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보고 2016-03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연구책임 | 공동연구 | 황경란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김춘남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유병선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전용호 인천대학교 교수 문정은 경기복지재단 연구원

경기복지재단 정책연구보고 2016-03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발행일 2016년 7월 발행인 박춘배 발행처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 10267 Tel. 1577-4312 Fax. 031-898-5937 Homepage. www.ggwf.or.kr

발 간 사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생산인구보다 노인인구가 증가하는 인구절벽이 현실화되고 있으며, 베이비부머가 본격적으로 노년층에 진입하는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로의 전환을 앞두고 있다.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 노인가구 구성의 변화, 부양의식의 약화로 인해 노인 문제는 소득 취약성에 관련된 빈곤에 한정되지 않고 건강, 돌봄, 주거 등으로 세분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정적으로 흐르고 일자리와 돌봄을 중심으로 세대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이처럼 사회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만 보고, 고달픈, 벼랑 끝이라는 수식어를 붙여 그들의 문제를 다루어왔다. 그러나 기대수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 본인이 노인연령을 65세보다 높은 71.7세로 규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자리나 여가와 같은 사회참여에 대한 노인의 욕구도 높은 것이 사실이다. 지금의 노인계층은 노인이라고 한 마디로 칭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욕구와 성향을 가지고 있다. 복잡한 노인의 문제와 다양한 노인의 욕구 해소를 위해 새로운 노인복지비전과 그를 실행하기 위한 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다. 복잡해진 노인 문제와 다양화되는 노인의 욕구를 노인복지정책에 담고자 2020 경기 노인복지비전 우리동네에서 행복한 어르신을 수립하고 3대 정책목표, 9개 핵심과제, 30개 추진 사업을 계획하였다. 사업의 실행력을 높이고자 노인복지 현황과 경기도 노인 복지 정책을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본 보고서가 현재부터 2020년까지의 노인 문제와 욕구에 현실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주요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연구에 도움을 주신 많은 학계 및 현장전문가, 담당공무원 에게 감사드린다. 2016년 7월 경기복지재단 대표이사 박 춘 배 발간사

요 약 i □ 연구 목적 ○ 2015년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수립 연구에서 제시한 비전 우리동네에서 행복한 어르신을 실현하기 위한 3대 정책 9개 핵심과제 30개 추진 사업의 실행계획 수립 ○ 노인의 4고(빈곤, 질병, 고독, 무위)를 중심으로 노인의 현황과 경기도 노인복지정책 분석 ○ 평균수명 증가에 따른 노년층의 자아실현을 위한 신정책 발굴 ○ 노인세대 증가에 따른 경기도만의 특화된 정책 개발 □ 연구 방법 ○ 문헌검토 - 2015년 발간된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수립 연구 를 바탕으로 통계자료와 기존의 연구자료를 활용하여 노인의 4고를 중심으로 인구사회학적 관점에서 노인을 둘러싼 현황을 분석하고 경기도의 노인복지정책을 분석 - 이를 바탕으로 3대 정책 목표 9개 핵심과제 30개 추진 사업 수립 ○ 자문회의 - 학계와 현장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추진 사업의 실행계획 수립에 반영함 □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체계 ○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은 3대 정책 목표, 9개 핵심과제, 30개 추진 사업으 로 구성되어 있음 ○ 30개 추진 사업은 확대사업 13개, 신규사업 17개로 구분됨 ※ 추진 사업의 대상, 주요 내용, 예산 등 세부 사항은Ⅲ. 2020 경기노인복지비 전 추진 계획에 제시함 요약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ii <그림>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체계도 □ 정책 제언 ○ 노인 수명 증가에 따른 노년층의 자아실현을 위한 사회참여 중심의 신정책 발굴 및 개발 ○ 시・군별로 노인복지 인프라와 고령화율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를 고려한 보건복지의료 연계 정책을 제안 ○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의 실현을 위해 소득보장체계의 구축, 보건복지의 료를 연계한 연속적 보호시스템 구축, 의지에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생활할 수 있는 주거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법적 기반조성, 재정확 보, 움직일 수 있는 조직이 구성되어야 함 - 경기도 노인복지비전수립과 중장기계획 수립을 위한 조례제정, 2020 경기노인 복지비전 실행을 위해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거주하기(AIP)지원 조례, 노 인 인권 조례가 제정되어야 함 - 모든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인 생활지원 정책을 위해 각 부서의 의견을 조율하고 협업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도지사 직속의 조직으로 저출산고령사회 조정실(예 : 재난안전본부) 구성과 노인복지과의 증원 필요

목 차 iii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3 2. 연구방법 ·················································· 6 Ⅱ 노인복지의 현황과 시사점 / 7 1. 노인복지의 현황············································ 9 2. 경기도 노인복지정책 현황··································· 22 3. 시사점··················································· 27 Ⅲ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추진 계획 / 31 1.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수립································· 33 2.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체계································· 38 3.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추진 사업···························· 48 4. 우선 추진 사업 분류······································· 103 Ⅳ 정책 제언 / 107 1 정책 제언················································· 109 참고문헌 / 115 목차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iv 표 차례 <표 Ⅱ-1> 경기도 노인일자리 사업유형별 현황···························· 22 <표 Ⅱ-2> 노인여가복지시설 현황 ····································· 24 <표 Ⅱ-3> 노인의 경로당/노인복지관 불만족하는 이용 이유 ················ 25 <표 Ⅲ-1> 정책 목표 1. 안전한 생활 영위의 추진 사업 대상 및 주요 내용······ 40 <표 Ⅲ-2> 정책 목표 2. 활기찬 사회활동 지원의 추진 사업 대상 및 주요 내용··· 42 <표 Ⅲ-3> 정책 목표 3. 건강한 복지공동체 구현의 추진 사업 대상 및 주요 내용·· 44 <표 Ⅲ-4> 추진 사업의 연차별 예산···································· 45 <표 Ⅲ-5> 연령별 노후준비 수준······································ 48 <표 Ⅲ-6> 효자손 플러스 사업으로 지원 가능한 서비스···················· 59 <표 Ⅲ-7> 카네이션하우스사업 현황···································· 74 <표 Ⅲ-8> 노인범죄자의 성별과 연령··································· 77 <표 Ⅲ-9> 핵심과제별 추진 사업 분류(확대, 신규) ························ 106 <표 Ⅳ-1> 증원된 노인복지 업무분장표································· 113

목 차 v 그림 차례 <그림 Ⅰ-1> 연구 흐름도·············································· 6 <그림 Ⅱ-1> 경기도 2015년 대비 2020년 노인인구 전망····················· 9 <그림 Ⅱ-2> 전국 및 경기도 65세이상 1인가구 변화 추이··················· 10 <그림 Ⅱ-3> 전국 및 경기도 노인가구별 상대적 빈곤율····················· 11 <그림 Ⅱ-4> 주요 국가의 65세이상 노인 빈곤율··························· 11 <그림 Ⅱ-5> 가구유형별 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 수························ 12 <그림 Ⅱ-6> 경기도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 12 <그림 Ⅱ-7> 전체인구 및 65세이상 노인의 1인당 월평균 진료비·············· 13 <그림 Ⅱ-8> 치매환자 수 증가 전망···································· 14 <그림 Ⅱ-9> 노인인구 대비 치매노인비율································ 14 <그림 Ⅱ-10> 가구형태(노인독거 및 노인부부)별 자녀와의 왕래 빈도·········· 15 <그림 Ⅱ-11> 연령별 무연고 사망자 비율································ 16 <그림 Ⅱ-12> 연령별 자살률·········································· 16 <그림 Ⅱ-13> 경기도 시‧군별 2007~2013년 평균 노인자살률················ 17 <그림 Ⅱ-14> 향후 5년간 고려시 본인에게 시급한 복지서비스················ 17 <그림 Ⅱ-15> 연령대별 여가생활 만족도 ································ 18 <그림 Ⅱ-16> 연령대별 가장 만족스러운 여가활동 1순위···················· 19 <그림 Ⅱ-17> 노인의 경제활동 실태···································· 19 <그림 Ⅱ-18> 경기도 가구유형별 주거비 부담률··························· 21 <그림 Ⅱ-19> 경기도 가구유형별 주택수리필요 여부······················· 21 <그림 Ⅲ-1> 변화하는 노인상(신노년) ··································· 33 <그림 Ⅲ-2> 노인복지 현황과 정책분석의 키워드와 핵심과제 연계 ··········· 34 <그림 Ⅲ-3>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과 3대 정책 목표····················· 35 <그림 Ⅲ-4>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체계도 ···························· 38 <그림 Ⅲ-5> 노후준비 지원센터와 경기도 간 포괄적 운영체계··············· 49 <그림 Ⅲ-6> 주택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구축 전략························· 57 <그림 Ⅲ-7> 경기도 노인가구/비노인가구 주택건축연도···················· 60 <그림 Ⅲ-8> 경기도 노인가구/비노인가구 주택수리필요 여부················ 60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vi <그림 Ⅲ-9> 경기도 노인주거복지시설 입소정원 대비 입소인원비율··········· 62 <그림 Ⅲ-10> 광역지자체별 노인보호구역 지정현황························ 64 <그림 Ⅲ-11> 최근 10년간 노인사망자 현황······························ 64 <그림 Ⅲ-12> 우리나라 노인의 독립적으로 이동하기 현황··················· 66 <그림 Ⅲ-13> 경기도 노인의 독립적으로 이동하기 현황····················· 66 <그림 Ⅲ-14> 연령별 건강검진율······································· 87 <그림 Ⅲ-15> 노인의 건강과 경제력을 고려한 우선 추진 사업 분류·········· 104 <그림 Ⅳ-1> 경기도청의 노인복지 업무 관련 조직 및 인력·················· 112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2. 연구방법

Ⅰ 서 론 3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 연구의 필요성 ○ 노인인구의 증가와 고령화율의 상승은 인구사회학적 환경변화를 초래 - 2015년 대비 2020년에는 전국 노인인구가 약 23% 증가할 전망이며, 경기도 노인인구는 약 3% 증가할 전망임. 또한 고령화율도 전국은 37%p 높아져 고령 사회로 진입하며 경기도는 23%p 높아질 전망 ・ 2020년 경기도 인구는 12,928천명으로 2015년 12,357천명보다 571천명 늘어 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노인인구는 2015년 1,254천명에서 2020년 1,630 천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고령화율이 현재 10.3%에서 2020년 12.5%로 높아짐과 동시에 노인인구의 절 대적 수가 늘어날 전망임 - 기대수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0년 기준 2000년 76.0세에서 2015년 81.7세, 2020년 82.6세로 증가할 것으로 추계됨(통계청, 2011) - 경기도의 노인 1인가구는 2015년 대비 2020년 36.6% 증가할 전망임 ・ 1인가구의 증가와 가족의 고령화 등에 따라 느슨한 가족관계로 인한 부양과 돌 봄의 사회화가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됨 ・ 노인 1인가구에 대한 지원체계 – 주거환경, 생활지원 등을 포함한 지역네트워크 구성 필요 - 2020년에는 한국의 경제성장을 주도한 베이비부머세대가 유입됨으로 다양한 특성의 노인집단인 신노년의 등장이 예상됨 ・ 경기도 베이비부머는 1,630,272명1)으로 2020년에 65세가 되는 베이비부머는 ⨠⨠Ⅰ 서 론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4 139,000명으로 예상됨 ・ 베이비부머의 본격적인 노인층 유입에 따라 건강하고 활동적인 노인의 수가 증 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노인이 돌봄의 대상에서 선배시민으로 위치가 변화할 것으로 전망됨 ・ 그러나, 일자리, 부양비 증가 등으로 노인층과 다른 연령층의 이해도 요구됨 - 고령화율의 증가와 노인인구 수 증가에 따라 노인복지에 투입되는 자원의 공 급량 증가가 요구되어 공공자원의 한계가 예상됨 ・ 공공자원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지역사회와 개인의 역량강화가 필요함 ○ 정부의 세출규모 중 사회복지분야 예산은 지난 10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이현우, 2016) - 중앙정부의 총 세출규모는 2014년 기준 355조 8천억으로, 2005년 209조 6,000억원에서 약 10년 동안 연평균 61% 증가 - 세출예산 대비 사회복지비의 비중은 2005년 21.8%에서 2014년 27.3%로 연평 균 2.5% 증가 -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지출은 2014년 기준 40조 83억원으로 2005년 12조 8,850억에서 연평균 13.4% 증가 ・ 사회복지지출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초연금제 시행에 따라 사회복지비 부담 이 더욱 가중됨 ○ 노인복지정책의 중심과제는 노인빈곤 감소를 위한 노후소득보장 강화, 노 인일자리 확대, 질병과 신체기능저하에 대비한 노인건강관리체계 구축, 고 독과 무위에서 벗어나 활기찬 노년생활 영위를 위한 노인여가복지시설의 확충과 프로그램의 다양화, 그밖에 취약계층 노인보호를 위한 다양한 서비 스지원 등이 있음 - 이러한 노인복지정책의 대상은 노인 집단의 내부 구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 - 특히 노인의 빈곤 상태(소득정책), 건강상태(건강과 돌봄정책), 노인집단의 욕 구 등 1) 통계청 연앙인구

Ⅰ 서 론 5 ○ 신노년의 등장으로 다양해진 노인의 욕구와 한정된 공공자원의 적절한 활 용을 위해 정책설계의 관점 변화 필요 -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정책에서 각 시·군의 고령화율, 인구구성, 지역인프라 를 고려한 차별화된 정책으로 변화 - 시설중심 복지에서 지역사회와 개인중심 복지로 변화 ・ 공급체계에 따른 분절된 서비스 제공에서 노인의 삶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에서 계속적으로 거주하기 위한 복지서비스의 제공 - 빈곤정책에서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사회참여를 위한 여가중심 정책으로 변화 - 돌봄대상의 노인에서 권리의 주체로서 자아실현을 위한 교육·인식개선 등의 노력 □ 연구의 목적 - 2015년 수립된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수립 연구에서 제시한 비전 우리동네 에서 행복한 어르신을 실현하기 위한 3대 정책 9개 핵심과제 30개 추진 사업 의 실행계획 수립 - 노인의 4고(빈곤, 질병, 고독, 무위)를 중심으로 노인의 현황과 경기도 노인복 지정책 분석 - 평균수명 증가에 따른 노년층의 자아실현을 위한 신정책 발굴 - 노인세대 증가에 따른 경기도만의 특화된 정책 개발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6 2 연구방법 ○ 연구 방법 - 문헌검토 ・ 2015년 발간된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수립 연구를 바탕으로 통계자료와 기 존의 연구자료를 활용하여 노인의 4고를 중심으로 인구사회학적 관점에서 노인 을 둘러싼 현황을 분석하고 경기도의 노인복지정책을 분석 ・ 이를 바탕으로 3대 정책 목표 9개 핵심과제 30개 추진 사업 수립 - 자문회의 ・ 학계와 현장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추진 사업의 실행계획 수립에 반영 ○ 연구의 흐름 <그림 Ⅰ-1> 연구 흐름도 연구 내용 연구 방법 과업 착수(연구설계) 노인의 현황, 중앙정부 및 경기도 노인복지정책 및 해외사례 검토 ▶ 문헌연구 행정자료 분석 3대 정책 목표 9개 핵심과제 30개 추진 사업의 실행 계획 도출 ▶ 현황자료 분석 전문가(현장・학계) 자문회의 과업 완료

Ⅱ 노인복지의 현황과 시사점 1. 노인복지의 현황 2. 경기도 노인복지정책 현황 3. 시사점

Ⅱ 노 인 복 지 의 현 황 과 시 사 점 9 1 노인복지의 현황 □ 노인인구 증가와 노인가구 구성 변화 가속화 ○ 2020년 경기도 노인인구는 2015년 대비 30%, 고령화율은 23%p 상승할 전 망(통계청, 2014) ○ 2015년 대비 2020년 노인인구 증가율을 시·군으로 살펴보면, 가장 크게 증가하는 시·군은 하남시(50.1%), 화성시(44.9%), 시흥시(36.2%)임 - 노인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하는 하남시는 2015년 대비 2020년 인구가 44.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전체인구보다 노인인구가 더 급격히 증가함 - 시흥시는 2015년 현재 고령화율이 7.7%로 젊은 도시에 해당되지만, 2020년에는 노인인구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노인복지 인프라의 확충이 필요함 <그림 Ⅱ-1> 경기도 2015년 대비 2020년 노인인구 전망 자료 :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Ⅱ 노인복지의 현황과 시사점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10 <그림 Ⅱ-2> 전국 및 경기도 65세이상 1인가구 변화 추이 (단위 : %) 자료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인구동향조사. ○ 수명연장과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노인 1인가구와 노인 부부가구의 증가 - 모든 연령대에서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특히 돌봄이 필요한 노인가구에 서 1인가구 또는 노인 부부가구의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음 ・ 전국 65세이상 1인가구수는 2010년 65세이상 가구의 25.4%에 해당하며, 2020 년 27.3%, 2035년 45%가 1인가구일 것으로 예상됨 ・ 경기도는 2010년 65세이상 가구 중 18.6%가 1인가구이며, 2020년에는 23.3%, 2035년에는 39.7%가 1인가구일 것으로 예상됨 - 특히 노인의 가구 구조에 큰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데, 노인 단독가구(23%)와 노인 부부가구(44.5%)가 전체 노인가구의 약 6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자녀 와 동거하는 노인가구는 약 28.4%에 불과함(정경희 외, 2014) ○ 급속한 고령화의 속도, 가구구조의 변화, 노인 부양의식 약화 등을 종합적 으로 감안할 때, 노인의 빈곤과 질병·요양에 대한 빈곤 대책, 사회적 돌봄 의 필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음 □ 소득기반이 취약한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사회경제적 부담 증가 ○ 전국노인의 빈곤율은 49.6%이며, 전국노인 1인가구 빈곤율은 76.7%, 경기 도 노인 1인가구 빈곤율은 64.5%로 노인 1인가구를 위한 빈곤 대책, 사회 적 돌봄의 필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음 - 노인 가구주가구의 빈곤율은 전국 26.9%, 경기도 43.3%로 경기도는 전국에 비해 높게 나타남

