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0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연구책임 | 공동연구 | 최조순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현동길 경기복지재단 연 구 원 장동호 남서울대학교 교 수 성열서 남서울대학교 연 구 원 정책 연구 보고

연구진 연구 책임 최조순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공동 연구 현동길 경기복지재단 연 구 원 장동호 남서울대학교 교 수 성열서 남서울대학교 연 구 원 경기복지재단 정책연구보고 2017-10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발행일 2017년 12월 발행인 양복완 발행처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 16207 Tel. 1577-4312 Fax. 031-898-5937 Homepage. ggwf.gg.go.kr

발간사 우리 사회가 직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는 청년과 관련된 문제이다. 특히, 청년 실업 문제 는 당사자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손실이다. 이러한 인식 하에 청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추진되었지만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해외 선진국에서는 청년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중 하나로 자산형성사업(Individual Development Account; IDA)을 활용하고 있다. 자산형성사업은 개인의 경제적인 자산형성뿐만 아니 라 사회적・심리적・환경적 변화를 촉진하여 빈곤층으로의 추락을 예방하고, 자신의 미래준비 및 계획 실천을 위한 금융・재무역량을 배양하는 등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경기도는 근로청년의 빈곤 및 일자리 유지 등 관련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정책으로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을 2016년부터 추진하였고, 2017년 12월말 현재 10,500명의 청년들이 혜 택을 받고 있다. 그리고 20~30대의 경기도 정책 만족도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명실상부한 경기도의 핵심 청년정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청년통장 참여자 확대에 따라 지속적으로 예산 투입량이 확대되는 시점에서 사업의 방 향에 맞게 사업이 운영되고 있는지,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청년들은 변화가 있는지, 사업의 목표 를 변경할 필요성은 있는지 등에 대한 진단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일하는 청년통장이 사업목표에 맞게 운영되고 있는지, 참여하고 있는 청년들에 게 기대했던 변화들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진단하고,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업에 참여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금융・재무 역량, 소비, 재무구조, 삶의 질 등 관련 설 문조사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청년들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자료를 축적 하였다. 청년통장 사업에 대한 진단을 통해 사업목표의 달성과 청년들의 변화 등 질적인 성과관리 를 위해 보다 체계적・효율적으로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끝으로 일하는 청년통장의 진행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성과를 논의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되기를 바라며, 연구에 참여한 재단 연구진과 도움을 주신 외부 전문가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7년 12월 경기복지재단 대표 이사

요약 i 요약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및 참여자에 대한 다양한 효과 검증을 위한 필요성 증대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에 대한 목표 대비 성과 검증과 실제 참여하는 대상자의 변화 등 양적․질적 성과에 대한 검증 필요성이 증대 - 그러나 일하는 청년통장에 대한 사업은 현재 진행 중이기 때문에 사업의 전반 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제한적이지만, 참여자의 변화 정도, 정책의 추진 요소 등 과정에 대한 평가는 가능 ○ 본 연구는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진행과정에서 참여자를 대상으로 질적인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활용하여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변화 수준을 분석하 는 것이 주요 목적임 - 특히,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 개발 및 분석 수행을 통해 향후 일하는 청년통장의 질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연구 내용 요약 ○ 일하는 청년통장은 ‘근로빈곤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미래 준비, 일자리 유지, 안정적 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기도형 자산형성지원사업’임 - 근로빈곤 청년계층의 지속적인 근로활동을 독려하고, 미래의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자산형성과 삶의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관련 서비스를 제공함 으로써 사회적 역량과 미래준비 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이 사업의 목적임 ○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는 사업의 성과 및 효과 검증,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심 리적 변화의 진단을 통해 사업의 기획과 집행과정, 결과를 이해하고 가치를 판단하는 일련의 과정임 - 일하는 청년통장의 성과평가는 ①목표 달성 여부에 관한 정보 수집, ②사업 설 계 및 운영과정에 대한 수정・보완, ③재원 투입 대비 효과, 운영의 질 등 재원 활용에 대한 책무성 확보의 목적을 포함하고 있음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ii ○ 현재 시점에서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는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 변화 수준, 변화 요인 등에 대한 진단 및 분석은 가능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현재 진행 중이므로 사업에 대한 성과 및 효과 검증이 용이하지 않음. 그러나 참여자에 대한 변화 정도, 설계 수정・보완에 대한 부분은 진단 가능 - 일하는 청년통장의 목표는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 개선, 소득 증대 및 부채 감 소,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자립역량 증진 등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참여자의 변 화 진단 및 분석을 통해 성과의 간접적 도출 가능 - 일하는 청년통장의 성과 분석 지표는 자산형성 변화, 일자리 유지 등 직접적 효 과 측정이 가능한 지표와 합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변화, 금전성향, 경제적 스트 레스, 자아존중감 등 참여자의 태도 및 심리 변화 등 간접적 측정 지표로 구성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 목표와 지표의 관계] ○ 일하는 청년통장 1차 및 2차 참여자의 사전-사후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재무구조를 살펴보면, 월 소득, 저축액, 총 저축액 등 소득・자산 관련 부분은 개선되고 있으나, 총 부채액 등 부채상환 관련 여건 은 더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요약 iii ・ 특히, 1차 참여자보다 2차 참여자의 소득 개선 수준이 낮아, 부채 상환에 대한 부담 및 스트레스, 빈곤층 추락으로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참여기간 동안 참여자를 위한 금융・재무 교육, 상담 및 컨설팅 등 을 통해 부채관리, 소비・저축 등의 경제활동에 대한 체질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은 정책참여의 시간이 경과됨 에 따라 일부분 개선되고 있으나, 참여자 관리 및 지원을 통해 개선의 필요성 이 많은 것으로 분석 ・ 1차 참여자와 2차 참여자 간 경제적 스트레스에 대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공통적으로 본인 및 가구 구성원 중 채무불이행과 관련된 경험이 있는 참여자일수록 경 제적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향후 참여자 관리 시 채무불이행 경험자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을 별도로 개발・운영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 수준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차 및 2차 참여자의 그룹비교에서도 차이가 별로 없는 것으로 분석 ・ 1차 및 2차 참여자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차 참여자의 경우 측정 항목에서 일부 긍정 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반면, 2차 참여자의 경우 사전집단보다는 사후집단에서 부정 적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 ・ 중・장기적으로 참여자가 주도적인 경제활동 및 자립 능력을 갖추는데 필요한 합리적 소 비・지출, 저축 계획 등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이 높은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금전성향과 관련된 변화의 수준은 크지 않으나, 금전에 대한 맹신, 불필요한 물건 구매에 따른 소비 등에 대해서는 사전집단보다 사후집단에서 더 부정적으로 변화 ・ 특히, 금전에 대한 맹신, 무한 신뢰, 소비과정에서 과도한 금전에 대한 의존 성향은 1차 및 2차 참여자 모두 부정적인 성향으로 변화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금전성향을 현재 수준보다 긍정적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적립금 지원뿐만 아 니라 개인의 성향, 금전에 대한 가치를 개선할 수 있는 사후 관리 프로그램의 도입・운영 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자존감은 1차 참여자보다 2차 참여자에서 더 부정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자존감의 하락 수준은 심각한 것으로 분석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iv ・ 1차 참여자의 자존감은 사전-사후 검증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웠으나, 2차 참여자의 자존감은 사전-사후 검증 결과 사전조사보다 사후조사에서 현저하게 하락한 것으로 분석 ・ 향후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저축관리 및 금융・재무 교육 등의 지원뿐만 아니라 참여자의 심리적인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의 도입・운영의 필요성 높음 □ 정책 제언 ○ 일하는 청년통장의 지속적・안정적 성과 측정을 위한 참여자 관리 체계 구축 - 일하는 청년통장은 진입횟수에 따라 1차, 2차, 3차, 4차 등 계속 순차적으로 늘 어나는데 비해 성과측정 시점에는 관련 참여자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표 본이 감소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 선정 이후 제공되는 교육, 금융‧재무 상담 및 컨설팅 등의 지원서비스와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변화 등 질적인 성과와 연계 되어 관리할 수 있는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시스템(가칭) 구축 - 특히 설문조사의 응답률을 제고하기 위하여 On-Line 조사 체계를 구축하여 지속적・안정적 설문 조사를 진행하고, 지속적인 설문 참여자에 대한 비예산 인 센티브 제공 ・ 설문조사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청년에게는 재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금융・재무 컨설팅 서비스 제공, 온라인 영수증 체험단 등 지원 프로그램 우선 참여 보장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에 대한 평가 프레임 구축 및 중‧장기 계획 수립 - 일하는 청년통장의 사업을 총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체계와 각 시기별 로 추진된 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 개발 - 일하는 청년통장은 사업 추진 시점에 따라 종료시점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 사업별 종료되는 시점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평가 계획 수립 ・ 상이한 사업기간 및 내용을 고려하여 각 사업의 성과 비교 및 사업 진행 단계별 성과 관 리와 연계 등의 내용 포함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변화(성과) 요인 도출을 질적 조사 수행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에 참여하는 대상자의 변화 요인을 도출하여, 유사 사업 진행 시 프로그램 등 콘텐츠 개발을 위한 질적 조사 수행

요약 v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개인별 성과 요인 도출 및 사업과정에 대한 지속적 인 모니터링을 위한 ‘일하는 청년통장 패널(가칭)’운영 ・ 참여자 개인별 경제적 상황, 사회적 상황, 심리적 상황에 대한 요인 도출과 각각의 요인 들이 어떻게 연계・작동하는지에 대한 내용들을 심층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 ・ 일하는 청년통장 패널은 각 사업마다 선정된 참여자 중 동일 사업당 6~7명을 1개 그룹 으로 2~3개 그룹 운영을 원칙으로 설장하고, 그룹 운영 수는 총 사업대상자 규모를 고 려하여 차등적으로 운영 ・ 일하는 청년통장 패널은 질적 분석을 위하여 별도로 운영하기 보다는 참여자 소그룹 모임 프로그램 등을 활용・운영 키워드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관리 체계, 일하는 청년통장 패널, 성과평가 계획, 경기도형 자산형성지원사업

목차 vii 목차 Ⅰ| 연구개요 1 1. 연구배경 및 목적 3 2. 연구 범위 및 방법 5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 체계 및 지표 7 1.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란? 9 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 체계 및 지표 14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41 1. 개요 43 2.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45 3. 소결 104 Ⅳ| 결론 및 정책제언 109 1. 연구 요약 111 2. 정책 제언 115 | 참고문헌 119 | 부 록 125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viii 표 차례 <표 Ⅱ-1> 가구주 연령별 가구당 자산 및 부채 보유액 현황 ················································ 10 <표 Ⅱ-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개요 ···································································· 11 <표 Ⅱ-3>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현황 ············································································ 11 <표 Ⅱ-4> Oregon IDA 양적 평가 지표 ·············································································· 14 <표 Ⅱ-5> Oregon IDA 질적 평가 지표 ··············································································· 15 <표 Ⅱ-6> 금융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성과 측정지표 ························································ 16 <표 Ⅱ-7> 경제적 스트레스 측정 척도 :Financial Strain Scale ·········································· 17 <표 Ⅱ-8> 재정건전성 측정 지표 ························································································ 18 <표 Ⅱ-9> 돈에 대한 믿음과 행동 측정 지표 ······································································ 19 <표 Ⅱ-10> 행복지수 측정 지표 ·························································································· 22 <표 Ⅱ-11> 자아존중감 측정 지표 ······················································································· 23 <표 Ⅱ-12> 희망플러스 통장 성과 측정 지표 ······································································ 23 <표 Ⅱ-13> 희망키움통장 성과 측정 주요 지표 ··································································· 25 <표 Ⅱ-14> 평가주체, 평가단계 및 평가기준의 중요도 ························································ 32 <표 Ⅱ-15> 참여자의 재무관리 수준 측정 항목 ··································································· 35 <표 Ⅱ-16> 참여자의 경제적 여건에 인식 변화 측정 항목 ··················································· 36 <표 Ⅱ-17> 참여자의 금전성향 측정 항목 ··········································································· 36 <표 Ⅱ-18> 참여자의 행복 수준 측정 항목 ········································································· 38 <표 Ⅱ-19> 참여자의 자아존중감 측정 항목 ········································································ 39 <표 Ⅲ-1> 일하는 청년통장 조사 대상 현황 ········································································ 43 <표 Ⅲ-2>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46 <표 Ⅲ-3>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경제적 특성 ········································· 47 <표 Ⅲ-4>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재무구조 ·············································· 48 <표 Ⅲ-5>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 ·························· 49 <표 Ⅲ-6>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재무관리 역량 수준 ····························· 50 <표 Ⅲ-7>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금전성향 수준 ······································ 51 <표 Ⅲ-8>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행복수준 ·············································· 55 <표 Ⅲ-9>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자아존중 수준 ······································ 55 <표 Ⅲ-10>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56 <표 Ⅲ-11>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경제적 특성 ········································ 57 <표 Ⅲ-12>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재무구조 ············································· 58 <표 Ⅲ-13>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 ························· 59

목차 ix <표 Ⅲ-14>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재무관리 역량 수준 ···························· 60 <표 Ⅲ-15>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금전성향 수준 ····································· 61 <표 Ⅲ-16>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행복 수준 ··········································· 63 <표 Ⅲ-17>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자아존중감 수준 ································· 63 <표 Ⅲ-18>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재무구조 변화 ··················································· 65 <표 Ⅲ-19>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사업 참여 이후 대출 발생 사유 ········································ 65 <표 Ⅲ-20>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향후 대출 계획 및 용도 ···································· 66 <표 Ⅲ-21>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 67 <표 Ⅲ-22>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67 <표 Ⅲ-23>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 68 <표 Ⅲ-24>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 ·············································· 69 <표 Ⅲ-25>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금전적인 성향 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 70 <표 Ⅲ-26>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금전성향 변화 ··················································· 71 <표 Ⅲ-27>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 73 <표 Ⅲ-28>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73 <표 Ⅲ-29>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75 <표 Ⅲ-30>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 ····························· 75 <표 Ⅲ-31>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 75 <표 Ⅲ-32>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 76 <표 Ⅲ-33>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경제적 특성 ······································· 78 <표 Ⅲ-34>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재무구조 ············································ 79 <표 Ⅲ-35>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경제적 스트레스 ································ 80 <표 Ⅲ-36>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재무관리 역량 수준 ···························· 81 <표 Ⅲ-37>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금전성향 ············································ 82 <표 Ⅲ-38>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행복수준 ··········································· 85 <표 Ⅲ-39>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자아존중 수준 ··································· 85 <표 Ⅲ-40>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 86 <표 Ⅲ-41>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경제적 특성 ······································· 88 <표 Ⅲ-42>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재무구조 ··········································· 89 <표 Ⅲ-43>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경제적 스트레스 ································ 89 <표 Ⅲ-44>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재무관리 역량 수준 ···························· 91 <표 Ⅲ-45>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금전성향 ············································ 91 <표 Ⅲ-46>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행복수준 ··········································· 93 <표 Ⅲ-47>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자아존중 수준 ··································· 93 <표 Ⅲ-48>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재무구조 변화 ·················································· 94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x <표 Ⅲ-49>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사업 참여 이후 대출 발생 사유 ······································ 95 <표 Ⅲ-50>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향후 대출 계획 및 용도 ··································· 96 <표 Ⅲ-51>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 97 <표 Ⅲ-52>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97 <표 Ⅲ-53>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 98 <표 Ⅲ-54>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 ············································· 99 <표 Ⅲ-55>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금전성향 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 100 <표 Ⅲ-56>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금전성향 변화 ················································· 101 <표 Ⅲ-57>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 102 <표 Ⅲ-58>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102 <표 Ⅲ-59>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103 <표 Ⅲ-60>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 ··························· 104 <표 Ⅲ-61>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 104 <표 Ⅲ-62> 일하는 청년통장 1차 및 2차 참여자 재무현황 비교 ········································· 105

목차 xi 그림 차례 <그림 Ⅰ-1> 연구 추진체계 ··································································································· 6 <그림 Ⅱ-1> 일하는 청년통장사업 운영과정과 평가 내용 ···················································· 30 <그림 Ⅱ-2>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평가 단계와 평가 항목 ·············································· 31 <그림 Ⅱ-3>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 목표와 지표의 관계 ·········································· 34 <그림 Ⅲ-1> 일하는 청년통장 분석 표본 추출 과정 ····························································· 44 <그림 Ⅳ-1>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 목표와 지표의 관계 ·········································· 113

Ⅰ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Ⅰ. 연구개요 3 Ⅰ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 경기도는 근로청년에 대한 지원 정책으로 2016년부터 ‘일하는 청년통장’이라는 명 칭으로 경기도형 자산형성지원 사업을 추진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은 도내 근로청년의 빈곤계층 전락을 사전적으로 예방하고, 일 자리 유지, 자산형성 등을 통해 자립역량을 강화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음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청년의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역량을 증진시키고, 미 래 준비에 대한 기회 제공, 현재 일자리 유지에 대한 강한 동기부여 및 사회적 경력 축적 등을 위해 청년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으로의 변화까지 사업 의 목적 범주에 포함됨 ・ 개인의 자산형성지원은 개인의 인식과 태도가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변화함으로써 개인의 사회적・경제적 자립 역량 증진, 근로청년계층의 빈곤 예방과 함께 사회적 발전에 기여하는 ‘사회적 투자’ 개념을 포괄하고 있음(Sherraden, 1991; 김혜연, 2014) - 또한, 일하는 청년통장사업은 청년계층이 현재의 삶을 유지하는데 초점을 맞 추는 것이 아니라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고 인적역량을 개발하여 자녀의 빈 곤까지 사전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음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은 2016년 5월 500명 모집을 시작으로 2017년 12월 말 총 10,500명에게 관련 정책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 - 일하는 청년통장은 2016년 5월 500명, 2016년 11월 1,000명, 2017년 5월 5,000명, 2017년 10월 4,000명 총 4회에 걸쳐 진행됨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는 중위소득 100% 이하의 계층으로 개인의 경제상황 및 근로 여건 변화에 의해 빈곤 진입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계층임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4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의 이론적인 효과에 대한 검증, 사업의 중간 성과 측정에 대한 필요성 증대 ○ 근로청년계층의 빈곤계층 전락의 사전적 예방, 일자리 유지, 삶의 개선 등 일하는 청년통장으로 인한 참여자의 효과 검증 필요성 증대 - 최초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3년 후 성과 측정에 목표를 두고 있었으나, 대상 자 확대 등 정책변화에 따른 조기 성과측정에 대한 필요성이 발생하였고, - 참여자의 기초 분석 후 최종 사업완료시점에 참여자의 인식, 태도 등 변화 측 정보다는 정책 진행 단계별로 참여자의 변화를 측정할 필요성이 제기됨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이 최초 설정된 목표의 실현과 지속가능성 진단 등 과정평가에 대한 필요성 제기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최초 설계 이후, 대상자 확대, 자격기준 변동 등이 발 생함으로써 설정된 목표에 부합하게 해당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점 검할 필요성이 높음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에 대한 과정평가를 통해 운영이 최초 설정된 정책 목표 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정책 보완 및 수정 여부 등을 점검 ・ 실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과정에서 사업의 성과를 측정하기 보다는 과정에 대한 진단 을 통해 목표 달성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관련 정보 수집 및 대안 모색 ・ 과정평가는 사업의 진행 절차와 설계를 개선하거나 보완・조정과 사업의 질 자체를 개선 하여 효과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음 □ 본 연구의 목적은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참여자의 변화를 분석하여 사업의 중간 성과를 점검하고,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음 ○ 사업의 성과는 사업이 완료된 시점에서 추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사업 참여자의 변 화, 정책변화에 따른 사업의 보완사항 등을 중심으로 하는 과정평가 중심으로 진행 - 과정평가는 정책의 집행과정에서 참여자의 변화, 정책의 질적 성과를 분석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음(이윤식, 2010:55)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중간성과는 사업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일하는 청년통장의 질적인 개선방안 도출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변화를 분석한 사업 성과 측정 체계 및 지표를 구성 하고,

