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25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연구책임 󰠛 최조순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공동연구 󰠛 홍서인 (경기복지재단 연구원) 장동호 (남서울대학교 교 수)

■ GGWF Report는 사회복지분야의 주요현안에 관하여 정책의 방향설정과 실현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ㆍ조사를 통한 정책제안이나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작성된 자료입니다. ■ 본 보고서는 경기복지재단의 공식적인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과 관련한 의견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Tel:031-267-9345 Fax:031-898-5935 E-mail:ehjs11@ggwf.or.kr

요약 i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경기도는 근로취약청년을 대상으로 자산형성 및 미래에 대한 대응력 증진을 위해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정책을 추진, 2018년 12월 현재 18,500명을 지원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은 근로취약청년의 빈곤 계층 전락을 사전적으로 예방하고, 자산형성 등의 지원을 통해 자립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목적임 -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2016년 5월 첫 참여자 모집 이후 2018년 12월 말 까지 18,500명을 선정하여 정책지원을 진행 ○ 경기도는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선정 이후 참여자의 변화 등 질적 성과 측정을 위한 ‘일하는 청년통장 금융 태도 등 조사’를 실시 - 사업의 최초 설정 목표 대비 실현 정도, 참여자의 변화 등 분석을 통해 사업의 절 차 및 설계 개선, 사업 운영을 위한 개선점 도출 등을 위해 정책 초기 단계와 정기 적인 시점에서 대상자의 변화 수준을 측정 ・ 경제적 스트레스, 개인의 금전 등 물질적 성향, 자아존중 수준, 재무 관리 역량 수준 등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 변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 ○ 본 연구의 목적은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 변화 수준을 분석하여, 사업의 성과 증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음 - 사업 선정자의 사회적·경제적 변화 정도의 분석을 통해 사업 지원 및 설계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사업의 실효성을 강화하고자 함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현재 추진 중인 사업으로 정책 집행과정에서의 참여자의 변화, 정책의 질적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과정평가의 형태로 진행(이윤식, 2010:55) ・ 사업 참여자의 자산 및 부채, 경제적 스트레스, 금전 성향, 행복 수준, 자아존중 정도 등 다양한 성과 분석 결과는 차기년도 교육 운영, 재무 및 컨설팅 지원 계획 수립에 활용 요약

ii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연구내용 요약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경제적 수준, 경제적 스트레스, 정책 효과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나, 재무역량 관리, 금전 성향, 자아존중 측면은 개선이 필요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통장유지률, 만기적립금 지급률 등 직접적인 성과 도달을 위해서는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금전 성향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지원 사업 추 진이 필요 - 각 차수별 사업 참여 이후 사후조사에서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금전에 대한 스트레스, 재정 상태에 대한 만족도, 생활비에 대한 걱정 등의 항목에서 공통적으로 경제적 스트레스가 감소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은 약화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자산형성지원 외 자산형성을 통한 미래위험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 있는 재무 관리역량 증진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자아존중감 수준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교육 및 사후관리 범주 내에서 참여자의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재무관리 역량 변화] [자존감 변화]

요약 iii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정책 만족, 미래희망 증대, 이직의사 감소 등 효과는 긍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남 - 일하는 청년통장의 정책 효과는 정책 만족도 89.0점,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79.0 점, 이직에 대한 고민 및 의사 감소 66.8점 수준으로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참여자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질 적인 정책 효과는 사업 완료 시점에 다시 평가하여 검증의 기회를 갖는 것이 필요 [일하는 청년통장 정책 효과 수준] □ 정책 제언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는 경기도 청년정책 수립을 위한 중요한 자산이므로, 참여자에 대한 통장사업 외 정책수립을 위한 대상자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 정립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경제․환경․심리 등 변화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는 도내 청년관련 정책을 수립에 매우 유용한 자료임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기간 동안 설문 등 관련 조사 참여에 대한 의무를 부과하고, 지속적인 설문 참여 유인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 등 관리 방안 도입 ・ 일하는 청년통장 협약서 상 청년통장 및 관련 설문 참여에 대한 성실의무 규정을 명시하고, 관련 사항을 이행하지 않을 시 추가 교육 시간 부여, 교재제공 등 지원과정에서 불이익 제공 ・ 설문조사에 성실히 참여한 청년에 대해서는 금융․재무 컨설팅 서비스 무상 제공, 학습 교재 제공, 재단 대표이사 표창 수여, 차기 참여자에 대한 멘토 역할 수행 등의 우선 기회 제공

iv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 컨설팅 등 지원 강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수준은 약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통장사업의 양적․질적 성과 증진을 위한 지원 강화를 위해 재무관리 교육, 컨설팅 등 지원프로그램의 체계적 운영 필요 - 집합 교육 외 온라인 및 사이버 교육 등을 제공함으로써 접근성, 시간 제약성의 문 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내용의 교육을 제공하여 대상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회 확 대를 통해 교육에 대한 욕구 해소 - 금융․재무 교육, 컨설팅 등 지원 프로그램의 내용 및 질 향상을 위한 평가체계 정립 ・ 수요자의 욕구 해소, 내용의 질, 만족도 등 전반적인 교육의 질 향상 차원에서 보다 체계 적이고, 정교한 평가체계를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고, 평가 내용과 결과는 교육 내용 구 성에 환류 되어 반영되는 체계 구축 - 일하는 청년자문단(가칭)을 통해 재무 컨설팅 및 교육의 효과가 신규 참여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체계 구축 및 운영 ・ 1차․2차 만기 적립자 및 금융․재무 관리 역량이 뛰어난 참여자를 멘토 그룹으로 구성하 고, 신규 사업 참여자를 멘티 그룹으로 설정하여, 재무컨설팅의 유용성 등을 전달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 ○ 청년통장 참여자의 질적 평가 및 사후 평가 체계 정립 - 정책 및 지원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참여자의 사회․경제․심리적 변화 요인에 대한 심층적 조사 체계 정립이 필요 ・ 양적인 지표 중심의 성과평가 및 측정은 사업의 실질적인 효과를 과소 측정할 수 있기 때문 에 참여자의 태도 및 인식 변화 관련 질적 조사를 통해 성과 요인의 도출 과정이 필요 - 자산형성지원 사업은 적립지원 후 적립의 활용, 사업 종료 후 참여자의 변화 등 후속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체계 구축 필요 ・ 일하는 청년통장 적립금 수혜자들 대상으로 최소 1년간 참여자 관리를 통해 사후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체계 정립이 필요 ・ 참여자의 사후성과를 체계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대상자 관리와도 밀접 하기 때문에 대상자 관리체계와 연계하여 사후성과 측정 체계 구축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 3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5 1.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개요 ······································································ 5 2.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측정 체계 및 지표 ················································ 8 3.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16 4. 시사점 ·································································································· 56 Ⅲ| 결론 및 정책 제언/65 1. 요약 및 결론 ························································································· 65 2. 정책 제언 ····························································································· 68 | 참고문헌 / 71 목차

vi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표 Ⅱ-1> 일하는 청년통장 현황 ·························································································· 6 <표 Ⅱ-2> 일하는 청년통장 해지 사유 ·················································································· 7 <표 Ⅱ-3> 평가주체, 평가단계 및 평가기준의 중요도 ·························································· 10 <표 Ⅱ-4> 참여자의 재무관리 수준 측정 항목 ····································································· 12 <표 Ⅱ-5> 참여자의 경제적 여건에 인식 변화 측정 항목 ····················································· 13 <표 Ⅱ-6> 참여자의 금전 성향 측정 항목 ··········································································· 13 <표 Ⅱ-7> 참여자의 행복 수준 측정 항목 ············································································ 15 <표 Ⅱ-8> 참여자의 자아존중감 측정 항목 ·········································································· 15 <표 Ⅱ-9> 참여자별 조사 현황 ···························································································· 16 <표 Ⅱ-10> 일하는 청년통장 조사 대상 현황 ······································································· 17 <표 Ⅱ-11>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재무 변화 ··························································· 19 <표 Ⅱ-12>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20 <표 Ⅱ-13>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 21 <표 Ⅱ-14>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23 <표 Ⅱ-15>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24 <표 Ⅱ-16>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 25 <표 Ⅱ-17>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 25 <표 Ⅱ-18>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재무상태 변화 ·················································· 26 <표 Ⅱ-19>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27 <표 Ⅱ-20>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 28 <표 Ⅱ-21>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30 <표 Ⅱ-22>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변화 ·········································· 31 <표 Ⅱ-23>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32 <표 Ⅱ-24>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 ····························· 32 <표 Ⅱ-25>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 33 <표 Ⅱ-26>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33 <표 Ⅱ-27>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 35 표 차례

목차 vii <표 Ⅱ-28>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37 <표 Ⅱ-29>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 ············································· 39 <표 Ⅱ-30>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40 <표 Ⅱ-31>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 ····························· 40 <표 Ⅱ-32>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 40 <표 Ⅱ-33>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41 <표 Ⅱ-34>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 43 <표 Ⅱ-35>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45 <표 Ⅱ-36>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변화 ·········································· 46 <표 Ⅱ-37>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47 <표 Ⅱ-38>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 ···························· 48 <표 Ⅱ-39>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 48 <표 Ⅱ-40>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49 <표 Ⅱ-41>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 51 <표 Ⅱ-42>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53 <표 Ⅱ-43>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변화 ·········································· 54 <표 Ⅱ-44>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55 <표 Ⅱ-45>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 ····························· 56 <표 Ⅱ-46>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 56 <표 Ⅱ-47>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월 평균 급여액 ·························································· 56 <표 Ⅱ-48> 전 산업 월 임금총액 및 급여액 ······································································· 57 <표 Ⅱ-49>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측정 통계표 ·································· 58 <표 Ⅱ-50>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측정 통계표 ····································· 59 <표 Ⅱ-51>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자존감 측정 통계표 ················································· 60

viii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그림 Ⅰ-1> 연구 추진체계 ··································································································· 4 <그림 Ⅱ-1>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선발 등 주요 추진 일정 ·············································· 6 <그림 Ⅱ-2> 일하는 청년통장사업 운영과정과 평가 내용 ······················································ 8 <그림 Ⅱ-3>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평가 단계와 평가 항목 ··············································· 9 <그림 Ⅱ-4>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 목표와 지표의 관계 ··········································· 11 <그림 Ⅱ-5>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58 <그림 Ⅱ-6>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변화 ··············································· 59 <그림 Ⅱ-7>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61 <그림 Ⅱ-8>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62 <그림 Ⅱ-9> 정부․지자체 청년정책 만족도 ·········································································· 62 <그림 Ⅱ-10>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 63 <그림 Ⅱ-11>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및 의사 감소 ···························· 63 그림 차례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경기도는 근로취약청년을 대상으로 자산형성지원을 통해 미래에 대한 대응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정책을 추진 - 2016년부터 추진된 일하는 청년통장사업은 근로취약청년의 빈곤 계층 전락을 사전 적으로 예방하고, 자산형성 등의 지원을 통해 자립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목적임 - 또한, 근로취약청년의 미래준비에 대한 기회 제공, 현재 일자리 유지에 대한 동기 부여, 사회적 경력 확충 등 청년의 자발적·적극적 행동 변화를 촉진 ・ 개인의 자산형성지원은 개인의 자산형성 뿐만 아니라 개인의 인식과 태도 변화 촉진을 통해 개인의 사회적・경제적 자립 역량 증진, 빈곤 예방 등의 변화를 촉진하는 사회적 투 자 관점을 포괄하고 있음(Beverly et al., 2008; 장동호, 2013) - 궁극적으로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불확실성을 대비할 수 있는 역량 개발과 빈곤의 대물림 가능성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음 ○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2016년 5월 첫 참여자 모집 이후 2018년 12월 말까지 18,500명을 선정하여 정책지원을 진행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는 2016년 5월 500명, 동년 11월 1,000명, 2017년 5월 5,000명, 동년 11월 4,000명, 2018년 5월 5,000명, 동년 11월 3,000명 등 총 6회 에 걸쳐 18,500명을 선발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는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의 근로 중인 청년을 대상으로 경제상황 및 근로 상태 등을 기준으로 선발 ・ 지원 참여자 중 빈곤계층으로의 진입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계층이 정책적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자격 기준을 설정 Ⅰ 서 론

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경기도는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선정 이후 참여자의 변화 등 질적 성과 측정을 위한 ‘일하는 청년통장 금융 태도 등 조사’를 실시 - 금융 태도 등 조사는 참여자의 정책 진입 초기 단계에서 조사 후 일정 기간이 경과 한 시점에 변화 수준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 주요 내용은 경제적 스트레스, 개인의 금전 등 물질적 성향, 자아존중 수준, 재무 관리 역량 수준 등의 내용으로 측정 - 금융 태도 등 조사는 ①사업의 최초 설정 목표 대비 실현 정도, ②참여자의 변화 등 분석을 통해 사업의 절차 및 설계 개선, 사업 운영을 위한 개선점 도출 등의 목 적 하에 추진 ・ 사업 최초 설정된 목표 실현 정도를 정기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사업 설계 및 내용에 대한 보완·조정을 통한 사업성과 증대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3년 후 관련성과 측정뿐만 아니라 사업 진행과정에서 참여자의 인식, 태도 변화 등 질적인 성과 측정을 통해 사업 개선 및 보완 효과 기대 ○ 본 연구의 목적은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 변화 수준을 분석하여, 사업의 성과 증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음 - 사업 선정자의 사회적·경제적 변화 정도의 분석을 통해 사업 지원 및 설계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음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현재 추진 중인 사업으로 정책 집행과정에서의 참여자의 변화, 정책의 질적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과정평가의 형태로 진행(이윤식, 2010:55) - 또한, 참여자의 성과 분석 결과는 차기년도 사업계획 수립의 근거로 활용하여 사업의 실효성 강화 ・ 사업 참여자의 자산 및 부채, 경제적 스트레스, 금전 성향, 행복 수준, 자아존중 정도 등 다양한 성과 분석 결과는 차기년도 교육 운영, 재무 및 컨설팅 지원 계획 수립에 활용

Ⅰ. 서론 3 2. 연구 범위 및 방법 □ 연구 범위 및 내용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추진 사항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추진의 배경 및 의의 - 일하는 청년통장 정책 추진 현황 ○ 일하는 청년통장 사회적·경제적 태도 등 변화 측정 지표 체계 및 구성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성과 측정 체계 및 지표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 참여자 성과 측정 체계 및 지표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설문조사 및 성과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1차 ~ 5차, 15,500명) 양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설 문조사 실시 - 참여자의 지표별 변화 및 종단적 분석을 통한 성과 분석, 시사점 도출 □ 연구 방법 및 추진체계 ○ 문헌연구 -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추진 배경 및 현황 - 자산형성지원사업에 대한 성과 측정 체계 및 지표 검토 -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및 추진 현황 등 문헌 조사 ○ 설문조사 및 분석 - 2016년 1차 ~ 5차 선발된 15,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 설문 내용은 자산 및 부채 증감,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 금전 태도 변화, 행복 수 준, 자아존중감 등을 중심으로 구성 ○ 전문가 자문회의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 측정을 위한 체계 및 지표 구성 -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에 따른 사업 개선 방안

