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3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연구책임| 공동연구| 유병선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김정근 강남대학교 실버산업학과 교수 김현정 정화예술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최효진 경기복지재단 연구원 정책 연구 보고

연구진 연구 책임 유병선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공동 연구 김정근 강남대학교 실버산업학과 교수 김현정 정화예술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최효진 경기복지재단 연구원 경기복지재단 정책연구보고 2017-13 경기 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발행일 2017년 12월 발행인 양복완 발행처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 16207 Tel. 1577-4312 Fax. 031-898-5937 Homepage. ggwf.gg.go.kr 발간사 경기북부지역은 남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으며, 고령화의 진행속도도 전국 평균수준 을 상회하는 시군이 있을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100세 시대를 이야기할 정도로 노인의 수명은 증가하고 있지만 젊은 사람들은 도시로만 이주하고 있어 초고령사회로의 속도를 늦추기 어려운 상황이 다. 본 연구는 경기북부 발전계획의 일환으로 경기북부 지역의 노인들이 젊은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마을 모델 개발에 대한 고민으로 시작되었다. 고령화의 해법은 저출산을 통해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고령 인력을 활용하고 이들이 생을 마감하는 그날까지 사회구성원으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세계보건 기구(WHO)에서 강조하는 연령친화마을(Age-friendly Community)도 이러한 맥락에서 노인의 주거환경 과 일자리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현 노인세대들은 일을 하면서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한 세 대로 여가보다는 일에 익숙한 세대로 일을 하면서 삶의 보람과 의미를 찾고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이들의 이러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제반 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환경 구축에 있어서 노인들만이 모여서 하는 것이 아니라 젊은 사람들과 꾸준히 소통하며 같이 일을 해나갈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농촌마을에 노인들과 귀농인력이 함께 케어팜 운영을 할 수 있도록 경기도가 지원함으로서 농가소득를 높이는 ‘경기도 케어팜 모델’과 독거노인을 위한 카네이션 하우스에서 여가를 보내는 노인들과 경기 북부지역 대학생들이 함께 그 지역에 맞는 일자리를 발굴하고 이를 실현하고자 하는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두 모델은 경기 북부 지역의 지속가능한 연령친화마을 모델로 충분히 그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제 이 모델의 실천과 성공여부는 경기북부 지역 노인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계 기관의 노력과 지원에 달려있다. 본 연구가 완성되기 까지 설문조사에 협조를 해 준 경기북부 지역의 노인분들과 관계 공무원, 복지관 과 경로당 관계자, 선험적으로 우수한 노인일자리 마을모델을 창출하고 현장조사에 협조를 해준 관계 자들, 모델 개발에 아낌없는 조언을 준 현장과 학계 전문가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보고서가 완성되기 까지 노고를 아끼지 않은 연구진에게 감사드린다. 2017년 12월 경기복지재단 대표 이사

요약 i 요약 □ 연구 배경 ○ 경기 북부 지역은 현재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는 지역으로 고령화에 대비 마을 모델 개발 필요 - 경기북부지역은 남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으며, 고령화의 진행속도 도 남부지역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 또한 이러한 마을 모델은 노인만을 위한 마을이 아닌 노인과 다른 세대가 함께 더 불어 살아가는 지속가능한 마을 모델개발이 필요 □ 연구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모든 세대가 더불어 살아가는 연령친화마을(Age-friendly Community) 모델 을 개발을 목적으로 함 - 기존의 노인이 많이 살고 있는 마을에 노인이 일을 하면서 다른 세대들과 더불어 살아살 수 있는 마을 모델 제시 - 독거노인 등 취약노인이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일을 할 수 있는 마을 모델 제시 □ 용어 정의 ○ 연령친화마을(age friendly community) 개념 - WHO(세계보건기구)는 연령친화마을(age friendly community)를 나이가 드는 것이 불편하지 않은 도시, 연령에 상관없이 누구나 살고 싶은 도시, 평생을 사고 싶은 도시로 물리적, 사회적 환경이 갖추어진 도시로 정의 - 따라서 연령친화마을은 노인들이 능동적이고 독립적으로 건강하게 사회참여가 가 능한 마을로 연령에 상관없이 누구나 살기 좋은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생활환경 이 구축된 마을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ii ○ 연령친화마을 (age friendly community) 구성요소 - 물리적, 사회적, 건강 3개 환경의 8대 영역 - WHO 연령친화마을 구성요소 <요약 표-1> WHO 연령친화마을 구성요소 구분 환경 영역 1 물리적 환경 외부환경/시설, 교통, 주거환경 2 사회적 환경 사회참여, 존중/사회통합, 사회활동/일자리 3 사회서비스 의사소통/정보, 돌봄/건강 ○ 본 연구의 연령친화마을(age friendly community) 범위 및 구성요소 - 연령친화마을은 경로당 1개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의 마을 모델을 제시함 - WHO의 8개 영역 중에 본 연구는 ‘사회참여/일자리 영역’과 ‘주거영역’에 초 점을 맞추어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의 기준으로 함 □ 연구내용 및 방법 ○ 경기 북부 현황 분석 (2차 자료 통계분석) ○ 경기 북부 노인 욕구 분석 (설문조사 통계분석) ○ 국내외 연령친화마을 우수 사례 분석 (현장조사, 인터넷 조사) ○ 경기 북부 고령화대응 모델(안) 제시 <요약 그림-1> 연구흐름도 요약 iii □ 경기북부 노인 특성 ○ 2017년 8월 기준 경기도의 노인인구 비율은 11.25%이며, 경기남부는 10.72%, 경기북부는 12.76%로 경기남부에 비해 경기북부의 노인인구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 경기도 북부지역의 노인은 상대적으로 남부지역에 비해, 학력도 나고 주관적 건강상태도 나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관계에 있어서도 유배우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경기북부 노인가구의 주된 소득원을 살펴보면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의 비율이 24.06% 가장 높으며,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율이 가장 높아 이들의 경제적인 생활이 어려 움을 알 수 있음 □ 경기 북부 노인의 주생활·일자리 욕구 ○ 경기북부 노인의 욕구를 조사한 결과 특히, 직업훈련교육에 대한 참여여부에서 3.55점(5점 만 점)으로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관심있는 일자리 유형에는 ‘기술을 새로이 배워서 할 수 있는 일’이 23.0%로 가장 높게 나타남 ○ 노후의 바람직한 주거생활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는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 이 없는 주택에 사는 것과 일거리가 있는 곳에 사는 것으로 나타남 □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 국내외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선정 기준은 본 연구의 연령친화마을의 구성요소가 WHO에 서 제시하고 있는 연령친화마을의 8대 구성요소 중 ‘사회참여/일자리’ 영역과 ‘주거환 경’ 영역을 모델 개발의 기준으로 노인이 본인이 살던 주거환경 또는 새로운 주거환경에서 사회참여/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모델을 중심으로 선정 ○ 사례 1 : 농촌자원을 활용한 6차 산업 일자리 창출 - 전통 주전부리를 활용한 연령친화마을 : 일본의 나가노현 오기와촌 - 나뭇잎 활용 연령친화마을 : 일본 도쿠시마현 가미카쓰쵸 - 반딧불을 활용한 연령친화마을 : 남양주시 반딧불이 경로당 - 농촌체험 휴양마을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iv ○ 사례 2 : 세대공존형 코하우징 - 폐교 및 빈집을 활용한 일본 세이세키 켈렉티브하우스 - 지역사회와 시설을 공유한 여성노인 전용 코하우징 : 프랑스 Baba Yaga House - 공동체 중심의 연령친화마을 : 일본의 쉐어(Share) 가나자와 - 세대간 배움을 연계 : 미국의 University Based Retirement Community(UBRC) ○ 사례 3 : 치유와 농업의 융합, 케어팜 - 네덜란드의 노인을 위한 케어팜 요양원, 드 포트(deport.nl) ○ 사례 4 : 산학협력·교육을 통한 연령친화마을 - 산학협력·교육·지역동아리 활성화 : 후쿠이현 - 기업과의 연계에 의한 농촌 활성화 : 야마나시현 - 지역특산물을 위한 투자·교육·시골벤처기업 운영 : 시네마현 아마초 - 교육과 농업을 연계한 마을 : 충남 홍성군 홍동마을 □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개발 방향 - 경기북부 노인욕구에 근거한 모델 개발 - 경기북부 지역자원을 노인과 젊은 사람들이 함께 발굴하고 일자리로 연계하는 일 자리 창출 모델 - 단순히 고령층만 거주하는 마을이 아닌 여러 연령층이 함께 거주하여 고령층의 고 립을 억제하여 세대가 단절을 해소하는데 중점 - 연령친화마을 모델(안)의 기대효과로는 소득창출을 통한 마을의 지속가능성 확대, 세대 간 소통을 통한 노인의 자살 등 사회문제 해결, 경기북부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경기도형 케어팜(Care-Farm) 마을 모델 ○ 경기북부지역이 가지고 있는 삼림자원과 귀촌·귀농인력과 연계한 케어팜(Care-Farm) 단 지를 조성하여 지역농가 수익성 증대 및 농촌지역 활성화를 추진 요약 v 유형1 유형2 유형3 농장+주간보호센터 농장+요양시설 농장+사회서비스바우쳐 사업 내용 농장에 주간보호센터를 유치하여 낮 시간 참여대상자들에게 원예치 료, 동물치료 등 농장환경을 활용 한 자연연계 프로그램을 운영 농장에 거주형 노인요양시설을 설치하여 고령층이 자연환경속 에서 자연친화적 요양서비스를 받도록 운영 농장의 농산물, 축산, 원예 등의 자원과 사회서비스를 연계하고 사회서비스 바우처사업을 통해 운영 농장: 사회서비스에 관심이 있는 농장주 또는 귀농희망자 농장: 사회서비스에 관심이 있 는 농장주 또는 귀농희망자 농장: 케어전문가(원예치료사, 동물치료사 등)와 협력하여 농 장자원을 활용한 사회서비스를 개발하고 사회서비스바우처 대 상자로 등록 주간보호센터: 자연활동을 통한 치 유에 관심이 높은 운영자 요양시설:치유농장에서 고령층 을 위한 치유, 돌봄, 건강증진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 하는 운영자 <요약 그림-2> 경기도 케어팜 모델 운영구조 ○ 유형별 세부운영계획 - 경기도형 케어팜은 지역사회의 수요에 따라 유형을 세분화하여 지역맞춤형으로 운영 - 유형 1(농장+주간보호센터)은 도시 거주지와 가까워 낮시간 동안 자연활동을 통한 치유프로그램 수요가 높은 지역에서 운영 - 유형 2(농장+요양시설)은 유형1에 비해 도시거주지와 떨어져 있는 농장주와 자연 치유 및 돌봄을 통해 차별화된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요양시설 운영자로 구성 - 유형 3(농장+사회서비스바우처)은 유형1, 유형2와는 달리 케어전문가와 협력하여 1일 이하(1~3시간, 또는 반나절)의 사회서비스를 개발하고 바우처 사업체로 등록 하여 운영하는 형태 <요약 표-2> 경기도 케어팜 모델의 세부운영계획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vi 유형1 유형2 유형3 농장+주간보호센터 농장+요양시설 농장+사회서비스바우쳐 사업 대상자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중 신체활동 지원을 위한 교육, 훈련, 재활등이 필요한 자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중 요양시 설 입소가능자 치매환자, 어린이 자폐증 환자, 주의결핍증(ADHD) 환자, 학교부 적응자, 비행청소년 등 재원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중 기초생활 수급자는 경기도에서 비용 지원, 수급자 이외는 자부담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중 기초생 활수급자는 경기도에서 비용 지 원, 수급자 이외는 자부담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에 시 군이 응모하여 국가보조금으로 케어팜 이용비용을 부담 ○ 소요재원 - 경기북부 케어팜 지원센터에 대한 운영비와 사업비 - 노인장기요양보험 적용대상자 중 수급자에 대한 케어팜 이용 비용 지원 <요약 표-3> 경기도 케어팜 모델 운영 소요예산 유형1 유형2 유형3 농장+주간보호센터 농장+요양시설 농장+사회서비스바우쳐 케어팜지원 센터 인건비 279백만원 (8인 기준) 운영비 60백만원 재원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중 기초생활 수급자는 경기도에서 비용 지원, 수급자 이외는 자부담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중 기초생 활수급자는 경기도에서 비용 지 원, 수급자 이외는 자부담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에 시 군이 응모하여 국가보조금으로 케어팜 이용비용을 부담 케어팜 사업비1) 12백만원 (1.2백만원×100인) 12백만원 (1.2백만원×100인) 시군에서 지역사회서비스 투자 사업에 응모 ○ 적용가능한 시군 ・ 경기북부 지역의 경우, 노인들의 경제활동참여율에 있어 가평군은 농업, 임업 및 어업(53.5%), 연천군은 농업, 임업 및 어업(67.0%), 양주시는 농업, 임업 및 어업(39.6%)으로 이들 지역에 케 어팜을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 ・ 서울 및 고양시와의 대도시와 지리적으로 근접한 지역인 양주시는 주간보호센터와 사회서비스 바우처를 활용하여 집에서 거주하는 치매노인이 낮시간동안 와서 케어팜을 이용할 수 있음. 사 회서비스 바우처 방식은 치매노인 뿐아니라 다양한 대상자를 포함하는 사업 추진이 가능 ・ 지리적으로 서울과 경기북부 도시권에서 먼 연천군, 가평군은 요양시설과 연계한 케어팜 운영 이 가능함 1) 비용은 환자에 따라 다르지만 개인당 하루 평균 비용은 농장주와 직접 계약을 맺는 경우에는 77유로(한화 9~10만원), 기관 또는 조합을 통해 계약을 맺는 경우에는 50유로(한화 6~7만원) 정도다. 요약 vii □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 ○ 경기도 북부지역 대학교 및 산업체 인근 노후주택 등을 개조하여 카네이션 하우스를 설치하 고 카네이션하우스 옆에 실버주택을 설치. ○ 또한, 인근대학과 연계하여 직업아카데미 교육을 받고 젊은 사람들과 함께 지역자원을 기반 하는 일자리를 창출하여 카네이션하우스를 거점으로 활동 <요약 그림-3>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 ○ 세부운영계획 - 고령층 참여대상자: 노후주택에 거주하는 노인단독가구로 독거노인 또는 부부단독 형 노인을 주요대상으로 선정하여 운영 - 청년층 참여대상자: 경기도 북부지역 대학교 소속으로 지역사회기반 창업 및 IT기 술활용 마케팅, 노인복지 등에 관심 있는 대학생으로 구성 - 참여대학의 산학협력단은 지방자치단체와 매칭펀드를 통해 대학교 세대통합직업아 카데미를 운영=> 대학생과 고령층이 함께 할 수 있는 세대통합 직업교육을 실시 - 소속대학생들은 고령층을 이해하고 세대통합형 직업교육기술을 습득 - 고령층은 대학생들과 함께 소통할 수 있는 능력과 새로운 기술 변화 등을 학습 - 카네이션하우스는 세대통합직업아카데미에서 배운 기술을 활용해 지역기반 일자리 를 창출하는 기관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viii <요약 표-4>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의 세부운영계획 구분 지방자치단체 대학 사업 참여자  고령층: 노후주택거주 노인단독가구  지방자치단체: 경기도 및 지방기초자치단체  대학생: 창업 및 IT기술 마케팅, 노인복지등 에 관심있는 학생  교수: 경영, 공학, 사회복지관련 교수 제공서비스  소규모 공공실버주택  노후주택활용 카네이션 하우스 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고령층과 학생들이 함께 배울 수 있는 직업기술프로그램제공  직업아케데미에서 배운 기술을 활용하여 지역내 카네이션 하우스는 지역사회기반 세대통합 일자리 사업을 창출하는 “LAB"역할을 수행 ○ 소요재원 - 경기도 카네이션하우스 설치 사업비 활용 - 카네이션하우스가 독거노인의 생활을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독거노인의 주거문제 가 발생한 경우에만 노인공공임대주택은 추가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반드시 노인 공공임대주택이 설치될 필요는 없음 - 직업아카데미는 대학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것으로 경기도에서 교육 비용 지원 <요약 표-5>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 운영 소요예산 구분 카네이션하우스 설치운영 320백만원(80백만원×4개) 직업아카데비 교육비 지원 400만원(50만원(1인)×20인×4개) 계 324백만원 ○ 적용가능한 시군 - 지역에 대학이 위치하고 있고 독거노인의 비율이 높은 포천시, 의정부시, 파주시, 고양시 등에 적용 가능 목차 ix 목차 Ⅰ| 연구개요 1 1. 연구배경 및 목적 3 2. 연구 범위 6 3. 용어의 정의 7 4. 연구 내용 및 방법 9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11 1. 경기북부 인구 현황 13 2. 경기북부 노인의 사회․경제적 특성 25 3. 경기북부 노인생활 욕구 (일자리․주거생활) 40 4. 소결 46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51 1. 국내외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선정 기준 53 2. 사례 1 : 농촌자원을 활용한 6차 산업 일자리 창출 53 3. 사례 2: 세대공존형 코하우징 65 4. 사례 3 : 치유와 농업의 융합, 케어팜 74 5. 사례 4: 산학협력·교육을 통한 연령친화마을 77 Ⅳ|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안) 83 1.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방향 85 2. 경기도 케어팜(Care-Farm) 모델 89 3.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 96 | 참고문헌 103 | 부 록 105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x 표 차례 <표 Ⅱ-1> 경기도 총인구수, 인구비율 ··························································································14 <표 Ⅱ-2> 인구증가율 추이 ·········································································································16 <표 Ⅱ-3> 경기북부 시군별 인구밀도 ···························································································17 <표 Ⅱ-4> 경기도 북부 10개 시군 노인 인구비율(2017년) ···························································19 <표 Ⅱ-5> 경기북부 노인의 교육수준 ·························································································26 <표 Ⅱ-6> 경기북부 노인의 전반적 건강상태 ················································································27 <표 Ⅱ-7> 혼인상태 ····················································································································28 <표 Ⅱ-8> 가정생활스트레스 정도 ······························································································29 <표 Ⅱ-9> 가족관계만족도 ···········································································································30 <표 Ⅱ-10> 경기 북부의 노인의 사회활동 현황 ··········································································31 <표 Ⅱ-11> 노인 가구의 주된 소득원 ························································································32 <표 Ⅱ-12> 노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 ··························································································34 <표 Ⅱ-13> 노인 가구의 경제활동 참여율 ····················································································35 <표 Ⅱ-14> 노인의 종사산업 ·······································································································37 <표 Ⅱ-15>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 ····························································································38 <표 Ⅲ-1> 6차 산업화 개념도 ·····································································································54 <표 Ⅲ-2> 오가와노쇼 배송정보 ···································································································56 <표 Ⅲ-3> 쉐어가나자와 고령자주택의 서비스 ··············································································71 <표 Ⅳ-1> 케어팜의 구성 ············································································································90 <표 Ⅳ-2> 경기도 케어팜 모델의 세부운영계획 ·············································································94 <표 Ⅳ-3> 경기도 케어팜 모델 운영 소요예산 ············································································94 <표 Ⅳ-4> 경기 북부권 대학 ·······································································································98 <표 Ⅳ-5>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의 세부운영계획 ·······················101 <표 Ⅳ-6>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 운영 소요예산 ··························102 목차 xi 그림 차례 <그림 Ⅰ-1> 전국 및 경기도 고령화 추이 ······················································································3 <그림 Ⅰ-2> 노인인구전망(2015~2045) ·························································································4 <그림 Ⅰ-3> 경기도 시군별 고령화율(2015년) ··············································································4 <그림 Ⅰ-4> 경기북부 10개 시군 ··································································································6 <그림 Ⅰ-5> WHO연령친화마을 구성요소 ······················································································7 <그림 Ⅰ-6> 연구흐름도 ··············································································································9 <그림 Ⅱ-1> 경기북부 시군별 인구수 추이 ···················································································15 <그림 Ⅱ-2> 경기북부 인구밀도 ···································································································17 <그림 Ⅱ-3> 경기도 노인인구 변화 ······························································································18 <그림 Ⅱ-4> 경기 북부 노인인구수 및 전체인구 대비 노인인구 비율 ·············································20 <그림 Ⅱ-5> 경기북부 연령별 인구수 ·························································································21 <그림 Ⅱ-6> 경기북부 연령별 인구비율 ······················································································23 <그림 Ⅱ-7> 시도별 귀촌가구수 현황(2015년) ··············································································24 <그림 Ⅱ-8> 귀촌가구 시도별 비율 ······························································································24 <그림 Ⅱ-9> 경기북부 노인의 교육수준 ························································································25 <그림 Ⅱ-10> 경기북부 노인가구의 주된 소득원 ···········································································33 <그림 Ⅱ-11> 노인 가구의 경제활동 참여율 ···············································································36 <그림 Ⅱ-12>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 ·························································································39 <그림 Ⅱ-13> 경기 북부 지역별 조사 참여 현황 ··········································································40 <그림 Ⅱ-14> 생활비의 주부담자 ·······························································································41 <그림 Ⅱ-15> 생활비 주부담자가 본인이라고 응답한 비율 ·························································41 <그림 Ⅱ-16> 부족한 생활비 ·······································································································42 <그림 Ⅱ-17> 근로 희망 여부 ·····································································································42 <그림 Ⅱ-18> 일을 하는 이유 또는 하고 싶은 이유 ····································································43 <그림 Ⅱ-19> 향후 직업훈련교육에 대한 참여 ············································································44 <그림 Ⅱ-20> 관심 있는 일자리 유형 ··························································································44 <그림 Ⅱ-21> 노후의 바람직한 주거생활에 대한 욕구 ·································································45 <그림 Ⅲ-1> 일본 나가노현의 향토음식 오야키 ·············································································55 <그림 Ⅲ-2> 마을기업 오가와 노쇼 ····························································································57 <그림 Ⅲ-3> 이로도리 상품 및 사용사례 ····················································································58 <그림 Ⅲ-4> 젊은층을 위한 인턴쉽 프로그램과 한국에 소개된 책 ··················································59 <그림 Ⅲ-5> 반딧불이 축제 ·······································································································60 <그림 Ⅲ-6> 학일마을 옥수수따기 농촌 체험 ··············································································62 <그림 Ⅲ-7> 천생연분마을 체험일정 ·····························································································63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xii <그림 Ⅲ-8> 상옥참느리마을 사과따기 체험 ················································································64 <그림 Ⅲ-9> 시니어의 고립감 해소하는 코하우징 ··········································································65 <그림 Ⅲ-10> 일본 세이세키 컬렉티브하우스 전경 및 활동 ···························································67 <그림 Ⅲ-11> 프랑스의 Baba Yaga House ··············································································69 <그림 Ⅲ-12> 쉐어 가나자와의 전체 배치도 ·················································································70 <그림 Ⅲ-13> 플로리대 대학과 노인주거의 융합 Oak Hammock ·············································73 <그림 Ⅲ-14> 러셀대학 ···············································································································73 <그림 Ⅲ-15> 드포트 케어팜 홈페이지 ·························································································74 <그림 Ⅲ-16> 후쿠이공업고등전문학교 ·························································································77 <그림 Ⅲ-17> 지역연계테크노센터 ······························································································77 <그림 Ⅲ-18> 제9회 지역 활성화 플랜 콘테스트 ··········································································78 <그림 Ⅲ-19> 사바에시청 JK 2017 위촉장 교부식 ······································································78 <그림 Ⅲ-20> JK과 반짝반짝 플랜 ······························································································78 <그림 Ⅲ-21> JK과 디저트 만들기 ······························································································78 <그림 Ⅲ-22> JK과 도서관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78 <그림 Ⅲ-23> 미쓰비지시쇼 직원들의 벼농사 참여 ······································································79 <그림 Ⅲ-24> 2015년 2월 7일 순미주 발표 ··············································································79 <그림 Ⅲ-25> 2011.8.31. 야마나시현 생산 목재 활용에 관한 사자(四者)협정 ······························79 <그림 Ⅲ-26> 에가오 학교 수료식 ·····························································································79 <그림 Ⅲ-27> CAS 최첨단 급속 냉동 시스템 ···············································································80 <그림 Ⅲ-28> 도젠고등학교 ·········································································································80 <그림 Ⅲ-29> 아마초 학습센터 ····································································································80 <그림 Ⅲ-30> 메구리노와 ············································································································81 <그림 Ⅲ-31> 아마 인터넷 백화점 ·····························································································81 <그림 Ⅲ-32> 홍동마을 지역센터마을활력소 그림지도 ·································································82 <그림 Ⅲ-33> 친환경 오리농법 ································································································82 <그림 Ⅳ-1> 근로 희망 여부 ·······································································································85 <그림 Ⅳ-2> 노후 바람직한 주거생활에 대한 욕구 ······································································85 <그림 Ⅳ-3> 향후 직업훈련교육에 대한 참여 ··············································································86 <그림 Ⅳ-4 > 관심 있는 일자리 유형 ··························································································86 <그림 Ⅳ-5> 네덜란드 케어팜 운영구조(출처: 국립산림과학원(2017)) ·············································91 <그림 Ⅳ-6> 경기도 케어팜 모델 운영구조 ···················································································92 <그림 Ⅳ-7> 경기도 노후주택 현황 ······························································································96 <그림 Ⅳ-8> 제9회 지역 활성화 플랜 콘테스트 ············································································97 <그림 Ⅳ-9> 도젠고등학교 ···········································································································97 <그림 Ⅳ-10> 경기북부지역의 대학현황 ························································································98 <그림 Ⅳ-11>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 ·············································100 Ⅰ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3. 용어의 정의 4. 연구내용 및 방법

Ⅰ. 연구개요 3 Ⅰ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 경기 북부 지역은 현재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는 지역으로 고령화에 대비 마을 모델 개발 필요 - 경기도의 고령화율은 2008년 8.14%에서 2015년 10.53%로 급속히 증가되었지만, 전국 평균1)에 비해서는 증가율이나 증가속도가 낮은 편임 <그림 Ⅰ-1> 전국 및 경기도 고령화 추이 (단위 : %) 자료 : 통계청 1) 우리나라 고령화율은 2012년 11.7%, 2013년 12.2%, 2014년 12.7%, 2015년 13.1%, 2016년 13.5%로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는 고령사회(전체인구 대비 65세이상 노인인구가 14%이상)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됨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4 - 하지만, 경기도의 노인인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5년 1,319천명의 노인 인구가 2045년에는 18,179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216.9%↑) <그림 Ⅰ-2> 노인인구전망(2015~2045) 자료: 김희연 외(2016). 경기도 균형발전 복지기준선 연구 - 특히, 경기북부지역은 남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으며, 고령화의 진 행속도도 남부지역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2016년 6월말 기준. 경기 북부의 고령화비율은 12.1%. 경기 남부 10.2%). 2015년 기준 경기 북부지역의 가평, 동두 천, 양평, 연천, 포천 등의 고령화율은 전국 평균수준을 상회하고 있는 상황임 <그림 Ⅰ-3> 경기도 시군별 고령화율(2015년) 자료: 통계청(2016). Ⅰ. 연구개요 5 - 따라서, 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령화 진행이 빠른 북부지역의 고령화에 대응하 여 노인들이 다른 세대와 더불어 살기좋은 연령친화 마을만들기 전략이 필요 ○ 급격한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노인만을 위한 마을이 아닌 노인과 다른 세대가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마을 모델 개발 필요 - 노인거주공간에 대한 패러다임은 변화되어 노인을 다른 연령과 구분하여 노인이 편하도록 설계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친화마을(elderly friendly community) 에서 모든 세대가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연령친화마을(age friendly community) 마을로 변화됨 - 전 세계적으로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노인들이 새로운 사회주류집단으로 등장하 자 WHO는 2009년 파리에서 개최된 세계노년학대회(IAGG)에서 노인친화도시 (elderly friendly city)를 선언하고 2010년 elderly friendly network를 구축 - 노인친화도시는 노인만을 위한 것이 아닌 모든 연령의 사람들이 더불어 살아가는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연령친화마을(age friendly community)로 변화됨 ○ 왜 연령친화마을 (age friendly community) 마을인가? - 연령친화적으로 마을이 구축되어야 하는 이유는 ‘소멸도시’(인구가 적어 지역자 체가 소멸하는 도시)는 젊은이들이 모두 도시로 나가서 노인들만이 거주하다가 이 들 노인들이 사라지게 되면 자연스럽게 마을이 없어지기 때문에 젊은이들이 계속 적으로 함께 노인과 일을 할 수 있는 모델이 되어야 함 2) 연구 목적 ○ 경기북부 지역의 모든 세대가 더불어 살아가는 연령친화마을(age friendly community) 모델 개발 - 기존의 노인이 많이 살고 있는 마을에 노인이 일을 하면서 젊은 세대들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마을 모델 제시 - 독거노인 등 취약노인이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일을 할 수 있는 마을 모델 제시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6 2. 연구 범위 ○ 공간적 범위 : 경기 북부 10개 시군 - 경기북부 전체 면적 : 4,266㎢ - 행정구역 : 고양시, 의정부시, 남양주시, 파주시, 구리시, 동두천시, 포천시, 양주시, 가평군, 연천군 <그림 Ⅰ-4> 경기북부 10개 시군 ○ 내용적 범위 - 연령친화마을 모델안 제시 - 각 모델별 주체 및 역할 제시 Ⅰ. 연구개요 7 3. 용어의 정의 ○ 연령친화마을 (age friendly community) 개념 - WHO(세계보건기구)는 연령친화마을(age friendly community)를 나이가 드는 것이 불편하지 않은 도시, 연령에 상관없이 누구나 살고 싶은 도시, 평생을 살고 싶은 도시로 물리적, 사회적 환경이 갖추어진 도시로 정의 - 따라서 연령친화마을은 노인들이 능동적이고 독립적으로 건강하게 사회참여가 가 능한 마을로 연령에 상관없이 누구나 살기 좋은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생활환경 이 구축된 마을 ○ 연령친화마을 (age friendly community) 구성요소 - 물리적, 사회적, 건강 3개 환경의 8대 영역 - WHO 연령친화마을 구성요소 구분 환경 영역 1 물리적 환경 외부환경/시설, 교통, 주거환경 2 사회적 환경 사회참여, 존중/사회통합, 사회활동/일자리 3 사회서비스 의사소통/정보, 돌봄/건강 <그림 Ⅰ-5> WHO연령친화마을 구성요소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8 ○ 본 연구의 연령친화마을 (age friendly community) 범위 - 연령친화마을은 경로당 1개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의 마을 모델을 제시함 - 경로당은 법적으로는 노인 20인 이상이 모인 경우, 설치할 수 있으며, 보통 현장에 서는 마을(동, 리 단위)로 설치되거나 좀더 작은 단위에서도 설치(아파트 1개 단지) ○ 본 연구의 연령친화마을 (age friendly community) 구성요소 - WHO의 8개 영역 중에 본 연구는 ‘사회참여/일자리 영역’과 ‘주거영역’에 초 점을 맞추어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의 기준으로 함 - 본 연구에서는 WHO의 연령친화마을의 8대 영역 중 ‘사회참여/일자리 영역’과 ‘주거영역’를 중심으로 연령친화마을 모델을 개발한 것으로 이점에서 연구의 한 계가 있음 Ⅰ. 연구개요 9 4. 연구 내용 및 방법 ○ 경기 북부 현황 분석 - 경기북부 인구현황 (2차자료 통계분석) - 경기북부 노인의 사회적 특성 분석 (2차자료 통계분석) - 경기북부 노인의 경제활동 현황 분석 (2차자료 통계분석) ○ 경기 북부 노인 욕구 분석 - 경기 북부 지역 노인들의 일자리, 주거생활에 대한 욕구 분석(설문조사 통계분석) ○ 국내외 연령친화마을 우수 사례 분석 - 노인의 일자리 참여 및 주거생활에 대한 우수사례 분석 (현장조사, 인터넷 조사) ○ 경기 북부 고령화대응 모델안 제시 - 노인의 일자리 참여 및 주거생활 모델 안 제시 <그림 Ⅰ-6> 연구흐름도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1. 경기북부 인구 현황 2. 경기북부 노인의 사회․경제적 특성 3. 경기북부 노인의 욕구(일자리·주거생활) 4. 소결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13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1. 경기북부 인구 현황 1) 경기 북부 전체 인구 □ 경기북부의 총인구수·시군별 인구비율 ○ 2017년 8월 기준 경기도 전체 인구 12,810천명이며, 이중 26.1%에 해당하는 3,344천명이 경 기북부에 거주하고 있음 - 2017년 기준 경기도 전체 인구 12,810천명 중 경기남부에 9,466천명, 북부에 3,466천명 - 경기도 전체 인구의 73.9%가 경기남부 지역에 분포하며, 경기북부의 10개 시군에 는 26.1%가 거주하고 있음 - 경기북부 중에서는 고양시가 1,042천명으로 경기북부 지역인구 3,344천명의 31.16%가 거주하고 있음 - 그 다음으로 남양주시에 경기북부 인구의 19.91%가 거주하고 있으며, 의정부시가 439천명으로 13.12%, 파주시가 12.97%가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그 외의 시·군에는 경기북부지역의 10%미만의 인구가 거주하는 곳으로, 양주시는 210천명으로 6.27%, 구리시는 195천명으로 5.83%, 포천시는 153천명으로 4.57%, 동두천시는 97천명으로 2.9%, 가평군은 63천명으로 1.88%, 연천군은 46 천명으로 1.37%로 나타나고 있음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4 <표 Ⅱ-1> 경기도 총인구수, 인구비율 (단위: 천명, %)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총인구 인구비율 총인구 인구 비율 총인구 인구 비율 총인구 인구 비율 총인구 인구 비율 총인구 인구 비율 경기도 12,036 100.00 12,194 100.00 12,324 100.00 12,461 100.00 12,650 100.00 12,810 100.00 경기남부 (21) 8,910 74.03 9,019 73.97 9,105 73.88 9,191 73.76 9,332 73.77 9,466 73.90 경기북부 (10) 3,125 25.97 3,174 26.03 3,219 26.12 3,269 26.24 3,318 26.23 3,344 26.10 고양시 964 8.01 980 8.04 1,001 8.12 1,020 8.18 1,034 8.18 1,042 8.13 남양주시 589 4.90 613 5.03 631 5.12 647 5.19 662 5.23 666 5.20 의정부시 429 3.57 430 3.53 431 3.50 432 3.47 437 3.45 439 3.42 파주시 389 3.23 400 3.28 408 3.31 419 3.36 428 3.38 434 3.39 양주시 200 1.66 200 1.64 200 1.62 204 1.64 205 1.62 210 1.64 구리시 193 1.60 190 1.56 188 1.52 187 1.50 191 1.51 195 1.52 포천시 158 1.31 157 1.29 156 1.26 156 1.25 155 1.22 153 1.20 동두천시 97 0.80 97 0.80 97 0.79 98 0.78 98 0.78 97 0.76 가평군 61 0.50 61 0.50 61 0.50 62 0.50 63 0.50 63 0.49 연천군 46 0.38 46 0.37 46 0.37 45 0.36 46 0.36 46 0.36 * 각 년도 8월 기준 * 인구비율=각 지역의 총인구/경기도 전체 총인구 * 100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 경기북부의 시군별 인구수 변화 ○ 경기북부 10개 시군의 인구수 증가(2012년 대비 2017년)를 살펴보면, 고양시, 남양주시, 파 주시, 양주시는 증가추세에 있으나, 나머지 시군은 소폭증가, 정체 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 타나고 있음 - 2012년 대비 2017년 인구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고양시는 964천명에서 1,042천명 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5년 사이에 78천명이 증가함 - 남양주시는 해당기간동안 589천명에서 666천명으로 증가하여 77천명이 증가하여, 인 구증가속도는 경기 북부 10개 시군중에 가장 높음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15 - 파주시는 해당기간동안 434천명에서 389천명으로 45천명이나 증가하여 인구증가속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하지만, 10개 시군 중 위의 3개 시군을 제외한 인구수는 소폭증가하거나 인구가 정체 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의정부시는 429천명에서 439천명으로 해당기간동안 약 10천명 증가하였고, 양주시도 200천명에서 210천명으로 10천명 증가하였음 - 구리시는 193천명에서 195천명으로 약 2천명 증가하였고, 가평군은 61천명에서 63천 명으로 약 2천명 증가하였음 - 동두천시는 97천명에서 97천명으로 정체, 연천군도 46천명에서 46천명으로 정체 - 포천시는 158천명에서 153천명으로 2천명 감소 <그림 Ⅱ-1> 경기북부 시군별 인구수 추이 □ 경기북부의 인구증가율 ○ 경기도 인구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지역적 편차가 관측되고 있음. - 인구증가율 추이를 살펴보면 경기도는 2012년 1.24%, 2014년 1.07%, 2016년 1.52%로 등락을 보이나 인구수의 증가는 꾸준히 나타나고 있음. - 경기북부의 경우 2012년에서 2015년까지는 경기도의 인구증가율에 비해 상대적으 로 높은 인구증가율을 보이다가 2017년에는 0.79%로 경기도의 1.27%에 비해 상 당히 낮은 증가율을 보였음.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6 - 경기북부 10개 지역들 대부분은 인구증가율에 있어서 등락을 보이나 2012년과 2017년의 인구수를 비교해 보면 상승하였음. 그러나 포천시의 경우는 2016년, 2017년 인구상승률을 회복하였으나 총인구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표 Ⅱ-2> 인구증가율 추이 (단위: %)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경기도 1.24 1.31 1.07 1.10 1.52 1.27 경기남부(21) 1.24 1.22 0.95 0.95 1.53 1.43 경기북부(10) 1.25 1.57 1.42 1.56 1.48 0.79 고양시 0.46 1.75 2.11 1.86 1.43 0.70 남양주시 2.64 3.99 2.98 2.52 2.24 0.63 의정부시 -0.44 0.12 0.32 0.25 0.97 0.49 파주시 5.14 2.89 1.94 2.72 2.18 1.31 양주시 1.13 -0.37 0.24 2.03 0.44 2.46 구리시 -1.21 -1.41 -1.33 -0.49 2.05 2.29 포천시 -0.36 -0.58 -0.61 -0.09 -0.63 -0.89 동두천시 0.74 0.57 0.02 0.18 0.58 -0.74 가평군 1.88 1.20 -0.03 1.17 1.05 0.47 연천군 1.43 0.21 -0.19 -0.94 1.75 -0.89 * 각 년도 8월 기준 * 인구증가율=((해당년 주민등록인구-전년도 주민등록인구)/전년 주민등록인구)*100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 경기북부 시군별 인구밀도 ○ 경기북부는 남부지역에 비해 인구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부 시군간 인구밀도의 편차도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남 - 경기도 전체 인구밀도 125.79명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경기북부 지역에서는 구리 시와 의정부시, 고양시 순으로 인구밀도가 타지역들에 비해 높음. - 반면에 파주시, 양주시, 포천시, 가평군, 연천군은 인구밀도가 상당히 낮은 지역임.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17 <표 Ⅱ-3> 경기북부 시군별 인구밀도 (단위: %) 시·군 인구 비율 면적 면적비율 인구밀도 경기도 전체 12,810 100.00 10,183.5 100.00 125.79 경기남부(21개) 9,466 73.90 5,917.0 58.10 159.98 경기북부(10개) 3,344 26.10 4,266.4 41.90 78.38 고양시 1,042 8.13 268.1 2.63 388.67 남양주시 666 5.20 458.1 4.50 145.40 의정부시 439 3.42 81.5 0.80 538.39 파주시 434 3.39 672.8 6.61 64.50 양주시 210 1.64 310.3 3.05 67.67 구리시 195 1.52 33.3 0.33 585.40 포천시 153 1.20 826.6 8.12 18.51 동두천시 97 0.76 95.7 0.94 101.39 가평군 63 0.49 843.7 8.29 7.47 연천군 46 0.36 676.3 6.64 6.80 *면적비율: 해당지역 면적 / 경기도전체 면적 * 100 *인구밀도: 총인구(명) / 총면적(km2) × 100 <그림 Ⅱ-2> 경기북부 인구밀도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8 2) 경기 북부 노인 인구 □ 경기도 노인인구수 ○ 경기도의 노인인구수는 2009년 949,596명이었다가 2013년 1,177061명, 2017년에는 1,441,230명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노인인구의 증가율을 보면 2009년 대비 2017년 약 0.5배 증가하였음. <그림 Ⅱ-3> 경기도 노인인구 변화 * 각 년도 8월 기준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 □ 경기북부 시군별 노인인구수 ○ 경기 북부 노인인구수를 시군별로 보면, 고양시가 가장 많고, 연천군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 타남 - 경기 북부 10개 시군 중에 노인인구가 가장 많은 시는 고양시로 118,678명의 노인 이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남 - 노인인구수가 그 다음으로 많은 시는 남양주시가 80,222명, 의정부시가 57,479 명,파주시가 54,009명으로 나타남 - 양주시는 28.371명, 포천시는 25,134명, 구리시는 21,722명, 동두천시 16,749명, 가평군 14,052명, 연천군 10,353명으로 순으로 나타나고 있음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19 (단위 : 명, %) 시·군 인구 노인 인구 노인인구 비율 경기도 전체 12,810,014 1,441,230 11.25 경기남부(21개) 9,466,054 1,014,461 10.72 경기북부(10개) 3,343,960 426,769 12.76 고양시 1,041,507 118,678 11.39 남양주시 665,703 80,222 12.05 의정부시 438,677 57,479 13.10 파주시 433,620 54,009 12.46 양주시 210,049 28,371 13.51 구리시 195,176 21,722 11.13 포천시 153,320 25,134 16.39 동두천시 97,396 16,749 17.20 가평군 62,941 14,052 22.33 연천군 45,571 10,353 22.72 * 2017년 8월 기준 * 노인인구비율=각 지역의 노인인구/경기도 전체 인구 * 100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 <표 Ⅱ-4> 경기도 북부 10개 시군 노인 인구비율(2017년) □ 경기북부 전체인구 대비 노인인구 비율 ○ 경기도의 노인인구 비율은 11.25%이며 경기남부는 10.72%, 경기북부는 12.76%로 경기남부 에 비해 경기북부의 노인인구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 전체인구 대비 노인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연천군 22.72%, 가평군 22.33% 로 나타나 가평군과 연천군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하였음 - 그 다음으로 노인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동두천시 17.2%, 포천시 16.39%로 나 나타 이 두지역은 고령사회에 들어섰음 - 나머지 6개 시군은 양주시 13.51%, 의정부시 13.10%, 파주시 12.46%, 남양주시 12.05%, 고양시 11.39%, 구리시 11.13%로 이들 지역도 곧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 으로 예측됨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20 ○ 경기도 시군별 노인인구 특성을 보면, 고양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파주시는 노인인구는 많 으나, 노인인구비율이 낮은 지역인 반면에 양주시, 포천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은 노인 인구수는 적으나 노인인구비율이 높은 지역임. 구리시는 노인인구도 적도 인구고령화율도 상대적으로 낮은 도시임 <그림 Ⅱ-4> 경기 북부 노인인구수 및 전체인구 대비 노인인구 비율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21 고양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파주시 3) 경기 북부 시군 연령대별 인구 □ 경기북부 연령별 인구수 ○ 연령대별로 인구를 분석한 결과, 고양시가 65세 이상 인구가 114,092명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경기 북부 시군의 연령대별 인구수를 보면, 35세~64세 연령대의 인구가 가장 많 은 시는 고양시로 500,924명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양주시가 319,850 명, 의정부시가 210,590명, 파주시 197,863명으로 나타나고 있음. 