Ⅰ. 연구개요 5 - 주요 지표는 통장 참여자의 자산 및 부채 증감,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 금전 태도 변화, 행복 수준, 자아존중감 등 다양한 측면에서 성과 분석 2. 연구 범위 및 방법 □ 연구 범위 및 내용 ○ 자산형성 지원 사업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분석 - 개인에게 있어 자산의 역할, 사업의 도입배경 및 성과측정 체계, 지표 등 기존 의 이론적・경험적 연구 자료를 조사 검토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성과 측정 체계 및 지표 도출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측정 체계 및 지표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 참여자 성과 측정 체계 및 지표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설문조사 및 성과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2016년 1차, 2차) 양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조사 실시 - 참여자의 지표별 변화 및 종단적 분석을 통한 성과 분석, 시사점 도출 □ 연구 방법 및 추진체계 ○ 문헌연구 - 자산형성지원에 대한 기초 이론 및 선행 연구 검토 - 자산형성지원사업에 대한 성과 측정 체계 및 지표 검토 -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및 추진 현황 등 문헌 조사 ○ 설문조사 및 분석 - 2016년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1차 500명, 2차 1,000명)를 대상으로 설문조 사 실시 - 설문 내용은 자산 및 부채 증감,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 금전 태도 변화, 행복 수준, 자아존중감 등을 중심으로 구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6 ○ 전문가 자문회의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 측정을 위한 체계 및 지표 구성 <그림 Ⅰ-1> 연구 추진체계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 체계 및 지표 1.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란? 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 체계 및 지표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9 Ⅱ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1.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란? 1) 일하는 청년통장사업의 개념 및 의의 □ 일하는 청년통장은 근로빈곤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미래 준비, 일자리 유지, 안정적인 삶의 영위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 ○ 최근 20・30대 청년계층은 부모세대의 소득 증가에 힘입어 풍요로운 환경 속에서 성 장하여 교육 수준이 높은 반면, 청년실업문제, 청년취업기회의 축소, 신용문제 및 주 거문제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음 - 청년계층의 취업 수요와 공급은 불균형이 심화되면서 공무원, 공기업, 대기업 등 좋은 직장에 취업수요가 집중되면서 취업 병목현상이 가중 - 이러한 취업 여건의 악화는 개인의 경제적 역량 저하 → 생활 빈곤 → 대출 증가 → 신용불량 → 경제활동 진입 기회 감소 등의 악순환을 가속 ・ 경기도 신용회복 신청 20대~30대 청년계층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대~30대 청년 계층의 37.5%는 월세가구에 거주하는 것으로 분석(최조순 외, 2016) ・ 20대~30대 가구주의 자산과 부채 증감률을 살펴보면, 20대와 30대의 자산증가율을 각 각 13.3%, 10.0%인 반면, 부채 증가율을 41.9%. 16.1%로 부채 증가가 자산의 증가보 다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통계청, 2017)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0 구분 전체 30세 미만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 자산 2016년 36,637 8,636 26,029 37,244 44,482 37,248 2017년 38,164 9,781 28,641 39,202 33,981 38,569 증감률 4.2 13.3 10.0 5.3 1.1 3.5 부채 2016년 6,719 1,681 5,920 8,120 8,369 5,030 2017년 7,022 2,385 6,872 8,533 8,524 5,715 증감률 4.5 41.9 16.1 5.1 1.8 2.9 자료:통계청(2017). 금융복지실태조사 <표 Ⅱ-1> 가구주 연령별 가구당 자산 및 부채 보유액 현황 (단위:만원, %)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개요 ○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근로활동을 통한 소득분배의 불평등 및 사회구조의 양극화 현상에 따라 근로 청년의 자산비중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일하는 청년통장 정책 추진 - 경기도는 미국의 개인발달계좌(IDA, Individual Development Account), 보 건복지부의 희망키움 통장을 벤치마킹하여 500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시 범사업으로 추진 - 경기도는 공간면적이 넓고, 남부와 북부의 특성, 도시와 농촌지역의 특성을 복 합적으로 가지고 있어 대상자 확대를 통한 정책혜택의 형평성을 확보하겠다는 정책적 판단 하에 2016년 11월부터 본 사업을 진행 ・ 시범사업 추진단계에서는 본인 저축액에 대해 1.7배(경기도 지원금, 민간기부금 지원)를 지원해줄 뿐만 아니라 금융 교육, 자조모임 지원 등 사후관리 체계 정립을 통해 참여자의 합리적 소비와 저축습관을 배양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병행이 예정되어 있었음 ・ 그러나 정책적 판단에 의한 대상자 확대 및 본 사업이 추진되면서 실제 참여자를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적시에 추진되지 못하였고, 사업 추진 중 대상자의 자격기준이 변동 등 일부 사업 설계의 변형이 발생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11 구분 일하는 청년통장 I(2016년) 일하는 청년통장 II(2017년) 가입대상 근로청년 만18세~만34세 근로청년 만18세~만34세 가입조건 중위소득 80% 이하 중위소득 100% 이하 본인 저축액 10만원/월 10만원/월 경기도 지원금 10만원/월 17.5만원/월 민간기부금 7.5만원/월 - 지원 용도 주거, 교육, 취・창업 등 미래 준비에 필요한 용도로 활용 주거, 교육, 취・창업 등 미래 준비에 필요한 용도로 활용 지원 조건 3년 간 적립금 적립, 근로 유지 3년 간 적립금 적립, 근로 유지 실질혜택 (3년 기준) 1,000만원 수령금융재무 상담 및 컨설팅, 교육 지원 (3년 기준) 1,000만원 수령 금융재무 상담 및 컨설팅, 교육 지원 자료:경기도(2016, 2017) <표 Ⅱ-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개요 - 일하는 청년통장의 목적은 근로빈곤 청년계층의 자립을 위한 자산형성을 지원 함으로써 근로빈곤 전락을 예방임 ・ 자산형성지원 등 유형의 자산 외 지속적인 금융 교육, 금융재무 상담 및 컨설팅 등을 통해 참여자의 경제개념과 인식변화를 유도해 합리적인 소비, 저축 등을 가능케 하는데 있음 ・ 2017년 11월말 기준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는 총 10,424명이며, 1차 참여자는 476명, 2차 참여자는 980명, 3차 참여자 4,970명, 4차 참여자 4,000명임 구분 대상인원(명) 현 인원 (명) 중도해지(명) 계 타시도전출 군입대 개인사유 2016년 1차 500 476 26 14 3 9 2016년 2차 1,000 980 20 3 6 11 2017년 1차 5,000 4,970 30 11 7 12 2017년 2차 4,000 4,000 - - - - 총계 10,500 10,424 76 28 16 32 <표 Ⅱ-3>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현황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2 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 개념 및 의의 □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는 사업의 성과 및 효과 검증,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 심리적 변화의 진단을 통해 사업의 기획과 집행과정, 결과를 이해하고 가치를 판단 하는 일련의 과정임 ○ 즉, 일하는 청년통장의 성과평가는 ①목표 달성 여부에 관한 정보 수집, ②사업 설계 및 운영과정에 대한 수정・보완, ③재원 투입 대비 효과, 운영의 질 등 재원활용에 대 한 책무성 확보의 목적을 포함하고 있음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에 대한 평가가 과정에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효과성이 없는 상태에서 지속될 가능성이 있고, 역효과로 인하여 비용이 소요되는 부정 적 영향이 발생할 수 있음 ○ 사업의 성과 및 효과 검증은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완료 이후 시점에 대한 사업 전반 에 대한 성과, 재정 투입 대비 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계량분석적인 접근방법에 의해 시행되는 평가임 - 사업 완료 시점 이후에 성과 및 효과성(effectiveness) 검정을 통해 해당 사업 이 산출한 성과여부를 분석한다는 측면에서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 와 유사(Bryson & Cullen, 1984) ・ 총괄평가는 사업이 완료된 시점에 사업 추진으로 인하여 산출되는 재무회계 책무성 (fiscal accountability) 또는 정책집행 책무성(implementation accountability), 수혜 범위 의 책무성(coverage accountability)에 관하여 계량적인 측정 지표 및 분석방법을 활용 하여 진행됨(Rossi & Berk, 1981) ○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변화 진단은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진행 중에 참여 자의 변화 수준, 사업설계에 대한 수정・보완 필요성 진단, 성과 달성 여부 사전 진단 등의 검증과 환류를 목적으로 시행되는 평가임 - 특히 참여자의 변화는 일하는 참여자의 자립역량 제고 등 청년통장의 최종적인 목적과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사업 진행과정 및 단계의 진단은 중요한 부분임 ・ 참여자에 대한 변화 진단 및 분석은 사업의 진행 과정에 관한 질적 분석이 중심이므로 과정평 가와 유사하며, 사업에 경과에 따른 시계열적 분석 성과를 도출하는데 유용함(이윤석, 2010) ○ 현재 시점에서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는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 변화 수준, 변화 요인 등에 대한 진단 및 분석은 가능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현재 진행 중이므로 사업에 대한 성과 및 효과 검증이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13 용이하지 않음. 그러나 참여자에 대한 변화 정도, 설계 수정・보완에 대한 부분은 진단 가능 - 일하는 청년통장의 목표는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 개선, 소득 증대 및 부채 감 소,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자립역량 증진 등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참여자의 변 화 진단 및 분석을 통해 성과의 간접적 도출 가능 ・ 특히 참여자의 경제적인 풍요로움보다 심리적‧사회적인 요인에 더 방점을 두고 있으며, 자산형성의 과정을 통해 개인의 삶과 가치관을 변화시키는데 더 방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참여자의 변화 및 개선 정도도 사업의 성과 중 하나로 고려 가능 □ 일하는 청년통장 과정 평가의 의의는 참여자의 미래 준비와 위험에 대한 대응 능력 함양의 변화 수준을 진단・분석하고,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변화 촉진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수정・보완에 목적에 있음 ○ 일하는 청년통장 과정평가는 1차적으로 참여자의 미래 준비와 위험에 대한 대응 능력을 향상하고, 사회적 영향력 등 개인의 태도변화를 수준 진단에 있음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참여자에게 단순히 자산 축적을 지원하는 것이 아닌 참여자의 빈곤에 대한 대응력 향상, 빈곤의 대물림 사전적 예방이므로, 참여자의 생활 및 태도 변화, 심리적‧사회적 변화 수준 진단은 중요한 의의가 있음 ・ 특히, 참여자의 가계 안정성 확보, 희망적인 미래를 기대할 수 있는 심리적지지, 다른 자 산 축적의 기회 확대, 위험 대응 능력 향상, 자기 효능 제고, 사회적 영향력 및 지위 향상 등의 효과 기대 가능 ○ 2차적으로는 사업 설계 및 운영에 대한 문제점 발견 및 수정・보완을 통해 사업 추진의 효율성과 정책목표 향상에 있음 - 일하는 청년통장 정책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취지가 정책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사업 설계 및 추진 내용의 수정, 참여자의 변화 촉진을 위한 지원 서비 스의 수정・보완을 통해 지속적・안정적 진단을 통해 선제적인 대응력 증진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4 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 체계 및 지표 1) 국내‧외 성과평가 체계 및 지표 분석 (1) 해외 사례 □ 미국 Oregon IDA 평가 체계 및 지표 ○ Oregon IDA 평가체계는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수행상태와 단기‧중기‧장기 등 진행 단 계에 따른 참여자에 대한 평가가 진행될 수 있도록 설계 - Oregon IDA 평가체계는 양적‧질적인 체계로 양분화되어 있으며, 질적인 지표 는 직접적인 자산형성과 관련된 항목으로 설정되었고, 질적인 지표는 개인의 태도 및 심리변화와 관련된 지표항목으로 구성 - 양적인 지표는 저축에 대한 빈도, 저축관리 빈도 등 개인의 객관적인 수입‧지출 을 진단할 수 있는 지표로 구성되었으며, IDA 참여시점을 기준으로 사전‧사후 측정이 가능하도록 설계 빈도/느낌 IDA 참여시점 이전(T-12) IDA 참여시점 (T) IDA 참여시점 이후 (T+12) 적금계좌에 저축하기 빈도/1주 빈도/1주 빈도/1주 지출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빈도/1주 빈도/1주 빈도/1주 긴급자금 보유하기 빈도/1주 빈도/1주 빈도/1주 재무상태에 대한 만족 빈도/1주 빈도/1주 빈도/1주 공과금/대출금 기한 내 납부 빈도/1주 빈도/1주 빈도/1주 건강보험료 납부하기 빈도/1주 빈도/1주 빈도/1주 가계부채 줄이기 빈도/1주 빈도/1주 빈도/1주 신용점수 알기 빈도/1주 빈도/1주 빈도/1주 주거비/주거대출금 납부 빈도/1주 빈도/1주 빈도/1주 식품구매 빈도/1주 빈도/1주 빈도/1주 교통비 지불 빈도/1주 빈도/1주 빈도/1주 자녀 학자금 준비 빈도/1주 빈도/1주 빈도/1주 개인퇴직계좌 또는 비과세 연금 가입 빈도/1주 빈도/1주 빈도/1주 자료:Portland University(2013) <표 Ⅱ-4> Oregon IDA 양적 평가 지표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15 구분 내용 A. 참여배경 - 참여 중인 IDA(시행조직), IDA 참여 경험, IDA 사용 용도(목표), IDA 저축 금액(목표), IDA 시작 시점, IDA 참여 기간(목표):3개월 이하∼3년 이상, IDA 종료 시점, IDA 종료 후 메칭금 수급 여부, IDA 참여기간 중 월 저축액(실제), IDA 종료 시점에서 저축 목표 달성 여부 B. 재무변화 1. 재무상태의 변화 - IDA 참여 이후 부채 규모 변화 - IDA 참여 이후 소득 규모 변화 - IDA 참여 이후 재무상태에 대한 만족도(참여이전 12개월, 현 시점 비교) 2. 재무관리 역량의 변화 - 공과금 대출금 기한 내 납부(참여이전 12개월, 현 시점 비교) - 주거비/주거대출금 납부(참여이전 12개월, 현 시점 비교) - 식품구매(참여이전 12개월, 현 시점 비교) - 교통비 지불(참여이전 12개월, 현 시점 비교) - 건강보험료 납부(참여이전 12개월, 현 시점 비교) - 적금계좌에 저금하기(참여이전 12개월, 현 시점 비교) - 가계부채 줄이기(참여이전 12개월, 현 시점 비교) 3. 저축/대출 행동 변화 - 긴급자금(예비비) 보유(참여이전 12개월, 현 시점 비교) - 신용점수 인지(참여이전 12개월, 현 시점 비교) - 자녀 등록금 준비 저축(참여이전 12개월, 현 시점 비교) - 자신의 등록금 준비 저축(참여이전 12개월, 현 시점 비교) - 개인퇴직계좌/비과세연금 가입(참여이전 12개월, 현 시점 비교) - 급여가불대출(payday loan) 이용 - 지출관리 위한 예산수립 - 전당포 이용 C. 새로운 재무 목표 - 저축 목표(긴급자금, 물건 구입, 휴가, 여행, 교육 등)와 금액 D. IDA 사업에 대한 평가 1. 메칭펀드 지원 이외, IDA 프로그램에서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은 무엇입니까? 2. IDA가 어떻게 자신과 자신의 가족의 돈 관리에 영향을 미쳤습니까? 3. IDA 참여를 통해 배우고 싶었지만 그렇지 못한 것은 무엇입니까? 4. 기타 재무상황이나 자신에 대해 말하고 싶은 것이 있습니까? 자료:Portland University(2013) <표 Ⅱ-5> Oregon IDA 질적 평가 지표 - 질적인 지표는 참여자의 재무변화, 설정 목표 달성여부, IDA 사업에 대한 평 가 등을 진단할 수 있는 지표로 구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6 개인/가족/가구의 특성 개인/가족/가구의 재무상태 가구 구성:가구의 구성과 지난해 가구 변동 사항 재무 교육:경험한 재무교육과 상담 내용 소득과 지출:소득, 지출, 예측되는 소득과 지출 자산:현금, 신용, 소매카드, 주택담보대출 재무행동 재무태도 저축 행동:저축행동, 은행계좌 사용, 저축 목적, 저축 빈 도, 이용하는 금융기관 지출행동:공과금이나 대출상환금 납부행동, 절약 행동, 소비지출 분석 부채관리:주요채무(예:학자금 대출, 자동차 할부 등) 관 리행동 신용도 제고 및 유지:신용점수와 신용카드 관리행동 재무변동에 대한 대응:경제상황 변화에 대한 대응 방식 공식적 경제적 자원에 대한 활용 전략:공식적 금융자원 (상품) 활용도 저축 태도:저축에 대한 의지 및 태도 소비지출 태도:지출의 우선순위, ‘현명한 소비자’로서의 인식 신용 및 채무관리 태도:신용과 대출 관련 태도 재무상황과 미래에 대한 태도:경제상황 전망 등 금융자원 활용 태도:금융상품 이용에 대한 태도 창업 관련 태도:창업 의지 등 <표 Ⅱ-6> 금융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성과 측정지표 □ 미국 Neighbor Works 금융지원 프로그램 평가체계 및 지표 ○ 미국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성과와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관련 평가 체계 및 지표 개발 - 관련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은 총 11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인용과 청소 년용을 구분하여 지표 구성 - 공통 성과 측정 지표는 개인특성, 개인 재무상태, 재무행동, 재무태도, 비금전 적 행복과 안전, 사회적 관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인용만 자산보호 관 련 문항이 구성되어 있음 ○ Neighbor Works의 금융지원프로그램 성과 측정 체계는 개인 행동의 차원에서 측정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지표가 병용되고 있음 - 금융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개인들의 생활경제 역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운 영함으로써 개인들간의 지식이나 이해의 차이로 인한 왜곡을 최소화 함 ・ 개인들 간의 지식이나 이해의 차이는 생활경제 역량이 아닌 경제정보에 대한 암기력이 나 수리능력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생활경제에 대한 지식은 많 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측정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음 -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지표의 병용 ・ 개인의 금융태도나 성향 등은 개인의 경험이나 가치관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관적 성질 의 특성이 있으며, 따라서 타당도 높은 지표를 통해 주관적 인식의 측정 필요성이 존재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17 비금전적 측면의 행복 사회적 네트워크 교육성취와 훈련 복지에 대한 느낌:공동체와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도 및 소속감 등 가족・가계 역동:금전 관련 가족내 의사결정, 금전 관련 가족갈등 등 시민활동・정치참여:지역사회 단체 및 이벤트 참여 등 사회적 네트워크와 비공식 교환:사회적 네크워크의 강도, 비공식적・비금전적 교환에 대한 인식 등 동료/친구 역동:돈에 관한 대화, 동료 또는 친구와 돈 거 래 등 자료:Anders,2011:13 항목 점수 교육 1. 나는 지금 내가 가진 부채가 어떻게 이자를 발생시키는지 알고 있다. 2. 나는 경제와 관련해 교육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3. 나는 재무와 관련해 많은 것을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1=전혀 그렇지 않다. 5=항상 그렇다. 관계 1. 가정 내 돈과 관련해서 갈등이 있다. 2. 다른 사람들과 돈 문제 때문에 말다툼을 한다. 3. 돈 문제로 인해 대인관계가 힘들다. 4.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가 돈 문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1=전혀 그렇지 않다. 5=항상 그렇다. 신체적 문제 1. 돈 걱정 때문에 잠을 잘 수가 없다. 2. 돈 문제 때문에 두통이 있다. 3. 갚아야 할 돈이 늘어날 때, 몸이 경직되는 것을 느낀다. 4. 돈 문제로 인해 속 쓰림이나 구토를 경험하기도 한다. 1=전혀 그렇지 않다. 5=항상 그렇다. <표 Ⅱ-7> 경제적 스트레스 측정 척도 :Financial Strain Scale □ 금융역량 측정 지표 ○ 자산형성지원사업은 개인의 경제적 스트레스, 재정건전성, 돈에 대한 믿음과 행동, 행복과 자아존중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금융역량 측정지표는 개인의 경제적‧심리적‧사회적 성 과를 측정하는데 유용함 ○ 경제적 스트레스 측정 척도 - 자산형성지원사업의 심리적 안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참여자들의 경제적 스 트레스 측정 측정을 통해 사업 참여기간 동안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는지에 대 한 종단적 측정 가능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8 항목 점수 Ⅰ. 재무관리(Financial Management) 1. 은행계좌를 가지고 있다. 최소 1점, 최대 5점 2. 매달 월세/주택담보대출상환금 등을 상환할 돈을 가지고 있다. 최소 1점, 최대 5점 3. 긴급 상황에 대비한 돈(예:50만원)을 가지고 있다. 최소 1점, 최대 5점 4. 직접 작성한 장기적 재무계획(3년 이상)이 있다. 최소 1점, 최대 5점 5. 직접 작성한 단기적 재무계획(1년 이내)이 있다. 최소 1점, 최대 5점 6. 가계부 등을 작성하고 중요한 재무관련 문서를 잘 보관하고 있다. 최소 1점, 최대 5점 7. 자신의 소득세율을 알고 있다. 최소 1점, 최대 5점 8. 자신의 순자산(자산-부채)을 계산할 수 있다. 최소 1점, 최대 5점 Ⅱ. 저축/투자(Saving/Investing) 9. 교육비, 주거마련 등과 관련한 장기적 재무계획이 있고 이를 위해 정기적으로 저축한다. 최소 1점, 최대 5점 10. 3개월 이상 생활비에 해당하는 금액을 예금으로 가지고 있다. 최소 1점, 최대 5점 11.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다. 최소 1점, 최대 5점 12. 공적연금 이외에 사적투자도 하고 있다. 최소 1점, 최대 5점 13. 한 가지 이상의 형태로 투자를 하고 있다. 최소 1점, 최대 5점 14. 물가상승률을 초과하는 수익을 발생시키는 저축/투자를 하고 있다. 최소 1점, 최대 5점 <표 Ⅱ-8> 재정건전성 측정 지표 항목 점수 신용카드 활용 1. 나는 더 좋은 물건을 사기 위해 돈을 빌린다(신용카드를 이용한다). 2. 나는 신용카드 돌려막기를 한다. 3. 나는 나중에 돈이 생기길 희망하며 신용카드로 물건을 구입한다. 1=전혀 그렇지 않다. 5=항상 그렇다. 비용납부 1. 나는 대출금/공과금을 기한 내에 납부한다. 2. 나는 대출금/공과금 납부가 힘이 든다. 3. 이미 많은 대출금/공과금이 연체 상태다. 4. 나는 대출금/공과금을 납부할 수 있는 충분한 돈이 없다. 1=전혀 그렇지 않다. 5=항상 그렇다. 자료:Aldana and Liljenquist(1998) ○ 재무건전성 측정 지표 - 재정건전성(financial fitness) 척도는 사업 참여자들의 재무관리, 저축/투자, 보험과 상속 등과 관련하여 태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측정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19 항목 점수 Ⅲ. 보험과 상속 계획(Insurance and Estating Planning) 15. 큰돈이 들어가는 사고(예:병원비)를 대비한 보험을 가지고 있다. 최소 1점, 최대 5점 16. 유언장을 가지고 있다. 최소 1점, 최대 5점 Ⅳ. 신용(Credit) 17. 신용카드대금, 학자금대출, 자동차 할부에 들어가는 돈이 월 소득의 1/8 이하다. 최소 1점, 최대 5점 18. 연체료를 피하기 위해 신용카드대금을 완납한다. 최소 1점, 최대 5점 Ⅴ. 쇼핑(Shopping) 19. 중요한 물건을 구입할 때는 최소한 3가지 다른 것들과 비교해본다. 최소 1점, 최대 5점 20. 즉흥적인 소비는 피하고 즐거움을 위해 쇼핑하지는 않는다. 최소 1점, 최대 5점 [점수 계산] 0-20점:많은 도움이 필요한 상황 21-40점: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 41-60점:재무상태가 그리 나쁘지 않은 상황 61-80점:재무상태가 보통이상인 상황 81-100점:재무상태가 탁월한 상황 자료 :O’Neill, B(2003) 번호 내용 1 나는 종종 내가 필요로 하거나 원하지 않는 것을 세일을 하거나 할인을 하기 때문에 구매한다. 2 나는 쾌락보다 돈이 우선이다. 3 나는 때로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길 필요도 원하지 않지만 그것들이 그 때 가질 수 있는 바로 그것이기 때문에 구매한다. 4 심지어 내가 충분한 돈이 있을 때조차 나는 종종 의복과 같은 필수품들에 돈을 지출하는 것에 대하여 죄의식을 느낀다. 5 내가 구매를 할 때마다 사람들이 나에게서 혜택을 얻는다는 것을 나는 ‘알고’ 있다. 6 나는 나에게는 인식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종종 바보스러울 정도로 돈을 지출한다. 7 나는 종종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는 그것을 살만한 여유가 없어’라고 말한다. <표 Ⅱ-9> 돈에 대한 믿음과 행동 측정 지표 ○ 돈에 대한 믿음 및 행동 척도 - 돈에 대한 믿음과 행동들을 측정하고 유용하고 다중측면적인 부분과 다양한 인구 학적 변인들 및 사회적 요인 간의 관계와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 개발‧활용 ・ 금융역량이론은 개인의 경제적 행위는 단순히 경제적 지식과 기술뿐만 아니라 돈에 대 한 개인의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돈에 대한 태도에 따라 자산형성지원사업의 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Klintz, Britt, Britt & Klontz, 2011)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20 번호 내용 8 나는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니에 얼마의 돈이 있는지를 거의 알고 있다. 9 나는 그 양에 상관없이 돈을 지출하는 결정을 하는 것이 어렵다. 10 나는 내가 산 거의 모든 것에서 그 가격에 대해 논쟁하거나 깎아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11 나는 누군가에게나 빚지지 않음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식당이나 영화관 등에서 내 몫 이상의 것을 지불하려고 한다. 12 만약 내가 선택을 한다면, 나는 월급보다 주급을 선호할 것이다. 13 나는 신용카드보다 현금사용을 선호한다. 14 나는 은행 계좌에 얼마나 많은 돈이 있는지 항상 알고 있다. 15 만약 내가 지난달에 남은 돈이 있다면, 나는 그것을 모두 쓸 때까지 불안함을 느낀다. 16 나는 때로 나를 좋아하는 친구들에게 매우 관대해짐으로써 우정을 ‘산다’. 17 나는 돈을 갖고 있는 것이 아무런 가치도 없음을 알고 있을 때조차, 종종 나보다 돈이 많은 사람들에게 열등감을 느낀다. 18 나는 종종 나를 좌절시키는 사람들을 통제하거나 위협하기 위한 무기로써 돈을 사용한다. 19 나는 때로 나보다 돈이 적은 사람들의 능력, 성취와 상관없이 이들보다 우월감을 느낀다. 20 나는 돈이 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확고히 믿는다. 21 나는 종종 내 개인적인 재정상태를 질문 받을 때 불안하고 방어적이 된다. 22 어떤 목적에서든 어떤 것을 구매하고자 할 때, 나의 첫 번째 고려사항은 가격이다. 23 나는 개인의 임금이나 봉급에 대해 질문하는 것이 무례한 것이라고 믿는다. 24 만약 내가 이웃보다 어떤 것에 대해 더 많은 돈을 지불한다면 이에 대해 바보 같다고 느낄 것이다. 25 나는 종종 돈을 경멸하며, 돈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멸시한다. 26 나는 언제 돈이 바닥나고 현금이 언제 필요로 할지 결코 확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돈을 저축하는 것을 선호한다. 27 내가 저축한 돈의 양은 결코 충분하지 않다. 28 돈은 내가 진실로 의지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라고 느낀다. 29 나는 돈이 모든 악의 근원이라고 믿는다. 30 우리가 돈으로 구매하는 것과 관련해서 나는 우리가 지불한 것만 가질 수 있다고 믿는다. 31 나는 돈이 우리에게 상당한 권력을 가져다 준다고 믿는다. 32 돈에 대한 나의 태도는 우리 부모와 아주 유사하다. 33 나는 개인이 버는 돈의 양이 이들의 능력 및 노력과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믿는다. 34 나는 항상 신속하게 요금을 지불한다(전화, 수도세, 전기세 등) 35 나는 종종 내가 좋아하는 웨이터/웨이트리스에게 상당한 팁을 준다. 36 나는 돈을 버는 데 사용되지 않은 시간은 낭비된 시간이라고 믿고 있다. 37 나는 식당이나 상점에서 청구서가 과도하게 부과되었다고 생각할 때조차 웨이터가 나에게 화를 낼지도 모르기 때문에 그것을 지불한다. 38 나는 종종 내가 우울할 때 나 자신에게 돈을 지출한다. 39 어떤 사람이 나에게 빚을 졌을 때, 그것을 갚으라고 이야기하기가 겁난다.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21 번호 내용 40 나는 절대적으로 해야만 할 때까지 은행을 제외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돈을 빌리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41 나는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 주기를 선호하지 않는다. 42 나는 내 친구들 대부분보다 내가 더 유복하다고 생각한다. 43 나는 그것이 충분한 양이라면 실제로 돈을 위해 합법적인 어떠한 것이라도 할 것이다. 44 나는 음식이나 꽃과 같은 썩기 쉬운 것들보다는 지속되는 것들에 돈을 지출하는 것을 선호한다. 45 나는 나의 경제적인 승리(임금, 부, 투자 등)에 자부심을 느끼며, 내 친구들이 이에 대해 알게 한다. 46 나는 내 친구들 대부분보다 더 가난하다고 생각한다. 47 내 친구들 대부분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 48 나는 친구와 친척들에게 내 상세한 재정상태를 숨기는 것이 일반적으로 현명한 것이라고 믿는다. 49 나는 내 배우자(애인 등)와 돈에 대해 종종 논쟁한다. 50 나는 개인의 봉급이 이들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하다고 믿는다. 51 나는 내 현재 수입이 내 직업을 고려할 때 내가 받아야 할 적당한 수준이라고 믿는다. 52 내 친구들의 대부분은 내가 가진 것보다 더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 53 내 현재 수입은 내 직업을 고려할 때 내가 받아야할 적정 수준부도 더 적다고 믿는다. 54 나는 내 재정적 상태에 대해 이를 변화시키기 위한 권력과 관련해서 거의 통제하지 못한다고 믿는다. 55 내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과 비교해서, 나는 이들보다 돈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한다고 믿고 있다. 56 나는 내 재정상태에 대해 많이 걱정한다. 57 나는 돈과 내가 돈으로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종종 공상을 한다. 58 나는 거지나 술 취한 사람들이 돈을 요구할 때 거의 돈을 주지 않는다. 59 나는 돈을 저축하는 내 능력이 자랑스럽다. 60 영국에서 돈은 우리가 서로간에 비교하는 방식이다. 자료:Furnham(1984), 김정휘 외(2003), pp.96-100에서 재인용. ○ 행복수준 측정 - 자산형성지원사업의 긍정적 효과는 경제적・심리적 안정감, 삶에 대한 만족도 또는 행복으로 표출될 수 있음 ・ 객관적 행복의 차원에서 중요한 개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life satisfaction) 그리고 주관 적 행복의 차원에서 중요한 삶에서 느끼는 개인의 감정(affection)을 모두 포괄한 행복지 수 측정 지표를 활용‧측정(서은국・구재선・이동귀・정태연・최인철, 2010)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22 (1) 다음은 삶의 만족에 대한 질문입니다. 우리의 삶은 개인적 측면(개인적 성취, 성격, 건강 등), 관계적 측면(주위 사람들과의 관계 등), 집단적 측면(내가 속한 집단 - 직장, 지역사회 등)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삶의 각 측면 에서 귀하께서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부분을 떠올려 보십시오. 귀하는 그러한 삶의 각 측면에 대해서 얼마나 만 족하십니까?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부터 ‘매우 그렇다(7점)’까지의 보기 중에서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번호를 골라 주십시오.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다 1 󰌀󰌀󰌀󰌀󰌀󰌀󰌀 2 󰌀󰌀󰌀󰌀󰌀󰌀󰌀 3 󰌀󰌀󰌀󰌀󰌀󰌀󰌀 4 󰌀󰌀󰌀󰌀󰌀󰌀󰌀 5 󰌀󰌀󰌀󰌀󰌀󰌀󰌀 6 󰌀󰌀󰌀󰌀󰌀󰌀󰌀 7 ________1) 나는 내 삶의 개인적 측면에 대해서 만족한다. ________2) 나는 내 삶의 관계적 측면에 대해서 만족한다. ________3) 나는 내가 속한 집단에 대해서 만족한다. (2) 다음은 지난 한 달 동안 귀하가 경험한 감정을 묻는 질문입니다. 지난 한 달 동안 무엇을 하며 지냈는지, 어떤 경험을 했는지를 생각해 주십시오. 그리고 나서 다음에 제시되는 감정들을 얼마나 자주 느꼈는지 ‘전혀 느끼지 않았다(1점)’에서부터 ‘항상 느꼈다(7점)’까지의 보기 중에서 번호를 골라 주십시오. 전혀 느끼지 않았다 항상 느꼈다 1 󰌀󰌀󰌀󰌀󰌀󰌀󰌀 2 󰌀󰌀󰌀󰌀󰌀󰌀󰌀 3 󰌀󰌀󰌀󰌀󰌀󰌀󰌀 4 󰌀󰌀󰌀󰌀󰌀󰌀󰌀 5 󰌀󰌀󰌀󰌀󰌀󰌀󰌀 6 󰌀󰌀󰌀󰌀󰌀󰌀󰌀 7 ________4) 즐거운 ________5) 행복한 ________6) 편안한 ________7) 짜증나는 ________8) 부정적인 ________9) 무기력한 점수 계산 만족감 총점:문항 1+2+3 긍정정서 총점:문항 4+5+6 부정정서 총점:문항 7+8+9 최종 행복 점수:만족감 + 긍정정서 - 부정정서 자료 :서은국・구재선・이동귀・정태연・최인철(2010:232). <표 Ⅱ-10> 행복지수 측정 지표 ○ 자아존중감 측정 척도 - 자아존중감 향상은 저축행위와 그 과정에서의 자기통제 및 성취감을 통해 나타 날 수 있는 기대효과이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Rosenburg(1965) 의 자아존중감(self-esteem) 척도를 활용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23 문항 내용 매우부정 부정 긍정 매우 긍정 1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만큼은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2 나는 나에게 좋은 점이 많이 있다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3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① ② ③ ④ 4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① ② ③ ④ 5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다. ① ② ③ ④ 6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① ② ③ ④ 7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나 자신이 만족스럽다. ① ② ③ ④ 8 나는 나 자신을 보다 더 존중할 수 있으면 하고 생각한다. 즉, 나는 평소 나 자신에 대한 존중감이 낮은 편이다. ① ② ③ ④ 9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① ② ③ ④ 10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① ② ③ ④ <표 Ⅱ-11> 자아존중감 측정 지표 (2) 국내 사례 □ 서울시 ‘희망플러스 통장’ 성과 평가 지표 ○ 희망플러스 통장 성과 측정은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양 적인 측정 지표에서는 개인의 근로활동과 소득 등 경제활동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중심으로 구성 - 참여자의 일자리 유지, 소비 패턴변화, 삶의 만족도, 저축에 대한 인식 변화, 가족 및 주변관계 변화 등 행태변화 요인을 중심으로 측정 ○ 질적인 측정 지표에서는 저축, 소비, 가구경제 인식 등 심리, 관계, 태도 등 종단적인 질적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지표를 중심으로 구성 - 심리변화는 사업의 일정 기간 참여 후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기대에 대한 변화 정도를 측정 - 관계변화는 사업의 일정기간 참여 후 참여자 간 동질적 관계, 가족과의 관계 변화 정도를 측정 - 인식변화는 지속적인 저축의 의지정도와 소비패턴의 변화를 통해 저축금액 적 립에 대한 의지 변화를 측정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24 구분 내용 A. 가구일반 사항 - 가구원번호, 가구주와의 관계, 성별, 태어난 연도, 동거여부, 교육수준, 혼인상태, 장애 종류 및 등급, 건강상태 B. 고용 상황 1. 경제활동참여상태 - (기준시점동안) 주된 경제활동 참여상태 2. (취업자) 일자리 특성 - 고용관계, 근로시간형태, 근로기간 설정여부, 근로지속가능성, 근로지속불가능사유, 업 종, 직종, 사업장 규모 C. 소득 및 부채 1. 소득 - 근로소득 유무, 주된 일자리의 근로소득과 부업소득, 기타소득 2. 부채 - 부채 유무, 총 부채액, 전년대비 부채액 변화, 부채 총원리금, 부채발생 사유 D. 저축 및 저축 태도 - 경제 교육 경험 유무, 경제교육 필요성 인식, 자녀 경제교육 여부, 저축에 대한 태도, 금 융정보 활용 정도, 한달 평균 가구 저축액, 희망플러스 저축 참여 목적 E. 지출 및 소비태도 - 월평균 생활비, 생활비 부족 경험 유무, 생활비 부족 사유, 부족한 생활비 조달 방법, 생 활비 지출항목 비중, 자녀 교육비, 소비패턴, 가계수지 균형의 어려움 정도, 지출계획 수립 상태, 수입과 지출에 대한 가족과 의견 공유, 여윳돈 발생시 저축 의향 F. 가구경제 인식 - 소득계층, 경제변동 상태, 경제 만족도, 미래 경제 전망 G. 가족관계 - 가족과 대화빈도, 대화하지 않는 이유, 가족 갈등 유무 및 원인, 가족 갈등 발생시 해결 방법 H. 삶의 만족도 - 생활에 대한 만족도(거주지, 음식, 옷, 가족관계, 친구관계, 동료 관계, 심리상태, 신체건강상태, 일, 사회생활, 자유 유무, 자아존중, 자기만족), 전반적인 생활만족도 I. 기타사항 3년 이내 이사계획 유무, 지난 1년간 사회활동(자원봉사, 기부활동, 취미 및 여가활동, 자기개발, 친교활동, 종교활동), 인터넷 활용 능력 자료:이순성 외, 2011 <표 Ⅱ-12> 희망플러스 통장 성과 측정 지표 □ 희망키움통장 모니터링 및 평가 지표 ○ 희망키움통장의 양적인 측정 지표에서는 개인의 근로활동과 소득 등 경제활동 수준 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중심으로 구성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25 구분 세부영역 및 세부항목 기초선 조사 A. 가구일반사항 1. 가구원수 2. 가구원 일반사항 - 가구원번호, 가구주와의 관계, 성별, 태어난 연도, 동거여부, 교육수준, 혼인상태, 장 애종류 및 등급, 건강상태, 만성질환, 금융채무불이행(신용불량) 여부 3. 가구 일반사항 - 가구형태:단독가구, 모자가구, 부자가구, 소년소녀가장가구, 조손가구, 기타 - 노인가구원 유무:있음, 없음 - 기초보장수급형태:일반수급, 조건부수급, 특례, 전부수급, 일부수급 - 의료급여수급형태:의료급여1종, 의료급여2종, 전부수급, 일부수급 B. 경제활동상태 1. 근로능력정도 - 근로능력정도, 근로무능력사유 2. 경제활동참여상태 - (기준시점동안) 주된 경제활동 참여상태 3. (취업자) 일자리 특성 - 고용관계, 근로시간형태, 근로기간 설정여부, 근로지속가능성, 근로지속불가능사유, 업종, 직종, 사업장 규모 4. (비취업자) 특성 - 비경제활동 사유 <표 Ⅱ-13> 희망키움통장 성과 측정 주요 지표 -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근로능력정도, 경제활동참여상태, 일 자리 특성, 생활비 등 개인의 근로 및 경제활동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중심으로 구성 ○ 질적인 측정 지표에서는 자산형성사업에 대한 인식, 탈수급에 대한 의지 및 태도 변 화 등 개인의 태도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지표를 중심으로 구성 - 심리변화는 사업의 일정 기간 참여 후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기대에 대한 변화 정도를 측정 - 관계변화는 사업의 일정기간 참여 후 참여자 간 동질적 관계, 가족과의 관계 변화 정도를 측정 - 인식변화는 지속적인 저축의 의지정도와 소비패턴의 변화를 통해 저축금액 적 립에 대한 의지 변화를 측정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26 구분 세부영역 및 세부항목 기초선 조사 기초선 C. 생활비 1. 비목별 생활비 - 월평균 식료품비, 월평균 주거비, 월평균 보건의료비, 월평균 교육비, 월평균 기타 생활비, 월평균 총 생활비 2. 생활비 우선지출항목 및 우선제한항목 D. 소득 1. 종사상 지위별 가구원 근로소득 - 만 15세 이상 가구원의 기준시점동안의 경제활동, 상용근로자 연간 총급여액, 상용 근로자 1일 평균 근로시간, 연간(6개월간) 총급여액, 임시 및 일용근로자 월평균 일 한 일수, 일당, 연간(6개월) 총급여액, 고용주 및 자영자 연간 총매출액, 연간 총비 용, 연간(6개월간) 순소득, 농림축산업 경영주 경지규모, 자기소비액, 판매수입, 연 간총비용, 연간(6개월간) 순소득, 어업경영주 수산물 자가소비액, 판매수입, 연간총 비용, 연간(6개월간) 순소득, 기타 근로소득(주1시간 미만 근로소득) 2. 원천별 소득 - 재산소득, 사회보험, 민간보험, 기타정부보조금, 기타소득, 사적이전소득, 국민기초 생활보장급여 E. 부채 및 이자 1. 부채 - 부채형태(금융기관대출, 서민금융, 일반사채, 카드빚, 전세보증금, 외상 및 미리탄 계돈, 기타부채) 및 부채액 2. 이자 - 부채에 대한 연간(6개월간) 이자액 F. 재산 1. 소유부동산 - 주택(아파트, 단독주택 등) 2. 점유부동산 - 전세보증금 준 것 및 비동거가구원의 전세보증금, 기타(권리금, 사업설비, 공장기계, 가게물건, 비닐하우스시설, 양식장 등) 금액 3. 금융자산 - 예・적금, 계돈불입금, 주식・채권・펀드, 개인연금, 저축성 보험, 기타(남에게 빌려준 돈, 아파트 중도금 등) 금액 4. 자동차 - 보유대수 및 가격 5. 기타재산 - 회원권, 영업용 자동차, 오토바이, 선박, 굴삭기, 포크레인 등 금액 G. 주거 집의 유형, 집의 점유형태, 사용하는 방의 개수, 건평, 주택가격, 주택(월세액) H. 생활여건 1. 식생활 관련 -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식료품 미 구입 또는 균형 잡힌 식사를 못한 경험 정도, 경 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절식 및 결식 경험 여부 등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27 구분 세부영역 및 세부항목 조사 H. 생활여건 2. 박탈지표 -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집세 미납여부, 공과금 미납 여부, 공교육비 미납 여부, 난방 못한 경험 여부, 의료서비스 이용 못한 경험 여부, 신용불량 경험 여부, 건강보험 미납으로 보험 급여 자격 정지 여부 등 I. 복지서비스 정부제공의 복지서비스 현 수급 여부 및 만족도 - 감면(주민세 비과세 및 TV 수신료 감면, 전기 및 전화요금 감면, 음식물쓰레기・종량제 봉투 지원) - 주거(임대주택, 월세지원, 주택 및 전세자금 융자, 집수리 사업) - 융자(생업자금, 생계비 및 생활안정금 융자) - 영유아, 아동・청소년(보육료 지원, 방과후공부방, 양육수당, 바우처, 인터넷수능방송, 장학금 및 학자금 지원) - 노인복지(기초노령연금, 장기요양보험, 양로 및 요양시설 입소, 노인돌봄 바우처, 노인 주간 보호사업, 노인 건강검진) - 장애인(장애인연금 및 장애아동 부양수당, 중증장애인 활동보조지원, 장애아동 지원 바우처, 장애인 보장구, 재활기구 보조, 가사간병 서비스,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이용) - 취업(근로장려세제 지원, 직업훈련, 공공근로, 자활사업, 사회적일자리 및 노인일자리) J. 신청 및 인식 희망키움 사업 알게 된 경로, 신청이유, 신청과정상의 어려움, 선정조건에 대한 인지여 부, 장려금 동의 수준, 근로활동계획, 신청당시 갈등, 수령시 수급자격 상실 동의여부, 탈수급시 지속적으로 희망하는 정부지원, 탈수급시 걱정되는 부분, 참여이전 저축습관, 재무설계, 자산관리 계획 유무, 미래대비상품 등 K. 직업교육 및 훈련, 취업알선 및 상담 취업 관련 교육 및 직업훈련 경험, 취업상담 경험, 취업알선 경험여부 등 패널 조사 추가 조사 I. 인식 및 태도 1. 자산활용계획 2. 희망키움통장사업 및 근로소득장려금에 대한 인식 - 재정적 자립, 장기적 정기저축, 매칭률의 적절성, 이자창출, 탈수급 시점의 적절성 - 목표성 저축, 저축 격려 3. 저축에 관한 인식 - 저축 비중요, 저축 어려움, 소비절제 어려움, 소비요청, 생필품 소비, 탈수급 두려움 4. 희망키움통장 사업 참여 이후 생각 - 탈수급 이후에 대한 스트레스, 미래에 대한 자신감, 경제적인 안정감, 삶에 대한 주 도적 자세 5. 희망키움통장 사업 종료 후 저축습관에 대한 생각 6. 탈수급 이후 정부 지원에 대한 도움 예상정도 및 희망순위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28 구분 세부영역 및 세부항목 패널 조사 추가 조사 I. 인식 및 태도 - 의료지원, 교육지원, 주거지원, 고용지원 7. 희망키움통장 참여 중 정기적 저축 포기 생각 및 이유 8. 희망키움통장 사업 참여 전후 일에 대한 생각 변화 - 일에 대한 즐거움 9. 일을 하는 이유 10. 가장 필요한 정부의 지원 12. 불평등 수준 - 교육기회, 취업기회, 법의 집행, 도시와 농촌의 생활격차, 소득(수입, 봉급, 노임 등) 격차, 재산(건축물, 토지, 금융자산 등) 격차, 학력에 따른 사회적 차별, 남성과 여성 간의 차별 13. 희망키움통장 참여 중 관심 정도 14. 소비성향, 생활설계, 자아인식, 삶의 만족도, 일에 대한 태도 등 J. 교육 및 훈련, 취업알선 및 상담 1. 