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보고 2016-14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연구책임 | 공동연구 | 최조순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박예은 경기복지재단 연구원 현동길 경기복지재단 연구원

경기복지재단 정책연구보고 2016-14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발행일 2016년 11월 발행인 경기복지재단 대표이사 직무대행 이사 배수용 발행처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 16207 Tel. 1577-4312 Fax. 031-898-5937 Homepage. ggwf.gg.go.kr

발 간 사 현재 전국적으로 지역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많은 공동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공동 체 활동은 직·간접적으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인식되면서 정책적 확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공동체 정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이유 중 하나는 지역의 문제를 지역주민들이 스스로 해결하고, 이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공공과 지역사회 간 연계를 통해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경기도는 지역의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한 주민조직화 사업으로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과 따복공동체 사업 등을 추진하 고 있다.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경기도 내 타 공동체 사업과 달리 ‘복지’라는 영역에 특화되어, 지역 내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을 발굴하고, 이들을 지원함으로써 삶의 질을 개선시 키는데 방점을 두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복지공동체 사업은 서비스 수혜자가 다시 복지서비 스 생산자로 전환되어 복지서비스 제공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타 공동체 사업 과 차별성이 있다.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올해로 시행 5주년을 맞았으나, 따복공동체 등 타 공동체 정책 과의 차별성 문제, 가시적인 성과 미흡 등의 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보고서는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공공복 지의 사각지대 보완이라는 사업의 목적 및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향 후 주민이 주체가 되는 건강한 복지공동체가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경기도민의 삶의 질이 높아지고, 공동체 활동을 통한 복지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본 보고서가 나오기까지 노고를 아끼지 않은 관련부서 공무원, 경기복지재단 연구진과 적절한 조언을 해주신 외부 전문가들의 노고에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6년 11월 경기복지재단 대표이사 직무대행 이사 배 수 용 발간사

요 약 i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을 진단하여 성과와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음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복지 영역에서 지난 5년간 경기도 내 취약계층의 삶 의 질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주민의 자발성 및 적극성 촉진 에 대한 한계, 경기도 내 유사 공동체 사업과의 차별성 미흡 등 사업의 정체성 문제에 직면하고 있음 -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념 및 특징,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성과 등을 살펴보고,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지역주민과의 소통 및 교류’, ‘나눔, 돌봄 영역에 서 사회적 편익 발생’, ‘공동체 내 자원 확보 역량의 증대’ 등의 측면에서 성 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 -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역주민 소통 및 교류의 경우,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한 인원은 2012년 대비 2015년 6.3배 정도 증가하였고, 복지공동체 1개소 당 평 균 참여인원은 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나눔, 돌봄 영역에서의 사회적 편익 발생의 경우,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이 수행하는 재능기부, 무료봉사 등의 활동이 지역 내 사회적으로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됨 - 공동체 내 자원 확보 역량 증대의 경우,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의 자기부담재원 비중은 2012년 대비 2015년 1.2배 증가하였으며, 자기부담재원 총량은 2012년 대비 2015년 3.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이 재도약할 수 있는 발전방안 ‘복지공동체 사업의 정체성 확립’,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별 공동체 육성 지원’, ‘복지공동체 사 업의 지원체계 강화’, ‘복지공동체 사업의 주체 역량 강화’로 제시 요약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ii - 복지공동체 사업의 정체성 확립 : 경기도 복지공동체 기본 계획의 수립을 통해 비전과 사업목표를 명확하게 정립하고, 각 영역별 지원 체계정립을 통해 복지 공동체 사업의 실효성 강화 -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별 공동체 육성 지원 : 복지공동체 수행 주체(시설 기반 복지공동체,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 활동 영역(나눔, 돌봄 등) 등을 고려 하여 단계별 사업계획 수립 지원 -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원체계 강화 : 공공 및 민간영역의 자원 연계 및 교류, 정 보 제공, 컨설팅, 평가 등 사업 추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기반 조성 ・ 지역기반 지원체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를 위한 정보, 자원 연계 지원 ・ 평가체계 개편: 과정-결과 연동 평가, 사회적 편익이 반영될 수 있는 평가 체계정립 ・ 현장 컨설팅 강화: 상시 컨설팅 체계 구축, 자원연계, 조직운영 등 컨설팅 지원 ・ 자원교류 및 연계: 지역 내․외부의 다양한 자원연계를 통한 자원역량 강화 및 서비스 확대 - 복지공동체 사업의 주체 역량 강화: 사업 참여 공동체 및 주민을 대상으로 교 육을 통한 역량 강화 및 복지공동체에 대한 성과 공유 ・ 지역복지지기 교육 : 복지공동체 구성원 및 지역주민 대상 역량강화 및 인식 개선 교육 ・ 우수사례 현장방문 : 복지공동체 우수 사례 경험 및 현장 방문을 통한 노하우 전수 ・ 백서 및 우수사례집 발간 : 복지공동체 사업에 대한 이해와 인식제고, 복지공동체 모델 확산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지역에서 주민교류 및 소통 활성화, 지역 내 복지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생산의 실현, 지역의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하는 의미 있는 사업이므로, 복지공동체 사업의 발전방안 추진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음 ○ 첫째, 복지공동체 사업 수행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경기복지재단 내 전담 인력 및 조직의 구성하고 사업 수행 - 복지공동체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진행해야 할 현장중심의 컨설팅(피어컨설 팅), 자원연계 및 교류, 사업 백서 및 우수사례집 발간 등 역할 확대를 고려할 때 전담 인력(3명) 확보와 조직 구성

요 약 iii ○ 복지공동체 사업의 성과, 활동, 공동체 간 형성되는 네트워크의 투명성 강 화를 위한 지식정보 교류체계(예: 온라인 지식공작소 등) 구축․운영 - 복지공동체 사업 및 참여 공동체의 투명성 강화를 위한 대안으로 조직현황, 활 동, 성과 등의 정량적 자료와 조직 활동, 사회적기여, 인터뷰 등 정성적 자료의 공유 촉진 및 복지공동체 활성화, 복지공동체 사업의 가치의 실현을 위한 투명 성 강화 ○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복지공동체를 위한 경기복지재단 중심의 지역 기반 지원체계 구축 및 추진 - 복지공동체 사업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의 역할 재정립과 전달체계의 재정립 추진 - 경기도 : 복지공동체 사업의 기획 및 재정지원, 지역지원기관 운영지원 등 - 경기복지재단 : 복지공동체 사업 수행 및 컨설팅, 자원연계, 우수사례 발굴 등 복지공동체 사업 전반에 대한 운영 역할 수행 - 복지관 등 지역기관 : 지역 내 복지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자원 및 기관 연계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전달체계 개편(안) 및 주체별 주요 역할>

목 차 v Ⅰ 연구개요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3 2. 연구 내용 및 방법 ······················································································ 4 Ⅱ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의의 / 7 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요 ································································· 9 2. 경기도 복지공동체 발전 과정 ··································································· 12 3.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의의 ······························································ 22 Ⅲ 경기도 복지공동체사업의 성과 진단 / 27 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 29 2. 시사점 ········································································································ 50 Ⅳ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발전 방안 / 53 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 55 2.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별 공동체 육성 지원 ································ 59 3.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원체계 강화 ·············································· 62 4.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주체 역량 강화 ············································ 68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 71 1. 요약 및 결론 ······························································································ 73 2. 정책 제언 ··································································································· 75 참고문헌 / 77 부록 / 79 목차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vi 표 차례 <표 Ⅱ-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과 따복공동체 사업의 비교 ·················· 11 <표 Ⅱ-2> 경기도 복지공동체사업 추진 경과 ·············································· 12 <표 Ⅱ-3> 경기도 복지공동체의 사업 변화 과정 및 특징 ·························· 13 <표 Ⅱ-4> 경기도 복지공동체 선정 현황 ····················································· 16 <표 Ⅱ-5> 복지공동체 지원 현황 ·································································· 16 <표 Ⅱ-6> 경기도 복지공동체 선정․지원 조직 유형 ···································· 17 <표 Ⅱ-7> 2012-2016년 경기도 복지공동체 운영 현황 ······························ 18 <표 Ⅱ-8> 경기도 복지공동체 운영 및 지원 예산 현황 ····························· 20 <표 Ⅱ-9> 공동체 거버넌스 유형 ································································· 25 <표 Ⅲ-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 구성 ··············· 29 <표 Ⅲ-2> 복지공동체 사업의 인지 및 인지 경로 ······································· 31 <표 Ⅲ-3> 복지공동체 유형별 사업 인지 매체 ············································ 31 <표 Ⅲ-4>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과 따복공동체 사업의 차이 인식 및 내용 ························································································ 32 <표 Ⅲ-5> 복지공동체 자립의 필요성 ·························································· 32 <표 Ⅲ-6> 복지공동체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 33 <표 Ⅲ-7>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경기도 역할 ··········· 34 <표 Ⅲ-8>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기관의 역할 ···· 34 <표 Ⅲ-9>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을 통한 지역주민과의 관계개선 효과 35 <표 Ⅲ-10>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을 통한 지역주민과의 소통 및 교류 활성화 효과 ······································································· 36 <표 Ⅲ-1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역주민 소통 및 교류 성과 ········ 36 <표 Ⅲ-12>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을 통한 지역복지문제 해결의 효과 ··· 37 <표 Ⅲ-13>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을 통한 지역 내 활성화 촉진의 효과40 <표 Ⅲ-14> 복지공동체 총 사업비 내 공동체 자기부담 비중 ····················· 41 <표 Ⅲ-15>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 공동체 인터뷰 참여자 개요 ···· 42 <표 Ⅲ-16>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운영 및 지원 예산 현황 ··············· 48

목 차 vii 그림 차례 <그림 Ⅱ-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목적과 추진 방향 ························· 10 <그림 Ⅱ-2> 경기도 서로돌봄마을 사업과 복지공동체 사업의 절차 비교 ··· 14 <그림 Ⅱ-3>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지원 절차(’16년 기준) ····················· 15 <그림 Ⅱ-4>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추진 체계 ····································· 21 <그림 Ⅲ-1> 경기도 복지공동체 시업 운영과정의 문제점 ·························· 48 <그림 Ⅳ-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미션 및 비전, 사업목표(안) ········ 56 <그림 Ⅳ-2>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기본계획 체계 및 내용(안) ········· 57 <그림 Ⅳ-3>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전달체계 개편 방향(안) ·················· 62 <그림 Ⅳ-4> 경기복지재단과 지역복지관을 연계한 지원체계(안) ·············· 63 <그림 Ⅳ-5> 자원 교류 및 연계를 통한 공동체 연대의 형성 과정 ··········· 67

Ⅰ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Ⅰ 연 구 개 요 3 1 연구배경 및 목적 □ 사회 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공동체에 대한 관심 증대 ○ 공공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중심의 의사결정과 서비스 생산에 의존하던 과거 와 달리, 현대사회는 정부, 시장, 시민사회 영역이 협력하는 방식으로 변화 하고 있음 - 즉, 현대사회는 공공문제 해결에 있어 수동적 입장에 놓여있던 시민사회 영역 을 공공문제 해결의 주체 또는 협력의 대상으로 강조하고 있음 - 최근 공공문제 해결의 협력 대상으로 공동체가 부상하고 있으며, 공동체의 재 조명은 산업화‧도시화된 현대사회 속에서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는 사회운동 의 성격이 강함 ・ 선진국에서는 공동체를 중심으로 주민들의 관계 형성, 역량 강화를 통해 지역 내 필요한 욕구와 문제를 주민들 스스로 또는 관련 주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해 결하는 중요한 기제로 인식하고 있음(Lowndes & Sullivan, 2008) □ 공동체 단위의 조직화 및 사회문제 해결의 기제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공동체 단위의 지역사회 조직화와 주민참여를 통 해 지역 내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어려운 이웃들을 보호‧지원하기 위한 목적 으로 2012년 도입 ⨠⨠Ⅰ 연구개요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4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복지 영역에서 지난 5년간 경기도 내 복지사각 지대에 있는 사회배려계층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그러나 복지공동체 사업 추진의 초기단계에서 지역복지관 등 시설을 중심으로 운영되어 주민의 자발성 및 적극성을 저해하였다는 비판도 존재 - 복지공동체 사업 추진과정에서 주민의 자발성, 적극성 등에 대한 진단 없이 단 순한 성과 중심으로 사업이 운영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음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대한 진단 및 발전 방안 모색 을 통해 사업의 실효성을 증진하는데 있음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이 추진된 지 5년이 경과하였으나, 사업의 운영성 과 및 실태, 사업 추진과정에서의 한계 및 개선방안 등 사업 전반에 대한 진단이 미흡 - 특히,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이 공공과 민간 영역의 결합을 통해 지역 내 복 지 문제 해결을 위한 복지의 서비스 공급에 함께 참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효과 검증은 부재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을 통해 도출된 한계 등을 토대로 개선방안 제시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정책 방향, 전달체계 개편, 평가체계 및 지표 개선 등을 통해 사업의 실효성 증진 향상에 기여 2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을 진단하여 성과와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으며,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루고자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념 및 특징, 의의 고찰 ・ 복지영역에서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념 및 특징 등 경기도에서 추진되고 있는 유사한 공동체사업과의 차별성 확보 ・ 향후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이 지속되어야 하는 사업의 명분 도출

Ⅰ 연 구 개 요 5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성과 및 개선방안 도출 ・ 2012년부터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는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변화과정 및 성과와 한계 등 분석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한 개선방안 제시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발전을 위한 행정적․제도적 개선과 복지공동체 사업 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전달체계 개편, 복지공동체 사업의 효과 진단을 위한 평 가체계 및 지표 개발 등의 방안 제시 ○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태분석을 중심으로 진행 - 문헌연구 : 복지공동체의 정책적 의의와 복지공동체의 운영 진단의 기준 도출 등은 국내‧외 관련 서적과 논문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 - 실증연구 : 복지공동체의 이해당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통 해 연구 내용의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함 ・ 설문조사는 현재 2016년 복지공동체 사업대상으로 선정된 31개 공동체의 (2016년 기준) 운영자 및 참여자를 대상으로 총 1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 며, 총 8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을 진행 ・ 설문지 구성은 객관형 응답 방식과 주관형 응답방식을 혼합하여 구성하였으며, 공동체의 특성 및 인식 등을 살펴보기 위하여 복지공동체 유형을 시설 기반과 주민조직 기반, 두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

Ⅱ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의의 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요 2. 경기도 복지공동체 발전 과정 3.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의의

Ⅱ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의 의 9 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요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복지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다양한 복지문제를 해결 하기 위하여 도입 - 경기도 복지공동체는 일정한 지리적 공간을 기반으로 지역구성원들이 자발적 이고 주도적으로 나눔, 배려, 돌봄의 가치를 통해 사회배려계층의 생활전반 문 제를 해결하는 주민참여 조직으로 정의 ・ 복지공동체는 지역주민 주도의 다양한 품앗이 활성화를 통해 사회적 배려계층이 필요로 하는 사회서비스를 이웃 간 상부상조의 노력으로 해소하여 복지비용의 절감을 기대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목적은 복지공동체가 추구하는 나눔, 돌봄, 배려의 가치를 기반으로 따뜻한 주민공동체, 복지 친화적 공동체 활성화에 있음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복지관련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 서적 욕구까지 충족하는 공동체 조성 ・ 누구나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상시적인 상호부조 형태로 주고받음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는 “체감형” 공동체를 지향 ⨠⨠Ⅱ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의의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0 <그림 Ⅱ-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목적과 추진 방향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복지영역에 특화된 실천적 공동체 사업의 성격이 강함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주요 영역은 ‘저소득 맞벌이 가정 공동육아’, ‘저소 득 아동 학습 품앗이’, ‘독거노인 지원’, ‘문화소외계층 예능 나눔’, ‘다문화 가정 지원’ 등 지역의 사회배려계층 중심의 복지서비스 제공에 특화되어 있음 - 또한, 이웃 간 공동체 복원을 희망하는 마을 및 단체가 주요 사업의 주체이며, 이웃 간의 다양한 상부상조 활동으로 나눔 문화를 실현하는 등 실천적 성격이 강함 ○ <표 Ⅱ-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과 따복공동체 사 업은 경기도 내에서 추진되는 공동체 사업이지만, 주요 사업 대상 및 추진 방향이 서로 상이함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주민주도의 복지영역 특화 및 사회성(공공성)의 가 치를 중요하게 고려하며, 이에 따라 공동체 중심의 실천력을 강조 - 반면 따복공동체 사업은 상대적으로 조직중심의 사회적경제 영역 활동범위의 확대 및 영리성의 가치를 중요하게 고려하며, 이에 따라 지역중심의 연계성(협 력성)을 강조

Ⅱ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의 의 11 구분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경기도 따복공동체 사업 대상  이웃 간 공동체 복원을 희망하는 마을 및 단체 -단체의 경우 특정 법인격을 여부에 구애받지 않음 ※ 이웃은 공간의 개념이 아닌 다양한 상부상조의 활동이 가능한 최소 단위  마을기업,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자활기업 등 사회적경제 영역을 포괄하는 단체 - 단체의 경우 일정수준의 법인격을 갖추고 있어야 함 추진방향  주민의 공동체 문화 회복  이웃 간 다양한 상부상조 활동으로 나눔문화 활성화 유도  관심, 배려, 신뢰 등으로 생활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정서적 욕구까지 충족하는 복지공동체 지향 - 사회적 공동생산 및 사회적 자본의 확충  마을공동체와 사회적 경제를 융합하는 통합적 체계 구축  지역 특성화를 고려한 모델 개발 집중화, 지역 간 균형배치 추진  청년, 은퇴자,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 제공과 일자리 연계 모델 개발 사업내용  공동육아, 자녀학습 품앗이, 독거노인 지원, 예능 나눔, 이웃 돕는 골목공동체, 다문화 가정 행복 나눔 등 - 대상 및 영역 중심의 활동 추진  따복공동체 공간 지원 - 주민들이 모이고 소통하기 위한 다목적 커뮤니티 공간 조성  따복공동체 활동 지원 - 복지,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복합적인 주민수요에 대한 맞춤형 지원  따복공동체 활성화 - 교육지원, 시․군 협력증진, 마을계획 지원 사례 발굴 및 확산  사회적 경제 역량 강화 - 사회적경제 조직 발굴․육성 및 맞춤형 컨설팅,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네트워크 구축 및 협동화 사업, 사회적경제 시장 조성 등 특징  주민주도  복지영역 특화 및 사회성(공공성) 추구  공동체 기반의 실천적 공동체 실현  조직 중심  사회적경제 영역의 활동 범위 및 영리성 추구  지역적 차원의 협력적 공동체 지향 <표 Ⅱ-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과 따복공동체 사업의 비교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2 2 경기도 복지공동체 발전 과정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2012년 ‘서로돌봄마을’에서 출발하여, 2014년 ‘무 한돌봄 공동체’로 사업명이 변경되었으며, 2015년 ‘복지공동체’라는 사업명으 로 추진 - 복지공동체의 추진 현황은 <표 Ⅱ-2>와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서로돌봄마을 구성․운영 기본계획 수립 : ‘12. 3월  서로돌봄마을 시범사업 공모 계획 : ‘12. 5월  서로돌봄마을 시범사업 1차 선정 : ‘12. 7월(총 8개 공동체 선정)  서로돌봄마을 2차 년도 사업 공모 : ‘13년 1월  서로돌봄마을 2차 년도 사업 선정 : ‘13년 4월  무한돌봄공동체 구성․운영 기본계획 수립 : ‘13년 8월  무한돌봄공동체 사업 공모 : ‘13년 9월  무한돌봄공동체 사업 선정 : ‘13년 12월  복지공동체 1차 년도 사업 공모 : ‘15년 1월  복지공동체 1차 년도 사업 선정 : ‘15년 3월  복지공동체 2차 년도 사업 공모 : ‘15년 9월  복지공동체 2차 년도 사업 선정 : ‘15년 11월  복지공동체 3차 년도 사업 공모 : ‘16년 9월  복지공동체 3차 년도 사업 선정 : ‘16년 11월 자료: 경기도 내부자료(2012~2016)를 토대로 저자가 재구성 <표 Ⅱ-2> 경기도 복지공동체사업 추진 경과 ○ 2012년 도입된 ‘서로돌봄마을’ 사업은 주민주도 공동체 문화 형성에 사업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음 - ‘서로돌봄마을’ 사업 추진 방향 및 내용도 주민의 자치 역량 강화, 주민스스로 함께 사는 마을 만들기 등의 내용을 포괄하고 있음 - ‘서로돌봄마을’ 사업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공동체 정책을 통해 주민자치와 주 민의 참여 수준 확대는 지역에 실정에 맞은 공적 문제를 주민 스스로 해결하는 통치권의 분배와 관련성이 있음(최조순 외, 2015)

