 하였다. 1차로 각자 구분한 소진 원인과 범주를 토대로 전체 연구진이 모여서 유사한 범주들을 하나로 묶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각자가 정리한 내용을 발표한 뒤 각각의 범주가 어떤 범주와 유사한지를 개진하였으며, 유사하 다고 판단되는 범주는 전체 논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분류하였다. 3) 설문조사 설계 (1) 설문내용 설문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응답자에 대한 개인 정보로 성별, 연령, 직급, 계약형태 등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소진의 원인 으로 크게 직무, 조직, 개인, 관계 및 부합도 관련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소진 자체에 대한 것으로 하위요소인 감정적 고갈, 냉소 및 효능감 감소로 구성되었다. 그 구성은 아래의 <표 Ⅲ-1>과 같다.

26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범주 변인 정의 설문문항 번호 결과요소 소진(신강현, 2003)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정서가 고갈된 상태 감정적 고갈:38-40 냉소:42-44 효능감 감소:45-48 직무관련 원인요소 (요구/자원) 업무 과부하(자체개발) 업무량의 적절한 정도 1 업무 통제감 (Maslach & Leiter,2000). 업무에 대해 자유로운 정도 9-11 업무 중요성 (탁진국과 윤혜진, 2002) 조직 내에서 자신의 업 무가 지니는 중요성 26-28 경제적 어려움(탁진국과 윤혜진, 2002) 조직에서 제공하는 보 수가 생활을 유지하기 에 적정한 정도 14-15 <표 Ⅲ-1> 설문조사 영역별 조사내용 구분 조직관련 직무관련 관계관련 개인관련 부합관련 스트레스 원인요소 ∙보상 ∙공정성 ∙조직지원(심리적) ∙조직지원(물리적) ∙업무 과부하 ∙업무 통제감 ∙업무 중요성 ∙고객의 부당한 요구 ∙경제적 어려움 ∙일가정갈등 ∙상사지지 ∙동료지지 ∙정서통제 ∙대처양식 ∙조직 일치도 ∙직무 일치도 (2) 연구변수들에 대한 정의 본 연구에 포함된 연구변수들의 정의는 다음의 <표 Ⅲ-2>와 같다. 각각 의 문항들에 대해서 응답자들에게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반응하도록 하였다. 설문문항의 세부내용들 은 <부록-1,2>에 첨부하였다. <표 Ⅲ-2> 연구변수들에 대한 조작적 정의

Ⅲ. 연구방법 및 모형 ◀◀ 27 범주 변인 정의 설문문항 번호 고객의 부당한 요구 (Dormann & Zapf, 2004) 업무상에서 접하는 고 객이 부당한 요구를 하 는 정도 2-5 일·가정 갈등(Netemeyer et al. 1996) 직장생활이 원활한 가정 생활을 방해하는 정도 51-53 조직관련 원인요소 보상(Maslach & Leiter, 2000). 수행에 대한 인정, 보상 정도 12-13 심리적 조직지원 인식 (Eisenberger et. al. ,1997) 조직에 의한 신뢰 및 지지를 지각하는 정도 20-22 물리적 조직지원 인식 (탁진국과 윤혜진, 2002) 조직에서 직무수행에 필요한 장비, 훈련 등 을 제공하는 정도 23-25 공정성(Maslach & Leiter, 2000). 조직 내 절차, 분배, 대 우 등의 공정성 6-8 관계관련 원인요소 상사지지(Grandey ,1999) 직무 수행 시 상사의 도움이나 의지에 대한 신뢰의 정도 16-17 동료지지(Grandey ,1999) 직무 수행 시 동료의 도움이나 의지에 대한 신뢰의 정도 18-19 개인관련 원인요소 정서조절 (Gross & John, 2003)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 한 정서적 노력 29-31 스트레스 대처전략 (신혜진과 김창대, 2002) 업무에서 오는 스트레 스를 낮추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방법 문제중심 대처: 35-37 정서중심 대처: 32-34 부합도 관련 원인요소 직무 일치도 (자체개발) 조직에 들어오기 전에 직무에 대한 기대와 실 제와의 일치도 50 조직 일치도 (자체개발) 조직에 들어오기 전에 조직에 대한 기대와 실 제와의 일치도 49

28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4) 신뢰도 분석 먼저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에 사용된 측정변 수들의 신뢰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내적 일관성 신뢰도 (Cronbach α)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의 <표 Ⅲ-3>에 제시되었다. <표 Ⅲ-3>에 제시된 바와 같이 공정성(.58)을 제외하고는 신뢰도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인 .60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3> 연구변수들에 대한 신뢰도 범주 변인 문항소스 문항수 신뢰도 결과요소 감정적 고갈 신강현 (2003) 3 .88 냉소 4 .82 효능감 4 .85 직무관련 원인요소 (요구/자원) 업무 과부하 (요구) 자체 개발 1 업무 통제감 (자원) Maslach & Leiter (2000) 3 .67 업무 중요성 (자원) 탁진국과 윤혜진 (2002) 3 .77 경제적 어려움 (요구) 탁진국과 윤혜진 (2002) 2 .76 고객의 부당한 요구 (요구) Dormann & Zapf(2004) 4 .77 일가정 갈등 (요구) Netemeyer et al. (1996) 3 .88 조직관련 원인요소 보상 Maslach & Leiter (2000) 2 .70 심리적 조직지원 인식 Eisenberger et. al. (1997) 3 .85 물리적 조직지원 인식 탁진국과 윤혜진 (2002) 3 .79 공정성 Maslach & Leiter (2000) 3 .58 관계관련 원인요소 상사지지 Grandey (1999) 2 .84 동료지지 2 .85 개인관련 원인요소 정서조절 Gross & John (2003) 3 .87 정서중심 대처 신혜진 & 김창대 (2002) 3 .79 문제해결 중심 대처 3 .80 부합도 관련 원인요소 직무 일치도 자체 개발 1 조직 일치도 자체 개발 1

Ⅲ. 연구방법 및 모형 ◀◀ 29 5) 연구범위와 방법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을 대상으 로 그들의 개인적 특성 및 직무환경을 파악하여 그들이 경험하는 소진과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향후 소진과 스트레스의 극복을 위한 프로 그램 등을 제안하여 효율적인 사회복지업무를 수행 할 수 있도록 사회복 지직공무원은 경기도 내 31개 시·군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직공무원 494명과 사회복지종사자는 2011년 3월에서 8월까지 경기복지재단에서 실 시한 교육과정 수료생 184명이 그 조사대상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는 소진 과 스트레스에 관한 전반적인 논문을 살펴보았고, 특히 사회복지직공무원 과 사회복지종사자와 관련된 소진, 스트레스, 이직의도 등 중점적으로 살 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고찰을 정리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복지기관종사자는 이 메일을 통하여 설문지를 배포하고, 2011년 10월 7일부터 21일까지 2주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사회복지직공무원은 경기도청 복지정책과와 연계하 여 2011년 10월 7일부터 18일까지 전자결제 시스템을 통하여 경기도 내 31개 시·군 사회복지직공무원에게 설문지를 배포한 뒤 총 494명의 설문지 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분산분석(ANOVA)를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소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의 목적은 본 연구에 포함된 소진 및 다양한 선행변수들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를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 결과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 이에 대한 차별화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또한 집단의 수가 2이상인 경우를 고려하여 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전반적인 F검증의 값이 유의한 경우에 있어 사후분석으로는 가장 보수적인 유의도 수준을 가지고 검증 하는 Scheffe 검증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 하기 위해 회귀분석(Regression)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소진의 선행변수 들 중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소진 수준에 영향

30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을 주는 상대적인 중요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 연구모형 앞에서 제시한 문헌조사 및 심층면접을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전체적인 모델은 소진과 하위요소를 준거변 수로 설정하고 이를 예측하기 위한 예측변수를 6가지 영역으로 분류하고 이들이 각각 준거변수들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모형은 아래 [그림 Ⅲ-2]와 같다. [그림 Ⅲ-2] 연구모형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1 조사대상자 특성 2 결과변수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 검증 3 소진 원인변수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 검증 4 소진 영향요인 검증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33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1 조사대상자 특성 사회복지종사자는 총 184명이 조사대상 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7.14세 이고 성별은 남자 27.7%(51명), 여자 72.3%(133명)가 참여하였고, 응답자 들의 평균근속 년수는 5.16년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대졸 71.2%(131명), 대학원졸업이 25%(46명)이며 고졸과 고졸 이하는 3.3%(6명) 및 0.5%(1명) 로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미혼은 44.6%(82명), 기혼은 55.4%(102명), 정규 직과 비정규직은 각각 72.8%(134명)와 27.2%(50명)로 나타났다. 근무형태 별로는 이용시설근무자는 65.8%(121명), 생활시설근무자는 34.2%(63명)였 으며, 근무하는 기관의 서비스대상은 노인복지시설이 37%(68명), 종합복 지관 16.8%(31명), 장애인시설 16.3%(30명), 아동·청소년시설 7.1%(13명), 기타시설 18.5%(34명)로 나타났다.

3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변수 구분 빈도(명) 백분율(%) 성별 남 51 27.7 여 133 72.3 최종학력 고졸이하 1 0.5 고졸 6 3.3 대졸 131 71.2 대학원졸 46 25 고용형태 정규직 134 72.8 계약직 50 27.2 혼인여부 미혼 82 44.6 기혼 102 55.4 근무형태 이용시설 121 65.8 생활시설 63 34.2 서비스 대상 종합/단종 사회복지관 31 16.8 노인복지시설 68 37 아동·청소년시설 13 7.1 장애인시설 30 16.3 부랑/노숙인 복지시설 8 4.3 기타1) 34 18.5 <표 Ⅳ-1> 조사대상자의 특성(사회복지종사자) (N=184) 1) 기타에 해당되는 서비스대상은 총 34명으로 자활센터 10명, 공공기관 5명, 무한돌봄 5 명, 개인시설 3명, 정신보건 2명, 빈곤취약계층 2명, 장애인 1명, 학교사회복지 1명, 다문화가정 1명, 비영리민간단체 1명, 재단 1명이었다.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35 2 결과변수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 검증 1) 소진 사사회복지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소진 경험에 대한 수준 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표 Ⅳ-2>와 같다. <표 Ⅳ-2>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소진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51 2.35 0.72 .626 여성 133 2.45 0.69 연령 30세 미만 57 2.70 0.68 11.16** 30세~39세 49 2.49 0.70 40세 이상 78 2.17 0.62 학력 고졸 7 2.21 0.67 5.93** 대졸 131 2.53 0.72 대학원졸 46 2.14 0.55 고용형태 정규직 134 2.38 0.69 1.71 계약직 50 2.53 0.72 결혼여부 미혼 82 2.62 0.64 12.32** 기혼 102 2.26 0.71 서비스 제공형태 이용시설 121 2.44 0.65 .44 생활시설 63 2.37 0.79 서비스 대상 기타 34 2.46 0.64 1.14 종합/단종사회복지관 31 2.49 0.70 노인복지시설 68 2.51 0.73 아동/청소년복지시설 13 2.18 0.68 장애인복지시설 30 2.28 0.64 부랑/노숙인복지시설 8 2.12 0.90 *p<.05, **p<.01, ***p<.001

36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소진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소진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세 이상으 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종사자들과 40세 이상 의 사회복지종사자간 평균에서 차이 및 30세-39세의 사회복지종사자들과 40세 이상의 사회복지종사자간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학력별 소진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결과, 이러한 차이는 대졸 및 대학원졸의 사회복지종사자들 간의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고용형태에 따른 소진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계약직이 정규 직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소진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미혼자가 기혼 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 과임이 밝혀졌다. 서비스제공 형태에 따른 소진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이용시 설 종사자가 생활시설 종사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대상에 따른 소진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노인복지 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높은 수준의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랑자 및 노숙인 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낮은 수준의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37 2) 감정적 고갈 사회복지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감정적 고갈 경험에 대한 수준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표 Ⅳ-3>과 같다. <표 Ⅳ-3>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감정적 고갈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51 3.27 0.92 1.45 여성 133 3.46 0.99 연령 30세 미만 57 3.69 0.91 5.09** 30세~39세 49 3.47 1.02 40세 이상 78 3.17 0.95 학력 고졸 7 3.00 1.20 2.19 대졸 131 3.50 0.97 대학원졸 46 3.21 0.94 고용형태 정규직 134 3.37 0.97 .88 계약직 50 3.52 0.98 결혼여부 미혼 82 3.57 0.91 4.24** 기혼 102 3.28 1.01 서비스 제공형태 이용시설 121 3.49 0.94 2.63 생활시설 63 3.25 1.02 서비스 대상 기타 34 3.58 0.88 1.33 종합/단종사회복지관 31 3.52 1.00 노인복지시설 68 3.49 0.97 아동/청소년복지시설 13 3.00 0.96 장애인복지시설 30 3.19 1.02 부랑/노숙인복지시설 8 3.08 1.08 *p<.05, **p<.01, ***p<.001

38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차에 따른 감정적 고갈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여성이 남 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감정적 고갈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세 이 상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종사자들과 40세 이상 의 사회복지종사사간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학력별 감정적 고갈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 류하여 살펴본 결과, 대졸의 사회복지종사자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감정 적 고갈을 경험하고 있으며 고졸이 가장 낮은 수준의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 났다. 고용형태에 따른 감정적 고갈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계약직 이 정규직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감정적 고갈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미혼자 가 기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서비스제공 형태에 따른 감정적 고갈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이용시설 종사자가 생활시설 종사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 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대상에 따른 감정적 고갈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 타 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높은 수준의 감정적 고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 및 청소년 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 지종사자가 가장 낮은 수준의 감정적 고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지 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39 3) 냉소 사회복지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냉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표 Ⅳ-4>와 같다. <표 Ⅳ-4>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냉소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51 2.50 0.90 0.00 여성 133 2.49 0.89 연령 30세 미만 57 2.78 0.91 6.36** 30세~39세 49 2.56 0.93 40세 이상 78 2.25 0.78 학력 고졸 7 2.43 0.90 3.40* 대졸 131 2.60 0.91 대학원졸 46 2.21 0.78 고용형태 정규직 134 2.44 0.89 1.76 계약직 50 2.64 0.88 결혼여부 미혼 82 2.66 0.83 5.24* 기혼 102 2.36 0.91 서비스 제공형태 이용시설 121 2.50 0.86 0.21 생활시설 63 2.48 0.95 서비스 대상 기타 34 2.56 0.95 0.90 종합/단종사회복지관 31 2.56 0.88 노인복지시설 68 2.59 0.92 아동/청소년복지시설 13 2.29 0.80 장애인복지시설 30 2.30 0.79 부랑/노숙인복지시설 8 2.16 0.90 *p<.05, **p<.01, ***p<.001

40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냉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냉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세 이상으 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종사자들과 40세 이상 의 사회복지종사자간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학력별 냉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이러한 평균 간의 차이는 대졸의 사회복지종사자와 대학 원졸의 사회복지종사자간의 차이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에 따른 냉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계약직이 정규 직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냉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미혼자가 기혼 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서비스제공 형태에 따른 냉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이용시 설 종사자가 생활시설 종사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대상에 따른 냉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노인복지 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높은 수준의 냉소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랑자 및 노숙인 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 가 가장 낮은 수준의 냉소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41 4) 효능감 감소 사회복지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효능감 감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Ⅳ-5>와 같다. <표 Ⅳ-5>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효능감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51 1.30 0.69 .50 여성 133 1.38 0.71 연령 30세 미만 57 1.64 0.76 12.28** 30세~39세 49 1.46 0.58 40세 이상 78 1.09 0.64 학력 고졸 7 1.21 0.67 9.21** 대졸 131 1.49 0.70 대학원졸 46 1.00 0.58 고용형태 정규직 134 1.33 0.68 .84 계약직 50 1.44 0.76 결혼여부 미혼 82 1.62 0.67 22.37** 기혼 102 1.15 0.66 서비스 제공형태 이용시설 121 1.34 0.67 .19 생활시설 63 1.39 0.77 서비스 대상 기타 34 1.25 0.66 .62 종합/단종사회복지관 31 1.38 0.65 노인복지시설 68 1.45 0.78 아동/청소년복지시설 13 1.25 0.74 장애인복지시설 30 1.36 0.57 부랑/노숙인복지시설 8 1.13 0.82 *p<.05, **p<.01, ***p<.001