교육경험 - 자산관리 및 재무설계 교육 경험, 노후설계 및 노후대비 교육 경험, 자기개발 및 자 기관리 교육 경험, 취업, 창업 또는 업무능력 향상 교육이나 직업훈련 여부 2. 향후 교육희망 여부 3. 희망하는 교육 내용, 교육희망 목적, 교육 비희망 이유 4. 취업상담 경험 5. 취업알선 경험 K. 사례관리 1. 담당 사례관리자와의 연락 여부 및 방법 2. 다양한 지원 및 정서적 지지체계 제공 - 다양한 지원 및 정서적 지지체계 제공여부, 상담빈도, 소요시간 3. 담당 사례관리자의 도움정도 - 희망키움통장 유지, 희망키움통장 관련 궁금증 및 고충해소 등 문제 해결, 탈수급 이후 미래에 대한 계획 수립 자료:최현수 외, 2012:135-143. (3) 국내・외 자산형성지원사업 평가의 시사점 ○ 일하는 청년통장의 성과는 저축을 통한 자산축적뿐만 아니라 개인의 심리적‧사회적‧ 금융 태도 관련 부분까지 고려한 성과 측정 지표 마련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의 기본적인 성과측정 지표는 저축유지율, 일자리 유지율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29 등 객관적인 사업 총량에 대한 지표를 기본으로 하되, 개인의 변화에 대한 부 분까지 고려한 지표 마련 - 특히, 금융‧재무 교육, 금융‧재무 컨설팅 등의 지원제도를 통해 소비지출, 대출, 신용관리 등 금융‧재무 전반에 대한 금융역량을 강화할 수 있음. 또한, 개인의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예:경제적 스트레스, 금융역량, 행복, 자아존 중감 등)은 보다 실질적인 사업의 성과를 증명하는데 유용함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단순한 성과입증보다는 사례관리와 연계한 성과변화, 성과 관리 중심의 성과측정 지표 마련 - 참여자의 경제적 측면, 사회적 측면, 심리적 변화 등의 개인적인 변화는 단순한 시점 중심의 성과 측적을 통해 도출하는 것이 어려움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기간 동안 참여자에게 제공되는 사례관리 및 교육과 연 계할 수 있는 성과측정 지표 마련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참여자 관리를 통한 성과 측정‧분석 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성 확보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공공에 의해 추진되기 때문에 투입되는 예산대비 성 과에 대한 기대치가 상당히 높은 편임 - 이러한 측면에서 성과 측정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기적‧ 반복적 조사와 참여자 전체를 포괄하는 성과 측정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높음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심리‧사회적인 특성, 외부 환경변화, 성과 측정의 현실 제 약 등을 극복하기 위한 성과관리 체계 구축 - 자산형성사업의 성과 분석은 사업 자체에 대한 성과보다는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 사후관리 과정에서 산출되는 성과가 더 의미가 클 수 있음 - 전통적인 효율성 및 효과성 중심의 성과관리 체계보다는 참여자 관리 등 성과 관리와 연계한 성과 측정 체계와 지표 활용 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 체계 및 지표 (1)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 평가 방향 ○ 일하는 청년통장의 성과평가는 부여된 미션 및 목표와 비교하여 사업 운영의 효과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30 능률성, 대응성, 적시성 등이 어떠하였는가를 평가하는 체계로 추진 - 평가를 통해 운영과정에 대한 수정・보완에 대한 개선, 참여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 수준, 재정투입에 따른 결과 및 효과 검증 등을 파악함으로써 사업의 질 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추진 - 사업을 평가하는 방법은 크게 투입되는 자원에 비해 어느 정도 성과가 있는가 를 평가하는 방법과 정책사업의 프로세스를 추적하여 각 단계별 성과지표를 추출하는 것임 ・ 전자는 주로 경제학적 분석방법이 이용되며, 주로 성과분석에 집중하여 정책 사업을 위 한 투입자원의 성과(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목적임 ・ 후자는 정책 사업이 공공성을 지닌다는 특성상 그 결과에만 치중하지 않고, 사업의 전 과정에 걸쳐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유도하기 위해 진행되는 방법으로, 주로 각 사업의 각 단계에 참여하는 관련 당사자를 대상으로 논리적인 질문을 통해 정책사업의 효과를 측 정하는 것이 목적임 ○ 일하는 청년통장의 성과평가를 위한 모형은 과정평가, 결과평가, 영향평가, 비용편익 평가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 적용되는 평가영역은 과정평가로 한정함 - 과정평가는 사업이 의도되어진 대로 진행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으로, 참 여자의 태도변화가 발생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증하는 성격이 강함 - 사업이 완료된 이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에 대한 결과평가 및 영향평가에 대 해서는 추후 별도의 과정을 통해 진행 ・ 일하는 청년통장의 기대목적과 달성된 목적이 일치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았던 결과를 포함하여 결과(outcome)와 산출(output) 등을 측정함으로써 사업의 효과 성을 평가할 뿐만 아니라 결과가 달성되는 과정까지 평가함 자료:국가보훈처(2004:35) 자료를 일부 수정 <그림 Ⅱ-1> 일하는 청년통장사업 운영과정과 평가 내용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31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크게 “계획 및 집행단계”와 “성과단계”로 구분하여 평가를 진행하고 계획의 집행단계는 사업과 주체 중심으로, 성과단계는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 평가 진행 - 계획 및 집행단계의 평가는 계획 대비 목표 도달, 성과 산출 등 사업 및 운영기 관을 중심으로 효과성과 효율성을 평가하고, 성과단계는 참여자의 변화 등 참 여자를 대상으로 효과성을 평가 ・ 일하는 청년통장의의 성과 평가대상은 참여자이며, 직접적인 성과는 일자리 유지 수준, 통장 적립수준, 참여자 대비 해지 비율 등을 이용하여 효과성을 평가 ・ 반면, 간접적인 성과는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변화 및 개선정도 등을 평가 <그림 Ⅱ-2>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평가 단계와 평가 항목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추진과정을 기준으로 성과 평가의 관점은 크게 4가지의 관점으로 구분 가능하며, 성과단계의 효과성 관점을 중심으로 성과 분석 - 필요성은 사업 목표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점검하는 관점 ・ 사업의 목적에 비추어볼 때, 대상의 적절한 선정 여부, 일자리 유지,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등 사업 내용의 타당성, 사업목표의 실현가능성 여부 등을 점검 - 효율성은 계획 입안, 사업의 행정적 집행 절차 및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점검 하는 관점 ・ 재정 등 자원 활용의 효율적 배분 여부, 사업 추진을 위한 집행절차 및 전달체계의 효율성 여부 등을 점검 - 효과성은 사업 시행에 기대되는 결과를 얻고 있는가를 점검하는 관점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32 ・ 사업 목적에 부합하는 사업 성과 도출 여부, 빈곤계층 전락 예방 여부, 일자리 유지 수준,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변화 정도 등을 점검 - 시의성은 평가대상 사업이 시의적으로 적절한가를 보는 관점 ・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사업의 시의적인 적절성 여부, 유사정책과의 중복성 등을 점검 -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평가단계와 평가관점은 다음과 같은 관계 설정을 통해 성과분석을 진행 ・ 필요성 평가는 주로 계획 단계의 평가에 해당되며, 효율성은 계획, 집행, 성과 단계를 모두 포괄하고 있으나, 집행단계에서 집중적으로 적용됨. 효과성은 성과단계에서 주로 점검하며, 시의성은 계획과 집행단계에 적용됨 ・ 일하는 청년통장에 대한 과정평가 측면에서 적용되는 단계는 성과단계이며, 적용해야 할 평가관점은 효과성을 중심으로 성과분석을 진행 평가주체 평가단계 평가 기준 필요성 효율성 효과성 시의성 전문가 평가 계획/집행 단계 계획 ◎ ○ ○ 집행 ◎ 성과 단계 ○ ○ ◎ ○ 수요자 평가 ○ ◎ ◎ ○ 주) ◎:매우 중요, ○:중요, △:보통 자료:한국노동연구원(2005:133) <표 Ⅱ-14> 평가주체, 평가단계 및 평가기준의 중요도 (2)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 주요 지표 □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 지표의 선정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을 평가하기 위한 성과평가지표를 만들기 위해서는 자산형성 지원 사업의 기대효과를 바탕으로 성과분석 지표를 개발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역시 근간은 자산형성사업에 기초하고 있으나, 저소득 층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자산형성사업을 성과측정 지표를 그대로 준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부 항목 및 지표에 대해서는 수정・보완을 통해 활용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의 시기별 사업 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으로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계량화가 가능하고, 사업 목적을 반영할 수 있는 성과평가 지표를 선정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33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참여자 변화 등의 단・중기적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Sherraden(1991)이 제시하고 있는 자산형성 지원사업의 기대효과를 중심으로 수정・보완 ・ 자산형성지원 사업의 성과분석을 위한 지표는 Sherraden(1991)의 자산형성지원사업의 기대효과를 큰 틀로 하위 항목들을 수준별로 구성한 후, 사업의 추진 목적, 기존의 자산 형성지원사업의 성과 분석 지표를 활용하여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들로 재구성 - 특히,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이 진행 중임을 감안하여 사업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항목으로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변화 항목을 정하고, 각 항목 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는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지표, 경제적 스트레스 지 표, 개인의 금전성향 지표, 개인의 자아존중감 및 행복수준 지표로 설정 - 성과 측정을 위한 주요 설문 문항은 새롭게 개발하기보다는 국내・외 자산형성 프로그램 성과 측정에 활용된 설문 항목들을 선별하여 활용 ・ 검증된 문항을 활용하는 것은 별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의 절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동일한 업무의 반복을 방지하고 연구 전반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용이함 ・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유사한 연구들의 조사 자료와 종단적・횡단적 분석 결과의 비교・분석이 용이 □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지표 ○ 일하는 청년통장의 성과 분석 지표는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구성 - 직접적 효과는 자산형성 변화, 일자리 유지, 만기적립 비율 및 중도해지 비율 등으로 설정 ・ 자산형성과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참여자의 소득, 저축액, 부채상환 등 재무구조 등 참 여자의 경제적 수준을 분석 ・ 일하는 청년이 해당 사업의 대상자이기 때문에 현재 일자리 유지 비율, 이직 비율 등 참여자의 근로활동 현황을 분석 ・ 참여자의 중도해지 등 통장 유지 관련 수준을 분석 - 간접적 효과는 합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변화, 금전성향에 대한 인식 변화, 심리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 등 심리적 변화, 경제적 자립의지 등으로 설정 ・ 사업 참여를 통해 이수하게 되는 교육, 사후관리 상담 및 컨설팅 등을 통해 참여자의 합 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 변화, 금전성향에 대한 인식 변화 정도를 분석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34 ・ 참여자의 행복 수준, 자아존중감 등 심리적 지지에 대한 변화 정도와 경제적 요인으로 인하여 받는 스트레스 수준 등을 분석 <그림 Ⅱ-3>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 목표와 지표의 관계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 분석 지표 외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에 대한 만족도, 사업 참여 이후 이직의사 감소 등 사업에 대한 만족도 및 유용성 등을 측정 -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측정 지표는 크게 6개 분야, 12개 영역을 중심으로 관련 설문 문항을 구성 - 대부분의 설문항목은 기존의 연구에서 활용된 문항들과 유사연구에서 활용된 문항을 선별하여 활용 ○ 자산형성 측정 설문 항목 - 자산형성과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소득, 저축액, 부채상환액 등 참여자의 재무 수준을 분석 ○ 일자리 유지 측정 설문 항목 - 참여자의 직업변경, 실업 경험 여부 등 일자리 유지 및 근로단절 기간 등을 분석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35 ○ 빈곤 예방 - 빈곤을 예방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부채 총액, 소득 대비 부채 상환비율 등을 분석 ○ 재무관리 - 참여자의 재무관리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합리적 소비 성향, 저축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 ・ 재무관리 역량은 참여자들의 재무관리, 저축‧투자 등 소비와 관련하여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살펴보기 위한 측정 지표 - 참여자의 재무관리 수준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 문항은 O’Neill(2003)의 자 산형성지원 사업성과 측정을 위한 설문 문항을 재구성하여 설문문항으로 활용 - 또한, 참여자의 경제적 상황에 따른 대응 수준을 진단하고, 금융・재무 교육, 금융・재무 상담 및 컨설팅을 통해 인식의 변화 측정하기 위한 설문 문항은 Prawitz et al.(2006)과 Aldana & Liljenquist(1998)의 설문 문항을 활용 구분 측정 수준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 4점 척도로 측정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돈(약 100만원)이 준비되어 있다 4점 척도로 측정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 4점 척도로 측정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4점 척도로 측정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다. 4점 척도로 측정 나의 자산현황을 잘 알고 있다 4점 척도로 측정 향후 5-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다 4점 척도로 측정 <표 Ⅱ-15> 참여자의 재무관리 수준 측정 항목 - 참여자의 경제적 상황에 대한 인식은 현재 상황과 교육, 상담 및 컨설팅을 통 해 변화된 수준의 측정을 통해 참여자의 변화 정도를 성과로 측정 ・ 경제적 스트레스와 관련해서는 Prawitz et al.(2006)에 의해 개발된 InCharge Finacila Distress / Financial Well-Being Scale(10점 척도)와 Aldana & Liljenquist(1998)가 제 시한 Financial Strain Scale 척도를 활용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36 구분 측정 수준 오늘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 4점 척도로 측정 나의 재정 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4점 척도로 측정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 4점 척도로 측정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적 긴장감이 크다. 4점 척도로 측정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 4점 척도로 측정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 4점 척도로 측정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았다. 4점 척도로 측정 <표 Ⅱ-16> 참여자의 경제적 여건에 인식 변화 측정 항목 ○ 금전성향 - 참여자의 금전에 대한 믿음과 소비 행동 등에 대한 인식 변화 수준을 분석 ・ 금전성향은 참여자의 금전에 대한 믿음과 행동의 기본적 성향이 교육, 상담 및 컨설팅 등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고 개선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측정 지표임 - 금전성향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 항목은 Furnham(1984)과 Klontz, Mentzer, Britt & Klontz(2011) 연구의 설문문항을 활용하여 측정 구분 측정 수준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일을 하거나 가격할인을 하면 구매한다. 4점 척도로 측정 일에 대한 만족도보다는 연봉을 더 중시한다. 4점 척도로 측정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자 내가 원치 않거나 불필요한 물건들을 구매하기도 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은 필수품에 돈을 쓰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낀다. 4점 척도로 측정 내가 물건을 구입할 때마다 판매자가 나로 인하여 이익을 얻는 다는 것을 ‘알고’있다. 4점 척도로 측정 나 자신에게는 인색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바보스러울 정도로 돈을 쓴다. 4점 척도로 측정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는 그걸 살만한 여유가 없어’라고 말한다. 4점 척도로 측정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니에 돈이 얼마 있는지를 알고 있다. 4점 척도로 측정 지출 규모에 상관없이, 지출 결정을 하는 것은 어렵다. 4점 척도로 측정 물건을 살 때 늘 흥정하거나 깎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다른 사람들에게 신세지는 것이 싫어 식당이나 영화관 등에서 항상 내 몫이상의 것을 지 불하려고 한다. 4점 척도로 측정 선택이 가능하다면, 월급(매월임금지급)보다 주급(매주임금지급)을 선호한다. 4점 척도로 측정 신용카드보다 현금사용을 선호한다. 4점 척도로 측정 <표 Ⅱ-17> 참여자의 금전성향 측정 항목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37 구분 측정 수준 은행계좌에 돈이 얼마 있는지 늘 알고 있다. 4점 척도로 측정 지난달 수입중 덜 쓰고 남은 돈이 있다면, 그것을 모두 써야 직성이 풀린다. 4점 척도로 측정 경제적 측면에서 관대해짐으로써 친구들로부터 우정을 ‘산다’. 4점 척도로 측정 나 보다 돈이 많은 사람들에게 열등감을 느낀다. 4점 척도로 측정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들을 통제하거나 위협하기 위해 돈을 사용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나 보다 돈이 없는 사람들(능력이나 성취와 상관없이)에 대해 우월감을 느낀다. 4점 척도로 측정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4점 척도로 측정 내 개인적인 재정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하다. 4점 척도로 측정 어떤 것을 구매하든 나의 첫 번째 고려사항은 가격이다. 4점 척도로 측정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무례하다고 생각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만일 다른 사람들보다 물건을 더 비싸게 샀다면, 나 자신에게 실망할 것 같다. 4점 척도로 측정 나는 종종 돈을 경멸하며, 돈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멸시한다. 4점 척도로 측정 경제적 위기에 대한 대비차원에서 저축을 선호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내가 저축한 돈은 결코 충분하지 않다. 4점 척도로 측정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것이다. 4점 척도로 측정 나는 돈이 모든 악의 근원이라고 생각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나는 돈을 주고 산 것 만 가질 수 있다고 믿는다. 4점 척도로 측정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4점 척도로 측정 돈에대한나의태도는우리부모와아주유사하다. 4점 척도로 측정 개인의 소득수준은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비례한다고 생각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금(전화, 수도세, 전기세 등)을 지불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돈을 버는데 사용되지 않는 시간은 낭비된 시간이라고 믿는다. 4점 척도로 측정 계산서의 금액이 과도하게 부과되었다는 생각이 들어도 종업원과 언쟁하기 싫어 청구된 대로 다 지급한다. 4점 척도로 측정 우울할 때는 종종 나 자신을 위해 돈을 쓴다. 4점 척도로 측정 돈을 빌려 간 사람에게 그것을 갚으라고 이야기하기 망설여진다. 4점 척도로 측정 정말 어쩔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은행을 제외한 다른 사람들에게 돈을 빌리고 싶지 않다. 4점 척도로 측정 나는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주기를 선호하지 않는다. 4점 척도로 측정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유복하다고 생각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돈을 많이 벌수 있다면, 불법적인 것을 제외한 어떤 일이든 할 것이다. 4점 척도로 측정 음식이나 꽃보다는 재산이 될 수 있는 것들에 돈을 쓰는 것을 좋아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나의 경제적 성취(임금, 부, 투자 등)에 자부심을 느끼며, 내 친구들에게 이를 알려준다. 4점 척도로 측정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38 구분 측정 수준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난하다고 생각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 4점 척도로 측정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상태를 알리지 않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믿는다. 4점 척도로 측정 배우자 또는 애인, 친구, 가족 등과 돈 문제로 종종 싸운다. 4점 척도로 측정 개인의 봉급이 이들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지표라고 믿는다. 4점 척도로 측정 내 직업을 고려할 때 나의 현재 수입은 내가 받아야할 적당한 수준이다. 4점 척도로 측정 내 친구들 대부분은 내가 가진 것보다 더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 4점 척도로 측정 내 재정상태에 대한 나의 통제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다른 사람들 보다 내가 돈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한다고 믿는다. 4점 척도로 측정 내 재정 상태에 대해 아주 많이 걱정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돈이 생기면 무엇을 할지에 대해 자주 상상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나는 거지나 술 취한 사람들이 돈을 요구할 때 돈을 거의 주지 않는다. 4점 척도로 측정 나는 돈을 저축하는 내 능력이 자랑스럽다. 4점 척도로 측정 우리나라에서 돈은 사람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다. 4점 척도로 측정 ○ 심리적 지지 - 심리적지지 상황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참여자의 현재 행복 수준, 자아존중감 수준을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긍정적 효과 중 하나는 경제적‧심리적 안정감, 삶에 대한 만족도 등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관련 설문 문항을 통해 분석 필요 - 심리적지지 측정은 크게 행복 수준과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측정하며, 행복 수준은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의 행복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행복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 문항을 활용 ・ 행복지수는 개인적 측면과 집단 측면을 종합적으로 측정할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측면에서의 행복 수준을 중심으로 측정 구분 측정 수준 귀하는 얼마나 행복하십니까? 1:매우 불행, 10:매우 행복 <표 Ⅱ-18> 참여자의 행복 수준 측정 항목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평가 체계 및 지표 39 - 자아존중감은 정책행위와 저축 과정에서의 자기통제, 성취감 등을 측정할 수 있는 Rosenburg(1965)의 자아존중감 측정 설문 문항을 활용 ・ 자아존중감은 개인의 행복과 불안, 심리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심리적 변화 요인으로 개인의 심리적 적응 수준을 알기 위해서는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정옥분, 2003) 구분 측정 수준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들만큼은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나는 나에게 좋은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4점 척도로 측정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4점 척도로 측정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4점 척도로 측정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다 4점 척도로 측정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4점 척도로 측정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나 자신이 만족스럽다. 4점 척도로 측정 나는 나 자신을 보다 더 존중할 수 있으면 하고 생각한다. 즉, 나는 평소 나 자신에 대한 존중감이 낮은 편이다. 4점 척도로 측정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4점 척도로 측정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4점 척도로 측정 <표 Ⅱ-19> 참여자의 자아존중감 측정 항목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1. 개요 2.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3. 소결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43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1. 개요 □ 성과분석의 대상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분석 대상은 2016년 1차 사업, 2016년 2차 사업에 참여한 1,500명(1차 500명, 2차 1,000명)임 - 각각의 사업대상자는 동일인을 대상으로 사전조사와 사후조사가 진행되었으 며, 최종분석 대상은 사후조사에 응답한 참여자를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 ・ 2016년 1차 사업 참여자의 경우 사전・사후 변화에 대한 분석은 최종적으로 132명을 대상 으로 진행 ・ 2017년 2차 사업 참여자의 경우 사전・사후 변화에 대한 분석은 최종적으로 392명을 대 상으로 진행 구분 1차 조사 2차 조사 3차 조사 1차 참여자(500명) 491명 326명 132명 2차 참여자(1,000명) 979명 392명 - <표 Ⅲ-1> 일하는 청년통장 조사 대상 현황 - 2016년 1차 사업의 경우 참여자의 사전・사후 분석을 위한 표본 수는 132명이고, 2017년 2차 사업의 경우 참여자의 사전・사후 분석을 위한 표본 수는 392명임 ・ 2016년 1차 사업의 경우, 2차 조사 및 분석도 진행되었으나, 최종적인 사전・사후 성과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보고서 분석은 최종적으로 시행한 3차 조사의 대상을 중심으로 사전・사후 분석 진행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44 <그림 Ⅲ-1> 일하는 청년통장 분석 표본 추출 과정 □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 자료수집 - 분석을 위한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사전 조사는 최종 참여자 선정 후 진행되는 약정식을 통해 수집 - 사후조사는 개별 우편을 이용하여 설문조사 진행 ○ 분석방법 - 빈도분석 등 기술분석, 대응표본 평균분석, 비모수 순위검증(Wilcoxon Test) 을 통해 사전・사후 비교 분석 ・ 분석 과정에서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 분석 등을 활용하여 분석 진행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45 □ 분석의 주요 내용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재무구조 - 월평균 소득(세후), 월평균 저축액, 월평균 부채상환액, 총 저축액, 총 부채액, 소득대비 저축비율, 소득대비 부채상환율 등 재무 분석 ○ 참여자의 사회적・심리적・경제적 변화 - 참여자의 재무 관리,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 금전성향, 행복수준, 자존감 등 사회적・경제적・환경적 변화에 대한 변화 수준 진단 ○ 참여자의 근로 활동유지 및 정책 만족도 측정 - 참여자의 직업변경 및 실업 경험 등 일자리유지와 청년통장에 대한 만족도, 참여자 선정 이후 이직 감소 등 개인 변화 수준 진단 2.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1)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성과 분석 (1) 사전집단 분석 □ 인구사회학적 특성 ○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48.3%, 여성이 51.7%로 성비의 차 이는 거의 없었으나, 연령 및 학력의 경우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연령을 살펴보면, 25세 이하가 39.3%, 26세~30세 28.2%, 31세 이 상이 32.5%로 나타났고, 고졸 49.0%, 대졸 47.3%, 대학원이 1.2%로 나타남 - 우리나라 25∼34세 사이의 전체 청년 대졸 비율이 66%(OECD, 2014)1)라는 점 에서 청년통장사업 참여자의 학력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한다고 볼 수 있음 1) OECD. 2014. 『Education at a Glance』.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46 - 청년계층의 주거여건을 살펴보면, 월세 비율이 39.0%, 전세와 공공임대 거주 비율이 각각 21.5%, 22.9%로 나타났고, 자가 거주 비율은 5.0% 수준으로 나 타나고 있음.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주거안정성은 낮고, 주거비에 대한 부담 은 큰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 가구원수(본인 포함)는 4명이 35.8%로 가장 많았고, 3명이 25.6%, 5명이 21.8%였으며, 1인가구은 3.3%에 그침 구분 내용 빈도(명) 백분율(%) 성별 남자 237 48.3 여자 254 51.7 합계 491 100.0 연령 25세 이하 191 39.3 26-30세 137 28.2 31세 이상 158 32.5 합계 486 100.0 학력수준 무학 12 2.5 고졸 239 49.0 대졸 231 47.3 대학원졸 6 1.2 합계 488 100.0 혼인상태 미혼 314 64.3 기혼 159 32.6 이혼 15 3.1 합계 488 100.0 주거점유 형태 자가 24 5.0 전세 104 21.5 월세 189 39.0 공공임대 111 22.9 기타 56 11.6 합계 484 100.0 가구원 수 (본인 포함) 1 16 3.3 2 43 8.9 3 123 25.6 4 172 35.8 5 105 21.8 6명 이상 22 4.5 합계 481 100.0 <표 Ⅲ-2>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47 □ 참여자의 경제적 특성 ○ 참여자의 경제적 특성을 살펴보면,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채무불이행자 등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이 다수 참여 - 참여자 467명 중 중 약 9.0%는 기초생활수급자(일반 수급자, 조건부 수급자) 이고, 17.3%는 차상위 계층인 것으로 나타남 ・ 전체 참여자 중 약 26.3%는 일반수급자 등 취약계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 - 현재 본인이 채무불이행자인 경우가 8.3%, 과거 채무불이행 경험자가 22.6% 로서, 시점은 다르지만 전체 참여자 중에서 30.9%는 채무불이행의 경험이 있 는 청년으로 나타남 ・ 본인 이외의 가구원 중 현재 채무불이행자가 있는 경우가 17.3%였으며, 과거 채무불이행을 경험한 가구원이 있는 경우가 27.8%로, 약 45.1%의 채무 불이행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들의 소득활동 상태를 보면, 상용직이 70.6%로 매우 많았고, 나머지는 임시직 19.6%, 일용직 1.2%, 자영업 7.8% 등으로 나타났음 구분 내용 빈도(명) 백분율(%) 기초수급자 여부 일반 수급자 25 5.4 조건부 수급자 17 3.6 차상위계층 81 17.3 해당없음 344 73.7 합계 467 100.0 본인 채무불이행 경험 현재 채무불이행자 40 8.3 과거 채무불이행자 109 22.6 해당없음 334 69.2 합계 483 100.0 본인 외 가구원 채무불이행 경험 현재 채무불이행자 82 17.3 과거 채무불이행자 132 27.8 해당없음 260 54.9 합계 474 100.0 본인 소득활동 참여 상태 상용직 345 70.6 임시직 96 19.6 일용직 6 1.2 자영업 38 7.8 기타 4 .8 합계 489 100.0 <표 Ⅲ-3>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경제적 특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48 □ 참여자의 재무구조 ○ 참여자의 재무구조를 살펴보면, 보유금액 수준은 낮고, 부채부담이 큰 것으로 분석되 고 있어, 이는 경제적인 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 월평균 소득(세후 기준)은 159.4만원, 월평균 저축액은 27.5만원, 총 부채액은 1,485만원으로 분석 ・ 참여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저축금액은 287.1만원으로 해당 금액은 2개월 치 참여자의 월 평균 소득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경제적으로 돌발 상황이 발생 하였을 경우,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 ・ 부채는 1,485만원으로 평균 9개월에 해당하는 소득보다 많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 - 또한, 참여자들은 매월 월평균소득의 17.8%를 저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약 19.3%는 저축의 용도를 부채상환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 ・ 개인의 근로소득 중 저축금액보다 부채상환에 대한 비율이 높은 경우는 경제적 불안과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가중 시킬 가능성이 높음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본인 월평균 소득(세후) 483 159.4 54.5 본인 월평균 저축 470 27.5 29.5 본인 총 저축액 453 287.1 626.4 본인 월평균 부채상환액 459 30.8 64.7 본인 총 부채액 458 1,485.1 2,166.3 소득대비저축비율 468 17.8 18.1 소득대비부채상환비율 458 19.3 44.2 <표 Ⅲ-4>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재무구조 □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중 금전적인 부분으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이 매우 높고, 본 인의 재정상태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7개 설문항목 중 6개 항목에 대해 만족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 특히, “오늘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92.0%, “나의 재정상태에 대한 만족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49 도가 낮다.”90.0%,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89.2%,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적 긴장감이 크다.”84.0%, “공과금 및 세부 납부, 대출금 상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62.5%의 순으로 나타났음 - 또한 경제적인 부분으로 인하여 가족이나 친구 등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어려움에 직면한 참여자들도 상당 수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 ・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는 참여자가 60.0%였으며,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았다.”는 참여자가 22.2%인 것으로 분석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오늘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 3(0.6) 36 (7.3) 275 (56.0) 177 (36.0) 491 (100.0) 나의 재정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6(1.2) 43 (8.8) 276 (56.2) 166 (33.8) 491 (100.0)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 6(1.2) 47 (9.6) 246 (50.1) 192 (39.1) 491 (100.0)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적 긴장감이 크다 9 (1.8) 70 (14.2) 234 (47.7) 178 (36.3) 491 (100.0)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 37 (7.6) 147 (30.0) 211 (43.1) 95 (19.4) 490 (100.0)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 34(6.9) 162 (33.1) 213 (43.5) 81 (16.5) 490 (100.0)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았다 129 (26.3) 248 (50.5) 91 (18.5) 23 (4.7) 491 (100.0) 주:Cronbach's α=.827 <표 Ⅲ-5>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 □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 참여자의 대부분은 주거유지와 긴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여유자금을 충분히 확보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본인의 자산현황이나 계획소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성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상당수가 주거유지 등 생활유지,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대응할 수 있는 경제적 역량을 충분히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50 ・ 참여자의 약 82.4%는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분한 재원을 갖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고,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할 수 있는 긴급자원도 확보되지 않은 비율이 70.1%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어, 참여자 4명 중 3명은 근로 중단으로 인한 소득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대출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는 것으로 분석 - 자산현황에 대한 인지, 소비나 저축에 대한 계획 수립 등과 관련하여 긍정적으로 응답한 참여자의 비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계획소비나 저축 실행, 수입 증가 에 따른 저축 증액 등 실천적인 측면에서의 역량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 중 89.5%는 본인의 자산현황에 대해 잘 알고 있고, 74.6%는 소비나 저축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그러나 실제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는 참여자는 63.4%, 수입 증가에 따른 저축금액을 증액한 참여자는 63.2%로 계획대비 실행력 수준은 다소 미흡 ・ 특히, 소비나 계획을 가진 참여자에 비해 5년~10년 간 발생할 지출에 대한 계획을 수립한 참여자의 비율은 39.2% 수준으로 중・장기적인 계획은 미흡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들의 재무역량 수준 분석 결과, 돌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예비 재원을 확보하고 있지 못한 청년들이 대부분이라는 부분은 소비계획이나 저축 방식에 대한 문제가 있거나, 현재 참여자가 운용하고 있는 자산 운영체계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하여 참여자들의 자산형성을 방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음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 126 (25.8) 276 (56.6) 78 (16.0) 8 (1.6) 488 (100.0)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돈(약 100만원) 이 준비되어 있다 177 (36.3) 165 (33.8) 126 (25.8) 20 (4.1) 488 (100.0)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 20(4.1) 105 (21.5) 293 (60.0) 70 (14.3) 488 (100.0)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34(7.0) 144 (29.6) 254 (52.2) 55 (11.3) 487 (100.0)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다 36(7.4) 142 (29.1) 231 (47.3) 79 (16.2) 488 (100.0) 나의 자산현황을 잘 알고 있다 10(2.1) 41 (8.4) 297 (61.0) 139 (28.5) 487 (100.0) 향후 5-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해 미 리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다 81 (16.6) 216 (44.2) 159 (32.6) 32 (6.6) 488 (100.0) 주:Cronbach's α=.751 <표 Ⅲ-6>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재무관리 역량 수준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51 □ 참여자의 금전성향 ○ 참여자들의 돈에 대한 신념과 행위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자신의 경제적 상황 및 돈에 대한 통제력과 소비에 대한 자기결정권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들의 금전성향 분석 결과, 자신의 경제적 상황과 금전에 대한 통제력 부족에 대한 부정적 성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의 경제적 상황을 감추려 는 성향과 소비에 대한 자기결정권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소비・지출과 관련하여 “지출규모에 상관없이, 지출 결정을 하는 것은 어렵다” 라고 응답한 비율이 64.2%로 나타났고, ・ 경제적 위기에 대한 대비차원에서 저축을 선호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참여자의 92.6%는 “내가 저축한 금액은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 ・ 또한, 참여자의 대부분은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 상태를 알지지 않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믿는다”라는 응답에 68.9%가 “그렇다”라고 응답하였고, “내 개 인적인 재정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하다”라는 응답에 64.5%가 “그렇다”라고 응답 한 것을 볼 때, 참여자의 경제적 상황을 감추려는 성향이 큰 것으로 나타남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일을 하거나 가 격할인을 하면 구매한다. 96 (19.7) 252 (51.6) 129 (26.4) 11 (2.3) 488 (100.0) 일에 대한 만족도보다는 연봉을 더 중시한다. 37(7.6) 217 (44.5) 193 (39.5) 41 (8.4) 488 (100.0)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자 내가 원 치 않거나 불필요한 물건들을 구매하기도 한다. 165 (34.0) 272 (56.0) 48 (9.9) 1 (.2) 486 (100.0)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은 필수품에 돈을 쓰 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낀다. 69 (14.1) 252 (51.6) 155 (31.8) 12 (2.5) 488 (100.0) 내가 물건을 구입할 때마다 판매자가 나로 인하여 이익을 얻는 다는 것을 ‘알고’있다. 12 (2.4) 95 (19.5) 304 (62.3) 77 (15.8) 488 (100.0) 나 자신에게는 인색하지만, 다른 사람들에 게는 바보스러울 정도로 돈을 쓴다. 115 (23.6) 234 (48.0) 122 (25.0) 17 (3.5) 488 (100.0)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는 그걸 살만 한 여유가 없어’라고 말한다. 36 (7.4) 180 (36.9) 222 (45.5) 50 (10.2) 488 (100.0)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니에 돈이 얼마 있는 지를 알고 있다. 7 (1.4) 52 (10.7) 303 (62.1) 126 (25.8) 488 (100.0) <표 Ⅲ-7>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금전성향 수준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52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지출 규모에 상관없이, 지출 결정을 하는 것은 어렵다. 28 (5.7) 147 (30.1) 259 (53.1) 54 (11.1) 488 (100.0) 물건을 살 때 늘 흥정하거나 깎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37 (7.6) 237 (48.9) 177 (36.5) 34 (7.0) 485 (100.0) 다른 사람들에게 신세지는 것이 싫어 식당 이나 영화관 등에서 항상 내 몫이상의 것을 지불하려고 한다. 47 (9.7) 187 (38.4) 207 (42.5) 46 (9.4) 487 (100.0) 선택이 가능하다면, 월급(매월임금지급)보 다 주급(매주임금지급)을 선호한다. 190 (39.0) 219 (45.0) 66 (13.6) 12 (2.5) 487 (100.0) 신용카드보다 현금사용을 선호한다. 69(14.1) 156 (32.0) 184 (37.7) 79 (16.2) 488 (100.0) 은행계좌에 돈이 얼마 있는지 늘 알고 있다. 4(.8) 68 (14.0) 273 (56.1) 142 (29.2) 487 (100.0) 지난달 수입중 덜 쓰고 남은 돈이 있다면, 그것을 모두 써야 직성이 풀린다. 244 (50.1) 195 (40.0) 43 (8.8) 5 (1.0) 487 (100.0) 경제적 측면에서 관대해짐으로써 친구들로 부터 우정을 ‘산다’. 