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29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연구책임 󰠛 신재은 (경기복지재단 선임연구위원) 공동연구 󰠛 이유진 (에듀D&D 대표이사) 박미경 (경기복지재단 전문연구원)

감수위원 경기대학교 민소영 교수 이음컨설팅그룹 박경연 부대표 하안1동행정복지센터 가현자 팀장 ■ GGWF Report는 사회복지분야의 주요현안에 관하여 정책의 방향설정과 실현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ㆍ조사를 통한 정책제안이나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작성된 자료입니다. ■ 본 보고서는 경기복지재단의 공식적인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과 관련한 의견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Tel : 031-267-9351 Fax : 031-898-5938 E-mail : sje9820@ggwf.or.kr

요약 i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정부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추진으로 읍면동이 지역복지의 중심기관이 되 어 주민의 다양한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활동을 수행하도록 함. - 경기도는 561개 읍면동이 해당하며, 사회복지직 이외에 행정직, 기술직, 보건직 등 다양한 직렬이 배치되고 있음. 사회복지직이 타 직렬이 복지업무를 맡게 되면서 복 지전문성 부족의 우려가 있음. ○ 찾아가는 복지전담팀에서 수행하여야 하는 업무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으나, 담당인력의 전문성 부족의 우려와 업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지원이 부족함. - 현재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교육을 시행하는 기관에서 대부분 통합사례관리와 특정 직무를 중심으로 교과내용을 구성하고 있어 직무교육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담당하는 담당공무원에게 요구되는 지식/스킬/태도는 무엇이며, 현재 교육현황과 향후 바라는 교육방법 등을 살펴 봄으로써 직무교육체계(안)를 제시하고자 함. □ 연구방법 ○ 문헌연구 단계에서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와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직무분 석 결과 및 활용 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탐색함. ○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들의 직무와 과업별로 필요한 지식 /스킬/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시행함. - 복지상담, 복지사각지대 발굴, 자원관리, 읍면동서비스연계, 읍면동지역사회보장 협의체 운영지원, 통합사례관리의 6개 핵심직무와 21개의 과업, 총 79개의 지식/ 스킬/태도가 도출됨. ○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직무 및 필 요한 지식/스킬/태도에 대한 타당도를 분석하고자 설문조사를 함. 요약

ii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설문조사 내용은 직무별 중요도와 수행빈도, 난이도, 지식/스킬/태도의 보유도와 중요도를 주요내용으로 하였고, 이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하여야 할 지식/ 스킬/태도의 우선순위, 직무교육체계(안)를 도출함. □ 설문조사 결과 ○ 경기도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들은 복지상담, 복지사각지대 발굴, 자원관리, 읍 면동서비스연계, 통합사례관리,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등 모든 직무 영역의 중요도가 높은 것에 비해 현재 보유도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팀장은 읍면동서비스연계, 자원관리, 통합사례관리에 대한 역량개발이 필요하며, 팀원은 복지상담, 읍면동서비스연계, 자원관리에 대한 역량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 팀장과 팀원 간 지식/기술/태도 보유도의 차이가 급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장은 사회복지직과 행정직 간 지식/기술/태도 보유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음. - 전환배치된 행정직 팀장 대상의 교육과정 개설 및 필수의무화, 팀장의 슈퍼비전으 로 업무지식과 노하우를 전달할 수 있는 체계 마련, 지역별 학습조직 결성과 지원 등 공식적인 교육훈련 이외에 또 다른 인터벤션이 제공되어야 함. ○ 교육요구분석 결과 교육훈련의 기회는 많은데 반해, 업무에 도움이 되지 않고 또한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음. - 증가하는 복지수요와 복지정책의 총량 확대는 공공복지전달체계의 인력 규모를 증 가시키기도 했지만, 이들에 대한 교육훈련 시스템이 강화되어야 함을 나타냄. □ 직무교육체계 개발 ○ 직책별 지식/기술/태도의 개발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팀장은 욕구 및 위기도 조 사, 후원자 발굴, 접수, 서비스 연계, 심층민원상담, 서비스제공계획수립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원은 복합민원상담, 후원자 발굴, 심층민원상담, 욕구 및 위기도 조사, 후원연계, 서비스연계,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에 대한 교육 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남.

요약 iii ○ 직무교육은 개념·원리 이해, 사례분석/원리적용, 현업적용/계획수립 등 세 가 지 목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음. - 개념·원리 이해에 해당하는 학습모듈은 ‘통합사례관리 기초’와 ‘보건복지서비스 기초’이며, 사례분석/원리적용에 해당하는 학습모듈은 ‘민원상담’, ‘사업계획서 작 성’, ‘대상자 사정 기술’, ‘대상자 촉진 기술’이며, 현업적용/계획수립에 해당하는 학습모듈은 ‘상담위기대응’, ‘자원개발’, ‘서비스연계’, ‘협의체 및 주민조직화’, ‘슈 퍼비전 기술’ 등이 해당됨. ○ 교육방법으로는 경기도 지역특수성 및 복지전담팀 직무 특성상, ‘찾아가는 보 건복지서비스 맞춤교육’ 확대, 현장 중심의 OJT 요구대응, 비구조적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자기주도학습 촉진을 위한 강사의 스캐폴딩(Scaffolding) 실행’, ‘문제해결력을 위한 자원기반 학습’을 제안함. ○ 직무교육의 효과성은 반응평가, 사전-사후 학습평가, 행동평가로 측정할 수 있음. □ 정책적 제언 ○ 첫째, 신규채용자 또는 전환배치직을 위한 별도의 교육 마련 필요 ○ 둘째, 현장사례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 필요 ○ 셋째, 경기도와 시‧군‧구 차원에서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인력의 안전대책 강구 필요

목차 v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방법 ······························································································ 3 Ⅱ| 문헌검토 / 9 1.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추진현황과 주요업무 ·········································· 9 2.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교육현황 ··························································· 15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 21 1. 조사개요 ··································································································· 21 2. 직무별 중요도, 빈도, 난이도 분석 ···························································· 23 3. 직무별 지식/스킬/태도의 보유도, 중요도 분석 ········································· 24 4. 직책별 지식/기술/태도의 보유도, 중요도 분석 ·········································· 31 5. 직책별 중요도-보유도 IPA 분석 ······························································ 35 6. 교육요구 분석 ························································································· 46 Ⅳ| 직무교육체계 개발 / 51 1. 지식/기술/태도의 개발 우선순위 ······························································· 51 2. 직무교육체계(안) ····················································································· 58 Ⅴ| 결 론 / 67 1. 요약 ········································································································· 67 2. 정책제언 ································································································· 70 | 참고문헌 / 73 | 부록 / 75 목차

vi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표 Ⅰ-1> FGI 참석자 ··········································································································· 5 <표 Ⅰ-2> FGI 결과 ············································································································· 6 <표 Ⅰ-3> 조사도구의 구성 ·································································································· 8 <표 Ⅱ-1> 읍면동 복지전담팀 직무, 과업, 지식/기술/태도 ···················································· 13 <표 Ⅱ-2>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교육현황 ······································································· 16 <표 Ⅱ-3> 경기복지재단 교육현황 ······················································································· 18 <표 Ⅲ-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22 <표 Ⅲ-2> 직무별 중요도, 수행빈도, 난이도 ······································································· 24 <표 Ⅲ-3> 직무에 따른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 25 <표 Ⅲ-4> 복지상담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 26 <표 Ⅲ-5> 복지사각지대발굴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 27 <표 Ⅲ-6> 자원관리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 28 <표 Ⅲ-7> 읍면동서비스연계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 29 <표 Ⅲ-8> 읍면동지역사회협의체 운영지원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 30 <표 Ⅲ-9> 통합사례관리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 31 <표 Ⅲ-10> 직무에 따른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팀장) ············································· 32 <표 Ⅲ-11> 직렬에 따른 지식/기술/태도 보유도(팀장) ·························································· 32 <표 Ⅲ-12> 직무에 따른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팀원) ············································· 33 <표 Ⅲ-13> 팀장과 팀원 간 직무에 따른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 33 <표 Ⅲ-14> 팀장과 팀원 간 직무에 따른 지식/기술/태도 중요도 ········································· 34 <표 Ⅲ-15> 팀장의 과업별 지식/기술/태도 수준에 대한 IPA 분석 ······································· 36 <표 Ⅲ-16> 팀장의 복지상담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 37 <표 Ⅲ-17> 팀장의 복지사각지대발굴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 38 <표 Ⅲ-18> 팀장의 자원관리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 38 <표 Ⅲ-19> 팀장의 읍면동서비스연계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 39 <표 Ⅲ-20> 팀장의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직무 지식/기술/ 태도에 대한 IPA 분석 ······················································································ 39 표 차례

목차 vii <표 Ⅲ-21> 팀장의 통합사례관리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 40 <표 Ⅲ-22> 팀원의 과업별 지식/기술/태도 수준에 대한 IPA 분석 ········································ 41 <표 Ⅲ-23> 팀원의 복지상담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 42 <표 Ⅲ-24> 팀원의 복지사각지대발굴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 43 <표 Ⅲ-25> 팀원의 자원관리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 43 <표 Ⅲ-26> 팀원의 읍면동서비스연계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 44 <표 Ⅲ-27> 팀원의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직무 지식/기술/ 태도에 대한 IPA 분석 ······················································································ 44 <표 Ⅲ-28> 팀원의 통합사례관리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 45 <표 Ⅲ-29> 현행 교육훈련에 대한 만족도 ··········································································· 46 <표 Ⅲ-30>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기관 ······································································· 47 <표 Ⅲ-31> 가장 효과적인 교육형태 ···················································································· 47 <표 Ⅲ-32> 적절한 교육기간 ······························································································ 47 <표 Ⅲ-33> 교육훈련을 받기 힘든 이유 ·············································································· 48 <표 Ⅲ-34> 교육의 시급한 사항 ························································································· 48 <표 Ⅳ-1> 직무영역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 ·························································· 53 <표 Ⅳ-2> 과업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 ································································ 54 <표 Ⅳ-3> 직무영역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팀장) ················································· 55 <표 Ⅳ-4> 과업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팀장) ······················································· 55 <표 Ⅳ-5> 직무영역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팀원) ················································ 56 <표 Ⅳ-6> 과업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팀원) ······················································· 56 <표 Ⅳ-7> 팀장과 팀원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 비교 ············································ 57 <표 Ⅳ-8> 과업별 필요 지식/기술/태도 ·············································································· 59 <표 Ⅳ-9> 교육과정 설계 목표 ··························································································· 62 <표 Ⅳ-10> 학습모듈 목록 ·································································································· 62 <표 Ⅳ-11> 교육평가 유형 ··································································································· 65 <표 Ⅳ-12> 교육과정 평가 ·································································································· 66 <표 Ⅴ-1> 심층인터뷰 결과 ································································································· 68

viii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그림 Ⅲ-1> IPA 매트릭스 ································································································· 35 <그림 Ⅳ-1> The Locus for Focus ····················································································· 52 <그림 Ⅳ-2>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역량체계 ·························· 58 <그림 Ⅳ-3>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도 ······················· 61 <그림 Ⅳ-4> 자기주도학습 촉진 ························································································· 64 <그림 Ⅳ-5> 문제해결력을 위한 자원기반 학습 ··································································· 65 그림 차례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정부는 사회문제의 복잡‧다양화, 국민의 낮은 복지체감도, 복지사각지대 문제 상존, 민관협력과 자원공유 중요성 증대 등을 배경으로 읍면동 전달체계 개편을 추진하고 있음. 이를 위해 읍면동에 복지전담팀을 설치하고 인력을 배치하여 찾 아가는 복지상담, 복지사각지대 발굴, 통합사례관리, 지역자원 발굴 및 지원 등 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읍면동이 지역복지의 중심기 관이 되어 주민의 다양한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일련의 활동을 수행 하도록 함. ○ 이러한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추진은 2016년에는 일부 읍면동을 선정하여 실시하다가 2018년도에는 전제 읍면동으로 확산되었음. 경기도는 561개 읍면동 이 해당하며, 사회복지직 이외에 행정직, 기술직, 보건직 등 다양한 직렬이 배치 되고 있음. 복지전담팀이 설치된 읍면동의 읍면동장은 대부분 행정직과 기타직 렬이며, 통합사례관리를 수행해야 하는 권역형(중심동)의 팀장이 사회복지직이 아닌 경우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전연진 외, 2016). 이렇게 사회복지 직이 아닌 다수의 행정직 등 타 직렬이 복지업무를 맡게 되면서 복지업무에 대 한 용어이해, 사회복지가치나 윤리의 반영 등 복지전문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음(김이배, 2016). ○ 읍면동 복지기능강화 또는 읍면동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의 안정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수행인력의 전문성 강화가 중요하다는 주장이 지속해서 제기되어 오 고 있으며(강혜규 외, 2016), 이에 부응하고자 정부산하 교육기관, 전국 광역복 Ⅰ 서 론

2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지재단 등에서 개편된 업무를 중심으로 교육을 실행해오고 있음. 공공복지분야 교육의 대표적인 정부산하 교육기관인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의 찾아가는 보 건복지서비스 교육현황을 살펴보면, 읍면동장, 팀장, 실무자 등 직급별로 구분 하여 교육을 하고, 교육내용은 통합사례관리와 민관협력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내부자료, 2018). 그리고 경기복지재단은 직급별 교육과 시‧군에 맞춤형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나 역시, 교육내용이 특정 직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교육훈련종합분석보고서, 2018). 한편 경기도공무원교 육을 수행하는 경기도인재개발원은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관련 교육을 별도 로 운영하고 있지 않음. ○ 찾아가는 복지전담팀에서 수행하여야 하는 직무가 복지사각지대 발굴, 복지상 담, 서비스연계, 통합사례관리, 읍면동지역사회복장협의체 운영지원, 자원관리 등 다양한데 비해, 현재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에서 공 통으로 시행하는 교과내용은 통합사례관리와 특정 직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직무교육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뿐만 아니라, 찾아가는 복지전담팀의 개 별 직무는 연계성을 가지고 서로 영향을 끼치는 특성이 있어, 직무가 효과적으 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통합사례관리나 민관협력뿐 아니라 기타 직무에 대한 교육과 지원을 등한시하여서는 안 됨. 또한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가 초기단 계부터 제대로 정착하려면 각 직무에 대해 정확한 이해와 업무스킬을 습득하기 위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함. ○ 이상으로 볼 때, 복지전달체계의 변화로 찾아가는 복지전담팀에서 수행하여야 하는 업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는 있으나, 담당인력의 전문성을 우려하고 있고 업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지원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담당하는 담당공무원에게 요구되는 지식/스 킬/태도는 무엇이며, 현재 교육현황과 향후 바라는 교육방법 등을 살펴봄으로써 직무교육체계(안)를 제시하고자 함. 향후 연구결과를 기초로 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를 담당하는 수행인력의 교육계획 수립과 체계적인 교육, 이를 통한 업무 전문성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Ⅰ. 서론 3 2. 연구의 방법 □ 본 연구는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담당하는 복지전담팀 공무원의 업무와 필요 지식/기술/태도, 교육요구를 파악하여 직무교육체계를 개발하고 자 하는 연구임. 직무교육체계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 현장의 보건복지서 비스 담당공무원에게 요구되는 지식/스킬/태도에 관한 내용을 조사해서 교육 체계설계에 반영함 □ 직무교육체계의 설계를 위해 문헌연구, 포커스그룹 인터뷰,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함 ○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라는 새로운 변화에 맞는 직무교육체계를 설계하기 위 하여 현장의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에게 요구되는 지식/스킬/태도는 무엇 이며, 현재의 교육체계 및 교과목에 대한 현황, 향후 바라는 교육방법 및 내용 등을 살펴봄으로써 직무수행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직무교육체계를 어떻게 개 발하는 것이 좋은지 그 방향을 제시함. 이를 위해 일반적인 데이콤(DACUM)의 과정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문헌연구, 포커스그룹 인터뷰, 설문조사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다음의 단계로 진행함 □ 문헌연구 단계에서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와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직무분 석 결과 및 활용 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탐색 ○ 직무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연구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데이컴(DACUM) 방법은 현장 실천가를 중심으로 현실적인 요구를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호 되고 있는 방법임(김성국, 신수영, 2004) - 사회복지분야에서도 사회복지사 예비직무분석(강흥구 외, 2005), 지역아동복지사 교육과정 개발(변숙영 외, 2007), 사례관리자의 직무범주도출(임효연 외 2010), 사 회복지담당 공무원의 직무표준개발(권승, 2013), 도박중독예방 강사의 직무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김성재․장수미 2013), 희망복지지원단 통합사례관리사의 사례관 리역량 자기평가지표개발(최지선 외, 2015)에서 활용된 바 있음

4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사전연구를 통해서 직무의 정의와 역할을 파악함. 이를 위해 ‘읍면동맞춤형복지팀 교육체계수립연구’를 포함한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 □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들의 직무와 과업별로 필요한 지 식/스킬/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 ○ 포커스그룹 인터뷰의 내용은 선행 연구인 최지선 외(2017)의 연구에서 사용하 였던 ‘읍면동 맞춤형복지팀 교육요구조사표’를 적용하여 구성하였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서 문헌분석에서 도출된 직무와 필요한 지식/스킬/태도 간 의 일반성을 높이고자 함. - 경기도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 11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11일, 9월 13일 2 회에 걸쳐 누락된 업무나 지식/스킬/태도는 없는지, 적절한 용어로 기술되었는지 확인함 - 포커스그룹인터뷰에 참여한 현업내용 전문가들은 평소 교육과정에 매우 적극적으 로 참여할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목적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읍면동 복지전 담팀 팀장과 주무관으로 구성하였고, 관련업무 경력 1년 이상인 자로 구성함 - 면담은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고,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중심으로 인터뷰를 진 행함. 반구조화된 인터뷰란 유목적인 대화로서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정보를 확 인할 수 있는 동시에, 참여자의 자유로운 경험 제공도 가능함. 참여자의 반응에 따 라 추가 질문을 할 수 있어 좀 더 구체적이고 실제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음 - 포커스그룹인터뷰에서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의 핵심직무를 찾는 것을 초점으로 진행됨. 이를 위해 첫째,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 공무원의 핵심직무를 선정하고 둘째, 핵심직무 이외의 다른 직무들이 선정된 핵심 직무에 포함될 수 있는지를 검토함. 셋째, 현업에서 자주 수행하지 않는 직무는 제 외함. - 핵심직무는 복지상담, 복지사각지대 발굴, 자원관리, 읍면동서비스연계, 읍면동지 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통합사례관리의 6개로 도출됨. 모니터링 직무는 통합 사례관리의 종결 및 사후관리 과업과 중복되는 것으로 나타나 통합사례관리 직무 로 통합하였고, 읍면동 특화사업과 읍면동 맞춤복지 홍보는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

Ⅰ. 서론 5 의체 운영 지원 직무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 지원 직무의 과업으로 분류됨. 끝으로 지역조사와 읍면동 맞춤형복지 관련 교 육은 자주 이루어지지 않는 직무로 본 연구의 직무구분에서는 제외함. <표 Ⅰ-1> FGI 참석자 번호 성별 근무기관 직급 1 여 시청 팀장 2 여 행정복지센터 복지전담팀 팀장 3 여 행정복지센터 복지전담팀 팀장 4 여 행정복지센터 복지전담팀 팀장 5 여 행정복지센터 복지전담팀 팀장 6 여 행정복지센터 복지전담팀 팀장 7 여 행정복지센터 복지전담팀 팀장 8 여 행정복지센터 복지전담팀 팀장 9 여 행정복지센터 복지전담팀 주무관 10 여 행정복지센터 복지전담팀 주무관 ○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에서 도출된 직무, 과업, 지식/스킬/태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직무는 복지상담, 복지사각지대발굴, 자원관리, 읍면동서비스연계, 읍면동지역사 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통합사례관리의 6개 직무로 구분됨 - 직무별 과업을 살펴보면 복지상담은 크게 심층민원상담, 복합민원상담, 찾아가는 방문상담 등 3개 과업으로 분류하였고 총 19개 지식/스킬/태도가 도출됨. 복지사 각지대발굴은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과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2개 과업으로 분류하였고 총 10개 지식/스킬/태도가, 자원관리는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후원연계, 후원자발굴 등 3개 과업에 총 9개 지식/스킬/태도가 도출됨. 읍면 동서비스연계는 과업에서는 공공서비스연계와 민간서비스연계가 구분되나 지식/ 스킬/태도는 통합하여 총 7개를 도출함. 읍면동지역보장협의체 운영지원은 협의체 운영지원, 읍면동 맞춤형복지 홍보, 특화사업 계획수립, 특화사업 실행의 4개 과업 에 총 15개 지식/스킬/태도가, 통합사례관리는 접수, 욕구 및 위기도 조사, 사례회 의, 서비스제공계획수립, 서비스제공 및 점검, 종결 및 사후관리의 6개 과업에 총 19개 지식/스킬/태도가 도출됨