Ⅱ 노 인 복 지 의 현 황 과 시 사 점 11 <그림 Ⅱ-3> 전국 및 경기도 노인가구별 상대적 빈곤율 자료 : 통계청(2015). 2015 가계동향조사., 경기복지재단(2016). 경기도민 복지 실태조사 원자료. - OECD(2012년 기준)에 따르면,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빈곤율은 약 50%로 회 원국 중 1위이며 평균(12%)에 비해 약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빈곤율이 높은 국가는 호주(33.5%), 멕시코(27.0%), 스위스(23.4%), 미국 (21.0%)순이며, 가장 낮은 국가는 네덜란드로 1.5%에 그침 <그림 Ⅱ-4> 주요 국가의 65세이상 노인 빈곤율 (단위 :%) 자료 : OECD Data. - 우리나라 노인의 주요한 소득원인 기초연금은 전체노인의 73%, 빈곤노인가구 의 87%가 수급대상임(황남희, 2016). 특히 빈곤율이 가장 높은 노인 단독가구 에서 공적이전 소득의 비중이 55%로, 기초연금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12 - 가구유형별 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 수를 보면, 가구유형 중 일반세대 다음으 로 노인세대 수가 많음. 2012년에 비해 2013년 수급가구 수는 0.42% 감소하였 으나, 2014년 0.4% 다시 증가함 <그림 Ⅱ-5> 가구유형별 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 수 (단위 : 가구) 자료 : 통계청.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현황. - 경기도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수는 성남시 14,927명, 안산시 13,788명, 고양시 13,284명 순으로 높으며, 각 시・군 전체인구의 1% 수준임 ・ 한편,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노인인구 비율은 안산시 8%, 성남시와 고양시가 4%로 전체인구 대비 노인인구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그림 Ⅱ-6> 경기도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 자료 : 보건복지부(2015). 기초생활보장수급자 현황. - 소득기반이 약화되거나 상실되는 시기의 노인가구에 대한 촘촘한 빈곤대책이 필요함

Ⅱ 노 인 복 지 의 현 황 과 시 사 점 13 □ 사회의 고령화에 따라 진료비 증가와 치매환자 증가에 따른 사회적 기회비용 발생 ○ 2016년 1분기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가 10만원에 육박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16년 1분기 전체인구 1인당 월평균 진료비(비급여는 포함 안 됨)가 처음으로 30만원을 넘어섰으며, 이는 노인 1인당 진료비의 증가 와 관계있다고 분석함 - 노인이 전체 진료비 중 37.8%(5조 6,976억원)를 사용하여 2015년에 비해 11.3%(5,769억원) 늘어남 - 노인의 외래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질병은 고혈압이었으며, 급성기관지염, 치 은염 및 치주질환, 당뇨병 순임 - 노인의 입원 진료인원은 백내장과 치매(알츠하이머병), 뇌경색증, 폐렴 순으로 많음 <그림 Ⅱ-7> 전체인구 및 65세이상 노인의 1인당 월평균 진료비 (단위 : 명) 자료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치매노인이 급증함. 전국 65세이상 치매노인은 84만 명으로 전체노인 중 10.39%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됨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1년~2015년 동안 치매로 진료 받은 환자가 56% 급증 ・ 치매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임을 알 수 있음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14 <그림 Ⅱ-8> 치매환자 수 증가 전망 (단위 : 인구 10만명당, %) 자료 : 보건복지부. 2012년 조사결과. - 2013년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약 117조원(GDP의 약 1%)이었으나, 2015 년에는 약 432조원(GDP의 약 15%)까지 증가 - 2015년 치매 초진환자는 경기도의 노인인구 대비 0.3%에 해당하며, 시흥시 (0.45%), 과천시와 파주시(0.4%)가 높게 나타났으며, 고령화율이 높은 양평 군, 가평군, 연천군은 경기도와 비슷하거나 낮게 나타남 ・ 이는 치매노인수와 더불어 의료기관의 접근성과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임 <그림 Ⅱ-9> 노인인구 대비 치매노인비율 (단위 : %) 자료 : 건강보험공단(2015). 치매관련 경기도 시・군별 진료 현황.

Ⅱ 노 인 복 지 의 현 황 과 시 사 점 15 □ 노인 1인가구 증가와 가족의 돌봄기능 약화 등에 따른 무연고 사망, 자살 등 사회적 문제 발생 ○ 노인은 일정한 연령이 되면 치매와 중풍 같은 노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독 립적으로 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워짐. 그간 노인에 대한 돌봄은 가족이 부양 하는 것을 당연시 여겨왔으나, 가족의 구조 및 기능의 변화와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 활성화 등으로 인해 전통적인 방식에 의한 노인돌봄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임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4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가구형태 중 노인 1인가 구는 2011년 19.6%(2,094명)에서 2014년 23%(2,407명)로 증가함. 연령은 75~79세 24.8%, 70~74세 24.5% - 또한 노인 1인가구 형태의 비동거 자녀와의 왕래 빈도는 한 달 1회 27.6%, 분 기 1・2회 19.7% 순으로, 자녀와의 왕래는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남. 왕래가 없는 경우는 45%로, 노인부부 가구형태(0.5%)와 비교하였을 때 오히려 높음 - 독거노인은 빈곤, 우울, 자살 등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음 <그림 Ⅱ-10> 가구형태(노인독거 및 노인부부)별 자녀와의 왕래 빈도 (단위 : %)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4). 2014 노인실태조사. - 정부는 노인을 위한 돌봄의 사회화를 위해 2007년에 바우처 방식으로 현재의 노인돌봄종합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2008년부터 요양이 필요한 노인 을 위한 노인장기요양보험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음 ・ 노인 부양의식의 약화로 가족중심의 비공식 간병이 사회화되고 의료비 및 간병 비가 증가할 전망임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16 ○ 향후 독거노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고독사나 무연 사가 새로운 문제로 떠오르고 있음 - 무연고 사망자는 2015년이 역대 최대치인 1,245명으로 2014년에 비해 23.5% 증가함. 연령별로 65세이상 노인이 31%로 가장 많았으며, 지역별로는 충북 (58.1%), 경남(52.9%) 순임(울산은 무연사가 2명이며, 모두 70세 이상 노인임) <그림 Ⅱ-11> 연령별 무연고 사망자 비율 (단위 : %) 자료 : 김춘진 국회의원 홈페이지 자료 재편집. ○ 노인자살률은 빈곤율과 함께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남 - 2012년 기준 노인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81명으로 평균(18명)에 비해 4.5배 나 높음(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 보건복지부(2013)의 자살실태조사 보고서결과에서도 60대 이상부터 자살률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남 ・ 따라서 60대 이상의 노인, 특히 남성노인을 대상으로 자살 예방 교육이나 상담 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 <그림 Ⅱ-12> 연령별 자살률 (단위 : 인구 10만명당) 자료 : 보건복지부(2013). 자살실태조사.

Ⅱ 노 인 복 지 의 현 황 과 시 사 점 17 <그림 Ⅱ-13> 경기도 시‧군별 2007~2013년 평균 노인자살률 (단위 : 인구 10만명당) 자료 : 유병선(2015). 경기도 노인자살예방사업의 현황과 과제. - 경기도 노인자살률은 83.1명이며, 31개 시·군 중 오산시(123.3명)가 가장 높 고 과천시는 51.1명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 자살률 감소를 위해 다양한 정책이 제시되고 있으나, 신체적 건강과 정서적 안 정을 위한 운동과 여가활동 등 사회참여가 좋은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음 □ 일자리와 여가활동에 대한 노인의 욕구를 반영한 정책설계 필요 ○ 노인은 건강한 노화, 활동적 노화에 관심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정책이 필요함 - 경기도 복지실태 및 복지수준 분석(한겨례, 2014)에 따르면, 향후 5년간 고려 시 본인에게 시급한 복지서비스에 대해 60세이상 응답자는 일자리 창출 및 고 용서비스(21.3%), 신체건강 및 보건의료서비스(37.2%), 문화 및 여가(9.7%) 순으로 높음. 건강한 노화와 활동적 노화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Ⅱ-14> 향후 5년간 고려시 본인에게 시급한 복지서비스 (단위 : %) 자료 : 한겨례(2014). 경기도 복지실태 및 복지수준 분석.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18 ○ 노인 욕구의 다양화와 베이비부머의 유입으로 여가권 보장이 강조됨 - 노년층에서 제3의 연령대인 젊은 노인이 증가 추세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에 따르면, 노인 본인이 규정하는 노인연령 또한 평균 71.7세로 기준 연 령보다 높은 만큼 여가가 삶에서 중요하다는 인식 증가 ・ 전체노인 중 99%가 여가문화활동(휴식활동 포함)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남. 노후의 전반적인 활동이 여가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여가시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가 중요해짐 ・ 노인의 여가문화활동 중 휴식활동이 90.2%를 차지하고 있어 활동적인 노년생 활을 위해 다양한 여가문화활동이 요구됨 - 노인의 여가시간 활용이 중요해지고 있으나,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남 - 2014년 국민여가활동조사에 따르면, 여가생활 만족도가 20대 46.9점, 30대 45.6점, 40대 45.2점, 50대 45.9점, 60대이상 44.3점으로 60대이상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임 ・ 노인의 여가생활 만족도가 낮은 것은 전쟁을 경험한 세대로서 여가 참여 기회 의 부족과 중・장년기에 비해 늘어난 시간적 여유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 부재가 원인의 일부로 생각됨 <그림 Ⅱ-15> 연령대별 여가생활 만족도 (단위 :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2014). 2014 국민여가활동조사. - 노인의 여가에 대한 욕구 증가와 달리 2014 노인실태조사결과, 노인의 주된 여가활동은 휴식으로 그 중에서도 TV시청이 대다수임

Ⅱ 노 인 복 지 의 현 황 과 시 사 점 19 ・ 2014 국민여가활동조사 보고서에서도 가장 만족스러운 여가활동은 TV시청과 산책이 가장 많음 <그림 Ⅱ-16> 연령대별 가장 만족스러운 여가활동 1순위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2014). 2014 국민여가활동조사. ○ 노인의 일자리에 대한 욕구는 높으나, 현재 일하고 있는 비율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2014 노인실태조사의 노인의 경제활동실태 분석결과를 보면, 현재 일하고 있 는 노인은 65~69세가 39.1%, 70~74세 31.5%, 75~70세 25.3%, 80~84세 16.4%, 85세이상 63%임 - 현재 일자리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그저 그렇다와 만족하지 않는 편이 더 높아짐 ・ 이유로는 65~79세까지는 낮은 급여수준, 80세이상은 건강상태와 맞지 않음으 로 나타남. 따라서 연령대별 급여와 건강 수준에 맞는 일자리가 제공되어야 함 <그림 Ⅱ-17> 노인의 경제활동 실태 (단위 : %)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4). 2014 노인실태조사.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20 □ 지역사회에서 계속 거주하기로 전환되는 노인주거의 패러다임 ○ 시설공급 확대에서 지역사회에서 계속적으로 거주하는(AIP : Aging In Place)2)전략으로 전환 - 전용시설보다 지역사회 보호 속에서 살던 곳에서 그대로 나이 들어가기를 권 장하는 정책으로 전환 - 이러한 정책 전환의 배경은 시설운영에 대한 국가 재정 부담을 줄이게 되고, 노인들 자신이 애착을 갖고 있던 주거환경에서 계속적으로 거주할 수 있기 때 문임 - AIP가 가능하기 위해 노인들이 자신의 집에서 살면서 취약해진 건강, 이동성 등을 지원받기 위해 전문적인 보건의료서비스, 이동서비스, 안부서비스 등 다 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필요시에는 주간보호나 단기보호시설의 이 용 등이 가능하도록 지역사회의 노인문제를 지역사회에서 해결하는 정책들을 전개하고 있음 - 이에 대한 법률로 영국은 1990년「국민보건서비스 및 지역사회보호법(National Health Service and Community Care Act)」제정. 스웨덴은 1992년 에델개 혁을 통해 노인보건의료서비스와 복지서비스를 통합하여 하나의 체계하에 운 영하는「사회서비스법」개혁 ○ 노인전용시설의 공급은 대규모에서 소규모로 전환되었으며, 서비스 수준별 다양한 노인전용주거시설이 공급되고 있음 - 대규모 노인전용시설을 공급하여 노인들을 과거에 살던 곳에서부터 전혀 낯선 곳으로 이주시키는 것이 아니라, 노인전용시설로 이주하더라도 지역사회 안에 서 이주할 수 있도록 소규모 노인전용시설의 공급으로 전환 - 1960년대부터 대규모 노인전용주거시설의 폐해가 드러나면서3) 시설화 되지 2) Age in Place(영국에서는 Staying Put이라고 함) : 지역사회보호시스템 속에서 자신이 젊은 시절부터 살 아왔던 공간에서 계속적으로 살면서 기존에 갖고 있던 생활권의 변화 없이 건강상태가 악화된 것을 보완 받으면서 살 수 있음 노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방식임 3) 1962년 영국 Peter Townsend는 노인홈실태조사 보고서인 「마지막 안식처(The Last Refuge)」를 통해 대규모 노인홈에서는 사생활이나 독립성이 보장되지 못한다는 주장을 하면서 시설생활은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하거나 즐거움을 찾을 기회가 거의 없으며, 비인간적인 환경에서 죽을 날만 기다리는 모습으로 설 명되었음

Ⅱ 노 인 복 지 의 현 황 과 시 사 점 21 않는 케어형태인 보호주택4)이 확산되고 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서비스 선택 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노인전용주거시설이 공급되 기 시작함 - 즉, 전용시설을 공급하는 방향은 일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 아닌 개인의 자율성과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는 거주시설로의 개발로 전환하고 있으며, 소규모로 하여 가정적인 분위기를 연출 - 또한, 소규모를 통해 시설을 지역사회로부터 배제하기보다는 지역사회 안에서 통합을 이루는 방식으로 이루어짐. 즉, 지역사회 통합방식으로 시설개발 및 운 영방식이 모색되고 있음 ○ 이러한 노인 주거복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노인의 현실적인 주거환경은 열악한 상황임 - 경기도의 가구유형별 주거비 부담률은 노인가구가 57%로 다른 가구에 비해 다 소 높게 나타남 - 주택수리필요 여부에서도 노인가구 외에 비해 주택수리에 대한 필요도가 비교 적 높음. 이는 노인의 빈곤과 관련 있는 것으로 소득과 주거 측면의 지원이 필 요함을 보여주는 결과임 <그림 Ⅱ-18> 경기도 가구유형별 주거비 부담률 (단위 : %) <그림 Ⅱ-19> 경기도 가구유형별 주택수리필요 여부 (단위 : %) 자료 : 유병선(2015). 경기도 취약계층 주거비부담 실태분 석 연구. 자료 : 경기복지재단(2016). 경기도민 복지 실태조사 원자 료 분석. 4) 대규모 노인홈에 대한 대안으로 개발된 영국의 보호주택(sheltered housing)은 시설화되지 않는 케어로 당시 허약노인을 위한 핵심적 정책이 되었으며, 각국에 퍼져나갔음 스웨덴의 서비스주택(serviced house), 미국의 노인공동생활주택(senior congregate housing), 일본의 실버하우징이 그 예에 해당됨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22 2 경기도 노인복지정책 현황 □ 소득기반이 취약한 노인인구를 위한 노후소득보장정책 ○ 기초연금제도 운영과 같이 직접적인 소득보장정책과 무료급식, 노인할인제 도 등 생활지원정책, 노인일자리·사회활동지원정책이 있음 - 경기도 기초연금 지급대상자는 2015년 기준 784,096명으로 전체노인 (1,318,882명)의 59.5%, 지급액은 1,715,460,127천원(국비 7%, 도비 6%, 시・ 군비 24%) - 2015년 전국 기초연금 수급률 72.5%(빈곤노인 87%, 비빈곤노인 58.3%)(황남 희, 2016) - 생활지원정책에는 결식우려노인 무료급식지원, 경로우대제도가 있음 ・ 결식우려노인지원 정책은 2015년 기준 경로식당 156개소, 17,012명(2015년), 재가노인식사배달사업은 157개소에서 7,992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 ・ 경로우대제도는 65세이상을 대상으로 공영·민영의 철도, 전철, 국공립공원 등 에 노인할인제도를 실시함 -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 경기도 노인일자리 사업유형별 현황을 보면, 공익형의 사업이 전체 사업수의 75%(785개), 시장형 사업단이 21%(227개), 인력파견형 사업단 2%(21개)임 ・ 공익활동 중에는 노노케어가 2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임 <표 Ⅱ-1> 경기도 노인일자리 사업유형별 현황 (단위 : 개) 사업 구분 사업 유형 사업 수 공익활동 노노케어 209 취약계층 지원 19 공공시설 봉사 515 경륜전수 활동 42 시장형 사업단 공동작업형 39 제조판매형 145 전문서비스형 43 인력파견형 사업단 - 21 계 1,033 주 : 경기도 자료를 토대로 분류

Ⅱ 노 인 복 지 의 현 황 과 시 사 점 23 □ 노화에 따른 의료비 증가와 치매환자 증가에 대응하는 건강 정책 ○ 경기도의 건강 정책을 지역사회중심의 건강관리정책과 질병관리 정책, 치 매 및 요양 정책으로 분류 - 지역사회중심의 건강관리 정책에는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이 대표적이며, 건강생활실천사업, 영양플러스사업, 구강검진 등 노인이 지역사회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내기 위한 기반 사업이 있음 - 질병관리 정책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암검진사업, 재가암환자관리 등 암 관리사업과 취약계층 진료지원사업이 있음 - 치매 및 요양 정책에는 치매 검진, 치매노인사례관리 등 치매관련사업과 노인 전문병원 운영관리사업 등이 있음 □ 1인가구 증가와 가족의 돌봄기능 변화에 따른 돌봄의 사회화 정책 ○ 경기도 돌봄의 사회화 정책은 중앙정책과 유사하나, 경기도의 정책이 더 세 분화되어 있음 - 중앙정부는 재가노인복지시설 설치・운영, 노인복지시설 기능보강, 노인복지 시설 인권보호 및 안전관리지침 등 노인복지시설 중심의 정책 위주임 - 경기도는 독거노인 응급안전돌보미 사업을 통해 독거노인 대상의 정책을 시행 중임. 또한 노인돌봄 기본서비스(29,874명)에서도 독거노인생활관리사를 파견 하고 있음 - 노인돌봄 정책에 있어도 중앙정부는 노인돌봄종합서비스에 그치고 있으나, 경 기도는 바우처 형식으로 돌봄 기본서비스, 종합서비스, 단기가사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음 ○ 중앙정부의 정책만으로는 돌봄영역의 각종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경기도의 정책은 특화사업 중심으로 운영됨 - 경기도는 노인상담 중심으로 정책을 시행 중이며, 노인종합상담센터와 56개 노인상담센터를 운영하여 학대, 치매, 자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노인의 심리 적 안정 지원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24 - 재가노인을 지원하기 위해 재가노인복지시설 운영 - 저소득층에 대한 노인장기요양시설 및 재가급여 지원 □ 노인의 사회참여 욕구에 대한 여가지원 정책 ○ 여가지원 정책은 여가시설 지원과 노인 직접 지원이 있음 - 여가활용지원 정책은 노인여가복지시설(경로당, 노인복지관, 노인자원봉사 활 성화 등) 운영지원정책과 노인에게 직접 지원하는 경로우대제도, 어버이날 행 사, 노인의 날 및 경로의 달 행사 등이 있음 - 전국 노인복지관은 344개소이며, 경기도 노인복지관은 28개 시・군 52개소로 2012년 이후 신축되지 않았으나, 미설치 지역인 오산시(2016년), 양주시(2017 년)는 개관예정임 - 대표적 여가복지시설인 노인복지관(28개시 51개소)에 대해 16,546백만원 지원 - 설치・신고 된 경로당 9,164개소(2014년 기준)의 운영비・냉난방비・사회활동 비를 지원하며 경로당 활성화사업을 운영 ・ 경기도 특화사업인 아침이 기다려지는 경로당을 2015년도에 이천시, 양평군에 시범사업 실시 <표 Ⅱ-2> 노인여가복지시설 현황 (단위 : 개소, 전국/경기도)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이용률(%)* 노인복지관 300/52 319/52 344/52 89 경로당 62,442/8,912 63,251/9,041 63,960/9,164 259 주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4).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 : 보건복지부(2015). 2015 노인복지시설 현황, 경기도(각년도) 노인복지사업 안내. - 노인의 여가에 대한 욕구는 다양화되고 증가하고 있는데,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이용률은 노인복지관 8.9%, 경로당 25.9%로 노인여가시설 중심의 여가정책이 변화되어야 함을 시사 ・ 여가복지시설 이용 시 불만족의 이유를 이용노인과 맞지 않음(경로당 66.4%, 노인복지관 59.1%) , 시설열악(경로당 14.3%, 노인복지관 21.3%) 순임

