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연구책임 󰠛 신재은 (경기복지재단 선임연구위원) 공동연구 󰠛 민소영 (경기대학교 교수) 최효선 (경기대학교 강사) 박미경 (경기복지재단 전문연구원)

감수위원 가톨릭대학교 김용석 교수 동국대학교 김형종 교수 동의대학교 유동철 교수 ■ GGWF Report는 사회복지분야의 주요현안에 관하여 정책의 방향설정과 실현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ㆍ조사를 통한 정책제안이나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작성된 자료입니다. ■ 본 보고서는 경기복지재단의 공식적인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과 관련한 의견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Tel : 031-267-9351 Fax : 031-898-5938 E-mail : sje9820@ggwf.or.kr

요약 i 요약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주민조직화 과정에서 지역사회환경을 고려한 실천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지역 사회문제의 중요한 해결전략이 될 수 있음 - 지역사회란 지역 안에서 사는 ‘사람’ 자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장소라는 물 리적 속성이 포함됨 -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사회환경 변화를 고려해야 함 ・ 동네환경이 무질서할수록 주민들 사이에서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에 부정적 상태, 삶의 질 저하 등의 문제가 나타남 ・ 사람의 변화 없이 공간만의 변화만을 강조하거나 공간의 변화없이 사람의 변화에만 초점을 맞춘 접근으로는 지속적이고 의미있는 지역공동체의 변화를 이루기에 충분하지 못함 ○ 주민조직화 과정에서 문제해결의 초점을 가진 ‘사람’이 아닌 문제가 일어나는 ‘공간’의 변화에 관심을 두어야 하며, 공간을 실천대상으로 삼아야 함 ○ 지역사회환경의 변화를 모색하는 관점에 초점을 둔 주민조직화 교육적 방안을 제시 - 동네의 환경적 요인이 어떻게 사회복지사의 주민조직화사업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함 - 지역사회환경 기반의 주민조직화 교육방향 및 교과내용을 설계함 □ 연구방법 ○ 주민조직화 업무 담당자 대상 설문조사 - 경기도 내 사회복지관의 주민조직화 업무를 수행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121명이 설문에 응답함. 이 중 설문분석 대상은 총 100명임 - 설문조사 내용은 동네무질서,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수준으로 구성되었고

ii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주요변수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과 다중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함 □ 설문조사 결과 ○ 사회복지관이 위치한 동네무질서 인식 정도는 2.22점(4점 척도)으로 나타남 - 하위 요인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사회적 무질서(2.18점)보다 물리적 무질서(2.24점) 를 더 크게 인식하고 있었음 ○ 주민조직화 업무단계에서 1단계인 주민조직화 준비 전체적으로 미약함 -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수준은 주민발굴(3.17점)-주민조직 운영(활동)(2.95 점)-주민조직 결성(2.85점)-지역탐색(2.84점)-주민조직 유지관리(2.81점)-주민 조직화 범주 설정(2.76점)-주민조직화 준비(2.73점)로 나타남 - 안정적인 주민조직을 이끌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과 주민조직에 대한 가치를 충분 히 공유하고, 활동 지역과 지역의 욕구 및 문제파악을 위한 사전 작업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함 ○ 사회복지사가 동네가 무질서하다고 인식할수록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이 낮아지 는 것으로 나타남 - 하위 요인인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 모두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즉, ‘장소’의 변화라는 관점의 강화를 교육목적 으로 한 주민조직화 교육방향과 교육내용을 제시함 - 교육과정 설계는 현장중심의 내용설계, 경험중심 학습, 현장성이 강조된 지역사회 속에서의 학습, Cop 운영을 원칙으로 함 - 교육과정 운영전략은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에 있어서는 실제 주민조직화 사업 지역에 대한 환경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실습교육 비중을 강화함

요약 iii - 교육과정 세부 내용은 주민조직가로서의 ‘나’ 이해 단계, 지역사회의 환경적 요인 탐색 단계, 동네환경에 대한 지역주민 욕구파악 단계, 주민조직화실천 대상으로서 공간 인식 단계, 주민을 만나 공동의 인식 단계, 주민참여와 주도의 고정적 이미지 를 탈피한 차이 공간 만드는 단계, 주민조직 독립 및 유지 단계의 총 7단계로 구분 하여 설계함 □ 결론 ○ 연구의 의의 - 지역사회환경이 주민조직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간 주민 조직화 수행 시 소홀히해왔던 지역사회의 공간적 개입에 대한 중요성을 규명함 - 주민조직화 수행을 위해서 사람뿐만 아니라, 그 사람이 거주하는 ‘장소’라는 물 리적 요소도 함께 고려해야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주민조직화 실천에 필요한 실 천적 지식과 기술의 확장이 필요함을 밝힘 - 지역 환경을 매개로 한 주민조직화 교육 방안을 개발함 ○ 제언 - 안정적인 주민조직을 이끌기 위해 주민조직화 준비단계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함 - 문제해결의 초점을 가진 ‘사람’이 아닌 문제가 일어나는 ‘공간’을 실천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는 관점, 지역 환경의 사정과 변화를 위한 실천기술을 조직화 경력이 낮은 사회복 지사를 대상으로 집중적인 교육을 할 필요가 있음 - 조직차원에서 직원의 지역활동에 대한 공감과 지지, 정확한 업무피드백과 슈퍼비전 등 다양한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 - 향후에는 지역사회환경의 관점에서 실행한 주민조직화사업이 실제 주민의 효능감과 지역사회응집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

목차 v 목차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방법 ······························································································ 3 Ⅱ| 지역사회환경과 주민조직화 / 5 1. 주민조직화에서 지역사회환경의 의미와 영향 ·············································· 5 2. 지역사회환경과 주민조직화 교육현황 ······················································· 15 Ⅲ| 지역사회환경 인식과 주민조직화 수행에 관한 설문분석 / 21 1. 조사설계 ··································································································· 21 2. 설문조사 결과 ························································································ 23 3. 소결 ········································································································ 36 Ⅳ|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 37 1.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교육방향 ················································· 37 2.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단계별 교육과정(안) ······························· 45 Ⅴ| 결론 / 49 1. 요약 ······································································································· 49 2. 제언 ········································································································· 51 | 참고문헌 / 55 | 부록 / 59

vi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표 차례 <표 Ⅱ-1> 한국주민운동교육원 교육과정 ·············································································· 15 <표 Ⅱ-2> 한국사회복지관협회 교육과정 ············································································· 16 <표 Ⅱ-3> 한국사회복지협의회 교육과정 ············································································· 17 <표 Ⅱ-4> 경기복지재단 교육과정 ······················································································· 18 <표 Ⅲ-1> 설문문항 개요 ···································································································· 22 <표 Ⅲ-2> 신뢰도 분석결과 ······························································································· 23 <표 Ⅲ-3> 설문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24 <표 Ⅲ-4> 주요변수의 기술 통계치 ····················································································· 25 <표 Ⅲ-5> 동네무질서 인식 현황 ························································································ 26 <표 Ⅲ-6>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도 ··········································································· 28 <표 Ⅲ-7> 변수간의 상관관계 ····························································································· 32 <표 Ⅳ-1>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단계별 교육과정(안) ············································ 46

목차 vii 그림 차례 <그림 Ⅰ-1> 연구절차 ········································································································· 4 <그림 Ⅳ-1> 신경논리적 6단계 ··························································································· 38 <그림 Ⅳ-2> 교수설계 및 운영전략 ····················································································· 45

Ⅰ. 서론 1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사회문제에 대처하려는 복지정책의 방향이 정부의 정책 중심에서 이를 보완하는 지역사회와 주민참여를 강조하는 추세이다(이광모, 2012; 이봉주, 2005; 홍현미라 외, 2010). 이것은 지역사회 기반을 강조하는 사회복지관의 주민조직화 기능과 맞닿아 있다. 사회복지관의 주민조직화는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 활동으로 주민들이 이 과정 에 참여함으로써 잠재력을 발휘하고 공동체 의식을 고양하며 자신들의 당면한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이찬희․문영주, 2012). 이러한 주민조직화의 궁극적 목적은 지역주민의 역량강화를 통해서 지역공동체를 형성 하는 것이며, 주민 스스로가 중심이 되어 자기들의 욕구를 통합, 조정하고 이의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이 주민조직화의 과정(곽현근․유현숙, 2005)인 것이다. 주민조직화 과 정은 지역사회를 기반하고 있는데, 지역사회라는 개념 안에는 물리적 영토성이 내포된 지 리성, 그리고 일정한 장소 안에서 나타나는 사람 간 교류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즉, 지역 사회란 지역 안에서 사는 ‘사람’ 자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장소라는 물리적 속성이 포함되어 있다.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환경을 보다 ‘장소’의 개념에 천착하여 장소와 개인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 연구에 따르면, 장소란 물리적 공간이라는 개념에 그 치지 않고, 무수한 사회적 관계들이 조합된 속성이 포함되어 있으며(도린매시, 2015), 인 간의 행위가 특정한 공간과 특정한 시간 속의 교차 속에서 영향을 받는다(Cohen & Felson, 1979)고 주장함으로써, 인간의 행위는 공간과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이처럼 지역사회환경, ‘장소’가 인간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 근거하여, 물리적 환경을 직접 측정하면서 이것이 인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연구들이 있다(Perkins &

2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Taylor, 1996; Ross, 2000; 곽현근․노병일, 2003; 김영미, 2010; 민소영, 2015, 박영숙․ 민소영, 2016). 이에 따르면 시끄럽고 불결하며 지저분하고 황폐한 거리, 파손되거나 낙 서가 많은 거리상태, 술이나 마약을 하는 사람들이 있거나, 무언가 위험한 느낌을 주는 사람들이 있는 등 동네환경이 무질서할수록 주민들 사이에서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에 부 정적 상태, 삶의 질 저하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로 볼 때,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사회환경 변화를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관에서 주민조직화사업을 할 때에도 지역사회환경 관점에서의 실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란 일상적으로 장소와 사람을 타인과 공유하는 곳이 다. 이상적인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주민조직화는 사람뿐만 아니라 물리적 공간인 장소 가 함께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활동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주민조직화는 저소득층 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 그리고 지역주민과 조직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이루고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스스로 참여하고 협력하여 공간의 물리적인 변화와 사람의 변화를 함께 추 구하는 실천적 노력인 것이다. 여기에서 지역이라는 공간과 그 곳의 생활주체인 주민의 공동체적인 건강과 행복을 위해서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물리적으로 소외되고 배제되 어진 공간과 주민을 포함하고 회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유동철, 2012). 즉, 사람의 변화 없이 공간만의 변화만을 강조하는 방법으로 또는 공간의 변화 없이 사람의 변화에만 초점 을 맞춘 접근으로는 지속적이고 의미있는 지역공동체의 변화를 이루기에 충분하지 못하 다(홍현미라 외, 2012)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 주민조직화사업은 지역사회 공간을 물 리적, 지리적, 고정적 조건으로 인식하고 그 공간 안에서 이루어지는 인간행위에만 초점 을 두고 있다(최명민․박향경․이현주, 2017). 따라서 주민조직화 과정은 문제해결의 초점을 가진 ‘사람’이 아닌 문제가 일어나는 ‘공간’의 변화에 관심을 두어야 하며, 공간을 실천대 상으로 삼아 보다 통합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위에서 언급한 주민조직화사업에 있어서 지역 환경의 사정과 변화에 관심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과 더불어 고려할 점은, 지역사회에서 매일 거주민들과 상호작용하는 사회 복지사들은 지역사회 환경과 무관하게 자신의 성과를 이루어낼 수 있을까? 이다. 다른 직 종과 달리 사회복지사들은 업무의 특성 상 지역사회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개입대상이 지역주민일 뿐만 아니라 개입을 위한 자원도 지역으로부터 동 원되는 지역사회를 접근단위로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역의 동원 역량은 지역의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지역의 환경은 사회복지사의 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Ⅰ. 서론 3 이러한 관점은 사회복지관의 주민조직화사업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지역 내의 주민을 조직화하여 지역의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주민조직화사업의 특성상, 지역사회 를 기반으로 업무를 수행하므로 사회복지사들은 지역사회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사회복지사가 동네환경이 시끄럽고 소음이 많거나 사람들이 자주 싸우 며 안전하지 않는 등 무질서하다고 인식하는 것은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실제 선행연구(박영숙․민소영, 2016)에서도 지역사회 환경변인 즉, 동네무질서가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 역사회환경이 사회복지사의 주민조직화 업무수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민조직화 과정에서 지역 환경을 고려한 실천에 관심을 가지는 것 은 지역문제의 중요한 해결전략이 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먼저 지역 환경 변인이 어떻게 사회복지사의 주민조직화사업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정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지역 사회환경을 사정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실천적 기술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적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문헌고찰, 설문조사, 교육방안 설계의 3단계로 진행되었다. 각 단계별 내용 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에서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주민조직화에서 지역사회환경이 갖는 의 미와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주민조직화 교육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설문조사에서는 경기도 내 사회복지관의 주민조직화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지 역사회환경(동네무질서),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수준과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본 주직조직화와 지역사회환경(동네무질서)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셋째, 교육방안 설계에서는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확인된 지역사회환경과 주민조직화 간의 관계를 근거로 지역사회환경 기반의 주민조직화 교육방향 및 교과내용 을 설계하였다.

4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그림 Ⅰ-1> 연구절차 문헌연구 ∙ 국내․외 선행연구 자문회의 ∙ 연구방향 및 연구방법 설정 설문조사 ∙ 동네무질서, 주민조직화활동 수준 조사 자문회의 ∙ 설문조사 결과 논의 교육방안 설정 ∙ 교육방향 설정 ∙ 교육과정(안) 설정 외부 전문가 감수 보고서 완성 및 배포

Ⅱ. 지역사회환경과 주민조직화 5 Ⅱ 지역사회환경과 주민조직화 1. 주민조직화에서 지역사회환경의 의미와 영향 1) 지역사회환경의 의미와 측정 지역사회를 지칭하는 용어는 공동체, 동네, 마을, 이웃 등 다양하다. 모든 용어들의 공 통점은 지리적 공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강조함으로써, 지역사회가 처한 환경이 개념 의 중요한 구성 요소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김종일(2012)은 지역사회의 물리적 영토성을 강조하면서 지역사회와 공동체라는 용어 를 구분하였다. 지역사회는 지역성에 토대를 둔 커뮤니티(locality based community)를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 지역사회란 첫째, 공간적 단위에 토대를 두면서 특정한 지리적 범위 안에 사람들이 모여 있는 장소를 의미하며, 둘째, 지역사회는 하나의 사회 조직으로 서 그 안에서 공통의 가치와 정서를 매개로 동류의식과 소속감을 느끼게 되는 곳이라 정 의하였다. 말하자면 지역사회란 “일정한 지리적 공간을 가리키고 그 안에서 사람들이 상 호 작용을 하면서 형성하는 사회”라는 것이다. 즉, 지역사회는 3가지 요소를 갖는다. 첫 째, 지역성, 둘째, 사회적 상호작용, 셋째, 공동의 결속감이다. 이를 종합하면 ‘일정한 지 리적 범위 안에 거주하면서 자신이 살고 있는 장소와 상호작용하는 주민에 대하여 사회적 이고 심리적 유대를 갖는 사회’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 다른 연구(곽현근, 2008)에서는 지역사회의 지리적 영토성을 중요시하되 물리적 범 위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공간적 규모를 고려하여 지역사회를 정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적절한 공간적 규모를 ‘동네’라고 지칭하였다. 동네는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최소 의 공간적 단위이며, 거주지의 인접성을 바탕으로 비공식적이면서 대면적 상호작용을 통 하여 이웃과 교류가 원활할 수 있는 장소’라고 정의하였다(Davies & Herbert, 1993; 곽 현근, 2008, 재인용) 또한 동네는 일상적인 집합적 삶이 이루어지는 거주 공간의 의미를 갖는다(신희주,

6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2017). ‘일차적 이해관계로 엮인 사람들뿐 아니라, 낯설지만 상호 의존적이고 보완할 수 있는 이웃들이 일정정도의 환경과 감정을 매일 공유하며 가치를 생산해내는 특별한 장소’ 의 의미를 갖는다. Shuttles(1972)는 동네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는데, 이 역시 지리적 범위와 주민 간 상호 관계가 주요 분류 기준이었다. 첫째 유형은 가장 작은 규모로서 예를 들어 부모감시 없이 어린아이들이 놀 수 있는 정도의 크기 구역이다. 둘째 유형은 방어적 동네(defended neighborhood)로서 집단의 정체성을 갖게 되는 최소한의 지역이다. 셋째 유형은 ‘유한책임의 지역사회(extended community of limited)’로서 지 방정부기관의 관할 구역이다. 넷째 유형은 ‘확장된 유한책임의 지역사회(extended community of limited liability)로서 광역정부의 일부분이나 시 전체를 포괄한다(김일 석·곽현근, 2007, 재인용) ‘마을’이라는 용어를 활용하여 지역사회를 설명하는 연구도 있다(김진석·유동철, 2013). 서울시에서 진행한 마을지향복지관 사업에서 정의한 지역사회는 ‘마을’이라는 용어를 활 용하여 개념을 정리하였다. 마을이란 일정한 지리적 공간에서 여러 상황을 공유하고 공감 하는 공간적·사회적 범위라고 정의하였다. 마을지향이란 ‘일정한 지리적 공간에 함께 살 고 있는 사람들이나 공통의 이해관계나 관심사가 있는 사람들과 함께 자치하는 것을 지향 하는 의지가 표현’된 개념이라고 언급하였다. 커뮤니티(community)보다는 이웃(neighborhood)이 지역사회 의미에 더 부합한다는 주장도 있다(Chaskin, 1997). 커뮤니티는 관계의 속성을 지니지만 반드시 지리적 토대를 가질 필요가 없는 개념이기 때문에 지역사회를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지리적 개념이 스며있는 이웃이 더 적절한 용어라는 지적이다. 이웃은 크게 6개의 개념적 의미를 갖는다. 첫째, 공간적 개념을 갖는다. 둘째, 거주(residential)의 의미를 갖는다. 셋째, 일정한 지리적 범위를 갖는다. 넷째, 관계적 속성을 내포한다. 다섯째, 실제적이고 잠재적인 연대감과 사회적 응집력을 갖는 단위이다. 여섯째, 지리적 범위 안에서 연대감 과 연결감을 기대하는 복합적 요소를 갖는다. 점차 지역사회를 강조하는 최근의 움직임은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지리적 범위에 토대 를 둔 지역사회 개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동네라는 작은 규모의 지리적 범위 내에서는 집단행동의 딜레마 상황에서 나타나는 무임승차행위를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다. 아울러 동네라는 일정 규모 안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라 가시적 성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데, 이것이 주민으로 하여금 참여를 더욱 독려하게 만드는 순환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곽현 근·유현숙, 2005).