4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그림 Ⅰ-1> 연구 추진체계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5 1.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개요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근로빈곤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미래 준비, 일자리 유지, 잠재적 위험에 대한 사전 예방 등 안정적인 삶의 실현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 - 20대·30대 청년계층이 당면한 문제는 근로활동을 하고 있으나, 주거, 자녀 양육 및 자기개발 등의 문제, 미래에 대한 투자 여유가 없다는 것임 - 일하는 청년통장은 근로청년의 지원을 통해 사회적·경제적 역량 증진과 경력을 유지 하여 청년들의 미래 준비에 적극성과 능동성을 촉진하기 위해 도입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기본 설계는 사업의 목표와 방향성에 맞춰 ①자산형성과 유관 서비스의 통합 지원, ②가구단위 자산형성 지원, ③참가자의 능동성 및 적극성 증진, ④ 참여자의 근로유지 및 사회적 경력 강화 등을 유인할 수 있도록 설계 ○ 2018년 12월말 기준 일하는 청년통장 선정자는 18,486명, 참여자의 지위를 유 지하고 있는 참여자는 17,943명으로 97.1%의 유지율을 보임 - 1차 참여자는(’16년 5월) 500명 중 449명이 유지하고 있으며, 2차 참여자(’16년 11 월)는 1,000명 중 945명이 유지하고 있음 - 3차 참여자(’17년 5월)는 5,000명 중 4,712명, 4차 참여자(’17년 11월)는 4,000명 중 3,876명, 5차 참여자(’18년 5월)는 5,000명 중 4,977명, 6차 참여자(’18년 11월) 는 2,986명 중 2,984명이 유지 중임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6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구분 참여자 수 중도해지자 유지 참여자 적립 차 수 1차 참여자 500 51 449(89.8%) 32 2차 참여자 1,000 55 945(94.5%) 25 3차 참여자 5,000 288 4,712(94.2%) 19 4차 참여자 4,000 125 3,876(96.9%) 14 5차 참여자 5,000 23 4,977(99.5%) 7 6차 참여자 2,986 2 2,984(99.9%) 2 합계 18,486 544 17,943(97.06%) 주) ( )은 비율 자료:경기복지재단 내부자료(2018).『일하는 청년통장 실적 보고』 <표 Ⅱ-1> 일하는 청년통장 현황 (단위: 명/ 기준 ’18년 12월 말 기준) <그림 Ⅱ-1>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선발 등 주요 추진 일정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해지 인원은 월평균 5.4명 수준 - 청년통장 참여자 선정 이후 적립기간 동안 해지인원 산출 결과, 1차 참여자는 1.6명/월, 2차 참여자 2.2명/월, 3차 참여자 15.1명/월, 4차 참여자 8.9명/월, 5 차 참여자 3.3명/월, 6차 참여자는 1.0명/월로 산출 ・ 월평균 해지 인원은 11월 말 기준 적립기간과 해지 인원(월평균 해지 인원 = 해지 인원 / 적립기간)을 고려하여 산출 ○ 일하는 청년통장 중도 해지 참여자의 사유는 경제적 문제(25.5%), 근로유지불가 (25.1%), 타 시·도 전출(21.0%)의 순으로 나타남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7 - 일하는 청년통장 선정자의 해지 사유는 다양하지만, 일부 해지 사유는 재단 차원에서 사후관리를 통해 해지를 예방할 수 있는 부분이 상당부분 존재 ・ 타 시·도 전출, 군 입대, 장기 해외출국, 타 사업 참여 등의 사유는 자격기준 변동 및 유사 사업 중복혜택 금지 등 제도의 기본 설계 취지에서 벗어나는 불가피한 해지 사유 ・ 경제적 문제, 적립금 미납 등의 사유는 참여자의 사후 관리를 통해 일정 부분 해지를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 ・ 2017년 참여자의 교육, 재무컨설팅 및 관리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재단 차원의 사후 관리를 운영하기 위한 지침을 수립하였으나, 담당인력 부재, 주무부서의 정책 방향 변동 등 현실적 제약으로 운영 미흡 구분 총계 입대 타시도 전출 타사업 참여 장기 해외출국 근로유지 불가 경제적 문제 미납 단순 변심 사망 계 544(100%) 32 (5.9%) 114 (21.0%) 31 (5.7%) 18 (3.3%) 136 (25.0%) 138 (25.4%) 66 (12.1%) 7 (1.3%) 2 (0.4%) 1차 참여자 51 3 12 2 5 8 14 7 - - 2차 참여자 55 8 12 1 2 9 13 8 1 1 3차 참여자 288 18 53 18 8 85 68 33 4 1 4차 참여자 125 2 26 7 3 28 41 18 - - 5차 참여자 23 1 11 1 - 6 2 - 2 - 6차 참여자 2 2 주) ( )은 비율 자료:경기복지재단 내부자료(2018).『일하는 청년통장 실적 보고』 <표 Ⅱ-2> 일하는 청년통장 해지 사유 (단위: 명/ 기준 ’18년 11월 말 기준)

8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2.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측정 체계 및 지표 1)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 평가 방향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에 대한 성과 분석은 부여된 미션 및 목표와 비교하여 사업 운영의 효과성, 효율성을 중심으로 분석 - 사업 분석을 통해 운영에 대한 수정․보완, 참여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 수준, 참여자의 변화 정도 등을 파악함으로써 사업의 질 향상 촉진 - 정책사업의 공공성을 고려하여, 참여자를 대상으로 논리적인 질문을 통해 사업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 운영 단계별 개선 사항을 도출하여 사업의 실효성 강화 ○ 일하는 청년통장은 다양한 평가 모형을 적용할 수 있으나, 현재 진행 중인 사업 이므로 과정평가로 한정하여 분석 - 과정평가는 최초 설정된 사업의 목표대로 진행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으로, 운영과정에서 참여자의 태도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성격이 강함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이 만료되는 시점(3년 경과 시점)에는 사업에 대한 결과 및 영향에 대해서 평가할 수 있는 체계와 지표 개발 과정이 필요 ・ 일하는 청년통장의 기대목적과 달성된 목적이 일치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았던 결과를 포함하여 결과(outcome)와 산출(output) 등을 측정함으로써 사업의 효과 성을 평가할 뿐만 아니라 결과가 달성되는 과정까지 평가함 자료:국가보훈처(2004:35) 자료를 일부 수정 <그림 Ⅱ-2> 일하는 청년통장사업 운영과정과 평가 내용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9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에 대한 분석은 참여자 중심의 성과 측정과 분석 진행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에 대한 성과 분석은 “계획 및 집행 단계”와 “성과 단계”로 구분되며, 계획의 집행 단계는 사업 자체와 주체를 중심으로, 성과 단계는 참여자 를 중심으로 성과 분석을 진행 ・ 계획 및 집행 단계의 평가는 계획 대비 목표 도달, 성과 산출 등 사업 및 운영기관을 중 심으로 효과성과 효율성을 평가하고, 성과 단계는 참여자의 변화 등 참여자를 대상으로 효과성을 평가 ・ 일하는 청년통장의 성과 평가대상은 참여자이며, 성과는 일자리 유지 수준, 통장 적립수 준, 참여자 대비 해지 비율 등 직접적인 성과와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변화 및 개선정도 등 간접적인 성과로 분석 가능 <그림 Ⅱ-3>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평가 단계와 평가 항목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분석은 성과 단계의 효과성을 중심으로 분석 - 효과성은 사업 시행에 기대되는 결과를 도출하고 있는가를 점검하는 관점으로 사 업의 성과 도출 외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 변화, 일자리 유지, 빈곤 수준 등 직접 적인 변화에 대한 측정이 가능 ・ 일하는 청년통장에 대한 과정평가 측면에서 적용되는 단계는 성과 단계이며, 적용해야 할 평가관점은 효과성을 중심으로 성과 분석을 진행 - 사업에 대한 성과 분석의 관점은 필요성, 효율성, 효과성, 시의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사업의 단계와 연계하여 분석의 관점이 다소 상이할 수 있음

10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필요성은 사업 목표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점검하는 관점이고, 효율성은 계획 입안, 사업의 행정적 집행 절차 및 배분을 점검하는 관점임 ・ 효과성은 사업 시행에 기대되는 결과를 얻고 있는가에 대한 관점이고, 시의성은 대상 사업이 시의적으로 적절한가를 보는 관점임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사업의 진행 중인 단계이고, 설정된 목표에 도달하고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는 관점이기 때문에 효과성 관점에 가까움 평가주체 평가단계 평가 기준 필요성 효율성 효과성 시의성 전문가 평가 계획/집행 단계 계획 ◎ ○ ○ 집행 ◎ 성과 단계 ○ ○ ◎ ○ 수요자 평가 ○ ◎ ◎ ○ 주) ◎:매우 중요, ○:중요, △:보통 자료:한국노동연구원(2005:133) <표 Ⅱ-3> 평가주체, 평가단계 및 평가기준의 중요도 (2)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분석 주요 지표 ○ 일하는 청년통장 분석 지표는 사업 목적, 참여자의 참여 시기별 비교, 계량화가 가능한 지표로 구성 -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지표는 경기복지재단에서 2017년 관련 연구 수행을 통해 성과 측정 체계 및 지표 개발 ・ 2016년 5월 1차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참여자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 적용 이후 수정․보완을 통해 2017년 현재와 같은 측정 항목 및 지표 확정 ・ 최초 측정지표 및 문항은 Beverly et al(2008)의 자산형성사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중심으로 6개 영역 12분야 120문항의 설문으로 구성 ・ 이후 유사성이 높거나 질문의 간극이 큰 문항에 대해서는 영역별 설문 문항 조정을 통해 2017년 최종 83문항으로 설문을 구성 ・ 설문 문항 조정 시 사전조사와 사후조사 비교 분석이 가능하도록 지표의 기조는 유지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선행연구에서 활용한 최종 지표 및 설문 문항을 활용함으로 써, 참여자의 태도 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및 집단 간 비교가 가능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11 ○ 일하는 청년통장의 성과 분석 지표는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구성 - 직접적 효과는 자산형성 변화, 일자리 유지, 만기적립 비율 및 중도해지 비율 등으로 구성 ・ 자산형성과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참여자의 소득, 저축액, 부채상환 등 재무구조 등 참 여자의 경제적 수준, 현재 일자리 유지 비율, 이직 비율 등, 통장 유지 수준 등을 분석 - 간접적 효과는 합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 변화, 금전 성향에 대한 인식 변화, 심리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 등 심리적 변화, 경제적 자립의지 등으로 설정 ・ 사업 참여를 통해 이수하게 되는 교육, 사후관리 상담 및 컨설팅 등을 통해 참여자의 합 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 변화, 금전 성향에 대한 인식 변화 정도를 분석 ・ 참여자의 행복 수준, 자아존중감 등 심리적 지지에 대한 변화 정도와 경제적 요인으로 인하여 받는 스트레스 수준 등을 분석 <그림 Ⅱ-4>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 목표와 지표의 관계 - 각 영역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 문항의 척도는 4점 척도로 구성하여, 중앙값 발생을 최소화하여 긍정 효과와 부정 효과에 대한 명확성 강화 ・ 4점 척도의 경우, 응답자가 긍정 효과와 부정 효과를 명확하게 선택함으로써 해당 설문 항목에 대한 명확한 의견 표명을 위해 활용(Song et al., 2014)

1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 분석을 위한 지표 구성 및 설문 문항 구성은 아래 와 같음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성과 분석 지표 외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에 대한 만족도, 사업 참여 이후 이직의사 감소 등 사업에 대한 만족도 및 유용성 등을 측정 - 참여자의 자산형성 및 변화 수준 측정 ・ 자산형성과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소득, 저축액, 부채상환액 등 참여자의 재무수준을 분석 - 참여자의 근로활동 및 일자리 유지 수준 측정 ・ 참여자의 직업변경, 실업 경험 여부 등 일자리 유지 및 근로단절 기간 등을 분석 - 대상사의 빈곤 전락 가능 수준 측정 ・ 빈곤 전락의 가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부채 총액, 소득 대비 부채 상환비율 등을 분석 - 참여자의 재무관리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합리적 소비 성향, 저축에 대한 인식 변 화를 분석 ・ 재무관리 역량은 참여자들의 재무관리, 저축‧투자 등 소비와 관련하여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살펴보기 위한 측정 지표로 총 7개 항목으로 수준을 측정 구분 측정 수준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 4점 척도로 측정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돈(약 100만원)이 준비되어 있다.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다. 나의 자산현황을 잘 알고 있다. 향후 5-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다. <표 Ⅱ-4> 참여자의 재무관리 수준 측정 항목 - 참여자의 경제적 상황에 대한 인식은 현재 상황과 교육, 상담 및 컨설팅을 통해 변 화된 수준의 측정을 통해 참여자의 변화 정도를 성과로 측정 ・ 정책 혜택을 받기 위한 진입 외 교육, 컨설팅 등의 효과가 실제 참여자의 태도 변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한 측정 지표로 7개의 항목을 구성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13 구분 측정 수준 오늘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 4점 척도로 측정 나의 재정 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적 긴장감이 크다.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았다. <표 Ⅱ-5> 참여자의 경제적 여건에 인식 변화 측정 항목 - 참여자의 금전에 대한 믿음과 소비 행동 등에 대한 인식 변화 수준을 분석 ・ 금전 성향은 참여자의 금전에 대한 믿음과 행동의 기본적 성향이 교육, 상담 및 컨설팅 등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고 개선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측정 지표임 구분 측정 수준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일을 하거나 가격할인을 하면 구매한다. 4점 척도로 측정 일에 대한 만족도보다는 연봉을 더 중시한다.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자 내가 원치 않거나 불필요한 물건들을 구매하기도 한다.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은 필수품에 돈을 쓰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낀다. 내가 물건을 구입할 때마다 판매자가 나로 인하여 이익을 얻는 다는 것을 ‘알고’있다. 나 자신에게는 인색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바보스러울 정도로 돈을 쓴다.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는 그걸 살만한 여유가 없어’라고 말한다.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니에 돈이 얼마 있는지를 알고 있다. 지출 규모에 상관없이, 지출 결정을 하는 것은 어렵다. 물건을 살 때 늘 흥정하거나 깎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들에게 신세지는 것이 싫어 식당이나 영화관 등에서 항상 내 몫 이상의 것을 지불하려고 한다. 선택이 가능하다면, 월급(매월임금지급)보다 주급(매주임금지급)을 선호한다. 신용카드보다 현금사용을 선호한다. 은행계좌에 돈이 얼마 있는지 늘 알고 있다. 지난달 수입중 덜 쓰고 남은 돈이 있다면, 그것을 모두 써야 직성이 풀린다. 경제적 측면에서 관대해짐으로써 친구들로부터 우정을 ‘산다’. 나 보다 돈이 많은 사람들에게 열등감을 느낀다.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들을 통제하거나 위협하기 위해 돈을 사용한다. <표 Ⅱ-6> 참여자의 금전 성향 측정 항목