157 (32.1) 260 (53.2) 71 (14.5) 1 (.2) 489 (100.0) 나 보다 돈이 많은 사람들에게 열등감을 느 낀다. 95 (19.4) 218 (44.5) 156 (31.8) 21 (4.3) 490 (100.0)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들을 통제하거나 위 협하기 위해 돈을 사용한다. 306 (62.4) 174 (35.5) 10 (2.0) 0 (.0) 490 (100.0) 나 보다 돈이 없는 사람들(능력이나 성취와 상관없이)에 대해 우월감을 느낀다. 280 (57.3) 184 (37.6) 21 (4.9) 1 (.2) 489 (100.0)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105 (21.4) 184 (37.5) 161 (32.8) 41 (8.4) 491 (100.0) 내 개인적인 재정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 하다. 34 (6.9) 140 (28.9) 236 (48.2) 80 (16.3) 490 (100.0) 어떤 것을 구매하든 나의 첫 번째 고려사항 은 가격이다. 13 (2.6) 113 (23.0) 261 (53.2) 104 (21.2) 491 (100.0)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무례하 다고 생각한다. 22 (4.5) 152 (31.1) 251 (51.4) 63 (12.9) 488 (100.0) 만일 다른 사람들보다 물건을 더 비싸게 샀 다면, 나 자신에게 실망할 것 같다. 31 (6.3) 183 (37.3) 230 (46.8) 47 (9.6) 491 (100.0) 나는 종종 돈을 경멸하며, 돈을 가지고 있 는 사람들을 멸시한다. 231 (47.0) 215 (43.8) 40 (8.1) 5 (1.0) 491 (100.0) 경제적 위기에 대한 대비차원에서 저축을 선호한다. 6 (1.2) 68 (13.8) 305 (62.1) 112 (22.8) 491 (100.0)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53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내가 저축한 돈은 결코 충분하지 않다. 6(1.2) 30 (6.1) 239 (48.7) 215 (43.9) 490 (100.0)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것이다. 129 (26.3) 227 (46.3) 105 (21.4) 29 (5.9) 490 (100.0) 나는 돈이 모든 악의 근원이라고 생각한다. 143(29.1) 225 (45.8) 93 (18.9) 30 (6.1) 491 (100.0) 나는 돈을 주고 산 것 만 가질 수 있다고 믿는다. 124 (25.3) 230 (46.8) 114 (23.2) 23 (4.7) 491 (100.0)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39(8.0) 81 (16.5) 250 (51.0) 120 (24.5) 490 (100.0) 돈에대한나의태도는우리부모와아주유사 하다. 82 (16.7) 214 (43.6) 178 (36.3) 17 (3.5) 491 (100.0) 개인의 소득수준은 개인의 능력과 노력 에 비례한다고 생각한다. 46 (9.4) 171 (34.9) 222 (45.3) 51 (10.4) 490 (100.0)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금(전화, 수도 세, 전기세 등)을 지불한다. 10 (2.0) 89 (18.2) 270 (55.3) 119 (24.4) 488 (100.0) 돈을 버는데 사용되지 않는 시간은 낭비 된 시간이라고 믿는다. 180 (36.7) 242 (49.4) 58 (11.8) 10 (2.0) 490 (100.0) 계산서의 금액이 과도하게 부과되었다는 생각이 들어도 종업원과 언쟁하기 싫어 청구된 대로 다 지급한다. 165 (33.6) 251 (51.2) 67 (13.7) 7 (1.4) 490 (100.0) 우울할 때는 종종 나 자신을 위해 돈을 쓴다. 53 (10.8) 139 (28.3) 261 (53.2) 38 (7.7) 491 (100.0) 돈을 빌려 간 사람에게 그것을 갚으라고 이야기하기 망설여진다. 69 (14.1) 150 (30.5) 223 (45.4) 49 (10.0) 491 (100.0) 정말 어쩔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은행을 제외한 다른 사람들에게 돈을 빌 리고 싶지 않다. 11 (2.2) 46 (9.4) 202 (41.1) 232 (47.3) 491 (100.0) 나는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주기를 선호 하지 않는다. 16 (3.3) 97 (19.8) 233 (47.5) 145 (29.3) 491 (100.0)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유복하 다고 생각한다. 126 (25.7) 264 (53.8) 89 (18.1) 12 (2.4) 491 (100.0) 돈을 많이 벌수 있다면, 불법적인 것을 제외한 어떤 일이든 할 것이다. 135 (27.5) 157 (32.0) 145 (29.5) 54 (11.0) 491 (100.0) 음식이나 꽃보다는 재산이 될수 있는 것 들에 돈을 쓰는 것을 좋아한다. 37 (7.7) 217 (45.1) 194 (40.3) 33 (6.9) 481 (100.0) 나의 경제적 성취(임금, 부, 투자 등)에 자부심을 느끼며, 내 친구들에게 이를 알 려준다. 117 (24.2) 268 (55.5) 91 (18.8) 7 (1.4) 483 (100.0)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난하다고 생각 한다. 30 (6.2) 168 (34.7) 226 (46.7) 60 (12.4) 484 (100.0)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54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 101(20.9) 348 (71.9) 32 (6.6) 3 (.6) 484 (100.0)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상태 를 알리지 않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믿 는다. 28 (5.8) 122 (25.3) 259 (53.6) 74 (15.3) 483 (100.0) 배우자 또는 애인, 친구, 가족 등과 돈 문제 로 종종 싸운다. 111 (23.0) 210 (43.5) 143 (29.6) 19 (3.9) 483 (100.0) 개인의 봉급이 이들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지표라고 믿는다. 69 (14.3) 234 (48.6) 158 (32.8) 20 (4.2) 481 (100.0) 내 직업을 고려할 때 나의 현재 수입은 내 가 받아야할 적당한 수준이다. 54 (11.2) 226 (46.9) 196 (40.7) 6 (1.2) 482 (100.0) 내 친구들 대부분은 내가 가진 것보다 더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 14 (2.9) 142 (29.5) 282 (58.5) 44 (9.1) 482 (100.0) 내 재정상태에 대한 나의 통제력이 부족하 다고 생각한다. 51 (10.6) 199 (41.3) 200 (41.5) 32 (6.6) 482 (100.0) 다른 사람들 보다 내가 돈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한다고 믿는다. 35 (7.3) 194 (40.3) 219 (45.5) 33 (6.9) 481 (100.0) 내 재정 상태에 대해 아주 많이 걱정한다. 10(2.1) 88 (18.2) 266 (55.1) 119 (24.6) 483 (100.0) 돈이 생기면 무엇을 할지에 대해 자주 상상 한다. 14 (2.9) 56 (11.6) 269 (55.7) 144 (29.8) 483 (100.0) 나는 거지나 술 취한 사람들이 돈을 요구할 때 돈을 거의 주지 않는다. 14 (2.9) 85 (17.6) 230 (47.7) 153 (31.7) 482 (100.0) 나는 돈을 저축하는 내 능력이 자랑스럽다. 30(6.2) 168 (34.8) 224 (46.4) 61 (12.6) 483 (100.0) 우리나라에서 돈은 사람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다. 60 (12.4) 115 (23.8) 227 (47.0) 81 (16.8) 483 (100.0) □ 참여자의 심리적지지 수준 ○ 참여자의 심리적지지 수준을 살펴보면, 행복수준은 보통, 자아존중감은 우수 수준 으로 분석 - 참여자의 행복 수준은 10점 만점에 6.49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분석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55 구분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행복수준 (10점 만점) 476 1 10 6.49 1.557 <표 Ⅲ-8>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행복수준 - 참여자의 자아존중 수준을 살펴보면, 설문 항목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70%이상 의 응답률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 설문 항목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제시됨 ・ “나는 평소 나 자신에 대한 존중감이 낮은 편이다”의 설문항목에 대해 참여자의 약 46.7%는 부정적으로 응답하고 있어, 참여자에 대한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는 지원 프로 그램 운영이 필요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들만큼은 가 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5 (1.0 35 (7.3) 299 (62.2) 142 (29.2) 481 (100.0) 나는 나에게 좋은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4(.8) 45 (9.4) 291 (60.5) 141 (29.3) 481 (100.0)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10 (2.1) 85 (17.5) 262 (53.9) 129 (26.5) 486 (100.0)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7 (1.4) 39 (8.0) 271 (55.6) 170 (34.9) 487 (100.0)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다* 26 (5.3) 142 (29.2) 244 (50.1) 75 (15.4) 487 (100.0)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 하고 있다. 8 (1.6) 86 (17.7) 289 (59.3) 104 (21.4) 487 (100.0)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나 자신이 만족스 럽다. 21 (4.3) 154 (31.7) 254 (52.3) 57 (11.7) 486 (100.0) 나는 나 자신을 보다 더 존중할 수 있으 면 하고 생각한다. 즉, 나는 평소 나 자신 에 대한 존중감이 낮은 편이다* 30 (6.2) 197 (40.5) 214 (43.9) 46 (9.4) 487 (100.0)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 는 느낌이 든다* 21 (4.3) 121 (24.9) 214 (44.0) 130 (26.7) 486 (100.0)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 람이라고 생각한다* 23 (4.7) 117 (24.1) 196 (40.4) 149 (30.7) 485 (100.0) 주 1) * 해당 빈도 값은 본래 문항에 대한 답변의 역점수임 (예)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라는 설문 문항에 대한 원 응답비율은 “정말 그렇다” 4.3%, “그런 편이다.” 24.9%, “그렇지 않은 편이다” 44.0%, “정말 그렇지 않다” 30.7%였으나 다른 설문문항과 비 교를 위해 본래 문항에 대한 답변의 역점수로 치환하여 작성 <표 Ⅲ-9>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자아존중 수준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56 구분 내용 빈도(명) 백분율(%) 연령 25세 이하 36 29.8 26-30세 38 31.4 31세 이상 47 38.8 합계 121 100.0 학력수준 중졸이하 3 2.5 고졸 46 37.7 대졸 69 56.6 대학원졸 4 3.3 합계 122 100.0 혼인상태 미혼 80 65.0 기혼 38 30.9 이혼 5 4.1 합계 123 100.0 주거점유 형태 자가 11 9.1 전세 27 22.3 월세 42 34.7 공공임대 26 21.5 기타 15 12.4 합계 121 100.0 <표 Ⅲ-10>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사후집단 분석 □ 인구사회학적 특성 ○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사전집단과 동일한 표본이기 때문에 큰 특성의 변화는 없으나 응답인원의 감소에 따른 비율 변동이 발생 - 참여자의 연령을 살펴보면, 25세 이하 29.8%, 26세~30세 38.8%, 30세 이상 31.4%로 25세 이하 연령의 비율은 감소하고 26세~30세 비율이 소폭 상향된 형태로 나타남 - 월세에 거주하는 참여자의 비율은 34.7% 사전조사보다 다소 감소하기는 하였 으나 여전히 주거안정성이 낮고 주거비에 대한 부담이 큰 것으로 분석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57 구분 내용 빈도(명) 백분율(%) 가구원 수 (본인 포함) 1명 4 3.3 2명 8 6.5 3명 28 22.8 4명 53 43.1 5명 23 18.7 6명 이상 7 5.7 합계 123 100.0 구분 내용 빈도(명) 백분율(%) 기초수급자 여부 일반 수급자 8 6.6 조건부 수급자 1 .8 차상위계층 16 13.1 해당없음 97 79.5 합계 122 100.0 본인 채무불이행 경험 현재 채무불이행자 6 4.9 과거 채무불이행자 21 17.2 해당없음 95 77.9 합계 122 100.0 <표 Ⅲ-11>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경제적 특성 □ 참여자의 경제적 특성 ○ 참여자의 경제적 특성을 살펴보면,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비율을 소폭 감소한 반면 상대적으로 일반계층의 비율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는 동일한 대상자들이기는 하지만, 사전 조사 후 사후조사에서 응답대상이 변동됨에 따라 기본 현황의 변동이 발생 - 특히, 소득활동 참여 형태 측면에서 보면, 상용직은 사전조사보다 소폭 감소하 고, 임시직・일용직・아르바이트 등 고용불안성이 높은 참여자의 응답비율이 소 폭 상향된 것으로 분석 ・ 사전조사와 사후조사의 표본 집단은 동일하나 사전 조사대상과 사후 조사 대상이 차이가 있기 때문에 현황에서 차이가 발생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58 구분 내용 빈도(명) 백분율(%) 본인 외 가구원 채무불이행 경험 현재 채무불이행자 17 13.8 과거 채무불이행자 34 27.6 해당없음 72 58.5 합계 123 100.0 본인 소득활동 참여 상태 상용직 83 66.4 임시직 32 25.6 일용직 3 2.4 아르바이트 6 4.8 자영업자 1 .8 합계 125 100.0 □ 참여자의 재무구조 ○ 참여자의 재무구조를 살펴보면, 월평균 소득은 소폭 상승하였으나 월평균 부채금액 은 사전조사 대비 1.2배 수준으로 증가 - 참여자들의 월평균(세후) 소득은 174.96만원, 월평균 저축액은 31.92만원, 평균 총 저축액은 491.75만원으로 소폭 상향된 반면, 참여자의 총 평균 부채액 은 1,749.2만원으로 증가하였으나 월 평균 부채상환액은 28.5만원으로 소폭 감소하여 부채상환 부담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월 평균 소득 증가율보다 총 부채액의 증가율의 상승폭이 커짐으로써 부채 상환에 대한 부담이 증가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본인 월평균 소득(세후) 125 174.96 64.492 본인 월평균 저축 118 31.92 33.781 본인 총 저축액 111 491.75 819.261 본인 월평균 부채상환액 119 28.50 39.362 본인 총 부채액 120 1749.18 2,805.289 소득대비저축비율(%) 118 18.39 17.91767 소득대비부채상환비율(%) 119 16.19 24.32082 <표 Ⅲ-12>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재무구조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59 □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중 금전적인 부분으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이 매우 높고, 본 인의 재정 상태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 - 참여자 중 “오늘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말한 참여자가 80.9%, “나의 재정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고 말한 참여자가 75.3%,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고 말한 참여자가 77.8%,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적 긴 장감이 크다.”고 답한 참여자가 72.2%, “공과금 및 세부 납부, 대출금 상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는 참여자가 45.2%였음 - 일부 청년들의 경우 금전적인 부분으로 인하여 가족이나 친구 등 다른 사람과 의 관계에서 어려움에 직면한 경우도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 ・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는 참여자가 43.6%였으며,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았다.”는 참여자가 16.7%로 나타났음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오늘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 3(2.4) 21 (16.7) 73 (57.9) 29 (23.0) 126 (100.0) 나의 재정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2(1.6) 29 (23.0) 71 (56.3) 24 (19.0) 126 (100.0)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 3(2.4) 25 (19.8) 64 (50.8) 34 (27.0) 126 (100.0)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적 긴장 감이 크다 5 (4.0) 30 (23.8) 58 (46.0) 33 (26.2) 126 (100.0)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환과 관 련해 어려움이 크다 19 (15.1) 50 (39.7) 40 (31.7) 17 (13.5) 126 (100.0)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 18(14.3) 53 (42.1) 46 (36.5) 9 (7.1) 126 (100.0)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구 등으로 부터 상처를 받았다 49 (38.9) 56 (44.4) 17 (13.5) 4 (3.2) 126 (100.0) 주:Cronbach's α=.827 <표 Ⅲ-13>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60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 19(15.3) 66 (53.2) 38 (30.6) 1 (0.8) 124 (100.0)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돈(약 100만원)이 준비되어 있다 37 (29.6) 37 (29.6) 48 (38.4) 3 (2.4) 125 (100.0)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 7(5.6) 31 (24.8) 69 (55.2) 18 (14.4) 125 (100.0) <표 Ⅲ-14>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재무관리 역량 수준 □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 참여자의 대부분은 주거유지와 긴급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여유자금을 충분히 확보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본인의 자산현황이나 계획소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상당수가 주거유지 등 생활유지,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경제적 역량을 갖추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65.5%로 청년들 의 주거비 부담이 심각한 상황에 직면한 참여가자 많고,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 는 돈(100만원 기준)이 준비되어 있지 못한 참여자가 59.2%로 나타나고 있어 참여자 중 절반은 근로 중단으로 인한 소득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대출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 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자산현황에 대한 인지, 소비나 저축에 대한 계획 수립 등과 관련하여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계획소비나 저축 실행, 수입 증 가에 따른 저축 증액 등 실천적인 측면에서의 역량은 미흡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 중 92.0%는 본인의 자산현황에 대해 잘 알고 있고, 69.6%는 소비나 저축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그러나 실제로 계획 소비나 저축에 참여하고 있는 비율은 52.8%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5년~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해 미리 준비하고 있는 참여자의 비율은 42.4%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들의 재무역량 수준 분석 결과, 소비계획 및 저축계획의 실천 측면에서 충분한 동기를 가지고 있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저축, 대출 등 금융상품 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금융재무 관련 교육이나 상담에 참여한 비율이 낮은 점 을 고려할 때, 금융・재무 관련 교육을 통한 개선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61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9(7.2) 33 (26.4) 70 (56.0) 13 (10.4) 125 (100.0)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다 11(8.8) 48 (38.4) 46 (36.8) 20 (16.0) 125 (100.0) 나의 자산현황을 잘 알고 있다 1(0.8) 9 (7.2) 74 (59.2) 41 (32.8) 125 (100.0) 향후 5-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다 27 (21.6) 45 (36.0) 46 (36.8) 7 (5.6) 125 (100.0) 저축 또는 대출 등의 금융상품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편이다. 17 (13.6) 54 (43.2) 47 (37.6) 7 (5.6) 125 (100.0) 전문 경제교육이나 금융상담에 참여하는 편이다. 35(28.0) 68 (54.4) 19 (15.2) 3 (2.4) 125 (100.0) 주:Cronbach's α=.751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8 (6.4) 37 (29.6) 63 (50.4) 17 (13.6) 125 (100.0)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것 이다. 26 (20.8) 59 (47.2) 31 (24.8) 9 (7.2) 125 (100.0)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9(7.2) 23 (18.4) 65 (52.0) 28 (22.4) 125 (100.0) 은행계좌에 돈이 얼마 있는지 늘 알고 있다. 1(0.8) 14 (11.2) 70 (56.0) 40 (32.0) 125 (100.0) <표 Ⅲ-15>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금전성향 수준 □ 참여자의 금전성향 ○ 참여자들의 돈에 대한 신념과 행위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자신의 경제적 상황 및 돈에 대한 통제력과 소비에 대한 자기결정권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들의 금전성향 분석 결과, 자신의 경제적 상황과 금전에 대한 통제력 부 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성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의 경제적 상황을 숨 기려는 성향이 강하고, 소비・지출에 대한 자기결정권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62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니에 돈이 얼마 있는 지를 알고 있다. 0 (0.0) 10 (8.0) 76 (60.8) 39 (31.2) 125 (100.0)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금(전화, 수도세, 전기세 등)을 지불한다. 4 (3.2) 13 (10.4) 67 (53.6) 41 (32.8) 125 (100.0)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유복하다 고 생각한다. 30 (24.0) 68 (54.4) 23 (18.4) 4 (3.2) 125 (100.0)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 39(31.2) 80 (64.0) 4 (3.2) 2 (1.6) 125 (100.0)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난하다고 생각한다. 10(8.0) 40 (32.0) 55 (44.0) 20 (16.0) 125 (100.0)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는 그걸 살만 한 여유가 없어’ 라고 말한다. 7 (5.6) 47 (37.6) 58 (46.4) 13 (10.4) 125 (100.0) 지출규모에 상관없이, 지출결정을 하는 것 은 어렵다. 4 (3.2) 46 (36.8) 63 (50.4) 12 (9.6) 125 (100.0)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은 필수품에 돈을 쓰 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낀다. 20 (16.0) 66 (52.8) 35 (28.0) 4 (3.2) 125 (100.0)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자 내가 원 치 않거나 불필요한 물건들을 구매하기도 한다. 37 (29.8) 57 (46.0) 29 (23.4) 1 (0.8) 124 (100.0)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일을 하거나 가 격할인을 하면 구매한다. 21 (16.9) 60 (48.4) 37 (29.8) 6 (4.8) 124 (100.0) 나 자신에게는 인색하지만, 다른 사람들에 게는 바보스러울 정도로 돈을 쓴다. 34 (27.4) 59 (47.6) 29 (23.4) 2 (1.6) 124 (100.0)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무례하 다고 생각한다. 4 (3.2) 43 (34.7) 63 (50.8) 14 (11.3) 124 (100.0)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상태 를 알리지 않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믿 는다. 4 (3.2) 28 (22.6) 70 (56.5) 22 (17.7) 124 (100.0) 내 개인적인 재정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 하다. 7 (5.6) 30 (24.2) 68 (54.8) 19 (15.3) 124 (100.0)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63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들만큼은 가 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3 (2.4) 11 (8.9) 75 (61.0) 34 (27.6) 123 (100.0) 나는 나에게 좋은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2(1.6) 23 (18.7) 64 (52.0) 34 (27.6) 123 (100.0)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2 (1.6) 23 (18.7) 57 (46.3) 41 (33.3) 123 (100.0)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2 (1.6) 10 (8.1) 67 (54.5) 44 (35.8) 123 (100.0)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다* 7 (5.7) 42 (34.1) 59 (48.0) 15 (12.2) 123 (100.0)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 하고 있다. 2 (1.6) 24 (19.5) 71 (57.7) 26 (21.1) 123 (100.0)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나 자신이 만족스 럽다. 4 (3.3) 41 (33.3) 64 (52.0) 14 (11.4) 123 (100.0) 나는 나 자신을 보다 더 존중할 수 있으 면 하고 생각한다. 즉, 나는 평소 나 자신 에 대한 존중감이 낮은 편이다* 12 (9.8) 39 (31.7) 58 (47.2) 14 (11.4) 123 (100.0) <표 Ⅲ-17>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자아존중감 수준 □ 참여자의 심리적 특성 ○ 참여자의 심리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행복수준은 보통 수준, 자아존중감은 보통 수준 으로 분석 - 참여자의 행복 수준은 10점 만점에 6.41점으로 보통수준으로 분석 구분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행복수준 (10점 만점) 126 1 10 6.41 1.576 <표 Ⅲ-16>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행복 수준 - 참여자의 자아존중 수준을 살펴보면, 전체 설문문항의 70% 이상 긍정적인 답변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참여자의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64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 는 느낌이 든다* 5 (4.1) 24 (19.5) 55 (44.7) 39 (31.7) 123 (100.0)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 람이라고 생각한다* 4 (3.3) 25 (20.3) 50 (40.7) 44 (29.7) 123 (100.0) 주 1):* 해당 빈도 값은 본래 문항에 대한 답변의 역점수임 (예)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라는 설문 문항에 대한 원 응답비율은 “정말 그렇다” 4.3%, “그런 편이다.” 24.9%, “그렇지 않은 편이다” 44.0%, “정말 그렇지 않다” 30.7%였으나 다른 설문문항과 비교를 위해 본래 문항에 대한 답변의 역점수로 치환하여 작성 (3)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사전・사후 집단의 성과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 참여자의 재무(상태)구조 변화 ○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재무구조를 살펴보면, 월 평균 소득, 저축수준, 저축액 등 자산 수준은 개선되었으나, 참여자가 부담해야 할 부채 수준은 증가 - 본인 월 평균 소득은 사전에서 사후에 18만원 증가하였고, 본인 월평균 저축액 과 본인 총 저축액도 각각 60만원, 218.8만원 증가 - 그러나 월 부채 상한액은 75만원으로 사전조사(26만원) 대비 49만원 증가하였고, 총 부채액도 1,770만원으로 약 270만원 증가 ・ 부채 총액 및 월 부채 상환액의 증가로 인하여 소득 대비 저축 비율과 부채상환 비율은 각각 14.6%p, 17.5%p 감소한 것으로 분석 - 근로활동으로 인한 소득 증가 폭보다 부채 상승폭이 더 실질적으로 부채 상환 관련 경제적 역량을 실질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 ・ 특히, 부채상환액의 증가 요인으로는 주택 및 주거(임대료 포함)와 관련된 비용이 급증 하면서, 실제 근로소득으로 해결되지 않는 부분은 대출을 통해 해결하는 것으로 분석 ・ 또한 주거와 관련해서는 추가적으로 대출을 받을 의향도 많은 것으로 분석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65 구분 전/ 후 빈도 평균 T값 P값 사후-사전 본인 월 평균 소득(세후) 사전 130 164.69 -2.555 .012 18.0 사후 130 182.73 본인 월 평균 저축 사전 128 33.59 -2.842 .005 60.0 사후 128 93.59 본인 총 저축액 사전 124 351.99 -3.019 .003 218.8 사후 124 570.81 본인 월 평균 부채상환액 사전 123 26.02 -2.627 .010 49.1 사후 123 75.10 본인 총 부채액 사전 123 1500.54 -1.446 .151 268.2 사후 123 1768.70 소득 대비 저축 비율 사전 106 23.97 5.549 .000 -14.6 사후 106 9.41 소득 대비 부채상환 비율a 사전 63 27.93 2.334 .023 -17.5 사후 63 10.44 a:총 부채가 0원인 청년은 제외한 비율 <표 Ⅲ-18>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재무구조 변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 이후 대출(부채)이 발생한 경우는 사전조사 대상자 중 161명으 로 분석되었고, 이 중 약 48%는 주거, 생활비 조달과 관련된 대출인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대출 용도는 주거비(매매, 전세보증금, 월세, 임대료 등)가 27.9%로 1순위로 나타났고, 생활비가 20.5%의 순으로 나타났음 ・ 응답자의 약 9%는 대출 변제를 목적으로 대출이 발생한 경우인 것으로 분석 구분(대출용도) 빈도(명) 퍼센트 생활비 (식료품, 외식비) 33 20.50% 주거비 (매매, 전세보증금, 월세 등) 45 27.95% 대학등록금 28 17.39% 자녀교육비/ 보육비 8 4.97% 가족의 요청 12 7.45% 결혼 5 3.11% 또 다른 빚 변제 15 9.32% 기타 15 9.32% 합계 161 100.00% <표 Ⅲ-19>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사업 참여 이후 대출 발생 사유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66 - 통장사업 참여 이후 대출이 발생한 참여자 중 62명은 향후 추가적으로 대출 계획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대출용도는 50%가 주거비와 생활비와 관련 된 것으로 분석 ・ 추가 대출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참여자 중 약 17.7%는 대출 등 부채상환을 위해 대출을 계획 중인 것으로 분석 구분(대출용도) 빈도(명) 퍼센트 생활비 (식료품, 외식비) 8 12.9% 주거비 (매매, 전세보증금, 월세 등) 23 37.1% 대학등록금 3 4.8% 자녀교육비/ 보육비 6 9.7% 가족의 요청 2 3.2% 결혼 4 6.5% 창업 2 3.2% 또 다른 빚 변제 11 17.7% 기타 3 4.8% 합계 62 100.0% <표 Ⅲ-20>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향후 대출 계획 및 용도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의 변화는 긍정적인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가 경제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것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응답은 41.3%로 전년대비 약 1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나는 경제적인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다’에 대한 평균점수는 사전 조사 시 52.1점이었 으나 사후 조사 시 58.7점으로 약 6.6점 상승된 것으로 나타남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67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 를 느낀다. 음의 순위 44 30.18 1328.00 -3.708 .000양의 순위 15 29.47 442.00 동률 74     나의 재정상태(소득, 지출, 대출 등)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음의 순위 49 34.73 1702.00 -4.115 .000양의 순위 17 29.94 509.00 동률 67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 음의 순위 45 32.58 1466.00 -3.132 .002양의 순위 19 32.32 614.00 동률 69     <표 Ⅲ-22>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평균 (단위:점) 사전 6.5 22.0 45.0 26.5 52.1 사후 11.1 30.1 42.1 16.7 58.7 격차 ▲4.6 ▲8.1 ▼2.9 ▼9.8 ▲6.6 주 1) ▲ :상승, ▼:감소 주 2) 사전과 사후 분석의 표본 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비율을 기준으로 비교 주 3) ‘현재 나는 경제적 스트레스는 많이 받고 있다’라는 질문 문항으로 분석 <표 Ⅲ-21>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단위:%, 점(100점 만점 환산 기준) ○ 경제적 스트레스 측정 항목 7문항 중 재정상태, 금전적인 스트레스 수준, 공과금 및 부채 상환 영역의 문항에서 개선 수준이 큰 것으로 분석 - 특히“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 “나의 재정 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의 설문 항목의 개선 수준이 큰 것으로 분석 ・ 사전 집단과 사후 집단의 변화 수준은 부호 검증을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음의 순위 합과 양의 순의 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경우에 대상자의 변화 수준에 대 해 분석 가능(유지성・오창수, 1999) ・ 대상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와 관련하여 전 설문 항목에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개별 설문 문항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기 때문에 사전집단보다는 사후집단에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68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 적 긴장감이 크다. 음의 순위 43 33.10 1423.50 -2.203 .028양의 순위 23 34.24 787.50 동률 67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 음의 순위 42 30.74 1291.00 -2.396 .017양의 순위 20 33.10 662.00 동률 70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 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았다. 음의 순위 45 35.72 1607.50 -2.084 .037양의 순위 26 36.48 948.50 동률 62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 음의 순위 56 39.22 2196.50 -3.529 .000양의 순위 22 40.20 884.50 동률 55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예를 들면,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라는 항목에 대해서 음의 순위 총합은 1,328, 양의 순위 총합 은 44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α<p(0.05))이기 때문에 사전・사후집단은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은 음의 방향임. 설문 항목 자체가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사후집단이 사전 집단에 비해 경제적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음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 ○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은 전체적으로 변화 폭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거유지와 관련하여 변화수준이 큰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은 응답 수준 및 점수 개선 정도는 소폭 변동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경제적 역량에 대한 변화에 대해서는 약 1.0점 정도 상승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평균 (단위:점) 사전 14.1 32.0 42.0 11.9 62.9 사후 12.1 31.5 45.1 11.3 63.9 격차 ▼2.0 ▼0.5 ▲3.1 ▼0.6 ▲1.0 주 1) ▲ :상승, ▼:감소 주 2) 사전과 사후 분석의 표본 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비율을 기준으로 비교 주 3) ‘현재 나는 경제적 역량이 변화하였다’라는 항목으로 분석 <표 Ⅲ-23>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단위:%, 점(100점 만점 환산 기준)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69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매달 주거유지(예:월세, 주택담보대출 상환 등)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 음의 순위 54 76.99 4157.50 -3.384 .001양의 순위 98 76.23 7470.50 동률 159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돈(예:100만 원)이 준비되어 있다. 음의 순위 57 68.00 3876.00 -1.537 .124양의 순위 77 67.13 5169.00 동률 177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 음의 순위 71 60.52 4297.00 -.980 .327양의 순위 54 66.26 3578.00 동률 186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음의 순위 70 68.89 4822.00 -.062 .951양의 순위 68 70.13 4769.00 동률 170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다. 음의 순위 75 70.07 5255.50 -1.057 .291양의 순위 63 68.82 4335.50 동률 172     나의 자산현황(자산-부채)을 잘 알고 있다. 음의 순위 59 60.14 3548.00 -.238 .812양의 순위 61 60.85 3712.00 동률 191     <표 Ⅲ-24>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 ○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항목 중 주거유지 관련 재원 변화 문항 에서 개선 수준이 큰 것으로 분석 -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의 설문 항목에서 사전집단보 다 사후 집단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분석 ・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라는 항목에 대해서 음의 순위 총합은 4,257점, 양의 순위 총합은 7,47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α<p(0.05))이기 때문에 사전・사후집단은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은 양의 방향임. 