6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표 Ⅰ-2> FGI 결과 직무 과업 지식/스킬/태도 복지 상담 심층민원상담 1. 대상자의 특성, 문제, 욕구에 대한 지식 2. 정신장애(알콜중독 포함 중독, 조현증, 저장강박증 등) 특성별 상담기술 3. 대상자와의 관계형성기술 4. 대상자를 설득하는 기술 5. 대상자를 직면시키는 기술 6. 대상자의 언어를 이해하는 기술 7.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는 태도 8. 대상자를 수용하는 태도 9. 필요시 단호한 태도 10.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 복합민원상담 11. 통합사례관리업무에 관한 이해 12. 지역사회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관한 이해 13. 사례관리 의뢰기술 14. 유관기관/관계자 등과의 협업기술 찾아가는 방문상담 15. 지역사회특성에 대한 이해 16. 찾아가는 방문상담을 계획하는 기술 17. 대상자의 정보를 파악하는 기술 18. 상담 시 도움이 되는 인적자원 활용기술 19. 사례관리 대상자를 판별하는 기술 복지 사각 지대 발굴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1. 지역특성 이해(지리적, 인구학적, 환경적) 2.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특성에 관한 이해 3. 복지사각지대를 인식시키고 필요시 신고하도록 독려하는 기술 4.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 대상자 초기상담기술 5.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를 신뢰하는 태도 6 정보활용 기술 (행복e음 포함)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7 복지사각지대 발굴경로 탐색 기술 8 위기대응 기술 9. 복지시각지대 발굴을 위한 인적안전망 활용 10. 복지시각지대 실태조사계획 수립기술 자원 관리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1. 지원대상, 내역, 방법, 절차 등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 2. 지원대상으로 선정되기 위한 사업기획 기술 후원연계 3. 후원대상자 특성에 대한 이해 4. 후원대상자를 발굴하는 기술 5. 후원대상자의 욕구를 파악하는 기술 6. 후원자원을 배분하는 기술 후원자 발굴 7. 후원자를 관리하는 기술 8. 인적/물적 자원 파악 및 확보 9. 네트워크 발굴 및 연계

Ⅰ. 서론 7 직무 과업(Task) 지식/스킬/태도 읍면 동서 비스 연계 공공서비스 연계 1. 민/관 서비스의 대상과 내용, 절차 등에 관한 지식 2. 민/관의 협업 기술 3. 자원봉사자활용기술 4. 알고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 5. 필요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상담 기술 6. 서비스 연계 및 점검 기술 7. 서비스연계를 위해 기관/담당자 등을 조정하는 기술 민간서비스 연계 읍면 동지 역사 회보 장협 의체 운영 지원 협의체 운영지원 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과 기능 2. 협의체 조직화 / 주민조직화 3. 회의록 작성기술 4. 회의진행 및 참여촉진기술(퍼실리테이션) 읍면동 맞춤형복지 홍보 5. 홍보 전반에 대한 이해 6. 보도자료 작성기술 7. 다양한 홍보기술(SNS 등) 8. 홍보매체 제작기술(동영상 등) 특화사업 계획수립 9. 특화사업에서 활용 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 10. 지역주민의 욕구 등 지역상황에 대한 이해 11. 특화사업 기획기술 12. 계획서(제안서) 작성기술 특화사업 실행 13. 자원활용기술 14. 참여주민이 주도성을 가지도록 조력 15. 점검 및 조정기술 통합 사례 관리 접수 1. 의뢰경로와 사유 등 의뢰내역에 대한 이해2. 통합사례관리 개념과 중요성, 과정에 대한 이해 욕구 및 위기도 조사 3. 욕구조사 및 위기도조사의 개념, 내용, 과정 등에 대한 지침 이해 4, 대상자와의 협력적 관계형성 기술 5. 대상자의 욕구, 강점, 자원 등에 대한 사정 기술 사례회의 6. 회의진행 기술 (의사결정, 기록 포함) 7. 대상자 동기부여 기술대상자선정 서비스제공계획 수립 8. 서비스제공 계획 수립의 이해 9. 대상자에게 연계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 10. 대상자가 욕구를 표현하도록 하는 기술 11.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서비스 제공자에게 요청하는 기술 서비스제공 및 점검 12. 서비스제공사항을 점검하는 기술 13. 점검결과에 따라 서비스를 조정하는 기술 14. 대상자를 지지하는 기술 15. 대상자를 옹호하는 기술 종결 및 사후관리 16. 사례관리종결의 개념과 내용, 과정, 방법 등에 대한 이해 17. 사례관리 성과를 평가하는 기술 18. 사례관리종결에 대한 합의기술 19. 사례관리종결 및 사후관리에 관한 내역을 기록하는 기술

8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직무 및 필 요한 지식/스킬/태도에 대한 타당도를 분석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 ○ 설문조사의 내용은 직무별 중요도와 수행빈도, 난이도, 지식/스킬/태도의 보유 도와 중요도를 주요내용으로 하였고, 이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하여야 할 지식/스킬/태도의 우선순위, 직무교육체계(안)를 도출하였음. 또한 신재은 외(2011)의 연구에서 사용하였던 ‘교육요구조사 질문문항’을 적용하여 경기 도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들의 교육요구를 분석함 <표 Ⅰ-3> 조사도구의 구성 구분 내용 문항수 출처 복지전담팀 직무의 중요도, 수행도, 난이도 - 복지상담 : 3개 과업 - 복지사각지대 발굴 : 3개 과업 - 자원관리 : 4개 과업 - 읍면동 서비스연계 : 2개 과업 - 통합사례관리 : 7개 과업 -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 3개 과업 66 최지선·민소영·엄 태영(2017)를 수정‧보완 복지전담팀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스킬/태도의 중요도와 보유도 - 복지상담 : 19개 지식/스킬/태도 - 복지사각지대 발굴 : 10개 지식/스킬/태도 - 자원관리 : 9개 지식/스킬/태도 - 읍면동 서비스연계 : 7개 지식/스킬/태도 - 통합사례관리 : 19개 지식/스킬/태도 -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 15개 지식 /스킬/태도 158 교육요구 - 교육만족도 - 교육받기 힘든 이유 - 교육개선사항 - 직무수행에 필요한 교육 - 선호하는 교육형태 - 선호하는 교육기간 - 선호하는 교육기관 13 자체개발 계 122

Ⅱ. 문헌검토 9 1.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추진현황과 주요업무 □ 정부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 문제를 해소하여 국민 의 복지체감도를 향상시키고자 함 ○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는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이 복지통(이)장과 읍면동 지 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등 지역사회 주민들과 함께 위기상황에 처해 있음에도 정부의 복지제도를 활용하지 못하는 어려운 이웃을 찾아가 필요한 공적 급여 지원과 전문적 통합사례관리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지역사회 내 다양한 민간 자원을 찾아 서비스를 연계하여 실질적인 생활의 어려움에 해소할 수 있도록 지원함. ○ 2014년 동 복지기능강화 시범사업을 통해 방문상담 및 민간서비스연계, 사례관 리 등이 국민의 복지 체감도를 높이는데 큰 성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2016년부 터 2018년까지 단계적으로 지역주민과 가장 가까운 전국 모든 읍면동을 복지사 업 신청·접수만을 받는 곳이 아니라 복지기관·보건소·지역주민 등과 함께 협력하여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제공의 중심기관으로 개편할 계획임. ○ 정부는 2022년까지 읍면동의 사회복지공무원 1.2만 명, 방문간호전담 공무원 3.5천 명을 단계적으로 확충하여, 전국 읍면동에 찾아가는 복지전담팀을 구성할 계획임. 이를 통해 찾아가는 복지상담, 위기가구 통합사례관리, 방문건강관리, 공공·민간복지자원 연계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복지체계 를 구축함. - 2018년 9월을 기준으로 전국의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추진 읍면동은 총 3,371 Ⅱ 문헌검토

10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개소로 전국의 96.1%에 달하고, 전담팀 설치지역은 2,441개소임. - 사회복지공무원은 2018년 9월을 기준으로 2,892명이 채용되어 올해 목표 1,543명 대비 약 187.4% 수준임. ○ 경기도 역시, 복지전담팀 100% 설치, 복지사각지대 발굴사업 지속추진,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 등으로 정부 정책에 발맞추고자 함. 특히, 복지전담팀 은 2018년 연말까지 도내 561개 동(洞) 전역 설치를 완료할 계획임. - 2018년 9월을 기준으로 경기도에는 총 517개 읍면동에서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를 추진하고 있어 91.8%의 추진율을 나타냄. □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수행하는 찾아가는 복지전담팀은 지역복지의 구심 체로서 도움이 필요한 지역주민에게 직접 찾아가 상담하고 서비스를 연계하는 역할을 수행함 ○ 주요기능은 찾아가는 서비스 활성화, 읍면동 통합서비스 제공, 찾아가는 건강서 비스, 민간조직·자원 활용으로, 팀장 포함 3명 이상 복지담당공무원 배치를 원 칙으로 하고 방문간호전담공무원을 단계적으로 추가 배치, 지자체 여건에 따라 민간 전문인력 추가배치가 가능함. ○ 찾아가는 서비스 활성화란 도움이 필요함에도 적정한 서비스를 지원받지 못한 분들을 사회복지담당공무원·복지통(이)장 및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직 접 찾아가 상담·지원하는 업무임. ○ 읍면동 통합서비스는 대상자별 욕구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 가구별 서비스 제공계획 수립·연계 등 통합사례관리서비스 제공하는 업무임. ○ 찾아가는 건강서비스는 방문간호사가 건강관리가 필요한 노인가구 등을 직접 방문하여 건강문제 상담 및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함. ○ 민간조직·자원 활용은 복지통(이)장,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복지기 관 등과 협력하여 지역자원을 발굴하고, 발굴자원을 적극 연계함.

Ⅱ. 문헌검토 11 □ 최지선·민소영·엄태영(2017)은 읍면동 복지전담팀 교육체계수립을 위해 복 지전담팀 구성원의 직무와 과업, 지식/스킬/태도를 도출함. 본 연구에서는 이 들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필요한 지식/스킬/태도를 도출함 ○ 읍면동 복지전담팀 구성원의 직무는 복지사각지대 발굴, 복지상담, 모니터링, 읍면동 서비스연계, 통합사례관리,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자원관 리, 읍면동 특화사업, 지역조사, 읍면동 맞춤복지, 읍면동 맞춤형복지관련 교육 으로 총 11개임. ○ 복지사각지대 발굴 직무에 대해서는 지역사회로부터의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과업과 행복e음을 통한 발굴과업, 그리고 지역사회 대상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과업으로 구분되었음. - 필요 지식/스킬/태도로는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특성에 대한 이해, 행복e음 전산처 리 지식, 복지사각지대 실태조사 계획수립 등의 11개임. ○ 복지상담 직무에 대해서는 심층민원상담 과업과 복합민원상담 과업, 그리고 찾 아가는 방문상담 과업으로 이루어짐. - 필요 지식/스킬/태도는 대상자와의 관계형성기술, 통합사례관리업무에 관한 이해, 전문적인 상담기술, 대상자를 배려하는 태도 등의 23개임. ○ 모니터링 직무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계획수립 과업과 모니터링 실행 과업, 그리 고 모니터링 전산입력 과업으로 구성되었음. - 필요 지식/스킬/태도는 모니터링 계획 수립, 상담기술, 잠재적 욕구파악 기술, 서 비스 점검기술, 상담내용의 기록기술 등의 18개임. ○ 읍면동서비스연계 직무에 대해서는 공공서비스 연계 과업과 민간서비스 연계 과업으로 구분되었음. - 공공서비스의 대상과 내용, 이용절차 등에 관한 지식, 자원봉사자 활용기술, 서비 스 연계 기술 등의 9개 지식/스킬/태도가 필요함. ○ 통합사례관리 직무에 대해서는 접수, 욕구 및 위기도 조사, 사례회의, 대상자선 정, 서비스제공계획수립, 서비스제공 및 점검, 종결 및 사후관리 과업으로 이루 어짐.

12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사례관리개념 이해, 의뢰자(기관)와의 의사소통 기술, 사례회의 진행기술, 대상자 를 지지하는 기술, 사례관리 성과평가 기술 등의 37개 지식/스킬/태도가 필요함. ○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직무에 대해서는 협의체 운영지원 과업이 있었음. - 필요 지식/스킬/태도는 협의체 위원을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기술, 협의체 위원의 참여를 촉진하는 기술,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회의진행기술 등의 6개임. ○ 자원관리 직무에 대해서는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과업, 후원연계 과 업, 후원자 발굴 과업으로 구성되었음. - 필요 지식/스킬/태도는 사업기획 기술, 후원 대상자 특성 이해, 후원자원 배분 기 술, 후원자 관리기술 등의 13개가 필요함. ○ 읍면동 특화사업 직무에 대해서는 특화사업 계획수립 과업, 특화사업 실행과업, 특화사업 정산 및 평가 과업으로 구분되었음. - 필요 지식/스킬/태도는 지역 상황에 대한 이해, 특화사업 기획 기술, 다양한 파트 너와 협력하려는 태도 등의 19개가 나타남. ○ 지역조사 직무에 대해서는 지역사회여건조사 과업, 주민욕구조사 과업으로 이루 어짐. - 지역사회 조사기술, 자료 분석기술, 조사대상자 선정방법에 대한 이해 등의 9개 지 식/스킬/태도가 필요함. ○ 읍면동 맞춤복지 홍보 직무에 대해서는 읍면동 맞춤형복지 홍보 과업만으로 구 성됨. - 홍보매체 제작기술, 스토리텔링 기술 등의 9개 지식/스킬/태도가 필요함. ○ 읍면동 맞춤형복지관련 교육직무에 대해서는 조직구성원 대상 교육 과업과 주 민대상 교육 과업이 있었음. - 필요 지식/스킬/태도는 맞춤형 복지팀 업무관련 지식, 강의기술, 조직구성원의 직 무역량에 대한 평가기술 등의 10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Ⅱ. 문헌검토 13 <표 Ⅱ-1> 읍면동 복지전담팀 직무, 과업, 지식/기술/태도 직무 과업 지식/기술/태도 복지사각 지대 발굴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특성에 관한 이해, 복지사각지대를 인식시키고 필요시 신고 하도록 독려하는 기술,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태 도,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를 신뢰하는 태도 행복e음 활용을 통한 발굴 전산처리와 관련된 지식, 행복e음 활용기술, 복지시각지대조사 시 활용 가능한 인 적자원에 대한 지식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복지시각지대 실태조사계획 수립기술, 실태조사목적과 내용, 방법 등을 주민에게 설명하는 기술, 실태조사결과보고를 작성하는 기술, 적극적으로 실태조사를 수행 하는 태도 복지상담 심층민원상담 대상자의 특성, 문제, 욕구에 대한 지식, 대상자에게 도움이 되는 법/제도 등에 대 한 지식, 대상자와의 관계형성기술, 대상자를 설득하는 기술, 대상자를 직면시키 는 기술, 대상자의 언어를 이해하는 기술,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는 태도, 대상자를 수용하는 태도 필요시 단호한 태도,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 복합민원상담 통합사례관리업무에 관한 이해, 지역사회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관한 이해, 사례 관리 의뢰기술, 유관기관/관계자 등과의 협업기술, 대상자를 적극적으로 응대하는 태도 찾아가는 방문상담 지역사회특성에 대한 이해, 찾아가는 방문상담을 계획하는 기술, 대상자의 정보를 파악하는 기술, 상담 시 도움이 되는 인적자원 활용기술, 상담기술(질문하기, 확인 하기, 피드백 제공하기 등), 상담결과를 기록하는 기술, 상담성과를 평가하는 기 술, 대상자를 배려하는 태도 모니터링 모니터링 계획수립 모니터링의 목적, 내용, 절차 등 지침에 대한 이해, 모니터링시 활용할 지역사회자 원에 대한 이해, 모니터링계획 수립기술, 모니터링지침을 준수하려는 태도, 모니 터링대상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하는 태도 모니터링 실행 모니터링대상자에 대한 상담기술, 모니터링과정에서 도움이 되는 인적자원 활용 기술, 모니터링대상자의 잠재적 욕구파악기술, 모니터링대상자의 이용서비스에 대한 점검기술, 모니터링대상자를 존중하는 태도, 모니터링대상자의 말을 경청하 는 태도, 모니터링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어려움에 대하여 인내하는 태도 모니터링 전산입력 모니터링 전산입력 매뉴얼에 관한 이해, 모니터링 전산입력방법에 대한 지식, 모니 터링과정에서의 상담내용에 대한 기록기술, 모니터링과정에서의 역할분담조정기 술, 모니터링실적입력기술, 충실하게 모니터링하는 태도, 성실하게 기록하는 태도 읍면동 서비스연계 공공서비스 연계 공공서비스의 대상과 내용, 절차 등에 관한 지식, 협업의 가치를 중시하는 태도, 연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민간서비스 연계 민간서비스의 대상과 내용, 절차 등에 관한 지식, 자원봉사자활용기술, 알고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 필요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술, 서비스연계과정에서 기관/담 당자 등을 조정하는 기술, 서비스연계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자원DB를 관리하는 기술 통합사례 관리 접수 의뢰경로와 사유 등 의뢰내역에 대한 이해, 사례관리개념과 중요성, 과정에 대한 이해, 의뢰자(기관)와의 의사소통 기술, 의뢰자(기관)에 개방적인 태도, 의뢰자(기 관)과의 신뢰를 형성하려는 태도, 통합사례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수행태도 욕구 및 위기도 조사 욕구조사 및 위기도조사의 개념, 내용, 과정 등에 대한 지침 이해, 대상자와의 관계형성기술, 대상자의 욕구, 강점, 자원 등에 대한 사정기술, 상담기술 사례회의 사례회의의 개념, 내용, 과정 등에 대한 지침 이해, 사례회의 운영에 도움이 되는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이해, 회의진행기술, 의사결정기술, 회의록작성기술, 사례 회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태도

14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직무 과업 지식/기술/태도 통합사례 관리 대상자선정 대상자선정 등에 대한 지침 이해, 대상자선정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기술, 대 상자에게 사례관리를 설명하고 동의를 획득하는 기술, 대상자에게 사례관리 참여에 관한 동기를 부여하는 기술 서비스제공 계획수립 서비스제공계획수립의 개념과 과정, 방법 등에 대한 이해, 대상자에게 연계 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서비스 제공자에게 요청하는 기술, 대상자에게 서비스제공내역과 참여방법을 설명 하고 동의를 획득하는 기술, 대상자 입장에서 서비스제공계획을 수립하려는 태도,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연계하는 태도 서비스제공 및 점검 서비스제공사항을 점검하는 기술, 점검결과에 따라 서비스를 조정하는 기 술, 대상자를 지지하는 기술, 대상자를 옹호하는 기술, 대상자에 대한 꾸준 한 관심 종결 및 사후관리 사례관리종결의 개념과 내용, 과정, 방법 등에 대한 이해, 사례관리 성과를 평가하는 기술, 사례관리종결에 대한 합의기술, 사례관리종결 및 사후관리 에 관한 내역을 기록하는 기술, 사후관리담당자에게 인수인계하는 기술, 사 례관리종결 이후 대상자의 감정과 상황에 대하여 이해하는 태도 읍면동지역 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협의체 운영지원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과 기능, 운영방향 등에 관한 이해, 협의체 위원 구성기술, 협의체 위원의 참여촉진기술, 회의 진행기술, 회의자료 작성기술, 회의록 작성기술 자원관리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지원대상, 내역, 방법, 절차 등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 지원대상으로 선정되 기 위한 사업기획기술, 협업하려는 태도 후원연계 후원대상자특성에 대한 이해, 후원대상자를 발굴하는 기술, 후원대상자의 욕구를 파악하는 기술, 후원자원을 배분하는 기술, 후원자원 배분 시 공정성 을 준수하는 태도, 후원자원 배분 시 친절하고 온화한 태도 후원자 발굴 후원업무처리과정에 관한 이해, 후원자를 발굴하는 기술, 후원자를 관리하는 기술, 후원자 발굴 및 관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태도 읍면동 특화사업 특화사업 계획수립 지역주민의 욕구 등 지역상황에 대한 이해, 특화사업에서 활용가능한 자원 에 관한 이해, 타 지역의 유사사례에 대한 이해, 특화사업 기획기술, 자원정 보 사정기술, 계획서(제안서)작성기술, 지역주민의 입장에서 사업을 기획하 려는 태도 특화사업 실행 계획내용과 일정에 따른 사업추진기술, 협력기관 등 조직 활용기술, 자원 활 용기술, 과정 점검 및 조정기술,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처기술, 적극적으로 추진하려는 태도, 파트너로서 협력하려는 태도, 참여주민이 주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조력자적인 입장을 견지하려는 태도 특화사업 정산 및 평가 예산집행 및 회계에 관한 지식, 설문조사, 정성평가 등 평가기술, 보고서작 성기술, 특화사업 과정 및 성과에 대한 성찰적 태도 지역조사 지역사회여건조사 지역사회의 인구사회학적, 지리적 특성에 관한 지식, 지역사회조사기술, 빅데이터 활용기술, 자료 분석기술, 결과보고서작성기술 주민욕구조사 지역주민욕구조사 기획에 대한 이해, 조사대상자 선정방법에 대한 이해, 주민욕구조사기술, 자료 분석기술, 결과보고서작성기술