14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구분 측정 수준 나 보다 돈이 없는 사람들(능력이나 성취와 상관없이)에 대해 우월감을 느낀다. 4점 척도로 측정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내 개인적인 재정 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하다. 어떤 것을 구매하든 나의 첫 번째 고려사항은 가격이다.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무례하다고 생각한다. 만일 다른 사람들보다 물건을 더 비싸게 샀다면, 나 자신에게 실망할 것 같다. 나는 종종 돈을 경멸하며, 돈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멸시한다. 경제적 위기에 대한 대비차원에서 저축을 선호한다. 내가 저축한 돈은 결코 충분하지 않다.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것이다. 나는 돈이 모든 악의 근원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돈을 주고 산 것 만 가질 수 있다고 믿는다.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돈에 대한 나의 태도는 우리 부모와 아주 유사하다. 개인의 소득수준은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비례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금(전화, 수도세, 전기세 등)을 지불한다. 돈을 버는데 사용되지 않는 시간은 낭비된 시간이라고 믿는다. 계산서의 금액이 과도하게 부과되었다는 생각이 들어도 종업원과 언쟁하기 싫어 청구된 대로 다 지급한다. 우울할 때는 종종 나 자신을 위해 돈을 쓴다. 돈을 빌려 간 사람에게 그것을 갚으라고 이야기하기 망설여진다. 정말 어쩔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은행을 제외한 다른 사람들에게 돈을 빌리고 싶지 않다. 나는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주기를 선호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유복하다고 생각한다. 돈을 많이 벌수 있다면, 불법적인 것을 제외한 어떤 일이든 할 것이다. 음식이나 꽃보다는 재산이 될 수 있는 것들에 돈을 쓰는 것을 좋아한다. 나의 경제적 성취(임금, 부, 투자 등)에 자부심을 느끼며, 내 친구들에게 이를 알려준다.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난하다고 생각한다.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 상태를 알리지 않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믿는다. 배우자 또는 애인, 친구, 가족 등과 돈 문제로 종종 싸운다. 개인의 봉급이 이들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지표라고 믿는다. 내 직업을 고려할 때 나의 현재 수입은 내가 받아야할 적당한 수준이다. 내 친구들 대부분은 내가 가진 것보다 더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15 - 심리적지지 상황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참여자의 현재 행복 수준, 자아존중감 수준 을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긍정적 효과 중 하나는 경제적‧심리적 안정감, 삶에 대한 만족도 등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관련 설문 문항을 통해 분석 필요 구분 측정 수준 귀하는 얼마나 행복하십니까? 1:매우 불행, 10:매우 행복 <표 Ⅱ-7> 참여자의 행복 수준 측정 항목 - 자아존중감은 정책행위와 저축 과정에서의 자기통제, 성취감 등을 측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설문을 구성 구분 측정 수준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들만큼은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나는 나에게 좋은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다.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나 자신이 만족스럽다. 나는 나 자신을 보다 더 존중할 수 있으면 하고 생각한다. 즉, 나는 평소 나 자신에 대한 존중감이 낮은 편이다.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표 Ⅱ-8> 참여자의 자아존중감 측정 항목 구분 측정 수준 내 재정 상태에 대한 나의 통제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4점 척도로 측정 다른 사람들 보다 내가 돈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한다고 믿는다. 내 재정 상태에 대해 아주 많이 걱정한다. 돈이 생기면 무엇을 할지에 대해 자주 상상한다. 나는 거지나 술 취한 사람들이 돈을 요구할 때 돈을 거의 주지 않는다. 나는 돈을 저축하는 내 능력이 자랑스럽다. 우리나라에서 돈은 사람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다.

16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3.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1) 개요 □ 성과 분석의 대상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대상은 15,500명이고, 사전․사후 분석대상은 2,342명임 - 2018년 11월 말 일하는 청년통장 선정자는 18,486명이나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설문조사에 모두 응답한 대상으로 한정하여 진행 ・ 사전조사는 사업 선정 이후 약정식 과정에서 설문을 응답하도록 되어있고, 사후조사는 최소 6개월 단위로 정기적으로 시행 ・ 사후조사는 선정시점에 따라 진행 경과의 차이가 있으며, 6차 참여자의 경우 사후 조사의 시점이 도래하지 않아 차기년도(2019년)에 진행 예정 구분 사전조사 1차 사후조사 2차 사후조사 3차 사후조사 4차 사후조사 500명(1차 참여자) ● ● ● ○ 1,000명(2차 참여자) ● ● ○ 5,000명(3차 참여자) ● ○ 4,000명(4차 참여자) ● ○ 5,000명(5차 참여자) ● ○ 2,986명(6차 참여자) ● △ 주) ●:기 시행, ○: 금번 시행(본 연구조사에서 시행), △: ’19년 시행(차기 연구에서 시행) <표 Ⅱ-9> 참여자별 조사 현황 -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대상은 2,492명으로 현재 유지 참여자의 16.6%에 불과 ・ 사후조사 대상의 급격한 감소로 인하여 통계적 유의성과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려움 ・ 사전․사후 분석의 경우, 동일 참여자의 반복적인 설문 참여가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참여자에 대한 관리가 중요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17 구분 사전조사 1차 사후조사 2차 사후조사 3차 사후조사 4차 사후조사 1차: 500명 492명(2016.5) 326명 (2016.12) 132명 (2017.11) 33명 (2018.10) 예정 2차: 1,000명 995명(2016.11) 329명 (2017.11) 90명 (2018.10) 예정 예정 3차: 5,000명 1,690명(2017.10) 560명 (2018.10) 예정 예정 예정 4차: 4,000명 3,168명(2017.11) 659명 (2018.10) 예정 예정 예정 5차: 5,000명 4,991명(2018.6) 1,000명 (2018.10) 예정 예정 예정 6차: 2,986명 2,986명(2018.11) 예정 <표 Ⅱ-10> 일하는 청년통장 조사 대상 현황 □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 자료수집 - 사업 참여자에 대한 조사는 ‘청년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 ・ 온라인 시스템이 구축되기 전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 과는 DB로 사전 구축 ・ 온라인 플랫폼에 가입이 안 된 1차 참여자(500명)와 2차 참여자(1,000명)는 이번 사후조 사 전에 전 참여자들을 온라인 플랫폼에 등록 ○ 조사 시기 - 이번 사후조사는 2018년 10월 16일 ~ 2018년 11월 5일까지 약 3주 정도의 기간이 소요 ・ 관련 설문에 대한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 주 2회 문자 발송 등을 통해 설문 참여 유도 ○ 분석방법 - 사전사후 비교조사는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signed-rank test)을 활용 하여 분석하였음 ・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은 본 연구와 같이 짝지어진(paired) 동일한 집단의 차이를 규명 하는데 유용 ・ 사전조사 및 사후조사는 모든 응답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비교 조사는 사전과 사후조사에 모두 참여한 참여자만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함

18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분석의 주요 내용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재무구조 - 월평균 소득(세후), 월평균 저축액, 월평균 부채상환액, 총 저축액, 총 부채액, 소 득대비 저축비율, 소득대비 부채 상환율 등 재무 분석 ○ 참여자의 사회적・심리적・경제적 변화 - 참여자의 재무 관리,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 금전 성향, 행복수준, 자존감 등 사회 적・경제적・환경적 변화에 대한 변화 수준 진단 ○ 참여자의 근로 활동유지 및 정책 만족도 측정 - 참여자의 직업변경 및 실업 경험 등 일자리유지와 청년통장에 대한 만족도, 참여자 선정 이후 이직 감소 등 개인 변화 수준 진단 2)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 분석 ○ 1차 참여자의 변화 재무여건과 경제적 스트레스는 긍정적으로 개선된 반면, 재무관리, 자아존중 등의 측면은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분석 - 1차 참여자의 사전조사(500명 응답)와 3차 사후조사(33명 응답) 간 응답자의 간 극이 커 참여자의 변화는 객관적인 통계적 의미를 찾기보다는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수준에서 해석하는 것이 적절 □ 1차 참여자 재무상태 변화 ○ 1차 참여자의 소득과 저축, 소득 대비 저축 비율, 소득 대비 부채 상환비율 등 재무 상태는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분석 - 월 평균 소득은 사전조사 대비 36만원, 월 평균 저축액은 사전조사 대비 13.4만원 증가 - 소득대비 저축 비율은 사전조사 대비 4.5% 증가한 반면, 소득 대비 부채상환 비율은 사전조사 대비 2.0% 감소한 것으로 분석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19 구분 사전/사후 빈도 평균 T값 P값 사후-사전 본인 월 평균 소득(세후) 사전 33 146.8 5.858 .000 36.0 사후 33 182.8 본인 월 평균 저축 사전 32 23.0 2.789 .009 13.4 사후 32 36.4 본인 총 저축액 사전 30 169.7 1.335 .192 201.5 사후 30 371.2 본인 월 평균 부채상환액 사전 30 31.5 .655 .518 10.1 사후 30 41.6 본인 총 부채액 사전 31 1166.3 .563 .577 314.5 사후 31 1480.8 소득 대비 저축 비율 사전 32 16.4 2.355 0.25 5.5 사후 32 21.9 소득 대비 부채상환 비율a 사전 22 38.3 0.085 0.933 -2.0 사후 22 36.3 a:총 부채가 0원인 청년은 제외한 비율 <표 Ⅱ-11>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재무 변화 □ 1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1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은 5개 항목에서 긍정적으로 변화 - 금전적 스트레스, 재정 상태에 대한 만족도, 금전부족으로 인한 심리적 긴장감, 공과금 및 대출금 상환에 대한 어려움, 생활비에 대한 걱정 정도는 사전조사 대비 긍정적으로 변화 - 다만, 금전적으로 인한 가정 내 갈등, 금전적인 문제로 인한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는 통계적인 유의미성이 도출되지 않음

20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 음의 순위 19 11.74 223.00 -3.400 .001양의 순위 3 10.00 30.00 동률 11     나의 재정 상태(소득, 지출, 대출 등)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음의 순위 16 11.78 188.50 -2.683 .007양의 순위 5 8.50 42.50 동률 12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 음의 순위 15 10.30 154.50 -2.482 .013양의 순위 4 8.88 35.50 동률 14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 적 긴장감이 크다. 음의 순위 18 12.06 217.00 -3.112 .002양의 순위 4 9.00 36.00 동률 11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 음의 순위 12 9.13 109.50 -1.651 .099양의 순위 5 8.70 43.50 동률 16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았다. 음의 순위 15 11.17 167.50 -0.527 .598양의 순위 9 14.72 132.50 동률 9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 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 음의 순위 18 10.50 189.00 -2.646 .008양의 순위 3 14.00 42.00 동률 12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예를 들면,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라는 항목에 대해서 음의 순위 총합은 223, 양의 순위 총합 은 3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α<p(0.05))이기 때문에 사전・사후집단은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은 음의 방향임. 설문 항목 자체가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사후집단이 사전 집단에 비해 경제적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음 <표 Ⅱ-12>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1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 1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은 5개 항목에서 긍정적으로 변화 - 세부 영역별로는 권력 성향 1개 항목, 안전 성향 1개 항목, 보유 성향 1개 항목, 사 적 성향 2개 항목에서 긍정적으로 변화 ・ 권력 성향 관련 항목에 대해서는 돈에 대한 믿음 정도가 사전조사 대비 긍정적으로 변 화, 안전 성향 관련 항목에 대해서는 신속한 공과금 납부 관련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21 ・ 보유 성향 관련 항목에 대해서는 지출결정에 대한 어려움 정도가 사전 대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사적 성향에서는 소득에 대한 질문의 무례함, 재정 상태에 대한 질문의 불 쾌감이 사전 대비 긍정적으로 변화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권력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음의 순위 10 10.5 105 0.000 1.000양의 순위 10 10.5 105 동률 13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 는 거의 유일한 것이다. 음의 순위 12 10.33 124 -0.778 .437 양의 순위 8 10.75 86 동률 13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음의 순위 13 10.92 142 -2.01 .044 양의 순위 6 8 48 동률 14 안전 은행 계좌에 돈이 얼마 있 는지 늘 알고 있다. 음의 순위 12 10 120 -1.641 .101 양의 순위 6 8.5 51 동률 15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니 에 돈이 얼마 있는지를 알고 있다. 음의 순위 12 10 120 -1.576 .115 양의 순위 6 8.5 51 동률 15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 금(전화, 수도세, 전기세 등)을 지불한다. 음의 순위 11 8.36 92 -1.968 .049 양의 순위 4 7 28 동률 18 만족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유복하다고 생각 한다. 음의 순위 9 8.39 75.5 -0.051 .960 양의 순위 8 9.69 77.5 동률 16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 음의 순위 6 8 48 -0.775 .439 양의 순위 9 8 72 동률 18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 난하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13 11.12 144.5 -1.091 .275 양의 순위 8 10.81 86.5 동률 12 <표 Ⅱ-13>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2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보유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 에 ‘나는 그걸 살 만한 여유가 없어’라고 말한 다. 음의 순위 10 8.7 87 -0.525 .599 양의 순위 7 9.43 66 동률 16 지출규모에 상관없이, 지 출결정을 하는 것은 어 렵다. 음의 순위 15 12.43 186.5 -2.086 .037 양의 순위 7 9.5 66.5 동률 11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 은 필수품에 돈을 쓰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 낀다. 음의 순위 10 10.75 107.5 -1.535 .125 양의 순위 7 6.5 45.5 동률 16 소비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자 내가 원치 않거 나 불필요한 물건들을 구 매하기도 한다. 음의 순위 6 6.5 39 -0.915 .360 양의 순위 8 8.25 66 동률 19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일을 하거나 가격할인 을 하면 구매한다. 음의 순위 8 8.5 68 0.000 1.000양의 순위 8 8.5 68 동률 17 나 자신에게는 인색하지 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바보스러울 정도로 돈을 쓴다. 음의 순위 10 7.7 77 -1.698 .090 양의 순위 4 7 28 동률 19 사적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 문하는 것은 무례하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14 10.36 145 -2.202 .028 양의 순위 5 9 45 동률 14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 상태를 알리 지 않는 것이 현명한 행 동이라고 믿는다. 음의 순위 15 10.87 163 -1.728 .084 양의 순위 6 11.33 68 동률 12 내 개인적인 재정 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하다. 음의 순위 18 12.5 225 -2.306 .021 양의 순위 6 12.5 75 동률 8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표 Ⅱ-13>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계속)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23 □ 1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1차 참여자의 자존감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문항목은 도출되지 않음 - 자존감 변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10개 설문 항목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항목은 도출되지 않았으나, ‘나 자신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타인과 비교하여 볼 때 나 자신에 대한 가치’ 등의 항목은 향후 긍정적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만큼 은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 한다. 음의 순위 5 8 40 -1.291 .197 양의 순위 10 8 80 동률 18 나는 나에게 좋은 점이 많이 있다 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8 10.13 81 -0.232 .817 양의 순위 9 8 72 동률 16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 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음의 순위 13 12.15 158 -0.646 .518 양의 순위 10 11.8 118 동률 10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음의 순위 7 11.07 77.5 -0.517 .605 양의 순위 9 6.5 58.5 동률 17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음의 순위 11 7.45 82 -0.755 .450 양의 순위 5 10.8 54 동률 17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 로 생각하고 있다. 음의 순위 7 12.36 86.5 -0.758 .449 양의 순위 13 9.5 123.5 동률 13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나 자신 이 만족스럽다. 음의 순위 6 14.17 85 -1.484 .138 양의 순위 16 10.5 168 동률 11 나는 나 자신을 보다 더 존중할 수 있으면 하고 생각한다. 즉, 나 는 평소 나 자신에 대한 존중감이 낮은 편이다. 음의 순위 12 9.79 117.5 -0.991 .322 양의 순위 7 10.36 72.5 동률 14 <표 Ⅱ-14>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24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정책 만족, 미래희망 증대, 이직의사 감소 등 효과 ○ 1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 미래희망 증대, 이직의사 감소 등의 정책 효과는 평균 81.6점 수준으로 분석 - 정책 만족 정도는 88.0점, 미래희망 증대 83.3점, 이직의사 감소 73.5점으로 분석 ○ 1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는 1차 사후조사 89.8점, 2차 사후조사 90.5점, 3차 사 후조사 88.0점, 평균 89.4점 수준으로 분석 - 정책 만족도는 3차 사후조사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는 전회 조사 대비 2.8%(2.5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0(0.0) 2 (0.6) 125 (39.7) 188 (59.7) 3.59(89.8점) 2차 사후조사 1(0.8) 2 (1.5) 43 (32.6) 86 (65.2) 3.62(90.5점) 3차 사후조사 0(0.0) 1 (3.0) 15 (45.5) 17 (51.5) 3.52(88.0점) <표 Ⅱ-15>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1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는 1차 사후조사 80.3점, 2차 사후조사 83.3점, 3차 사후조사 83.3점, 평균 82.3점으로 분석 -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는 2차 사후조사 이후 3차 사후조사에서도 점수가 동일한 것으로 분석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 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음의 순위 11 7.45 82 -0.270 .787 양의 순위 6 11.83 71 동률 16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12 7.92 95 -0.430 .667 양의 순위 6 12.67 76 동률 15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25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4(1.3) 31 (9.8) 174 (55.2) 106 (33.7) 3.21(80.3점) 2차 사후조사 0(0.0) 9 (6.8) 71 (53.8) 52 (39.4) 3.33(83.3점) 3차 사후조사 0(0.0) 1 (3.0) 20 (60.6) 12 (36.4) 3.33(83.3점) <표 Ⅱ-16>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 1차 참여자의 이직의사 감소는 1차 사후조사 65.3점, 2차 사후조사 69.3점, 3차 사후조사 73.5점, 평균 69.4점으로 분석 - 이직의사 감소는 1차 사후조사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3차 사후조사의 점수는 전회 조사 대비 6.1%(4.2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23(7.3) 130 (41.4) 109 (34.7) 52 (16.6) 2.61(65.3점) 2차 사후조사 11(8.3) 41 (31.1) 47 (35.6) 33 (25.0) 2.77(69.3점) 3차 사후조사 0(0.0) 8 (24.2) 19 (57.6) 6 (18.2) 2.94(73.5점) <표 Ⅱ-17> 일하는 청년통장 1차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3)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 분석 ○ 2차 참여자의 재무여건과 경제적 스트레스는 긍정적으로 개선된 반면, 재무 역량변화, 참여자의 자아존중 등의 측면은 부정적으로 변화 - 2차 참여자의 사전조사(1,000명)와 2차 사후조사(87명) 간 응답 간극이 커 참여자 변화는 객관적인 통계적 의미를 찾기보다는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에서 해 석하는 것이 적절