설문 항목 자체가 긍정 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의 방향임을 고려할 때, 사후집단이 사전집단에 비해 경제적 역량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음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70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향후 5년∼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다. 음의 순위 84 86.13 7235.00 -.055 .956양의 순위 86 84.88 7300.00 동률 141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 참여자의 금전성향 변화 ○ 참여자의 금전성향의 변화는 변화의 수준은 크지 않으나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전에 대한 맹신’과 관련된 변화가 큰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금전성향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은 53.4%로 사전조사 (50.1%) 대비 3.2%p 증가하였으나, 금전성향 변화에 대한 점수는 1.5점 하락한 것으로 분석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평균 (단위:점) 사전 13.0 36.8 38.7 11.5 63.6 사후 11.8 34.8 40.3 13.1 62.1 격차 ▼1.2 ▼2.0 ▲1.6 ▲1.6 ▼1.5 주 1) ▲ :상승, ▼:감소 주 2) 사전과 사후 분석의 표본 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비율을 기준으로 비교 주 3) ‘현재 나는 금전적인 성향이 변화하였다’라는 항목으로 분석 <표 Ⅲ-25>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금전적인 성향 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단위:%, 점(100점 만점 환산 기준) ○ 참여자의 금전성향을 살펴볼 수 있는 18개 설문 항목 중 금전을 활용한 문제 해결에 대한 맹신, 불필요한 물건 구매와 관련된 항목에서 개선 수준이 악화된 것으로 분석 - 참여자는“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라는 설문 문항에서 사전집단보다 사후집단에서 부정적인 변화가 더 큰 것으로 분석 ・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라는 항목에 대해서 음의 순위 총합은 5,467점, 양의 순위 총합은 15,238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α<p(0.05))이기 때문 에 사전・사후집단은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은 양의 방향임. 설문 항목 자체가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의 방향임을 고려할 때, 사후집단이 사전집단에 비 해 금전에 대한 의존 수준이 더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음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71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음의 순위 54 101.25 5467.50 -4.853 .000양의 순위 149 102.27 15238.50 동률 191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것이다. 음의 순위 63 94.13 5930.50 -1.868 .062양의 순위 116 87.75 10179.50 동률 216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음의 순위 74 100.96 7471.00 -0.79 .430양의 순위 115 91.17 10484.00 동률 206     은행 계좌에 돈이 얼마 있는지 늘 알고 있다. 음의 순위 89 70.11 6239.50 -0.604 .546양의 순위 55 76.37 4200.50 동률 247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니에 돈 이 얼마 있는지를 알고 있다. 음의 순위 24 29.46 707.00 -0.822 .411양의 순위 32 27.78 889.00 동률 77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금(전 화, 수도세, 전기세 등)을 지불 한다. 음의 순위 25 30.28 757.00 -0.822 .411양의 순위 33 28.91 954.00 동률 75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유복하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26 28.79 748.50 -1.323 .186양의 순위 34 31.81 1081.50 동률 73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 다. 음의 순위 31 25.84 801.00 -0.557 .578양의 순위 23 29.74 684.00 동률 78     <표 Ⅲ-26>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금전성향 변화 - 참여자는“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자 내가 원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물건 을 구매하기도 한다”라는 설문 문항에서 사전집단보다 사후집단에서 부정적인 변화가 더 큰 것으로 분석 ・ “내가 원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물건을 구매하기도 한다”라는 항목에 대해서 음의 순 위 총합은 484점, 양의 순위 총합은 1,34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α<p(0.05))이 기 때문에 사전・사후집단은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은 양의 방향임 ・ 설문 항목 자체가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의 방향임을 고려할 때, 사후집 단이 사전집단에 비해 불필요한 물건 구매 및 소비에 대한 자기결정권이 약화된 것으로 볼 수 있음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72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난하 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29 30.57 886.50 -0.471 .638양의 순위 32 31.39 1004.50 동률 71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 는 그걸 살 만한 여유가 없어’ 라고 말한다. 음의 순위 38 35.93 1365.50 -0.340 .734양의 순위 37 40.12 1484.50 동률 58     지출규모에 상관없이, 지출결정 을 하는 것은 어렵다. 음의 순위 37 34.89 1291.00 -0.776 .438양의 순위 31 34.03 1055.00 동률 65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은 필수 품에 돈을 쓰는 것에 대해 죄의 식을 느낀다. 음의 순위 43 37.09 1595.00 -1.214 .225양의 순위 31 38.06 1180.00 동률 59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 자 내가 원치 않거나 불필요한 물건들을 구매하기도 한다. 음의 순위 19 25.50 484.50 -3.421 .001양의 순위 41 32.82 1345.50 동률 73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일 을 하거나 가격할인을 하면 구 매한다. 음의 순위 31 35.16 1090.00 -1.772 .076양의 순위 43 39.19 1685.00 동률 59     나 자신에게는 인색하지만, 다 른 사람들에게는 바보스러울 정 도로 돈을 쓴다. 음의 순위 27 26.19 707.00 -0.176 .861양의 순위 25 26.84 671.00 동률 81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무례하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37 28.01 1036.50 -1.517 .129양의 순위 21 32.12 674.50 동률 73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 상태를 알리지 않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믿는다 음의 순위 34 32.41 1102.00 -0.873 .383양의 순위 36 38.42 1383.00 동률 61     내 개인적인 재정 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하다. 음의 순위 31 32.50 1007.50 -0.896 .371양의 순위 36 35.29 1270.50 동률 65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73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만 큼은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18 19.64 353.50 -1.331 .183양의 순위 24 22.90 549.50 동률 89     나는 나에게 좋은 점이 많이 있 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26 28.40 738.50 -0.037 .970양의 순위 28 26.66 746.50 동률 77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음의 순위 32 25.30 809.50 -0.902 .367양의 순위 21 29.60 621.50 동률 79     <표 Ⅲ-28>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참여자의 자존감 수준의 변화는 거의 유사한 수준에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자존감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응답은 75.2%로 사전조사(75.8%) 대비 약 0.6%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 점수는 0.1점 상승한 것으로 분석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평균 (단위:점) 사전 3.2 21.0 52.2 23.6 74.0 사후 3.5 21.3 50.4 24.8 74.1 격차 ▲0.3 ▲0.3 ▼1.8 ▲1.2 ▲0.1 주 1) ▲ :상승, ▼:감소 주 2) 사전과 사후 분석의 표본 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비율을 기준으로 비교 주 3) ‘현재 나는 자존감에 대한 변화가 있었다.’라는 항목으로 분석 <표 Ⅲ-27>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단위:%, 점)(100점 만점 환산 기준) ○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측정 10개 문항 중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설문 문항은 도출되지 않음 - 참여자의 자존감은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사회 등의 사회적・심리적・경제적 지지가 수반되어야 하나, 한정된 시간동안 정책 참여 및 지원 서비스만으로 개인의 자존감 변화를 기대하는 것은 이를 수 있음 ・ 개인의 자존감에 대한 변화는 특정 시점을 중심으로 조사・분석되기보다는 장기간에 걸 쳐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찰, 설문조사・분석이 진행될 때, 명확한 변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음(박선희, 2014)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74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음의 순위 20 21.53 430.50 -0.832 .405양의 순위 24 23.31 559.50 동률 88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 로 없는 것 같다. 음의 순위 33 27.61 911.00 -1.02 .308양의 순위 23 29.78 685.00 동률 76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 으로 생각하고 있다. 음의 순위 19 24.21 460.00 -1.683 .092양의 순위 30 25.50 765.00 동률 83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나 자 신이 만족스럽다. 음의 순위 25 27.00 675.00 -1.126 .260양의 순위 31 29.71 921.00 동률 76     나는 나 자신을 보다 더 존중할 수 있으면 하고 생각한다. 즉, 나는 평소 나 자신에 대한 존중 감이 낮은 편이다. 음의 순위 34 28.99 985.50 -0.831 .406양의 순위 25 31.38 784.50 동률 73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음의 순위 41 34.74 1424.50 -0.669 .503양의 순위 31 38.82 1203.50 동률 60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34 34.62 1177.00 -0.253 .800양의 순위 33 33.36 1101.00 동률 65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및 미래 희망, 이직의사 등에 대한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청년통장 정책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의 만족도는 2차 조사와 3차 조사의 점 수는 변동은 없으나, 비율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2차 조사 시 만족도는 99.4%였으나 3차 조사 시 97.8%로 다소 감소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75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2차 조사 0.6% 38.8% 60.6% 3.6(90점) 3차 조사 0.8% 1.5% 32.6% 65.2% 3.6(90점) <표 Ⅲ-29>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청년통장 참여로 인한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 -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사업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에 대해서는 2 차와 3차의 비율은 경미한 수준에서 증가 ・ 2차 조사 시 89%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3차 조사 시 89.8%가 긍정적인 것으로 응답 ・ 2차 조사 시 평균값은 3.21(80.3점)이었으나 3차 조사 시 평균값은 3.3(83.1점)으로 점수도 다소 상향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2차 조사 1.3% 9.7% 55.7% 33.3% 3.21(80.3점) 3차 조사 - 6.8% 51.8% 38.0% 3.3(83.1점) <표 Ⅲ-30>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 ○ 청년통장 가입 이후 이직의사 감소 수준 - 청년통장 가입 이후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여부에 대해서는 2차 조사보다 3차 조사 시 긍정적인 의견이 다소 상승 ・ 2차 조사 시 이직 감소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은 50.8%였으나 3차 조사 시 60.6%로 상승 ・ 2차 조사 시 평균값은 2.6(65점) 수준이었으나 3차 조사 시 평균값은 2.8(70점)로 상승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2차 조사 7.1% 42.2% 34.1% 16.6% 2.6(65점) 3차 조사 8.3% 31.1% 35.6% 25.0% 2.8(70점) <표 Ⅲ-31>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76 구분 내용 빈도(명) 백분율(%) 성별 남자 490 49.5 여자 499 50.5 합계 999 100.0 연령 25세 이하 428 43.8 26-30세 322 33.0 31세 이상 227 23.2 합계 977 100.0 학력수준 무학 11 1.1 고졸 436 44.3 대졸 516 52.4 대학원졸 22 2.2 합계 985 100.0 <표 Ⅲ-32>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2)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성과 분석 (1) 사전집단 분석 □ 인구사회학적 특성 ○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과 여성의 성비 차이는 크지 않고, 연령 및 학력의 차이는 있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연령을 살펴보면, 25세 이하가 43.8%, 26세~30세 33.0%, 31세 이상이 23.2%로 나타났고, 고졸 44.3%, 대졸 52.4%, 대학원 졸이 2.2%인 것으로 나타남 - 참여자의 주거여건을 살펴보면, 월세 비율이 39.4%, 전세와 공공임대 거주 비율이 각각 22.5%, 19.2%로 나타났고, 자가는 7.1%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음.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참여자의 주거 특성은 주거 안정성은 낮고, 주거비에 대한 부담이 큰 상황에 직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가구원수(본인 포함)는 4명이 33.7%로 가장 많았고, 3명이 30.7%, 5명이 15.6%였으며, 1인가구은 4.6%에 그침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77 구분 내용 빈도(명) 백분율(%) 혼인상태 미혼 696 70.7 기혼 273 27.7 이혼 14 1.4 기타 2 .2 합계 985 100.0 주거점유 형태 자가 69 7.1 전세 218 22.5 월세 381 39.4 공공임대 186 19.2 기타 113 11.7 합계 967 100.0 가구원 수 (본인 포함) 1 45 4.6 2 125 12.8 3 301 30.7 4 330 33.7 5 153 15.6 6명 이상 26 2.7 합계 980 100.0 □ 참여자의 경제적 특성 ○ 참여자의 경제적 특성을 살펴보면,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채무 불이행자 등 사회적으로 취약한 상황에 놓여있는 청년들이 다수 참여 - 참여자 943명 중, 기초수급자(일반 수급자, 조건부 수급자)는 8.1%, 차상위계 층은 6.7%였음 - 현재 본인이 채무불이행자인 경우가 4.9%, 과거 채무불이행 경험자가 11.9%로 서, 시점은 다르지만 전체 참여자 중에서 16.8%는 채무불이행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본인 이외의 가구원 중 현재 채무불이행자가 있는 경우가 12.4%였으며, 과거 채무불이행 을 경험한 가구원이 있는 경우가 22.3%로, 총 34.7%의 가구원이 현재 또는 과거에 채무 불이행을 경험한 것으로 분석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78 - 참여자들의 소득활동 상태를 보면, 상용직이 66.6%로 매우 많았고, 나머지는 임시직 21.7%, 일용직 3.0%, 자영업 8.6% 등으로 나타났음 구분 내용 빈도(명) 백분율(%) 기초수급자 여부 일반 수급자 76 8.1 조건부 수급자 19 2.0 차상위계층 63 6.7 해당없음 785 83.2 합계 943 100.0 본인 채무불이행 경험 현재 채무불이행자 47 4.9 과거 채무불이행자 115 11.9 해당없음 804 83.2 합계 966 100.0 본인 외 가구원 채무불이행 경험 현재 채무불이행자 118 12.4 과거 채무불이행자 212 22.3 해당없음 620 65.3 합계 950 100.0 본인 소득활동 참여 상태 상용직 653 66.6 임시직 213 21.7 일용직 29 3.0 자영업 84 8.6 기타 2 .2 합계 981 100.0 <표 Ⅲ-33>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경제적 특성 □ 참여자의 재무구조 ○ 참여자의 재무구조를 살펴보면, 보유금액 수준은 낮고, 부채부담이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어 이는 경제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는 상황에 직면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들의 월평균(세후) 소득은 154.7만원, 월평균 저축액은 29.2만원, 총 평 균 저축액은 284.1만원, 월평균 부채상환액은 46.3만원, 총평균 부채액은 1,484.9만원이었음 ・ 참여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저축금액은 284.1만원으로 해당금액은 2개월 치 참여자의 월 평균 소득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79 - 참여자들은 매월 월평균소득의 1.9%를 저축하고 있었으며, 29.9%를 부채상환에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개인의 근로소득 중 저축금액보다 부채상환에 대한 비율이 높은 경우는 경제적 불안과 심리적 스트레스를 가중 시킬 가능성이 높음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본인 월평균 소득(세후) 952 154.7 132.09 본인 월평균 저축 919 29.2 30.99 본인 총 저축액 860 284.1 553.52 본인 월평균 부채상환액 904 46.3 517.57 본인 총 부채액 893 1484.9 2755.87 소득대비저축비율 904 19.9 19.31 소득대비부채상환비율 899 29.2 313.84 <표 Ⅲ-34>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재무구조 □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는 금전적인 부분에 대한 스트레스 수준이 매우 높고, 본 인의 재정상황에 대한 불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7개 설문 항목 중 7개 항목에 대해 만족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 특히, “오늘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87.6%, “나의 재정 상태에 대한 만 족도가 낮다.” 85.9%,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85.4%,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 어 심리적 긴장감이 크다.” 78.5%, “공과금 및 세부 납부, 대출금 상환과 관련해 어려 움이 크다”56.8% 순으로 나타났음 - 또한, 경제적인 부분으로 인하여 가족이나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어려움에 직면한 참여자들이 상당 수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 ・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는 참여자가 55.2%였으며,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았다.”는 참여자가 22.2%인 것으로 분석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80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오늘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 15(1.5) 108 (10.9) 557 (56.1) 313 (31.5) 993 (100.0) 나의 재정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15(1.5) 123 (12.4) 565 (56.8) 289 (29.1) 992 (100.0)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 16(1.6) 129 (13.0) 546 (55.0) 302 (30.4) 993 (100.0)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적 긴 장감이 크다 27 (2.7) 187 (18.8) 485 (48.8) 295 (29.7) 994 (100.0)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 117(11.8) 328 (33.0) 378 (38.0) 171 (17.2) 994 (100.0) 돈 문제로 인해 지인으로 부터 상처 받 은 경험이 있다 295 (29.7) 477 (48.0) 175 (17.6) 46 (4.6) 993 (100.0)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 106 (10.7) 323 (32.5) 414 (41.7) 150 (15.1) 993 (100.0) 주:Cronbach's α=.838 <표 Ⅲ-35>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경제적 스트레스 □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 참여자의 대부분은 주거유지와 긴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여유자금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합리적 소비 및 저축, 재무관리에 대한 계획과 실행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상당수가 주거유지 등 생활유지,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대응할 수 있는 여유자금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84.4%는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본한 재원을 갖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 고,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돈(100만원 기준)이 준비되어 있지 못한 참여자가 68.0%에 나타나고 있어 참여자 10명 중 7명은 약간의 소득 중단이나 감소 시 대출을 피 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는 것으로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는 소비나 저축, 자산보유에 대한 인지 수준이 높 고, 그에 따른 실행력도 일정수준 담보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 ・ 첨여자 중 소비나 저축에 대한 계획을 세운 참여자의 비율이 77.1%, 실제로 계획소비나 저축(청년통장 제외)을 하고 있는 참여자가 66.8%, 자신의 자산현황을 인지하고 있는 참 여자가 88.0%로서 전반적으로 소비계획이나 저축, 재무관리의 실행력은 일정수준 확보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81 - 그러나 참여자 중 약 68.0%는 현재 100만원의 예비비가 없는 상황이고, 단기 소비나 저축 계획을 가진 청년 참여자(66.8%)들에 비해, 5∼10년 사이에 발행 할 지출에 대한 준비(39.5%)는 다소 소극적인 것으로 분석 ・ 참여자들 중 질적인 측면에서 소비계획이나 저축방식 등에 문제와 청년 가구 내부의 구 조적인 요인으로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방해 등에 대한 고찰 필요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 지고 있다 196 (19.9) 537 (54.5) 238 (24.1) 15 (1.5) 986 (100.0)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돈(약 100만원)이 준비되어 있다 308 (31.2) 364 (36.8) 268 (27.1) 48 (4.9) 988 (100.0)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 29(2.9) 197 (20.0) 612 (62.0) 149 (15.1) 995 (100.0)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48(4.9) 280 (28.4) 543 (55.1) 115 (11.7) 995 (100.0)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다 36(3.7) 283 (28.7) 491 (49.8) 175 (17.8) 985 (100.0) 나의 자산현황을 잘 알고 있다 13(1.3) 105 (10.6) 557 (56.4) 312 (31.6) 987 (100.0) 향후 5-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다 130 (13.2) 466 (47.3) 320 (32.5) 69 (7.0) 985 (100.0) 주:Cronbach's α=.838 <표 Ⅲ-36>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재무관리 역량 수준 □ 참여자의 금전성향 ○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돈에 대한 신념과 행위는 안정적이지만, 자신의 경제 적 상황 및 돈에 대한 통제력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이 강하고, 자신의 경제적 상황 에 대한 노출을 꺼려하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들의 금전 성향 분석 결과 자신의 경제적 상황 및 돈에 대한 통제력 부 족에 대한 스스로의 부정적 인식이 크고, 자신의 경제적 상황을 숨기려는 태도 그리고 소비(지출)의 자기결정력이 부족한 부분한 것으로 분석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82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일을 하거나 가 격할인을 하면 구매한다. 191 (19.4) 529 (53.6) 242 (24.5) 25 (2.5) 987 (100.0) 일에 대한 만족도보다는 연봉을 더 중시한다. 87(8.8) 471 (47.7) 364 (36.9) 65 (6.6) 987 (100.0)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자 내가 원치 않거나 불필요한 물건들을 구매하기도 한다. 328 (33.2) 530 (53.7) 123 (12.5) 6 (0.6) 987 (100.0)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은 필수품에 돈을 쓰 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낀다. 189 (19.1) 481 (48.7) 280 (28.3) 38 (3.8) 988 (100.0) 내가 물건을 구입할 때마다 판매자가 나로 인하여 이익을 얻는 다는 것을 ‘알고’있다. 30 (3.0) 154 (15.6) 628 (63.6) 175 (17.7) 987 (100.0) 나 자신에게는 인색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 는 바보스러울 정도로 돈을 쓴다. 214 (21.7) 519 (52.6) 219 (22.2) 35 (3.5) 987 (100.0)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는 그걸 살만 한 여유가 없어’라고 말한다. 87 (8.8) 414 (41.9) 432 (43.7) 55 (5.6) 988 (100.0)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니에 돈이 얼마 있는 지를 알고 있다. 12 (1.2) 122 (12.3) 621 (62.9) 233 (23.6) 988 (100.0) 지출 규모에 상관없이, 지출 결정을 하는 것 은 어렵다. 54 (5.5) 348 (35.3) 493 (50.1) 90 (9.1) 985 (100.0) 물건을 살 때 늘 흥정하거나 깎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95 (9.6) 493 (49.9) 332 (33.6) 68 (6.9) 988 (100.0) 다른 사람들에게 신세지는 것이 싫어 식당이 나 영화관 등에서 항상 내 몫이상의 것을 지 불하려고 한다. 88 (8.9) 410 (41.6) 401 (40.3) 86 (8.6) 985 (100.0) 선택이 가능하다면, 월급(매월임금지급)보다 주급(매주임금지급)을 선호한다. 366 (37.1) 462 (46.9) 131 (13.3) 27 (2.7) 986 (100.0) 신용카드보다 현금사용을 선호한다. 141(14.3) 364 (37.0) 342 (34.7) 138 (14.0) 985 (100.0) 은행계좌에 돈이 얼마 있는지 늘 알고 있다. 16(1.6) 131 (13.3) 556 (56.4) 283 (28.7) 986 (100.0) 지난달 수입 중 덜 쓰고 남은 돈이 있다면, 그것을 모두 써야 직성이 풀린다. 480 (48.7) 395 (40.1) 95 (9.6) 15 (1.5) 985 (100.0) 경제적 측면에서 관대해짐으로써 친구들로부 터 우정을 ‘산다’. 338 (34.2) 528 (53.4) 115 (11.6) 7 (0.7) 988 (100.0) 나보다 돈이 많은 사람들에게 열등감을 느낀다. 211(21.3) 434 (43.9) 304 (30.7) 40 (4.0) 989 (100.0)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들을 통제하거나 위협 하기 위해 돈을 사용한다. 600 (60.7) 365 (36.9) 23 (2.3) 1 (.1) 989 (100.0) <표 Ⅲ-37>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금전성향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83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나보다 돈이 없는 사람들(능력이나 성취와 상관없이)에 대해 우월감을 느낀다. 593 (60.0) 332 (33.4) 61 (6.2) 3 (0.3) 989 (100.0)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 는다. 241 (24.4) 348 (35.2) 320 (32.4) 79 (8.0) 988 (100.0) 내 개인적인 재정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하다. 88(8.9) 290 (29.4) 490 (49.6) 119 (12.1) 987 (100.0) 어떤 것을 구매하든 나의 첫 번째 고려사항 은 가격이다. 44 (4.4) 253 (25.6) 524 (53.0) 168 (17.0) 989 (100.0)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무례하다 고 생각한다. 53 (5.4) 340 (34.4) 468 (47.4) 126 (12.8) 987 (100.0) 만일 다른 사람들보다 물건을 더 비싸게 샀 다면, 나 자신에게 실망할 것 같다. 85 (8.6) 362 (36.6) 464 (46.9) 78 (7.9) 989 (100.0) 나는 종종 돈을 경멸하며, 돈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멸시한다. 448 (45.3) 460 (46.6) 72 (7.3) 8 (0.8) 988 (100.0) 경제적 위기에 대한 대비차원에서 저축을 선 호한다. 15 (1.5) 154 (15.6) 629 (63.7) 190 (19.2) 988 (100.0) 내가 저축한 돈은 결코 충분하지 않다. 14(1.4) 89 (9.0) 516 (52.2) 370 (37.4) 989 (100.0)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것이다. 277(28.0) 463 (46.8) 204 (20.6) 45 (4.6) 989 (100.0) 나는 돈이 모든 악의 근원이라고 생각한다. 308(31.1) 446 (45.1) 194 (19.6) 41 (4.1) 989 (100.0) 나는 돈을 주고 산 것 만 가질 수 있다고 믿 는다. 293 (29.6) 480 (48.5) 193 (19.5) 23 (2.3) 989 (100.0)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69(7.0) 192 (19.4) 513 (51.9) 215 (21.7) 989 (100.0) 돈에 대한 나의 태도는 우리 부모와 아주 유 사하다. 181 (18.3) 478 (48.5) 295 (29.9) 33 (3.3) 988 (100.0) 개인의 소득수준은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비 례한다고 생각한다. 95 (9.5) 319 (32.3) 452 (45.7) 122 (12.3) 988 (100.0)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금(전화, 수도세, 전 기세 등)을 지불한다. 16 (1.6) 136 (13.8) 538 (54.5) 297 (30.1) 987 (100.0) 돈을 버는데 사용되지 않는 시간은 낭비된 시간이라고 믿는다. 367 (37.1) 498 (50.4) 107 (10.8) 16 (1.6) 988 (100.0) 계산서의 금액이 과도하게 부과되었다는 생 각이 들어도 종업원과 언쟁하기 싫어 청구된 대로 다 지급한다. 312 (31.6) 515 (52.2) 139 (14.1) 20 (2.0) 986 (100.0) 우울할 때는 종종 나 자신을 위해 돈을 쓴다. 97(9.8) 263 (26.6) 526 (53.2) 103 (10.4) 989 (100.0)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84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돈을 빌려 간 사람에게 그것을 갚으라고 이 야기하기 망설여진다. 148 (15.0) 326 (33.0) 423 (42.8) 91 (9.2) 988 (100.0) 정말 어쩔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은행 을 제외한 다른 사람들에게 돈을 빌리고 싶 지 않다. 27 (2.7) 83 (8.4) 406 (41.1) 472 (47.8) 988 (100.0) 나는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주기를 선호하지 않는다. 30 (3.0) 194 (19.6) 485 (49.1) 279 (28.2) 988 (100.0)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유복하다고 생각한다. 208 (21.1) 601 (60.9) 162 (16.4) 16 (1.6) 987 (100.0) 돈을 많이 벌수 있다면, 불법적인 것을 제외 한 어떤 일이든 할 것이다. 243 (24.6) 358 (36.2) 287 (29.0) 100 (10.1) 988 (100.0) 음식이나 꽃보다는 재산이 될수 있는 것들에 돈을 쓰는 것을 좋아한다. 58 (5.9) 481 (48.9) 368 (37.4) 77 (7.8) 984 (100.0) 나의 경제적 성취(임금, 부, 투자 등)에 자부 심을 느끼며, 내 친구들에게 이를 알려준다. 173 (17.7) 579 (59.1) 208 (21.2) 20 (2.0) 980 (100.0)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난하다고 생각한다. 60(6.1) 360 (36.6) 474 (48.2) 89 (9.1) 983 (100.0)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 187(19.0) 714 (72.7) 78 (7.9) 3 (0.3) 982 (100.0)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상태를 알리지 않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믿는다. 31 (3.2) 271 (27.5) 550 (55.9) 132 (13.4) 984 (100.0) 배우자 또는 애인, 친구, 가족 등과 돈 문제 로 종종 싸운다. 277 (27.8) 444 (45.1) 225 (3.8) 38 (3.9) 984 (100.0) 개인의 봉급이 이들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있 어 매우 유용한 지표라고 믿는다. 170 (17.3) 447 (45.5) 344 (35.0) 21 (2.1) 982 (100.0) 내 직업을 고려할 때 나의 현재 수입은 내가 받아야할 적당한 수준이다. 142 (14.4) 488 (49.6) 336 (34.1) 18 (1.8) 984 (100.0) 내 친구들 대부분은 내가 가진 것보다 더 많 은 돈을 가지고 있다. 28 (2.8) 320 (32.6) 554 (56.4) 81 (8.2) 983 (100.0) 내 재정상태에 대한 나의 통제력이 부족하다 고 생각한다. 141 (14.3) 452 (46.0) 338 (34.4) 52 (5.3) 983 (100.0) 다른 사람들 보다 내가 돈에 대해 더 많이 생 각한다고 믿는다. 66 (6.7) 434 (44.2) 411 (41.8) 72 (7.3) 995 (100.0) 내 재정 상태에 대해 아주 많이 걱정한다. 34(3.5) 242 (24.6) 519 (52.7) 189 (19.2) 984 (100.0) 돈이 생기면 무엇을 할지에 대해 자주 상상 한다. 27 (2.7) 128 (13.0) 546 (55.5) 282 (28.7) 983 (100.0) 나는 거지나 술 취한 사람들이 돈을 요구할 때 돈을 거의 주지 않는다. 29 (3.0) 163 (16.6) 452 (46.0) 339 (34.5) 983 (100.0) 나는 돈을 저축하는 내 능력이 자랑스럽다. 37(3.8) 342 (34.8) 479 (48.8) 124 (12.6) 982 (100.0) 우리나라에서 돈은 사람을 평가하는 가장 중 요한 기준이다. 130 (13.3) 269 (27.4) 436 (44.4) 146 (14.9) 981 (100.0)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85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들만큼은 가 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8 (0.8) 78 (8.0) 581 (59.3) 313 (31.9) 980 (100.0) 나는 나에게 좋은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9(0.9) 118 (12.0) 570 (58.1) 284 (29.0) 981 (100.0)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16 (1.6) 149 (15.2) 471 (48.0) 346 (35.2) 995 (100.0)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5 (0.5) 65 (6.6) 575 (58.3) 342 (34.7) 987 (100.0)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다* 30 (3.0) 260 (26.4) 500 (50.8) 195 (19.8) 985 (100.0)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 하고 있다. 15 (1.5) 151 (15.3) 612 (62.1) 208 (21.1) 986 (100.0)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나 자신이 만족스 럽다. 28 (2.8) 294 (29.8) 532 (54.0) 131 (13.3) 995 (100.0) <표 Ⅲ-39>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자아존중 수준 □ 참여자의 심리적지지 수준 ○ 참여자의 심리적지지 수준을 살펴보면, 행복수준은 보통, 자아존중감은 우수한 수준 으로 분석 - 참여자의 행복 수준은 10점 만점에 6.53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분석 구분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행복수준 (10점 만점) 974 1 10 6.53 1.620 <표 Ⅲ-38>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전집단의 행복수준 - 참여자의 자아존중 수준을 살펴보면, 설문항목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70% 이상의 긍정적인 응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86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나는 나 자신을 보다 더 존중할 수 있으 면 하고 생각한다. 즉, 나는 평소 나 자신 에 대한 존중감이 낮은 편이다* 44 (4.5) 359 (36.4) 453 (46.0) 129 (13.1) 985 (100.0)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 는 느낌이 든다* 24 (2.4) 222 (22.6) 452 (45.9) 286 (29.1) 995 (100.0)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 람이라고 생각한다* 23 (2.3) 210 (21.4) 404 (41.1) 346 (35.2) 995 (100.0) 주 1) * 해당 빈도 값은 본래 문항에 대한 답변의 역점수임 (예)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라는 설문 문항에 대한 원 응답비율은 “정말 그렇다” 4.3%, “그런 편이다.” 24.9%, “그렇지 않은 편이다” 44.0%, “정말 그렇지 않다” 30.7%였으나 다른 설문문항과 비 교를 위해 본래 문항에 대한 답변의 역점수로 치환하여 작성 구분 내용 빈도(명) 백분율(%) 성별 남자 172 43.4 여자 224 56.6 합계 396 100.0 연령 25세 이하 146 37.2 26-30세 137 34.9 31세 이상 110 28.0 합계 393 100.0 <표 Ⅲ-40>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2) 사후집단 분석 □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사전집단과 동일한 표본이기 때문에 큰 특성의 변화는 없으나 응답인원 감소에 따른 비율 변동은 존재 - 참여자의 연령을 살펴보면, 25세 이하가 37.2%, 26∼30세가 34.9%, 31세 이 상이 28.0%로 25세 이하 연령층의 비율은 감소하고, 26세 이상의 연령층의 비 율은 증가 - 월세에 거주하는 참여자의 비율은 35.2%로 사전조사(39.5%)보다는 감소하였 으나 여전히 주거안정성이 취약하고, 주거비에 대한 부담이 큰 것으로 분석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87 구분 내용 빈도(명) 백분율(%) 학력수준 무학 1 0.3 고졸 151 38.6 대졸 228 58.3 대학원졸 11 2.8 합계 391 100.0 혼인상태 미혼 284 71.5 기혼 106 26.7 이혼 3 0.8 기타 1 0.3 합계 397 100.0 주거점유 형태 자가 39 10.0 전세 83 21.3 월세 137 35.2 공공임대 76 19.5 기타 54 13.9 합계 389 100.0 가구원 수 (본인 포함) 1 20 4.8 2 56 14.2 3 123 31.1 4 135 34.2 5 51 12.9 6명 이상 11 2.8 합계 395 100.0 □ 참여자의 경제적 특성 ○ 참여자의 경제적 특성을 살펴보면,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취약계층의 비율은 소폭 감소한 반면, 일반 계층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소폭 증가한 것으로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는 동일한 집단이기는 하지만, 사전조사 후 사후조 사에서 응답집단의 현황이 변동됨에 따라 현황비율의 변동이 발생 - 소득활동 참여측면에서 살펴보면, 소득활동에 대한 지위의 변동의 차이는 소 폭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자영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소폭 증가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88 구분 내용 빈도(명) 백분율(%) 기초수급자 여부 일반 수급자 30 7.7 조건부 수급자 6 1.5 차상위계층 25 6.4 해당없음 328 84.3 합계 389 100.0 본인 채무불이행 경험 현재 채무불이행자 20 5.1 과거 채무불이행자 47 11.9 해당없음 328 83.0 합계 395 100.0 본인 외 가구원 채무불이행 경험 현재 채무불이행자 50 12.7 과거 채무불이행자 95 24.1 해당없음 249 63.2 합계 394 100.0 본인 소득활동 참여 상태 상용직 260 66.2 임시직 83 21.1 일용직 9 2.3 자영업 39 9.9 기타 2 0.5 합계 393 100.0 <표 Ⅲ-41>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경제적 특성 □ 참여자의 재무구조 ○ 참여자들의 재무구조를 살펴보면, 월평균 소득, 월평균 저축, 총 저축액은 소폭 상승 하였으나, 부채 총액은 대폭 상승한 것으로 분석 - 부채총액에 대한 증가는 경제적 불안과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참여자의 부채상환 및 소비 조정에 대한 지원 필요성이 높음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89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오늘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 12(3.0) 60 (15.1) 224 (56.4) 101 (25.4) 397 (100) 나의 재정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6(1.5) 65 (16.4) 226 (56.9) 100 (25.2) 397 (100)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 19(4.8) 64 (16.2) 209 (52.8) 104 (26.3) 396 (100) <표 Ⅲ-43>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경제적 스트레스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본인 월평균 소득(세후) 389 158.87 60.860 본인 월평균 저축 373 30.60 39.064 본인 총 저축액 366 363.42 692.732 본인 월평균 부채상환액 379 25.18 69.027 본인 총 부채액 374 1,677.23 2698.96 소득대비저축비율 366 19.65 18.31 소득대비부채상환비율 379 16.86 213.84 <표 Ⅲ-42>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재무구조 □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는 금전적인 부분에 대한 스트레스 수준이 매우 높고, 본 인의 재정상황에 대한 불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7개 설문 항목 중 7개 항목에 대해 만족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 특히, “오늘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81.8%, “나의 재정 상태에 대한 만 족도가 낮다.” 82.1%,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79.1%,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 어 심리적 긴장감이 크다.” 71.1%순으로 나타났음 - 또한, 경제적인 부분으로 인하여 가족이나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어려움에 직면한 참여자들이 상당 수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 ・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는 참여자가 52.9%였으며, “돈 문제로 인해 직장 동료나 친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았다.”