Ⅱ. 문헌검토 15 2.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교육현황 □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1)에서 진행되고 있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관련 교육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전국의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관련 교육을 운영함. 2018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관련 교육을 살펴보면, 총 3개 과정이 진행되 었고,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의 교육과정은 기본적인 서비스에 대한 이해와 통합사례관리, 민관협력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음. -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의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교육은 찾아가는 복지읍면동 장 과정, 찾아가는 복지전담팀장 과정, 찾아가는 복지전담팀실무자 과정의 3개 과 정으로 이루어져 있어 직급별(동장, 팀장, 실무자)로 구분하여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 - 읍면동장과정의 교육내용은 읍면동 찾아가는 복지의 이해, 지역복지 사례공유, 복 지 리더십, 지역복지와 민관협력으로 구성되어 지역의 읍면동이 찾아가는 복지서 비스를 이해하고 리더로의 역할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음. - 팀장과정은 읍면동 찾아가는 복지의 이해, 지역복지 사례공유, 통합사례관리, 지역 1)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은 보건복지에 관한 교육훈련 등의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보건복지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자에게 전문성을 높이는 기회를 제공하고 보건복지 분야의 발전을 도모하여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함을 설립 목적으로 하는 기관임 직무 과업 지식/기술/태도 읍면동 맞춤복지 홍보 읍면동 맞춤형복지 홍보 언론매체에 대한 이해, 홍보 전반에 대한 이해, 보도자료 작성기술, 스토리 텔링기술, 다양한 홍보기술(SNS 등), 홍보매체제작기술(동영상 등), 언론매 체종사자와의 관계형성기술, 적극적인 태도, 홍보에 활용하는 대상자를 존 중하는 태도 읍면동 맞춤형복지와 관련 교육 조직구성원대상 교육 맞춤형복지팀 업무관련지식, 조직구성원의 직무역량에 대한 평가기술, 조직 구성원대상 교육훈련기술, 교육정보탐색기술, 알고 있는 정보와 지식을 공유 하려는 태도 주민대상 교육 교육정보에 대한 지식(강사, 교육내용 등), 주민대상 교육기획기술, 주민대 상 교육진행기술, 강의기술, 발표기술, 교육품질관리기술, 지역주민 눈높이 에 맞추려는 태도

16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복지와 민관협력으로 구성되어 지역의 읍면동이 찾아가는 복지서비스와 통합사례 관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됨. - 실무자과정은 찾아가는 복지서비스와 읍면동 공무원의 역할, 초기상담, 통합사례 관리, 사례연구 및 발표로 구성되어, 직무 수행에 초점을 맞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음. ○ 2018년 10월 말 기준으로, 상기 3개 과정에 대해 총 1,955명이 수료하였고, 이 중 경기지역 대상자는 364명임. <표 Ⅱ-2>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교육현황 과정명 교육기간 교육내용 전체 수료인원 경기도 공무원 수료인원 찾아가는복지 읍면동장과정 2일 ‧읍면동 찾아가는 복지의 이해 ‧지역복지 사례공유 ‧복지 리더십 ‧지역복지와 민관협력 685명 137명 찾아가는복지 전담팀장과정 3일 ‧읍면동 찾아가는 복지의 이해 ‧지역복지 사례공유 ‧통합사례관리 ‧지역복지와 민관협력 528명 69명 찾아가는복지 전담팀실무자과정 3일 ‧찾아가는 복지서비스와 읍면동 공무원의 역할 ‧초기상담 ‧통합사례관리 ‧사례연구 및 발표 742명 158명 *한국복건복지인력개발원 내부자료 참고 ○ 교육내용이 통합사례관리와 민관협력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해당 업무 이 외의 다양한 업무에 대한 교육이 추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교육생 수준에 따 른 차별화된 교과설계가 요구됨. - 찾아가는 복지전담팀에서 수행하여야 하는 업무가 복지사각지대 발굴, 복지상담, 모니터링, 읍면동 서비스연계, 통합사례관리,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 원, 자원관리, 읍면동 특화사업, 지역조사 등 11개에 달하나, 현재 중점적으로 이 루어지는 교육은 통합사례관리, 민관협력에 한정되어 있어 교육내용의 다양화가 필요함.

Ⅱ. 문헌검토 17 - 찾아가는 복지전담팀 실무자의 경우, 개인별로 관련 경력 및 사전지식 보유 수준의 편차가 크므로 교육생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교과설계가 필요함. □ 경기복지재단에서 진행되고 있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관련 교육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경기복지재단은 경기도 내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육과정을 개발 및 운영하고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2018년 경기도 내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관련 교육을 운영한 실적을 살펴보면, 읍면동 복지허브화 역량강화 과정과 찾아 가는 맞춤형 교육과정으로 구분됨. - 읍면동 복지허브화 역량강화 과정은 총 4개 과정으로 이루어짐. 대상자에 따라 실 무자 과정, 복지전담팀장 과정, 협의체 담당자 과정으로 구분되고 특히, 실무자 과 정은 실무자의 수준에 따라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으로 나눠짐. - 실무자 기본과정은 전반적인 업무를 익히고 통합사례관리를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됨. 통합사례관리와 관련된 초기상담, 복지사각지대 발굴과 자원 연계 도 함께 다룸. - 실무자 심화과정은 통합사례관리 중 접하게 되는 정신질환의 이해와 가정폭력, 알 콜중독, 강박장애, 아동·노인학대, 치매 가정 등의 위기가정 사례관리를 중점적으 로 다룸. 이와 더불어 자원연계와 복지사각지대 발굴 관련 내용을 학습함. - 복지전담팀장 과정은 정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합사례관리 슈퍼비전과 자원 연계, 민관협력과 같은 맞춤형복지팀장으로서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학습함. - 사회보장 협의체 담당자 과정은 시·군 사회보장협의체를 이해하고 협의체 운영을 위한 직무교육 중심으로 구성됨. - 찾아가는 맞춤형 교육은 경기도 31개 시·군 중, 찾아가는 교육을 희망하는 시·군에 한하여 실시함. 교육을 희망하는 시·군의 요구에 맞는 교과를 설계하여 해당 시·군 에 찾아가 교육을 진행함. ○ 2018년 관련 교육 수료생은 총 947명으로, 읍면동 복지허브화 역량강화 과정 수료자는 298명이고, 찾아가는 맞춤형 교육 수료자는 649명임.

18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표 Ⅱ-3> 경기복지재단 교육현황 과정명 교육기간 교육내용 수료인원 읍면동 복지허브화 역량강화 과정 복지전담팀 실무자 기본과정 3일 ‧읍면동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정착을 위한 실무 알기 ‧초기 상담기법과 사례관리 ‧복지사각지대 발굴과 자원 연계 ‧위기가정 사례관리의 실제 ‧찾아가는 방문 복지 ‧사례관리자의 소진문제 해결방안과 소진 대처기술 ‧사례관리 경험 공유 및 피드백 77명 복지전담팀 실무자 심화과정 3일 ‧공공 상담의 실제 ‧정신질환의 기본 이해 ‧위기가정 사례관리 실제(가정폭력, 알콜중독, 강박장애, 아동·노인학대, 치매 가정) 및 대응방법 ‧공공과 민간의 자원연계 ‧복지사각지대 발굴 및 해소 사례 85명 복지전담팀 팀장 2일 ‧읍면동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정책이해와 복지전담 팀장의 역할 ‧통합사례관리 슈퍼비전 ‧공공과 민간의 자원연계 ‧민관협력 사례 공유(토의) 및 피드백 80명 사회보장 협의체 담당자 2일 ‧사회보장협의체와의 관계 형성 ‧지역보장계획의 이해 ‧읍면동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정책이해 ‧마을복지와 시·군(읍면동) 사회보장협의체의 발전 방안 ‧지역의제 발굴 및 퍼실리테이션 활동 ‧지역 복지자원과 민관협력을 위한 네트워킹 56명 찾아가는 맞춤형 교육 1일~3일 ‧찾아가는 교육을 신청한 13개 시‧군‧구 교육요구수렴에 따 른 교육설계 ‧보건복지서비스 정책 이해, 복지전담팀의 역할, 사례관리, 사각지대 발굴 및 민관협력 등 649명 * 찾아가는 맞춤형 교육 신청 시군 : 가평군, 고양시, 군포시, 성남시, 수원시, 시흥시, 안양시, 양평군, 연천군, 오산시, 의왕 시, 파주시, 포천시 ○ 경기복지재단의 교육의 특징은 찾아가는 맞춤형 교육의 실행으로 해당 시군에 맞춤형 교육을 제공한 것과 사회보장협의체 담당자를 위한 교육이 개설된 점임. 그러나 경기복지재단의 교육 역시, 교육내용이 특정 직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직무교육의 확대 필요함. - 교육을 희망하는 13개 시·군에 찾아가는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여 해당 시·군 공무 원들에게 특히 취약한 부분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이 진행됨. 특히, 찾아가는 맞춤

Ⅱ. 문헌검토 19 형 교육에 참여한 교육생들은 시·군 상황에 부합하는 교육내용과 근무지역 내에서 편리하게 참여할 수 있는 교육접근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음. - 실무자를 위한 교육은 통합사례관리와 사회보장협의체 운영에 치중된 상황으로 복 지상담, 자원발굴 및 연계 등의 직무에 대한 전문교육이 이루어져야 함. □ 경기도인재개발원은 경기도공무원을 융합형 인재로 양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고, 2018년도 사회복지분야 교육은 사회복지역량강화과정(3일, 30 명, 1기), 처음 만나는 사회복지(1일, 60명, 2기)를 계획함. 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 관련 교육은 별도로 운영하고 있지 않음 □ 이상의 교육현황을 종합해보면, 복지전달체계의 변화로 읍면동 복지전담팀에 서 수행하여야 하는 업무중요성이 주목받고 있으나, 업무에 대한 체계적인 교 육이 지원되고 있지 못함. 이에 직무교육체계 수립에 기반한 개별 직무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 ○ 현재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에서 공통으로 중점 실시 하는 교과내용은 통합사례관리로 그 범위가 한정되어 있음. 복지전달체계의 변 화에 따라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업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지금껏 주먹 구구식으로 해 오던 관련 업무들은 체계적으로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고, 이전 에 수행하지 않았던 일부 업무들도 수행해야 하는 실정임. 이를 위해서는 통합 사례관리를 포함한 업무 전반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 ○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가 초기단계부터 현장에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각 업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업무스킬 습득을 위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제공되어 야 현장에서는 업무를 혼란없이 수행할 수 있음. ○ 읍면동 복지전담팀의 업무는 개별 직무가 서로 연계성을 가지고 서로 영향을 끼 치는 특성이 있음. 그간 통합사례관리와 민관협력과 관련하여 주로 교육을 실시 하였지만, 그 외의 업무들도 잘 수행되어야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의 핵심인 통합사례관리와 민관협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 따라서 기타 직무에 대한 교육과 지원을 등한시하여서는 안 됨.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21 1. 조사개요 □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직무와 직무에 필요한 지식/스킬/태도에 대 한 읍면동 복지전담팀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직무교육체계를 구축 하고자 함 ○ 읍면동 복지전담팀의 인력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 16일(화)부터 10월 31일(수) 까지 우편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함. ○ 설문은 직무별 중요도, 수행빈도, 난이도와 지식/스킬/태도의 보유도, 중요도를 주요 내용으로 구성함. - 직무의 중요도란 해당 직무가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사업에서 얼마나 중요한가 를 의미하는 것이고, 수행빈도는 해당 직무를 업무 중에 수행하는 빈도를 의미함. 난이도는 해당 직무가 얼마나 어려운가에 대한 인식 정도임. - 지식/스킬/태도의 보유도는 설문에 응답하는 개인이 해당 역량을 실제 얼마나 보 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정도이며, 중요도는 직무에 있어서 해당 역량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인지를 의미함. ○ 설문분석을 위해서는 SPSS 20을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평균 등의 기술통계와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하였음. 특히, 교육체계개 발을 위해 직책과 직렬에 따른 비교를 함. - 읍면동 복지전담팀에 행정직이 다수 팀장으로 배치됨에 따라, 사회복지직 팀장과 지식, 스킬, 태도의 수준 차이를 비교하여 이를 교육체계에 반영하고자 함. 직책에 서는 팀장은 팀 업무 전반을 관리하는 슈퍼바이저이고 팀원은 실제 업무를 수행하 는 위치에 있으므로 이들 간의 차이 비교하여 교육요구를 밝히고자 함.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22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읍면동 복지전담팀 소속 공무원 전원에게 공문으로 설문을 배포하였고, 총 273 명의 응답데이터를 설문분석에 활용함 ○ 설문조사에 응답한 읍면동 복지전담팀 공무원의 일반적 특성을 다음과 같음. - 응답자의 성별은 여성 192명(70.3%), 남성 74명(27.1%)으로 표집되었고, 연령은 20대 40명(14.7%), 30대 111명(40.7%), 40대 83명(30.4%), 50대 31명(11.4%)으로 나타남. - 직렬은 사회복지직 203명(74.4%), 행정직 57명(20.9%)으로 나타나 사회복지직이 과반수 이상이었고, 직급은 9급 94명(34.4%), 8급 55명(20.1%), 7급 42명(15.4%), 6급 73명(26.7%)으로 나타남. - 응답자의 재직기간은 1년 미만 65명(23.8%), 1년 이상 3년 미만 35명(12.8%), 3년 이상 5년 미만 31명(11.4%), 5년 이상 10년 미만 37명(13.6%), 10년 이상 15년 미만 28명(10.3%), 15년 이상 20년 미만 23명(8.4%), 20년 이상 46명(16.8%)으로 나타남. 복지전담팀 근무기간은 6개월 미만 100명(36.6%), 6개월 이상 1년 미만 78명(28.6%), 1년 이상 2년 미만 69명(25.3%), 2년 이상 3년 미만 17명(6.2%)으로 나타남. <표 Ⅲ-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N=273) 변수 구분 빈도(명) 백분율(%) 성별 남 74 27.1 여 192 70.3 연령 20대 40 14.7 30대 111 40.7 40대 83 30.4 50대 31 11.4 직렬 사회복지직 203 74.4 행정직 57 20.9 기타 6 2.2 직급 6급 73 26.7 7급 42 15.4 8급 55 20.1 9급 94 34.4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23 2. 직무별 중요도, 빈도, 난이도 분석 □ 경기도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주요 직무영역 6가지(복지상담, 복지사 각지대발굴, 자원관리, 읍면동서비스연계, 통합사례관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에 대한 중요도, 수행빈도, 난이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직무 중요도는 읍면동서비스연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복지상담, 통합사례관리, 자원관리, 복지사각지대발굴,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 원 직무 순으로 나타남. ○ 직무 수행빈도는 복지상담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읍면동서비스연계, 복지사각 지대발굴, 통합사례관리,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자원관리 순으로 나타남. 변수 구분 빈도(명) 백분율(%) 재직기간 1년 미만 65 23.8 1년 이상 3년 미만 35 12.8 3년 이상 5년 미만 31 11.4 5년 이상 10년 미만 37 13.6 10년 이상 15년 미만 28 10.3 15년 이상 20년 미만 23 8.4 20년 이상 46 16.8 팀근무기간 6개월 미만 100 36.6 6개월 이상 1년 미만 78 28.6 1년 이상 2년 미만 69 25.3 2년 이상 3년 미만 17 6.2 직책 팀원 194 71.1 팀장 71 26.0 보직 6개월 미만 23 8.4 6개월 이상 1년 미만 25 9.2 1년 이상 2년 미만 27 9.9 2년 이상 3년 미만 5 1.8 3년 이상 1 .4

24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직무 난이도는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직무가 가장 높게 나타났 고, 그 다음으로는 자원관리, 복지사각지대발굴, 통합사례관리, 복지상담, 읍면 동서비스연계로 나타남. <표 Ⅲ-2> 직무별 중요도, 수행빈도, 난이도 직무 중요도 수행빈도 난이도 복지상담 4.32 3.96 3.71 복지사각지대발굴 4.14 3.62 3.82 자원관리 4.25 3.30 3.83 읍면동서비스연계 4.51 3.91 3.71 통합사례관리 4.29 3.62 3.77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4.11 3.52 3.89 3. 직무별 지식/스킬/태도의 보유도, 중요도 분석 □ 경기도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에게 직무별로 요구되는 지식/스킬/태도의 보유도, 중요도 수준을 파악하고, 현재 보유도와 중요도 간 차이를 분석함으로 써 실질적으로 교육이 요구되는 지식/스킬/태도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함 ○ 전체 - 보유도 수준은 복지상담이 가장 높았고, 이 외에는 복지사각지대발굴, 통합사례 관리, 읍면동서비스연계, 자원관리,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순으로 나타남. - 중요도 수준으로 복지상담, 읍면동서비스연계, 자원관리, 복지사각지대발굴, 통합 사례관리,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순으로 높게 나타남. -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직무영역별 지식/기술/태도의 보유도와 중요도 간의 차이 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직무에서 중요도 수준 이 보유도 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25 <표 Ⅲ-3> 직무에 따른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직무 평균 t 보유도 중요도 복지상담 3.41 4.37 20.125*** 복지사각지대발굴 3.36 4.17 17.322*** 자원관리 3.20 4.19 19.111*** 읍면동서비스연계 3.26 4.24 18.300*** 통합사례관리 3.28 4.16 17.973***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3.12 4.06 18.040*** ***p<.001 ○ 복지상담 - 보유도 수준이 높은 지식/기술/태도는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는 태도, 대상자를 수 용하는 태도, 대상자의 특성, 문제, 욕구에 대한 지식 순이었고, 보유도가 낮은 역 량은 정신장애 특성별 상담 기술,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 지역사회에서 활용가 능한 자원에 관한 이해로 나타났음. - 높은 중요도 수준을 나타낸 지식/기술/태도는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 대상자 의 말을 경청하는 태도, 통합사례관리업무에 관한 이해로 나타났고, 낮은 중요도 수준을 보인 역량은 지역사회특성에 대한 이해, 찾아가는 방문상담을 계획하는 기 술, 사례관리 의뢰기술임. - 각 지식/기술/태도의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지식/기술 /태도에서 중요도가 보유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특히 보유도와 중요도 간 차이가 큰 지식/기술/태도는 정신장애 특성별 상담기술, 위험 상황에 대처하는 기술, 지역사회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관한 이해임.