Ⅱ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의 의 13 ○ 2014년부터 추진된 ‘무한돌봄 공동체’ 사업 이후 지역의 특정 영역에 대한 실행가능성과 지속가능성을 사업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음 - ‘무한돌봄 공동체 사업’ 이후 지역 내 나눔, 배려, 돌봄의 가치 실현을 살펴보기 위한 심사기준과 내용 중심으로 구성 유형 서로 돌봄마을(2012년~2013년) 무한돌봄 공동체 (2014년) 복지공동체 (2015년~현재) 공동체 유형 (사업 유형)  재능 나눔 공동체  물질 나눔 공동체  마음 나눔 공동체  재능 나눔, 물질 나눔, 마음 나눔 공동체  취약계층 돌봄 공동체  공동체 복원 공동체 주요 특징  상부상조의 공동체 문화 회복  주민 자치역량 강화  주민 스스로의 함께 사는 마을만들기  이웃 간 재능, 물질, 마음을 나누는 따뜻한 공동체 육성  상부상조의 나눔 문화 확산 심사 기준  주민참여도  실현가능성  효과성  현장 평가  주민참여도  실현가능성  효과성  지속성  내용의 충실성 자료: 경기도 내부자료(2012~2015년)를 토대로 저자가 재정리 <표 Ⅱ-3> 경기도 복지공동체의 사업 변화 과정 및 특징 ○ 2012년 도입된 ‘서로돌봄마을’ 사업은 주민스스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 해 나갈 수 있도록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으로 주민주도를 중심으 로 지원절차가 설계된 성격이 강함 - 주민이 제출한 서류를 토대로 주민스스로 해당 사업의 수행 여부 진단 및 지역 주민이 제안한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스스로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갈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갖추고 있음 ○ 2014년 ‘무한돌봄 공동체’ 사업 이후 실행가능성과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둔 방식으로 지원절차가 보완 - 사업시행 과정에서 컨설팅 등의 절차 보완을 통해 복지공동체 사업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고, 단기적 시각에서 사업을 추진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 에서 지속된 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절차를 전환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4 자료: 경기도 내부자료(2012~2016)를 토대로 저자가 재구성 주: 음영이 들어간 절차가 복지공동체 사업 추진과정에서 변화된 부분 <그림 Ⅱ-2> 경기도 서로돌봄마을 사업과 복지공동체 사업의 절차 비교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추진 절차는 경기복지재단에서 시행하는 컨설팅, 마을지도자 양성 교육, 정책설명회 및 간담회 등을 통해 내부 역량 강화에 집중 - 복지공동체 사업의 추진절차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그림 Ⅱ-3> 참조), 경 기복지재단에서 시행하는 컨설팅, 간담회 등을 통해 복지공동체의 실현가능성 과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음

Ⅱ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의 의 15 자료: 경기도 내부자료(2016) 주: 필수절차, 선택 절차 <그림 Ⅱ-3>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지원 절차(’16년 기준)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2012년 9개 공동체 지원을 시작으로 2016년 25 개의 공동체를 지원하고 있음 - 연도별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선정 현황을 살펴보면, 2012년 9개, 2013년 19개, 2014년 24개, 2015년 31개(추경 포함), 2016년 25개의 조직 및 단체들 이 복지공동체로 선정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6 구분 총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수원시 10 1 2 - 3 4 성남시 12 - 2 2 5 3 부천시 15 2 2 2 5 4 안산시 12 1 1 5 5 - 안양시 7 1 2 1 1 2 시흥시 14 - 1 4 4 5 광명시 6 - - 1 3 2 안성시 1 - 1 - - - 오산시 5 1 2 2 - - 의왕시 7 1 2 1 1 2 <표 Ⅱ-5> 복지공동체 지원 현황 (단위: 개) 구분 신규(개) 계속(개) 일몰(포기)(개) 총계(개) 2012년 9 - - 9 2013년 11 8 1 19 2014년 15 9 10 24 2015년 13 18 7 31 2016년 7 18 9 25 총계 55 53 27 108 자료: 경기도 내부자료(2012~2016) 주 : 총계는 신규사업 + 계속사업 <표 Ⅱ-4> 경기도 복지공동체 선정 현황 ○ 경기도 복지공동체로 선정되어 1회 이상 예산을 지원받은 공동체의 지역을 살펴보면, 부천시 15개, 시흥시 14개, 성남시와 안산시 각각 12개 순으로 나타남 - 안성시와 고양시, 구리시의 경우 각각 1개의 복지공동체가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경기도 남부지역보다는 북부지역에서 선정된 조직수가 적음 ・ 5년간 경기도 남부지역에서 지원받은 복지공동체는 총 82개였으며, 북부지역은 총 15개로 북부 지역의 조직수가 적은 것으로 분석

Ⅱ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의 의 17 구분 총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양평군 4 1 1 1 1 - 고양시 1 - 1 - - - 남양주시 7 1 1 1 1 3 의정부시 2 - 1 1 - - 파주시 2 - - 1 1 - 구리시 1 - - 1 - - 연천군 2 - - 1 1 - 총계 108 9 19 24 31 25 자료: 경기도 내부자료(2012~2016) 주: 총계는 복지공동체 선정 및 지원의 합 구분 총계 복지관 등 시설 주민조직 수원시 6 4 2 성남시 8 3 5 부천시 8 4 4 안산시 6 1 5 안양시 2 2 - 시흥시 5 5 - 광명시 3 3 - 안성시 1 1 - 오산시 2 2 - 의왕시 4 - 4 양평군 1 - 1 고양시 1 - 1 <표 Ⅱ-6> 경기도 복지공동체 선정․지원 조직 유형 (단위: 개)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선정된 공동체 수는 총 55개이며, 이 중 약 47.3%(26개)가 주민조직의 성격을 갖는 조직으로 나타남 - 주민조직 성격의 공동체는 주민들의 자발적인 결사체 성격의 조직으로 ‘주민주 도복지공동체’, ‘3세대문화사랑회’ 등과 같이 법인격을 갖추지 않은 자발적 모 임 성격의 조직이 다수 존재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한 시설성격의 29개 조직은 사회복지관 23개, 건강 가정지원센터 3개, 주간보호시설 및 센터 2개, 무한돌봄 네트워크사업 1개로 분석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8 구분 총계 복지관 등 시설 주민조직 남양주시 4 1 3 의정부시 1 1 - 파주시 1 1 - 구리시 1 1 - 연천군 1 - 1 총계 55 29 26 자료: 경기도 내부자료(2012~2016) 시·군 유형 사업명 운영단체 지원시점2012 2013 2014 2015 2016 수원 (6) 시설 기반 세대통합 너!나!우리! 행복한마을 만들기 무봉종합사회복지관   ○       나눔이 쉬어진다 홀씨밴드 광교장애인주간보호시설       ○ ○ 별무리광교대학로마을 광교종합사회복지관       ○ ○ 참 좋은 이웃 호매실장애인종합복지관         ○ 주민 조직 기반 지동마을작업장의 문화복지사업 이웃문화협동조합추진위원회 ○         버드네길 참새방앗간 3세대문화사랑회   ○   ○ ○ 성남 (8) 시설 기반 하얀마을 신가족애 탄생 분당노인종합복지관   ○       너와 나를 빚어 우리 말아톤장애인주간보호센터       ○   새싹이 바르게 자라는 박석골 품앗이 상대원3동복지회관       ○ ○ 주민 조직 기반 찾아가는 이야기 놀이터 이야기놀이터 그린나래   ○ 오색반짇고리 사회적협동조합 일하는학교     ○ 시나브로 가족 남한산성복지회     ○ ○ ○ 행복창작 행복창작       ○   태평마을지기단 홀몸어르신 돌봄사업 태평마을지기단       ○ ○ 부천 (8) 시설 기반 서로 돌보는 복지마을만들기 프로젝트 춘의복지관 ○ ○       <표 Ⅱ-7> 2012-2016년 경기도 복지공동체 운영 현황 ○ 2012년 ~ 2016년 동안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선정된 시․군, 유형, 운영 단체 및 사업명, 연도별 지원여부 등을 정리한 내용은 <표 Ⅱ-7>과 같음 - 경기도 복지공동체사업을 선정된 공동체는 최소 1회에서 최대 5회까지 지원이 이루어졌음 ・ ‘원종복지관의 시끌벅적골목이야기’, ‘부흥사회복지관의 더불어 사는 인정이 넘 치는 마을만들기’ 사업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회 지원을 받은 것으로 분석

Ⅱ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의 의 19 시·군 유형 사업명 운영단체 지원시점2012 2013 2014 2015 2016 시끌벅적 골목이야기 원종복지관 ○ ○ ○ ○ ○ 덕유 통.신.원 덕유사회복지관     ○     복사골 생생일터 공동체 부천근로자건강센터       ○ ○ 주민 조직 기반 아낌없이 주는 사랑밭 경락교회부설디딤돌선교회       ○   희망나눔 품앗이 협동마을 만들기 주민주도복지공동체       ○   할수다 청소년과 만나다 노인자치연구소 은빛날개       ○ ○ 사래울카메라 역곡2동복지협의체         ○ 안산 (6) 시설 기반 요리보고 조리보고 본오종합사회복지관     ○ ○ 주민 조직 기반 웰컴 투 반월골 건건이편한세상 입주자대표회의 ○ ○ ○ ○ 발달장애인 토요자조모임 새누리장애인부모연대     ○ ○ 우리, 일동에서 살자 울타리너머     ○   항아리 누림청소년교육센터     ○ ○ 우리함께 연극하자 웰피해피바이러스       ○ 안양 (2) 시설 기반 더불어 사는 인정이 넘치는 마을만들기 부흥사회복지관 ○ ○ ○ ○ ○ 함께해요 살만해요 비산종합사회복지관   ○     ○ 시흥 (5) 능곡동을 움직이는 기분좋은 태동 목감종합사회복지관   ○ ○ ○ ○ 마을과 주민을 잇는 징검다리 사회적가족 대아종합복지관     ○ ○ ○ 함께키움 작은자리종합사회복지관     ○ ○ ○ fun fun! 함현 건강 놀터 함현상생종합사회복지관     ○ ○ ○ 多우리 거모종합사회복지관         ○ 광명 (3) 우리 마을이 달라졌어요! 하안종합사회복지관 ○ ○ ○ 요모조모 시립철산종합사회복지관   ○ ○ 희망을 나누는 드림뱅크 광명시건강가정지원센터   ○   안성 (1) 예그리나 프로젝트 안성서부무한돌봄네트워크팀   ○       오산 (2) 희망을 나누는 사람들의 열린공간 오산종합사회복지관 ○ ○ ○     행복나눔 e-웃 만들기 오산남부종합사회복지관   ○ ○     의왕 (4) 주민조직 기반 포일맘스클럽 포일맘스클럽 ○ ○       마을에서 자라는 삼동 아이들 도서관가는아줌마     ○ ○ ○ 도란도란 원예사랑방 더좋은 원예복지공동체         ○ 희망가득 웃음가득 오전동만들기 오전동주민자치위원회   ○       양평 (1) 다문화가정 행복나눔사업 양동면주민자치위원회 ○ ○ ○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20 시·군 유형 사업명 운영단체 지원시점2012 2013 2014 2015 2016 고양 (1) 음악으로 우뚝서다 행복나눔동호회   ○       남양주 (4) 시설 기반 찾아가는 노인복지공동체 쉴만한요양센터         ○ 주민 조직 기반 돌봄품앗이 키즈코업 남양주시지역사회복지협의체 ○ ○ ○ ○   NOW&HERE 수동사랑학부모회         ○ 어울마당 늘품협동조합         ○ 의정부 (1) 시설 기반 웰컴 투 동막골 의정부종합사회복지관   ○ ○     파주 (1) 작은 엄마들의 큰 힘, 엄마표 방과후 파주시건강가정지원센터     ○ ○   구리 (1) 홀로 어르신들의 벗만들기 프로젝트 구리시종합사회복지관 ○ 연천 (1) 주민 조직 기반 퍼스트 싸운드 초성 퍼스트싸운드     ○ ○   자료: 경기도 내부자료(2012~2016)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예산은 2016년까지 총 6.6억 원이 계획‧추진되고 있으며, 관련예산은 경기도와 공동체사업 참여 시‧군이 분담하고 있음 - 2016년의 경우 전년대비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 수가 감 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관련 지원 예산 총액 또한 감소함 - 사업 도입 시기인 2012년을 제외하고 매년 경기도와 사업 참여 시‧군이 일정 비율로 예산을 분담하고 있음 ・ 경기도 자체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최소 50%에서 최대 70%까지 시‧군의 재정부담 발생 연도별 지원현황 사업비(도비, 시․군비) 개소당 지원액 시․군수 개소수 계(천원) 도비(천원) 시․군비(천원) 계 662,270 289,195(44%) 366,075(56%) - 2012년 8 9 70,000 70,000(100%) - 5 ~ 10백만 원 2013년 13 19 125,000 50,000(40%) 75,000(60%) 5 ~ 8백만 원 2014년 14 24 125,000 37,500(30%) 87,500(70%) 5 ~ 8백만 원 2015년 12 31 179,700 53,910(30%) 125,790(70%) 3 ~ 8백만 원 2016년 8 25 155,570 77,785(50%) 77,785(50%) 2 ~ 10백만 원 <표 Ⅱ-8> 경기도 복지공동체 운영 및 지원 예산 현황

Ⅱ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의 의 21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경기도, 시‧군, 경기복지재단 등 다양한 주체들의 협력에 기반 한 운영체계를 형성하고 있음 - 경기도는 복지공동체 운영계획 수립 및 재정지원을 위한 예산 수립 등 복지공 동체 사업의 전반을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 - 시․군은 선정 공동체와 협약 체결, 사업지원 및 관리, 공동체별 사업추진 네트 워크 형성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 - 경기복지재단은 경기도 복지공동체 운영을 위한 컨설팅 및 교육 지원, 정책설 명회, 간담회와 같은 행사 진행 등 실무 역할 수행 ・ 핵심리더 양성교육, 복지공동체 운영 컨설팅, 사업 모니터링 및 성과 평가, 우수 공동체 선정 및 사례 확산 등 운영 관리 등의 역할 수행 - 지역거점복지관은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자(지역주민)의 동기부여 및 복지공동체 사업 수행을 위한 관계 형성, 지역 내 자원 연계의 역할 수행 (외부지원기관) (행정기관) (복지공동체) 복지재단 (교육 및 컨설팅 지원) → ← 소규모 모임 → ← 소규모 모임 ← → 도 (기본계획, 행․재정지원)↑↓ ↘↖ ↗ ↙ ↑↓ ↑↓ 소규모모임 → ← 핵심 리더 → ← 소규모 모임 ↑↓ 지역거점복지시설 (종합사회복지관 등) (행정지원 및 주민참여 동기 부여 등) → ← ↑↓ ↗↙ ↖ ↘ ↑↓ 시․군 (행․재정지원, 지역자원 연계 등)소규모 모임 → ← 소규모 모임 ← → <그림 Ⅱ-4>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추진 체계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22 3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의의 ○ 공동체는 지리적으로 일정한 지역에 근거를 두고, 자율성과 자발적 이타성 (voluntary altruism)을 보여주는 비영리 자조집단을 의미(Smith, 1999) - 공동체는 개인 혹은 작은 집단에서 출발하여 공동체 또는 동네의 주민들을 하 나의 구조화된 형태로 결집함으로써 결사체의 형태를 형성하게 되고, 공공영역 과의 협력을 통해 소외된 계층을 대상으로 사회서비스 제공 등의 역할을 수행 (Smith, 1999) ○ 지역사회에서 공동체는 사적 생활을 영위하는 개인과 공공영역을 연계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Schmitter, 1997) - 지역사회에서 공동체는 공공영역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사회서비스를 생산‧제 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고, 공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중간 전달자 역 할을 수행하기도 함(Zimmerman & Rappaport, 1988) - 또한, 지역주민들의 참여 독려와 의사소통 활성화를 통해 필요한 서비스의 요 구 및 변화를 촉진하는 역할도 수행(Wandersman & Florin, 2000) ○ 이러한 공동체의 특성과 역할은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민간영역과 공공부문의 접점에 위치하면서 주민들 이 필요로 하는 복지영역의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회배려계층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 - 또한, 지역의 복지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영역-경기도 복지공동체 간 공동생산 기반을 조성하고 공동체 중심의 복지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 - 지역사회에서 지역주민, 복지시설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협력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

Ⅱ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의 의 23 1) 사회배려계층의 삶의 질 향상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일차적인 대상은 사회배려계층이며, 이들에게 필요한 사회서비스 제공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가족구조 변화 및 경제적 위기 등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하여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사회배려계층이 증가하고 있음 - 특히, 노인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고독사를 맞이하는 노인계층, 가족 의 해체 등으로 방치된 빈곤 아동의 증가 현상이 대표적임(김희연 외, 2014) - 경기복지재단(2016) 실태조사 결과, 도민 중 약 84,000가구는 정부가 정한 자 격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복지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 ・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가구 는 전체 가구의 6.3%인 반면, 이중 1.0%만 수급자이며, 나머지 5.3% 중 33.3%는 절대빈곤선 이하 가구 ・ 복지사각지대는 복지급여 및 서비스 제공 등의 복지 욕구는 가지고 있으나, 자 격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것으로 정의되지만, 자격기준 에 부합하지만 대상자 발굴에서 누락되는 관리측면의 사각지대까지 고려하면 지역사회의 복지사각지대는 실질적으로 더 광범위할 수 있음(김희연 외, 2014)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지역 내 복지사각지대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통 해 사회취약계층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 - 해당 지역에 익숙한 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상시적 복지사각지대 발굴에 주력 하는 예방적 역할을 수행뿐 아니라, 복지서비스를 직접 제공함으로써 취약계층 의 삶의 질 개선에 직접적으로 기여 2) 복지문제해결을 위한 공공영역-복지공동체 공동생산 기반 조성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여 복지사각지대를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데 의의가 있음 - 최근 지역문제 및 공공문제 해결을 위하여 공공, 민간, 시민사회의 균형 잡힌 역할과 책임론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공공영역과 공동체의 연계를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24 통한 공동생산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 공동생산(co-production)은 지역사회 주민 및 공동체 조직들이 필요한 공공재 성격의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데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 (Lelieveldt et al., 2009). ・ 공동생산은 공공서비스를 생산하는데 공공과 공동체가 함께 생산적 활동에 참 여하는 것으로 책임감을 공유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Marschall, 2004)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지역사회에서 공공영역의 현장 지원 역할과 사 회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점을 고려할 때, 복지서비스의 공동생 산 역할에 근접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는 지역사회의 문제 및 사회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공공의 투입 요소를 지역사회로부터 조달 가능 - 공공에서 지원되는 재원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나 눔 활동, 자원봉사 등을 활용하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분은 공공의 부족 한 투입요소를 지역사회에서 조달하는 대표적인 형태임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서 제공되는 사회서비스가 전문성, 상시성 등이 결여 되었다고 하더라도,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게 공공이 아닌 복지공동체 사업을 통 해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면 공동생산 모형에 근접한다고 볼 수 있음 3) 공동체 중심의 복지 거버넌스 구축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공동체 단위를 중심으로 조직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의 최소단위를 공동 체(community)로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사회성, 공공성 등 공적 가치를 실현 하기 위한 최적의 공간이기 때문임(Davis & Herbert, 1993) ・ 공동체는 거주의 인접성을 기반으로 사람들이 비공식적인 대면을 통해 상호작 용 및 가치를 공유할 수 있는 최소 단위임(Davis & Herbert, 1993) - 공동체는 지역 내 복합‧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한 자원 동원과 다양한 이해관계 자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최소한의 단위라는 측면에서 복지영역 거버넌 스 구축의 최소 단위로 설정 가능

Ⅱ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의 의 25 ・ 공동체는 열악한 물리적‧사회적 여건과 공공의 정책개입 한계를 극복하고, 자생 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Davis & Herbert, 1993) ○ 지역단위의 다양한 복지수요 및 사각지대 발굴 과정에서 지역주민, 수혜자, 지역 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상호작용하며 관계를 형성 -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는 지역사회에서 복지 문제 해결을 위한 자원의 동원 과정에서 다양한 주체들 간의 동반 관계 형성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지역 내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는 다자간 협력체계 혹은 다자간 거버넌스 체계를 형성 ・ 이 과정에서 공동체는 지역사회 욕구의 결집‧표출 등을 통해 공동체 수준에서 다양하고 광범위한 참여 기회의 제공과 주체들 간의 연결성을 강화 - 지역사회에서 형성될 수 있는 공동체 중심의 거버넌스 형태는 크게 공동체 역 량강화, 공동체 동반 관계, 공동체 정부, 공동체 관리로 구분 가능하며, 경기 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공동체 역량강화와 공동체 동반 관계 모형과 연관성이 높음 ・ 공동체 역량강화는 지역주민들과 조직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제공에서 출발 하며, 공동체 단위에서의 참여와 의견 교환의 활성화는 지역주민과 조직들이 더 광범위한 공적 가치 인식과 지역사회의 욕구를 결집하는데 도움을 줌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지역사회의 복지 문제 해결을 위하여 공공과 복지기 관, 지역단체들과의 협력관계를 형성한다는 측면에서 공동체 동반 관계 모형과 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 구분 공동체 역량강화 공동체 파트너십 공동체 정부 공동체 관리 기본원리 시민적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주요 목표 적극적 시민과 응집된 지역사회 시민후생과 재생 대응적이고 책임있는 의사결정 효과적인 지역서비스전달 민주적 성격 참여 민주주의 이해관계자 민주주의 대의민주주의 시장민주주의 구성원의 역할 시민 : 발언 파트너 : 협력 선출자 : 투표 소비자 : 선택 리더의 역할 주도자촉진자 중개인 의장 의원 소시장 개척자 감독자 제도 유형 포럼, 공동생산 서비스 위원회전략적 파트너십 지역위원회 계약, 헌장 자료: Lowndes & Sullivan, 2008:62 <표 Ⅱ-9> 공동체 거버넌스 유형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26 4) 지역사회 단위의 사회적 자본 형성 촉진 ○ 공동체는 해당 지역주민들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공동체’의 형성과 지역 문제 해결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심리적․사회적 유대 등 사회적 자본 형성을 촉진 - 지역 내 사회배려 계층에 대한 문제를 지역 공동의 문제로 인식, 문제 해결방 안 모색과정에서 참여자와 수혜자들 간의 유대관계 형성을 촉진 - 사회적 자본은 구성원들 사이의 좋은 관계망을 의미하며, 구성원들의 신뢰, 규 범 및 네트워크 등을 통해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촉매 역할을 수행 (Putnam, 1993)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이 강조하는 지역주민의 조직화 과정에서 지역주민 들 간 혹은 주민과 지역조직들 간의 신뢰와 호혜의 형성은 지역단위의 사회 적 자본 형성을 촉진하는 역할 수행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서 강조하는 주민중심, 지역주민들 사이의 사회적‧심 리적 유대는 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의미하며, 이렇게 형성된 주민들 사이의 유 대는 지역 내 다양한 분야에서 공적 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

