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복지재단 정책연구보고 2014-03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발행일 2014년 7월 발행인 인경석 발행처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 440-851 Tel. 1577-4312 Fax. 031-898-5937 Homepage. www.ggwf.or.kr 제작처 도서출판 한학문화 서울시 서대문구 대현동 53-37 󰂕 120-170 Tel. 02-313-7593 Fax. 02-393-3016 E-mail. h6332@hanmail.net

최근 우리사회는 사회복지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복지욕구가 다양해지고, 맞춤복지서비스를 요구하는 복지시대를 맞이하였습니다. 이러한 사회복지환경의 변화는 공공 및 민간 사회복지인력의 전문성 확보와 능력개발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회복지인력의 전문성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사회복지기관 재직자 들에 대한 체계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동안 경기도 내 다양한 복지교육관련 기관에서 사회복지인력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해왔지만, 사회복지인력의 직무전문성 육성을 위한 전문 교육기관이 부재하고, 사회복지인력 육성을 위한 전문 교육프로그램 또한 매우 부족하며, 체계적인 교육제공을 위한 교육시스템도 미흡한 실정입니다. 국민의 복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지역사회에서 복지업무를 수행 하는 사회복지인력의 업무전문성이 더욱 중요해지는 이때, 교육요구 수렴, 인적자원육성의 제도 연구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교육시스템 구축, 교육기관 간 네트워크 형성 등의 역할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 기관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경기복지재단은 경기도민의 복지수준 향상을 위해 맞춤형 정책을 개발하고 복지현장을 지원하는 것을 미션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교육적 지원을 위해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을 설치・운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조직이 사회복지인력의 업무전문성 강화를 위한 허브기능을 수행하여 재단의 설립목적에 부합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복지업무를 수행하는 전문 인력들을 ‘지속적으로 전문적인 기술과 능력을 개발 시킬 수 있는’ 사회 복지교육 허브로서의 기능수행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발전방안을 마련 하였습니다. 발 간 사

본 연구결과가 사회복지인력의 직무전문성이 강화되고, 사회복지조직의 성과가 향상되는 초석이 되길 기대하며, 연구를 위해 포커스그룹인터뷰와 설문조사에 참여해주신 사회복지사들과 연구진에게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14년 7월 경기복지재단 대표이사 인 경 석

요 약 i 1.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사회복지인력의 복지교육 허브로써 역할수행을 위한 경기 복지평생교육원의 발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고, 이를 실행하여 사회 복지인력의 직무전문성을 강화하고 사회복지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 하는 데 있음 ∙ 이를 위해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회의 및 현장전문가 포커스그룹인터 뷰 등을 거쳐 도출된 교육 실태를 중심으로 설문조사 등을 진행함 ∙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하여 사회복지기관 및 인력의 교육 니즈 분석, 사회복지인력 교육이슈 및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종사자의 교 육현황과 기대사항을 파악함 2. 환경분석 1) 사회복지 및 제반환경 ∙ 각 세대별 욕구에 적합한 학습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고, 인재개발 서비스 제공을 통한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무를 강화해야 함 ∙ 사회복지인력의 교육이력관리 및 교육정보 제공, 역량진단 등을 실시 할 수 있는 웹기반의 학습포털시스템 구축이 마련되어야 함 2) 인적자원개발 트렌드 ∙ 사회복지교육기관이 사회복지조직의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역할 실행 을 위한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전문성 강화, 조직경쟁력 강화를 위한 요 약

ii 요 약 교육체계 수립, 현업과 분리되지 않는 교육시스템 구축, 교육형식의 다양화 등이 요구됨 3) 유관기관 벤치마킹 ∙ 사회복지교육기관은 인재육성 비전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추진할 조 직기반 구축과 효과적이며 효율적 교육을 위한 교육소프트웨어 및 하 드웨어 구축이 필요함 3.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1) 인재육성전략/교육기획 ∙ 복지정책,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비전, 사회복지종사자 인재상과 연 계하여 인재육성전략을 수립하며, 중장기 인재육성전략과 전략과제를 체계적으로 추진해야 함 2) 교육과정개발/운영 ∙ 사회복지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정보채널을 확대하고 체계화하면 서 사전 요구분석을 통한 과정개발부터 사후 성과관리까지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정비해야 함 ∙ 체계적 교육을 위해 정기적인 교육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중장기 교육 체계를 개발・도입해야 하며, 전문가로서의 육성지원을 위해 프로그램 의 점진적인 도입이 요구됨 3) 교육평가 ∙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비전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교육의 가 시적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 효과 평가제도 개선이 요구됨

요 약 iii 4) 교육제도/인프라 ∙ 사회복지종사자들에게 실질적인 교육의 기회와 학습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을 통한 정보공유와 상호소통의 장을 만들고, 제도적으로 학습을 통한 역량강화를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함 ∙ 교육을 투자로 인식하는 기관장의 마인드, 사회복지종사자 개인의 자 기개발 의지, 사회복지기관의 학습풍토 등이 조성되어야 함 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1) 인재상은 [그림 1]과 같이 도출됨 [그림 1]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인재상

iv 요 약 2) 인재육성전략과 전략과제를 종합한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인재육성 비전체계는 [그림 2]와 같음 [그림 2]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인재육성 비전체계 5.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 및 인력 운영방안 ∙ 현재 교육운영(41%) 중심의 업무에서 HRD전략수립(4%), 교육기획 (22%), 과정개발(13%), 교육평가(12%), 정책연구(8%) 등의 업무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음

요 약 v ∙ 조직운영의 기본 방향은 ①사회복지종사자 육성의 전략적 파트너 역 할 강화 ②사회복지종사자 육성의 메카로서 역할 강화 ③인재육성을 위한 본원적 업무중심 교육조직의 효율화 추구 ④사회복지종사자 육 성체계 실행을 위한 교육조직 전문화로 설정함 ∙ 조직운영 방향과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인재육성전략과제 실행방안 을 근거로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단계적으로 실행해야 할 사업량과 필요예산 및 인력을 산출함. 그리고 이를 기초로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이 사회복지인력 교육의 중추적 역할 수행을 위한 조직도(안)을 다음 과 같이 제시함 현행 조직도 조직도 (안) (2단계) [그림 3]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도(안)

vi 요 약 ∙ 1단계는 조직역량 개발기(~2015년)로 현행과 같이 1팀(복지교육팀)을 운영하되, 인력을 충원하여 교육운영 업무를 확대하고 교육기획 및 개 발업무를 강화함 ∙ 2단계는 조직역량 안정기(2016년 이후)로 조직을 3개 팀으로 구성하고 교육운영 업무와 교육기획 및 개발업무를 확대함 ∙ 한편 장기적으로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을 경기복지재단의 부설기관으 로 하며, 교수부를 신설하여 3개 팀, 1부의 조직을 구성하여 자체적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복지교육전문성을 강화 함. 이로써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은 ‘경기도 사회복지인력 육성을 위한 전문화된 사회복지교육의 허브’로서 ‘사회복지전문성 강화를 위한 사회 복지교육의 메카’, ‘사회복지현장 연구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회복 지인력 교육시스템 구축과 교육기회 확대를 통한 교육활성화’ 및 ‘사회 복지 정보공유와 전달을 통한 상호소통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됨. 나아가서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은 사회복지인재육성의 중추 적 역할 수행을 강화하여 복지교육 선도기관으로 위상을 확립하게 됨 [그림 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도(안)(3단계)

차 례 vii 서 론Ⅰ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3 2. 연구방법 ····················································································· 5 환경분석Ⅱ 11 1. 사회복지 및 제반 환경 ······························································ 13 2. 인적자원개발 트렌드 분석 ·························································· 16 3. 유관기관 교육현황 벤치마킹 ······················································· 19 4. 시사점 ······················································································ 27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Ⅲ 31 1. 사회복지종사자 현황 및 교육현황 ··············································· 33 2. 사회복지종사자 FGI 및 설문조사 ··············································· 48 3. 시사점 ······················································································ 59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Ⅳ 63 1. 비전 및 역할 ············································································· 65 2. 인재상 ······················································································ 69 3. 인재육성전략과 전략과제 ···························································· 72 4. 인재육성전략과제 실행방안 ························································ 77 C ․ o ․ n ․ t ․ e ․ n ․ t ․ s

viii 차 례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운영방안 91Ⅴ 1.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운영 현황 ············································· 93 2. 인재육성 부문의 조직구조 현황 ·················································· 94 3.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조직 및 인력 추진방안 ····························· 98 참고문헌 ······················································································ 107 부 록Ⅵ 109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설문지 ····································· 111 포커스그룹인터뷰 문항 ································································· 120

차 례 ix 표 차례 <표 Ⅰ-1> 포커스그룹인터뷰 참석자 특성 ················································ 7 <표 Ⅰ-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8 <표 Ⅰ-3> 설문문항 개요 ······································································ 10 <표 Ⅱ-1> 2014∼2017년 경제성장률 전망 ·············································· 14 <표 Ⅱ-2> 국내 사회복지지출 ································································ 15 <표 Ⅱ-3>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팀별 업무 ········································ 21 <표 Ⅱ-4> 한국보건복지 인력개발원 2013년 교육 실적 ··························· 22 <표 Ⅱ-5> 경기도인재개발원 팀별 업무 ·················································· 24 <표 Ⅱ-6> 경기도인재개발원 2013년 교육 실적 ······································ 25 <표 Ⅱ-7> 지방행정연수원 팀별 업무 ····················································· 26 <표 Ⅱ-8> 지방행정연수원 2013년 교육 실적 ········································· 27 <표 Ⅱ-9> 환경 분석 요약 ····································································· 28 <표 Ⅲ-1> 경기도 사회복지시설 및 종사자 수 ········································ 34 <표 Ⅲ-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업무수행 현황 ········································ 36 <표 Ⅲ-3>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인력현황 ················································ 36 <표 Ⅲ-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교육과정 현황 ········································ 37 <표 Ⅲ-5> 경기복지평생교육원 교육영역별 교육과정 보유현황 ················· 38 <표 Ⅲ-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교육영역별 교육과정 운영실적 현황 ········· 39 <표 Ⅲ-7> 경기도장애인관련협회 교육현황 ············································· 40 <표 Ⅲ-8> 경기도노인복지관협회 교육현황 ············································· 42 <표 Ⅲ-9> 경기도사회복지관협회 교육현황 ············································· 43 <표 Ⅲ-10> 경기도사회복지협의회 교육현황 ············································· 44 <표 Ⅲ-11> 역량별 교육과정 ··································································· 45 <표 Ⅲ-12>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교육과정 ·········································· 46 <표 Ⅲ-13> 경기도인재개발원 교육과정 ··················································· 47 <표 Ⅲ-14> 교육을 희망하는 목적 ··························································· 50 <표 Ⅲ-15> 교육을 희망하는 정도 ··························································· 50 <표 Ⅲ-16> 교육이수 정도(사회복지사 자격유지를 위한 보수교육 제외) ····· 51 <표 Ⅲ-17> 교육에 관한 정보습득 정도 ··················································· 51 <표 Ⅲ-18> 교육이수 기관(사회복지사 자격유지를 위한 보수교육 제외) ····· 52

x 차 례 <표 Ⅲ-19> 교육기관 선택 이유 ······························································ 52 <표 Ⅲ-20> 효과적인 교육형태 ································································ 53 <표 Ⅲ-21> 효과적인 학습방법 ································································ 54 <표 Ⅲ-22> 교육의 효과성(도움 정도) ······················································ 54 <표 Ⅲ-23> 교육의 효과가 낮은 이유 ······················································ 55 <표 Ⅲ-24> 사회복지종사자의 인재상에 대한 인식 ··································· 55 <표 Ⅲ-25>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역할에 대한 인식 ··································· 57 <표 Ⅲ-26> 사회복지인력 육성을 위한 중점추진 업무 ······························· 58 <표 Ⅲ-27>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개선방향 ···························· 62 <표 Ⅳ-1> 인재상 실천을 위한 행동특성 ················································ 71 <표 Ⅳ-2> 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주요내용 ············································· 83 <표 Ⅳ-3> 인재육성전략 실행을 위한 주체별 상세 역할(안) ···················· 84 <표 Ⅴ-1> 유관기관 교육부문 인원 및 인당 교육대상/교육생수 ··············· 97 <표 Ⅴ-2> 전략과제 추진 로드맵 ························································· 101 <표 Ⅴ-3> 교육훈련 부문 필요예산 및 인력 ········································· 101 <표 Ⅴ-4> 연구개발/지원 부문 필요예산 및 인력 ·································· 102 <표 Ⅴ-5> 팀별 업무분장(안) ······························································· 104

차 례 xi 그림 차례 [그림 Ⅰ-1] 연구프레임워크 ····································································· 5 [그림 Ⅰ-2] 연구절차 ·············································································· 6 [그림 Ⅱ-1] HRD 패러다임의 변화 ························································· 17 [그림 Ⅱ-2] ASTD 최근 4년간 경향(2010∼2013) ···································· 18 [그림 Ⅱ-3] 조직도 ················································································ 20 [그림 Ⅱ-4] 조직도 ················································································ 23 [그림 Ⅱ-5] 지방행정연수원 조직도 ························································ 26 [그림 Ⅲ-1] 경기복지재단 미션 및 비전 ·················································· 35 [그림 Ⅲ-2]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현 위치 ············································· 61 [그림 Ⅳ-1]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비전체계 설정 프레임워크 ·················· 66 [그림 Ⅳ-2]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 Pool ·········································· 67 [그림 Ⅳ-3]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비전과 역할 ······································· 68 [그림 Ⅳ-4] 인재상 도출(안) ·································································· 70 [그림 Ⅳ-5]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인재상 ·················································· 70 [그림 Ⅳ-6] 사회복지종사자 인재육성전략 및 전략과제 ···························· 72 [그림 Ⅳ-7]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인재육성 비전체계 ····························· 74 [그림 Ⅳ-8] 전략과제 단계별 세부 실행계획 ··········································· 76 [그림 Ⅳ-9]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복지교육담당자 역량강화 실행방안 ········· 78 [그림 Ⅳ-10] 역량중심 교육체계도(공통) ··················································· 79 [그림 Ⅳ-11] 분야별 직무전문역량 교육 체계도 ········································ 80 [그림 Ⅳ-1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상시학습체계 지원시스템 구축(안) ·········· 81 [그림 Ⅳ-13] 역량개발프로세스 및 담당별 역할 ········································ 82 [그림 Ⅳ-14] 사회복지인재육성전략의 실행을 위한 주체별 역할과 책임 ····· 83 [그림 Ⅳ-15] 교육과정개발 프로세스 ························································ 85 [그림 Ⅳ-16] 교육과정 효과평가의 현재와 미래 ········································ 86 [그림 Ⅳ-17] 역량개발시스템의 구성 ························································ 87 [그림 Ⅳ-18]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네트워크 ············································ 88 [그림 Ⅴ-1] 기능별 경기복지평생교육원 교육업무 수행 ···························· 94 [그림 Ⅴ-2] 교육의 직무영역 중심 조직 ·················································· 95

xii 차 례 [그림 Ⅴ-3] 교육의 기능중심 조직 ··························································· 96 [그림 Ⅴ-4] 교육부문 인당 교육대상자 수 ················································ 98 [그림 Ⅴ-5] 조직운영 방향 ······································································ 99 [그림 Ⅴ-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도(안)(2단계) ·································· 103 [그림 Ⅴ-7]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도(안)(3단계) ·································· 105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서 론Ⅰ

Ⅰ. 서 론 3 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우리 사회는 복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양질의 맞춤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으며, 사회적 환경은 저출산・ 고령화, 근로빈곤, 소득양극화, 가족과 공동체 해체 등과 같은 사회위험 에 따라 서비스의 내용과 대상 집단이 확대되었다. 특히 경기도는 대한 민국 수도인 서울과 인접해 있어 노인인구, 해외이주민, 장애인, 저소득 층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물리적 환경에 놓여있으며, 복지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들어 지속적인 재정 확대에도 불구하고 낮은 복지체감도 수준에 대한 우려가 높은데, 그 원인은 제공 되는 복지서비스의 양과 종류가 부족하거나 서비스의 품질 또는 제공방 식이 만족스럽지 않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대국민 복지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제고를 통하여 복지체감도를 높이 기 위해서는 복지서비스가 인적서비스이기 때문에 전달체계상에서 중요 한 주체인 사회복지인력의 전문성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필수적이다. 이 것은 동일한 업무라도 직무전문성을 갖춘 사람이 하느냐 그렇지 않느냐 에 따라 복지서비스의 품질이 달라진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경기도 내 다양한 복지교육관련 기관(협회)에서는 사회복지인력의 전문성 강화 서 론Ⅰ

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를 위해 그간 다양한 노력을 해왔지만, 아직은 요원한 상황이다. 경기도 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사회복지 직능단체, 경기복 지평생교육원 등 여러 기관들은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며 노력을 해왔다. 또한 경기도는 ‘사회복지종사자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2012.5.), 특히 사회복지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을 추가(제8조 제1항제4호)함으로써 사회복지사 교육훈련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기도 내 사회복지시설은 소규모 로 인재육성에 대한 투자가 미흡하며, 자체적인 인력양성이 되지 못하고 있다. 도내 직능단체 등에서 회원기관 직원에 대한 일부 교육(인권, 성희 롱예방교육 등 법정교육, 워크숍, 자격유지 보수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 으나 비체계적이고 일회적・산발적 교육에 머물고 있다. 그리고 경기복 지평생교육원은 중장기적 계획과 교육인프라가 미흡하고, 경기도인재개 발원은 도내 공무원의 일반 직무교육, 리더십 교육 등 위주로 되어 있어 사회복지공무원 전문교육에는 부적합한 상황이다. 경기도의 증가하는 복지수요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시설은 총 12,716개소,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는 34,143명에 달한다. 그러나 경기도 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전문성 육성을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운영하는 전문 교육기관이 부재하며, 사회복지교육 분야의 연 구나 전문교육 프로그램 또한 매우 부족하고, 역량개발활동에 대한 효율 적 지원 및 관리를 위한 교육시스템도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경기도 민의 복지체감도와 긴밀하게 관련이 있는 도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 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역량강화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이렇게 국민의 복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지역사회에서 복지업무 를 수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인력의 업무전문성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이때, 이들의 체계적인 전문성 강화를 위한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즉, 교육요구 수렴, 인재육성 제도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복지교육 연구, 교 육시스템 구축, 교육기관 간 네트워크 형성 등의 역할을 종합적으로 수 행할 수 있는 전문기관이 요구된다.

Ⅰ. 서 론 5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복지업무를 수행하는 전문 인력들의 ‘지속적으로 전문적인 기술과 능력을 개발 시킬 수 있는’ 사회 복지교육의 허브로서의 기능수행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 의 목적은 사회복지인력의 복지교육 허브로써 역할수행을 위한 경기복 지평생교육원의 발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며, 이를 실행하여 사회복지 인력의 직무전문성을 강화하고 사회복지조직의 성과향상에 기여하는 데 있다. 2 연구방법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프레임워크는 [그림Ⅰ-1]과 같이 외부환경분석 및 내부환경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고 성공적인 HRD의 판단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는 Best HRD의 분류인 교육 전략 및 기획, 교육과정 운영, 교육평가 그리고 교육제도 및 인프라의 측면에서 사회복지종사자 육성전략 및 전략과제를 도출하고 경기복지평생 교육원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림 Ⅰ-1] 연구프레임워크

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1) 연구절차 본 연구는 [그림 Ⅰ-2]와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문헌분석, 선행연구 자료 검토 등의 사전활동, 사회복지분야별 현장전문가들에게 사회복지 종사자 인재상,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과 중점추진 업무 등에 관한 전문가 자문회의 및 현장전문가 FGI와 이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 및 교 육 실태를 중심으로 한 설문조사 단계를 거쳤다. [그림 Ⅰ-2] 연구절차 2) 연구대상 ① 포커스그룹인터뷰 대상 본 연구는 경기도 내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포 커스그룹인터뷰(FGI)에 참여한 대상자는 노인시설 종사자 6명, 장애인시 설 종사자 12명, 종합사회복지관 종사자 10명으로, 총 28명이다. 사회복지기관 및 인력의 교육 니즈 분석, 사회복지인력 교육이슈 도출 및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실 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에서부터 사무국(부)장에 이르는 직급을 대상 자로 선정하였다. 주요 인터뷰 내용은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 교육 실태, 교육 내 용, 교육 방법 등이고 각 사회복지인력의 교육수요 분석을 위해 서면 인 터뷰를 진행하였다.