26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표 Ⅲ-4> 복지상담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지식/기술/태도 평균 (2)-(1) 차이값 t 순위보유도(1) 중요도(2) 1. 대상자의 특성, 문제, 욕구에 대한 지식 3.60 4.44 0.84 15.432*** 15 2. 정신장애(알콜중독 포함 중독, 조현증, 저장강박증 등) 특성별 상담 기술 2.89 4.40 1.51 20.021 *** 1 3. 대상자와의 관계형성기술 3.52 4.44 0.92 15.703*** 11 4. 대상자를 설득하는 기술 3.42 4.41 0.99 16.072*** 8 5. 대상자를 직면시키는 기술 3.37 4.26 0.89 13.832*** 12 6. 대상자의 언어를 이해하는 기술 3.54 4.41 0.87 14.254*** 13 7.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는 태도 3.93 4.54 0.61 10.859*** 19 8. 대상자를 수용하는 태도 3.78 4.42 0.64 11.233*** 18 9. 필요시 단호한 태도 3.44 4.46 1.02 16.142*** 6 10.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 3.15 4.59 1.44 19.965*** 2 11. 통합사례관리업무에 관한 이해 3.38 4.47 1.09 17.443*** 4 12. 지역사회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관한 이해 3.25 4.42 1.17 18.286*** 3 13. 사례관리 의뢰기술 3.27 4.22 0.95 15.129*** 10 14. 유관기관/관계자 등과의 협업기술 3.30 4.34 1.04 15.838*** 5 15. 지역사회특성에 대한 이해 3.39 4.14 0.75 11.600*** 17 16. 찾아가는 방문상담을 계획하는 기술 3.36 4.18 0.82 12.326*** 16 17. 대상자의 정보를 파악하는 기술 3.53 4.38 0.85 14.047*** 14 18. 상담 시 도움이 되는 인적자원 활용기술 3.33 4.33 1 15.250*** 7 19. 사례관리 대상자를 판별하는 기술 3.31 4.27 0.96 13.895*** 9 ***p<.001 ○ 복지사각지대발굴 - 보유도 수준이 높은 지식/기술/태도는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특성에 관한 이해, 복 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 대상자 초기상담기술, 정보활용 기술 순이었고, 보유 도가 낮은 지식/기술/태도는 위기대응 기술, 복지사각지대 실태조사계획 수립기 술, 복지사각지대 발굴경로 탐색 기술,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인적안전망 활용 으로 나타났음. - 높은 중요도 수준을 나타낸 지식/기술/태도는 위기대응 기술, 복지사각지대 신고/ 제보/의뢰 대상자 초기상담기술,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특성에 관한 이해로 나타났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27 고, 낮은 중요도 수준을 보인 지식/기술/태도는 지역특성 이해, 복지사각지대 실태 조사계획 수립기술,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를 신뢰하는 태도, 복지사각지대 발굴경로 탐색 기술임. - 각 지식/기술/태도의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가 보유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특히 보유도와 중요도 간 차이가 큰 지식/기술/태도는 위기대응 기술,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인적안전망 활용,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 대상자 초기상담기술임. <표 Ⅲ-5> 복지사각지대발굴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지식/기술/태도 평균 (2)-(1) 차이값 t 순위보유도(1) 중요도(2) 1. 지역특성 이해(지리적, 인구학적, 환경적) 3.41 3.87 0.46 7.893*** 10 2.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특성에 관한 이해 3.49 4.29 0.8 15.331*** 4 3. 복지사각지대를 인식시키고 필요시 신고하도록 독려하는 기술 3.39 4.19 0.8 13.681 *** 4 4.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 대상자 초기상담기술 3.49 4.34 0.85 14.326*** 3 5.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를 신뢰하는 태도 3.44 4.07 0.63 11.330*** 9 6. 복지사각지대 발굴경로 탐색 기술 3.27 4.07 0.8 12.401*** 4 7. 위기대응 기술 3.18 4.37 1.19 17.817*** 1 8. 정보활용 기술 (행복e음 포함) 3.46 4.23 0.77 12.146*** 8 9.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인적안전망 활용 3.27 4.23 0.96 16.659*** 2 10. 복지사각지대 실태조사계획 수립기술 3.22 4.02 0.8 13.033*** 4 ***p<.001 ○ 자원관리 - 보유도 수준이 높은 지식/기술/태도는 지원대상, 내역, 방법, 절차 등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 후원자원을 배분하는 기술, 후원대상자 특성에 대한 이해 순이었고, 보 유도가 낮은 지식/기술/태도는 후원대상자를 발굴하는 기술, 후원자를 관리하는 기술, 지원대상으로 선정되기 위한 사업기획 기술로 나타났음. - 높은 중요도 수준을 나타낸 지식/기술/태도는 인적/물적 자원 파악 및 확보, 네트 워크 발굴 및 연계, 지원대상, 내역, 방법, 절차 등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로 나타났 고, 낮은 중요도 수준을 보인 지식/기술/태도는 지원대상으로 선정되기 위한 사업 기획 기술, 후원대상자 특성에 대한 이해, 후원자를 관리하는 기술임.

28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각 지식/기술/태도의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가 보유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특히 보유도와 중요도 간 차이가 큰 지식/기술/태도는 후원대상자를 발굴하는 기술, 인적/물적 자 원 파악 및 확보, 네트워크 발굴 및 연계임. <표 Ⅲ-6> 자원관리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지식/기술/태도 평균 (2)-(1) 차이값 t 순위보유도(1) 중요도(2) 1. 지원대상, 내역, 방법, 절차 등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 3.34 4.22 0.88 15.154*** 7 2. 지원대상으로 선정되기 위한 사업기획 기술 3.12 4.04 0.92 14.825*** 6 3. 후원대상자 특성에 대한 이해 3.29 4.14 0.85 13.882*** 9 4. 후원대상자를 발굴하는 기술 3.05 4.21 1.16 17.775*** 1 5. 후원대상자의 욕구를 파악하는 기술 3.25 4.22 0.97 15.868*** 5 6. 후원자원을 배분하는 기술 3.31 4.17 0.86 13.643*** 8 7. 후원자를 관리하는 기술 3.10 4.14 1.04 14.924*** 4 8. 인적/물적 자원 파악 및 확보 3.13 4.28 1.15 17.920*** 2 9. 네트워크 발굴 및 연계 3.17 4.27 1.1 17.304*** 3 ***p<.001 ○ 읍면동서비스연계 - 보유도 수준이 높은 지식/기술/태도는 알고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 필요서비 스를 연계하기 위한 상담 기술, 민/관 서비스의 대상과 내용, 절차 등에 관한 지식 순이었고, 보유도가 낮은 지식/기술/태도는 자원봉사자활용기술, 서비스연계를 위 해 기관/담당자 등을 조정하는 기술, 민/관의 협업 기술로 나타났음. - 높은 중요도 수준을 나타낸 지식/기술/태도는 민/관의 협업 기술, 민/관 서비스의 대상과 내용, 절차 등에 관한 지식, 필요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상담 기술로 나타 났고, 낮은 중요도 수준을 보인 지식/기술/태도는 자원봉사자 활용기술, 알고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 서비스연계를 위해 기관/담당자 등을 조정하는 기술임. - 각 지식/기술/태도의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가 보유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특히 보유도와 중요도 간 차이가 큰 지식/기술/태도는 민/관의 협업 기술, 서비스 연계를 위해 기 관/담당자 등을 조정하는 기술, 서비스 연계 및 점검 기술임.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29 <표 Ⅲ-7> 읍면동서비스연계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지식/기술/태도 평균 (2)-(1) 차이값 t 순위보유도(1) 중요도(2) 1. 민/관 서비스의 대상과 내용, 절차 등에 관한 지식 3.32 4.31 0.99 16.134*** 4 2. 민/관의 협업 기술 3.21 4.37 1.16 19.528*** 1 3. 자원봉사자활용기술 3.12 4.07 0.95 14.267*** 5 4. 알고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 3.38 4.19 0.81 13.749*** 7 5. 필요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상담 기술 3.33 4.27 0.94 15.000*** 6 6. 서비스 연계 및 점검 기술 3.24 4.24 1 16.029*** 3 7. 서비스연계를 위해 기관/담당자 등을 조정하는 기술 3.20 4.21 1.01 15.616*** 2 ***p<.001 ○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 보유도 수준이 높은 지식/기술/태도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과 기능, 회의록 작성기술, 특화사업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 지역주민의 욕구 등 지역상 황에 대한 이해 순이었고, 보유도가 낮은 지식/기술/태도는 홍보매체 제작기술, 참 여주민이 주도성을 가지도록 조력, 협의체 조직화/주민조직화로 나타났음. - 높은 중요도 수준을 나타낸 지식/기술/태도는 협의체 조직화/주민조직화, 참여주 민이 주도성을 가지도록 조력, 지역주민의 욕구 등 지역상황에 대한 이해로 나타났 고, 낮은 중요도 수준을 보인 지식/기술/태도는 회의록 작성기술, 홍보매체 제작기 술, 보도자료 작성기술임. - 각 지식/기술/태도의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가 보유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특히 보유도와 중요도 간 차이가 큰 지식/기술/태도는 협의체 조직화/주민조직화, 참여주민이 주 도성을 가지도록 조력, 홍보매체 제작기술임.

30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표 Ⅲ-8> 읍면동지역사회협의체 운영지원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지식/기술/태도 평균 (2)-(1) 차이값 t 순위보유도(1) 중요도(2) 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과 기능 3.27 4.15 0.88 14.788*** 11 2. 특화사업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 3.23 4.16 0.93 15.883*** 8 3. 지역주민의 욕구 등 지역상황에 대한 이해 3.23 4.23 1 16.282*** 6 4. 홍보 전반에 대한 이해 3.22 3.97 0.75 12.867*** 13 5. 자원활용기술 3.17 4.18 1.01 16.708*** 5 6. 협의체 조직화 / 주민조직화 3.01 4.24 1.23 17.783*** 1 7. 특화사업 기획기술 3.08 4.11 1.03 16.031*** 4 8. 계획서(제안서) 작성기술 3.13 4.07 0.94 14.704*** 7 9. 회의록 작성기술 3.24 3.84 0.6 9.112*** 15 10. 회의진행 및 참여촉진 기술(퍼실리테이션) 3.11 4.01 0.9 13.871*** 9 11. 참여주민이 주도성을 가지도록 조력 3.00 4.21 1.21 19.004*** 2 12. 점검 및 조정기술 3.10 3.98 0.88 13.763*** 11 13. 보도자료 작성기술 3.17 3.87 0.7 10.558*** 14 14. 다양한 홍보기술(SNS 등) 3.03 3.92 0.89 14.207*** 10 15. 홍보매체제작기술(동영상 등) 2.80 3.85 1.05 15.592*** 3 ***p<.001 ○ 통합사례관리 - 보유도 수준이 높은 지식/기술/태도는 대상자를 지지하는 기술, 대상자를 옹호하 는 기술, 의뢰경로와 사유 등 의뢰내역에 대한 이해 순이었고, 보유도가 낮은 지식 /기술/태도는 대상자 동기부여 기술, 사례관리 성과를 평가하는 기술, 사례관리종 결에 대한 합의기술로 나타났음. - 높은 중요도 수준을 나타낸 지식/기술/태도는 대상자의 욕구, 강점, 자원 등에 대 한 사정 기술, 대상자와의 협력적 관계형성 기술, 대상자에게 연계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로 나타났고, 낮은 중요도 수준을 보인 지식/기술/태도는 회의진행 기술, 사례관리 성과를 평가하는 기술, 사례관리종결에 대한 합의기술, 사례관리종결 및 사후관리에 관한 내역을 기록하는 기술임. - 각 지식/기술/태도의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가 보유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특히 보유도와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31 중요도 간 차이가 큰 지식/기술/태도는 대상자의 욕구, 강점, 자원 등에 대한 사정 기술, 대상자 동기부여 기술, 대상자와의 협력적 관계형성 기술임. <표 Ⅲ-9> 통합사례관리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지식/기술/태도 평균 (2)-(1) t 순위 보유도(1) 중요도(2) 1. 의뢰경로와 사유 등 의뢰내역에 대한 이해 3.38 4.11 0.73 12.219*** 18 2. 통합사례관리 개념과 중요성, 과정에 대한 이해 3.37 4.21 0.84 14.484*** 13 3. 욕구조사 및 위기도조사의 개념, 내용, 과정 등에 대한 지침 이해 3.33 4.24 0.91 15.422 *** 7 4, 대상자와의 협력적 관계형성 기술 3.34 4.34 1 16.555*** 3 5. 대상자의 욕구, 강점, 자원 등에 대한 사정 기술 3.28 4.35 1.07 17.373*** 1 6. 회의진행 기술 (의사결정, 기록 포함) 3.23 4.04 0.81 12.593*** 15 7. 대상자 동기부여 기술 3.15 4.18 1.03 16.893*** 2 8. 서비스제공 계획 수립의 이해 3.31 4.15 0.84 14.701*** 13 9. 대상자에게 연계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 3.31 4.27 0.96 15.609*** 5 10. 대상자가 욕구를 표현하도록 하는 기술 3.22 4.21 0.99 15.908*** 4 11.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서비스제공자에게 요청하는 기술 3.22 4.18 0.96 15.444 *** 5 12. 서비스제공사항을 점검하는 기술 3.23 4.10 0.87 14.076*** 9 13. 점검결과에 따라 서비스를 조정하는 기술 3.22 4.09 0.87 14.377*** 9 14. 대상자를 지지하는 기술 3.42 4.22 0.8 14.262*** 16 15. 대상자를 옹호하는 기술 3.39 4.10 0.71 12.408*** 19 16. 사례관리종결의 개념과 내용, 과정, 방법 등에 대한 이해 3.27 4.17 0.9 13.948*** 8 17. 사례관리 성과를 평가하는 기술 3.17 4.04 0.87 14.191*** 9 18. 사례관리종결에 대한 합의기술 3.21 4.06 0.85 13.509*** 12 19. 사례관리종결 및 사후관리에 관한 내역을 기록하는 기술 3.26 4.06 0.8 12.535*** 16 ***p<.001 4. 직책별 지식/기술/태도의 보유도, 중요도 분석 □ 직무별로 해당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의 보유도와 중요도 간의 차이 검 증을 통하여 현재 시점에서 교육이 요구되는 직무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함

32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팀장 - 팀장 71명을 대상으로 보유도와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직무에서 중요도 수준이 보유도 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 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Ⅲ-10> 직무에 따른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팀장) 직무 평균 t 보유도 중요도 복지상담 3.67 4.24 5.921*** 복지사각지대발굴 3.64 4.11 5.854*** 자원관리 3.53 4.17 7.416*** 읍면동서비스연계 3.49 4.15 6.914*** 통합사례관리 3.51 4.15 7.036***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3.55 4.05 6.678*** ***p<.001 - 특히, 팀장 중 사회복지직 팀장과 행정직 팀장 간의 보유도와 중요도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직렬별 차이를 분석함. 그 결과, 보유도에 있어서는 복지 사각지대발굴, 자원관리, 읍면동서비스연계, 통합사례관리의 4개 직무에서 유의미 한 차이가 보여, 사회복지직이 행정직보다 보유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반 면, 중요도는 복지상담에서만 두 직렬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사회복지 직>행정직), 그 외 직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 <표 Ⅲ-11> 직렬에 따른 지식/기술/태도 보유도(팀장) 직무 평균 t 사회복지직 행정직 보유도 복지상담 3.83 3.57 1.618 복지사각지대발굴 3.86 3.48 2.336* 자원관리 3.81 3.34 2.791** 읍면동서비스연계 3.81 3.27 3.268** 통합사례관리 3.78 3.32 2.665*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3.66 3.46 1.168 *p<.05, **p<.01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33 ○ 팀원 - 팀원 174명을 대상으로 보유도와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직무에서 중요도 수준이 보유도 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 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Ⅲ-12> 직무에 따른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팀원) 직무 평균 t 보유도 중요도 복지상담 3.31 4.41 21.170*** 복지사각지대발굴 3.25 4.18 16.923*** 자원관리 3.06 4.18 17.903*** 읍면동서비스연계 3.16 4.25 17.090*** 통합사례관리 3.20 4.16 16.395***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2.97 4.04 17.202*** ***p<.001 - 팀원의 직렬에 따른 보유도, 중요도 차이분석 결과, 보유도와 수행도 모두 유의미 한 차이를 나타내는 직무는 없었음. ○ 팀장과 팀원 간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중요도 차이 - 직무별로 직책에 따라 현재 보유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읍면동서비스연계, 통합사례관리 직무는 팀원보다 팀장이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복지상담, 복지사각지대발굴, 자원관리, 읍면 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의 직무는 팀원보다 팀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Ⅲ-13> 팀장과 팀원 간 직무에 따른 지식/기술/태도 보유도 직무 평균 t 팀원 팀장 보유도 복지상담 3.31 3.67 -4.188*** 복지사각지대발굴 3.25 3.64 -4.096*** 자원관리 3.06 3.53 -4.590*** 읍면동서비스연계 3.16 3.49 -3.475**

34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p<.01 , *p<.001 - 이와 더불어 직책에 따라 직무영역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차 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복지상담이 팀장보다 팀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Ⅲ-14> 팀장과 팀원 간 직무에 따른 지식/기술/태도 중요도 직무 평균 t 팀원 팀장 중요도 복지상담 4.42 4.24 2.041* 복지사각지대발굴 4.18 4.11 .958 자원관리 4.18 4.17 .124 읍면동서비스연계 4.25 4.15 1.195 통합사례관리 4.16 4.15 .108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4.04 4.05 -.159 *p<.05 ○ 이상으로 팀장과 팀원 간 지식/기술/태도 보유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팀장이 팀원보다 모든 직무영역에서 보유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또한 사회복지직 과 행정직 간 지식/기술/태도 보유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팀장의 경우 복지 사각지대발굴, 자원관리, 읍면동서비스연계, 통합사례관리에서 사회복지직이 행 정직보다 보유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직무 평균 t 팀원 팀장 통합사례관리 3.20 3.51 -3.091**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2.97 3.55 -5.963***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35 5. 직책별 중요도-보유도 IPA 분석 □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기법을 통해 각 과업과 지식/기술/태도를 지속유지 영역, 과잉투자영역, 점진개선영역, 우선개발역역으로 구분하여 교육의 필요점 을 찾고자 함 ○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기법은 중요도와 보유도를 2차 평면상에 좌표로 나타 내며, X축에는 중요도를 표시하고 Y축에는 보유도를 제시하여 평균을 기점으로 격자그래프로 나타냄. - 중요도-보유도 분석(IPA)에서 중심점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척도의 중앙값 이용, 표준편차 계산, 전체 평균값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중앙값 사용, 그리고 전체 분포 를 파악한 후에 사용 가능한 임의적인 방법 등이 있음. 본 연구에서는 가장 보편적 인 평균값을 중심점으로 4사분면을 구분함. - <그림 Ⅲ-1>에서와 같이, 제1사분면은 중요도와 보유도 모두에서 높은 상태로 [HH, 지속유지]영역이고, 제2사분면은 중요도는 낮은데 보유도가 높은 [LH, 과잉 투자]영역으로 다른 영역으로 노력전환을 권하고, 제3사분면은 중요도와 보유도 모두에서 낮게 평가된 [LL, 점진개선]영역이며, 제4사분면은 중요도는 높지만 보 유도는 낮은 [HL, 우선개발]영역임. <그림 Ⅲ-1> IPA 매트릭스 보유도 제2사분면 과잉투자영역 (낮은 중요도-높은 보유도) 제1사분면 지속유지영역 (높은 중요도-높은 보유도) 제3사분면 점진개선영역 (낮은 중요도-낮은 보유도) 제4사분면 우선개발영역 (높은 중요도-낮은 보유도) 중요도

36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팀장 ○ 팀장 대상으로 과업별 보유도와 중요도를 살펴보면,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이 (중요도-보유도)가 가장 큰 지식/기술/태도는 욕구 및 위기도 조사, 후원자 발 굴, 접수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이(중요도-보유도)가 가장 작은 지식/기술/태도는 읍면동 맞춤형복지 홍보,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찾아가는 방문상담인 것으로 나타남. -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보유도는 낮은 우선개발영역에 는 후원연계, 후원자 발굴, 서비스 연계, 접수, 욕구 및 위기도 조사, 서비스제공계 획수립이 선정됨. <표 Ⅲ-15> 팀장의 과업별 지식/기술/태도 수준에 대한 IPA 분석 (N=71) 과업(Task)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복지상담 심층민원상담 3.70 4.32 0.62 + + 복합민원상담 3.60 4.16 0.56 + + 찾아가는 방문상담 3.68 4.12 0.44 - + 복지사각지대발굴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3.68 4.14 0.46 + +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3.57 4.09 0.52 - + 자원관리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3.49 4.13 0.64 - - 후원연계 3.55 4.14 0.59 + - 후원자 발굴 3.54 4.23 0.69 + - 읍면동서비스연계 서비스 연계 3.49 4.15 0.66 + - 읍면동지역사회보 장협의체 운영지원 협의체 운영지원 3.62 4.10 0.48 - + 읍면동 맞춤형복지 홍보 3.43 3.89 0.46 - - 특화사업 계획수립 3.61 4.15 0.54 + + 특화사업 실행 3.54 4.09 0.55 - - 통합사례관리 접수 3.51 4.20 0.69 + - 욕구 및 위기도 조사 3.54 4.25 0.71 + - 사례회의 3.49 4.02 0.53 - - 서비스제공계획수립 3.53 4.17 0.64 + - 서비스제공 및 점검 3.49 4.12 0.63 - - 종결 및 사후관리 3.48 4.12 0.64 - -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37 - 복지상담 직무에서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보유도는 낮 은 우선개발영역은 정신장애(알콜중독 포함 중독, 조현증, 저장강박증 등) 특성별 상담 기술, 대상자와의 관계형성기술,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로 나타남. <표 Ⅲ-16> 팀장의 복지상담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지식/기술/태도 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대상자의 특성, 문제, 욕구에 대한 지식 3.77 4.37 0.59 + + 2. 정신장애(알콜중독 포함 중독, 조현증, 저장강박증 등) 특성별 상담 기술 3.24 4.34 1.10 + - 3. 대상자와의 관계형성기술 3.63 4.31 0.68 + - 4. 대상자를 설득하는 기술 3.69 4.30 0.61 + + 5. 대상자를 직면시키는 기술 3.66 4.20 0.54 - - 6. 대상자의 언어를 이해하는 기술 3.76 4.23 0.46 - + 7.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는 태도 4.04 4.44 0.39 + + 8. 대상자를 수용하는 태도 3.93 4.34 0.41 + + 9. 필요시 단호한 태도 3.75 4.30 0.55 + + 10.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 3.52 4.42 0.90 + - 11. 통합사례관리업무에 관한 이해 3.69 4.31 0.62 + + 12. 지역사회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관한 이해 3.55 4.18 0.63 - - 13. 사례관리 의뢰기술 3.55 4.01 0.46 - - 14. 유관기관/관계자 등과의 협업기술 3.61 4.14 0.54 - - 15. 지역사회특성에 대한 이해 3.65 3.99 0.34 - - 16. 찾아가는 방문상담을 계획하는 기술 3.68 4.10 0.42 - + 17. 대상자의 정보를 파악하는 기술 3.74 4.18 0.44 - + 18. 상담 시 도움이 되는 인적자원 활용기술 3.66 4.15 0.49 - - 19. 사례관리 대상자를 판별하는 기술 3.68 4.18 0.51 - + - 복지사각지대발굴 직무에서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보유 도는 낮은 우선개발영역은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를 신뢰하는 태도, 위기대 응 기술,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인적안전망 활용으로 나타남.