42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효능감 감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여성이 남 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효능감 감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사들과 40세 이 상의 사회복지사간 평균 및 30세-39세의 사회복지사들과 40세 이상의 사 회복지종사자간 평균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학력별 효능감 감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 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이러한 평균 간의 차이는 대졸의 사회복지종사자 와 대학원졸의 사회복지종사자간의 차이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에 따른 효능감 감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계약직 이 정규직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효능감 감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미혼자 가 기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서비스제공 형태에 따른 효능감 감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생활시설 종사자가 이용시설 종사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 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대상에 따른 효능감 감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노 인복지 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높은 수준의 효능감 감 소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랑자 및 노숙인 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낮은 수준의 효능감 감소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 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43 3 소진 원인변수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 검증 1) 직무관련 요구 사회복지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직무관련 요구 경험에 대 한 수준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Ⅳ-6>과 같다. <표 Ⅳ-6>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직무관련 요구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51 3.62 0.50 2.26 여성 133 3.49 0.56 연령 30세 미만 57 3.45 0.55 .78 30세~39세 49 3.57 0.58 40세 이상 78 3.55 0.52 학력 고졸 7 3.46 0.51 .37 대졸 131 3.55 0.54 대학원졸 46 3.47 0.59 고용형태 정규직 134 3.53 0.55 .00 계약직 50 3.52 0.55 결혼여부 미혼 82 3.46 0.54 2.00 기혼 102 3.58 0.55 서비스 제공형태 이용시설 121 3.51 0.57 .39 생활시설 63 3.56 0.49 서비스 대상 기타 34 3.53 0.49 .10 종합/단종사회복지관 31 3.57 0.50 노인복지시설 68 3.51 0.57 아동/청소년복지시설 13 3.58 0.50 장애인복지시설 30 3.50 0.65 부랑/노숙인복지시설 8 3.52 0.54 *p<.05, **p<.01, ***p<.001

4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직무관련 요구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직무관련 요구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 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30세-39세 사회복지종사자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직무관련 요구를 경험하고 있으며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종 사자들이 가장 낮은 수준의 직무관련 요구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 직무관련 요구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대졸의 사회복지종사자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직 무관련 요구를 경험하고 있으며 고졸이 가장 낮은 수준의 직무관련 요구 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관련 요구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정규 직이 계약직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직무관련 요구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혼 자가 미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제공 형태에 따른 직무관련 요구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 과, 생활시설 종사자가 이용시설 종사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 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대상에 따른 직무관련 요구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아동 및 청소년 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높은 수준 의 직무관련 요구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인 복지 시설에 근무 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낮은 수준의 직무관련 요구를 경험하는 것 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45 2) 직무관련 자원 사회복지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직무관련 자원 경험에 대 한 수준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Ⅳ-7>과 같다. <표 Ⅳ-7>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직무관련자원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51 3.80 0.54 2.10 여성 133 3.67 0.58 연령 30세 미만 57 3.56 0.55 5.43** 30세~39세 49 3.64 0.61 40세 이상 78 3.86 0.52 학력 고졸 7 3.83 0.38 5.36** 대졸 131 3.62 0.58 대학원졸 46 3.93 0.50 고용형태 정규직 134 3.74 0.59 1.25 계약직 50 3.63 0.51 결혼여부 미혼 82 3.66 0.58 1.15 기혼 102 3.75 0.56 서비스 제공형태 이용시설 121 3.72 0.56 .35 생활시설 63 3.67 0.59 서비스 대상 기타 34 3.80 0.49 .58 종합/단종사회복지관 31 3.65 0.41 노인복지시설 68 3.65 0.65 아동/청소년복지시설 13 3.72 0.51 장애인복지시설 30 3.73 0.62 부랑/노숙인복지시설 8 3.90 0.58 *p<.05, **p<.01, ***p<.001

46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직무관련 자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직무관련 자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 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종사자들과 40세 이상의 사회복지사간 평균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 졌다. 학력별 직무관련 자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이러한 평균 간의 차이는 대졸의 사회복지종사 자와 대학원졸의 사회복지종사자간의 차이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관련 자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정규 직이 계약직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직무관련 자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혼 자가 미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제공 형태에 따른 직무관련 자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 과, 이용시설 종사자가 생활시설 종사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 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대상에 따른 직무관련 자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부랑자 및 노숙인 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높은 수 준의 직무관련 자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인 복지 시설에 근무 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낮은 수준의 직무관련 자원을 경험하는 것 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47 3) 조직관련 지원 사회복지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조직관련 지원 경험에 대 한 수준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Ⅳ-8>과 같다. <표 Ⅳ-8>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조직관련 지원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51 3.39 0.60 7.43** 여성 133 3.11 0.63 연령 30세 미만 57 3.14 0.61 .37 30세~39세 49 3.17 0.68 40세 이상 78 3.23 0.62 학력 고졸 7 3.05 0.79 .64 대졸 131 3.17 0.63 대학원졸 46 3.27 0.61 고용형태 정규직 134 3.27 0.64 9.10** 계약직 50 2.96 0.56 결혼여부 미혼 82 3.15 0.62 .42 기혼 102 3.22 0.65 서비스 제공형태 이용시설 121 3.35 0.81 1.16 생활시설 63 3.11 0.83 서비스 대상 기타 34 3.08 0.62 .79 종합/단종사회복지관 31 3.32 0.55 노인복지시설 68 3.17 0.63 아동/청소년복지시설 13 3.03 0.84 장애인복지시설 30 3.28 0.56 부랑/노숙인복지시설 8 3.20 0.89 *p<.05, **p<.01, ***p<.001

48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조직관련 지원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 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조직 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 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40세 이상의 사회복지종사자들이 가 장 높은 수준의 조직관련 지원경험을 경험하고 있으며 30세 미만의 사회 복지종사자들이 가장 낮은 수준의 조직관련 지원 경험을 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 조직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대학원졸의 사회복지종사자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조직관련 지원을 경험하고 있으며 고졸이 가장 낮은 수준의 조직관련 지 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 닌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에 따른 조직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정규 직이 계약직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의 조직관련 지원경험을 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조직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혼 자가 미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제공 형태에 따른 조직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 과, 이용시설 종사자가 생활시설 종사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 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대상에 따른 조직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종합 및 단종 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높은 수준의 조직관련 지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 및 청소년 복지 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낮은 수준의 조직관련 지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49 4) 관계 관련 지원 사회복지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관계관련 지원 경험에 대 한 수준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Ⅳ-9>와 같다. <표 Ⅳ-9>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관계관련 지원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51 3.44 0.71 3.21 여성 133 3.20 0.85 연령 30세 미만 57 3.37 0.87 .83 30세~39세 49 3.28 0.83 40세 이상 78 3.19 0.77 학력 고졸 7 2.93 0.89 .83 대졸 131 3.26 0.83 대학원졸 46 3.35 0.78 고용형태 정규직 134 3.33 0.82 3.27 계약직 50 3.09 0.81 결혼여부 미혼 82 3.28 0.88 .02 기혼 102 3.26 0.77 서비스 제공형태 이용시설 121 3.35 0.81 3.74 생활시설 63 3.11 0.83 서비스 대상 기타 34 3.12 0.80 1.68 종합/단종사회복지관 31 3.54 0.67 노인복지시설 68 3.16 0.83 아동/청소년복지시설 13 3.25 0.89 장애인복지시설 30 3.29 0.84 부랑/노숙인복지시설 8 3.72 0.96 *p<.05, **p<.01, ***p<.001

50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관계관련 지원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 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관계 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 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종사자들이 가 장 높은 수준의 관계 관련 지원경험을 경험하고 있으며 30세 이상의 사회 복지종사자들이 가장 낮은 수준의 관계관련 지원 경험을 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 관계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대학원졸의 사회복지종사자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관계관련 지원을 경험하고 있으며 고졸이 가장 낮은 수준의 관계관련 지 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 닌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에 따른 관계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정규 직이 계약직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의 관계관련 지원경험을 하는 것 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관계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미혼 자가 기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제공 형태에 따른 관계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 과, 이용시설 종사자가 생활시설 종사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 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대상에 따른 관계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부랑 및 노숙인 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높은 수준 의 관계관련 지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타복지 시설에 근무하 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낮은 수준의 관계관련 지원을 경험하는 것으 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51 5) 대처 관련 개인역량 사회복지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개인역량 관련 지원 경험 에 대한 수준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Ⅳ-10>과 같다. <표 Ⅳ-10>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개인역량 관련 지원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51 3.70 0.55 1.19 여성 133 3.59 0.61 연령 30세 미만 57 3.35 0.56 10.73** 30세~39세 49 3.65 0.55 40세 이상 78 3.81 0.58 학력 고졸 7 3.69 0.48 5.32** 대졸 131 3.54 0.60 대학원졸 46 3.86 0.54 고용형태 정규직 134 3.66 0.59 2.47 계약직 50 3.51 0.58 결혼여부 미혼 82 3.49 0.58 8.11** 기혼 102 3.73 0.58 서비스 제공형태 이용시설 121 3.60 0.57 .36 생활시설 63 3.66 0.63 서비스 대상 기타 34 3.67 0.53 1.31 종합/단종사회복지관 31 3.54 0.59 노인복지시설 68 3.52 0.61 아동/청소년복지시설 13 3.83 0.60 장애인복지시설 30 3.74 0.57 부랑/노숙인복지시설 8 3.81 0.73 *p<.05, **p<.01, ***p<.001

52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대처관련 개인역량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 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대처관련 개인역량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 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종사자들과 40세 이상의 사회복지종사자간 평균,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종사자들과 30 세-39세의 사회복지종사자들과 40세 이상의 사회복지사간 평균에서의 차 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학력별 대처관련 개인역량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 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이러한 평균 간의 차이는 대졸의 사회복지종사자 와 대학원졸의 사회복지종사자간의 차이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에 따른 대처관련 개인역량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정규 직이 계약직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의 대처관련 개인역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 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대처관련 개인역량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혼 자가 미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났다. 서비스제공 형태에 따른 대처관련 개인역량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 과, 생활시설 종사자가 이용시설 종사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 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대상에 따른 대처관련 개인역량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아 동 및 청소년 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높은 수준의 대처관련 개인역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인 복지 시설에 근 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낮은 수준의 대처관련 개인역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 났다.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53 6) 부합도 관련 사회복지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부합도 지각에 대한 수준 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Ⅳ-11>과 같다. <표 Ⅳ-11> 사회복지종사자-인구통계학적변수-부합도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51 3.17 0.87 1.63 여성 133 2.98 0.86 연령 30세 미만 57 2.93 0.80 0.97 30세~39세 49 3.00 0.91 40세 이상 78 3.13 0.89 학력 고졸 7 3.14 1.07 2.06 대졸 131 2.95 0.87 대학원졸 46 3.25 0.81 고용형태 정규직 134 3.10 0.86 2.84 계약직 50 2.86 0.88 결혼여부 미혼 82 2.98 0.83 .70 기혼 102 3.08 0.89 서비스 제공형태 이용시설 121 3.08 0.86 .88 생활시설 63 2.95 0.89 서비스 대상 기타 34 2.82 0.77 1.02 종합/단종사회복지관 31 3.21 0.73 노인복지시설 68 3.09 0.87 아동/청소년복지시설 13 2.96 1.16 장애인복지시설 30 3.10 0.88 부랑/노숙인복지시설 8 2.69 1.10 *p<.05, **p<.01, ***p<.001

5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부합도 지각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부합도 지각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세 이상 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30세 이상의 사회복지종사자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부합도 지각을 하고 있으며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종사자들이 가 장 낮은 수준의 부합도 지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 부합도 지각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대학원졸의 사회복지종사자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부합도 지각을 하고 있으며 대졸이 가장 낮은 수준의 부합도 지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에 따른 부합도 지각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정규직이 계 약직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의 부합도 지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 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부합도 지각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혼자가 미 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제공 형태에 따른 부합도 지각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이용 시설 종사자가 생활시설 종사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 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대상에 따른 부합도 지각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종합 및 단종 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높은 수준의 부합도 지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랑자 및 노숙인 복지 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가 가장 낮은 수준의 부합도 지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 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55 7)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검증 결과 요약 사회복지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검증 분석결과를 요약한 표는 아래<표 Ⅳ-12>와 같다. <표 Ⅳ-12> 사회복지종사자 연구결과 요약 성차 연령 학력 고용 형태 결혼 여부 서비스 제공 형태 서비스 대상 소진 x o o x o x x 감정적 고갈 x o x x o x x 냉소 x o o x o x x 효능감 감소 x o o x o x x 직무관련 요구 x x x x x x x 직무관련 자원 x o o x x x x 조직관련 지원 o x x o x x x 관계관련 지원 x x o x o x x 대처관련개인역량 x x x x o x x 부합도 관련 x x x x x x x o: 통계적 유의미함, x: 통계적 유의미지 하지 않음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 연령, 학력, 결혼여부는 소진을 경험하는 수준에 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나이가 적을수록, 학력은 대학 졸업 자일 경우, 기혼보다는 미혼일 경우 소진의 수준이 높았으며, 이와 반대로 서비스대상, 서비스제공형태의 경우는 소진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부합도의 경우 인구통 계학적 변수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소진 유발원인변수로 분석 되었다.

56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8) 사회복지종사자에 대한 소진 영향요인 사회복지종사자의 소진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아래 <표 Ⅳ-13>과 <그림 Ⅳ-1>로 요약하였다. <표 Ⅳ-13> 소진 영향요인(사회복지종사자) 구분 측정요소 평균 결과 소진 2.4 감정적 고갈 3.4 냉소 2.5 효능감 3.7 원인 조직관련 보상 3.5 공정성 3.0 조직지원(심리적) 3.1 조직지원(물리적) 3.3 직무관련 (요구) 업무과부하 4.1 고객의 부당한 요구 3.2 경제적 어려움 3.9 일·가정 갈등 2.9 직무관련 (자원) 업무 통제감 3.5 업무 중요성 3.9 관계관련 상사지지 3.1 동료지지 3.4 개인관련 정서통제 3.5 문제해결대처 3.8 정서중심대처 3.4 부합관련 조직일치도 3.0 직무일치도 3.1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57 [그림 Ⅳ-1] 소진 요인(사회복지종사자) (1) 사회복지종사자의 소진 요인을 종합하여 살펴본 결과 소진의 하위 차원 중 직무를 수행하면서 정서적으로 지쳐있음을 나타내는 감정 적 고갈 차원에 있어서 평균이상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2) 소진을 유발하는 원인 차원들에 있어 소진과 정(+)의 관계를 유발 하는 요인들에 있어서는 직무요구의 경우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3) 소진을 유발하는 원인 차원들에 있어 소진과 부(-)의 관계를 유발하 는 요인들에 있어서는 부합도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4) 사회복지종사자의 소진 원인으로는 높은 수준의 직무에 대한 부담 과 낮은 수준의 직무자원, 조직지지, 관계지지, 개인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58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소진 감정적 고갈 냉소 효능감 감소 B β B β B β B β 상수 4.82 3.53 6.23 4.69 직무관련 요구 .29 .23** .75 .42** .17 .11* -.04 -.03 직무관련 자원 -.06 -.05 .22 -12 -.11 -.07 -.28 -.22** 4 소진 영향요인 검증 1) 사회복지종사자에 대한 소진 영향요인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소진의 원인들 간의 중요성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사회복지종사자의 ‘소진 원인들(직무관련 요구, 직무관련 자원, 조직관련 지 원, 관계관련 지원, 대처관련 개인역량 및 부합도)’이 소진 및 하위요소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원인들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 계를 검증해주는 각각의 표본들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목적은 본 연구에서 가정하고 있는 6가지의 소진의 원인들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검토하여 전반적인 관계성을 파악하고, 세부분석으 로서 각각의 소진의 원인들의 하위요소들 간에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 기 위함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복지종사자 표본을 대상으로 소진, 감정적 고갈, 냉소 및 효능감 감소를 각각 준거변수로 설정하고 6개의 원 인들을 예측변수로 포함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진의 경우에는 6 개의 예측변수들 중 4개, 감정적 고갈의 경우에는 3개, 냉소의 경우에는 3개, 마지막으로 효능감 감소의 경우에는 3개의 예측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표 Ⅳ-14>에 제시되어 있다. <표 Ⅳ-14> 예측변수의 상대적 중요도 파악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사회복지종사자)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59 소진 감정적 고갈 냉소 효능감 감소 B β B β B β B β 조직관련 자원 -.05 -.05 -.17 -.14 -.18 -.16* -.00 -.00 관계관련 자원 -.12 -.13* -.63 -.38** -.69 -.47** -.52 -.44** 개인관련 역량 -.61 -.52** -.18 -.16* -.12 -.12 -.14 -.17* 부합도 -.15 -.18** -.07 -.05 -.14 -.10 .05 .05 설명력(R ) .59 .46 .52 .41 F값 45.38** 27.12** 34.34** 2235** *p<.05, **p<.01 아래 <표 Ⅵ-15>는 예측변수의 상대적 중요도를 1순위부터 순위별로 나타내고 이에 대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표 Ⅳ-15> 소진의 원인들과 소진간의 관계(사회복지종사자) 결과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소진 개인관련 차원(-.52) 직무관련요구 (-.23) 부합도 차원 (-.18) 관계차원 (-.13) 감정적 고갈 직무관련 요구차원 (.42) 관계관련 차원 (-.38) 개인관련 차원 (-.16) - 냉소 관계관련 차원 (-.47) 조직관련 차원 (-.16) 직무관련 요구 (.11) - 효능감 감소 관계관련 차원(-.44) 직무관련 자원 차원 (-.22) 개인관련 차원 (-.17) -