26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2차 참여자의 재무상태 변화 ○ 2차 참여자는 소득과 저축은 개선되었으나, 월 소득 대비 저축 비율, 월 부채 상환 비율 등은 부정적으로 변화 - 월 평균 소득은 사전조사 대비 43.5만원, 월 평균 저축액은 사전조사 대비 4.5만원 증가 - 소득대비 저축 비율은 사전조사 대비 저축비율은 0.6%p 감소, 소득대비 월 부채 상환비율은 39.6% 증가하는 등 재무상태의 실질적 내용은 부정적으로 변화 ・ 본인 총 저축액이 401.9만원에서 361.5만원으로 40.4만원 줄고, 본인 총 부채액이 1,421.2만원에서 1,969.9만원으로 크게 늘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구분 전/ 후 빈도 평균 T값 P값 사후-사전 본인 월 평균 소득(세후) 사전 87 151.2 4.163 .000 43.5 사후 87 194.8 본인 월 평균 저축 사전 82 28.1 1.118 .267 4.5 사후 82 32.6 본인 총 저축액 사전 78 401.9 .356 -.723 -40.4 사후 78 361.5 본인 월 평균 부채상환액 사전 87 18.1 2.357 .021 29.4 사후 87 47.5 본인 총 부채액 사전 87 1421.2 1.440 .154 548.7 사후 87 1969.9 소득 대비 저축 비율 사전 82 18.6 .672 -.504 -1.4 사후 82 17.2 소득 대비 부채상환 비율* 사전 55 17.9 1.107 .273 39.6 사후 55 57.5 * 주 ) 총 부채가 0원인 청년은 제외한 비율 <표 Ⅱ-18>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재무상태 변화 □ 2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2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은 6개 항목에서 긍정적으로 변화 - 금전적 스트레스, 재정 상태에 대한 만족도, 생활비에 대한 걱정 정도, 금전 부족으 로 인한 심리적 긴장감, 금전문제로 인한 갈등, 공과금 및 대출금 상환에 대한 어 려움 등은 청년통장 사업 참여 이후 긍정적으로 변화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27 - 다만, 금전적 문제로 인한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는 통계적인 유의미성이 도출되지 않음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 음의 순위 43 32.73 1407.50 -3.160 .002 양의 순위 19 28.71 545.50 동률 28     나의 재정 상태(소득, 지출, 대출 등)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음의 순위 43 30.88 1328.00 -3.574 .000 양의 순위 16 27.63 442.00 동률 31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 음의 순위 45 31.70 1426.50 -3.656 .000 양의 순위 16 29.03 464.50 동률 28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 적 긴장감이 크다. 음의 순위 46 35.40 1628.50 -3.504 .000 양의 순위 20 29.13 582.50 동률 24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 음의 순위 45 33.72 1517.50 -3.020 .003 양의 순위 20 31.38 627.50 동률 25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았다. 음의 순위 34 28.35 964.00 -1.437 .151 양의 순위 22 28.73 632.00 동률 34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 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 음의 순위 41 31.99 1311.50 -2.471 .013 양의 순위 21 30.55 641.50 동률 28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예를 들면,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라는 항목에 대해서 음의 순위 총합은 1408, 양의 순위 총합 은 54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α<p(0.05))이기 때문에 사전・사후집단은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은 음 의 방향임. 설문 항목 자체가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사후집단이 사전집단에 비해 경제적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음 <표 Ⅱ-19>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2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 2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은 3개 항목에서 긍정적으로 변화 - 세부 영역별로 살펴보면, 권력 성향 1개 항목, 안전 성향 2개 항목으로 도출 ・ 권력 성향 관련 항목에 대해서는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라는

28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항목이 사전조사 대비 사후조사에서 긍정적으로 변화 ・ 안전 성향 관련 항목에 대해서는 “은행 계좌에 돈이 얼마나 들어있는지 늘 알고 있다.”, “내 지갑이나 주머니에 돈이 얼마 있는지 알고 있다.” 항목이 긍정적으로 변화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권 력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음의 순위 14 25.04 350.5 -2.436 .015양의 순위 33 23.56 777.5 동률 43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것이다. 음의 순위 22 27 594 -.203 .839양의 순위 27 23.37 631 동률 41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음의 순위 29 29.57 857.5 -.788 .431양의 순위 26 26.25 682.5 동률 35 안 전 은행 계좌에 돈이 얼마 있는 지 늘 알고 있다. 음의 순위 26 20.44 531.5 -2.504 .012양의 순위 12 17.46 209.5 동률 52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니에 돈이 얼마 있는지를 알고 있 다. 음의 순위 26 22.54 586 -2.156 .031양의 순위 15 18.33 275 동률 49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금 (전화, 수도세, 전기세 등)을 지불한다. 음의 순위 28 22.11 619 -1.917 .055양의 순위 15 21.8 327 동률 47 만 족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 가 더 유복하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23 20.91 481 -.411 .681양의 순위 19 22.21 422 동률 48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 음의 순위 19 13.71 260.5 -1.436 .151양의 순위 9 16.17 145.5 동률 60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난 하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22 18.23 401 -.478 .633양의 순위 16 21.25 340 동률 50 <표 Ⅱ-20>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29 □ 2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2차 참여자의 2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정적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 유의미도와 상관없이 모든 설문 항목의 결과가 부정적으로 분석 - 2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와 관련하여 “나는 적어도 다른 사람만큼 가치가 있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의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보 유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는 그걸 살 만한 여유가 없어’라고 말한다. 음의 순위 29 26.07 756 -1.542 .123양의 순위 20 23.45 469 동률 41 지출규모에 상관없이, 지출 결정을 하는 것은 어렵다. 음의 순위 28 24.11 675 -1.592 .111양의 순위 18 22.56 406 동률 44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은 필 수품에 돈을 쓰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낀다. 음의 순위 24 24.75 594 -.065 .948양의 순위 24 24.25 582 동률 42 소 비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 기고자 내가 원치 않거나 불 필요한 물건들을 구매하기 도 한다. 음의 순위 21 23.74 498.5 -1.003 .316양의 순위 27 25.09 677.5 동률 42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 일을 하거나 가격할인을 하 면 구매한다. 음의 순위 27 23.33 630 -1.384 .166양의 순위 18 22.5 405 동률 45 나 자신에게는 인색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바보스 러울 정도로 돈을 쓴다. 음의 순위 29 24.1 699 -1.902 .057양의 순위 17 22.47 382 동률 44 사 적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무례하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32 27.08 866.5 -1.173 .241양의 순위 22 28.11 618.5 동률 36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 세한 재정 상태를 알리지 않 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믿는다. 음의 순위 27 20.7 559 -1.782 .075양의 순위 14 21.57 302 동률 47 내 개인적인 재정 상태를 질 문 받으면 불편하다. 음의 순위 27 27.96 755 -.114 .909양의 순위 27 27.04 730 동률 36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30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항목은 부정적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 ・ 이 외에 항목의 경우에도 통계적인 유의미성(p<0.05)을 찾아보기는 어렵지만, 전 항목에서 사전조사 대비 사후조사의 결과가 부정적으로 분석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만큼 은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 한다. 음의 순위 27 21.11 570 -2.74 .006양의 순위 12 17.5 210 동률 49 나는 나에게 좋은 점이 많이 있다 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25 22.02 550.5 -1.366 .172양의 순위 17 20.74 352.5 동률 46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 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음의 순위 18 19.92 358.5 -1.232 .218양의 순위 24 22.69 544.5 동률 46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음의 순위 26 21 546 -2.395 .017양의 순위 13 18 234 동률 51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음의 순위 21 23.29 489 -1.102 .271양의 순위 27 25.44 687 동률 42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 로 생각하고 있다. 음의 순위 26 25.42 661 -1.446 .148양의 순위 20 21 420 동률 44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나 자신 이 만족스럽다. 음의 순위 25 21.16 529 -1.366 .172양의 순위 16 20.75 332 동률 49 나는 나 자신을 보다 더 존중할 수 있으면 하고 생각한다. 즉, 나 는 평소 나 자신에 대한 존중감이 낮은 편이다. 음의 순위 22 25.84 568.5 -.216 .829양의 순위 26 23.37 607.5 동률 42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 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음의 순위 26 26.06 677.5 -.365 .715양의 순위 27 27.91 753.5 동률 36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23 22.02 506.5 -.664 .506양의 순위 24 25.9 621.5 동률 42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표 Ⅱ-21>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31 □ 2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변화 ○ 2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은 2개 항목은 정책적 개입을 통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 -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항목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재무 관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 - “매달 주거유지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돈이 준비되어 있다.” 항목은 변화의 방향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어, 정책의 기 대효과에 부응하는 것으로 나타남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매달 주거유지(예:월세, 주택담 보대출 상환 등)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 음의 순위 23 29.28 673.50 -1.730 .084양의 순위 36 30.46 1096.50 동률 30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돈(예:100만 원)이 준비되어 있다. 음의 순위 27 28.39 766.50 -1.136 .256양의 순위 33 32.23 1063.50 동률 29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 음의 순위 36 27.72 998.00 -2.618 .009양의 순위 17 25.47 433.00 동률 36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음의 순위 38 30.18 1147.00 -2.391 .017양의 순위 20 28.20 564.00 동률 31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 다. 음의 순위 34 28.90 982.50 -1.888 .059양의 순위 21 26.55 557.50 동률 34     나의 자산현황(자산-부채)을 잘 알고 있다. 음의 순위 32 27.50 880.00 -1.236 .216양의 순위 22 27.50 605.00 동률 35     향후 5년∼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준 비하고 있다. 음의 순위 30 26.33 790.00 -.976 .329양의 순위 22 26.73 588.00 동률 36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표 Ⅱ-22>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변화