38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표 Ⅲ-17> 팀장의 복지사각지대발굴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지식/기술/태도 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지역특성 이해(지리적, 인구학적, 환경적) 3.65 3.83 .18 - + 2.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특성에 관한 이해 3.70 4.23 .52 + + 3. 복지사각지대를 인식시키고 필요시 신고하도록 독려하는 기술 3.70 4.24 .54 + + 4.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 대상자 초기상담기술 3.76 4.27 .51 + + 5.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를 신뢰하는 태도 3.61 4.13 .52 + - 6. 복지사각지대 발굴경로 탐색 기술 3.56 4.01 .45 - - 7. 위기대응 기술 3.56 4.21 .65 + - 8. 정보활용 기술 (행복e음 포함) 3.63 4.06 .42 - - 9.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인적안전망 활용 3.59 4.21 .62 + - 10. 복지사각지대 실태조사계획 수립기술 3.58 3.93 .35 - - - 자원관리 직무에서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보유도는 낮 은 우선개발영역은 후원대상자를 발굴하는 기술임. <표 Ⅲ-18> 팀장의 자원관리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지식/기술/태도 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순위 1. 지원대상, 내역, 방법, 절차 등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 3.56 4.23 .66 + + 2. 지원대상으로 선정되기 위한 사업기획 기술 3.42 4.04 .62 - - 3. 후원대상자 특성에 대한 이해 3.55 4.04 .49 - + 4. 후원대상자를 발굴하는 기술 3.46 4.23 .76 + - 5. 후원대상자의 욕구를 파악하는 기술 3.61 4.25 .65 + + 6. 후원자원을 배분하는 기술 3.58 4.06 .48 - + 7. 후원자를 관리하는 기술 3.48 4.15 .68 - - 8. 인적/물적 자원 파악 및 확보 3.54 4.25 .72 + + 9. 네트워크 발굴 및 연계 3.59 4.27 .68 + + - 읍면동서비스연계 직무에서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보유 도는 낮은 우선개발영역은 민/관 서비스의 대상과 내용, 절차 등에 관한 지식, 민/ 관의 협업 기술임.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39 <표 Ⅲ-19> 팀장의 읍면동서비스연계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지식/기술/태도 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민/관 서비스의 대상과 내용, 절차 등에 관한 지식 3.45 4.18 .73 + - 2. 민/관의 협업 기술 3.45 4.38 .93 + - 3. 자원봉사자활용기술 3.46 4.07 .61 - - 4. 알고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 3.55 4.07 .52 - + 5. 필요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상담 기술 3.56 4.18 .62 + + 6. 서비스 연계 및 점검 기술 3.51 4.11 .61 - + 7. 서비스연계를 위해 기관/담당자 등을 조정하는 기술 3.46 4.07 .61 - - -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직무에서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결과, 중 요도는 높지만 보유도는 낮은 우선개발영역은 협의체 조직화/주민조직화, 참여주 민이 주도성을 가지도록 조력으로 나타남. <표 Ⅲ-20> 팀장의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지식/기술/태도 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과 기능 3.72 4.25 .54 + + 2. 특화사업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 3.66 4.18 .52 + + 3. 지역주민의 욕구 등 지역상황에 대한 이해 3.62 4.15 .54 + + 4. 홍보 전반에 대한 이해 3.63 3.97 .34 - + 5. 자원활용기술 3.58 4.11 .54 + + 6. 협의체 조직화 / 주민조직화 3.51 4.27 .76 + - 7. 특화사업 기획기술 3.56 4.15 .59 + + 8. 계획서(제안서) 작성기술 3.61 4.11 .51 + + 9. 회의록 작성기술 3.65 3.79 .14 - + 10. 회의진행 및 참여촉진 기술(퍼실리테이션) 3.61 4.07 .46 + + 11. 참여주민이 주도성을 가지도록 조력 3.50 4.20 .70 + - 12. 점검 및 조정기술 3.54 3.96 .41 - - 13. 보도자료 작성기술 3.56 3.83 .27 - + 14. 다양한 홍보기술(SNS 등) 3.37 3.86 .49 - - 15. 홍보매체 제작기술(동영상 등) 3.17 3.89 .72 - -

40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통합사례관리 직무에서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보유도는 낮은 우선개발영역은 대상자가 욕구를 표현하도록 하는 기술임. <표 Ⅲ-21> 팀장의 통합사례관리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지식/기술/태도 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의뢰경로와 사유 등 의뢰내역에 대한 이해 3.51 4.13 0.62 - + 2. 통합사례관리 개념과 중요성, 과정에 대한 이해 3.51 4.27 0.76 + + 3. 욕구조사 및 위기도조사의 개념, 내용, 과정 등에 대한 지침 이해 3.55 4.20 0.65 + + 4, 대상자와의 협력적 관계형성 기술 3.55 4.28 0.73 + + 5. 대상자의 욕구, 강점, 자원 등에 대한 사정 기술 3.52 4.28 0.76 + + 6. 회의진행 기술 (의사결정, 기록 포함) 3.54 3.93 0.39 - + 7. 대상자 동기부여 기술 3.45 4.11 0.66 - - 8. 서비스제공 계획 수립의 이해 3.59 4.14 0.55 - + 9. 대상자에게 연계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 3.55 4.23 0.68 + + 10. 대상자가 욕구를 표현하도록 하는 기술 3.45 4.20 0.75 + - 11.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서비스제공자에게 요청하는 기술 3.52 4.10 0.58 - + 12. 서비스제공사항을 점검하는 기술 3.48 4.07 0.59 - - 13. 점검결과에 따라 서비스를 조정하는 기술 3.53 4.01 0.49 - + 14. 대상자를 지지하는 기술 3.54 4.25 0.72 + + 15. 대상자를 옹호하는 기술 3.42 4.13 0.70 - - 16. 사례관리종결의 개념과 내용, 과정, 방법 등에 대한 이해 3.51 4.15 0.65 + + 17. 사례관리 성과를 평가하는 기술 3.44 4.07 0.63 - - 18. 사례관리종결에 대한 합의기술 3.54 4.11 0.58 - + 19. 사례관리종결 및 사후관리에 관한 내역을 기록하는 기술 3.44 4.13 0.69 - - - 행정직 팀장을 대상으로 한 과업별 보유도와 중요도,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이(중 요도-보유도), IPA 분석 결과는 부록에 제시함. □ 팀원 ○ 팀원 대상으로 과업별 보유도와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 이(중요도-보유도)가 가장 큰 지식/기술/태도는 후원자 발굴, 복합민원상담, 특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41 화사업실행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와 보유도 간 차이(중요도-보유도)가 가 장 작은 지식/기술/태도는 서비스제공 및 점검,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접수인 것으로 나타남. -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보유도는 낮은 우선개발영역에는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후원연계, 후원자 발굴이 선정됨. <표 Ⅲ-22> 팀원의 과업별 지식/기술/태도 수준에 대한 IPA 분석 (N=194) 과업(Task)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복지상담 심층민원상담 3.38 4.48 1.10 + + 복합민원상담 3.19 4.43 1.24 + + 찾아가는 방문상담 3.27 4.30 1.03 + + 복지사각지대발굴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3.35 4.16 0.81 - +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3.10 4.19 1.09 + - 자원관리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3.12 4.11 0.99 - - 후원연계 3.09 4.19 1.10 + - 후원자 발굴 2.96 4.21 1.25 + - 읍면동서비스연계 서비스 연계 3.16 4.25 1.09 + + 읍면동지역사회보 장협의체 운영지원 협의체 운영지원 2.99 4.03 1.04 - - 읍면동 맞춤형복지 홍보 2.92 3.90 0.98 - - 특화사업 계획수립 3.01 4.13 1.12 - - 특화사업 실행 2.94 4.13 1.19 - - 통합사례관리 접수 3.33 4.13 0.80 - + 욕구 및 위기도 조사 3.25 4.33 1.08 + + 사례회의 3.08 4.13 1.05 - - 서비스제공계획수립 3.18 4.20 1.02 + + 서비스제공 및 점검 3.26 4.11 0.85 - + 종결 및 사후관리 3.14 4.05 0.91 - - - 복지상담 직무에서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보유도는 낮 은 우선개발영역은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 통합사례관리업무에 관한 이해, 지 역사회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관한 이해인 것으로 나타남.

42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표 Ⅲ-23> 팀원의 복지상담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지식/기술/태도 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대상자의 특성, 문제, 욕구에 대한 지식 3.54 4.47 0.93 + + 2. 정신장애(알콜중독 포함 중독, 조현증, 저장강박증 등) 특성별 상담 기술 2.77 4.42 1.65 - - 3. 대상자와의 관계형성기술 3.47 4.49 1.02 + + 4. 대상자를 설득하는 기술 3.32 4.45 1.13 + + 5. 대상자를 직면시키는 기술 3.26 4.28 1.02 - - 6. 대상자의 언어를 이해하는 기술 3.45 4.46 1.01 + + 7.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는 태도 3.90 4.58 0.68 + + 8. 대상자를 수용하는 태도 3.73 4.47 0.74 + + 9. 필요시 단호한 태도 3.33 4.51 1.18 + + 10.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 3.02 4.64 1.62 + - 11. 통합사례관리업무에 관한 이해 3.26 4.53 1.27 + - 12. 지역사회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관한 이해 3.13 4.52 1.39 + - 13. 사례관리 의뢰기술 3.17 4.27 1.10 - - 14. 유관기관/관계자 등과의 협업기술 3.19 4.40 1.20 - - 15. 지역사회특성에 대한 이해 3.28 4.18 0.89 - - 16. 찾아가는 방문상담을 계획하는 기술 3.25 4.21 0.96 - - 17. 대상자의 정보를 파악하는 기술 3.46 4.44 0.98 + + 18. 상담 시 도움이 되는 인적자원 활용기술 3.20 4.39 1.18 - - 19. 사례관리 대상자를 판별하는 기술 3.16 4.29 1.13 - - - 복지사각지대발굴 직무에서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보유 도는 낮은 우선개발영역은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를 신뢰하는 태도, 위기대 응 기술,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인적안전망 활용으로 나타남.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43 <표 Ⅲ-24> 팀원의 복지사각지대발굴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지식/기술/태도 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지역특성 이해(지리적, 인구학적, 환경적) 3.31 3.88 .56 - + 2.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특성에 관한 이해 3.42 4.30 .89 + + 3. 복지사각지대를 인식시키고 필요시 신고하도록 독려하는 기술 3.26 4.18 .92 - + 4.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 대상자 초기상담기술 3.38 4.37 1.00 + + 5.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를 신뢰하는 태도 3.37 4.06 .69 - + 6. 복지사각지대 발굴경로 탐색 기술 3.16 4.07 .91 - - 7. 위기대응 기술 3.02 4.41 1.39 + - 8. 정보활용 기술 (행복e음 포함) 3.39 4.29 .90 + + 9.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인적안전망 활용 3.15 4.24 1.09 + - 10. 복지사각지대 실태조사계획 수립기술 3.07 4.05 .98 - - - 자원관리 직무에서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보유도는 낮 은 우선개발영역은 후원대상자를 발굴하는 기술, 인적/물적 자원 파악 및 확보, 네 트워크 발굴 및 연계임. <표 Ⅲ-25> 팀원의 자원관리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지식/기술/태도 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순위 1. 지원대상, 내역, 방법, 절차 등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 3.24 4.21 .96 + + 2. 지원대상으로 선정되기 위한 사업기획 기술 2.99 4.02 1.03 - - 3. 후원대상자 특성에 대한 이해 3.18 4.17 .98 - + 4. 후원대상자를 발굴하는 기술 2.89 4.20 1.31 + - 5. 후원대상자의 욕구를 파악하는 기술 3.10 4.19 1.08 + + 6. 후원자원을 배분하는 기술 3.20 4.20 1.00 + + 7. 후원자를 관리하는 기술 2.94 4.12 1.18 - - 8. 인적/물적 자원 파악 및 확보 2.96 4.27 1.31 + - 9. 네트워크 발굴 및 연계 2.99 4.24 1.26 + -

44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읍면동서비스연계 직무에서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보유 도는 낮은 우선개발영역은 민/관의 협업 기술, 서비스 연계 및 점검 기술임. <표 Ⅲ-26> 팀원의 읍면동서비스연계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지식/기술/태도 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민/관 서비스의 대상과 내용, 절차 등에 관한 지식 3.27 4.34 1.07 + + 2. 민/관의 협업 기술 3.10 4.35 1.25 + - 3. 자원봉사자 활용기술 2.99 4.05 1.06 - - 4. 알고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 3.30 4.22 .92 - + 5. 필요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상담 기술 3.25 4.29 1.04 + + 6. 서비스 연계 및 점검 기술 3.12 4.27 1.16 + - 7. 서비스연계를 위해 기관/담당자 등을 조정하는 기술 3.09 4.24 1.15 - - -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직무에서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결과, 중 요도는 높지만 보유도는 낮은 우선개발영역은 협의체 조직화 / 주민조직화, 특화사 업 기획기술, 계획서(제안서) 작성기술, 참여주민이 주도성을 가지도록 조력으로 나타남. <표 Ⅲ-27> 팀원의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지식/기술/태도 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과 기능 3.11 4.10 .99 + + 2. 특화사업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 3.09 4.15 1.06 + + 3. 지역주민의 욕구 등 지역상황에 대한 이해 3.09 4.25 1.15 + + 4. 홍보 전반에 대한 이해 3.07 3.96 .89 - + 5. 자원활용기술 3.04 4.19 1.15 + + 6. 협의체 조직화 / 주민조직화 2.82 4.21 1.39 + - 7. 특화사업 기획기술 2.90 4.08 1.18 + - 8. 계획서(제안서) 작성기술 2.95 4.05 1.09 + - 9. 회의록 작성기술 3.09 3.84 .75 - + 10. 회의진행 및 참여촉진 기술(퍼실리테이션) 2.93 3.98 1.05 - - 11. 참여주민이 주도성을 가지도록 조력 2.83 4.21 1.38 + - 12. 점검 및 조정기술 2.95 3.97 1.03 - - 13. 보도자료 작성기술 3.04 3.87 .83 - + 14. 다양한 홍보기술(SNS 등) 2.91 3.93 1.02 - - 15. 홍보매체 제작기술(동영상 등) 2.66 3.82 1.16 - -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45 - 통합사례관리 직무에서 중요도-보유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보유도는 낮은 우선개발영역은 대상자의 욕구, 강점, 자원 등에 대한 사정 기술, 대상자 동 기부여 기술, 대상자가 욕구를 표현하도록 하는 기술,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서비스제공자에게 요청하는 기술임. <표 Ⅲ-28> 팀원의 통합사례관리직무 지식/기술/태도에 대한 IPA 분석 지식/기술/태도 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의뢰경로와 사유 등 의뢰내역에 대한 이해 3.34 4.09 0.75 - + 2. 통합사례관리 개념과 중요성, 과정에 대한 이해 3.33 4.18 0.85 + + 3. 욕구조사 및 위기도조사의 개념, 내용, 과정 등에 대한 지침 이해 3.25 4.24 0.99 + + 4, 대상자와의 협력적 관계형성 기술 3.28 4.37 1.09 + + 5. 대상자의 욕구, 강점, 자원 등에 대한 사정 기술 3.20 4.37 1.17 + - 6. 회의진행 기술 (의사결정, 기록 포함) 3.12 4.07 0.94 - - 7. 대상자 동기부여 기술 3.04 4.19 1.14 + - 8. 서비스제공 계획 수립의 이해 3.21 4.15 0.94 - + 9. 대상자에게 연계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 3.23 4.27 1.04 + + 10. 대상자가 욕구를 표현하도록 하는 기술 3.15 4.20 1.06 + - 11.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서비스제공자에게 요청하는 기술 3.12 4.19 1.06 + - 12. 서비스제공사항을 점검하는 기술 3.14 4.09 0.96 - - 13. 점검결과에 따라 서비스를 조정하는 기술 3.12 4.10 0.98 - - 14. 대상자를 지지하는 기술 3.40 4.19 0.79 + + 15. 대상자를 옹호하는 기술 3.39 4.08 0.69 - + 16. 사례관리종결의 개념과 내용, 과정, 방법 등에 대한 이해 3.20 4.15 0.95 - - 17. 사례관리 성과를 평가하는 기술 3.06 4.01 0.95 - - 18. 사례관리종결에 대한 합의기술 3.09 4.03 0.94 - - 19. 사례관리종결 및 사후관리에 관한 내역을 기록하는 기술 3.20 4.03 0.83 - -

46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6. 교육요구 분석 □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현재 담당하고 있는 업무에 대한 만족도, 업무수행을 위한 교육훈련에 대한 만족도 결과는 다 음과 같음 ○ 교육만족도 -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은 현재의 교육훈련을 통해 업무 및 전문성 향상에 도 움을 받고 있지 않다고 하였으며, 교육훈련을 계속 받기 원하는가에 대해서도 68.5%가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으며,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맞춤교육에 대하여 72.5%가 희망하지 않는다고 응답함. 현재 교육훈련의 체계성 또는 기회 충분성에 있어서는 ‘그렇다’가 각각 27.5%, 31.1%로 만족도에서는 다소 높게 나타남. - 이를 통해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교육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업무전 문성, 현업적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음. <표 Ⅲ-29> 현행 교육훈련에 대한 만족도 문항 만족도(%) 그렇다 보통이다 아니다 현재 담당하는 업무에 만족하는가 35(12.8) 104(38.1) 126(46.2) 교육훈련이 현 업무에 도움이 되는가 25(9.2) 78(28.6) 162(59.3) 교육훈련이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가 27(9.9) 69(25.3) 169(61.9) 교육훈련 기회가 충분한가 85(31.1) 101(37.0) 79(28.9) 교육훈련이 체계적인가 75(27.5) 115(42.1) 74(27.1) 교육훈련을 계속 받기 원하는가 9(3.3) 68(24.9) 187(68.5)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맞춤교육’을 원한다. 6(2.2) 60(22.0) 198(72.5) ○ 교육훈련기관 -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훈련을 받는 주요 교육기관에 대해서는 경기도인재개발원 42.86%,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31.87%, 경기복지재단 10.26%, 학회 등 민간단 체 또는 기관 6.96%, 기타 3.66%로 나타남. - 경기도인재개발원과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이 약 74%를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 경기도 사회복지 전문교육기관을 표방하고 있는 경기복지재단이 약 10%를 차지하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47 고 있음. 교육 만족도 결과에서 드러난, 현업적용도와 전문성 향상은 경기복지재단 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임. <표 Ⅲ-30>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기관 경기복지재단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경기도 인재개발원 학회 등 민간 단체/기관 기타 합계 빈도(명) 28 87 117 19 10 261 백분율(%) 10.26 31.87 42.86 6.96 3.66 100 ○ 교육형태 -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에게 있어 가장 효과적인 교육형태는 집합교육으로 41.76%로 높게 나타남. 이밖에 26.01%가 OJT를 26.5%라고 하였고, 외부교육은 19.73%, 사이버교육 6.96%, 독서통신교육 0.37% 등을 선택함. 이를 통해 집합교 육이나 OJT 교육과 같이 면대면 교육에 대한 선호도가 있는 것을 추정할 수 있음. <표 Ⅲ-31> 가장 효과적인 교육형태 집합교육 외부교육 OJT 사이버교육 독서통신교육 합계 빈도(명) 114 54 71 19 1 259 백분율(%) 41.76 19.78 26.01 6.96 0.37 100 ○ 교육기간 - 적절한 교육기간에 있어서는 1일 30.40%, 2일 33.33%로 주로 1~2일 교육을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일 24.18%, 5일 7.69% 등으로 응답함. <표 Ⅲ-32> 적절한 교육기간 1일 2일 3일 5일 기타 합계 빈도(명) 83 91 66 21 2 263 백분율(%) 30.40 33.33 24.18 7.69 0.73 100 ○ 교육훈련 힘든 이유 -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들은 교육훈련을 받기 힘든 가장 큰 이유에 대하여 ‘교 육과 관련된 정보가 부족하다’가 37.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가 과중하여