60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1) 소진발생의 원인 중에서 개인관련 차원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 었다. 개인관련 차원은 소진을 극복 할 수 있는 개인의 역량이며 그 방법으로 스트레스 대처양식, 정서통제 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역량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가지고 있지 못한 사람들 간의 차이가 소진을 경험하는데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2) 소진의 하위차원 중 하나인 감정적 고갈을 예측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원인으로 업무과부하, 업무의 중요성, 일·가정 갈등 등으로 구성된 직무관련 요구 차원으로 나타났다. (3) 냉소와 효능감 감소에 예측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는 모두 개인관련 차원으로 분석되었다. 소진의 발생 원인 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트레스 대처능력, 정서적 통제 등은 개인이 타고나는 능력일 수도 있겠지만 스트레스 대처법, 정서적 통제법 등의 교육을 통해서 개인의 역량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 할 수 있을 것이다. 2) 사회복지종사자에 대한 소진 영향요인 세부분석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소진의 원인들 간의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먼 저, 사회 복지사의 ‘소진 원인들의 하위요소들인 직무관련 요구(업무과부 하, 고객의 부당한 요구, 경제적 어려움, 일가정 갈등), 직무관련 자원(업 무 통제감, 업무 중요성), 조직 관련 지원(보상, 공정성, 심리적 조직지원, 물리적 조직지원), 관계 관련 지원(상사지지, 동료지지), 개인관련 역량(정 서통제, 문제중심적 대처, 정서중심적 대처) 및 부합도 차원(조직 일치도, 직무일치도)이 소진 및 하위요소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원인들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검증해주는 각각의 표본들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의 <표 Ⅳ-16>과 같다. - 직무요구: 업무과부하, 고객의 부당한 요구, 경제적 어려움, 일가정 갈등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61 - 직무관련 자원: 업무 통제감, 업무 중요성 - 관계관련 지원: 상사지지, 동료지지 - 개인관련 역량: 정서통제, 문제중심적 대처, 정서중심적 대처 - 부합도 차원: 조직 일치도, 직무일치도 그리고 아래 <표 Ⅳ-17~22>는 소진 영향요인 세부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소진원인별로 하위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1순위부터 순위별로 나타 내고 이에 대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62 ▶ ▶ 경 기도 사 회복 지종 사자 및 사 회복 지직 공무 원의 스 트레 스와 소 진 극복 방안 기 초연 구 소진 감정 적 고갈 냉소 효능 감 감소 B β B β B β B β 직 무 관 련 요 구 상 수 1. 58 .8 17 1. 99 1 1. 94 업 무 과 부 하 -.1 1 -.1 2 .0 7 .0 6 -.1 4 -.1 3 -.2 5 -.2 8* * 부 당 한 요 구 .2 1 .2 2* * .2 2 .1 7* * .1 9 .1 6 .2 2 .2 2* * 경 제 적 어 려 움 -.0 2 -.0 3 .1 1 .1 0 -.0 5 -.0 5 -.1 3 -.1 6* 일 ·가 정 갈 등 .2 2 .3 3* * .3 9 .4 2* * .2 1 .2 5* * .0 6 .0 9 설 명 력 (R  ) .1 84 .2 76 .1 09 .1 62 F 값 10 .9 28 ** 18 .4 49 ** 5. 92 1* * 9. 40 5* * 직 무 관 련 자 원 상 수 4. 54 4. 65 5. 25 3. 72 업 무 통 제 감 -.3 2 -.3 3* * -.3 7 -.2 7* * -.3 8 -.3 1* * -.2 1 -2 1* * 업 무 증 요 성 -.2 6 -.2 5* * .0 1 .0 1 -.3 7 -.2 9* * -.4 3 -.4 1* * 설 명 력 (R  ) .2 14 .0 73 .2 3 .2 6 F 값 26 .7 45 ** 7. 78 ** 28 .7 3* * 34 .3 4* * 조 직 관 련 자 원 상 수 4. 59 5. 37 7 5. 10 2 3. 28 보 상 -.3 5 -.3 5* * -.1 8 -.1 3 -.3 7 -.3 0* * -.4 9 -.4 9* * 공 정 성 -.0 5 -.0 5 -.1 0 -.0 8 -.1 1 -.1 0 .0 7 .0 8 심 리 적 자 원 -.1 7 -2 2* -.2 3 -.2 2* -.2 6 -.2 7* * -.0 2 -.0 3 물 리 적 자 원 -.0 9 -.1 1 -.1 1 -.0 9 -.0 7 -.0 6 -.1 1 -.1 3 <표 Ⅳ -16 > 사 회복 지종 사자 의 표본 에 대한 소 진 영향 요인 세 부분 석 결과

Ⅳ . 사 회복 지종 사자 조 사결 과 분석 ◀ ◀ 6 3 소진 감정 적 고갈 냉소 효능 감 감소 B β B β B β B β 설 명 력 (R  ) .3 29 .1 69 .3 20 .2 81 F 값 23 .8 3* * 9. 86 4* * 12 .3 16 ** 18 .9 30 ** 관 계 관 련 지 원 상 수 3. 55 4. 74 3. 99 1. 93 상 사 지 지 -.1 3 -.1 9* -.1 5 -.1 5 -.1 9 -.2 1* * -.0 6 -.0 8 동 료 지 지 -.2 2 -.2 6* * -.2 8 -.2 3* * -.2 7 -.2 7* * -.1 2 -.1 5 설 명 력 (R  ) .1 56 .1 11 .1 74 .0 41 F 값 18 .1 77 ** 12 .2 14 ** 20 .6 33 ** 4. 19 6* * 개 인 역 량 관 련 상 수 5. 09 5. 63 3 5. 63 0 3. 99 7 정 서 통 제 -.4 3 -.4 5* * -.5 0 -.3 8* * -.5 3 -.4 4* * -.2 6 -.2 7* * 문 제 중 심 적 대 처 -.3 3 -.3 3* * -.1 7 -.1 2 -.4 0 -.3 2* * -.4 1 -.4 1* * 정 서 중 심 적 대 처 .0 2 .0 2 .0 5 .0 4 .0 6 .0 5 -.0 5 -.0 6 설 명 력 (R  ) .4 14 .1 84 .3 86 .3 50 F 값 45 .8 84 ** 14 .6 82 ** 40 .9 01 ** 34 .9 55 ** 부 합 도 상 수 3. 61 4. 76 3. 84 2. 23 조 직 일 치 도 -.2 2 -.2 9* * -.2 5 -.2 4* * -.2 4 -.3 0* * -.1 2 -.1 7* 직 무 일 치 도 -.1 8 -.2 7* * -.2 0 -.2 1* * -.1 8 -.2 1* * -.1 7 -.2 5* * 설 명 력 (R  ) .2 39 .1 57 .1 96 .1 33 F 값 30 .7 69 ** 18 .2 67 ** 23 .9 53 ** 15 .0 86 ** *p < .0 5, * *p < .0 1

6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1) 직무요구 관련 차원 <표 Ⅳ-17> 직무관련 요인(사회복지종사자) 결과 1순위 2순위 3순위 소진 일·가정 갈등(.33) 부당한 요구 (.22) - 감정적 고갈 일·가정 갈등(.42) 부당한 요구 (.17) - 냉소 일·가정 갈등(.25) - - 효능감 감소 업무 과부하(-.28) 부당한 요구 (.22) 경제적 어려움 (-.16) 사회복지종사자의 직무요구관련 차원에서는 일·가정 갈등이 소진 및 소진의 하위차원인 감정적 고갈, 냉소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와 더불어 부당한 요구의 경우는 소진 및 소진의 하위차원인 감정적 고갈, 냉소, 효능감 감소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직무자원 관련 차원 <표 Ⅳ-18> 직무자원 관련 요인(사회복지종사자) 결과 1순위 2순위 소진 업무 통제감(-.33) 업무 중요성 (-.25) 감정적 고갈 업무 통제감(-.27) - 냉소 업무 통제감(-.31) 업무 중요성 (-.29) 효능감 감소 업무 중요성(-.41) 업무 통제감 (-.21)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65 직무자원관련 자원은 업무 통제감과 업무 중요성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진 및 소진의 하위차원인 감정적 고갈, 냉소 는 업무 통제감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효능감 감소 의 경우는 업무의 중요성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조직관련 차원 <표 Ⅳ-19> 조직관련 요인(사회복지종사자) 결과 1순위 2순위 소진 보상 (-.35) 심리적 조직지지 (-.22) 감정적 고갈 심리적 조직지지 (-.22) - 냉소 보상 (-.30) 심리적 조직지지 (-.27) 효능감 감소 보상(-.49) - 조직관련 자원의 경우, 보상/급여가 가장 큰 소진발생의 원인으로 나타 났으며 심리적 조직지지 부족 역시 소진의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사회복 지종사자의 경우 시간 외 수당, 업무 중 휴식시간 등 조직차원에서의 지 원이 열악한 것으로 심층면접에서 밝혀졌고 분석결과 역시 비슷한 결과 가 도출되었다.

66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4) 관계관련 차원 <표 Ⅳ-20> 관계관련 요인(사회복지종사자) 결과 1순위 2순위 소진 동료지지(-.26) 상사지지 (-.19) 감정적 고갈 동료지지(-.23) - 냉소 동료지지(-.27) 상사지지 (-.21) 효능감 감소 - - 사회복지종사자의 경우 동료의 지지가 상사의 지지보다 더 소진을 완 화시키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동료들과의 관계가 안정적일수록 소진완 화에 효과적이라는 해석을 할 수 있다. (5) 개인관련 차원 <표 Ⅳ-21> 개인관련 요인(사회복지종사자) 결과 1순위 2순위 소진 정서통제(-.45) 문제중심 대처 (-.33) 감정적 고갈 정서통제(-.38) 냉소 정서통제(-.44) 문제 중심 대처 (-.32) 효능감 감소 문제 중심 대처(-.41) 정서통제 (-.27) 개인관련 차원은 소진발생 시 대처하는 개인의 역량을 의미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정서통제, 문제중심적 대처, 정서중심적 대처 세 가지 역량으

Ⅳ. 사회복지종사자 조사결과 분석 ◀◀ 67 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진 및 소진의 하위요인인 감정적 고갈, 냉소의 경우 정서통제의 역량의 부족이 소진 및 그 하위요인에 가장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부합도 관련 차원 <표 Ⅳ-22> 부합도 관련 요인(사회복지종사자) 결과 1순위 2순위 소진 조직 일치도(-.29) 직무 일치도 (-.27) 감정적 고갈 조직 일치도(-.24) 직무 일치도 (-.21) 냉소 조직 일치도(-.30) 직무 일치도 (-.21) 효능감 감소 직무 일치도(-.25) 조직 일치도 (-.17) 소진 및 소진 하위요인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소진 및 감정적 고갈, 냉 소 의 경우는 조직일치도가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고 효능감 감소는 직무일치도가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1 조사대상자 특성 2 결과변수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 검증 3 소진 원인변수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 검증 4 소진 영향요인 검증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71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1 조사대상자 특성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대상자는 총 494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4.38세 이고, 성별은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와 마찬가지로 남자 23.1%(114명), 여자 76.9%(380명)로 여자가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학력은 대졸이 91.5%(452명), 대학원졸 7.9%(39명), 고졸 0.6%(3명)로 나타났으며 평균근 속 년수는 8년, 결혼여부는 미혼 39.9%(197명), 기혼 60.1%(297명)이며 응 답자들의 평균 직급은 7.8급으로 나타났다.

72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변수 구분 빈도(명) 백분율(%) 성별 남 114 23.1 여 380 76.9 최종학력 고졸이하 0 0 고졸 3 0.6 대졸 452 91.5 대학원졸 39 7.9 혼인여부 미혼 197 39.9 기혼 297 60.1 <표 Ⅴ-1> 조사대상자의 특성(사회복지직공무원) (N=494)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73 2 결과변수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 검증 1) 소진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소진 경험에 대한 수준 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Ⅴ-2>와 같다. <표 Ⅴ-2>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 변수-소진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114 2.63 0.56 14.03** 여성 380 2.86 0.59 연령 30세 미만 111 2.87 0.57 9.84** 30세~39세 281 2.87 0.57 40세 이상 102 2.58 0.64 학력 고졸 3 2.80 0.56 8.28** 대졸 452 2.84 0.57 대학원졸 39 2.45 0.74 직급 6급 24 2.35 0.60 7.34** 7급 165 2.78 0.59 8급 186 2.92 0.57 9급 119 2.78 0.58 결혼여부 미혼 197 2.93 0.54 12.57** 기혼 297 2.73 0.62 *p<.05, **p<.01, ***p<.001

7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소진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소진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세 이상으 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과 40세 이 상의 사회복지직공무원간 평균에서 차이 및 30세-39세의 사회복지직공무 원들과 40세 이상의 사회복지직공무원간의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학력별 소진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결과, 이러한 차이는 대졸 및 대학원졸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 간 의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직급에 따른 소진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6급과 다른 모든 급수들 간의 평균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결혼여부에 따른 소진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미혼자가 기혼 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75 2) 감정적 고갈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감정적 고갈 경험에 대 한 수준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Ⅴ-3>과 같다. <표 Ⅴ-3>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 변수-감정적 고갈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114 3.67 0.85 8.17** 여성 380 3.93 0.85 연령 30세 미만 111 3.78 0.91 5.80** 30세~39세 281 3.98 0.81 40세 이상 102 3.67 0.89 학력 고졸 3 3.89 0.84 4.67** 대졸 452 3.90 0.85 대학원졸 39 3.47 0.90 직급 6급 24 3.42 0.90 7.41** 7급 165 3.94 0.82 8급 186 4.01 0.81 9급 119 3.64 0.89 결혼여부 미혼 197 3.90 0.84 .30 기혼 297 3.85 0.86 *p<.05, **p<.01, ***p<.001

76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감정적 고갈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여성이 남 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 과이다. 연령별 감정적 고갈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39세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과 40세 이상의 사회복지직공무원간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 이 밝혀졌다. 학력별 감정적 고갈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 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으며, 사후분석결과, 이러한 차이는 대졸 및 대학원졸의 사회복지직공 무원들 간의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직급에 따른 감정적 고갈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F검 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6급과 7급 및 8급, 7급과 9급, 8급과 9급간의 평균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함이 밝혀졌다. 결혼여부에 따른 감정적 고갈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미혼자 가 기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77 3) 냉소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냉소 경험에 대한 수준 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Ⅴ-4>와 같다. <표 Ⅴ-4>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 변수-냉소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114 2.77 0.73 5.87* 여성 380 2.97 0.81 연령 30세 미만 111 2.97 0.81 4.10* 30세~39세 281 2.97 0.78 40세 이상 102 2.72 0.81 학력 고졸 3 2.83 0.38 5.51** 대졸 452 2.96 0.78 대학원졸 39 2.52 0.86 직급 6급 24 2.40 0.75 5.59** 7급 165 2.90 0.76 8급 186 3.05 0.81 9급 119 2.86 0.78 결혼여부 미혼 197 3.03 0.77 5.87** 기혼 297 2.85 0.81 *p<.05, **p<.01, ***p<.001