Ⅰ. 서 론 7 <표 Ⅰ-1> 포커스그룹인터뷰 참석자 특성 번호 성별 직급 기관분류 1 남 부장 노인시설 2 남 과장 노인시설 3 남 부장 노인시설 4 여 과장 노인시설 5 남 사무국장 노인시설 6 여 사회복지사 노인시설 7 남 부장 종합사회복지관 8 여 사회복지사 종합사회복지관 9 남 과장 종합사회복지관 10 남 사회복지사 종합사회복지관 11 여 부장 종합사회복지관 12 여 과장 종합사회복지관 13 남 관장 종합사회복지관 14 남 국장 종합사회복지관 15 여 대리 종합사회복지관 16 여 국장 종합사회복지관 17 여 사회복지사 장애인시설 18 여 대리 장애인시설 19 남 팀장 장애인시설 20 남 팀장 장애인시설 21 여 국장 장애인시설 22 남 국장 장애인시설 23 여 국장 장애인시설 24 여 과장 장애인시설 25 여 팀장 장애인시설 26 여 사회복지사 장애인시설 27 여 국장 장애인시설 28 남 팀장 장애인시설

8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변수 구분 빈도(명) 백분위(%) 근속 년수 1년미만 29 10.6 1년∼2년 41 15 3년∼5년 52 19 6년∼10년 73 26.6 11년∼15년 48 17.5 16년∼20년 23 8.4 21년이상 8 2.9 직급 사회복지사 114 41.6 과장 50 18.2 국장/부장 47 17.2 대리(주임/선임) 40 14.6 기관장 23 8.4 학력 대학교졸업 160 58.4 대학원졸업이상 83 30.3 전문대졸업 26 9.5 고등학교졸업이상 5 1.8 근무 기관 종합 104 38 노인 71 25.9 장애인 54 19.7 아동 23 8.4 자활 13 4.7 기타 9 3.3 ② 설문조사 대상 본 연구는 경기도 내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복지종사자의 교육현황과 기대사항을 파 악하기 위해 사회복지직능단체의 협조를 통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 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4월 16일∼2014년 4월 25일까 지 실시하였고, 총 326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그 중 설문분석이 가능 한 274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Ⅰ-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Ⅰ. 서 론 9 변수 구분 빈도(명) 백분위(%) 근무 지역 서해안권역(안산, 부천, 광명, 시흥, 화성, 오산, 평택) 97 35.4 경부권역(수원, 성남, 용인, 과천, 안양, 군포, 의왕, 안성) 90 32.8 경의권역(고양, 김포, 파주) 43 15.7 동부권역 (남양주, 광주, 이천, 구리, 하남, 양평, 여주, 가평) 32 11.7 경원권역(의정부, 양주, 동두천, 포천, 연천) 12 4.4 먼저 근속년수는 사회복지분야에서 일한 총 기간을 의미하며 1년 미 만 29명(10.6%), 1∼2년 41명(15%), 3∼5년 52명(19%), 6∼10년 73명 (26.6%), 11∼15년 48명(17.5%), 16년 이상 34명(11.3%)으로 이루어졌고, 직급은 사회복지사급이 114명(41.6%)으로 가장 많았고, 대리(주임/선임) 급 40명(14.6%), 과장급 50명(18.2%), 국/부장급 47명(17.2%), 기관장급 23명(8.4%)이었다. 두 번째로 학력을 살펴보면, 대학교 졸업이 114명(41.6%)으로 가장 많 았으며, 대학원졸업 83명(30.3%), 전문대 졸업 26명(9.5%), 고등학교졸업 이상 5명(1.8%) 순이었다. 한편, 근무기관은 종합사회복지관이 104명(38%)으로 가장 많았고, 노 인분야 71명(25.9%), 장애인분야 54명(19.7%), 아동분야 23명(4.7%), 자활 분야 13명(4.7%), 기타 9명(3.3%)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근무지역을 살펴보면, 서해안권역(안산, 부천, 광명, 시흥, 화 성, 오산, 평택)이 97명(35.4%), 경부권역(수원, 성남, 용인, 과천, 안양, 군 포, 의왕, 안성)이 90명(32.8%), 경의권역(고양, 김포, 파주)이 43명(15.7%), 동부권역(남양주, 광주, 이천, 구리, 하남, 양평, 여주, 가평)이 32명 (11.7%), 경원권역(의정부, 양주, 동두천, 포천, 연천)이 12명(4.4%)이었다. 3) 연구도구 포커스그룹인터뷰는 사전에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된 질문 내용을 작 성하여 진행하는 구조화된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10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다음으로 설문조사는 문헌연구와 포커스그룹인터뷰 그리고 전문가 검 증의 과정을 거쳐 교육의 목적/의지, 교육전반 인식, 교육받을 수 있는 기관, 교육방식, 교육의 효과, 사회복지종사자 인재상, 경기복지평생교육 원의 역할,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중점추진 업무, 사회복지인력 육성을 위한 중점추진교육, 교육의 효과, 기타 바라는 점 등의 10문항으로 구성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Ⅰ-3> 설문문항 개요 설문 항목 세부내용 1. 교육의 목적/의지 교육을 받게 되는 실질적인 이유 2. 교육전반 인식 교육받은 경험 및 교육관련 정보 습득 3. 교육받을 수 있는 기관 교육받았던 기관, 수강을 희망하는 교육기관 4. 교육방식 집합교육, 온라인교육, 혼합교육에 대한 선호도, 효과성 5. 사회복지종사자 인재상 사회복지종사자가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모습 6. 경기복지 평생교육원의 역할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수행해야 할 바람직한 역할 7. 경기복지 평생교육원의 중점추진업무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수행해야 할 중점추진 업무 8. 사회복지인력 육성을 위한 중점추진교육 사회복지인력의 육성을 위한 중점추진 교육 9. 교육의 효과 받았던 교육의 업무 도움 정도 10. 기타 바라는 점 경기복지평생교육원에 바라는 점

1 사회복지 및 제반 환경 2 인적자원개발 트렌드 분석 3 유관기관 교육현황 벤치마킹 4 시사점 환경분석Ⅱ

Ⅱ. 환경분석 13 외부환경분석은 사회복지 및 제반환경분석, 인적자원개발 트렌드분석 및 유관기관 벤치마킹을 활용하여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비전, 역할 설 정 및 사회복지종사자 인재상 및 육성전략 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1 사회복지 및 제반 환경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사회복지종사자 역량강화를 위한 환경 분석을 위해서 PEST1) 분석을 활용하여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 고, 인재개발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복지재단의 사업 환경과 관련된 거시환경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정책 환경을 살펴보면, 사회복지와 관련된 주요 국정과제를 고려 할 때, 맞춤형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한 저소득층 지원체계 개편, 복지전 달체계 개편에 따른 국민 복지체감도 향상, 편안하고 활력 있는 노후생 활 보장,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권익증진 등과 관련된 인재개발 전략 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경기도는 전국 최초로 민・관 협력을 기초로 지 1) PEST분석은 정책/법규(Political/Legal), 경제(Economic), 사회/문화(Social), 기술/ 정보(Technology)로 이루어진 거시적인 환경 분석방법임. 환경분석Ⅱ

1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역주민들의 복지욕구를 발굴하고 해결해주는 무한돌봄센터를 설치・운 영하고 있어 2014년 희망복지지원단 발족의 계기가 되었다. 사회복지와 관련되어 경기복지재단과 직・간접 관련성이 존재하는 과제는 4개이며, 경기복지재단은 보건복지부 주관 과제 중 사회복지와 관련된 국정과제 의 방향에 정합된 인재육성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경제 환경을 살펴보면, 2014년 중 국내경제는 3.5% 성장하 여 2013년 경제성장률(2.6%예상)보다 0.9% 상승할 전망이며, 2013년∼ 2017년 중기의 연평균 국내 경제성장률은 3.5%로 글로벌 금융위기 전 (2003∼2007: 연평균 4.3%)의 성장률보다 낮아질 전망이다. <표 Ⅱ-1> 2014∼2017년 경제성장률 전망 전망 대상 기간 국회예산정책처 행정부 실질경제성장률 2014∼2017 3.7% 4.0% 수준 경상경제성장률 2013∼2017 5.7% 6.5% 출처: 국회 예산처 경기도 지역총생산(GRDP)은 227조로 기록 1위인 서울(241조 원) 다음 으로 전국(1,067조) 대비 21.3%를 차지할 정도로 최고 수준이지만, 1인당 국민순소득(GNI)은 12.9백만 원으로 전국 평균 13.5백만 원에 미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10년 기준). 한편, 지식기반 경제 및 비즈니스 생태계 변화 등에 따라 인재 개발 서비스를 전문화하여 수요자에게 제 공해야 함을 고려하고, 인터넷을 통한 전 세계통합 등의 개방성 증대를 교육방법론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세 번째로 사회 환경을 살펴보면, 국내 인구구조의 변화는 저출산・고 령화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노동시장 내 세대교체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각 세대별 니즈에 맞는 학습의 다양성 확보가 고려되어야 한다. 2012년 12월 말 현재 경기도 인구수는 12,093천 명으로 전국의 23.7%로 서울시보다 3.7% 많으며, 이 중 65세 이상 노인은 전국대비 19.0%(노인인구비율 2.4%), 등록장애인 20.0%(장애인구율 4.23%), 기초

Ⅱ. 환경분석 15 수급자 13.7%(기초수급률 1.6%)로 나타났다(경기통계, 2013). 최근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가시화되면서 인생 2모작 등 사회적 관 심이 확대되고 있어 이 세대들의 인력양성 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맞춤 형 교육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네 번째로 기술/정보 환경을 살펴보면,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 화는 IT기기의 인공지능이 강화되고, SNS 확대, 인터넷 등 디지털공간에 서의 정보공유에 익숙해지는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재육 성에서도 학습의 공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디지털방식의 다양한 방법론의 도입이 요구된다. IT발전에 따라 디지털 교육의 활성화뿐 아니 라 개인이 학습 콘텐츠를 만드는 IT DIY 및 집단지성이 창발할 수 있는 SNS 등을 활용한 새로운 학습 생태계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다섯 번째로 산업 환경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사회복지지출은 2009년도 에 GDP 1,065조원의 10.3% 수준인 110조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고, 경기 도 보건복지 분야 예산규모는 2013년도 도 전체예산의 31.%인 5조 1517억, 2014년 34.6%인 5조 5267억으로 해마다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어 관련 역할을 수행하는 재단의 역량강화가 선제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표 Ⅱ-2> 국내 사회복지지출 구분 2005 2006 2007 2008 2009 GDP(조원) 865 909 975 1,027 1,065 사회복지지출(C=A+B) 60,842 72,347 79,967 91,949 110,548 공공부문(A) 55,888 67,092 73,959 85,569 101,780 법정민간부문(B) 4,954 5,256 6,008 6,379 8,769 국민1인당 복지비용(천원) 1,264 1,498 1,650 1,892 2,268 출처: 근로복지공단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에서의 재단의 교육역할 수행은 제공인력의 전문 성 강화에 따른 서비스품질 향상과 연계성이 높으므로 목표고객에 대한 전문성 제고를 위한 역량강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1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여섯 번째로 고객만족도 측면을 볼 때, 전문성 제고뿐 아니라 고객 만 족도의 지속적 개선을 위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관련 역량강화 방안을 마련하고, 상시학습 등 체계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의 효과를 제고 하여 고객 신뢰 확보에 기여해야 한다. 이상의 외부환경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현 정부의 생애주기별 맞춤복지, 경기도의 맞춤형 복지전달체계 추진을 고려하고 복지서비스 품질향상에 따른 복지체감도 증진을 위한 인재개발 전략이 마련되어야 하고, 지속성장을 위한 전략과 연계하여 사회복지기관의 역 량강화를 위한 교육서비스를 추진해야 한다. 저출산・고령화 인구구조의 노동시장 영향으로 각 세대별 니즈에 적합 한 학습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인재개발서비스 제공을 통한 공 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이 강화되어야 한다. 특히 노인복지시설 노인 대상 교육에 대해 전문적인 교육컨설팅 제공 방향으로 지원이 필요하다. 스마트한 IT기기의 활용이 활성화됨에 따른 IT기기를 활용한 학습의 효율 성강화 방안을 마련하고, IT기술에 따른 학습생태계가 조성되어야 한다. 국민의 복지욕구 증대 및 고령화와 맞물려 공공사회복지 지출이 지속 적인 확대 여지가 큼에 따라 목표고객에 대한 전문성 제고를 위한 역량 강화 방안 마련이 요구되며, 고객만족도의 지속적 개선 및 고객신뢰 확 보를 위한 다각도의 역량강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인적자원개발 트렌드 분석 국내・외 인적자원개발 트렌드를 종합해 보면, 인재육성 활동은 현장 중심의 성과개선과 수요자 중심, 현장의 니즈 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 고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핵심가치와 역량에 기반한 인재양 성, 자기주도형 학습이 인재육성의 중요한 이슈로 도출된다. 해외의 경우,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 이하 HRD 라고 함)이 평생교육의 개념으로 확대되어 가면서 수요자의 요구에 따른

Ⅱ. 환경분석 17 다양한 주문형 과정을 개발하고, 가상 학습공간에서 지식제공, 이러닝 및 블랜디드 러닝의 확대, 집합교육의 형태 및 장소의 다양화(강의, 워크숍, 세미나, 업무지=학습장) 등 수요자 중심으로 교육형식이 다양화되고 있다. 또한 정규교육기관(대학)과의 파트너십과 직책별로 세분화된 리더십개발 과정을 운영하면서 리더십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현장중심의 성과개선에 초점을 두고 코칭 및 멘토링을 통한 리더육성,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사이버교육과 집합교육 동시 활용 (블랜디드 러닝), 장기프로그램을 통한 글로벌 리더 육성이 매우 강조되 고 있다. 국내외 현황에 따른 시사점은 교육의 성과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현장의 성과 개선활동이 강화되며, 학습의 중심이 교육장에서 현업으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핵심인재육성의 차원에서 글로벌 리더육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실시되며, HRD가 평생교육의 개념을 확대하고 있다. HRD 패러다임은 [그림 Ⅱ-1]과 같이 조직의 성과창출을 목적으로 자 기주도 학습과 수요자 중심 학습으로 변화해 왔으며, 이에 따라 조직 내 인재개발 기능은 교육훈련의 전략적 가치에 기반하여 환경변화에 따른 조직역량 격차해소 전략을 주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이에 따라 학습자의 눈높이를 바탕으로 조직의 성장차원에서 교육훈 련이 가지는 전략적 가치를 인식하고, 환경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요구 되는 조직의 역량격차를 적시에 해소하기 위한 전략들을 주도적으로 생 산해 내는 역할이 필요하다. [그림 Ⅱ-1] HRD 패러다임의 변화

18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한국인사관리협회에서 제시한 HRD 주요 동향을 살펴보면, 전략적 인 재경영 영역에서는 경영층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핵심가치를 중심 으로 한 조직문화 정립 및 확산, HRM과 HRD의 전략적 연계를 통한 인 재경영, 자사형 리더십 파이프라인 모델개발 및 운영이 강조되고 있다. 현장성과 중심의 HRD 지원활동 강화 영역은 현장중심의 학습을 통한 성과창출 활동 강화, 성과지향 컨설팅 강화, 코칭 및 멘토링 등으로 인재 및 리더양성 주력, 학습조직 구축을 위한 HRD 지원활동 강화 등에 초점 을 두었다. 토털 러닝솔루션 제공 영역에서는 성과중심의 HRD 평가 및 측정활동 강화, IT기술 등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다양한 Learning solution 제공, 글 로벌 인재확보 및 양성, 인재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HRD활동 강화 등이 중심이 된다. 이러한 주요 동향을 고려할 때, HRD 전략과의 정합성을 기반한 성과 창출 지원 역할수행과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토털 러닝솔루션 역량확보가 요구된다. 한편, 세계적인 HRD협회인 ASTD의 최근 4년간 경향에 따르면, 조직 의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HRD기능을 위하여 핵심인재관리, 경쟁력 있는 교육체계 수립, 성과중심 교육 등이 주요 트렌드임을 알 수 있다. [그림 Ⅱ-2] ASTD 최근 4년간 경향(2010∼2013)

Ⅱ. 환경분석 19 이에 따라 HRD에 대한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 변화를 거듭하여 학 습활동을 설계하고 전달하는 전통적 역할에서 조직의 전략적 파트너로 서의 역할이 강조된다. 핵심인재 관리 및 유지방안 마련,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체계 수립, 교육의 성취 뿐 아니라 현업적용, 나아가 조 직성과 기여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보상제도, 현업과 분리된 교육시스템 구축 등이 필요하고, 실행력 제고를 위하여 HRD 전문성 강화 및 전문가 육성이 요구된다. 3 유관기관 교육현황 벤치마킹 경기복지평생교육원과 사업의 성격과 교육대상 등이 유사한 유수의 공공기관 연수원을 벤치마킹하였다. 벤치마킹의 주요 내용은 해당 기관 의 조직 구성, 인력현황, 주요 사업 및 교육현황 등으로, 대상 기관은 한 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경기도인재개발원, 지방행정연수원으로 삼았다.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은 국가 보건복지인력의 양성을 담당하는 기관 으로 보건 분야를 제외하면, 경기복지평생교육원과 교육대상과 교육분 야가 가장 유사한 기관이다. 경기도공무원을 위한 교육훈련기관인 경기 도인재개발원 벤치마킹을 통해 경기도공무원의 교육훈련 방향을 파악하 고, 이에 맞추어 경기복지평생교육원 기능과 역할 등을 설정하여야겠다. 끝으로 지방행정연수원은 전국의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기관 으로, 전국 시・도 공무원 교육원의 허브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경기복지 평생교육원의 주요 기능과 역할이 가장 유사한 것으로 사료된다. 1)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은 보건복지에 관한 교육 훈련 등의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보건복지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자 등에게 전문성을 높이 는 기회를 제공하고 보건복지 분야의 발전을 도모하여 국민의 삶의 질

20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향상에 이비지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맞춰 ‘국가 보건복지 인재양성의 허브(Hub)로서 글로벌 선도기 관(Global Top)이 된다’는 비전과, ‘보건복지 인재양성을 통해 보건복지 분야의 발전과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는 미션을 가지고 있다. 주요사업은 보건복지분야 공무원 및 업무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 보 건복지분야 훈련 프로그램 연구개발・보급 및 관리, 보건복지분야 전문 가 및 교육훈련 강사의 양성, 보건복지분야 인력개발에 관한 연구, 국제 협력 사업 등이다. 조직 및 인력구성을 살펴보면, 조직은 4본부 1실 20부・팀・센터로 이루 어져 있고 인력은 162명(2014년 3월 기준)이다([그림 Ⅱ-3] 참조). 원 장 자문위원회 사이버교육센터 감사팀 교수실 글로벌협력센터 경영본부 보건복지교육본부 보건산업 교육본부 사회복무 교육본부 경 영 기 획 부 운 영 지 원 부 복 지 행 정 교 육 부 사 회 서 비 스 교 육 부 건 강 증 진 교 육 부 보 건 생 명 교 육 부 교 육 지 원 연 구 부 글 로 벌 헬 스 케 어 교 육 부 제 약 ・ 화 장 품 산 업 교 육 부 의 료 기 기 ・ U ❘ 헬 스 교 육 부 사 회 복 무 교 육 팀 지 역 별 교 육 센 터 (6) [그림 Ⅱ-3] 조직도