Ⅲ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성과 진단 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2. 시사점

Ⅲ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성 과 진 단 29 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실태 분석 (1) 실태분석 개요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운영 성과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현재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 - 조사대상 :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자 및 시설 직업 - 조사기간 : 2016년 11월 8일 ~ 2016년 11월 17일(10일) - 조사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이메일 조사 - 조사내용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대한 일반적 사항, 운영주체에 따른 인식 및 성과의 차이를 살펴볼 수 있는 문항 등으로 구성 구분 설문문항 비고 응답자 특성  성별, 연령, 지위 일반 사항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인지 여부 및 인지 경로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과 유사 공동체 사업의 차이 인지 및 내용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가장 큰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경기도, 경기복지 재단. 시‧군, 지역복지관 및 단체의 역할 복지관 기반 공동체, 주민조직 기반 공동체 집단 비교 인식 및 성과 관련 사항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정체성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자원 동원 역량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거버넌스 구축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성과 및 문제해결 복지관 기반 공동체, 주민조직 기반 공동체 집단 비교 <표 Ⅲ-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 구성 ⨠⨠Ⅲ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성과 진단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30 (2) 복지공동체 사업의 일반 사항 분석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실태조사 결과 회수된 80부를 분석의 자료로 활 용하였으며, 일부 응답하지 항목에 대해서는 제외하고 분석 - 운영주체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복지관 등 시설이 운영주체인 복지 공동체(이하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와 주민조직이 운영주체인 복지공동체(이 하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로 구분하여 분석 - 복지관 등 시설기반 복지공동체에서 응답한 부수는 33부, 주민조직 기반 복지 공동체는 47로 총 80부를 기초로 분석을 진행 □ 복지공동체 사업의 인지 여부 및 경로 ○ 복지공동체의 인지 여부와 경로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전체 응답자의 87.5% 가 복지공동체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 경로는 복 지공동체 공모사업을 통해서가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 - 전체 응답자의 12.5%는 ‘복지공동체 사업’에 대한 인지 없이 해당 사업에 참여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1) ・ 시설기반 복지공동체보다는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 - 복지공동체를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의 60%는 복지공동체 공모사업을 통하여 인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지역주민 및 지인(27.1%)을 통해 복지공 동체 사업을 알게 된 것으로 분석 ・ 시설기반 복지공동체보다는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가 지역주민 및 지인을 통해 복지공동체 사업을 인지하게 된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자 및 운영자들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음에도 ‘미인지’를 응답한 것은 본인 이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인지, 주민자치 프로그램 혹은 복지관 프로그램에 참여하 고 있는 것인지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이해 가능

Ⅲ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성 과 진 단 31 구분 응답자 수* 응답비율** 인지 복지공동체 공모사업 42(52.5) (60.0) 지역주민 및 지인 19(23.8) (27.1) 도청 및 시군 홈페이지 3(3.8) (4.3) 인터넷 및 신문기사 6(7.5) (8.6) 소계 70(87.5) (100) 미인지*** 10(12.5) - 총계 80(100) - 주 : * ( )는 전체 응답자수 대비 비율 ** ( )는 인지 응답자 소계 대비 비율 *** 미인지는 실제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나, 해당 사업이 무엇인지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임 <표 Ⅲ-2> 복지공동체 사업의 인지 및 인지 경로 (단위: 명, %) 구분 복지공동체공모사업 인터넷 및 신문기사 도청 및 시군 홈페이지 지역주민 및 지인 소계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 20(74.1) 2(7.4) 2(7.4) 3(11.1) 27(100)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 22(31.4) 4(5.7) 1(1.4) 16(22.9) 43(100) 주 : ( ) 비율은 각 유형별 소계 대비 비율 <표 Ⅲ-3> 복지공동체 유형별 사업 인지 매체 (단위: 명, %) ○ 현재 경기도에서 추진되고 있는 복지공동체 사업과 따복공동체 사업의 차 이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62.5%(50명)로 나타났고, 내 용 측면에서는 시행주체(주무부서)가 다르다고 인지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 은 것으로 나타났음 - 복지공동체 사업과 따복공동체 사업이 일정 부분 중첩되는 영역이 존재하기는 하나, 복지공동체 사업과 따복공동체 사업의 가장 큰 차이는 나눔, 돌봄 등 복 지영역에 특화된 공동체 사업이라는 인지 비율은 낮아, 향후 복지영역 특화에 대한 차별성을 강조하는 정책 추진이 필요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32 구분 응답자 수* 응답비율** 인지 정책대상(사회배려계층)의 차이 9(11.3) (18.0) 시행주체(주무부서)의 차이 24(30.0) (48.0) 정책목적(복지영역 특화)의 차이 10(12.5) (20.0) 서비스 제공 형태의 차이 7(8.8) (14.0) 소계 50(62.5) (100) 미인지 30(37.5) - 총계 80(100) - 주 : * ( )는 전체 응답자수 대비 비율 ** ( )는 인지 응답자 소계 대비 비율 <표 Ⅲ-4>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과 따복공동체 사업의 차이 인식 및 내용 (단위: 명, %) □ 복지공동체의 자립 필요성 ○ 복지공동체 자립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5.3%가 자립이 필요하다 고 응답하였으나,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의 찬성 비율이 주민조직 기반 복지 공동체와 비교했을 때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 -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의 자립의 필요성에 대해 약 80%가 동의한 것으로 응답 하였고,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는 55.6%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유형 복지공동체 자립의 필요성 찬성 반대 소계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 24(80) 6(20) 30(100) 주민조직 조직 기반 복지공동체 25(55.6) 20(44.4) 45(100) 총계 49(65.3) 26(34.7) 75(100) <표 Ⅲ-5> 복지공동체 자립의 필요성 (단위: 명, %) ○ 현재 복지공동체 사업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은 ‘지역주 민의 참여 제약’이 33.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복지공동체 운 영을 위한 재정적 문제가 32.0%의 순으로 나타났음 - 복지공동체 사업의 운영과정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는

Ⅲ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성 과 진 단 33 지역주민의 참여에 대한 응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주민조직 기반 복지 공동체는 복지공동체 운영을 위한 재정적 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음 ・ 시설 기반 공동체는 지역 내 복지관 및 기관 등의 연계, 정기 후원(기부), 자원 봉사 등을 통한 자원 확보로 재정적인 부담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실제 실태조사에서는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보다 재정적인 문제를 운영과정에서 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의 경우, 내부 구성원들 간의 갈등요인이 복지공동체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언급되는 것으로 나타남 구분 공동체 운영 등재정 문제 내부 구성원 갈등 문제 지원금 지원액 영세성 재정회계 및 정산처리 지역주민 참여 한계 소계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 10(33.3) - 4(13.3) 4(13.3) 12(40.0) 30(100)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 14(31.1) 3(6.7) 8(17.8) 7(15.6) 13(28.9) 45(100) 주 : ( ) 비율은 각 유형별 소계 대비 비율 <표 Ⅲ-6> 복지공동체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단위: 명, %) □ 복지공동체 사업의 활성화 관련 경기도의 역할 ○ 복지공동체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경기도의 역할에 대해서는 지원금 등 재 정지원 역할이 44.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동체 간 연계 등 조직화(25.3%)의 순으로 나타났음 -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는 지원금 등 재정지원 역할이 34.5%인 반면,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는 50.0%로 상대적으로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가 경기도 의 재정지원 역할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음 -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는 타 시․군 복지공동체의 성공요인, 사례 등에 대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교류의 장(설명회, 간담회 등) 지원에 대한 기대가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34 구분 재정지원 역할 사업계획 및 현장 컨설팅 정보공유 장 마련 공동체 간 조직화 지역자원 연계 소계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 10(34.5) 5(17.2) - 8(27.6) 6(20.7) 29(100)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 23(50.0) 3(6.5) 4(8.7) 11(23.9) 5(10.9) 46(100) 주 : ( ) 비율은 각 유형별 소계 대비 비율 <표 Ⅲ-7>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경기도 역할 (단위: 명, %) □ 복지공동체 활성화 관련 지역기관의 역할 ○ 복지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역 기관(복지관, 시민단체, 협의체 등)의 역할 에 대해서는 공동체 간 조직화 37.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민간후원금(기부금) 등 재정지원 역할(18.7%) 순으로 나타났음 -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는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역 기관의 공동체 연계 및 조직화 역할에 대한 기대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 -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는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간후원 금 및 기금 등 재정 지원 역할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구분 민간후원 등재정지원 역할 사업계획 및 현장 컨설팅 정보공유의 장 마련 공동체 간 조직화 지역자원 연계 소계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 3(10.3) 7(24.1) 2(6.9) 14(48.3) 3(10.3) 29(100)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 11(23.9) 6(13.0) 5(10.9) 14(30.4) 9(19.6) 46(100) 주 : ( ) 비율은 각 유형별 소계 대비 비율 <표 Ⅲ-8>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기관의 역할 (단위: 명, %)

Ⅲ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성 과 진 단 35 (3) 지역주민의 소통 및 교류의 활성화 ○ 복지공동체 사업을 통해 해당 지역에서 주민소통 및 교류가 활발해지고 지 역 주민들 간 관계 개선의 성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 - 복지공동체 사업 실태조사 결과, 지역주민들과의 관계 개선에 대해서는 응답자 의 약 73%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지역주민들과의 소통 및 교류의 활성화 에 대해서는 75%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음 ・ 복지공동체 사업으로 인한 지역주민들과의 관계 개선에 대해서는 시설 기반 복 지공동체와 주민조직 기반 공동체 모두 긍정적인 응답의 비중이 높았으나, 두 집단의 평균비교 값은 시설기반 공동체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구분 부정적 보통 긍정적 매우 긍정적 소계 평균값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 3(13.0) 3(13.0) 12(52.2) 5(21.7) 23(100) 3.83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 5(10.6) 8(17.0) 28(59.6) 6(12.8) 47(100) 3.74 주1 : ( ) 비율은 각 유형별 소계 대비 비율 주2 : 해당 응답에 대해서는 5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나, ‘매우 부정적’에 대한 의견이 없어 표 내용에서 제외함 <표 Ⅲ-9>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을 통한 지역주민과의 관계개선 효과 (단위: 명, %) - 복지공동체 사업으로 인한 지역주민들과의 소통 및 교류 활성화의 효과에 대 해서는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와 주민조직 기반 공동체 모두 긍정적인 응답률 이 높았으나, 두 집단의 평균비교 값은 시설기반 공동체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 으로 나타났음 ・ 이는 복지공동체 사업 외 시설에서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프로그램을 동시에 이 용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어 지역주민과의 소통, 교류, 관계 형성의 기회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제공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임 ・ 즉,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의 외부 연결망 구조가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보 다 상대적으로 많고, 접촉 대상수가 많기 때문이며, 기존 연구에서도 외부 연결 망의 빈도가 높고, 범위가 넓을수록 관계형성, 교류 등의 사회적자본의 확충이 용이한 것으로 볼 수 있음(Woolcock, 1998; 김철회․하혜수, 2016)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36 구분 부정적 보통 긍정적 매우 긍정적 소계 평균값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 1(4.3) 4(17.4) 11(47.8) 7(30.4) 23(100) 4.04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 3(6.4) 9(19.1) 23(48.9) 12(25.5) 47(100) 3.91 주1 : ( ) 비율은 각 유형별 소계 대비 비율 주2 : 해당 응답에 대해서는 5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나, ‘매우 부정적’에 대한 의견이 없어 표 내용에서 제외함 <표 Ⅲ-10>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을 통한 지역주민과의 소통 및 교류 활성화 효과 (단위: 명, %)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역주민 소통 및 교류 활성화에 대한 성과로 연 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인원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2012년 서로돌봄마을 사업에 참여한 인원은 총 1,307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참 여한 공동체 1개소 당 평균 145명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남 - 2015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한 인원은 총 7,761명으로 집계되었으며, 복지 공동체 1개소 당 평균 참여인원은 250명으로 2012년 대비 총 참여인원은 6.3 배, 공동체 1개소 당 평균 참여인원은 1.7배 증가 ・ 2012년 서로돌봄마을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 수는 9개, 2015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한 공동체 수는 31개로 공동체 수도 2012년 대비 3.4배 증가 ・ 2013년의 경우 전년대비 공동체 1개소 당 평균참여인원이 감소한 이유는 전년 대비 참여인원이 늘었으나, 공동체 수가 2배 이상 증가하였기 때문이며, 2015 년의 경우도 동일함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공동체 수* 9 19 24 31 총 참여인원 1,307 1,617 6,674 7,761 1개소당 평균 참여인원** 145 85 278 250 자료 : 경기도 내부자료(2012~2015) 주) * : 해당 년도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한 공동체 수 ** : 평균참여인원은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한 총 인원수 / 공동체 수로 공동체 1개소 당 평균참여인원 <표 Ⅲ-1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역주민 소통 및 교류 성과 (단위: 명)

Ⅲ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성 과 진 단 37 (4) 복지공동체 사업의 사회적 편익 발생 ○ 복지공동체 사업 중 나눔과 돌봄 영역에서는 자원봉사 등의 활동을 통해 사 회적 편익이 발생하는 공동체도 존재 - 복지공동체 사업의 목적 중 하나는 지역 내 복지문제를 주민 스스로 해결하여 복지재정 절감의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었음 - 실태조사 결과, 응답자의 약 51.4%가 공동체 활동이 지역의 복지문제를 해결하 고 있다고 응답하였음. - 조직 유형별로 살펴보면,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는 61.8%인 반면,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는 46.8%로 체감정도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음 ・ 복지관 등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의 응답결과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배경에는 시설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사업의 효과들이 복지공동체 사업에도 전이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함 구분 부정적 보통 긍정적 매우 긍정적 소계 평균값 복지관 등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 2(4.3) 8(34.8) 11(47.8) 3(13.0) 23(100) 3.70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 7(14.9) 18(38.3) 18(38.3) 4(8.5) 47(100) 3.36 주1 : ( ) 비율은 각 유형별 소계 대비 비율 주2 : 해당 응답에 대해서는 5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나, ‘매우 부정적’에 대한 의견이 없어 표 내용에서 제외함 <표 Ⅲ-12>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을 통한 지역복지문제 해결의 효과 (단위: 명, %) ○ 복지공동체 사업의 활동에 대한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잠재적인 효과 검증 가능 - EU 및 미국 등 해외에서는 공동체 사업에 대한 논의가 1990년대 후반부터 진 행되어 왔으며, NEF 등 비영리재단을 중심으로 사회적 가치, 사회적 편익을 추정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음(NEF, 2014) ○ 본 연구에서는 SROI의 기본 산출방법과 투입량 접근법 중 기회비용법을 활 용하여 활동시간, 재능기부자 수, 시장 대체 임금을 통해 발생되는 사회적 편익을 ‘N복지공동체’와 ‘H복지공동체’를 대상으로 예시적으로 추정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38 - SROI를 활용한 사회적 효과2) : 공동체의 활동을 통해 발생된 사회적 성과를 측정하 는 방법으로 공동체가 생산한 활동에 대해 사회적 효과 부분을 경제적 효과로 분석 - 재능기부 가치 추정3) : 자원봉사자가 무급노동을 수행함에 따라 상실하게 되는 시 장임금을 기회비용으로 환산하여 경제적 편익으로 환산 - N복지공동체는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로 지역 내 방과 후 초등학생의 돌봄 관련 문제가 지역의 문제화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주민이 모여 주 민조직의 형태로 돌봄 품앗이를 실현하고 있음 ・ 현재 5명이 돌봄 품앗이를 실현하고 있으며, 연간 개인당 200시간의 돌봄 품앗 이를 자원봉사의 형태로 제공하고 있음. 본 돌봄 품앗이 사업에는 약 20명 내외 의 아동들이 참여하고 있었음4) - H복지공동체는 지역아동센터에서 방과 후 교육을 받는 아이들의 원만한 교우 관계 형성을 목적으로 연극 극단의 재능 나눔을 통해 연극수업을 진행하는 등 2) SROI(Social Return On Investment)는 사회적 활동에 대한 사회적 성과 혹은 편익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으로 사회적 편익을 경제적 편익으로 환산하는 방법으로 주로 활용됨(NEF, 2014) 3) 재능기부 등의 활동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노동시장에 대한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회비용법을 활 용하여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는 방법이 활용(조선주, 2011) 4)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N공동체의 사회적 편익은 다음의 가정을 통해 추정 가능 <N공동체의 사회적 편익 추정을 위한 기본 가정> - 의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로 제공받은 지원금 : 2,300만원(3년 지원) - 돌봄 품앗이 참여 인원 : 5명 - 돌봄 품앗이 참여시간 : 연 200시간/인당 - 방과 후 돌봄 교실 참여 인원 : 20명/월 - 초등학교 방과 후 교사 월 인건비 : 130만원(1일 6시간, 주 5일 참여) ※초등학교 방과 후 교사의 시간당 단가는 10,8000원 - 인근 초등학생 평균 학원비 : 17.5만원 돌봄 품앗이 가치 : 10,800,000원 - 1인당 연간 가치 : 10,800원 × 200시간 = 2,160,000원- 참여인원의 연간 가치 : 2,160,000원 × 5명 = 10,800,000원 N공동체 방과 후 교실 참여로 인한 학원비 절감액(기회비용) : 42,000,000원/년 - 년간 학원비 절감액 : 175,000원 × 20명 × 12개월 = 42,000,000원 총 효과 : 52,800,000원/1년 × 3년 = 158,400,000원 총 재정 투입 : 23,000,000원 <N공동체의 추정 사회적 편익>

Ⅲ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성 과 진 단 39 아동의 자신감과 성취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 재능기부를 수행하는 극단에서는 연출자 1명, 시나리오 작가 1명, 음향 1명이 참여 하고 있으며, 수혜 받는 대상은 초등학생 10명임. 연극 교육과 연기 지도를 받은 학생들은 작품을 완성하여 지역 내 문화행사에 무료로 연극을 상영하고 있음5) - N복지공동체와 H복지공동체의 추정된 사회적 편익은 투입금액과 기회비용의 요 소를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도출된 편익이기 때문에 과대 추정된 부분이 존재함 ・ 또한 비용 요소에서는 공공투입 재정만을 고려하고 있어, 실제 복지공동에 사업 의 운영과정에서 소요되는 공간 및 자체 운영비 등을 고려할 때, 실질적인 편익 추정액은 더 축소될 수 있음 5)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H공동체의 사회적 편익은 다음의 가정을 통해 추정 가능 <H공동체의 사회적 편익 추정을 위한 기본 가정> - H 공동체의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로 제공받은 지원금 : 800만원(1년 지원) - 연극 극단의 재능기부자 : 3명 / 년 - 1일 지도 시간 : 3시간, 월 10일로 가정(실제 지도 시간은 극단 일정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음) - 연극 수업 및 연기지도 참여 학생 인원 : 10명/월 - 연출 및 음향기술 감독의 월 평균 임금 : 320만원/월 ※ 연출 및 음향기술 감독의 시간당 단가 : 15,300원(월 209시간 근로 기준) - 시나리오 작가(경력 3년) 평균 연봉 : 2,300만원 ※시나리오 작가의 시간당 단가 : 9,900원(월 209시간 근로 기준) - 연극수업 및 연기지도 수업료 : 월 50만원(연기지도학원 단가 최저 금액) 연극 극단 재능기부 가치 : 14,580,000원 - 연출 및 음향기술 감독 : 15,300원 × 3시간×10일×12개월 ×2인 = 11,016,000원 - 시나리오 작가 : 9,900원×3시간×10일×12개월 = 3,564,000원 H복지공동체 참여 학생의 연기학원 절감액(기회비용) : 60,000,000원/년 - 연간 학원비 절감액 : 500,000원 × 10명 × 12개월 = 60,000,000원 총 효과 : 74,580,000원(1년) 총 재정 투입 : 8,000,000원 <H공동체의 추정 사회적 편익>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40 (5) 지역 내 공동체 활성화 촉진 ○ 복지공동체 사업의 추진으로 지역 내 유사한 공동체 형성에 기여 - 복지공동체 사업의 목적 중 하나는 우수 복지공동체 모델과 성공요인 발굴을 통해 지역 내‧외부 공동체 형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기대하였음 - 실태조사 결과, 지역 내 공동체 활성화 촉진에 대해서는 68.6%가 지역 내 공 동체 활성화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는 65.2%,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는 70.2%로 응답하였음 ・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의 공동체 활성화 촉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한 배 경에는 실제 지역에서 고민하던 부분을 선행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지역 내에서 실현가능성을 가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음 구분 부정적 보통 긍정적 매우 긍정적 소계 평균값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 2(8.7) 6(26.1) 8(34.8) 7(30.4) 23(100) 3.79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 3(6.4) 11(23.4) 25(53.2) 8(17.0) 47(100) 3.87 주1 : ( ) 비율은 각 유형별 소계 대비 비율 주2 : 해당 응답에 대해서는 5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나, ‘매우 부정적’에 대한 의견이 없어 표 내용에서 제외함 <표 Ⅲ-13>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을 통한 지역 내 활성화 촉진의 효과 (단위: 명, %) (6) 공동체 내 자원 확보 역량의 증대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는 매년 내부 자원 확보 역량이 증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참여 공동체에게 총 사업비의 10% 이상을 공동체 가 부담하는 원칙(자기부담원칙)을 설정하고 있음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개별 공동체의 자기부담비율은 각각 상이할 수 있으나, 총액의 측면에서 2013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 2012년부터 2015년까지 경기도 및 시․군에서 지원한 예산은 약 4.6억 원이며, 공동체가 부담한 재원은 투입된 재원은 약 1.7억 원으로 집계