78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냉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냉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세 이상으 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39세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과 40세 이 상의 사회복지직공무원간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 졌다. 학력별 냉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결과, 이러한 차이는 대졸 및 대학원졸의 사회 복지 담당 공무원 들 간의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직급에 따른 냉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6급과 7급 및 8급 간의 평균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결혼여부에 따른 냉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미혼자가 기혼 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79 4) 효능감 감소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효능감 감소 경험에 대 한 수준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Ⅴ-5>와 같다. <표 Ⅴ-5>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 변수-효능감 감소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114 1.46 0.68 12.28** 여성 380 1.70 0.63 연령 30세 미만 111 1.87 0.57 17.40** 30세~39세 281 1.65 0.64 40세 이상 102 1.36 0.67 학력 고졸 3 1.67 0.63 4.41** 대졸 452 1.67 0.65 대학원졸 39 1.35 0.67 직급 6급 24 2.40 0.75 10.97** 7급 165 2.90 0.76 8급 186 3.05 0.81 9급 119 2.86 0.78 결혼여부 미혼 197 1.85 0.56 37.32** 기혼 297 1.50 0.67 *p<.05, **p<.01, ***p<.001

80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효능감 감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여성이 남 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효능감 감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분석에 포함된 3개 집단 간의 모든 평 균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학력별 효능감 감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 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으며, 사후분석결과, 이러한 차이는 대졸 및 대학원졸의 사회복지직공 무원들 간의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직급에 따른 효능감 감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F검 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6급과 8급 및 9급 및 7급과 9급간의 평균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 졌다. 결혼여부에 따른 효능감 감소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미혼자 가 기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81 3 소진 원인변수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 검증 1) 직무관련 요구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직무관련 요구 경험에 대한 수준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Ⅴ-6>과 같다. <표 Ⅴ-6>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변수-직무관련 요구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114 3.83 0.54 .98 여성 380 3.89 0.54 연령 30세 미만 111 3.77 0.55 5.40** 30세~39세 281 3.95 0.53 40세 이상 102 3.80 0.56 학력 고졸 3 3.95 0.41 .12 대졸 452 3.88 0.54 대학원졸 39 3.84 0.53 직급 6급 24 3.66 0.68 5.51** 7급 165 3.89 0.53 8급 186 3.97 0.48 9급 119 3.75 0.59 결혼여부 미혼 197 3.82 0.53 3.11 기혼 297 3.91 0.55 *p<.05, **p<.01, ***p<.001

82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직무관련 요구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직무관련 요구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 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 과 30세-39세의 사회복지직공무원간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함이 밝혀졌다. 학력별 직무관련 요구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고졸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직무관련 요구를 경험하고 있으며 대학원 졸이 가장 낮은 수준의 직무관 련 요구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에 따른 직무관련 요구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F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8급과 9 급 간의 평균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결혼여부에 따른 직무관련 요구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혼 자가 미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83 2) 직무관련 자원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직무관련 요구 경험에 대한 수준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Ⅴ-7>과 같다. <표 Ⅴ-7>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변수-직무관련 요구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114 3.56 0.48 .95 여성 380 3.51 0.49 연령 30세 미만 111 3.47 0.48 5.99** 30세~39세 281 3.48 0.49 40세 이상 102 3.67 0.49 학력 고졸 3 3.33 0.88 1.53 대졸 452 3.51 0.49 대학원졸 39 3.64 0.51 직급 6급 24 3.75 0.48 3.02* 7급 165 3.56 0.49 8급 186 3.49 0.46 9급 119 3.45 0.53 결혼여부 미혼 197 3.46 0.48 4.12* 기혼 297 3.55 0.50 *p<.05, **p<.01, ***p<.001

8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직무관련 자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직무관련 자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 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 과 40세 이상의 사회복지직공무원간 평균에서 차이 및 30세-39세의 사회 복지직공무원들과 40세 이상의 사회복지직공무원간 평균에서 차이가 통 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학력별 직무관련 자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대학원졸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이 가장 높은 수준 의 직무관련 자원을 경험하고 있으며 고졸이 가장 낮은 수준의 직무관련 자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직급에 따른 직무관련 자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F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6급과 9 급 간의 평균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결혼여부에 따른 직무관련 자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혼 자가 미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85 3) 조직관련 지원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조직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Ⅴ-8>과 같다. <표 Ⅴ-8>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변수-조직관련 지원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114 2.81 0.47 7.93** 여성 380 2.66 0.49 연령 30세 미만 111 2.74 0.41 7.49** 30세~39세 281 2.63 0.47 40세 이상 102 2.84 0.59 학력 고졸 3 2.72 0.25 .02 대졸 452 2.70 0.49 대학원졸 39 2.68 0.60 직급 6급 24 3.05 0.60 6.15** 7급 165 2.69 0.56 8급 186 2.62 0.43 9급 119 2.75 0.43 결혼여부 미혼 197 2.70 0.43 .04 기혼 297 2.69 0.53 *p<.05, **p<.01, ***p<.001

86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조직관련 지원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 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조직 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 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39세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 과 40세 이상의 사회복지직공무원간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함이 밝혀졌다. 학력별 조직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고졸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조직관련 지원을 경험하고 있으며 대학원 졸이 가장 낮은 수준의 조직관 련 지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에 따른 조직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F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6급과 7 급 및 8급간의 평균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결혼여부에 따른 조직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미혼 자가 기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87 4) 관계 관련 지원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관계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Ⅴ-9>와 같다. <표 Ⅴ-9>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변수-관계관련 지원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114 3.13 0.80 7.81** 여성 380 2.89 0.80 연령 30세 미만 111 3.21 0.71 7.62** 30세~39세 281 2.87 0.80 40세 이상 102 2.88 0.85 학력 고졸 3 3.00 0.43 .01 대졸 452 2.95 0.81 대학원졸 39 2.94 0.76 직급 6급 24 2.98 0.86 8.45** 7급 165 2.87 0.82 8급 186 2.82 0.72 9급 119 3.26 0.82 결혼여부 미혼 197 3.10 0.77 11.38** 기혼 297 2.85 0.81 *p<.05, **p<.01, ***p<.001

88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관계관련 지원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 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관계 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 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 과 30세-39세의 사회복지직공무원 및 40세 이상의 사회복지직공무원 간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학력별 관계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고졸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관계관련 지원을 경험하고 있으며 대학원 졸이 가장 낮은 수준의 관계관 련 지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에 따른 관계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F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9급과 7 급 및 8급간의 평균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결혼여부에 따른 관계관련 지원 경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미혼 자가 기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89 5) 대처 관련 개인역량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개인역량 관련 경험에 대한 수준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Ⅴ-10>과 같다. <표 Ⅴ-10>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변수-개인역량 관련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114 3.47 0.51 5.98** 여성 380 3.33 0.57 연령 30세 미만 3.27 0.55 9.29** 30세~39세 3.32 0.56 40세 이상 3.57 0.55 학력 고졸 3 3.56 0.42 2.16 대졸 452 3.34 0.56 대학원졸 39 3.53 0.59 직급 6급 24 3.65 0.44 4.79** 7급 165 3.44 0.59 8급 186 3.30 0.50 9급 119 3.29 0.60 결혼여부 미혼 197 3.28 0.53 6.87** 기혼 297 3.41 0.58 *p<.05, **p<.01, ***p<.001

90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대처관련 개인역량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 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대처관련 개인 역량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 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 미만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 과 40세 이상의 사회복지직공무원간 평균에서 차이 및 30세-39세의 사회 복지직공무원들과 40세 이상의 사회복지직공무원간 평균에서 차이가 통 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학력별 대처관련 개인역량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 류하여 살펴본 결과, 고졸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대 처관련 개인역량을 가지고 있으며 대졸이 가장 낮은 수준의 대처관련 개 인역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직급에 따른 대처관련 개인역량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F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6급과 8 급 및 9급간의 평균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결혼여부에 따른 대처관련 개인역량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혼 자가 미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났다.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91 6) 부합도 관련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부합도 관련 경험에 대 한 수준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표 Ⅴ-11>과 같다. <표 Ⅴ-11> 사회복지직공무원-인구통계학적변수-부합도 관련 구분 합계 평균 표준편차 F값 성별 남성 114 2.41 0.78 .23 여성 380 2.37 0.79 연령 30세 미만 111 2.42 0.73 6.45** 30세~39세 281 2.28 0.75 40세 이상 102 2.60 0.90 학력 고졸 3 2.33 1.53 .04 대졸 452 2.38 0.78 대학원졸 39 2.35 0.84 직급 6급 24 2.85 0.91 5.21** 7급 165 2.43 0.83 8급 186 2.24 0.74 9급 119 2.42 0.74 결혼여부 미혼 197 2.37 0.72 .00 기혼 297 2.38 0.84 *p<.05, **p<.01, ***p<.001

92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성별에 따른 부합도 지각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부합도 지각에 대한 수준을 30세 미만, 30세-39세 및 40세 이상 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F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30세-39세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과 40이 상의 사회복지직공무원간 평균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 졌다. 학력별 부합도 지각에 대한 수준을 고졸, 대졸 및 대학원졸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대졸의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부합도 지 각을 하고 있으며 고졸이 가장 낮은 수준의 부합도 지각을 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에 따른 부합도 지각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F검증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6급과 8급간의 평균에서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밝혀졌다. 결혼여부에 따른 부합도 지각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기혼자가 미 혼자 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93 7)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검증 결과 요약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차이검증 분석결과를 요약 한 표는 아래<표 Ⅴ-12>와 같다. <표 Ⅴ-12> 사회복지직공무원 연구결과 요약 성차 연령 학력 직급 결혼여부 소진 o o o o o 감정적 고갈 o o o o x 냉소 o o o o o 효능감 감소 o o o o o 직무관련 요구 x o x o x 직무관련 자원 x o x o o 조직관련 지원 o o x o x 관계관련 지원 o o x o o 대처관련 개인역량 o o x o o 부합도 관련 x o x o x o: 통계적 유의미함, x: 통계적 유의미지 하지 않음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 학력을 제외한 대부분의 변수가 소진을 유발하 는 원인변수에 대해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나 이가 적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학력은 대학 졸업자일 경우, 기혼보다 는 미혼일 경우 소진의 수준이 높았다. 직급의 경우, 모든 소진을 유발하 는 원인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평균적으로 사 회복지직공무원 8급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9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8) 사회복지직공무원에 대한 소진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소진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아래 <표 Ⅴ-13> 과 <그림 Ⅴ-1>로 요약하였다. <표 Ⅴ-13> 소진 영향요인(사회복지직공무원) 구분 측정요소 평균 결과 소진 2.8 감정적 고갈 3.9 냉소 2.9 효능감 3.4 원인 조직관련 보상 3.0 공정성 2.6 조직지원(심리적) 2.4 조직지원(물리적) 2.8 직무관련 (요구) 업무과부하 4.3 고객의 부당한 요구 3.8 경제적 어려움 3.8 일·가정 갈등 3.5 직무관련 (자원) 업무 통제감 3.1 업무 중요성 3.9 관계관련 상사지지 2.8 동료지지 3.1 개인관련 정서통제 3.1 문제해결대처 3.6 정서중심대처 3.3 부합관련 조직일치도 2.4 직무일치도 2.4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95 [그림 Ⅴ-1] 소진 영향 요인(사회복지직공무원) (1)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의 소진 수준은 평균 2.81을 나타냈다. (2) 특히 소진의 하위차원 중 직무를 수행하면서 정서적으로 지쳐있음을 나타내는 감정적 고갈 차원에 있어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3) 소진을 유발하는 원인 차원들에 있어서도 소진과 정(+)의 관계를 유 발하는 요인인 직무요구의 경우에 있어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4) 반면 소진을 유발하는 원인 차원들에 있어서도 소진과 부(-)의 관계 를 유발하는 요인들에 있어 특히 부합도 측면에서 상당히 낮은 수 준을 보였다. (5)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의 소진 원인으로는 높은 수준의 직무에 대한 부담과 낮은 수준의 직무, 조직 및 개인 차원의 자원을 가지고 있다고 지각하는 것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96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소진 감정적 고갈 냉소 효능감 감소 B β B β B β B β 상수 4.44 2.71 5.23 5.38 직무관련 요구 .22 .19** .70 .44** .15 .10* -.21 -.17** 직무관련 자원 -.15 -.12** .04 .02 -.20 -.12** -.29 -.22** 4 소진 영향요인 검증 1) 사회복지직공무원에 대한 소진 영향요인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소진의 원인들 간의 중요성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소진 원인들(직무관련 요구, 직무관련 자원, 조직관련 지원, 관계관련 지원, 대처관련 개인역량 및 부합도)’이 소진 및 하위요소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원인들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 계를 검증해주는 각각의 표본들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목적은 본 연구에서 가정하고 있는 6가지의 소진의 원인들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검토하여 전반적인 관계성을 파악하고, 세부분석으 로서 각각의 소진의 원인들의 하위요소들 간에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 기 위함이다. 사회복지직공무원을 대상으로 소진, 감정적 고갈, 냉소 및 효능감 감소 를 각각 준거변수로 설정하고 6개의 원인들을 예측변수로 포함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진의 경우에는 6개의 예측변수들 중 5개, 감정적 고갈의 경우에는 3개, 냉소의 경우에는 5개, 마지막으로 효능감 감소의 경 우에는 5개의 예측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는 <표 Ⅴ-14>에 제시되어 있다. <표 Ⅴ-14> 예측변수의 상대적 중요도 파악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사회복지직공무원)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97 소진 감정적 고갈 냉소 효능감 감소 B β B β B β B β 조직관련 자원 -.21 -.17** -.15 -.08 -.23 -.14** -.24 -.18** 관계관련 자원 .04 .06 -.05 -.04 .02 .02 .15 .18** 개인관련 역량 -.37 -.35** -.23 -.15** -.39 -.28** -.48 -.42** 부합도 -.12 -.16** -.18 -.17** -.15 -.14** -.04 -.04 설명력(R ) .411 .395 .266 .363 F값 62.06** 58.05** 32.21** 50.68** *p<.05, **p<.01 다음 아래 <표 Ⅴ-15>는 예측변수의 상대적 중요도를 1순위부터 순위 별로 나타내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표 Ⅴ-15> 소진의 원인들과 소진간의 관계(사회복지직공무원) 결과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5순위 소진 개인관련 차원 (-.35) 직무관련 요구차원 (.19) 조직관련 차원 (-.17) 부합도 차원 (-.16) 직무관련 자원차원 (-.12) 감정적 고갈 직무관련 요구차원 (.44) 부합도 차원 (-.17) 개인 관련차원 (-.15) - - 냉소 개인관련 차원 (-.28) 부합도 차원 (-.14) 조직 관련 차원 (-.14) 직무관련 자원 차원 (-.12) 직무관련 요구 차원 (.10) 효능감 감소 개인관련 차원 (-.42) 직무관련 자원 차원 (-.22) 관계 차원 (-.18) 조직관련 차원 (-.18) 직무관련 요구 (-.17)