그 외 6개 시군 은 35~64세 연령대의 인구가 100,000명 미만으로 양주시 99,000명, 구리시 94,768명, 포천시 79,761명, 동두천시 45,872명, 가평군 29,917명, 연천군 19,876명으로 나타나고 있음. - 전체인구구성의 패턴은 중장년층과 노인층의 인구수가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어 65 세 이상 노인인구수가 가장 많은 시는 고양시로 114,092명, 남양주시 75,986명, 의정부시 55,396명, 파주시 51,980명, 양주시 26,708명, 포천시 24,292명, 구리 시 20,623명, 동두천시 16,172명, 가평군 13,569명, 연천군 10,162명으로 나타나 고 있음 <그림 Ⅱ-5> 경기북부 연령별 인구수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22 양주시 구리시 포천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 자료 : 주민등록인구통계(2016) □ 경기북부 연령대별 인구비율 ○ 연령대별 인구비율을 연령대별 인구비율을 보면, 각 연령대별 인구비율이 시군별로 약간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0-4세의 영유아 인구비율이 높은 지역은 파주시가 5.32%로 북부 10개 시군중에 는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남양주시 4.91%, 양주시 4.53%, 고양시가 4.17%, 연천군 4.14% 순으로 나타나고 있음 - 5-19세 연령대의 비율이 높은 시군은 남양주시 17.58%, 파주시 17.18%, 양주시 17.30%, 남양주, 파주, 양주시에 학령기 연령대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20-34세의 청년층이 비율이 높은 지역은 고양시가 20.28%, 구리시가 20.44%, 의정부시가 19.8%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35-64세 연령대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구리시 48.91%, 양주시 48.17%, 남양주시 48.30%, 고양시 48.18%, 의정부시 48.03%로 나타나고 있음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23 <그림 Ⅱ-6> 경기북부 연령별 인구비율 고양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파주시 양주시 구리시 포천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 자료 : 주민등록인구통계(2016)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24 4) 경기도 귀촌 인구 □ 경기도 귀촌 인구 ○ 경기도는 전국에서 귀촌, 귀농인구가 가장 많은 곳으로 경기도 2015년 귀촌가구는 317,409 가구로 전년보다 18,052가구 증가(6.0% 증가)한 가운데, 시도별로는 경기가 81,465가구로 귀촌인구의 25%를 차지하고 있음. - 시군별로는 남양주시의 귀촌인구가 22,985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 남(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통계청, 2016) <그림 Ⅱ-7> 시도별 귀촌가구수 현황(2015년) <그림 Ⅱ-8> 귀촌가구 시도별 비율 자료: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통계청(2016). 2015년 귀농어·귀촌인 통계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25 2. 경기북부 노인의 사회․경제적 특성 1) 경기 북부 노인의 사회적 특성 □ 경기북부 노인 교육수준 ○ 교육수준 - 경기도 전 지역에서 초등학교 정도의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높은 비 율을 보이는 것은 공통적이나 경기도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이 2위이나 경기북부의 경우 중학교 졸업이 2위로 나타나서 경기도 전체에 비해 경기북부의 교육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음. - 특히, 가평군, 연천군의 경우 무학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가 하면 포천시와 동 두천시의 경우도 중학교 졸업에 비해 초등학교 졸업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교육수준이 경기남부의 타지역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그림 Ⅱ-9> 경기북부 노인의 교육수준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26 <표 Ⅱ-5> 경기북부 노인의 교육수준 구분 안 받았음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4년제 미만) 대학교(4년제 이상) 대학원 석사과정 대학원 박사과정 합계 경기도 명 177,941 475,100 280,764 298,643 45,810 124,758 20,020 6,729 1,429,766 % 12.45 33.23 19.64 20.89 3.20 8.73 1.40 0.47 100.00 경기북부 (10) 명 57,323 148,910 91,722 85,601 10,821 29,695 3,704 1,596 429,372 % 13.4% 34.7% 21.4% 19.9% 2.5% 6.9% .9% .4% 100.0%     고양시 명 7,633 31,015 27,987 26,911 4,888 12,931 1,596 1,105 114,066 % 6.7% 27.2% 24.5% 23.6% 4.3% 11.3% 1.4% 1.0% 100.0%     남양주시 명 13,167 30,900 17,749 15,150 1,060 4,475 900 191 83,592 % 15.8% 37.0% 21.2% 18.1% 1.3% 5.4% 1.1% .2% 100.0%     의정부시 명 6,937 20,104 13,267 13,421 1,356 3,250 0 0 58,335 % 11.9% 34.5% 22.7% 23.0% 2.3% 5.6% 0.0% 0.0% 100.0%     파주시 명 9,589 17,589 11,178 10,450 1,144 3,905 265 106 54,226 % 17.7% 32.4% 20.6% 19.3% 2.1% 7.2% .5% .2% 100.0%     양주시 명 3,959 10,719 6,188 6,144 344 1,213 150 0 28,717 % 13.8% 37.3% 21.5% 21.4% 1.2% 4.2% .5% 0.0% 100.0%     구리시 명 2,467 8,428 3,877 4,806 686 1,863 355 93 22,575 % 10.9% 37.3% 17.2% 21.3% 3.0% 8.3% 1.6% .4% 100.0%     포천시 명 3,406 12,831 5,192 2,743 525 795 244 0 25,736 % 13.2% 49.9% 20.2% 10.7% 2.0% 3.1% .9% 0.0% 100.0%     동두천시 명 2,881 7,389 2,518 2,979 508 440 0 0 16,715 % 17.2% 44.2% 15.1% 17.8% 3.0% 2.6% 0.0% 0.0% 100.0%     가평군 명 4,500 5,191 2,160 1,931 257 587 194 101 14,921 % 30.2% 34.8% 14.5% 12.9% 1.7% 3.9% 1.3% .7% 100.0%     연천군 명 2,784 4,744 1,606 1,066 53 236 0 0 10,489 % 26.5% 45.2% 15.3% 10.2% .5% 2.2% 0.0% 0.0% 100.0%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https://mdis.kostat.go.kr/index.do)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 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원가중치 적용함.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27 □ 경기북부 노인 주관적 건강상태 ○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 전반적 건강상태를 분석한 결과 경기도 전체의 경우 평균 2.84점으로 보통을 기준 으로 약간 나쁜 편으로 확인되었으며, 경기북부의 경우 경기도 전체 평균보다 미미 하지만 낮았으며 10개 시군 중 구리시가 가장 높았고, 연천군이 가장 낮게 나타남. <표 Ⅱ-6> 경기북부 노인의 전반적 건강상태 구분 평균 매우 좋음 좋은편 보통 나쁜 편 매우 나쁨 합계 경기도 명 2.84 51,115 335,783 477,601 463,086 102,181 1,429,766 % 3.6 23.5 33.4 32.4 7.1 100.0 경기북부 (10) 명 2.80 14,874 92,839 147,507 140,304 33,850 429,374 % 3.5% 21.6% 34.4% 32.7% 7.9% 100.0%     고양시 명 2.83 4,445 21,856 44,847 35,881 7,038 114,067 % 3.9% 19.2% 39.3% 31.5% 6.2% 100.0%     남양주시 명 2.77 3,036 16,142 30,212 26,639 7,562 83,591 % 3.6% 19.3% 36.1% 31.9% 9.0% 100.0%     의정부시 명 2.84 1,300 15,495 18,421 19,002 4,116 58,334 % 2.2% 26.6% 31.6% 32.6% 7.1% 100.0%     파주시 명 2.86 2,709 12,966 16,942 17,137 4,473 54,227 % 5.0% 23.9% 31.2% 31.6% 8.2% 100.0%     양주시 명 2.71 620 6,933 7,695 10,298 3,171 28,717 % 2.2% 24.1% 26.8% 35.9% 11.0% 100.0%     구리시 명 2.87 1,031 5,248 7,921 6,560 1,816 22,576 % 4.6% 23.2% 35.1% 29.1% 8.0% 100.0%     포천시 명 2.72 424 5,572 8,276 9,292 2,172 25,736 % 1.6% 21.7% 32.2% 36.1% 8.4% 100.0%     동두천시 명 2.75 573 3,742 4,945 5,876 1,580 16,716 % 3.4% 22.4% 29.6% 35.2% 9.5% 100.0%     가평군 명 2.76 358 3,080 5,229 5,190 1,064 14,921 % 2.4% 20.6% 35.0% 34.8% 7.1% 100.0%     연천군 명 2.66 378 1,805 3,019 4,429 858 10,489 % 3.6% 17.2% 28.8% 42.2% 8.2% 100.0%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https://mdis.kostat.go.kr/index.do)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원가중치 적용함. * 원자료에서는 매우 좋음에서 매우 나쁨까지 1점에서 5점으로 입력되어 있었으나, 역점수화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이 좋은 것 으로 평균점수를 해석할 수 있도록 코딩을 변경하였음.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28 □ 경기북부 노인의 혼인상태 ○ 혼인상태 - 경기도 전체에서 유배우 비율이 64.9%로 나타나며, 경기북부는 63.2%로 나타남. - 경기북부 지역 중 연천군, 동두천시가 60%이하의 유배우 비율을 보이며, 10개 경 기북부 지역 중 구리시(65.5%)와 양주시(65.3%)만이 유배우 비율이 경기도 전체의 비율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남. <표 Ⅱ-7> 혼인상태 구분 미혼 배우자있음 사별 이혼 합계 경기도 명 7,469 927,554 445,363 49,380 1,429,766 % 0.5 64.9 31.1 3.5 100.0 경기북부 (10) 명 2,320 271,247 140,979 14,827 429,373 % .5% 63.2% 32.8% 3.5% 100.0% 고양시 명 469 72,957 35,839 4,801 114,066 % .4% 64.0% 31.4% 4.2% 100.0% 남양주시 명 436 52,736 28,508 1,912 83,592 % .5% 63.1% 34.1% 2.3% 100.0% 의정부시 명 128 35,671 20,133 2,403 58,335 % .2% 61.1% 34.5% 4.1% 100.0% 파주시 명 226 34,348 17,496 2,157 54,227 % .4% 63.3% 32.3% 4.0% 100.0% 양주시 명 85 18,750 9,049 833 28,717 % .3% 65.3% 31.5% 2.9% 100.0% 구리시 명 238 14,797 6,788 752 22,575 % 1.1% 65.5% 30.1% 3.3% 100.0% 포천시 명 243 16,635 8,368 490 25,736 % .9% 64.6% 32.5% 1.9% 100.0% 동두천시 명 309 9,880 5,710 817 16,716 % 1.8% 59.1% 34.2% 4.9% 100.0% 가평군 명 95 9,301 5,110 415 14,921 % .6% 62.3% 34.2% 2.8% 100.0% 연천군 명 91 6,172 3,978 247 10,488 % .9% 58.8% 37.9% 2.4% 100.0%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https://mdis.kostat.go.kr/index.do)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29 □ 경기북부 노인의 가정생활 스트레스 정도 ○ 가정생활스트레스 정도 - 경기도 전체의 평균은 2.89점으로 가정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보통보다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 경기북부 지역은 미미하지만 경기도 전체보다 가정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낮게 나타 났으며, 연천군, 포천시, 가평군으로 가정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낮으며 고양시가 경 기북부 지역 중 가장 높게 나타남. <표 Ⅱ-8> 가정생활스트레스 정도 구분 매우 많이 느꼈다 조금 느꼈다 보통이다 느끼지 않았다 전혀 느끼지 않았다 합계 평균 경기도 명 80,557 315,200 553,037 330,738 150,234 1,429,766 2.89% 5.6 22.0 38.7 23.1 10.5 100.0 경기북부(1 0) 명 26,690 96,579 160,463 97,150 48,491 429,373 2.90% 6.2% 22.5% 37.4% 22.6% 11.3% 100.0% 고양시 명 9,438 24,508 44,241 24,368 11,510 114,065 2.96% 8.3% 21.5% 38.8% 21.4% 10.1% 100.0% 남양주시 명 4,661 17,459 33,178 19,110 9,184 83,592 2.87% 5.6% 20.9% 39.7% 22.9% 11.0% 100.0% 의정부시 명 2,855 16,287 19,980 9,906 9,306 58,334 2.89% 4.9% 27.9% 34.3% 17.0% 16.0% 100.0% 파주시 명 3,968 13,202 17,177 14,257 5,622 54,226 2.92% 7.3% 24.3% 31.7% 26.3% 10.4% 100.0% 양주시 명 1,266 6,448 10,767 7,395 2,841 28,717 2.86% 4.4% 22.5% 37.5% 25.8% 9.9% 100.0% 구리시 명 1,324 4,062 11,091 4,800 1,299 22,576 2.97% 5.9% 18.0% 49.1% 21.3% 5.8% 100.0% 포천시 명 943 5,643 8,658 7,140 3,353 25,737 2.75% 3.7% 21.9% 33.6% 27.7% 13.0% 100.0% 동두천시 명 1,126 4,605 5,938 2,703 2,343 16,715 2.97% 6.7% 27.6% 35.5% 16.2% 14.0% 100.0% 가평군 명 760 2,790 5,427 4,670 1,274 14,921 2.81% 5.1% 18.7% 36.4% 31.3% 8.5% 100.0% 연천군 명 349 1,575 4,006 2,801 1,759 10,490 2.61% 3.3% 15.0% 38.2% 26.7% 16.8% 100.0%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https://mdis.kostat.go.kr/index.do)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원가중치 적용함. * 평균점수가 높을수록 가정생활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해석함.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30 □ 경기북부 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 ○ 배우자, 자녀, 자기부모, 배우자부모, 형제자매, 배우자의 형재자매, 전반적 가족관계 - 경기도 전체의 경우 배우자관계만족도(3.87점)가 가장 높고 자녀관계만족도(2.09 점)가 가장 낮았음. - 경기북부의 경우 자녀관계만족도(3.92점)가 배우자만족도(3.86점)보다 높은 것으 로 나타남. - 전반적 가족관계만족도는 경기도 전체(2.38점)에 비해 경기북부(3.60점)의 만족도 가 높으며, 경기북부 지역 중에서도 연천군(3.97점), 동두천시(3.91점)가 상대적으 로 높으며 남양주시(3.36점)가 가장 낮게 나타남. <표 Ⅱ-9> 가족관계만족도 배우자관계만족도 자녀관계만족도 부모관계만족도 형제자매관계만족도 전반적 가족관계만족도 경기도 평균 3.87 2.09 2.49 2.52 2.38 빈도 927,554 1,392,505 25,329 1,008,223 1,429,766 경기북부(10) 평균 3.86 3.92 3.60 3.45 3.60 빈도 271,247 419,585 429,373 296,751 429,373 고양시 평균 3.82 3.87 3.58 3.42 3.58 빈도 72,957 111,908 114,066 77,291 114,066 남양주시 평균 3.59 3.71 3.36 3.21 3.36 빈도 52,736 82,098 83,592 58,308 83,592 의정부시 평균 3.84 3.93 3.57 3.44 3.57 빈도 35,671 56,989 58,335 41,857 58,335 파주시 평균 4.14 4.18 3.92 3.79 3.92 빈도 34,348 53,177 54,226 38,857 54,226 양주시 평균 4.11 4.07 3.68 3.50 3.68 빈도 18,750 27,527 28,717 18,809 28,717 구리시 평균 3.91 3.94 3.76 3.57 3.76 빈도 14,797 21,856 22,576 16,540 22,576 포천시 평균 3.69 3.66 3.42 3.28 3.42 빈도 16,635 25,131 25,737 18,625 25,737 동두천시 평균 4.18 4.23 3.91 3.83 3.91 빈도 9,880 16,004 16,715 9,697 16,715 가평군 평균 3.84 3.99 3.44 3.29 3.44 빈도 9,301 14,664 14,921 10,118 14,921 연천군 평균 4.21 4.19 3.97 3.79 3.97 빈도 6,172 10,231 10,489 6,650 10,489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https://mdis.kostat.go.kr/index.do)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부모관계 및 형제자매관계는 자기와 배우자의 부모 및 형제자매와의 관계를 평균하였음.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원가중치 적용함. * 평균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함.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31 □ 경기북부 노인의 사회활동 현황 ○ 경기북부 노인의 사회활동 현황 - 경기북부 노인의 사회활동 현황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70% 이상이 참여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천시(79.3%)와 연천군(79.0%)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 사회활동 유형을 살펴보면 친목단체와 종교분야단체의 비율이 다른 활동에 비해 높게 나타남. <표 Ⅱ-10> 경기 북부의 노인의 사회활동 현황 구분 사회분야단체 경제분야 단체 문화분야 단체 정치분야 단체 종교분야 단체 지역단체 친목단체 교육단체 기타 없음 합계 의정부시 (N=502,890) 명 11,670 1,792 20,460 1,225 46,060 10,941 65,262 1,676 165 379,383 538,634 % 2.3% .4% 4.1% .2% 9.2% 2.2% 13.0% .3% .0% 75.4% 107.1% 동두천시 (N=221,398) 명 4,856 697 9,209 618 19,746 4,173 29,150 548 125 168,143 237,265 % 2.2% .3% 4.2% .3% 8.9% 1.9% 13.2% .2% .1% 75.9% 107.2% 고양시 (N=153,293) 명 3,072 428 6,426 130 12,437 4,101 18,516 185 62 118,644 164,001 % 2.0% .3% 4.2% .1% 8.1% 2.7% 12.1% .1% .0% 77.4% 107.0% 구리시 (N=93,604) 명 2,448 457 3,892 210 9,148 1,731 11,868 555 103 70,908 101,320 % 2.6% .5% 4.2% .2% 9.8% 1.8% 12.7% .6% .1% 75.8% 108.2% 남양주시 (N=141,125) 명 3,787 673 7,609 345 14,702 3,559 17,838 323 227 104,877 153,940 % 2.7% .5% 5.4% .2% 10.4% 2.5% 12.6% .2% .2% 74.3% 109.1% 파주시 (N=97,646) 명 2,331 402 5,115 375 10,224 2,677 14,929 356 112 70,090 106,611 % 2.4% .4% 5.2% .4% 10.5% 2.7% 15.3% .4% .1% 71.8% 109.2% 양주시 (N=24,293) 명 552 35 942 35 1,731 646 2,298 92 31 18,822 25,184 % 2.3% .1% 3.9% .1% 7.1% 2.7% 9.5% .4% .1% 77.5% 103.7% 포천시 (N=21,549) 명 628 203 261 14 1,196 622 2,671 36 54 17,089 22,774 % 2.9% .9% 1.2% .1% 5.6% 2.9% 12.4% .2% .3% 79.3% 105.7% 연천군 (N=96,171) 명 2,264 430 2,536 130 5,047 2,706 12,282 206 0 75,959 101,560 % 2.4% .4% 2.6% .1% 5.2% 2.8% 12.8% .2% 0.0% 79.0% 105.6% 가평군 (N=101,102) 명 2,430 332 2,670 275 6,177 2,438 14,634 216 0 77,426 106,598 % 2.4% .3% 2.6% .3% 6.1% 2.4% 14.5% .2% 0.0% 76.6% 105.4%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https://mdis.kostat.go.kr/index.do)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에 따라 해당 내 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32 2) 경기 북부 노인의 경제적 특성 □ 경기북부 노인가구의 주된 소득원 ○ 노인 가구의 주된 소득원 - 경기도 전체 노인 가구의 주된 소득원을 살펴보면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의 비율 이 24.06%로 가장 높고, 공적·사적연금 및 퇴직금이 20.62%, 정부의 보조금 17.34%, 친인척의 보조금이 15.90% 순으로 나타남. 경기북부의 경우 친인척의 보 조금이 정부의 보조금보다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남. - 경기북부 지역들 중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이 주된 소득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포천시(36.4%)이며, 동두천시(34.4%), 가평군(29.5%), 연천군 (35.4%)은 정부의 보조금이 가구의 주소득원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음. <표 Ⅱ-11> 노인 가구의 주된 소득원 구분 가구주의 근로(사업)소 득 배우자 및 기타 가구원의 근로(사업)소득 재산소득(이자, 배당금, 임대료 등) 공적·사적연 금 및 퇴직금 정부의 보조금 종교 또는 복지단체 보조금 친인척의 보조금 기타 합계 경기도 명 225,918 81,285 124,747 193,609 162,766 1,070 149,270 163 938,830 % 24.06 8.66 13.29 20.62 17.34 0.11 15.90 0.02 100.00 경기북부 (10) 명 57,951 20,219 29,747 54,630 43,891 295 51,931 258,664 % 22.4% 7.8% 11.5% 21.1% 17.0% .1% 20.1% 100.0% 고양시 명 9,344 5,427 5,683 17,727 8,258 0 17,668 64,107 % 14.6% 8.5% 8.9% 27.7% 12.9% 0.0% 27.6% 100.0% 남양주시 명 12,408 3,964 6,491 8,948 7,659 0 9,600 49,070 % 25.3% 8.1% 13.2% 18.2% 15.6% 0.0% 19.6% 100.0% 의정부시 명 7,381 1,986 7,025 7,992 4,238 157 8,713 37,492 % 19.7% 5.3% 18.7% 21.3% 11.3% .4% 23.2% 100.0% 파주시 명 7,713 3,482 2,518 6,603 6,709 0 6,957 33,982 % 22.7% 10.2% 7.4% 19.4% 19.7% 0.0% 20.5% 100.0% 양주시 명 4,233 1,353 1,357 4,014 4,403 0 1,730 17,090 % 24.8% 7.9% 7.9% 23.5% 25.8% 0.0% 10.1% 100.0% 구리시 명 3,669 1,720 2,744 2,536 1,650 0 664 12,983 % 28.3% 13.2% 21.1% 19.5% 12.7% 0.0% 5.1% 100.0% 포천시 명 6,466 885 1,998 2,928 2,321 121 3,041 17,760 % 36.4% 5.0% 11.3% 16.5% 13.1% .7% 17.1% 100.0% 동두천시 명 2,255 608 873 1,384 3,626 0 1,805 10,551 % 21.4% 5.8% 8.3% 13.1% 34.4% 0.0% 17.1% 100.0% 가평군 명 2,418 666 648 1,436 2,549 17 899 8,633 % 28.0% 7.7% 7.5% 16.6% 29.5% .2% 10.4% 100.0% 연천군 명 2,064 128 410 1,062 2,478 0 854 6,996 % 29.5% 1.8% 5.9% 15.2% 35.4% 0.0% 12.2% 100.0%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https://mdis.kostat.go.kr/index.do)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 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주가중치 적용함.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33 <그림 Ⅱ-10> 경기북부 노인가구의 주된 소득원 고양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파주시 양주시 구리시 포천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 자료 : 주민등록인구통계(2016)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34 □ 경기북부 노인가구의 월평균 소득 ○ 노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 - 노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0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율이 가장 높고, 100만원에서 200만원 미만, 200만원에서 300만원 미만 순으로 나타나는 것이 전반적인 반응경 향임. - 100만원 미만에 대한 응답율이 경기도 전체보다 경기북부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 타났으며, 경기북부 10개 지역 중에서도 동두천시(69.9%), 연천군(69.1%), 가평군 (55.3%) 순으로 높게 나타나서 해당 지역의 노인 가구 월평균 소득이 타지역에 비 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유추할 수 있음. 노인가구의 소득이 100만원이하라는 응답이 절반이 되지 않는 시군은 구리시 1개로 나타남 <표 Ⅱ-12> 노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 100만원 미만 100만원 ~ 200만원 미만 200만원 ~ 300만원 미만 300만원 ~ 400만원 미만 400만원 ~ 500만원 미만 500만원 ~ 600만원 미만 600만원 ~ 700만원 미만 700만원 이상 합계 경기도 명 434,494 257,471 126,558 62,080 30,309 11,538 5,602 10,779 938,830 % 46.3 27.4 13.5 6.6 3.2 1.2 .6 1.1 100.0 경기북부 (10) 명 130,651 71,280 31,276 13,883 7,325 2,117 715 1,416 258,663 % 50.5% 27.6% 12.1% 5.4% 2.8% .8% .3% .5% 100.0% 고양시 명 27,540 21,652 7,437 3,672 2,420 617 0 771 64,109 % 43.0% 33.8% 11.6% 5.7% 3.8% 1.0% 0.0% 1.2% 100.0% 남양주시 명 26,702 9,974 6,697 3,833 1,457 183 0 224 49,070 % 54.4% 20.3% 13.6% 7.8% 3.0% .4% 0.0% .5% 100.0% 의정부시 명 19,967 11,592 3,592 1,001 1,040 175 125 0 37,492 % 53.3% 30.9% 9.6% 2.7% 2.8% .5% .3% 0.0% 100.0% 파주시 명 17,021 9,711 4,088 1,713 711 430 306 0 33,980 % 50.1% 28.6% 12.0% 5.0% 2.1% 1.3% .9% 0.0% 100.0% 양주시 명 8,539 5,298 1,469 1,155 294 233 0 102 17,090 % 50.0% 31.0% 8.6% 6.8% 1.7% 1.4% 0.0% .6% 100.0% 구리시 명 4,509 3,223 2,512 1,384 590 342 158 266 12,984 % 34.7% 24.8% 19.3% 10.7% 4.5% 2.6% 1.2% 2.0% 100.0% 포천시 명 9,393 4,601 3,006 403 357 0 0 0 17,760 % 52.9% 25.9% 16.9% 2.3% 2.0% 0.0% 0.0% 0.0% 100.0% 동두천시 명 7,374 1,737 672 441 180 49 44 53 10,550 % 69.9% 16.5% 6.4% 4.2% 1.7% .5% .4% .5% 100.0% 가평군 명 4,776 2,274 1,132 156 169 70 57 0 8,634 % 55.3% 26.3% 13.1% 1.8% 2.0% .8% .7% 0.0% 100.0% 연천군 명 4,830 1,218 671 125 107 18 25 0 6,994 % 69.1% 17.4% 9.6% 1.8% 1.5% .3% .4% 0.0% 100.0%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https://mdis.kostat.go.kr/index.do)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 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35 □ 경기북부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율 ○ 노인의 경제활동참여율 - 경기북부 지역 노인의 경제활동참여율은 18.9%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 29.9% 이고 여성의 경우 10.6% 수준으로 나타남. 