3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정책 만족, 미래희망 증대, 이직의사 감소 등 효과 ○ 2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 미래희망 증대, 이직의사 감소 등 정책 효과는 평균 79.2점으로 분석 - 정책 만족도는 91.6점, 미래희망 증대 79.3점, 이직의사 감소 66.8점으로 분석 ○ 2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는 1차 사후조사 92.5점, 2차 사후조사 91.6점, 평균 92.1점으로 분석 - 2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2차 사후조사 점수는 1차 사후조사 대비 1%(0.9점) 감소한 것으로 분석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0.3% 1.3% 29.8% 68.6% 37(92.5점) 2차 사후조사 1(1.1) 3 (3.3) 21 (23.3) 65 (72.2) 3.67(91.6점) <표 Ⅱ-23>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2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는 1차 사후조사 83.1점, 2차 사후조사 79.3점, 평균 81.2점으로 분석 -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의 2차 사후조사 점수는 1차 사후조사 대비 4.6% 감소(3.8점) 한 것으로 분석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0.8% 5.1% 58.7% 35.5% 3.3(83.1점) 2차 사후조사 6(6.7) 7 (7.8) 43 (47.8) 34 (37.8) 3.17(79.3점) <표 Ⅱ-24>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 ○ 2차 참여자의 이직의사 감소는 1차 사후조사 68.5점, 2차 사후조사 66.8점, 평 균 67.7점으로 분석 - 이직의사 감소의 2차 사후조사 결과는 1차 사후조사 대비 2.5%(1.7점)감소한 것 으로 분석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33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6.9% 34.6% 36.2% 22.3% 2.74(68.5점) 2차 사후조사 9(10.0) 31 (34.4) 31 (34.4) 19 (21.1) 2.67(66.8점) <표 Ⅱ-25> 일하는 청년통장 2차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4)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 분석 ○ 3차 참여자는 경제적 스트레스를 개선된 반면, 재무역량, 금전 성향, 자아존중 등의 측면은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분석 - 3차 참여자의 사전조사(1,690명)와 1차 사후조사(550명) 간 응답 간극이 커 참 여자의 변화 정도에 대해 객관적인 통계적 의미를 찾기보다는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에 해석하는 것이 적절 □ 3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3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은 사후조사의 6개 설문 문항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분석 - 금전적 스트레스, 재정 상태에 대한 만족도, 생활비에 대한 걱정, 비상금에 대한 심리적 긴장감, 금전으로 인한 가족 내 갈등, 공과금 및 대출금 상환에 대한 어려 움에 대한 스트레스는 감소한 것으로 분석 ・ 경제적 스트레스가 청년통장 사업 참여 이후 시행된 사후조사에서 사전조사 대비 감소한 것은 정책적인 기대효과에 부응하는 것으로 해석 가능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 음의 순위 162 114.74 18588.50 -4.517 .000 양의 순위 75 128.19 9614.50 동률 313     <표 Ⅱ-26>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34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3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 3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은 11개 항목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남 - 세부 영역별로는 권력 성향 1문항, 안전 성향 3개 항목, 만족 성향 1개 문항, 보유 성향 3개 항목, 소비 성향 1개 문항에서 사전조사 대비 사후조사에서 변화가 발생 ・ 권력 성향 항목에 대해서는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항목이 사전조사 대비 긍정적으 로 변화하였고, ・ 안전 성향 항목에 대해서는 “은행계좌에 돈이 얼마나 있는지 알고 있다.”, “항상 내 지갑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나의 재정 상태(소득, 지출, 대출 등)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음의 순위 165 131.56 21707.50 -4.508 .000 양의 순위 93 125.84 11703.50 동률 292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 음의 순위 181 142.05 25711.00 -5.821 .000 양의 순위 92 127.07 11690.00 동률 276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 적 긴장감이 크다. 음의 순위 184 151.43 27864.00 -4.19 .000 양의 순위 113 145.04 16389.00 동률 252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 음의 순위 171 142.63 24389.00 -3.608 .000 양의 순위 110 138.47 15232.00 동률 269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았다. 음의 순위 121 125.35 15167.50 -.379 .705 양의 순위 128 124.67 15957.50 동률 300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 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 음의 순위 177 141.41 25029.00 -3.609 .000 양의 순위 108 145.61 15726.00 동률 264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예를 들면,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라는 항목에 대해서 음의 순위 총합은 18589, 양의 순위 총 합은 961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α<p(0.05))이기 때문에 사전・사후조사는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은 음 의 방향임. 설문 항목 자체가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사후조사가 사전조사에 비해 경제적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음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35 이나 주머니에 돈이 얼마 있는지 알고 있다.”,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금을 지불한다.” 항목이 사전조사 대비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분석 ・ 만족 성향 항목에 대해서는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난하다고 생각한다.” 항목이 사전 조사 대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 보유 성향 항목에 대해서는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는 그걸 살수 없어’라고 말한 다.”항목은 사전조사 대비 부정적으로 변화하였고, “지출규모에 상관없이, 지출결정을 하 는 것은 어렵다.”,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은 필수품에 돈을 쓰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 낀다.”항목은 사전조사 대비 긍정적으로 변화 ・ 소비 성향 항목에 대해서는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자 내가 원치 않거나 불필요 한 물건들을 구매하기도 한다.”항목은 사전조사 대비 긍정적으로 변화 ・ 사적 성향 항목에 대해서는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무례하다고 생각한다.”,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 상태를 알리지 않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믿는 다.”, “내 개인적인 재정 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하다.”항목은 사전조사 대비 긍정적으 로 변화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권 력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음의 순위 126 136.23 17164.50 -.512 .609 양의 순위 140 131.05 18346.50 동률 283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것이다. 음의 순위 123 134.70 16568.00 -1.353 .176 양의 순위 146 135.25 19747.00 동률 280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음의 순위 143 131.00 18733.00 -3.689 .000 양의 순위 101 110.47 11157.00 동률 305     안 전 은행 계좌에 돈이 얼마 있는 지 늘 알고 있다. 음의 순위 145 123.01 17836.50 -4.403 .000 양의 순위 88 107.10 9424.50 동률 316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니에 돈이 얼마 있는지를 알고 있 다. 음의 순위 158 131.11 20715.00 -4.353 .000 양의 순위 95 120.17 11416.00 동률 296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금 (전화, 수도세, 전기세 등)을 지불한다. 음의 순위 137 136.46 18695.00 -2.961 .003 양의 순위 112 110.98 12430.00 동률 300     <표 Ⅱ-27>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36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만 족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 가 더 유복하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109 118.78 12946.50 -.118 .906 양의 순위 119 110.58 13159.50 동률 321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 음의 순위 110 109.70 12066.50 -.685 .493 양의 순위 104 105.18 10938.50 동률 335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난 하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171 139.69 23887.50 -3.102 .002 양의 순위 111 144.28 16015.50 동률 267     보 유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는 그걸 살 만한 여유가 없어’라고 말한다. 음의 순위 161 146.05 23513.50 -2.804 .005 양의 순위 121 135.45 16389.50 동률 267     지출규모에 상관없이, 지출 결정을 하는 것은 어렵다. 음의 순위 155 143.39 22226.00 -2.787 .005 양의 순위 119 129.82 15449.00 동률 275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은 필 수품에 돈을 쓰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낀다. 음의 순위 153 138.97 21263.00 -2.641 .008 양의 순위 116 129.76 15052.00 동률 280     소 비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 기고자 내가 원치 않거나 불 필요한 물건들을 구매하기 도 한다. 음의 순위 147 134.22 19731.00 -2.505 .012 양의 순위 113 125.65 14199.00 동률 289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 일을 하거나 가격할인을 하 면 구매한다. 음의 순위 136 139.84 19018.00 -.967 .334 양의 순위 131 127.94 16760.00 동률 282     나 자신에게는 인색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바보스 러울 정도로 돈을 쓴다. 음의 순위 143 134.01 19163.50 -1.215 .224 양의 순위 123 132.91 16347.50 동률 283     사 적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무례하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153 127.88 19566.00 -3.500 .000 양의 순위 98 123.06 12060.00 동률 298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 세한 재정 상태를 알리지 않 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믿는다. 음의 순위 194 153.63 29804.00 -4.751 .000 양의 순위 109 149.10 16252.00 동률 246     내 개인적인 재정 상태를 질 문 받으면 불편하다. 음의 순위 161 136.30 21944.00 -4.110 .000 양의 순위 101 123.85 12509.00 동률 287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37 □ 3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3차 참여자의 자존감 수준은 사전조사 대비 하락한 것으로 분석 - 3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10개 설문 항목 중 4개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조사 대비 사후결과의 자존감 변화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남 ・ 통계적 유의미도와 상관없이 거의 모든 항목에서 자존감과 관련해서는 부정적인 결과가 도출됨 ・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만큼은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 이 든다.”,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항목에 대해서는 사전조사 대비 더 부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분석 -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는 사업 참여의 유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므로 사후관리,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참여자의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제공이 필요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만큼 은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 한다. 음의 순위 109 94.05 10251.50 -2.211 .027 양의 순위 78 93.93 7326.50 동률 361     나는 나에게 좋은 점이 많이 있다 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100 99.95 9995.00 -.342 .732 양의 순위 97 98.02 9508.00 동률 351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 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음의 순위 120 131.82 15818.50 -1.678 .093 양의 순위 146 134.88 19692.50 동률 282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음의 순위 113 94.51 10680.00 -2.846 .004 양의 순위 74 93.22 6898.00 동률 361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음의 순위 114 126.17 14383.50 -1.881 .060 양의 순위 142 130.37 18512.50 동률 292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 로 생각하고 있다. 음의 순위 112 106.70 11950.00 -0.826 .409 양의 순위 100 106.28 10628.00 동률 336     <표 Ⅱ-28>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38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3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변화 ○ 3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수준은 6개 항목에서 변화가 있으며, 5개 항목은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남 - 재무관리 역량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7개 설문항목 중 1개 항목은 긍정적, 5개 항 목은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남 ・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돈이 준비되어 있다.”항목은 사전조사 대비 긍정적으로 변 화한 반면, ・ “소비나 지출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다.”, “나의 자산현황을 잘 알고 있다.”, “향후 5년~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 해 미리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다.”항목은 사전조사 대비 부정적으로 변화 - 3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변화 수준을 볼 때, 재무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도입의 필요성이 높음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나 자신 이 만족스럽다. 음의 순위 117 114.24 13365.50 -.479 .632 양의 순위 110 113.75 12512.50 동률 321     나는 나 자신을 보다 더 존중할 수 있으면 하고 생각한다. 즉, 나 는 평소 나 자신에 대한 존중감이 낮은 편이다. 음의 순위 122 131.73 16071.00 -1.557 .119 양의 순위 145 135.91 19707.00 동률 281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 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음의 순위 105 129.40 13587.50 -2.510 .012 양의 순위 150 127.02 19052.50 동률 293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99 124.89 12364.00 -2.920 .003 양의 순위 149 124.24 18512.00 동률 300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39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매달 주거유지(예:월세, 주택담보 대출 상환 등)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 음의 순위 123 136.74 16819.50 -1.036 .300 양의 순위 145 132.60 19226.50 동률 281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돈 (예:100만 원)이 준비되어 있다. 음의 순위 129 141.53 18257.00 -2.221 .026 양의 순위 162 149.56 24229.00 동률 258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 운다. 음의 순위 154 121.58 18724.00 -4.739 .000 양의 순위 83 114.20 9479.00 동률 312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음의 순위 165 129.18 21315.00 -5.104 .000 양의 순위 86 119.90 10311.00 동률 298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다. 음의 순위 179 145.32 26011.50 -5.156 .000 양의 순위 100 130.49 13048.50 동률 270     나의 자산현황(자산-부채)을 잘 알고 있다. 음의 순위 139 120.24 16713.50 -3.935 .000 양의 순위 89 105.53 9392.50 동률 321     향후 5년∼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준비 하고 있다. 음의 순위 159 137.13 21804.00 -3.728 .000 양의 순위 105 125.49 13176.00 동률 285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 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표 Ⅱ-29>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의 경제적 역량 변화 □ 정책 만족, 미래희망 증대, 이직의사 감소 등 효과 ○ 3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 미래희망 증대, 이직의사 감소 등의 정책 효과는 평균 77.5점 수준으로 분석 - 정책 만족 정도는 88.5점, 미래희망 증대 77.8점, 이직의사 감소 66.3점으로 분석 ○ 3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는 4점 만점에 3.54점(88.5점/100.0점)으로 수준으로 분석