98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1) 사회복지직공무원은 개인관련 차원이 가장 큰 소진을 일으키는 원 인으로 나타남. 개인 관련 차원은 직무상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스킬을 습득하고 있는 사 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간에 차이가 소진을 경험하는데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2) 소진의 하위차원 중 직무수행을 하는 과정에서 정서적으로 지쳐있 음을 나타내는 감정적 고갈을 예측하는데 있어 가장 큰 영향을 주 는 원인은 직무관련 요구차원으로 나타났다. (3) 소진의 하위차원 중 직무수행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직무에 대한 회의감을 반영하는 냉소를 예측하는데 있어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을 반영하는 개인관련 차원이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나타 났으며, 부합도 차원, 관계 차원, 조직관련 차원도 영향을 주는 것으 로 나타났다. (4) 소진의 하위차원 중 직무수행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직무에 대한 성취감을 반영하는 효능감를 예측하는데 있어서는 스트레스에 대 한 대처양식을 반영하는 개인관련 차원과 직무관련 자원 차원이 중 요한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5)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소진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개인 차원의 관리가 요구됨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조직에서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선정 및 활용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 단된다. 2) 사회복지직공무원에 대한 소진 영향요인 세부분석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소진의 원인들 간의 중요성을 살펴보기 위해 먼 저, 사회 복지사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소진 원인들의 하위요소들인 직 무관련 요구(업무과부하, 고객의 부당한 요구, 경제적 어려움, 일가정 갈 등), 직무관련 자원(업무 통제감, 업무 중요성), 조직 관련 지원(보상, 공정 성, 심리적 조직지원, 물리적 조직지원), 관계 관련 지원(상사지지, 동료지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99 지), 개인관련 역량(정서통제, 문제중심적 대처, 정서중심적 대처) 및 부합 도 차원(조직 일치도, 직무일치도)이 소진 및 하위요소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원인들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검증해주 는 각각의 표본들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의 <표 Ⅴ-16>과 같다. 직무요구: 업무과부하, 고객의 부당한 요구, 경제적 어려움, 일가정 갈등 직무관련 자원: 업무 통제감, 업무 중요성 관계관련 지원: 상사지지, 동료지지 개인관련 역량: 정서통제, 문제중심적 대처, 정서중심적 대처 부합도 차원: 조직 일치도, 직무일치도 그리고 아래 <표 Ⅴ-17~22>는 소진 영향요인 세부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소진원인별로 하위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1순위부터 순위별로 나타 내고 이에 대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10 0 ▶ ▶ 경 기도 사 회복 지종 사자 및 사 회복 지직 공무 원의 스 트레 스와 소 진 극복 방안 기 초연 구 소진 감정 적 고갈 냉소 효능 감 감소 B β B β B β B β 직 무 관 련 요 구 상 수 1. 42 8 .4 43 1. 71 5 2. 13 업 무 과 부 하 -.0 2 -.0 3 .2 3 .1 9* * -.1 2 -.1 0* -.1 8 -.2 0* * 부 당 한 요 구 .1 9 .0 3* * .2 6 .0 4* * .1 9 .1 8* * .1 0 .1 2* 경 제 적 어 려 움 .0 6 .0 3 .1 1 .1 0* * .1 1 .1 1* -.0 6 -.0 7 일 ·가 정 갈 등 .1 5 .2 2* * .2 9 .1 9* * .1 5 .1 6* * .0 3 .0 3 설 명 력 (R  ) .1 60 .3 30 .0 97 .0 42 F 값 25 .3 84 ** 32 .4 66 ** 14 .3 79 ** 5. 82 9* * 직 무 관 련 자 원 상 수 4. 32 1 4. 70 8 4. 72 5 3. 53 1 업 무 통 제 감 -.2 5 -.2 6* * -3 2 -2 4* * -.2 2 -.1 7* * -.2 0 -.2 0* * 업 무 증 요 성 -.1 9 -.2 2* * .0 4 .0 3 -.2 9 -.2 5* * -.3 2 -.3 4* * 설 명 력 (R  ) .1 27 .0 55 .0 98 .1 65 F 값 12 .0 33 ** 15 .4 90 ** 29 .2 19 53 .0 26 ** 조 직 관 련 자 원 상 수 4. 37 7 5. 68 4 4. 63 6 2. 80 9 보 상 -.2 5 -.3 0* * -.1 5 -.1 3* * -.2 3 -.2 0* * -.3 7 -.4 0* * 공 정 성 -.0 1 -.0 1 -.1 2 -.0 8 -.0 4 -.0 3 .1 3 .1 3* * 심 리 적 자 원 -.1 2 -.1 5* * -.3 2 -.2 7* * -.1 1 -.1 0* .0 8 .0 8 물 리 적 자 원 -.1 8 -.2 0* * -.1 0 -.0 8 -.2 3 -.1 9* * -.2 1 -.2 1* * <표 Ⅴ -1 6> 사회 복지 직공 무원 의 표본 에 대한 소 진 영향 요인 세 부분 석 결과

Ⅴ . 사 회복 지직 공무 원 조사 결과 분석 ◀ ◀ 1 01 소진 감정 적 고갈 냉소 효능 감 감소 B β B β B β B β 설 명 력 (R  ) .2 41 .1 77 .1 52 .1 98 F 값 42 .4 51 28 .8 31 ** 24 .0 09 ** 32 .9 45 ** 관 계 관 련 지 원 상 수 3. 29 2 4. 68 2 3. 49 4 1. 70 0 상 사 지 지 -.0 6 -.0 9 -.1 6 -.1 9* * -.0 6 -.0 8 .0 6 .0 9 동 료 지 지 -.1 0 -.1 6* * -.1 2 -.1 2* -.1 3 -.1 4* * -.0 7 -.1 0 설 명 력 (R  ) .0 47 .0 71 .0 37 .0 09 F 값 13 .1 29 20 .3 66 ** 10 .2 46 ** 2. 41 2 개 인 역 량 관 련 상 수 4. 44 4 4. 74 6 4. 91 2 3. 67 3 정 서 통 제 -.1 3 -.1 4* * .1 2 .0 9* -.1 6 -.1 3* * -.3 5 -.3 5* * 문 제 중 심 적 대 처 -.0 2 -.0 3 .0 2 .0 2 -.1 0 -.0 9* .0 1 .0 1 정 서 중 심 적 대 처 -.3 5 -.4 6* * -.4 5 -.4 0* * -.3 6 -.6 4* * -.2 6 -.3 1* * 설 명 력 (R  ) .2 71 .1 51 .1 80 .2 68 F 값 66 .3 65 ** 31 .7 23 ** 39 .1 90 ** 65 .3 74 ** 부 합 도 상 수 3. 47 0 4. 89 4 3. 64 1 1. 87 6 조 직 일 치 도 -.0 8 -.1 2* -.1 6 -.1 7* * -.0 9 -.1 0* .0 03 .0 04 직 무 일 치 도 -.2 0 -.3 1* * -.2 7 -.3 0* * -.2 2 -.2 6* * -.1 0 -.1 5* * 설 명 력 (R  ) .1 51 .1 65 .1 01 .0 21 F 값 47 .6 75 ** 53 .0 83 ** 30 .0 32 ** 5. 86 4* * *p < .0 5, * *p < .0 1

102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1) 직무요구 관련 차원 <표 Ⅴ-17> 직무관련 요인 결과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소진 부당한 요구(.24) 일․가정 갈등 (.22) - - 감정적 고갈 일․가정 갈등(.19) 양적 과부하 (.19) 부당한 요구 (.04) 경제적 어려움 (.10) 냉소 부당한 요구(.18) 일가정 갈등 (.16) 경제적 어려움 (.11) 양적 과부하 (-.10) 효능감 감소 양적 과부하(-.20) 부당한 요구 (.12) - -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직무요구관련 차원에서는 고객의 부당한 요구와 일·가정 갈등이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객의 요구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고객응대 매뉴 얼 및 갈등관리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며, 또한 조직 구 성원들의 복지 차원에서 조직차원에서 종업원 지원제도의 도입의 필요성 을 제시하는 것이다.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103 (2) 직무자원 관련 차원 <표 Ⅴ-18> 직무자원 관련 요인 결과 1순위 2순위 소진 업무 통제감(-.26) 업무 중요성 (-.22) 감정적 고갈 업무 통제감(-.24) - 냉소 업무 중요성(-.25) 업무 통제감 (-.17) 효능감 감소 업무 중요성(-.34) 업무 통제감 (-.20) 직무자원 관련 요인 중에서는 업무 통제감 및 업무 중요성이 중요한 영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소진의 핵심요소인 감정적 고갈을 예 측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업무 통제감이 중요한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효 능감 감소에 있어서는 업무 중요성이 중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10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3) 조직관련 차원 <표 Ⅴ-19> 조직관련 요인 결과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소진 보상 (-.30) 물리적 조직지지 (-.20) 심리적 조직지지 (-.15) - 감정적 고갈 심리적 조직지지 (-.27) 보상 (-.13) - - 냉소 보상(-.20) 물리적 조직지지 (-.19) 심리적 조직지지 (-.10) - 효능감 감소 보상(-.40) 물리적 조직지지 (-.21) 공정성 (.13) - 조직관련 요인 중에서는 보상/급여가 가장 큰 소진을 일으키는 원인으 로 나타났으며 또한 조직의 심리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감정적 고갈을 유 발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105 (4) 관계 관련 차원 ② 관계관련 요인 (사회복지직공무원) <표 Ⅴ-20> 관계관련 요인 결과 1순위 2순위 소진 동료지지(-.16) - 감정적 고갈 상사지지(-.19) 동료지지 (-.12) 냉소 동료지지(-.14) - 효능감 동료지지(-.10) - 사회복지직공무원은 동료지지가 상사지지 보다 소진을 감소시키는 주 요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소진의 하위차원인 냉소와 효능감 감소와 관련해 서는 상사지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06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5) 개인관련 차원 <표 Ⅴ-21> 개인관련 요인 결과 1순위 2순위 3순위 소진 정서통제(-.46) 문제중심 대처 (-.14) 감정적 고갈 정서통제(-.40) 문제 중심 대처 (.10) 냉소 정서통제(-.64) 문제 중심 대처 (-.13) 정서 중심 대처 (-.09) 효능감 감소 문제 중심 대처(-.35) 정서통제 (-.31) 사회복지직공무원은 정서통제 및 문제 중심 대처전략의 활용이 소진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소진의 하위차원인 소진과 냉소 에 있어서는 경험하는 정서에 대한 통제가 중요한 예측 요인지만, 다른 하위 차원인 효능감 증진의 경우에는 문제중심 대처 전략의 사용이 가장 중요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Ⅴ.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사결과분석 ◀◀ 107 (6) 부합도 관련 차원 <표 Ⅴ-22> 부합도 관련 요인 결과 1순위 2순위 소진 직무 일치도(-.31) 조직 일치도 (-.12) 감정적 고갈 직무 일치도(-.29) 조직 일치도 (-.17) 냉소 직무 일치도(-.26) 조직 일치도 (-.10) 효능감 감소 직무 일치도(-.15) 부합도 관련 차원이 소진 및 소진의 하위요인을 예측하는 경우에 있어 사회복지직공무원은 직무 일치도가 조직 일치도 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합도 관련 차원이 효능감 감소를 예측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직무일치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요약 및 정책제언 1 연구요약 2 정책제언

Ⅵ. 요약 및 정책제언 ◀◀ 111 Ⅵ 요약 및 정책제언 1 연구요약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이 경험 하는 소진의 수준과 원인들을 파악하고, 교육 훈련과 같은 제도적 시사점 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설문조사는 경기도 지역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각각 184명과 494명이 설 문조사에 참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진의 수준에 있어서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이 사회복지종사자보다 높 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은 사회복지종사자에 비해서 소진의 하위차원인 감정적 고갈, 냉소 및 효 능감 감소 차원 모두에서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소진의 전체점수에서는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 모두 소진의 핵심차원인 감정적 고갈 수준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높은 수준

112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진의 다른 차원들은 감정적 고갈 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진의 과정인 감정적 고갈 -> 냉소 -> 효능감 감소에 있어 두 집단 모두 소진의 초기단계에 있음을 말해준다. 또한 경기도내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소진의 하위 차원 중 감정적 고갈의 수준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종사자 관련 소진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다수의 국내 논문 들을 검토하고, 이를 표 <표 Ⅳ-1>에 제시하였다. 문헌 조사결과, 사회 복지종사자에 비해 사회복지직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1편에 불 과했다. <표 Ⅳ-1>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감정적 고갈의 수준은 2.69-3.32, 냉소의 수준은 1.47-2.25, 효능감 감소의 수준은 1.44-3.57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복지직공무원의 경우에는 비록 1편의 연구이기는 하지만, 감정적 고갈과 냉소 수준에서 사회복지종사자보다 높게 나타 났다. <표 Ⅳ-1>에서 볼 수 있듯이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의 경우에는 감정적 고갈 측면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사회복지직공무원의 경우에는 감정적 고갈 및 냉소 모두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 한 점에서 볼 때, 특히 사회복지직공무원의 경우에는 소진에 대한 조 직차원의 개입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표 Ⅵ-1> 소진 수준비교 연구대상 감정적 고갈 냉소 효능감 감소 노인장기요양보호인력 (2011) 2.69 2.25 2.45 사회복귀시설인력 (2011) 2.70 2.13 2.48 지역아동센터종사자 (2010) 2.71 2.02 2.29 노인의료복지시설 간병인(2006) 3.32 2.16 3.57 정신보건사회복지사 (2009) 2.77 1.47 1.44 사회복지직공무원(2007) 3.39 2.67 2.49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본 연구) 3.4 2.5 2.9 경기도 사회복지직공무원 (본 연구) 3.9 3.7 3.4

Ⅵ. 요약 및 정책제언 ◀◀ 113 3) 소진에 영향을 주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검토한 결과, 사회복지 종사자의 경우에는 연령과 학력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연령과 학력이 높을수록 소진의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소진의 하위 요소와의 관련성에 있어는 다소 다른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감정적 고갈, 냉소 및 효능감 감소 모두 연령이 낮은 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력의 경우에 있어서는 감정적 고갈과 냉소에서는 차이가 없고, 효능감 감소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는데 학 력이 높을수록 효능감 감소가 낮은 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소진에 영향을 주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검토한 결과, 사회복지 직공무원의 경우에는 성차, 연령, 학력 및 직급에 있어서 차이를 나 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연령, 학력 및 직급이 높을수록 또한 남 성이 소진의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성은 소진의 하위 구성요소와의 관계에서도 거의 같은 패턴으로 나타났다. 한 가 지 예외는 소진에 있어서는 성차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소진에 영향을 주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검토한 결과, 사회복지종 사자 표본에서 고용형태, 서비스 제공형태 및 서비스 대상에 따른 소 진 및 소진의 하위 구성요소에 있어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다. 6) 소진에 영향을 주는 6가지 원인들에 대한 사회복지종사자와 사회복 지직공무원간의 차이를 검토한 결과,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이 사회복 지종사자들보다 소진을 증가시키는 요인(직무요구)에 있어 높은 수 준을 보이고 소진을 감소시키는 요인들(직무자원, 조직지원, 관계지 원, 개인역량 및 부합도 지각)에 있어 낮은 수준을 보였다.

11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7) 소진에 영향을 주는 6가지 원인들에 대한 중요도를 검토한 결과, 사 회복지종사자와 사회복지직공무원 모두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와 같은 개인역량이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소진의 하위 차 원으로 볼 때 감정적 고갈의 경우에 있어서는 직무관련 요구가 가장 중요한 원인이었지만, 다른 두 가지 차원(냉소, 효능감 감소)의 경우 에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와 같은 개인역량이 가장 중요한 원인으 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관련 요구에 의해서 소진이 발생하더라도 개 인차원의 역량강화와 같은 교육을 통해서 감정적 고갈의 과정에서 냉소와 효능감 감소로 발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말해준다. 8) 소진에 영향을 주는 6가지 원인들의 세부요소의 중요도를 검토한 결과, 사회복지종사자는 직무요구의 내용 중 일가정 갈등이 소진, 감정적 고갈 및 냉소를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능감 감소에 있어서는 고객들의 부당한 요구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복지직공무원의 경우에는 소진과 냉 소에 있어서는 고객의 부당한 요구가 가장 중요한 원인이며, 감정 적 고갈에 있어서는 일가정 갈등, 효능감 감소에 있어서는 양적 과 부하가 중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간단히 말하면, 사회복지종사자 의 경우에는 일가정 갈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원인이며 사회 복지 담당공무원의 경우에는 고객의 부당한 요구가 중요한 원인으로 나 타난 것이다. 이는 조직차원에서 종업원 지원제도(EAP)의 도입과 불유쾌한 고객을 응대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말해 주는 결과이다. 9) 소진에 영향을 주는 6가지 원인들의 세부요소의 중요도를 검토한 결 과, 사회복지종사자와 사회복지직공무원 모두에서 직무자원인 업무 통제감과 업무 중요성에 대한 지각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는 소진 감소를 위해 조직차원에서 자신의 업무의 중요도를 인식하 게 하고 직무수행시에 의사결정 권한 부여와 같은 자율성에 대한 고

Ⅵ. 요약 및 정책제언 ◀◀ 115 려를 해야 함을 말해준다. 10) 소진에 영향을 주는 6가지 원인들의 세부요소의 중요도를 검토한 결 과, 사회복지종사자와 사회복지직공무원 모두에서 조직 지원의 측면 중 보상의 적절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이 개인의 복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심리적 조직지지는 두 집단 모두에서 소진의 핵심차원인 감정적 고갈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 났다. 반면 조직이 업무에 필요한 도구나 장비와 같은 것을 지원하는 물리적 지지의 경우에는 사회복지직공무원에게만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진 감소를 위해 조직차원에서 금전적인 보상도 중 요하지만 자신이 조직으로부터 인정 및 관심을 받고 있다는 조직차원 의 지원을 인식하도록 하는 정책의 필요성을 말해준다. 11) 소진에 영향을 주는 6가지 원인들의 세부요소의 중요도를 검토한 결과, 사회복지종사자는 동료 및 상사와의 관계 중 동료와의 관계 가 소진, 감정적 고갈, 냉소 및 효능감 감소에 있어서 상사와의 관 계보다 더 중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복지직공무원의 경우에는 소진의 핵심차원인 감정적 고갈에 있어서 사회복지종사 자와는 다르게 상사와의 관계가 중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진 감소를 위해 조직차원에서 팀빌딩과 같은 조직개발의 필요성 을 말해주며, 사회복지종사자와 사회복지직공무원에 대해서 교육 내용에 있어 다소의 차별성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12) 소진에 영향을 주는 6가지 원인들의 세부요소의 중요도를 검토한 결과, 사회복지종사자와 사회복지직공무원 모두에서 개인차원의 역량 측면 중 정서통제와 문제 중심 대처가 소진, 감정적 고갈, 냉 소 및 효능감 감소에 효과적인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진 감소 를 위해 조직차원에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대처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의 도입의 필요성을 말해준다.