Ⅱ. 지역사회환경과 주민조직화 7 이상에서 보듯이 지역사회라는 개념 안에는 물리적 영토성이 내포된 지리성, 그리고 일 정한 장소 안에서 나타나는 사람 간 교류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즉, 지역사회란 지역 안 에 사는 ‘사람’ 자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장소라는 물리적 속성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사회에 초점을 두고 개입한다는 것은 주민, 즉 사람의 변화만을 추구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이 살아가면서 타인과 공유하는 ‘장소’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2) 지역사회환경의 중요성과 동네무질서 일정한 지리적 범위라는 물리적 환경을 주요 개념적 요소로 갖는 지역사회가 중요하 게 고려되는 이유는 인간의 행위가 일상적 삶의 터전인 지역사회맥락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개인과 가족이 가진 욕구와 상황은 관계․기회 등의 특정 맥락 속에 토대를 두고 있는데, 이런 맥락은 공간적으로 정의되거나 공간적으로 제약되는 경우가 많다 (Chaskin, 1997). 일상적 생활을 꾸려가는 개인의 가장 사적인 공간인 ‘집’을 벗어나면 일차적으로 대하 는 곳이 지역사회이다. 사람들은 지역이라는 맥락 속에서 ‘주민’이라는 위치로서 서로 접촉하면서 관계를 형성한다. 이렇게 얻어지는 주민 사이의 관계에 의해 자신의 삶이 영향을 받기도 혹은 타인의 삶에 영향을 주기도 하면서 동네의 문화와 정서, 분위기가 형성된다. 지역사회맥락이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접근은 생태적 관점이라는 고전 이론과 연결된다. 이 외에 지역사회맥락이 인간의 삶에 어떻게 왜 영향을 미치지를 규명하는 다 양한 이론들이 있다. 먼저 스트레스 과정 모델에서 환경과 개인의 관계를 찾아볼 수 있다. 본래 스트레스 과정 모델은 사회경제적 지위, 심리적 불안정, 스트레스 사이의 관계를 개인적 차원에서 설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Aneshensel, 2010). 이후 상황적․사회적 불 평등이라는 개념이 스트레스 과정 모델에 투입되면서 개인적 차원을 넘어선 보다 거시적 차원에서 개인의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확대되었다(Wheaton & Clarke, 2003). 이에 환경의 중요성이 스트레스 과정 모델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되었다. Pearlin(1999) 는 이웃이 스트레스의 원천이 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도 록 돕는 보호 자원이 될 수도 있음을 언급하였다. 지역사회환경이 만드는 스트레스원을 구조적 차원에서 살펴보면서 인간의 삶과 연결시

8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킨 이론이 있다. 대표적으로 사회해체이론이다. 사회해체이론에서 언급하는 해체된 사회 란 주민의 공동 가치 실현이 어려우며 비공식적으로 사회를 통제하고 유지하기가 어려운 상태이다(Sampson et al., 1997).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구조, 인종의 다양성, 인구 이 동성 등 주로 구조적인 지역사회 환경이 인간의 행위와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 다. 실제로 지역사회 구조적 환경과 지역주민의 우울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주거이동 이 빈번한 지역(Aneshensel et al, 2007), 사회경제적 구조가 취약하고 노인인구가 많은 지역(Kubzansky, Subramanian, Kawachi et al., 2005)에서 우울증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Aneshensel, 2010, 재인용).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환경을 보다 ‘장소’의 개념에 천착하여 장소와 개 인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본 이론과 연구들이 있다. 지역사회 개념 안에는 주민 사이의 사회관계적 속성 뿐 아니라 공간적/지리적 속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장소 (place)란 물리적 공간(space)이라는 개념에서 그치지 않고, 무수한 사회적 관계들이 조 합된 속성이 포함되어 있다(도린 매시, 2015).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란 장소 와 그 안에서 벌어지는 사람 사이의 다양한 관계와 융합된 개념이라는 것이다. 즉, 지역 사회는 물리적 영토성과 그 안의 주민 사이의 상호 행위가 혼합된 개념이라는 점과 맥락 이 닿는다. 장소가 인간의 행위와 관련된다는 관점은 일상생활이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일상생 활이론(routine activity theory)에서는 특정 공간, 지역의 물리적 환경이 중요한 변수로 강조된다(Cohen & Felson, 1979). 일상생활이론에서는 인간의 행위가 특정한 공간과 특 정한 시간 속의 교차 속에서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함으로써, 인간 행위는 공간과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방어적 공간 이론(defensible space theory)에서는 물리적 환경 변수가 인간의 부정적 행위, 예를 들어 범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언급하면서, 장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aylor, 1984). 이 이론에 따르면 지역사회 환경이 안전하다고 인지할수록 공간 활용이 증가하면서 주민 간 접촉과 교류가 활발해진다. 지역 내 접촉이 활발해지면 이방인에 대 한 감식이 수월해지고 소속감이 증가하면서 지역 규범에 대한 공유 의식이 증가하기 때문 에 개인의 행동을 규제할 수 있다. 결국 범죄 등의 부정적 행위를 감소시킴으로써 건강한 지역을 유지시킬 수 있다. 1960년대 미국 도시 연구를 통하여 ‘일상을 공유하고 있는 공간에서 마주치는 사람들

Ⅱ. 지역사회환경과 주민조직화 9 사이에 맺어지는 관계가 공동체 특성을 결정한다’고 주장된바 있다(제이콥스, 1961; 신희 주, 2017, 재인용). 사람 사이의 접촉이 활발해지면서 공유하는 지역시설이 생겨남으로 써, 주민들은 삶에 대한 안정감과 소속감을 느끼며 공간에 대한 공동 책임 의식을 갖게 된다. 지역적 수준에서 주민 간 상호 접촉이 빈번해지면 공동 정체감, 상호 존중, 신뢰가 형성된다. 이러한 집합적 특성들은 공동체가 필요로 할 때 사회적 자원이 되어 지역사회 를 지키는 자원이 된다. 이처럼 지역사회 장소가 인간 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 근거하여, 물리적 환경을 직접 측정하면서 이것이 인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연구들이 있다. Taylor 등(1984, 1985)은 특정 지역의 거리를 직접 관찰하여 물리적 환경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지역별 특정 환경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나 지역사회에 대한 믿음(confidence)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 환경이 인간 행위에 간접적이지만 영향을 미치는 것 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지역사회라는 개념을 구성하는 중요한 속성인 물리적 환경이 지 역사회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물리적 환경과 인간의 행위 사이를 연결시키는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주민사이의 사회적 교류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말하자면 물리적 환경이 무질서할수록 주민 간 사회적 교류가 감소하여 부정적 인간 행 위를 촉발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지역사회상태는 물리적 환경과 지역사회 공간 안에서 이루어지는 주민 간 관계에 의해서 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지역사회의 2가지 속성인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관계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연 구에 의하면, 지역사회의 공간적 속성이 주민간의 사회관계적 속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을 깨닫게 해준다. 공유하는 장소가 생기면서 주민 간 관계가 활발해져 주민 간 유대와 신뢰가 쌓이고 결국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지역역량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듯 물리적 속성과 사회적 속성을 지닌 지역사회환경 상태를 추상적 수준에서 머물 지 않고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노력이 이어졌다. 대표적 측정 방식이 ‘동네무질서’라는 개념으로 연결되었다. 동네무질서는 Ross와 Mirowsky(1999)에 의해 정의된 개념으로, 주민이 인지하는 수준에서 동네가 얼마나 무질서한가를 물리적 속 성과 사회적 속성으로 측정하는 개념이다. 질서란 평화롭고, 안전하고, 법이 준수된 상태 이며, 주민 간 행위가 통제되어 질서가 유지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질서와 사회적 통제가 부재한 상태가 동네무질서로 정의된다(Ross and Jang, 2000). 동네무질서를 측정하는 도구는 지역사회에 대한 주민의 주관적 인지를 물리적 측면과

10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사회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측정한다. 물리적 무질서는 지역의 물리적 외향이 불량한 상태 를 의미한다. 사회적 무질서는 사람들의 행위에 대한 사회적 통제가 부족한 상태를 의미 한다. 물리적 무질서는 시끄럽고 불결하며 지저분하고 황폐한 거리, 관리가 안 된 채 버 려진 건물, 파손되거나 낙서가 많은 거리 상태로 측정한다. 사회적 무질서는 할 일없이 사람들이 몰려다니거나, 술이나 마약을 하는 사람들이 있거나, 구걸을 하거나 무언가 위 험한 느낌을 주는 사람들이 있는 상태로 측정한다. 연구에 따르면 학자들이 외부적 시각 에서 객관적으로 측정한 동네무질서 결과와 주민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한 동네무질서 결 과 사이에 보통이상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Perkins & Taylor, 1996; Geis et al., 1998). 동네무질서가 주민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 연구들이 다수 있다. 대 부분의 연구에서 동네가 무질서할수록 주민들 사이에서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에서 부정 적 상태, 삶의 질 저하, 소진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2,482명의 성인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가 무질서하다고 인지할수록 우울증상(Ross, 2000), 무력감과 지 역사회에 대한 불신(Ross et al, 2001), 지역사회에 두려움과 부정적 건강상태(Ross & Mirowsky, 2009) 등이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먼저 749명의 대전광역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동네무질서에 대한 인식이 이 들의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곽현근·노병일, 2003), 동네가 무질서할수록 무력감이 높아지는데, 이 때 주민 간 사회적 유대감이 동네무질서와 무력감 사이의 부정 적 영향을 완화시키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에 거주하는 818명의 중학 생을 대상으로 무력감을 살펴본 결과, 이웃무질서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된 무력감을 키우 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영미, 2010).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 총 692명을 대 상으로 조사한 결과(민소영, 2015), 동네무질서가 지역사회통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응집력이 동네무질서가 지역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지역아동센터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603명을 대상으로 살펴본 연구(박영숙·민소영, 2016)에서는 지역사회 내의 무질서 수준이 높다고 인식할수 록, 업무에서 정서적 탈진이 높고, 일에 대한 개인적 성취감 및 클라이언트의 우호적 관 계 수준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에서 살펴보듯이 동네무질서는 개인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었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역사회환경이 미

Ⅱ. 지역사회환경과 주민조직화 11 치는 영향을 고려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지역사회에서 벌어지는 문제에 대하 여 그 문제를 경험하는 주민의 개인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지역적 차 원에서 개입하는 실천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 주민조직화에서 지역사회환경 변화의 의미 주민조직화의 궁극적 목적은 지역주민의 역량강화를 통하여 지역공동체를 형성하는 것 이다. 주민 스스로가 중심이 되어 자기들의 욕구를 통합, 조정하고 이의 해결을 위해 노 력하는 과정이 주민조직화 과정이라 할 수 있다(곽현근·유현숙, 2005). 주민조직화 과정 은 지역사회개념의 중요한 요소인 지역 환경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기존 연구들 은 동네가 무질서할수록 주민들이 무력감에 빠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곽현근·노병일, 2003; 김영미, 2010; Ross et al, 2001). 동네무질서는 지역사회에서 질서와 사회적 통제가 부재함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수 있 다. 동네가 무질서하다는 것은 주민들이 무질서한 지역사회 환경을 체념하여 받아들이면 서 방임하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이 지역주민의 통제 밖에 놓여 있 음을 의미하면서 이러한 부정적 강화를 지역 주민이 계속 겪게 된다. 동네무질서가 제대 로 다루어지지 않으면서 주민들은 자신의 지역에서 더 많은 문제에 노출되어 자신이 동네 의 무질서를 막을 수 있는 주체가 될 수 없다는 무력감, 즉 자신감 상실에 빠질 수 있다 (Perkins & Taylor, 1996). 바람직하지 않고 통제할 수 없는 지역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 출되면서 지역주민은 자신들이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 역량이 없으며, 바라는 것을 달성 할 수 있는 힘이 없다는 무력감을 학습한다. 결과적으로 주민조직화 과정에 참여하는 것 을 꺼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주민조직화를 실천한다는 것은 지역 환경 변화를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도 시청지기 사례(Montgomery, 1995; 질밸런타인, 2014, 재인용)에서 장소의 변화가 지역 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시청지기란 “선택적인 개입과 개선을 통해 어떤 장소 에서 점진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전략”으로서 “장소가 장소 스스로를 돕도록 만드는” 것 을 의미한다. 지역사회란 일상적으로 장소와 사람을 타인과 공유하는 곳이다. 따라서 이상적 지역사 회를 만들기 위한 주민조직화는 사람뿐만 아니라 물리적 공간인 장소를 함께 고려하여 수 행되어야하는 활동인 것이다.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지역환경 변화를 주요 소재

12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로 진행된 사례는 많다. 국내 총 31개 도시에서 진행된 마을만들기 사업 내용을 종합적으 로 분석한 연구(박현옥, 2008)에 의하면, 주민의 거주 공간 변화가 기본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골목길 따라 화분 배치하기, 넝쿨 올리기, 벽화그리기, 주차장 및 정원 가꾸기, 공공주택의 지하 공간을 문화공간이나 독서실로 활용하기, 유아방 꾸미기, 놀이터 만들기 등의 사업이 진행되었다. 건설교통부가 발표한 ‘살고 싶은 도시만들기’ 사업의 보고서에 따르면(건설교통부․대한주택공사, 2006), 일상적 생활공간의 변화에 초점을 두는 것이 기 본 사업 수행 내용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외관 변화는 단순히 물리적 공간의 변 화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공간을 활용하는 주민들의 변화를 동시에 유발하였다. 주 민참여를 유도하는 주민조직화 활동과 관련되어 있었다. 지역 환경을 의식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주민조직화 과정을 실천한 사례는 미미하지만 몇 몇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영국에서는 마을공동체 재생 정책을 펼치면서 주변 생활 환경을 해결하는 것에서 주민 참여를 유도하여 공동체 만들기를 진행하였다(박선희, 2014). 주택지 주변의 쓰레기 치우기, 낙서 지우기, 폐차와 불법 주·정차된 자동차 정돈, 노후화된 주택개량이라는 마을 변화를 보여주는 사업을 수행하였다. 마을 변화 사업을 단기적이고 가시적 성과를 보여주기 위해서만 수행했던 것은 아니었다. 주민들에게 공 동체가 살아있음을 인식시킴으로써 변화에 대한 기대와 역량을 강화하고 참여를 유도하 여 지역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함이었다. 주민들이 자신들의 참여를 통하여 변화하는 지 역사회를 목격하였고, 이것이 지속적 참여를 유발시켜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 형성이 가능해질 수 있다. 지역환경 변화는 지역주민 간 관계 변화를 유도하였다. 박현옥(2008)은 도시 공간의 디자인 변화를 추구한 마을만들기 사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마을 골목길이나 집 담장, 정원 가꾸기 등의 심미적 변화가 주민 사이의 사회적 교류를 증대시켜 공동체 회복 의 가능성이 나타난다고 언급하였다. 안현찬(2012)은 방치된 후미진 골목길의 한 켠에 정 원을 가꾸면서 사람들이 모여들고 서로 교류하게 되어 동네에 대한 애착과 자긍심이 향상 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Stern & Seifert(2008)는 한발 더 나아가 공간의 변화를 통하여 지역 내 사회적 관계망을 건설하고 나아가 지역사회의 공공선과 규범을 보호하기 위한 사 회적 통제 기능인 집합적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민소영(2012)은 화단 쉼터 가꾸기, 산책로 가꾸고 쓰레기 치우기, 문화공간 가꾸기 등의 마을만들기 활동이 지 역사회 내 유대감, 지역의식, 우호적 이웃관계, 지역규범을 성장시키는 구체적 사례를 보 고하였다.