48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교육에 참여하기 힘들다’가 32.6%로 높게 나타남. 이밖에 ‘필요한 교육과정이 개설 되지 않는다’를 15.0%로 나타났으며, ‘상급자 혹은 기관의 배려가 부족하다’를 1.8%, 기타 7.3%임. 교육과 관련된 정보가 부족하거나 필요한 교육과정이 개설되 지 않는다는 교육생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현 교육체계에 대한 반성이 필요함. <표 Ⅲ-33> 교육훈련을 받기 힘든 이유 문항 빈도(명) 백분율(%) 필요한 교육과정이 개설되지 않는다. 41 15.0 교육과 관련된 정보가 부족하다 103 37.7 업무가 과중하여 교육에 참여하기 어렵다 89 32.6 상급자 혹은 기관의 배려가 부족하다 5 1.8 기타 20 7.3 합계 258 100 ○ 교육훈련의 시급한 사항 - 보건복지서비스 관련 교육훈련에 있어 가장 시급한 개선사항에 있어서 67.0%가 ‘실무행정의 도움 정도’라고 하였으며, 15.0%가 ‘현장서비스의 유익한 과목개발’이 라고 응답함. 이밖에 ‘교육계획/운영에 있어 교육생의 의견 반영’ 5.1%, ‘강사의 전 문성과 교육테크닉 향상’ 4.4%로 응답함. - 이는 앞서 살펴본 보건복지서비스와 관련된 교육훈련을 받기 힘든 이유와 관련된 것으로 교육훈련과 현장의 일치성에 대한 교육생들의 요구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 로 판단할 수 있음. <표 Ⅲ-34> 교육의 시급한 사항 문항 빈도(명) 백분율(%) 교육계획/운영에 있어 교육생의 의견 반영 14 5.1 강사의 전문성과 교육테크닉 향상 12 4.4 실무행정의 도움 정도 183 67.0 현장서비스(클라이언트)에 유익한 과목 개발 41 15.0 기타 7 2.6 합계 257 100

Ⅲ. 설문조사 결과분석 49 ○ 필요 교육 -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들이 요구하는 교육은 사례관리, 상담, 자원관리, 정신 장애 관련 등의 교육내용이며, 현장중심·적용중심의 실무교육, 사례교육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 밖에도 사회복지공무원의 역할, 감정정화, 복지이해 등에 관한 교육도 필요하다고 응답함. □ 교육요구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은 교육훈 련 기회는 충분한데, 실무와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인식하는 것 으로 나타남 ○ 이는 경기도인재개발원과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주관의 교육과정에 입과하 고 있으나, 실무행정에 도움이 되는 업무 전문성을 향상하는데 부족하다는 의견 과 일치함. 또한 현재의 교육훈련은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볼 수 없으며, 지속해서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을 위한 교육훈련체계를 요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Ⅳ. 직무교육체계 개발 51 1. 지식/기술/태도의 개발 우선순위 □ 지식/기술/태도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은 조직의 자원배분을 보다 합리적 이고 체계적으로 집행하고자 함이므로, 지식/기술/태도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 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이 활용됨 ○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는 중요도 와 실행도의 중요 속성을 그래프의 사분면에 표시함으로써 교육생들에게 필요 한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에 관한 판단을 용이하게 해줌. 그러나 중요도와 실 행도 간의 단순차이에 의한 분석이므로 차이 값이 근소하거나 지식/기술/태도 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음. ○ Borich의 요구도는 중요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를 모두 합한 값에 중요수준의 평균을 곱한 값을 전체 사례 수로 나눈 값으로 요구수준의 우선순위를 부여함. Borich의 요구도는 중요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가 근소하여 비교가 어려울 때 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양은하, 2010)이지만, 어느 순위까지 고려해야 하는가라는 의사결정의 어려움이 있음. 변화요구도  ∑  × RL : 중요(필요)수준, PL : 현재수준,  : 필요수준의 평균, N : 전체 사례수 출처:Borich(1990) Ⅳ 직무교육체계 개발

52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The Locus for Focus 모델은 사분면의 가로축의 중앙값은 중요수준의 평균값 으로, 세로축의 중앙값은 중요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의 평균값으로 나누어 우 선순위를 결정함. 그러나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2사분면과 4사분면 간에 1사분면에 이어 차순위 분면이 어디인가에 대해서는 해석에 있어서 주의 를 기울일 필요가 있고 같은 사분면 안에서도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 가 있음(조대연, 2009). <그림 Ⅳ-1> The Locus for Focus 불일치 정도 (평균) 2사분면 (HL:큰 격차 낮은 중요성) 1사분면 (HH:큰 격차 높은 중요성) 3사분면 (LL:큰 격차 낮은 중요성) 4사분면 (LH:큰 격차 낮은 중요성) 바람직한 수준의 중요성(평균) 출처:Mink, Shulttz, & Mink(1991) ○ 조대연(2009)은 설문기법을 통한 우선순위 결정 방법으로 t-검정, Borich의 요 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중복성을 활용한 방안을 제안함. - 첫째, t-검정을 활용하여 중요수준과 현재수준의 평균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함. - 둘째, Borich의 요구도 값을 산출하여 순위를 결정함. -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좌표평면에 점을 찍어 표시함. - 넷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HH분면에 속한 항목과 개수 확인한 후, 그 개 수만큼 Borich 요구도 상위 순위를 결정함. - 다섯째, Borich의 요구도 공식의 상위순위 항목들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HH분면 항목 간 중복성 확인을 통해 최우선 순위군과 차 순위군을 결정함.

Ⅳ. 직무교육체계 개발 53 □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술/태도별 개발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하여 보유도-중 요도 간의 t-검정, 수행빈도, Borich 요구도와 우선순위,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을 활용하였고,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는 직무와 과업 을 구분하여 선정함 ○ 직무영역의 우선순위는 복지상담, 읍면동서비스연계, 자원관리, 읍면동지역사 회보장협의체 운영 지원, 통합사례관리, 복지사각지대발굴 순으로 나타남. - 첫째, 여섯 개 직무영역 전체의 보유도-중요도 간 차이검증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났음. - 둘째, Borich 요구도를 계산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함. -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한 결과, 복지상담과 읍면동서비스연계의 2개 직무가 1사분면(HH)에 위치하였음. - 넷째, 1사분면(HH) 에 나타난 2개 직무영역 개수만큼 Borich 요구도의 우선순위를 조정함. - 다섯째, Borich 요구도 우선순위와 Locus 모델에 따른 우선순위를 고려했을 때, 가장 시급하게 역량개발이 요구되는 직무영역으로 복지상담과 읍면동서비스연계를 선정함. 이외 수행빈도를 고려하여 지식/기술/태도 개발의 우선순위를 도출함. <표 Ⅳ-1> 직무영역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 직무영역 보유도 중요도 빈도 Borich Locus 우선순위 요구도 순위 복지상담 3.41 4.37 3.96 4.34 1 + + 1 복지사각지대발굴 3.36 4.17 3.62 3.36 6 - - 6 자원관리 3.20 4.19 3.30 4.14 3 - + 3 읍면동서비스연계 3.26 4.24 3.91 4.16 2 + + 2 통합사례관리 3.28 4.16 3.62 3.67 5 - - 5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3.12 4.06 3.52 3.83 4 - + 4

54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직무영역별 세부과업에 대한 개발 우선순위를 선정한 결과, 우선순위가 높게 나 타난 과업으로는 욕구 및 위기도 조사, 심층민원상담, 후원자 발굴, 접수, 서비 스제공계획수립, 서비스 연계 등의 순임. <표 Ⅳ-2> 과업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 과업(Task) 보유도 중요도 Borich Locus 순위요구도 순위 복지상담 심층민원상담 3.70 4.32 4.44 3 + + 2 복합민원상담 3.60 4.16 4.74 1 + - 10 찾아가는 방문상담 3.68 4.12 3.83 12 - - 18 복지사각 지대발굴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3.68 4.14 2.95 19 - - 17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3.57 4.09 3.91 10 - - 14 자원관리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3.49 4.13 3.69 14 - + 7 후원연계 3.55 4.14 4.01 8 - - 12 후원자 발굴 3.54 4.23 4.59 2 + + 3 읍면동서 비스연계 서비스 연계 3.49 4.15 3.71 13 + + 6 읍면동지 역사회보 장협의체 운영지원 협의체 운영지원 3.62 4.10 3.37 16 - - 16 읍면동 맞춤형복지 홍보 3.43 3.89 4.09 7 - - 19 특화사업 계획수립 3.61 4.15 4.30 5 - - 11 특화사업 실행 3.54 4.09 3.31 18 - - 13 통합사례 관리 접수 3.51 4.20 4.33 4 + + 4 욕구 및 위기도 조사 3.54 4.25 3.84 11 + + 1 사례회의 3.49 4.02 4.00 9 - - 15 서비스제공계획수립 3.53 4.17 3.32 17 + + 5 서비스제공 및 점검 3.49 4.12 3.52 15 - + 9 종결 및 사후관리 3.48 4.12 4.16 6 - + 8 □ 팀장과 팀원을 구분하여 직무영역의 개발 우선순위와 과업의 개발 우선순위를 선정함 ○ 팀장 대상의 직무영역별 개발 우선순위에서는 읍면동서비스연계, 자원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남.

Ⅳ. 직무교육체계 개발 55 <표 Ⅳ-3> 직무영역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팀장) 직무영역 보유도 중요도 Borich Locus 우선순위 요구도 순위 복지상담 3.67 4.24 2.38 4 + - 4 복지사각지대발굴 3.64 4.11 1.96 6 - - 6 자원관리 3.53 4.17 2.66 3 + + 2 읍면동서비스연계 3.49 4.15 2.74 1 + + 1 통합사례관리 3.51 4.15 2.66 2 - + 3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3.55 4.05 2.04 5 - - 5 ○ 팀장 대상의 직무영역별 세부과업에 대한 개발 우선순위를 선정한 결과, 욕구 및 위기도 조사, 후원자 발굴, 접수, 서비스 연계, 심층민원상담, 서비스제공계 획수립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남. <표 Ⅳ-4> 과업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팀장) 과업(Task) 보유도 중요도 Borich Locus 순위요구도 순위 복지상담 심층민원상담 3.70 4.32 2.70 5 + + 5 복합민원상담 3.60 4.16 2.34 11 + - 11 찾아가는 방문상담 3.68 4.12 1.81 18 - - 19 복지사각지 대발굴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3.68 4.14 1.88 17 + - 13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3.57 4.09 2.12 15 - - 16 자원관리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3.49 4.13 2.65 7 - + 8 후원연계 3.55 4.14 2.47 10 + + 7 후원자 발굴 3.54 4.23 2.92 2 + + 2 읍면동 서비스연계 서비스 연계 3.49 4.15 2.74 4 + + 4 읍면동지역 사회보장협 의체 운영지원 협의체 운영지원 3.62 4.10 1.95 16 - - 17 읍면동 맞춤형복지 홍보 3.43 3.89 1.77 19 - - 18 특화사업 계획수립 3.61 4.15 2.24 13 + - 12 특화사업 실행 3.54 4.09 2.25 12 - - 14 통합사례 관리 접수 3.51 4.20 2.90 3 + + 3 욕구 및 위기도 조사 3.54 4.25 3.04 1 + + 1 사례회의 3.49 4.02 2.12 14 - - 15 서비스제공계획수립 3.53 4.17 2.66 6 + + 6 서비스제공 및 점검 3.49 4.12 2.58 9 - + 10 종결 및 사후관리 3.48 4.12 2.62 8 - + 9

56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팀원 대상의 직무영역별 개발 우선순위에서는 복지상담, 읍면동서비스연계의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남. <표 Ⅳ-5> 직무영역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팀원) 직무영역 보유도 중요도 Borich Locus 우선순위 요구도 순위 복지상담 3.31 4.42 5.11 1 + + 1 복지사각지대발굴 3.25 4.18 3.90 6 - - 6 자원관리 3.06 4.18 4.69 2 - + 3 읍면동서비스연계 3.16 4.25 4.64 3 + + 2 통합사례관리 3.20 4.16 3.95 5 - - 5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2.97 4.04 4.43 4 - + 4 ○ 팀원 대상의 직무영역별 세부과업에 대한 개발 우선순위를 선정한 결과, 복합민 원상담, 후원자 발굴, 심층민원상담, 욕구 및 위기도 조사, 후원연계, 서비스연 계,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의 우선순위가 높았음. <표 Ⅳ-6> 과업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팀원) 과업(Task) 보유도 중요도 Borich Locus 순위 요구도 순위 복지상담 심층민원상담 3.38 4.48 5.08 3 + + 3 복합민원상담 3.19 4.43 5.64 1 + + 1 찾아가는 방문상담 3.27 4.30 4.56 10 + - 12 복지사각 지대발굴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3.35 4.16 3.37 19 - - 18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3.10 4.19 4.58 9 + + 7 자원관리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3.12 4.11 4.09 14 - - 14 후원연계 3.09 4.19 4.59 8 + + 5 후원자 발굴 2.96 4.21 5.19 2 + + 2 읍면동서 비스연계 서비스 연계 3.16 4.25 4.64 7 + + 6 읍면동지 역사회보 장협의체 운영지원 협의체 운영지원 2.99 4.03 4.27 13 - + 11 읍면동 맞춤형복지 홍보 2.92 3.90 3.86 15 - - 15 특화사업 계획수립 3.01 4.13 4.69 6 - + 9 특화사업 실행 2.94 4.13 4.95 4 - + 8

Ⅳ. 직무교육체계 개발 57 ○ 이처럼 팀장과 팀원 간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통합사례관리를 담당하는 팀장으로서는 접수, 욕구 및 위기도 조사, 서 비스제공계획수립 등 통합사례관리의 세부과업과 관련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팀원의 경우 복합민원상담, 심층민원상담 등 복지상담과 후원자 발굴, 후원연계, 서비스 연계 등 자원 및 서비스 연계 관련한 요구가 큰 것을 알 수 있 음. 이상의 팀장과 팀원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를 1순위부터 마지막 순위까지 비교표로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표 Ⅳ-7> 팀장과 팀원의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 비교 과업(Task) 보유도 중요도 Borich Locus 순위 요구도 순위 통합사례 관리 접수 3.33 4.13 3.39 18 - - 19 욕구 및 위기도 조사 3.25 4.33 4.75 5 + + 4 사례회의 3.08 4.13 4.37 12 - + 10 서비스제공계획수립 3.18 4.20 4.38 11 + - 13 서비스제공 및 점검 3.26 4.11 3.48 17 - - 17 종결 및 사후관리 3.14 4.05 3.79 16 - - 16 순위 과업 팀장 팀원 1 욕구 및 위기도 조사 복합민원상담 2 후원자 발굴 후원자 발굴 3 접수 심층민원상담 4 서비스 연계 욕구 및 위기도 조사 5 심층민원상담 후원연계 6 서비스제공계획수립 서비스 연계 7 후원연계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8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특화사업 실행 9 종결 및 사후관리 특화사업 계획수립 10 서비스제공 및 점검 사례회의 11 복합민원상담 협의체 운영지원 12 특화사업 계획수립 찾아가는 방문상담

58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2. 직무교육체계(안) □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역량체계 ○ 앞서 제시한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팀장과 팀원으로 구분 하여 직무역량체계를 설계하면 <그림 Ⅳ-2>와 같음. <그림 Ⅳ-2>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역량체계 순위 과업 팀장 팀원 13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서비스제공계획수립 14 특화사업 실행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15 사례회의 읍면동 맞춤형복지 홍보 16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종결 및 사후관리 17 협의체 운영지원 서비스제공 및 점검 18 읍면동 맞춤형복지 홍보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19 찾아가는 방문상담 접수

Ⅳ. 직무교육체계 개발 59 ○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팀장은 자원관리와 읍면동서비스연 계 중심으로 개발 요구가 높고, 팀원은 상담과 읍면동서비스연계에 대한 개발 요구가 높음. 구체적으로 팀장은 욕구 및 위기도 조사, 접수, 심층민원상담, 서비 스제공계획수립, 후원자 발굴, 서비스 연계 등 통합사례관리를 중심으로 한 상담 과 자원관리, 서비스연계에 대한 요구가 높음. 팀원은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욕 구 및 위기도 조사, 복합민원상담, 심층민원상담, 후원자 발굴, 후원연계, 서비스 연계 등 상담과 서비스연계를 중심으로 여섯 가지 전반에 대한 요구가 높음. ○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이 안고 있는 직무 특성상 여섯 가지 직무 영역에 대한 지식·스킬·태도 등의 역량을 모든 담당공무원들에게 요구하고 있으며, 담당 업무에 따라 직무역량의 발휘/기회 정도와 그 수준에서 차이를 보 임. 즉 제공해야 하는 보건복지서비스의 정도에 따라 지식/기술/태도 개발의 필 요성에도 차이를 보임. ○ <표 Ⅳ-8>은 IPA 기법을 활용하여 과업별 개발 우선순위가 높은 지식/기술/태 도를 정리한 표임. 과업(Task) 팀장 팀원 심층민원상담 2. 정신장애(알콜중독 포함 중독, 조현증, 저장강박증 등) 특성별 상담 기술 3. 대상자와의 관계형성기술 10.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 10.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 복합민원상담 11. 통합사례관리업무에 관한 이해 12. 지역사회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관한 이해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5.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를 신뢰하는 태도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7. 위기대응 기술 9. 복지시각지대 발굴을 위한 인적안전망 활용 7. 위기대응 기술 9. 복지시각지대 발굴을 위한 인적안전망 활용 후원연계 4. 후원대상자를 발굴하는 기술 4. 후원대상자를 발굴하는 기술 <표 Ⅳ-8> 과업별 필요 지식/기술/태도

60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교육목적 ○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는 여전히 남아있는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국민의 복지체감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음. 이에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 은 복지상담, 복지사각지대발굴, 자원관리, 읍면동서비스연계, 통합사례관리,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회 운영지원 등 여섯 가지 직무영역을 중심으로 직무역 량을 개발함으로써 경기도 도민들에게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제공함. ○ 요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직무교육체계 설계 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음. - 전환배치된 행정직의 보건복지서비스에 대한 직무전문성 개발. - 신규 채용된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공직마인드 함양. - 15~20년 이상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노하우 전수 (슈퍼비전). - 보유도-중요도 분석을 통한 지식/기술/태도 개발 우선순위. - 현장적용, 실무활용을 위한 교육. 과업(Task) 팀장 팀원 후원자 발굴 8. 인적/물적 자원 파악 및 확보9. 네트워크 발굴 및 연계 서비스 연계 1. 민/관 서비스의 대상과 내용, 절차 등에 관한 지식 2. 민/관의 협업 기술 2. 민/관의 협업 기술 6. 서비스 연계 및 점검 기술 협의체 운영지원 6. 협의체 조직화 / 주민조직화 6. 협의체 조직화 / 주민조직화 특화사업 계획수립 7. 특화사업 기획기술8. 계획서(제안서) 작성기술 특화사업 실행 11. 참여주민이 주도성을 가지도록 조력 11. 참여주민이 주도성을 가지도록 조력 욕구 및 위기도 조사 5. 대상자의 욕구, 강점, 자원 등에 대한 사정 기술 사례회의 7. 대상자 동기부여 기술 서비스제공계획수립 10. 대상자가 욕구를 표현하도록 하는 기술 10. 대상자가 욕구를 표현하도록 하는 기술 11.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서비스제공자에게 요청하는 기술

Ⅳ. 직무교육체계 개발 61 <그림 Ⅳ-3>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도 ○ 이상에서 제시된 직무교육체계와 과업별 필요 지식/기술/태도로 볼 때, 교육현 황분석에서 드러난 기존의 통합사례관리 등에 한정되었던 교육은 매우 지엽적 임을 알 수 있음. 읍면동 복지전담팀의 업무는 개별 직무가 서로 연계성을 가지 고 서로 영향을 끼치는 특성이 있음. 그간 통합사례관리와 민관협력과 관련하여 주로 교육을 시행하였지만, 그 외의 업무들도 잘 수행되어야 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의 핵심인 통합사례관리와 민관협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 따 라서 기타 직무에 대한 교육과 지원을 등한시하여서는 안 됨. ○ 복지전달체계의 변화에 따라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업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가 초기단계부터 현장에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 서는 각 업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업무스킬 습득을 위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현장에서는 업무를 혼란 없이 수행할 수 있음. 이에 직무교육체계 수립에 기초한 개별 직무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