Ⅱ. 환경분석 21 각 부서별 업무는 <표 Ⅱ-3>과 같다. <표 Ⅱ-3>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팀별 업무 구분 업무 감사팀 대외감사 수감, 자체감사 업무 및 청렴도 평가 등 교수실 분야별 교육과정 기획, 강의 및 연구, IRB 전문인력양성사업, 치매전문인력양성사업, 기초연금교육 사이버교육센터 사업계획, 대외협력, 사이버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글로벌협력센터 사업계획, 대외협력, 사업운영 경영기획부 예산, 이사회, 임원추천위원회, 조직관리, 국정과제관리, 오송CEO포럼, 대외평가, 고객만족도, 경영공시, 성과평가, 홍보, 재규정, 회의체, 원내 협조 운영지원부 예・결산, 회계, 세무, 인사・노무, 교육, 조직문화, 시설관리, 계약, 용역, 구매, 자산관리, 비서, 자료실 운영, 대형버스 운행 및 관리 복지행정교육부 복지행정분야 교육과정 기획・운영 사회서비스교육부 사업계획, 보건복지부 교육 기획・운영, 사회서비스 분야 교육과정 기획・운영, 교육평가 및 서비스품질 관리, 역량개발사업(AC/DC) 관리, 성과지표 개발, 강의실 관리, 강사관리, 교재관리, 고용보험환급과정 관리, 대외협력, 인재양성협의회 운영, 교육생 차량 지원 건강증진교육부 건강증진분야 교육과정 기획・운영, 통합건강증진사업교육, 의료급여관리사, 보건진료소장교육, 정신보건인권교육 보건생명교육부 보건생명 교육과정 기획・운영 교육지원연구부 대외협력, 규정, 교육연구, 정책지원, 산업공단 지원금 예산 관리, 훈련 실적관리, 평가 및 만족도 관리, 통계, 홍보, 전산, 보안, 시설관리, 자산 관리 글로벌헬스케어 교육부 교육지원 제약・화장품산업 교육부 화장품산업 교육기획 운영, 제약산업 교육 기획 운영 의료기기・U헬스 교육부 의료기기산업 교육 기획 운영 사회복무교육팀 교육계획, 규정개정, 교재 및 매뉴얼 개발, 홍보, 교육과정개발, 교육 평가, 교육실적 및 성과관리, 계약, 구매, 시설관리, 홈페이지 관리, 센터별 예산 자금관리, 회계 지역별교육센터 (6개) 강의, 외래강사 관리 및 섭외, 교육과정 운영, 실적관리, 현장실습관리, 대외홍보, 교육과정 평가, 회계, 물품관리, 시설 관리, 홈페이지 관리, 교육생 선발, 기자재관리

2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의 교육은 크게 보건복지부, 직무기본역량, 사회복지분야, 보건의료분야, 식의약분야, 사이버분야, 맞춤형 위탁교육 으로 구분된다. 2013년 교육실적을 살펴보면, 총 449개 과정을 운영하였 고, 교육인원은 89,521명이었다. 이 중 사이버교육을 통한 교육인원이 52,103명이었다. 2014년에는 120,933명, 전체 종사자 대비 5%를 교육시킬 계획이며, 연 구개발 건수는 40건을 목표로 하고 있다. <표 Ⅱ-4> 한국보건복지 인력개발원 2013년 교육 실적 구분 과정(개) 교육인원(명) 출연 교육 집합 교육 보건복지부 29 1,125 직무기본 6 526 복지분야 46 2,536 보건분야 81 2,722 국제교육 2 150 사이버교육 102 52,103 정책 지원 교육 사회복무교육 8 7,750 보건사업교육 30 2,820 아동자립지원 4 1,395 기타 6 1,324 수탁교육 보건복지분야 125 16,857 국제교육 10 213 계 449 89,521 2) 경기도인재개발원 1957년 경기도립 공무원훈련소로 발족한 경기도인재개발원은 경기도 지방공무원의 교육훈련과 인재양성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경기도인재개발원 교육훈련은 예전의 형식적이고 획일적인 교육, 단 기성과를 위한 교육, 승진요건 충족을 위한 교육에서 벗어나 조직비전과

Ⅱ. 환경분석 23 목표와의 연계, 역량중심과 핵심가치에 기반을 둔 교육훈련을 실행하고 있으며, 통합된 인적자원개발과 연계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이유 진, 2010 재인용). 경기도인재개발원의 인재육성 방향은 합리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균 형감각을 갖춘 인재,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전문적 인재, 다양 한 아이디어를 현업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창조적 인재이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가치지향 교육, 앞선 교육, 열린 교육, 교육 인프라 고도 화를 교육의 방향으로 삼고 있다. 조직 및 인력구성을 살펴보면, 조직은 2과 1센터 20팀으로 이루어져 있고 인력은 총 59명이다([그림 Ⅱ-4] 참조). [그림 Ⅱ-4] 조직도 경기도인재개발원의 주요업무는 교육훈련계획수립, 기본교육, 전문교 육, 사이버교육, 기타교육 등 교육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 평가 등이고, 각 팀의 세부업무는 <표 Ⅱ-5>와 같다.

2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표 Ⅱ-5> 경기도인재개발원 팀별 업무 구분 업무 교육 컨설팅과 (1명) 총괄지원팀 (9명) 조직 및 정원 관리, 인사, 기획, 회계, 예산, 계약, 의회업무, 성과관리, 홍보, 개인정보 관리, 문서사송, 당직, 보안, 수덕관/ 주차장/의무실/식당관리, 자료실 운영, 부속실 업무 국제교육팀 (5명) 중국 교류연수과정 운영, 글로벌 인재양성 및 개도국과정 운영, 서무, 교육과정 기록, 기록물 보관 교육컨설팅팀 (3명) HR전문교육과정 운영, 교육컨설팅 운영 시설관리팀 (10명) 생활지도, 수덕관 관리, 물품관리, 시설관리, 관용차량, 기계 설비, 통신 및 네트워크 운영, 전기시설 운영, 차량운행 및 유지관리 역량개발 지원과 (1명) 교육기획팀 (8명) 교육훈련계획 수립, 과정설계/기획, 교육훈련규정 관리, 예산, 수입대체경비, 강의녹화/편집, 방송장비 및 교육기자재 관리, 발간실 운영, 의회, 홍보 핵심인재팀 (6명) 교육과정 운영 - 신규공직자과정, 현대사과정, 경기도 바로알기 교육과정, 일반직전환과정 리더십팀 (4명) 교육과정 운영 - 핵심가치(G-Value)교육, 융합(수도권, 중부권)교육 조직문화(스마트워크, 긍정조직, 창의)교육, 리더십 교육, 조직문화(감성) 교육 직무전문팀 (4명) 직무전문과정 기획 및 운영 e-러닝 센터 (1명) 사이버교육팀 (4명) 사이버교육 계획수립, 정보화집합과정 운영, 사이버교육 홍보, e-러닝성과분석, 예산결산, 모바일교육팀 (3명) 교육콘텐츠 개발, 시스템 구축, 모바일 전자책 운영, 모바일 교육 홍보, 교육콘텐츠 품질관리 경기도인재개발원의 교육은 크게 집합교육과 e-러닝으로 구분되어 운 영된다. 집합교육은 기본, 리더십, 감성창의, 직무, 글로벌, 정보화, 기타 로 구분되고, e-러닝은 사이버교육과 모바일교육으로 구분된다. 2013년 교육실적을 살펴보면, 총 4,657개 과정을 운영하였으며, 교육인원은 1,186,613명이었다. 전반적으로 모바일 교육의 비중이 높아, 경기도인재 개발원의 전체 교육과정의 약 77%, 전체 교육인원의 약 84%를 모바일교 육이 차지하고 있다. 2014년에는 총 1,203,256명을 교육시킬 계획이다.

Ⅱ. 환경분석 25 <표 Ⅱ-6> 경기도인재개발원 2013년 교육 실적 구분 과정(개) 교육인원(명) 집합교육 기본 9 3,700 리더십 10 1,048 감성창의 6 1,220 직무 39 2,640 글로벌 17 395 정보화 9 540 기타 7 770 e-러닝 사이버 960 171,500 모바일 3,600 1,004,800 계 4,657 1,186,613 3) 지방행정연수원 지방행정연수원은 ‘개방과 협력으로 신뢰받는 창의적 지방자치리더 양성’을 비전으로 하며, ‘국정철학의 공유・확산 및 지역발전을 이끌어 갈 지방 핵심리더 양성’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주요 기능은 5급 이상 지방공무원에 대한 교육훈련, 지방공무원 교육훈련 관련 연구, 개발 및 지원활동, 교육훈련기관 간의 협조 및 민간 교육훈련기관과의 협력증진, 외국 지방공무원에 대한 교육 및 국제협력이다. 조직은 [그림 Ⅱ-5]와 같이 2부 6과로 구성되며, 인원은 총 104명(2013 년 12월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교육총괄과 내에는 원내강사 4명이 포함 되어, 교육수요가 많은 4개 분야(지방재정, 지방자치, 갈등관리, 행정법) 에 대한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2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원장 기 획 부 교 수 부 행 정 지 원 과 기 획 협 력 과 국 제 교 육 협 력 과 교 육 총 괄 과 교 육 1 과 교 육 2 과 (27) (13) (10) (25) (14) (15) [그림 Ⅱ-5] 지방행정연수원 조직도 각 팀별 업무는 <표 Ⅱ-7>과 같다. <표 Ⅱ-7> 지방행정연수원 팀별 업무 구분 업무 기획부 행정지원과 - 행정지원과 공무원의 임용 복무 후생복지, 인사 및 자체 감사- 예산편성 및 집행, 청사시설의 유지관리 기획협력과 - 주요사업계획 수립 및 조정, 조직 및 정원관리 - 지방공무원교육원 지원, 민관 교육기관 교류협력 - 교육훈련기법 등의 연구개발 국제교육 협력과 - 외국공무원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국제 홍보 - 정부 주요시책 교육과정 운영 교수부 교육총괄과 - 교육훈련계획의 수립, 조정 및 평가, 학적관리 - 지방재정, 복식부기, 지방자치, 행정학, 공법 및 행정법 등 강의 - 강의실, 분임실 등 교육시설 운영 및 원내 정보화 업무 - 장기, 기본, 전문, 특별, 사이버교육과정 운영 교육1과 - 장기, 기본, 전문교육과정 등의 운영 교육2과 - 장기, 기본, 전문교육과정 등의 운영

Ⅱ. 환경분석 27 지방행정연수원의 교육은 크게 집합교육과 사이버교육으로 구분되고, 집합교육은 장기과정, 기본과정, 전문과정, 시책과정, 선출직과정, 공기 업과정, 외국인과정으로 나뉜다. 2013년 교육실적을 살펴보면, 총 189개 과정을 운영하였으며, 이 중 집합교육은 75개 과정, 사이버교육은 114개 과정이었다. 교육인원은 총 167,335명으로, 집합교육 교육인원이 7,335 명, 사이버 교육 교육인원이 160,020명으로 나타났다. 2014년에는 191개 과정, 총 166,535명을 교육시킬 계획이다. <표 Ⅱ-8> 지방행정연수원 2013년 교육 실적 구분 과정(개) 교육인원(명) 집합교육 장기과정 4 280 기본과정 1 2429 전문과정 35 2241 시책과정 10 1395 선출직과정 3 135 공기업과정 11 531 외국인과정 11 324 사이버교육 114 160,020 계 189 167,355 4 시사점 사회복지 및 제반환경, 인적자원개발 트렌드 그리고 유관기관 벤치마 킹 결과를 요약하면 <표 Ⅱ-9>와 같다.

28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표 Ⅱ-9> 환경 분석 요약 구분 내용 사회 복지 및 제반 환경 ∙ 맞춤형 복지서비스로 복지체감도 증진 강조 ∙ 주민의 욕구 발굴 및 해결을 위한 전달체계구축 및 시행 ∙ 국민의 복지욕구 증대 및 고령화에 다른 공공사회복지 지출 지속 확대 ∙ 저출산・고령화로 인구구조 변화 ∙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에 따른 인생 2모작 등 사회적 관심 확대 ∙ 지식기반 경제 및 비즈니스 생태계 변화에 따른 인재개발 서 비스 전문화 ∙ 인터넷을 통한 전 세계통합 등의 개방성 증대 ∙ IT기기의 인공지능 기능 강화 및 디지털공간에서의 정보공유 문화 형성 ∙ 전문성 제고 및 고객만족도 지속적 개선 인적 자원 개발 트렌드 ∙ 현장중심의 학습과 성과향상을 지원하는 인적자원개발 부서의 역할 강조 ∙ 핵심가치와 역량(기반, 리더십, 직무)에 기반한 인재양성 ∙ 코칭 및 멘토링을 통한 리더 육성 및 글로벌 리더 육성 강조 ∙ 자기주도형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의 강조 ∙ 수요자 중심으로 교육형식의 다양화 ∙ 학습동기유발을 위한 퍼실리테이팅, 참여형 교육에 초점 유관기관 벤치마킹 ∙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4본부 1실 20부・팀・센터(162명), 449개 과정운영 및 89,521명 교육실시 ∙ 경기도인재개발원 : 2과 1센터 20팀 (59명), 4,657개 과정운영 및 1,186,613명 교육실시 ∙ 지방행정연수원 : 2부 6과(104명), 189개 과정운영 및 167,335 교육실시 이상의 환경 분석에 따르면, 맞춤형 복지서비스와 복지서비스 품질향 상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복지서비스가 인적서비스이기 때문에 전달체계상에서 중요한 주체인 사회복지인력의 전문성이 무엇보 다 중요하고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민의 복지체감도 증진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인력에 대한 인재개발 전략과 전문성 제고방안이 마 련되어야 하고, 사회복지시설 역량강화를 위한 복지교육서비스를 추진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저출산・고령화 인구구조의 노동시장 영향으로 각 세대별 욕구에 적합한 학습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고, 인재개발서비스 제공을 통한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무를 강화해야 한다. 한편 최근 스마트한 IT기기의 활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IT기기를 활용 한 학습의 효율성 강화방안을 마련하고, IT기술에 따른 학습생태계 조성 이 필요하다. 스마트한 IT기기는 사회복지인력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Ⅱ. 환경분석 29 위해서 우선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특히 사회복지인력의 교육이력관 리 및 교육정보 제공, 역량진단 등을 실시할 수 있는 웹기반의 학습포털 시스템 구축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인적자원개발 트렌드는 현장중심의 학습과 성과향상을 지원하는 인적자원개발 부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로 볼 때, 사회 복지교육기관이 사회복지조직의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역할 실행을 위한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전문성 강화, 조직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체계 수 립, 현업과 분리되지 않는 교육시스템 구축, 교육형식의 다양화 등이 요 구된다. 유관기관 벤치마킹에 따르면, 각 기관들은 인재육성의 방향과 추진전 략을 마련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조직 및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여 전 문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기관들은 오프라인 교육을 위한 제반 시설환경 조성과 더불어 상층부와 유기적 연계, 지속 적인 연구개발로 조직의 전략적 파트너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IT 기반의 온라인교육을 대폭 실시하여 언제어디서든 학습할 수 있는 다양 한 콘텐츠와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교육기관은 기존의 주먹구구식의 교육에서 벗어나 인재육성 비전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추 진할 조직기반 구축과 효과적이고 효율적 교육을 위한 교육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축이 필요하다.

1 사회복지종사자 현황 및 교육현황 2 사회복지종사자 FGI 및 설문조사 3 시사점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Ⅲ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33 사회복지종사자 현황 및 종사인력의 교육현황을 파악하여 경기복지평 생교육원의 비전, 역할 설정 및 사회복지종사자 인재상 및 육성전략 수 립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종사자들의 교육현황에 관 한 문헌분석을 실시하고, 사회복지기관 및 사회복지종사자의 의견수렴 을 위해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 사회복지종사자 현황 및 교육현황 1) 경기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현황 경기도는 대한민국 수도인 서울과 인접해 있어 노인인구, 해외이주민, 장애인, 저소득층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물리적 환경에 놓여있고, 복지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렇게 증가하는 복지수요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시설은 총 12,716개소, 이용자수는 581,748명, 이들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 복지시설 종사자는 34,143명에 달한다. 이 중 사회복지사자격증을 취득 하고 사회복지사로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는 약 14,000여 명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Ⅲ

3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경기도사회복지사 연간보수교육참가 자료참고, 2013)으로 파악된다. <표 Ⅲ-1> 경기도 사회복지시설 및 종사자 수 시설분야 및 유형 시설 수 이용자 수 종사자 수 합계 12,716 581,748 34,143 노인 생활 1,470 39,712 17,776 이용 9,636 325,012 7,046 장애인 생활 146 5,782 2,758 이용 436 146,935 2,399 아동 생활 152 2,365 857 이용 726 20,986 1,733 정신보건 생활 33 1,562 286 이용 11 484 88 노숙인 생활 3 75 18 이용 13 808 115 지역자활센터 이용 32 3,850 202 사회복지관 이용 58 34,177 865 출처: 경기도 내부자료(2013) 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현황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을 운영하고 있는 경기복지재단은 ‘대한민국 복지 허브 No. 1 경기복지재단’이라는 비전 달성을 위해 현장중심 정책개발, 복지서비스 기반강화, 복지전문 인력양성, 고객만족 공감경영의 4대 전 략목표를 수립하였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은 4대 전략목표 중 ‘복지전문 인력양성’을 실행 하기 위해 설립・운영하고 있다.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35 [그림 Ⅲ-1] 경기복지재단 미션 및 비전 이처럼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은 경기복지재단의 비전과 연계성을 가지 고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각종 교육과정을 개발・운영 하며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조직구성은 대표(원장) 이하 1개 팀(복지교육 팀)으로 구성된다. 복지교육팀은 연간교육계획수립, 교육과정개발, 교육 과정 기획 및 운영, 정책연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업무수행 비율은 교육전략수립이 6%, 교육기획 22%, 교육운영 27%, 교육평가 14%, 과정 개발 13%, 정책연구 8%로 나타나, 교육운영을 제외한 나머지 역할에 대 한 역할 증대가 요구된다. 복지교육팀 구성원은 평균 약 2년 3개월의 사회복지종사자 교육・훈련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구성원 중 교육관련 전공자는 1명으로 나타나, 사회복지분야의 교육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인력의 수가 부족한 상황이 다. 더불어 구성원의 외부연수의 기회 역시 부족하여 지속적으로 업무

3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전문성을 쌓는 데 어려움이 있다. <표 Ⅲ-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업무수행 현황 구분 과정종류 팀장(%) 팀원1 팀원2 팀원3 팀원4 평균 역할 교육전략수립 업무 총괄 (100%) 10 0 0 0 6 교육기획 20 20 30 20 22 교육운영 20 70 30 65 37 교육평가 10 10 20 10 14 과정개발 20 0 20 5 13 정책연구 20 0 0 0 8 사회복지교육 경험 5년 3년 2.3년 1년 1년미만 2년 3개월 외부 연수실적 (최근 1년) 2회 무 무 무 무 0.4회 교육학관련 전공유무 유 무 무 무 무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재직기간을 분석한 결과, 재직기간 1년 이하가 40%, 1년 초과∼3년 이하가 40%, 3년 초과∼5년 이하가 20%로 나타났 다. 이 중 학사이하와 석사학위 소지자는 각각 40%이고, 박사학위 소지 자는 20%이다. <표 Ⅲ-3>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인력현황 구분 인원 비율 합계 5 100% 교육원 재직기간 1년 이하 2 40% 1년 초과 ∼ 3년 이하 2 40% 3년 초과 ∼ 5년 이하 1 20% 5년 초과 - - 관련학위 취득현황 학사이하 2 40% 석사 2 40% 박사 1 20%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37 영역 교육대상 교육과정 개요 세부 사항(교육과정 현황) 기본역량 교육 사회복지 기관 종사자 ∙ 사회복지사가 가져야 할 공통적인 가치와 관련한 교육과정 ∙ 인권과정 ∙ 장애인 인권과정 ∙ 핵심가치과정 리더십역량 교육 ∙ 사회복지사의 리더십과 관리능력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 서번트 리더십 과정 ∙ 코칭스킬 과정 ∙ 복지경영 최고지도자 과정 직무역량 교육 ∙ 사회복지사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 상담과정 ∙ 사례관리 수퍼바이저 과정 ∙ 사회복지 수퍼바이저 과정 ∙ 사회복지 조사분석과정 ∙ 기획력 향상과정 ∙ 홍보실무과정 ∙ 마을만들기 코디네이터 과정 ∙ 장애인 복지시설 회계실무과정 ∙ 신입직원 입문과정 외부 위탁교육 ∙ 사회복지 직능단체 위탁 교육과정 ∙ 서비스대상별 맞춤교육 (6개 기관, 6개 과정) ∙ 교육협력사업(2개 기관) 사이버교육 사회복지에 관심 있는 자 ∙ 사회복지 직무관련 기초 교육과정 ∙ 사랑실천 사례관리과정 ∙ 사회복지 모금과정 사회복지 공무원교육 사회복지 공무원 ∙ 사회복지공무원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 스트레스와 소진완화 과정 ∙ 복지대상자 고위험군의 이해 및 상담과정 ∙ 신규 사회복지공무원 과정 ∙ 사회복지시설담당 공무원 과정 ∙ 사회복지공무원 힐링 워크숍 사회서비스제공 기관 종사자교육 사회서비스 제공기관 종사자 ∙ 사회서비스 제공기관 종사자 직무능력 향상 교육과정 ∙ 사회서비스 회계실무과정 ∙ 사회서비스 마케팅 과정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2013년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1)기본역량 교육 2)리더십역량 교육 3)직무역량 교육 4)외부 위탁교육 5)사이버 교육 6)사 회복지공무원 교육 7)사회서비스제공기관종사자 교육 8)도정연계 교육으 로 나뉘고, 교육 대상자는 1)사회복지기관 종사자 2)사회복지공무원 3)사 회서비스제공기관 종사자 4)사회복지에 관심 있는 일반인으로 구분된다. <표 Ⅲ-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교육과정 현황