Ⅱ. 지역사회환경과 주민조직화 13 이렇듯 공간적 변화는 공간에 대한 공적 의식 성장, 사회적 교류 증대, 일탈 행위 통제, 공동체 회복 등 지역사회복지에서 중시하는 실천적 가치를 생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물 리적 환경개선 그 자체가 주민 간 사회적 관계 향상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었다. 가시적 이고 성급한 성과를 위해서 설치된 시설이나 건물이 주민들 사이에서 공유되지 못하여, 방치되고 흉물로 변화하여 오히려 지역 공간에 부정적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것은 공간을 공유하는 주민 사이에서 경험하게 된 물리적 환경 변화가 주민 관계에서 변화를 촉진시키고, 나아가 관계 속에서 지역 규범을 유지시키는 지역사회역량을 강화시키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이다. 사회복지사가 지역사회 환경 변화를 수행한 과정을 이론적으로 정교하게 재해석한 연 구도 수행되었다(최명민 외, 2017). 이 연구에서는 기존 사회복지실천이 지역사회 공간을 생태체계 이론에 기반하여 물리적, 지리적, 고정적 조건으로 인식하고 그 공간 안에서 이 루어지는 인간 행위에만 초점을 둠으로써 공간이 갖는 자율성을 망각하였음을 꼬집었다. Lefebvre의 공간생산이론에 기반하여 현대사회의 공간을 자본논리가 지배하고 억압하지만, 그 안에서 저항과 해방도 가능한 대상이라고 인식하였다(최명민 외, 2017, 재인용). 따라 서 사회복지활동이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질 때에는 공간과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면서, 지 역주민이 일상의 공간에서 어떻게 공간 주권을 회복하고 주체화될 수 있을 것인지를 고민 하고 노력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복지사가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을 수행해야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공간주권을 실현시켰던 사회복지실천 과정 사례를 분 석하였다. 그 결과 점진적 공간 변화 과정에서 주민 참여가 일어나면서 주민 간 교류와 상호유대감, 신뢰감 등이 형성될 수 있었다. 이 사례에서 나타난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다. 첫째, 문제 해결의 초점을 가진 ‘사람’이 아닌 문제가 일어나는 ‘공간’ 변화에 관심을 두 어하며, 공간을 실천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공간적 실천은 수직적 의사결정이 아니라 주민의 합의를 통한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를 따라야한다는 점이다. 셋째, 사회복지사가 공간에 대한 주민의 불만과 걱정을 자연스럽게 털어놓도록 촉진시 키면서 지역 공간에 대한 공동 문제의식을 갖도록 유도한다는 점이다. 넷째, 주민의 일상적 삶과 접근성이 용이한 공간부터 변화시킨다는 점이다.

14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다섯째, 공간 변화를 추구할 때는 주민의 행동이나 생활방식 변화를 촉발시킬 수 있는 일상적 공간을 변화시킨다는 점이다. 여섯째, 공간 변화 계획 추진 시, 공간의 변화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주민에 의한 공동 관리 방법을 처음부터 고려한다는 점이다. 일곱째, 공간 변화를 위해 외부 전문 주체가 참여할 경우 주민과 전문 주체 사이의 지 속적 합의 과정을 만들고, 주민의 자기결정권이 존중할 수 있어야한다는 점이다. 여덟째,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공간을 복지관 ‘내’로 한정 짓지 않고 지역 공간 전체가 프로그램실로 활용 가능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실천한다는 점이다. 아홉째, 변화된 공간에 대해 주민이 지속적으로 자부심을 갖고 기여할 수 있는 방법 (예: 마을해설사로 참여 등)을 모색한다는 점이다. 열번째, 공간 변화 과정에서 소외되고 배재된 구성원이 없는지 세심하게 살피고 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는 점이다. 열한번째, 공간변화는 오랜 시간의 축적과 기다림의 과정을 받아들인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공간 변화에 대한 기관장의 적극적 관심과 지원이 사회복지사의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의 밑바탕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연구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환경 변화가 지역주민의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둘째, 지역사회환경 변화는 단순히 물리적 공간 변화에서 그치지 않고 지역주민의 관계 변화를 가져와 주민 간 유대감과 소속감, 공동체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셋째, 지역사회환경이 지역공동체 건설을 추구하는 주민조직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

Ⅱ. 지역사회환경과 주민조직화 15 과정명 대상 교육내용 시간 주민 조직가 과정 -3년 이상 경력의 활동가 -조직화 과제를 설정하여 조직화 단계에 따라 실천하기 -주민조직화 역사와 사례연구 -주민조직 운영과 활성화 -주민운동 비전탐색 및 현장 지도력 탐색 6개월 (14회) 주민 조직가 기초과정 -주민조직운동을 알고 싶어 하는 현장 활동가 -주민조직화와 관련된 기관 및 단체의 활동가 -주민운동의 역사와 철학 -주민조직화 원칙과 방법 -세상읽기(주민이해, 현장이해, 역사와 정세) -주민조직화 관점으로 현장 재해석 -주민만나기 실천 -주민조직가의 신원과 관점 정리 3개월 (13회) 워크숍 촉진자 과정 -현장 활동가 -워크숍 기본 원리 -워크숍 촉진 12과정 -진행얼개와 워크시트 -촉진자와 참여자의 역할과 자세 -주제별 워크숍 진행 (사업평가, 사업기획, 비전, 교육기획, 문제해결) -워크숍 과제발표 6주 2. 지역사회환경과 주민조직화 교육현황 주민조직화 관련 교육현황은 한국주민운동교육원, 한국사회복지관협회, 한국사회복지 협의회, 경기복지재단 등에서 2017년 실시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 한국주민운동교육원 한국주민운동교육원은 주민의 가능성을 찾고 지역의 변화를 이루기 위해 주민, 주민지 도자, 주민조직가를 교육훈련하고 조직하는 주민운동 교육기관이다. 사회복지관의 주민 조직화 사업 담당자와 시민단체에서 주민운동을 실천하는 활동가를 대상으로 교육을 하 고 있다. 2017년 자체 진행 교육은 5개 과정이나, 주민조직화를 수행하는 사회복지관, 주 민운동 현장, 지역사회조직교육을 실시하는 타 교육기관 등으로부터 교육의뢰를 받아 강 사를 파견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주민운동교육원은 현재 주민조직화 교육에 있어 그 전문 성을 인정받고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다만, 시민단체 중심의 주민운동 측면이 강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표 Ⅱ-1> 한국주민운동교육원 교육과정

16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과정명 대상 교육내용 시간 주민 지도자 과정 -주민 지도자 -주민운동 지도력개발 -주민운동의 역사와 철학 -지역사회 및 주민운동 비전개발 3개월 (13회) 주민 조직운동교육학 강좌 -주민운동 현장 교육에 관심있는 현장지도자/조직가 -주민운동 교육의 배경 -주민운동 교육의 목표 -주민운동 교육 철학 -주민운동교육 기획실천 -민중교육의 성찰 -주민학습의 과제와 실제 8주 자료:한국주민운동교육원 홈페이지 참조 2) 한국사회복지관협회 한국사회복지관협회는 ‘전국 사회복지관의 육성과 균형발전을 기하고 사업수행에 따른 지식, 기술, 정보교류와 시범사업의 개발을 통해 사회복지관 운영의 내실을 기함으로써 저소득층 및 지역사회 주민의 복지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사회복지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보수교육, 특화교육 등의 교육훈련 사업을 수행하 고 있다. 2017년 주민조직화 관련 교육은 복지관의 주민조직화 담당자를 대상으로 지역 복지 활동가 혁신 아카데미(60명),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담당자 양성과정 워크숍(60명) 의 2개 과정을 진행하였다. <표 Ⅱ-2> 한국사회복지관협회 교육과정 과정명 대상 교육내용 시간 지역복지 활동가 혁신 아카데미 -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 담당자 60명 -Fun하지만 꼭 필요한 공동체활동 -마을생태계와 복지의 조화 -지역조직화의 토대, 주민현장 -마을의 희망, 청(소)년! -우리가 함께 만드는 마을 -다른 마을 돌아보기 :안산마을만들기지원센터 1박2일 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 담당자 양성과정 워크숍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담당자 60명 (지역조직화 경력 5년 미만) -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 기능 강화 및 모델 구축 -지역조직화사업 우수사례 벤치마킹 -주민조직화 기법 실습을 통한 모임만들기 -주민조직화 실전 연습(퍼실리테이션 실전연습) 1박2일 자료:한국사회복지관협회 교육안내 자료

Ⅱ. 지역사회환경과 주민조직화 17 3)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사회복지협의회는 사회복지사업법에 의거, 설립된 사회복지 공익법인으로서 민간 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협의조정, 정책개발, 조사연구, 교육훈련, 자원봉사활동의 진흥, 정보화 사업,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사업수행을 통해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증진과 발전 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이다. 교육훈련은 ‘사회복지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사회복지현장이 요구하는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종사자가 실제 업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복지사업(복지서비스)종사자 직무능력향상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2017년 조직화 관 련 교육으로는 전국의 지역사회조직화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조직화사업의 이 해와 운영 실무과정을 개설․운영하였다. <표 Ⅱ-3> 한국사회복지협의회 교육과정 과정명 대상 교육내용 시간 지역사회조직화사업 의 이해와 운영실무 -사회복지사업 종사자 70명 -지역사회조직화 사업의 이해 -지역사회조직화 기획 -지역사회조직화 운영 및 평가 -지역사회조직화 실천가의 자세와 역할 6시간 자료:한국사회복지협의회 홈페이지 참조 4) 경기복지재단 경기복지재단에서는 복지서비스 전문성 및 품질증진을 위한 복지전문 인재양성이라 는 교육목표 하에 다양한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2017년에는 주민조직화 관련 교 육과정으로 경기도 내 사회복지기관의 지역사회 조직화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지역 사회조직화 기본과정, 조직가 양성과정, 사례연구회의 3개 과정을 개설․운영하였다. 기 본과정 이수자에 한 해, 조직가 양성과정 참여가 가능하고 조직가 양성과정 이수자에 한 해 사례연구회 참석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역사회 조직화 수준에 따른 단계적 학습 을 지원하였다.

18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표 Ⅱ-4> 경기복지재단 교육과정 과정명 대상 교육내용 시간 지역사회조직화 기본과정 - 지역사회조직화사업 담당자 및 관심 있는 자 - 총론 : 주민조직화의 이해, 방법과 사례 - 주민만나기 - 도내 지역조직화 사례 공유, 멘토와 함께 미니 토크 - 주민관계 맺기, 주민조직가란 누구인가 18시간 지역사회조직화 조직가양성과정 - 기본과정 이수자 및 조직화 유경험자 (3년이상) - 브릿지 커뮤니케이션 (특강) - 지역사회조직화 경험 공유 - 조직화 방법론 - 조직화 현장확인: 현장방문 - 조직화 전략 세우기 - (실무 워크샵) 조직화 기록하기 22시간 지역사회조직화 사례연구회 - 조직가양성과정 이수 자 중 희망자 - 생생 현장토크 - 질의응답 3시간 자료:경기복지재단 2017년도 교육훈련·연구 종합분석보고서 그 외에 경기도사회복지관협회에서는 2017년 ‘지역사회복지관 3대 기능 성과탐색을 통 한 발전방안 모색’ 교육을 통해 도내 복지관에서 실시하는 지역조직화 성과를 공유하고 토의하는 시간을 총 3개 권역에서 실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주민운동 교육으로 출발한 한국주민운동교육원에서 주민조직 화를 위한 교육활동이 가장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실제 많은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들이 한국주민운동교육원 교육에 참여하여 현장에 돌아가 주민조직화 활동을 수행하고 있기도 하다. 교육내용 역시 주민조직화의 역사와 철학, 주민조직화 실천단계, 실천 스킬 등 주민조직화 활동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측면의 교육이 동시에 다루어지고 있다. 다만, 사회복지현장의 특성이 반영된 사회복지관에서의 주민조직화를 위해 주민조직화 담당자 들이 스스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한국사회복지관협회는 주민조직화 사 례중심의 교육으로 이루어졌고 2개 과정이 각 1회씩 진행되어 경기도 사회복지관 종사자 들의 많은 참여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교육은 주민조직화 업 무를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본과정으로 이 역시 전국을 대상으로 하고 교육과정 진행 횟수도 1회여서 경기도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많은 참여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 다. 경기복지재단에서는 주민조직화에 관심을 가지고 수준별 교육을 진행하였다. 교육내 용 측면에서는 주민조직화의 이해, 방법론, 사례공유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Ⅱ. 지역사회환경과 주민조직화 19 이처럼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주민조직화 교육은 조직화 사업을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 한 절차, 실천 스킬을 포함하고 이에 더해 여러 기관의 사례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 어 있어, 지역을 탐색해보고 직접 주민을 만나 지역의 욕구를 파악하는 등의 실제 조직화 사업 지역에 대한 환경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실습교육은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주 민운동교육원과 경기복지재단은 교육기간 중 교육생이 스스로 실천해 볼 수 있도록 교육 이 설계되어 있으나, 구조화된 체계적인 실습이 아닌 교육생 자발적인 실습이라는 한계가 있다. 주민조직화 담당자가 주민을 직접 만나고 지역사회를 돌아보며 지역환경을 파악하 는 일은 실습을 통한 내재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교육 후에 현장에서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되는 부분이고 이는 주민과의 관계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 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주민조직화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교육생이 자신이 근무하 는 기관의 지역주민을 지속적으로 만나면서 지역사회환경을 파악하는 연습과 피드백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Ⅲ. 지역사회환경 인식과 주민조직화 수행에 관한 설문분석 21 Ⅲ 지역사회환경 인식과 주민조직화 수행에 관한 설문분석 1. 조사설계 본 연구에서는 동네무질서,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수준을 측정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7년 7월 20일부터 8월 18일까지 이루어졌다. 설문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서 경기도 사회복지관협회에 협조요청 공문을 발송하였고, 도내 사회복지관 에 설문 조사지를 팩스 및 이메일을 통해 배포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경기도 내 사회복지관 73개소 중 주민조직화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의 사회복지사로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는 총 121명이었다. 분석이 가능한 대상은 총 100 명으로 이들의 설문응답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관련된 8문항, 동네무질서 12문항, 주 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수준 7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동네무질서는 외부적으로 보여지는 지역의 안전과 위험 수준을 나타낸다. 동네무질서 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Ross와 Mirowsky(1997)가 개발한 척도를 곽현근과 노병일 (2003)이 우리나라 상황에 맞도록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의 하위 개념을 측정하며 총 1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리적 무질서 란 ‘동네의 물리적 환경이나 외관 상태를 측정하는데 얼마나 시끄럽고 더럽고 지저분한지’ 를 묻는 문항이다. 사회적 무질서란 사람들의 행동에 대한 것으로 ‘어슬렁거리는 사람들 의 상태, 범죄나 이웃사이의 갈등, 음주, 안전과 같은 지역 환경’을 묻는 문항이다. 3대 문항(5번, 6번, 11번)이 역채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점수는 ‘매우 그렇다(4점), 대체로 그렇다(3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2점), 전혀 그렇지 않다(1점)’으로 설정하였으며, 점수

22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가 높을수록 동네가 무질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수준은 신재은 외(2016)가 개발한 주민조직화 능력단위별 수행준거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행준거란 능력단위요소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개인이 도달해야 하는 수행의 기준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조직화를 수행하기 위해 개인이 해당 직무를 얼마나 자주 수행하는지를 측정하는 총 74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여 기에서 자주 수행한다는 것은 얼마나 주민조직화를 잘 실천하고 있는가의 질적인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점수는 ‘항상 한다(4점), 자주 한다(3점), 거의 안한다(2점), 전혀 안한다 (1점)’로 구성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수행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표 Ⅲ-1>참조). 설문항목 세부내용 문항 수 일반사항 성별, 연령, 학력, 근무기간, 근무부서, 직위 등 8 동네무질서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12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수준 주민조직화 20개 능력단위요소의 하위요소 74 <표 Ⅲ-1> 설문문항 개요 본 연구의 연구문제와 가설검증을 위해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1.0을 이 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동네무질서,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수준을 파악 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변수들의 측정 안정성을 알아보 기 위해 신뢰도(reliablity) 분석으로 내적합치도인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주요 변수인 동네무질서,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수준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 분석(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동네무질서가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 그리고 동네무질서의 하위 개념인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가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Cronbach' α는 .735~.919까지 분포하여 신뢰 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표 Ⅲ-2> 참조).