는 참여자가 18.9%인 것으로 분석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90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적 긴 장감이 크다 12 (3.0) 961 (22.9) 186 (46.9) 108 (27.2) 397 (100)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 53(13.4) 134 (33.8) 160 (40.3) 50 (12.6) 397 (100) 돈 문제로 인해 지인으로 부터 상처 받은 경험이 있다 132 (33.2) 190 (47.9) 62 (15.6) 13 (3.3) 397 (100)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 60 (15.1) 156 (39.3) 130 (32.7) 51 (12.8) 397 (100) 주:Cronbach's α=.838 □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 참여자의 대부분은 주거유지와 긴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여유자금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합리적 소비 및 저축, 재무관리에 대한 계획과 실행 역량은 보유 - 참여자의 상당수가 주거유지 등 생활유지,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대응할 수 있는 여유자금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70.9%는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분한 재원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 났고,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재원(100만원 기준)이 준비되어 있지 못한 참여 자가 66.6%로 나타나고 있어 참여자 중 7명은 소득 중단이나 감소 시 대출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는 것으로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는 소비나 저축, 자산보유에 대한 인지 수준이 높 고, 그에 따른 실행력도 일정수준 담보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 ・ 첨여자 중 소비나 저축에 대한 계획을 세운 참여자의 비율이 74.9%, 실제로 계획소비나 저축(청년통장 제외)을 하고 있는 참여자가 66.2%, 자신의 자산현황을 인지하고 있는 참 여자가 92.8%로서 전반적으로 소비계획이나 저축, 재무관리의 실행력은 일정수준 확보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그러나 참여자 중 약 66.6%는 현재 100만원의 예비비가 없는 상황이고, 단기 소비나 저축 계획을 가진 청년 참여자(66.8%)들에 비해, 5∼10년 사이에 발행 할 지출에 대한 준비(35.8%)는 다소 소극적인 것으로 분석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91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일을 하거나 가격할인을 하면 구매한다. 60 (15.2) 187 (47.4) 139 (35.2) 9 (2.3) 395 (100)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자 내가 원치 않거나 불필요한 물건들을 구매하기 도 한다. 96 (24.4) 218 (55.2) 76 (19.3) 5 (1.3) 395 (100) <표 Ⅲ-45>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금전성향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 지고 있다 77 (19.5) 203 (51.4) 106 (26.9) 9 (2.3) 395 (100)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돈(약 100 만원)이 준비되어 있다 126 (32.0) 136 (34.6) 111 (28.2) 21 (5.4) 394 (100)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 13(3.3) 86 (21.8) 239 (60.6) 57 (14.5) 395 (100)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22(5.6) 112 (28.4) 214 (54.2) 47 (11.9) 395 (100)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다 13(3.3) 129 (32.7) 183 (46.4) 70 (17.8) 395 (100) 나의 자산현황을 잘 알고 있다 3(0.8) 26 (6.6) 256 (64.9) 110 (27.9) 395 (100) 향후 5-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 해 미리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다 60 (15.2) 194 (49.2) 120 (30.4) 21 (5.4) 395 (100) 주:Cronbach's α=.723 <표 Ⅲ-44>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재무관리 역량 수준 □ 참여자의 금전성향 ○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돈에 대한 신념과 행위는 안정적이지만, 자신의 경제 적 상황 및 돈에 대한 통제력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이 강하고, 자신의 경제적 상황 에 대한 노출을 꺼려하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들의 금전 성향 분석 결과 자신의 경제적 상황 및 돈에 대한 통제력 부 족에 대한 스스로의 부정적 인식이 크고, 자신의 경제적 상황을 숨기려는 태도 그리고 소비(지출)의 자기결정력이 부족한 부분한 것으로 분석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92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은 필수품에 돈을 쓰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낀다. 74 (18.8) 195 (49.5) 105 (26.7) 20 (5.1) 394 (100) 나 자신에게는 인색하지만, 다른 사람들 에게는 바보스러울 정도로 돈을 쓴다. 91 (23.1) 190 (48.3) 103 (26.2) 10 (2.6) 394 (100)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는 그걸 살 만한 여유가 없어’라고 말한다. 37 (9.4) 146 (37.1) 175 (44.5) 36 (9.2) 394 (100)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니에 돈이 얼마 있 는지를 알고 있다. 4 (1.1) 37 (9.4) 243 (61.6) 111 (28.2) 395 (100) 지출 규모에 상관없이, 지출 결정을 하는 것은 어렵다. 20 (5.1) 143 (36.3) 194 (49.2) 38 (9.7) 395 (100) 은행계좌에 돈이 얼마 있는지 늘 알고 있다. 3(0.8) 30 (7.6) 255 (64.6) 107 (27.1) 395 (100)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36 (9.2) 159 (40.3) 150 (38.0) 50 (12.7) 395 (100) 내 개인적인 재정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 편하다. 22 (5.6) 119 (30.2) 196 (49.7) 58 (14.7) 395 (100)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무례 하다고 생각한다. 14 (3.6) 126 (31.9) 207 (52.5) 48 (12.2) 395 (100)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것이다. 82 (20.8) 200 (50.7) 85 (21.6) 28 (7.1) 395 (100)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27(6.9) 62 (15.7) 202 (51.2) 104 (26.4) 395 (100)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금(전화, 수도세, 전기세 등)을 지불한다. 9 (2.3) 42 (10.7) 211 (53.5) 133 (33.7) 395 (100)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유복하 다고 생각한다. 89 (22.6) 234 (59.4) 66 (16.8) 5 (1.3) 394 (100)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난하다고 생각 한다. 26 (6.7) 131 (33.4) 184 (46.9) 52 (13.3) 393 (100)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 119(30.2) 244 (61.8) 26 (6.6) 6 (1.6) 395 (100)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상태 를 알리지 않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믿는다. 14 (3.6) 109 (27.6) 211 (53.5) 61 (15.5) 395 (100) 주:Cronbach's α=.647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93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들만큼은 가치 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2 (0.6) 45 (11.4) 232 (58.6) 117 (29.6) 396 (100) 나는 나에게 좋은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1(0.3) 63 (16.0) 228 (57.6) 104 (26.3) 396 (100)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115 (29.2) 199 (50.6) 68 (17.3) 12 (3.1) 394 (100)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5 (1.3) 30 (7.6) 228 (57.6) 133 (33.6) 396 (100)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다* 79 (20.0) 177 (44.7) 128 (32.4) 12 (3.1) 396(100)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하 고 있다. 10 (2.6) 81 (20.6) 222 (56.4) 81 (20.6) 394 (100)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나 자신이 만족스 럽다. 14 (3.6) 133 (33.7) 188 (47.6) 60 (15.2) 395 (100) 나는 나 자신을 보다 더 존중할 수 있으면 하고 생각한다. 즉, 나는 평소 나 자신에 대한 존중감이 낮은 편이다* 58 (14.7) 164 (41.5) 145 (36.7) 29 (7.4) 396 (100) <표 Ⅲ-47>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자아존중 수준 □ 참여자의 심리적지지 수준 ○ 참여자의 심리적지지 수준을 살펴보면, 행복수준은 보통, 자아존중감은 우수한 수준 으로 분석 - 참여자의 행복 수준은 10점 만점에 6.38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분석 구분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행복수준 (10점 만점) 391 1 10 6.38 1.727 <표 Ⅲ-46>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사후집단의 행복수준 - 참여자의 자아존중 수준을 살펴보면, 설문항목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70% 이 상의 긍정적인 응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참여자의 낮은 자존감 회복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도입・운영에 대해서는 사후 관리 측면에서 검토 필요성이 높음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94 구분 전/ 후 빈도 평균 T값 P값 사후-사전 본인 월 평균 소득(세후) 사전 377 151.44 -1.188 .235 6.58 사후 377 158.01 본인 월 평균 저축 사전 349 28.72 -1.387 .166 2.48 사후 349 31.19 본인 총 저축액 사전 328 312.36 -1.650 .100 47.06 사후 328 359.43 <표 Ⅲ-48>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재무구조 변화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128 (32.4) 169 (42.7) 88 (22.3) 11 (2.8) 396 (100)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람 이라고 생각한다* 143 (36.2) 155 (39.2) 88 (22.3) 10 (2.6) 396 (100) 주 1) * 해당 빈도 값은 본래 문항에 대한 답변의 역점수임 (예)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라는 설문 문항에 대한 원 응답비율은 “정말 그렇다” 4.3%, “그런 편이다.” 24.9%, “그렇지 않은 편이다” 44.0%, “정말 그렇지 않다” 30.7%였으나 다른 설문문항과 비 교를 위해 본래 문항에 대한 답변의 역점수로 치환하여 작성 (3)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성과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 참여자의 재무(상태)구조 변화 ○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재무구조를 살펴보면, 월 평균 소득, 월 평균 저축액 등 자산 수준은 소폭 개선되었으나, 참여자가 부담해야 할 부채 수준은 증가 - 참여자의 월 평균 소득(세후)의 평균차가 사전보다 사후에 6.58만원으로 증가 하였고, 월 평균 저축액과 총 저축액은 각각 2.48만원, 47.06만원 증가 - 그러나 월 평균 부채상환액은 25.4만원으로 사전조사(17.7만원) 7.7만원 증가 하였고 총 부채액도 1,687만원으로 200만원 증가 ・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사후조사는 사전조사 후 6개월이 경과 한 시점에서 진행 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인 소득 및 자산의 변화를 현실적 한계가 존재 ・ 그럼에도 불구하고 6개월 사이에 부채총액이 200만원 증가한 것에 대해서는 실제 주거 비 및 생활비 등의 지출 증가가 근로소득의 수준을 넘어서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95 구분 전/ 후 빈도 평균 T값 P값 사후-사전 본인 월 평균 부채상환액 사전 363 17.66 -2.180 .030 7.75 사후 363 25.41 본인 총 부채액 사전 354 1485.01 -1.814 .071 202.37 사후 354 1687.38 소득 대비 저축 비율 사전 340 19.56 -.077 .939 0.10 사후 340 19.65 소득 대비 부채상환 비율a 사전 231 16.56 -.253 .800 0.30 사후 231 16.86 a:총 부채가 0원인 청년은 제외한 비율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 이후 대출(부채)이 발생한 경우는 사후조사 응답자 중 137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약 53%는 주거비와 관련된 대출인 것으로 분석 - 대출 1순위는 주거비(매매, 전세보증금, 월세, 임대료 등)가 53.28%로 나타났 고, 2순위는 결혼자금(10.22%)로 나타났음 ・ 응답자의 약 8.8%는 다른 대출을 변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출이 발생된 것으로 분석 구분 (다중응답) 빈도(명) 퍼센트 생활비 (식료품, 외식비) 11 8.03% 주거비 (매매, 전세보증금, 월세 등) 73 53.28% 대학등록금 6 4.38% 자녀교육비/ 보육비 3 2.19% 가족의 요청 5 3.65% 결혼 14 10.22% 창업 8 5.84% 또 다른 빚 변제 12 8.76% 기타 5 3.65% 합계 137 100.00% <표 Ⅲ-49>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사업 참여 이후 대출 발생 사유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96 - 2차 통장사업 참여 이후 대출이 발생한 참여자 중 71명은 향후 추가적으로 대 출계획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응답자의 35.2%는 주거와 관련된 것으로 분석 ・ 추가 대출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참여자 중 약 18.3%는 대출 등 부채상환을 위한 대출을 계획 중인 것으로 분석 구분 (다중응답) 빈도(명) 퍼센트 생활비 (식료품, 외식비) 8 11.27% 주거비 (매매, 전세보증금, 월세 등) 25 35.21% 대학등록금 3 4.23% 자녀교육비/ 보육비 9 12.68% 가족의 요청 3 4.23% 결혼 5 7.04% 창업 2 2.82% 또 다른 빚 변제 13 18.31% 기타 3 4.23% 합계 71 100.00% <표 Ⅲ-50>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향후 대출 계획 및 용도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의 변화는 긍정적인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가 경제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것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응답은 52.8%로 사전조사(32.6%) 대비 16.2%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자의 경제적 스 트레스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경제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에 대한 평균점수는 사전 조사 시 54.6점이었으나 사후 조사에서는 61.6점으로 약 7점 상승된 것으로 나타남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97 구분 사례수 평균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 음의 순위 106 87.59 9285.00 -3.646 .000양의 순위 63 80.63 5080.00 동률 228     나의 재정상태(소득, 지출, 대출 등)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음의 순위 91 82.58 7515.00 -2.204 .028양의 순위 68 76.54 5205.00 동률 237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 음의 순위 114 89.40 10191.50 -4.132 .000양의 순위 61 85.39 5208.50 동률 220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 음의 순위 125 99.66 12458.00 -2.893 .004양의 순위 77 104.48 8045.00 동률 195     <표 Ⅲ-52>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평균 (단위:점) 사전 8.5 24.1 44.9 22.5 54.6 사후 8.1 44.7 32.8 14.4 61.6 격차 ▼0.4 ▲20.6 ▼12.1 ▼8.1 ▲7.0 주 1) ▲ :상승, ▼:감소 주 2) 사전과 사후 분석의 표본 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비율을 기준으로 비교 주 3) ‘현재 나는 경제적 스트레스는 많이 받고 있다’라는 질문 문항으로 분석 <표 Ⅲ-51>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단위:%, 점(100점 만점 환산 기준) ○ 경제적 스트레스 측정 항목 7문한 중 공과금 및 세금납부, 대출금 상환, 생활비 및 금 전에 대한 스트레스 영역의 문항에서 개선 수준이 큰 것으로 분석 - 특히,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 “자주 생 활비 걱정을 한다”,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의 설문 항목의 개선 수준이 큰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설문 항목에서 변화가 있는 것으 로 분석되었으며, 개별 설문 문항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기 때문에 사전집단보다는 사후집 단에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98 구분 사례수 평균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 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 음의 순위 136 110.19 14986.00 -4.358 .000양의 순위 77 101.36 7805.00 동률 183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예를 들면,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라는 항목에 대해서 음의 순위 총합은 1,328, 양의 순위 총합 은 44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α<p(0.05))이기 때문에 사전・사후집단은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은 음의 방향임. 설문 항목 자체가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사후집단이 사전 집단에 비해 경제적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음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 ○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은 전체적으로 변화의 폭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비・저축 에 대한 계획 수립과 관련된 영역에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응답 수준 및 점수 개선 수준은 소폭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경제적 역량에 대한 평균 점수는 약 0.3점 감소한 것으로 분석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평균 (단위:점) 사전 11.0 32.3 43.9 12.8 64.6 사후 11.4 32.1 44.4 12.1 64.3 격차 ▲0.4 ▼0.2 ▲0.5 ▼0.7 ▼0.3 주 1) ▲ :상승, ▼:감소 주 2) 사전과 사후 분석의 표본 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비율을 기준으로 비교 주 3) ‘현재 나의 경제적 역량은 향상되었다’라는 질문 문항으로 분석 <표 Ⅲ-53>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단위:%, 점(100점 만점 환산 기준) ○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을 살펴보기 위한 항목 중 소비・저축에 대한 계획 수립 관련 문항에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분석 -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의 설문 항목에서 사전집단보다 사후 집 단에서 부정적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 ・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라는 항목에 대의 음의 순위 총합은 7,385점, 양 의 순위 총합은 6.339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α<p(0.05))이기 때문에 사전・사후 집단은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은 음의 방향임. 설문 항목 자체가 긍정의 의미를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99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대의 방향성을 갖기 때문에 사후집단이 사전집단에 비해 계획적 인 소비・저축 계획 수립과 관련된 역량은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음 ・ 합리적 소비 및 저축 계획은 향후 미래 준비 및 경제적 자립 능력을 갖추는데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향후 사업의 운영과정에서 참여자의 합리적 소비・저축 계획 수립을 위한 역량 증진과 관련된 지원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이 높음 구분 사례수 평균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주거유지(월세, 주택담보대출 등)를 위한 돈이 충분히 있다 음의 순위 84 87.92 7385.50 -1.685 .092양의 순위 100 96.35 9634.50 동률 209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 음의 순위 98 88.89 8711.50 -1.971 .049양의 순위 75 84.53 6339.50 동률 220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림 음의 순위 111 97.25 10795.00 -1.732 .083양의 순위 84 98.99 8315.00 동률 198     향후 5~10년 사이 발생할 지출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준비한다 음의 순위 103 95.01 9786.00 -1.778 .075양의 순위 82 90.48 7419.00 동률 206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표 Ⅲ-54>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 참여자의 금전성향 변화 ○ 참여자의 금전성향 변화는 일부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전에 대한 맹신, 소비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영역에서 변화가 큰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금전 성향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은 53.7%로 사전조사(46.3%) 대비 7.4%p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금전성향 변화에 대한 점수는 약3.5점 상승 ・ 참여자의 전반적인 금전성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사후조사는 사전조사 실시 후 6개월 후에 진행되었기 때문에 금융・재무 교육, 상담 및 컨설팅 등 사후관리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수준임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00 ・ 따라서 참자가의 금전성향의 변화는 일하는 청년통장 경제적 지원 + 사후관리 프로그램 지원으로 인한 결과라기보다 개인의 특성변화, 참여자를 둘러싼 외부 환경의 변화에 기 인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평균 (단위:점) 사전 16.4 37.2 35.8 10.6 64.8 사후 10.5 35.7 42.5 11.3 61.3 격차 ▼5.9 ▼1.5 ▲6.7 ▲0.7 ▼3.5 주 1) ▲ :상승, ▼:감소 주 2) 사전과 사후 분석의 표본 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비율을 기준으로 비교 주 3) ‘현재 나의 금전적인 성향이 개선되었다.’라는 질문 문항으로 분석 <표 Ⅲ-55>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금전성향 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단위:%, 점(100점 만점 환산 기준) ○ 참여자의 금전성향을 살펴볼 수 있는 설문 항목 중 소비에 대한 의사 표현은 긍정적 으로 변화하였으나 금전에 대한 맹신 및 절대적 신뢰, 자발적 소비통제 등에 대해서 는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분석 - “나는 그걸 살 만한 여유가 없어’라고 말한다.”의 항목에 대해서는 사전집단보 다 사후집단에서 더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분석 ・ 해당 항목의 경우 음의 총합보다 양의 총합의 비교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α <p(0.05))이기 때문에 사전・사후집단은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은 양의 방향임. ・ 설문 항목 자체가 긍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의 방향성을 갖는다는 것은 소비 에 대한 의사 표현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고 볼 수 있음 -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것이다.”,“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등 대부분의 항목에 사전보다 사후집단에서 더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분석 ・ 해당 항목의 경우 음의 총합보다 양의 총합의 비교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α <p(0.05))이기 때문에 사전・사후집단은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은 양의 방향임. ・ 설문 항목 자체가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의 방향성을 갖는다는 것은 소비 에 대한 의사 표현은 더 부정적으로 변화하였다고 볼 수 있음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101 구분 사례수 평균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음의 순위 54 101.25 5467.50 -6.293 .000양의 순위 149 102.27 15238.50 동률 191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는 거 의 유일한 것이다. 음의 순위 63 94.13 5930.50 -3.348 .001양의 순위 116 87.75 10179.50 동률 216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음의 순위 74 100.96 7471.00 -2.131 .033양의 순위 115 91.17 10484.00 동률 206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 음의 순위 89 70.11 6239.50 -2.254 .024양의 순위 55 76.37 4200.50 동률 247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는 그걸 살 만한 여유가 없 어’라고 말한다. 음의 순위 85 95.11 8084.50 -2.507 .012양의 순위 114 103.64 11815.50 동률 193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 고자 내가 원치 않거나 불필 요한 물건들을 구매하기도 한다. 음의 순위 61 91.57 5585.50 -4.853 .000양의 순위 126 95.18 11992.50 동률 206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 일을 하거나 가격할인을 하면 구매한다. 음의 순위 67 89.02 5964.50 -4.093 .000양의 순위 119 96.02 11426.50 동률 207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표 Ⅲ-56>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금전성향 변화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참여자의 자존감 수준의 변화는 사전집단보다 사후집단에서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참여자의 자존감 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남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02 구분 사례수 평균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 만큼은 가치가 있는 사람이 라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87 74.38 6471.00 -2.257 .024양의 순위 60 73.45 4407.00 동률 243     <표 Ⅲ-58>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참여자의 자존감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응답은 45.1%로 사전집단 조사(78.5%) 대비 33.4%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점수 역시 14.3점 감소한 것으로 분석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평균 (단위:점) 사전 2.1 19.4 52.3 26.2 75.7 사후 14.0 40.9 30.7 14.4 61.4 격차 ▲11.9 ▲21.5 ▼21.6 ▼11.8 ▼14.3 주 1) ▲ :상승, ▼:감소 주 2) 사전과 사후 분석의 표본 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비율을 기준으로 비교 주 3) ‘현재 나는 자존감에 대한 변화가 있었다.’라는 항목으로 분석 <표 Ⅲ-57>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단위:%, 점(100점 만점 환산 기준) ○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측정 4개 항목에 대해 부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를 측정항목 중 긍정적인 설문 항목에 대해서는 음의 방향으로 부정적 설문 항목에 대해서는 양의 방향으로의 응답이 더 많이 이루 어진 것으로 ・ “나는 적어도 다른 사람만큼은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자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항목의 경우 음의 총합보다 양의 총합의 비교 결과, 통계적으 로 유의한 수준(α<p(0.05))이기 때문에 사전・사후집단은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 은 음의 방향성이기 때문에 부정적인 변화가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음 ・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나에게는 자랑할 만 한 것이 별로 없다” 항목의 경우, 음의 총합보다 양의 총합의 비교 결과, 통계적으로 유 의한 수준(α<p(0.05))이기 때문에 사전・사후집단은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은 양 의 방향성이기 때문에 부정적인 변화가 더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음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103 구분 사례수 평균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음의 순위 63 80.24 5055.00 -3.226 .001양의 순위 102 84.71 8640.00 동률 224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음의 순위 79 91.66 7241.00 -1.969 .049양의 순위 105 93.13 9779.00 동률 211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정 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음의 순위 83 72.48 6016.00 -2.702 .007양의 순위 56 66.32 3714.00 동률 254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 참여자의 정책만족도 및 미래 희망, 이직의사 등에 대한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청년통장 정책에 참여하고 있는 2차 참여자의 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98.4% 수준으로 나타났음 ・ 정책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값은 3.7(92.5점)로 나타남 ・ 2018년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조사 진행 시 정책만족도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분석이 가능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2차 조사 0.3% 1.3% 29.8% 68.6% 37(92.5점) <표 Ⅲ-59>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청년통장 참여로 인한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 - 청년통장 정책에 참여하고 있는 2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에 대해서는 94.2%가 긍정적으로 응답 ・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에 대한 응답 평균은 3.3(83.1점)으로 나타남 ・ 2018년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조사 진행 시 정책만족도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분석이 가능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04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2차 조사 0.8% 5.1% 58.7% 35.5% 3.3(83.1점) <표 Ⅲ-60>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 ○ 청년통장 가입 이후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 청년통장 가입 이후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여부에 대해서는 참여자의 58.5%가 긍정적으로 응답함 ・ 청년통장 가입 이후 이직에 대한 감소 여부에 대한 응답 평균값은 2.74(68.5점)로 나타남 ・ 2018년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조사 진행 시 정책만족도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 분석이 가능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2차 조사 6.9% 34.6% 36.2% 22.3% 2.74(68.5점) <표 Ⅲ-61>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3. 소결 □ 참여자의 재무구조 ○ 일하는 청년통장 1차 및 2차 참여자의 재무구조를 살펴보면, 월 소득, 저축액, 총 저축액 등 소득・자산 관련 부분은 개선되고 있으나, 총 부채액 등 부채상환 관련 여 건은 더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부채 총액 및 월 부채 상환액 증가로 인하여 소득 대비 저축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 특히, 1차 참여자보다 2차 참여자의 소득 개선 수준이 낮아, 부채 상환에 대한 부담 및 스트레스, 빈곤층 추락으로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참여기간 동안 참여자를 위한 금융・재무 교육, 상담 및 컨설팅 등을 통해 부채관리, 소비・저축 등의 경제활동에 대한 체질 개선을 위 한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105 구분 1차 참여자 2차 참여자 전/ 후 평균 전/ 후 평균 본인 월 평균 소득(세후) 사전 164.69 사전 151.44 사후 182.73 사후 158.01 본인 월 평균 저축 사전 33.59 사전 28.72 사후 93.59 사후 31.19 본인 총 저축액 사전 351.99 사전 312.36 사후 570.81 사후 359.43 본인 월 평균 부채상환액 사전 26.02 사전 17.66 사후 75.10 사후 25.41 본인 총 부채액 사전 1500.54 사전 1485.01 사후 1768.70 사후 1687.38 소득 대비 저축 비율 사전 23.97 사전 19.56 사후 9.41 사후 19.65 소득 대비 부채상환 비율 사전 27.93 사전 16.56 사후 10.44 사후 16.86 <표 Ⅲ-62> 일하는 청년통장 1차 및 2차 참여자 재무현황 비교 □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은 정책참여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일부분 개선되고 있으나, 참여자 관리 및 지원을 통해 개선의 필요성이 많은 것 으로 분석 - 1차 참여자와 2차 참여자 간 경제적 스트레스에 대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나, 공통적으로 본인 및 가구 구성원 중 채무불이행과 관련된 경험이 있는 참여자일수록 경제적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특히, 참여자 관리 시 채무불이행 경험자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을 별도로 개 발・운영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06 □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 수준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차 및 2차 참여자의 그룹비교에서도 차이가 별로 없는 것으로 분석 - 1차 및 2차 참여자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차 참여자의 경우 측정 항목에서 일부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반면, 2차 참여자의 경우 사전집단보다는 사후집단에서 부정적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 ・ 1차 참여자의 사후 분석은 사업 참여(사전조사) 이후 1년 이상이 경과된 시점에서 사후조 사가 진행된 반면, 2차 참여자의 사후 분석의 경우, 사업 참여(사전조사) 이후 6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시점에서 조사 분석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지원의 효과가 발휘되기 이전 이기 때문으로도 해석할 수 있음 - 중・장기적으로 참여자가 주도적인 경제활동 및 자립 능력을 갖추는데 필요한 합리적 소비・지출, 저축 계획 등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 ・ 단기적인 소비・지출, 저축에 대한 계획은 수립을 하고 있으나 5년~10년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소비・지출, 저축에 대한 계획 수립을 위한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지원도 병행 필요 □ 참여자의 금전성향 변화 ○ 참여자의 금전성향과 관련된 변화의 수준은 크지 않으나, 금전에 대한 맹신, 불필요한 물건 구매에 따른 소비 등에 대해서는 사전집단보다 사후집단에서 더 부정적으로 변화 - 특히, 금전에 대한 맹신, 무한 신뢰, 소비과정에서 과도한 금전에 대한 의존 성 향은 1차 및 2차 참여자 모두 부정적인 성향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금전성향을 현재 수준보다 긍정적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적립금 지원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향, 금전에 대한 가치를 개선할 수 있는 사후 관리 프로그램의 도입・운영 - 그럼에도 불구하고, 1차 참여자와 달리 2차 참여자는 소비에 대한 의사표현과 관련하여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참여자의 금전적인 역량 보유 여부에 상관없이 해당 물건의 구매에 대해 참여자의 직접 적인 의견을 상대방에게 명확하게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는 측면은 긍정적으로 평가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107 □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참여자의 자존감은 1차 참여자보다 2차 참여자에서 더 부정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자존감의 하락 수준은 심각한 것으로 분석 - 1차 참여자의 자존감은 사전-사후 검증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 웠으나, 2차 참여자의 자존감은 사전-사후 검증 결과 사전조사보다 사후조사 에서 현저하게 하락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자존감을 측정하기 위한 모든 항목에서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존감은 부채수준 및 상환 총액, 합리적 소비・지출 계획 역량이 미흡 참여자일수록 자 존감이 더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 - 향후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저축관리 및 금융・재무 교육 등의 지원뿐만 아니라 참여자의 심리적인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의 도입・운영이 필요 ・ 참여자의 자존감은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사회 등의 사회적・심리적・경제적 지지가 수반 되어야 하나, 자산형성에 방점을 두고 있는 청년통장에서 이러한 부분을 다 포괄하기는 어렵지만, 사회적・심리적 지지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자존감 회복 유도