Ⅲ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성 과 진 단 41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 1개소의 평균 자기부담금액은 2015년 241만원 수준으로 분석 - 공동체의 자기부담금 총액의 증가와 더불어 평균 자기부담금액도 지속적으로 증가 - 다만, 2012년에서 2013년의 경우 공동체 자기부담금 총액은 증가하였으나, 평 균 자기부담금액의 감소하였음. 이는 공동체 수가 9개에서 31개로 3배 이상 증 가하였으나 재정역량이 낮은 신규 공동체가 진입함에 따른 현상으로 보임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공공재원(지원금) 7,000 12,500 12,500 14,420 공동체 자기부담금 2,263 2,884 4,260 7,480 공동체 1개소당 평균 자기부담금액 251 144 213 241 총 사업비* 9,263 15,384 16,760 21,900 자기부담금 비율** 24.4 18.7 25.4 29.4 자료 : 경기도 내부자료(2012~2015) 주) * : 해당 년도 공공재원(지원금) +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 공동체의 자기부담금액 ** : 총사업비 내 공동체 자기부담금의 비중 <표 Ⅲ-14> 복지공동체 총 사업비 내 공동체 자기부담 비중 (단위: 만원, %) 2)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자 인터뷰 분석 결과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을 위한 인터뷰 진행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성과, 향후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선 방안 등 실태조 사에서 진행된 동일한 내용에 대해 면접조사를 진행 - 조사 대상 :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자 - 면접 기간 : 2016년 11월 8일 ~ 11월 20일(12일) - 면접 방법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설명회 및 간담회에 참석한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개별 전화면접방식 및 1:1면접방식을 병행 - 면접 내용 : 복지공동체 사업에 대한 성과와 개선사항, 복지공동체 사업 운영 의 문제점, 복지공동체 사업으로 인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등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42 구분 성별 소속기관 구성원 지위 1 남성 A 공동체 공동체 운영자 2 여성 B 공동체 주민 참여자 3 여성 C 공동체 주민 참여자 4 남성 D 공동체 주민 참여자 5 여성 E 공동체 공동체 운영자 6 남성 F 공동체 공동체 운영자 7 여성 G 공동체 주민참여자 8 여성 H 공동체 공동체 운영자 9 여성 I 공동체 주민 참여자 <표 Ⅲ-15>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 공동체 인터뷰 참여자 개요 (1) 지역주민의 소통 및 교류 활성화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운영자 및 참여자의 인터뷰 결과, ‘지역주민과의 관계’, ‘지역주민과의 소통 및 교류’ 측면에서 일정 수준의 성 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 - 복지공동체 사업 추진 이후 지역 주민들의 관심 증대, 지역주민들의 참여 촉진, 지역주민들과 공동체 사업 참여자들 간 소통 등이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이루 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복지공동체 사업 이후 적어도 지역주민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는 정도는 느껴집니다. 처음에는 아는 사 람들 몇몇이 모여서 애들을 서로 돌봐주고 그러니까 지켜보다가 지금은 직접 참여하시는 분들도 있고, 문의하러 오시는 분들도 있고. 참여하시는 분들이 또 다른 분들을 참여시키는 경우도 생기고, 이 사업을 하지 않았다면 모르고 지낼 사람들인데, 지금은 어떻게든 소통을 하고 교류를 하는 것은 확실하죠. - 복지공동체 간담회 D 복지공동체 참여자 - 저희 공동체는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시작을 했으니까 아는 사람들끼리 시작을 했고, 지금은 반대하 던 아파트 주민들까지 참여하는 수준까지 왔으니까 지역주민들하고 관계가 개선되었다고 봐야겠지요. 아시겠지만 아파트 단지 내에서는 공동체 활동이든 무엇을 하든 말이 많고, 그로 인해서 부정적으로 인 식하는 경우가 많고, 그거 때문에 힘들었는데. 처음에 비하면 지금은 많이 좋아지고, 주민들과의 관계도 좋아지고. - 복지공동체 간담회 G 복지공동체 참여자 -

Ⅲ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성 과 진 단 43 - 지역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문제, 참여자와 지역주민들이 공통적으로 인지하 고 있던 문제에 대해서 복지공동체 활동이 선행되면서, 교류와 소통이 진행된 것으로 볼 수 있음 ・ 당면하고 있는 문제의 인지 정도, 접근 방식 등 구체적인 부분에 대하여 지역주 민과 복지공동체 참여자들 간 차이가 복지공동체 수행 초기에서는 갈등이 발생 하는 것으로 나타남 ・ 복지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구성원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에 대한 공유, 인지, 교육 등의 선행 과정을 통해 소통과 교류를 촉진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복지공동체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교류활성화’, ‘지역주민들과의 소통’ 등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하는 부분은 성과라고 할 수 있음 - 이러한 성과 이면에는 지역주민들과의 소통과 교류를 통해 복지공동체 활동에 기여한 부분이 무엇이고, 그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효과 검증은 제시하지 못하 는 한계는 존재 (2)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역 복지문제 해결 등 사회적 효과 발생 ○ 복지공동체 사업은 지역 내 독거노인 등 사회취약계층에게 서비스 제공을 통해 삶의 질 개선을 촉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남 - 복지관 등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의 경우, 지역 내 독거노인 등 사회배려계층에 게 관련 서비스 제공을 통해 수혜자들의 삶이 개선되는 모습을 보고 있다는 의 견 등이 개진되고 있음 -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의 경우에도 지역의 당면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주 민조직을 구성하고,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게 된 경우가 다수이기 때문에 지역복지문제 해결에 일부 기여 제가 참여하고 있는 복지공동체는 지역 내 독거노인, 저소득 아동을 대상으로 도시락을 배달하는 서비 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실제 여건이 안 되서 끼니를 거르는 대상에게 도시락을 통해 먹는 것과 관련된 문제는 해결하고 있지 않나 생각돼요. - 복지공동체 간담회 E 복지공동체 운영자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44 현재 복지관 프로그램의 형태로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데, 현재는 작은 활동으로 시작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더 다양하고 큰 활동을 실현할 수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당장 우리 지역에 직면하고 있는 아동 돌봄, 공동 육아 등의 문제는 지역적인 차원에서 해결될 수 있지 않을까 생 각합니다. - D 복지공동체 참여자 - 저희가 복지공동체 활동을 시작했을 때, 저소득층 방과 후 돌봄, 아이 돌봄과 관련된 문제를 더 이상 방 지하지 않기 위해서 시작했습니다. 하나의 인지된 문제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시작단계이기는 하지만 어 느 정도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모든 문제는 해결하기 어렵지만, 지금 단계에서 저희가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문제는 해결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A 복지공동체 운영자 - - 그러나 일부 참여자의 경우, 복지공동체 활동이 지역의 복지문제의 본질적인 부분의 해결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는 의견도 있었음 ・ 나눔, 돌봄 등을 실현하는 것 자체에는 의미가 있으나, 단편적인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기여하지 못한다는 의견도 존재 지역에서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방과 후에 숙제도 도와주고, 식사도 제공하는 일을 하고 있지만, 아이들에게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들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맞나 라는 의문이 들어 요. 물론 저희가 하는 일이 지역에서 아무 의미가 없는 일은 아니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 이기보다는 그냥 부가적인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죠. 그냥 동네 아줌마들이 모여서 조직을 만들고, 불쌍 한 아이들을 도와주고 돌봐준다고 해서 이 문제가 해결되기 보다는 더 지속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싶 어요. - 복지공동체 간담회 I 복지공동체 참여자 - 복지공동체가 스스로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은 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근본적인 부분은 복지공동체의 영역 밖의 일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복지공동체가 그만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보기도 어렵고. 단편적인 문제에 집중된 활동에 국한되는 문제도 있고. - C 복지공동체 참여자 - ○ 복지공동체 활동을 통해 지역의 복지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복지공동체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

Ⅲ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성 과 진 단 45 - 복지공동체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견은 복지공동체에 참여하는 구성원마다 각각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임 - 즉, 복지공동체 사업의 정체성, 역할 범위, 기능 등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아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볼 수 있음 (3) 지역 내 공동체 활성화 촉진 ○ 복지공동체 활동은 지역 내 돌봄, 나눔 등 공통적인 문제에 대해 고민하는 지역 내 공동체 활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의 경우, 지역 내에서 공통적으로 고민하는 문 제(돌봄, 육아 등)에 대해서는 선행된 복지공동체 사업의 추진이 후속적인 공 동체 형성의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남 지역에서 주민들이 자조적으로 모임을 만들 때 고민은 거의 비슷한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 같아요. 저 희 공동체의 경우에는 아이와 관련된 부분. 맞벌이 때문에 아이한테 신경을 잘 쓰지 못하고, 어린이집 이런 곳에서 사고도 많이 발생하고 그래서 시작을 하게 되었는데. 저희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고 나 서 조직 구성 관련한 문의가 지역에서 종종 오죠. 예를 들면 아파트 옆 단지던가. 같은 단지인데 뒷동 그룹에서 연락이 오고. 아무래도 공통된 부분이 있는 경우에 저희가 힘이 된 것 같기는 해요. - 복지공동체 간담회 B 복지공동체 참여자 - 인근 지역에서 저희랑 유사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분들이 저희 공동체를 벤치마킹하고 활동을 추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좋게 보면, 복지공동체 활동이 다른 공동체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생각이 들 어요. - F 복지공동체 운영자 - ○ 복지공동체 활동이 지역 내 타 공동체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복지공동 체에 대한 정보 제공이나 사례 홍보 등의 부분은 개선이 필요함 - 지역 내 공동체 활성화를 촉진하는 것은 동일 지역 내에서 관련 영역 및 정보 접근성이 높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남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46 (4)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선 방안 □ 복지공동체 사업의 역할과 기능 ○ 복지공동체 사업은 추구하고자 하는 비전, 사업의 목표, 역할의 범위 등이 명확하지 않아 복지공동체 활동의 현장에서 혼선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남 - 복지공동체의 비전은 ‘나눔과 배려를 통한 복지공동체’로 나타나 있으며, 이러 한 비전은 복지공동체의 활동을 통해 경기도민이 함께 나누고 베푸는 문화를 확산하고, 공공정책 및 서비스로부터 소외된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 역할 의 수행을 통해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복지공동체 운영 계획에 복지공동체의 비전과 목표가 제시되어 있으나, 불명확 하고 추상적으로 제시되어 있어 참여자들이 쉽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 - 또한 복지공동체 운영계획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에 대해서는 경기도 따복공동 체 조례 및 계획에 준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어 복지공동체 사업과 따복공동 체 사업의 구분도 쉽지 않음 - 실제 경기도와 경기복지재단에서 매년 시행하고 있는 복지공동체 컨설팅 과정 에서 복지공동체의 비전과 사명, 복지공동체의 이해와 관련된 컨설팅이 다수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또한 매년 신규로 복지공동체에 신청하는 조직 역시 복지공동체 사업의 비전 과 목표에 대한 충분한 공감대가 부족하여, 사업계획서 내용 상 기존의 마을 만들기, 자원봉사활동과의 차별성을 찾아보기 어려움 복지공동체 사업에 신청을 하기는 했지만, 이웃 간의 정, 지역 내 관계적으로 소외된 분들을 공동체 활 동을 통해 서로 돌보고 나누면 정서도 좋아질 것이고, 사람들 간의 관계도 나아지면, 조금 더 살기 좋은 동네가 되지 않겠나 싶어서 신청을 하게 된 거죠 <중략> 오늘 정책 설명회에서 복지공동체 사업의 목표에 대해 들어보니까 이해가 되는 것 같습니다. 이런 기회 가 없으면 그냥 기존의 자원봉사하고 구별하기도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 복지공동체 정책설명회 H 복지공동체 운영자 -

Ⅲ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성 과 진 단 47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과 관련하여 설명회, 간담회, 성과발표회 등 공론의 장을 통해 사업의 취지와 기능, 역할 등 사업의 정체성을 제시하고 있으나, 지역주민들의 공감대 형성은 미흡 - 복지공동체 사업의 출범당시부터 비전과 목표에 대해 관련 분야 전문가, 활동 가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의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되지 못하였고, 단기적인 사 업의 일환으로 추진 ・ 경기도가 복지공동체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단선적 행정목표 실현을 위하 여 지역복지관 등을 중심으로 추진하였고, 이후 지역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제공되었으나 여전히 미흡한 부분이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 - 결과적으로 복지공동체 사업에 대한 고유한 성격과 사명에 대한 성찰 등을 통 해 복지공동체 사업 목표 재설정이 선행되지 않으면 사업의 혼란성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 경기도에서 복지공동체 뿐만 아니라 마을만들기, 따복공동체 등 공동체 관련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는데, 복지공동체 사업과 차별성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어요.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고 있기는 하지만, 따 복공동체와 복지공동체의 부서가 다르다는 것 말고는 차별성은 없다고 생각해요 - 복지공동체 간담회 B 복지공동체 참여자 - □ 복지공동체 운영을 위한 자원동원의 한계 ○ 복지공동체의 자원은 크게 경기도와 시․군 지원 예산과 공동체 자체의 자 주 재원으로 구분할 수 있음 - 공공 재원(경기도, 시‧군)은 2012년 복지공동체 출범 당시부터 지원이 이루어 졌으며, 공모사업을 통해 공동체의 사업 성격을 반영해 차등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 복지공동체 2012년 초기에는 도비 100%의 재정지원이 이루어졌으나, 2013년 부터 도비 지원에 대한 부담은 줄고, 시․군 지원에 대한 부담을 증가하는 형태 를 보임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48 연도별 지원현황 사업비(도비, 시․군비) 개소당 지원액 시․군수 개소수 계(천원) 도비(천원) 시․군비(천원) 계 662,270 289,195(44%) 366,075(56%) - 2012년 8 9 70,000 70,000(100%) - 5 ~ 10백만 원 2013년 13 19 125,000 50,000(40%) 75,000(60%) 5 ~ 8백만 원 2014년 14 24 125,000 37,500(30%) 87,500(70%) 5 ~ 8백만 원 2015년 12 31 179,700 53,910(30%) 125,790(70%) 3 ~ 8백만 원 2016년 8 25 155,570 77,785(50%) 77,785(50%) 2 ~ 10백만 원 <표 Ⅲ-16>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운영 및 지원 예산 현황 ○ 복지공동체 사업의 운영과정에서 ‘운영자금의 부족’ 관련 문제가 제기되고 있음 - 이러한 이유에는 실제 재정에 대한 투입량 자체의 문제일 수 있으나, 공공부문에서 지원되는 자원 외 지역에서 동원할 수 있는 자원 동원 역량의 한계와 관련이 있음 <그림 Ⅲ-1> 경기도 복지공동체 시업 운영과정의 문제점 - 일부 복지공동체 사업을 추진하는 조직의 경우, 생산물의 상품화를 통해 재원 마련 등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나, 판로 개척의 한계 등 현실적 한계로 실현 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Ⅲ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성 과 진 단 49 현재 저희 단체는 저희가 생산하는 생산물을 일종의 판매대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는데, 실질적인 수익 이 나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생각돼요. 그리고 이런 판매를 처음 시도하다 보니까 노하우도 없 고, 일단 주변 지인분들을 통해 판매를 하고 있지만, 얼마나 갈지에 대해서도 의문이고 - 복지공동체 정책설명회 C 복지공동체 참여자 - 현재 우리 단체는 일반회원들로부터 후원계좌(IDA)를 통해 기부금을 받고 있는데, 그 부분이 금액이 좀 커서 운영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복지공동체라는 활동을 하는데, IDA 방식으로 가는 것 이 맞는지에 대해서는 구성원들 간 이견은 있습니다. 구성원들 간의 이견이 있다는 것만으로 어느 정도 부담을 갖고 있다고 봐야죠. - 복지공동체 간담회 A 복지공동체 운영자 - □ 지역 내 다양한 주체들 간의 거버넌스 구축 미흡 ○ 복지공동체 사업의 관련 행위자는 경기도, 시․군, 경기복지재단, 사회복지단 체 및 지역단체, 복지공동체, 지역주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각 주체들 간의 실질적인 협력체계 구축은 미온적인 것으로 나타남 - 복지공동체 업무를 주관하는 경기도 복지정책과는 복지공동체에 대한 거시적 이고 총괄적인 정책 수립과 사업 예산 배분을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 - 시․군은 복지공동체에 대한 평가를 통해 실행과정을 점검하고, 복지공동체 사 업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 역할 수행 - 경기복지재단은 복지공동체 운영과 사전 컨설팅, 현장컨설팅, 복지공동체 관련 교육을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 - 지역복지관은 초기 복지공동체 사업 운영의 주요 주체로서 역할을 수행하여 왔으며, 현재에는 복지공동체 운영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시민단체는 지역 내 운영되고 있는 복지공동체의 자원을 연계하는 역할을 수행 하며, 일부 시민단체가 복지공동체 정책 참여자로 변화되는 경우가 일부 존재 - 지역 주민은 복지공동체의 수혜자이며, 생산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임 - 이러한 다양한 주체들이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나, 실제 복지공동체 사업과 관련하여 각 주체들 간의 관계형성은 유기적인 형태보다는 분절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50 - 즉, 복지공동체 사업을 추진하는 공동체의 입장에서 보면, 주요 대면 이해관계 자는 경기도, 경기복지재단, 시․군 담당자로 한정되어 있어, 지역단위에서 복지 관 및 시민단체와 실질적인 연계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의 경우, 지역 내 접촉가능한 대상자가 지역주 민으로 한정된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중간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연계할 수 있는 조정자가 부재한 경우 실질적인 거버넌스 형성에 제약이 발생(김철회․ 하혜수, 2016) ・ 이러한 부분은 복지공동체 참여자의 간담회 및 인터뷰를 통해서도 나타나고 있음 복지공동체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만나볼 것 같았으나, 실제 주로 만나는 대상은 지역주민 및 참여자, 그리고 시․군 공무원, 경기도 담당자, 경기복지재단에서 컨설팅 나오는 분들 로 제한되는 것 같습니다. 저희가 주민들이 만든 조직이라서 그런지 실제 기관이나 타 공동체와 연계되 는 부분이 상당히 적고, 저희가 다 알지 못하는 부분도 있고 - 복지공동체 간담회 D 복지공동체 참여자 - 우리 지역에 협동조합, 사회적기업이 있다고 합니다. 복지공동체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그런 정보 를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거든요. 저번에 어떤 분이 “지역에 사회적기업과 연계하느냐”라는 질문에 제 가 “우리지역에 그런 것이 있어요?”라고 반문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지역에 어떤 기관들이 있는지에 대해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저희가 알아볼 수도 없고. 그런 부분들이 아쉽습니다. - 복지공동체 간담회 C 복지공동체 참여자 - 2 시사점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명확한 정책적 위상 정립, 비전과 목표, 역할 범 위 등에 대한 체계 정립의 선행이 필요 - 실태조사 결과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들임에도 불구 하고, 경기도에서 추진되고 있는 타 공동체사업과의 차별성에 대한 인지정도 는 60% 초반대로 나타나고 있음 ・ 경기도 복지공동체 실태조사에서도 도출되었듯이, 따복공동체 사업과 복지