116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13) 소진에 영향을 주는 6가지 원인들의 세부요소의 중요도를 검토한 결과, 사회복지종사자와 사회복지직공무원 모두에서 부합도 지각 차원인 조직 일치도 및 직무 일치도가 소진, 감정적 고갈, 냉소 및 효능감 감소에 효과적인 원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 복지사의 경우에는 소진, 감정적 고갈 및 냉소와 관련해서 조직 일치도가 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직공무원의 경우에는 직무 일치도가 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효능감 감소와 관련 해서는 직무 일치도가 두 집단 모두에서 조직 일치도 보다 중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2 정책제언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시할 수 있는 조직차원의 대처방 안들이다. 1) 스트레스 감시(Stress audit) 제도의 도입이다. 스트레스 감시는 조직 의 스트레스 분위기를 알아내기 위한 기법으로서, 종업원 각자의 스 트레스 점수를 통해 직업 단위(unit)와 업장(location) 간의 비교를 하 는 방식을 사용한다. 유사한 사례로 영국 정부의 경우, 공공분야 공 공서비스 프로그램 2007-2008 Public Service Program(PSP)을 실시, 일 과 관련된 스트레스로 인한 위험 군을 규명하기 위한 ‘감독 도구 (The inspection tool)’인 지표를 개발하여 각 공공부문(교육소방, 경 찰, 보건, 교정 등) 그에 대한 정신 및 신체적 건강을 평가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대처 방법을 국가적 차원에서 강구하고 있다. 또한, 2004년 1월부터 실시된 모니터링을 통해 국가의료서비스기관 인 NHS(National Health Service)로부터 질 높은 건강관리를 보장 받 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미국의 Sears, IBM, AT & T와 같은 유수한

Ⅵ. 요약 및 정책제언 ◀◀ 117 기업들은 이미 1950년대에 조직 분위기 설문, 태도 설문, 의견 조사 와 같은 이름으로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설문 들은 그 내용상 개인적인 대처 능력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직무 환경에서의 위협 요인과 같은 조직 차원에 관심을 두는 추세로 변화 하고 있다. 스트레스 감시를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다 음의 사항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첫째는 익명성으로서, 조사는 직장에서 일하는 시간에 실시되어야 하고 익명성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둘째는 연속성으로서, 조사는 시점에 따른 비교가 가능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실시되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축적된 자료는 개 인별 스트레스 경험의 변화 뿐 아니라 조직 내 각 부서들의 변화를 함께 파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후속적인 교 육훈련 프로그램의 도입과 같은 조직 차원의 개입의 기초자료로 사 용될 수 있다. 셋째는 상세성으로서, 조사는 현직에 종사하는 사람 들이 공감할 수 있는 정도로 상세하게 만들어져야 한다. 넷째는 규 준성으로서, 비교 대상을 선정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는 피드백 으로서 조사 결과는 각 종업원들에게 통보되어야 하며 추후에 내용 에 대해서 충분한 토론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은 관심으로서, 경영진은 이러한 과정에 대해 충분한 관심을 보여야 한다. 종업원의 의견이 의사결정 과정에 반영되지 않고 권위적 조직의 경직성을 해 결하기 위해서는 조직에 제도개선제도를 만들어서 제안한 내용 중 채택된 제안은 포상하고 최대한 정책에 반영하고 반영되지 않은 부 분은 본인에게 통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스트레스 감시제도를 실제 운영하는데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소진과 관련된 결정적인 영역이 무엇인가? ∙ 조직 전체의 일관된 패턴인가, 조직 내부의 하위부서마다 다른 패턴 인가? ∙ 어떤 관리 과정(리더십 등)이 소진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최선의 수단을 제공 하는가?

118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2) 조직차원의 대처방안은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확충이다. 본 연구결 과, 경기도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은 고객과의 민원처리에 어려움을 다른 스트레스 보다 더 높게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교육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먼저 민원처리의 어려움 과 관련해서는 가장 필요한 조직 차원의 대응방안은 대인관계 기술 (interpersonal skill)에 대한 훈련이라고 볼 수 있다. 많은 경우 대인관 계 기술은 종업원들이 당연히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 문에 이것이 하나의 능력 또는 기술로 여겨지지는 않는 것 같다. 이 로 인해 종업원들에 대한 많은 훈련 및 교육 프로그램들은 직무 기 술이나 지식 획득 위주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 대인관계 기술에 대한 훈련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도 나타났듯이 이 러한 대인관계 기술의 미숙으로 인해 많은 상황에서 문제가 초래되 고 잇다. 대인관계 스킬 향상을 위해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가운 데 하나는 분노관리(anger management) 프로그램이다. 이 기법은 자 신에게 분노나 짜증을 유발하는 대상에 대해 생기는 분노 및 정서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이에 따라 갈등의 소지가 될 수 있는 원인을 사전에 제거한다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3) 조직차원의 대처방안은 고객 또는 민원인 응대 요령에 대한 매뉴얼 을 만들 필요가 있다. 특히 사회복지직공무원의 경우에는 민원인들 의 부당한 요구가 주요 스트레스 원인이며 이에 대한 상당한 고통을 경험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민원인의 다양한 행동에 대한 응 대 요령을 매뉴얼화 하여 입직 초기에 오리엔테이션 시 충분한 교육 을 통하여 적응토록하며 필요시 수시로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특 히 매뉴얼에는 부당한 고객의 요구를 거절 하는 방법도 함께 포함 되어야 한다. 이와 병행하여 고객 지향 마인드에 대한 교육이 필요 하다. 직원들에게 고객 만족 교육을 통하여 서비스 지향 정신을 함 양하여, 직원들이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고객 지 향적 마인드가 이 직종에서 가장 요구되는 역량임을 강조하고 우수

Ⅵ. 요약 및 정책제언 ◀◀ 119 사례를 발굴하여 포상하며 승진기회 부여하는 것이다. 고객 만족 교 육 시 구체적인 훈련방법으로서는 역할연기를 통해 개인이 직접 경 험토록 해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4) 조직차원의 대처방안은 종업원 지원제도(Employee Assitance Program) 의 도입이다. 이는 기업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 하여 상담, 컨설팅, 코칭, 서비스 연계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근본적 해결 방안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기업복리후생 제도를 말한다. 이 러한 제도를 통해 근로자에게는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직장과 가정 생활을 원만하게 영위할 수 있게 하며, 자기계발을 지 원함으로써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 또한 조 직의 입장에서는 조직 구성원의 화합에 기여하고, 이직률을 줄이며, 복리후생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 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업원 지원제도의 내용은 직장부문(직무스트 레스, 이직 및 전직 지원등), 개인부문(건강관리, 신용관리등), 가정 부문(부부관계, 자녀양육등)등과 같이 개인생활 전체의 삶의 질 향 상과 관련된 이슈들을 포함하고 있다. 원래 EAP는 1930년대 미국에 서 직장내 알코올 중독 방지프로그램으로 시작되어 알코올 문제 이 외에도 업무성과를 떨어뜨리는 모든 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 지원 하는 제도로 발전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기업에서 스트레스 및 정 신건강 문제가 심화되어 이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1999년 Dupont Korea에서 도입하여, 유한킴벌리, 한국IBM, SK에너 지 등의 600여개 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다. 또한 공공조직에서는 근 로복지 공단에서 희망드림 근로복지넷(http://www.workdream.net)에 서 무료로 EAP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5) 웰니스 프로그램의 도입의 필요성이다. 위에서 제시한 EAP와 유사 하게 민간 기업에서는 웰니스 프로그램의 도입에 관심을 가지고 있 다. 이 프로그램은 조직 구성원들이 건강을 증진시키는 행동을 하도

120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록 유도하여 건강한 조직을 이루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 장 첫 번째 단계로 조직 구성원들에게 건강관련 정보를 전달해 줌으 로써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것이다. 실례로 펩시는 ‘Fit for Life’라는 워크샵을 통해 먼저 워크샵 참가자들에게 자신의 건강상 태에 대한 점검을 하고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다음 단계 에서는 자신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팀을 제시하며, 마지막 단계에서는 건강 전담 코칭을 통해 지속적으로 건강을 점검 하도록 하게 하고 있다. 인텔의 경우는 인센티브와 연결시켜 조직 구성원들에게 운동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체중, 혈압, 콜레스테 롤등의 수치를 낮추면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조직 구성원들 의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6) 심리적 코칭의 필요성이다. 소진에 영향을 주는 6가지 원인들에 대 한 중요도를 검토한 결과, 사회복지종사자와 사회복지직공무원 모 두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와 같은 개인역량이 가장 중요한 원인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같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 하더라고 개인이 자신이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소진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심리적 코칭은 심리적으로 문제가 있 는 사람이 아닌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정신과, 임 상 및 상담 심리와는 구분이 되는 것이다. 심리적 코칭을 통해 개인 의 스트레스 역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즉흥적이 아닌 심리학적 인 모델을 근거로 개인의 스트레스 대처역량을 증가시킨다. 이는 긍 정심리학, 학습심리 및 인지행동 치료와 같은 심리학의 주요 이론을 응용하여 정상적인 사람을 대상으로 일과 일상생활에서 이들의 복 지와 근로 의욕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7) 동료 수퍼바이저를 양성․배치하여 자조집단을 조직․ 활성화할 필요 가 있다. 일본 히가시오사카시의 경우 복지사무소를 중심으로 7명당 1인의 상급자를 수퍼바이저로 지정하여 자체적으로 월 1회 정도 교육

Ⅵ. 요약 및 정책제언 ◀◀ 121 을 하고, 또 업무에 대한 지도와 조언, 고충 상담을 실시하고 있다. 동 료 및 상사의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탈진이 감소하는 것 연구결과로 보았을 때, 수퍼바이저의 배치는 그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사회복지직공무원 조직 내의 슈퍼바이저 위촉을 위해서는 6급 등 상급자를 대상으로 슈퍼바이저 양성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이들 은 커뮤니케이션, 코칭, 스트레스 관리법 등소정의 교육을 이수하고, 하급자들에게 올바른 직무환경을 조성하여 주고 업무의 적응도를 높 일 수 있는 슈퍼바이저의 자격을 부여한다. 또한 슈퍼바이저의 질적 인 면을 고려하여 교육 후 자격 요건2)을 갖춘 슈퍼바이저는 일정기간 이 경과한 후 평가를 통해 그 자격을 유지 혹은 상실할 수 있는 슈퍼 바이저 승강제 도입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의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 식 변화가 필요하다. 실제로 본 연구를 위한 포커스그룹인터뷰에서도 나타났듯이 교육 참가와 관련해서도 상급자 혹은 동료들의 눈치를 봐 야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자조집단이 뿌리를 내리는 것은 매우 힘들 것이라고 사료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완화를 위한 슈퍼바 이저 모임(가칭)에 참여하는 것이 하나의 휴식이라기보다는, 앞으로 의 업무에 활력을 더 할 수 있다는 즉, 스트레스 관리가 일의 연장선 상에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슈퍼바이저의 양성 ․ 배치는 형식적이며 시간을 채우기 위한 모임이 아니라 실제적 으로 소진을 완화할 수 있는 제도로 정착되어져야 할 것이다. 8)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종사자의 처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임금은 자 본주의 제도에서 주요한 소득원이며 임금수준에 따라 직무에 대한 만 족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종사자의 소진을 감소하고 직 무만족도를 높여 휴먼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금전적 보 상에 대해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2) 자격 요건을 갖춘 슈퍼바이저에 한해서는 수당 등을 지급하여 책임의식고양, 자발적 인 참여를 위한 유인책을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 123 강현아, 노충래, 박은미, 신혜령(2008).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 소 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Vol. 60(8), 107-127. 김이영, 박순미, 배성우 (2011). 사회복귀시설 종사자들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 인의 탐색,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7(4), 117-144. 신강현 (2003).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 소진 척도(MBI-GS)에 대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6(3), 1-17. 신혜진, 김창대 (2002). 스트레스 대처 전략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상 담 및 심리치료, 14(4), 919-935. 엄명용 (2003). 사회복지기관의 ‘숨은 규칙’확인 및 그 영향력 측정을 통한 사회복지 실천 내실화 방안, 한국사회복지학, Vol. 52, 2003.2. pp 171-200. 이명신(2004). 사회복지사의 소진과정모델 -직업관련 스트레스 요인, 직무스트레스 와 전문직 효능성에 의한 소진 경로분석-, 한국사회복지학, Vol. 56, No.4, 2004. 11, pp. 5-34. 이주재 (2011). 노인장기요양보호 인력의 소진 예측 요인. 한국노년학, 31(1), 97-109. 전석균 (2009).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슈퍼비전이 직무환경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8, 106-134. 정익중, 이경림, 이정은 (2010).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소진이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 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205-234. 최명민, 현진희, 전혜성(2005), 의료사회복지사를 소진으로부터 보호하는 요인은 무 엇인가, 한국사회복지학, Vol. 57, No. 4, 2005.11, pp. 343-370. 탁진국, 윤해진 (2002).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원 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197-210. 황선영, 박경숙 (2007). 사회복지직공무원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특성, 작 업환경특성, 전문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9, 339-369. Allen, T. D., Herst, D. E. L., Bruck, C. S., & Sutton, M. (2000).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to-family confict: A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 278–.308. Bradley, H. (1969). Community-based treatment for young adult offenders. Crime and Delinquency, 15, 359-370. Billings, A. G., & Moos, R. H. (1981).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 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2), 139-157. 참고문헌

12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Cherniss, C. (1987), Staff burnout: Job stress in the human service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Cordes, C.L., & Dougherty, T.W. (1993). A review and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4), 621-656. Cropanzano, R., Howes, J.C., Grandey, A.A., & Toth, P.(1997). The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upport to work behaviors, attitudes, and stres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8, 159-180. Demerouti, E., Bakker, A.B., Nachreiner, F., & Schaufeli, W.B. (2001). The job demands- 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 499-512. Eisenberger, R., Huntington, R., Hutchison, S., & Sowa, D.(198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1, pp. 500-507. Folkman, S. & Lazarus, R. S. (1980). "An analysis of coping in middle-age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 219-239.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 159-165. Greenhaus, J. H., & Beutell, N. J.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 1), 76-88. Hobfoll, S.E. & Freedy, J. (1993). Conservation of resources: A general stress theory applied to burnout. In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115-129, Washington, DC: Taylor & Francis. Jackson, S.E., Schwab, R.L & Schuler, R.S (1986).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burnout phenomen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 630-640. Koeske, G.F., & Koeske, R.D. (1989). Construct validity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A critical review and reconceptualization. Journal of Applied Behavioural Science, 25, 131-144. Lazarus, R.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Lee, R. T., & Ashforth, B. E. (1996). A meta-analytic examination of the correlates of the three dimensions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 123-133. Leiter, M. P. (1991). Coping patterns as predictors of burnout: The function of control and escapist coping patter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2, 123-144. Maslach, C. (1978). The client role in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 34, 111-124. Maslach, C. (1982). Burnout: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In The Burnout Syndrome ed J. W. Jones, 30-53. Maslach, C., Jackson, S.E., & Leiter, M. (1996).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3r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Maslach, C., Schaufeli, W.B., & Leiter, M.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참고문헌 ▶▶ 125 Schaufeli, W.B. & Bakker, A.B. (2004).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 293-315. Schaufeli, W.B., & Buunk, B. P. (1996). Professional burnout, In M. J. Schabracq, J. A. M., Winnububst, & Cooper, C. L. (Eds.), Handbook of Work and Health psychology, 513-527. New York: Wiley. Schaufeli, W.B. & Enzmann, D. (1998). The burnout companion to study & practice, Taylor & Francis. Wayne, S. J., Shore, L. M., & Liden, R. C.(1997).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der-member exchange: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 Vol. 40(1), 82-111. Zohar, D. (1997). Predicting burnout with a hassle-based measure of role demand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8, 101-115.