Ⅱ 노 인 복 지 의 현 황 과 시 사 점 25 구분 시설 열악 프로그램미비 교통 불편 이용노인과 맞지 않음 경제적 부담 기타 기타 계(명) 경로당 143 78 45 664 56 14 1,000(85*) 노인 복지관 213 32 135 591 29 00 1,000(21*) <표 Ⅱ-3> 노인의 경로당/노인복지관 불만족하는 이용 이유 (단위 : %, 명) 주 : 본인응답자 1,0279명 중 경로당/노인복지관 이용에 만족하고 있지 않은 응답자를 대상으로 함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4).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 특정 노인인구집단을 대상으로 맞춤형 사업 실시 - 경기도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지역공동체를 통한 사회관계 활성화와 소일거 리, 여가프로그램 등 복합적 활동이 가능한 카네이션하우스사업(35개소, 350 백만원)을 운영 중 □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주거 정책 ○ 저소득이며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노인을 위한 노인주거복지시설 운영 지원 - 노인주거복지시설은 입소정원의 수에 따라 양로시설(10명 이상)과 노인생활공 동가정(10명 미만)으로 나뉨 - 경기도는 14개 양로시설에 대해 운영비와 인건비로 7,121백만원 지원 ○ 일상생활 기능이 저하된 노인을 위한 노인의료복지시설 지원 - 우리나라는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시행되면서 노인의료복지시설로 구 분되어 있으며, 시설은 규모에 따라 10인 미만 시설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10인 이상인 경우는 노인요양시설로 나누어짐 - 노인장기요양5)에 대한 수요는 노인요양시설의 급증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2007년 전국적으로 1,114개소였던 노인요양시설은 2013년에는 4,648개로 증 5)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크게 재가급여와 시설급여, 특별현금급여로 나누어지고 있으며, 재가급여는 신 고제로, 시설급여는 지정제로 운영되고 있음 재가급여에는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기타재가급여 등이 있는데, 재가급여를 제공하는 장기요양기관에 의해 제공됨 특별현금급여는 가족요양비, 특례요양비, 요양병원 간병비가 있음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26 가하여 제도시행 불과 6년 만에 4배 이상 급증하고 있음(국민건강보험공단, 2013) - 2013년 12월 기준으로 경기도 노인요양시설 705개,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635개로 총 1,340개소가 운영 중에 있음(경기도 내부자료, 2013) - 법인요양시설 52개소에 대해 6,079백만원 지원 ○ 일반주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위한 정책은 공공임대주택에 일부분으로 한 정되어 정책이 전개되고 있음 -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노인주택공급이나 노인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 등이 바람 직하나, 일반주택에 거주하다가 나이가 들어 주택 시설 등이 생활에 적합하지 않은 노인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이 부재하다고 할 수 있음

Ⅱ 노 인 복 지 의 현 황 과 시 사 점 27 3 시사점 □ 노후소득보장 정책 중 기초연금의 낮은 수급률과 같은 공적소득에 대해서는 경기도의 역할이 한계가 있음. 노인일자리・사회활동지원 사업을 통한 노후소득보장에 대해서는 베이비부머의 유입 등 변화 된 노인의 인적자원 활용을 위한 노인일자리・사회활동지원 정책의 유연화가 필요 ○ 현재 노인일자리 정책은 저학력, 저소득 중심의 일자리로 구성되어 있으나, 고졸 이상의 학력이 많이 분포한 베이비부머의 유입을 고려하여 근로시간, 일자리 영역 등 노인일자리 정책의 재편이 필요함(지은정, 2016) - 60세이상 취업률은 63.4%이나, 근로희망비율은 75.2%임. 65세이상 취업률은 50.9%이나, 근로희망비율은 63.3%로 고령자의 취업률에 비해 근로희망비율이 더 높게 나타남 - 노인의 근로시간은 청장년근로자의 근로시간과 차이를 둘 필요가 있음. 근로 희망 노인의 73%가 시간제 일자리를 희망함 ○ 또한 다양한 노인의 욕구를 반영하기 위해 중앙정부 중심의 일자리사업에 서 지역맞춤형 노인일자리・사회활동지원사업을 지방정부 중심으로 전환 할 필요가 있음 - 안정적 노인일자리사업 추진을 위해 노인일자리사업 전담인력의 12개월 계약 등 환경조성 필요 □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보건・복지・의료의 총괄적인 정책 방향 모색 ○ 급속한 고령화와 다양한 욕구를 동반한 대상의 증가에 따른 분절적인 정책 수립이 아닌 연속선상에서 지원 가능한 총괄적인 정책수립을 위한 노력이 요구됨 ○ 건강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보건의료체계는 복지체계와 연 계되어있지 않아 분절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 노인이 손쉽게 복지와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28 연계된 보건의료서비스에 접할 수 있도록 연계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경로당, 노인복지관, 카네이션하우스 등에 주기적으로 보건서비스와 연계하 고, 70세 이후부터 감소하는 건강검진 수검률을 높여 건강한 노후생활영위를 지원 - 또한 사회의 고령화와 함께 치매노인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치매를 조기 에 진단・치료하며 가족과 이웃에게 치매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노력 필요 □ 돌봄의 사회화에 따라 돌봄서비스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나, 노인돌 봄 분야에서는 노인돌봄서비스의 품질, 노인돌봄의 연속성의 문제, 재활 및 영양서비스의 부재, 단기보호시설의 부족, 서비스 제공인력 의 열악한 근무요건과 낮은 대우로 인한 인력의 부족, 서비스 제공 기관의 불법행위, 노인학대 문제 등이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음 ○ 노인돌봄의 연속성은 노인의 기능과 상태 및 욕구에 맞게 서비스가 적절하 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으로 등급외자 노인에게도 적절한 예방서비스가 제 공되어야 하나, 현재 예방서비스의 개념과 내용에 대한 합의된 사항이 부재 한 상태임 - 예방과 요양을 포함하여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한 포괄적이고 연속적인 돌봄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일본의 지역포괄지원센터와 같은 운영체 계가 필요함 ○ 단기보호서비스는 노인들의 재가서비스를 위하여 중요한 서비스이지만, 노 인장기요양보험이 도입된 이후에 단기보호시설이 오히려 더욱 감소함. 단 기보호시설의 확대를 통하여 불필요한 노인의 시설 입소 예방과 보호자의 돌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본적인 인프라의 확대가 시급함 ○ 요양보호사는 장기요양서비스와 등급외자 노인을 위한 대인서비스를 제공 하는 핵심인력으로 매우 중요한 인적자원임. 그러나, 현장에서는 요양보호 사를 확보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태임. 특히 젊고 능력 있는 요양보호사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나, 오히려 요양보호 인력의 고령화와 이로 인한 업무 수행의 차질 등이 발생하고 있음

Ⅱ 노 인 복 지 의 현 황 과 시 사 점 29 - 장기요양기관이나 바우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들은 허위 서비스 급여 청구, 본인부담금 면제, 선물 공세 등의 각종 시장에서의 부정적인 행위를 일삼는 경 우가 빈번해지고 있음. 이는 제도의 신뢰성과 지속 가능성, 서비스의 질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됨 ○ 노인학대가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빈번히 사회적인 이슈로 제기되고 있음. 요양인력이 노인을 상대로 폭언과 폭행을 가하거나 노인에 대한 적절한 돌 봄을 제공하지 않음으로 인한 방임의 문제가 발생함. 특히 소규모의 요양시 설에서는 요양인력의 부족 등으로 인한 방임이 주요한 문제로 발생하고 있음 ○ 시설에서의 학대뿐만 아니라 재가에서의 학대와 노인의 자살 예방 및 방지 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 □ 지역사회에서 계속적으로 거주하기(AIP)로 주거의 패러다임이 변 화되고 있음. 주거복지에 대한 노인의 욕구가 높아지고 일반 노인들 을 위한 복지정책은 재가복지서비스와 보건서비스 등이 제공되고 있으나, 주거와 이동을 위한 복지정책은 거의 부재함 ○ 노인은 하루의 대부분을 집 또는 지역사회에서 머물게 되는데, 이로 인해 주거가 갖는 의미는 다른 연령층과 다르며, 주거환경은 다른 어떤 환경보다 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큼(김동배 외, 2013) - 노인친화적 주거공간과 함께 지역사회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서비스, 교통 약자로 보호받기 위한 서비스, 단순한 집수리 서비스 등이 필요함 ○ 노인전용주거시설은 현재 노인양로원, 노인공동생활가정이 운영되고 있으 나, 이들은 모두 건강한 노인들을 위한 정책으로 건강상태가 조금 악화된 노인들이 선택할 수 있는 주거대안이 없는 실정임 - 뿐만 아니라, 노인들은 되도록 지역사회 안에서 계속적으로 거주하는 AIP를 선호하기 때문에 지역사회에서 서비스 등을 제공받으면서 자신의 집에서 살 수 있는 노인들을 위한 지역사회보호와 지역사회에서 나이 들어 갈 수 있도록 하는(AIP) 정책이 필요함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30 ○ 또한 건강이 점차 악화되는 노인들이 본인들의 건강상태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주택유형의 개발 역시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예 : 영국의 보호주택 1형, 2형, 2½2형) □ 활동적 노화 및 건강한 노화에 관한 고령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 ○ 베이비부머를 포함한 다양한 속성을 가진 노인집단이 등장하면서 활동적 노화, 건강한 노화가 주목받고 있음 ○ 노인은 기존의 보호받아야 하는 수혜자에서 지역사회를 이끌어가는 선배시 민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노인 스스로 변화하는 노력을 하고 있음6) ○ 이러한 환경변화에 발맞춰 경기도는 노인의 인권에 관심을 갖고 지역사회 에서 노인이 활동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서 계속적으로 거주 하기(AIP) 조례제정 등의 노력이 요구됨 6) 한국노인복지관협회를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는 선배시민 대학운영 등의 활동이 있음