Ⅲ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성 과 진 단 51 공동체 사업의 경계가 모호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각각의 사업에 대한 인지 및 차별성을 찾아보기 어려움 ・ 이러한 정책 차별성의 모호함은 실제 공동체 활동 및 사업 영역의 불명확성으로 전이되어 실제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활동 영역이 발생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명확한 개념 및 차별성 정립, 복지공동체 운영 주체 특성에 맞는 단계별 추진 등의 내용을 포괄하는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기 본계획 수립(가칭)’ 등을 통한 사업의 체계 확립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공동체들은 진입 시점 및 지원 기 간이 서로 달라 획일화하기 어렵지만, 초기에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진 입한 공동체 중 일부는 지역의 사회적 자본 형성, 지역의 복지 문제 해결 측면에서 성과를 내고 있으나, 성과의 객관화 과정이 부재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공동체들은 지역주민들과의 관계 개 선 및 신뢰 구축, 교류 활성화 등을 통해 지역 차원에서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 고 있는 것으로 분석 ・ 다만, 현재 형성된 사회적 자본은 아주 끈끈한 형태의 사회적자본의 형태이기 보다는 친분, 인맥 등을 토대로 형성된 초기 단계의 약한 사회적 자본의 형태에 가깝다고 볼 수 있음 - 복지공동체 활동이 현재 단계에서 지역의 복지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지역 내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수혜자를 발굴하고, 무료자원 봉사, 재능기부 등을 통해 지역의 문제 해결의 단초는 제공하고 있음 ・ 방과 후 아이 돌봄 복지공동체, 연극활동 등 재능기부 공동체 등의 경우에는 자 원봉사, 재능기부 활동을 통해 지역의 복지수요 충족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사회 적 편익 효과도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대한 객관적인 성과를 도출하고, 단순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을 포괄하여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체계와 지표 개발이 필요 ○ 경기도 복지공동체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원 확보의 문제, 공공재원에 대한 의존정도 완화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 모색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시행 5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52 및 조직들이 자발적으로 경제적 문제 해결과 장기적으로 공공의 재정지원 없 이 복지공동체 활동이 운영될 수 있는 대안 모색 필요 - 경기도 및 시․군의 지원 외 지역단위에서 제공되는 자원 발굴 및 연계 기회를 통해 공동체 활동의 자립성 강화 촉진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 조직의 규모 및 생산성 증대를 통 한 자원 확보는 장기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부분이므로, 지역 내 다양한 주체 들과의 연계를 통한 자원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지원 체계의 정립이 필요 - 지역 내 다양한 주민 및 조직과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들 간의 유 기적 관계 형성 및 자원 활용의 효율성 강화 ・ 이러한 분절적 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주체들과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자 의 중간적 입장에서 이들의 관계 형성을 지원하고, 다양한 자원 연계까지 지원 할 수 있도록 지역단위의 중간조직의 운영과 중간조직의 활용을 통한 자원 및 관계 형성 촉진의 기회 강화

Ⅳ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발전 방안 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2.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별 공동체 육성 지원 3.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원체계 강화 4.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주체 역량 강화

Ⅳ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발 전 방 안 55 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기본계획 수립 방향 ○ 복지공동체 사업의 미션은 사업이 가지는 궁극적 지향을 의미하며, 궁극적 으로는 ‘공동체 기반의 나눔, 배려, 돌봄의 가치를 실현하는 지역사회 구축’ 으로 정의 - 공동체 기반은 마을단위의 자조조직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성을 담보 로 이루어지는 분야별 이슈 공동체, 시설 및 지역 공동체를 아우르는 포괄적 개념으로 적용 - 나눔, 배려, 돌봄의 가치를 실현하는 지역사회 구현은 복지공동체 가지는 가치 지향을 포함하는 목표 ○ 복지공동체 사업의 비전은 ‘지역 내 사회배려계층의 복지문제해결을 위한 공동체’로 기존의 포괄적 개념의 공동체보다 사회배려계층 및 복지 영역으 로 특화된 공동체의 모습을 지향 - 복지공동체 사업에서 지향하는 복지공동체의 비전은 지역사회 내 당면하고 있 는 복지영역의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주체들 간의 연계 체계 구축 ・ 복지공동체는 개별 공동체에 대한 지원이 아닌 지역사회 단위의 협력체계 구축 을 위한 구심점 역할을 지향 ・ 실질적 지역사회 내 사회배려계층의 복지 문제에 기초한 공동체 활동을 지향함 으로써 복지공동체의 공적 가치를 강화 ⨠⨠Ⅳ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발전방안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56 ○ 복지공동체의 정책 목표는 복지공동체 사업을 통한 구체적인 성과를 도출 하기 보다는 장기적인 발전 기반 형성을 통해 추진 방안의 성격이 강함 - 복지공동체 사업의 미션과 비전 체계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에 기반 한 목표 설정 관 련 예시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거버넌스) 더불어 사는 사람 중심 관계망 형성 ・ (자원연계) 이웃 간 다양한 상부상조 활동지원으로 나눔 문화 활성화 ・ (주체 역량 강화) 주민참여 중심의 사업 추진 ・ (보완적․부가적 기능 수행) 공적 복지의 한계성을 보완하는 대안적 복지체계 구축 - 상기의 내용 등은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자 등의 의견 수렴 등을 통해 수립 <그림 Ⅳ-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미션 및 비전, 사업목표(안) 2) 복지공동체 사업의 기본계획 체계 및 내용 ○ 복지공동체 사업의 기본계획은 ‘개별 복지공동체 육성’, ‘복지공동체 사업 지원체계 강화’, ‘복지공동체 사업의 주체 역량 강화’ 분야로 요약 가능 - 개별 복지공동체 육성은 각각의 공동체 조직이 가지는 특성에 기반 한 육성 및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 ・ 주민자조조직 기반의 복지공동체, 복지관 등 시설 기반의 복지공동체 등은 각각 추진체계 및 운영원리가 상이하므로 별도의 지원 설계가 요구됨

Ⅳ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발 전 방 안 57 ・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복지공동체유형은 결과적으로 상호 의존 기반의 형 성을 통해 긍정적 정책 산출물 도출을 유도 -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원체계 강화는 지역기반 지원체계 구축, 복지공동체 사업 의 평가체계 개편, 복지공동체 사업의 컨설팅 기능 강화 등으로 종합될 수 있음 ・ 이는 개별 공동체에 대한 사업의 성격보다는 복지공동체 사업의 외부환경 및 생 태계를 정착시키기 위한 여건을 강화시키는 성격이 강함 - 복지공동체 사업의 주체 역량 강화는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원체계와 개별 복지 공동체 육성의 결과물로 복지공동체 사업이 지향하는 성과를 가장 직접적으로 제시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지역사회 협력체계로서의 복지공동체 형성과 연결 ・ 공동체 간, 지역 간 연계 강화를 통한 자원동원 및 서비스 제공 범위 확대 등을 통해 더 큰 범위의 복지문제를 해결을 지향 <그림 Ⅳ-2>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기본계획 체계 및 내용(안)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58 □ 개별 복지공동체 육성 ○ 개별 복지공동체의 육성은 통합적 지원 기조를 토대로 개별 복지공동체 단 위로 지원되어야 하는 특성별 사업계획 수립에 초점을 두고 있음 -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유형은 크게 시설 기반 복지공동체와 주민자조조 직 기반 복지공동체로 구분 가능 ・ 주민자조조직 기반 복지공동체는 초기 단위 주민조직화, 공동체 조직의 인큐베 이팅 등 다양한 영역에서 공동체들이 태동하는데 초점을 맞춘 전략을 추진 ・ 시설기반 복지공동체는 기존의 복지관 내 인적, 물적 자원을 활용한 자원 교류 및 연계를 촉진할 수 있는 공동체 사업 추진 □ 복지공동체 사업 지원 체계 ○ 복지공동체 사업 지원 체계는 복지공동체 사업 추진 과정에서 공공 및 민간영 역의 지원 기반 체계 강화 및 사업 추진의 실효성 증진에 초점을 두고 있음 - 관련 추진 분야에서는 4개 영역(평가체계 개편, 컨설팅 강화, 지역기반 지원 체 계, 자원교류 및 연계)을 핵심으로 제시하고 있음 - 지역기반 지원 체계는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를 위한 정보 제공 기 반과 자원 연계 기반 등의 역할을 중심으로 설정 - 평가체계 개편은 현재 계량적 성과중심에서 사회적 편익 등 비계량 요소를 포함 한 평가 체계와 과정-결과 중심의 평가 체계로의 전환을 제시 - 컨설팅 강화는 한시적 현장 컨설팅이 아닌 상시적인 현장 컨설팅 체계 구축을 통 한 컨설팅의 실효성 증대 및 자원연계, 내부 운영 체계 개선 등 현실성 높은 컨설 팅 지원 체계 구축 - 자원교류 및 연계는 공동체 간, 지역 간 다양한 유형의 자원 교류 및 연계의 구현 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지역 내 복지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이라는 복지 공동체 사업의 비전을 가장 직접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영역

Ⅳ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발 전 방 안 59 □ 복지공동체 사업 주체 역량 강화 ○ 복지공동체 사업 주체의 역량 강화는 복지공동체 사업의 추진을 위한 참여 주체들의 역량강화 활동, 교육 활동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관련 추진분야에서는 3개 영역(지역복지지기 교육, 우수사례 현장 방문, 백서 및 우수 사례집 보급)으로 인식제고에서 주민 및 구성원 역량강화, 다양한 사 례의 보급을 촉진하는 내용으로 구성 - 지역복지지기 교육은 구성원 및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역량 강화 및 인식개선 을 위한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 - 우수사례 현장방문은 복지공동체 사업 및 유사 공동체 사업의 우수 사례 현장 을 방문하여 성공요인 등을 학습하고, 관련 요인을 접목시키는 방안 등을 논의 - 복지공동체 사업 백서 및 우수 사례집 보급은 복지공동체 사업의 이해와 인식 제고, 복지공동체 사업의 성과 파악 등 사례전파 및 확산 촉진 2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별 공동체 육성 지원 1) 지역단위 복지공동체 육성을 위한 단계별 지원 ○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 형성의 초기단계에서는 주민소모임 등 공동체 활동 촉진 및 공동체 수요에 따른 필요부문을 지원 - 물리적, 재정적 열악성을 넘지 못하는 공동체에 대한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 유도를 위한 정책지원 체계 구축 - 현재 진행되고 있는 ‘복지공동체 사업’의 공모를 지속적으로 확대‧추진하되, ‘복 지공동체 사업’ 설명회 등을 통해 공모사업 지원자에 대한 사전 컨설팅 지원 ○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 지원 단계는 크게 사전단계, 성장단계, 재도약 단계로 구분 - 사전단계는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기 전 단계로 지역 내 주민들이 자조적인 조직화 과정을 통해 모임을 구성하는 단계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60 - 성장단계는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한 공동체들이 지역의 주체, 자원 등의 연 계를 통해 지역에서 공동체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단계 - 재도약 단계는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가 활동범위 및 대상 확대, 자립적 활동 등이 진행되는 단계 ○ 사전단계는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를 대상으로 컨설팅 및 관 리가 주로 이루어지는 단계임 - 사업 설명 및 컨설팅 :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에 대한 사업계획서 및 관련 내용에 대한 작성 방법에 대한 교육 및 컨설팅 등을 통해 공모사업 참여 유도 - 참여주체 추적 관리 : 복지공동체 사업은 단 년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매년 신청 주체 및 참여 주체에 대한 현황 관리를 통해 역량강화, 거버넌스 구축과 연계‧활용 ○ 성장단계는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 간 소통 활성화, 자원의 연계를 통해 공 동체의 성장을 촉진하는 단계임 - 주체들 간의 소통 활성화 : 지역 내 주요 주체(복지관, 지역주민, 지역기관 등) 간 대화모임, 간담회 등 교류의 장 제공, 주체들 간 연계‧협력을 통해 기능 강화 ・ 유사한 유형의 공동체들 간 간담회 및 대화마당 운영, 지역별 공동체 포럼 운영 지원 등을 통한 소통 활성화 - 자원 연계 : 지역 내 각 주체가 보유하고 있는 인적, 물적 자원 등의 연계를 통 해 효율적 이용 및 비용 절감 효과 실현 ・ 지역 내 다양한 유형의 자원 발굴 및 정보, 자원 연계의 중간지원의 총괄 역할 은 경기복지재단에서 담당하고, 지역 내 자원 발굴 및 연계는 지역 내 복지관 등 지역기관에서 수행 ○ 재도약단계는 지역외부의 자원교류 및 연계에 기반 한 공동체 활동범위 및 대상 확대 등 자립적 활동을 지원하는 단계임 - 지역 외부 기관 및 공동체 간 자원 교류 및 연계 :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가 지역 내부 자원뿐만 아니라 지역 외부의 자원을 동원할 수 있도록 컨

Ⅳ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발 전 방 안 61 설팅 등 정보 제공 - 복지공동체 참여 공동체의 자립 계획 수립 :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 체가 중‧장기적으로 자립 계획 수립을 위한 컨설팅 지원 및 자원 연계 기반 강 화 등의 정책 지원 2) 복지공동체 육성을 위한 유형별 지원 ○ 복지공동체 사업이 지향하는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협력체계’ 사업 목 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지공동체 주체 및 활동 영역별 지원 체계 구축 -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 유형은 주민조직 기반, 시설 기반, 나눔, 돌봄 등 주체 및 활동 영역에 따라 다양함 ○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의 주체(주민조직 기반, 시설 기반)의 경우, 사업 추진과정에서 지원의 욕구가 상이 -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의 경우 지역 내 주민조직화, 주민 간 소통 촉진 등 공동체 추진 주체와 지역주민 간의 인식 격차를 줄이기 위한 교육 및 행사 추 진 등 지원 ・ 경기도와 경기복지재단은 복지공동체 참여자 및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교육, 컨설팅 등 지원 역할 수행 - 시설 기반 공동체의 경우 지역 복지관 등 시설과 지역주민들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 제공과 지역 내 타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융‧복합 사업, 자연연계 등 지원 ・ 경기도와 경기복지재단은 복지관 및 지역기관 간 자원연계 등 컨설팅 지원 역할 수행 ○ 경기도와 경기복지재단은 유형별 복지공동체의 지원 과정에서 구성원 및 주민 교육, 컨설팅 등은 공통적으로 수행하되, 각 복지공동체 유형에 맞게 운영 - 각 유형별 교육 및 컨설팅 수요는 단계별, 내용별 상이할 수 있으나, 공통적인 부분과 특성화된 부분으로 진행함으로써 복지공동체의 지역정착 촉진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62 3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원체계 강화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원체계 개편은 복지공동체 사업의 추진과정에 서 전달체계 및 주요 이해관계자들의 역할 정립 등에 초점을 두고 있음 - 관련 추진분야에서는 크게 복지공동체 사업의 평가체계 개편, 사업의 전달체계 개편, 복지공동체 사업의 컨설팅 지원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 1) 지역기반 지원체계 구축 ○ 현행 복지공동체 사업 추진 체계에서 관련 주체들 간의 연계가 미흡하고, 지역단위에서 추진되고 있는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원이 원활하지 못함 - 현 복지공동체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를 지 역단위에서 지원할 수 있는 주체와 전달체계가 부재하기 때문에 자원연계 및 거버넌스 구축의 한계가 존재 - 지역 내 다양한 기관 연계, 공동체 연계, 자원 및 거버넌스 연계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재 복지공동체 사업의 전달체계의 개편이 필요 <현재 복지공동체 사업 전달체계> <복지공동체사업 전달체계 개편 방향(안)> <그림 Ⅳ-3>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전달체계 개편 방향(안)

Ⅳ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발 전 방 안 63 ○ 지역중심의 복지공동체 사업 지원체계는 광역 지원은 경기복지재단이, 지 역 지원은 지역의 복지관 등 기관을 활용하는 형태로 추진 - 경기복지재단과 지역기관이 결합되는 지원체계는 기본적인 자원연계 정보 제 공 및 컨설팅은 경기복지재단이 담당하고, 지역에서의 실질적인 자원연계 및 결합은 지역기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임 ・ 지역중심의 지원체계에 속하는 각각의 이해관계자는 경기복지재단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경기도와 경기복지재단, 지역기관은 수평적인 관계임 <그림 Ⅳ-4> 경기복지재단과 지역복지관을 연계한 지원체계(안)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64 2)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평가체계 개편 ○ 복지공동체 사업의 평가는 재정량 투입 대비 성과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전 형적인 성과관리 평가 체계에 기반을 두고 있음 - 복지공동체 사업에 공공부문의 예산이 소요되기 때문에 재정 투입 대비 성과, 재정 투입 대비 효과에 대한 검증을 필요하나,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복지공동 체 사업은 사회적 편익 산출 가능 영역과 그렇지 못한 영역이 혼재되어 있음 ・ 기회비용 및 사회적 편익을 경제적 편익으로 치환가능한 부분이 배제된 지역주 민과의 유대 강화, 지역공동체 활성화 등은 경제적 편익으로 치환하기 어려운 영역임 - 사회적 편익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체계 및 지표들은 SROI(Social Return On Investment), SROIC 등의 분석방법과 지표들이 있으나 실제 복지공동체에 적 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체계 및 지표에 대한 개선이 필요 ・  총자본 사회적가치  총자본 경제적편익경제적비용 사회적편익사회적비용 으로 산출되며, 실제로 발생하는 사회적 편익에 대해서는 경제적 가치로 치환 이 가능하여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해가 용이 ・ 다만, 복지공동체의 경우 고정 활동으로 경제적 편익이 상시적으로 발생하지 못 하는 한계가 있고, 정부 재원만을 경제적 편익으로 선정할 경우, 발생하는 사회 적 편익이 과대 추정되는 단점이 있음(NEF, 2014) ・  총 자본 사회적 가치    사회적편익  사회적비용  으로 산출 되며, NOPAT은 공동체 활동으로 발생하는 이익에서 법인세 등 세금부분을 차 감한 실질이익이고, IC는 실질자본으로 보유자산에서 비이자발생 부채를 차감 한 것임(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4) ・ SROIC방식은 실제 영업활동을 하는 조직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측 정은 가능하나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 중 생산 활동 및 영업활동 을 수행하는 공동체 수가 적고, 실제 발생하는 영업이익(이익)의 부분이 작기 때문에 실제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음

Ⅳ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발 전 방 안 65 - 복지공동체 사업의 사회적 편익 측정을 위해 기존의 사회적 편익 측정 방법 및 체 계를 활용할 수 있으나, 실제 복지공동체의 발생 편익에 대한 측정은 한계가 있으 므로, 별도의 평가체계 및 지표 개발이 필요 ○ 복지공동체 사업을 통해 산출되는 계량화 부분뿐만 아니라 비계량화 부분,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까지 포괄할 수 있는 평가체계와 지표 개발 - 경제적 편익(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편익을 측정할 수 있는 체계와 지표 개 발을 통해 복지공동체 사업의 실질적 파생 효과 측정 3)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컨설팅 강화 ○ 현재 경기복지재단과 경기도 차원에서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대한 컨 설팅을 지원하고 있으나, 상시적 컨설팅 운영에는 한계가 있음 - 경기복지재단과 경기도의 담당인력구성 등의 현실적 여건을 고려할 때, 상시적 이고 전문적 수준의 컨설팅 지원은 한계가 존재 ○ 복지공동체 사업 공모 전 정책설명회 등을 통한 사업계획 수립 및 계획서 작성에 대한 컨설팅 지원 및 심사탈락 공동체에 대한 추가 컨설팅 진행을 통해 다음 년도 참여 유도 - 복지공동체 사업 정책설명회과 사업계획에 대한 사전 컨설팅 지원을 통한 복 지공동체 활동의 실현가능성 증진 - 심사탈락 공동체에 대해서는 추가 컨설팅 지원을 통해 다음 년도 사업에 참여 유도 - 주민제안 공모사업 참여 주체 및 공동체에 대한 사업계획 및 내용에 대한 DB구 축을 통해 유사 사업에 대한 사전적 관리 체계 구축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전문가 컨설팅을 통한 경기도 지역의 복지공동 체 사업 분야 현안 진단 및 현실적 대안 모색 제시 - 복지공동체 운영 관리자 및 실무자, 구성원의 역량 진단 - 지역 내 자원 연계 체계 구축 및 교류 등의 피어(peer)컨설팅 - 지역사회 자원 발굴 및 공유 방법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66 4) 지역 간, 공동체 간 자원교류 및 연계 강화 ○ 복지공동체 사업의 장점은 공동체 단위로 활동했을 때 결속력을 키우고, 이 러한 결속력을 토대로 복지문제 해결이라는 공적 가치생성이 공동체 단위 에서 더 수월함 - 복지공동체 사업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수요와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소요 되는 자원까지 고려한다면, 공동체 단위 중심의 복지공동체 사업의 추진이 적절 ○ 지역 내 자원 동원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공동체 단위의 정체성은 다소 희생될 수 있으나, 실제 자원교류 및 연계 과정에서 사회적 결속력, 공동체 연계성 강 화를 통한 지속가능성 증진 -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보면 동네의 결속력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다소 이질 적인 지역사회 간의 교류를 통해 자원 활용의 효율성과 범위의 확대에 기여한 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큼 - 지역 내 하나의 공동체가 동원 가능한 자원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제공범 위는 공간적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여건을 공동체 간, 지역 간 자 원 교류를 통해 자원 동원의 범위와 서비스 제공 범위가 확대 - 공동체 간, 지역 간 자원교류가 촉진될 경우, 자원동원 및 활용에 따라 서비스 제공범위가 확대되고, 이러한 과정이 지속될수록 공동체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 의 범위 및 영역에 분리 현상이 발생되고, 이후 효율적인 자원 활용 및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공동체 연대 형성 촉진 ○ <그림 Ⅳ-5>와 같이 공동체 간 자원 협력 체계의 정립을 위한 지역 간, 공 동체 간 자원교류 및 연계 등의 중간지원 역할은 경기복지재단이 수행 - 지역 내 공동체 간 혹은 조직과 공동체 간 자원 교류 및 연계는 지역복지관 등 지역 단체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