38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영역 교육대상 교육과정 개요 세부 사항(교육과정 현황) 도정연계 교육 사회복지 공무원 외 ∙ 도의 요청 및 수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 서로돌봄마을 핵심리더 양성과정 ∙ 시・군 무한돌봄 공무원 및 사례관리자 힐링캠프 연도별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보면, 교육과정은 매해 35개 과정 내외로 운영되었고, 사이버교육을 포함한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를 위한 직무교 육과정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물리적 거리가 넓은 경기 도 지역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지속적인 사이버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사 회복지종사자의 교육 참여기회를 늘리며, 역량수준 향상에 기여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반면, 사회복지직능단체 위탁교육은 소폭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 <표 Ⅲ-5> 경기복지평생교육원 교육영역별 교육과정 보유현황 영역 2012 2013 2014(계획) 과정수 (개) 비율 (%) 과정수 (개) 비율 (%) 과정수 (개) 비율 (%) 기본역량 교육 2 6.7 3 8.1 2 6.1 리더십역량 교육 5 16.7 5 13.5 4 12.1 직무역량 교육 9 30.0 10 27.0 12 36.4 외부 위탁교육 7 23.3 8 21.6 5 15.2 사이버 교육 1 3.3 2 5.4 3 9.1 사회복지공무원 교육 2 6.7 5 13.5 4 12.1 사회서비스 제공기관 종사자교육 2 6.7 2 5.4 2 6.1 도정연계 교육 2 6.7 2 5.4 1 3.0 계 30 100.0 37 100.0 33 100.0 연도별 교육인원을 살펴보면, 연도별 교육인원의 편차가 큰 편으로 이 는 위탁 및 수탁교육에 따른 차이에 기인한다. 각 교육분야의 연도별 교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39 육인원의 비율을 살펴보면, 사이버 교육과정의 교육인원 비율이 지속적 으로 증가하고 있고, 직무역량 교육은 특히 2014년에 대폭 증가할 것으 로 기대된다. 반면, 외부 위탁교육은 그 비중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데, 이는 교육영역에 따른 연도별 교육과정 수의 변화와도 일치하는 결 과이다. <표 Ⅲ-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교육영역별 교육과정 운영실적 현황 영역 2012 2013 2014(계획) 교육인원 (명) 비율 (%) 교육인원 (명) 비율 (%) 교육인원 (명) 비율 (%) 기본역량 교육 172 3.5 483 6.7 120 4.4 리더십역량 교육 115 2.3 113 1.6 85 3.1 직무역량 교육 461 9.4 590 8.2 530 19.6 외부 위탁교육 1,584 32.2 2,992 41.6 500 18.5 사이버 교육 1,643 33.4 1,614 22.4 1,100 40.6 사회복지공무원 교육 585 11.9 679 9.4 275 10.1 사회서비스 제공기관 종사자교육 175 3.6 247 3.4 100 3.7 도정연계 교육 185 3.8 480 6.7 - - 계 4,920 100.0 7,198 100.0 2,710 100.0 3) 사회복지 직능단체의 교육현황 사회복지 직능단체의 교육현황은 경기도 내 장애인분야 관련협회(경 기도장애인복지시설연합회, 경기도장애인복지관협회, 경기도장애인복지 시설협회), 경기도노인복지관협회, 경기도사회복지관협회, 경기도사회복 지협의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장애인분야 관련 협회의 경우, 각 협회별 사회복지인력 교육을 담당하 는 조직과 역할, 조직의 인원수를 살펴본 결과, 교육전담 조직 및 교육전 담 인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장애인복지시설연합회는 연

40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교육기관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인원(명) 경기도장애인 복지시설연합회 민・관 협력을 위한 합동 워크숍 장애인복지 현안문제에 대한 토론 122 소 계 122 경기도장애인 복지관협회 종사자 보수교육 (8차) 사회복지 관련 교육 370 종사자 심화교육 관장 심화교육 22 사무국장 심화교육 22 팀장 심화교육 33 신입직원 심화교육 25 경영포럼 54 소 계 526 경기도장애인 복지시설협회 <신입직원> 역량강화교육 - 윤리와 가치 - 현장에서의 실천과 행정 40 <직원> 역량강화교육 - 윤리와 가치 - 현장에서의 실천 -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59 합회 사업 전반을 진행하는 1인이 교육관련 업무도 함께 수행하였으며, 경기도장애인복지관협회 역시 별다른 조직 및 담당인원이 없었다. 경기도 장애인복지시설협회는 교육담당 1인이 교육관련 업무 전반을 수행하였다. 2013년 각 협회별 사회복지인력 교육 실적을 살펴보면, 경기도장애인 복지시설연합회에서는 1회의 워크숍을 진행하였고, 경기도장애인복지관 협회는 종사자 보수교육(8차수)과 종사자 심화교육을 직급별로 1차례씩 운영하였다. 경기도장애인복지시설협회는 직급별 역량강화교육을 각 1 회씩, 지역별 거주시설종사자 인권교육(4개 지역), 지역별 거주시설 평가 대비 교육(3개 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시설장 정책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모든 과정은 집합교육 형식으로 운영되었으며, 인권과정(3∼4시간)을 제 외하고 1∼2일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표 Ⅲ-7> 경기도장애인관련협회 교육현황 2) 경기복지재단의 예산지원에 따른 공동협력방식으로 실시함.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41 교육기관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인원(명) <중간관리자> 역량강화교육 - 윤리와 가치 - 정책과 법 - 시설평가 내용 61 <시설장> 역량강화교육 - 윤리와 가치 - 운영자로서의 실천 (함께하는 리더) - 정책과 법 38 찾아가는 인권교육2) (4차) - 인권의 역사와 세계동향 - 실천현장에서의 장애인 인권 424 평가 대비교육 (3차) - 2013년 거주시설 평가 지표 설명 - 시설평가 관련 전반사항 질의 응답 및 대안 111 시설장 정책 워크숍 <포천지역> - 2014년 경기도 장애인복지 정책 및 지침 방향 - 중앙환원 대비하여 거주시설의 대응방안 42 소 계 775 계 1,423 경기도노인복지관협회는 경기지역 노인복지관 운영의 내실화와 어르 신 복지증진의 도모를 목적으로 설립・운영되고 있으며, 주요 사업으로 는 정보교류사업(신년인사회, 추계세미나, 우수프로그램 공모전 등), 정 책개발 및 교육훈련사업(권역별실무교육, 해외 선진기관 연수 등), 홍보 출판사업, 기타사업(사회복지 보수교육, 노인생명존중 선포식 외)을 수 행하고 있다. 경기도노인복지관협회의 사회복지인력 교육을 담당하는 조직과 역할, 조직의 인원수를 살펴본 결과, 정책개발 및 교육훈련사업 담당자 1인이 관련 업무를 진행하였다. 2013년 교육실적은 노인복지관 실무자 대상 교 육과정 10개, 이용자(어르신) 대상 교육과정 2개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교육대상은 노인복지관 종사자와 노인사회복지시설 이용자(어르신)로 구분되고, 노인복지관 종사자 대상 교육은 4시간 이내의 집합교육으로 진행되며, 대상자(어르신) 교육은 1시간 집합교육으로 구성되었다.

4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표 Ⅲ-8> 경기도노인복지관협회 교육현황 구분 교육내용 교육인원(명) 실무자 교육 일본의 노인복지사업의 현주소 및 변화 36 고령사회 노인복지관의 질적 서비스 종합대책 21 기초노령연금제도를 통해 본 한국의 노인복지와 스웨덴의 노인복지 정책 및 운동 182 주택연금의 이해 40 사례관리 25 스토리텔링 프레지 17 대인관계 능력 향상 35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과 사회복지사의 가치 40 노인의 인권 (2차) 60 노인의 성문화 인식개선 40 계 496 경기도사회복지관협회는 한국사회복지관협회의 경기지회로서 주민중 심의 복지 패러다임 변화 및 복지관 경영전략 혁신에 적합한 맞춤형 교 육과정과 사회복지관에 특화된 인재육성 전략에 필요한 교육체계를 설 립하고 발전시켜 나아가고자 하였다. 경기도사회복지관협회는 산하에 교육학술위원회라는 전문위원회를 두어 교육학술위원회에서 협회의 모든 교육을 관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학술위원회는 현 복지관 관장 2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위원회를 중 심으로 협회 임원진과 함께 교육기획 역할을 수행한다. 2013년 경기도사회복지관협회의 교육은 총 7개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 중 세미나와 심포지엄이 각각 1회씩, 실무자 해외문화체험과 기관장 사회경제투어가 각각 1회씩, 권역별 위탁교육이 총 3회 진행되었다. 교 육대상은 종합사회복지관 종사자이고, 교육시간은 실무자 해외문화체험 과 기관장 사회경제투어를 제외하면 모두 1일 또는 2일 집합과정으로 이루어졌다.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43 <표 Ⅲ-9> 경기도사회복지관협회 교육현황 교육과정명 교육내용 교육인원(명) 21회 종사자 세미나 (1박2일) - 지역사회의 변화와 사회복지관의 역량강화 - 지역사회복지관과 마을공동체 - 가치와 연대중심의 지역사회변화 프로젝트 573 2013 사회복지관 심포지엄 (1일) - 사회복지사의 경력개발 프로그램 구축 방안 - 민간위탁제도 개선 방안 연구 200 실무자 해외문화체험 (3박4일) 사회복지에 대한 견문을 넓히고 쉼을 통해 재충전의 기회로 삼아 사회복지 발전에 기여 30 기관장 사회경제투어 (9박10일) 기관장들 간의 연수 기회를 통해 긴밀한 네트워크 형성 및 원활한 업무교류 지원 16 권역별 실무자 교육 지원 사업 (위탁교육) 1권역 : 관계형성프로그램 사회복지갈등관리기술 30 3권역:비폭력대화법을 통한 코칭교육 19 4권역 - 삶의 치유를 위한 인문공부 - 최고중간관리자 수퍼비전기술 42 계 910 경기도사회복지협의회는 경기도지역 사회복지의 조사・연구와 각종 복지사업을 조성하고, 사회복지사업과 활동을 조직으로 협의・조정하며, 사회복지에 대한 도민의 참여를 촉진시킴으로써 지역사회의 복지증진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2013년 경기도사회복지협의회에서 진행된 교육은 총 9개 과정이다. 이 중 협의회 교육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과정이 3개 과정이고, 사회 복지사 법정보수교육 1개 과정, 직무교육과정 5개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교육대상은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자원봉사자 등이고, 모든 교육과정의 교육시간은 8시간 이하이며, 최소 교육시간은 4시간이다.

4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표 Ⅲ-10> 경기도사회복지협의회 교육현황3) 교육과정명 교육내용 교육인원(명) 사회복지시설 정보시스템교육 (39차)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활용법 1,303 사회복지사 법정보수교육 (16차) 사회복지사 법정보수교육 (지역별 순회) 980 행정실무교육 (3차) 문서작성 등 행정 관련 내용 149 회계실무교육 (8차) 사회복지법인 재무회계규칙 등 328 프로포절 작성 교육 (2차) 외부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제안서 작성 방법 등 60 노무관리교육 (2차) 사회복지시설(기관)의 노무 관련 내용 82 기초푸드뱅크 실무자 교육 (5차) 협의회 부설사업인 광역푸드뱅크사업의 일환으로 도내 기초푸드뱅크(푸드마켓) 실무자를 대상으로 교육 279 계 3,181 4) 경기도 내 사회복지기관의 교육현황과 교육수요 경기도 사회복지기관의 교육실태과 교육수요를 파악하고자 신재은 외 (2012)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경기도 내 사회복지기관의 1인당 교육비는 평균 141,137원, 1인당 교 육시간은 18.7시간으로, 1인당 교육비나 인당 교육시간이 공공기관이나 중소기업 대비 매우 낮았다. 기관 종사자들이 참여하는 교육의 대부분은 법정교육(보수교육 포함)이었으며, 교육비 지출 역시 법정교육의 비율이 높았다. 다양한 교육제도의 필요성도 느끼고 있었지만, 실제 교육비를 지원하는 교육비 지원제도를 제외한 다른 여타의 교육제도의 시행은 미 비한 실정이었다. 기관 내 교육업무를 전담하는 직원이 없거나 담당직원 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교육관련 업무 이외에 다른 업무를 병행하고 있 기 때문에 기관 자체적인 교육의 질 향상을 기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교육에 대한 수요조사 결과, 리더십역량 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 3) 자원봉사자 대상의 교육은 제외함.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45 게 나타났고, 각 역량별 세부교육과정은 <표 Ⅲ-11>과 같다. 이에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새로운 교육요구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지 속적으로 신설할 필요가 있다. 이는 조직 내 인적자원을 보다 효과적이 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며, 지속적인 조직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표 Ⅲ-11> 역량별 교육과정 역량 교육내용 기반역량 핵심가치 공유과정, 대인감수성 향상과정 리더십역량 효율적인 업무관리 과정, 프로의 시간관리 과정, 갈등관리 과정, 성과 관리 과정, 직원(팀원)코칭 과정, 동기부여 과정, 팀워크 형성과정, 비전 공유 과정, 직원(팀원)육성 과정 직무기본역량 복지이슈 세미나, 기획력 향상과정, 창의적 사고과정, 분석적 사고과정, 인권기본과정, 상담기술과정, 사례관리 기본과정, 사례관리 수퍼바이저 과정, 인사・노무 관리과정, 사회복지 재무회계과정, 문서작성 및 관리 과정, 비전수립과 윤리경영과정, 프로그램 기획 및 평가과정, 사회복지 조사분석과정, 기관이미지 구축을 위한 홍보과정, 자원봉사 관리과정, 모금을 위한 마케팅과정, 신입사회복지사 소용교육과정, 자기개발과정, 스트레스/소진 관리과정 직무 전문 역량 종합사회 복지관 사례관리과정, 사례관리 전문과정, 마을(공동체) 만들기 과정, 전문상담 과정 노인생활 시설 노인 인권과정, 노인복지정책 및 법제과정, 노인 상담과정, 노인 사례 관리 과정 노인이용 시설 노인 인권과정, 노인복지정책 및 법제과정, 노인 상담과정, 노인 사례 관리 과정 장애인 생활시설 장애인 인권과정, 장애인 상담과정, 장애인 사례관리 과정, 장애인 응급처치 과정, 직업재활 과정 장애인 이용시설 장애인인권 과정, 장애인 복지정책 및 법 동향 과정, 장애인 사례관리 과정, 직업재활 과정, 문화・여가 프로그램 기획과정 아동생활 시설 아동 인권과정, 아동 상담과정, 발달단계별 진로학습 및 상담과정, 아동생활지도 과정 지역자활 센터 자활관련 정책 및 법 동향 과정, 사례관리 과정, 자활공동체 설립지원 과정, 자활공동체 운영지원 과정, 취업지원 과정, 효과적인 회의진행 기술 과정, 주민리더 발굴과정, 사회적 경제과정

4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세부영역 교육과정 기수(기) 사회복지 공통 Iam복지디자이너(복지마을만들기-2013) 2 복지현장탐구과정(福書院) 7 사회복지강사역량강화과정 2 상담전문가되기 3 상담전문가되기-수퍼비전심화과정 1 복지행정 공공사례관리자양성과정 9 공공사례관리자양성과정 -레코딩수퍼비전과정 1 공공사례관리자양성과정 -희망복지지원단팀장 1 국민기초생활보장실무강화과정 6 전달체계개편부단체장교육 1 지방의회복지전문위원과정 1 지역복지핵심리더교육 2 지역사회복지계획담당자워크숍 1 지역사회복지계획수립과정 5 찾아가는희망복지지원단전문성강화교육 7 희망복지지원단모니터단교육 1 희망복지지원단장교육 1 5) 사회복지공무원 교육현황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은 2013년 사회복지공무원 대상으로 집합교 육 35개 과정을 계획하였고, 전체 교육과정은 사회복지공통, 복지행정, 아동보육, 저출산, 노인, 아동, 사회서비스, 장애인, 직급별 과정으로 구 분된다. 분야별 교육과정은 <표 Ⅲ-12>와 같고, 2013년 경기도 사회복지공무 원의 참여인원은 494명이었다. 이는 전체 교육인원의 8%에 해당되며, 전체 경기도사회복지공무원의 20%에 해당하는 인원이다. 경기도 소속 공무원의 집합 교육 참여 현황은 매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표 Ⅲ-12>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교육과정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47 세부영역 교육과정 기수(기) 노인 기초노령연금실무역량강화과정 2 노인장기요양실무역량강화과정 1 장사시설자연장컨설팅과정 1 장사시설해외사례교육과정II 1 장사업무실무역량강화과정I 5 사회서비스 사회복지법인관리역량강화과정 2 사회서비스투자사업기획력향상과정 1 자활실무역량강화과정 2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실무과정 1 아동 드림스타트실무자전문화교육2 14 드림스타트실무자전문화교육3 12 아동보육 저출산 드림스타트관리자과정 2 저출산대응정책과정 2 장애인 장애인복지시설실무역량강화과정 2 직급별 거제시사회복지담당공무원교육 2 사회복지전담공무원 Self-care역량강화교육 1 상담전문가되기-사례별수퍼비전과정 2 신규사회복지직공무원교육 13 경기도인재개발원은 2013년 사회복지공무원을 대상으로 총 4개 교육과 정이 개설되었다. 해당 교육과정은 무한돌봄과정, 보육실무과정, 저출산・고 령사회화과정, 스트레스 힐링 과정(시범교육)이며, 총 120명이 이수하였다. <표 Ⅲ-13> 경기도인재개발원 교육과정 교육과정 기수(기) 교육인원(명) 무한돌봄과정 2 30 보육실무과정 2 30 저출산・고령 사회화 과정 1 30 (시범과정) 스트레스 힐링 과정 1 30