62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교육과정 설계 ○ 직무교육은 개념·원리 이해, 사례분석/원리적용, 현업적용/계획수립 등 세 가 지 목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음. <표 Ⅳ-9> 교육과정 설계 목표 개념·원리 이해 사례분석/원리적용 현업적용/계획수립  사회복지, 대상자이해, 욕구사정, 복지전달체계 등 단위 지식 습득  모듈별 이슈/쟁점을 중심으로 사 전학습  모듈별 쟁점 리스트 확보  상담, 통합사례관리, 슈퍼비전 등 통합적 관점에서 접근  모듈별 선진/유사 사례 제시와 비교/분석을 통해 조별 과제(목 표) 설정  논리적 자료분석, 사례연구 방법 습득/실천  탬플릿 활용, 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 공통의 사고 프레임워크 형성  후원자발굴, 서비스연계, 지역사 회보장협의체관리 등 절차적 접근  현업적용을 위한 조직운영 체계, 원칙·규칙 등 지역별 방안 설계  탬플릿 활용, 성과보고서 공유 ○ <표 Ⅳ-10>과 같이 IPA 기법을 활용하여 과업별 개발 우선순위가 높은 지식/기 술/태도를 팀장과 팀원으로 구분하여 도출한 후, 유사성에 따라 그룹핑하여 학 습모듈을 도출함. 직무영역 학습모듈 학습내용 설계 복지상담 민원상담 정신장애(알콜중독 포함 중독, 조현증, 저장강박증 등) 특성별 상담 기술 대상자와의 관계형성기술 원리적용 상담위기 대응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 위기대응 기술 복지시각지대 발굴을 위한 인적안전망 활용 현업적용 보건복지서비스 기초 통합사례관리업무에 관한 이해 지역사회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관한 이해 민/관 서비스의 대상과 내용, 절차 등에 관한 지식 개념이해 자원개발 자원개발 후원대상자를 발굴하는 기술 인적/물적 자원 파악 및 확보 네트워크 발굴 및 연계 현업적용 읍면동 서비스연계 서비스연계 민/관의 협업 기술 서비스 연계 및 점검 기술 현업적용 <표 Ⅳ-10> 학습모듈 목록

Ⅳ. 직무교육체계 개발 63 ○ 특히 행정직 팀장의 경우 앞의 <표 Ⅳ-8>에서 제시한 내용 이외에 과업별 우선 개발영역으로 나타난 것은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도/의뢰 대상자 초기상담기술, 자원 활용기술, 특화사업기획기술이었음(부록 참조). □ 교육방법 ○ 경기도 지역 특수성 및 복지전담팀 직무 특성상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맞춤 교육’ 확대, 현장 중심의 OJT 요구대응, 비구조적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 ○ 직무전문성을 개발하는 방안으로 ‘자기주도학습 촉진을 위한 스캐폴딩(Scaffolding) 실행’, ‘문제해결력을 위한 자원기반 학습’을 제안함. ○ 자기주도학습 촉진을 위한 퍼실리테이터의 스캐폴딩 전략을 학습단계별로 설계 - 환경: 수시 도움요청, 친밀감 형성, 자신감 향상을 위한 격려, 오리엔테이션 실시. - 학습요구진단: 학습요구진단 필요성 설명, 학습요구진단 촉진 질문제공. - 목표설정: 학습목표설정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설명제공, 학습요구와 목표설정 간 의 연결 안내, 목표에 대한 피드백 제공. - 학습활동계획: 충분한 시간적 여유 제공, 학습활동계획 시범제공, 학습계약서 작 성, 학습자원 접근 방법 안내, 학습자원 선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 직무영역 학습모듈 학습내용 설계 읍면동지역 보장협의체 운영지원 협의체 및 주민 조직화 협의체 조직화 / 주민조직화 참여주민이 주도성을 가지도록 조력 현업적용 사업계획서 작성 특화사업 기획기술계획서(제안서) 작성기술 원리적용 통합사례관리 통합사례관리 기초 통합사례관리 절차통합사례관리 Best Practice 개념이해 통합 사례 관리 심화 대상자 사정 기술 대상자의 욕구, 강점, 자원 등에 대한 사정 기술 대상자 동기부여 기술 원리적용 대상자 촉진 기술 대상자가 욕구를 표현하도록 하는 기술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서비스제공자에게 요청하는 기술 원리적용 슈퍼비전 슈퍼비전 기술 지지적 슈퍼비전교육적 슈퍼비전 현업적용

64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학습활동실행: 학습전략 제공, 설명 및 연습 기회 제공, 학습과정 점검, 동료와 비 교해 볼 기회 제공, 수행정도에 따른 포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정서적 지원 등 - 학습결과평가: 자기평가 및 성찰 필요성 설명, 성찰활동 안내 및 예시 제공, 동료 학습자와 평가결과 공유, 성찰활동에 대한 피드백 제공, 격려 제공 - 다만, 첫 단계인 문제제시 과정에서 프로젝트 과제부여 시 실제 공공사회복지 현장 에서 다수 나타나고 있는 사례를 분석하여 과제로 제시함으로써 교육이수 후 현장 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의 내실화를 강화하여야 함 <그림 Ⅳ-4> 자기주도학습 촉진 ○ 업무현장에서 고질적으로 발생해 온 문제(학습주제) 리스트를 마련하고, 그 문 제(학습주제)에 접근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주도적인 학습 및 적극적인 학습이 될 수 있도록 설계함. ○ 교육생들은 풍부한 상황과 맥락으로부터 중요한 사실을 분리해 내고, 문제를 확 인하며, 학습주제를 만들어 냄. - 정보 수집 및 검증: 소집단 구성원으로서 교육생들은 능동적으로 학습주제를 검증 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고 제기함. - 정보의 확장, 평가, 분석, 종합: 소집단 구성원들은 그들의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근거 있는 가설을 첨가, 삭제, 보완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에 몰두하게 됨.

Ⅳ. 직무교육체계 개발 65 - 해결책 제시: 소집단 구성원들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서 얻어진 지식의 이용도 를 높이기 위해 인지적 관련성을 만들어가면서 사례들을 비교하고 대조함. - 성찰과 반성: 학습자들은 소집단 별 활동 경험을 정리 보고하고, 학습과정 중에서 개선될 필요가 있는 영역을 확인함. <그림 Ⅳ-5> 문제해결력을 위한 자원기반 학습 □ 교육평가는 일반적으로 반응평가, 학습평가, 행동평가, 결과평가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구성 평가유형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시기 반응평가 교육과정과 강사, 운영에 대한 만족도 평가 설문조사 교육종료 직후 학습평가 교육내용(지식, 기술)에 대한 학업성취도 평가 지필검사, 발표/토의 교육과정 중 행동평가 (직무행동) 현업복귀 후 변화된 행동, 업무활용도 평가 설문/인터뷰, 시뮬레이션 교육종료 2~6개월 후 결과평가 교육효과성 평가: CIPP(상황, 투입, 과정, 산출)모형 적용 설문조사, 인터뷰 프로그램 종료 후 <표 Ⅳ-11> 교육평가 유형 ○ 반응평가는 크게 학습동기, 학습내용, 강사전문성, 학습교재, 학습환경 등을 평 가함으로써 교육 과정이나 운영상의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교육의 질을 높

66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이는 것을 목표로 함. 이때, 교육운영자는 강사와 교육생 간의 상호작용이나 교 육생의 태도, 전반적 분위기 등을 모니터링 함. ○ 학습평가는 직급/수준별 교육과정(학습내용, 학습문제, 토론주제 적용)과 매칭 된 역량의 지식, 스킬, 태도의 보유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며, 담당교수가 형성 및 총괄평가 문항을 출제함. 학습평가의 평가문항은 객관식/주관식 지필검사, 팀활동평가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객관식 평가는 20~25문항 내외, 주관식 평 가는 실습 또는 과제물을 평가함. 학습평가의 팀활동 평가는 연구 또는 토의에 대한 교육생들의 참여도를 평가할 수 있음. <표 Ⅳ-12> 교육과정 평가 평가시기 평가유형 평가방법 교육과정 전 학습평가(지필검사) 사전에 안내한 온라인과정 또는 관련 자료에 대한 객관식 평가 또는 주관식 평가 - 성찰문과 같은 과제물 교육과정 중 학습평가 (지필/객관식) 교육기간 중 학습한 내용에 대한 객관식 평가 - 과목별 20~25문항 내외 학습평가 (지필/주관식) 교수자가 교육과정 특성에 맞는 과제 또는 주제에 대한 주관식 평가 - 실습 또는 과제물 포함 학습평가 (팀활동평가) 교수자가 부여한 연구 및 토의과제에 대하여 팀 별로 토의하고 발표한 결과를 평가 - 팀 활동 참여도 - 필요시 가점 적용(분임장2점, 연구발표자 2점) 교육과정 중 근태평가 교육기간 중 출석률, 학습태도 및 생활태도 등에 대하여 평가 ○ 행동평가는 교육생들의 업무현장에서의 행동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교육을 통해 배운 지식과 기술이 업무현장에서 얼마나 적용되는지를 평가함. 행동평가 는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교육내용의 현업적용 여부와 조직의 지원(분위기) 등 에 대해 설문 또는 인터뷰를 하게 되며, 교육생의 상사 또는 동료를 대상으로 교육생들의 노력 정도와 현업적용을 통해 달라진 점(소통, 추진력, 숙련도 등), 업무태도 등에 대해 설문 또는 인터뷰를 통해 평가함.

Ⅴ. 결론 67 1. 요약 ○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서비스라는 새로운 변화에 맞는 직무교육체계를 설계하 기 위하여 현장의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에게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는 무엇이며, 현재의 교육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바라는 교육방법 및 내용 등을 살펴 봄으로써 직무수행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직무교육체계(안)와 그 방향을 제시하 고자 함. ○ 이를 위하여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에 대한 사전연구를 통해서 직무의 정의와 구조를 파악하였음. 이후 최지선 외(2017)의 연구를 토대 로 경기도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들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기술/태도 를 도출하기 위하여 현업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에 걸쳐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 시하였음. - 심층그룹인터뷰 결과, 복지상담은 크게 심층민원상담, 복합민원상담, 찾아가는 방 문상담 등 3개 과업으로, 복지사각지대발굴은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과 실태 조사를 통한 발굴 2개 과업으로, 자원관리는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후 원연계, 후원자 발굴 등 3개 과업으로, 읍면동서비스연계는 공공과 민간을 구분하 지 않고 통합하였으며, 읍면동지역보장협의체 운영지원은 협의체 운영지원, 읍면 동 맞춤형복지 홍보, 특화사업 계획수립, 특화사업 실행 등 4개 과업으로, 마지막 으로 통합사례관리는 접수, 욕구 및 위기도 조사, 사례회의, 서비스제공계획수립, 서비스제공 및 점검, 종결 및 사후관리 등 6개 과업으로 분류하였음. Ⅴ 결 론

68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표 Ⅴ-1> 심층인터뷰 결과 직무 과업 복지상담 심층민원상담, 복합민원상담, 찾아가는 방문상담 복지사각지대 발굴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자원관리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후원연계, 후원자 발굴 읍면동서비스연계 공공서비스 연계, 민간서비스 연계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협의체 운영지원, 읍면동 맞춤형복지 홍보, 특화사업 계획수립, 특화사업 실행 통합사례관리 접수, 욕구 및 위기도 조사, 사례회의, 대상자선정, 서비스제공계획 수립, 서비스제공 및 점검, 종결 및 사후관리 ○ 이렇게 분류된 직무영역과 과업에 따른 각 지식/기술/태도에 대하여 경기도 보 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인식 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으며, 총 273명의 유의한 설문응답을 분석하였음. 경기도 보건복지서비스 담당 공무원의 직무에 필요한 지식/기술/태도 분석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첫째, 경기도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들은 복지상담, 복지사각지대발굴, 자원 관리, 읍면동서비스연계, 통합사례관리,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등 모든 직무영역의 중요도가 높은 것에 비해 현재 보유도는 낮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특히 팀장은 읍면동서비스연계, 자원관리, 통합사례관리에 대한 역량개 발이 필요하며, 팀원은 복지상담, 읍면동서비스연계, 자원관리에 대한 역량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들 역시 직무전문성을 통합사 례관리와 민관협력서비스연계로 인식하는 것으로, 더욱 넓은 수요와 깊이 있는 교 육이 제공되어야 하겠음. - 둘째, 팀장과 팀원 간 역량보유도의 차이가 급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장의 경 우 사회복지직과 행정직 간 역량보유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재직 기간 3년 미만이 전체의 36.6%(1년 미만 23.8%), 재직기간 15년 이상이 전체의 25.2%인 인력구조와 전환배치된 행정직 팀장의 경우로 복지허브화 정책에 따른 현 상으로 판단됨. 이에 전환배치된 행정직 팀장 대상의 교육과정 개설 및 필수의무 화, 팀장의 슈퍼비전으로 업무지식과 노하우를 전달할 수 있는 체계 마련, 지역별 학습조직 결성과 지원 등 공식적인 교육훈련 이외에 또 다른 인터벤션이 제공되어 야 하겠음.

Ⅴ. 결론 69 - 셋째, 교육요구분석 결과 교육훈련의 기회는 많은데 반해, 업무에 도움이 되지 않 고,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음. 필요한 교육과정이 개설되 지 않는 것과 업무로 인해 교육에 참여하기 힘든 점, 실무행정에 도움이 되는 교육 의 시급성 등이 나타났음. 이는 증가하는 복지수요와 복지정책의 총량 확대는 공공 복지전달체계의 인력 규모를 증가시키기도 했지만, 이들에 대한 교육훈련 시스템 이 강화되어야 함(진선미 외, 2017; 김영준, 2017)을 나타냄. 따라서 보건복지서비 스 담당공무원이 새롭게 요구받는 직무에 대한 보다 실질적인 교육이 즉각적으로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할 것임. ○ 직책별 지식/기술/태도의 개발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팀장은 욕구 및 위기도 조 사, 후원자 발굴, 접수, 서비스 연계, 심층민원상담, 서비스제공계획수립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원은 복합민원상담, 후원자 발굴, 심층민원상담, 욕구 및 위기도 조사, 후원연계, 서비스연계,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에 대한 교육 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음. ○ 직무교육은 개념·원리 이해, 사례분석/원리적용, 현업적용/계획수립 등 세 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음. 이들 중 개념·원리 이해에 해당하는 학습모듈은 ‘통합사례관리 기초’와 ‘보건복지서비스 기초’이며, 사례분석/원리적 용에 해당하는 학습모듈은 ‘민원상담’, ‘사업계획서 작성’, ‘대상자 사정 기술’, ‘대 상자 촉진 기술’이며, 현업적용/계획수립에 해당하는 학습모듈은 ‘상담위기대응’, ‘자원개발’, ‘서비스연계’, ‘협의체 및 주민조직화’, ‘슈퍼비전 기술’ 등이 해당됨. ○ 경기도 지역특수성 및 복지전담팀 직무 특성상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맞 춤교육’ 확대, 현장 중심의 OJT 요구대응, 비구조적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자 ‘자기주도학습 촉진을 위한 강사의 스캐폴딩(Scaffolding) 실행’, ‘문제 해결력을 위한 자원기반 학습’을 제안함. ○ 직무교육의 효과성은 반응평가, 사전-사후 학습평가, 행동평가로 측정할 수 있음.

70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2. 정책제언 ○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을 활성화하고 현실화를 통한 발전을 위하여 몇 가지 정책제언을 제시 하고자 함. ○ 첫째, 신규채용자 또는 전환배치직을 위한 별도의 교육 마련 필요 - 장기적으로 맞춤형 복지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까지 사회복지직 공무 원을 채용할 필요가 있으며, 일부 복지전담팀장에 사회복지 공무원이 아닌 행정직 을 배치하여 전문성과 실효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개선을 요구하고도 있음. - 경기도 사회복지분야의 대표적인 기관인 경기복지재단은 복지정책 연구개발과 다 양한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적자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도 실시하고 있음. 경기도복지재단의 사회복지 분야 전문성과 교육훈련의 노하우를 경기도 31개 시·군 주민들을 위해 적극적으로 제공 할 필요가 있으며, 복지수요가 증대되고 복잡해지고 있는 요즘 신규임용자와 전환 배치직의 전문화와 질적 수준의 제고를 담당해야 할 것임. ○ 둘째, 현장사례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 필요 -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은 분야 전문가로서 다양한 문제해결 역량이 요구됨. 민원상담이나 사례관리, 민관협력서비스연계 등의 직무영역은 구조적인 문제 양상 을 띠기보다 비구조적으로 특별한 목적을 위한 애드혹적인 특징을 짐. 다양한 사례 를 집약하여 가상과제화 시키고 직무상황과 비슷한 환경에서 직접 실습해봄으로써 발휘되어야 하는 역량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질적인 피드백이 가능함. - 실제 민원현장에서 주로 문제해결하고 있는 직급 또는 직책을 대상으로 민원상담, 사례관리, 민관협력서비스연계 중 주요 모듈을 중심으로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시행한 후 확대 운영할 것을 제안함. ○ 셋째, 경기도와 시‧군‧구 차원에서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인력의 안전대책 강구 필요 - 설문분석 결과, 팀장과 팀원 모두에서 ‘위기대응기술’의 중요도는 매우 높은데 비 해 보유도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게 인식하고 있어, 개인과 조직차원에서 관심을 가

Ⅴ. 결론 71 질 필요성이 큼. 초점집단인터뷰에서도 민원인들의 언어적·신체적 위협과 폭력, 불안함을 토로하였음. 서비스 제공자인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이 사례대상자 에 대한 깊은 이해와 능숙한 대처기술을 가졌을 때,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발굴과 찾아가는 방문상담이 실효를 거둘 수 있을 것임. - 이를 위해서는 폭력예방 및 대응 등 안전관련 교육이 더욱 더 현실적으로 개발되어 야 하며, 보건복지서비스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에게는 필수교육과정으로 의무화되 어야 함.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들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관련 지식과 상담 스킬’에 대한 교육을 요구하는 한편,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과 ‘위기대 응기술’에 있어서는 낮은 보유도를 보였음. - 이와 관련하여 신재은 외(2014) 연구에서도 사회복지담당공무원들은 언어적 폭력 96.3%, 신체적 폭력 60.3%, 성적 폭력 37.2% 순으로 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남. 이러한 현상은 사회복지담당인력의 안전에 대해 경종을 울리는 것으로, 개인적 차원의 접근뿐 아니라 조직차원의 체계적인 대응이 요구됨. - 이에 경기도 차원에서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안전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안전매뉴얼을 개발하여 시‧군‧구 및 읍면동에 배부하여야 하고, 이를 활용하여 시‧ 군‧구에서는 자기방어훈련 등 안전교육을 실시하여야 함. 그리고 안전매뉴얼 및 안 전교육 외에도, 안전문제 예방과 안전문제 발생 시 보고절차 및 기준(안) 등 안전 사고 보고체계를 구축하고 안전문제 발생 시 피해보상방안 마련도 이루어져야 함. - 이러한 조직차원의 안전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때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 원들이 안심하고 찾아가는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임.