Ⅲ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추진 계획 1.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수립 2.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체계 3.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추진 사업 4. 우선 추진 사업 분류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33 1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수립 □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방향 ○ 2015년 수립된 경기노인복지비전 우리동네에서 행복한 어르신은 경기도 의 노인복지정책 수립 시 다양한 노인의 욕구의 반영과 한정된 공공자원의 활용을 위해 수립되었으며, 중앙정부의 노인복지정책의 방향성, 저출산고 령사회기본계획, 경기도 제3기지역사회복지계획을 반영하였고, 노인의 욕 구와 노인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립됨 ○ 신노년상을 반영한 비전 수립 방향 - 2020년의 노인은 전체인구의 12%에 해당하는 큰 인구집단이며, 1인가구가 많 아짐. 기존의 노인보다 경제력 있고 건강하며 다양하고 새로운 생각을 가진 노 인의 모습이 예상됨 <그림 Ⅲ-1> 변화하는 노인상(신노년) ⨠⨠Ⅲ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추진 계획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34 -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의 수립방향은 기존 노인복지정책의 대상인 보호받아 야할 취약계층의 노인과 경제력 있고, 건강하며, 적극적 사회참여욕구를 가진 노인층(신노년)이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살아가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수립 - 기존의 일반화된 정책에서 차별화(특성화) 정책, 시설중심의 정책에서 노인의 개개인을 중심으로 하는 복지정책, 여가・주거 등 생활전반을 지원하는 정책 으로의 변화, 노인을 보호의 대상에서 권리의 주체로 설정 ○ 전통적 노인복지의 과제인 4고의 대응정책 수립 - 경기도 노인복지 현황과 경기도 노인복지 정책을 전통적 노인복지의 과제인 4고(빈곤, 질병, 고독, 무위)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2020 경기노인 복지비전의 핵심과제 수립 <그림 Ⅲ-2> 노인복지 현황과 정책분석의 키워드와 핵심과제 연계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35 □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경기노인복지비전 우리동네에서 행복한 어르신 -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인 삶이 가능하도록(AIP) 환경을 조성하는 것과 연속적 보호시스템을 구축하여 개인의 환경 변화(소득, 건강, 고독, 무위)에 관계없이 지역사회에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함 □ 3대 정책 목표의 추진 방안 ○ 경기도 노인복지의 3대 정책 목표 - 우리동네에서 행복한 어르신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 목표로, 첫째 안전한 생활 영위, 둘째 활기찬 사회활동 지원, 셋째 건강한 복지공동체 구현을 설정함 <그림 Ⅲ-3>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과 3대 정책 목표 ○ 정책 목표 1 : 안전한 생활 영위 - 배경과 필요성 ・ 건강상태나 재정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살아가던 곳에서 지속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소득과 일자리를 통한 생계 유지, 거주환경과 이동안전 확보가 필요 ・ 노인 빈곤율(49.6%) 하향 조정을 위해 소득보장제도 강화, 고용 안정화 등의 정책이 필요하나, 지방정부인 경기도 정책으로는 제한적임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36 ・ 지역사회에서 안전하게 생활하기 위해 경제활동, 주거환경 개선, 안전한 이동을 위한 정책이 필요함 - 사업내용 ・ 베이비부머가 노인층에 유입되기 전에 건강, 재정, 여가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사전에 노후준비를 지원하는 환경조성 사업 추진 ・ 경제활동 지원을 위한 노후소득지원체계 구축 사업으로 반려동물관리사 사업, 일하는 어르신 안전지원사업 확대, 그리고 노인일자리사업의 안전적 운영을 위 한 노인일자리수행기관 지원 강화 사업 추진 ・ 노후된 주거에서 생활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노인을 위해 주거환경 개선 과 생활환경조성 추진 - 기대효과 ・ 열악해질 수 있는 노후를 살던 동네에서 안전하게 생활 가능 ・ 신체기능이 저하되어 돌봄서비스가 필요할 경우 시설에 입소하지 않도록 주거 환경과 생활환경이 개선되어 시설운영의 고정비용 억제 ○ 정책 목표 2 : 활기찬 사회활동 지원 - 배경과 필요성 ・ 기존의 노인복지 정책은 빈곤대응 정책이 대부분으로 정책의 대상도 빈곤노인 이었으며, 빈곤대응 정책은 노인 개개인이 아닌 집단으로 대상으로 하여 시설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구성 ・ 그러나, 다양성 추구로 노인의 성향이 변화하고 노인의 욕구도 빈곤대응에서 사회참여로 확대 ・ 노인의 욕구를 반영한 신노년문화 형성을 지원하고 확산할 시기 ・ 한편, 노인 1인가구의 증가와 노인의 우울증, 자살, 학대가 증가하고 있어 이를 위한 정책필요 - 사업내용 ・ 증가하는 사회참여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신노년을 위한 여가 및 자원봉사 활성화 추진과 긍정적 신노년문화 확산 추진 ・ 복지관 등 시설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노인의 이동성을 고 려하여 주민센터를 이용하도록 하는 찾아가는 여가프로그램 운영과 노인의 동 아리를 사회참여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노인동아리 운영 지원 사업 추진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37 ・ 노인의 공동체 활동을 위한 카네이션하우스사업, 신노년문화 확산을 위한 10만 시간드림 프로젝트, 건전한 성문화 환경조성 등의 사업 추진 ・ 또한 기대수명 증가와 노인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우울증, 자살, 학대 등을 예방 하기 위한 사업 추진 - 기대효과 ・ 다양한 자아실현 욕구를 가지고 있는 노인의 사회참여 지원 ・ 경기도의 신노년문화 형성 및 확산 ○ 정책 목표 3 : 건강한 복지공동체 구현 - 배경과 필요성 ・ 2015년 경기도 고령화율 10.3%, 2020년 경기도 고령화율 12.5% 증가 전망 ・ 노인인구의 증가는 부양비 증가, 생산인력 감소, 의료비 증가, 사회적 돌봄비용 증가 등 사회적으로 부정적 측면이 거론되고 있으나, 노인은 선배시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적극적인 모습으로 변화 중 ・ 노인을 보호대상이 아닌 사회구성의 주체로 인식한 정책수립 필요 ・ 노화 과정에서도 건강하게 지역에서 생활할 수 있는 사회기반 구축과 보건복지 의료를 연계하는 체계 구축 필요 - 사업내용 ・ 건강한 노화를 위해 건강관리체계를 구축하고 보건복지의료연계를 위해 지역사 회의 보건의료기관과 복지기관의 연계를 고려한 지역포괄지원센터 설치 사업 추진 ・ 노인의 권리와 책임을 노인 스스로와 모든 세대가 공감・공유할 수 있는 노인 인권선언, 지역사회에서 선배시민으로 활동하는 우리동네 안전지킴이, 골드카 운슬러단 사업 추진 - 기대효과 ・ 보건복지의료를 연계한 건강관리체계 구축으로 건강한 노화 지원 ・ 동네의 어르신으로서 노인의 위상 정립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38 2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체계 □ 2020경기노인복지비전은 3대 정책 목표, 9개 핵심과제, 30개 추진 사업으로 구성되어있으며, 30개 추진 사업은 13개의 확대사업과 17 개의 신규사업으로 구분됨 <그림 Ⅲ-4>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체계도 ○ 정책 목표 1 : 안전한 생활 영위 - 돌봄이나 생활지원이 필요한 시기가 되어도 익숙한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소득(일자리)지원, 주거환경 개선과 안전한 생활환 경 조성 - 핵심과제 1-1. 노후소득지원체계 구축 ・ 전국노인의 빈곤율은 49.6%이며 노인 1인가구 빈곤율은 76.7%, 경기도 노인 1인가구 빈곤율 64.5%로 노인 1인가구를 위한 빈곤 대책, 사회적 돌봄의 필요 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음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39 ・ 노인 빈곤율은 OECD 자료를 제공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회원국 중 1위이며 OECD 평균(12%)에 비해 약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전체평균 대비 노인평균 수입률 또한 6%로 OECD 회원국 중 최저 수준이며, 우 리나라 노인의 주요한 소득원인 기초연금은 전체노인의 73%, 빈곤노인가구의 87%가 수급대상임(황남희, 2016). 특히 빈곤율이 가장 높은 노인 단독가구에서 공적이전 소득의 비중이 55%로 나타나, 기초연금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 ・ 가구유형별 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 수를 보면, 가구유형 중 일반세대 다음으로 노인세대 수가 많음. 2012년에 비해 2013년 수급가구 수는 0.42% 감소하였으 나, 2014년 0.4% 다시 증가함 ・ 노후의 안정적 소득지원을 위한 노인일자리 지원 확대, 신규 노인일자리 사업, 등이 필요하며, 노인계층에 유입되기 시작하는 베이비부머세대를 위한 노후준 비 지원 사업의 추진이 필요함 - 핵심과제 1-2. 주거환경 개선 ・ 노인 주거복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노인의 현실적인 주거환경은 열악한 상황임 ・ 경기도의 가구유형별 주거비 부담률은 노인가구가 57%로 다른 가구에 비해 다 소 높게 나타났으며, 주택수리 필요여부에서도 노인가구 외에 비해 주택수리에 대한 필요도가 비교적 높음 ・ 일반주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위한 정책은 일부분인 공공임대주택으로 한정되 어 전개되고 있음 ・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노인주택 공급이나 노인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 등은 바람 직하나, 일반주택에 거주하다가 나이가 들어 노인이 생활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주택의 시설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이 부재함 ・ 즉, 지역사회에서 계속적으로 거주하기(AIP) 위해 일반 노인들을 위한 정책 중 재가복지서비스와 보건서비스 일부를 제외하고 주택개조서비스, 이동서비스 등 의 서비스가 부재하다고 할 수 있음 ・ 주거복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주택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간단한 집수리가 가능한 효자손 플러스 사업, 돌봄이 필요한 노인이 생활하기에 적합하도록 개조 하는 노인맞춤형 주택개조 서비스를 추진 사업으로 선정함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40 핵심과제 추진 사업명 대상 주요 내용 1-1. 노후소득 지원체계 구축 1-1-1. 노후준비지원 여건조성 베이비부머, 75세미만 노인  베이비부머와 젊은 노인(75세미 만)의 노후준비를 위한 교육・ 컨설팅 1-1-2. 반려동물관리사 사업 노인  노인 반려동물관리사 양성교육 후 자격증 취득 및 취업연계 1-1-3. 일하는 어르신 안전지원사업 확대 저소득 노인  폐지줍는 노인의 안전교육과 안전장비 지원 1-1-4.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지원 강화 노인일자리사업전담인력 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컨설팅 및 교육, 전담인력 인건비 지원 1-2. 주거환경 개선 1-2-1. 주택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노인  지역의 주택선택 서비스를 일대일 대면서비스로 제공 1-2-2. 효자손 플러스 사업 노인  지역사회 내 주택수리업체 등의 자원을 활용하여 자원봉사로 간단한 수선 제공 1-2-3. 노인맞춤형 주택개조 서비스 제공 노인 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개조에 대한 상담서비스 제공 - 핵심과제 1-3.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 건강하거나 지역사회에서 서비스 등을 제공받으면서 자신의 집에서 살 수 있는 노인들을 위한 지역사회보호와 지역사회에서 나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AIP) 정책이 필요함 ・ 또한 건강이 점차 악화되는 노인들이 본인들의 건강상태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주택유형의 개발 역시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 ・ 노인이 지속적으로 살던 지역에서 살아가기 위해 주택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함 ・ 어린이 보호구역과 달리 노인보호구역은 지자체에서 예산 등의 이유로 지정율 이 저조한데, 노인의 교통사고는 해마다 증가 추세 ・ 노인이 지역에서 소외되지 않고 함께 생활할 수 있는 노인공동체주택 개발, 안 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과 이동서비스 제공 등이 있음 <표 Ⅲ-1> 정책 목표 1. 안전한 생활 영위의 추진 사업 대상 및 주요 내용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41 핵심과제 추진 사업명 대상 주요 내용 1-3.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1-3-1. 노인공동체주택 개발 건강한 노인  1층을 공용공간으로 개발하는 등의 주택을 노인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 1-3-2. 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 노인  노인보호구역의 개선사업 실시  독립적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노 인을 위한 교통서비스 제공노인1-3-3. 노인이동서비스 제공 ○ 정책 목표 2 : 활기찬 사회활동 지원 - 노인이 지역사회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삶의 보람을 느끼며 생활할 수 있도록 사회참여를 지원 - 핵심과제 2-1. 신노년을 위한 여가 및 자원봉사 활성화 ・ 노인의 여가생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전쟁을 경험한 세대로서 여 가 참여 기회의 부족과 중・장년기에 비해 늘어난 시간적 여유를 어떻게 활용 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 부재로부터 비롯됨 ・ 노인의 여가문화활동 중 휴식활동이 90.2%를 차지하고 있어 활동적인 노년생 활을 위해 다양한 여가문화활동이 요구됨 ・ 기존 노인여가시설인 경로당, 노인복지관, 접근성이 뛰어난 주민센터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 ・ 노인동아리 등을 지역에 밀접하게 조직하여 건강과 삶의 보람을 위한 활동을 자원봉사와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 - 핵심과제 2-2. 긍정적 신노년문화 확산 ・ 베이비부머 유입으로 다양한 생각과 고학력, 기존 노인세대 보다 경제력이 있 는 노인집단 등장으로 신노년문화가 형성될 것으로 보임 ・ 현재 경기도에서 운영 중인 카네이션하우스사업은 정책의 수혜대상이었던 독거 노인이 조직화되어 주체적으로 여가와 소일거리를 운영하는 사업으로 신노년문 화의 하나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음 ・ 노인이 정책의 수혜대상에서 선배시민으로 새로운 문화를 만드는 변화가 예상됨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42 핵심과제 추진 사업명 대상 주요 내용 2-1. 신노년을 위한 여가 및 자원봉사 활성화 2-1-1. 찾아가는 여가프로그램 운영 활동가능 노인  노인복지관과 주민센터를 연계하여 노인 여가프로그램 운영 2-1-2. 노인동아리 운영 지원(9988톡톡) 노인동아리  현장오디션 및 예선 등을 통한 동아 리 선발, 전문컨설팅 지원, 동아리 축제, 발굴동아리 모델화 및 활동 지원, 모델개발 연구 등 ・ 무성으로 인식되거나, 음지에 있었던 노인의 성에 대해 건전한 성문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 - 핵심과제 2-3. 심리정서지원 강화 ・ 독거노인은 빈곤, 우울, 자살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고독사나 무연고사가 새로운 노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음 ・ 무연고 사망자는 2015년이 역대 최대치인 1,245명으로 2014년에 비해 23.5% 증가함. 연령별로 65세이상 노인이 31%로 가장 많았으며, 지역별로는 충북 (58.1%), 경남(52.9%) 순임 ・ 독거노인뿐만 아니라, 노인 자살률은 빈곤율과 함께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 은 비율을 보임. 2012년 기준 노인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81명으로 평균(18 명)에 비해 4.5배나 높음(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 보건복지부(2013)의 자살실태조사 보고서 결과에서도 60대이상부터 자살률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남 ・ 따라서 60대 이상의 노인, 특히 남성노인을 대상으로 자살 예방 교육이나 상담 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 ・ 경기도 노인자살률은 83.1명이며 31개 시·군 중 오산시(123.3명)가 가장 높고 과천시는 51.1명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 ・ 자살률 감소를 위해 다양한 정책이 제시되고 있으나, 신체적 건강과 정서적 안 정을 위한 운동과 여가활동 등 사회참여가 좋은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음 ・ 적절한 시기에 상담 등 전문가의 개입과 지속적 심리정서지원이 필요함 ・ 가정과 시설에서의 학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발견하고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 함. 또한 발견된 학대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는 노인보호전문기관의 확충도 요구됨 <표 Ⅲ-2> 정책 목표 2. 활기찬 사회활동 지원의 추진 사업 대상 및 주요 내용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43 핵심과제 추진 사업명 대상 주요 내용 2-2. 긍정적 신노년 문화 확산 2-2-1. 10만시간 드림 프로젝트 활동가능 노인  여가 및 사회참여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문화즐김 플랫폼) 2-2-2. 카네이션하우스사업 활성화 독거노인  카네이션하우스사업 지침 마련 카네이션하우스사업 활성화 2-2-3. 아침이 기다려지는 경로당 경로당이용노인  지역성 반영한 특화프로그램 개발 2-2-4. 노인의 건전한 성문화 환경조성 노인  노인 대상 성교육・성상담 실시, 노 인성교육사・성상담사 양성, 노인의 성에 대한 캠페인 실시 2-3 심리정서 지원 강화 2-3-1. 노인종합상담센터 확대 노인  노인종합상담센터 확충 방안 마련 및 실시 2-3-2. 노인보호전문기관 확대 노인  노인학대예방 프로그램 실시 2-3-3. 노인자살 예방사업 확대 노인  노인자살 예방사업을 위한 연구 노인자살 예방사업 실시 ○ 정책 목표 3 : 건강한 복지공동체 구현 - 노인이 건강하게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기 위해 요양등급 예방과 일상 건강 지 키기, 질병예방이 중요함 - 노인 스스로 건강 유지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지역의 다양한 주체가 함께 건강 한 노후와 활기찬 노년을 위해 노력 - 핵심과제 3-1. 건강관리체계 구축 ・ 급속한 고령화 따라 치매노인 급증 전국 65세이상 치매노인은 68.6만명으로 추 산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5년간 치매로 진료 받은 환자가 56% 급증하 였으며, 입원 진료 인원도 백내장에 이어 치매, 뇌경색증, 폐렴 순으로 많다고 밝힘. 치매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임을 알 수 있음 ・ 2013년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약 11.7조원(GDP의 약 1%)이었으나, 2015년에는 약 43.2조원(GDP의 약 1.5%)까지 증가 ・ 전국 기대수명 83.15세, 건강수명 76.6세로 약 6년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노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44 핵심과제 추진 사업명 대상 주요 내용 3-1. 건강관리 체계 구축 3-1-1.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및 조기예방 만60세이상 노인, 치매가족  치매초기 검진 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실시 3-1-2. 4070건강검진 예비노인, 노인  건강검진을 통한 적극적 건강 관리 3-1-3. 우리동네 주치의 노인  건강검진, 진료, 치료, 건강교육 및 상담 3-1-4. 생활체육지도사와 함께하는 2020피트니스 노인  예방적 건강관리  경로당 노인 적합형 표준운동 프로그램 개발 인세계지표 결과와도 일치함. 건강한 노년을 위한 건강관리가 요구됨 ・ 경로당, 주민센터 등을 활용하여 의료와 노인의 물리적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 - 핵심과제 3-2. 지역사회 자원의 적극적 활용 ・ 건강과 요양을 연계하고 지역의 자원과 제도를 활용하여 노인의 건강체계를 구 축할 수 있도록 지역포괄지원센터 운영 필요 ・ 지역포괄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의 보건복지의료자원을 활용 ・ 지역에 따라 의료접근성에 차이가 있어 치매초기진료, 건강관리 등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 - 핵심과제 3-3. 세대통합 도모 ・ 정책의 수혜대상에서 주체적인 권리의 주체로 변화하는 노인상을 정립하고 지 역사회에서 선배시민으로 자리매김 필요 ・ 노인에 대한 빈곤, 차별, 학대 등의 각종 인권에 위배되는 문제가 한국에 만연 한 상태로 앞으로 지속적으로 인권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이 큼 ・ 현재 한국에는 노인의 인권에 대한 합의된 선언문이 부재한 상태이며, 노인들 에 대한 차별과 부정적인 시각이 만연한 실정임 <표 Ⅲ-3> 정책 목표 3. 건강한 복지공동체 구현의 추진 사업 대상 및 주요 내용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45 핵심과제 추진 사업명 대상 주요 내용 3-2. 지역사회 자원의 적극적 활용 3-2-1. 지역포괄지원센터 설치 노인  노인 종합상담, 생활밀착형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케어지원 3-2-2. 단기보호시설 확충 요양등급 노인  단기보호시설 확충 방안 연구  단기보호시설 확대 3-2-3. 치매노인과 지역의료 연계 치매노인  치매노인과 지역의료 연계 진단 및 일상적 치매의료 상담 3-3. 세대통합 도모 3-3-1. 노인 인권선언 노인  노인 인권을 위한 연구 경기도 노인 인권선언 실시 3-3-2. 우리동네 안전지킴이 노인  노인복지시설의 안전모니터링 실시 3-3-3. 1‧3세대 텃밭 가꾸기 경로당이용 노인  지역아동센터와 함께 경로당 텃밭을 가꿈 3-3-4. 골드카운슬러단 운영 상담이 가능한 노인  청소년 치유프로그램 교육 및 활동 핵심과제 추진 사업 연차별 예산2016 2017 2018 2019 2020 계 1-1. 노후소득 지원체계 구축 1-1-1. 노후준비지원 여건조성 - 50 50 50 50 200 1-1-2. 반려동물관리사 사업 - 290 210 230 250 980 1-1-3. 일하는 어르신 안정지원사업 확대 569 597 626.9 658.2 691.1 3,142.2 1-1-4.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지원 강화 608.2 608.2 608.2 608.2 608.2 3,041 □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추진 사업의 소요예산 ○ 각 추진 사업의 소요예산은 총 28,416백만원으로 기초연금 관련 예산만으 로 1천억의 예산을 사용하고 있는 경기도에서는 추가적으로 노인복지예산 을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예상되나, 원활한 사업운영을 위해 확보되어야 함 <표 Ⅲ-4> 추진 사업의 연차별 예산 (단위 : 백만원)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46 핵심과제 추진 사업 연차별 예산2016 2017 2018 2019 2020 계 1-2. 주거환경 개선 1-2-1. 주택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20 100 50 50 50 270 1-2-2. 효자손 플러스 사업 - 20 0 0 0 20 1-2-3. 노인맞춤형 주택개조 서비스 - 300 100 100 100 600 1-3.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1-3-1. 노인공동체주택 개발 - 30 300 30 30 390 1-3-2. 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 20 국비지원 20 1-3-3. 노인이동서비스 제공 - 10 10 10 10 40 2-1. 신노년을 위한 여가 및 자원봉사 활성화 2-1-1. 찾아가는 여가프로그램 운영 - 10 50 50 50 160 2-1-2. 노인동아리 운영 지원(9988톡톡쇼) 280 280 280 280 280 1,400 2-2. 긍정적 신노년문 화 확산 2-2-1. 10만시간 드림 프로젝트 0 270 270 270 270 1,080 2-2-2. 카네이션하우스사업 활성화 6 1,800 1,806 2-2-3. 아침이 기다려지는 경로당 370 470 570 610 610 0 2-2-4. 노인의 건전한 성문화 환경조성 200 400 620 620 620 0 2-3. 심리정서 지원 강화 2-3-1. 노인종합상담센터 확대 6 12 50 50 50 168 2-3-2. 노인보호전문기관 확대 12 50 50 50 50 212 2-3-3. 노인자살 예방사업 확대 20 50 50 50 50 220 3-1. 건강관리 체계 구축 3-1-1.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및 조기예방 - 150 150 150 150 600 3-1-2. 4070 건강검진 - 1,000 1,000 1,000 1,000 4,000 3-1-3. 우리동네 주치의 - 10 비예산 10 3-1-4. 생활체육지도사와 함께하는 2020피트니스 - 20 20 20 20 80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47 핵심과제 추진 사업 연차별 예산2016 2017 2018 2019 2020 계 3-2. 지역사회 자원의 적극적 활용 3-2-1. 지역포괄지원센터 설치 - 50 100 100 100 350 3-2-2. 단기보호시설 확충 20 50 50 50 50 220 3-2-3. 치매노인과 지역의료 연계 - 10 비예산 10 3-3. 세대통합 도모 3-3-1. 노인 인권선언 - 10 10 10 10 40 3-3-2. 우리동네 안전지킴이 - 310 310 310 310 1,240 3-3-3. 1・3세대 텃밭 가꾸기 - 50 50 50 50 200 3-3-4. 골드카운슬러단 운영 - 50 50 50 50 200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48 3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추진 사업 □ 1-1-1. 노후준비지원 여건조성 ○ 추진배경 -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2004년 78.04세에서 2014년 82.4세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오래 사는 것은 그만큼 비용 부담을 동반하기 때문에 충분한 노후준비 가 필요 - 실제 경제적 행복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로 노후준비 부족(28.8%) 을 인 식하고 있다는 현대경제연구원의 조사도 있으나, 보건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만 57세~65세 연령대의 노후준비수준은 별로 안함(안함 포함) 이 60.8%로 나 타나 향후 불안정한 소득과 질병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에 빠질 우려가 큼 <표 Ⅲ-5> 연령별 노후준비 수준 (단위 : %) 준비수준 안함 별로 안함 어느 정도 충분 전체 9.9 45.9 42.0 2.1 만 57~65세 12.9 47.9 37.1 2.1 만 48세~56세 6.7 47.0 44.1 2.2 만 39세~47세 11.3 43.5 43.2 2.0 자료 : 보건복지부(2011) 저출산고령화 국민인식 조사. - 이같이 낮은 노후준비 수준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고령사회 대응을 어렵 게 하므로 늘어난 노후만큼 그에 대한 대비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음 ・ 특히, 이미 노년에 들어온 젊은 노인세대와 대량은퇴가 시작되고 있는 베이비부 머 세대가 스스로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여 삶의 질 향상 및 후세대 재정 부담 완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음 ○ 사업목적 - 베이비부머와 젊은 노인의 노후준비를 위한 교육・컨설팅 실시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49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50 50 50 50 사업 내용 노후준비지원센터연계 를 위한 연구 노후지원준비교육 및 컨설팅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노후준비지원 여건조성 활동 사업대상 노인 및 베이비부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베이비부머와 젊은 노인(75세미만)의 노후준비를 위한 교육・컨설팅 수행기관 경기복지재단, 노후준비지원센터 성과지표 사업실적 노후준비를 위한 교육・컨설팅 참여 노인 수 - 운영체계 <그림 Ⅲ-5> 노후준비 지원센터와 경기도 간 포괄적 운영체계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50 □ 1-1-2. 반려동물관리사 사업 ○ 추진배경 - 기존 노인일자리는 월 20만원을 지급하는 단순직종 중심의 공익형 활동이 주 를 이루고 있어 민간분야의 새로운 일자리발굴이 필요한 시점 - 민간분야 노인일자리 직종 발굴을 통해 민간취업 확대 - 반려동물 인구 증가 및 반려동물관련 사업의 팽창에 따른 새로운 노인직종개발 ・ 경기도에 등록된 반려동물은 2014년 기준 251,156마리이며, 반려동물관련 사 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가구당 지출규모는 2020년 5조 5,100억원으로 전망 (이정임 외, 2015) ・ 고용 없는 성장시대에 반려동물시장이 새로운 일자리 창출 업종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2016년 농협경제연구소에 따르면, 반려동물 관련 시장규모는 지난 2012년 9,000억원에서 2015년 1조 8,100억원으로 성장 ・ 2020년에는 6조원대의 시장으로 성장 전망 - 펫코노미(Pet+Economy) 르네 상스가 될 전망 ・ 반려동물 관련 직업군 중에서 펫시터 직렬은 견주가 안심하고 맡기고자 하는 욕구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데 노인이 적임자라는 전문가의 평가가 있음 ・ 향후 노인 1인가구의 정서적 지원사업으로 추진 고려 ○ 사업목적 - 새로운 노인일자리 직종 개발 및 보급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반려동물관리사 사업 활동 사업대상 노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노인 반려동물관리사 양성교육 후 자격증 취득 및 취업연계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일자리지원센터, 노인일자리수행기관 성과지표 사업실적 노인반려동물관리사 양성교육 참여 노인 수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51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290 210 230 250 사업 내용 시범사업(40명 교육) 펫시터 교육(100명) 펫시터 활동 (시범사업) - 운영체계 ・ 노인일자리지원센터 : 교육운영 및 과정지원 총괄 ・ 한국반려동물관리협회 : 반려동물관리사 자격증 취득 과정 운영 ・ 수행기관 : 참여자모집, 교육장관리, 취업알선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 펫시터 활동 : 노인일자리사업(시장형)의 시범사업으로 운영 - 비용산정 : 초기투자비용(펫시터 활동을 위한 시설준비비용)으로 1개소당 1억 원 이내 지원 ・ 부대경비 : 참여자를 1개소당 10명으로 상정하여 부대경비 2,000만원 예상 ・ 2017년 2개소, 2018년부터 1개소씩 추가 개소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52 □ 1-1-3. 일하는 어르신(폐지줍는 노인) 안전지원사업 확대 ○ 추진배경 - 도내 폐지줍는 노인 수는 5,891명(2014.10.31. 