연령대별로는 65-74세의 경우 27%, 75-84세 8.8%, 85세 이상은 1%만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남. - 지역별로는 경제활동참여율이 높은 지역은 포천시(34.9%), 가평군(30.1%), 연천군 (27.3%)이고, 낮은 지역은 고양시(13.2%), 의정부시(15.1%)인 것으로 나타남. <표 Ⅱ-13> 노인 가구의 경제활동 참여율 구분 경제활동하였음 성별 연령대별남 여 65-74세 75-84세 85세이상 경기북부(10) 명 81264 55565 25699 67034 14024 206% 18.9% 29.9% 10.6% 27.0% 8.8% 1.0% 고양시 명 15,066 10955 4111 12923 2143 0% 13.2% 22.6% 6.3% 19.3% 5.1% 0.0% 남양주시 명 15,466 10552 4914 13509 1957 0% 18.5% 29.5% 10.3% 27.8% 6.3% 0.0% 의정부시 명 8,837 5810 3027 7870 967 0% 15.1% 23.4% 9.0% 21.9% 4.7% 0.0% 파주시 명 10,941 7115 3826 7860 2961 120% 20.2% 31.2% 12.2% 28.0% 13.2% 3.3% 양주시 명 6,267 4671 1596 5428 841 0% 21.8% 35.6% 10.2% 30.3% 8.9% 0.0% 구리시 명 4,953 3620 1333 4525 428 0% 21.9% 33.0% 11.5% 31.6% 6.3% 0.0% 포천시 명 8,977 6006 2971 7043 1934 0% 34.9% 51.4% 21.1% 47.7% 20.0% 0.0% 동두천시 명 3,391 2300 1091 2609 735 47% 20.3% 32.5% 11.3% 29.6% 10.8% 4.3% 가평군 명 4,495 2750 1745 3363 1132 0% 30.1% 42.6% 20.6% 44.5% 17.9% 0.0% 연천군 명 2,868 1783 1085 1902 926 40% 27.3% 38.3% 18.6% 36.2% 20.3% 5.9%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https://mdis.kostat.go.kr/index.do)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한 결과임. 단, 경 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원가중치 적용함.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36 <그림 Ⅱ-11> 노인 가구의 경제활동 참여율 □ 경기북부 노인의 종사산업 ○ 노인의 종사산업 - 경제활동 중인 노인의 종사산업 유형을 살펴보면, 경기북부 전체에서는 농업, 임업 및 어업(23.4%)이 가장 높고,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15.1%) 차순위 로 나타남. - 경기북부의 지역별 특성이 반영되어 10개 지역의 세부 특성은 다르게 나타남. - 고양시의 경우는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28.8%)과 운수업(12.5%)이, 남양주시는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17.2%)와 농업, 임업 및 어업 (16.9%), 의정부시는 운수업(23.1%), 제조업(11.9%), 파주시는 농업, 임업 및 어업 (35.9%),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24.3%) 양주시는 농업, 임업 및 어 업(39.6%)와 제조업(15.4%), 구리시는 도매 및 소매업(17.2%)과 부동산업 및 임대 업(13.6%), 포천시는 농업, 임업 및 어업(54.1%)과 제조업(8.1%), 동두천시는 보건 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8.4%),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13.4%), 가 평군은 농업, 임업 및 어업(53.5%)과 숙박 및 음식점업(18.4%), 연천군은 농업, 임 업 및 어업(67.0%)과 도매 및 소매업(8.6%)에 노인들이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남.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37 <표 Ⅱ-14> 노인의 종사산업 구분 경기북부 고양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파주시 양주시 구리시 포천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 농업, 임업 및 어업 명 19036 208 2612 540 3929 2480 0 4856 86 2403 1922 % 23.4% 1.4% 16.9% 6.1% 35.9% 39.6% 0.0% 54.1% 2.5% 53.5% 67.0% 제조업 명 7659 1635 1288 1051 1009 963 432 725 424 68 64% 9.4% 10.9% 8.3% 11.9% 9.2% 15.4% 8.7% 8.1% 12.5% 1.5% 2.2% 하수, 폐수물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명 194 0 0 0 133 0 0 61 0 0 0 % .2% 0.0% 0.0% 0.0% 1.2% 0.0% 0.0% .7% 0.0% 0.0% 0.0% 건설업 명 4899 1143 2087 532 133 0 533 247 118 66 40% 6.0% 7.6% 13.5% 6.0% 1.2% 0.0% 10.8% 2.8% 3.5% 1.5% 1.4% 도매 및 소매업 명 7641 983 1717 1323 978 404 852 606 402 130 246% 9.4% 6.5% 11.1% 15.0% 8.9% 6.4% 17.2% 6.7% 11.9% 2.9% 8.6% 운수업 명 7753 1882 1679 2044 650 329 448 247 197 169 108% 9.5% 12.5% 10.9% 23.1% 5.9% 5.2% 9.0% 2.8% 5.8% 3.8% 3.8% 숙박 및 음식점업 명 4127 730 657 124 242 310 340 529 253 827 115 % 5.1% 4.8% 4.2% 1.4% 2.2% 4.9% 6.9% 5.9% 7.5% 18.4% 4.0% 금융 및 보험업 명 779 208 220 144 0 85 0 122 0 0 0% 1.0% 1.4% 1.4% 1.6% 0.0% 1.4% 0.0% 1.4% 0.0% 0.0% 0.0% 부동산업 및 임대업 명 3617 1623 0 697 106 160 674 125 126 66 40 % 4.5% 10.8% 0.0% 7.9% 1.0% 2.6% 13.6% 1.4% 3.7% 1.5% 1.4%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명 1129 208 408 142 239 0 93 0 39 0 0 % 1.4% 1.4% 2.6% 1.6% 2.2% 0.0% 1.9% 0.0% 1.2% 0.0% 0.0%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명 12291 4344 2665 781 2655 658 363 246 454 67 58 % 15.1% 28.8% 17.2% 8.8% 24.3% 10.5% 7.3% 2.7% 13.4% 1.5% 2.0%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명 1965 246 383 0 106 169 404 182 165 156 154 % 2.4% 1.6% 2.5% 0.0% 1.0% 2.7% 8.2% 2.0% 4.9% 3.5% 5.4% 교육 서비스업 명 1815 491 436 124 120 85 262 122 87 65 23% 2.2% 3.3% 2.8% 1.4% 1.1% 1.4% 5.3% 1.4% 2.6% 1.4% .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명 3438 208 440 940 120 75 396 427 622 187 23 % 4.2% 1.4% 2.8% 10.6% 1.1% 1.2% 8.0% 4.8% 18.4% 4.2% .8%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명 905 235 0 0 268 71 0 182 47 102 0 % 1.1% 1.6% 0.0% 0.0% 2.4% 1.1% 0.0% 2.0% 1.4% 2.3% 0.0%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명 3975 923 873 396 255 479 155 301 329 189 75 % 4.9% 6.1% 5.6% 4.5% 2.3% 7.6% 3.1% 3.4% 9.7% 4.2% 2.6% 국제 및 외국기관 명 39 0 0 0 0 0 0 0 39 0 0 % .0% 0.0% 0.0% 0.0% 0.0% 0.0% 0.0% 0.0% 1.2% 0.0% 0.0%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https://mdis.kostat.go.kr/index.do)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 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원가중치 적용함.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38 □ 경기북부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 -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를 살펴보면 경기도는 임금근로자의 비율이 약 55%로 나타 나고 그 중 상용직 근로자는 24.5% 임시직 근로자는 21.3%, 일용직 근로자는 9.7%로 나타남. - 경기북부의 10개 지역별로 살펴보면, 임금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연천군 (86.2%), 고양시(73.8%)이고 가평군(21.4%), 포천시(33.0%), 양주시(40.5%)은 상 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표 Ⅱ-15>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 구분 임금근로자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 고용원 없는 자영업 무급가족종사자 합계상용 임시 일용 경기도 명 70,595 61,576 27,897 19,879 87,393 21,376 288,717% 24.5 21.3 9.7 6.9 30.3 7.4 100.0 경기북부 (10) 명 18,503 16,563 9,937 5,425 23,877 6,959 81,264 % 22.8 20.4 12.2 6.7 29.4 8.6 100.0 고양시 명 4687 4343 2092 1193 2751 0 15,066% 31.1% 28.8% 13.9% 7.9% 18.3% 0.0% 100.0% 남양주시 명 3583 2927 2320 1251 4458 927 15,466% 23.2% 18.9% 15.0% 8.1% 28.8% 6.0% 100.0% 의정부시 명 2388 2168 697 517 2811 256 8,837% 27.0% 24.5% 7.9% 5.9% 31.8% 2.9% 100.0% 파주시 명 2902 1711 1001 531 3268 1528 10,941% 26.5% 15.6% 9.1% 4.9% 29.9% 14.0% 100.0% 양주시 명 1147 1132 259 234 2554 941 6,267% 18.3% 18.1% 4.1% 3.7% 40.8% 15.0% 100.0% 구리시 명 697 1658 517 880 1046 155 4,953% 14.1% 33.5% 10.4% 17.8% 21.1% 3.1% 100.0% 포천시 명 915 1089 961 244 4275 1493 8,977% 10.2% 12.1% 10.7% 2.7% 47.6% 16.6% 100.0% 동두천시 명 1222 975 173 213 666 142 3,391% 36.0% 28.8% 5.1% 6.3% 19.6% 4.2% 100.0% 가평군 명 384 452 125 363 2046 1125 4,495% 8.5% 10.1% 2.8% 8.1% 45.5% 25.0% 100.0% 연천군 명 574 108 1791 395 2,868% 20.0% 3.8% 62.4% 13.8% 100.0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https://mdis.kostat.go.kr/index.do)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 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원가중치 적용함. * 연천군의 분석결과는 자영업과 무급가족봉사자 관련 항목들은 구분하여 파악되지 않음.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39 <그림 Ⅱ-12>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40 3. 경기북부 노인생활 욕구 (일자리․주거생활) 1) 설문개요 □ 조사 대상 ○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경기도 북부지역의 거주 노인 및 중장년층들의 생활실태와 욕구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음. 따라서 경기 북부지역의 복지관 및 경로당 이용 노인과 50세 이상 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음 ○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활용하여 경기도노인복지관협회, 경기도경로당광역지원센터, 읍면동 주민센터에 배부,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함. ○ 설문조사는 9월 초 배포하고 이후 회수하였으며, 최종 1,524부를 분석에 활용 □ 분석 자료 ○ 총 지역별 응답자를 살펴보면 고양시 541명, 남양주시 154명, 의정부시 165명, 파주시 139명, 구리시 39명, 양주시 100명, 포천시 147명, 동두천시 73명, 가평군 113명, 연천군 53명임 <그림 Ⅱ-13> 경기 북부 지역별 조사 참여 현황 ○ 본 연구에서는 전체적인 결과표는 부록으로 제시하고, 여기에서는 본 연구에 활용되는 설문 조사 결과만을 제시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41 2) 조사 결과 □ 경기북부 노인가구의 생활비 주부담자 ○ 생활비의 주부담자는 본인(40.4%)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그림 Ⅱ-14> 생활비의 주부담자 자료 : 경기복지재단(2017), 경기 북부 중장년·노인의 생활에 대한 조사 ○ 시군별로 구분해 보면, 경기 북부의 생활비 주부담자가 본인이라고 응답한 비율(40.4%)이 가장 높게 나타난 가운데 시·군별로 살펴본 결과, 구리시(53.8%), 양주시(52.0%), 동두천시 (50.7%)가 생활비의 주부담자 50% 이상이 본인이라고 응답함 <그림 Ⅱ-15> 생활비 주부담자가 본인이라고 응답한 비율 자료 : 경기복지재단(2017), 경기 북부 중장년·노인의 생활에 대한 조사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42 □ 부족한 생활비 ○ 부족한 생활비로는 의료비(38.6%), 주거비(21.7%), 용돈(16.6%), 식비(8.3%), 자녀관련 비용 (8.3%), 기타(6.5%)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타로는 여가·문화생활비, 경조사비 등이 있었음 <그림 Ⅱ-16> 부족한 생활비 자료 : 경기복지재단(2017), 경기 북부 중장년·노인의 생활에 대한 조사 □ 경기북부 노인의 근로욕구 ○ 응답자의 근로욕구를 살펴보면, 현재 근로여부와 상관없이 응답자의 70.7%는 ‘일을 하고 싶다’라고 응답함 <그림 Ⅱ-17> 근로 희망 여부 자료 : 경기복지재단(2017), 경기 북부 중장년·노인의 생활에 대한 조사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43 □ 경기북부 노인의 일을 하고 싶은 이유 ○ 현재 일을 하는 이유 또는 하고 싶은 가장 큰 이유는 생계비 마련(35.0%)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건강유지(27.5%), 용돈필요(18.7%)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Ⅱ-18> 일을 하는 이유 또는 하고 싶은 이유 자료 : 경기복지재단(2017), 경기 북부 중장년·노인의 생활에 대한 조사 □ 경기북부 노인의 직업훈련교육 욕구 ○ 직업훈련교육에 대한 참여여부를 조사한 결과 3.55점(5점 만점)으로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남 ○ 노인의 일에 관련한 직업훈련교육이 있다면 참여할 생각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경 기북부 10개 시·군 모두 3점 이상(5점 만점)으로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 중 구리시 3.67점(5점 만점), 양주시 3.67점(5점 만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44 <그림 Ⅱ-19> 향후 직업훈련교육에 대한 참여 자료 : 경기복지재단(2017), 경기 북부 중장년·노인의 생활에 대한 조사 □ 경기북부 노인의 관심있는 일자리 유형 ○ 관심 있는 일자리 유형에는 ‘기술을 새로이 배워서 할 수 있는 일’이 23.0%로 가장 높게 나타남 <그림 Ⅱ-20> 관심 있는 일자리 유형 자료 : 경기복지재단(2017), 경기 북부 중장년·노인의 생활에 대한 조사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45 □ 경기북부 노인의 주거생활 욕구 ○ 노후의 바람직한 주거생활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는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 편함이 없는 주택에 사는 것(31.4%), 일거리가 있는 곳에 사는 것(26.0%), 여가생활이 가능 한 주변환경에 사는 것(22.9%), 자녀나 친척, 친구와 가까이 사는 것(19.7%)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Ⅱ-21> 노후의 바람직한 주거생활에 대한 욕구 자료 : 경기복지재단(2017), 경기 북부 중장년·노인의 생활에 대한 조사 □ 경기북부 노인의 삶의 만족도 ○ 삶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3.64점(5점 만점)으로 응답자들이 전반적으로 본인의 삶에 만족하 는 것으로 응답함 ○ 주관적 생활비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주관적 생활비 수준은 삶 의 만족도(r = .408, p <.01)와 정적인 상관과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본인이 생활비 수 준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삶의 만족 수준이 높았음을 의미함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46 4. 소결 1) 주요 분석결과의 요약 (1) 경기 북부지역의 인구 특성 ○ 2017년 8월 기준 경기북부지역(3,344천명)은 남부지역(9,466명) 대비 경기도 전체 인구 (12,810천명)의 26.1%가 거주하고 있으며, 10개 시군안에서 100만이 넘는 대도시(고양시)도 있고, 경기도 전체인구의 0.36%만이 거주하고 있는 연천군(4만6천명)도 있어, 시군간 인구 격차도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경기 북부 10개 시군간 인구격차가 큰 상황에서 인구수 증가(2012년 대비 2017년)에 있어서 도 인구가 많은 고양시, 남양주시, 파주시, 양주시는 증가추세에 있으나, 나머지 시군은 소폭 증가, 정체 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인구증가율에 있어서도 고양시, 남양주시, 파주시, 양주시 등은 인구증가율이 +이나, 포천시, 연군천, 동두천시 등은 -로 하락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고 있어 이들 지역의 인구감소에 대한 정책이 필요함 ○ 경기북부의 인구밀도는 구리시와 의정부시, 고양시는 높은 편이나, 파주시, 양주시, 포천시, 가평군, 연천군은 인구밀도가 상당히 낮은 지역임. (2) 경기 북부지역의 노인인구 특성 ○ 경기도의 노인인구수는 2009년 949,596명이었다가 2013년 1,177061명, 2017년에는 1,441,230명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의 노인인구 비율은 11.25%이며 경기남부는 10.72%, 경기북부는 12.76%로 경기남부에 비해 경기북부의 노인인구비율이 상 대적으로 높음 ○ 시군별 노인인구수를 보면, 고양시의 노인인구가 가장 많고, 연천군의 노인인구수가 가장 낮 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전체인구 대비 노인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연천군 22.72%, 가평군 22.33%로 나타나 가평군과 연천군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하였음 - 동두천시 17.2%, 포천시 16.39%로 나타나 이 두지역은 고령사회에 들어섰음. 나 머지 6개 시군은 양주시 13.51%, 의정부시 13.10%, 파주시 12.46%, 남양주시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47 12.05%, 고양시 11.39%, 구리시 11.13%로 이들 지역도 곧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 으로 예측되어 경기 북부지역은 이미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시군이 있고, 다른 시 군의 고령화율을 감안할 때 인구고령화에 대응하는 마을만들기 전략이 필요함 ○ 연령대별로 인구비율을 분석해 보면, 남양주시, 파주시, 고양시, 구리시, 의정부시, 양주시는 65세 이하의 연령대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지만, 연천군, 가평군, 동두천시, 포천시는 노인인 구비율이 많은 지역임. 다만 연천군은 고령화율에 비해 영유아연령대(0-4세)의 인구가 비율 이 높고, 양주시도 고령화율에 비해 청소년기(5-19세) 연령대의 인구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남. ○ 한편, 경기도는 전국에서 귀촌, 귀농인구가 가장 많은 곳으로 전국 귀촌인구의 25%가 경기 도로 이주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시군별로는 남양주시의 귀촌인구가 22,985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경기북부지역으로 귀농․귀촌하는 인구를 대비하는 정책 도 마련되어야 함 (3) 경기 북부지역의 노인의 사회적 특성 ○ 경기도 전체에서 초등학교 정도의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은 공통적이나 경기도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이 2위, 경기북부의 경우 중학교 졸업이 2위 로 나타나서 경기도 전체에 비해 경기북부의 교육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경기도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평균 2.84점으로 약간 나쁜 편으로 확인되었으며, 시군별 로는 연천군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가장 낮게 나타남 ○ 경기북부 지역 중 연천군, 동두천시가 60%이하의 유배우 비율을 보이며, 10개 경기북부 지 역 중 구리시(65.5%)와 양주시(65.3%)만이 유배우 비율이 경기도 전체의 비율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남 ○ 경기도 전체의 평균은 2.89점으로 가정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보통보다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연천군, 포천시, 가평군으로 가정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낮으며 고양시가 경기 북부 지역 중 가장 높게 나타남. ○ 전반적 가족관계만족도는 경기도 전체(2.38점)에 비해 경기북부(3.60점)의 만족도가 높으며,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48 경기북부 지역 중에서도 연천군(3.97점), 동두천시(3.91점)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남양주시 (3.36점)가 가장 낮게 나타난 가운데, 경기북부 노인들은 남부노인들에 비해 배우자만족도 (3.86점)보다 자녀관계만족도(3.92점)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한편, 경기북부 노인은 사회활동을 하고 있는 경험이 없는 비율이 70%로 이들의 사회활동 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함 (4) 경기 북부지역의 노인의 경제적 특성 ○ 경기북부 노인가구의 주된 소득원을 살펴보면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의 비율이 24.06%로 가장 높고, 공적·사적연금 및 퇴직금이 20.62%, 정부의 보조금 17.34%, 친인척의 보조금이 15.90% 순으로 나타남. 경기북부의 경우 친인척의 보조금이 정부의 보조금보다 상회하는 것 으로 나타남. ○ 경기북부 노인가구의 월평균 소득 100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율이 가장 높고, 100만원에서 200만원 미만, 200만원에서 300만원 미만 순으로 나타남 ○ 경기북부 지역 노인의 경제활동참여율은 18.9%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 29.9%이고 여성 의 경우 10.6% 수준으로 나타남. 연령대별로는 65-74세의 경우 27%, 75-84세 8.8%, 85세 이상은 1%만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남. 지역별로는 경제활동참여율이 높은 지 역은 포천시(34.9%), 가평군(30.1%), 연천군(27.3%)이고, 낮은 지역은 고양시(13.2%), 의정부 시(15.1%)인 것으로 나타남. ○ 노인의 종사산업은 농업, 임업 및 어업(23.4%)이 가장 높고,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 스업(15.1%)순으로 나타나고 있음. 시군별로는 고양시의 경우는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28.8%)과 운수업(12.5%)이, 남양주시는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17.2%) 와 농업, 임업 및 어업(16.9%), 의정부시는 운수업(23.1%), 제조업(11.9%), 파주시는 농업, 임 업 및 어업(35.9%),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24.3%) 양주시는 농업, 임업 및 어 업(39.6%)와 제조업(15.4%), 구리시는 도매 및 소매업(17.2%)과 부동산업 및 임대업(13.6%), 포천시는 농업, 임업 및 어업(54.1%)과 제조업(8.1%), 동두천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 업(18.4%),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13.4%), 가평군은 농업, 임업 및 어업(53.5%) 과 숙박 및 음식점업(18.4%), 연천군은 농업, 임업 및 어업(67.0%)과 도매 및 소매업(8.6%) 에 노인들이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남. Ⅱ. 경기북부 노인현황 및 특성 49 (5) 경기 북부지역의 노인의 일자리․주거생활 욕구 ○ 본 연구에서 노인실태조사를 통해, 경기북부지역의 일자리 및 주거생활에 대한 욕구를 분석 한 결과, 생활비의 주부담자는 본인(40.4%)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또한, 이들의 근로욕구를 살펴보면, 현재 근로여부와 상관없이 응답자의 70.7%는 ‘일을 하 고 싶다’라고 응답함 ○ 현재 일을 하는 이유 또는 하고 싶은 가장 큰 이유는 생계비 마련(35.0%)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건강유지(27.5%), 용돈필요(18.7%) 순으로 나타남 ○ 직업훈련교육에 대한 참여여부를 조사한 결과 3.55점(5점 만점)으로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남. ○ 또한, 경기북부 지역 노인들은 관심 있는 일자리 유형에는 ‘기술을 새로이 배워서 할 수 있는 일’이 23.0%로 가장 높게 나타남 ○ 한편, 노후의 바람직한 주거생활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는 일상생활을 하는 데 불편함이 없는 주택에 사는 것(31.4%), 일거리가 있는 곳에 사는 것(26.0%), 여가생활이 가능한 주변환경에 사는 것(22.9%), 자녀나 친척, 친구와 가까이 사는 것(19.7%) 순으로 나 타남 ○ 삶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3.64점(5점 만점)으로 응답자들이 전반적으로 본인의 삶에 만족하 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이들 주관적 생활비 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주관적 생활비 수준은 삶의 만족도(r = .408, p <.01)와 정적인 상관과계를 나타나고 있어 노인생활만족도의 경제적인 요인을 고려하는 정책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결과임 2) 소결 ○ 경기북부 지역의 인구가 남부지역에 비해 적고, 인구밀도도 낮은 가운데, 경기 북부지역은 이미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시군이 있고, 다른 시군의 고령화율을 감안할 때 인구고령화에 대응하는 마을만들기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음 ○ 경기도 시군별 노인인구 특성을 보면, 고양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파주시는 노인인구는 많 으나, 노인인구비율이 낮은 지역인 반면에 양주시, 포천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은 노인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50 인구수는 적으나 노인인비율이 높은 지역임. 구리시는 노인인구도 적도 인구고령화율도 상 대적으로 낮은 도시임. 