48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2 사회복지종사자 FGI 및 설문조사 1) 포커스그룹인터뷰 결과 (1) 바람직한 사회복지인력의 모습 사회복지인력의 바람직한 모습은, 1)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면 서 혁신해 나가는 열정적인 사람 2)자기 성장과 함께 기관의 성과를 균 형 있게 추구하는 사람 3)직원간의 원만한 유대관계를 할 수 있는 사람 4)시설의 운영과 사업에 대한 조율과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사람 5)직 업윤리의식・사명감이 강한 사람 6)사회복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행정 력과 실천력을 함께 겸비한 사람 7)영역과 지역을 넘어서 다양한 교류를 통하여 사업 영역을 확대 하는 사람 8) 사회적 요구에 따른 사회적 책무 를 성실히 수행하는 사람으로 나타났다. (2)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과 개선사항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면, 1)사회복지인력 의 자기인식과 가치관 확립을 통한 재충전의 장으로서의 역할 2)사회복 지시설의 종사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공유, 전달하며 소통의 장으로서 의 역할 3)사회복지종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직능단체, 유관자와의 네 트워크 구축 역할 4)사회복지 종사자 교육 시스템 구축 및 교육 활성화 역할 5)경기도 내 사회복지종사자 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 램 개발 6)사회복지인력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 간의 조 정 및 협의 역할로 나타났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중점추진과제에 대한 의견은, 1)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증진 및 역량강화 2)사회복지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 색 3)사회복지종사자들을 위한 질 높은 교육 과정 개발 및 교육 내실화 4)사회복지종사 교육을 위한 강사 인프라 구축 5)사회복지사의 진로 개 발 및 역량 강화 6)사회복지종사자 직급별 교육 시스템 마련 7)민관의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49 협력방안에 대한 민・관 협력 교육시스템 구축 8)사회복지현장을 활용한 정책연구 수행 9)사회복지 현장과의 상시적인 의사소통체계 구축 10)경 기복지평생교육원 직원 역량강화로 정리되었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에 요구하는 개선사항으로는, 1)교육컨텐츠 개발 과 수요조사 실시 2)기관의 현실을 고려한 교육운영 3)홈페이지 구축 및 기관에 대한 홍보 필요 4)교육의 질적 개선 및 업무와의 연계성(실제 실 천에서의) 강화로 나타났다. (3) 사회복지인력교육에 대한 실태와 필요교육내용 사회복지기관에서의 교육이슈는, 1)경력자에 대한 능력향상 필요 2)케 어 전문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필요 3)사회복지사들의 매너리즘과 소진 에 대처하기 위한 수퍼비전, 감성교육, 힐링, 치유프로그램 4)사회복지 시설 유형에 맞는 전문 직무교육 실시 필요(사례관리, 지역조직화, 홍보, 후원교육, 직무기술 및 직무개발, 직무분석 교육)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인력 교육저해요인은, 1)사회복지기관의 예산부족 2)사회복 지종사자들의 바쁜 업무사정 3)사회복지기관 및 사회복지인력의 교육 중요성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인력에 대한 교육내용은, 1)홍보마케팅 전문가 과정 2)사회복 지프로그램 개발, 성과평가 전문가과정 3)생활재활/지원 교사역량강화 교육 4)윤리경영교육 5)조직관리교육 6)직급별(신입/선임사회복지사/팀 장/중간관리자/기관장교육) 7)기획전문가과정 8)상담전문가 양성교육 9) 지역 복지전문가 양성교육 10)소진예방교육 11)중장기 비전에 필요한 교 육 12)네트워크 활성화 교육 13)거주시설 장애인 케어기술교육 14)생애 주기별 서비스 기법/실천기술론 15)사회복지시설 운영교육 16)인적자원 관리교육 17)팀장 이하(경력직) 영역별 전문성 교육 18)행정실무능력향 상교육 19)현장의 정책에 대한 중간관리자 현장연구 20)복지국가/사회복 지종사자의 정치적 역할 21)개인정보보호교육 22)인문학 과정 등 분야별 직무교육, 직급별 리더십 교육이 우선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50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2) 설문조사 결과 (1) 교육의 목적 / 의지 경기도 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가 교육을 희망하는 목적은 ‘직무가 요구하는 역량을 갖추기 위하여’가 70.8%로 가장 높았다. 이밖에 22.6% 가 ‘개인적인 자기개발을 위하여’라고 하였으며, ‘교육이수 요구시간 및 승진요건을 채우기 위하여’가 4%, ‘바쁜 업무를 떠나 재충전하기 위하 여’가 2.2%로 나타났다. <표 Ⅲ-14> 교육을 희망하는 목적 (N=274) 교육을 희망하는 이유 빈도 백분율 직무가 요구하는 역량을 갖추기 위하여 194 70.8 개인적인 자기 개발을 위하여 62 22.6 교육이수 요구시간, 승진요건을 채우기 위하여 11 4 바쁜 업무를 떠나 재충전하기 위하여 6 2.2 많은 사람을 알기 위하여(인적네트워크) 1 0.4 한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가 교육을 희망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5 점 척도 기준으로 4.36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을 희망 한다’에 해당하는 86.8%에 대한 교육욕구 및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 으로 드러났다. <표 Ⅲ-15> 교육을 희망하는 정도 (N=274)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전혀 희망하지 않는다. 1 0.4 4.3686 .76021 희망하지 않는 편이다 3 1.1 보통이다. 32 11.7 약간 희망하는 편이다. 96 35.0 매우 희망하는 편이다. 142 51.8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51 이상으로 볼 때,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은 직무가 요구하는 역량을 갖 출 목적으로 교육 참여 의지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2) 교육전반 인식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사회복지기관에 들어온 후, 교육을 이수한 정 도를 분석한 결과, 5점 척도 기준으로 평균 2.98로 나타났으며, 3점(보통이 다) 이하에 해당하는 68.2%에 대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복지종사 자로서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표 Ⅲ-16> 교육이수 정도(사회복지사 자격유지를 위한 보수교육 제외) (N=274)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교육을 거의 못 받았다. 25 9.1 2.9818 .96250 교육을 적게 받은 편이다. 48 17.5 보통이다. 114 41.6 교육을 많이 받은 편이다. 81 29.6 충분히 교육받았다. 6 2.2 그리고 교육에 대한 정보습득 정도를 분석한 결과, 5점 척도 기준으로 평균 3.27로 나타났다. 그러나 3점(보통이다) 이하가 60.2%인 것으로 볼 때, 교육시스템 구축 등을 통하여 보다 적극적인 정보제공이나 공유 및 상호소통의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표 Ⅲ-17> 교육에 관한 정보습득 정도 (N=274)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전혀 없다. 8 2.9 3.2664 .96372 약간 있다. 48 17.5 보통이다. 109 39.8 약간 많다. 81 29.6 충분하다. 28 10.2

5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3) 교육받을 수 있는 기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이용경험이 있는 교육기관을 분석한 결과, 경기도사회복지직능단체(31.3%)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경기복지평 생교육원(25.6%), 중앙사회복지직능단체(21.7%), 민간교육기관(21.4%) 순이었다. 그러나 다른 교육기관을 선택한 65.4% 대비 경기복지평생교 육원에 대한 선호도는 25.6%로 나타나 적극적인 홍보와 실질적이고 효 과적인 교육과정 제공을 위해 사회복지현장의 니즈에 부합하는 실제로 적용이 가능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증가할 필요가 있다. <표 Ⅲ-18> 교육이수 기관(사회복지사 자격유지를 위한 보수교육 제외) (N=274) 교육기관 빈도 백분율 경기도사회복지직능단체(협회,협의회등) 104 31.30% 경기복지평생교육원(경기복지재단) 85 25.60% 중앙사회복지직능단체(협회,협의회등) 72 21.70% 민간기관 교육 71 21.40% 사회복지시설종사자들이 교육기관을 선택하는 이유는 ‘질 높은 교육과정 과 내용’이 38.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가까운 위치’가 20.8%, ‘우수한 강사진’ 17.5%로 응답하는 것을 볼 때, 교육내용의 질이 높고 지리적으로 접근하기 쉬우며 강사진이 우수한 교육기관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19> 교육기관 선택 이유 (N=274) 구분 빈도 백분율 질 높은 교육과정과 내용 106 38.7 가까운 위치 57 20.8 우수한 강사진 48 17.5 다른 학습자들과 교류 39 14.3 우수한 교육 시설 19 6.9 기타 5 1.8 합계 274 100.0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53 이상으로 볼 때,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은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을 포 함하여 경기도 내・외의 다양한 교육기관들을 이용하고 있으며, 교육기 관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질 높은 교육과정과 내용, 지리적 접근성이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4) 교육방식 사회복지종사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교육방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집 합교육(70.8%)과 혼합교육(22.6%)을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지만, 사 회복지사의 현실적인 업무사정을 고려한 집합교육, 온라인교육 및 혼합 교육(집합+온라인)의 순으로 교육과정의 형태를 구성하여 실질적인 교 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표 Ⅲ-20> 효과적인 교육형태 (N=274) 집합교육 온라인교육 혼합교육(집합+온라인)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어떤 방식의 교육 운영이 학습자에게 가장 도움이 될까요? 194 70.8 18 6.6 62 22.6 귀하가 교육을 신청한다면, 어떤 방식의 교육을 선택하겠습니까? 180 65.7 34 21.9 60 12.4 효과적인 학습방법에 대해 분석한 결과, 혼합식 방법(강의+참여/강의+ 경험)이 62.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참여식 15%, 강의식 12%, 경험 식 10.6%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 볼 때,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는 일방적 이고 수동적인 방식보다는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방법을 적절히 혼합한 학습방법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할 때 혼합식 방법(강의+참여/강의+ 경험), 참여식(실습, 토론) 방법의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5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표 Ⅲ-21> 효과적인 학습방법 (N=274) 빈도 백분율 혼합식(강의+참여/강의+경험) 171 62.4 참여식(실습, 토론) 41 15 강의식 33 12 경험식(견학, 체험) 29 10.6 (5) 교육의 효과 지금까지 받은 교육이 실제 업무에 도움이 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조금 도움이 되었다’가 44.9%, ‘많이 도움이 되었다’ 17.9%로 나타나, 사회복지 종사자들은 대체로 그간의 교육이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응답자의 37.3%는 3점(보통이다) 이하로 인식하고 있어 교육과정 설계 시에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현장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표 Ⅲ-22> 교육의 효과성(도움 정도) (N=274) 빈도(명) 백분율(%)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4 1.5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 15 5.5 보통이다. 83 30.3 조금 도움이 되었다. 123 44.9 많이 도움이 되었다. 49 17.9 교육의 효과가 낮은 이유를 분석한 결과, ‘교육내용이 충실하지 않아 서’(36.2%)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학습자의 열의와 노력이 부족해 서’(21.9%)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현장과 밀착된 내용을 개발하고,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55 인재상 빈도 백분율(%) 자기성장과 함께 기관의 성과를 균형 있게 추구하는 사람 200 10.10 사회복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행정력과 실천력을 함께 겸비한 사람 180 9.10 직원간의 원만한 유대관계를 할 수 있는 사람 158 8.00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면서 혁신해 나가는 열정적인 사람 150 7.50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생각하는 사람 105 5.30 신뢰를 바탕으로 존중하는 사람 103 5.20 조직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 101 5.10 시설의 운영, 사업에 대한 조율 등에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사람 95 4.80 사회적 책무를 성실히 수행하기 위해 사회복지 수요자들의 욕구에 맞게 자원을 개발하는 사람 93 4.70 직업 윤리의식, 사명감이 강한 사람 92 4.60 <표 Ⅲ-23> 교육의 효과가 낮은 이유 만약 교육의 효과가 작다면 가장 큰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빈도(명) 백분율(%) 교육내용이 충실하지 않아서 99 36.2 학습자의 열의와 노력이 부족해서 60 21.9 강사가 제대로 전달하지 못해서 41 15 시설이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아서 41 15 기타의견 33 12 합계 274 100.0 (6) 사회복지종사자 인재상 사회복지종사자 인재상 키워드는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FGI 및 전문가 검증과정을 거쳐서 도출하고, 이를 설문조사로 사용하였다. 인재 상 키워드는 총 25개 문항 중에서 7개를 선택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표 Ⅲ-24> 사회복지종사자의 인재상에 대한 인식 (N=274)

5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인재상 빈도 백분율(%) 편견 없이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수용하는 사람 92 4.60 자기개발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사람 84 4.20 전문지식과 기술을 끊임없이 연구, 실천하는 사람 78 3.90 지역사회 변화를 촉진하는 사람 60 3.00 영역과 지역을 넘어서 다양한 교류를 통해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사람 52 2.60 가치지향적인 실천과 비전을 전파하는 사람 49 2.50 공동체 회복을 위해 연대활동을 수행하는 사람 49 2.50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는 사람 48 2.40 직업윤리를 바탕으로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사람 48 2.40 자율적으로 실천하는 사람 38 1.90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헌신하고 봉사하는 사람 38 1.90 두려움 없는 도전정신을 가진 사람 30 1.50 사회복지 이론에 근거하여 실천하는 사람 26 1.30 제도와 원칙을 준수하는 사람 18 0.90 경기도 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인재상 키워드의 상위 7순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1순위는 ‘자기성장과 함께 기관의 성 과도 동시에 균형 있게 추구하는 사람’으로서 10.1%로 가장 많았다. 2순 위는 ‘사회복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행정력과 실천력을 함께 겸비한 사람’으로 9.1%를 나타냈으며, 3순위는 ‘직원간의 원만한 유대관계를 할 수 있는 사람’ 8.0%, 4순위는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면서 혁신해 나가는 열정적인 사람’ 7.5%, 5순위는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생각하는 사람’이 5.3%, 6순위는 ‘신뢰를 바탕으로 존중하는 사람’ 5.2%, 7순위는 ‘조직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 5.1%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추구 하는 인재상은 자기성장과 자기개발이 가장 높은 순위이고, 이 핵심키워 드는 중위권에도 분산되어 나타났다. 이는 유사한 내용들에 대해 응답자 들이 고르게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결과로 해석되며, 또한 자기개 발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불가분의 핵심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57 한편, 복지전문성뿐 아니라 행정력을 기반으로 사업방향성 제시 및 사 업영역 발굴 등의 전문성을 지향하며, 사회복지조직의 특성상 협력과 네 트워킹이 요구되기 때문에 조직구성원으로서 동료 및 지역과의 관계에 관한 내용을 의미하는 협력, 소통, 신뢰, 주인의식 등의 핵심키워드를 고 르게 선택함을 볼 때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7)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에 관한 설문조사는 내・외부 환경분석과 현장전문가 FGI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되었으며, 총 7개 문항 중에서 3개 를 선택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표 Ⅲ-25>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역할에 대한 인식 (N=274) 빈도 백분율(%) 경기도 내 사회복지종사자 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170 20.60 사회복지시설의 종사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공유, 전달하며 소통의 장으로서의 역할 151 18.30 사회복지인력의 자기인식과 가치관 확립을 통한 재충전의 장으로서의 역할 134 16.20 사회복지현장의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지원하는역할 112 13.50 사회복지종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직능단체, 유관자와의 네트워크 구축 역할 107 12.90 사회복지 종사자 교육 시스템 구축 및 교육 활성화 역할 89 10.80 현장의 전문성을 이론화하고 연구하는 역할 64 7.70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응답한 순위를 살펴보면, ‘다양한 교육프로 그램 개발’이 20.6%로 1순위로 나타났으며, ‘정보공유 및 소통의 장’ 18.3%, ‘자기인식과 가치관 확립을 통한 재충전의 장’이 16.3%, ‘전문 인 력의 체계적 양성/지원’ 13.5%, ‘유관기관과 네트워크 구축’이 12.9%, ‘교 육시스템 구축 및 교육활성화’ 10.8% 순으로 나타났다.

58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이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사회복지전문성 강화를 위한 사회복지교 육의 메카로서의 역할, 정보공유와 전달을 통한 상호소통의 장, 사회복 지종사자 교육시스템 구축을 통한 교육활성화의 역할, 역량강화를 위한 사회복지현장 연구와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8)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중점추진 업무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중점추진 업무에 관한 설문조사는 내・외부 환 경 분석과 현장전문가 FGI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되었고, 총 15개 문항 중에서 7개를 선택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표 Ⅲ-26> 사회복지인력 육성을 위한 중점추진 업무 (N=274) 빈도 백분율(%) 사회복지종사자들을 위한 질 높은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 내실화 225 11.70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증진 206 10.70 사회복지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 185 9.60 사회복지종사자 직급별 교육 시스템 마련 147 7.60 사회복지 현장과의 상시적인 의사소통체계 구축 144 7.50 사회복지 인력육성을 위한 교육제도 개발/보급 136 7.10 사회복지사의 경력개발 지원 교육 134 7.00 사회복지종사 교육을 위한 강사 인프라 구축 129 6.70 기관내부의 자체 역량강화 지원 116 6.00 기관리더/사회복지인력의 학습풍토 조성 113 5.90 사회복지현장과 연계된 정책연구 수행 107 5.60 역량개발 학습포털시스템구축(역량진단, 교육정보공유시스템) 87 4.50 사회복지기관 교육효과 평가도구 개발 77 4.00 중장기 사회복지인력의 교육수요조사 64 3.30 사회복지기관의 자체 강사요원 전문역량 강화업무 56 2.90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59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중점추진 업무에 관한 설문결과를 살펴보면, ‘사회복지종사자를 위한 질 높은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내실화’(11.7%) 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증진’(10.7%)이 각각 1순위와 2순위로 나타났 으며, ‘사회복지사의 삶의 질 향상방안 모색’(9.6%), ‘직급별 교육시스템 마련’(7.6%), ‘현장과 상시적 의사소통체계 구축’(7.5%), ‘교육제도 개발 및 보급’(7.1%), ‘경력개발 지원 교육’(7.0%) 순으로 3순위에서 7순위까 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은 사회복지사 전문성 증진을 위해 역량개발 제도와 교육체계를 구축하고, 현장과 상시적 의사소통, 종 사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복지교육시스템을 구축하여 정보 허브로 써의 기능을 수행하고, 교육과정의 품질제고를 위해 현장중심의 실질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며, 교육과정 효과평가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3 시사점 현재 사회복지종사자 교육훈련기관은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전담인력 이 부족하고 심지어 전담인력이 부재한 곳이 많다. 이는 사회복지기관 역시 동일하여 사회복지종사자를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실시에 한계가 있다. 직능단체 및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인력의 역량강화를 통하여 사회복지 종사자 교육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사회복지기관의 지원 역시 필요하 다. 또한 3만 명이 넘는 사회복지종사자들을 위한 교육이력관리, 교육과 정관리, 교육선택 및 신청 등 교육행정서비스가 제공되는 교육시스템 마 련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 교육의 효율화와 체계적 관리가 요구된다. 한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위한 교육이 턱없이 부족한 상태이므로 교육의 양적 확대로 교육기회를 확보하고,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방 안을 강구해야 한다. 2013년 한 해 동안 교육을 받은 사회복지종사자 수는 약 8,800여 명이

60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나, 경기도 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수가 30,000명이 넘는 것에 비하면 교육 연간 교육인원은 부족하고, 사회복지사로 근무 중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수 14,000여 명을 기준으로 비교해 보아도 1인이 연간 1회도 외 부교육에 참석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각종 직능단체의 교육은 대부분 법정교육, 협회 사업의 일환으 로 진행되는 교육이 주를 이루고, 직무교육의 경우는 체계적인 업무 전문 성을 쌓기에는 교육시간과 교육과정의 수가 부족하며, 사회복지시설 조 직기능에 부합한 전문성 개발을 위한 분야별 전문교육트랙이 필요하다. 이상의 설문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인재육성전략 및 기획, 교육과정개 발 및 운영, 교육평가, 교육제도 및 인프라 등 4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재육성전략/교육기획 측면에서는, 사회복지종사자의 성공적인 육성 을 위해 복지정책,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비전, 사회복지종사자 인재상 과 연계하여 인재육성전략을 수립하며, 중장기 인재육성전략과 전략과 제를 체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교육과정개발/운영 측면에서는, 사회복지종사자들을 대상을 교육정보 채널을 확대하고 체계화하면서 사전 요구분석을 통한 과정개발부터 사 후 성과관리까지 교육과정개발 및 운영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정비해야 한다. 그리고 체계적 교육을 위해 정기적인 교육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중 장기 교육체계를 개발・도입해야 하며, 전문가로서의 육성지원을 위해 경력개발 프로그램의 점진적 도입이 요구된다. 교육평가 측면에서는, 사회복지종사자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경기복 지평생교육원의 비전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교육의 가시적 성과 를 모니터링하고,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효과 평가제 도 개선이 요구된다. 교육제도/인프라 측면에서는, 사회복지종사자들에게 실질적인 교육의 기회와 학습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을 통한 정보공유와 상호소통 의 장을 만들고 제도적으로 학습을 통한 역량강화를 할 수 있도록 적극 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하다.