Ⅲ. 지역사회환경 인식과 주민조직화 수행에 관한 설문분석 23 변수명 문항수 신뢰도 동네무질서 물리적 무질서 7 .826 사회적 무질서 5 .735 전체 12 .868 주민조직화 활동 주민조직화준비 6 .757 지역탐색 15 .858 주민조직화 범주 설정 9 .903 주민발굴 9 .851 주민조직 결성 9 .884 주민조직 운영(활동) 17 .899 주민조직 유지관리 9 .919 전체 74 .954 <표 Ⅲ-2> 신뢰도 분석결과 2. 설문조사 결과 1) 조사대상자 특성 성별분포를 살펴보면, 여성이 68명(68.0%), 남성은 32명(32.0%)로 여성이 약 2배 이 상 많게 표집되었다. 연령은 30세 이하가 51명(51.0%)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31세~40 세가 39명(39.0%), 41세~50세가 9명(9.0%), 51세 이상이 1명(1.0%) 순으로 나타났다. 학 력은 대부분이 4년제 대학을 졸업하였으며(82명, 82.0%), 이어 석사 이상의 대학원 졸업 자가 15명(15.0%), 2년제 대학은 3명(3.0%) 순으로 분포하였다. 근무부서는 사례관리사 업 부서와 서비스제공사업 부서가 각각 1명(1%)씩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부 서 6명(6.0%)을 제외하고는 대부분(92명, 92.0%)이 주민조직화 사업 부서에서 종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직급은 직무급(담당/대리급)이 64명(64.0%)으로 과반수를 차지하였 으며, 이어 과장․팀장급은 33명(33.0%), 부장․국장급은 1명(1.0%), 기타 2명(2.0%)으로 나 타났다. 사회복지사 근무경력을 살펴보면, 사회복지분야의 총 근무경력은 평균 68.7개월 (5.7년)이었으며, 5년 초과(46명, 46.0%)로 가장 많았다. 이어 3년 초과~5년 이하가 22명

24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22.0%), 1년 초과~3년 이하가 21명(21.0%), 1년 이하가 11명(11.0%) 순이었다. 주민조 직화 업무 근무기간은 28.6개월(2.4년)이었으며, 1년 초과~3년 이하가 42명(42.0%)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1년 이하가 33명(33.0%), 3년 초과~5년 이하가 18명(18.0%), 5년 초 과가 7명(7.0%) 순이었다. 현 복지관에서의 주민조직화 업무 근무기간 역시 1년 초과~3 년 이하가 43명(43.0%)으로 가장 많았고, 1년 이하가 37명(37.0%), 3년 초과~5년 이하 15명(15.0%), 5년 초과가 5명(5.0%) 순이었다. 변수 구분 빈도 백분율(%) 성별 남 32 32.0여 68 68.0 연령 30세 이하 51 51.0 31세~40세 39 39.0 41세~50세 9 9.0 51세 이상 1 1.0 학력 2년제 대학 3 3.0 4년제 대학 82 82.0 대학원 이상 15 15.0 근무부서 사례관리 사업 1 1.0 주민조직화 사업 92 92.0 서비스제공 사업 1 1.0 기타 6 6.0 직급 실무급(담당/대리급) 64 64.0 과장․팀장급 33 33.0 부장․국장급 1 1.0 기타 2 2.0 사회복지분야 근무기간 1년 이하 11 11.0 1년 초과~3년 이하 21 21.0 3년 초과~5년 이하 22 22.0 5년 초과 46 46.0 평균/표준편차(단위:개월) 68.7 / 50.3 주민조직화 업무 근무기간 1년 이하 33 33.0 1년 초과~3년 이하 42 42.0 3년 초과~5년 이하 18 18.0 5년 초과 7 7.0 평균/표준편차(단위:개월) 28.6 / 30.2 현 복지관 주민조직화 업무 근무기관 1년 이하 37 37.0 1년 초과~3년 이하 43 43.0 3년 초과~5년 이하 15 15.0 5년 초과 5 5.0 평균/표준편차(단위:개월) 24.7 / 24.3 <표 Ⅲ-3> 설문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N=100)

Ⅲ. 지역사회환경 인식과 주민조직화 수행에 관한 설문분석 25 2) 주요변수의 기술통계치 측정한 주요변수들의 기술통계치를 살펴보면 <표 Ⅲ-4>와 같다. 동네무질서의 경우에는 평균 2.22점(SD=0.46)이었다. 이 중 물리적 무질서는 평균 2.24점(SD=0.51), 사회적 무질서는 평균 2.18점(SD=0.48)로 나타났다. 위험한 사람의 행동보다는 동네 외관을 더럽고 지저분하게 인식하는 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수준은 전체 평균 2.88점(SD=0.29)이었다. 이를 세부적 으로 살펴보면 주민발굴이 3.17점(SD=0.39)으로 전체 활동 중에 수행빈도가 가장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민조직운영(활동)이 2.95점(SD=0.38점), 주민조직 결성이 2.85점(SD=0.49점), 지역탐색이 2.84점(SD=0.34), 주민조직 유지관리 2.81점 (SD=0.46), 주민조직화 범주 설정 2.76점(SD=0.42점), 주민조직화 준비 2.73점 (SE=0.40) 순으로 나타났다. 변수명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동네 무질서 물리적 무질서 2.24 .51 1 3.57 사회적 무질서 2.18 .48 1 3.40 전체 2.22 .46 1.08 3.33 주민 조직화 활동 주민조직화준비 2.73 .40 2.00 4.00 지역탐색 2.84 .34 2.20 4.00 주민조직화 범주 설정 2.76 .42 2.00 4.00 주민발굴 3.17 .39 2.22 4.00 주민조직 결성 2.85 .49 1.78 4.00 주민조직 운영(활동) 2.95 .38 1.76 4.00 주민조직 유지관리 2.81 .46 1.00 4.00 전체 2.88 .29 2.28 3.78 <표 Ⅲ-4> 주요변수의 기술 통계치

26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1) 동네무질서 인식수준 자신이 근무하는 사회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 대해서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를 조사한 결과(<표 Ⅲ-5>참조), 전체 평균은 2.22점(SD=.46)으로 나타났다. 세부항목별로 살펴보면,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서는 술 취한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 다(2.58)’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사람들은 자신의 집과 아파트를 잘 관리하고 있다(2.45)’,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는 깨끗하다(2.44)’가 그 뒤를 이었다. 역 코딩을 반영하면 집과 아파트가 잘 관리되지 못하며 동네도 지저분하다고 인식하는 편이 었다. 반면, ‘나는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의 이웃들과 문제가 있다(1.70)’가 가장 낮게 나타나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이웃주민과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원만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항목 평균 표준편차 물리적 무질서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는 (보도, 벽 공중시설 등에) 낙서가 많다. 2.00 .75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는 시끄럽고 소음이 많다. 2.22 .70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는 공공기물이 자주 파손된다. 2.20 .68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는 버려진 건물이나 공간이 많다. 2.20 .78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는 깨끗하다. 2.44 .81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사람들은 자신의 집과 아파트를 잘 관리하고 있다. 2.45 .64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서는 사람들끼리 자주 싸운다. 2.17 .73 소계 2.24 .51 사회적 무질서 복지관 근처에 있는 거리에는 너무 많은 사람들이 할 일 없이 어슬렁거린다. 2.30 .70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는 범죄가 많다. 2.03 .54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서는 술 취한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2.58 .89 나는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의 이웃들과 문제가 있다. 1.70 .67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는 안전하다. 2.30 .61 소계 2.18 .48 전체 2.22 .46 <표 Ⅲ-5> 동네무질서 인식 현황 * 역코딩하여 분석한 값

Ⅲ. 지역사회환경 인식과 주민조직화 수행에 관한 설문분석 27 (2)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도 사회복지관에서 주민조직화 담당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주민조직화는 ‘지역 또는 주 민의 욕구와 문제를 주민들 스스로 해결하기 위하여 주민조직을 통해서 주민역량을 향상 하고 지역의 공동체를 강화하는 일’로 정의된다(신재은 외, 2016). 주민조직화 직무는 주민조직화 준비, 지역 탐색, 주민조직화 범주 설정, 주민발굴, 주 민조직 결성, 주민조직 운영(활동), 주민조직 유지관리 총 7개로 이루어져 있다. 주민조직화 사업을 위해 사회복지사가 해당 직무를 얼마나 자주 수행하는지를 분석한 결과(<표 Ⅲ-6>), 주민발굴(3.17), 주민조직 운영(활동)(2.95), 주민조직 결정(2.85), 지 역탐색(2.84), 주민조직 유지관리(2.81), 주민조직화 범주 설정(2.76), 주민조직화 준비 (2.73)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과 비교해보면 주민발굴과 주민조직 운영(활동) 직무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 다. 즉, 실제 지역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민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홍보하고 모집하는 일을 가장 많이 하며, 주민네트워크 형성으로 주민역량강화를 지원하고 활동하는 주민조 직 운영 업무에 주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지역의 일반현황을 조사하고 주민조직화 선행사례를 탐색하는 등의 주민조직 화를 준비하는 업무와 조직화를 위해 지역이나 대상을 설정하는 일은 가장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민조직이 결정된 이후 유지 관리하는 것이 전체 과정 중 평균 이 3번째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주민조직화 사업의 전체 과정에서 주민조직화를 준비 하기 위한 사전작업이나 주민조직화 결성 이후 유지관리보다는 실제 주민들과 함께 조 직을 결성하고 이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업무에 많은 에너지가 쓰임을 알 수 있는 결과 라고 할 수 있다. 각 요인별 세부항목의 평균을 살펴보면, 주민조직화 준비에서는 ‘지역의 일반현황 (2.72)’, ‘주민조직화 선행사례 탐색(2.73)’ 모두가 전체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지역탐 색에서는 ‘자원탐색(3.02)’, ‘토착지도자 파악(2.91)’은 전체 평균보다 높았으나 ‘지역정서 (분위기)파악(2.73)’, ‘지역욕구와 문제파악(2.62)’은 평균보다 낮았다. 주민조직화 범주 설정에서는 ‘활동영역 설정(2.78)’, ‘대상설정(2.76)’, ‘지역설정(2.73)’ 모두 전체 평균보 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민발굴은 ‘관계형성 활동(3.17)’, ‘주민모집(3.16)’이 평균

28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보다 모두 높아 가장 적극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주민조직 결성에서는 ‘주민조직 방향성, 목적 합의(2.90)’은 평균보다 높았으나 ‘주민조직 운영규칙 설정(2.81)’, ‘주민지도력(리더 십) 세우기(2.80)’는 평균보다 낮았다. 주민조직 운영(활동)을 보면, ‘주민역량 강화(3.12)’ 가 가장 높았고, ‘주민모임(2.95)’, ‘지역활동(2.91)’은 평균보다 높았다. 한편, ‘주민교육(2.72)’은 전체 주민조직화 업무수행 수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민조직 유지관리에서는 ‘주민조직 방향성, 목적, 활동점검(2.83)’과 ‘자립 가능성 점검(2.79)’는 모두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낮은 수행수준임을 알 수 있다. 단게 항목 평균 표준편차 순위 주민조직화 준비 지역의 일반현황 2.72 .49 7주민조직화 선행사례 탐색 2.73 .51 소계 2.73 .40 지역탐색 자원탐색 3.02 .41 4 지역욕구와 문제파악 2.62 .53 토착지도자 파악 2.91 .48 지역정서(분위기) 파악 2.73 .47 소계 2.84 .34 주민조직화 범주 설정 지역설정 2.73 .48 6대상설정 2.76 .51활동영역 설정 2.78 .46 소계 2.76 .42 주민발굴 주민모집 3.16 .44 1관계형성 활동 3.17 .43 소계 3.17 .39 주민조직 결성 주민조직 방향성, 목적 합의 2.90 .46 3주민지도력(리더십) 세우기 2.80 .67주민조직 운영규칙 설정 2.81 .72 소계 2.85 .49 주민조직 운영(활동) 주민교육(활동방법) 2.72 .57 2 주민역량 강화 3.12 .47 지역활동 2.91 .48 주민모임 2.95 .55 소계 2.95 .38 주민조직 유지관리 주민조직 방향성, 목적, 활동점검 2.83 .47 5자립가능성 점검 2.79 .52 소계 2.81 .46 전체 2.88 .29 <표 Ⅲ-6>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도

Ⅲ. 지역사회환경 인식과 주민조직화 수행에 관한 설문분석 29 □ 주민조직화 준비 주민조직화 준비란 ‘지역의 일반현황을 조사하고 주민조직화 선행사례를 탐색하여 주 민조직화를 준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결과, 주민조직화 준비는 2.73점(SD=.40)으로 나타났고, 지역의 일반현황 중 사회 환경 파악하기(2.87)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지역조직화 선행사례 탐색 중 ‘기관 내 기 존 조직화 선행사례 조사하기(2.7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사무소 등 행정통계를 활용하여 인구구성의 현황 파악하기(2.57)’가 전체 응답 중 가장 낮게 나타나 주민조직화 준비 과정에서 지역 주민의 특성 파악이 미약한 것을 알 수 있다. □ 지역탐색 지역탐색이란 ‘지역 주민의 욕구와 문제를 파악하며 지역 내 인적, 물적 자원을 탐색하 고 지역 정서(분위기)를 탐색하는 것’을 말한다. 지역탐색 분석결과, 전체 평균은 2.84점(SD=.34)으로 나타났으며, 자원탐색(3.02), 토착 지도자 파악(2.91), 지역정서(분위기) 파악(2.73), 지역 욕구와 문제파악(2.62) 순으 로 나타났다. 각 세부 문항별로 살펴보면, 자원탐색 중 ‘지역의 인적 자원 파악하기(3.14)’가 전체 응 답자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지역 내 인적, 물적 자원 사이의 네트워크 파악하기 (3.04)’, ‘주요 정보 제공자 및 제종기관을 통해 자원 파악하기(3.03)’가 다음으로 높았다. 한편, 지역정서(분위기)파악 중 ‘지역사회의 역사 파악하기(2.54)’와 지역 욕구와 문제 파악하기 중 ‘지역사회욕구와 문제에 대한 실패조사 하기(2.54)’가 전체 문항 중에서 평균 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 주민발굴 주민발굴은 ‘지역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민을 다양한 방법으로 홍보하여 모집하 고, 주민-주민 간, 주민-사회복지사 간에 원만한 파트너십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담당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주민발굴 분석결과, 전체 평균 은 3.17점(SD=.39)이며 관계형성 활동(3.17), 주민모집(3.16)이 모두 높은 수행빈도를

30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보였다. 각 세부 문항별로 살펴보면, 주민모집 중 ‘기존 조직주민에 참여 요청하기(3.32)’가 가 장 평균이 높았으며, 관계형성 활동 중 ‘주민-사회복지사 간 파트너 관계 형성하기(3.25)’ 가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주민모집 중 ‘주민 지도자를 통해 참여주민 모집하기(3.06)’, ‘기존 토착 주민조 직에 참여하여 모집하기(3.07)’는 상대적으로 수행빈도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민 지도자나 토착 주민조직보다는 기 조직된 주민조직에 참여를 요청하거나 새롭 게 홍보하여 모집하는 것을 더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주민조직 결성 주민조직 결성은 ‘주민조직의 방향과 목적을 합의하고 주민조직을 이끌어갈 주민 지도 력을 구축하며 주민조직의 운영규칙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담당 사회복지가 수행하는 주민조직 결성 분석 결과, 전체 평균 은 2.85점(SD=.49)로 나타났다. 하위 항목별로는 주민조직 방향성, 목적 합의(2.90), 주민조직 운영규칙 설정(2.81), 주 민 지도력(리더십) 세우기(2.80)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 문항별로 살펴보면, 주민조직 방향성, 목적합의 중 ‘주민활동의 우선순위를 합의 하고 지역주민과 함께 활동계획 수립하기(2.92)’와 ‘지역 주민 자신들이 주민활동의 필요 성 인식하기(2.92)’가 동일하게 가장 높은 평균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주민조직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지역문제 공유하기(2.91)’, ‘지역 주민 스스로 지역의 문제 파악하기(2.85)’가 평균을 상회하거나 평균과 동일하여 주민조직 방 향성, 목적합의 과정은 전반적으로 수행빈도가 모두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주민조직 운영(활동) 주민조직 운영(활동)이란 ‘주민교육을 실시하고 주민 간 네트워크 형성과 주민주도 활 동을 통하여 주민역량 강화를 지원하며 지역활동과 민주적 주민모임을 촉진하는 것’을 의 미한다. 분석결과, 주민조직 운영의 전체 평균은 2.95점(SD=.38)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항목별 로는 주민역량 강화(3.12), 주민모임(2.95), 지역활동(2.91), 주민 교육(활동방법)(2.72) 순이었다.