기준)으로 기초생활수급자 29%, 차상위 28%, 일반 43%으로 구성 저소득 노인이 57% 해당 - 생계형으로 폐지수집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새벽과 심야 시간대의 수집활 동 과정에서 교통사고에 노출될 우려가 있음 -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 경기도 내 3개시(안산시, 안성시, 김포시)에서 시범 사업을 실시하였으며, 2015년 4월 경기도 재활용품 수집 노인 및 장애인의 지원 에 관한 조례(2015.04.) 제정 ・ 참여대상은 안산시 200명, 안성시 53명, 김포시 29명 ・ 시범사업의 추진내용은 생계비지원 및 방한복, 안전장비, 안전교육 등의 지원 - 현금지원의 생계비지원은 빈곤해소에 한계가 있으며, 근본적인 해결책은 빈곤사 각지대 노인의 발굴과 예방적 접근이 필요하나, 경기도 정책으로 한계가 있음 - 따라서, 폐지 수거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골절 등의 사고와 교통사고를 미연 에 방지하기 위한 안전교육과 안전장비 지원 - 폐지수거 활동의 안전을 위하여 2016년 현재 14개 시・군 1,879명을 지원하고 있으나,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음 ○ 사업목적 - 일하는 어르신(폐지줍는 노인)의 안전지원을 통한 생계유지활동 지원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일하는 어르신 안전지원사업 확대 활동 사업대상 폐지줍는 노인(6개월 이상 폐지수거를 한 최저생계비 130%이하 노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폐지줍는 노인의 안전교육과 안전장비 지원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 경찰청 협조 성과지표 사업실적 안전교육 수강 노인 수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53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5%증가) 569 597 626.9 658.2 691.1 사업 내용 안전교육 연2회 교육 (경찰, 소방, 유관기관 등과 연계 추진) 안전장비 보급 (야광조끼, 야광테이프, 야광모, 신발반사지, 야광세이프클럽 등) 의료비 지원 (폐지수집활동 중 사고발생 시)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 운영 및 과정지원 총괄 ・ 31개 시・군 : 직접 지원 ・ 경찰청 : 안전교육 지원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54 □ 1-1-4.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지원 강화 ○ 추진배경 - 경기도 내 시니어클럽, 실버인력뱅크 등 1,174개 노인일자리 수행기관의 전담 인력은 약 279명이 배치되어있으나, 현행 노인일자리 사업 지침상 연 11개월 근로계약에 따라 근로계약과 퇴사를 반복하고 있음.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찾 기 어렵고 이직률이 높아 노인일자리 내실화 및 확대에 한계가 있음 - 노인일자리 수행기관의 역량강화와 전담인력의 처우개선으로 노인일자리 확대 를 도모하고자 함 ○ 사업목적 - 전담인력 인건비 지원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지원 강화 활동 사업대상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컨설팅 및 교육 전담인력 인건비 지원 수행기관 경기도 사회적일자리과, 경기도 노인일자리지원센터 성과지표 사업실적 인건비 지원액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55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608.2 608.2 608.2 608.2 608.2 사업 내용 컨설팅 및 교육 인건비지원 - 운영체계 ・ 경기도 사회적일자리과 : 전담인력 인건비지원 ・ 경기도 노인일자리지원센터 :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전담인력 역량강화를 위한 컨설팅 및 교육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56 □ 1-2-1. 주택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 추진배경 - 노인의 주거욕구는 주택 뿐 아니라 재정, 건강상태, 케어의 접근성 등에 따라 복합하게 얽혀 있고, 정보의 내용도 해당되는 내용을 전반적으로 다루어 줄 수 있어야 함 - 정부의 마이홈 포탈이 운영되고 있기는 하지만 공공임대주택 공급에 대한 정 보로 제한됨 - 노인들이 원하는 정보(공공임대주택, 주택개량, 주거비보조, 재가서비스 등)를 노인들의 집단 특성에 맞게 구성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 ○ 사업목적 - 노인을 표적화하여 노인 특성에 맞는 주택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 제공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주택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활동 사업대상 노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 노인집단의 특성에 맞게 위험과 자원을 기준으로 저위험이며, 개인적, 사회 적 자원이 풍부한 집단에게는 웹사이트나 단체 이메일 등을 통해 관련 정보 를 전달  위험과 자원이 중간 수준인 집단에게는 지역의 관련 기관을 통한 개인적인 접근을 시도  고위험이면서 개인적 사회적 자원이 부족한 집단에게는 지역의 주택선택 서비스를 일대일 대면서비스로 제공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정보제공업무 산하기관에 위탁 가능 : 주거복지센터 등) 성과지표 사업실적 주택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제공 실적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57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20 100 50 50 50 사업 내용 주택관련 정보제공 서비스를 위한 연구 on-line 시스템구축 운영 off-line 시스템구축운영 <그림 Ⅲ-6> 주택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구축 전략 자료: DCLG, 2008, Lifetime Homes, Lifetime Neighbourhoods : National Strategy for Housing in an Ageing Society 이용 재구성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주택정책과 : 운영 및 과정지원 총괄 ・ 경기복지재단 : 관련기관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정보체계구축 ・ 수행기관 : 웹상, 노인복지관 등의 상담창구 개발 및 상담업무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58 추진 사업명 : 효자손 플러스 사업 활동 사업대상  노인 사업시기  2016~2020 사업내용  동복지협의체에서 서비스 신청 및 제공, 지역사회 안의 주택수리업체 등의 자원을 활용하여 자원봉사로 간단한 수선을 함 수행기관  경기도 노인복지과, 동복지협의체 성과지표 사업실적  수선 제공 실적 □ 1-2-2. 효자손 플러스 사업 ○ 추진배경 - 노인가구는 비노인가구에 비해 자가점유가 많고(73.6%), 현재 주택 거주기간 도 긴 것으로 나타남(25년 이상 거주비율 38.2%) - 자신이 소유한 주택에서 오래 거주하였기 때문에 주택 안에는 간단한 수선이 필요한 부분이 많이 있음. 그러나, 노인들은 쇠약하기 때문에 간단한 수선이라 도 혼자 하기가 어려우므로 이를 도와줄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함 - 부천시 성곡동복지협의체의 특화사업으로 진행 중인 「효자손 플러스 지원 사 업」은 열악한 주거환경에 처해 있는 홀몸 노인가정의 우울감을 발생시키는 환경적인 요인을 도배, 장판, 방충망, 현관문수리 등으로 쾌적하고 위생적인 환경으로 개선하는 사업으로 진행 중 ○ 사업목적 - 노인가구가 사는 주택에 간단한 수선(전구교체 등)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 역단위로 제공함 ○ 주요 내용(활동)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 운영 및 과정지원 총괄 ・ 동복지협의체 : 수선 서비스 신청 및 제공 ・ 지역사회 효자손사업단 구성 : 간단한 수선이 가능한 사람들을 자원봉사로 모 집하고, 신규아파트 리모델링시 버리는 집기들을 지역사회 차원에서 한곳에 모 아 저장하여 재료 충당(지역사회 집수리 건축자재 뱅크 운영)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59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20 0 0 0 사업 내용 사업구상 지역사회 효자손 구성 건축자재 뱅크 부 문 지원가능분야 지원불가능분야 상하수도 하수구 악취제거, 수도꼭지 교체 및 설치, 싱크대 배수통 교체 상하수도 급‧배수 공사, 수도 수압 공사, 배관 설치 공사 전기설비 조명 및 형광등 교체, 콘센트 교체, 형광등 스위치 교체 조명 추가설치, 가전제품(냉장고, 세탁기, TV, 컴퓨터 등) 수리 및 교체 출입문 출입문 잠금장치 및 문고리 교체 수리, 방충망 보수 수리 출입문, 창문 유리 교체, 샤시 교체 화장실 변기커버 교체, 변기 스위치 수리 변기, 벽면 타일, 세면대, 비대 설치 기 타 살서(쥐), 살충(바퀴벌레, 개미), 못 제거 및 설치 도배 및 장판 시공, 도색 및 가구 수리 및 시공, 곰팡이 제거 - 제공가능 서비스 <표 Ⅲ-6> 효자손 플러스 사업으로 지원 가능한 서비스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60 추진 사업명 : 노인맞춤형 주택개조 서비스 활동 사업대상 노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 1단계 : 현재 살고 있는 주택에 노인에게 필요한 개조항목이 무엇인지 지역 대 학교 건축학과 대학생, 건축가 등의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상담 서비스 제공  2단계 : 개조 내용에 맞는 개조 비용, 개조를 할 수 있는 곳 등에 대한 상담 서비스 제공(동복지협의체 활용 또는 주거복지센터 개소)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 주택정책과 동복지협의체(주거복지센터) 성과지표 사업실적 노인맞춤형 주택개조 상담실적, 서비스 연계 실적 □ 1-2-3. 노인맞춤형 주택개조 서비스 ○ 추진배경 - 노인들은 비노인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래된 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주택 수리 필요성도 높게 나타나고 있음(33.5%가 주택수리필요) - 노인들이 거주하는 주택이 오래되고 낡은 경우가 많고, 노인들은 쇠약하기 때 문에 간단한 수선이라도 혼자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도와줄 수 있는 서비 스가 필요함 <그림 Ⅲ-7> 경기도 노인가구/비노인가구 주택건축연도 <그림 Ⅲ-8> 경기도 노인가구/비노인가구 주택수리필요 여부 자료 : 경기복지재단(2016). 경기도민 복지 실태조사 원자료 분석. ○ 사업목적 - 노인이 지역사회에서 계속 살기에 적합하도록 살고 있는 집을 노인의 특성에 맞게 주택을 개조함 ○ 주요 내용(활동)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61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300 100 100 100 사업 내용 사업구상 및 연구 주거복지센터 주택개조서비스 상담팀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주택정책과 : 운영 및 과정지원 총괄 ・ 주거복지센터 : 개조 비용, 개조 업체 등에 대한 상담서비스 ・ 지역사회 주택개조서비스 상담팀 구성 : 지역사회 대학생, 건축업자(건설업협 회 등)로 구성된 주택개조 상담이 가능하도록 아웃리치 서비스팀 구성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62 □ 1-3-1. 노인공동체주택 개발 ○ 추진배경 - 부양가족 등의 기준으로 인해 복지사각지대 놓여 있어 주거비부담이 매우 크 고 건강한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공유지를 활용한 노인공동체 주택 개발하여 노인들이 지불 가능한 주택을 개발하여 공급 - 또한, 현 제도 하에 노인주택이라고 할 수 있는 노인양로시설은 군포시와 동두 천시를 제외한 경기도 시・군에 공급되고 있으나, 입소율이 평균 73.8%로 입소 율이 낮음 이것은 서비스 등이 현재의 노인에게 맞지 않기 때문에 입소율이 현 격히 떨어지고 있어 새로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노인주택의 개발이 필요함 <그림 Ⅲ-9> 경기도 노인주거복지시설 입소정원 대비 입소인원비율 자료 : 경기도(2016). 노인주거복지시설 현황. ○ 사업목적 - 시유지나 도유지 등을 활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입주할 수 있는 노인공동체 주택을 개발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63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30 300 30 30 사업 내용 사업구상 및 연구 개발예정지 수요조사 및 개발방식 시・군과 논의 노인공동체주택 개발・입주・운영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노인공동체주택 개발 활동 사업대상 노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 노인공동체 주택은 노인들의 주택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1층을 공용공 간으로 개발하여 마을의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연출  시가 소유한 경로당 등을 활용하여 토지는 관에서 제공하고 경기도시공사 등에서 개발하는 방식의 공공개발  운영은 노인협동조합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민간 복지관 등이 지원하 는 방식이 가능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 주택정책과, 경기도시공사 성과지표 사업실적 노인공동체주택 개소수 (2020년까지 최소 1개소 시범사업으로 건설) - 운영체계 ・ 경기도(노인복지과, 주택정책과) : 운영 및 과정지원 총괄 ・ 경기도시공사 : 노인공동체주택 기획, 설계, 건설, 공급, 관리 ・ 지역사회 복지기관과 협업 : 노인복지관, 경로당 등과 협업하여 복지서비스 제공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64 <그림 Ⅲ-10> 광역지자체별 노인보호구역 지정현황 <그림 Ⅲ-11> 최근 10년간 노인사망자 현황 자료: 국민안전처(2015). 노인보호구역 지정현황.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 자료(2015.12.17.) □ 1-3-2. 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 ○ 추진배경 - 교통약자인 노인을 교통사고 위험에서 보호하기 위해 지자체는 양로원, 경로 당, 노인병원 등 노인들의 통행량이 많은 구역을 노인보호구역(실버존) 으로 지정하고 있음 - 경기도 노인인구는 전국에서 가장 많으나,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72 곳에 불과하여 충남의 126개보다도 적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또한 최근 10년간(2005년~2014년)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는 25.3% 감소되었 으나, 노인의 경우는 오히려 6.8% 증가되고 있는 실정으로 노인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노인안전구역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 ○ 사업목적 - 노인의 사고위험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과속방지턱, 적색포장을 하고 도로를 블록형태를 바꾸어 자동차가 시속 30km/h 이하로 운전되도록 적극적인 시설 개선사업 실시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65 추진 사업명 : 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 활동 사업대상 노인에게 위험한 생활권 이면도로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적색포장, 과속방지턱 설치, 고원식 횡단보도, 신호기, 노면표시, 속도제한표지 등 차량감속 유도시설과 보・차도 분리, 연 석 경사로 및 턱 낮추기, 블록형태의 도로 등을 설치하여 노인보호구역의 개선사업을 실시  국민안전처에서 추진하는 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비(101억)을 적극적으로 유 치하여 경기도내 노인이 위험한 지역에 대한 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 전개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 도로교통과, 31개 시・군, 노인복지관 성과지표 사업실적 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 실적 수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20 국비지원 사업 내용 사업계획 사업신청 및 개선사업 실시 ○ 주요 내용(활동) - 운영체계 ・ 경기도(노인복지과, 도로교통과) : 운영 및 과정지원 총괄 국민안전처 예산 확보 ・ 31개 시・군 : 노인보호구역 지정 및 개선사업 실시 ・ 노인복지관 : 지역 내 노인에게 위험한 도로에 대한 정보 제공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66 □ 1-3-3. 노인이동서비스 제공 ○ 추진배경 - 우리나라 노인은 10개의 IADL(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노인의 비율이 9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 으며, 8.4%는 도움을 받아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남. 경기도 노인도 큰 차 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 독립적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이동서비스를 제공하여 이들이 지역사회에 계속적으로 참여하고 활동하며 스스로 삶을 자립적으로 유 지할 수 있도록 도움 <그림 Ⅲ-12> 우리나라 노인의 독립적으로 이동하기 현황 <그림 Ⅲ-13> 경기도 노인의 독립적으로 이동하기 현황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5). 2014 노인실태조사 보고서.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4). 2014 노인실태조사 원자료 분석. ○ 사업목적 - 일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없는 노인을 위한 교통서비스 제공(택시, 장애인콜 택시 활용) - 지역을 벗어나는 이동의 경우 경기도의 이동서비스 제공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67 추진 사업명 : 노인이동서비스 제공 활동 사업대상 노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 일반 택시도 바우처를 통한 이동서비스 제공기관으로 연계(장애인복지과와 연계가 가능하면 장애인콜택시를 노인콜택시로 확대 연계)  행정구역을 벗어나는 광역이동에 대하여는 경기도 차원에서의 이동서비스 제공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 사회적일자리과, 경기도 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 성과지표 사업실적 노인콜택시 이용 실적 ○ 주요 내용(활동) - 운영체계 ・ 경기도(노인복지과, 사회적일자리과) : 운영 및 과정지원 총괄 ・ 경기도 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 : 노인콜택시 바우처 사업 운영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10 10 10 10 사업 내용 사업구상 및 연구 노인콜택시 업무 협약 노인콜택시 운영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68 □ 2-1-1. 찾아가는 여가프로그램 운영 ○ 추진배경 - 노인여가복지시설인 경로당과 노인복지관은 노인여가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으나, 노인복지관은 31개 시・군에 52개소가 운영되어 접근성이 좋지 않음 - 보건복지부의 2014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경로당의 이용률은 24%, 노인복 지관의 이용률은 7.5%에 불과 - 노인이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기관으로 경로당은 5.8%, 노인복지관은 24.7%인데 반해 주민센터는 31.8%에 해당함 - 자원봉사연계에 있어도 경로당 28.7%, 주민센터 15.8%, 복지관 14.9%로 노인복 지여가시설보다 주민센터가 노인의 여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기관으로 나타남 - 노인에게 접근성이 뛰어난 주민센터에서는 현재 학습프로그램 문화여가프로그 램이 운영되고 있는데, 이를 노인복지관과 연계하여 노인여가프로그램을 운영 하여 노인에게 적합한 여가프로그램을 운영 ○ 사업목적 - 노인이 사는 곳과 가까이에 있는 주민센터를 활용하여 노인복지관과 유사한 여가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찾아가는 여가프로그램 운영 활동 사업대상 노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노인복지관과 주민센터를 연계하여 노인의 여가프로그램을 운영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 주민센터, 노인복지관 성과지표 사업실적 노인복지관과 함께 하는 주민센터 여가프로그램 참여 노인 수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69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10 50 50 50 사업 내용 운영지자체 공모 시범사업 운영 프로그램 확대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 사업 총괄 및 관리 ・ 주민센터 : 프로그램 홍보, 장소 제공, 강사 지원 ・ 노인복지관 : 프로그램 구성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70 □ 2-1-2. 노인동아리 운영 지원(9988톡톡쇼) ○ 추진배경 -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로 2018년 고령사회 진입하게 됨에 따른 노인층의 여가 활동 수요 증대 -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중복 및 공간 부족에 따른 다양한 계층의 여가 수요 미반 영 및 한정된 사회참여 연계 서비스 - 단순한 배움에서 참여하고 공감하며 나눔으로 이어질 수 있는 어르신 동아리 활동 및 문화축제 등 지원 필요 - 경기도형 「9988문화즐김」을 추진하여 어르신에게 갈곳과 즐길 기회 제공 ・ 어르신 여가비용 : 월 평균 6만1천원, 여가만족도 63점(문화체육관광부, 2014) ・ 경기도 내 노인복지관 54개소, 경로당 9,248개소, 복지관 내 어르신 동아리 388개(2015.12. 기준) ※ 문화즐김 이란 기존 프로그램에 단순참여가 아닌 스스로 여가활동을 계획, 운영하여 삶의 즐거움을 누리는 것 ○ 사업목적 - 어르신 문화여가 활성화로 사회참여 및 행복한 노후 지원 - 경연 형태의 능동적 참여형 활동을 통한 삶의 생동감 및 사회적 소속감 부여 - 자기계발 및 재능나눔 등 사회참여 장 마련 및 기회 확대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노인동아리 운영 지원(9988톡톡쇼) 활동 사업대상 어르신들로 구성된 동아리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현장오디션 및 예선 등을 통한 동아리 선발, 전문컨설팅 지원, 동아리축제, 발굴 동아리 모델화 및 활동 지원, 모델개발 연구 등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 경기복지재단 성과지표 사업실적 오디션 및 공연 참여 동아리 수, 공연 컨설팅 횟수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71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 정책결정 및 방향제시, 행정 및 예산지원 ・ 경기복지재단 : 사업운영, 연구 및 사업평가, 사업 확산 및 연계 지원 ・ 경기도 노인복지관협회, 대한노인회 경기도연합회 : 행사 공동주관, 노인동아 리 운영 및 지원, 노인여가문화 확산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280 280 280 280 280 사업 내용 9988톡톡쇼 개최 (오디션,예선,본선) 문화즐김허브운영 기반구축* 문화즐김 플랫폼 운영 주 : 문화즐김허브운영 기반구축 후 2017년부터 문화즐김 플랫품운영(10만시간 드림 프로젝트 포함)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72 □ 2-2-1. 10만시간 드림 프로젝트 ○ 추진배경 - 길어진 노후를 여가활동에 참여하여 사회적 관계 유지 및 고립 예방 - 경기도형 「9988문화즐김」모델 수립 및 제도적 기반 구축 ・ 10만시간 : 35년(65세~100세)×365일×8시간 = 102,200시간) - 문화즐김 이란 기존 프로그램에 단순참여가 아닌 스스로 여가활동을 계획, 운 영하여 삶의 즐거움을 누리는 것 - 시・군별 노인여가복지 인프라 편차 발생(복지관 수, 예산지원 등) - 노인복지관 등 저비용 중심 프로그램 제공으로 전문화 및 다양화 한계 - 노인여가복지시설 서비스 개선을 위한 도 단위 총괄 기능 부재 ○ 사업목적 - 여가를 통한 사회참여의 장 마련 및 도 단위 여가콘텐츠 통합 연계 지원 - 이용자 중심 여가 콘텐츠 다양화 및 시・군별 문화즐김 편차 완화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10만시간 드림 프로젝트 활동 사업대상 노인여가복지시설, 문화예술단체, 사회적 기업 등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여가 및 사회참여 프로그램 개발, 보급(문화즐김 플랫폼)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 경기복지재단 성과지표 사업실적 신생동아리 수, 신콘텐츠 프로그램 개발 수 및 보급율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73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 사업 총괄 ・ 경기복지재단 : 신콘텐츠 개발 및 공유, 프로그램 DB구축, 우수프로그램 시・ 군별 교차지원 등 ・ 노인복지시설, 문화예술단체, 사회적 기업 등과의 연계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0 270 270 270 270 사업 내용 신콘텐츠 개발 지역문화여가기관 발굴 개발프로그램 시범운영 프로그램 DB구축 우수프로그램 시・군별 교차지원 지역문화 여가기관 네트워킹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74 □ 2-2-2. 카네이션하우스사업 활성화 ○ 추진배경 - 2013년 6개 시・군에 6개소의 카네이션하우스 운영을 시작으로 현재 25개 시・군에 35개소가 설치됨 <표 Ⅲ-7> 카네이션하우스사업 현황 연도 개소 수 현황 2013년 6개소 안양시, 이천시, 여주시, 구리시, 가평군, 연천군 2014년 29개소 수원시(2), 성남시, 부천시, 용인시, 안산시, 시흥시, 화성시, 광명시(3), 군포시, 김포시, 이 천시, 안성시(2), 오산시(2), 의왕시, 여주시, 양평군, 고양시, 남양주시, 양주시, 포천시(2),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 2015년 35개소 수원시(2), 성남시, 부천시, 용인시, 안산시, 시흥시, 화성시, 광명시(3), 군포시, 김포시, 이 천시(2), 안성시(2), 오산시(2), 의왕시, 여주시(2), 양평군, 고양시, 남양주시, 양주시, 포천 시(2), 동두천시, 가평군(2), 연천군(2), 안양시, 구리시, 자료 : 경기도(2016). 노인복지 사업 안내. - 2015년 12월 기준 카네이션하우스 등록 인원은 총 1,028명(남 300, 여 728), 이용 인원은 총 573명(남 120, 여 453), 일평균 공동작업 인원은 총 323명(남 49, 여 274명)임 - 사업은 확대되고 있으나, 운영에 대한 지침이나 매뉴얼이 없음 ・ 지침이나 매뉴얼에는 대상 선정 기준과 방법, 적정 이용 인원, 예산 사용 범위, 협업기관, 핵심과제(프로그램)이 제시되어야 함 - 시의 지원이나 관심, 사업 규모, 지역별 특성에 따라 카네이션하우스 간 편차 도 발생하고 있음 ・ 25개 시・군 중 2개시에서 자체적으로 추가지원을 하고 있음 ・ 도시형・농촌형 카네이션하우스에 따른 사업 운영 모델 제시가 필요함 - 운영주체(노인복지관, 지역주민 등)에 관계없이 예산 부족과 전담인력의 부재 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예산 부족으로 인해 프로그램 운영과 식자재 조달에 한계가 있음 ・ 노인복지관은 카네이션하우스 사업과 겸임하는 경우가 대다수임. 업무과중으로 인해 카네이션하우스 사업에 대한 몰입도가 떨어지게 됨 - 특히 사업대상인 독거노인이 많은 지역에 카네이션하우스의 개소수가 타 시・ 군에 비해 적은 지역이 있어 활성화가 필요함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75 ○ 사업목적 - 카네이션하우스사업 활성화를 통한 독거노인의 여가 및 사회참여 기회 확대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카네이션하우스사업 활성화 활동 사업대상 카네이션하우스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 카네이션하우스사업 지침 마련 카네이션하우스사업 모델화를 통한 활성화 수행기관 노인복지관, 시니어클럽, 대한노인회, 지역주민 등의 운영주체 성과지표 사업실적 시・군별 독거노인 대비 카네이션하우스 이용인원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 카네이션하우스 사업 지침제시, 사업관리 ・ 31개 시・군 : 예산 지원, 공간 제공 ・ 운영주체 : 카네이션하우스 이용 어르신 관리, 프로그램 운영, 소일거리 제공 ・ 보건소 : 카네이션하우스 이용 어르신 건강관리(혈압/혈당체크)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6 각년도 1,800(45개소 × 40백만원) 사업 내용 카네이션하우스사업 발전방안 연구 10개소 추가 설치 사업 운영 지침 작성 및 배포 전담인력 배치 사업 운영 내실화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76 □ 2-2-3. 아침이 기다려지는 경로당 ○ 추진배경 - 노인의 욕구 및 사회변화에 따른 경로당의 새로운 역할의 기대요청에 따라 현 재의 기능과 역할에서 능동적이고 시대변화에 적응하는 적극적이고 자생력 있 는 경로당의 역할이 요구됨 ・ 경로당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시범사업인 이천, 양평의 사례를 활용하여 지 역성을 반영한 경로당 특화프로그램으로 추진 ○ 사업목적 - 지역성을 반영한 경기도형 경로당의 특화프로그램의 발굴 및 보급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아침이 기다려지는 경로당 활동 사업대상 31개 시・군 경로당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지역성 반영한 특화프로그램 개발 수행기관 경기도 경로당 광역지원센터, 경기도 노인복지과 성과지표 사업실적 특화 프로그램 개발 수 및 보급률 - 운영체계 ・ 경기도 경로당 광역지원센터 : 특화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370(19개소) 470(24개소) 570(29개소) 610(31개소) 610(31개소) 사업 내용 특화프로그램 개발 특화프로그램 보급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77 □ 2-2-4. 노인의 건전한 성문화 환경조성 ○ 추진배경 - 보건복지부가 서울・경기지역 노인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인의 성생활 실태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노인 66.2%(33명)이 현재 성생활을 하고 있 다고 응답함 - 성 생활을 하고 있다고 답한 331명 중 성병에 감염된 경험이 있다고 한 응답자 는 36.9%(122명) - 한편 61세 이상 노인성범죄자는 2014년 1,643명으로 남성 82%, 여성 16.3% - 성폭력범죄는 99%가 남성으로 61세~70세 이하 노인이 54.8%, 71세이상 노인 이 45.2% 해당 - 고령화 및 건강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건강한 노인이 증가하고 있으나, 사별・ 이혼 등으로 부부관계를 통한 성 생활이 곤란한 노인 수도 늘고 있어 노인들이 남모르게 갖고 있는 성문제에 대한 고민을 올바로 풀어 나갈 수 있도록 지원 필요 - 노인의 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 노인의 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경기도 북부청에서는 2014년부 터 노인 성인식 개선사업 추진 중임. 2016년 20개 시・군이 참여하고 있으며, 2018년까지 31개 시・군으로 확대 <표 Ⅲ-8> 노인범죄자의 성별과 연령 범죄명칭 합계 남(소계) 남(소계) 여 (소계) 여(소계) 61~70세 71세이상 61~70세 71세이상 합계 1,643 1,374 780 594 269 179 90 성폭력 1,094 1,090 597 493 4 1 3 기타음란행위 58 57 35 22 1 1 0 성매매 491 227 148 79 264 177 87 자료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홈페이지 2014 고령범죄자 성별연령 ○ 사업목적 - 성에 대한 노인의 인식 전환 및 노인의 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78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200(10개소) 400(20개소) 620(31개소) 620(31개소) 620(31개소) 사업 내용 노인 대상 성교육・성상담 캠페인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노인의 건전한 성문화 환경조성 활동 사업대상 노인을 포함한 도민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 노인 대상 성교육・성상담 실시  노인성교육사・성상담사 양성  노인의 성에 대한 캠페인 실시(연 1회) 수행기관 시행주체 : 31개 시・군에서 위탁 성과지표 사업실적 성교육・성상담 참여 노인 수 - 운영체계 ・ 경기도 사회복지담당관 : 총괄, 운영 ・ 노인복지관 : 노인의 성인식 재고, 노인의 성문화 캠페인 실시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79 □ 2-3-1. 