Ⅳ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발 전 방 안 67 (1단계: 단일 공동체의 서비스 범위) (2단계: 복지공동체 간 자원교류를 통한 서비스 범위) (3단계: 자원교류를 통한 복지공동체간 서비스 범위의 중첩) (4단계: 공동체간 자원 및 서비스 효율화를 위한 범위 조정) (5단계: 자원교류를 통한 복지공동체들간의 서비스 효율화) <그림 Ⅳ-5> 자원 교류 및 연계를 통한 공동체 연대의 형성 과정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68 4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주체 역량 강화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주체 역량 강화는 사업 추진을 위한 주체들의 역 량강화 활동 및 교육 활동에 초점을 두고자 함 - 주체들의 역량강화 활동은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들의 역 량을 강화하는데 주요 목적을 두며, 사업기획 능력 등을 배양하는데 있음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공모사업 형태로 진행되고 있고, 해당 사업에 선정되 기 위해서는 복지공동체에 대한 이해 및 기획 능력이 수반되어야 함 ・ 그러나 실제 공모사업에 지원하기 위한 사업진단 및 기획 역량이 충분하지 않아 애로 사항이 많은 것으로 분석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과 관련하여 공동체 리더들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 을 운영하고 있으나, 구성원들까지 해당 교육이 진행되지 않아 복지공동체에 대한 이해도 격차가 존재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유사 공동체 사업과의 구별, 복지 공동체 주체자로서의 주민 역량 강화 1) 지역복지지기(가칭) 교육 운영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관련 지역주민 및 구성원들의 관심제고 및 인식 강 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 기존의 복지공동체 리더 교육의 대상 및 교육 내용을 개편하여 복지공동체 사 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지역의 자원 및 주체들 간의 교류 증진 등의 내용 을 중심으로 운영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관련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복지지기(가칭) 양성 ・ 지역 내 복지공동체 사업의 상향식 추진 도모 및 지속가능성 증진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역별 특화 모델 발굴 활성화 ・ 경기복지재단에서 마을리더, 공동체 리더 양성 교육 커리큘럼 및 내용을 현 복 지공동체 여건에 맞게 내용 수정 및 보완 활용 ・ 주민리더 및 복지공동체 리더 중심의 교육 대상을 일반 지역주민으로 확대하여 복지공동체 사업에 대한 인식 개선 촉진

Ⅳ 경 기 도 복 지 공 동 체 사 업 의 발 전 방 안 69 ○ 지역복지지기(가칭)운영을 위한 주요 이해관계자의 역할은 다음과 같음 - 경기도 : 관련 교육운영을 위한 재정 지원 - 경기복지재단 : 교육과정 개발 및 시범교육 운영, 교육 평가 및 사후 조치, 교 육과정의 지속적 운영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관련 교육과정 개발 및 지속적 교육과정 모니터링 -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조직 및 지역주민 : 교육 수료 및 교육과정 홍보 참여 2) 복지공동체 및 공동체 사업 우수사례 현장 방문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및 유사 공동체 사업의 사례 방문 및 활성화 방안 학습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우수(성공)사례 현장 방문 및 사례 공유 기회 확대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공유 및 교류를 통한 지속가능 복지공동체 방향성 모색 및 자원 연계(교류)기회 증진 ○ 복지공동체 및 공동체 사업 우수사례 현장 방문 관련 주요 이해관계자의 역 할은 다음과 같음 - 경기도 : 당해 연도 경기도 복지공동체 우수 사례 선정 계획 수립 및 선정 - 경기복지재단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우수사례 탐방 및 참여자 구성, 사전 학습 모임 운영, 사후 학습모임 운영 등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사전․사후 학습 모임 운영을 통한 사례에 대한 이해도 증진 및 성공요인의 참가자 복지공동체에 이식 과정 촉진 - 복지공동체 사업 참여조직 및 지역주민 : 사례 현장 방문 및 학습 모임 참여 3)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백서 보급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백서 및 우수사례 제작․보급을 통한 복지공동체 사 업의 이해와 인식 제고 - 복지공동체 사업의 제반 활동 성과와 비전, 향후 추진계획 등을 종합․정리한 백서 및 연도별 우수 사례집의 발간을 통해 사업경험의 축적과 공유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70 - 복지공동체 사업에 대한 우수 사례는 주체별, 유형별, 지역별 등으로 분류하여 해당 복지공동체에 대한 지식정보 교류체계 구축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흐름 및 운영 진단 파악을 위한 DB 구축 - 공공과 공동체의 협력체계를 통해 진행된 사업의 진행과정, 활동성과 등 추진 현황 자료 구축 - 복지공동체 사업에 대한 전반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공모에 신청한 공동 체에 대한 정보(사업주체 및 사업 내용)와 재선정되지 않은 복지공동체 대한 정보에 대해서도 DB 구축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 백서 및 우수사례집 발간 - 복지공동체 사업 DB구축을 총한 제반 활동의 성과와 비전, 향후 계획 등을 종 합․정리한 백서 및 우수사례집 발간 ・ 사업백서 및 우수 사례집은 책자 발간과 온라인 발간을 통해 보급 - 복지공동체사업 백서 및 우수 사례집 발간은 경기복지재단 내 전담인력 및 팀 을 구성하여 진행 ・ 복지공동체 사업 전담인력과 연구 인력이 결합된 전담팀 구성 및 운영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1. 요약 및 결론 2. 정책 제언

Ⅴ 결 론 및 정 책 제 언 73 1 요약 및 결론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을 진단하여 성과와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음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복지 영역에서 지난 5년간 경기도 내 복지사각지대 에 있는 사회배려계층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주민 의 자발성 및 적극성 촉진에 대한 한계, 경기도 내 유사 공동체 사업과의 차별 성 미흡 등 사업의 정체성 문제에 직면하고 있음 -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념 및 특징,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성과 등을 살펴보고,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은 ‘지역주민과의 소통 및 교류’, ‘나눔, 돌봄 영역에 서 사회적 편익 발생’, ‘공동체 내 자원 확보 역량의 증대’ 등의 측면에서 성 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 -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역주민 소통 및 교류의 경우,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한 인원은 2012년 대비 2015년 6.3배 정도 증가하였고, 복지공동체 1개 소당 평 균 참여인원은 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나눔, 돌봄 영역에서의 사회적 편익 발생은 구성원들이 재능기부, 무료 봉사 등의 활동을 통해 발생되는 사회적 편익(가치)이 지원되는 공공재원 대비 높 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됨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74 - 공동체 내 자원 확보 역량의 증대의 경우,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 의 자기부담재원 비중은 2012년 대비 2015년 1.2배 증가하였으며, 자기부담 재원 총량은 2012년 대비 2015년 3.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이 재도약할 수 있는 개선방안은 ‘복지공동체 사업 의 정체성 확립’,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별 공동체 육성 지원’,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원체계 강화’, ‘복지공동체 사업의 주체 역량 강화’ 영역으로 제시 - 복지공동체 사업의 정체성 확립 : 경기도 복지공동체 기본 계획의 수립을 통해 비전과 사업목표를 명확하게 정립하고, 각 영역별 지원 체계정립을 통해 복지 공동체 사업의 실효성 강화 - 복지공동체 사업의 개별 공동체 육성 지원 : 복지공동체 수행 주체(시설 기반 복지공동체, 주민조직 기반 복지공동체), 활동 영역(나눔, 돌봄 등) 등을 고려 하여 단계별 사업계획 수립 지원 - 복지공동체 사업의 지원체계 강화 : 공공 및 민간영역의 자원 연계 및 교류, 정 보 제공, 컨설팅, 평가 등 사업 추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기반 조성 ・ 지역기반 지원체계: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체를 위한 정보, 자원 연계 지원 ・ 평가체계 개편: 과정-결과 연동 평가, 사회적 편익이 반영될 수 있는 평가 체계정립 ・ 현장 컨설팅 강화: 상시 컨설팅 체계 구축, 자원연계, 조직운영 등 컨설팅 지원 ・ 자원교류 및 연계: 지역 내․외부의 다양한 자원연계를 통한 자원역량 강화 및 서비스 확대 - 복지공동체 사업의 주체 역량 강화: 사업 참여 공동체 및 주민을 대상으로 교 육을 통한 역량 강화 및 복지공동체에 대한 성과 공유 ・ 지역복지지기 교육 : 복지공동체 구성원 및 지역주민 대상 역량강화 및 인식 개선 교육 ・ 우수사례 현장방문 : 복지공동체 우수 사례 경험 및 현장 방문을 통한 노하우 전수 ・ 백서 및 우수사례집 발간 : 복지공동체 사업에 대한 이해와 인식제고, 복지공동체 모델 확산

Ⅴ 결 론 및 정 책 제 언 75 2 정책 제언 □ 복지공동체 사업 수행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경기복지재단 내 전담 인력 및 조직의 구성 ○ 복지공동체 사업의 기획주체와 수행주체를 구분하고, 복지공동체 사업의 수행은 경기복지재단이 전담 - 현재, 복지공동체사업의 수행은 경기복지재단에서 담당하고 있으나, 담당 인력 (1명)이 복지공동체 사업 운영, 실행위원회 회의 진행, 간담회 및 설명회 등을 운영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임 - 향후 복지공동체 사업에서 진행해야 할 현장중심의 컨설팅(피어컨설팅), 자원 연계 및 교류, 사업 백서 및 우수사례집 발간 등 역할 확대를 고려할 때, 전담 인력 확보와 조직 구성 ・ 서울시에서 진행하는 마을공동체 사업의 경우, 공동체 대상 현장컨설팅, 자원 연계, 백서발간, 지식정보 교류체계 구축 등의 역할 수행을 위하여 전담인력 3 명과 1개의 팀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음 - 복지공동체 사업의 백서, 우수사례집 발간과 관련하여 경기복지재단 내 연구 인력과 실무인력이 결합된 발간팀을 구성하여 매년 정기적으로 간행물 발간 □ 복지공동체 사업의 성과, 활동, 공동체 간 형성되는 네트워크의 투 명성 강화를 위한 체계 구축 ○ 복지공동체 사업 및 참여 공동체의 투명성 강화를 위한 대안으로 조직현황, 활동, 성과 등의 정량적 자료와 조직 활동, 사회적기여, 인터뷰 등 정성적 자료의 공유가 온라인 지식공유 체계 구축․운영 - 복지공동체 간 중심의 폐쇄적 네트워크는 장기적으로 소수 집단에 대한 자원 편중과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는 구조 양산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람 중심 의 공동체 활성화를 지향하는 복지공동체 사업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투명성 강화 기제 온라인 지식공유 체계 활용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76 □ 복지공동체 사업의 전달 체계 개편 ○ 복지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복지공동체를 위한 지역기반 지원체계를 추진 하기 위해서는 현 복지공동체 사업의 전달체계의 개편이 선행되어야 함 - 복지공동체 사업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의 역할 재정립과 전달체계의 재정립 추진 - 경기도 : 복지공동체 사업의 기획 및 재정지원, 지역지원기관 운영지원 등 - 경기복지재단 : 복지공동체 사업 수행 및 컨설팅, 자원연계, 우수사례 발굴 등 복지공동체 사업 전반에 대한 운영 역할 수행 - 복지관 등 지역기관 : 지역 내 복지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자원 및 기관 연계 <그림 Ⅴ-1>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전달체계 개편(안) 및 역할

참 고 문 헌 77 <국내서적> 김희연‧유영성‧고재경(2014). 복지공동체, 공공복지의 한계를 넘는다. 이슈 & 진단 157호, 경기연구원. 김철회‧하혜수.(2016), 성미산 마을공동체 형성의 성공요인에 대한 분석, 국정관리연구 제11권 제1호, pp.79-103. 조선주(2011). 여성 자원봉사활동의 결정요인과 경제적 가치 추정, 노동정책연구, 11(3), pp.81-107. 최조순‧강병준‧강현철(2015). 한국 공동체 정책의 비판적 논의: 통치성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9(1), pp.45-64. 경기복지재단(2016). 경기도 균형발전기준선 실태조사. <해외서적> Davies, W. K. & Herbert. D. T.(1993). Communities with in Cities: An Urban Social Geography. London. Belhaven Press Lelieveldt, H. Dekker, Volker, B., and Torenvlied, R.(2009). Civic Organizations as Political Actors: Mapping and Predicting the Involvement of Civic Organizations in Neighborhood Problem-Solving and Coproduction. Urban Affairs Review,45(1):3-24. Lowndes,V. & Sullivan.(2008). How Low Can You Go ? Rationales and Challenges for Neighbourhood Governance. Pubic Administration, 86(1): 53-74. Marschall, M.(2004).Citizen participation and the neighborhood context: A new look at the coproduction of local public goods.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57(2):231-244. NEF(2014). Social Return On Investment. Putnam, R. D.(1993). Making Democracy Work: Civil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Schimitter, P. C.(1997). Civil Society East and West. in Larry Dimond, Marc F. 참고문헌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78 Smith, D. H.(1999). The Effective Grass roots Association II: Organizational Factors That Produce External Impact. Nonprofit Management & Leadership,10(1):103-116. Wandersman A, Florin P. (2000). Citizen participation and community organizations. In Handbook of Community Psychology, ed. J Rappaport & E Seidman, pp. 247–72. New York: Plenum Woolcock, M.(1998).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Theory and Society 27(2), pp.151-208. Zimmermann, M. A. and Rappoport, J. (1988). Citizen participation, perceived control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6: 725-750 <정부 간행물> 경기도 내부자료(2012). 2012년 서로돌봄마을 사업 공고 (2013). 2013년 서로돌봄마을 사업 공고 (2014). 2014년 무한돌봄공동체 사업 공고 (2015). 2015년 복지공동체 사업 공고 (2016). 2016년 복지공동체 사업 공고 (2016). 복지공동체 운영 및 예산 현황 안전행정부(2013). 󰡔현대적 지역공동체 모델정립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2014).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가치 측정 사례 연구󰡕. <신문기사 및 웹사이트> 자치법규정보 시스템 www.elis.go.kr