Ⅲ. 지역사회환경 인식과 주민조직화 수행에 관한 설문분석 31 세부 문항별로 살펴보면, 주민역량강화 중 ‘주민들의 참여 촉진하기(3.24)’가 가장 높은 평균을 보였고, ‘참여주민들 사이의 친밀감과 네트워크 형성하기(3.15)’, ‘주민과 사회복 지사의 수평적 파트너십을 통하여 주민의 주도성 확보하기(3.12)’, ‘주민들의 자치활동 강 화하기(3.10)’, ‘활동거점을 마련하고 행동적 지원 제공하기(2.98)’가 모두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 주민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복지사들의 노력이 주민조직 운영 과정 중에서도 가장 주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주요변수간의 상관관계 <표 Ⅲ-7>은 동네무질서가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회귀 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회귀분석은 회귀계수를 이용해 특정 독립변수가 다른 모든 독립변수의 값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종속변수에 미치는 독자적인 영향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독립변수들 간에 매우 강한 선형관계, 즉 상관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독립변수가 종속 변수에 미치는 독자적인 영향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김두섭․강남준, 2000). 이때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성이 있는 것을 다중공선성이라한다. 일반적으로 변수들 간의 상 관계수가 .80이하이면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Gujarati & Poter, 2008). 본 연구에서는 분석에 포함된 전체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80을 상회하는 변 수가 없었다. 다만, 동네무질서 전체와 각 하위요인인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의 상관관계가 각각 .944, .874로 나타났고,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수준 전체와 주민조직운영(활 동)의 상관관계가 .826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전체 변수와 하위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므로 분석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 포함된 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 하였다.

32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구 분 동 네 무질 서 주민 조 직화 업 무단 계 별 수 행 수준 전 체 물리 적 무질 서 사회 적 무질 서 전체 주 민조 직 화 준 비 지 역탐 색 주 민 조직 화 범주 설 정 주 민 발굴 주 민조 직 결성 주민 조 직 운 영 (활 동 ) 주 민 조직 유 지 관리 동네 무 질 서 전 체 1 물 리적 무 질서 .94 4* * 1 사회 적 무질 서 .87 4* * .66 5* * 1 주민 조직 화 업무 단계 별 수행 수준 전체 -.2 78 ** -.2 80 ** -.2 16* 1 주민 조직 화 준비 -.2 01 * -.1 57 -.2 23 * .61 1** 1 지역 탐색 -.2 75 ** -.2 52 * -.2 53 * .68 8* * .55 4* * 1 주민 조직 화 범주 설정 -.0 93 -.0 59 -.1 23 .67 1** .46 6* * .66 3* * 1 주민 발굴 -.1 88 -.1 92 -.1 42 .57 4* * .23 4* .25 3* .13 0 1 주민 조직 결성 -.2 68 ** -.2 79 ** -.1 95 .72 4* * .30 5* * .33 2* * .26 3* * .38 6* * 1 주민 조직 운영 (활 동) -.1 74 -.2 13* -.0 81 .82 6* * .35 7* * .30 8* * .38 5* * .55 4* * .57 1** 1 주민 조직 유지 관리 -.1 65 -.1 87 -.0 99 .75 6* * .35 6* * .31 5* * .44 6* * .25 2* .60 2* * .64 8* * 1 <표 Ⅲ -7 > 변 수 간 의 상 관 관 계 (N =1 00 ) *p <.0 5, ** p< .01 , * ** p< .00 1

Ⅲ. 지역사회환경 인식과 주민조직화 수행에 관한 설문분석 33 4) 동네무질서가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미치는 영향 주민조직화 총 경력이 몇 년을 기점으로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 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집단별 평균 차이 분석 결과 주민조직화 총 경력이 3년을 초과한 집단이 3년 이하인 집단에 비해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Ⅲ-8>). 항목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 주민조직화 총 경력 3년 이하 75 75.0% 2.84 .246 -2.311* 3년 초과 25 25.0% 3.02 .359 <표 Ⅲ-8> 주민조직화 경력에 따른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의 평균 비교 *p<.05, **p<.01, ***p<.001 <표 Ⅲ-9>은 동네무질서가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이다. 먼저, 동네무질서가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동네 무질서의 하위 요인인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가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각각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모형의 적합도 검정결과 결정계수(R²)가 .182로 동네무질서가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대해 설명하는 정도는 18.2%임을 알 수 있다. 첫째, 독립변수인 동네무질서는 종속변수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나(β=-.305, p=.003) 동네가 무질서하다고 인식할수록 주민조직화 수 행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네무질서의 하위요인 중 물리적 무질서가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미치는 영향 을 살펴보았다. 모형의 적합도 검정결과 결정계수(R²)는 .181로 나타났으며(p<.01), 이는 물리적 무질서가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대해 설명하는 정도가 18.1%라는 것을 알 수 있 다. 동네무질서 수준이 주민조직화 수행 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298, p=.003). 즉,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 낙서가 많고, 버려진 건물이나 공간이 많 은 등의 물리적으로 무질서하다고 인식할수록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이 낮아지는 것이다. 셋째, 동네무질서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무질서가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미치는 영향

34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을 살펴보았다. 결정계수(R²)는 .149(p<.01),로 사회적 무질서가 주민조직화에 대하여 설 명하는 정도는 14.9%임을 알 수 있다. 사회적 무질서가 p<.05수준에서 주민조직화 수행 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240, p=.022). 즉,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 범죄가 많고, 동네 이웃들과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는 사회적 무질서가 높을수록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 결과에서 지역사회환경이 주민조직화 수행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제변수 중에는 주민조직화 총 경력이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Ⅲ. 지역사회환경 인식과 주민조직화 수행에 관한 설문분석 35 구분 주 민 조 직화 수 행수 준 구 분 주 민 조 직화 수 행수 준 구분 주 민 조 직화 수 행수 준 B( S.E .) β t(p ) B( S.E .) β t(p ) B( S.E .) β t(p ) 통 제 변 수 성별 .03 1 (.0 60 ) .05 1 .52 1 (.6 04 ) 통 제 변 수 성 별 .01 7 (.0 60 ) .02 7 .27 8 (.7 82 ) 통제 변수 성 별 .03 7 (.0 62 ) .06 0 .59 1 (.5 56 ) 연령 -.0 14 (.0 53 ) -.0 35 -.2 71 (.7 87 ) 연 령 -.0 13 (.0 53 ) -.0 32 -.2 52 (.8 01 ) 연 령 .00 0 (.0 53 ) .00 1 .00 8 (.9 94 ) 학력 -.1 31 (.0 72 ) -.1 86 -1 .82 1 (.0 72 ) 학 력 -.1 27 (.0 72 ) -.1 81 -1 .77 4 (.0 79 ) 학 력 -.1 32 (.0 73 ) -.1 88 -1 .80 1 (.0 75 ) 주민 조 직 화 총 경 력 .00 3 (.0 01) .27 2 2.4 55 * (.0 16) 주 민 조 직화 총 경 력 .00 3 (.0 01 ) .26 6 2.4 04 * (.0 18) 주 민 조 직 화 총 경 력 .00 3 (.0 01 ) .26 3 2.3 23 * (.0 22 ) 직위 .04 9 (.0 55 ) .10 7 .90 3 (.3 69 ) 직 위 .05 4 (.0 55 ) .11 7 .98 6 (.3 26 ) 직 위 .04 2 (.0 56 ) .09 1 .75 8 (. 4 50 ) 독 립 변 수 동네 무 질 서 -.1 92 (.0 63 ) -.3 05 -3 .05 7* * (.0 03 ) 독 립 변 수 물 리적 무 질서 -.1 68 (.0 55 ) -.2 98 -3. 045 ** (.0 03 ) 독립 변수 사 회 적 무 질 서 -.1 42 (.0 61) -.2 40 -2 .33 5* (.0 22 ) R² / F .18 2 / 3 .44 0* * R² / F .18 1 / 3 .42 5* * R² / F .14 9 / 2 .71 9* <표 Ⅲ -9 > 동 네 무 질 서 가 주 민 조 직 화 수 행 수 준 에 미 치 는 영 향 에 대 한 분 석 결 과 *p <.0 5, ** p< .01 , * ** p< .00 1

36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3. 소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관이 위치한 동네무질서에 대해 파악한 결과, 동네무질서 인식 정도는 2.22점(4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사회적 무질서(2.18점) 보다 물리적 무질서(2.24점)를 더 크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은 ‘복지관에 위치한 동네에서는 술 취한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가 2.58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차지하였다. 둘째,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수준은 주민발굴(3.17점)-주민조직 운영(활동)(2.95 점)-주민조직 결성(2.85점)-지역탐색(2.84점)-주민조직 유지관리(2.81점)-주민조직화 범주 설정(2.76점)-주민조직화 준비(2.73점)로 나타났다. 이로써 업무단계에서 1단계인 주민조직화 준비 전체적으로 미약함을 알 수 있다. 주민조직화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각 단계별로 많은 노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주민발굴과 주민조직화를 위한 교육이나 주 민조직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안정적인 주민조직을 이끌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과 주민조직에 대한 가치를 충분히 공유하고, 활동 지역과 지 역의 욕구 및 문제파악을 위한 사전 작업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사가 동네가 무질서하다고 인식할수록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 요인인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 모두 주민조직화 수 행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민조직화 수행을 잘 하기 위 해서는 지역사회 환경에 대해 기관이나 개인적 차원에서 다각적인 관심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주민조직화 총 경력은 3년을 기점으로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유 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민조직화 교육 시 교육대상을 3년 이하와 3년 초과를 기준으로 분리하여 모집하고, 경력에 따른 차별화된 커리큘럼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Ⅳ.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37 Ⅳ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1.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교육방향 앞 장에서 지역사회환경과 주민조직화의 관계와 의미를 살펴본 결과, 지역사회환경 변 화는 단순히 물리적 공간변화에서 그치지 않고 지역주민의 관계변화를 가져와 주민 간 유 대감과 소속감, 공동체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지역주민의 삶을 긍정적으 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역사회환경이 지역공동체 건설을 추구하는 주민조직화사업의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장소’의 변화를 매개로 한 주민조직화를 통해 지역사회역량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지역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주민조직화 사업을 하는 사회복지사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에서 는 동네환경이 무질서하다고 인식할수록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 나, 주민조직화 수행을 잘 하기 위해서는 지역 내 주민뿐만 아니라 지역환경이라는 물리 적 자원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이 병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주민조직화가 주민, 사람에 초점을 두었다면 다양한 권력이 작동하는 사 회적 공간이자 일상적인 체험이 펼쳐지는 구체적인 삶의 공간인 지역사회환경, 즉 ‘장소’ 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사회복지사가 지역주민과 더불어 일상의 공간에서 공간적인 상상력을 발휘하여 주민들이 차이를 존중받으며 참여하고 포용과 환 대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하는 지역복지실천 활동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장소를 매개로 한 지역복지실천, 사회복지사가 촉진자로서 지원하며 주민에 의한 생활공간의 변 화과정은 자율과 합의, 협력, 우정 등 공간의 공공성 확보는 물론 나아가 지역공동체 건 설을 구현하게 될 것이다. 이에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즉, 사회복지사가 지역사회환경이라는 물리적 자 원을 사정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관점과 실천적 기술을 익히기 위한 교육내용과 교육운영

38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전략을 제시하였다. 다만, 아래 제시하는 교육내용은 주민조직화 활동과정과 맥을 함께 한다는 것을 알려둔다. 1) 지역요인을 고려한 주민조직화 교육내용 (1) 주민조직가로서의 ‘나’ 이해 단계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사회복지사가 주민조직화에 대해 어떤 관점과 신념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역할에 대한 이해는 어느 정도인지는 지역복 지실천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주민조직화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주민조직가로서의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다. 물론 주민조직화 사 업을 하는 과정 중에도 꾸준히 성찰할 필요가 있다. 주민조직가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명 확히 하기 위하여 환경수준 – 행동수준 – 능력수준 – 가치관(신념)수준 – 정체성수준 - 영 성수준의 각 단계별로 자신을 탐색하는시간을 가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림 Ⅳ-1> 신경논리적 6단계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주민조직가로서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여 해 답을 찾아보는 교육으로 진행된다. 주요 교육내용은 나는 어떤 환경(기관, 주민조직)에 있는가?, 기관(주민조직) 안에서 나의 역할은 무엇인가?, 어떻게 능력을 발휘하고 있는가 (어떤 능력이 필요한가)?, 왜(어떤 신념을 가지고) 그것을 하고 있는가?, 그 역할을 하고 있는 나는 누구인가?, 나는 누구(무엇)를 위하여 그것을 하는가? 가 된다.

Ⅳ.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39 (2) 지역사회의 환경적 요인 탐색 단계 지역복지실천의 핵심은 지역사회 전체를 고객으로 보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사회를 이 해하지 못하고 몇몇 주민들만 상대하면 지역복지실천이라고 보기 어렵다. 특정 지역에서 지역복지실천을 한다면 최소한 그 지역의 기본적인 물리적 환경은 충분히 파악하고 있어 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처음 시작은 그 지역사회환경을 둘러보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해당지역의 아파트와 주택은 어떻게 분포되어 있나, 주택상태는 어떠한가, 사람들 이 많이 모이는 곳은 어디인가, 시장은 가까운가, 교회나 사찰은 어디에 위치하고 있나, 학교는 어디에 있는가, 동네의 공원은 어디에 있는가, 가로등은 어떤 상태인가 등등에 대 해 눈으로 보고 충분히 익혀두어야 한다. 이것은 지역에 대한 이해나 민감성을 갖게 하는 것으로 주민조직화 담당자에게 있어 기본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지역 속으로 들어가 돌아다니며 동네환경을 탐색하고, 주민을 만나고, 주민에게 동네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자신이 방문한 장소, 만난 주민과의 이야기를 기록으로 남긴다. 사 회복지사는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일하는 사람이다. 사람을 대상으로 일하는 의사가 ‘사람’ 에 대해 열심히 공부하듯, 사회복지사는 ‘지역’을 공부해야 한다. 실천현장에서 이러한 활동은 조직화사업 추진 기간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할 부분이며, 전체 사업기간의 반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 는 만큼 이전과 달리 보이게 되며, 주민조직가의 다양한 활동영역을 발굴할 수 있기 때문 이다. 이때에는 지역을 선택하여 일정한 주기(예, 주 3회 지역 둘러보기)와 시간을 정해서 혹은 수시로 지역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며, 지역사회환경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을 만나 주민의 처지와 특성도 함께 파악할 수 있다. 이 단계를 잘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교육은 지역의 환경요인과 인간행동의 이해를 통 한 공간감수성 키우기, 지역을 알기위한 지역조사방법 및 자료수집․분석기술, 자원파악기 술 등이 포함될 것이다. 그리고 지역환경 조사를 위한 기초기술을 습득한 후 실제 동네를 돌아보고 지역지도를 그리면서 지역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 한다. 물론 이 단계에서 부터 지역주민과 함께 동네를 탐방하면서 지역환경을 조사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40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3) 동네환경에 대한 지역주민 욕구파악 단계 지역사회의 환경을 탐색하면서 사회복지사는 지역주민들의 태도나 관심사, 가치관 그 리고 자기에 대한 표현방식 등을 알아가야 한다. 이것은 접촉을 용이하게 하고 주민들에 게 사회복지사의 존재를 알리게 되는 과정이 된다. 이를 위해서 사회복지사는 적당한 시 간에 사람들과 만나 얘기를 나누거나, 주민들의 언어로 말하는 등 그들에게 너무 낯설지 않은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추후 지역사회환경에 초점을 둔 조직화사업 을 진행함에 있어서 주민참여를 이끌어내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한편 주민들과 접촉하는 자세는 사정한다는 자세보다는 주민들의 삶을 이해하고 관심 사를 파악하며 협조적 관계를 맺는다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따라서 이 단계와 관련한 교육은 주민과 관계를 맺으면서 지역환경을 알기 위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구체적인 교육내용은 주민의 처지와 특성 파악, 동네환경에 관한 욕구와 바 람 및 주민관계 파악, 주민과 접촉하는 방법, 주민만나는 과정에서의 바람직한 자세 등이 포함될 것이다. 위의 (2), (3) 단계는 설문조사 결과에서 사회복지사들이 수행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지역사회환경에 관점을 둔 조직화사업에 있어서는 이 두 단계의 과정이 매우 중요함 을 강조하고자 한다. (4) 주민조직화실천 대상으로서 공간 인식 단계 사회복지사들은 지역사회환경의 변화를 모색하는 관점으로 틈틈이 동네를 다니면서 동 네에서 어떤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지, 그 문제해결을 위해 어떤 사업을 해 볼 것인지를 탐색하는 시간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지역사회의 환경을 파악하고 주민만나기를 하는 과 정에서 음주, 도박, 싸움으로 뒤엉킨 공간, 쓰레기가 방치된 공간, 음침하여 기피하는 공 간 등 무질서한 동네의 물리적 환경이 주민조직화의 한 영역으로 다가오게 된다. 기존에 익숙한 공간과 환경을 조금은 불편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문제를 발견하는 것이다. 여기에 서 중요한 것은 공간감수성을 통해 마을에서 벌어지는 문제를 공간의 문제로 인식하는 것 이다. 사람들은 공간을 통해 사회성을 획득하고 사회경제적으로나 도덕적으로 얽히게 되 므로 인간관계의 해체, 소외, 도덕성의 상실의 문제는 공간의 문제로 해석할 부분이 있다 (신지은, 2012). 한편 주민들이나 방문자 모두에게 무질서한 환경은 해당 지역사회를 방