특히, 연천군, 가평군, 동두천시, 포천시 지역의 고령화를 대비하는 정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임 ○ 한편, 경기도는 전국에서 귀촌, 귀농인구가 가장 많은 곳으로 전국 귀촌인구의 25%가 경기 도로 이주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이들을 포용하는 정책대안이 필요함 ○ 경기도 북부지역의 노인은 상대적으로 남부지역에 비해, 학력도 낮고 주관적 건강상태도 나 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관계에 있어서도 유배우 비율 이 낮은 것으로 나 타나고 있음. 이러한 원인은 경기북부의 의료인프라가 적기 때문에 이들이 건강상태를 진단 하거나 몸이 아플 때 진료를 받지 못하기 때문으로 유추해 볼 수 있으며, 유배우 비율이 낮 은 것은 고령화율이 높기 때문에 배우자의 사망 등이 그 원인으로 보임. 하지만, 이들은 가 정생활스트레스는 낮고, 가족관계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농촌지역으 로 갈수록 자녀관계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경기북부 노인가구의 주된 소득원을 살펴보면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의 비율이 24.06%로 가장 높으며,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율이 가장 높아 이들의 경제적인 생활 이 어려움을 알 수 있으며, 실제로 경제활동을 하는 비율도 높아 이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 는 정책 개발이 필요하며, 그 정책개발은 현재 종사하고 있는 산업분야와 연관된 노인일자 리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 또한, 이들의 욕구를 보면, 직업훈련교육에 대한 참여여부를 조사한 결과 3.55점(5점 만점) 으로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기북부 지역 노인들은 관심 있는 일자리 유 형에는 ‘기술을 새로이 배워서 할 수 있는 일’이 23.0%로 가장 높게 나타나 노인일자리 를 마련하는 정책개발은 단순히 공공근로 일자리보다는 노인들이 새로운 일을 배워 제3연령 기(the third age)의 노후생활를 삶의 의미를 찾으면서 보람있게 보낼 수 있는 일자리를 개 발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함 ○ 한편, 노후의 바람직한 주거생활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는 일상생활을 하는 데 불편함이 없는 주택에 사는 것과 일거리가 있는 곳에 사는 것으로 노인을 위한 물리적, 사회적 환경 구축의 필요성과 함께 사는 곳에서 자연스럽게 일을 하면서 보람된 일자리를 개발하는 정책이 무엇보다 필요함을 알 수 있음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1. 국내외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선정 기준 2. 사례 1: 농촌자원을 활용한 6차 산업 일자리 창출 3. 사례 2: 세대공존형 코하우징 4. 사례 3: 치유와 농업의 융합, 케어팜 5. 사례 4: 산학협력·교육을 통한 연령친화마을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53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1. 국내외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선정 기준 ○ 본 연구의 연령친화마을의 구성요소가 WHO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령친화마을의 8대 구성요 소 중 ‘사회참여/일자리’ 영역과 ‘주거환경’영역을 모델 개발의 기준으로 노인이 본인 이 살던 주거환경 또는 새로운 주거환경에서 사회참여/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모델을 중심 으로 선정 ○ 사회참여/일자리는 노인이 스스로 일을 하면서 소득을 버는 일자리를 중심으로 사례를 발굴함 ○ 주거환경은 다른 세대와 공존하면서 함께 어울리면서 노인의 고독문제를 해결하는 사례를 발굴함 2. 사례 1 : 농촌자원을 활용한 6차 산업 일자리 창출 □ 최근 농촌지역자원을 새롭게 활용하는 6차 산업방식을 통해 인구고령화로 침체된 농촌재 생활동이 활발하게 진행 ○ 6차 산업은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포함하는 1차산업과 식품, 특산품, 공산 품을 제조 및 가공하는 2차산업, 유통·판매, 문화, 체험, 관광,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3차산 업을 연계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2) 2) http://www.xn--6-6v7en42by2eb6c1vi.com/web?site_id=2&menu_id=7& 김태곤·허준영(2011.10), 「농업의 6차 산업화와 부가가치 창출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양현봉(2015). 6차 산업화 정책의 추진샐태와 발전과제, 산업연구원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54 - 6차 산업은 1998년 일본의 농업경제학자 이마무라 나라오미(今村奈良臣) 교수가 처음 사용한 용어 - 산업간 융·복합을 통해 부가가치를 증대시켜 농촌지역의 소득을 향상시키 고,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고령화로 침체된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는 활동 - 6차 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역농촌내 자원 기반, 1·2차 산업 일자리의 지역 주민 우선 제공, 3차 산업은 지역내 경영체 주도 등이 필요3) <표 Ⅲ-1> 6차 산업화 개념도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농업․농촌에 창조를 담은 6차산업화 본격 추진”, 보도자료(2013.7.26.) 1) 전통 주전부리를 활용한 연령친화마을: 일본의 나가노현 오기와촌 □ 특별한 자원이 없어 젊은 층이 지속적으로 감소했던 일본의 나가노현(長野県) 오가와촌(小 川村)는 전통음식 오야기를 활용한 6차산업으로 연령친화마을로 변화 ○ 일본 나가노현의 오가와촌은 고령층을 중심으로 일본의 전통음식 “오야키’(밀가루 반죽 속에 팥이나 채소 등을 넣어 구운 일본향토식 과자)”을 활용해 고령화로 침체된 마을에서 젊은 층의 유입되는 연령친화마을로 변모 - 특별한 자원은 없었던 이 마을은 1980년부터 초고령사회에 진입하여 전체인구의 40%가 고령층인 고령마을로 변화 - 마을 전통 음식인 ‘오야키’를 만들어서 파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을 같이해 ‘곤다 이치로’씨를 중심으로 주민 6명과 함께 자본금 500만엔으로 1986년부터 오가와노쇼(小川の庄)라는 마을기업을 시작 3) 자료: 유학열, 이영옥. 2014. “창조농업 실현을 위한 6차 산업화.” 「농업전망 2014」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55 <그림 Ⅲ-1> 일본 나가노현의 향토음식 오야키 일본 나가노현의 향토음식 오야키(おやき)  오야키는 수천년 전부터 농경생활을 했던 지역주민들이 곡물가루로 식량을 저장하기 위해 만든 지역향토음식  일본식 만두인 오야키는 밀가루 반죽에 호박, 팥앙금, 가지 등을 넣어 빚은 후 찌거나 구워서 요리  일본 나가노현에서는 일종의 비상식량으로 활용된 지역 향토음식  나가노현의 오야키는 무와 양배추, 노자와나 등을 1년 동안 소금에 절인 뒤 밀가루 반죽에 넣고 화덕에 올려 30여 분 동안 구워 서 먹는 만두 자료:오가와 노쇼 홈페이지(http://www.ogawanosho.jp) 노컷뉴스(2015.12.1.)"맛의 비결은 노인들의 손" 일본 전통만두 공장 '오가와노쇼' ○ “오가와 노쇼”는 마을에 생산공장을 마련하여 주변에 거주하는 60~80대 고령자들의 오 야키에 대한 생산기술을 활용 - 처음 생산 공장을 지을 예산이 충분 하지 않아서 기존에 있던 양잠용 건물이나 마 을 농협에서 사용하지 않은 건물을 공장으로 전환해서 사용 - 기업경영에 대한 경험이 없던 노인분들이 시작한 사업이라서 행정문제, 법인 문제 등 어려움들이 있었지만 마을 주민들이 스스로 하나씩 해결 □ 오가와노쇼는 지역내 농산물인 1차산업과 이를 절이고, 가공한 2차산업, 그리고 이를 판 매·유통·관광과 결합한 3차산업간의 연계를 통해 연령친화적 마을을 구축 ○ 오야키의 전통 맛과 모양을 기억하여 생산하는 50~90대 고령층과 판매 및 관리업을 하는 20~40대들이 함께 운영하면서 연령친화적 마을을 구축 - 젊은 층들은 컴퓨터 등을 활용한 온라인 판매 및 관리 등의 업무에 참여 - 현지에서 생산되는 오야키, 생모밀 등을 전국 어느 곳에서도 신용카드로 결재가 가 능할 수 있도록 배송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56 <표 Ⅲ-2> 오가와노쇼 배송정보 구분 보통 냉동배송 전국 540엔 756엔 나가노현 432엔 648엔 *10,800엔 이상의 경우 무료배송 ○ 오야키를 만드는 일본전통방식을 복원하고 숙박시설 등을 완비하여 관광객들이 오야키를 만 드는 체험 및 주위 풍경과 산나물 채취를 할 수 있는 곳으로 발전 - 일본 전통방식의 난로를 활용하여 오야키를 직접 만들고 구워, 그 자리에서 먹을 수 있는 ‘오야키 만들기 체험’교실도 운영 - 객실과 온천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일본식 료칸 숙박시설도 갖추고, 수타 소바음 식도 즐길 수 있는 음식도 개발 ○ 오가와마을의 산촌풍경과 산나물 채취등을 즐길 수 있는 상품도 개발 - 현재는 약 20여 종 이상의 오야키를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산나물, 야채, 버섯 등지역 특산물도 함께 판매 ○ 2015년 기준 7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으며 일본내 관광객뿐만 아니라 해외 관광객 등 한 해 약 5만 명이 방문 - 관광객들은 난로의 분위기를 즐기면서 오야키 만들기를 체험하고, 마을에 숙박하 는 경우에는 메밀 차와 수타소바 등 다양한 계절요리를 제공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57 <그림 Ⅲ-2> 마을기업 오가와 노쇼 < 마을 기업, 오가와 노쇼(小川の庄) >  1986년 10월. 나가노현 오가와 마을의 농가를 개조한 오가와 노쇼는 오야키를 만드는 가공 공장과 함께 숙박, 소바 등을 점심으로 즐 길 수 있도록 함  일본 전통 제조양식을 복원하여 참여자 및 관광객들이 오야키를 직접 만들고 먹어볼 수 있는 체험교실도 운영 자료:오가와 노쇼 홈페이지(http://www.ogawanosho.jp)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58 2) 나뭇잎 활용 연령친화마을 : 일본 도쿠시마현 가미카쓰쵸 □ 일본의 도쿠시마현 가미카쓰쵸 마을은 고령화로 마을이 침체되었으나 다양한 나뭇잎을 상 품화하여 젊은 층이 유입되면서 자연적 연령친화마을로 변화 ○ 고령화와 젊은이들의 도시이주로 마을이 점차 사라질 위기에 직면 - 일본 도쿠시마현 가미카쓰쵸는 토지의 80%가 산이고 1980년대 후반부터 이미 노 인인구가 전체인구의 50%이상을 차지 - 인구는 1,662 명 823 가구 (2015년 4 월 1 일 현재) 고령자 비율이 51.5 %로, 과 소화와 고령화가 진행되는 마을 ○ 지역내 농협직원으로 마을에 적합한 비즈니스모델을 찾고 있던 요코이시는 1986년 장식용 나뭇잎 유통을 하는 ‘이로도리’를 설립하면서 고령층의 일자리를 창출 - 우연히 들린 초밥집에서 생선회에 들어가는 장식용 나뭇가지에 관심을 갖게되 었 고, 도시 요리사가 직접 장식용 나뭇잎을 준비하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 - 요코이시는 자신이 직접 조사한 내용으로 나뭇잎 선별방법을 만들고 지역노인들에 게 가르쳐 마을 기업 나뭇잎비즈니스 “이로도리”을 운영 - 현재 나뭇잎의 종류는 320개 이상이며 연중 다양한 잎을 출하 <그림 Ⅲ-3> 이로도리 상품 및 사용사례 자료: 이로도리 홈페이지(http://www.irodori.co.jp/)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59 ○ IT기술을 활용해 나뭇잎 수요처의 요구가 들어오면 고령층이 선택하여 작업을 시작하는 형 태로 운영되면서 큰 수익을 얻는 고령층도 존재 - PC나 태블릿을 활용하여 ‘가미카츠쵸 네트워크’에서 들어오는 전국의 시장정보를 분석하고 스스로 마케팅 및 판매량들을 결정하여 전국에 출하 - “가미카츠쵸 네트워크”를 통해 참가한 고령층은 자신의 매출순위를 알 수 있어 일할 의욕을 고취시키는 계기를 제공 □ 이로도리를 통해 고령층의 일자리가 생기고 마을이 재생되면서 관광객 및 젊은층의 유입 도 빠르게 증가 ○ 2016년 현재 연간 매출은 2 억 6000 만엔(27억원)이며 연수입 1000 만엔(1억 3백만원)을 버 는 할머니도 존재 - 이로도리는 2012년 가을 영화로 제작되어 전국에 상영되면서 마을의 나뭇잎 판 매량도 증가 ○ 현재 이로도리로 인해 가미카츠쇼로 이주 및 교류를 희망하는 인구가 꾸준히 증가 - 최근 도시의 젊은이들을 위한 인턴쉽사업을 실시 - 방문객들을 위해 가미카츠쇼기 마을행사나 이벤트를 개최하고 이로도리 회사도 직 장생활 체험등의 새로운 관광상품들을 개발 ○ 2009년 이로도리의 창업자인 요코이시의 책이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판되면서 국내에도 많 이 소개가 되어 있는 상황 <그림 Ⅲ-4> 젊은층을 위한 인턴쉽 프로그램과 한국에 소개된 책 자료: 이로도리 홈페이지(http://www.irodori.co.jp/) / 교보문고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60 3) 반딧불을 활용한 연령친화마을 : 남양주시 반딧불이 경로당 □ 노인이 스스로 지역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반딧불을 키워 지역축제 및 마을 경제 활성 화 이끌어 낸 사례 ○ 설립 배경 - 노인들이 스스로 청정농촌지역에서 할 수 있는 사업을 기획. 반딧불을 키워서 반딧 불이 축제 시작. - 지금은 많이 알려져 키운 반딧불을 일년에 1번 방사하는 축제 개최. 방문인원이 1,200명 ○ 운영 현황 - 축제 신청자들을 대상(이메일, 핸드폰로 홍보)으로 농촌배추, 고추장, 된장, 두부 등을 판매. 최근에는 누릉지도 판매하고 있는데,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음 - 국비지원으로 내년에 18억을 받아 반딧불이 생태관, 인공서식지, 반딧불 사육 등을 해서 1년에 10일 정도 축제를 할 예정. 이 일을 하기 위해 고정적으로 12~15명의 어르신 일자리가 창출되고, 축제를 통해서 지역상가 등이 자연스럽게 활성화 될 것임 <그림 Ⅲ-5> 반딧불이 축제 - 친환경 농산물의 범위를 확대해서, 오가피, 인삼 등 재배하고, 천연효소를 만들어 판매도 시작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61 □ 노인이 지역의 어른으로서 젊은 학생들과 소통하는 다양한 활동 전개 ○ 활동 현황 - 1년 내내 유기농 논농사 체험행사를 주변 학교와 연계해서 진행. 두부만들기, 된장 만들기 체험도 진행. 감자, 고구마 등 - 문화유산 탐방(근처의 몽골 유적) 11개 봉사클럽이 자생적으로 활동 (음악회) - 지역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김장배추 나눔 축제. 시작장애인협회에 기부 □ 노인상담사가 노인을 상담하는 찾아가는 고독사 제로 프로젝트 전개 ○ 활동 현황 -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상담 자원봉사 교육 등으로 남양주시 수동면에서는 고독 사 제로 프로젝트 진행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62 4) 농촌체험 휴양마을 (1) 경기도 용인시 학일마을 □ 논농사, 밭농사 등 1차 산업과 2차 가공산업, 농촌체험·휴양 등 3차 서비스 산업이 시너 지 효과를 내기 적합한 곳으로 6차 산업을 통해 높은 부가 가치 창출 ○ 마을 인구의 대부분이 고령층이며 논농사를 주업으로 하는 작은 마을이지만, 친환경 쌀 재 배와 체험프로그램 운영 등 특성과 장점을 극대화해 살기 좋은 명품마을로 자리매김 - 마을 주민들이 단합해 다양한 프로그램(옥수수 따기, 미꾸라지 잡기, 농가식 비빔밥 먹기 등)을 운영하며, 농촌체험의 질을 높이기 위해 차별화된 전략을 모색 - 참가자들의 제대로 된 농촌체험을 위해 하루 한 팀만 받으며, 참가비는 비싼 편이 나 상업성을 최대한 배제해 운영하다보니 재방문률 60%이상 <그림 Ⅲ-6> 학일마을 옥수수따기 농촌 체험 자료 : 국민일보 2015.08.10.일자 기사 (2) 경기도 양주시 천생연분마을 □ 마을주민들이 영농조합을 결성해 농촌체험마을로 부가가치 창출 ○ 설립배경 - 마을 원주민들끼지 80만원씩 30명이 출자해서 마을영농조합 설립 - 마을의 3만평을 임대해 평당 2,500원의 임대료을 내서, 마을 수익이 되고, 4계절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63 내내 농촌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 조직 및 운영 방식 - 영농조합의 상주직원 4명(어르신 2명, 젊은이 2명)이 있고, 경로당 경로부장 등이 함께 일을 하고 있음 - 가을철 수확철에는 근처 어린이집. 초등학생 등이 토요일까지 200명에서 많게는 500명씩도 체험을 오고 있음. 연매출 1억 5천정도. - 사계절 내내 체험이 가능하도록 운영. 봄에는 감자, 겨울에는 딸기, 여름에는 근처 계곡 물놀이 등 다양한 사업을 연계 - 농촌체험으로 마을을 운영하고 있으며, 농산물생산까지는 연결되지 못하고 있음. 체험도우미, 식사 준비 등 지역주민의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어, 지역주민들과 같이 하는 사업임 - 마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회계를 투명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 주민 간의 갈등은 없음 <그림 Ⅲ-7> 천생연분마을 체험일정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64 <그림 Ⅲ-8> 상옥참느리마을 사과따기 체험 자료 : 국민일보 2015.04.14.일자 기사 (3) 경북 포항시 중장면 상옥참느리 마을 □ 과수원, 논·밭이 산 쪽으로 펼쳐져 있는 전형적인 분지 산골마을에서 고소득을 올리는 잘 사는 농촌마을로 발전 ○ 2006년부터 상옥친환경농업지구조성사업(상옥슬로우시티 사업)을 시작으로 마을 상표인 ‘뒙느리’ 상표를 등록해 본격적인 마을 발전 프로젝트 시작 - 상옥슬로우시티영농조합은 주민들이 생산 한 농산물을 모두 사들여 공동으로 선별 작업을 한 뒤 소비자에게 판매 - 전국 유일 전체농가·농경지·친환경농업 으로 특산물 사과·토마토를 기반으로 한 가공식품(약과·월병·식혜·견과류·영 양떡·식초 등) 개발·판매, 청정농산물 을 배달하는 꾸러미 사업 실시, G마켓 등 온라인 판매, 체험 행사 등을 통해 농가소 득 향상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65 <시니어의 고립감 해소하는 코하우징>  미국의 공영방송 PBS(Public Broadcasting Service)는 최근 미국내 증가하 고 있는 코하우징을 소개하면서 고령층의 사회적 고립해소에 도움을 제공하 고, 세대간 이해를 증대시키는데 공헌하고 있다고 보도 자료: 미국 PBS(2017.2.12.) "Cohousing communities help prevent social isolation" 3. 사례 2: 세대공존형 코하우징 □ 고령화로 1~2인 시니어가구가 증가하면서 프라이버시를 존중받되 보살핌을 공유하자는 아이디어로 시니어 코하우징형태가 등장 ○ 코하우징(Co-housing)은 ‘Cooperative Housing’의 약자로 함께 거주하는 공동체활동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이 주축이 되어 만든 주택으로 개인 주거시설과 공동생활공간이 함께 존 재하는 형태 - 1964년 북유럽 덴마크 건축가 Jan Gudmand-Hoyerrk 이 최초로 Co-housing 개념을 도입하여 1972년 최초의 코하우징을 시작4) - 1988년 건축가였던 Karthryn McCamant와 Charles Durrett가 미국에 소개 - 코하우징은 사생활과 공동생활의 조화를 목표로 공동생활공간(도서관·게스트룸· 정원·세탁·주방 등)의 공유 및 식사 당번 순환 등이 특징 ○ 신체기능이 저하로 도움이 필요하고 사회적 유대가 보다 필요한 시니어들에게 유용한 주거 트렌드로 부각5) - 고령층의 사회적 소외감을 해소할 수 있고, 돌봄기능도 공동체안에서 해결할 수 있 다는 장점 - 최근에는 다양한 연령층이 함께 거주하는 코하우징을 통해 공동체의식 회복 및 연 령친화적 환경조성에도 기여 · 젊은층 또는 청소년들이 시니어들과 함께 거주하면서 ‘나의 듦’에 대해 이해 하면서 고령층에 대한 편견이 감소 <그림 Ⅲ-9> 시니어의 고립감 해소하는 코하우징 4) McCamant, K., &Durrett, C. (2011). Creating cohousing: Building sustainable communities. New Society Publishers. 5) 미국 PBS(2017.2.12.) "Cohousing communities help prevent social isolation"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66 1) 폐교 및 빈집을 활용한 일본 세이세키 컬렉티브하우스 □ 일본 코하우징은 코퍼레이티브 하우징(co-operative housing)과 콜렉티브 하우징 (collective housing)의 두 가지 형태로 발전6) ○ 코퍼레이티브 주택(co-operative housing)은 1970년대 중반 이후 공동생활 활성화를 위한 민간주도로 이루어진 코하우징 형태 ○ 컬렉티브 하우스는 1995년 한신·아와지(阪神·淡路) 대지진이후 집을 잃은 고령층을 위해 정부주도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민간위주로 건설 - 최근 컬렉티브하우스(Collective House)는 고령층만 모여 사는 것이 아니라 다양 한 세대와 부부, 가족 등 다양한 형태가 모여 거주 □ 일본 도쿄외곽의 세이세키 컬렉티브하우스는 2009년 4월 작은 아파트를 재건축해 원룸과 투룸형태로 청년 1인 가구부터 노인 세대까지 다양한 이들이 모여 사는 형태 ○ 입주자들은 자신의 주거공간이 있어 사생활을 방해받지 않지만 공동공간에서 함께 요리, 식 사, 활동 등을 할 수 있어 외로움을 덜 수 있는 구조 - 2017년 6월 현재 16가구 26명(성인 18명, 어린이 8명)의 거주자가 살고 있으며 거 주자의 나이는 유아부터 80대 까지 다양 - 특히 고령층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해 참여자 모두 식사전 개호예방체조 등을 실시 ○ 거주자는 "거주자 조합 '을 만들어 월 1 회 월례회를 통해 하우스의 자주 관리 · 운영을 논의 - 옥상 텃밭에선 거주자들이 함께 토마토, 양파, 가지 등을 재배해서 공동 요리를 할 때 식재료로 사용 - 공동 거실에는 다다미가 깔려 있고, 1회 이용 시 50엔을 내면 공동 세탁실에서 빨 래 가능. 목공예실, 바비큐실도 있으며, 모든 입주자가 공동 요리, 세탁실 관리, 마 당 관리, 청소 등 집안일에 참여 ○ 거주를 희망하는 사람들을 위해 매월 견학회를 개최하여 컬렉티브하우스를 경험하도록 유도 - 1회당 20명을 기준으로 거주자 조합원들과 함께 2시간동안 시설 견학을 할 수 있 으며 원하는 경우 숙박도 가능 6) 디자인맵 (2015). 주거의 변화, 제3의 라이프 스타일, ‘코하우징’http://www.designmap.or.kr/ipf/IpTrFrD.jsp?p=475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67 <그림 Ⅲ-10> 일본 세이세키 컬렉티브하우스 전경 및 활동 공동식당 외부전경 휴식공간 넒은 공용주방 식사준비 옥상정원활동 자료 :여성신문(2015. 10. 26)/www.japnatimes.co.jp(2016.8.30.)/http://www.chc.or.jp/chcproject/seiseki/about.html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68 2) 지역사회와 시설을 공유한 여성노인 전용 코하우징 : 프랑스 Baba Yaga House □ 프랑스의 Baba Yaga는 2012년 10월 시작된 지역내 빈 공간을 활용하여 여성노인들 주 거공간과 다양한 세대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시설들을 포함한 코세대공존형 코하우징 건 물을 건축 - 프랑스의 여성의 평균수명은 일본 다음으로 높아 84.5세에 이르고 있으나, 대부분 의 프랑스여성은 비싼 은퇴자마을에서 생을 마감하기를 원치 않음 - 활동적 여성고령자들은 주정부에서 4백만유로(51억원)의 지원금을 받아 여성 노인 전용 코하우징을 2012년에 설립 - 5층 건물로 25개의 가구가 거주하고 있는데 21가구는 고령층으로, 나머지 4개가구 는 학생들에게 임대 - 1베드룸 아파트로 66∼89세의 여성노인 21명(이중 7명은 저소득층)이 입주 □ 코하우징의 특징인 개인의 독립적 주거공간 보장과 공동체 의식을 통한 거주민들의 외로 움 감소를 위해 지역사회와 공용공간을 공유 - 어린이집이나 편의점, 수영장, 휘트니스클럽 등을 설치하여 지역사회의 다양한 세 대들과 자연스러운 교류를 보장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 - 1층 및 부속건물의 공용공간 : 북까페 및 인터넷 까페, 세미나실, 공동식당, 공동 요리실, 세탁실, 취미여가실, 공구실, 공용창고 등을 설치하고, 지역사회 주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공개하고 저렴하게 운영 - 젊은 세대가 독거노인과의 공동활동 및 자원봉사 활동에 함께 참여하는 경우, 낮은 임대료로 코하우징 입주 가능 - 1층에 방송통신대학(Open University)용 강의실로 사용하여 지역내 젊은층들의 공부장소로 활용 - 모든 계층 및 연령이 참여할 수 있는 강좌(글쓰기교실, 음악콘서트 등)들을 개설하 여 연령별 연계를 유도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69 < 프랑스의 Baba Yaga House>  바바 야가(Baba Jaga, Baba Yaga)는 원시 슬라브어로 슬라브전설에 나타나는 숲의 여신 또는 정령의 의미로 여성고령층 을 위한 코하우징의 의미를 내포  아래의 4가지 기본 원칙에 의해 운영 ① 거주자들의 의견이 코하징의 구조 및 운영방식을 결정하는데 중요하게 작용, ② 거주자들은 서로의 사생활을 존중해야하며, 서로를 존중하고 돌보는 일에 자발적으로 참여, ③ 여성의 권리를 보호하고 존중하기 위해 공평, 평등, 그리고 사회적 정의에 대한 헌신 ④ 코하우징이 위치한 지역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 ⑤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환경보호에도 적극적 으로 참여 자료: senior planet(www.seniorplanet.org) □ 자치위원회를 설립하여 주거공간 및 공용공간 운영에 대해 노인세대와 지역사회 젊은 세 대가 회의를 통해 의사결정하고, 여러 세대가 함께 참여하도록 유도 - 모든 입주자들은 매주 10시간 코하우징내 공동공간의 업무(청소, 식사준 비 등)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 - 고령층을 위해서는 공동비용을 들여 보건의료전문가들의 방문간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연계 - 프랑스의 세대공존형 Baba Yaga 코하우징 모델은 지역사회와의 연계, 세대간 공 존, 지역사회내 사회인프라 확대 등의 장점으로 캐나다, 미국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 <그림 Ⅲ-11> 프랑스의 Baba Yaga House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70 3) 공동체 중심의 연령친화마을: 일본의 쉐어(share) 가나자와(金澤)7) □ 2014년 일본형 연속은퇴커뮤니티(CCRC,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모델 로 시작한 쉐어 가나자와는 현재 고령노인과 장애아동, 대학생들이 함께 살아가는 연령친 화마을 형태로 변화 - 주거시설로는 고령층이 주거하는 ‘서비스가 포함된 고령자 주택’ 6동 32세대가 흩어져있으며 대학생들을 위한 6개동, 장애를 가진 아동입소시설 3개 건물, 미대생 이 창작에 전명할 수 있는 아틀리에 있는 2개동으로 구성 - 마을 주변에는 천연온천, 레스토랑, 카페, 오락시설 등 편의시설이 있어 거주자들 간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 <그림 Ⅲ-12> 쉐어 가나자와의 전체 배치도 자료:http://share-kanazawa.com/townnavi/index.html 7) 홈페이지( http://share-kanazawa.com/)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71 □ 고령자 주택 거주자는 건강한 상태에 입주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케어가 필요한 경우 기존 개호 서비스사용이 가능 - 2014년 기준 노인독신가구 25인, 노인부부가 7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평 균나이는 78세8) - 자립이 가능한 고령층은 29명이며, 지원 및 개호가 필요한 고령층은 10명 - 이곳에 거주하는 고령층은 지역사회내 자원봉사 활동, 채소밭 가꾸기, 주민자치 활 동 등 적극적으로 지역사회활동에 참여 - 쉐어 가나자와에 거주하는 고령자를 위한 서비스는 지원서비스와 단지내 서비스로 구분 <표 Ⅲ-3> 쉐어가나자와 고령자주택의 서비스 서비스 내용 지원서비스 (유료) 1.식사제공(사전 예약/조식 500엔, 석식 800엔) 2. 입욕,배설, 식사등의 간호(개호보험적용) 3.조리, 세탁, 청소등의 가사(개호보험적용) 4.건강관리 서비스(건강상담, 혈압 등의 측정) 단지내 서비스 1.무료서비스: 부지내의 온천시설, 부지내 정보이용, 택배보관2.유료서비스: 부지내 레스토랑이용, 텃받 대여, 각종문화강좌 이용, 세탁, 쇼핑대행 등 자료: 파스 빅토리아, 이연숙, 전은정(2017) □ 학생용 주택은 가나자와 대학을 비롯한 대학생 대상 저렴한 임대주택이지만, 거주를 위해 서는 매달 30시간의 자원봉사활동이 필수 - 아들리에가 있는 학생을 위한 주택은 가나자와 미대생이 창작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주민에게 개방되어 초년작가들의 적극적 아트활동을 지원 - 아동입소시설은 3개의 건물로 4개의 유닛으로 나뉘어 생활할 수 있도록 구성 □ 이외에도 지역주민들의 아이들과 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시설들을 포함 - 아이들의 성장을 돕는 아동발달지원센터인 S-베란다, 산전 산후관리를 위한 ‘육 아응원 1.2 SUN' , 전천후 그라운드 ’S-Stadium'등이 있어 주변주민들과 어린 이들의 참여가 가능 8) 파스 빅토리아, 이연숙, 전은정(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306-310 ,한국실내디자인학회,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72 4) 세대간 배움을 연계: 미국의 University Based Retirement Community(UBRC) □ 미국에서는 지역사회의 은퇴자 커뮤니티들이 대학교의 평생 교육을 활용하여 대학내 노인 전용주거시설을 건설하는 추세 - 대표적인 예가 미국의 UBRC(University Based Retirement Community)형 노 인전용주거형태 - 대학교는 평생교육의 수요층을 확보하여 해결하고 다양한 노인관련 조사나 자료들 을 입주자를 통해 얻을 수 있다는 장점 · 학교는 고령화관련 서비스·제품을 개발하는데 임상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학생들은 고령층의 경험을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증대 - 고령층은 대학의 다양한 교육서비스 및 시설을 활용하고 젊은 세대와 지속적인 교 류를 통해 사회참여를 확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 · 예를 들어 미국 보스턴 교외에 있는 러셀 대학은 캠퍼스에 시니어 전용 주택을 설치하여 그 입주자가 도서관이나 식당 등을 이용하여 강의도 청강 □ 미국의 UBRC는 2012년 현재 60여개에 이르고 있는데, 지속적인 고령화로 향후 20년간 미국 4000여개 대학교 가운데 10%에 해당하는 400여개가 UBRC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9) - 대학연계은퇴자주택(UBRC)은 기존에 존재했던 연속적 보호체계형 노인주택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과 대학이 연계되면서 생겨난 새로 운 고령자주거 형태 · 미국의 경우 베이비부머세대들이 은퇴후 노인주거의 연속성을 포함하는 연속적 보호체계형 노인주택(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을 선호하고 있어 2016~2026년에는 76세 이상의 18.24%가 CCRC에 거주할 전망10) 9) 한주형(2011). 