부록 복지공동체 소개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81 지동 마을작업장의 문화복지사업 수원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이웃문화협동조합추진위원회 최초선정년도 2012년 지원년도 2012 운영 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0,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의 우수한 문화자원을 반영한 ‘마을 대표 브랜드’ 필요성에 대한 공동 문제의식에서 출발  지역예술인 등의 인적자원과 마을 노년층의 여가와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공동체 활성화 추진  마을의 공동문화시설을 마련하고, 문화․복지형태의 예술 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주민의 삶의 질 개선 주요 사업 내용  주민들이 공동으로 ‘마을문화상품’을 개발․생산하는 공동작업장 운영 및 지역상권 유통 -주민 공동 출자금을 조성하여 마을작업장의 운영․관리  주민과 지역예술인이 함께하는 마을문화상품 개발 -지역예술인이 주민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교육 프 로그램 진행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의 자원들을 활용하여 상품화 및 취약계층의 경 제적 자립 및 자존감 회복에 기여 -자원순환 목공예 교육을 통한 환경과 문화 교류 접 촉의 기회 확대  인적자원, 문화자원, 공간자원 등 다양한 자원의 연계  자립을 위한 단계별 계획 및 로드맵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82 서로 돌보는 복지마을만들기 프로젝트 부천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춘의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2년 지원년도 2012~2013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3,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2000년부터 임대단지 주민들과 함께 마을 만들기 사 업을 진행하며, 주민 복지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봉사 활동을 실시하였으나, 주민조직의 기반이 미흡  임대단지 내 알뜰매장을 중심으로 주민조직의 역량 을 강화하고 지역화폐 활용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임 대단지 주민과 복지관이 함께하는 복지마을 만들기 실현을 추진 주요 사업 내용  알뜰매장 운영 -놀이터 지킴이 주민조직을 통한 알뜰매장 운영 및 관리를 통한 수익금 마련 -기존 주민조직 참여자 중심의 요리 및 생활용품 제 작 교육 실시  지역화폐 체계 도입 및 활용 -지역화폐 제작 및 봉사활동에 대한 인센티브로 지 역화폐 제공 -지역화폐 활용을 통한 지역사회 봉사활동 참여 유도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알뜰매장 봉사단 구성 및 임대단지 주민의 돌봄 자원 봉사활동의 활성화 및 지역리더 발굴  임대단지 내 지역사회 봉사활동 및 문제해결을 위한 수익 기금 조성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83 시끌벅적 골목이야기 부천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원종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2년 지원년도 2012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25,500천원(5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주민이 취약계층에 관심을 갖고 돌볼 수 있는 동 별 이웃지지 체계 마련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수행 한 경험 보유  향후 지역 안의 작은 단위인 골목에서부터 이웃지지 체계를 마련하여 지역 안에 나눔 문화를 확산시키고 돌봄 체계 정립의 필요성 증대 주요 사업 내용  골목공동체 구축 기반마련 및 소통 관계망 형성 등 골목 중심의 캠페인 진행  주민참여자 조직 및 역량강화 -참여 지역주민을 골목지기로 조직화하고 역량강화 를 위한 사업설명회 마을탐방 밥상모임 진행  골목공동체 정서지원활동 -돌봄이 필요한 홀로거주어르신의 정서적 고독감을 완화하기 위한 정서지원활동 진행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주민 조직화를 통한 지역주민 실천기반 마련 -골목공동체의 기능 회복 및 홀로어르신의 정서적 고독 완화  주민참여자와 저소득 홀로어르신 서비스 대상 및 지 역 확대를 통한 나눔 문화 실천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84 더불어 사는 인정이 넘치는 마을 만들기 안양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부응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2년 지원년도 2012-2016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25,000천원(5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는 영구임 대 아파트 주민들을 대상으로 주민 간 친목과 역량강 화에 초점을 맞춰 주민조직화 사업을 추진해온 경험 보유하고 있으나 실천 측면에서 한계에 직면  보다 자발적 주민조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립 기반을 확보할 수 있도록 주민들의 역량강화가 필요 주요 사업 내용  Love(사랑) : 저소득공부방 간식지원, 저소득층 밑반 찬 나눔 활동 등  Eco(환경) : 마을청소를 통한 쾌적한 마을 조성  Community(마을공동체) -주민권리의식향상을 위한 리더십교육 -마을신문 만들기 활동을 통해 우리 마을에 대한 관 심을 유도하고 문제 해결 및 소통의 기회 제공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활동에 따른 제반비용 문제해결로 소극적 마을조직 에서 적극적 마을조직으로 변화  안양 내 마을공동체를 대표하는 구심점으로 발전하 여 지속가능한 서로돌봄마을을 구축하는데 기여  지역단체 연계 및 지역주민 참여 유도를 위한 활동의 다양성 추구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85 희망을 나누는 사람들의 열린공간 오산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오산종합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2년 지원년도 2012년~2014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6,000천원(3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임대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며, 가정 내에 복합적인 문 제를 가지고 있으나 자생적으로 문제해결 능력이 부 족한 위기 대상자가 많이 발생  또한 사할린 영주 귀국동포들이 오산시로 입국하며, 러 시아와 한국의 문화적 차이로 인한 주민 간 갈등 우려  이처럼 지역주민들의 복지서비스 욕구가 크지만, 외 곽지역이라는 입지 조건으로 많은 대상자들이 복지 서비스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점에서 열린 마을 조 성이 필요한 실정 주요 사업 내용  공동양육 문화를 조성 및 자녀-부모 간 소통 증진을 위한 북카페 운영  사할린 영주 귀국동포와의 문화적 교감 및 주민 통합 을 위한 프로그램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자조모임으로 형성된 주민대표들이 자생적으로 마을 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실무자 1인이 전담하여 지 속적인 교육․훈련 관리  사할린 영주귀국동포 노인과 지역 주민의 문화적 이 질감 해소  입주자의 재능 나눔을 통해 교육욕구 해소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86 포일맘스클럽 의왕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포일맘스클럽 최초선정년도 2012년 지원년도 2012년~2013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0,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신규 아파트들이 밀집되며, 새 터를 잡아 생활해야 하는 포일지구 주부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조직  다양한 오프라인 프로그램을 통해 사이버 공간활용 의 한계를 극복하고, 상부상조의 공동체 문화를 회복 하는 등 지역사회에 나눔 문화를 확산 주요 사업 내용  ‘맘스 솜씨장터’ 운영을 통해 이웃 간 화합의 장 마련 및 다문화 가정의 자녀 지원  지역사회 복지관에 밑반찬 기부 -지역사회 노인복지관 경로식당에 기부 및 배식봉사 를 통한 사회공헌 참여  이웃 가족과 함께 하는 계절 생태체험 여행 -단절된 이웃 및 가족 간의 관계 개선 -농산물 판매 수익금 기부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주부들만의 커뮤니티 모임에서 가족단위의 봉사활동 으로 발전하여 가족 내 관계 증진과 더불어 지역사회 에 나눔 문화 확산에 기여 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주부들의 역량강화 및 자존 감 향상 등 가정 및 지역 내 주부들의 공동체 활동 촉진 및 자존감 향상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87 다문화가정 행복나눔사업 양평군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양동면주민자치위원회 최초선정년도 2012년 지원년도 2012년~2015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24,000천원(4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다수의 결혼이주여성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적 특 성에 따라 자발적으로 자조모임 ‘파랑새 가족’을 조 직하여 활동해 옴 -다양한 욕구에도 불구하고 재정적인 여건 악화로 인한 사업 추진의 한계에 직면  자녀 교육 및 자기 개발, 지역사회 봉사 등 자조모임 구성원들이 지닌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프 로그램들 진행 및 개인, 조직의 역량 강화 주요 사업 내용  자녀 학습 품앗이 활동 -모국어 가르치기, 학습지도  파랑새 기자단 결성 및 가족 문고 발간  파랑새 합창단 결성 및 봉사단 활동 -한국어 발음이 부정확한 다문화 여성들의 발음 교정 -지역사회 봉사를 통한 다문화가족 인식 개선과 자 조모임 활성화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다문화가정의 자립 및 자기개발, 사회참여 기회 증진 효과  한국 문화 적응 및 모국에 대한 자부심 증진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88 돌봄 품앗이 키즈코업 남양주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남양주지역사회복지협의체 최초선정년도 2012년 지원년도 2012년~2015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23,000천원(4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맞벌이 부부의 증가와 여성 경제 활동을 위한 지역 돌봄 대안 필요  핵가족화 맞벌이 증가로 인한 가족 기능 약화와 양육 에 대한 어려움 증가  지역 주민들이 서로 상부상조해가며 나눔으로 돌봄 을 교환할 수 있는 복지 맞춤형 돌봄 시스템 필요 주요 사업 내용  품앗이 돌봄을 ‘타임’으로 지역 화폐화하여 키즈코업 돌봄 통장 운영 -공동육아 지원 시 시간을 적립하고, 공동육아 서비 스 이용 시 시간을 차감  지역주민들의 관계형성과 자녀 또래집단 강화를 위 한 캠프 및 나들이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남양주 전 지역으로 맘을 위한 지역 맞춤형 돌봄 시 스템 구축  출산·보육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 여성의 일자리 참여 확대 -지역 맞춤형 돌봄 시스템 구축으로 예산절감 -지역 주민 중심의 방과 후 돌봄 문제 해결 시스템 구축  지역맘 네트워킹을 통한 지역복지 자원조직화를 통한 지역사회 활성화 -지역주민의 공동체 의식 함양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89 퍼스트 싸운드 초성 연천군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퍼스트싸운드 최초선정년도 2014년 지원년도 2014년~2015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25,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초성리 지역은 일반 농촌주택과 연립주택단지가 공 존하는 지역으로 연립주택 입주를 위해 외지에서 온 주민들은 기존 원주민들과 교류가 전무한 현실임  이에 우리의 아름다운 문화로 존재했던 농촌의 상부 상조 공동체 모습을 되살리고, 문화적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청소년들에게도 다양한 예능의 배움터를 만 들어 주기 위해서 마을 밴드를 조직 주요 사업 내용  부모와 자녀, 이웃 주민들이 함께 하는 마을 밴드 교 실 운영  농촌지역의 문화 예능 나눔 사업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연천군 지역행사인 ‘구석기 축제’에 정기 공연팀으로 참가  지역 내 나눔과 위로가 필요한 단체 등에 방문 연주 회 개최  문화혜택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는 농촌지역 주민들, 특히 청소년들에게 예능의 배움터 역할  소외지역에 거주하고 있다는 주민 피해의식 감소 및 지역에 대한 자부심 고취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90 세대통합 너!나!우리! 행복한 마을 만들기 수원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무봉종합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3년 지원년도 2013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6,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 이웃 간의 교류 미흡 및 단절로 인하여 공동 체가 와해되는 현상이 가속화 -지역주민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기제도 부재하여 이웃이 어떠한 일들을 겪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부재  이웃 간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지역 주민들이 소통하 는 행복한 마을 구현을 위한 인식에서 출발 주요 사업 내용  지역 주민들의 소통 및 교류 촉진을 위한 공간 운영 -각 가정에 방치된 책들을 한 공간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책방 나눔 사업을 추진  지역주민들의 소통 및 교류를 촉진하기 위한 지역 신 문 발행 -정보교류를 통한 재능, 물질, 마음 나눔을 실천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주민들의 소통과 교류를 통한 행복한 마을 구현 -재능, 물질, 나눔 등의 가치 실현과 이웃 간의 공동 체성 회복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91 버드네길 참새 방앗간 수원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3세대문화사랑회 최초선정년도 2013년 지원년도 2013년, 2015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1,500천원(3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 부정적인 주거환경에 대한 이미지 개선과 주 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살아가는 정을 느낄 수 있는 공동체의 필요성 증대 -이웃들 간의 소통과 관심, 사랑이 넘치는 공간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공동체 활동의 필요성 증대 -외로움, 우울증 등 정서적 예방활동 및 주민의 자발 성에 기초한 다양한 활동 추진 주요 사업 내용  3세대 푸드힐링 프로그램 -저소득층 및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함께 식사를 함 으로써 정서적 안정 및 예방활동 추진  우리 동네 문화놀이터 즐기기 -저소득층 아동들을 대상으로 문화 체험활동을 통한 문화격차 해소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정기적인 주민참여와 소통활동으로 인한 소통 활성화 -이웃과의 소통과 관심, 사랑이 넘치는 정겨운 공동 체 조성 및 활성화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92 찾아가는 이야기 놀이터 성남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이야기 놀이터 그린나래 최초선정년도 2013년 지원년도 2013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8,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저소득층 아동들의 문화 격차 확대에 따른 격차 해소 프로그램의 필요성 증대 -문화에 대한 흥미 및 저변 확대, 엄마들에 대한 교육을 통한 자녀 문화체험 기회 제공의 높은 수요 주요 사업 내용  찾아가는 이야기 공연 -소외 아동들을 대상으로 동화 구연, 멀티미디어 동 화, 인형극 및 동극 공연 등을 통한 문화 격차 해소  찾아가는 이야기 강좌 -미혼모, 다문화가정 엄마들을 대상으로 아이에게 책 읽어주는 방법, 교육 방법 등의 프로그램 운영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문화격차 해소 및 다양한 계층의 엄마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공동체 형성 촉진 -동화 구연 등 봉사활동 주부들로 구성하여 엄마들 간 교류 촉진 -찾아가는 공연활동을 통한 재능기부 등 나눔 문화 실천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93 하얀마을 신가족애 탄생 성남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분당노인종합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3년 지원년도 2013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8,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 독거노인의 소외에 대한 현상이 가중되는 등 수요 증가 대비 행정적 지원의 한계 직면 -지역 내 다양한 주체들 간의 연대를 통한 독거노인 문제 해결 및 교류 활성화 등 대안 모색 필요성 증대 주요 사업 내용  사랑의 장바구니 -지역 내 1:1 사회적 가족 매칭 및 함께 장보기  신가족애 기반의 마을 만들기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방문 모니터링, 지역 내 복지 자원 발굴 및 연계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 내 복지회, 어머니회, 동 주민센터 등 지역 내 복지자원들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자원연계 강화 -지역 내 자발적 의지를 가진 주민들을 대상으로 리 더 교육 및 훈련을 통해 지역의 다양한 복지자원 발굴 및 연계 활동 활성화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94 웰컴 투 반월골 안산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건건이편한세상 입주자대표회의 최초선정년도 2012년 지원년도 2012년~2015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20,500천원(4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낙후된 지역, 토착민과 이주민의 갈등, 분절된 이해 관계자들의 관계 등을 복원하기 위한 공동체 중심의 다양한 노력의 필요성 증대 -지역주민들 간 서로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다양한 활동을 실현하기 위한 의지에 비해 행동은 미흡 주요 사업 내용  가족이 함께하는 축제 -지역의 주민들이 소통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의 장 마련하고, 축제의 모든 과정을 지역주민 중심의 축제 추진  청소년과 함께 하는 마음 음악회 -중학생 공연 및 마을주민 재능기부를 통한 음악에 대한 접근성 강화 및 다양한 영역의 음악 청취 기 회 제공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마을 내 축제 및 문화 정착을 통한 지역주민들 간 소 통 및 교류 확대 - 축제, 음악 등 다양한 문화 향유의 기회 제공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95 함께해요 살만해요 안양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비산종합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2년 지원년도 2013년, 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7,5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적 고립감 해소 및 정 서적 지지에 대한 문제 해결의 중요성 부각 -지역주민 중심의 독거어르신들에 대한 정서적 지지 와 지속적인 관리체계 정립의 필요성 증대 주요 사업 내용  해피러스 모니터링단 운영 -지역 내 무의탁 어르신들의 심리‧정서적 지지 및 안 부체크 등 모니터링 진행 -무의탁 어르신 대상으로 정기적 ‘생신잔치상’ 행사 진행을 통한 심리‧정서 안정 도모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주민 중심의 자원봉사 모니터링단 정착 및 지역 주민 조직화 확대를 통한 공동체 활성화 촉진 -지역주민이 주도하여 모니터링단을 조직하고, 지역 내 다양한 주민 및 단체들 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공동체 활성화 촉진에 기여 -사업 진행 성과에 따라 접근성이 높은 인접 지역까 지 해당 사업범위를 확대할 예정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96 능곡동을 움직이는 기분좋은 태동 시흥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목감종합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3년 지원년도 2013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7,500천원(4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는 영구임대주택 단 지 내 독거 어르신의 심리‧정서적 지지의 필요성 증대 -임대주택 내 거주하고 있는 독거 어르신들의 경우 사회적 배제뿐만 아니라 관계의 단절로 인하여 사 회적 소외감이 극대화되어 있음 주요 사업 내용  가족 맺기 프로그램 -지역 내 주민과 독거노인과의 사회적 가족을 맺고, 친밀감 향상을 위한 공동체 활동에 참여  건강문화학교 -건강 먹거리를 주제로 건강 교육과 요리 실습 등 주 민과 어르신들의 문화체험을 통해 소통과 교류 확대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주민 중심의 지역문제 해결 역량 강화 및 공동체 활성화 촉진  독거 어르신분들의 강점과 특기를 살린 지역주민에 게 재능 기부를 통한 자존감 향상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97 예그리나 프로젝트 안성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안성서부무한돌봄네트워크팀 최초선정년도 2013년 지원년도 2013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7,5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장애자녀에 대한 이해도 증가 및 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재능기부 활동 촉진 -지역 내 장애인 자녀를 둔 가정에 대한 이해가 낮 고, 가구에 대한 책임론을 지역적 차원으로 전환시 키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 주요 사업 내용  장애인부모 대상 교육 -장애 자녀에 대한 이해도 증진, 장애 자녀에 대한 사회적 당당함을 표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  장애인 힐링프로그램 운영 -미술치료, 원예치료, 웃음 치료 등 장애아들이 심리 적‧정서적 힐링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장애자녀 가구에 대한 프로그램 제공의 상시 체계 구 축을 통한 지속가능 서비스 기반 구축  지역 내 의료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장애자녀 가구에 대한 의료지원 체계 구축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98 행복나눔 e-웃 만들기 오산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우산남부종합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3년 지원년도 2013년~2014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3,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 주민 간 소통의 기회확대 및 나눔 실천의 복 지사업 추진을 통한 공동체 활성화 -지역주민 중심의 나눔을 실천하기 위한 사업 추진 을 통해 지역사회복지발전에 대한 기여 및 행복한 삶의 질 증진 주요 사업 내용  마을신문 및 지역주민 간담회 등 지역주민 소통 확대 -마을신문 발행, 지역주민 간담회 활동 등을 통한 소 통 및 참여의 기회 제공  재능학교, 소모임 활동, 청소년 멘토링 등 재능기부 -지역 내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통기타 등 소모임 활 동, 재능기부, 청소년 멘토링 등의 사업을 통해 나 눔 문화 실천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 내 부녀회, 경로당 어르신들의 적극적 참여를 통한 지역 내 정보 교류 확대  지역주민 자체적인 재원 확보 등을 통한 자율적 운영 기반 조성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99 희망가득 웃음가득 오전동 만들기 의왕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오전동주민자치위원회 최초선정년도 2013년 지원년도 2013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8,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 저소득층 청소년들에게 교육 및 체험의 기회 부족 등 지역사회의 관심과 돌봄에 대한 필요성 증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부재 주요 사업 내용  청소년 공부방 운영 -매주 2회 영어‧수학 등 저소득층 청소년을 대상 재 능기부를 통한 학습지도  체험교실 운영 -공부방 학생 및 지역 내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문화체험, 창의 교육 등 프로그램 운영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 내 문제를 지역주민들이 자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제로 공동체를 조성‧운영함으로써 지역문제 해결의 가능성을 제시  지역 내 청소년문제 뿐만 아니라 독거노인 등 대상 확대와 청소년 봉사활동 등 활동 영역의 확대 계획 중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00 음악으로 우뚝서다 고양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행복나눔동호회 최초선정년도 2013년 지원년도 2013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8,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도시지역 내 소외된 이웃들에게 악기를 통해 음악을 공유하고, 참여자들 간 친분 형성을 통해 나눔 문화 의 확산 필요 -지역 내 소외계층의 사회적 관계 및 지지의 단절 등으로 인한 사회적 배제 현상의 가속화 -음악 및 악기를 통해 이러한 사회적 배제 현상의 확산을 막고, 소외계층 아동들의 문화 향유 기회의 확대 주요 사업 내용  악기야 놀자 -저소득층 아동들을 대상으로 오카리나, 핸드벨 등 악기 및 음악 활동의 기회를 통한 문화 체험  음악으로 우뚝 서다 -지역 내 희망 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재능기부 및 보 조강사를 통해 악기 및 학습지도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악기를 매체로 한 재능기부 및 나눔 활동을 통해 지 역 내 공동체 활성화 촉진  소외계층에 대한 악기 체험의 기회 제공을 통해 문화 격차 해소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01 웰컴 투 동막골 의정부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의정부종합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3년 지원년도 2013년~2014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4,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저소득층이 밀집되어 있고, 자연부락의 형태로 조성된 지역의 특성상 주민소통 및 연합활동의 필요성 증대 -마을 간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자연부락이 많 은 지역적 특성상 주민들 간의 소통이 부재하고, 다 양한 활동의 연계 기회가 적음  지역주민들의 소통‧재능 나눔‧공동체의식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지역의 통합 증대효과 기대 주요 사업 내용  나눔 장터 및 생명농사 -지역 내 유휴텃밭 등을 이용하여 소규모 농사 및 농작물 수확을 통해 나눔 장터에서 판매하고, 수익 은 마을 만들기 사업비로 활용  장애인 재능 나눔 난타(장애인 풍물팀 운영) -장애인 사회참여 증진을 위한 재능 나눔 및 문화 체험의 기회 확대를 위한 장애인 난타 풍물팀 운영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주민참여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지역 기관과의 연 계 및 지원을 통해 사업의 지속가능 기반은 구축 -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자원 발굴 및 지속적 판매 활동 을 통한 수익 창출을 기반으로 자립 추진의 계획 수립  자립적인 공동체 활동을 추진하기 위한 기반 강화 및 대상, 활동 범위 확대 계획 추진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02 오색 반짇고리 성남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사회적협동조합 일하는 학교 최초선정년도 2014년 지원년도 2014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7,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저소득 가정이나 한 부모 가정 등과 비교했을 때 리 틀맘에 대한 사회적 보호망은 매우 취약하고, 정보의 제공 체계의 부재로 자녀 양육에 대한 필요성이 높음 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리틀맘을 발굴하고, 경제 및 심리·정서적 지원,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지역사회의 당당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함 주요 사업 내용  수공예를 매개로 한 정서·심리 프로그램 -수공예 교육 및 활동, 박람회, 바자회 등  교육 프로그램 -학업중단 리틀맘 검정고시 과정 교육 지원, 진로·직 업 코칭 등 -육아 관련 상담 및 교육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마을 내 긍정적인 소통을 이끌어내어, 리틀맘들에 대 한 편견 감소에 기여  수공예 작업을 통해 육아 이외의 생산 활동을 도모함 으로써 이후 진로 및 학업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 진로 코칭 프로그램으로 연계하여 취업가능성을 향상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03 시나브로 가·족 성남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사단법인)남한산성복지회 최초선정년도 2014년 지원년도 2014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4,000천원(3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사회적 소외된 이들, 특히 노인들의 고독사는 심각한 사회문제로써 지역 내에서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음 -지역사회의 관심을 통해 독거노인들의 고독사를 방 지하고, 더 나아가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들의 심 리‧정서적 지지망을 구축하기 위하여 추진 주요 사업 내용  저녁문안 프로그램 -어머니 방범대 순찰대원이 야간 시간에 독거노인 가정 방문 및 간식 제공  지역주민 재능기부를 통한 독거노인 생신잔치 프로그램 -어르신 생신잔치, 이미용봉사, 장수사진 촬영 등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홀몸어르신과 자원봉사자와의 라포 형성으로 인해 유대감이 강화되어 의부모 맺기 등으로 발전, 질적 관계 향상  취약한 저녁시간 대 어른들의 안위를 살핌으로써 어 르신들의 정서적‧심리적 안정감 증대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04 덕유 통.신.