참고문헌 73 신재은·이유진·박미경·서창현(2011).『사회복지직공무원 교육체계 개발 연구󰡕, 경기복지 재단. 신재은·조성우·박미경·서창현(2013).『경기도 사회복지직공무원 전문성 향상방안 연구󰡕, 경기복지재단. 양은하(2010).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변화필요도분석. 교육공학연구, 26(2). 25-52. 조대연(2009).『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5, 165-187. 최지선·민소영·엄태영(2017).『읍면동 맞춤형복지팀 교육체계수립연구󰡕, 한국보건복지 인력개발원. Borich, G. A. (1980).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39-42. Gilley, I. W., & Eggland, S. A. (1989). Principl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Inc. Gleespen, A. V. (1996). How individual experise may be socially constructed: A literature review. In E. F. Holton (Ed.), 1996 AHRD Conference Proceedings: 497-504, Austin, TX: Academy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athis, R. L., & Jacson, J. H. (2008). Human resource management (12th ed.). Mason, Ohio: Thomson South-Western. Mink. O. G. & Shultz. J. M. & Mink. B. P.(Eds). (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Somerset Consulting Group, TX. Swanson, R. A. & Holton III, E. F. (2009). Foundation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2nd Ed.), Berrett-Koehler Publishers, Inc. 보건복지부(2018). 홈페이지(www.mohw.go.kr). 참고문헌

부 록

부록 77 ☐ 설문지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담당 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안녕하십니까? 경기복지재단입니다. 우리 재단에서는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담당 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본 조사는 ‘경기도 보건복지서비스담당 공무원의 직무교육’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마련되 었습니다. 본 조사표에 포함된 업무와 필요 지식/기술/태도는 사전에 직무분석 워 크숍시 동료들께서 주신 의견을 반영한 것이므로 다소 분량이 많더라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응답하신 내용은 통계법 제32조(성실 응답의무)와 제33조(비밀의 보호)에 의거, 통계처리 목적으로만 사용될 예정이오며, 개인정보(지자체명 등)는 공개되지 않고 분석 자료로만 활용됩니다. 바쁘신 중에도 귀한 시간 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의 고견이 19년도에 더 나은 교육을 제공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1. 설문대상 : 읍면동 맞춤형복지팀 팀장, 팀원 2. 설문기간 : ~ 2018. 10. 31.(수) 3. 설문회신 : 이메일 회신(edu@ggwf.or.kr) 연구책임자 : 신재은 (경기복지재단, sje9820@ggwf.or.kr) 공동연구원 : 이유진 (에듀D&D, orchid@gmail.com) 박미경 (경기복지재단, mkpark@ggwf.or.kr)

78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1. 복지상담업무 1-1. 귀하가 인식하는 복지상담 업무의 중요도와 실제수행빈도, 난이도를 체크해주세요. 문항 업무 중요도 업무 수행빈도 업무 난이도 전혀 중요하지 않음~ 매우 중요함 전혀 하지 않음~ 매우 빈번하게 함 전혀 어렵지 않음~ 매우 어려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내방상담 전화상담 찾아가는 방문상담 1-2. 복지상담업무 수행 시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의 중요도와 귀하의 지식/기술/태도 보 유도를 체크해주세요. 문항 중요도 보유도 전혀 중요하지 않음~ 매우 중요함 전혀 보유하지 않음~ 매우 보유하고 있음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대상자의 특성, 문제, 욕구에 대한 지식 정신장애(알콜중독 포함 중독, 조현증, 저장강박증 등) 특성 별 상담 기술 대상자와의 관계형성기술 대상자를 설득하는 기술 대상자를 직면시키는 기술 대상자의 언어를 이해하는 기술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는 태도 대상자를 수용하는 태도 필요시 단호한 태도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 통합사례관리업무에 관한 이해 지역사회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관한 이해 사례관리 의뢰기술 유관기관/관계자 등과의 협업기술 지역사회특성에 대한 이해 찾아가는 방문상담을 계획하는 기술 대상자의 정보를 파악하는 기술 상담 시 도움이 되는 인적자원 활용기술 사례관리 대상자를 판별하는 기술

부록 79 2. 복지사각지대 발굴업무 2-1. 귀하가 인식하는 복지사각지대 발굴 업무의 중요도와 실제수행빈도, 난이도를 체크 해주세요. 문항 업무 중요도 업무 수행빈도 업무 난이도 전혀 중요하지 않음~ 매우 중요함 전혀 하지 않음~ 매우 빈번하게 함 전혀 어렵지 않음~ 매우 어려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행복e음 활용을 통한 발굴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2-2. 복지사각지대 발굴업무 수행 시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의 중요도와 귀하의 지식/ 기술/태도 보유도를 체크해주세요. 문항 중요도 보유도 전혀 중요하지 않음~ 매우 중요함 전혀 보유하지 않음~ 매우 보유하고 있음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지역특성 이해(지리적, 인구학적, 환경적)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특성에 관한 이해 복지사각지대를 인식시키고 필요시 신고하도록 독려 하는 기술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 대상자 초기상담기술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를 신뢰하는 태도 복지사각지대 발굴경로 탐색 기술 위기대응 기술 정보활용 기술 (행복e음 포함) 복지시각지대 발굴을 위한 인적안전망 활용 복지시각지대 실태조사계획 수립기술

80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3. 자원관리 업무 3-1. 귀하가 인식하는 자원관리 업무의 중요도와 실제수행빈도, 난이도를 체크해주세요. 문항 업무 중요도 업무 수행빈도 업무 난이도 전혀 중요하지 않음~ 매우 중요함 전혀 하지 않음~ 매우 빈번하게 함 전혀 어렵지 않음~ 매우 어려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후원연계 후원자 발굴 후원자 사후관리 3-2. 자원관리 업무수행 시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의 중요도와 귀하의 지식/기술/태도 보유도를 체크해주세요. 문항 중요도 보유도 전혀 중요하지 않음~ 매우 중요함 전혀 보유하지 않음~ 매우 보유하고 있음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지원대상, 내역, 방법, 절차 등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 지원대상으로 선정되기 위한 사업기획 기술 후원대상자 특성에 대한 이해 후원대상자를 발굴하는 기술 후원대상자의 욕구를 파악하는 기술 후원자원을 배분하는 기술 후원자를 관리하는 기술 인적/물적 자원 파악 및 확보 네트워크 발굴 및 연계

부록 81 4. 읍면동 서비스연계업무 4-1. 귀하가 인식하는 읍면동 서비스연계 업무의 중요도와 실제수행빈도, 난이도를 체크 해주세요. 문항 업무 중요도 업무 수행빈도 업무 난이도 전혀 중요하지 않음~ 매우 중요함 전혀 하지 않음~ 매우 빈번하게 함 전혀 어렵지 않음~ 매우 어려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공공서비스 연계 민간서비스 연계 4-2. 읍면동 서비스연계업무 수행시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의 중요도와 귀하의 지식/ 기술/태도 보유도를 체크해주세요. 문항 중요도 보유도 전혀 중요하지 않음~ 매우 중요함 전혀 보유하지 않음~ 매우 보유하고 있음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민/관 서비스의 대상과 내용, 절차 등에 관한 지식 민/관의 협업 기술 자원봉사자활용기술 알고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 필요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상담 기술 서비스 연계 및 점검 기술 서비스연계를 위해 기관/담당자 등을 조정하는 기술

82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5. 통합사례관리 업무 5-1. 귀하가 인식하는 통합사례관리 업무의 중요도와 실제수행빈도, 난이도를 체크해주 세요. 문항 업무 중요도 업무 수행빈도 업무 난이도 전혀 중요하지 않음~ 매우 중요함 전혀 하지 않음~ 매우 빈번하게 함 전혀 어렵지 않음~ 매우 어려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접수 욕구 및 위기도 조사 사례회의 대상자선정 서비스제공계획수립 서비스제공 및 점검 종결 및 사후관리 5-2. 통합사례관리 업무 수행 시 필요한 지식/기술/태도의 중요도와 귀하의 지식/기술/태 도 보유도를 체크해주세요. 문항 중요도 보유도 전혀 중요하지 않음~ 매우 중요함 전혀 보유하지 않음~ 매우 보유하고 있음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의뢰경로와 사유 등 의뢰내역에 대한 이해 통합사례관리 개념과 중요성, 과정에 대한 이해 욕구조사 및 위기도조사의 개념, 내용, 과정 등에 대한 지침 이해 대상자와의 협력적 관계형성 기술 대상자의 욕구, 강점, 자원 등에 대한 사정 기술 회의진행 기술 (의사결정, 기록 포함) 대상자 동기부여 기술 서비스제공 계획 수립의 이해 대상자에게 연계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 대상자가 욕구를 표현하도록 하는 기술

부록 83 문항 중요도 보유도 전혀 중요하지 않음~ 매우 중요함 전혀 보유하지 않음~ 매우 보유하고 있음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서비스제공자에 게 요청하는 기술 서비스제공사항을 점검하는 기술 점검결과에 따라 서비스를 조정하는 기술 대상자를 지지하는 기술 대상자를 옹호하는 기술 사례관리종결의 개념과 내용, 과정, 방법 등에 대한 이해 사례관리 성과를 평가하는 기술 사례관리종결에 대한 합의기술 사례관리종결 및 사후관리에 관한 내역을 기록하는 기술

84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6.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업무 6-1. 귀하가 인식하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업무의 중요도와 실제수행빈도, 난 이도를 체크해주세요. 문항 업무 중요도 업무 수행빈도 업무 난이도 전혀 중요하지 않음~ 매우 중요함 전혀 하지 않음~ 매우 빈번하게 함 전혀 어렵지 않음~ 매우 어려움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협의체 운영지원 특화사업 기획 사업홍보 6-2.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 업무 수행 시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의 중요도와 귀하의 지식/기술/태도 보유도를 체크해주세요. 문항 중요도 보유도 전혀 중요하지 않음~ 매우 중요함 전혀 보유하지 않음~ 매우 보유하고 있음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과 기능 특화사업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 지역주민의 욕구 등 지역상황에 대한 이해 홍보 전반에 대한 이해 자원활용기술 협의체 조직화 / 주민조직화 특화사업 기획기술 계획서(제안서) 작성기술 회의록 작성기술 회의진행 및 참여촉진 기술(퍼실리테이션) 참여주민이 주도성을 가지도록 조력 점검 및 조정기술 보도자료 작성기술 다양한 홍보기술(SNS 등) 홍보매체제작기술(동영상 등)

부록 85 7. 보건복지서비스담당 공무원의 교육요구 7-1. 현행 보건복지서비스담당 공무원 대상 직무교육의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해당하는 부분에 동의정도를 체크하여주시기 바랍니다. 문항 전혀 동의하지 않음~매우 동의함① ② ③ ④ ⑤ 현재 담당하는 업무에 만족한다. 교육훈련이 현 업무수행에 도움이 된다. 교육훈련이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교육훈련 기회가 충분하다. 교육훈련이 체계적이다. 교육훈련을 계속 받기를 원한다.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맞춤교육’을 원한다. 기타(구체적으로 명시) 7-2.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와 관련된 교육을 받기 힘든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필요한 교육과정이 개설되지 않는다. ② 교육과 관련된 정보가 부족하다. ③ 업무가 과중하여 교육에 참여하기 어렵다. ④ 상급자 혹은 조직의 배려가 부족하다. ⑤ 기타 ( ) 7-3.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와 관련된 교육에 있어 가장 시급한 개선사항은 무엇 입니까? ① 교육계획/운영에 있어 교육생의 의견 반영 ② 강사의 전문성과 교육테크닉 향상 ③ 실무행정의 도움 정도

86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④ 현장서비스(클라이언트)에 유익한 과목 개발 ⑤ 기타 ( ) 7-4.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와 관련하여 보건복지서비스담당 공무원의 직무수행을 위 해 가장 필요한 교육은 무엇입니까? 7-5. 직무교육과 관련하여 가장 선호하는 교육형태는 무엇입니까? (하나만 선택) ① 집합교육 ② 외부교육 ③ OJT (On The Job Training, 현장교육) ④ 사이버교육 ⑤ 독서통신교육 ⑥ 기타 ( ) 7-6. 직무교육과 관련하여 가장 선호하는 교육기간은 며칠입니까? (하나만 선택) ① 1일 ② 2일 ③ 3일 ④ 5일 ⑤ 기타 ( ) 7-7.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집합교육)와 관련하여 가장 선호하는 교육기관은 어디입 니까?(하나만 선택) ① 경기복지재단 ②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③ 경기도인재개발원 ④ 학회 등 민간단체 및 기관 ⑤ 기타 ( )

부록 87 ▣ 해당사항에 √ 표시하세요 시군 ①가평군 ②고양시 ③과천시 ④광명시 ⑤광주시 ⑥구리시 ⑦군포시 ⑧김포시 ⑨남양주시 ⑩동두천시 ⑪부천시 ⑫성남시 ⑬수원시 ⑭시흥시 ⑮안산시 ⑯안성시 ⑰안양시 ⑱양주시 ⑲양평군 ⑳여주시 ◯21연천군 ◯22오산시 ◯23용인시 ◯24의왕시 ◯25의정부시 ◯26이천시 ◯27파주시 ◯28평택시 ◯29포천시 ◯30하남시 ◯31화성시 소속 ①중심읍면동 ②일반읍면동 성별 ①남성 ②여성 연령 ①20대 ②30대 ③40대 ④50대 이상 공무원 총 재직기간 ①1년 미만 ②1년-3년 미만 ③3년-5년 미만 ④5년-10년 미만 ⑤10년-15년 미만 ⑥15-20년 미만 ⑦20년 이상 맞춤형복지팀 근무기간 ①6개월 미만 ②6개월-1년 미만 ③1년-2년 미만 ④2년-3년 미만 ⑤3년 이상 직급 ①5급 이상 ②6급 ③7급 ④8급 ⑤9급 직렬 ①사회복지직 ②행정직 ③기타( ) 직책 ①팀원 ②팀장 맞춤형복지팀장 보직기간 (팀장만 체크) ①6개월 미만 ②6개월-1년 미만 ③1년-2년 미만 ④2년-3년 미만 ⑤3년 이상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88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 행정직 팀장 대상 IPA 분석결과 1. 행정직 팀장의 과업별 지식/기술/태도 수준에 대한 IPA 분석 과업(Task)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복지상담 심층민원상담 3.62 4.19 0.57 + + 복합민원상담 3.47 3.92 0.45 - + 찾아가는 방문상담 3.55 3.92 0.37 - + 복지사각지대발굴 신고/제보/의뢰를 통한 발굴 3.52 4.06 0.54 + + 실태조사를 통한 발굴 3.41 4.02 0.61 - + 자원관리 공동모금회 등 지원기관과의 연계 3.32 4.04 0.71 + - 후원연계 3.33 4.10 0.77 + - 후원자 발굴 3.37 4.10 0.73 + - 읍면동서비스연계 서비스 연계 3.27 4.07 0.80 + - 읍면동지역사회보 장협의체 운영지원 협의체 운영지원 3.50 4.03 0.53 - + 읍면동 맞춤형복지 홍보 3.42 3.84 0.42 - + 특화사업 계획수립 3.48 4.04 0.55 + + 특화사업 실행 3.43 4.02 0.60 - + 통합사례관리 접수 3.29 4.14 0.86 + - 욕구 및 위기도 조사 3.38 4.15 0.77 + - 사례회의 3.35 3.99 0.64 - - 서비스제공계획수립 3.34 4.11 0.77 + - 서비스제공 및 점검 3.28 4.05 0.77 - - 종결 및 사후관리 3.29 4.04 0.75 + - 2. 행정직 팀장의 복지상담직무 역량에 대한 IPA 분석 역량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대상자의 특성, 문제, 욕구에 대한 지식 3.57 4.19 0.62 + + 2. 정신장애(알콜중독 포함 중독, 조현증, 저장강박증 등) 특성 별 상담 기술 3.24 4.12 0.88 + - 3. 대상자와의 관계형성기술 3.48 4.19 0.71 + - 4. 대상자를 설득하는 기술 3.60 4.19 0.60 + + 5. 대상자를 직면시키는 기술 3.52 4.07 0.55 - -

부록 89 3. 행정직 팀장의 복지사각지대발굴직무 역량에 대한 IPA 분석 역량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지역특성 이해(지리적, 인구학적, 환경적) 3.55 3.79 0.24 - + 2.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특성에 관한 이해 3.55 4.14 0.60 + + 3. 복지사각지대를 인식시키고 필요시 신고하도록 독려하는 기술 3.62 4.14 0.52 + + 4.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 대상자 초기상담기술 3.45 4.14 0.69 + - 5. 복지사각지대 신고/제보/의뢰를 신뢰하는 태도 3.45 4.10 0.64 + - 6. 복지사각지대 발굴경로 탐색 기술 3.38 3.93 0.55 - - 7. 위기대응 기술 3.43 4.19 0.76 + - 8. 정보활용 기술 (행복e음 포함) 3.50 3.98 0.48 - + 9. 복지시각지대 발굴을 위한 인적안전망 활용 3.45 4.17 0.71 + - 10. 복지시각지대 실태조사계획 수립기술 3.38 3.81 0.43 - - 역량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6. 대상자의 언어를 이해하는 기술 3.60 4.10 0.50 + + 7.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는 태도 4.05 4.37 0.32 + + 8. 대상자를 수용하는 태도 3.93 4.24 0.31 + + 9. 필요시 단호한 태도 3.44 4.45 1.01 + - 10.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기술 3.55 4.31 0.76 + - 11. 통합사례관리업무에 관한 이해 3.62 4.14 0.52 + + 12. 지역사회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관한 이해 3.40 3.88 0.48 - - 13. 사례관리 의뢰기술 3.43 3.79 0.36 - - 14. 유관기관/관계자 등과의 협업기술 3.43 3.86 0.43 - - 15. 지역사회특성에 대한 이해 3.63 3.78 0.15 - + 16. 찾아가는 방문상담을 계획하는 기술 3.52 3.86 0.33 - - 17. 대상자의 정보를 파악하는 기술 3.59 4.00 0.41 - + 18. 상담 시 도움이 되는 인적자원 활용기술 3.50 3.95 0.45 - - 19. 사례관리 대상자를 판별하는 기술 3.52 4.02 0.50 - -

90 경기도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담당공무원의 직무교육체계 개발 연구 4. 행정직 팀장의 자원관리직무 역량에 대한 IPA 분석 역량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순위 1. 지원대상, 내역, 방법, 절차 등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 3.40 4.17 0.76 + + 2. 지원대상으로 선정되기 위한 사업기획 기술 3.24 3.90 0.67 - - 3. 후원대상자 특성에 대한 이해 3.36 4.05 0.69 - + 4. 후원대상자를 발굴하는 기술 3.26 4.14 0.88 + - 5. 후원대상자의 욕구를 파악하는 기술 3.38 4.24 0.86 + + 6. 후원자원을 배분하는 기술 3.31 3.98 0.67 - - 7. 후원자를 관리하는 기술 3.36 4.10 0.74 + + 8. 인적/물적 자원 파악 및 확보 3.38 4.12 0.74 + + 9. 네트워크 발굴 및 연계 3.36 4.07 0.71 - + 5. 행정직 팀장의 읍면동서비스연계직무 역량에 대한 IPA 분석 역량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민/관 서비스의 대상과 내용, 절차 등에 관한 지식 3.24 4.12 0.88 + - 2. 민/관의 협업 기술 3.29 4.24 0.95 + + 3. 자원봉사자활용기술 3.21 4.02 0.81 - - 4. 알고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 3.31 4.00 0.69 - + 5. 필요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상담 기술 3.31 4.12 0.81 + + 6. 서비스 연계 및 점검 기술 3.33 4.05 0.71 - + 7. 서비스연계를 위해 기관/담당자 등을 조정하는 기술 3.19 3.93 0.74 - - 6. 행정직 팀장의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지원직무 역량에 대한 IPA 분석 역량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과 기능 3.57 4.21 0.64 + + 2. 특화사업에서 활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 3.50 4.07 0.57 + + 3. 지역주민의 욕구 등 지역상황에 대한 이해 3.57 4.07 0.50 + + 4. 홍보 전반에 대한 이해 3.55 3.90 0.36 - + 5. 자원활용기술 3.40 4.05 0.64 + - 6. 협의체 조직화 / 주민조직화 3.38 4.21 0.83 + -

부록 91 7. 행정직 팀장의 통합사례관리직무 역량에 대한 IPA 분석 역량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1. 의뢰경로와 사유 등 의뢰내역에 대한 이해 3.29 4.14 0.86 + - 2. 통합사례관리 개념과 중요성, 과정에 대한 이해 3.29 4.14 0.86 + - 3. 욕구조사 및 위기도조사의 개념, 내용, 과정 등에 대한 지침 이해 3.43 4.10 0.67 + + 4, 대상자와의 협력적 관계형성 기술 3.36 4.17 0.81 + + 5. 대상자의 욕구, 강점, 자원 등에 대한 사정 기술 3.36 4.19 0.83 + + 6. 회의진행 기술 (의사결정, 기록 포함) 3.43 3.95 0.52 - + 7. 대상자 동기부여 기술 3.26 4.02 0.76 - - 8. 서비스제공 계획 수립의 이해 3.38 4.00 0.62 - + 9. 대상자에게 연계가능한 자원에 대한 이해 3.38 4.19 0.81 + + 10. 대상자가 욕구를 표현하도록 하는 기술 3.26 4.17 0.90 + - 11.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서비스제공자에게 요청하는 기술 3.33 4.07 0.74 - + 12. 서비스제공사항을 점검하는 기술 3.26 3.98 0.71 - - 13. 점검결과에 따라 서비스를 조정하는 기술 3.34 3.90 0.56 - + 14. 대상자를 지지하는 기술 3.33 4.21 0.88 + + 15. 대상자를 옹호하는 기술 3.19 4.10 0.90 + - 16. 사례관리종결의 개념과 내용, 과정, 방법 등에 대한 이해 3.33 4.12 0.79 + + 17. 사례관리 성과를 평가하는 기술 3.24 3.95 0.71 - - 18. 사례관리종결에 대한 합의기술 3.36 4.02 0.67 - + 19. 사례관리종결 및 사후관리에 관한 내역을 기록하는 기술 3.21 4.05 0.83 - - 역량명 보유도(1) 중요도(2) (2)-(1)차이값 IPA 7. 특화사업 기획기술 3.38 4.00 0.62 + - 8. 계획서(제안서) 작성기술 3.48 4.00 0.52 + + 9. 회의록 작성기술 3.57 3.76 0.19 - + 10. 회의진행 및 참여촉진 기술(퍼실리테이션) 3.48 3.93 0.45 - + 11. 참여주민이 주도성을 가지도록 조력 3.41 4.10 0.68 + - 12. 점검 및 조정기술 3.49 3.90 0.41 - + 13. 보도자료 작성기술 3.49 3.80 0.32 - + 14. 다양한 홍보기술(SNS 등) 3.40 3.76 0.36 - - 15. 홍보매체제작기술(동영상 등) 3.24 3.88 0.6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