노인종합상담센터 확대 ○ 추진배경 - 노인을 지역사회에서 보호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로서 노인의 삶 의 질 제고와 복지 예산의 측면에서 반드시 이뤄야 할 목표임 - 인구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노인이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거주하면 서 지역사회 주민이 서로 협조적으로 노인을 돌보는 것이 중요한 사회적 의제 로 등장하고 있음 - 노인들이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하기 위해 노인들에게 필요한 각종 정 보와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상담센터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함 - 노인들의 일상생활 수행에 필요한 각종 복지 관련 정보와 노인들의 기능상태 의 약화나 돌봄의 필요에 대응한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됨. 그러 나, 현재는 노인상담센터가 노인복지관 등에 분절적으로 제공되어 노인들에게 필요한 정보와 지지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음 - 노인들의 생활과 연관된 요구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상담센터를 지역에 확충 함으로써 노인들의 재가복지와 지역사회복지의 거점기관으로 활용함 ○ 사업목적 - 노인종합상담센터 확충 방안 마련 및 설치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노인종합상담센터 확대 활동 사업대상 재가노인지원센터나 노인복지관 등 복지관련 기관 사업시기 2016~2010 사업내용 노인종합상담센터 확충 방안 마련 및 실시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 노인종합상담센터 성과지표 사업실적 노인종합상담센터 연계상담 노인 수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80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6 12 50 50 50 사업 내용 연구 시범사업(40명 교육) 노인종합상담센터 확대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 노인종합상담센터 확충 방안 관련 용역 발주 및 방안 실시 ・ 경기복지재단 : 노인종합상담센터 확대 방안 연구 용역 실시 ・ 수행기관 : 재가노인지원센터, 노인복지관 등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81 □ 2-3-2. 노인보호전문기관 확대 ○ 추진배경 - 기존 노인보호전문기관은 노인의 학대문제를 전담하는 기관으로 현재 노인의 약 6~14%는 노인학대를 당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노인학대로 인한 정신 적 육체적 등 각종 피해를 겪고 있으나(정경희 외, 2010), 노인보호전문기관은 매우 부족한 현실임 - 노인인구의 급증과 돌봄이 필요한 노인의 증가 및 학대 신고에 대한 인식개선 등으로 학대를 당하는 노인의 숫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 어 노인보호전문기관의 확대와 역할 강화가 요구되는 시점 ・ 2016년 현재 전국적으로 29개의 지역노인보호전문기관이 있으며, 학대 행위자 와 피해 노인의 분리를 통한 학대 방지를 위한 노인쉼터가 16개 있음 ・ 경기도에 현재 경기남부, 경기북부, 경기서부의 지역노인보호전문기관이 있음 ・ 경기도의 높은 노인인구의 비율과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감안할 때 지역노인보 호전문기관의 확대가 필요함 - 노인보호전문기관의 확대 개편과 역할 강화를 통하여 노인 학대를 실질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의 확대가 필요함 ・ 노인보호전문기관의 확충을 통하여 노인의 학대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 개선을 통한 학대의 중요성과 그 내용을 일반시민들이 파악하고 학대 발생시 즉각적인 신고 조치 등의 행위를 할 수 있도록 안내함 ・ 외국처럼 학대 발생의 위험 요인을 사전적으로 사정 및 파악하여 미리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사업목적 - 노인보호전문기관의 확대와 노인 학대 예방 프로그램의 실시 강화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82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12 50 50 50 50 사업 내용 시범사업(40명 교육) 노인학대예방 프로그램 실시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노인보호전문기관 확대 활동 사업대상 노인, 노인복지기관 관련 종사자와 일반 도민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노인보호전문기관의 확대와 노인 학대 예방 위한 각종 활동 강화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 경기도 노인보호전문기관 성과지표 사업실적 노인보호전문기관의 수, 노인보호전문기관의 인식 개선 실적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 노인보호전문기관 관리 ・ 노인보호전문기관 : 교육운영 및 과정지원 총괄 ・ 노인복지관, 노인장기요양기관 등 : 노인 학대 예방 프로그램의 이수 ・ 수행기관 : 참여자 모집, 교육장관리, 프로그램의 운영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83 □ 2-3-3. 노인자살 예방사업 확대 ○ 추진배경 - 노인의 자살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적절한 돌봄과 지원을 받지 못하는 노인들이 많음 - 노인이 자살의 상태에 이르지 않도록 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을 만들어 주고, 우울증 등으로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에게는 적절한 안내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음 - 노인 관련한 복지와 보건기관 등의 연계 방안을 마련하여 자살의 가능성이 있 는 노인 발굴 및 상담 기능의 강화와 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살 예방사 업을 강화시키는 것이 요구됨 - 보건과 복지의 분절로 인하여 노인 입장에서 필요한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자 살상담 및 예방사업이 이뤄지지 않고 있음 ○ 사업목적 - 보건과 복지의 연계를 통한 자살 상담과 예방사업 확대를 위한 연구 용역과 정 책 실시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노인자살 예방사업 확대 활동 사업대상 자살의 가능성이 있는 노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 보건복지 연계를 통한 연구 용역 자살 예방사업을 확대 실시 수행기관 정신건강증진센터, 노인복지관, 장기요양기관, 치매센터 등 성과지표 사업실적 상담 횟수, 예방사업 실시 횟수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84 - 운영체계 ・ 경기도 건강증진과 : 사업 전반의 지침 제시 및 실시 ・ 경기복지재단 : 보건복지 연계 통한 자살 예방사업 실시 연구 용역 ・ 수행기관 : 자살 예방을 위한 상담과 예방 사업의 확대 실시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20 50 50 50 50 사업 내용 연구 용역 실시 자살 상담 확대 실시 자살 예방 사업 실시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85 □ 3-1-1.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및 조기예방 ○ 추진배경 - 치매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 중 하나로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그 발병률 도 급격하게 증가함(2015년 기준 전국 치매유병률 9.8%, 64만8천명) ・ 2020년 노인인구 비율은 15.7%이며 치매유병률은 10.4%, 84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초고령화가 시작되는 2026년에는 더욱 급속히 증가할 것임 - 현재 지원대상인 소득기준을 전국가구 평균소득의 100%이하에서 150%까지 확 대할 경우 치매 조기진단 및 예방 가능성이 높아짐 ・ 조기발견으로 본인과 가족의 의사를 명확히 하고 향후 케어 계획을 정립 ・ 초기개입으로 치매대상자의 심리행동증상 발생을 줄이고 가족의 스트레스 경감 ・ 가족교육을 통하여 치매진행에 따라 일어나는 증상에 대한 대응법을 교육하여 가족 케어력 강화 ・ 필요에 따라서는 보건소 등의 지역자원 활용과 장기요양보험의 이용 등을 활용 하여 가정에서 최대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 ○ 사업목적 - 치매대상자를 조기에 발견, 지원함으로써 치매노인 및 가족들의 삶의 질 향상 - 초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적극적인 치매인식개선을 통한 사회통합 도모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및 조기예방 활동 사업대상 만 60세이상 노인, 일반인(치매가족)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 치매초기 검진 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 초중등학생 대상 조기교육, 대학생 치매케어파트너 스, 치매커밍아웃, 친치매예방 기업 선정 수행기관 초중등학교, 31개 시・군 보건소, 협약병원, 대기업의 사회봉사단(팀) 등 성과지표 사업실적 치매조기검진인원 수,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참여자 수 및 학교 수 등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86 - 운영체계 ・ 31개 시・군 보건소 : 치매초기 검진 ・ 협약병원 : 치매초기 검진 후 사후관리 관련 지원 ・ 대기업의 사회봉사단(팀) : 치매인식개선 및 봉사에 적극적인 기업을 수상 및 친치매예방기업으로 인증 ・ 치매케어프랜즈 활성화: 치매케어프랜즈로 등록한 사람을 활동하여 치매노인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도록 유도 ・ 초중등학교 치매교육 : 교재를 개발하여 초중등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 매인식개선 교육을 실시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150 150 150 150 사업 내용 치매초기 검진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87 □ 3-1-2. 4070 건강검진 ○ 추진배경 - 2012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건강검진 수검률은 약 73%로 건강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2) ・ 40대는 모든 질환이 시작되는 시기이고, 70대는 3가지 이상의 질환이 동반되는 다질환자가 급증하는 시기임 ・ 그러나 연령대별로 40대, 70대의 검진 비율이 각각 17%, 6%로 30대와 50~60 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 <그림 Ⅲ-14> 연령별 건강검진율 (단위 :%) 자료 :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2016). 「자기부담 종합정밀검진 수검자(602명) 조사」. ○ 사업목적 - 40와 70대의 적극적인 건강검진을 통한 건강한 고령사회 준비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4070 건강검진 활동 사업대상 40대 예비노인, 일반노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건강검진을 통한 적극적인 건강관리 수행기관 보건소 성과지표 사업실적 40대, 70대 건강검진자 수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88 - 운영체계 ・ 보건소 : 정기적인 건강검진 홍보 및 검진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1,000 1,000 1,000 1,000 사업 내용 건강검진 암검진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89 □ 3-1-3. 우리동네 주치의 ○ 추진배경 - 경제수준 및 의료기술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노년기 삶의 질 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 경로당을 단순 사랑방 역할에서 이용자의 활기찬 여가활동과 건강증진을 도모 하는 공간으로서의 모델개발 지원 ○ 사업목적 - 노인이 많이 이용하는 경로당을 대상으로 주치의제 운영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우리동네 주치의 활동 사업대상 노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건강검진, 진료, 치료, 건강교육 및 상담 등 수행기관 보건소, 경로당 성과지표 사업실적 경로당별 진료 횟수 - 운영체계 ・ 보건소 : 건강검진, 진료, 치료, 건강교육 및 상담 등 실시 ・ 경로당 : 경로당 어르신의 건강검진 지원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10 비예산 사업 내용 사업 구성 진료 및 치료 건강교육 및 상담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90 □ 3-1-4. 생활체육지도사와 함께하는 2020피트니스 ○ 추진배경 - 평균수명과 길어진 노후기에 따른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계획적이고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함 ・ 생활체육지도사에 의한 각 노인 상태에 맞는 운동의 조언을 통한 노인운동사업 활성화 ○ 사업목적 - 노인의 사전 예방적 건강관리를 위한 노인 적합형 표준운동 프로그램 실시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생활체육지도사와 함께하는 2020피트니스 활동 사업대상 노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예방적 건강관리, 경로당 노인 적합형 표준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수행기관 생활체육협회, 경기도 노인복지과, 체육과 성과지표 사업실적 경로당 노인 적합형 표준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률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체육과 :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관리 ・ 생활체육협회·노인복지관·경로당 : 프로그램 운영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20 20 20 20 사업 내용 표준운동 프로그램 개발 표준운동 프로그램 보급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91 □ 3-2-1. 지역포괄지원센터 설치 ○ 추진배경 - 오랫동안 정들어 살던 곳에서 지속적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패러다임(AIP)속에 서 지역 노인을 방문하여 종합상담, 권리옹호, 지역자원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 하는 지역케어시스템 구축 등의 필요성 대두 ・ 지역에서 생활하는 노인들 가운데 고위험군과 사각지대의 대상자에 대한 명확 한 부재 및 개개인의 욕구에 대한 정보가 미흡 ・ 현재 상황에서는 학대 및 사기 등이 발생해도 명확하게 발견하기 어렵고 신속 하게 대응하지 못하며 재발 방지에도 한계가 많음 ・ 지역에 다양한 노인복지법 및 노인장기요양법 대상의 서비스가 있지만, 치매노 인 및 가족은 스스로 찾아서 신청하여야 하는 등,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서비스 이용에 매우 한계가 많음 ・ 지역의 의료, 보건, 복지, 요양 관련 기관들은 서로 연계가 되어있지 않아 협력 이 어렵고 업무가 매우 비효율적임 ・ 정해진 시간에 받는 고정된 서비스 이외에는 언제라도 편하게 찾아가 쉴 수 있 는 곳이 없어 병원 및 시설에 입소하는 사회적 입원 비율이 여전히 높음 - 지역포괄지원센터의 역할 ・ 지역의 노인을 전수 조사하여 고위험군과 사각지대의 대상자를 선별하고 중장 기적인 계획 하에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지원 ・ 학대 및 사기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권보호에 노력하며 발생시에는 신속하게 대응하고 재발하지 않도록 사례관리 진행 ・ 지역의 노인복지법 대상자를 위한 서비스와 노인장기요양법 대상자를 위한 서 비스를 통합적으로 연결하여 대상자들이 안전하게 지속적으로 생활하도록 지원 ・ 대상자 개개인의 욕구에 맞추어 지역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관 련 기관의 정기모임(월1회)을 진행하고 협업체계 구축 ・ 필요에 따라서는 지역에 필요한 치매카페 등의 운영을 통하여 대상자들이 언제 라도 편하게 찾아와 교류하고, 식사도 할 수 있는 서비스 등을 개발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92 ○ 사업목적 - 노인의 보건, 의료향상 및 복지의 증진을 위한 코디네이터의 핵심적 기구로서 지역포괄지원센터 설치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지역포괄지원센터 설치 활동 사업대상 지역노인, 치매노인, 독거노인, 수급대상자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노인 종합상담, 생활밀착형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케어예방 지원 수행기관 공공성을 확보한 사회복지기관 등 성과지표 사업실적 지역 내 관련 기관과의 연계 건수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 지역포괄지원센터 설치 ・ 31개 시・군 : 지역포괄지원센터 운영 및 관리 ・ 사회복지기관 : 운영주체로서 공공성을 확보한 사회복지기관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50 100 100 100 사업 내용 경기도형 지역포괄지원센터 설립 연구 지역포괄지원센터 설립TF 운영 지역포괄지원센터 시범사업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93 □ 3-2-2. 단기보호시설 확충 ○ 추진배경 - 단기보호시설은 재가서비스와 지역사회보호의 중요한 중간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임. 그러나 단기보호시설이 매우 부족하여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음 ・ 단기보호서비스는 가족이나 보호자가 일시적으로 단기간 돌봄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기간 동안 이용하거나 시설에 입소하기를 꺼리는 노인에게 일정기간 동안 보호하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임 ・ 단기보호서비스를 적절하게 활용하면 가족과 같은 비공식 돌봄 제공자들의 돌 봄 부담을 일시적으로 덜어줌으로써 지속적인 돌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효과가 있음 - 단기보호서비스는 노인이나 보호자의 입장에서도 시설에 입소하지 않고 일정 기간 동안만 단기보호시설에서 거주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요양시설로의 입 소를 늦추는 효과가 있음. 이는 재정적인 감소 효과와 보호자의 부양비용의 감 소도 기대됨 - 공공의 단기보호를 지역의 거점기관으로 확충하거나 기존의 요양시설 가운데 단기보호시설로 전환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사업목적 - 단기보호시설의 확대 방안 마련 및 실질적 확대 도모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단기보호시설 확충 활동 사업대상 장기요양기관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단기보호시설의 확충 방안 연구 실시 및 단기보호시설 확대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 경기복지재단 성과지표 사업실적 단기보호 확충 방안 연구 실적 및 단기보호시설의 수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94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20 50 50 50 50 사업 내용 단기보호시설 확충방안 연구 확충방안 실시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 단기보호시설 확충 방안 연구 용역 발주 및 정책 실시 ・ 경기복지재단 : 단기보호시설 확충 방안 연구 용역 실시 ・ 수행기관 : 장기요양기관(요양시설), 사업 참여 희망자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95 □ 3-2-3. 치매노인과 지역의료 연계 ○ 추진배경 - 경기도 치매정책인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16~2020) 우리동네에서 행복 하게 살아가기 에 근거하여 치매검진사업, 치매노인 사례관리사업, 경기도 광 역치매센터 운영, 가족사랑 이음센터 설치 운영 사업 등과 동반하여 지역의료 연계사업을 추진 ・ 치매에 대한 1차 의료 기반이 취약한 상황에서 치매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 발견 되기 때문에 명확한 진단을 통한 적절한 조기케어가 필요함 ・ 조기 치매에 대해 약물요법을 사용하게 되면 다양한 정신행동증상을 억제할 수 있어 가족의 케어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음 ・ 지역 내 치매 전문의 및 의료인이 거의 없어 가족 및 요양시설이 부적절하게 케 어하게 되므로 우리동네 치매전문가를 선정할 필요 있음 ・ 치매 대응곤란 사례 해결을 위해 지역치매케어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 상태로, 의료인 발굴을 통해 위원 등으로 선정 및 활동하도록 지원해야 함 ○ 사업목적 - 치매노인이 살아오던 곳에서 지속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AIP) 치매노인 지 역의료를 연계함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치매노인과 지역의료 연계 활동 사업대상 치매노인, 지역의료기관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치매노인과 지역의료 연계, 진단 및 일상적 치매의료상담 수행기관 경기도 건강증진과, 광역치매센터, 지역의료기관 성과지표 사업실적 지역의료 연계 건수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96 - 운영체계 ・ 경기도 건강증진과 : 사업관리 ・ 지역의료기관 : 치매 상담 및 진단 ・ 노인복지관・주민센터・광역치매센터 : 치매노인과 지역의료 연계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10 비예산 사업 내용 치매노인과 지역의료연계 구축 연구 치매노인과 지역의료 연계 일상적 치매의료 상담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97 □ 3-3-1. 노인 인권선언 ○ 추진배경 - 노인에 대한 빈곤, 차별, 학대 등의 각종 인권에 위배되는 문제가 한국에 만연 한 상태로 앞으로 지속적으로 인권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이 큼 - 현재 우리나라에는 노인의 인권에 대한 합의된 선언문이 부재한 상태이고 노 인들에 대한 차별과 부정적인 시각이 만연한 상태임 ・ 우리나라는 노인 인권에 관한 UN 차원의 국제적인 가이드라인인 마드리드 고 령화 국제행동계획(MIPPA : Madrid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 2002) 에 가입되어 있지만 한국의 중앙정부는 MIPPA 이행에 대한 점 검과 평가의 미실시 및 국제회의의 참여에도 소극적임 ・ UN은 MIPPA의 이행을 위하여 적극 노력하고 있으며, 2011년에 유엔사무총장 이 전 세계 모든 지역 노인들의 인권상황에 관한 최초의 보고서를 총회에 제출 함(박영란, 2016) ・ 선진국에서는 UN 차원의 국제적인 가이드라인인 마드리드 고령화 국제행동계 획(MIPPA) 의 이행 사항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면서 노인인권의 실질적인 신장 을 도모함 - 경기도가 선도적으로 노인들이 당당히 요구할 수 있는 인권에 대한 연구를 체 계적으로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 인권선언을 하고자 함 ・ 선포된 인권선언을 서비스 이용자인 노인뿐만 아니라 각종 노인관련 기관과 관련 단체에 배포함 이를 통하여 노인들의 권리의식을 신장시키고 자신감을 갖게 하고자 함 ○ 사업목적 - 노인 인권의 개념 정립 및 활용방안 연구와 노인 인권선언을 통해 인권의식을 적극 제고함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98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노인 인권선언 활동 사업대상 노인 인권연구 및 노인 인권선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노인 인권 위한 연구 용역 실시, 경기도 노인 인권선언 실시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 경기복지재단 성과지표 사업실적 노인 인권연구와 노인 인권선언 실적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 노인 인권 연구용역 발주 및 인권선언 방안 총괄 ・ 경기복지재단 : 노인 인권에 대한 연구 실시 ・ 수행기관 : 인권선언 위한 관계기관 모집, 인권선언 관련 교육장관리, 인권관련 프로그램의 운영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10 10 10 10 사업 내용 노인 인권 관련 연구 노인 인권선언 선포식 노인 인권선언 배포 및 교육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99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310 310 310 310 사업 내용 안전지킴이 구성 및 연구 안전지킴이 교육 안전지킴이 운영 □ 3-3-2. 우리동네 안전지킴이 ○ 추진배경 - 우리동네 안전지킴이는 여러 지자체에서 시행 중인 사업으로 교통, 환경 등 다 양한 분야에서 시행되고 있음 - 경기도의 실버인력뱅크를 활용하여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안 전,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봉사단을 구성 ○ 사업목적 - 동네 안전모니터링 활동을 통해 노인에 대한 인식개선과 노인의 사회참여 증대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우리동네 안전지킴이 활동 사업대상 노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 동네 또는 노인복지시설의 안전모니터링 실시 월1회 모임을 통해 모니터링 결과 논의 후 필요에 따라 행정기관에 의견 제시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 실버인력뱅크 성과지표 사업실적 행정기관에 대한 의견 제시 건수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 사업 운영 관리 ・ 31개 시・군 : 안전지킴이의 의견 검토 및 시행 ・ 31개 시・군의 실버인력뱅크 : 안전지킴이 구성 및 운영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100 □ 3-3-3. 1・3세대 텃밭 가꾸기 ○ 추진배경 - 노인에 대한 인식개선과 노인의 사회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경로당과 지역아동 센터와 연계하여 공동의 텃밭 가꾸기 시행 ○ 사업목적 - 1・3세대 텃밭 가꾸기를 통해 노인의 사회참여를 높이고 지역아동센터의 아 동과 가족의 정을 공유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1・3세대 텃밭 가꾸기 활동 경로당 노인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경로당의 텃밭 가꾸기를 지역아동센터와 함께 함 수행기관 경기도 노인복지과, 경로당, 지역아동센터 성과지표 사업실적 텃밭 가꾸기 참여 노인・아동 수 - 운영체계 ・ 경기도 노인복지과 : 사업운영 및 관리 ・ 경로당 : 텃밭 제공 ・ 지역아동센터 : 경로당의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운영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50 50 50 50 사업 내용 시범사업 공모 텃밭 가꾸기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101 □ 3-3-4. 골드카운슬러단 운영 ○ 추진배경 - 프랑스의 비행청소년 교정단체인 '쇠이유(Seuil)'가 진행한 청소년 단기집중 치 유 프로그램으로 쇠이유는 실크로드를 걸어서 횡단한 프랑스의 베르나르 올리 비에가 만든 비행청소년 교정단체임 - 이 단체는 성인 멘토와 함께 3개월간 1,600㎞의 도보여행을 완수하면 비행청 소년을 귀가 조치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함. 이 도보여행을 마친 청소년의 재범 률은 15%로, 일반 비행청소년 재범률 85%보다 훨씬 낮다는 연구 결과로 효과 가 증명됨 - 교육과 상담의 재능기부가 가능한 노인이 일정 교육을 이수한 후 청소년치유 프로그램에서 활동 - 세대간 통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사업목적 - 노인이 비행청소년의 멘토가 되어 함께 자연을 걸으면서 청소년을 선도함 ○ 주요 내용(활동) 추진 사업명 : 골드카운슬러단 운영 활동 사업대상 노인・청소년 사업시기 2016~2020 사업내용  교육과 상담에 재능기부가 가능한 노인을 대상으로 청소년 치유 프로그램 교육 청소년 치유프로그램에서 활동 수행기관 실버인력뱅크, 청소년상담센터(위클래스 등), 경찰청 성과지표 사업실적 청소년 상담프로그램 참여 노인 수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102 사업구분 연차별 사업계획 2016 2017 2018 2019 2020 예산 - 50 50 50 50 사업 내용 청소년 치유와 노인재능기부 연계 프로그램 개발 재능기부 노인교육 청소년 치유 프로그램 운영 - 운영체계 ・ 노인일자리사업(실버인력뱅크) : 노인 멘토 양성 및 교육 경찰청과 소년원과 MOU를 체결하여 프로그램 운영 ・ 청소년상담센터 : 청소년치유프로그램 사업 위탁 ○ 단계별 추진 계획 (단위 : 백만원)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103 4 우선 추진 사업 분류 □ 사업대상을 고려한 우선 추진 사업 분류 ○ 노인의 건강과 경제력을 고려한 우선 추진 사업 - 노인이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살아가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추진 사업에서 고려되어야 할 노인의 속성은 연령이나 성별보다는 건강정도와 경제적 상황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 30개 추진과제 중 노인의 건강과 경제력을 고려하여 우선 추진 사업을 분류하 면 다음과 같음7) ・ 건강하고 경제력이 있는 노인 대상 우선 추진 사업 :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한 사업, 찾아가는 여가프로그램 운영, 노인동아리 운영 지원, 10만시간 드림 프로 젝트, 아침이 기다려지는 경로당, 생활체육지도사와 함께하는 2020피트니스, 우리동네 안전지킴이, 1·3세대 텃밭 가꾸기, 골드카운슬러단 운영 ・ 건강하고 경제력이 부족한 노인 대상 우선 추진 사업 : 소득 보존을 중심으로 한 사업으로 반려동물관리사 사업, 일하는 어르신 안전지원사업 확대, 노인일 자리 수행기관 지원 강화, 노인공동체주택 개발, 카네이션하우스사업 활성화 ・ 돌봄이 필요하고 경제력이 있는 노인 대상 우선 추진 사업 : 신체기능 저하에 관계없이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 ・ 돌봄이 필요하고 경제력이 부족한 노인 대상 우선 추진 사업 : 기존의 노인복지 사업 대상과 동일, 노인이동서비스 제공, 단기보호기관시설 확충 ・ 건강상태와 경제력 유무를 고려하지 않고 추진되어야 할 사업 : 전체 노인을 대 상으로 하는 사업으로 노후준비지원 여건조성, 주택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효 자손 플러스 사업, 노인맞춤형 주택개조 서비스, 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 노인 의 건전한 성문화 환경조성, 노인종합상담센터 확대, 노인보호전문기관 확대, 노인자살 예방사업 확대,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및 조기예방, 4070 건강검진, 우리동네 주치의, 지역포괄지원센터 설치, 치매노인과 지역의료 연계, 노인 인 권선언 7) 노인속성에 따른 우선 추진 사업 분류 중 단기보호시설확충은 경제력의 유무보다는 돌봄의 필요유무에 비 중을 두어야 하나, 경제력을 고려한다면 경제력이 부족한 노인이 우선 대상으로 적용됨 사회참여프로그램 중에도 이러한 적용이 있음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104 <그림 Ⅲ-15> 노인의 건강과 경제력을 고려한 우선 추진 사업 분류 ○ 시·군 격차 해소를 위한 우선 추진 사업 - 경기도 31개 시·군은 고령화율, 복지인프라, 지역유형(농촌형, 도시형) 등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띄고 있음 - 고령화가 진행된 시·군(가평군, 연천군, 양평군 등)에 우선 추진되어야 하는 사업은 보건복지의료 연계사업으로 건강관리와 치매관리를 진행 ・ 건강중심 연계 : 4070 건강검진, 우리동네 주치의, 생활체육지도사와 함께하는 2020피트니스 ・ 치매관리 중심 연계 : 치매노인과 지역의료 연계,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및 조기 예방 - 사회참여 중심의 신규 추진 사업은 복지인프라가 정비된 지역을 우선 대상지 역으로 하고 모델화하여 확대 ・ 사회참여 사업 : 골드카운슬러단 운영, 노인동아리 운영 지원 등 - 도시와 농촌의 여건을 고려하여 추진되어야 하는 사업 : 카네이션하우스사업 활성화, 일하는 어르신 안전지원사업 확대, 1·3세대 텃밭 가꾸기 등