Ⅳ.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41 임하고 있다는 상징이며 공식적‧비공식적 통제의 기반이 무너져 있다는 것을 상징하는 것 이다(곽현근 외, 2005).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기존의 방식은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에게 개입을 하였다면, 사고의 전환을 통해 사람들이 머무는 공간의 변화를 모색하는 관점을 적용해 보는 것이 다. 즉 동네에서 벌어지는 문제를 공간감수성을 발휘하여 공간의 문제로 인식하고, 개인 을 변화시킬 것인가 아니면 동네를 변화시킬 것인가에서 후자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 또 다른 핵심은 사회복지사가 주민이나 동네를 변화시킬 것인가 아니면 주민이 동네 를 변화시킬 것인가이다. 따라서 주민조직화실천 대상으로서 공간을 인식하는 단계에서 필요한 교육내용으로는 공간재생 사례 탐구를 통한 공간감수성 키우기, 앞서의 지역알기와 주민만나기의 과정을 통해서 이슈 찾기와 대안 마련하기 등이 해당될 것이다. 특히 개략적인 실천계획의 수립, 즉 조직화 밑그림을 그릴 때 ‘장소’의 변화 관점에서 작성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5) 주민을 만나 공동의 인식 단계 무질서한 동네환경의 문제를 공간 차원에서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공감과 참 여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단순히 공간만 바꾸는 일이라면 일방적으로 물리적 환경의 변 화를 주는 것으로 충분하나 동네환경은 오랜 세월동안 주민들의 생활이 녹아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지역주민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단계 에서 핵심은 사회복지사가 주민이나 동네의 변화를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주민이 동네를 변화시키는 중심으로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단계가 잘 진행되려면 앞서의 단계, 즉 사회복지사가 지역사회환경을 충분히 보고 듣고 느끼는 탐색의 과정, 주 민을 만나면서 주민의 삶을 이해하는 과정 등 지역 속으로 들어가는 지역알기의 과정이 충분히 선행되어야 한다. 이 단계는 지역주민 알아가기 단계에서 발견된 잠재적 리더를 중심으로 모임을 만드는 것이다. 지역사회환경에 관심이 많고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주민을 중심으로 예비 모임을 구성하는 것이 조직화에 도움이 된다. 예비모임에서는 참여한 사람들이 지역사회 환경의 현안문제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을 하고 의제를 잠정적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이때 지역사회환경의 변화는 의사결정이 수직적 방식이 아닌 주민들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져 야 한다. 따라서 주민들 스스로 동네의 물리적 환경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의지를 모아가는

42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처음부터 여의치 않다면 사회복지사가 이 과정을 촉진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촉진과정은 사회복지사가 먼저 문제와 대안을 설정하고 주민을 설득하 는 방식이 아니라 시작하기 전부터 주민들의 의견을 구하며 밑에서부터 공감대를 형성해 가는 과정을 거쳐 전개해 나아간다. 또한 이 단계는 전체모임을 계획하는 것이다. 전체모임을 위해 지역주민을 만나고 참여 시키는 방안, 전체모임의 진행계획, 예비모임 참여자들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분담하는 것 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주민지도력을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주요 교육내용 은 잠재적 리더를 중심으로 한 예비모임 만들기, 주민모임에서 물리적 환경변화에 관한 이슈 토론법, 전체모임 계획 수립방법 등을 다루게 된다. (6) 주민참여와 주도의 고정적 이미지를 탈피한 차이 공간 만드는 단계 지역의 환경 변화를 위한 지역복지실천은 기존 공간의 고정적 이미지를 다른 방식으로 욕망하고 표현함으로써 이상적 장소로 변형시키는 ‘공간적 상상력’이 요구되는데, 이는 공간변화의 출발점이다(양영자 역, 2011). 주민조직과 사회복지사, 또는 전문가 지원을 활용하여 함께 고정된 이미지의 공간이 아니라 동네와 어울리는 공간으로 상상하고 그 상 상을 경험적으로 실현하는 과정이 이 단계이다. 다시 말하면, 이 단계에서는 동네환경(공간) 문제에 대한 공감대를 주민들과 사회복지 사가 확인하고, 어떤 방식으로 ‘우리들’의 공간으로 거듭나게 할 것인가를 논의하고 구체 적인 실천으로 옮긴다. 긴 시간동안 주민들의 한숨과 비난의 대상이자 결코 변화되지 않 는 공간이었으나, 지역주민들과 사회복지사는 어떻게 하면 ‘이 공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 의기투합하고 힘이 만들어지게 된다. 즉, 공동 공간에 대한 문제의식이 공유되면 서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공동체가 형성된다. 조직적인 힘이 필요한 시점인 것이다. 따라서 이 과정은 잠재적 리더 즉 예비모임에 나왔던 사람들이 주체가 되어 사람들을 모 아 전체모임을 갖는 것이다. 이때는 주민모임 형성과정에서 주축이 될 만한 적임자를 찾 고 동기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평소 주민에 대한 이해나 소통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 이다. 그리고 주민모임에서 물리적 공간변화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을 결정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지역알기를 통해 발견한 주요 과제와 잠재적 리더의 견해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 도록 회의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동네환경(공간)을 개선하고자 하는

Ⅳ.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43 공동체 조직을 촉진하는 일은 주민들과 일상을 함께 하며 이들을 파악하고 있는 사회복지 사들이 잘 할 수 있고 해야 할 역할이다. 그러나 사회복지사는 주민모임의 리더가 아니라 모임을 제안하고 주민들과 동등한 참여자로 활동하면서 필요시 후원자, 촉진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 주민조직에 대한 참여는 주민들 사이의 일상적 교류나 친밀한 관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웃과의 꾸미지 않은 일상적인 접촉을 통한 느슨한 유대의 발전과 유지를 위해서는 동네를 단위로 한 문화적・오락적 행사나 프로그램(예, 주민밥상 데이, 삼겹살 데이, 동네영화감상 데이 등)을 통해 주민들 사이의 접촉의 기회를 늘리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다. 한편 지역사회의 무질서한 환경(공간)의 변화를 위한 실천은 주민들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고, 따라서 주민들을 리드할 수 있는 지도력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주민조직 지도력의 핵심은 ‘민주적인 지도력’이라고 할 수 있다(유동철, 2012). 다시 말하면, ‘주민 이 스스로 행동하게하고, 스스로 결정하고 참여하게 하며, 주민들의 생각을 모으고 스스 로 아이디어를 발휘하게 하는’ 지도력을 개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주민을 모으고 동기부여하며, 주민행동으로 이끄는 내용의 교육 이 필요하다. 주요 교육내용은 주민 모으기를 위한 주민 모으는 방법, 주민 간 접촉기회 늘리는 기술, 그리고 주민행동하기를 위한 물리적 환경변화의 실행계획 수립과 실행, 주 민모임 회의 촉진법, 주민지도력 개발, 자원발굴 및 연계 등이 중심이 될 것이다. (7) 주민조직 독립 및 유지 단계 지역주민 스스로 ‘우리 문제’라고 인식한 공동 물리적 환경(공간)을 바꾸기 위해 자주 만나 대화하고, 서로 갈등을 빚기도 하나 이를 통해 공간변화라는 성과를 경험하면서 지 역주민들의 관계가 조금씩 달라진다. 서로 모르고 지냈던 주민들이 교류하고 상호유대감 을 경험하며 신뢰를 쌓아가게 된다. 공간의 변화를 모색하는 과정을 통해 응집력도 높아 지고 공동체 문화가 형성되는 것이다. 만약 이 변화가 외부의 힘으로 단번에 바뀐다면 상 호연대와 성취감을 갖기 어려울 것이다. 이는 동네환경(공간)을 그 대상이자 매개로 하여 지역주민과 사회복지사가 함께 변화를 이끌어낸 체험들이 축적되어 가능한 일일 것이다. 이렇게 지역주민들이 만들어 낸 작은 성공경험들이 쌓여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는 발 판이 된다. 무질서한 동네환경의 고정적 이미지를 탈피하여 참여적이며 주체적으로 아름

44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다운 공간을 만든 성공경험은 변화된 공간을 계속 주민들 자치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게 될 개연성을 높인다. 왜냐하면 지역주민들의 고민과 손길이 쌓여 이뤄낸 변화의 경험은 주민에게 만족과 자부심을 가지게 하고, ‘우정과 환대’가 있는 사람대접을 받을 수 있는 장소로 변화하였기 때문이다(김현경, 2013). 즉, 사회복지사들의 개입을 통해 지역주민이 지역환경(공간) 변화의 주체로 자리매김하면서 집단소속감과 자기정체성을 새롭게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결국 사람이 공간을 바꿀 때 그의 본성도 바뀐다(류의근 역, 2002)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사회복지사는 주민조직이 스스로 활동을 유지하고 확장해 갈 수 있도록 주 민조직의 강점을 지지하는 가능자, 참여자의 조직과정을 지원하고 객관적 관찰자로서 행 동하는 촉진자, 주민들의 활동을 중재, 조정, 통합하는 조정자로써의 역할을 해 나가야 한다. 물론 주민조직의 성장에 발맞추어 이 역할들을 축소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주민조직 독립과 유지를 위하여 주민조직 지속가능성 점검, 주민 조직의 가능자, 촉진자, 조정자로서의 역할 등이 주요 교육내용이 될 것이다. 2) 교수설계 및 교육운영 전략 앞의 교육과정 목적과 교육내용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운영 전략은 ‘업무전이’를 목표로 운영하고자 한다. 첫째, 현장중심의 내용설계이다. 주민조직화 업무의 특성을 반영하고, 지역사회 환경을 매개로 한 주민조직화의 실제적인 사례와 현장성을 강화한 교육내용을 설계하는 것이다. 둘째, 경험중심 학습이다. 인간의 의식은 행동과 성찰을 반복하면서 성장한다. 즉, 행 동의 경험이 축적되면서 성찰의 깊이가 더해진다. 따라서 교수방식은 행동과 성찰이 동시 에 일어나도록 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직접 말하고, 토론하고, 작업하고, 지역사회로 들 어가 실습하는 다양한 체험과정을 적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로 바로 사용가능한 몸으 로 체득하는 교육훈련에 더 방점을 두어 내재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셋째, 현장성이 강조된 지역사회 속에서의 학습이다. 동네환경의 변화를 모색하는 관점으로 주민조직화사업을 하려면 지역 속에서의 직접 경험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교 육생들을 2~3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 타겟 지역을 선정, 동네환경에 초점을 두고 주민조직화 준비와 지역탐색 단계를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것이다. 공동실습 방식으로 함으로써 피상적 학습을 탈피하게 되고, 현장과제를 발굴하여 도전하도록 안내도 가능

Ⅳ.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45 하게 된다. 넷째, Cop 운영이다. 이 전략은 그동안 주민조직화사업을 수행하면서 축적된 암묵지를 형식화하도록 하는 전략으로, 사례를 공유하여 실제 적용방안을 스스로 또는 함께 모색하 는 방식이다. 또한 이 전략은 교육과정을 마치고 보수과정과 연계하여 Cop활동이 운영됨 으로써 학습문화를 조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림 Ⅳ-2> 교수설계 및 운영전략 마지막으로 운영전략이다.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에 있어서는 실제 주민조직화 사업 지역에 대한 환경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실습교육 비중을 강화하는 전략이다. 주민조직화 담당자가 주민을 직접 만나고 지역사회를 돌아보며 지역환경을 파악하는 일 은 실습을 통한 내재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교육 후에 현장에서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되는 부분이고, 이는 주민과의 관계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주민조직화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교육생이 자신이 근무하는 기관 의 지역주민을 지속적으로 만나면서 지역사회환경을 파악하는 연습과 피드백을 중점적으 로 실시하도록 운영하는 것이 이 교육과정의 특색이라고 할 것이다. 2.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단계별 교육과정(안) 지역사회환경 기반의 주민조직화 교육과정의 개요서는 <표 Ⅳ-1>에 제시하였으며, 모 두 7개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각 단계별로 세부 내용을 살펴보기에 앞서 교육대상은 사회

46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단계 교과목 세부 내용 시간 교수방법 주민조직가로서의 ‘나’ 이해 단계 주민조직가로서의 나는 누구인가 환경수준- 행동수준 – 능력수준 – 가치수준 – 정체성 수준 – 영성수준에서 탐색하기 4 설명 팀 토의 및 공유 지역사회의 환경적 요인 탐색 단계 공간감수성 키우기 Ⅰ 지역사회 환경 ‘공간’과 인간행동의 이해 Ⅰ 20 설명 팀 토의 및 공유 현장실습 Gallery walk 견학 지역알기 동네환경 탐색기술 자료수집 및 분석기술 지역자원 파악 기술 동네탐사 동네환경 지도 그리기 공간기반 주민조직화 선진지 견학 *주민과 함께하는 어슬렁어슬렁 동네탐사 동네환경에 대한 지역주민 욕구파악 단계 주민 만나기 동네 환경에 대한 욕구와 바람, 주민관계 파악 주민의 처지와 특성 파악 주민과 접촉 만들어가는 방법 바람직한 주민만나는 자세 12 설명 토의 현장실습 복지관 주민조직화 업무담당자로, 설문결과를 반영하여 주민조직화 총 경력이 3년 이하 실무자가 해당된다. 다만, 각 기관의 여건에 따라 근무경력의 연수에 무관하게 참여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설문결과 주민조직화 준비단계가 미약한 점을 고려하여 동네환경의 탐색 과 주민 욕구파악 단계에 교육시간을 집중적으로 할애하였다. 교육과정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주민조직가로서의 ‘나’ 이해」단계는 환경수준 부터 영성 수준에 이르기까지 그 의미를 인식하고 주민조직가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자기 정의를 만들어 본다.「지역사회의 환경적 요인 탐색」단계에서는 주민조직화에 있어서 지역사회환경에 대한 관점을 넓히기 위하여 공간과 인간행동의 이해를 통한 공간감수성 을 다루고, 동네를 탐사하는 현장실습을 통해 지역사회환경을 파악하는 연습과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동네환경에 대한 지역주민 욕구파악」단계도 현장실습 과 상호토의를 실시하여 체화하도록 하고, 구체적인 기술을 습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후의 「주민조직화실천 대상으로서 공간인식」단계는 실제 사례를 제시하면서 지역사 회환경의 관점에서 공간기반 조직화 밑그림그리기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5단계 이후부터는 팀 토의와 발표, 역할극을 도입하여 모의실습을 해 보도록 초점을 두었다. 이 러한 경험은 사회복지사가 지역 속으로 들어가는 두려움을 경감시키고, 주민조직화의 노 하우를 습득하도록 할 것이다. <표 Ⅳ-1>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단계별 교육과정(안)

Ⅳ.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47 단계 교과목 세부 내용 시간 교수방법 주민조직화실천 대상으로서 공간 인식 단계 공간감수성 키우기 Ⅱ 지역사회 환경 ‘공간’과 인간행동의 이해 Ⅱ공간기반 주민 조직화 사례 탐구 10 설명 사례 제시 토의 role play 공간기반 조직화 밑그림 그리기 공간기반 이슈 찾기와 대안 마련하기 개략적 실천계획 수립 주민을 만나 공동의 인식 단계 주민지도력 형성하기 예비모임 만들기(잠재적 리더 중심) 주민 모임을 통한 물리적 환경 변화에 관한 이슈토론 전체모임 계획수립 6 주민참여와 주도의 고정적 이미지를 탈피한 차이 공간 만드는 단계 주민참여와 주도의 주민 행동하기 물리적 환경변화를 위한 실행계획 수립 주민 간 접촉기회 늘리는 방법 주민모임 회의 촉진기법 주민지도력 개발: 교육훈련 지역사회 내․외적 자원 연계 12 주민조직 독립 및 유지 단계 주민조직 독립 및 유지 하기 주민조직의 지속가능성 점검 주민조직의 가능자, 촉진자, 조정자 역할 4 설명 토의

Ⅴ. 결론 49 Ⅴ 결론 1. 요약 본 연구는 동네의 환경적 요인이 어떻게 사회복지사의 주민조직화사업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하고, 지역사회환경의 변화를 모색하는 관점에 초점을 둔 주민조직화 교 육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물리적 환경요인이 사 회복지사의 주민조직화사업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내 사회복지관에서 주민조직화 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로, 총 121명이 설문조사에 참 여하였고 그 중 100명의 응답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관이 위치한 동네무질서에 대해 파악한 결과, 동네무질서 인식 정도는 2.22점(4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사회적 무질서(2.18점) 보다 물리적 무질서(2.24점)를 더 크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은 ‘복지관에 위치한 동네에서는 술 취한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가 2.58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차지하였다. 둘째,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수준은 주민발굴(3.17점)-주민조직 운영(활동)(2.95 점)-주민조직 결성(2.85점)-지역탐색(2.84점)-주민조직 유지관리(2.81점)-주민조직화 범주 설정(2.76점)-주민조직화 준비(2.73점)로 나타났다. 이로써 업무단계에서 1단계인 주민조직화 준비 전체적으로 미약함을 알 수 있다. 주민조직화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각 단계별로 많은 노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주민발굴과 주민조직화를 위한 교육이나 주 민조직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안정적인 주민조직을 이끌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과 주민조직에 대한 가치를 충분히 공유하고, 활동 지역과 지

50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역의 욕구 및 문제파악을 위한 사전 작업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사가 동네가 무질서하다고 인식할수록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 요인인 물리적 무질서와 사회적 무질서 모두 주민조직화 수 행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질서한 동네환경에 대해서 주 민조직화 수행을 잘 할 수 있도록 동네환경의 관점에 기초한 실천기술을 가르치는데 집중 하고, 기관차원의 지원체계 등을 갖출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주민조직화 총 경력은 3년을 기점으로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유 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민조직화 교육 시 교육대상을 3년 이하와 3년 초과를 기준으로 분리하여 모집하고, 경력에 따른 차별화된 커리큘럼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지역사회환경 기반 주민조직화 즉, ‘장소’의 변화라는 관점 강화를 목적으로 한 주민조직화 교육방향과 교육내용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설계는 현장중심의 내용설계, 경험중심 학습, 현장성이 강조된 지역사회 속에서의 학습, Cop 운영을 원칙으로 하였고, 교육과정 운영전략은 실제 주민조직화사업 지역에 대한 환경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실습교육 비중을 강화하는 전략이다. 교육생이 자신이 근무하는 기관의 지역주민을 지속 적으로 만나면서 지역사회환경을 파악하는 연습과 피드백을 중점적으로 실시하도록 운영 하는 것이 이 교육과정의 특색이다. 교육과정의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주민조직가로서의 ‘나’ 이해 단계」는 환경수준부 터 영성 수준에 이르기까지 그 의미를 인식하고 주민조직가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자기정 의를 만들어 본다.「지역사회의 환경적 요인 탐색 단계」에서는 주민조직화에 있어서 지 역사회환경에 대한 관점을 넓히기 위하여 공간과 인간행동의 이해를 통한 공간감수성을 다루고, 동네를 탐사하는 현장실습을 통해 지역사회환경을 파악하는 연습과 피드백이 이 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동네환경에 대한 지역주민 욕구파악 단계」도 현장실습 과 상호토의를 실시하여 체화하도록 하고, 구체적인 기술을 습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후의 「주민조직화실천 대상으로서 공간 인식 단계」는 실제 사례를 제시하면서 지역 사회환경의 관점에서 조직화의 밑그림그리기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5단계 이후부 터는 팀 토의와 발표, 역할극을 도입하여 모의실습을 해 보도록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경험은 사회복지사가 지역 속으로 들어가는 두려움을 경감시키고, 주민조직화의 노하우 를 습득하도록 할 것이다.