Ⅲ.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FGI 및 설문조사 결과 61 그리고 사회복지종사자들에게 교육을 지원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을 투자로 인식하는 기관장의 마인드, 사회복지 종사자 개인의 자기개발 의지, 사회복지기관의 학습풍토 등이 조성되어 야 한다. 한편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은 연간 교육계획 수립, 교육과정개발, 교육 과정 기획 및 운영, 정책연구 등의 업무를 수행하나, 교육운영 업무가 가 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현업성과에 기여하고 맞춤교육을 위한 나머지 핵심역할에 대한 강화가 요구된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자체 역량강화를 위해 인력충원 및 내부인력 전문성 강화방안 마련 역시 필요하다. HRD 역할 및 역량의 전문성과 성 과관련성을 중심으로 발전단계를 6단계로 정의한 Giley & Coffern의 교 육발전단계모형을 적용하면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인재육성 활동은 3 단계(Vendor driven HRD)수준으로 판단되며, 향후 4단계를 거쳐 5단계 (Organizationally-focused HRD)로 발전해야 한다.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HRD 수준은 3단계에서 4단계로 진입 중에 있으며, 선진기업의 HRD 수 준은 4∼5단계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Ⅲ-2]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현 위치

6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이상의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개선방향을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표 Ⅲ-27> 경기도사회복지종사자 교육현황과 개선방향 구분 내용 교육 현황 (As-is) ∙ 경기복지평생교육원 - 사회복지분야 및 HRD분야 전문성을 보유한 인력이 부족 - 교육운영 업무에 많이 치중되어 있고, 인재육성전략, 교육기획, 교육과정개발 등 업무비중 취약 - 매해 35개 내외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직무교육과정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 사회복지 직능단체 - 전담인력이 부재한 기관도 있고, 전문인력이 부재 - 대부분 법정교육, 협회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교육이 주를 이룸 - 교육이 비체계적임 - 직무교육은 교육시간이 짧고 교육과정이 다양하지 못하여 업무전문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움 ∙ 사회복지시설 - 교육업무 전담 직원이 없거나 담당 직원이 있어도 다른 업무와 병행하고 있음 - 종사자에 대한 교육투자 및 교육지원 부족 ※ 1인당 평균교육비 : 사회복지시설 14만원, 중소기업 43만원, 공공기관 76 만원 ∙ 경기도 내 사회복지인력 규모 대비 교육이 턱없이 부족한 상태 ∙ 사회복지인력 육성을 위한 중장기적 계획의 부재 ∙ 교육인프라(중추 교육기관, 학습포털시스템, 교육시설 등) 매우 부실 ∙ 경기도 내 3만여 명의 사회복지인력 전문성 강화를 위한 사회복지교육 허브 기관 부재 개선 방향 (To-be) ∙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및 직능단체 인력의 교육역량 강화 필요 ∙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인재육성전략, 교육기획, 교육과정개발, 정책연구 업무 비중의 증대 요구 ∙ 사회복지인력의 체계적인 육성을 위해 인재육성전략 및 전략과제 추진방안 수립 등 중장지적 계획 마련 요구 ∙ 정기적인 교육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중장기 교육체계 도입 및 교육과정 개발 하여 제공 필요 ∙ 교육이력관리, 교육과정관리 등을 지원하는 학사관리 및 역량진단시스템 등의 교육인프라 마련 필요 ∙ 교육의 양적 확대 및 교육의 질적 제고 방안 필요 ∙ 사회복지시설 내부의 인재육성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방안 도입 ∙ 업무전문성 강화를 위한 업무 정보의 공유 및 활용방안 수립 필요 ∙ 현장의 트렌드와 교육욕구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언제든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컨텐츠 제공 필요 ∙ 사회복지인력이 ‘지속적으로 전문적인 기술과 능력개발을 위한’ 사회복지교육의 허브기관 구축 필요

1 비전 및 역할 2 인재상 3 인재육성전략과 전략과제 4 인재육성전략과제 실행방안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Ⅳ

Ⅳ.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65 본 장에서는 앞의 Ⅰ장∼Ⅱ장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경기복지 평생교육원 비전과 역할, 사회복지종사자 인재상, 사회복지종사자 육성 을 위한 전략 및 전략과제 실행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비전과 역할은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지향해야 할 궁극적인 모습과 수행해야 할 역할로 구성되고, 사회복지종사자 인재 상은 인재상 정의와 바람직한 인재의 모습으로 구성되며, 사회복지종사 자 육성을 위한 전략은 인재육성 전략, 전략과제 및 실행로드맵을 수립 하였다. 1 비전 및 역할 1) 비전 및 역할 도출 프레임워크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비전 및 역할은, 사회복지종사자 교육에 관한 외부 환경분석 및 내부 교육현황분석결과를 토대로 설정하였고, 비전체 계는 비전, 인재상, 주요 역할로 구성된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Ⅳ

6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그림 Ⅳ-1]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비전체계 설정 프레임워크 2) 비전 및 역할 도출 (1)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 Pool 구성 내・외부 환경분석 결과를 토대로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비전 및 역할 설정을 위해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역할 Pool 을 도출하였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 Pool은 경기도 내 사회복지 종사자 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하는 역할, 사회복지시설의 종사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공유 및 전달하며 소통의 장으로서의 역할, 사회복지인력의 자기인식과 가치관 확립을 통한 재충 전의 장으로서의 역할, 사회복지현장의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지 원하는 역할, 사회복지종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직능단체 및 유관자와 의 네트워크 구축 역할, 사회복지 종사자 교육 시스템 구축 및 교육 활 성화 역할, 현장의 전문성을 이론화하고 연구하는 역할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사회복지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경기복지 평생교육원의 비전 및 역할을 설정하였다.

Ⅳ.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67 [그림 Ⅳ-2]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 Pool (2)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비전 및 역할 설정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비전은 내・외부 인터뷰와 설문조사 결과를 토 대로 ‘경기도 사회복지인력 육성을 위한 전문화된 사회복지교육의 허브 로서의 위상 확립’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은 역할1 ‘사회복지전문성 강화를 위한 사회복지교육의 메카’, 역할2 ‘역량강화를 위한 사회복지현장 연구 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역할3 ‘사회복지인력 교육시스템 구축과 교육기 회 확대를 통한 교육활성화’, 역할4 ‘사회복지 정보공유와 전달을 통한 상호소통의 장’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68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그림 Ⅳ-3]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비전과 역할 그리고 각각의 역할정의는 다음과 같다. 역할1, ‘사회복지전문성 강화를 위한 사회복지교육의 메카’로서의 역 할 수행이다. 이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사회복지종사자의 자기인식과 가치관 확립을 통한 재충전의 장으로서 사회복지현장의 전문 인력을 체 계적으로 양성・지원하며,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공무원을 대상으 로 실시하고 있는 사회복지교육의 메카로서의 역할 수행을 의미한다. 역할2, ‘역량강화를 위한 사회복지현장 연구와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역할 수행으로,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은 경기도 내 사회복지종사자 및 복 지공무원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현장의 전문성을 이론화하고 사회복지기 관 및 종사자와 복지공무원의 요구에 부합하는 현장중심의 실질적인 교 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역할3, ‘사회복지인력 교육시스템 구축과 교육기회 확대를 통한 교육 활성화’ 역할 수행이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은 인력관리 및 교육이력 관 리, 역량진단, 역량진단 결과에 따른 교육선택, 교육실시 등을 포괄하는 교육시스템 구축하고, 이를 통한 교육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교육과정 과 학습기회를 확대하여 사회복지종사자에 대한 교육의 활성화에 주도

Ⅳ.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69 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역할4, ‘사회복지 정보공유와 전달을 통한 상호소통의 장’으로, 경기 복지평생교육원은 직능단체 및 유관자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사회복 지시설의 종사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공유・전달하며 교육과정을 통하 여 상호소통의 기회를 넓힐 수 있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은 이상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인재상을 구현하며 사회복지인재를 육성하게 된다. 2 인재상 인재상은 첫째, 조직의 비전/전략 달성을 위해 전 구성원들에게 요구 되는 바람직한 모습을 문장으로 기술한 인재상 정의(인재육성의 지향 점), 둘째, 사회복지종사자로서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모습을 말하는 인 재상, 셋째, 인재상 달성을 위해 공유해야 하는 행동특성으로 구성된다. 1) 인재상 도출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인재상은 신재은 외(2013)의 연구결과와 현장전 문가 FGI 및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류하고 그룹핑 하여 아래와 같 이 설정하였다. 또한 인재상 정의는 ‘사회복지전문성과 열정적인 자세로 다양한 가치와 문화를 수용하고 상호협력하며 클라이언트의 권리와 이 익을 위해 연구하고 실천하는 사람’으로 기술하였다.

70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그림 Ⅳ-4] 인재상 도출(안) 위의 인재상(안)에 대해 전문가 검증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인재상 을 확정하고 인재상 정의는 ‘사회복지전문성과 열정적인 자세로 다양한 가치와 문화를 수용하고 상호협력하며 클라이언트의 권리와 이익을 위 해 연구하고 실천하는 사람’으로 하였다. [그림 Ⅳ-5]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인재상

Ⅳ.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71 그리고 인재상의 실천을 위하여 각각의 인재상에 대해 바람직한 행동 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표 Ⅳ-1> 인재상 실천을 위한 행동특성 인재상 행동특성 조직과 지역사회의 변화에 열정적인 사람 ∙ 조직에 대한 열정과 주인의식을 가지고 사회복지업무를 책임 있게 수행한다. ∙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면서 변화와 혁신에 앞장선다. ∙ 지역사회의 변화를 촉진하고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한다. ∙ 끊임없는 혁신과 창조적 발상으로 업무에 임한다. ∙ 지역사회문제와 환경에 대한 해결방안 도출에 열성적이다. 사회복지 전문성을 바탕으로 연구하고 실천하는 사람 ∙ 자신의 업무와 관련한 지식과 정보를 습득・활용하고 공유한다. ∙ 관련분야에 대한 전문성 강화를 위해 자기개발에 적극적이다. ∙ 사회복지 분야의 지식・기술을 활용하여 업무수행에 있어서 자율적 으로 실천한다. ∙ 사회복지 전문성을 바탕으로 행정력과 실천력을 발휘하여 성공적 으로 업무를 수행한다. ∙ 사회복지정책에 부합하여 균형감각을 잃지 않고 실행에 솔선수범 한다.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수용하고 협력하는 사람 ∙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고 전달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한다. ∙ 열린 자세로 다른 영역의 업무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참여한다. ∙ 업무목표 달성을 위해 동반자적 입장에서 이해관계자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서로 존중하고 직원간의 원만한 유대관계를 유지한다. ∙ 소통의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편견 없이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수용한다. 클라이언트의 권리와 이익을 옹호하는 사람 ∙ 클라이언트의 변화와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한다. ∙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지지체계를 이해하고 활용한다. ∙ 클라이언트 상황에 대해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실행한다. ∙ 클라이언트의 자세와 인식을 긍정적으로 유도한다. ∙ 사회복지 수요자들의 욕구에 맞게 자원을 개발하고 활용한다.

7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3 인재육성전략과 전략과제 1) 인재육성전략 및 전략과제 도출 내・외부 환경분석과 설문조사 결과를 통하여 사회복지종사자 육성을 위한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중장기 인재육성전략을 설정하였다. 인재육 성전략은 사회복지 인력육성의 전문성 강화, 사회복지 교육과정 품질제 고, 사회복지 교육시스템 구축으로 확정하였고, 이를 위한 7개 전략과제 를 설정하였다. 인재육성전략 달성을 위한 세부 전략과제를 살펴보면, 첫째, 사회복지 인력육성의 전문성강화 전략의 전략과제는 ①사회복지교육담당자 역량 강화방안 수립 ②사회복지종사자 상시학습체제 수립 ③사회복지 직능단 체 협력강화, 둘째, 사회복지 교육과정 품질제고 전략 달성을 위해서는 ④현장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및 연구 ⑤교육과정 평가방안 수립, 셋째, 사회복지 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⑥역량개발 학습포털 시스템 구 축/활용 ⑦정보공유 및 학습역할 수행을 전략과제로 도출하였다. [그림 Ⅳ-6] 사회복지종사자 인재육성전략 및 전략과제

Ⅳ.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73 다음으로 인재육성 전략과제의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사회복지 교육담당자 역량강화방안 수립 : 경기복지평생교육원 교 육담당자의 인재육성에 관한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 한다. ② 사회복지종사자 상시 학습체제 수립 :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역량수 준 진단, 역량개발계획 수립 및 역량개발의 절차와 방법을 설정하 여 재직기간 동안에 학습해야 할 교육을 실시하고 (상시)학습할 내 용을 홍보・안내한다. ③ 사회복지 직능단체 협력강화 : 사회복지 직능단체와의 정보공유, 협의체 운영 등의 연대를 강화하고 역할분담을 통한 협력적인 관 계형성을 통하여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④ 현장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 사회복지종사자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사회복지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교육 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⑤ 교육과정 평가방안 수립 : 사회복지종사자들이 업무수행에 있어서 활용하고 있는 정도를 평가하고 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교 육과정 평가방안을 수립한다. ⑥ 역량개발 학습포털 시스템 구축/활용 : 사회복지인력의 교육이력 관리, 교육과정관리, 과정선택 및 교육실시 등 제반 교육행정 서비 스와 함께 사회복지종사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역 량진단시스템을 구축하고 정기/수시로 역량진단을 실시하고 개인 별, 수준별 수요자중심의 맞춤형교육을 실시한다. ⑦ 정보공유 및 학습허브 역할 수행 : 역량개발 학습포털 시스템 내, 기관, 종사자, 단체들이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고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정보공유와 학습의 허브로서의 기능을 수 행한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비전과 인재육성전략, 인재육성 전략과제를 종 합한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인재육성 비전체계는 [그림 Ⅳ-7]과 같다.

7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그림 Ⅳ-7]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인재육성 비전체계

Ⅳ.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75 2) 전략과제의 단계별 실행계획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인재육성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각각의 전략과 제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단계별 접근이 요구된다. 1단계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추진기반 구축 단계이다. 1단계는 경 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을 재설계하고, 교육담당자의 전문성을 강화하 며, 사회복지종사자 역량강화를 위한 각종 제도를 수립하고 홍보하는 단 계이다. 2단계는 총괄기관 위상확립 단계이다. 이때는 각종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사회복지 직능단체와의 협력을 통하여 교육이 효과 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3단계는 역량개발 선도기관 단계이다. 3단계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도모하는 단계이다. 전략과제에 대한 단계적 실행계획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그림 Ⅳ-8] 과 같다.

7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그 림 Ⅳ -8 ] 전 략과 제 단계 별 세부 실 행계 획

Ⅳ.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77 4 인재육성전략과제 실행방안 1) 사회복지교육담당자 역량강화 사회복지기관 교육담당자의 역할수행을 위한 역량을 강화하여 전문성 을 바탕으로 인재육성을 위한 교육기획, 운영 및 평가업무 담당하도록 하고, 교육담당자로서 사회복지기관 및 종사자에 대한 지도, 코칭을 통 하여 현장의 성과달성에 기여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교육담당자에게 요구되는 역할은 학습전략가, 비즈니스 파트너, HRD전문가, HRD프로젝트 기획가로서의 역할이며, 이러한 상황 을 반영하여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복지교육담당자의 역할을 HRD전략업 무, 복지교육연구 및 과정개발업무, 강사(Instructor)업무, 교육기획 및 설 계업무, 교육운영업무, 교육평가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복지교육담당자가 위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기초역량 은 대인관계역량(신뢰구축,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이해관계자에게 영 향력 발휘, 다양성 활용, 네트워킹 및 파트너십), 비즈니스/경영역량(비지 니스 니즈분석 및 솔루션 제안, 비즈니스 통찰력 발휘, 성과지향, 과제계 획 및 실행, 전략적 사고), 개인역량(변화에 대한 적응, 자기개발계획 설 계 및 실행) 3가지이며, 전문역량은 교육과정 설계, 성과향상, 교육운영, 교육성과측정 및 평가, 조직의 변화촉진, 학습기능 관리, 코칭, 커리어계 획 및 인재관리로 설정하였다. 복지교육담당자의 교육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은 학습단계, 전문 화 단계, 컨설팅 단계로 하여 3단계로 제안하였고, 각각의 목표 및 실시 내용, 방법 등은 [그림 Ⅳ-9]와 같다.

78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그림 Ⅳ-9]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복지교육담당자 역량강화 실행방안 2) 사회복지종사자 상시학습체계 도입 상시학습체제 구축은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직무수행 과 학습이 함께 이루어지는 지속적 학습문화를 조성하고, 사회복지종사 자의 역량제고와 경쟁력을 강화하여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비전을 달성하 는데 목적이 있다. 상시학습체제는 사회복지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체계를 기본으로 하여, 교육이수학점제(사회복지종사자가 1년 단위로 이수해야 할 학점 설정), 개인별 수준별 역량진단을 통한 역량개발제도 지원, 직무전문가 인증제 도 실시, 사회복지기관 및 사회복지종사자의 자율적 학습문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한 주요 실천과제 및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인력양성을 위한 교육체계의 구축과 역량중심 교육 실 시이다. 신재은 외(2012)의 연구결과와 본 연구의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 로 마련한 역량중심 교육체계도는 [그림 Ⅳ-10]∼[그림 Ⅳ-11]과 같다.

Ⅳ.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79 [그 림 Ⅳ -1 0] 역량 중심 교 육체 계도 (공 통)

80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그 림 Ⅳ -1 1] 분야 별 직무 전문 역량 교 육 체계 도

Ⅳ.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81 둘째, 사회복지종사자의 역할수행을 위해 반드시 이수할 교육과정을 선정하고, 인재육성 활동의 결과를 인사와 제도적으로 연계하도록 직급 별 교육 이수학점제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역량개발제도를 실시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종사자의 역량수준 과 직무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역량개발시스템 구축 역시 필요하다. 넷째, 사회복지종사자 직무역량강화를 위해 해당 분야별 직무역량에 기반한 교육과정의 이수와 직무경험 등을 중심으로 직무전문가 인증제 를 수립하고 운영한다. 마지막으로 직무수행 관련 직무전문역량 수준을 높이도록 사회복지기 관별 학습조직 참여를 활성화하여 역량수준을 향상시킨다. [그림 Ⅳ-1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상시학습체계 지원시스템 구축(안)

8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한편 역량개발제도는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역량수준 강화를 위해 역할 및 직무수행을 고려하여 역량진단을 실시하고, 역량개발 계획을 수립하 도록 하여 부족한 역량개발을 위한 학습정보를 제공하며 코칭 등의 지 원을 실시한다. 그리고 역량개발제도는 연 1회 정도 역량진단을 통한 부족역량을 개 발하기 위해 시행하는데, 경기복지평생교육원에서 역량개발제도를 수립 하고 매년 사회복지기관에 실시방법을 안내, 지도, 코칭을 실시하여 사 회복지기관별로 자체적으로 실시한다. 주요 실시내용은 연 1회 역량진단 실시, 역량진단결과 개인별 피드백 및 상담실시,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정보 제공 및 안내, 역량개발계획 수 립, 역량개발 실시 및 결과 관리 등이다. 이를 통하여 역량진단 실시 및 역량개발 상담, 역랑개발계획 수립(희 망직무 반영) 그리고 역량개발 및 관리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세한 역량개발 프로세스 및 담당별 역할은 [그림 Ⅳ-13]과 같다. [그림 Ⅳ-13] 역량개발프로세스 및 담당별 역할

Ⅳ.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83 3) 사회복지직능단체 협력강화 사회복지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한 인재육성 부문의 발전과 교육과정의 품질제고를 위해 사회복지직능단체와의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가칭: 사 회복지교육협의회)하고, 보다 실질적이고 성과지향적인 교육을 위한 시 너지 창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 주요 내용은 <표 Ⅳ-2>와 같다. <표 Ⅳ-2> 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주요내용 항목 주요 내용 협의회 목적 ∙ 재단, 직능단체 및 사회복지기관과의 업무관련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사회복지 종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정보교류와 교육과정 개발/운영 협의 및 친목 도모 협의회 구성 ∙ 참여 대상: 재단, 직능단체 및 사회복지기관의 교육담당자 및 책임자 ∙ 협의회 운영: 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2회/년의 정기 회의 개최와 온라인 커뮤 니티를 통하여 업무협의 및 정보 교류 협의회 주요 역할 ∙ 사회복지인력의 인재육성 전략, 연간 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의견 교환 및 정보 교환 ∙ 사회복지종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제도적인 접근방법 공동 연구 ∙ 사회복지정책관련 공동연구 및 교육과정 개발 공동 수행 ∙ 사회복지종사자간의 정보교류 및 친목도모 ∙ 사회복지종사자 역량강화를 위한 세미나/포럼/연구발표회 등 개최 다음으로 사회복지종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중장기 인재육성전략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관련 주체 및 주체별 역할을 정리하면 [그림 Ⅳ-14]와 같다. [그림 Ⅳ-14] 사회복지인재육성전략의 실행을 위한 주체별 역할과 책임

8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사회복지종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인재육성전략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 관련 주체 및 주체별 역할을 전략적 인적자원개발기준인 인재육성 전략기획, 교육과정개발 및 운영, 교육평가, 교육제도(시스템/인프라)의 4가지 측면에서 세부 과제별로 제안하였다. <표 Ⅳ-3> 인재육성전략 실행을 위한 주체별 상세 역할(안) 영역구분 역할수행 내용 관련 주체별 역할 경기도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직능 단체 사회복지 기관 인재육성의 전략적 기획 ∙ 사회복지종사자의 역량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적(법규, 재정지원 등) 지원 방안 수립 ● ○ ○ ○ ∙ 기관별 연간 교육계획 수립 ● ● ● ∙ 인재육성협의체 구성 및 운영 ○ ● ● ●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사회복지종사자에 대한 직접교육 (집합교육, 사이버교육) 실시 ● ● ○ ∙ 사회복지종사자에 대한 직접 교육 (OJT/Mentoring) 실시 ○ ○ ● ∙ 외부교육과정 파견 실시(리더육성, 직무전문교육) ● ∙ 교육부문 담당인력 역량강화 및 교육 기능 강화 ● ● ● ∙ 기관 내 학습조직 구성 및 운영 ○ ○ ● 교육평가 ∙ 교육실시 후 과정에 대한 평가 실시 ● ● ● ∙ 현업적용도 평가제도 도입 및 실시 ● ● ● 교육제도 수립 (시스템/ 인프라) ∙ 기관별 사회복지종사자의 경력개발 제도 도입/실시 ○ ○ ● ∙ 사회복지종사자의 연간 자기개발계획 수립 ○ ○ ● ∙ 역량수준 진단, 코칭 및 교육정보 제공 등 지원 ● ● ● ∙ 사회복지종사자의 교육과 인사제도 와의 연계 실시 ● ● ●