Ⅲ 2 0 2 0 경 기 노 인 복 지 비 전 추 진 계 획 105 □ 확대사업과 신규사업 분류 ○ 13개 확대사업 - 폐지줍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일하는 어르신 안전지원사업 확대,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지원 강화, 주택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 노인 동아리 운영 지원, 10만시간 드림 프로젝트, 카네이션하우스사업 활성화, 아침 이 기다려지는 경로당, 노인의 건강한 성문화 환경조성, 노인종합상담센터 확 대, 노인보호전문기관 확대, 노인자살 예방사업 확대, 단기보호시설 확충 등 ○ 17개 신규사업 - 노후준비지원 여건조성, 반려동물관리사 사업, 효자손 플러스 사업, 노인맞춤 형 주택개조 서비스, 노인공동체주택 개발, 노인이동서비스 제공, 찾아가는 여 가프로그램 운영,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및 조기예방, 4070 건강검진, 우리동 네 주치의, 생활체육지도사와 함께 하는 2020피트니스, 지역포괄지원센터 설 치, 치매노인과 지역의료 연계, 노인 인권선언, 우리동네 안전지킴이, 1·3세 대 텃밭 가꾸기, 골드카운슬러단 운영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106 <표 Ⅲ-9> 핵심과제별 추진 사업 분류(확대, 신규) 핵심과제 추진 사업 분류확대(13개) 신규(17개) 1-1. 노후소득지원체 계 구축 1-1-1. 노후준비지원 여건조성 ○ 1-1-2. 반려동물관리사 사업 ○ 1-1-3. 일하는 어르신 안정지원사업 확대 ○ 1-1-4.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지원 강화 ○ 1-2. 주거환경 개선 1-2-1. 주택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 1-2-2. 효자손 플러스 사업 ○ 1-2-3. 노인맞춤형 주택개조 서비스 ○ 1-3.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1-3-1. 노인공동체주택 개발 ○ 1-3-2. 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 ○ 1-3-3. 노인이동서비스 제공 ○ 2-1. 신노년을 위한 여가 및 자원봉사 활성화 2-1-1. 찾아가는 여가프로그램 운영 ○ 2-1-2. 노인동아리 운영 지원(9988톡톡쇼) ○ 2-2. 긍정적 신노년문화 확산 2-2-1. 10만시간 드림 프로젝트 ○ 2-2-2. 카네이션하우스사업 활성화 ○ 2-2-3. 아침이 기다려지는 경로당 ○ 2-2-4. 노인의 건전한 성문화 환경조성 ○ 2-3. 심리정서지원 강화 2-3-1. 노인종합상담센터 확대 ○ 2-3-2. 노인보호전문기관 확대 ○ 2-3-3. 노인자살 예방사업 확대 ○ 3-1. 건강관리체계 구축 3-1-1.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및 조기예방 ○ 3-1-2. 4070 건강검진 ○ 3-1-3. 우리동네 주치의 ○ 3-1-4. 생활체육지도사와 함께하는 2020피트니스 ○ 3-2. 지역사회 자원의 적극적 활용 3-2-1. 지역포괄지원센터 설치 ○ 3-2-2. 단기보호시설 확충 ○ 3-2-3. 치매노인과 지역의료 연계 ○ 3-3. 세대통합 도모 3-3-1. 노인 인권선언 ○ 3-3-2. 우리동네 안전지킴이 ○ 3-3-3. 1・3세대 텃밭 가꾸기 ○ 3-3-4. 골드카운슬러단 운영 ○