Ⅴ. 결론 51 2. 제언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경기도 내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전문성 향상 을 위해 교육을 내실화하고, 주민조직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몇 가지 운영방안을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사회환경이 주민조직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간 주 민조직화 수행 시 소홀히해왔던 지역사회의 공간적 개입에 대한 중요성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수행하는 주민조직화 사업의 상당 부분이 지역 내 거주하는 ‘사람’ 자체에만 초점을 두면서 사람을 조직하는 업무에 치중하였다. 이 속에서 정작 그 ‘사람’이 일상적 삶을 영위하면서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지역이라는 ‘장소’가 사 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간과해온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 내 더럽고 지저분하 고 위험하며 통제되지 않는 지역 환경이 주민조직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 힘으로써, 지역 변화를 위한 주민조직화 수행 시 ‘장소’의 변화를 함께 추구하는 것이 필 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주었다. 둘째, 이 연구는 주민조직화 수행을 위해서 사람뿐만 아니라, 그 사람이 거주하는 ‘장 소’라는 물리적 요소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주민조직화 실천에 필요 한 실천적 지식과 기술의 확장이 필요함을 알려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지역 내 인적 자원인 주민뿐만 아니라 지역 환경이라는 물리적 자원도 동시에 사정하고 변화시킬 수 있 는 실천적 방법을 익힐 때, 보다 통합적인 주민조직화가 진행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셋째, 지역사회환경 요인이 어떻게 사회복지사의 주민조직화 사업 수행에 영향을 미치 는지를 검증하고 이를 근거로 지역 환경을 매개로 한 주민조직화 교육커리큘럼을 개발하 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동네무질서 변수가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 을 고려할 때, 사회복지사는 지역에 관심을 갖고 지역사회 유대와 동네환경 변화를 추구 하는 조직화활동에 참여해야 하고, 해당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이 연 구에서 제시한 지역환경의 변화에 관점을 둔 조직화실천기술을 익힐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적극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사회복지사가 직접 지역을 돌아보며 동네환경을 관찰 탐구하면서 동네환경에 대한 주민의 욕구를 수렴하는 과정을 배우게 한다. 그리고 지역과 제를 조사 분석하고 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고, 문제해결의 주체들인 주민 들을 조직하고 이들과 함께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할 것이다.

52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넷째, 사회복지사의 주민조직화 총 경력이 3년 이하인 사람이 수행수준이 낮게 나타나, 이들을 위한 차별화된 커리큘럼을 통해 집중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몸으로 체득하는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광역경기도의 특성을 감안하여 권역별 실습지 역을 선정하고, 각 권역별로는 다년간의 경험과 노하우를 겸비한 조직가를 선정․배치하여 실습교육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주민과 밀착된 다양한 조직 화사업을 발굴할 수 있고 사업수행의 시행착오를 줄이는 역량을 키우며, 주민조직화사업 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도 높여줄 것이다. 다섯째, 안정적인 주민조직을 이끌기 위해서는 주민조직화 준비단계에 더욱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들은 주민조직화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각 단 계별로 많은 노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주민발굴이나 주민조직화를 위한 교육, 주민 조직 유지에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있었다. 그러나 주민조직화 준비단계는 미약하여 주 민의 욕구와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주민들이 인식하는 동네에 대한 상황, 동네 환경, 지역주민의 욕구와 문제, 지역의 정서 파악 등 활동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활자화된 자료(예, 3년마다 수행하는 지역복지계획 자료 등) 만으로 지역 상황을 파악하는 것은 주민의 삶이 펼쳐지는 지역사회 환경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사회복지사가 직접 지역 속으로 수시로 들어가서 지역에 대해 이해하고 아 는 만큼 민감성은 커질 것이고, 주민조직화를 통해 지역주민이 살고 싶은 동네를 주민과 함께 만드는 기회가 더 많아질 것이다. 그리고 지역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역단위 의 다양한 네트워크 조직에 참여하고, 최근 동네단위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다양한 공동체 운동이나 마을만들기 움직임 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참여할 기회를 만들어가는 것 도 중요할 것이다. 여섯째,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동네무질서는 주민조직화 수행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동네환경이 무질서한 지역에서 주민조직화사업은 사회복지사에 게 버겁게 느껴질 수 있고, 용기와 사명감이 더욱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기관차원에서 는 직원의 지역활동에 대한 공감과 동의 그리고 정서적 지지, 자기 주도적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가는 주민들과의 지속적인 관계맺음을 통해 사업을 이끌어가야 하 므로 소진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특히 인력이 부족한 복지관의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 따라서 슈퍼바이저는 지속적인 지지를 통해 조직가의 의욕을 고취시켜주고, 정확 한 업무 피드백과 슈퍼비전을 주는 등의 다양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지원은 기 관장 이하 기관 내 종사자 모두가 우리 기관의 조민조직화 사업의 방향과 목적을 정확히

Ⅴ. 결론 53 공유하고 동일한 시각으로 주민조직화를 바라보아야만 가능한 일이다. 마지막으로, 주민조직화는 주민참여를 유도하여 지역문제해결의 주체적 역량을 키우 고, 모아진 힘을 발휘하여 주민 간 도움을 활성화하여 신뢰와 유대감, 공동체를 촉진시키 는 실천이다. 따라서 지역 환경의 관점으로 주민조직화를 지향하는 바는 단순히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 아니라, 이를 매개로 주민 간 접촉과 교류기회가 증가하여 주민사이의 연 대감, 상호신뢰, 공동체의식이 쌓이고 나아가 주민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향후에는 지역 환경의 관점에서 실행한 주민조직화사 업이 실제 주민의 효능감과 지역사회응집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주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검토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55 참고문헌 곽현근(2008). “지역사회 주민조직 참여의 영향요인 및 집합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행정연구󰡕, 17(2), 115-146 곽현근·노병일(2003). “인지된 동네무질서와 사회적 유대가 개인의 무력감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7(2), 217-239. 곽현근·유현숙(2005). “지역사회 주민조직 참여의 영향요인과 집합적 효능감: 충북 청원 군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6(1), 347-376. 건설교통부․대한주택공사(2006).『살고싶은 도시만들기 국내외 사례연구』, 건설교통부․ 대한주택공사. 김경식·최성보·이현철(2009). “사회적 자본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 가족, 학교, 지역사회 내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25(2), 1-24. 김길훈(2013). 󰡔다수준분석을 적용한 지역박탈지수의 개인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인 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두섭·강남준(2000). 󰡔정신지체아동 어머니의 양육상 어려움에 대한 대처과정󰡕, 서울: 나남출판. 김영미(2010). “이웃환경과 청소년의 가족환경스트레스, 학습된 무력감의 관계”, 󰡔정신 보건과 사회사업󰡕, 36: 232-262. 김일석·곽현근(2007). “동네주민조직 유형별 사회적 자본 분포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 국지역개발학회지󰡕, 19(4), 151-178. 김정원(2007). 󰡔사회적 배제의 완화를 위한 사회적 자본의 역할: 한국의 비영리 지활지 원조직 사례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종일(2012).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청목출판사 김진석·유동철(2013). 『마을지향복지관 보고서』, 서울복지재단. 도린 매시(2015). 『공간, 장소, 젠더』. 정현주 옮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56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민소영(2013). “문화예술을 활용한 마을만들기의 경험: 광주시 시화문화마을 사례를 중 심으로”, 󰡔비판사회정책󰡕, 40, 32-73. 민소영(2015). “동네무질서와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과의 관계: 지역사회응집력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67(3), 57-82. 박세경·김형용·강혜규·박소현(2008).『지역복지활성화를 위한 사회자본 형성의 실태와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선희(2014). “마을공동체 사업 성과 측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9, 285-306. 박영숙·민소영(2016). “지역사회환경에 대한 인식이 사회복지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 향: 지역아동센터 시설장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52, 256-288. 박영희·민소영(2015). “지역사회 구조적 환경과 공동체의식에 따른 여성의 안전의식”, 󰡔한국사회정책󰡕, 22(2), 283-311. 박완규·홍성표 역(2009). 󰡔Gujarati 의 계량경제학󰡕. Damodar N. Gujarati, Dawn C. Porter. Basic econometrics. 5th ed. 서울: 도서출판 지필. 박현옥(2008). "국내 마을만들기 사업에서 나타난 주민참여형 공공디자인 표현특성 연구 -대구 삼덕동, 광주 북구, 마산시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4), 206-216. 서재호(2013). “주민자치 활동과 공동체 의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2), 437-359. 신재은·민소영·박미경·김정희(2016). 󰡔사회복지관의 주민조직화 기능강화를 위한 교육과 정 개발 연구󰡕, 경기복지재단. 신희주(2017). “동네(neighborhood)는 어떻게 사람들의 일상에 힘을 발휘하는가? 한국 의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한 고찰”, 󰡔사회와 철학󰡕, 31, 1-26. 안현찬(2012). "거점의 발견", 김기호 외 편, 『우리, 마을 만들기』, 경기도: 나무도시, 163-185. 이라영(2009). 󰡔공동주택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 공간구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건축 공학과 박사학위논문. 질밸런타인(2014). 『공간에 비친 사회, 사회를 읽는 공간』, 서울: 한울아카데미. 최명민·박향경·이현주(2017). “Lefebvre의 공간이론에 근거한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 의 가능성 탐색: 임대아파트단지 차이공간 생산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 지학』, 69(4), 99-125.

참고문헌 57 Aneshensel.(2010). Neighborhood as a social context of the stress process, In W. Avison, C.S. Aneshensel, S. Schieman, and B. Wheaton (Eds.), Advances in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Stress Process(35-52). New York: Springer. Chaskin, R.(1997). “Perspectives on neighborhood and community: A review of the literature”, Social Service Review, 71(4), 521-547. Chavis, D. M., Wandersman, A.(1990). “Sense of community in the urban environment: A catalyst for particip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8(1), 55-81. Cohen, L. E. and M. Felson,(1979). "Social change and crime rate trends: A routine activity approac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4, 588-608. Coleman, J. S.(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ng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1. Freisthler, B., Merritt, D. H. and E. A. Lascala,(2006). "Understanding the ecology of child maltreatm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Child Maltreatment, 11(3), 263-280. Geis, K. J. and Ross, C.E.(1998). “A new look at urban alienation: The effect of neighborhood disorder on perceived powerlessnes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1(3), 232-246. McMillan, D. W., Chavis, D. M.(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Pearlin,(1999). The stress process revisited: Reflections on concepts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In C.S. Aneshensel and J.C. Phelan(Eds.),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Mental Health(pp. 395-416). New York: Springer. Perkins, D.D., and Taylor, R.B.(1996). “Ecological assessment of community disorder: The relationship to fear of crime and theoretical implicat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4, 63-107. Portes, A. and P. Landolt,(2000). "Social Capital: Promise and pitfalls of its role in development", Journal of Latin American Studies, 32(2), 529-547. Reynoso-Vallejo, H., Miranda, C. and Staples, L.(2009).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organizing among low-income immigrants in Chelsea, Massachusetts, USA, Book Chapter. Enfoques y Experiencias de Ación

58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Communitaria Internacional. Gra, Barcelona, Spain. Ross, D.E.(2000). “Neighborhood disadvantage and adult depression”. Jounr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1(2), 177-187. Ross, C.E. and Mirowsky, J.(1999). “Disorder and decay: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Urban Affairs Review, 34, 412-432. Ross, C., Mirowsky, J., Pribesh, S.(2001). “Powerlessness and the amplification of threat: Neighborhood disadvantage, disorder, and mistrus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6, 568-591. Ross, C., and Mirowsky, J.(2009). “Neighborhood disadvantage, disorder,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2(3), 258-276. Ross, C., and Jang, S.(2000). “Neighborhood disorder, fear, and mistrust: The buffering role social ties with neighbor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8, 401-420. Sampson, R. J., Raudenbush, S. W. Earls, F.(1997). “Neighborhoods and violent crime: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efficacy”, Science, 277(5328), 918-924. Stern, J., and S. Seifert.(2002). Culture Builds Community Evaluation Summary Report, School of Social Work, University of Pennsylvania. Taylor, R. B., Gottfredson, S. D. and S. Brower,(1984). "Block crime and fear: Defensible space, local social ties, and territorial functioning",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21, 303-331. Taylor, R. B., Shumaker, S. A. and S. D. Gottfredson,(1985). "Neighborhood-level links between physical features and local sentiments: Deterioration, fear of crime, and confidence", Journal of Architectural Planning Research, 2, 261-275. Wheaton, B. and Clarke, P.(2003). "Space meets time: Integrating temporal and contextual influences on mental health in early adulthood",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8(5), 680-706.