40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1차 사후조사 시 1차 참여자는 89.8점, 2차 참여자는 92.5점과 비교하여 볼 때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나, 환산점수를 고려하면 높은 수준임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4(0.7) 13 (2.3) 221 (39.6) 320 (57.3) 3.54(88.5점) <표 Ⅱ-30>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 3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는 4점 만점에 3.11점(77.8점)으로 긍정적 인 결과가 확인됨 - 1차 사후조사 시 1차 참여자는 80.3점, 2차 참여자는 83.1점과 비교하여 볼 때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나, 환산점수를 고려하면 긍정적인 편임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20(3.6) 76 (13.6) 286 (51.3) 176 (31.5) 3.11(77.8점) <표 Ⅱ-31>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 ○ 3차 참여자의 이직의사 감소는 4점 만점에 2.64점(66.3점/100.0점)으로 긍정적인 수준으로 분석 - 1차 사후조사 시 1차 참여자는 65.3점, 2차 참여자는 68.53점과 비교하여 볼 때 2차 참여자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나, 환산점수를 고려하면 긍정적임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72(12.9) 175 (31.4) 193 (34.6) 118 (21.1) 2.64(66.3점) <표 Ⅱ-32> 일하는 청년통장 3차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41 4)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 분석 ○ 4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은 개선된 반면, 금전 성향, 자아존중, 재무 역량 측면은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남 - 4차 참여자의 사전조사(3,168명)와 1차 사후조사(659명) 간 응답 간극이 크기 때 문에 참여자 변화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에서 해석하는 것이 적절 □ 4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4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은 6개 설문 문항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분석 - 금전적 스트레스, 재정 상태에 대한 만족도, 생활비에 대한 걱정, 비상금에 대한 심리적 긴장감, 금전으로 인한 가족 내 갈등, 공과금 및 대출금 상환에 대한 어려움 의 스트레스는 감소한 것으로 분석 ・ 경제적 스트레스가 청년통장 사업 참여 이후 시행된 사후조사에서 사전조사 대비 감소한 것은 정책적인 기대효과에 부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 음의 순위 198 143.85 28482.50 -6.598 .000 양의 순위 85 137.69 11703.50 동률 296     나의 재정 상태(소득, 지출, 대출 등)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음의 순위 191 143.63 27432.50 -6.912 .000 양의 순위 84 125.21 10517.50 동률 304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 음의 순위 201 152.08 30569.00 -6.555 .000 양의 순위 93 137.59 12796.00 동률 286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 적 긴장감이 크다. 음의 순위 208 168.06 34957.00 -6.446 .000 양의 순위 109 141.71 15446.00 동률 263     <표 Ⅱ-33>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4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4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 4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은 13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도출되었고, 긍정적으로 변화한 항목은 6개, 부정적으로 변화한 항목은 7개로 분석 - 세부 영역으로는 안전 성향 3개 항목, 만족 성향 2개 항목, 보유 성향 3개 항목, 소 비 성향 2개 항목, 사적 성향 3개 항목에서 사전조사 대비 사후조사에서 변화 발생 ・ 안전 성향 항목에서 “은행 계좌에 돈이 얼마나 들어있는지 늘 알고 있다.”, “항상 내 지갑 이나 주머니에 돈이 얼마나 있는지 알고 있다,”,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금을 지불한 다.” 항목은 사전조사 대비 부정적으로 변화하였고, ・ 만족 성향 항목에서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유복하다고 생각한다.”, “내 친구 들보다 내가 더 가난하다고 생각한다.” 항목은 사전조사 대비 긍정적으로 변화 ・ 보유 성향 항목에서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는 그걸 살 만한 여유가 없어’라고 말한 다.”, “지출규모에 상관없이 지출결정을 하는 것은 어렵다.”,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은 필수 품에 돈을 쓰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낀다.” 항목은 사전조사 대비 부정적으로 변화 ・ 소비 성향 항목에서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일을 하거나 가격할인을 하면 구매한 다.”, “나 자신에게는 인색하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바보스러울 정도로 돈을 쓴다.” 항목 은 사전보다 대비 긍정적으로 변화 ・ 사적 성향 항목에서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무례하다고 생각한다.”, “친구와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 음의 순위 186 157.30 29257.00 -3.170 .002 양의 순위 127 156.57 19884.00 동률 265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았다. 음의 순위 145 139.90 20285.50 -.377 .706 양의 순위 136 142.17 19335.50 동률 298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 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 음의 순위 187 161.28 30159.00 -3.370 .001 양의 순위 129 154.47 19927.00 동률 263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예를 들면,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라는 항목에 대해서 음의 순위 총합은 28486, 양의 순위 총 합은 1170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α<p(0.05))이기 때문에 사전・사후조사는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은 음의 방향임. 설문 항목 자체가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사후조사가 사전조사에 비해 경제적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음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43 친척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 상태를 알지지 않는 것에 대해 현명하다고 생각한다.”, “내 개인적인 재정 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하다.” 항목은 사전조사 대비 긍정적으로 변화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권 력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음의 순위 149 153.12 22814.50 -0.259 .796 양의 순위 155 151.91 23545.50 동률 276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것이다. 음의 순위 123 140.33 17260.50 -1.830 .067 양의 순위 156 139.74 21799.50 동률 301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음의 순위 143 153.29 21920.50 -1.526 .127 양의 순위 139 129.37 17982.50 동률 298     안 전 은행 계좌에 돈이 얼마 있 는지 늘 알고 있다. 음의 순위 144 130.06 18728.00 -4.570 .000 양의 순위 94 103.33 9713.00 동률 342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니에 돈이 얼마 있는지를 알고 있다. 음의 순위 146 133.94 19555.00 -4.194 .000 양의 순위 100 108.26 10826.00 동률 334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금 (전화, 수도세, 전기세 등) 을 지불한다. 음의 순위 168 146.00 24528.00 -5.311 .000 양의 순위 101 116.70 11787.00 동률 311     만 족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 가 더 유복하다고 생각한 다. 음의 순위 138 122.26 16872.00 -2.182 .029 양의 순위 104 120.49 12531.00 동률 338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 음의 순위 117 106.68 12481.00 -0.657 .511 양의 순위 101 112.77 11390.00 동률 362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 난하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151 137.73 20797.50 -2.116 .034 양의 순위 119 132.67 15787.50 동률 310     <표 Ⅱ-34>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44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4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4차 참여자의 자존감 수준은 사전조사 대비 전반적으로 낮아진 것으로 분석 - 4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10개 설문 항목 중 4개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조사 대비 사후조사의 자존감 변화는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보 유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에 ‘나는 그걸 살 만한 여유가 없어’라고 말한다. 음의 순위 172 154.41 26559.00 -3.359 .001 양의 순위 124 140.30 17397.00 동률 284     지출규모에 상관없이, 지출 결정을 하는 것은 어렵다. 음의 순위 172 145.10 24957.00 -3.944 .000 양의 순위 110 135.87 14946.00 동률 298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은 필수품에 돈을 쓰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낀다. 음의 순위 169 151.74 25643.50 -2.330 .020 양의 순위 130 147.74 19206.50 동률 281     소 비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 기고자 내가 원치 않거나 불필요한 물건들을 구매하 기도 한다. 음의 순위 149 140.41 20921.00 -1.365 .172 양의 순위 128 137.36 17582.00 동률 303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일을 하거나 가격할인을 하면 구매한다. 음의 순위 174 140.72 24484.50 -4.421 .000 양의 순위 102 134.72 13741.50 동률 304     나 자신에게는 인색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바보스 러울 정도로 돈을 쓴다. 음의 순위 149 135.54 20195.50 -2.367 .018 양의 순위 115 128.56 14784.50 동률 316     사 적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무례하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149 148.72 22159.00 -2.839 .005 양의 순위 124 122.92 15242.00 동률 307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 세한 재정 상태를 알리지 않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 고 믿는다. 음의 순위 188 161.36 30336.50 -4.752 .000 양의 순위 118 140.97 16634.50 동률 274     내 개인적인 재정 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하다. 음의 순위 160 148.14 23703.00 -3.347 .001 양의 순위 119 129.05 15357.00 동률 301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45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남 ・ 통계적 유의미도와 상관없이 거의 모든 항목에서 자존감과 관련해서는 부정적인 결과가 확인됨 ・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만큼은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 는 느낌이 든다.”,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항목은 사전조사 대비 사후조사 결과가 더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남 -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는 사업 참여의 유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므로 사후관리,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참여자의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제공이 필요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만큼 은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 한다. 음의 순위 137 109.41 14988.50 -3.984 .000 양의 순위 79 106.93 8447.50 동률 363     나는 나에게 좋은 점이 많이 있다 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127 116.89 14845.00 -1.862 .063 양의 순위 102 112.65 11490.00 동률 350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 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음의 순위 92 125.83 11576.00 -4.388 .000 양의 순위 162 128.45 20809.00 동률 325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음의 순위 129 123.30 15905.50 -1.762 .078 양의 순위 109 115.00 12535.50 동률 340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음의 순위 121 122.81 14860.50 -.789 .430 양의 순위 129 128.02 16514.50 동률 329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 로 생각하고 있다. 음의 순위 126 114.21 14391.00 -1.788 .074 양의 순위 100 112.60 11260.00 동률 353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나 자신 이 만족스럽다. 음의 순위 129 125.50 16190.00 -.868 .386 양의 순위 118 122.36 14438.00 동률 329     <표 Ⅱ-35>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46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4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변화 ○ 4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수준은 4개 항목에서 변화가 있으며, 해당 항목 모두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남 - “소비나 저축에 대해 계획을 세운다.”,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다.”, “나의 자산현황을 잘 알고 있다.” 항목은 사전조사 대비 사후조사에서 부정적으로 변화 - 4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수준 변화를 볼 때, 참여자의 체계적인 재무관리 및 습관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 컨설팅 등의 지원이 필요 ・ 재무관리를 위한 역량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자산형성을 위한 과정을 지속적 유지가 어려움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나는 나 자신을 보다 더 존중할 수 있으면 하고 생각한다. 즉, 나 는 평소 나 자신에 대한 존중감이 낮은 편이다. 음의 순위 123 124.28 15287.00 -.946 .344 양의 순위 132 131.46 17353.00 동률 324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 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음의 순위 113 129.27 14607.00 -2.513 .012 양의 순위 151 134.92 20373.00 동률 315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106 134.45 14252.00 -4.121 .000 양의 순위 172 142.61 24529.00 동률 300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매달 주거유지(예:월세, 주택담보대출 상환 등)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 음의 순위 126 148.59 18722.00 -.552 .581 양의 순위 152 131.97 20059.00 동률 302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돈(예:100만 원)이 준비되어 있다. 음의 순위 168 168.94 28382.00 -1.422 .155 양의 순위 155 154.48 23944.00 동률 258     <표 Ⅱ-36>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변화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47 □ 정책 만족, 미래희망 증대, 이직의사 감소 등 효과 ○ 4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 미래희망 증대, 이직의사 감소 등의 정책 효과는 평균 78.1점 수준으로 분석 - 정책 만족도는 89.4점, 미래희망 증대 79.1점, 이직의사 감소 65.7점으로 분석 ○ 4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는 4점 만점에 3.58점(89.4점/100점) 수준으로 분석 - 1차 사후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1차 참여자는 89.8점, 2차 참여자 92.5점, 3차 참여자 88.5점과 비교하여 볼 때, 3차 참여자보다 높고 1차․ 2차 참여자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석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4(0.6) 15 (2.3) 238 (36.1) 402 (61.0) 3.58(89.4점) <표 Ⅱ-37>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 음의 순위 178 144.33 25690.00 -5.325 .000 양의 순위 98 127.92 12536.00 동률 305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음의 순위 176 153.00 26928.00 -4.134 .000 양의 순위 116 136.64 15850.00 동률 287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다. 음의 순위 201 170.29 34227.50 -4.560 .000 양의 순위 127 155.34 19728.50 동률 252     나의 자산현황(자산-부채)을 잘 알고 있다. 음의 순위 170 155.55 26443.50 -5.056 .000 양의 순위 112 120.17 13459.50 동률 297     향후 5년∼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다. 음의 순위 143 142.47 20373.50 -1.254 .210 양의 순위 131 132.07 17301.50 동률 307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48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4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는 4점 만점에 최소 3.17점(79.1점/100점 만점) 수준으로 분석 - 1차 사후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1차 참여자 80.3점, 2차 참여자 83.1점, 3차 참여자 77.8점과 비교하여 볼 때, 3차 참여자보다는 높고 1차․2차 참여자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석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15(2.3) 74 (11.2) 357 (54.2) 213 (32.3) 3.17(79.1점) <표 Ⅱ-38>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 ○ 4차 참여자의 이직의사 감소는 4점 만점에 2.63점(65.7점/100.0점) 수준으로 분석 - 1차 사후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1차 참여자 65.3점, 2차 참여자 68.5점, 3차 참여자 66.3점과 비교하여 볼 때, 1차 참여자보다는 높고 2차․3차 참여자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석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69(10.5) 228 (34.6) 241 (36.6) 121 (18.4) 2.63(65.7점) <표 Ⅱ-39> 일하는 청년통장 4차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5)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 분석 ○ 5차 참여자는 경제적 스트레스는 개선된 반면, 재무역량, 금전 성향, 자아존중 측면은 부정적으로 변화 - 5차 참여자의 사전조사(4,991명)와 1차 사후조사(1,000명) 간 응답 간극이 커 참 여자의 변화 정도에 대한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에서 해석하는 것이 적절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49 □ 5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5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은 사후조사의 7개 항목에서 스트레스 수준이 감소하는 긍정적 변화를 보임 - 금전적 스트레스, 재정 상태에 대한 만족도, 생활비에 대한 걱정, 비상금에 대한 심리적 긴장감, 금전으로 인한 가족 내 갈등, 금전으로 인한 사회적 관계, 공과금 및 대출금 상환에 대한 어려움에 대한 스트레스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 ・ 5차 참여자의 경우,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참여 4개월이 되는 시점에서 관련 조사를 시행하였기 때문에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가 일하는 청년통장 정책 참여로 인한 효과로 한정하기는 어려움 ・ 다만, 정책 참여로 인한 자산형성에 대한 미래의 기대감 증가로 인하여 경제적 스트레스가 일정부분 완화된 것으로 볼 수 있음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낀다. 음의 순위 330 240.67 79420.00 -10.061 .000양의 순위 130 204.69 26610.00 동률 540     나의 재정 상태(소득, 지출, 대출 등)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 음의 순위 323 245.44 79277.00 -8.847 .000양의 순위 146 211.90 30938.00 동률 531     자주 생활비 걱정을 한다. 음의 순위 325 240.53 78173.50 -9.250 .000양의 순위 137 210.07 28779.50 동률 538     여윳돈이나 비상금이 없어 심리 적 긴장감이 크다. 음의 순위 335 256.78 86022.50 -7.583 .000양의 순위 167 240.90 40230.50 동률 498     돈 문제로 인해 가정 내 갈등이 있다. 음의 순위 328 254.67 83531.50 -7.937 .000양의 순위 163 228.56 37254.50 동률 509     돈 문제로 인해 직장동료나 친구 등으로부터 상처를 받았다. 음의 순위 302 251.00 75802.00 -6.307 .000양의 순위 179 224.13 40119.00 동률 519     <표 Ⅱ-40>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50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5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 5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은 13개 항목에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세부 영역별로 살펴보면, 권력 성향 2항목, 안전 성향 3항목, 만족 성향 3항목, 보 유 성향 2항목, 소비 성향 3항목에서 사전조사 대비 변화가 발생 ・ 권력 성향에서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항목은 부정적으로 변 화한 반면,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항목은 긍정적으로 변화 ・ 안전 성향에서 “은행계좌에 돈이 얼마나 있는지 늘 알고 있다.”,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 니에 돈이 얼마 있는지 알고 있다.”,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금을 지불한다.”항목은 부 정적으로 변화 ・ 만족 성향에서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유복하다고 생각한다.”,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이 더 적다.”, 항목은 부정적으로 변화한 반면,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난하 다고 생각한다.” 항목은 긍정적으로 변화 ・ 보유 성향에서 “지출규모에 상관없이 지출결정을 하는 것은 어렵다.”, “돈이 있어도 의복 과 같은 필수품에 돈을 쓰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낀다.” 항목은 부정적으로 변화 ・ 소비 성향에서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자 내가 원치 않거나 불필요한 물건들을 구매하기도 한다.”,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도 세일을 하거나 가격 할인을 하면 구매한 다.”, “나 자신에게는 인식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바보스러울 정도로 돈을 쓴다.”항목 은 긍정적으로 변화 ・ 사적 성향에서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무례하다고 생각한다.”, “친구와 친척 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 상태를 알리지 않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내 개인적인 재정 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하다.”항목은 긍정적으로 변화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공과금 및 세금 납부, 대출금 상 환과 관련해 어려움이 크다. 음의 순위 363 276.43 100344.00 -8.227 .000양의 순위 176 256.74 45186.00 동률 461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예를 들면, “지금 돈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라는 항목에 대해서 음의 순위 총합은 79420, 양의 순위 총 합은 2661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α<p(0.05))이기 때문에 사전・사후집단은 차이가 있고, 그 차이의 방향성은 음의 방향임. 설문 항목 자체가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사후집단이 사전집단에 비해 경제적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음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51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권력 돈이 나의 모든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음의 순위 196 252.48 49485.50 -2.786 0.005 양의 순위 282 230.48 64995.50 동률 522     돈은 내가 의지할 수 있 는 거의 유일한 것이다. 음의 순위 203 225.99 45875.00 -0.998 0.318 양의 순위 236 214.85 50705.00 동률 561     돈은 상당한 권력을 준다. 음의 순위 243 254.35 61806.00 -2.069 0.039 양의 순위 230 218.67 50295.00 동률 527     안전 은행 계좌에 돈이 얼마 있는지 늘 알고 있다. 음의 순위 273 233.57 63764.00 -7.484 0.000 양의 순위 155 180.92 28042.00 동률 572     항상 내 지갑이나 주머 니에 돈이 얼마 있는지 를 알고 있다. 음의 순위 268 239.66 64230.00 -6.669 0.000 양의 순위 169 186.23 31473.00 동률 563     나는 항상 신속하게 공과 금(전화, 수도세, 전기세 등)을 지불한다. 음의 순위 267 222.47 59400.00 -7.382 0.000 양의 순위 146 178.71 26091.00 동률 587     만족 대부분의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유복하다고 생 각한다. 음의 순위 231 209.88 48483.00 -1.881 0.060 양의 순위 189 211.25 39927.00 동률 580     내 친구들은 나보다 돈 이 더 적다. 음의 순위 207 175.59 36347.00 -4.237 0.000 양의 순위 135 165.23 22306.00 동률 658     내 친구들보다 내가 더 가난하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244 228.17 55674.00 -1.943 0.052 양의 순위 206 222.33 45801.00 동률 550     보유 내가 살 수 있건 없건 간 에 ‘나는 그걸 살 만한 여유가 없어’라고 말한다 음의 순위 261 252.43 65885.00 -1.897 0.058 양의 순위 230 238.70 54901.00 동률 509     지출규모에 상관없이, 지 출결정을 하는 것은 어 렵다. 음의 순위 290 259.47 75245.00 -4.011 0.000 양의 순위 212 240.60 51008.00 동률 498     <표 Ⅱ-41>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의 금전 성향 변화