Ⅳ 정책 제언 1. 정책 제언

Ⅳ 정 책 제 언 109 1 정책 제언 □ 수명 증가에 따른 노년층의 자아실현8)을 위한 신정책 발굴 ○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2000년 76세에서 2015년 81.7세로 증가했으며, 2020년이 되면 82.6세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수명의 증가로 은퇴 후의 시간이 지금보다 길어지게 되는데, 활동적인 노후를 위한 정책 개발 필요 - 현재 노인은 하루의 대부분을 집이나 지역사회에서 휴식활동을 하고 있으나, 활동적인 노후를 보내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음 ○ 경제력이 있고, 건강하며,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사회의 주체이고 싶은 신노 년의 등장은 기존의 결핍 해소를 위한 욕구에서 성장을 추구하는 자아실현 의 욕구 충족을 요구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의 자아실현을 위한 추진 사업으로 정책목표 2. 활 기찬 사회활동지원의 노인동아리 운영지원, 카네이션하우스사업 활성화, 10만 시간 드림 프로젝트 사업을 제안했으며, 정책목표 3. 건강한 복지공동체 구현 의 노인 인권선언, 1·3세대 텃밭 가꾸기, 골드카운슬러단 운영, 지역사회에서 선배시민의 역할을 담당하는 우리동네 안전지킴이 사업을 제안 - 노인의 활발한 사회참여를 통해 부양비 증가, 노인범죄 증가 등에 따른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인식도 변화할 것으로 생각됨 8) 자아실현의 욕구는 결핍 상태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성장을 향한 긍정적 동기의 발현이라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성숙한 인간 동기라고 주장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루고자 하는 욕구는 한계에 부딪히지만 이 를 극복하면서 더욱 분발하는 것을 뜻함 자아 실현의 욕구는 사람마다 다르게 구현(심리학용어사전, 2014. 4., 한국심리학회) ⨠⨠Ⅳ 정책 제언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110 □ 경기도는 다른 시도에 비해 베이비부머를 포함한 노인인구가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시·군에 따라 노인복지인프라와 고령화율에 차이 가 나타나는데, 이를 고려한 노인세대 증가에 따른 경기도만의 특화 된 정책을 제안함 ○ 독거노인의 공동체 생활을 지원하는 주요한 사업인 카네이션하우스사업의 확대를 제안함. 아직 사업 초기로 운영이 잘 되는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이 있는데, 운영이 잘 되는 곳을 모델화하여 다른 지역에 적용하는 방법으 로 확대할 것을 제안함 ○ 또한, 노인세대가 증가하고 있는 경기도에서 다른 지자체 보다 한 발 앞서 노인 인권을 선언함으로 지역사회의 주체로 노인권리를 선포하고 노인의 사회참여 장려와 학대로 부터의 보호에 기반을 마련 - 노인 인권선언과 함께 노인의 건전한 성문화 환경조성을 확대 ○ 보건복지의료의 연속적 보호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살아가는 환경을 조성 - 4070 건강검진, 우리동네 주치의, 지역포괄지원센터 설치 등의 사업을 보건복 지의료를 연계한 연속적 보호시스템의 마중물 사업으로 제안 □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을 위한 법적 체계 구축 ○ 경기도 노인복지비전과 중장기계획 수립을 위한 조례제정 - 노인복지법 제5조에 의하면 3년마다 노인실태조사를 하도록 되어 있으나, 중 장기계획 수립에 대한 언급은 없으며,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계획은 사회보장 기본법에 의해 수립되는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일부로 포함 - 지역사회보장계획은 사회보장 전반에 대한 정책수립으로 노인에 대한 부분을 구체적・세부적으로 다루기에는 한계 - 노인복지비전수립과 중장기계획 수립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여 정기적으로 계 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법적 기반 구축 필요 ・ 조례에는 수립된 계획의 실행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차별 계획수립과 평가계획 포함

Ⅳ 정 책 제 언 111 ○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거주하기(AIP) 조례제정 - 노인이 소득과 건강, 신체기능의 저하에 관계없이 살던 동네에서 활기차게 살 아가기 위해서는 물리적・제도적・법률적 배리어프리9)가 필요 - 노인의 상태와 욕구에 따라 보건복지의료의 공식・비공식 서비스의 포괄적이 고 지속적인 연계가 바람직함 - 노인복지기관, 의료기관, 행정기관 간의 원활한 협력체계 구축 ○ 노인 인권 조례제정 - 고령화와 가족의 구성이 변화하면서 가족 돌봄에서 돌봄의 사회화로 변화 과 정 중에 있는 우리나라는 노인부양비 증가, 의료비 증가, 노인의 취업률 증가 등으로 인한 세대 간의 갈등과 노인 관련 범죄의 증가에 따른 노인에 대한 부 정적 시각이 만연한 상태임 - 노인의 인권옹호와 선배시민으로의 인권에 대한 조례를 제정하고 이를 선포하 는 것은 향후 노인인구가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기도에 큰 의미가 있음 □ 조직과 인력의 확대 ○ 노인복지관련 조직은 남부에 보건복지국 노인복지과 3개팀(18명), 사회적일 자리과 1개팀(4명), 북부에 사회복지담당관 1개팀(4명)으로 조직되어 있음 - 그러나 30개 추진 사업 중 17개가 신규사업으로 조직과 인력의 확대가 필요 - 노후준비지원 여건조성과 노인 인권선언 사업 등은 중요한 경기도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하나, 기존 조직 안에서는 인력적 한계가 있음 ○ 노인복지정책이 저소득 노인의 빈곤정책에 머물렀을 때는 하나의 과에서 정책을 시행할 수 있었으나, 모든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인 생활지원 정책 시행을 위해서는 각 부서의 의견을 조율하고 협업을 이끌어낼 수 있는 조직구성이 필요 - 신규사업인 노인공동체주택 개발, 주택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등 주택관련 정 9)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 1974년 국제연합 장애인생활환경전문가회의에서 '장벽 없는 건축 설계 (barrier free design)'에 관한 보고서가 나오면서 건축학 분야에서 사용되기 시작함. 이후 일본·스웨 덴·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휠체어를 탄 노인이나 장애인들도 일반인과 다름없이 편하게 살 수 있게 하자는 뜻에서 주택이나 공공시설을 지을 때 문턱을 없애자는 운동을 전개하면서 세계 곳곳으로 확산됨 (두산백과).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112 책은 도시주택실의 주택정책과와의 협력이 필요 - 노인이동서비스 제공, 노인보호구역 개선사업 등은 건설국의 도로정책과와의 협력사업 ○ 장기적으로는 건강상태, 재정상태에 관계없이 누구나 동네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유니버셜디자인이 적용된 도시재생을 고려한 정책설계 요구 - 도지사 직속의 (가칭)저출산고령사회조정실을 설치(예 : 재난안전본부) <그림 Ⅳ-1> 경기도청의 노인복지 업무 관련 조직 및 인력 경기도청(남부) 경기도청(북부) 노인복지과 사회적 일자리과 사회복지 담당관 노인정책팀 (7) 노인시설팀 (5) 노인지원팀 (6) 노인일자리팀 (4) 노인복지팀 (4) 경기도지사 저출산고령사회 조정실 경기도청 (남부) 경기도청 (북부) 노인복지과 사회적 일자리과 사회복지 담당관 노인 정책팀 (7) 노인 시설팀 (5) 노인 지원팀 (6) 노후 지원팀 (4) 노인일자리팀 (4) 노인복지팀 (4)

Ⅳ 정 책 제 언 113 구분 부서명 팀명(팀원) 기존 업무 신규 업무 남부 노인복지과 노인 정책팀 (7) - 공약 어르신 행복촌 추진 - 노인복지기금 운영 관리 - 정부합동(시군) 평가 관리 - 통합관리지표(BSC)관리 - 경로당 업무 - 경로당광역지원센터 업무 - 대한노인회 경기도연합회 업무 - 노인돌봄 종합/단기가사서비스 - 노인 기초연금 운영 및 지원 - 폐지줍는 노인지원사업 - 노인건강관 지 사업 ‧ 우리동네 주치의 ‧ 생활체육지도사와 함께하는 2020 피트니스 - 1·3세대 텃밭 가꾸기 노인 시설팀 (5)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관리 및 부담금 지원 - 장기요양기관 지도관리 및 재가 노인 복지시설 운영지원 - 재가장기요양기관 지역사회자원 연계사업 지원 - 365 어르신돌봄센터 운영 지원 - 사회복지법인 설립허가, 변경 및 지도, 감독 - 노인복지시설 기능보강사업 지원 - 노인요양・양로시설 운영 지원 지도 관리 - 요양보호사 지원 - 개인운영 신고시설 지원, 미신고 시설 관리 - 요양보호사 교육기관 지도, 점검 지원 - 영주귀국 사할린 동포 특별생계 비 지원 - 지역포괄지원센터 설치 지원 노인 지원팀 (6) - 장사재단법인 - 노인돌봄서비스사업 - 카네이션하우스사업 - 노인복지관 확충 및 운영 업무 - 노인여가문화 활성화 기획 및 운영 - 노인이용시설 종사자 수당 지원 - 어르신 문화즐김센터 및 문화거 리 조성 운영 - 장례지도사 자격증 관리 - 노인학대예방 - 노인종합상담센터 운영 관리 - 찾아가는 여가프로그램 운영 - 노인주거환경개선지원사업 ‧ 효자손 플러스 사업 ‧ 노인맞춤형 주택개조 서비스 등 <표 Ⅳ-1> 증원된 노인복지 업무분장표

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실행계획 수립 연구 114 구분 부서명 팀명(팀원) 기존 업무 신규 업무 노후 지원팀 (4) - - 고령친화도시 업무(기존 노인 정책팀) - 노후지원준비지원사업 - 노인인권사업 - 노인자원봉사지원사업 ‧ 골드카운슬러단 운영 ‧ 우리동네 안전지킴이 등 - 노인의 날 및 어버이날 행사지원 (기존 노인정책팀) 사회적 일자리과 노인일 자리팀 (4) - 노인일자리 사업 지원 및 평가 - 노인일자리 경진대회 운영 - 경기도노인일자리지원센터 운영 지원 - 시니어클럽 운영 지원 - 시군 실버인력뱅크 지원 - 북부 사회복지담당관 노인 복지팀 (4) - 노인복지시설(양로・요양) 관리 - (경기북부) 노인돌보미, 응급안전 서비스, 노인보호전문기관 관리 -

참 고 문 헌 115 김동배・유병선(2013).「근린환경과 노인의 사회적 관계, 우울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3(1): 105-123. 박영란(2016).「한국의 노인인권 현황과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 국내 노인인권 전문가 포럼 발표자료. 유병선(2015).「경기도 취약계층 주거비부담 실태분석 연구」, 경기복지재단. 이정임・이수진(2015).「반려동물 현황과 주요 이슈」, 경기연구원. 이현우(2016).「지자체 사회복지지출 증가, 이대로 둘 것인가?」, 경기연구원 지은정(2016).「더 오래 일하는 사회, 노년시대의 일자리?」,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년 춘계학술대회. 황경란 외(2015).「2020 경기노인복지비전 수립 연구」. 황남희(2016).「노인빈곤,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년 춘계학 술대회. 경기도(2014).「경기도 복지실태 및 복지수준 분석」. 경기도(2016).「노인주거복지시설 현황」. 경기도(2016).「2016 경기도 노인복지 사업 안내」. 경기도(2016).「2016 건강증진과 단위사업 업무계획」. 경기복지재단(2016).「경기도민 복지 실태조사」. 경기지방경찰청(2016).「경기도 내 노인・장애인 보호시설에 대한 전수조사」. 국민안전처(2015).「노인보호구역 지정현황」. 문화체육관광부(2014).「2014 국민여가활동조사」. 법무부(2014).「노인학대피해자 실태 및 법무부의 지원방안 연구」. 보건복지부(2011).「저출산고령화 국민의식 조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