Ⅳ.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85 4) 현장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현장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지역기반과 사회복지인력 양성 측면의 정기적인 수요조사를 실시한다. 첫째, 지역사회 및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수요조사를 실 시하여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조사결과를 반영하여 사회복지인력의 역할 및 직무수행에 필요한 교육과정 개발한 다. 이때, 현재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 개선 및 건의 사항, 정부 및 시도의 정책과 연계한 지역주민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한다. 둘째, 사회복지인력을 대상으로 직무수행에 꼭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 기 위해 전반적인 욕구파악을 위한 정기적인 수요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실질적이고 꼭 필요한 교육과정을 개설・운영함으로써 수요자 중심 의 맞춤형 교육, 성과지향적인 교육 실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교육과정은 분석, 설계, 개발, 평가/검증, 최종 보고/실행의 과정개발 프로세스를 적용하며, 특히 분석단계에서 사회복 지인력의 니즈를 충분히 파악하여 반영해야 한다. [그림 Ⅳ-15] 교육과정개발 프로세스 교육과정개발 프로세스를 확립하여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이 진행되 도록 하며, 신규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TFT 구성 등을 통하여 최초 과정 의 기획 및 교육수요자 요구분석 등 과정개발의 분석 및 설계단계를 총

8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괄 진행하도록 한다(조직개편을 통하여 연구/과정개발업무 담당부문에 서 교육과정개발 수행함). 다만, 신규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TFT에는 교 육담당자, 강사뿐 아니라 필요시 외부전문가를 초빙하여 구성하고, 각 교육과정별 교육목적과 목표, 교육내용, 교육대상, 교수방법 등의 교육 과정 프로파일을 구체화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5) 교육과정 효과 평가 강화 현행 실시 중인 1수준 평가(반응평가) 외에 교육이수 후 현장의 업무 수행에 활용하는 정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차기 교육과정의 설계에 반영하는 교육과정별 현업적용도 문항개발에 따른 3수준 행동평가(현업 적용도) 실시, 이는 현장에 꼭 필요한 교육과정을 개설・운영함으로써 성 과지향 교육을 실현하고자 한다. 현업적용도 평가 절차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 과정 중에서 중요도가 높고 교육수요가 많은 과정을 1차 조사대상 과정 으로 선정, 선정된 교육과정의 학습목표, 교과내용을 검토하여 현업적용 도 조사도구 개발, 교육수료자 대상으로 3∼6개월 후 설문조사하고 조사 결과 상・하위 5%에 대해 해당 기관의 직원대상으로 현업적용에 관한 개 선방안에 관한 의견수렴, 마지막으로 조사결과를 차기 교육과정 설계에 반영하여 현업중심의 실질적인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그림 Ⅳ-16] 교육과정 효과평가의 현재와 미래

Ⅳ.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87 6) 역량개발 학습포털 시스템 구축/활용 역량개발 학습포탈 시스템은 모든 교육활동을 온라인 상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웹 베이스로 통합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사회복지종사자 의 교육이력관리, 교육과정관리, 교육과정 선택 및 교육실시 등 교육행 정서비스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개인별 역량수준을 진단, 피드백하고 부족한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및 학습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 여 역량 개발을 지원한다. 즉, 이 학습포털 시스템은 역량진단–교육계 획–교육운영–평가–이력관리 등 교육과 관련된 모든 활동의 통합 관 리가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사회복지종사자들이 정기적인 역량진단을 하여 업무수행 에 필요한 역량 중에서 부족한 역량을 파악하고 적합한 교육적 솔루션 을 제공받아 역량의 수준을 제고할 수 있고, 특히 개인별 역량 수준별 교육실시를 통하여 교육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그림 Ⅳ-17] 역량개발시스템의 구성

88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7) 정보공유 및 학습허브 기능 수행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 효과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현 장과 학계, 유관 기관 간의 정보와 지식을 공유할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 라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정보의 공유와 활용을 위한 학습허브 기능을 수행한다. [그림 Ⅳ-18]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네트워크 경기도 내 타 교육기관, 직능단체 및 사회복지기관과의 협의체 구성을 통하여 경기복지평생교육원과 사회복지기관 및 복지교육담당 간의 정보 교류를 활성화하고, 경기도 사회복지 교육기관을 연결하는 매개 역할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종사자들 간의 교류 활성화를 위해 학습조직 활 동을 지원함으로써 사회복지종사자의 역량을 강화하고, 학습조직 활동 결과의 공유(발표회 개최, 사례집 발간 등)를 통하여 네트워크 능력을 개 발하며, 직무를 연구・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여 업무의 전문성 제고 및 개인역량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경기복지평생교육원에서 운영 중인 교육과정 및 신규 개 발 교육과정에 대한 소개와 경기도 내 사회복지기관 교육담당자가 우수

Ⅳ.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89 강사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전문 강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정보를 공유한다. 강사에 대한 정보는 강의분야, 학력 및 전공, 강의 경 력, 강의 내용 소개, 출강 회사 및 기관, 강의 가능 지역 등의 정보를 포 함한다.

1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운영 현황 2 인재육성 부문의 조직구조 현황 3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조직 및 인력 추진방안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운영방안Ⅴ

Ⅴ.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운영방안 93 본 장에서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7개 전략과제를 효과적으로 추진 하기 위해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조직 및 인력 운영방안을 수립하여 단 계적으로 실행하고자 한다. 1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운영 현황 환경분석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은 현재 원장(경 기복지재단 대표이사 겸직) 이하 1개 팀, 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교육의 기능 측면을 보면, 인재육성전략, 교육기획, 교육과정개발보다는 교육운영 업무에 많이 치중되어 있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인재육성 활동에 대한 현황분석을 기초로 향후 성과지향적인 인재육성을 위해 학습(Learning), 변화(Change), 성과 (Performance) 등의 HRD 영역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을 재설계하 여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육성을 위한 Hub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교육운영(41%) 중심의 업무에서 HRD전략수 립(4%), 교육기획(22%), 과정개발(13%), 교육평가(12%), 정책연구(8%) 등의 업무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운영방안Ⅴ

9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즉,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육성을 위한 허브 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교육전략수립, 교육기획, 과정 개발, 교육평가, 정책연구 등의 업무를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복 지종사자 육성을 위한 학습(Learning), 변화(Change), 성과(Performance) 등의 업무영역을 수행해야 한다. [그림 Ⅴ-1] 기능별 경기복지평생교육원 교육업무 수행 2 인재육성 부문의 조직구조 현황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조직 재설계에 앞서 인재육성부문의 일반적인 조직형태와 유관기관의 인력운영 현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교육부서는 교육과정 중심의 조직과 프로세스 중심의 조직으로 구분되 고, 각각의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교육과정 중심의 조직은 직무영역 중심의 조직설계를 의미하며, 이는 특별한 주제와 기술 영역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전문가들과 교육 팀장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교육담당자는 인재육성에 대한 전문성을 바

Ⅴ.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운영방안 95 탕으로 교육수요조사,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보완을 하고, 직접 교 육과정을 운영하며, 실시결과를 평가하여 차기 과정에 피드백하는 인재 육성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종합적으로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조 직의 형태는 기초역량 중심의 핵심가치교육팀(조직문화교육팀), 리더십 역량 중심의 리더십교육팀, 직무역량 중심의 직무교육팀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조직은 해당 직무영역에 대한 단위조직 및 조직전체의 현황과 현장의 요구를 이해하고, 이에 기초하여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교 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성과창출에 기여하는데 최우선의 가치를 두고 있다. [그림 Ⅴ-2] 교육의 직무영역 중심 조직 교육프로세스 중심의 조직은 교육 기능중심의 조직 설계를 의미하며, 교육훈련 부문은 교육의 기능 즉, 요구분석, 과정설계, 과정개발, 과정운 영 및 과정평가의 기능과 관련하여 구분하고, 세분화와 전문화의 원칙하

9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에 인재육성 업무를 수행하도록 조직을 설계한다. 이러한 형태의 조직은 교육훈련 부문 중 2개 이상의 복수의 직무영역에 대해 교육의 기능에 따 라 교육기획업무, 과정개발업무 및 교육운영업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교육기획팀은 전체 인재육성전략수립, 중장기 교육계획 수 립 및 교육제도 설계 등의 교육기획기능을 주로 수행하고, 교육운영팀은 교육훈련의 영역에 관계없이 교육과정 실시안내, 신청접수, 과정운영 및 실시결과에 대한 평가관리까지 수행하도록 설계하는 경우가 있다. 교육 기능중심의 조직은 교육담당 직원들이 해당 분야의 전문가이기 때문에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필요한 전략과 계획, 훈련프로그램들을 개 발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면에 공급자중심의 관점에서 현업의 문 제나 요구와 관련이 없는 전문지식 분야를 교육하려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림 Ⅴ-3] 교육의 기능중심 조직

Ⅴ.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운영방안 97 경기도민의 복지욕구 증대, 복지서비스 내용과 대상이 확대되는 상황 에서 복지체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공인력의 전문성이 중요한데 대 부분의 사회복지시설은 소규모로 인재육성에 대한 투자가 미흡하고 교 육전문 인력이 부재하고, 각종 직능단체에서는 일회적・산발적인 교육훈 련을 실시하고 있어서 사회복지 종사인력의 높은 교육니즈의 반영이 미 흡한 실정이다. 교육기관별 교육담당자 1인당 교육생수 조사에서는 경기복지평생교 육원은 사회복지종사자 4,869명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현재 5명의 교 육업무 수행 인력으로 1인당 교육생수 974명으로 나타났다. 유관기관의 교육부문 운영현황을 비교 해보면 경기도인재개발원은 공무원 181,813 명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59명의 교육훈련담당자로 1인당 교육생수는 3,081명으로 나타났고,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은 89,521명에 대한 교육 을 실시하여 162명의 교육담당자로 1인당 교육생수는 553명으로 나타났 으며, 지방행정연수원은 167,355명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104명의 교 육훈련담당자로 1인당 교육생수는 1,609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Ⅴ-1> 유관기관 교육부문 인원 및 인당 교육대상/교육생수 기관 경기도인재개발원 경기복지 평생교육원 한국보건 복지인력 개발원 지방행정 연수원 교육대상자수 (공무원,사회복지종사자) 45,218명 34,143명 2,333,672명 210,672명 교육실시인원 181,813명* 4,869명 89,521명 167,355명 교육담당자 59명 5명 162명 104명 1인당교육대상인원 766명 6,828명 14,405명 2,025명 1인당교육생 3,081명 974명 553명 1,609명 * 모바일교육인원 제외

98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한편 교육담당부문 1인당 교육대상 인원수 조사에서는 경기도인재개발 원 766명, 경기복지평생교육원 6,828명,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14,405 명, 지방행정연수원 2,025명이었다. 대기업 440명, 대학 307명, 공공기관 773명으로 나타나 타 기관에 비해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1인당 교육대상 인원수가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나 업무량과 업무전문성을 고려해 볼 때 교육부문의 인력충원 및 조직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 2012년 인재개발실태조사, 엑스퍼트컨설팅 [그림 Ⅴ-4] 교육부문 인당 교육대상자 수 이와 같이 타 기관에 비해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은 1인당 교육대상인원 수 및 1인당 교육생수에 있어서 모두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나 경기복지 평생교육원의 교육담당자들의 직무전문성을 강화하여 업무수행역량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교육부문 조직 및 인력을 확충하고 인재육성 기능을 강화, 확대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조직 및 인력 추진방안 1) 조직 운영방향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조직 재설계 기본방향은 다음과 같다.

Ⅴ.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운영방안 99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비전달성을 위한 교육조직은 중장기적으로 교 육의 기능중심 조직으로의 변화를 지향하지만, 교육부문의 전문성과 업 무량 및 사회복지 현장요구와의 적합성 검토 및 교육의 효율성과 효과 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현재 교육과정중심(직무영역 중심)의 조직에 서 교육프로세스중심 조직을 가미한 절충형 조직을 일정기간 운영한 후 에 단계적으로 프로세스중심 조직으로 진화하도록 한다. 조직운영의 기본방향은 크게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사회복지종 사자 육성의 전략적 파트너 역할 강화, 둘째, 사회복지종사자 육성의 메 카로서 역할 강화, 셋째, 인재육성을 위한 본원적 업무중심 교육조직의 효율화 추구, 넷째, 사회복지종사자 육성체계 실행을 위한 교육조직 전 문화로 설정하였다. [그림 Ⅴ-5] 조직운영 방향 각 조직운영 방향에 따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종사자 육성의 전략적 파트너 역할 강화는 경기복지재 단 비전 및 정책에 따른 인재육성을 위한 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 체계 를 마련하고 사회복지기관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사회복지종사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 제공을 말한다. 둘째, 사회복지종사자 육성의 메카로서 역할 강화는 사회복지기관의

100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니즈를 반영하여 현장에 활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기능과 사회복지종사자 인재육성 로드맵에 의한 교육계획을 수 립하고 조정, 운영 및 평가 등의 종합적인 교육기능을 강화하는 것이다. 셋째, 인재육성을 위한 본원적 업무중심 교육조직의 효율화 추구란, 교육요구분석, 과정개발, 과정설계, 교육운영, 교육평가 등 본원적 업무 기능의 확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사회복지종사자 육성체계 실행을 위한 교육조직 전문화는 교육 의 과정중심 조직과 프로세스중심 조직의 조화로 성과지향적인 조직구 조를 지향하고, 사회복지종사자 육성에 대한 연구개발 기능을 강화하며, 사회복지기관 및 현장의 성과 향상과 문제해결을 지원할 수 있는 조직 을 실현하는 것이다. 위의 기본적인 조직운영 방향을 근거로 한 조직 재설계의 주요내용은 연구개발조직의 신설, 운영조직의 확대, 강사 풀 확대이다. 먼저, 연구개발조직은 대표(원장) 및 사회복지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 채널, 인재육성전략수립, 교육계획수립(분석, 설계 포함), 연구/개발업무, 사회복지기관 지원 및 코칭 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다음으로, 운영조직의 확대를 통하여 기본, 리더십, 직무 등 영역별 교 육과정 운영으로 사회복지기관과의 유대를 강화하고 현장으로 찾아가는 교육 실시 등 현장의 니즈를 반영한 교육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강사 풀 확대는 외부 전문가 활용 이외에 사회복지기관의 전문가를 직무교육 강사 풀에 등록하고 강의스킬을 교육하여 업무에 적 용 가능한 교육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조직운영 방향과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인재육성전 략과제 실행방안을 근거로,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단계적으로 실행해야 할 핵심과제 추진 로드맵, 각 추진단계별 사업량에 기반한 필요예산과 필요인력(원장 제외)을 정리하면 <표 Ⅴ-2>, <표 Ⅴ-3>, <표 Ⅴ-4>와 같 다. 교육총량은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량중심 교육체계도(그림 Ⅵ-13 참조)에 기초하여 산출되었다.

Ⅴ.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운영방안 101 <표 Ⅴ-2> 전략과제 추진 로드맵 <표 Ⅴ-3> 교육훈련 부문 필요예산 및 인력 구분 1단계 (∼2015) 2단계 (2016∼2017) 3단계 (2018 이후) 교육총량 ∙ 49개 과정운영 ∙ 4,500명 교육 (시설종사자 13%, 공무원 12%) ∙ 58개 과정운영 ∙ 5,000명 교육 (시설종사자 14%, 공무원 16%) ∙ 67개 과정운영 ∙ 5,500명 교육 (시설종사자 15%, 공무원 20%) 필요예산 224,000천원 508,000천원 340,000천원 필요인력 6명 10명 12명

10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표 Ⅴ-4> 연구개발/지원 부문 필요예산 및 인력 구분 1단계 (∼2015) 2단계 (2016∼2017) 3단계 (2018 이후) 주요과제 ∙ 역량모델링 외 정책연구 3건 ∙ 승진자 교육과정개발 총 2건 ∙ 역량진단 학습포털 시스템 구축 외 정책연구 1건 ∙ 현장맞춤 교육과정개발 총 4건 ∙ 사회복지시설 교육 컨설팅 ∙ 교육과정 기획 ∙ 교육과정 효과평가 외 정책연구 3건 ∙ 현장맞춤 교육과정개발 총 2건 ∙ 사회복지시설 교육 컨설팅 ∙ 교육과정 기획 ∙ 과정별 교재 및 교안개발 /강의 ∙ 사례발굴 및 개발 ∙ 교수방법 연구 및 보급 ∙ 기관별 자체강사 양성 지도 ∙ 학습동아리 지도/코칭 필요예산 80,000천원 250,000천원 80,000천원 필요인력 3명 6명 9명 2) 조직구성 및 인력배치(안)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조직과 인력배치(안) 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 운영방안은 3단계에 걸쳐 진행될 수 있다. 1단계(단기조직)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역량 개발기(∼2015년)로 현행과 같이 1팀(복지교육팀)을 운영하고, 교육운영 인력 1명과 교육기획 및 과정개발을 수행할 수 있는 인력 2명을 충원해야 한다. 충원 인력의 주 요 업무는 교육운영의 기본업무를 확대하고, 정기적인 교육수요조사, 역 량개발을 위한 제도 수립, 사회복지교육관련 정책연구와 현장중심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회복지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사회복지 현장지원이다. 2단계(중기조직)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역량 안정기(2016년 이 후)로 사회복지교육업무 추진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교육 관련 전문가를 신규 채용하여 연구・기획 능력을 향상시킨다. 현행 복지 교육팀 1개 팀을 원장(실장), 교육기획팀, 교육운영1팀, 교육운영2팀의 3

Ⅴ.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운영방안 103 개팀으로 확대하여 운영하고 조직원은 총 16명이 적합하다. 이를 위해서 9명의 충원이 필요하고, 충원된 인력은 사회복지공무원교육 등 교육운 영의 기존업무를 확대시키고 인재육성전략 수립, 연간교육계획 수립, 교 육효과평가, 현장중심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연구, 사회복지기관 교육담당자 코칭/지도의 신규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현행 조직도 조직도 (안) (2단계) [그림 Ⅴ-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도(안)(2단계)

10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각 팀별 업무는 다음과 같다. 교육운영팀은 사회복지교육기관간 네트워 크 구축, 사회복지종사자 교육, 사회복지공무원 교육, 도정연계 교육, 위수 탁 교육, 학습포털 시스템 운영 및 정보제공, 교육실적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그리고 교육기획팀은 사회복지인재육성 전략수립, 연간교육계 획 수립, 정기적인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공무원 수요조사, 역량개 발을 위한 제도 수립, 교육효과 평가, 현장중심 교육프로그램 개발, 복지 교육 정책연구, 사회복지 사례개발, 각종 연구・기획업무를 수행한다. 한편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은 사회복지 교육을 위한 물적 인프라를 구비 하기 위한 단계적인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사회복지교육 운영 및 교육과 정 개발을 통한 교육의 양적 확대에 발맞추어 현재의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의 교육시설 외에 경기도인재개발원(신관) 시설의 리모델링을 통한 교육장 확보 및 경기도내 권역별로 교육시설을 갖추어 사회복지인력의 교육수강 편의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물적 인프라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단계적이고 구체적인 검토를 통한 실행계 획 수립과 더불어 경기도 차원에서 정책적인 지원과 배려가 요구된다. <표 Ⅴ-5> 팀별 업무분장(안) 교육 기획팀 ∙ 인재육성전략 수립업무 ∙ 연간교육계획 수립업무 ∙ 정기적인 수요조사 ∙ 사회복지 사례개발 ∙ 역량개발제도 수립 ∙ 교육효과평가 ∙ 사회복지교육 정책연구 ∙ 교육프로그램 개발 ∙ 사회복지기관 현장지원 ∙ 교육담당자 코칭/지도 ∙ 사회복지기관과 네트워크 구축 교육 운영2팀 ∙ 사회복지공무원 교육운영 ∙ 도정연계교육 운영 ∙ 서비스대상별 맞춤교육운영 ∙ 수탁교육 운영 ∙ 학습포털시스템 운영 및 정보 공유 ∙ 사회복지기관 현장교육 ∙ 경기도민 사회복지교육운영 ∙ 교육실적 관리 교육 운영1팀 ∙ 기본역량 교육 운영 ∙ 직무역량 교육 운영 ∙ 리더십 및 관리역량 교육 운영 ∙ 사회서비스제공기관 교육운영 ∙ 온라인 교육 운영 ∙ 교육실적 관리 교수부 ∙ 과정별 교재 및 교안 개발/강의 ∙ 사례발굴 및 개발 ∙ 교수방법 연구 및 보급 ∙ 기관별 자체강사 양성지도 ∙ 학습동아리활동 지도/코칭