5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5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5차 참여자의 자존감 수준은 사전조사 대비 하락한 것으로 분석 - 5차 참여자의 자존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10개 항목 중 6개 항목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조사 대비 사후결과의 자존감 변화는 부정적 으로 변화 ・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만큼은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나에게 좋은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 다.”,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다.” 항목은 사전조사 대비 더 부정적으로 변화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돈이 있어도 의복과 같 은 필수품에 돈을 쓰는 것에 대해 죄의식을 느 낀다. 음의 순위 262 248.58 65128.00 -2.362 0.018 양의 순위 221 234.20 51758.00 동률 517     소비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자 내가 원치 않 거나 불필요한 물건들을 구매하기도 한다. 음의 순위 271 233.44 63261.00 -3.634 0.000 양의 순위 192 229.97 44155.00 동률 537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 도 세일을 하거나 가격 할인을 하면 구매한다. 음의 순위 277 244.58 67750.00 -3.713 0.000 양의 순위 202 233.71 47210.00 동률 521     나 자신에게는 인색하지 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바보스러울 정도로 돈을 쓴다. 음의 순위 237 223.49 52966.50 -2.307 0.021 양의 순위 198 211.43 41863.50 동률 565     사적 개인의 소득에 대해 질 문하는 것은 무례하다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254 245.11 62258.50 -3.692 0.000 양의 순위 204 210.06 42852.50 동률 542     친구와 친척들에게 나의 상세한 재정 상태를 알 리지 않는 것이 현명한 행동이라고 믿는다. 음의 순위 293 273.29 80074.00 -4.766 0.000 양의 순위 217 231.48 50231.00 동률 490     내 개인적인 재정 상태를 질문 받으면 불편하다. 음의 순위 259 245.79 63659.50 -3.605 0.000 양의 순위 205 215.71 44220.50 동률 536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53 -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는 사업 참여의 유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므로 교육, 프로그램 등 사후관리를 통해 참여자의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사업 참여 기간 동안 제공하는 것이 필요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만큼 은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 한다. 음의 순위 220 172.03 37847.50 -5.074 .000 양의 순위 123 171.94 21148.50 동률 654     나는 나에게 좋은 점이 많이 있다 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229 187.32 42897.00 -4.546 .000 양의 순위 142 183.87 26109.00 동률 626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내가 실 패자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음의 순위 191 222.86 42566.00 -2.918 .004 양의 순위 255 223.98 57115.00 동률 551     나는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음의 순위 207 181.19 37506.50 -3.513 .000 양의 순위 147 172.30 25328.50 동률 643     나에게는 자랑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음의 순위 202 192.55 38895.50 -1.018 .309 양의 순위 203 213.40 43319.50 동률 592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으 로 생각하고 있다. 음의 순위 235 201.24 47291.50 -3.892 .000 양의 순위 161 194.50 31314.50 동률 601     전반적으로 볼 때, 나는 나 자신 이 만족스럽다. 음의 순위 199 181.61 36139.50 -1.184 .236 양의 순위 169 187.91 31756.50 동률 629     나는 나 자신을 보다 더 존중할 수 있으면 하고 생각한다. 즉, 나 는 평소 나 자신에 대한 존중감이 낮은 편이다.* 음의 순위 235 235.11 55251.00 -0.462 .644 양의 순위 240 240.83 57799.00 동률 521     나는 가끔 내 자신이 쓸모없는 사 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음의 순위 197 213.69 42097.00 -1.775 .076 양의 순위 233 217.03 50568.00 동률 567     이따금 나는 내가 아주 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음의 순위 194 217.75 42243.50 -2.865 .004 양의 순위 250 226.19 56546.50 동률 553     * 역점수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표 Ⅱ-42>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54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5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변화 ○ 5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수준은 사전조사보다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분석 - 5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은 6개 항목에서 사전조사 대비 부정적으로 변화 ・ “긴급 상황에 대철할 수 있는 돈이 준비되어 있다.”,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 다.”, “개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다.”, “나의 자산현 황을 알고 있다.”, “향후 5년~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다.”, “저축 또는 대출 등의 금융상품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편이다.” 항목은 사전조사 대비 부정적으로 변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로 인해 미래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하였으나, 재무관리는 부 정적으로 변화 ・ 청년통장 사업 참여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음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은 재무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 등 지원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음을 시사 ・ 최종적인 만기 지원의 시점까지 통장 유지 등 양적 성과를 유인하기 위해서는 재무관리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교육 등의 지원 프로그램 운영의 내실화가 필요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매달 주거유지(예:월세, 주택담 보대출 상환 등)를 위한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다. 음의 순위 260 252.22 65576.00 -1.730 .084양의 순위 232 240.09 55702.00 동률 508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돈 (예:100만 원)이 준비되어 있 다. 음의 순위 286 248.67 71121.00 -4.533 .000양의 순위 196 231.03 45282.00 동률 518     소비나 저축에 대하여 계획을 세운다. 음의 순위 323 251.61 81269.50 -8.031 .000양의 순위 160 222.60 35616.50 동률 517     계획소비나 저축을 하고 있다. 음의 순위 321 249.71 80157.50 -7.846 .000양의 순위 160 223.52 35763.50 동률 519     수입이 증가하면 저축도 늘린 다. 음의 순위 339 270.44 91678.00 -8.163 .000양의 순위 174 230.82 40163.00 동률 487     <표 Ⅱ-43>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변화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55 □ 정책 만족, 미래희망 증대, 이직의사 감소 등 효과 ○ 5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 미래희망 증대, 이직의사 감소 등의 정책 효과는 평균 78.6점으로 분석 - 정책 만족도 88.5점, 미래희망 증대 79.5점, 이직의사 감소 67.8점으로 분석 ○ 5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는 4점 만점에 3.54점(88.5점) 수준으로 분석 - 1차 사후조사를 기준으로, 1차 참여자 89.8점, 2차 참여자, 3차 참여자 88.5점, 4 차 참여자 89.4점과 비교하여 볼 때, 정책 만족 수준은 3차 대상자와 유사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6(0.6) 30 (3.3) 378 (37.7) 588 (58.7) 3.54(88.5점) <표 Ⅱ-44>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구분 사례 수 평균 순위 순위총합 Z값 P값 나의 자산현황(자산-부채)을 잘 알고 있다. 음의 순위 283 246.26 69692.00 -7.037 .000양의 순위 170 194.94 33139.00 동률 547     향후 5년∼10년 사이에 발생할 지출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준 비하고 있다. 음의 순위 341 277.57 94653.00 -6.942 .000양의 순위 194 251.17 48727.00 동률 465     저축 또는 대출 등의 금융상품 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편이다. 음의 순위 283 246.26 69692.00 -5.772 .000양의 순위 170 194.94 33139.00 동률 547     전문 경제교육이나 금융상담에 참여하는 편이다. 음의 순위 283 246.26 69692.00 -6.056 .000양의 순위 170 194.94 33139.00 동률 547     주 1) 본 보고서에서는 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변화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분석방법의 해석은 음의 순위 총합과 양의 순위 총합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

56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5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는 4점 만점에 3.18점(79.5점)으로 분석 - 1차 사후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1차 참여자 80.3점, 2차 참여자 83.1점, 3차 참여자 77.8점, 4차 참여자 79.1점과 비교하여 볼 때,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수준은 4차 참여자와 유사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26(2.6%) 125 (12.5%) 494 (49.3%) 357 (35.6%) 3.18(79.5점) <표 Ⅱ-45>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여부 ○ 5차 참여자의 이직의사 감소는 4점 만점에 2.71점(67.8점)으로 분석 - 1차 사후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1차 참여자 65.3점, 2차 참여자 68.5점, 3차 참아져 66.3점, 4차 참여자 65.7점과 비교하여 볼 때, 1차․3차․4차 참여자보다 높고, 2차 참여자보다 낮은 수준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은 편 그런 편임 정말 그런 편임 평균 1차 사후조사 78(7.8%) 333 (33.2%) 391 (39.0%) 200 (20.0%) 2.71(67.8점) <표 Ⅱ-46> 일하는 청년통장 5차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감소 여부 4. 시사점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월평균 급여액은 월 평균 191.4만원 수준으로 분석되고 있으나, 지속적 저축 유인을 위한 재무적 관리가 필요 - 1차 참여자 182.8만원, 2차 참여자 194.8만원, 3차 참여자 185.8만원, 4차 참여자 195.2만원, 5차 참여자 198.1만원 수준으로 분석 전체(평균) 1차 참여자 2차 참여자 3차 참여자 4차 참여자 5차 참여자 1,914 1,828 1,948 1,858 1,952 1,981 <표 Ⅱ-47>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월 평균 급여액 (단위: 천원)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57 - 해당 월 임금 수준은 최저임금(시급 7,530원, 월급 157.3만원) 대비 약 121% 수 준이고, 전 산업 고용자 월 급여액의 63.8% 수준 ・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2017)에 의하면, 전 산업의 평균 월급여액은 300.2만원이고, 월 임금 총액은 344.6만원으로 분석(통계청, 2018)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월 평균 급여액 수준은 유사연령(20세~30세) 평균 월급여액 (234만원/월)의 81.7%수준으로 분석 구분 평균연령 평균 근속년수 총 근로시간 월 임금총액(천원) 월 급여액(천원) 전 연령 41.6세 6.3년 180.8 시간 3,446 3,002 20세~24세 22.6세 1.3년 175.5 시간 1,968 1,855 25세~29세 27.1세 2.2년 181.2 시간 2,623 2,352 30세~34세 32.1세 4.0년 181.9 시간 3,239 2,814 <표 Ⅱ-48> 전 산업 월 임금총액 및 급여액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월 급여 수준은 최저임금, 물가상승률 등으로 지속적으 로 상승되는 경향을 보이나,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수준이므로 지속적 저축을 유인 하기 위한 체계적인 재무 관리가 필요 ・ 저축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근로소득의 증가하는 것이 적절하나, 근로소득의 상승 폭이 크지 않을 경우, 기존 지출을 관리를 통해 실질적인 소득 증대효과를 체감토록 함으로써 저축의 지속성을 확보 가능(한국노동연구원, 2011)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는 모든 차수에서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는 감소함 - 사업 이후 조사시점까지 경제적 스트레스(4점 척도)가 1차 참여자는 0.45점, 2차 참여자는 0.37점, 3차 참여자는 0.14점, 4차 참여자는 0.18점, 5차 참여자는 0.23 점 감소하였음 ・ 1차 참여자는 금전에 대한 스트레스, 재정 상태에 대한 만족도, 생활비에 대한 걱정, 비 상금에 대한 심리적 긴장감, 공과금 및 대출금 상환에 대한 어려움의 스트레스가 감소 ・ 2차․3차․4차 참여자는 금전에 대한 스트레스, 재정 상태에 대한 만족도, 생활비에 대한 걱정, 비상금에 대한 심리적 긴장감, 금전 문제로 인한 가족 내 갈등, 공과금 및 대출금 상환에 대한 어려움의 스트레스가 감소 ・ 5차 참여자는 금전에 대한 스트레스, 재정 상태에 대한 만족도, 생활비에 대한 걱정, 비 상금에 대한 심리적 긴장감, 금전 문제로 인한 가족 내 갈등, 금전으로 인한 사회적 관 계, 공과금 및 대출금 상환에 대한 어려움의 스트레스가 감소

58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구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1기 참여자 사전조사 2.99 .392 -3.605 .001 사후조사 2.54 .651 2기 참여자 사전조사 2.87 .567 -3.977 .000 사후조사 2.50 .688 3기 참여자 사전조사 2.66 .592 -5.695 .000 사후조사 2.52 .617 4기 참여자 사전조사 2.76 .529 -7.478 .000 사후조사 2.58 .609 5기 참여자 사전조사 2.73 .569 -12.716 .000 사후조사 2.50 .620 주 1) P<0.05 주 2) 1점 :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이 낮음~4점 :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음 주 3) 사후조사는 최종시점을 기준으로 사전조사와 비교 <표 Ⅱ-49>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측정 통계표 <그림 Ⅱ-5>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변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은 약화되는 경향을 보임 - 1차․2차 참여자의 재무관리역량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도출하기는 어렵지 만,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임 ・ 1차․2차 참여자는 소비나 저축에 대한 계획 수립, 계획적인 소비나 저축의 실천 측면에서 재무관리 역량이 부정적으로 변화 - 3차․4차․5차 참여자의 재무관리역량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분석되었고,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59 사전조사 대비 부정적으로 변화 ・ 3차 참여자는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여유자금 준비, 소비나 저축에 대한 계획 수 립, 계획적인 소비나 저축의 실천, 수입증가에 따른 저축액 증가, 자산현황의 인지 미흡, 향후 지출에 대한 준비 측면에서 재무관리 역량이 부정적으로 변화 ・ 4차 참여자는 소비나 저축에 대한 계획 수립, 계획적인 소비나 저축의 실천, 수입 증가에 따른 저축액 증가, 자산현황의 인지 미흡 측면에서 재무역량 관리가 부정적으로 변화 ・ 5차 참여자는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여유자금 준비, 소비나 저축에 대한 계획 수 립, 계획적인 소비나 저축의 실천, 수입증가에 따른 저축액 증가, 자산현황의 인지 미흡, 향후 지출에 대한 준비 측면에서 재무관리 역량이 부정적으로 변화 구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1기 참여자 사전조사 2.44 .434 -.282 .780 사후조사 2.42 .493 2기 참여자 사전조사 2.57 .466 -1.364 .176 사후조사 2.47 .612 3기 참여자 사전조사 2.68 .454 -4.788 .000 사후조사 2.57 .534 4기 참여자 사전조사 2.61 .455 -4.913 .000 사후조사 2.50 .557 5기 참여자 사전조사 2.72 .474 -10.304 .000 사후조사 2.53 .561 주 1) P<0.05 주 2) 1점 : 재무관리 역량 수준이 낮음 ~ 4점 :재무관리 역량 수준이 높음 주 3) 사후조사는 최종시점을 기준으로 사전조사와 비교 <표 Ⅱ-50>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측정 통계표 <그림 Ⅱ-6>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변화

60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은 대상자의 자산형성지원 외 자산형성을 통한 미래위험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대상자의 재무관리역량 증진이 필요 ・ 이러한 목적 하에 자산형성지원사업은 대상자의 자산 등 재무관리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재무컨설팅 및 역량 증진 등의 프로그램을 병행 ・ 또한, 재무관리역량의 증진은 저축을 통한 자산형성지원사업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으 므로,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자아존중감 수준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 1차 참여자의 자존감 수준은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2차․3차․4차․5차 참여자의 자존감 수준은 사전조사 대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자존감 하락은 정책진입으로 인한 효과보다는 청년들을 둘러 싼 다양한 현실과 조건(직장생활, 재무상태, 경제적 스트레스 등)에 의한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됨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자존감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운영은 어려우나, 교육, 사후관리 범주 내에서 자존감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필요 구분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1기 참여자 사전조사 2.73 .591 1.018 .317 사후조사 2.82 .589 2기 참여자 사전조사 3.06 .523 -2.071 .041 사후조사 2.95 .578 3기 참여자 사전조사 3.00 .566 -3.169 .002 사후조사 2.94 .558 4기 참여자 사전조사 2.97 .558 -4.112 .000 사후조사 2.89 .594 5기 참여자 사전조사 3.00 .569 -4.701 .000 사후조사 2.93 .580 주 1) P<0.05 주 2) 1점 : 자존감 수준이 낮음 ~ 4점 : 자존감 수준이 높음 주 3) 사후조사는 최종시점을 기준으로 사전조사와 비교 <표 Ⅱ-51>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자존감 측정 통계표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61 <그림 Ⅱ-7>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자존감 변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정책 만족, 미래희망 증대, 이직의사 감소 등 효과는 긍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남 - 정책 효과 수준은 최종 사후조사 결과를 통해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효과는 긍정 적으로 도출 ・ 1차․2차 대상자는 정책 효과의 변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나, 3차․4차․5차 대상자는 사전 조사 이후 1회의 사후조사가 진행되어 정책효과의 변화 수준을 세밀하게 파악하는 것은 자료의 제약으로 어려움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평균 정책 만족 수준은 89점으로 정부 및 지자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책 만족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최종 사후조사 정책 만족도 점수와 대학 내일 20대 연구소 (2018) 정책 만족도와 비교하여 볼 때, 만족 비율은 각각 96.8%, 32.5%이고, 환산 점수 의 간극은 약 29점 차이가 발생 ・ 대학 내일 20대 연구소(2018)에 의하면, 정부와 지자체 청년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61.2점 수준으로 분석(만족도 빈도 분포를 토대로 점수화 후 100점 만점으로 환산)