주거와 교육 연속 케어 받는 미국 은퇴자, 은퇴와 투자 10) Groger, L. & Kinny, J. (2006). CCRC here we come! reasons for moving to a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Housing for the Elderly, 20(4), 79101.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73 □ 오크 헤먹은 플로 리다 대학의 전 총장인 John Lombardi가 대학과 함께 시니어 생활시설 에 대한 아이디어를 주도 <그림 Ⅲ-13> 플로리대 대학과 노인주거의 융합 Oak Hammock <그림 Ⅲ-14> 러셀대학 자료  : http://www.aplaceformom.com/blog/9-3-14-seniors-head-back-to-school/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74 4. 사례 3 : 치유와 농업의 융합, 케어팜 1) 네덜란드의 노인을 위한 케어팜 요양원, 드 포트(deport.nl) □ 케어팜을 처음 시작한 곳은 북유럽으로 네덜란드는 1995년 50개에서 출발해 2015년 1,100개로 확대되었으며 이중 15%는 치매노인을 위한 케어팜을 제공11). □ 네덜란드 케어팜의 특징은 민간농장에서 시작되어 지금은 국가차원에서의 지원으로 발전 하고 있는 상황 - 그중에서도 최근 치매노인을 위해 기존 요양원을 대신한 케어팜을 운영하고 있는 곳은 네덜란드의 드포트(De port) 케어팜 - 드포트는 기존요양원의 대안으로도 주목받고 있는 곳으로, 2005년에 노인들을 위 한 주간보호를 시작하였으며 2013년부터는 치매어르신들을 24시간 돌보는 서비스 를 제공 <그림 Ⅲ-15> 드포트 케어팜 홈페이지 자료: 드포트 홈페이지(www.deport.nl) 11) Bruin, S.R. et al. (2015). Green Care Farms: An innovative type of adult day service to stimulate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ementia.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Open Access, pages 1-10.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75 □ 드포트는 총 20명 이내의 적은 인원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가 족과 같은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개인적 삶을 보장하기 위해 6~7명이 한 가구를 구성 - 특히 활동이 가능한 치매노인의 경우에는 자존감을 높이고 사회와의 지속적인 관 계가 중요 □ 드포트에서는 일반적으로 농장에 나가 걷거나, 동물에게 먹이를 주거나 농장활동에 참여하 여 자연과 최대한 교감할 수 있도록 하고 유도 - 이를 통해 자신의 육체적 건강상태를 유지·향상시키고 동물 및 자연과의 교감, 그 리고 참여자간의 교류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과 음식섭취량도 증가하였다는 연구도 발표12) □ 최근에는 이용층이 고령층에서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앓고 있는 자폐아나 마약, 알콜, 게 임 중독자들로 확대되고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 - 농장의 소득원이 다양해지고 동시에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 는 비즈니스 모델. 2) 노르웨이 케어팜 단기 프로그램, Skjerven Farm13) □ 노르웨이에서는 치매노인이 증가하면서 이를 기존 요양원과 같은 시설이 아닌 사회속에서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국가차원에서 진행 - 정부가 기존 농장주들과 협력하여 새로운 시니어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한 사례 12) De Bruin S (2009) Sowing in the autumn season: exploring the benefits of green care farms for dementia patients. Wageningen University, Netherlands. 13) http://www.bbc.com/news/uk-25316599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76 □ 노르웨이의 스크제르벤 팜(Skjerven Farm)은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에서 북쪽으로 10Km 떨어진 농장으로 노르웨이 최초로 치매노인을 위한 주간 프로그램 케어팜을 운영. - 이곳은 집과 같은 환경에서 농장생활을 하면서 치매고령층을 치료하기 위한 프로 그램을 2007년 도입했는데 24시간 거주보다는 1주일에 3번, 매일 8시간 주간프 로그램을 운영 - 이곳 농장주인 Bakke 부부는 기존 농장을 활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 하여 소득기반의 안정을 얻을 수 있었고, 정부는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 - 노르웨이 정부는 농림부 산하 케어팜을 위한 특별 위원회인 green care council을 두어 케어팜에 대한 자문, 예산 및 정책을 제안하고 지방자치단체(municipality)에 서 케어팜의 서비스와 전문성에 대한 품질 관리의 책임을 맡고 있기 때문에 정부에 서 지원 □ 참여자는 신청 고령층 중 미리 심사를 통해 걸을 수 있고, 야외활동이 가능한 분들로만 제한 - 여기에 참여하는 치매노인들은 활동을 통해 외부사람들과 만나고 다양한 동물들과 교감할 수 있는 기회를 획득 - 건강이 향상되면서 요양원 입소없이 자신의 집에서 거주하는 기간을 연장시키는데 도움을 제공 14) □ 노르웨이의 케어팜은 정부와 협력하여 민간 농장주들이 자신의 농장을 개방하여 고령화시 대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새로운 수익구조를 통해 안정적 수입을 보장받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로 자리를 잡음 14) Eurodiaconia (2015). Supporting persons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ies.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77 5. 사례 4: 산학협력·교육을 통한 연령친화마을 1) 산학협력·교육·지역동아리 활성화 : 후쿠이현 □ 아게하라 벨벳 중소기업과 후쿠이공업고등전문학교의 산학협력 ○ 세계 최고의 품질을 자랑하는 아게하라 벨벳은 특수한 기술과 제조공정 설비의 대부분을 자 사에서 개발 - 기술개발의 성공은 후쿠이공업고등학교와의 활발한 협력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후쿠이공업고등학교는 고등학교와 전문대 과정이 합쳐진 5년제 기술전문학교로 지 역연계테크노센터를 통해 학생들과 공동 연구 및 기술적인 문제를 토론하는 등 다 양한 활동을 하고 있음 <그림 Ⅲ-16> 후쿠이공업고등전문학교 <그림 Ⅲ-17> 지역연계테크노센터 자료 : KBS 특집다큐 「일본을 다시 본다」1부 지방의 역습 □ 마루오카미나미중학교의 주도적 학습 교육방식 ○ 설립 당시부터 학생들이 직접 교과목 전용 교실로 이동해 수업을 받는 교과센터방식을 채택 - 연구 수업 등 학생들의 주도적 학습은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만족도가 높으며, 이 는 중학교 전국학력평가 1위라는 결과를 만듦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78 □ 지역활동 WITH 대학생 동아리 ○ 전국에서 모인 대학생들이 사바에시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는 ‘지역활성화 플랜 콘테스트’를 진행 - 이 콘테스트에서 선정된 아이디어는 실제 사바에시의 정책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며,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음 <그림 Ⅲ-18> 제9회 지역 활성화 플랜 콘테스트 자료 : KBS 특집다큐 「일본을 다시 본다」1부 지방의 역습 □ 여고생 모임 JK과(지역동아리) ○ JK과 여고생들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지역에서 다양한 활동을 펼쳐오고 있음 - 할로윈 복장을 입고 지역청소, 사바에시 특산물로 먹거리들을 개발해서 관광객들에게 판매, 도서관의 빈자리를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등의 활동을 하고 있음 <그림 Ⅲ-19> 사바에시청 JK 2017 위촉장 교부식 <그림 Ⅲ-20> JK과 반짝반짝 플랜 <그림 Ⅲ-21> JK과 디저트 만들기 <그림 Ⅲ-22> JK과 도서관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자료 : KBS 특집다큐 「일본을 다시 본다」1부 지방의 역습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79 2) 기업과의 연계에 의한 농촌 활성화 : 야마나시현 □ 미쓰비지시쇼의 기업사회공헌프로그램(CSR) ○ 부동산개발 회사인 미쓰비지시쇼는 대표적인 기업연계사업으로 ‘도시와 농산촌을 잇는 하 늘과 땅 프로젝트’ 진행 - 버려져 있던 땅을 10년 전부터 기업 농장으로 활용함으로써, 직원들과 그 가족들이 시골마을을 찾아 일년 내내 쌀 재배에 참여하고 수확한 쌀로 순미주를 만듦 <그림 Ⅲ-23> 미쓰비지시쇼 직원들의 벼농사 참여 <그림 Ⅲ-24> 2015년 2월 7일 순미주 발표 자료 : KBS 특집다큐 「일본을 다시 본다」1부 지방의 역습 □ 에가오츠나게테 비영리법인의 농촌기업가 육성 ○ 사람들이 떠나 황폐해진 땅을 도시 젊은이들이 내려와 개간하는 프로그램 진행 ○ 풍부한 수목을 자랑하는 야마나시현의 생산목재 활용을 위해 지자체와 관련기업들을 연결하 는 결정적인 역할 ○ 농촌코디네이터 육성을 위한 학교 운영 <그림 Ⅲ-25> 2011.8.31. 야마나시현 생산 목재 활용에 관한 사자(四者)협정 <그림 Ⅲ-26> 에가오 학교 수료식 자료 : KBS 특집다큐 「일본을 다시 본다」1부 지방의 역습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80 3) 지역특산물을 위한 투자·교육·시골벤처기업 운영 : 시네마현 아마초 □ CAS(Cells Alive System) 최첨단 급속 냉동 시스템 도입 ○ 아마초는 명품 굴 생산지로 유명한 곳으로 일년 내내 안정적으로 판매하기 위해 재정 파산 위기에도 설비 도입 - 주민들의 소득 향상과 이익이 창출되는 만큼 주민들의 일터로 사용되고 있음 <그림 Ⅲ-27> CAS 최첨단 급속 냉동 시스템 자료 : KBS 특집다큐 「일본을 다시 본다」1부 지방의 역습 □ 지역에 공헌할 수 있는 인재 육성 ○ 아마초의 도젠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스스로 생각하고 실천하게 하며, 섬의 매력을 발굴해 사람들에게 알리는 프로젝트를 하고 있음 - 이 학교 교육의 큰 목표는 지역으로 나가 스스로 체험함으로써 졸업한 후에도 지역 에 공헌할 수 있는 인재로 육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수업방식으로 섬 밖에서 온 유 학생들이 증가 - 학원에 다닐 기회가 적은 섬 학생들을 위해 지자체에서는 일종의 국립학원인 아마 초 학습센터를 운영 <그림 Ⅲ-28> 도젠고등학교 <그림 Ⅲ-29> 아마초 학습센터 자료 : KBS 특집다큐 「일본을 다시 본다」1부 지방의 역습 Ⅲ. 연령친화마을 우수사례 81 □ 청년들의 지역만들기 사업 ○ 섬을 찾는 도시의 젊은이들이 직접 농사를 지으면서 섬사람으로 정착하고 있으며, 아마초를 알리기 위한 사업에도 기여 - 섬에 이주한 청년들이 설립한 회사 메구리노와는 아마초의 특산품을 알리기 위해 인터넷 백화점 사이트를 제작해 운영 - 또한, 도시사람들이 섬 생활을 체험하게 해서 아마초를 세상에 알리기 위한 섬학교 운영 <그림 Ⅲ-30> 메구리노와 <그림 Ⅲ-31> 아마 인터넷 백화점 자료 : KBS 특집다큐 「일본을 다시 본다」1부 지방의 역습 4) 교육과 농업을 연계한 마을 : 충남 홍성군 홍동마을 □ 교육·유기농·협동조합의 3박자로 자율성과 자생력 있는 마을 공동체로 성장 ○ 홍동마을은 유명한 자연경관이나 유적지 등은 없지만, 농촌 생활 모습 그대로를 관광 상품 화했으며, 대표적인 ‘귀농·귀촌의 1번지’ ○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가 중심이 돼서 유기농법을 개발, 실천 - 90년대 초반 해충을 없애기 위해 청둥오리를 논에 풀어놓는 친환경 오리농법을 처음 도입 -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한 학년(25~30명)의 60%가 외지 학생이며, 유기농법을 내 세워 귀농·귀촌 인구 유입을 적극 유도한 결과 주민의 30%가 귀농·귀촌인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82 ○ 주민들도 공동체 활동에 적극적이며, 협동조합을 만들고 70여개 마을기업을 운영 <그림 Ⅲ-32> 홍동마을 지역센터마을활력소 그림지도 <그림 Ⅲ-33> 친환경 오리농법 자료 : 중앙일보 2017.08.27.일자 기사 자료 : 중앙일보 2017.08.27.일자 기사 Ⅳ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안) 1.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방향 2. 경기도 케어팜(Care-Farm) 모델 3.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

Ⅳ.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안) 85 <그림 Ⅳ-1> 근로 희망 여부 자료 : 경기복지재단(2017), 경기 북부 중장년·노인의 생활에 대한 조사 <그림 Ⅳ-2> 노후 바람직한 주거생활에 대한 욕구 자료 : 경기복지재단(2017), 경기 북부 중장년·노인의 생활에 대한 조사 Ⅳ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안) 1.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방향 1) 연령친화마을 모델개발 기준 □ 경기북부 노인욕구에 근거한 모델 개발 - 경기북부 노인 욕구조사 결과, 일을 계속적으로 하길 희망하고 있었고, 노인이 생 활하기에 편리하고 일자리가 있는 주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또한, 노인들은 새로운 기술을 배워서 일을 하고 싶은 욕구가 크며, 일자리를 위한 직업교육훈련의 욕구가 큰 것으로 나타남. 구체적으로 직업훈련교육에 대한 참여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86 <그림 Ⅳ-3> 향후 직업훈련교육에 대한 참여 자료 : 경기복지재단(2017), 경기 북부 중장년·노인의 생활에 대한 조사 <그림 Ⅳ-4 > 관심 있는 일자리 유형 자료 : 경기복지재단(2017), 경기 북부 중장년·노인의 생활에 대한 조사 여부를 조사한 결과 3.55점(5점 만점)으로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 러한 결과는 시군별로 차이가 약간 있지만 경기북부 모든 시군에서 노인들의 직업 훈련교육에 대한 욕구가 큰 것으로 나타남 - 관심있는 일자리유형에는 ‘기술을 새로이 배워서 할 수 있는 일’에 욕구가 큰 것 으로 나타남 Ⅳ.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안) 87 □ 경기북부 지역자원을 노인과 젊은 사람들이 함께 발굴하고 일자리로 연계하는 일자리 창 출 모델 - 관주도의 지원방식이 아닌 민간영역에서 노인과 젊은 사람들이 함께 지역의 특징 을 발굴하고 이에 기반에 일자리를 창출하는 모델 ※ 경기 북부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관주도의 사업 실패 사례 - 고양시 눈썰매장 - 양주시 씽씽자전거 - 정부의 지원금으로 시설을 설치하였으나, 운영과정에서의 주민간의 갈등으로 인해 원상복귀되어 국가지원금이 낭비됨 ※ 경기 북부 노인중심 일자리 창출 사례로 성공 사례 - 천생연분 마을 : 노인 스스로 영농조합을 만든 후 농촌체험마을로 사업을 발굴· 운영. 사업을 진행하면서 필요한 사업비나 시설설치비 등은 국가나 지방자치단 체 공모에 당선되어서 설치. 마을 주민들이 단합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 반딧불이 경로당 : 노인이 스스로 지역자원인 반딧불을 발굴하고, 반딧불 양식 을 통한 반딧불 축제 개최로 노인일자리 창출 및 지역 경제 활성화 이끈 사례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 3장 참조) □ 단순히 고령층만 거주하는 마을이 아닌 여러 연령층이 함께 거주하여 고령층의 고립을 억 제하여 세대간 단절을 해소하는데 중점 - 고령층만이 살기 좋은 고령친화적(Elderly-Friendly)마을이 아닌 다양한 연령층들 이 함께 거주하는 연령친화적(Age-Friendly)마을을 조성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88 2) 연령친화마을 모델(안)의 기대효과 □ 소득창출을 통한 마을의 지속가능성 확대 ○ 소득창출형 연령친화마을은 고령층의 경제적 자립을 도울 뿐만 아니라 고령층의 거주욕구를 증대시켜 마을의 지속가능성을 확대 ○ 고령층의 소득감소를 해소시킬 수 있는 마을모델은 고령층의 거주가능성 및 유입가능성을 증대시켜 고령층이 살고 싶어 하는 마을로 변화 □ 세대간 소통을 통한 노인의 자살 등 사회문제 해결 ○ 고령화로 인해 발생하는 세대간 분리, 사회적 유대단절, 고독 및 외로움 증가로 인한 자살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거모델로서 주거공간의 배치 및 지역사회자원과의 연계 를 통해 거주하는 다양한 연령층에게 발생하는 여러 사회문제를 해결 ○ 단순한 건물 위주의 주거환경이 아닌 서비스와 결합된 주거형태로 지역사회구성원들이 필요 로 하는 서비스들을 지역사회내 자원들과 연결 □ 경기북부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저출산 고령화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부담을 경감시켜 사회적·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확보 ○ 다양한 연령층의 삶의 질(Quality of life)를 향상시켜 경기북부지역 발전에 기여 Ⅳ.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안) 89 2. 경기도 케어팜(Care-Farm) 모델 경기북부지역이 가지고 있는 삼림자원과 귀촌·귀농인력과 연계한 케어팜 (Care-Farm) 단지를 조성하여 지역농가 수익성 증대 및 농촌지역 활성화를 추진 1) 케어팜으로 개발이 가능한 경기북부의 특성 ○ 경기도 북부 지역의 개발되지 않는 농촌자원을 활용하여 기존의 농가들이 케어팜을 운영하 여 농가소득 창출 - 경기도 내 공장등록수는 화성시(8,533개소)가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안산시 (6,659개소), 시흥시(5,648개소), 김포시(5,422개소) 순으로 나타나고 있어 경기 북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고, 농촌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갖추어 져 있음 ○ 경기도는 교통, 교육, 문화 등 다양한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고 서울과 인접하여 생활패턴변 화없이 귀농·귀촌하고자 하는 지역 - 귀촌인구: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귀촌가구가 가장 많은 8만 5,441가구를 기록 하였으며,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6.5%로 가장 높은 수준 - 귀농인구: 경기도는 1,283가구로 전국에서 5위를 차지하였으며, 전체가구의 10% 를 차지 ○ 고령화로 인한 요양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다양한 스트레스로 인 한 질병이 발생하면서 자연치유에 대한 사회적 욕구가 증가 - 청소년 및 노인계층을 대상으로 자연에서의 활동이 정신적·신체적 건강을 향상 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사례들이 존재15) 15) Dessein, J., & Bock, B. (2010). The Economics of Green Care in Agriculture. Loughborough University Di Iacovo, F., & Vadnal, K. (2009). Supporting policies for social farming in Europe: progressing multifunctionality in responsive rural areas. D. O’Connor (Ed.). Arsia-Agenzia Regionale per lo Sviluppo e l’Innovazione nel settore Agricolo-forestale Hine, R., Peacock, J., &Pretty, J. N. (2008). Care farming in the UK: Evidence and Opportunities. Report for the National Care Farmin Initiative (UK): University of Essex.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90 ○ 정부에서는 농가소득을 증가시키면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농가사업에 대 한 지원이 확대되는 추세 - 해외의 치유농장은 요양원이나 병원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다양한 환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그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16) - 케어팜은 농촌의 기능을 전통적인 농업생산활동에 건강 및 사회적 서비스를 융합 시켜 농가의 새로운 수익모델로 부각 ※ 자세한 사례는 3장의 내용을 참조 2) 케어팜 구성 방식과 운영 구조 □ 케어팜 구성 ○ 케어팜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농촌자원을 활용가능하며, 서비스 제공주체 및 이용자도 다양 하게 구성할 수 있음 <표 Ⅳ-1> 케어팜의 구성 농업, 농촌자원 유형 서비스제공주체 치유, 돌봄대상 -식물, 동물 -농작업활동 -농촌문화 -지역음식 -건강치유 -교육,돌봄 -사회적 재활 -고용 -치유,돌봄 농장 -교유기관 -보건의료기관 -사회복지기관 -재활기관 -환경관련기관 <일반대상> -유아,중고생 -성인, 노인 <도움이 필요한 대상> -장기요양보호대상자 -치매노인 -학교부적응 청소년 -소외계층 □ 케어팜 운영구조 ○ 네덜란드의 농가소득이 평균적으로 농업소득 70%, 농외소득 30%로 이뤄졌다면 케어팜 농 가의 소득은 일반 농가와 반대로 농업소득 30%, 농외소득(케어팜) 70% 구조 16) 김성학, 장주연(2017). 네덜란드 그린케어 및 케어팜 정책사례와 시사점, 국립산림과학원 Ⅳ.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안) 91 <그림 Ⅳ-5> 네덜란드 케어팜 운영구조(출처: 국립산림과학원(2017)) 3) 경기도 케어팜 모델 ○ 새로운 치유농장 시설의 도입보다는 기존 농장이나 농촌체험마을 등을 추진하는 마을들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추진 ○ 자연경관과 영농활동을 매개로 한 농장을 근간으로 활용하여 복지관련단체, 다양한 자연치 유요법전문가들과의 협력이 필요 - 우선적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으로 운영되고 있는 주간보호, 요양원 등을 농장에 유치하여 고령층들이 농장환경을 통해 치유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 - 장기적으로는 고령층 뿐만 아니라 장애인, 알콜중독자,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위 한 원예치료, 동물치료등의 치유프로그램을 확대 ○ 사회복지시설 중심의 사회보장서비스제도를 농촌지역에서 하는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는 제 도적 기반마련이 필요 - 케어팜의 운영 및 지속가능성확보를 위해서는 제도적으로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 보험 및 사회서비스의 바우처 제도와 연계하여 개별농장의 소득창출 방안을 모색 - 귀농 및 기존 농장주들의 사회서비스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치유관련 교육이 요구되 면 관련 전문인력들과의 상호 연계성도 필요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92 <그림 Ⅳ-6> 경기도 케어팜 모델 운영구조 □ 케어팜 범위 ○ 경로당 1개를 유지할 정도의 마을 단위에서 기존의 농장을 운영하던 농가에서 케어팜을 운 영하도록 지원 ○ 케어팜 지원센터는 여러 마을단위의 케어팜을 지원 □ 각 주체별 역할 ○ 마을 농가 : 농장운영의 노하우를 갖고 복지서비스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 케어팜 운영에 필 요한 지식 습득 ○ 귀농인 : 농장운영 및 케어팜 운영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 ○ 노인복지시설 : 근처의 케어팜 농장으로 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구축 ○ 케어팜 지원센터 : 케에팜 지원센터는 경기 북부 권역 전체를 담당하며, 케어팜 운영을 신청 하는 농장주를 대상으로 지원사업을 함. 케어팜을 운영하기 위한 기술과 지식을 교육하며, 초기의 케어팜 운영이 정착되면 케어팜조합협회 등에 업무를 이관하여 민간에서 자율적으로 시행하도록 함(네덜란드 사례) Ⅳ.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안) 93 □ 유형별 세부운영계획 ○ 경기도 케어팜 모델은 지역사회의 수요에 따라 유형을 세분화하여 지역맞춤형으로 운영 ○ 유형1 (농장+주간보호센터)은 도시 거주지와 가까워 낮시간 동안 자연활동을 통한 치유프로 그램 수요가 높은 지역에서 운영 - 사업참여자는 도시지역 거주 고령층을 주로 대상으로 하는 도시근교 주간보호센터 중 자연치유에 대한 관심이 높은 운영자로 구성 - 농장주는 도시근교 농장주로 기존 농장에 있는 자원들(농식물, 원예, 동물 등)을 활 용하여 농장내 주간보호센터를 유치=>농장소득뿐만 아니라 사회서비스기반 소득 을 추가로 창출 ○ 유형2 (농장+요양시설)은 유형1에 비해 도시거주지와 떨어져 있는 농장주와 자연치유 및 돌 봄을 통해 차별화된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요양시설운영자로 구성 - 사업참여자는 사회서비스에 관심 있는 농장주 또는 귀농희망자로 도시거주지역과 거리가 30분이상 되는 지역에 농장을 소유한 자와 치유농장을 통한 차별화된 요양 시설을 운영하고자 하는 신규창업자로 구성 - 노인장기요양보험대상자중 자연치유 등을 선호하는 고령층을 입소자로 선정 ○ 유형3(농장+사회서비스바우처)은 유형1, 유형2와는 달리 케어전문가와 협력하여 1일 이하 (1~3시간, 또는 반나절)의 사회서비스를 개발하고 바우처사업체로 등록하여 운영하는 형태 - 사업참여자는 도시인근 농장주가 원예치료사, 동물치료사 등 치유전문가들과 협 력하여 농장자원을 활용한 사회서비스를 개발 - 유형1과 유형2보다는 총소득에서 차지하는 농장관련 소득비중이 높고 사회서비스 비중은 낮은 형태 - 대상자들은 고령층뿐만 아니라 최근 증가하고 있는 자폐아, 초기치매자, 중독자(마 약, 알콜, 게임)등을 포함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94 <표 Ⅳ-2> 경기도 케어팜 모델의 세부운영계획 유형1 유형2 유형3 농장+주간보호센터 농장+요양시설 농장+사회서비스바우처 사업 내용 농장에 주간보호센터를 유치하여 낮 시간 참여대상자들에게 원예치 료, 동물치료 등 농장환경을 활용 한 자연연계 프로그램을 운영 농장에 거주형 노인요양시설을 설치하여 고령층이 자연환경속 에서 자연친화적 요양서비스를 받도록 운영 농장의 농산물, 축산, 원예 등의 자원과 사회서비스를 연계하고 사회서비스 바우처사업을 통해 운영 농장: 사회서비스에 관심이 있는 농장주 또는 귀농희망자 농장: 사회서비스에 관심이 있 는 농장주 또는 귀농희망자 농장: 케어전문가(원예치료사, 동물치료사 등)와 협력하여 농 장자원을 활용한 사회서비스를 개발하고 사회서비스바우처 대 상자로 등록 주간보호센터: 자연활동을 통한 치 유에 관심이 높은 운영자 요양시설:치유농장에서 고령층 을 위한 치유, 돌봄, 건강증진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 하는 운영자 사업 대상자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중 신체활동 지원을 위한 교육, 훈련, 재활등이 필요한 자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중 요양시 설 입소가능자 치매환자, 어린이 자폐증 환자, 주의결핍증(ADHD) 환자, 학교부 적응자, 비행청소년 등 재원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중 기초생활 수급자는 경기도에서 비용 지원, 수급자 이외는 자부담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중 기초생 활수급자는 경기도에서 비용 지 원, 수급자 이외는 자부담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에 시 군이 응모하여 국가보조금으로 케어팜 이용비용을 부담 □ 소요재원 ○ 경기북부 케어팜 지원센터에 대한 운영비와 사업비 ○ 노인장기요양보험 적용대상자 중 수급자에 대한 케어팜 이용 비용 지원 <표 Ⅳ-3> 경기도 케어팜 모델 운영 소요예산 유형1 유형2 유형3 농장+주간보호센터 농장+요양시설 농장+사회서비스바우처 케어팜지원 센터 인건비 279백만원 (8인 기준) 운영비 60백만원 재원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중 기초생활 수급자는 경기도에서 비용 지원, 수급자 이외는 자부담 장기요양보험 대상자 중 기초생 활수급자는 경기도에서 비용 지 원, 수급자 이외는 자부담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에 시 군이 응모하여 국가보조금으로 케어팜 이용비용을 부담 케어팜 사업비17) 12백만원 (1.2백만원×100인) 12백만원 (1.2백만원×100인) 시군에서 지역사회서비스 투자 사업에 응모 17) 비용은 환자에 따라 다르지만 개인당 하루 평균 비용은 농장주와 직접 계약을 맺는 경우에는 77유로(한화 9~10만원), 기관 또는 조합을 통해 계약을 맺는 경우에는 50유로(한화 6~7만원) 정도다. Ⅳ.