부 록 1 연구설문지(사회복지종사자) 2 연구설문지(사회복지직공무원) 3 심층면접 설문지 4 심층면접 결과

Ⅶ. 부 록 ◀◀ 129 <부록-1> 연구설문지(사회복지종사자) No. 본 조사의 내용은 통계법 제 8 조에 의거 비밀이 보장되며, 통계목적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 설 문 지 ❖ 안녕하세요? 본 설문은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연 구󰡕를 위해 사회복지종사자의 스트레스와 소진에 관한 조사를 그 목 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여러분께서 제시하여 주신 의견과 정보는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을 제시함에 있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 될 것이며 추후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스트레스와 소진 완화 교육프로 그램 개발에도 사용될 것입니다 바쁘시더라도 경기복지재단과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의 발전을 위해 귀하의 소중한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기복지재단 일동 담당자: 경기복지재단 역량개발팀 신재은 E-MAIL : plaisir1007@ggwf.or.kr TEL : 031) 267-9356

130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문 항 전혀 그렇 지 않다 별로 그렇 지 않다 보통 이다 다소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직장에서 늘 할 일이 많다. 1 2 3 4 5 2 정상적인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민원 처리사항이 부당하다고 대상자가 이의를 제기한다. 1 2 3 4 5 3 처리가 안 되는 사항을 충분히 설명해도 사회복지사의 불친절로 인식한다. 1 2 3 4 5 4 대상자들의 요구는 종종 터무니없을 때가 있다. 1 2 3 4 5 5 일부 대상자들은 항상 특별한 대우를 해주길 요구한다. 1 2 3 4 5 6 조직 내 결정의 공정성에 관한 의문을 효과적으로 제기할 수 있는 절차가 있다. 1 2 3 4 5 7 조직의 결정과정에 특정 집단이나 특정인에 대한 편파가 존재한다. 1 2 3 4 5 8 조직으로부터의 지원이 공정하게 할당되고 분배된다. 1 2 3 4 5 9 업무에 대해서 적절한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1 2 3 4 5 10 일하는데 필요한 것들을 회사에 요청할 수 있다. 1 2 3 4 5 11 직무수행 시 내가 일하는 방식은 스스로 정할 수 있다 1 2 3 4 5 12 업무수행 시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다. 1 2 3 4 5 13 내가 하고 있는 업무는 적절히 평가받고 있다. 1 2 3 4 5 14 근속 년수에 비하여 박봉으로 가정생활이 어렵다. 1 2 3 4 5 15 타 기업체와 보수 비교 시 많은 차이로 자존심이 상할 때가 있다. 1 2 3 4 5 16 맡은 직무가 힘들 때 나는 나의 상사에게 의지할 수 있다 1 2 3 4 5 17 어려운 상황을 다룰 때, 나의 상사는 나를 도와줄 것이다 1 2 3 4 5 ◈ 다음은 직장생활에 관한 질문들입니다. 귀하의 생각과 일치하는 곳에 ✔표를 해주십시오.

Ⅶ. 부 록 ◀◀ 131 문 항 전혀 그렇 지 않다 별로 그렇 지 않다 보통 이다 다소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8 맡은 직무가 힘들어 졌을 때, 나는 나의 동료에 의지할 수 있다 1 2 3 4 5 19 어려운 상황을 다룰 때, 나의 동료는 나를 도와줄 것이다 1 2 3 4 5 20 기관은 진정으로 조직 구성원의 복지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 1 2 3 4 5 21 기관은 조직 구성원의 목표와 가치를 중요하게 고려한다. 1 2 3 4 5 22 내가 특별한 지원을 바랄 때, 기관은 기꺼이 나를 도울 것이다 1 2 3 4 5 문 항 전혀 그렇 지 않다 별로 그렇 지 않다 보통 이다 다소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23 기관은 직무가 할당되는데 필요한 정보(감독관, 동료, 복지 대상자, 기관의 규칙, 정책, 진행과정 등으로부터)를 제공해준다 1 2 3 4 5 24 기관은 직무 수행에 필요한 구체적인 도구, 장비를 제공해준다 1 2 3 4 5 25 기관은 직무에 필요한 훈련과 사전 교육을 제공한다 1 2 3 4 5 26 나의 업무는 업무결과가 다른 사람의 업무 생활, 복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1 2 3 4 5 27 나의 업무는 성공적 수행 여부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영향을 받게 되는 업무이다 1 2 3 4 5 28 나의 업무 자체는 보다 큰 틀에서 보면 매우 중요하다 1 2 3 4 5 29 (기쁨이나 즐거움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더 느끼고 싶을 때, 나는 생각하는 것을 바꿀 수 있다 1 2 3 4 5 ◈ 다음은 직장생활에 관한 질문들입니다. 귀하의 생각과 일치하는 곳에 ✔표를 해주십시오.

132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문 항 전혀 그렇 지 않다 별로 그렇 지 않다 보통 이다 다소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36 (직장에서 어려운 일을 경험하면)무엇을 할지 결정하기 전에 가능한 해결책을 모두 생각한다 1 2 3 4 5 37 (직장에서 어려운 일을 경험하면)충동적으로 행 동하기보다는 문제해결을 위해 신중하게 행동 계획을 세우려고 노력한다. 1 2 3 4 5 38 내가 맡은 일을 하는데 있어서 심적으로 지쳐있음을 느낀다 1 2 3 4 5 39 아침에 일어나서 출근할 생각만 하면 피곤함을 느낀다 1 2 3 4 5 문 항 전혀 그렇 지 않다 별로 그렇 지 않다 보통 이다 다소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30 (슬픔이나 분노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덜 느끼고 싶을 때, 나는 생각하는 것을 바꿀 수 있다 1 2 3 4 5 31 내가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한 생각을 바꿈으로써 나의 정서를 통제할 수 있다 1 2 3 4 5 32 (직장에서 어려운 일을 경험하면) 가까운 사람들에게 감정을 털어놓는다 1 2 3 4 5 33 (직장에서 어려운 일을 경험하면) 주위사람들에 게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조언을 구한다 1 2 3 4 5 34 (직장에서 어려운 일을 경험하면) 문제에 대해 말 하는 것이 기분이 나아지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 에 다른 사람들에게 내가 겪은 문제 상황을 이야 기한다 1 2 3 4 5 35 (직장에서 어려운 일을 경험하면)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지 마음속에 계획을 세운다 1 2 3 4 5 ◈ 다음은 직장생활에 관한 질문들입니다. 귀하의 생각과 일치하는 곳에 ✔표를 해주십시오.

Ⅶ. 부 록 ◀◀ 133 문 항 전혀 그렇 지 않다 별로 그렇 지 않다 보통 이다 다소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40 내가 맡은 일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완전히 지쳐있다 1 2 3 4 5 41 현재 맡은 일을 시작한 이후로 직무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다 1 2 3 4 5 42 내가 맡은 일을 하는데 있어서 소극적이다 1 2 3 4 5 43 내가 맡은 직무의 기여도에 대해서 더욱 냉소적으로 되었다 1 2 3 4 5 44 내가 맡은 일이 중요한 일인지 잘 모르겠다 1 2 3 4 5 45 나는 직무상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1 2 3 4 5 46 내가 현재 소속된 직장에 효과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고 느낀다 1 2 3 4 5 47 나는 현재의 직무에서 가치 있는 많은 일들을 이루어왔다 1 2 3 4 5 48 직무상에서 나는 일들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1 2 3 4 5 49 입사 시 들었던 조직에서의 지원이 실제와 일치한다 1 2 3 4 5 50 입사 시 예상했던 직무의 내용이 실제와 일치한다 1 2 3 4 5 51 직장에서 요구하는 일이 가정생활을 방해한다 1 2 3 4 5 52 나에게 부과된 업무 때문에 가정에서 하고자 하는 일을 할 수 없다 1 2 3 4 5 53 업무에 관련된 의무감으로, 가족 행사 계획을 변경해야만 한다 1 2 3 4 5

13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고졸이하 □ 고졸 □ 대졸 □ 대학원졸 □ ◈ 다음 <보기>를 참고하여 귀하의 평일의 평균적인 근무시간을 적어주 십시오. 평일 근무시간은? 오전□ _____시 ______분부터 오후□ 오전□ _____시 _______분까지 오후□ ◈ 귀하에 대한 간단한 질문들 입니다. 해당하는 곳에 ☑표 하시거나 알 맞은 숫자를 기록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연 령 : 만 ____세 2. 성 별 : 남성 □ 여성 □ 3. 귀하의 최종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4. 귀하의 직장 근속 연수는? _____년 ______개월 5. 고용형태: 정규직□ 계약직□ 6. 결혼여부: 미혼□ 기혼□ 7. 서비스 대상 종합 사회복지관□ 노인 복지시설□ 아동/청소년 복지시설□ 장애인 복지시설□ 모부자 복지시설□ 부랑/노숙자 복지시설□ 기타□ ☺ 긴 시간 동안 성실히 설문에 응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

Ⅶ. 부 록 ◀◀ 135 <부록-2> 연구설문지(사회복지직공무원) No. 본 조사의 내용은 통계법 제 8 조에 의거 비밀이 보장되며, 통계목적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 설 문 지 ❖ 안녕하세요? 본 설문은 󰡔경기도 사회복지직공무원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연구󰡕를 위해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에 관한 조사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여러분께서 제시하여 주신 의견과 정보는 경기도 사회복지직공무 원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을 제시함에 있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 될 것이며 추후 경기도 사회복지직공무원 스트레스와 소진 완화 교 육프로그램 개발에도 사용될 것입니다 바쁘시더라도 경기복지재단과 경기도 사회복지직공무원의 발전을 위해 귀하의 소중한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기복지재단 일동 담당자: 경기복지재단 역량개발팀 신재은 E-MAIL : plaisir1007@ggwf.or.kr TEL : 031) 267-9356

136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문 항 전혀 그렇 지 않다 별로 그렇 지 않다 보통 이다 다소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 직장에서 늘 할 일이 많다. 1 2 3 4 5 2 정상적인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민원 처리사항이 부당하다고 대상자가 이의를 제기한다. 1 2 3 4 5 3 법적으로 처리가 안 되는 사항을 충분히 설명해도 공무원의 불친절로 인식한다. 1 2 3 4 5 4 민원업무에 있어 법적으로 되지 않은 일을 윗사람을 통해 억지로 해결하려고 한다. 1 2 3 4 5 5 일부 대상자들은 항상 특별한 대우를 해주길 요구한다. 1 2 3 4 5 6 조직 내 결정의 공정성에 관한 의문을 효과적으로 제기할 수 있는 절차가 있다. 1 2 3 4 5 7 조직의 결정과정에 특정 집단이나 특정인에 대한 편파가 존재한다. 1 2 3 4 5 8 조직으로부터의 지원이 공정하게 할당되고 분배된다. 1 2 3 4 5 9 업무에 대해서 적절한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1 2 3 4 5 10 일하는데 필요한 것들을 회사에 요청할 수 있다. 1 2 3 4 5 11 직무수행 시 내가 일하는 방식은 스스로 정할 수 있다 1 2 3 4 5 12 업무수행 시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다. 1 2 3 4 5 13 내가 하고 있는 업무는 적절히 평가받고 있다. 1 2 3 4 5 14 근속 년수에 비하여 박봉으로 가정생활이 어렵다. 1 2 3 4 5 15 타 기업체와 보수 비교 시 많은 차이로 자존심이 상할 때가 있다. 1 2 3 4 5 16 맡은 직무가 힘들 때 나는 나의 상사에게 의지할 수 있다 1 2 3 4 5 ◈ 다음은 직장생활에 관한 질문들입니다. 귀하의 생각과 일치하는 곳에 ✔표를 해주십시오.

Ⅶ. 부 록 ◀◀ 137 문 항 전혀 그렇 지 않다 별로 그렇 지 않다 보통 이다 다소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17 어려운 상황을 다룰 때, 나의 상사는 나를 도와줄 것이다 1 2 3 4 5 18 맡은 직무가 힘들어 졌을 때, 나는 나의 동료에 의지할 수 있다 1 2 3 4 5 19 어려운 상황을 다룰 때, 나의 동료는 나를 도와줄 것이다 1 2 3 4 5 20 기관은 진정으로 조직 구성원의 복지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 1 2 3 4 5 21 기관은 조직 구성원의 목표와 가치를 중요하게 고려한다. 1 2 3 4 5 22 내가 특별한 지원을 바랄 때, 기관은 기꺼이 나를 도울 것이다 1 2 3 4 5 문 항 전혀 그렇 지 않다 별로 그렇 지 않다 보통 이다 다소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23 기관은 직무가 할당되는데 필요한 정보(감독관, 동료, 복지 대상자, 기관의 규칙, 정책, 진행과정 등으로부터)를 제공해준다 1 2 3 4 5 24 기관은 직무 수행에 필요한 구체적인 도구, 장비를 제공해준다 1 2 3 4 5 25 기관은 직무에 필요한 훈련과 사전 교육을 제공한다 1 2 3 4 5 26 나의 업무는 업무결과가 다른 사람의 업무 생활, 복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1 2 3 4 5 27 나의 업무는 성공적 수행 여부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영향을 받게 되는 업무이다 1 2 3 4 5 28 나의 업무 자체는 보다 큰 틀에서 보면 매우 중요하다 1 2 3 4 5 ◈ 다음은 직장생활에 관한 질문들입니다. 귀하의 생각과 일치하는 곳에 ✔표를 해주십시오.

138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문 항 전혀 그렇 지 않다 별로 그렇 지 않다 보통 이다 다소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29 (기쁨이나 즐거움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더 느끼고 싶을 때, 나는 생각하는 것을 바꿀 수 있다 1 2 3 4 5 30 (슬픔이나 분노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덜 느끼고 싶을 때, 나는 생각하는 것을 바꿀 수 있다 1 2 3 4 5 31 내가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한 생각을 바꿈으로써 나의 정서를 통제할 수 있다 1 2 3 4 5 32 (직장에서 어려운 일을 경험하면) 가까운 사람들에게 감정을 털어놓는다 1 2 3 4 5 33 (직장에서 어려운 일을 경험하면) 주위사람들에 게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조언을 구한다 1 2 3 4 5 34 (직장에서 어려운 일을 경험하면) 문제에 대해 말 하는 것이 기분이 나아지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 에 다른 사람들에게 내가 겪은 문제 상황을 이야 기한다 1 2 3 4 5 35 (직장에서 어려운 일을 경험하면)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지 마음속에 계획을 세운다 1 2 3 4 5 문 항 전혀 그렇 지 않다 별로 그렇 지 않다 보통 이다 다소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36 (직장에서 어려운 일을 경험하면)무엇을 할지 결정하기 전에 가능한 해결책을 모두 생각한다 1 2 3 4 5 37 (직장에서 어려운 일을 경험하면)충동적으로 행 동하기보다는 문제해결을 위해 신중하게 행동 계획을 세우려고 노력한다. 1 2 3 4 5 38 내가 맡은 일을 하는데 있어서 심적으로 지쳐있음을 느낀다 1 2 3 4 5 39 아침에 일어나서 출근할 생각만 하면 피곤함을 느낀다 1 2 3 4 5 ◈ 다음은 직장생활에 관한 질문들입니다. 귀하의 생각과 일치하는 곳에 ✔표를 해주십시오.