Ⅳ 결론 및 정책제언 1. 연구 요약 2. 정책 제언

Ⅳ. 결론 및 정책제언 111 Ⅳ결론 및 정책제언 1. 연구 요약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및 참여자에 대한 다양한 효과 검증을 위한 필요성 증대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목표 대비 성과 검증과 사업 참여자의 변화 등 양적․질 적 성과에 대한 검증 필요성이 증대 ○ 그러나 일하는 청년통장에 대한 사업은 현재 진행 중이기 때문에 사업 전반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제약사항이 존재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에 대한 평가는 사업이 완료된 시점에서 정책 추진의 효과 및 목표 달성 수준 등을 측정 가능 - 일하는 청년통장 전반에 대한 평가는 현실적으로 어려우나, 참여자의 사회적․ 경제적․심리적 변화, 정책의 추진 요소 등 과정에 대한 평가는 가능 ○ 본 연구는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진행과정에서 참여자의 변화 등 질적인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활용하여 관련 내용을 분석하는 것임 - 특히,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 개발 및 분석 수 행을 통해 향후 일하는 청년통장의 질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연구 내용 요약 ○ 일하는 청년통장은 ‘근로빈곤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미래 준비, 일자리 유지, 안정적 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기도형 자산형성지원사업’임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12 - 근로빈곤 청년계층의 지속적인 근로활동을 독려하고, 미래의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자산형성과 삶의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관련 서비스를 제공함 으로써 사회적 역량과 미래준비 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이 사업의 목적임 ○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평가는 사업의 성과 및 효과 검증,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심 리적 변화의 진단을 통해 사업의 기획과 집행과정, 결과를 이해하고 가치를 판단하는 일련의 과정임 - 일하는 청년통장의 성과평가는 ①목표 달성 여부에 관한 정보 수집, ②사업 설 계 및 운영과정에 대한 수정・보완, ③재원 투입 대비 효과, 운영의 질 등 재원 활용에 대한 책무성 확보의 목적을 포함하고 있음 ○ 현재 시점에서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는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 변화 수준, 변화 요인 등에 대한 진단 및 분석은 가능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현재 진행 중이므로 사업에 대한 성과 및 효과 검증이 용이하지 않지만 참여자에 대한 변화 정도, 설계 수정・보완에 대한 부분은 진단 가능 - 일하는 청년통장의 목표는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 개선, 소득 증대 및 부채 감 소,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자립역량 증진 등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참여자의 변 화 진단 및 분석을 통해 성과의 간접적 도출 가능 ○ 일하는 청년통장의 성과 분석 지표는 자산형성 변화, 일자리 유지 등 직접적 효과 측 정이 가능한 지표와 합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변화, 금전성향, 경제적 스트레스, 자아 존중감 등 참여자의 태도 및 심리 변화 등 간접적 측정 지표로 구성 - 직접적 효과는 자산형성과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참여자의 소득, 저축액, 부 채상환 등 재무구조 등 참여자의 경제적 수준을 분석과 일하는 청년이 해당 사업의 대상자이기 때문에 현재 일자리 유지 비율, 이직 비율 등 참여자의 근 로활동 현황을 분석 - 간접적 효과는 교육, 사후관리 상담 및 컨설팅 등을 통해 참여자의 합리적 소 비에 대한 인식 변화, 금전성향에 대한 인식 변화와 참여자의 행복 수준, 자아 존중감 등 심리적 지지에 대한 변화 정도와 경제적 요인으로 인하여 받는 스트 레스 수준 등을 분석