부 록

부록 61 1. 설문지 지역사회복지관의 주민조직화 전문가 양성 교재개발 연구 안녕하십니까? 바쁘신 와중에 이렇게 시간을 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주민조직화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재를 개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 설문은 귀 기관에서 지역사회(주민)조직화 업무를 수행하시는 담당자님들이 직접 응답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이 연구의 내용은 연구 목적으로만 이용되며, 개인의 비밀은 통계법 제33조에 의해 철저히 보장하고 있습니다. 바쁘시겠지만 귀하의 소중한 응답이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주민조직화 업무의 역량 을 강화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입니다. 많은 협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설문조사와 관련된 문의사항은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경기복지재단 역량강화팀 ⁕ 책임연구원 : 신 재 은 팀장(031-267-9351) ⁕ 공동연구원 : 민 소 영 교수(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연 구 지 원 : 박 미 경 (031-267-9352) ⁕ 설문지 회신 : edu@ggwf.or.kr, FAX : 031-898-5938

62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Ⅰ. 귀하의 현재 사항에 대해 A1부터 A6까지 해당하는 번호에 체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A1.성별 A2.연령 A3.학력 A4.근무기간 A5.근무부서 A6.직위 ① 남 ② 여 ① 30세 이하 ② 31-40세 ③ 41-50세 ④ 51세 이상 ① 고등학교 졸업 ② 2년제 대학 졸업 ③ 4년제 대학 졸업 ④ 대학원 이상 A4-1 사회복지분야 총 근무기간 A4-2 지역사회(주민)조직화 담당 근무기간 ① 사례관리 사업 ② 지역조직화 사업 ③ 서비스제공 사업 ④ 기타 ① 실무급 (담당/대리급) ② 과장 ․ 팀장급 ③ 부장 ․ 국장급 ④ 기타 (년) (개월) 조직화 업무 총 근무기간 현 복지관에서의 조직화업무 근무기간 (년) (개월) (년) (개월) Ⅱ. 귀하는 귀하의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 대해서 어떻게 느끼는지 해당 번호에 체크(∨)해주십시오. 번호 문 항 매우 그렇다 대체로 그렇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1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는 (보도, 벽 공중시설 등에) 낙서가 많다. ④ ③ ② ① 2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는 시끄럽고 소음이 많다. ④ ③ ② ① 3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는 공공기물이 자주 파손된다. ④ ③ ② ① 4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는 버려진 건물이나 공간이 많다. ④ ③ ② ① 5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는 깨끗하다. ④ ③ ② ① 6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사람들은 자신의 집과 아파트를 잘 관리하고 있다. ④ ③ ② ① 7 복지관 근처에 있는 거리에는 너무 많은 사람들이 할 일 없이 어슬렁거린다. ④ ③ ② ① 8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는 범죄가 많다. ④ ③ ② ① 9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서는 술 취한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④ ③ ② ① 10 나는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의 이웃들과 문제가 있다. ④ ③ ② ① 11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는 안전하다. ④ ③ ② ① 12 복지관이 위치한 동네에서는 사람들끼리 자주 싸운다. ④ ③ ② ①

부록 63 Ⅲ. 다음 내용을 잘 읽고, 해당 업무를 귀하가 수행하는 빈도에 해당되는 번호를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Ⅰ. 주민조직화 준비 항상 한다 자주 한다 거의 안 한다 전혀 안 한다 1. 지역의 일반현황 파악 1) 동사무소 등 행정통계를 활용하여 인구구성(취약계층 구 성, 연령, 성별 등)의 현황 파악하기 ④ ③ ② ① 2) 관할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지리적 여건 확인하기 ④ ③ ② ① 3) 사회 환경(주거, 고용, 학교, 병원 등 공식 및 비공식적 기관) 파악하기 ④ ③ ② ① 2. 지역조직화 선행사례 탐색 1) 기관 내 기존 조직화 선행사례 조사하기 ④ ③ ② ① 2) 조직화 선행사례의 강점과 한계점의 요인 파악하기 ④ ③ ② ① 3) 조직화 선행사례 분석을 통하여 개선사항 도출하기 ④ ③ ② ① Ⅱ. 지역 탐색 항상 한다 자주 한다 거의 안 한다 전혀 안 한다 1. 자원탐색 1) 지역 내의 물적 자원(예산, 시설, 장비 등) 파악하기 ④ ③ ② ① 2) 지역 내의 인적 자원(자원봉사인력, 기존 주민조직, 영향력 있는 주 민, 단체, 기관 등) 파악하기 ④ ③ ② ① 3) 주요 정보 제공자 및 제공기관을 통해 자원 파악하기 ④ ③ ② ① 4) 지역사회 강점 파악하기 ④ ③ ② ① 5) 지역 내 인적, 물적 자원 사이의 네트워크 파악하기 ④ ③ ② ① 2. 지역 욕구와 문제파악 1) 지역사회 욕구와 문제 조사를 위한 계획 수립하기 ④ ③ ② ① 2) 지역사회 욕구와 문제에 대한 실태조사(FGI, 설문조사 등)하기 ④ ③ ② ① 3)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욕구와 문제 확인하기 ④ ③ ② ① 3. 토착 지도자 파악 1) 토착지도자 또는 영향력 있는 지역주민 발굴하기 ④ ③ ② ① 2) 지역의 욕구와 문제에 관심 있는 지역주민 발굴하기 ④ ③ ② ① 3) 역량 있는 잠재적 지역주민 추천받기 ④ ③ ② ① 4. 지역정서 (분위기) 파악 1) 뉴스, 문헌 등으로 지역의 다양한 이슈와 특징 파악하기 ④ ③ ② ① 2) 지역의 이슈별로 주민 사이의 다양한 이해관계 파악하기 ④ ③ ② ① 3) 지역사회의 역사 파악하기 ④ ③ ② ① 4) 지역주민을 만나 지역의 문화(권력관계, 가치관, 응집력 등) 파악하기 ④ ③ ② ①

64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Ⅲ. 주민조직화 범주 설정 항상 한다 자주 한다 거의 안 한다 전혀 안 한다 1. 지역 설정 1) 지역탐색 결과로 욕구와 문제 유형별 지역 구분하기 ④ ③ ② ① 2) 실제로 활동 가능한 지역의 범위 설정하기 ④ ③ ② ① 3) 실제로 활동할 초점지역 설정하기 ④ ③ ② ① 2. 대상 설정 1) 지역탐색 결과로 욕구와 문제 유형별 주민층 구분하기 ④ ③ ② ① 2) 실제로 활동 가능한 주민층의 범위 설정하기 ④ ③ ② ① 3) 실제로 활동할 핵심 주민층 설정하기 ④ ③ ② ① 3. 활동영역 설정 1) 지역탐색 결과로 욕구와 문제 유형 구분하기 ④ ③ ② ① 2) 실제로 해결할 욕구와 문제 설정하기 ④ ③ ② ① 3) 실제로 활동할 핵심 주제 설정하기 ④ ③ ② ① Ⅳ. 주민발굴 항상 한다 자주 한다 거의 안 한다 전혀 안 한다 1. 주민모집 1) 온라인 매체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홍보하기 ④ ③ ② ① 2) 기존 조직주민에 참여 요청하기 ④ ③ ② ① 3) 기존 토착 주민조직에 참여하여 모집하기 ④ ③ ② ① 4) 주민 지도자를 통해 참여주민 모집하기 ④ ③ ② ① 5) 주민을 만나서 홍보하여 모집하기 ④ ③ ② ① 2. 관계형성 활동 1) 집단 프로그램을 통하여 친밀감 형성하기 ④ ③ ② ① 2) 주민의 기존 집단활동(지역축제 등)에 참여하여 친밀감 형성 하기 ④ ③ ② ① 3) 주민-주민 간 수평적 관계 형성하기 ④ ③ ② ① 4) 주민-사회복지사 간 파트너 관계 형성하기 ④ ③ ② ①

부록 65 Ⅴ. 주민조직 결성 항상 한다 자주 한다 거의 안 한다 전혀 안 한다 1. 주민조직 방향성, 목적 합의 1) 지역 주민 자신들이 주민활동의 필요성 인식하기 ④ ③ ② ① 2) 지역 주민 스스로 지역의 문제 파악하기 ④ ③ ② ① 3) 주민조직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지역문제 공유하기 ④ ③ ② ① 4) 주민활동의 우선순위를 합의하고 지역주민과 함께 활동계획 수립하기 ④ ③ ② ① 2. 주민 지도력 (리더십) 세우기 1) 리더의 역할을 합의하여 규정하기 ④ ③ ② ① 2) 다양한 방법을 통해 주민 모임의 임원진 선출하기 ④ ③ ② ① 3. 주민조직 운영규칙 설정 1) 운영규칙의 필요성 인식하기 ④ ③ ② ① 2) 회의를 통하여 운영규칙 정하기 ④ ③ ② ① 3) 운영규칙을 문서화하여 공식화하기 ④ ③ ② ① Ⅵ. 주민조직 운영(활동) 항상 한다 자주 한다 거의 안 한다 전혀 안 한다 1. 주민 교육 (활동방법) 1) 주민욕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만들기 ④ ③ ② ① 2) 주민조직화와 관련된 지식과 기술 교육하기 ④ ③ ② ① 3) 교육 결과를 평가하여 이후 교육내용에 반영하기 ④ ③ ② ① 2. 주민역량 강화 1) 참여주민들 사이의 친밀감과 네트워크 형성하기 ④ ③ ② ① 2) 주민과 사회복지사의 수평적 파트너십을 통하여 주민의 주 도성 확보하기 ④ ③ ② ① 3) 주민들의 참여 촉진하기 ④ ③ ② ① 4) 주민들의 자치활동 강화하기 ④ ③ ② ① 5) 활동거점을 마련하고 행정적 지원 제공하기 ④ ③ ② ① 3. 지역 활동 1)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계획하기 ④ ③ ② ① 2) 계획대로 실천 활동 수행하기 ④ ③ ② ① 3) 타 조직과의 연대활동 수행하기 ④ ③ ② ① 4)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주민조직의 활동 촉진하기 ④ ③ ② ① 4. 주민 모임 1) 초기에 설정한 목표와 방향성 점검하기 ④ ③ ② ① 2) 진행 중인 활동내용과 과정을 점검하고 평가하기 ④ ③ ② ① 3) 주민조직의 개선점을 보완하여 적용하기 ④ ③ ② ① 4) 활동에 대한 동기부여를 통하여 모임의 지속성 유지하기 ④ ③ ② ① 5) 민주적인 토의문화 구축하기 ④ ③ ② ①

66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Ⅶ. 주민조직 유지관리 항상 한다 자주 한다 거의 안 한다 전혀 안 한다 1. 주민조직 방향성, 목적, 활동점검 1) 주민조직 활동이 지역 공동체성 강화에 미친 기여정도 점검 하기 ④ ③ ② ① 2) 주민조직 활동에 따른 구성원의 역량과 삶의 변화정도 점검 하기 ④ ③ ② ① 3) 주민조직의 성과 공유하기 ④ ③ ② ① 4) 주민조직의 한계와 발전방향 모색하기 ④ ③ ② ① 5) 주민조직의 향후 계획 수립하기 ④ ③ ② ① 2. 자립 가능성 점검 1) 주민조직의 자립의지 점검하기 ④ ③ ② ① 2) 행정적 재정적 자원의 지지기반 확인하기 ④ ③ ② ① 3) 주민조직의 지속 가능성 확인하기 ④ ③ ② ① 4) 주민조직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촉진하기 ④ ③ ② ① - 지금까지 설문에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부록 67 2. 주민조직화 업무단계별 수행도 결과 □ 1단계. 주민조직화 준비 항목 평균 표준편차 지역의 일반현황 동사무소 등 행정통계를 활용하여 인구구성(취약계층 구성, 연령, 성별 등)의 현황 파악하기 2.57 .64 관할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지리적 여건 확인하기 2.72 .60 사회 환경(주거, 고용, 학교, 병원 등 공식 및 비공식적 기관) 파악하기 2.87 .53 소계 2.72 .49 지역조직화 선행사례 탐색 기관 내 기존 조직화 선행사례 조사하기 2.83 .59 조직화 선행사례의 강점과 한계점의 요인 파악하기 2.72 .62 조직화 선행사례 분석을 통하여 개선사항 도출하기 2.65 .63 소계 2.73 .51 전체 2.73 .40 <표 1> 1단계-주민조직화 준비

68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 2단계. 지역탐색 항목 평균 표준편차 자원탐색 지역 내의 물적 자원(예산, 시설, 장비 등) 파악하기 2.90 .52 지역 내의 인적 자원(자원봉사인력, 기존 주민조직, 영향력 있는 주민, 단체, 기관 등) 파악하기 3.14 .51 주요 정보 제공자 및 제공기관을 통해 자원 파악하기 3.03 .50 지역사회 강점 파악하기 2.97 .56 지역 내 인적, 물적 자원 사이의 네트워크 파악하기 3.04 .58 소계 3.02 .41 지역 욕구와 문제파악 지역사회 욕구와 문제 조사를 위한 계획 수립하기 2.70 .61 지역사회 욕구와 문제에 대한 실태조사(FGI, 설문조사 등)하기 2.54 .59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욕구와 문제 확인하기 2.63 .58 소계 2.62 .53 토착 지도자 파악 토착지도자 또는 영향력 있는 지역주민 발굴하기 2.88 .54 지역의 욕구와 문제에 관심 있는 지역주민 발굴하기 2.89 .57 역량 있는 잠재적 지역주민 추천받기 2.95 .54 소계 2.91 .48 지역정서 (분위기) 파악 뉴스, 문헌 등으로 지역의 다양한 이슈와 특징 파악하기 2.76 .68 지역의 이슈별로 주민 사이의 다양한 이해관계 파악하기 2.83 .55 지역사회의 역사 파악하기 2.54 .69 지역주민을 만나 지역의 문화(권력관계, 가치관, 응집력 등) 파악하기 2.78 .60 소계 2.73 .47 전체 2.84 .34 <표 2> 2단계-지역탐색

부록 69 항목 평균 표준편차 지역설정 지역탐색 결과로 욕구와 문제 유형별 지역 구분하기 2.54 .58 실제로 활동 가능한 지역의 범위 설정하기 2.86 .53 실제로 활동할 초점지역 설정하기 2.79 .56 소계 2.73 .48 대상설정 지역탐색 결과로 욕구와 문제 유형별 주민층 구분하기 2.67 .59 실제로 활동 가능한 주민층의 범위 설정하기 2.80 .57 실제로 활동할 핵심 주민층 설정하기 2.82 .59 소계 2.76 .51 활동영역 설정 지역탐색 결과로 욕구와 문제 유형 구분하기 2.76 .53 실제로 해결할 욕구와 문제 설정하기 2.77 .51 실제로 활동할 핵심 주제 설정하기 2.81 .53 소계 2.78 .46 전체 2.76 .42 □ 3단계. 주민조직화 범주 설정 <표 3> 3단계-주민조직화 범주 설정

70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 4단계. 주민발굴 항목 평균 표준편차 주민모집 온라인 매체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홍보하기 3.19 .63 기존 조직주민에 참여 요청하기 3.32 .55 기존 토착 주민조직에 참여하여 모집하기 3.07 .61 주민 지도자를 통해 참여주민 모집하기 3.06 .62 주민을 만나서 홍보하여 모집하기 3.18 .54 소계 3.16 .44 관계형성 활동 집단 프로그램을 통하여 친밀감 형성하기 3.11 .55 주민의 기존 집단활동(지역축제 등)에 참여하여 친밀감 형성하기 3.18 .63 주민-주민 간 수평적 관계 형성하기 3.15 .56 주민-사회복지사 간 파트너 관계 형성하기 3.25 .50 소계 3.17 .43 전체 3.17 .39 <표 4> 4단계-주민발굴

부록 71 □ 5단계. 주민조직 결성 항목 평균 표준편차 주민조직 방향성, 목적 합의 지역 주민 자신들이 주민활동의 필요성 인식하기 2.92 .56 지역 주민 스스로 지역의 문제 파악하기 2.85 .56 주민조직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지역문제 공유하기 2.91 .53 주민활동의 우선순위를 합의하고 지역주민과 함께 활동계획 수립하기 2.92 .65 소계 2.90 .46 주민 지도력 (리더십) 세우기 리더의 역할을 합의하여 규정하기 2.82 .70 다양한 방법을 통해 주민 모임의 임원진 선출하기 2.77 .74 소계 2.80 .67 주민조직 운영규칙 설정 운영규칙의 필요성 인식하기 2.83 .75 회의를 통하여 운영규칙 정하기 2.84 .76 운영규칙을 문서화하여 공식화하기 2.76 .78 소계 2.81 .72 전체 2.85 .49 <표 5> 5단계-주민조직 결성

72 지역요인을 고려한 사회복지관 주민조직화 교육방안 □ 6단계. 주민조직 운영(활동) 항목 평균 표준편차 주민 교육 (활동방법) 주민욕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만들기 2.81 .73 주민조직화와 관련된 지식과 기술 교육하기 2.61 .62 교육 결과를 평가하여 이후 교육내용에 반영하기 2.75 .66 소계 2.72 .57 주민역량 강화 참여주민들 사이의 친밀감과 네트워크 형성하기 3.15 .54 주민과 사회복지사의 수평적 파트너십을 통하여 주민의 주도성 확보하기 3.12 .54 주민들의 참여 촉진하기 3.24 .51 주민들의 자치활동 강화하기 3.10 .58 활동거점을 마련하고 행정적 지원 제공하기 2.98 .70 소계 3.12 .47 지역활동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계획하기 2.99 .56 계획대로 실천 활동 수행하기 3.00 .60 타 조직과의 연대활동 수행하기 2.70 .67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주민조직의 활동 촉진하기 2.95 .59 소계 2.91 .48 주민모임 초기에 설정한 목표와 방향성 점검하기 2.90 .63 진행 중인 활동내용과 과정을 점검하고 평가하기 3.00 .60 주민조직의 개선점을 보완하여 적용하기 2.95 .61 활동에 대한 동기부여를 통하여 모임의 지속성 유지하기 3.05 .63 민주적인 토의문화 구축하기 2.84 .71 소계 2.95 .55 전체 2.95 .38 <표 6> 6단계-주민조직 운영(활동)

부록 73 항목 평균 표준편차 주민조직 방향성, 목적, 활동점검 주민조직 활동이 지역 공동체성 강화에 미친 기여정도 점검하기 2.63 .63 주민조직 활동에 따른 구성원의 역량과 삶의 변화정도 점검하기 2.68 .60 주민조직의 성과 공유하기 3.00 .59 주민조직의 한계와 발전방향 모색하기 2.87 .54 주민조직의 향후 계획 수립하기 2.96 .55 소계 2.83 .47 자립 가능성 점검 주민조직의 자립의지 점검하기 2.69 .61 행정적 재정적 자원의 지지기반 확인하기 2.64 .63 주민조직의 지속 가능성 확인하기 2.88 .61 주민조직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촉진하기 2.95 .59 소계 2.79 .52 전체 2.81 .46 □ 7단계. 주민조직 유지관리 <표 7> 7단계-주민조직 유지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