Ⅶ. 부 록 ◀◀ 139 문 항 전혀 그렇 지 않다 별로 그렇 지 않다 보통 이다 다소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40 내가 맡은 일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완전히 지쳐있다 1 2 3 4 5 41 현재 맡은 일을 시작한 이후로 직무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다 1 2 3 4 5 42 내가 맡은 일을 하는데 있어서 소극적이다 1 2 3 4 5 43 내가 맡은 직무의 기여도에 대해서 더욱 냉소적으로 되었다 1 2 3 4 5 44 내가 맡은 일이 중요한 일인지 잘 모르겠다 1 2 3 4 5 45 나는 직무상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1 2 3 4 5 46 내가 현재 소속된 직장에 효과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고 느낀다 1 2 3 4 5 47 나는 현재의 직무에서 가치 있는 많은 일들을 이루어왔다 1 2 3 4 5 48 직무상에서 나는 일들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1 2 3 4 5 49 입사 시 들었던 조직에서의 지원이 실제와 일치한다 1 2 3 4 5 50 입사 시 예상했던 직무의 내용이 실제와 일치한다 1 2 3 4 5 51 직장에서 요구하는 일이 가정생활을 방해한다 1 2 3 4 5 52 나에게 부과된 업무 때문에 가정에서 하고자 하는 일을 할 수 없다 1 2 3 4 5 53 업무에 관련된 의무감으로, 가족 행사 계획을 변경해야만 한다 1 2 3 4 5

140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고졸이하 □ 고졸 □ 대졸 □ 대학원졸 □ ◈ 다음 <보기>를 참고하여 귀하의 평일의 평균적인 근무시간을 적어주 십시오. 평일 근무시간은? 오전□ _____시 ______분부터 오후□ 오전□ _____시 _______분까지 오후□ ◈ 귀하에 대한 간단한 질문들 입니다. 해당하는 곳에 ☑표 하시거나 알 맞은 숫자를 기록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연 령 : 만 ____세 2. 성 별 : 남성 □ 여성 □ 3. 귀하의 최종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4. 귀하의 직장 근속 연수는? _____년 ______개월 5. 결혼여부: 미혼□ 기혼□ 6. 귀하의 직급을 기재하여 주십시오. _______급 7. 귀하께서 근무하시는 시·군을 선택하여 주십시오. 1. 경기도청 2. 가평군 3. 고양시 4. 과천시 5. 광명시 6. 광주시 7. 구리시 8. 군포시 9. 김포시 10. 남양주시 11. 동두천시 12. 부천시 13. 성남시 14. 수원시 15. 시흥시 16. 안산시 17. 안성시 18. 안양시 19. 양주시 20. 양평군 21. 여주군 22. 연천군 23. 오산시 24. 용인시 25. 이천시 26. 의왕시 27. 의정부시 28. 하남시 29. 화성시 30. 파주시 31. 포천군 32. 평택시 ☺ 긴 시간 동안 성실히 설문에 응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Ⅶ. 부 록 ◀◀ 141 <부록-3> 심층면접 설문지 1. 업무적합 1) 일반적인 수준 ▶ 업무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주는 일은 무엇입니까? ▶ 언제 가장 힘들다고 느끼십니까? ▶ 최근 업무 중 가장 스트레스를 받은 사건은 무엇입니까? 2) 구체적인 수준 : 업무 활동 중 해당 영역에서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항 확인 (1) 업무량(Workload): 업무시간, 강도, 양 ▶ 업무 중 가질 수 있는 휴식시간은 어느 정도입니까? (2) 통제(Control): 장비, 프로세스, 자율성과 독립성 ▶ 고객의 요구가 어느 정도 수준일 때 스스로 결정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까? (3) 보상(Reward): 인정, 평가, 승진, 물질적 보상 ▶ 열심히 일 한 만큼 충분한 평가와 인정을 받고 있습니까? (4) 공동체(Community): 팀원 간 신뢰, 협력, 의사소통, 친밀감 ▶ 옆의 동료들과 업무시간 중 혹은 그 외 시간에 많은 대화를 나눕 니까? (5) 공정성(Fairness): 조직지원의 분배, 절차, 업무외적 요인의 영향력

142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 회사에서 나오는 지원 사항들이 공평하게 분배된다고 생각합니까? ▶ 업무 중 겪는 어려움이나 지원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상사에게 어필할 기회가 있습니까? (6) 가치(Values): 조직의 가치와 충돌 또는 일치 ▶ 회사의 운영 방침이나 나와 안 맞는 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까? 어떤 점에서 그렇습니까? 2. 스트레스로 인한 결과 1) 일반적 수준 ▶ 일이 힘들어지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습니까? ▶ 일 때문에 마음이나 몸이 힘든 경우가 있습니까? 2) 구체적 수준 : 부적합이 발생한 업무영역과 그로 인한 스트레스 사건 간의 관련 성 확인 (1) 경험한 스트레스 사건: 개인차원, 회사차원 ▶ 업무로 인해 최근 경험한 스트레스 사건이 있습니까? ▶ 그 스트레스 경험은 어떤 점이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생각합니까? 3. 업무수행을 높이는 요인 1) 일반적 수준 (1) 고성과자

Ⅶ. 부 록 ◀◀ 143 ▶ 팀에서 누가 가장 열심히 일하나요? ▶ 가장 유능하게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2) 저성과자 ▶ 불만을 가장 많이 토로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입니까? ▶ 어떤 사람들이 쉽게 퇴사를 결정합니까? 2) 구체적 수준 : 고성과자와 저성과자를 구분짓는 특성 확인 (1) 사고방식 ▶ (고/저 성과자들은) 업무에서의 스트레스 원인들을 어떻게 바라 보나요? (2) 정서적 어려움 ▶ (고/저 성과자들은) 업무로 인해 마음이 괴로울 때 어떻게 대처합 니까? (3) 특정 행동양식 ▶ (고/저 성과자들은) 스트레스를 미연에 방지하는 특정한 행동들 이 있습니까? (4) 기타 특이점 ▶(고/저 성과자들은) 특히 어떤 점에서 눈에 띄는 특성이 있습니까? 4. 조직차원의 지원 1) 일반적 수준 ▶ 회사의 사원 복지 정책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 회사나 팀의 업무지시가 힘겹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까? ▶ ‘회사가 이건 좀 해줬으면’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까?

144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2) 구체적 수준 : 조직의 요구와 지원에서 업무에 도움/방해를 주는 사항 확인 (1) 조직 스트레서(O. stressor): 요구수준, 물리적 환경, 조직체계, 조직 문화 ▶ 회사의 업무 방침 중 가장 부담을 주는 요인은 무엇입니까? ▶ 업무에 불편을 야기하는 환경 요인이 있습니까? (2) 조직지원(O. Support): (비)선호 및 희망 지원사항 ▶ 회사로부터의 어떤 지원이 업무활동에 가장 도움이 되었습니까? ▶ (앞으로의 업무활동을 위해) 회사의 무엇을 가장 우선적으로 지 원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Ⅶ. 부 록 ◀◀ 145 <부록-4> 심층면접 결과 1) 직무관련 범주 (직무요구) (1) 업무과부하 ① 민원업무 과중 - 민원신청서 처리 - 업무 외 시간 행정업무 처리 사회복지 민원은 인터넷 민원신청을 해도 바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자 나요. 먼저 상담을 해야 되니까 이게 시간이 많이 걸리죠. (나갔다 오면), 신청서도 밀려있고, 그런 것도 보조적인 것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담당자가 출장 갔다 와서 업무 외 시간에 처리해야 되는 상황인거죠. 대략 열분 정도가 계세요. 그분들이 한 번 발동이 걸리시면 일주일 정 도는 매일 오세요. 전화 같은 경우도 고객 상담에 민원을 1000건이 넘는 경우도 있고.... 근무시간에는...민원만 상대하기도 바쁘고, 근무시간 끝날 때에는 서류 검토... (다른)업무는 보통 다 그렇게(야간에) 하죠. ② 휴식시간 부족 (일주일 내내 근무시간이) 최소한 아침 9시부터 9시까지 근무하면 보통 12시간 (휴식이)아예 없어요. 점심 먹을 때 이럴 때 잠깐잠깐...

146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③ 기타업무 원콜 배달 서비스라고 ... 그런데 이게 너무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되는 것 이 수급자 증명서, 가족관계 증명서 같은 것을 가정에 배달해 주는 것을 업무시간에 하래요. 1:1 결연 서비스라고 콜 서비스가 있어요...봉사자 300명을 관리를 해야 되는데, 매일 전화를 해서 안부를 확인하고, 체크를 해야 되는데, 현실적 으로...한 번에 전화가 다 될 일이 없을뿐더러 혹한기, 혹서기 같이 날씨가 나쁠 때는, 매일 보고를 하도록 되어있지만 현실적으로는 힘든 일이예요. ④ 고객의 부당한 요구 - 고객이 욕설이나 반말을 한다. - 고객과의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 고객이 무시하는 듯 말한다. - 고객이 자신의 권리만을 주장한다. 사회복지직공무원이 일반 공무원에 비해서 힘든 건 일반 공무원은 정 상적인 민원인을 상대하는 거지만, 사회복지직공무원은 부분적으로 문제 가 있거나, 사회에 불만이 있거나, 인권을 무시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 말이 안 통해요. 그분은 얘기가 안 통하세요...농아인 협회에서도 난리, 시청에서도 난리 치시고, 이런 계속 일이 있는데, 문제는 그분을 저희가 어떻게 할 수가 없 어요. 소리치시고 경찰서에 신고하시고... ⑤ 일·가정 갈등 - 가정 일 때문에 직장일이 방해 받는다.

Ⅶ. 부 록 ◀◀ 147 여자들은 육아나 집안 일 때문에 일 끝나면 바로 집에 가는 경우가 많죠. (모임에는)애도 데리고 나와야 하니까 놓고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그 게 더 스트레스를 받는 것 같아요. 2) 직무관련 범주 (직무자원) (1) 업무 통제감 ① 새로운 정책에 대한 집행이유에 대한 설명의 부족 및 권한 부족 예를 들어 문화체육 관광부에서 문화 바우처 사업을 하면 대상이 기초 수급자라서, 사회복지직공무원이 해야 한다는 논리 때문에 마찰을 빚는 경우가 있음. 사회복지직공무원들이 직급이 낮다 보니까 주로 하고...윗사 람들은 모두 행정직이다. 처음에는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고 선의를 갖고 시작하는데 이제는 내 려오는 사업들을 시행하는 개념이고...제 뜻과 의지와는 상관없죠. 3) 조직관련 범주 (1) 보상 ① 업무량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보상이 요구 (6급 팀장) 제가 작년에 원천징수가 4300, 복지관 부장(7급)이 4000이에요. (7급) 3600? 그 정도 될 꺼에요. (8급) 저는 8년 정도 됐거든요. 3400정도. (9급) 보통 60에서 70시간 정도 야근을 하는데...초과수당이 (월)40만원 정도, 그걸 합쳤을 때 2000이 좀 넘고요. 1000만원 정도는 더 인상이 돼야죠.

148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2) 조직지원 ① 휴가제도의 불합리 ② 가시적인 조직지원의 미흡 특별히 해주는 것은 없고, 사회복지 관련 수당도 있다는데 액수는 모르 겠고...따로 해 주는 것은 없는 것 같아요. 자격증이 있으면 부상 같은 것이 있는데...다른 보상을 받아본 적은 없어요. 교수님도 안식년 제도가 있듯이 10년에 한 번 정도 안식년 제도를 주면 계발할 수 있고,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나... 다음으로 사회복지사에 대한 면접 결과 파악된 소진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4) 직무관련 범주 (직무요구) (1) 업무과부하 ① 행정 업무의 과다 ② 휴식시간 부족 현장에 나가서 사람을 만나고 서비스를 하는 직종인데 업무적으로 처 리해야 할 행정건이 너무 많아요. 생활시설과 같은 경우는 365일 24시간 돌아가는 시스템이어서 격일제 로 근무해야하지만 그렇지 못한 기관이 많죠. 어르신들 점심식사 시켜드리고 급하게 먹죠....15분 정도인데...휴식시간

Ⅶ. 부 록 ◀◀ 149 이야 뭐 따로 없어요. 오다가다 커피 한잔 하는 게 전부에요. 업무분배 할 때 전체회의를 통해 어필할 수는 있어요...그런데 크게 변 하지는 않는 것 같아요. (2) 고객의 부당한 요구 ① 고객이 무시하는 듯 말한다. ② 고객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 ③ 고객이 자신의 권리만을 주장한다. 어떨 때는 고객이 김장과 대청소와 같은 무리한 요구를 하기도 해요. 불만이 있을 때 저희하고는 말이 안 된다고 생각을 하는지 상급기관을 찾아가 민원을 넣어버리기도 해요. (3) 공정성 ① 성차에 의한 차별이 존재함 ② 연공서열로 승진에 대한 불만은 낮음 승진체계에 대해서는 연차가 크게 적용하기 때문에 서열이 꼬이거나 하는 경우가 거의 없어서 만족하고 있어요. 남녀차별이 많이 없어졌다고들 하지만...기관에 따라 존재하는 곳이 있 기도 하겠죠.

150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5) 직무관련 범주 (직무자원) (1) 업무 자율성 ① 자율성의 범위가 크기 않고 기관마다 편차가 크다 기관이 위탁을 받아서 운영되는 기관이다 보니까 큰 권한은 없는 게 사 실이죠. 밑에서 일하는 요양보호사들과의 조율업무를 담당합니다. 아무래도 연차가 올라갈수록 자율성과 권한 같은 것은 많아진다고 생 각해요. 큰 틀이나 규칙은 모든 기관이 동일하겠지만 기관의 성격이나 팀의 성 격, 상사의 성격에 따라 많이 다르다고 생각을 해요. (2) 동료지지 ① 상대평가로 인해 동료 간 경쟁이 심하다. ② 동료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기 힘들다. 동료와의 관계가 가장 큰 스트레스 중에 하나죠. 팀으로 업무를 해야하다보니 사이가 좋지 않더라도 좋은 척 해야 한다 는 게 아이러니 하기는 하지만...어쩌겠어요. 사람을 상대하는 직업이다 보니까...직장에서의 동료관계가 업무로도 이어지는 것 같아요. 업무평가부분에 개개인의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동료관계가 묘하

Ⅶ. 부 록 ◀◀ 151 게 되기도 하고...뭐 불편해지죠. (3) 상사지지 ① 상사가 차별적 대우를 한다. ② 상사가 권위적이다. 지지부분은 직원들끼리 해결이 가능한데 별다른 것 없이 오바해서 피 드백만 주는 경우가 많아요. 업무평가부분에서와 같이 상사 눈에 잘 보이면 평가가 좋아져서 객관 성이 떨어지는 부분이 많죠. 특정 종교의 성격을 띠고 설립된 기관에서 해당 종교성을 대표하는 상 위자가 특히 기관의 운영진일 때 종교적인 부분을 강요하는 경우가 많아 요..이에 따르지 않으면 눈치도 보이고 은근히 강요하는 것 같기도 하고... 윗사람들끼리 의견이 조율도 안 되고 무작정 지시를 내릴 때는...난처하 죠...누구 말을 따라야 할지도 모르겠고... 6) 조직관련 범주 (1) 조직지원 ① 조직에 따라서 편차가 크다. 개인시설의 경우는...아무래도 직원들 처우가 법인이나 그런 곳과는 비 교가 안 될 정도로 열악하다고 생각해요. 아무래도 교육지원이나 이런 것 들이 전혀 없으니까...(교육은)따로 휴가내서 참가하고 내 돈 내고 참가해 야 하니...다른 기관 사람들이 부럽죠.

152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 기초연구 특히 개인시설에서 일을 할 경우, 주위에서 사회복지사로 바라보는 것 같지도 않고 그러다보니 제 자신도 자신이 없어지고...경력도 인정이 안 될 때가 있어요. 어떤 기관에서는 4년제 대학이 아니면 실습생으로도 받지 않는 곳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시간 외 수당이나 출장비 같은 수당 관련해서는 기관마다 다르겠지만 거의 없다고 봅니다. 관심이 가는 교육이 있어도 여기저기 눈치 봐야하고...교육 갔다 와서 쌓여있는 업무 생각하면...그냥 눈치 안 보이게...사이버 교육이나 관심은 없지만 업무와 관계있는 교육을 듣게 되죠. 출산휴가, 육아휴가는 기관마다 다르겠지만...출산까지는 모르겠고...육 아휴직은 거의 힘들다고 봐요. 직장 내 육아시설의 지원도 자녀가 있는 직장인이 5인 이상이라는 기 준이 있지만...현실적으로 대기업이나 가능하지...이 곳에서는 불가능하다 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