Ⅳ. 결론 및 정책제언 113 <그림 Ⅳ-1>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 목표와 지표의 관계 □ 분석 결과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재무구조를 살펴보면, 월 소득, 저축액, 총 저축액 등 소 득・자산 관련 부분은 개선되고 있으나, 총 부채액 등 부채상환 관련 여건은 더 악화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특히, 1차 참여자보다 2차 참여자의 소득 개선 수준이 낮아, 부채 상환에 대한 부담 및 스트레스, 빈곤층 추락으로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참여기간 동안 참여자를 위한 금융・재무 교육, 상담 및 컨설팅 등을 통해 부채관리, 소비・저축 등의 경제활동에 대한 체질 개선을 위 한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은 정책참여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일부분 개선되고 있으나, 참여자 관리 및 지원을 통해 개선의 필요성이 많은 것 으로 분석 - 1차 참여자와 2차 참여자 간 경제적 스트레스에 대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나, 공통적으로 본인 및 가구 구성원 중 채무불이행과 관련된 경험이 있는 참여자일수록 경제적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14 - 특히, 참여자 관리 시 채무불이행 경험자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을 별도로 개 발・운영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 수준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차 및 2차 참여자의 그룹비교에서도 차이가 별로 없는 것으로 분석 - 1차 및 2차 참여자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차 참여자의 경우 측정 항목에서 일부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반면, 2차 참여자의 경우 사전집단보다는 사후집단에서 부정적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 ・ 1차 참여자의 사후 분석은 사업 참여(사전조사) 이후 1년 이상이 경과된 시점에서 사후조 사가 진행된 반면, 2차 참여자의 사후 분석의 경우, 사업 참여(사전조사) 이후 6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시점에서 조사 분석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지원의 효과가 발휘되기 이전 이기 때문으로도 해석할 수 있음 - 중・장기적으로 참여자가 주도적인 경제활동 및 자립 능력을 갖추는데 필요한 합리적 소비・지출, 저축 계획 등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금전성향과 관련된 변화의 수준은 크지 않으나, 금전에 대한 맹신, 불필요한 물건 구매에 따른 소비 등에 대해서는 사전집단보다 사후집단에서 더 부정적으로 변화 - 특히, 금전에 대한 맹신, 무한 신뢰, 소비과정에서 과도한 금전에 대한 의존 성 향은 1차 및 2차 참여자 모두 부정적인 성향으로 변화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금전성향을 현재 수준보다 긍정적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적립금 지원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향, 금전에 대한 가치를 개선할 수 있는 사후 관리 프로그램의 도입・운영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자존감은 1차 참여자보다 2차 참여자에서 더 부정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자존감의 하락 수준은 심각한 것으로 분석 - 1차 참여자의 자존감은 사전-사후 검증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 웠으나, 2차 참여자의 자존감은 사전-사후 검증 결과 사전조사보다 사후조사 에서 현저하게 하락한 것으로 분석 - 향후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저축관리 및 금융・재무 교육 등의 지원뿐만 아니라 참여자의 심리적인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의 도입・운영의 필요성 높음

Ⅳ. 결론 및 정책제언 115 2. 정책 제언 □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측정을 위한 조사 대상 관리 ○ 일하는 청년통장은 진입횟수에 따라 1차, 2차, 3차, 4차 등 계속 순차적으로 늘어나는 데 비해 성과측정 시점에는 관련 참여자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표본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 - 500명의 경우 1차 조사 시 320명, 2차 조사 시 160명 수준으로 급감하고 있음 - 500명의 경우 향후 3회~4회의 조사를 추가적으로 시행해야만 정책 대상자 선 정 후 6개월 동안 참여자의 금융・재무 관련 태도변화 등 성과 측정이 가능 - 2차 참여자 1,000명의 경우에도 1차 조사 시 397명으로 모집단의 40% 수준 에 그치고 있음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 선정 이후 제공되는 교육, 금융‧재무 상담 및 컨설팅 등의 지 원서비스와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변화 등 질적인 성과를 연계 관리할 수 있 는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시스템(가칭)’ 구축․운영 - 현재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대상자와 성과 측정의 대상자가 동일함에도 불구 하고, 대상자 관리와 성과 측정을 위한 대상자 관리가 분리되어 운영됨으로써 관리 효율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존재 - 일하는 청년통장 1차 및 2차 참여자의 질적 분석 결과에서도 도출되었듯이, 일 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 지원이 성과와 밀접하게 연계되 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 정립이 필요 ○ 특히 설문조사의 응답률을 제고하기 위하여 On-Line 조사 체계를 구축하여 지속적・ 안정적 설문 조사 추진 및 지속적인 설문 참여자에 대한 비예산 인센티브 제공 - 일하는 청년통장 1차 및 2차 참여자의 경우, 우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하여 설문 응답 회수율이 현저하게 낮은 부분의 보완하기 위하여 향후 1차 및 2차 참여자를 대상으로 관련 설문조사 진행 시 온라인으로 설문 조사 방식으로 전 환하고, 원활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 및 일하는 청년 통장 관리시스템과 연계 - 설문조사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청년에게는 재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금융・재무 컨설팅 서비스 제공, 온라인 영수증 체험단 등 지원 프로그램 우선 참여 보장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16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에 대한 평가 프레임 구축 및 중‧장기 계획 수립 ○ 일하는 청년통장의 사업을 총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체계 구축 - 일하는 청년통장은 6개월 단위로 대상자를 모집하고 있고, 각 모집 시기별로 대상자 선정기준 및 목표에 대한 기준이 조금씩 차이가 있음 - 이러한 정책 변화에 맞게 각 시기별로 진행된 일하는 청년통장 정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 프레임 및 지표 체계 정립이 필요 ・ 이번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변화 및 질적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고, 사업의 완료시점이 아닌 과정 중에 진행되었기 때문에 사업의 전체적인 성과를 살펴보 는 것은 한계가 있음 ○ 일하는 청년통장 평가에 대한 중‧장기 계획 수립 - 일하는 청년통장은 2016년을 시작으로 2019년에 종료되는 것이 1차 사업이며, 2020년, 2021년, 2022년에 각각 종료되는 사업들이 존재 - 해당 사업의 성과 측정과 비교를 위해 각 사업들이 완료되는 시점에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계획을 사전적으로 수립을 통해 사업 진행 단계별 성과 관리 체계 구축 □ 대상자의 변화(성과) 요인 도출을 질적 조사 수행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에 참여하는 대상자의 변화 요인을 도출하여, 유사 사업 진행 시 프로그램 등 콘텐츠 개발을 위한 질적 조사 수행 - 양적인 성과 측정 방법으로는 대상자의 심층적인 변화요인을 도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표본을 추출하여 심층인터뷰, FGI 등을 통해 대상자의 변화 요인을 도 출하는 후속과정 진행 ・ 양적인 지표 중심의 성과평가 및 측정은 사업의 실질적인 효과를 과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참여자의 태도 및 인식변화 관련 질적 조사를 통해 성과 요인을 도출하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함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개인별 성과 요인 도출 및 사업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한 ‘일하는 청년통장 패널(가칭)’운영 - 참여자 전체에 대한 금전성향, 경제적 스트레스, 자존감 등에 대해서는 통계적 으로 조사・분석이 진행되어 있으므로 변화 수준, 질적인 성과에 대한 요인 추출은 가능하나, 참여자 개인별 성과 도달을 위한 요인 도출은 제한적

Ⅳ. 결론 및 정책제언 117 - 참여자 개인별 경제적 상황, 사회적 상황, 심리적 상황에 대한 요인 도출과 각 각의 요인들이 어떻게 연계・작동하는지에 대한 내용들을 심층 분석을 위한 ‘일 하는 청년통장 패널(가칭)’ 운영 ・ 일하는 청년통장 패널은 각 사업마다 선정된 참여자 중 동일 사업당 6~7명을 1개 그룹 으로 2~3개 그룹 운영을 원칙으로 설장하고, 그룹 운영 수는 사업의 총 대상자 규모를 고려하여 차등적으로 운영 ・ 예를 들면 2016년 1차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패널은 7명씩 2개 그룹 총 14명을 운영하 고, 2017년 3차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패널은 7명씩 3개 그룹 총 21명을 운영 ・ 이러한 조사・분석 체계를 활용하여 참여자의 자존감, 심리적 변화 등 통계 분석에서 도 출되지 않은 결과에 대해 심층 분석과 유용한 결과 도출 및 향후 참여자 관리 및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 가능 - 일하는 청년통장 패널은 질적 분석을 위하여 별도로 운영하기 보다는 참여자 소그룹 모임 프로그램 등을 활용・운영

참고문헌 119 참고문헌 < 국내자료> 국가보훈처(2004).『국가보훈처 성과목표 및 지표 개발』, 국가보훈처. 김순영(2011).『대출 권하는 사회』, 서울:후마니타스. 김승아(2008).『저소득층의 자산과 경제적 안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연명・최 영・남윤주・이용우(2007).『아동발달계좌(CDA)제도 및 사업확대방안』, 보건 복지부・중앙대학교. 남상호(2015). “우리나라 가계 소득 및 자산 분포의 특징.”,『보건・복지 Issue & Focus』, 277 :1-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선희(2014).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지발달중재학회지, 5(1) :17-34, 인지발달중재학회 서은국・구재선・이동귀・정태연・최인철(2010). “특별 심포지엄:한국인의 행복 및 정신건강 지수:한국인의 행복 지수와 그 의미”,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2010년 제1호:213-232, 한국심리학회. 이순성(2014).『저소득층 자산형성 지원 사업 성과분석 연구』, 서울시복지재단 2014-47, 서울시복지재단. 이순성・서용희・김기재(2012). 저소득층 자산형성 지원 사업의 자기적 성과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시복지재단. 이윤식(2010).『정책평가론』, 서울:대영문화사 이태진・신영석・김미곤・노대명(2005).『저소득층 자산형성지원 프로그램 시행방안』,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05-4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유지성・오창수(1999).『현대통계학』, 서울:박영사. 장동호(2013). “저소득층을 위한 금융코칭 프로그램의 개념 및 가능성”,『사회복지정책』, 40(3):207-231,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20 ______(2016). “가계의 재무상태와 행복의 관계:지역사회복지기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2):283-292,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학회. 조혜진・김민정・장연주・최현자・이지영(2015). “효과적인 재무설계를 위한 코칭(Coaching) 의 적용가능성 검토 연구” Financial Planing Review 8(4):59-94, 한국FP학회. 천규승・이성표(2011).『성인 금융 이용능력 및 이해도 조사 결과 - 2011 금융소비자 현황 조사』, 한국개발연구원(KDI). 천주희(2016).『우리는 왜 공부할수록 가난해지는가』, 서울:사이행성. 최현수・한창근・최준영(2012).『탈 수급 촉진을 위한 희망키움통장 참여가구 모니터링 및 평가연구 - 3차』. 정책보고서 2012-9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2005).『일자리 지원사업 성과지표 개발 및 성과평가 등 성과분석 체계 구축』, 한국노동연구원. < 국외자료> Atkinson, A., Mckay, S., Kempson, E. and Collard, S.(2007). “Level of financial capability in the UK”, Public Money and Management. 2007-27 :29-36, Public Money and Management. Anders, J.(2011). Measuring Outcomes of Financial Capability Programs:Success Measures Tools for Practitioners, Success Measures, NeighborWorks America. Aimee D. Prawitz, E. Thomas Garman, Benoit Sorhaindo, Barbara O'Neill, Jinhee Kim, and. Patricia Drentea(2006). “In Charge Financial Distress/Financial Well-Being Scale: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Score Interpretation”, Financial Counselling and Planning, 17(1):34-50, Journal of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Aldana, S. G. and Liljenquist, W.(1998).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financial strain survey”,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 9(2):11-18, Brigham Young University.

참고문헌 121 Beverly, S., Sherraden, M., Zhan, M., Shanks, T. & Y. Nam.(2008). Determinants of Asset Building. A Report in the Series Poor Finances: Assets and Low-Income Households, Center for Social Development,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and Reid Cramer New America Foundation. Birkenmaier, J., Sherraden, M. and Curley (eds)(2013). Financial Capability and Asset Development:Research,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Bryson, J. M & Cullen, J. W.(1984). “A Contingent Approach to Strategy and Tactics in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7(3):267-289. Clancy, M. M. & Beverly, S. G.(2017). Statewide Child Development Account Policies:Key Design Elements, CSD POLICY REPORT 17-30. Furnham, A.(1984). “Many sides of the coin:the psychology of money usag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5):501-509, Department of Psychology. Grable, J. E., Archuleta, K. L. and Nazarinia, R. R. (eds.)(2010). Financial Planning and Couseling Scales. New York:Springer. Klontz, B. Britt, S. L., Mentzer, J. and Klontz, T.(2011). “Money beliefs and financial behaviors:Development of the Klontz Money sсript Inventory”, Journal of Financial Therapy 2(1):1-22,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Leckie, N., Shek-Wai Hui,T., Tattrie, D.,. Robson, J., and Voyer, J-P.(2010). Learning to save, saving to learn:Final report of the learn$ave individual development accounts project, Social Research and Demonstration. Corporation. Loya, R.M., J. Garber, & J. Santos.(2017). Levers for Success:Key Features and Outcomes of Children's Savings Account Programs, Waltham, MA: Institute on Assets and Social Policy. Nyhus, E. K. and Webley, P.(2001). "The role of personality in household saving and borrowing behaviour." Special Issue:Personality and Economic Behaviour, 15:S85-S103,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O’Neill, B.(2003). “Preliminary assessment of financial practices:The financial fitness quiz”, Journal of Personal Finance, 2(1):22-28.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22 Portland State University.(2013). Oregon's Individual Development Account Initiative:Building Financial Resilience Across Oregon Evaluation Report 2013, Portland State University. Prawitz, Aimee D and Garman, E. Thomas and Sorhaindo, Benoit and O'Neill, Barbara and Kim, Jinhee and Drentea, Patricia.(2006). Incharge Financial Distress/Financial Well-Being Scale: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Score Interpretation, Journal of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17(1): 34-50, US:Association for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Education. Available at SSRN:https://ssrn.com/abstract=2239338 Rosenberg, M.(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Basic Books. Rossi, p. H. & Berk, R, A.(1981). “An Overview of Evaluation Strategies and Procedures”, Human Organization, 40(4):287-299. Schreiner, M., Clancy, M., and Sherraden, M.(2002). Saving performance in the American Dream Demonstration:A national demonstration of Individual Development Account, St. Louis, MO:Washington University, Center for Social Development. Sherraden, M. & Barr, M. S.(2005). Institutions an inclusion in saving policy. In N. Retsinas & E. Belsky (Eds.), Building Assets, Building Credit: Creating Wealth in Low-Income Communities,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Sherraden, M.(1991). Assets and the Poor:A New American Welfare Policy. Armonk, NY:M.E. Sharpe, Inc. Sherraden, M. and Stevens, J. (Eds.).(2010). Lessons from SEED:A National Demonstration of Child Development Accounts. St. Louis, MO: Washington University, Center for Social Development. Sherraden, M. S., Huang, J., Frey, J. J., Birkenmaier, J., Callahan, C., Clancy, M. M., & Sherraden, M.(2015). Financial capability and asset building for all (Grand Challenges for Social Work initiative Working Paper No. 13), Retrieved from American Academy of Social Work & Social Welfare website:http://aaswsw.org/wp-content/uploads/2015/12/WP13-with -cover.pdf.

참고문헌 123 Taylor, M., Jenkins, S. and S. Amanda.(2011). Financial capability, incom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No 2011-18, Working Paper Series from Institute for Social and Economic Research. Williams Shanks, T. R., Kim, Y., Loke, V., and Destin, M.(2010). Assets and child well-being in developed countries, Washington University in St.Louis.

부록

부록 127 1. 2017년 일하는 청년통장 5,000명 특성 분석 □ 개요 ○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인 5,000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재무구조, 사회적・경제적・환경적 변화 등을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 5,000명 중 1,690명이 해당 설문조사에 응답 -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우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 - 주요 구분 ・ 인구사회학적 특성:거주지, 성별, 연령 ・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재무관리 역량, 금전성향, 행복도, 자존감 ・ 대출과 연체의 출처와 용도, 해결방안 등에 관한 구분 ・ 경제교육과 상담에 대한 기대도와 참여의향 □ 인구사회학적 특성 ○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40%, 여성이 60%로 여성 우위의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 응답자 10명 중 4명은 25세 이하 청년의 비중이 높음 - 참여자의 연령을 살펴보면, 25세 이하가 41.7%,26∼30세가 36.3%m 31세 이 상이 22.0% 인 것으로 분석 구분 내용 빈도(명) 백분율(%) 성별 남자 676 40.0 여자 1014 60.0 합계 1690 100.0 연령 25세 이하 705 41.7 26-30세 614 36.3 31세 이상 371 22.0 합계 1690 100.0 <표 부록-1> 일하는 청년통장 3차 대상자의 사전집단 인구사회적 특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28 □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는 금전적인 부분으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본인 재정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수준으로 분석 -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7개 설문항목 중 4개 항목에 대해 만족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석 ・ 특히, “오늘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81.6%, “나의 재정상태에 대한 만족 도가 낮다.”82.5%,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80.9%,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적 긴장감이 크다.”75.3% 순으로 나타났음 - 또한, 돈 때문에 가족이나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relationship) 유지에 어려움 을 경험하고 있는 참여자들도 있었음 ・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는 참여자가 48.3%였으며,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았다.”는 참여자가 17.5%인 것으로 분석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오늘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 64(3.8) 246 (14.6) 861 (50.9) 519 (30.7) 1690 (100.0) 나의 재정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37(2.2) 258 (15.3) 943 (55.8) 452 (26.7) 1690 (100.0)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 40(2.4) 283 (16.7) 855 (50.6) 512 (30.3) 1690 (100.0)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적 긴장 감이 크다 71 (4.2) 346 (20.5) 803 (47.5) 470 (27.8) 1690 (100.0)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환과 관 련해 어려움이 크다 265 (15.7) 654 (38.7) 524 (31.0) 247 (14.6) 1690 (100.0)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 268(15.9) 605 (35.8) 558 (33.0) 259 (15.3) 1690 (100.0)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구 등으로 부터 상처를 받았다 660 (39.1) 734 (43.4) 226 (13.4) 70 (4.1) 1690 (100.0) 주:Cronbach's α=.827 <표 부록-2> 일하는 청년통장 3차 대상자의 사전집단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

부록 129 □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 참여자의 대부분은 주거유지와 긴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여유자금을 충분히 보유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본인의 자산현황 인지나 계획 소비 수준은 긍 정적인 것으로 분석 -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66.7%,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돈(100만원 기준)이 준비되어 있지 못한 참여자가 66.0% 수준으로 주거비 부담과 긴급 상황에 대한 재정적 대응력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 - 한편 소비나 저축에 대한 계획을 세운 참여자의 비율이 78.7%, 실제로 계획소 비나 저축(청년통장 제외)을 하고 있는 참여자가 72.7%, 자신의 자산현황을 인 지하고 있는 참여자가 88.9%로서 전반적으로 소비계획이나 저축, 재무관리의 실행력이 부족하다고 보기는 어려움 ・ 그러나 동시에 현재 100만원의 예비비가 없는 청년들이 66.0%가 된다는 사실은, 한편으 로는 질적인 측면에서 소비계획이나 저축방식 등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을, 또 다른 한편 으로는 보다 구조적인 요인이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방해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함 - 또한, 저축 또는 대출 등의 금융상품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편이라는 참여자가 42.7%, 전문 경제교육이나 금융상담에 참여하는 편이라는 참여자가 15.7%로 분석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 303 (17.9) 804 (48.8) 518 (30.7) 45 (2.7) 1690 (100.0)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돈(약 100만원) 이 준비되어 있다 535 (31.7) 580 (34.3) 475 (28.1) 100 (5.9) 1690 (100.0)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 74(4.4) 287 (17.0) 1027 (60.8) 302 (17.9) 1690 (100.0)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84(7.0) 378 (22.4) 971 (57.5) 257 (15.2) 1690 (100.0)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다 89(5.3) 437 (25.9) 822 (48.6) 342 (20.2) 1690 (100.0) 나의 자산현황을 잘 알고 있다 28(1.7) 159 (9.4) 913 (54.0) 590 (34.9) 1690 (100.0) 향후 5-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해 미 리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다 257 (15.2) 710 (42.0) 581 (34.4) 142 (8.4) 1690 (100.0) 주:Cronbach's α=.751 <표 부록-3> 일하는 청년통장 3차 대상자의 사전집단 재무관리 역량 수준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분석 130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169 (10.0) 650 (38.5) 677 (40.1) 194 (11.5) 1690 (100.0)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것 이다. 409 (24.2) 824 (48.8) 369 (21.8) 88 (5.2) 1690 (100.0)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80(4.7) 295 (17.5) 844 (49.9) 471 (27.9) 1690 (100.0) 은행계좌에 돈이 얼마 있는지 늘 알고 있다. 15(0.9) 138 (8.2) 946 (56.0) 591 (35.0) 1690 (100.0)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니에 돈이 얼마 있는 지를 알고 있다. 24 (1.4) 224 (13.3) 961 (56.9) 481 (28.5) 1690 (100.0)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금(전화, 수도세, 전기세 등)을 지불한다. 28 (1.7) 169 (10.0) 840 (49.7) 653 (38.6) 1690 (100.0)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유복하다 고 생각한다. 530 (31.4) 919 (54.4) 209 (12.4) 32 (1.9) 1690 (100.0)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 557(33.0) 962 (56.9) 143 (8.5) 28 (1.7) 1690 (100.0)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난하다고 생각한다. 107(6.3) 584 (34.6) 730 (43.2) 269 (15.9) 1690 (100.0)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는 그걸 살만 한 여유가 없어’ 라고 말한다. 157 (9.3) 709 (42.0) 664 (39.3) 160 (9.5) 1690 (100.0) <표 부록-4> 일하는 청년통장 3차 대상자의 사전집단 금전성향 수준 □ 참여자의 금전성향 분석 ○ 참여자들의 돈에 대한 신념과 행위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이지만, 개인의 자산현황 및 소비에 대한 자기결정권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들의 금전성향 분석 결과, 자신의 경제적 상황과 금전에 대한 통제력 부족에 대한 부정적 성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의 경제적 상황을 감추려 는 성향과 소비에 대한 자기결정권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대부분은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 상태를 알지지 않는 것이 현명 한 행동이라고 믿는다”라는 응답에 70.4%가 “그렇다”라고 응답하였고, “내 개인적 인 재정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하다”라는 응답에 65.2%가 “그렇다”라고 응답한 것 을 볼 때, 참여자의 경제적 상황을 감추려는 성향이 큰 것으로 나타남

부록 131 구분 빈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정말 그렇다 합계 지출규모에 상관없이, 지출결정을 하는 것 은 어렵다. 109 (6.4) 624 (36.9) 767 (45.4) 190 (11.2) 1690 (100.0)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은 필수품에 돈을 쓰 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낀다. 316 (18.7) 808 (47.8) 465 (27.5) 101 (6.0) 1690 (100.0)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자 내가 원 치 않거나 불필요한 물건들을 구매하기도 한다. 431 (25.5) 816 (48.3) 388 (23.0) 55 (3.3) 1690 (100.0)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일을 하거나 가 격할인을 하면 구매한다. 302 (17.9) 756 (44.7) 564 (33.4) 68 (4.0) 1690 (100.0) 나 자신에게는 인색하지만, 다른 사람들에 게는 바보스러울 정도로 돈을 쓴다. 376 (22.2) 785 (46.4) 466 (27.6) 63 (3.7) 1690 (100.0)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무례하 다고 생각한다. 105 (6.2) 498 (29.5) 790 (46.7) 297 (17.6) 1690 (100.0)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상태 를 알리지 않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믿 는다. 77 (4.6) 422 (25.0) 854 (50.5) 337 (19.9) 1690 (100.0) 내 개인적인 재정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 하다. 83 (4.9) 504 (29.8) 790 (46.7) 313 (18.5) 1690 (100.0) □ 참여자의 심리적지지 수준 ○ 참여자의 심리적지지 수준을 살펴보면, 행복수준은 보통, 자아존중감 수준은 긍정적인 수준으로 분석 - 참여자의 행복 수준은 10점 만점에 6.02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분석 구분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행복수준 (10점 만점) 1689 1 10 6.02 1.799 <표 부록-5> 일하는 청년통장 3차 대상자의 사전집단 행복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