Ⅴ.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운영방안 105 장기적 측면에서 최종적인 조직(3단계, 2018년 이후)은 경기복지평생 교육원을 경기복지재단의 부설기관으로 하며, 교수부를 신설하여 3개팀, 1부의 조직을 구성하여 자체적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할 수 있 는 수준으로 복지교육전문성을 강화한다. 이로써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은 ‘경기도 사회복지인력 육성을 위한 전문화된 사회복지교육의 허브’로서 ‘사회복지전문성 강화를 위한 사회복지교육의 메카’, ‘사회복지현장 연 구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회복지인력 교육시스템 구축과 교육기회 확대를 통한 교육활성화’ 및 ‘사회복지 정보공유와 전달을 통한 상호소 통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경기복지평생 교육원은 사회복지인재육성의 중추적 역할 수행을 강화하여 복지교육 선도기관으로 위상을 확립하게 된다. [그림 Ⅴ-7] 경기복지평생교육원 조직도(안)(3단계)

참고문헌 107 경기도인재개발원 (2014). 2014년도 교육훈련계획 신재은・이유진・박미경・서창현 (2011). 사회복지직공무원 교육체계 개발연구, 경기 복지재단 신재은・박미경・박지영・서창현 (2012).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의 종합적 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교육현황 및 수요 분석연구, 경기복지재단 엑스퍼트컨설팅 (2012). 2012년 인재개발실태조사, 엑스퍼트컨설팅 이유진 (2010). CIPP모형에 기반한 경기도인재개발원 공무원교육에 대한 평가 연구, (2010년도 교수요원 연찬대회)우수 교안 및 연구보고서, 지방행정연수원 지방행정연수원 내부자료, 주요업무 통계자료 (2013.12.31.)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2014). 2014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교육프로그램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내부자료,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중장기 계획(안) J. W. Giley and A.J.Coffern (1994). Internal Consulting for HRD Professionals, McGraw-Hill 참고문헌

1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설문지 2 포커스그룹인터뷰 문항 부 록Ⅵ

Ⅵ. 부 록 111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설문지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조사는 경기도 내 사회복지인력의 역량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경기복지재단이 2012년부터 설치・운영하고 있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 (경기복지재단 복지교육팀 운영)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는 조 사입니다. 귀하의 응답은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경기도 사회복지인력의 전문성 개발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행해야 하는 기능과 역할을 구체화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1. 설문기간: 2014년 4월 16일(수) ∼ 2014년 4월 25일(금) 2. 설문은 총 24문항이며 소요시간은 약 10분 정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소중한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연구책임 : 신재은 선임연구위원 전 화 : 경기복지재단 복지교육팀(031-267-9355) 이 메 일 : hrizzy@ggwf.or.kr

11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 다음 설문문항을 읽고 귀하가 생각하고 느끼시는 바를 고려하여 해당번호에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1. 교육의 목적/의지 1-1. 귀하가 교육을 희망하여 받으신다면,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① 개인적인 자기개발을 위하여 ② 직무가 요구하는 역량을 갖추기 위하여 ③ 교육이수 요구시간, 승진요건을 채우기 위하여 ④ 많은 사람을 알기 위하여 (인적 네트워크) ⑤ 바쁜 업무를 떠나 재충전하기 위하여 1-2. 귀하는 교육받는 것을 얼마나 희망하십니까? ① ② ③ ④ ⑤ 전혀 희망하지 않는다 희망하지 않는 편이다 보통이다 희망하는 편이다 매우 강하게 희망한다 2. 교육전반 2-1. 귀하는 사회복지기관에 들어오신 후, 실제로 교육을 얼마나 받았습니까? (사회복지사 자격유지를 위한 보수교육 제외) ① ② ③ ④ ⑤ 교육을 거의 못받았다 교육받은 적이 적다 보통이다 교육받은 적이 많다 충분히 교육받았다 2-2. 귀하가 교육받기를 희망한다면, 어떤 교육이 있는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까? ① ② ③ ④ ⑤ 전혀 없다 약간 있다 보통이다 약간 많다 충분하다

Ⅵ. 부 록 113 3. 교육받을 수 있는 기관 3-1. 다음 중 이용해 본 교육을 모두 고르세요. (사회복지사 자격유지를 위한 보수교육 제외) ① 중앙 사회복지 직능단체(협회, 협의회 등) 교육 ② 경기도 사회복지 직능단체(협회, 협의회 등) 교육 ③ 경기복지평생교육원(경기복지재단) 교육 ④ 민간기관 교육 ⑤ 기타 ( ) 3-2. 귀하는 어느 기관에서 교육받는 것을 가장 좋아합니까? ① 중앙 사회복지 직능단체(협회, 협의회 등) 교육 ② 경기도 사회복지 직능단체(협회, 협의회 등) 교육 ③ 경기복지평생교육원(경기복지재단) 교육 ④ 민간기관 교육 ⑤ 기타 ( ) 3-3. 위 질문에서 그 기관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좋은 교육과정 ② 좋은 강사진 ③ 우수한 교육시설 ④ 다른 학습자들과 교류 ⑤ 가까운 위치 4. 교육방식 4-1. 어떤 방식의 교육 운영이 학습자에게 가장 도움이 될까요? ① 집합 교육 ② 온라인 교육 ③ 혼합 교육 (집합 + 온라인)

11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면서 혁신해 나가는 열정적인 사회복지인 ○ 자기 성장과 함께 기관의 성과도 동시 에 균형 있게 추구하는 사회복지인 ○ 직원간의 원만한 유대관계를 할 수 있는 인재 ○ 시설의 운영과 사업에 대한 조율과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사람 ○ 직업윤리의식, 사명감이 강한 사람 ○ 사회복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행정 력과 실천력을 함께 겸비한 사람 ○ 영역과 지역을 넘어서 다양한 교류를 통해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전문가 ○ 사회적책무를 성실히 수행하기 위해 ○ 편견없이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수용 하는 사람 ○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는 사람 ○ 직업윤리를 바탕으로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사람 ○ 가치지향적인 실천과 비전을 전파하는 사람 ○ 자율적으로 실천하는 사람 ○ 공동체 회복을 위해 연대활동을 수행 하는 사람 ○ 두려움없는 도전정신을 가진 사람 ○ 사회복지 이론에 근거하여 실천하는 사람 ○ 제도와 원칙을 준수하는 사람 4-2. 귀하가 교육을 신청한다면, 어떤 방식의 교육을 선택하겠습니까? ① 집합 교육 ② 온라인 교육 ③ 혼합 교육 (집합 + 온라인) 4-3. 어떤 방식의 수업 진행이 학습자에게 가장 도움이 될까요? ① 강의식 ② 참여식 (실습, 토론) ③ 경험식 (견학, 체험) ④ 혼합식 (강의+참여 / 강의+경험) 5. 사회복지종사자 인재상 5-1. 다음은 사회복지기관의 “바람직한 인재상(像)”을 도출하기 위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사회복지인력의 모습(인재상)을 <보기>에서 7가지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기>에 없는 인재상(키워드)이 있으시면 <기타의견 >란에 직접 기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Ⅵ. 부 록 115 사회복지 수요자들의 욕구에 맞게 자원을 개발하는 사람 ○ 신뢰를 바탕으로 존중하는 사람 ○ 자기개발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사람 ○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생각하는 사람 ○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헌신하고 봉사 하는 사람 ○ 전문지식과 기술을 끊임없이 연구, 실천하는 사람 ○ 지역사회 변화를 촉진하는 사람 ○ 조직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 5-2. 기타 의견 자유기술 : 자신이 생각하는 사회복지인력의 모습(인재상)을 단문 이나 한 단어씩 적어주세요. 6.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 6-1. 사회복지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해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중점적으로 수행 하여야 할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보기>에서 3개를 골라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사회복지인력의 자기인식과 가치관 확립을 통한 재 충전의 장으로서의 역할 ○ 사회복지시설의 종사자들에게 필요 한 정보를 공유, 전달하며 소통의 장 으로서의 역할 ○ 사회복지종사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직능단체, 유관자와의 네트워크 구축 역할 ○ 사회복지 종사자 교육 시스템 구축 및 교육 활성화 역할 ○ 경기도내 사회복지종사자 역량강화 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 사회복지인력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 시하고 있는 기관들의 교육사업의 통합 수행 ○ 사회복지 현장의 전문인력을 체계적 으로 양성/지원하는 역할 ○ 현장의 전문성을 이론화하고 연구하 는 역할

11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6-2. 기타 의견 자유기술 : 자신이 생각하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을 단문 이나 한 단어씩 적어주세요. 7.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중점추진업무 7-1. 사회복지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해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중점적으로 추진 하여야 할 업무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보기>에서 7개를 골라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증진 ○ 사회복지종사자들을 위한 질 높은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 내실화 ○ 사회복지종사 교육을 위한 강사 인 프라 구축 ○ 사회복지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 ○ 기관내부의 자체 역량강화 지원 ○ 중장기 사회복지인력 육성전략 수립 ○ 사회복지인력의 교육수요조사 ○ 사회복지기관 교육효과 평가도구 개발 ○ 사회복지사의 경력개발 지원 교육 ○ 사회복지종사자 직급별 교육 시스템 마련 ○ 사회복지현장과 연계된 정책연구 수행 ○ 사회복지 현장과의 상시적인 의사소 통체계 구축 ○ 자체 강사요원 전문역량 강화업무 ○ 사회복지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제도 개발/보급 ○ e-HRD 시스템 구축(역량진단시스템 외) ○ 기관 리더/사회복지인력의 학습풍토 조성 7-2. 기타 의견 자유기술 : 자신이 생각하는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중점추진업 무를 단문이나 한 단어씩 적어주세요.

Ⅵ. 부 록 117 8. 사회복지인력 육성을 위한 중점추진교육 8-1.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사회복지인력의 육성을 위해서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 해야 되는 교육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보기>에서 10개를 골라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홍보마케팅 전문가 과정(프리젠테이션 및 보도자료 기사 작성법, 사진기술 등) ○ 사회복지 프로그램 성과평가 과정 ○ 생활재활/지원교사 역량강화 과정 ○ 윤리경영과정(윤리와 가치 실천) ○ 민원응대 과정 ○ 직급별 역량향상 과정 (수퍼비전, 리 더십, 갈등해결, 인문학 등) ○ 모금 전문가 과정(사회복지 사업기금 마련을 위한 전략적 사업기획방법과 다양한 자원개발 방법) ○ 상담 전문가 교육(클라인언트와의 관 계향상을 위한 상담기법, 대인관계 기술) ○ 지역복지 전문가 과정(사회복지 이슈 도출, 지역 사회 조직화 방법, 지역사회 조사분석 등) ○ 소진예방 과정 ○ 중장기 비전만들기 과정(조직비전과 개인비전) ○ 네트워크 활성화 교육 ○ 개인정보보호교육 ○ 슈퍼바이져 과정 ○ 사회복지 재무회계 과정 ○ 회의진행스킬 과정 ○ 인적자원관리 과정(인사, 노무 관련 노동법규) ○ 치매 전문가 과정 ○ 조사분석 과정 ○ 행정실무능력 향상과정(예산, 공문, 사업계획서 작성, 총무 등) ○ 현장의 복지이슈 세미나(정기적 세미나 를 통해 정책에 대한 실천현장 의견 반영, 정책제안) ○ 승진자 과정(선임, 과장, 부장 등 승 진자) ○ 거주시설 장애인 케어기술과정(장애인 이해, 행동수정, 사례관리 등) ○ 생애주기별 서비스기법 및 실천기술 과정 ○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과정 ○ 신입직원 과정(공문서작성법, 사회복지 시설 정보시스템, 보고서 작성, 직장 예절, 가치 및 철학) ○ 인문학 과정 ○ 인권 과정

118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9. 교육의 효과 9-1. 귀하가 지금까지 받은 교육은 실제로 업무에 얼마나 도움이 되었습니까? ① ② ③ ④ ⑤ 전혀 도움되지 않았다 별로 도움되지 않았다 보통이다 조금 도움이 되었다 많이 도움이 되었다 9-2. 만약 교육의 효과가 작다면 가장 큰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① 교육 내용이 충실하지 않아서 ② 강사가 제대로 전달하지 못해서 ③ 시설이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아서 ④ 학습자의 열의와 노력이 부족해서 ⑤ 기타 ( ) 10. 기타 바라는 점 10-1. 귀하가 경기복지평생교육원에 가장 바라는 점은 무엇입니까? 자유롭게 기술 하여 주십시오. 예: 더 좋은 교육 과정 개발, 더 우수한 강사진 확보, 더 좋은 시설 확충 더 충실한 교육정보 안내 및 기관의 교육전문성 강화 지원 등

Ⅵ. 부 록 119 응답자 통계 ○ 귀하의 사회복지기관 총 근속년수를 선택하여 주세요. ① 1년미만 ② 1년∼2년 ③ 3년∼5년 ④ 6년∼10년 ⑤ 11∼15년 ⑥ 16년∼20년 ⑦ 21년 이상 ○ 귀하가 근무하는 기관의 사회복지서비스 주 대상자를 선택하여 주세요. ① 노인 ② 장애인 ③ 자활 ④ 종합 ⑤ 아동 ○ 귀하의 직급을 선택하여 주세요. ① 기관장 ② 국장/부장 ③ 과장 ④ 대리(주임/선임) ⑤ 사회복지사 ○ 귀하의 최종학력을 선택하여 주세요. ① 대학원 졸업 이상 ② 대학교 졸업 ③ 전문대 졸업 ④ 고등학교 졸업 이상 ○ 귀하가 근무하는 기관의 지역을 선택하여 주세요. ① 경부권역 (수원, 성남, 용인, 과천, 안양, 군포, 의왕, 안성) ② 서해안권역 (안산, 부천, 광명, 시흥, 화성, 오산, 평택) ③ 경의권역 (고양, 김포, 파주) ④ 경원권역 (의정부, 양주, 동두천, 포천, 연천) ⑤ 동부권역 (남양주, 광주, 이천, 구리, 하남, 양평, 여주, 가평) 설문완료 설문이 끝났습니다. 장시간 설문에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래에 있는 설문완료 버튼을 꼭 클릭해 주세요.

120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 서면인터뷰 시트 - 사회복지기관용

Ⅵ. 부 록 121 ◇ 연구 개요 구분 내용 연구명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경기복지재단이 경기도 내 사회복지인력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2012년 설립한 경기복지평생교육원(경기 복지재단 복지교육팀 운영)이 사회복지 인력의 전문성 개발과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에 있어 허브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수립하고자 함 ◇ 인터뷰 개요 구분 내용 인터뷰 목적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사회복지기관 및 인력의 교육 니즈 분석, 사회복지인력 교육이슈 도출 및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 방안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주요 인터뷰 내용 1.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 2. 교육 실태 3. 교육 내용 4. 교육 방법 5. 기타 인터뷰 내용 및 방법 각 사회복지인력의 교육수요 분석을 위한 서면 인터뷰 작성방법 각 사회복지기관별로 기관의 입장에서 작성함 작성자 각 사회복지기관 사무국(부)장

12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 인터뷰 질문 1. 경기복지재단(경기복지평생교육원) 역할 •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바람직한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바람직한 역할을 위해 가장 시급하게 개선/보완되어야 할 사항은? •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지향해야 할 교육의 방향성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Ⅵ. 부 록 123 •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이 중점적으로 추진할 과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 교육 실태 • 교육 이슈 : 사회복지인력의 교육에 대한 이슈(잘되고 있는 점/잘 안되고 있는 점)는? - 경기복지평생교육원 • 교육 이슈 : 사회복지인력의 교육에 대한 이슈(잘되고 있는 점/잘 안되고 있는 점)는? - 사회복지기관(귀하가 속한 기관)

124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 바람직한 사회복지인재상 : 현재와 비교했을때 각 사회복지기관이 원하는 바람직한 사회복지인력의 바람직한 모습(인재상)은? • 교육기회 : 사회복지인력에 대한 교육을 저해하는 요인(이유)는 무엇입니까? • 교육기관 :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교육 기획/운영/평가 등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Ⅵ. 부 록 125 3. 교육 내용 • 우선 필요교육 : 사회복지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교육은 무엇입니까? 우선적으로 교육이 필요한 대상은? • 교육과정 : - 사회복지기관 차원에서 사회복지인력들이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할 교육은? 그 이유는? - 사회복지기관의 비전과 전략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 필요한 교육은? 그 이유는?

126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4. 교육 방법 및 평가 • 교육분야별 선호하는 교육 참여방법, 교육인원, 추천하고 싶은 강사는? • 귀 기관의 사회복지인력들은 교육이수 후 교육내용에 대한 현업적용을 실시 하는가? 현업적용을 못하고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5. 기타 • 사회복지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한 현행 교육제도에 대한 문제점은 무엇이고, 해결책이나 방안이 있으시다면?

Ⅵ. 부 록 127 • 사회복지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해 귀 기관의 교육담당자의 전문성 여부 및 전문 인력의 필요성에 대한 견해는? • 경기복지평생교육원에 대한 기대 및 건의사항은? 감사합니다

128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 서면인터뷰 시트 - 사회복지종사자용

Ⅵ. 부 록 129 ◇ 연구 개요 구분 내용 연구명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경기복지재단이 경기도 내 사회복지인력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2012년 설립한 경기복지평생교육원(경기 복지재단 복지교육팀 운영)이 사회복지 인력의 전문성 개발과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에 있어 허브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수립하고자 함 ◇ 인터뷰 개요 구분 내용 인터뷰 목적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사회복지기관 및 인력의 교육 니즈 분석, 사회복지인력 교육이슈 도출 및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 전방안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주요 인터뷰 내용 1.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역할 2. 교육 실태 3. 교육 내용 4. 교육 방법 5. 기타 인터뷰 내용 및 방법 각 사회복지인력의 교육수요 분석을 위한 서면 인터뷰 작성방법 각 사회복지기관종사자로서 개인의 입장에서 작성함 작성자 각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경력 3년 이상자

130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 인터뷰 질문 1. 경기복지재단(경기복지평생교육원) 역할 •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바람직한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바람직한 역할을 위해 가장 시급하게 개선/보완되어야 할 사항은? 2. 교육 실태 • 바람직한 사회복지인재상 : 현재와 비교했을때 각 사회복지기관이 원하는 바람직한 사회복지인력의 바람직한 모습(인재상)은?

Ⅵ. 부 록 131 • 교육기회 : 사회복지인력에 대한 교육을 저해하는 요인(이유)는 무엇입니까? • 교육기관 : 경기복지평생교육원의 교육 기획/운영/평가 등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3. 교육 내용 • 우선 필요교육 : 사회복지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교육은 무엇입니까? 우선적으로 교육이 필요한 대상은?

132 경기복지평생교육원 발전방안 연구 • 교육과정(조직차원) : - 사회복지기관 차원에서 사회복지인력들이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할 교육은? 그 이유는? • 교육과정(개인차원) : - 지금까지 받은 교육 중 가장 도움이 되었거나 인상 깊었던 교육은? 그 이유는? - 지금까지 받은 교육 중 가장 도움이 되지 않고 불만스러웠던 교육은? 그 이유는? (본인사례/타인사례)

Ⅵ. 부 록 133 4. 교육 방법 및 평가 • 교육분야별 선호하는 교육 참여방법, 교육인원, 추천하고 싶은 강사는? • 귀 기관의 사회복지인력들은 교육이수 후 교육내용에 대한 현업적용을 실시 하는가? 현업적용을 못하고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5. 기타 • 사회복지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한 현행 교육제도에 대한 문제점은 무엇이고, 해결책이나 방안이 있으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