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안) 95 □ 적용가능한 시군 ○ 경기북부 지역의 경우, 노인들의 경제활동참여율에 있어 가평군은 농업, 임업 및 어업 (53.5%), 연천군은 농업, 임업 및 어업(67.0%), 양주시는 농업, 임업 및 어업(39.6%)으로 이 들 지역에 케어팜을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 ○ 서울 및 고양시와의 대도시와 지리적으로 근접한 지역인 양주시는 주간보호센터와 사회서비 스 바우처를 활용하여 집에서 거주하는 치매노인이 낮시간동안 와서 케어팜을 이용할 수 있 음. 사회서비스 바우처 방식은 치매노인 뿐아니라 다양한 대상자를 포함하는 사업 추진이 가능 ○ 지리적으로 서울과 경기북부 도시권에서 먼 연천군, 가평군은 요양시설과 연계한 케어팜 운 영이 가능함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96 3.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 경기도 북부지역 대학교 및 산업체 인근 노후주택 등을 개조하여 카네이션 하우스를 설 치하고 카네이션하우스 옆에 실버주택을 설치. 또한, 인근대학과 연계하여 직업아카데미 교육을 받고 젊은 사람들과 함께 지역자원을 기 반하는 일자리를 창출하여 카네이션하우스를 거점으로 활동 1) 카네이션하우스를 활용한 연령친화마을 개발이 가능한 북부지역의 특성 ○ 경기도내 주택의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농촌에 혼자 사는 고령층의 경우에는 주거문제와 함께 외로움, 고독사 등 사회적 문제등이 발생 <그림 Ⅳ-7> 경기도 노후주택 현황 자료: 경기연구원(2014). 경기도 노후주택 현황 및 관리방향 Ⅳ.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안) 97 ○ 경기도 카네이션하우스는 마을회관 등을 개조하여 독거노인들이 모여 일거리, 식사, 여가프 로그램을 공유하는 경기도형 경로당 모델 - 독거노인들이 일거리, 식사, 여가프로그램을 함께 함으로써 고독사 예방 및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모델 - 2017년 기준으로 과천을 제외한 30개 시·군 47곳에 카네이션하우스를 운영하고 있음. - 카네이션하우스의 주거기능이 없는 단점을 보완하여 카네이션 하우스 인근에 노인 실버주택을 건설 ○ 경기북부 지역에 대학교와 연계한 직업아카데미 운영 및 젊은이들의 지역사회 기반 일자리 창출 발굴 가능 - 시바현에서 대학생들의 지역활성화를 위한 아이디어 콘테스트나 도젠고등학교 학 생들이 섬을 알리기 위한 노력 등 -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 3장 참조 <그림 Ⅳ-8> 제9회 지역 활성화 플랜 콘테스트 <그림 Ⅳ-9> 도젠고등학교 자료 : KBS 특집다큐 「일본을 다시 본다」1부 지방의 역습 자료 : KBS 특집다큐 「일본을 다시 본다」1부 지방의 역습 - 경기북부지역에는 16개의 대학이 존재하고 있으며, 자연조건 및 도시와의 높은 접 근성 등으로 지역특성을 살린 일자리 발굴을 젊은이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지역적 여건이 조성되어 있음 - 도시근접 전원주택에서 노후를 보내지만, 젊은이들과 함께 교육받고 사회적 활동 을 지속하려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교육 욕구도 부수적으로 수용할 수 있음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98 교명 캠퍼스 학교소재지 설립유형 학교유형 비고 1 대진대학교 경기 포천 사립 종합대학 2 동국대학교 바이오메디캠퍼스 경기 고양 사립 종합대학 이원화캠퍼스 3 동양대학교 북서울캠퍼스 경기 동두천 사립 종합대학 2016년 북서울캠퍼스 개설 4 신한대학교 경기 의정부경기 동두천 사립 종합대학 2013년 신흥대/한북대 통·폐합 5 예원예술대학교 양주캠퍼스 경기 양주 사립 예술대학 2014년 양주캠퍼스 개설 6 중부대학교 고양캠퍼스 경기 고양 사립 종합대학 이원화캠퍼스 7 차의과대학교 경기 포천 사립 종합대학 8 한국항공대학교 경기 고양 사립 종합대학 9 경민대학교 경기 의정부 사립 전문대학 10 경복대학교 포천캠퍼스남양주캠퍼스 경기 포천 경기 남양주 사립 전문대학 12 농협대학교 경기 고양 사립 전문대학 농협중앙회 산하 전문대학 13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파주캠퍼스 경기 안성 경기 파주 사립 전문대학 14 서영대학교 파주캠퍼스 경기 파주 사립 전문대학 2013년 파주캠퍼스 개설 15 서정대학교 경기 양주 사립 전문대학 16 웅지세무대학교 경기 파주 사립 전문대학 <그림 Ⅳ-10> 경기북부지역의 대학현황 <표 Ⅳ-4> 경기 북부권 대학 자료 : 경인지역 대학교 목록, https://namu.wiki/w/경인지역의%20대학교%20목록 Ⅳ.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안) 99 2)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 □ 경기도 카네이션 하우스 + 공공실버주택 ○ 기존의 카네이션하우스 개발방식과 정부의 공공실버임대주택을 결합된 개발방식 □ 카네이션하우스 일자리 창출 ○ 이곳에 노인들 스스로 지역의 자원을 발굴하고 지역특화 일거리를 창출하는 모델(남양주 반 딧불이 경로당, 양주시 천생연분 경로당) ○ 지역자원 발굴은 지역 대학생들과 함께 연계할 수 있도록 대학과 연계 ○ 또한, 노인들의 일자리 창출을 도와 젊은 청년들의 홍보, 마케팅, IT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마을 모델 □ 대학연계 직업아케데미 운영 ○ 기존 대학과 협의하여 대학내 직원훈련교육도 실시 - 은퇴자들은 대학내 교육강좌 및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고, 도서관과 산책로 등 관련 시설을 활용 - 특히, 제2의 인생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직업사관학교를 만들어 노인들에게 취업교 육을 실시(도시농업관리사, 실버농업 등) ○ 학생들은 자원봉사를 통해 노인들과 자연스럽게 친해지는 기회를 가짐 ○ 운영방법은 대학교가 사업주체가 되어 직접 직업아카데미를 운영하는 경우와 지방자치단체, 대한노인회 등과 대학교와 협약을 통해 운영을 위탁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00 <그림 Ⅳ-11>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 □ 각 주체별 역할 ○ 경기도 노인복지과 : 카네이션 하우스 설치 ○ 경기도 주택정책과 : 독거노인 다가구 실버임대주택 공급 ○ 인근대학 : 노인직업훈련을 위한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운영 ○ 청년 및 노인 : 지역기반 일자리 발굴 ○ 청년 : 발굴된 일자리 자원봉사, IT 기술을 활용한 마케팅. 일자리 종사 ○ 노인 : 노인의 지혜 활용 및 소득 창출 일자리 종사 Ⅳ.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안) 101 □ 세부운영계획 ○ 고령층 참여대상자: 노후주택에 거주하는 노인단독가구로 독거노인 또는 부부단독형 노인을 주요대상으로 선정하여 운영 ○ 청년층 참여대상자: 경기도 북부지역 대학교 소속으로 지역사회기반 창업 및 IT기술활용 마 케팅, 노인복지 등에 관심 있는 대학생으로 구성 ○ 참여대학의 산학협력단은 지방자치단체와 매칭펀드를 통해 대학교 세대통합직업아카데미를 운영=> 대학생과 고령층이 함께 할 수 있는 세대통합 직업교육을 실시 - 소속대학생들은 고령층을 이해하고 세대통합형 직업교육기술을 습득 - 고령층은 대학생들과 함께 소통할 수 있는 능력과 새로운 기술 변화 등을 학습 ○ 카네이션하우스는 세대통합직업아카데미에서 배운 기술을 활용해 지역기반 일자리를 창출 하는 기관 <표 Ⅳ-5>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의 세부운영계획 구분 지방자치단체 대학 사업 참여자  고령층: 노후주택거주 노인단독가구  지방자치단체: 경기도 및 지방기초자치단체  대학생: 창업 및 IT기술 마케팅, 노인복지등에 관심있는 학생  교수: 경영, 공학, 사회복지관련 교수 제공서비스  소규모 공공실버주택  노후주택활용 카네이션 하우스 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고령층과 학생들이 함 께 배울 수 있는 직업기술프로그램제공  직업아케데미에서 배운 기술을 활용하여 지역내 카네이션 하우스는 지역사회기반 세대통합 일자리 사업을 창출하는 “LAB"역할을 수행 □ 소요재원 ○ 경기도 카네이션하우스 설치 사업비 활용 ○ 카네이션하우스가 독거노인의 생활을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독거노인의 주거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만 노인공공임대주택은 추가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반드시 노인공공임대주택이 설 치될 필요는 없음 ○ 직업아카데미는 대학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것으로 경기도에서 교육 비용 지원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02 <표 Ⅳ-6> 경기도 세대통합 직업아카데미 카네이션 하우스 모델 운영 소요예산 구분 카네이션하우스 설치운영 320백만원(80백만원×4개) 직업아카데비 교육비 지원 400만원(50만원(1인)×20인×4개) 계 324백만원 □ 적용가능한 시군 ○ 지역에 대학이 위치하고 있고 독거노인의 비율이 높은 포천시, 의정부시, 파주시, 고양시 등 에 적용 가능 참고문헌 103 참고문헌 <국문도서> 김성학·장주연(2017).『네덜란드 그린케어 및 케어팜 정책사례와 시사점』, 국립산림과학원. 김태곤·허준영(2011).『농업의 6차 산업화와 부가가치 창출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희연·민효상·최조순·유병선·김춘남·이병화·유정원·임선영(2016).『경기도 균형발 전 복지기준선 연구』, 경기복지재단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통계청(2016).『2015년 귀농어·귀촌인 통계』. 양현봉(2015).『6차 산업화 정책의 추진샐태와 발전과제』, 산업연구원. 유학열·이영옥(2014).『창조농업 실현을 위한 6차 산업화』. 파스 빅토리아·이연숙·전은정(2017).『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실내디 자인학회.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4).『농업전망 2014』.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주형(2011).『주거와 교육 연속 케어 받는 미국 』, 은퇴와 투자. <영문서적> Bruin, S.R. et al. (2015). “Green Care Farms: An innovative type of adult day service to stimulate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ementia”,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Open Access, pages 1-10. De Bruin S (2009). “Sowing in the autumn season: exploring the benefits of green care farms for dementia patients”, Wageningen University, Netherlands. Dessein, J. & Bock, B. (2010). “The Economics of Green Care in Agriculture”, Loughborough University Di Iacovo, F. & Vadnal, K. (2009). “Supporting policies for social farming in Europe: progressing multifunctionality in responsive rural areas”, D. O’Connor (Ed.). Arsia-Agenzia Regionale per lo Sviluppo e l’Innovazione nel settore Agricolo-forestale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04 Eurodiaconia (2015). Supporting persons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ies. Groger, L. & Kinny, J. (2006). “CCRC here we come! reasons for moving to a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Housing for the Elderly, 20(4), 79101. Hine, R. Peacock, J. & Pretty, J. N. (2008). “Care farming in the UK: Evidence and Opportunities”, Report for the National Care Farmin Initiative (UK): University of Essex. McCamant, K. & Durrett, C. (2011). “Creating cohousing: Building sustainable communities”, New Society Publishers. <웹사이트 및 신문기사 > 통계청 http://www.kostat.go.kr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https://mdis.kostat.go.kr/index.do 전남농업 6차산업지원센터 http://www.전남6차산업.com/web?site_id=2 디자인맵 http://www.designmap.or.kr/ipf/IpTrFrD.jsp?p=475 오가와 노쇼 홈페이지 http://www.ogawanosho.jp 이로도리 홈페이지 http://www.irodori.co.jp/ SENIOR PLANET http://www.seniorplanet.org/ 쉐어 가나자와 홈페이지 http://share-kanazawa.com/ 드포트 홈페이지 www.deport.nl BBC NEWS http://www.bbc.com/news/uk-25316599 KBS 특집다큐 「일본을 다시 본다」1부 지방의 역습 http://www.kbs.co.kr/ “농업․농촌에 창조를 담은 6차산업화 본격 추진”,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3.7.26.) "맛의 비결은 노인들의 손" 일본 전통만두 공장 '오가와노쇼’. 노컷뉴스(2015.12.1.) “대한민국 귀농귀촌 한마당 2015”기획특집. 국민일보(2015). “[인구 5000만 지키자] 문화유산 살리고, 유기농 실천하니 활력..고령화 이겨내는 마을들”. 중앙일보(2017.08.27.) 부 록 1. 경기북부 시군별 일반 현황 2. 경기북부 시군별 노인 경제활동 현황 3. 경기북부의 노인욕구 설문조사 분석결과 4. 설문지

부 록 107 서비스업은 건설업, 전기수도가스업을 포함한 3차 산업 범위 읍면동별 인구수 (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산업구조(경기도기본통계, 2015) * 각 년도 8월 기준 * 인구비율=각 지역의 총인구/경기도 전체 총인구 * 100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 각 년도 8월 기준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 황.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 인구증가 노인인구 1. 경기북부 시군별 일반 현황 1) 고양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 고양시의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고양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08 연령대별 인구수(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연령대별 인구비율(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출하 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 역 코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주택유형 주택거주기간 - 고양시의 인구는 점차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 100만 명을 상회하고 있음. - 이는 경기도 전체 인구의 약 8%대로 유지되고 있음 - 노인인구는 2017년 현재 약 11만 8천명으로 나타남 - 고양시민의 약 56% 이상이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단독주택 (29%)에 거주하고 있음 - 현주택 거주기간은 5-10년 미만이 약 21%로 가장 높으며, 1년 미만은 16%대, 1-2년미만 12%로 나타남 부 록 109 서비스업은 건설업, 전기수도가스업을 포함한 3차 산업 범위 읍면동별 인구수 (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산업구조(경기도기본통계, 2015) * 각 년도 8월 기준 * 인구비율=각 지역의 총인구/경기도 전체 총인구 * 100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 각 년도 8월 기준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 황.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 인구증가 노인인구 2) 남양주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 남양주시의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남양주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10 연령대별 인구수(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연령대별 인구비율(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주택유형 주택거주기간 - 남양주시의 인구는 미미하지만 상승하여 2017년 66만 6천명으로 나타났으며 경기 도민 인구의 5%가 남양주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노인인구는 2009년 4만 5천여 명, 2013년 6만 2천여 명, 2017년 8만 명 이상으로 나타남 - 남양주시민의 54.8%가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으며 24.2%가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남 - 현주택 거주기간은 5-10년 미만이 23.09%이고, 1년 미만이 18.34%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부 록 111 서비스업은 건설업, 전기수도가스업을 포함한 3차 산업 범위 읍면동별 인구수 (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산업구조(경기도기본통계, 2015) * 각 년도 8월 기준 * 인구비율=각 지역의 총인구/경기도 전체 총인구 * 100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 각 년도 8월 기준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 황.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 인구증가 노인인구 3) 의정부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 의정부시의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의정부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12 연령대별 인구수(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연령대별 인구비율(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주택유형 주택거주기간 - 의정부시의 인구는 2012년 42만 9천명에서 2017년 43만 9천명으로 미약하게 상 승하고 있으나 경기도 전체 인구의 거주비율은 오히려 낮아지고 있어서 2012년 3.57%에서 2017년 3.42%로 나타남 - 노인인구는 3만 9천명에서 5만 7천명으로 증가하였음 - 주택유형으로는 46.6%가 아파트, 39.7%가 단독주택에 거주하고 있음 - 현주택 거주기간은 5-10년 미만이 20.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년 미만이 15.4%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부 록 113 서비스업은 건설업, 전기수도가스업을 포함한 3차 산업 범위 읍면동별 인구수 (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산업구조(경기도기본통계, 2015) * 각 년도 8월 기준 * 인구비율=각 지역의 총인구/경기도 전체 총인구 * 100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 각 년도 8월 기준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 황.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 인구증가 노인인구 4) 파주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 파주시의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파주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14 연령대별 인구수(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연령대별 인구비율(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출 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수 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주택유형 주택거주기간 - 파주시의 인구는 2012년 38만 9천명에서 2017년 43만 4천명으로 상승하였고, 경 기도 전체인구 중 2017년 현재 3.39%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노인인구는 2009년 3만 4천여명에서 2017년 5만4천여명으로 상승하였음 - 파주시민이 거주하는 주택유형은 아파드가 48.5%로 가장 높고, 단독주택이 32.06%로 나타남 - 현주택 거주기간을 살펴보면 1년 미만이 20.97%, 5-10년 미만이 20.48%로 상대 적으로 높게 나타남 부 록 115 서비스업은 건설업, 전기수도가스업을 포함한 3차 산업 범위 읍면동별 인구수 (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산업구조(경기도기본통계, 2015) * 각 년도 8월 기준 * 인구비율=각 지역의 총인구/경기도 전체 총인구 * 100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 각 년도 8월 기준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 황.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 인구증가 노인인구 5) 양주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 양주시의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양주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16 연령대별 인구수(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연령대별 인구비율(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주택유형 주택거주기간 - 양주시 인구는 2012년 20만명에서 2017년 21만명으로 다소 상승하였지만 경기도 전체 인구비율을 고려하였을 때는 인구규모의 변화없이 유지되거나 미미하게 축소 되고 있는 상황임 - 노인인구는 2009년 1만 7천여명에서 2017년 2만 8천 여명으로 늘어남 - 양주시민의 주택유형은 아파트가 64.83%로 가장 높고, 단독주택이 21.58%로 나타남 - 현 주택 거주기간은 5-10년미만이 2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년 미만이 18.32%로 차순위로 나타남 부 록 117 서비스업은 건설업, 전기수도가스업을 포함한 3차 산업 범위 읍면동별 인구수 (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산업구조(경기도기본통계, 2015) * 각 년도 8월 기준 * 인구비율=각 지역의 총인구/경기도 전체 총인구 * 100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 각 년도 8월 기준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 황.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 인구증가 노인인구 6) 구리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 구리시의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구리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18 연령대별 인구수(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연령대별 인구비율(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주택유형 주택거주기간 - 구리시의 인구는 2012년 19만 3천명에서 2015년 18만 8천명으로 줄었다가 2017년 19만 5천명으로 증가하였음. 경기도 전체 인구 중 2017년 현재 1.52%가 거주하고 있음 - 노인인구는 2009년 1만 4천여명에서 2017년 2만 천여명으로 늘어났음 - 구리시민의 주택유형은 아파드가 37.15%, 단독주택이 30.65%로 높게 나타남 - 현주택 거주기간은 5-10년 미만이 22.18%로 가장 높고 1년 미만이 19.12%로 차 순위로 높게 나타남 부 록 119 서비스업은 건설업, 전기수도가스업을 포함한 3차 산업 범위 읍면동별 인구수 (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산업구조(경기도기본통계, 2015) * 각 년도 8월 기준 * 인구비율=각 지역의 총인구/경기도 전체 총인구 * 100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 각 년도 8월 기준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 황.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 인구증가 노인인구 7) 포천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 포천시의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포천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20 연령대별 인구수(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연령대별 인구비율(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주택유형 주택거주기간 - 포천시의 인구는 2012년 15만 8천명에서 2017년 15만 3천명으로 줄었으며 점차로 줄고 있으며, 경기도 전체 인구 중 1.20%가 포천시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노인인구는 2009년 1만 9천여명에서 2017년 2만 5천여명으로 늘어났음 - 포천시민의 주택유형은 단독주택이 45.34%로 가장 높고, 아파트가 29.74%로 차 순위인 것으로 나타남 - 현주택 거주기간은 5-10년 미만이 23.14%, 25년 이상이 15.61%, 1년 미만이 12.35%로 타지역에 비해 거주기간이 높은 것이 특징임 부 록 121 서비스업은 건설업, 전기수도가스업을 포함한 3차 산업 범위 읍면동별 인구수 (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산업구조(경기도기본통계, 2015) * 각 년도 8월 기준 * 인구비율=각 지역의 총인구/경기도 전체 총인구 * 100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 각 년도 8월 기준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 황.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 인구증가 노인인구 8) 동두천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 동두천시의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동두천시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22 연령대별 인구수(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연령대별 인구비율(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주택유형 주택거주기간 - 동두천시의 인구수는 유지되고 있으며, 그 수는 약 9만 7천명으로 나타남 - 노인인구는 2009년 약 1만 천여명에서 2017년 1만 6천여명으로 다소 증가하였음 - 동두천시의 주택유형은 아파트가 48.87%로 가장 높고, 단독주택이 32.14%로 차순 위로 나타남 - 현주택 거주기간은 5-10년 미만이 21.8%, 1년 미만이 15.95%으로 상대적으로 높 게 나타남 부 록 123 서비스업은 건설업, 전기수도가스업을 포함한 3차 산업 범위 읍면동별 인구수 (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산업구조(경기도기본통계, 2015) * 각 년도 8월 기준 * 인구비율=각 지역의 총인구/경기도 전체 총인구 * 100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 각 년도 8월 기준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 황.