6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그림 Ⅱ-8>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정책 만족도 자료:대학 내일 20대 연구소(2018), 「정부․지자체 추진 청년정책에 대한 청년들의 인지 및 만족도 평가」 <그림 Ⅱ-9> 정부․지자체 청년정책 만족도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에 대한 기대감은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증대는 약 85%가 긍정적으로 기대하는 것 으로 응답하고 있으나, 미래에 거는 희망이 지속될 수 있도록 사업 참여기간동안 지원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63 <그림 Ⅱ-10>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은 감소하였고, 상대적으로 이직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이는 1년 미만 이직비율이 72.6% 수준(김재신, 2017)임을 고려할 때, 긍정적임 ・ 또한, 24세~34세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이직비율 70%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청 년층의 이직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통계청, 2015)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통장사업 이후 이직에 대한 의사 및 고민에 대해 약 57%가 감소하였다고 응답 <그림 Ⅱ-11>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 및 의사 감소

Ⅲ. 결론 및 정책 제언 65 1. 요약 및 결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경기도는 근로취약청년을 대상으로 자산형성 및 미래에 대한 대응력 증진을 위해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정책을 추진, 2018년 12월 현재 18,500명을 지원 - 일하는 청년통장사업은 근로취약청년의 빈곤 계층 전락을 사전적으로 예방하고, 자산형성 등의 지원을 통해 자립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목적임 -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2016년 5월 첫 참여자 모집 이후 2018년 12월 말 까지 18,500명을 선정하여 정책지원을 진행 ○ 경기도는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선정 이후 참여자의 변화 등 질적 성과 측정을 위한 ‘일하는 청년통장 금융 태도 등 조사’를 실시 - 사업의 최초 설정 목표 대비 실현 정도, 참여자의 변화 등 분석을 통해 사업의 절 차 및 설계 개선, 사업 운영을 위한 개선점 도출 등을 위해 정책 초기 단계와 정기 적인 시점에서 대상자의 변화 수준을 측정 ・ 경제적 스트레스, 개인의 금전 등 물질적 성향, 자아존중 수준, 재무 관리 역량 수준 등 참여자의 사회․경제적 변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 ○ 본 연구의 목적은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 변화 수준을 분석하여, 사업의 성과 증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음 - 사업 선정자의 사회적·경제적 변화 정도의 분석을 통해 사업 지원 및 설계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사업의 실효성을 강화하고자 함 Ⅲ 결론 및 정책 제언

66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은 현재 추진 중인 사업으로 정책 집행과정에서의 참여자의 변화, 정책의 질적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과정평가의 형태로 진행(이윤식, 2010:55) ・ 사업 참여자의 자산 및 부채, 경제적 스트레스, 금전 성향, 행복 수준, 자아존중 정도 등 다양한 성과 분석 결과는 차기년도 교육 운영, 재무 및 컨설팅 지원 계획 수립에 활용 □ 연구내용 요약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경제적 수준, 경제적 스트레스, 정책 효과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나, 재무역량 관리, 금전 성향, 자아존중 측면은 개선이 필요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통장유지률, 만기적립금 지급률 등 직접적인 성과 도달을 위해서는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금전 성향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지원 사업 추 진이 필요 ・ 저축은 장기적인 측면에서 자산이 될 수 있으나, 단기적인 측면에서는 상환해야 하는 부채의 성격과 유사하기 때문에 소득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 한 기존 지출의 조정 등과 같은 재무관리가 수반되지 않으면 저축의 지속성을 담보하기 어려움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월평균 급여액은 월 평균 191.4만원으로, 이는 전 연령 평균 월 급여액(300.2만원), 유사연령 월급여액(234만원)보다 낮은 수준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월 급여 수준은 최저임금, 물가상승률 등으로 지속적으 로 상승되는 경향을 보이나,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수준이므로 지속적 저축을 유인 하기 위한 체계적인 재무 관리가 필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는 모든 차수에서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가 감소함 - 각 차수별 사업 참여 이후 사후조사에서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금전에 대한 스트레스, 재정 상태에 대한 만족도, 생활비에 대한 걱정 등의 항목에서 공통적으로 경제적 스트레스가 감소 ・ 모든 참여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세부 영역별로는 참여 기수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사후관리 등의 과정에서 심층적으로 살펴 보는 것이 필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은 약화되는 경향을 보임 - 1차․2차 참여자는 소비나 저축에 대한 계획 수립, 계획적인 소비나 저축의 실천 측면에서 재무관리 역량이 부정적으로 변화

Ⅲ. 결론 및 정책 제언 67 - 3차․4차․5차 소비나 저축에 대한 계획 수립, 계획적인 소비나 저축의 실천 외 참 여자는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여유자금 준비, 자산현황의 인지 미흡, 향후 지출에 대한 준비 측면에서 재무관리 역량이 부정적으로 변화 - 일하는 청년통장은 대상자의 자산형성지원 외 자산형성을 통한 미래위험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대상자의 재무관리역량 증진이 필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자아존중감 수준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 1차 참여자의 자존감 수준은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2차․3차․4차․5차 참여자의 자존감 수준은 사전조사 대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자존감 하락은 정책진입으로 인한 효과보다는 청년들을 둘러 싼 다양한 현실과 조건(직장생활, 재무상태, 경제적 스트레스 등)에 의한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됨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자존감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운영은 어려우나, 교육, 사후관리 범주 내에서 자존감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필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정책 만족, 미래희망 증대, 이직의사 감소 등 효과는 긍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남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평균 정책 만족 수준은 89점으로 정부 및 지자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책 만족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최종 사후조사 정책 만족도 점수와 대학 내일 20대 연구소 (2018) 정책 만족도와 비교하여 볼 때, 만족 비율은 각각 96.8%, 32.5%이고, 환산 점수 의 간극은 약 29점 차이가 발생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 증대에 대한 기대감은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미래에 대한 희망증대는 약 85%가 긍정적으로 기대하는 것 으로 응답하고 있으나, 현재의 미래에 거는 희망이 지속될 수 있도록 사업 참여기간동안 지원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이직에 대한 고민은 감소하였고, 상대적으로 이직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 ・ 일반 청년의 1년 미만 이직 비율이 72.6% 수준(김재신, 2017)임을 고려할 때, 일하는 청 년통장 참여자의 이직고민 및 의사 감소 비율이 60% 이상이라는 점은 긍정적임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통장사업 이후 이직에 대한 의사 및 고민에 대해 약 57%가 감소하였다고 응답

68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2. 정책 제언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관리 체계 정립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는 경기도 청년정책 수립을 위한 중요한 자산이므로, 참여자에 대한 통장사업 외 정책수립을 위한 대상자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 정립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경제․환경․심리 등 변화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는 도내 청년관련 정책을 수립에 매우 유용한 자료임 ・ 도내 청년을 대상으로 한 별도의 조사 집단이 구성하여 설문조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음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는 시군 청년 인구비율과 연령별로 분포되어 있는 설문조사 집단으로 활용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활용도가 낮음 - 표본 구성의 의미와 활용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참여자에 대한 관리체계 등이 미흡하여, 금융태도조사 등 원활한 설문조사 진행이 어려움 ・ 금융태도조사 시행마다 조사에 응답하는 인원수가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정책의 질적 효과 및 정책 개선을 위한 설문결과 도출의 제약이 발생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기간 동안 설문 등 관련 조사 참여에 대한 의무를 부과하고, 지속적인 설문 참여 유인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 등 관리 방안 도입 ・ 일하는 청년통장 협약서 상 청년통장 및 관련 설문 참여에 대한 성실의무 규정을 명시하고, 관련 사항을 이행하지 않을 시 추가 교육 시간 부여, 교재제공 등 지원과정에서 불이익 제공 ・ 설문조사에 성실히 참여한 청년에 대해서는 금융․재무 컨설팅 서비스 무상 제공, 학습 교재 제공, 재단 대표이사 표창 수여, 차기 참여자에 대한 멘토 역할 수행 등의 우선 기회 제공 □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 컨설팅 등 지원 강화 ○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 수준은 약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통장사업의 양적․질적 성과 증진을 위한 지원 강화 - 자산형성지원사업은 적립금 지원 및 저축독려만으로 통자유지률, 만기적립 비율 등 양적인 성과와 대상자의 자립역량 등의 사회․경제적 변화를 기대하는 것은 어려 움 ・ 자산형성지원사업은 궁극적으로 참여자의 자주적인 재무관리 역량을 배양하여, 자립할 수 있는 기회와 역량을 증진하는데 있음(Birkenmaier et al., 2013)

Ⅲ. 결론 및 정책 제언 69 ・ 재무관리 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은 자산형성지원사업 과정에서 재무관리 교육 및 프로 그램의 참여를 통해 효과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음(Beverly et al., 2008) - 경기도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재무관리 교육, 컨설팅 등 참여자의 재무관리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지원프로그램 등 체계적 운영이 필요 ・ 이와 관련하여 경기복지재단(2017)은 참여자의 재무역량강화, 컨설팅, 교육 등을 주요 내 용으로 하는 ‘일하는 청년통장 사후관리 매뉴얼’을 연구‧제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운영 상의 제약으로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고 있음 ・ 재무관리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 컨설팅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서는 현재 경기복지재 단 내 현재 인력에 대한 관련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과 추가적인 인력배치가 필요 ○ 온라인 교육, 사이버 교육 등을 통한 참여자의 교육 접근성 강화 - 집합형태의 금융․재무 교육은 근로활동을 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접근성, 시간의 제 약 등으로 실제 교육 참여의 기회를 제한할 수 있음 - 집합 교육 외 온라인 및 사이버 교육 등을 제공함으로써 접근성, 시간 제약성의 문 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내용의 교육을 제공하여 대상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회 확 대를 통해 교육에 대한 욕구 해소 ○ 금융․재무 교육, 컨설팅 등 지원 프로그램의 내용 및 질 향상을 위한 평가체계 정립 - 현재 일하는 청년통장 금융․재무 교육의 평가는 교육 내용, 만족도를 중심으로 평 가가 이루어지고, 관련 내용을 개선할 수 있는 단계까지의 평가 체계는 미정립 - 수요자의 욕구 해소, 내용의 질, 만족도 등 전반적인 교육의 질 향상 차원에서 보 다 체계적이고, 정교한 평가체계를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고, 평가 내용과 결과는 교육 내용 구성에 환류 되어 반영되는 체계 구축 ○ 일하는 청년자문단(가칭)을 통한 재무컨설팅 및 교육의 효과가 신규 사업 참여 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체계 구축 및 운영 - 1차․2차 만기 적립자 및 금융․재무 관리 역량이 뛰어난 참여자를 멘토 그룹으로 구 성하고, 신규 사업 참여자를 멘티 그룹으로 설정하여, 재무컨설팅, 교육의 유용성, 효과 등이 신규 참여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 ・ 재무․금융 전문 컨설팅, 교육 외 비슷한 상황에서 실제 재무 컨설팅 및 교육의 효과를 선 경험한 참여자가 조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련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증진

70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성과 분석 □ 청년통장 참여자의 질적 평가 및 사후 평가 체계 정립 ○ 정책 및 지원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변화 요인 에 대한 심층적 조사 체계 정립 - 현행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의 질적 평가는 참여자의 특성 및 유형에 따른 성과 요인에 대한 심층적 도출이 어려움 ・ ‘금융태도변화조사’는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변화 수준을 측정할 수 있으나, 그 내용의 수준이 대상자의 특성 및 유형에 따른 심층 분석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함 - 일하는 청년통장의 질적인 성과는 대상자의 성공 스토리, 삶의 질의 급격한 변화 등 참여자의 사후관리 과정에서 질적인 요인들을 도출하는 것이 적절 ・ 양적인 지표 중심의 성과평가 및 측정은 사업의 실질적인 효과를 과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참여자의 태도 및 인식 변화 관련 질적 조사를 통해 성과 요인의 도출 과정이 필요 ○ 자선형성지원사업은 적립지원 후 적립의 활용, 사업 종료 후 참여자의 변화 등 후속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체계 구축 - 자산형성지원사업은 사업 종료 후 적립금의 활용, 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변화 등 사업 진행과정에서 도출되지 않았던 성과들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음 - 일하는 청년통장 적립금 수혜자들 대상으로 최소 1년간 참여자 관리를 통해 사후성 과를 측정할 수 있는 체계 정립이 필요 ・ 참여자의 사후성과를 체계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대상자 관리와도 밀접 하기 때문에 대상자 관리체계와 연계하여 사후성과 측정 체계를 구축

참고문헌 71 < 국내자료> 경기복지재단 내부자료(2018). 󰡔일하는 청년통장 실적보고󰡕, 경기복지재단. 국가보훈처(2004). 󰡔국가보훈처 성과목표 및 지표 개발󰡕, 국가보훈처. 김재신(2017). “청년층의 이직행동 결정요인 분석”, 『노동패널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노동연구원. 대학 내일 20대 연구소(2018). 『정부․지자체 추진 청년정책에 대한 1934 청년들의 인 지수준과 만족도 평가󰡕, 대학 내일 20대 연구소. 이윤식(2010). 󰡔정책평가론󰡕, 서울:대영문화사. 장동호(2013). “저소득층을 위한 금융코칭 프로그램의 개념 및 가능성”,『사회복지정책󰡕, 40(3):207-231,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통계청(2015).『사업체 노동력조사󰡕, 통계청. (2018).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고용노동부. 한국노동연구원(2005).『일자리 지원사업 성과지표 개발 및 성과평가 등 성과분석 체계 구축󰡕, 한국노동연구원. < 국외자료> Beverly, S., Sherraden, M., Zhan, M., Shanks, T. & Y. Nam(2008). Determinants of Asset Building. A Report in the Series Poor Finances: Assets and Low-Income Households, Center for Social Development,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and Reid Cramer New America Foundation. Birkenmaier, J., Sherraden, M. and Curley (eds)(2013). Financial Capability and Asset Development:Research,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J. Song, M. Kim & A. Bhattacherjee(2014). Social Science Research, KOCW Open Access Textbooks.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