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 인구증가 노인인구 9) 가평군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 가평군의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가평군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24 연령대별 인구수(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연령대별 인구비율(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주택유형 주택거주기간 - 가평군의 인구는 2012년 약 6만 천명에서 2017년 약 6만 3천명으로 증가하였으나 인구수의 변화가 없이 유지되는 편 - 노인인구는 2009년 1만 5백여명에서 2017년 1만 4천 여명으로 증가하였음 - 가평군의 주택유형은 단독주택이 62.8%로 가장 높고, 아파트는 24.98%로 나타남 - 현주택 거주기간은 25년 이상이 32.89%로 가장 높았음 부 록 125 서비스업은 건설업, 전기수도가스업을 포함한 3차 산업 범위 읍면동별 인구수 (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산업구조(경기도기본통계, 2015) * 각 년도 8월 기준 * 인구비율=각 지역의 총인구/경기도 전체 총인구 * 100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황. * 각 년도 8월 기준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주민등록인구현 황.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 인구증가 노인인구 10) 연천군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 연천군의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연천군 일반(인구, 산업, 주택)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26 연령대별 인구수(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연령대별 인구비율(주민등록인구통계, 2016)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2015년 주택총조사 자료 추 출하여 분석함. * 주택총조사는 시도와 시군구 행정구역 코드를 각각의 변 수로 측정하고 있으며, 본 분석에는 시군구 행정구역 코 드에 따라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음. * 가구가중치 적용 주택유형 주택거주기간 - 연천군의 인구는 4만 6천명으로 경기도 전체인구의 0.36%가 연천에 분포하고 있음 - 노인인구는 2017년 1만 명이 넘어서 연천군의 인구수를 고려할 때 노인인구 비율 이 20%를 넘고 있음 - 연천군 주택유형은 단독주택이 71.69%를 차지함 - 현주택 거주기간은 25년 이상이 42%를 차지하고 있음 부 록 127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소득원 노인가구 월평균 소득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경제활동 참여현황 취업노인 직업 분야 2. 경기북부 시군별 노인 경제활동 현황 1) 고양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 고양시의 노인 경제활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고양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28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취업노인 종사상 지위 - 고양시 노인가구의 주소득원은 공적사적연금 및 퇴직금인 경우가 가장 높고, 친인 척의 보조금이 비슷한 수준을 높게 나타남 - 노인가구의 월평균소득은 100만원 미만인 경우가 43% 가장 높게 나타남 - 고양시 노인의 성별, 연령대별로 경제활동참여자 현황을 살펴보면, 남성의 경제활 동참여율은 22.6%이고, 여성은 6.3%이며, 65-74세 연령대는 19.3%로 다른 연령 대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취업노인의 직업분야를 살펴보면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이 다른 산업 분야보다 높게 나타남 -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를 살펴보면 상용직근로자는 31.1%, 임시직 근로자 28.8%, 고용원 없는 자영업이 18.3% 순으로 나타남 부 록 129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 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 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소득원 노인가구 월평균 소득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경제활동 참여현황 취업노인 직업 분야 2) 남양주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 남양주시의 노인 경제활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남양주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30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 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 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취업노인 종사상 지위 - 남양주시 노인가구의 주소득원은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으로 응답한 사례가 가장 높았으며, 친인척의 보조금, 공적·사적연금 및 퇴직금, 정부의 보조금, 재산소득 순으로 높게 나타남 - 노인가구의 월평균소득은 100만원 미만이 54% 이상으로 나타남 - 노인의 성별 및 연령대별 경제활동참여율을 살펴보면 남성노인의 29.%, 여성노인 의 10.3%가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연령대별로는 65-74세인 경우 27.8%가 참여하고 있음 - 남양주시 취업노인의 직업분야는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농업, 임업 및 어업, 건설업 순으로 높게 나타남 -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를 살펴보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의 비율이 28.8%로 가장 높고, 상용직근로자, 임시직근로자, 일용직근로자 순으로 높게 나타남 부 록 131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소득원 노인가구 월평균 소득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 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 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경제활동 참여현황 취업노인 직업 분야 3) 의정부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 의정부시의 노인 경제활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의정부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32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취업노인 종사상 지위 - 의정부시 노인가구의 주소득원은 공적·사적연금 및 퇴직금, 가구주의 근로(사업) 소득, 재산소득 순으로 높게 나타남 - 노인가구의 월평균소득은 100만원 미만이 53.3%로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 성별, 연령별 경제활동참여 현황을 살펴보면, 남성노인의 23.4%, 여성노인 의 9%, 연령대별로는 65-74세가 21.9% 경제활동 중인 것으로 나타남 - 의정부시 취업노인의 직업분야로는 운수업, 도매 및 소매업, 제조업, 보건업 및 사 회복지서비스업 순으로 높게 나타남 -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를 살펴보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의 비율이 31.8%로 가장 높고, 상용직근로자 27%, 임시직근로자 24.5% 순으로 높게 나타남 부 록 133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소득원 노인가구 월평균 소득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경제활동 참여현황 취업노인 직업 분야 4) 파주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 파주시의 노인 경제활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파주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34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취업노인 종사상 지위 - 파주시 노인가구의 주소득원은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 친인척의 보조금, 정부의 보조금, 공적·사적연금 및 퇴직금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노인가구의 월평균소득은 100만원 미만이 50.1%로 가장 높았음 - 노인의 경제활동참여자 현황을 보면 남성의 31.2%가 경제활동 중이며, 여성은 12.2%인 것으로 나타남. 연령대별로는 65-74세가 28%로 가장 높았고, 75-84세 가 13.2%이고, 85세 이상도 3.3% 경제활동참여 중인 것으로 응답함 - 파주시 취업노인의 직업분야는 농업, 임업, 어업 분야가 가장 높았고, 사업시설관 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이 차순위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를 살펴보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의 비율이 29.9%로 가장 높았으며, 상용직근로자가 26.5%로 높게 나타남 부 록 135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소득원 노인가구 월평균 소득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사 자 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 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경제활동 참여현황 취업노인 직업 분야 5) 양주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 양주시의 노인 경제활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양주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36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취업노인 종사상 지위 - 양주시 노인가구의 주소득원은 정부의 보조금,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 공적·사 적연금 및 퇴직금이 비등하게 높았고 이는 다른 응답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음 - 노인가구의 월평균소득은 100만원 미만인 경우가 50%정도였고, 100-200만원 미 만이 31%인 것으로 나타남 - 노인의 성별, 연령대별 경제활동참여자 현황을 살펴보면 남성노인의 35.6%가, 여 성노인의 10.2%가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음. 연령대별로는 65-74세가 30.3%, 75-84세가 8.9%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양주시 취업노인의 직업분야를 살펴보면 농업, 임엄 및 어업이 가장 높았고, 제조 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 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를 보인 산업분야인 것으로 확인됨 -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를 살펴보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이 40.8%로 가장 높았고, 상용직근로자(18.3%), 임시직근로자(18.1%), 무급가족봉사자(15%) 순으로 나타남 부 록 137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소득원 노인가구 월평균 소득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경제활동 참여현황 취업노인 직업 분야 6) 구리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 구리시의 노인 경제활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구리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38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취업노인 종사상 지위 - 구리시 노인가구의 주소득원은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이 가장 높았고, 재산소득, 공적·사적연금 및 퇴직금, 타가구원의 근로(사업)소득, 정부의 보조금, 친인척의 보조금 순으로 나타남 - 노인가구의 월평균소득은 100만원 미만이 37.7%, 100-200만원 미만이 24.8%, 200-300만원 미만이 19.3%인 것으로 나타남 - 노인의 성별, 연령별 경제활동참여자 현황을 보면 남성노인 중 33%가, 여성노인 중 11.5%가 경제활동 중이며, 65-74세의 노인의 경제활동이 31.6%로 가장 높았음 - 구리시 취업노인의 직업분야를 보면 도매 및 소매업, 부동산업 및 임대업, 건설업, 운수업, 제조업 순으로 높게 나타남 -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는 임시직근로자가 33.5%로 가장 높았고, 고용원없는 자영 업 21.1%이 차순위로 나타남 부 록 139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소득원 노인가구 월평균 소득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경제활동 참여현황 취업노인 직업 분야 7) 포천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 포천시의 노인 경제활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포천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40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취업노인 종사상 지위 - 포천시 노인가구의 주소득원은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인 경우가 가장 빈번하였 고, 친인척의 보조금, 공적·사적연금 및 퇴직금, 정부의 보조금, 재산소득 순으로 나타남 - 노인가구의 월평균소득은 100만원 미만이 52.90%, 100-200만원 미만이 25.9%, 200-300만원 미만이 16.9%로 나타남 - 노인의 성별, 연령별 경제활동참여자 현황을 보면 남성노인의 51.4%, 여성노인의 21.1%, 연령대별로는 65-74세가 47.7%가 경제활동참여 중으로 나타남 - 포천시 취업노인의 직업분야는 농업, 임업 및 어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음 -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는 고용원 없는 자영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무급 가족종사자에 해당됨 부 록 141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소득원 노인가구 월평균 소득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경제활동 참여현황 취업노인 직업 분야 8) 동두천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 동두천시의 노인 경제활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동두천시 노인 경제활동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42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취업노인 종사상 지위 - 동두천시 노인가구의 주소득원은 정부의 보조금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 친인척의 보조금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노인가구의 월평균소득은 100만원 미만이 69.90%로 가장 높았음 - 노인의 성별, 연령대별 경제활동참여자 현황을 보면 남성노인의 32.50%, 여성노인 의 11.30%가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연령대별로는 65-74세가 29.60%, 75-84세가 10.80%로 나타남 - 동두천시 취업노인의 직업분야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순으로 높게 나타남 -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는 상용직근로자가 36%로 가장 높았으며, 임시직근로자는 28.8%, 고용원 없는 자영업 19.6%로 나타남 부 록 143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소득원 노인가구 월평균 소득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경제활동 참여현황 취업노인 직업 분야 9) 가평군 노인 경제활동 현황 □ 가평군의 노인 경제활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가평군 노인 경제활동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44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취업노인 종사상 지위 - 가평군 노인가구의 주소득원은 정부의 보조금과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인 경우가 비등하게 수위를 차지하였음 - 노인가구의 월평균소득은 100만원 미만이 55.3%로 가장 높았음 - 노인의 성별, 연령별 경제활동참여자 현황을 보면, 남성노인의 42.6%가, 여성노인 의 20.6%가 경제활동 중이며, 연령대별로는 65-74세는 44.50%, 75-84세 17.% 가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남 - 가평군 취업노인의 직업분야는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박 및 음식점업의 종사가 상 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는 고용원 없는 자영업의 비율이 45.5%, 무급가족종사자가 25%인 것으로 나타남 부 록 145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소득원 노인가구 월평균 소득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노인가구 경제활동 참여현황 취업노인 직업 분야 10) 연천군 노인 경제활동 현황 □ 연천군의 노인 경제활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록> 연천군 노인 경제활동 현황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46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타에서 경기도 및 각 시군의 사회조 사 자료를 별도 분석하한 결과임. 단, 경기북부 통계치는 10개 지역의 취합하여 재분석함. *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상으로 함. * 가구즈가중치 적용함. 취업노인 종사상 지위 - 연천군 노인가구의 주 소득원은 정부의 보조금과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이 비등 하게 높게 나타남 - 노인가구의 월평균소득은 100만원 미만이 69.1%로 나타남 - 노인의 성별, 연령별 경제활동참여자 현황을 보면 남성노인 중 38.3%가, 여성노인 의 18.6%가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연령대별로는 65-74세 중 36.2%가, 75-84세 중 20.3%가 경제활동 중임 - 연천군 취업노인의 직업분야로는 농업, 임업 및 어업에 가장 높게 종사함 - 취업노인의 종사상 지위는 일용직근로자가 62.4%로 가장 높았고, 차순위로 상용직 근로자가 20%로 나타남 부 록 147 <부록>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구분 빈도(명) 퍼센트(.%) 연령 50세-59세 213 14 60세-69세 414 27.2 70세-79세 665 43.6 80세-89세 230 15.1 90세-99세 2 0.1 총계 1524 100.0 성별 남자 756 49.6 여자 768 50.4 총계 1524 100.0 교육 미취학 72 4.7 초등학교 309 20.3 중학교 356 23.4 고등학교 498 32.8 대학교 이상 285 18.8 총계 1520 100.0 무응답 4 - 결혼 여부 배우자 있음 1000 65.6 사별했음 407 26.7 미혼 42 2.8 이혼 72 4.7 총계 1521 99.8 무응답 3 0.2 거주형태 혼자 거주 413 27.2 배우자와 둘이서 거주 737 48.6 다른 가족원과 함께 거주 367 24.2 총계 1517 100.0 무응답 7 - 주관적 건강상태 매우 건강하다 146 9.6 건강한 편이다 640 42.0 보통이다 498 32.7 건강하지 않다 195 12.8 매우 건강하지 않다 44 2.9 총계 1523 100.0 무응답 1 - 생활비 주부담자 (복수응답 : N=1519) 본인 스스로 703 40.4 남편이나 아내 414 23.8 자녀 373 21.4 친척 8 0.5 정부 183 10.5 기타 58 3.3 총계 1739 100.0 3. 경기 북부의 노인욕구 설문조사 분석결과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48 <부록>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구분 빈도(명) 퍼센트(.%) 월 평균 생활비 30만원 이하 64 4.3 30-40만원 84 5.6 40-50만원 149 9.9 50-60만원 154 10.2 60-80만원 167 11.1 80-100만원 283 18.8 100만원 이상 603 40.1 총계 1504 100.0 무응답 20 - 주관적 생활비 수준 매우 충분하다 37 2.4 충분하다 240 15.7 적당하다 561 36.8 부족하다 596 39.1 매우 부족하다 90 5.9 총계 1524 100.0 무응답 - - 평균점수 2.70 - 부족한 생활비 주거비 222 21.7 식비 85 8.3 의료비 395 38.6 용돈 170 16.6 자녀관련 비용 85 8.3 기타 67 6.5 총계 1024 100.0 무응답 (생활비가 적당 또는 충분하다고 응답한 경우에도 응답함) 500 - 삶에 대한 만족도 매우 만족한다 139 9.2 만족한다 816 53.7 그저 그렇다 465 30.6 만족하지 않는다 81 5.3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18 1.2 총계 1519 100.0 무응답 5 - 평균점수 3.64 - 부 록 149 <부록> 조사대상자의 근로현황 조사문항 빈도 퍼센트 현재 소득이 있는 일을 하고 계십니까? 일을 하고 있다 851 55.8 일을 하지 않고 있다 673 44.2 총계 1524 100.0 무응답 - - 일을 하고 계신 경우 하시는 일은 무엇입니까? 노인일자리사업 271 32.1 재능나눔활동 121 14.3 농업 138 16.3 임금근로자 162 19.2 자영업 70 8.3 기타 83 9.8 총계 845 100.0 무응답 679 - <부록> 조사대상자의 근로욕구 조사문항 빈도 퍼센트 (현재 근로여부와 상관없이) 귀하께서는 앞으로 일을 하고 싶으십니까? 일을 하고 싶다 1072 70.7 일을 하고 싶지 않다 282 18.6 모르겠다 163 10.7 총계 1517 100.0 무응답 7 - (현재 근로여부와 상관없이) 귀하께서는 현재 일을 하시는 이유 또는 일을 하고 싶으신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생계비 마련을 위해 495 35.0 용돈이 필요해서 265 18.7 건강유지를 위해 389 27.5 사람들과 사귈 수 있으므로 86 6.1 시간을 보내기 위해 78 5.5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 81 5.7 기타 22 1.6 총계 1416 100.0 무응답 108 - (현재 근로여부와 상관없이) 귀하께서는 노인이 일을 하기 위한 직업훈련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매우 필요하다 270 17.8 필요하다 723 47.8 보통이다 305 20.1 필요하지 않다 174 11.5 전혀 필요하지 않다 42 2.8 총계 1514 100.0 무응답 10 - 평균점수 3.67 (현재 근로여부와 상관없이) 앞으로 사시는 동안 계속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하십니까? 매우 동의한다 436 29.0 동의하는 편이다 675 44.9 보통이다 273 18.1 동의하지 않는다 101 6.7 매우 동의하지 않는다 20 1.3 총계 1505 100.0 무응답 19 - 평균점수 3.93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50 <부록> 조사대상자의 직업훈련 욕구 구분 빈도 퍼센트 (현재 근로여부와 상관없이) 귀하께서는 노인의 일에 관련한 직업훈련교육이 있다면 참여할 생각이 있으십니까? 반드시 참여할 생각이다 237 15.6 참여할 생각이 있다 692 45.6 보통이다 320 21.1 참여할 생각이 없다 208 13.7 전혀 참여할 생각이 없다 60 4.0 총계 1517 100.0 무응답 7 - 평균점수 3.55 (현재 근로여부와 상관없이) 귀하는 어떤 유형의 일자리에 관심이 있으십니까? 돌봄(노인돌봄, 아이돌봄 등) 258 19.1 강사(구연동화강사, 노래강사 등) 91 6.8 상담(학생진로상담, 생활 상담 등) 202 15.0 기술을 새로이 배워할 수 있는 일(바리스타, 조경관리기능사, 도시농업관리사 등) 310 23.0 경비, 청소 209 15.5 농업 133 9.9 창업 26 1.9 기타 119 8.8 총계 1348 100.0 무응답 176 - ((현재 근로여부와 상관없이) 귀하가 일을 선택할 때 아래의 항목에 어느 정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 ① 육체적으로 너무 힘들지 않아야 한다 매우 중요하다 502 37.2 중요하다 637 47.3 보통이다 190 14.1 중요하지 않다 17 1.3 전혀 중요하지 않다 2 0.1 총계 1348 100.0 무응답 176 - 평균점수 4.20 ②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할 수 있어야 한다 매우 중요하다 388 29.2 중요하다 663 49.8 보통이다 244 18.3 중요하지 않다 31 2.3 전혀 중요하지 않다 4 0.3 총계 1330 100.0 무응답 194 - 평균점수 4.05 ③ 꾸준히 할 수 있는 일이어야 한다 매우 중요하다 441 33.5 중요하다 654 49.7 보통이다 192 14.6 중요하지 않다 26 2.0 전혀 중요하지 않다 4 0.3 총계 1317 100.0 무응답 207 - 평균점수 4.14 부 록 151 <부록> 조사대상자의 직업훈련 욕구 구분 빈도 퍼센트 ④ 내가 생각하는 최소한의 임금수준에 맞아야 한다 매우 중요하다 369 28.3 중요하다 604 46.4 보통이다 272 20.9 중요하지 않다 47 3.6 전혀 중요하지 않다 10 0.8 총계 1302 100.0 무응답 222 - 평균점수 3.98 ⑤ 나를 받아주는 곳이면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 매우 중요하다 214 16.6 중요하다 414 32.1 보통이다 477 37.0 중요하지 않다 132 10.2 전혀 중요하지 않다 51 4.0 총계 1288 100.0 무응답 236 - 평균점수 3.47 위의 보기 ①~⑤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육체적으로 너무 힘들지 않아야 한다 341 36.7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할 수 있어야 한다 173 18.6 꾸준히 할 수 있는 일이어야 한다 262 28.2 내가 생각하는 최소한의 임금수준에 맞아야 한다 113 12.2 나를 받아주는 곳이면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 41 4.4 총계 930 100.0 무응답 594 - <부록> 조사대상자의 주거생활 욕구 조사문항 빈도 퍼센트 (노후의 바람직한 주거생활에서 어느 정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 ① 일거리가 있는 곳에 사는 것 매우 중요하다 440 32.4 중요하다 586 43.2 보통이다 243 17.9 별로 중요하지 않다 70 5.2 매우 중요하지 않다 19 1.4 총계 1358 100.0 무응답 166 - 평균점수 4.00 ② 여가생활이 가능한 주변 환경에 사는 것 매우 중요하다 450 33.5 중요하다 644 48.0 보통이다 213 15.9 별로 중요하지 않다 31 2.3 매우 중요하지 않다 5 0.4 총계 1343 100.0 무응답 181 - 평균점수 4.12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52 <부록> 조사대상자의 주거생활 욕구 조사문항 빈도 퍼센트 ③ 자녀나 친척, 친구와 가까이 사는 것 매우 중요하다 348 26.5 중요하다 589 44.8 보통이다 292 22.2 별로 중요하지 않다 68 5.2 매우 중요하지 않다 18 1.4 총계 1315 100.0 무응답 209 - 평균점수 3.90 ④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이 없는 주택에 사는 것 매우 중요하다 550 40.9 중요하다 614 45.6 보통이다 152 11.3 별로 중요하지 않다 16 1.2 매우 중요하지 않다 14 1.0 총계 1346 100.0 무응답 178 - 평균점수 4.24 위의 보기 ①~④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일거리가 있는 곳에 사는 것 228 26.0 여가생활이 가능한 주변환경에 사는 것 201 13.2 자녀나 친척, 친구와 가까이 사는것 173 19.7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이 없는 주택에 사는 것 276 31.4 총계 878 100.0 무응답 646 - 혼자 생활하기 힘들 정도로 건강이 약해졌을 때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자녀와 함께 살겠다 213 14.0 형제, 친척, 친구와 함께 살겠다 66 4.3 집에서 혼자살면서 필요한 서비스를 (방문요양, 밑반찬 배달 등) 이용하겠다 415 27.3 시설(요양원, 실버타운 등)에 입소하겠다 331 21.8 그때 가봐야 알겠다 (잘 모르겠다) 483 31.8 기타 12 0.8 총계 1520 100.0 무응답 4 - 부 록 153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54 부 록 155

경기북부 고령화 대응 연령친화마을 모델 개발 연구 156 부 록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