원 부천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덕유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2년 지원년도 2014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5,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 서로 다른 특성 및 욕구를 가진 계층들이 공 존하고 있어 다양한 욕구를 지역 차원에서 해결하지 못하고 있음 -영구임대주택 단지에 거주하는 기초생활수급자와 다 수의 북한이탈주민들이 공존하여 거주하는 지역임  서로 다른 특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계층 간 갈등 해소와 지역적‧정서적 교류의 필요성 증대 주요 사업 내용  마을 소모임 운영 -인형극, 원예 등 문화여가 등을 포괄하는 소모임 운영 - 북한이탈주민과 지역주민이 함께 하는 소모임 운영  통합 소모임 활동 -캠페인, 연합 간담회, 주민교육, 소모임 발표회 등을 통한 지역주민 교류 및 소통의 장 마련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소모임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에 대한 소속감 및 사회적 관계망 강화 -각 소모임의 리더들을 중심으로 구성원들의 역할 및 신규 리더 발굴  서로 다른 특성 및 욕구를 지닌 다양한 계층들이 소 통하고 화합하며 공동체 문화 회복의 기회 확대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05 마을과 주민을 잇는 징검다리 사회적가족 시흥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대아종합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4년 지원년도 2014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3,000천원(3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독거노인의 기초건강관리, 우울증, 고독사, 정서적 지 지결여 등 다양한 문제들의 해소 및 예방에 대한 지 역사회 차원의 필요성 증대 -중‧장년층 주민활동가를 양성하여 노인과의 결연을 통해 세대통합 및 지역공동체 문화 확산 촉진 주요 사업 내용  주민활동가 역량강화교육 및 자조모임 운영 -공동체 이해, 자원봉사 기초소양 교육 등 -현대사회와 독거노인에 대한 이해, 노인과 소통하기 등 노인 이해 교육  독거노인, 주민활동가 1:1 자매결연 -활동가와 독거노인 간 관계 형성 프로그램 -독거노인 자조모임 운영을 통한 사회적 관계망 형성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일반 중‧장년층을 주민활동가로 활용함으로써 주민 역량 강화 및 지역 내 인적자본 기반 강화 -결연 프로그램을 통해 세대통합에 기여 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 형성에 따른 정서적‧심리적 문제 완화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06 함께 키움 시흥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작은자리종합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4년 지원년도 2014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1,000천원(3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첫 아이를 출산한 초보엄마들은 육아에 대한 고민과 다양한 욕구가 존재하나, 지역 내에서 사회적 고립으 로 인한 사회적 관계성이 단절되는 현상이 많음 -결혼 이주 여성은 원가족의 지지를 받을 수 없어 사회적 관계망 단절 위험성이 높음  다문화가정 자녀가 초‧중등교육 단계에서 겪게 될 어 려움을 조기에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운영 필요 주요 사업 내용  부모교육 프로그램 - 아동발달에 따른 육아 기술, 양육태도교육, 아동 건강 및 안전 관련 교육  소모임 조직 및 활동 -공연관람, 체험활동, 여행, 요리 등 욕구별 소모임 활동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교육을 통한 영·유아 양육 정보제공 및 가정의 역할 기능 강화 -지역자원 활용을 통한 지역과 함께하는 육아활동 기회 제공  공동육아활동을 통한 지역의 공동체 문화 확산 -다문화가정이 많은 지역의 특성을 이해하고 함께 육아 활동을 추진할 수 있는 기회 마련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07 fun fun! 함현 건강 놀터 시흥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합현상생종합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4년 지원년도 2014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1,000천원(3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 맞벌이 부부들은 어린이집이 끝나는 오후 3~4시 이후에 자녀를 맡길 곳이 없어 부모의 도움을 받거나 추가 양육비용이 소요되는 등 돌봄에 어려움 을 경험하고 있음 -특히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인적·물적 자원이 취약한 저소득 및 소외계층의 경우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  공동육아를 통해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이 상부상 조하는 공동육아 체계 구축의 실현 주요 사업 내용  주민 공동체 리더 양성을 위한 역량강화 교육 및 소 모임 활동 -아이 돌봄 품앗이 교육운영 -놀이문화프로그램 및 부모교육, 상담 운영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주민 역량강화를 통한 공동체 리더 양성 및 마을 공동체 정착 -공동육아를 통해 자녀 교육에 대한 어려움 해소 및 경제적‧심리적 부담 완화 -마을이 함께 아이를 키우는 돌봄 문화 확산에 기여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08 우리 마을이 달라졌어요! 광명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하안종합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4년 지원년도 2014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4,000천원(3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아파트 단지 내 휴식공간에서 소수 주민들의 음주, 도박, 쓰레기 등 빈곤문화가 존재하며, 이러한 문제 가 오래 동안 방치되어 고질적인 문제화된 상태임 -생활이 어려운 계층이 집중되어 있어 지역 내 문제 에 대한 관심도가 낮고, 공동체 의식이 미약하여 지 역사회에 대한 애착심이 낮음  단지 내 건강한 문화 형성 및 알코올 등 중독 위험군 의 지지체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공동체 활동을 추진 주요 사업 내용  주민지도자 양성교육 및 재능 나눔 활동 -공동체 관련 교육, 전래놀이 지도교육, 마을 만들기 사업 선진지 견학 등  주민 커뮤니티 시설 운영 -어르신 여가용품 대여, 아동 보드게임 대여, 도서 대여 등을 통한 주민 참여 촉진 -단지 어린이공원 내 운동기구 대여 및 운동지도 활동 진행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 현안에 관심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역량강화 및 주민지도자 양성 -지역주민 교류 증진 및 사회적 관계망 확장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09 요모조모 광명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시립철산종합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5년 지원년도 2015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7,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영향섭취 를 위한 식재료 공급의 필요성 증대 -식생활과 관련하여 슈퍼마켓들이 입점해있지만, 인 스턴트나 가공식품을 주로 판매할 뿐 신선한 식재 료는 인근 지역의 상점을 이용해야 하는 지역적 상 황이 존재 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체계 및 건강한 식생활을 지 원하기 위하여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반찬지원 사업 을 추진 주요 사업 내용  독거노인 건강프로그램 -건강진단, 건강 식단 관리 등  지역주민과 노인이 함께 하는 요리활동 -독거노인의 가정 내에서 식단에 맞는 반찬 조리 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마을잔치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저소득 독거노인의 결식을 예방하여 신체적 건강을 도모하며, 사회적 지지망을 구축하여 심리·정서적 안 정감 향상  지역 조직 지원을 통한 ‘품앗이’의 활성화  지역사회 공동체 문화 형성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10 희망을 나누는 드림뱅크 광명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광명시건강가정지원센터 최초선정년도 2015년 지원년도 2015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지원금) 3,5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출산 및 자녀 양육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의 공동 육아품앗이를 통해 조직 내에서 역할을 부여받고 재 능을 나눔으로 자존감을 향상함과 더불어 사회적 관 계망의 형성을 촉진하고자 함 -외자녀 가정이 많은 상황에서 공동 육아품앗이를 통해 또래친구 및 지역 지지망 형성을 통해 사회성 향상을 촉진 주요 사업 내용  부모 역량강화 교육  자녀 육아 품앗이  캠핑, 문화관람 등 가족체험 프로그램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부모역량 강화교육을 통한 경력단절여성들의 재능 나눔 및 지역 활동 확대  육아 품앗이를 통한 자녀의 사회성 발달 및 자녀양육 부담 감소  구성원 간 유대감 증대를 통한 공동체 역할의 점진적 확대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11 마을에서 자라는 삼동 아이들 의왕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도서관가는 아줌마 최초선정년도 2014년 지원년도 2014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5,000천원(3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의왕시 교육 문화의 낙후 지역인 삼동에 대한 의식 변화 모색  마을 어른들과 청소년이 함께 기획하고 행동하는 활 동을 통해 마을과 학교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다 양한 커뮤니티 활동 지속성을 위한 장 마련 주요 사업 내용  역사탐방 프로그램  목공 프로그램 -가구 제작 교육 및 실습, 협동 작품 제작 등  마을 축제 -사진 및 작품 전시회, 활동 영상 발표 등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청소년들은 마을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고, 성인들은 마을 안 청소년에게 관심을 갖게 되어 이후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 생성 촉진  마을 교육 공동체를 거쳐 마을 교육 협동조합이 생길 수 있는 발판 마련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12 작은 엄마들의 큰 힘, 엄마표 방과 후 파주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파주시건강가정지원센터 최초선정년도 2014년 지원년도 2014년~2015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14,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가족과 사회가 공동으로 육아를 책임지는 사회 조성 의 필요성  시간적·경제적 이유로 자녀 돌봄에 어려움을 겪고 있 는 부모들의 공동체 확대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상부상조하여 양육부담을 경감 주요 사업 내용  부모교육 및 간담회 -공동육아, 경제교육법, 성교육법, 영어교육법, 자녀 성격 이해 등  체험 활동  동아리 활동 -사교육비 절감을 위한 학습 동아리, 생태탐구 동아 리, 예절교육 동아리 등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이웃과 함께 아이를 키우는 서로 돌봄 마을 형성  다양한 분야의 교육재능기부를 통해 사교육비를 절감  재능기부와 역량강화 교육을 통해 경력단절 여성이 사회로 나갈 수 있는 디딤돌 마련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13 홀로 어르신들의 벗만들기 프로젝트 구리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구리시종합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4년 지원년도 2014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지원금) 5,000천원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 홀로 사시는 어르신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사 회참여, 소속감 등을 부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부재 -지역 내 홀로 사시는 어르신들의 삶의 질, 우울증의 진단 결과 위기 상황에 준하는 결과가 도출  홀로 어르신들이 지역 내 공동체를 통한 보호 및 건 강한 노후생활을 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기반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 -이를 통해 마을의 공동체의식이 회복되고, 서로 돕 는 기부와 나눔의 활동 확산을 촉진 주요 사업 내용  지역 내 취약계층 독거노인과 친구 맺기 프로그램 -우울증 예방 프로그램, 나들이 및 체험활동을 등을 통한 사회적 유대감 강화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 내 독거노인에 대한 보호체계 구축 및 우울증 해소 등 삶의 질 향상  참여 노인들에 대한 역할 부여를 통해 자존감 향상 및 사회적지지 강화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14 나눔이 쉬워진다 홀씨 밴드 수원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광교장애인주간보호시설 최초선정년도 2015년 지원기간 2015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5,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광교신도시는 타 지역에서 유입된 인구와 경제활동 에 참여하는 인구가 많아 이웃 간 소통이 부재하며, 특히 장애인의 경우 비장애 주민들과 교류하는 것이 더욱 어려움  광교신도시에는 많은 장애인구가 거주하고 있어 장 애 및 비장애 주민 간 상호유대강화 및 조직화 사업 을 통한 나눔 문화 조성은 필수적임  이에 지역주민들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 살아가는 지역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공동체를 조직 주요 사업 내용  지역주민들의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및 봉사활 동 프로그램  지역사회 융합 사업 -장애 및 비장애 주민 통합프로그램 -나들이 및 문화공연 관람 등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사회 내에서 주민(비장애인)이 자생적인 모임을 생성하여 장애인 및 가정과 연계되고 서로 돕는 상생 체계 실현  지역 내 나눔 문화 확산 및 정착에 기여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15 별무리 광교대학로 마을 수원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광교종합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5년 지원년도 2015~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5,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신도시 개발계획에 의해 형성된 광교대학로마을은 상가복합 주택단지로 건물주와 주거 세입자, 상가 운 영자 등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가진 주민들이 생활 -지역 내 서로 간의 소통과 유기적인 관계형성의 미 흡으로 건강한 지역공동체 형성의 제약이 발생  상가활성화를 이루면서 세입자들의 이익 또한 함께 얻을 수 있는 ‘상부상조’ 공동체 형성의 필요성 인식 과 주민들의 균등한 참여가 절실히 필요 주요 사업 내용  ‘복지공동체’ 필요성에 대한 마을주민 인식 형성 및 확대 -복지 공동체 인식 교육, 주민 교육, 마을탐방, 마을 소식지 제작 등  마을 핵심리더 ‘마을지기’ 발굴 및 양성 및 소모임 활동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복지공동체” 활동을 통해 공동 체에 대한 의식향상과 소속감을 증진시켜 개인주의 에서 벗어나 마을주민과의 유기적인 관계형성을 기여  ‘마을지기’ 중심으로 마을주민과의 주도적인 활동을 독려하여 단절된 이웃관계에서 벗어나 “복지공동체” 에 대한 애착심과 이웃 간의 유대감 강화에 기여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16 너와 나를 빚어 우리 성남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말아톤장애인주간보호센터 최초선정년도 2015년 지원년도 2015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7,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중증 장애인을 둔 부모들은 만성적인 무기력, 우울, 스트레스 등의 부정적 정서와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 등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나 이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은 매우 부족한 실정 -특히 성인 장애인의 보호자는 사회적, 정서적 고립 등의 경험이 장기적으로 누적됨에 따라 다양한 지 원이 필요  장애인 및 보호자와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프로그램 을 통해 장애인 보호자의 사회적 고립을 해소하고, 비장애인이 가진 장애인 및 그 가족에 대한 선입견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 주요 사업 내용  도예 프로그램 -기관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 및 보호자, 비장애 지 역주민 대상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중증장애인 보호자들이 돌봄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 에서 누적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장애인과 보호자 간에 친밀감 및 결속력을 키워 가족기능을 강화하는 데 기여  도예 전시 및 판매를 통해 재생산 기회 및 자원 확보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 그램을 개발하여, 장기적으로는 장애인의 지역사회 참여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17 새싹이 바르게 자라는 박석골 품앗이 성남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상대원3동복지회관 최초선정년도 2015년 지원년도 2015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7,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기관이 위치한 상대원동은 공단에서 근로하는 저소 득 맞벌이 계층이 밀집된 지역의 특성으로 지역 내 아동 돌봄 공백 문제가 발생 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가족기능을 보완 하고, 이웃 간 소통과 교감 속에서 자녀를 양육할 수 있는 지역 돌봄 네트워크를 구축 주요 사업 내용  지역 리더 교육 -품앗이 활동가 육성 및 체계 구축, 활동가 역량강화 -지역사회 내 돌봄 기능 네트워크 형성  재능기부 수업 -퀼트, 리본 공예 등 재능기부를 통한 주민 여가활동 및 아동 체험활동 지원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서로 나누고, 돌봄에서 오는 정신적‧경제적 부담감 감소  부모가 직접 자녀 양육의 참여로 상호간 신뢰감 향상  아동들에게 친구, 형, 동생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사회성 및 타인에 대한 배려 향상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18 행복창작 성남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행복창작 최초선정년도 2015년 지원년도 2015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지원금) 5,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 임대아파트 세대와 영유아 자녀를 둔 세대가 많아 마을커뮤니티의 형성이 매우 절실한 실정임 -인근 지역의 아파트 단지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님 비현상 등 올바른 가치관의 부재 -이웃 간의 소통단절로 인한 사회문제 등  문화예술소통 프로그램을 매개로 이러한 문제 및 욕 구들을 해소하고, 가족과 이웃, 여러 세대가 함께 어 우러지는 지속가능한 마을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추진 주요 사업 내용  가족이 함께하는 전래놀이 프로그램 -영·유아 및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부모를 대 상으로 전래놀이 교육 실시 -재능기부를 통해 실제 아동들을 대상으로 놀이체험 진행  색채 심리프로그램  지역의 역사인물 교육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함께 참여하는 공동체 문 화 형성  지역 축제 및 교육문화 사업을 통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19 태평마을지기단 홀몸어르신 돌봄사업 성남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태평마을지기단 최초선정년도 2015년 지원년도 2015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7,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홀로 거주하시는 어르신을 돌보는 것은 행정기관만 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깨닫고 태평4동 복지관에서 태평마을지기단 자원봉사자를 모집 -매주 1회 이상 독거어르신을 방문하여 건강 체크, 말동무 등을 해주고 있으나 순수한 자원봉사만으로 는 돕는데 한계가 있음  독거 어르신에 대한 실질적인 도움을 병행하여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함 주요 사업 내용  자원봉사자 역량강화 교육  독거노인 일상 생활지원 -밑반찬 지원, 주거환경 개선, 건강관리 등  독거 어르신 위로 사업 -명절 선물 나눔, 기념일 축하 등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마을기지단이 지역 내 독거 어르신 안전지킴이 역할 을 수행함으로써 고독사 방지  단순 방문 보다는 실질적인 독거 어르신 지원을 통해 따뜻하고 정이 넘치는 마을 가꾸기 구현에 기여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20 복사골 생생일터 공동체 부천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부천근로자건강센터 최초선정년도 2015년 지원년도 2015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5,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여성의 취업 욕구는 지속적으로 증대하나 고용상태의 불안정 및 하위직 집중으로 근로환경이 취약하며, 일가 족양립 갈등으로 여성근로자의 건강이 상대적으로 취약  여성근로자들이 건강하게 일과 가족을 양립할 수 있 도록 역량을 강화하고, 더 나아가 지역 내 건강지킴 이로 양성하여 개인의 성장 및 세대 간 소통이 이루 어지는 일터 공동체를 조성 주요 사업 내용  요리교실 프로그램 운영 -질환이해와 예방을 위한 교육 및 질환별 관리 식이 -자녀와 함께하는 색깔 채소요리 식이  건강 리더 양성 -응급처치, 심폐소생술 교육, 건강생활 실천 교육 등  지역사회 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실시 -발마사지, 어르신 잔치, 건강 상담 등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일․가정 양립이라는 이중고를 겪는 여성근로자에게 스스로 건강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 로써 건강증진 및 건강불평등 해소에 기여 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자기역량강화 및 지역사회에 세대 간 소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회적 관계망 조성에 기여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21 아낌없이 주는 사랑밭 부천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경락교회부설디딤돌선교회 최초선정단체 2015년 지원년도 2015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5,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 영구임대주택단지는 저소득취약계층 밀집지 역으로 단지 내 복지관 1개소만으로는 다양해진 복 지욕구 대응에 한계가 있음  빈곤, 질병, 고독, 무위에 노출되어 잇는 지역주민들 에게 친환경 공동경작 밭농사를 매개로 건전한 여가 와 나누는 보람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주 민이 주민을 돕는 지역분위기 조성 주요 사업 내용 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다양한 농작물 공동재배  친환경농법 교육 및 개인별 베란다 텃밭을 가꾸는 원 예치료  사랑밭 수확물로 매주 1회 저소득취약계층 밑반찬 지원  복지관 급식소의 공백을 메우는 주말밥상 운영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우울증 및 치매예방 교육, 자살예방 교육 등 사회적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예방시스템 구축  소외된 주민을 다른 주민이 도울 수 있도록 소통능력 향상 훈련 및 지지체계 구축  밑반찬 품질 향상(단가 상향) 및 지원대상자 증가  근거리 텃밭 분양 연계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22 희망나눔 품앗이 협동마을 만들기 부천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주민주도복지공동체 최초선정년도 2015년 지원년도 2015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3,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 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구들을 대 상으로 정서적 문제, 양육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소통과 교류의 촉진에서 출발 -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에 대한 공유, 상호간의 해결책 등을 논의하는 모임을 통해 지역 내 문제 해결 및 공동체성 강화 주요 사업 내용  지역 주민들 중심의 문제해결을 위한 소통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공간 조성  지역 주민들이 필요한 정보제공 및 지역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는 지역 소식지 발간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 내 주민 자조모임 구성을 통해 취약계층을 위한 정보 제공 및 정서적 지원 -참여 대상 확대를 통한 사회적 연대와 지역 공동체의 역할 강화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23 할수다 청소년과 만나다 부천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노인자치연구소 은빛날개 최초선정년도 2015년 지원년도 2015년~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7,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사회에서 노인의 역할이 상실로 인해 사회적으 로 고립될 위험성이 크나,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노인 문화 콘텐츠가 부족함 -건강한 소일거리, 놀이문화 등 부재  노인문화 콘텐츠 개발로 노인의 자존감 증진 및 지역 사회 참여를 도모하고, 더불어 지역사회 내 세대공감 문화 형성을 통해 공동체성을 회복하고자 함 주요 사업 내용  방송단 모집 및 교육 -미디어 교육, 방송교육, 취재교육, 마을방송 탐방 등  마을 실버방송 ‘할매들의 수다’ 진행 -마을 방송 및 취재, 세대공감방송(주부, 청소년 통 합방송)  ‘할수다’ 잡지 발행 -생활정보, 마을뉴스, 사는 이야기 등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정이 흐르는 따뜻한 마을공동체 형성에 기여  문화매체를 통한 세대 공감 및 공동체성을 구현  새로운 노인문화콘텐츠 개발로 고령화 사회의 노인 의 문화영역 개척  마을방송 주체적 기획과 참여로 주민의 문화역량 증대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24 발달장애인 토요자조모임 안산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새누리장애인부모연대 최초선정년도 2014년도 지원년도 2014년~2015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4,2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발달장애인은 성인이 될수록 이용할 수 있는 기관이 부족하여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경우가 많음  발달장애인 청소년이 향후에도 자립적으로 사회구성 원으로써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고 사회적 관계망을 구축하기 위함 주요 사업 내용 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립훈련 및 여가활동 기회 제공  발달장애 청소년과 비장애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요 리활동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사회와의 관계망을 통해 발달장애인들이 공동체 안에서의 자립기반 마련과 돌봄 지지망 형성  학교를 졸업하고 난 후 가정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 내는 발달장애인들이 생산적으로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복지공동체 프로그램 제공  발달장애인과 장애인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사회 기반 구축 및 지역주민과의 지속적 관계망 형성 방안 모색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25 우리 일동에서 살자 안산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울타리너머 최초선정년도 2014년 지원년도 2014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8,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일동에서는 약 10년 간 마을 공동체 활동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를 통해 주민들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경험해 왔음  지금까지의 마을활동은 일부 기관이 중심이 되어 진행 되어 왔으나, 이를 넘어 지역의 더욱 다양한 계층들이 참여하고 서로 소통하는 조직으로 확장하기 위해 추진 주요 사업 내용  마을조사 및 자원개발 -마을의 물적·인적 자원을 파악 및 개발하기 위하여 마을 조사 실시  인문학 강좌 등 문화 나눔을 통한 주민 간 소통의 장 마련  소모임을 통한 주민 조직화  일동사랑방 마을카페 설립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마을공동체 활동의 체계화 및 구체적 성과 창출  지역주민 누구나 이용, 대여 가능한 공간(카페) 마련 및 전담 실무자 상근으로 마을 공동체 활동 활성화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26 요리보고 조리보고 안산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본오종합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4년 지원년도 2014년~2015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5,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그동안 결혼이민자들은 복지수혜자로써 서비스를 제 공받는 주체로 인식되어 왔음  그러나 결혼이민자 역시 마을의 구성원이자 지역주 민으로, 이주여성들이 가장 높은 욕구를 가진 요리를 통해 나눔 문화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지역문제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자 함 주요 사업 내용  한국음식 배우기  결혼이민자 가족 명랑운동회, 도시락 나들이 등 친목 도모활동  요리 재능기부를 통한 지역 나눔 활동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결혼이민자들의 소통의 장으로 서로간의 고민을 나 누고 정보를 교류함으로써 사회적 관계망 형성  지역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는 지역사회의 구성원으 로써의 인식을 강화 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증대로 소외되고 있는 복지사 각지대의 이웃을 발굴하고 지원  결혼이민자의 역량강화 활동을 통해 사회로 진출하 는 발판을 마련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27 항아리 안산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누림청소년교육센터 최초선정년도 2014년 지원년도 2014년~2015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6,000천원(2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며 가족 내 아동 돌봄과 양육 기능이 약화되고 있으며, 지역사회의 역할 또한 축소  지역아동센터가 지역 내에 존재하지만 기초생활수급 자 등 저소득 아동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것과 복지시 설이라는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지역 아동들이 센터 에서 보호 및 교육 받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존재  이를 보완함으로 지역 아동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 을 도모하고자 지역 주민들이 자녀들을 교육시키는 작은 공동체를 구성 주요 사업 내용  교육 및 보호 -방과 후 관리 지원, 영양관리, 학습지도 등  체험 및 상담 -미술 및 음악 프로그램, 체험학습 활동 등  부모 교육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안전한 지역사회 안에서 성장하는 아동 인프라 구축  재능기부 및 운영자금지원을 통해 책임과 의무를 다 하게 하여 지속적 운영 가능 여건 조성  관련 주민들이 운영의 의사결정권을 가짐으로 오는 능동적 운영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28 참 좋은 이웃 수원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호매실장애인종합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6년 지원년도 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6,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신도시 인구 유입으로 지역 내 장애인구 증가  장애인가정과 비장애인 가정의 교류를 통해 장애인 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협력 속에 조직의 자립을 이루고자 함 주요 사업 내용  장애인가정과 비장애인가정이 함께하는 작물 경작 -지역 내 유휴지 및 상자 텃밭 등을 활용 -프리마켓 등을 통한 수확물 판매  문화·여가 공동체 형성 및 활동 지원 -각 가정의 욕구에 맞는 다양한 문화, 여가 활동 지원  환경정화활동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작물 경작 및 수확물 판매를 통해 공동체 자립의 토 대 마련  이웃과의 소통의 장을 마련하여 정서적 안정감을 증진  작물 경작을 통해 장애인의 신체활동을 지원  지역사회주민의 장애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장애 인들의 사회 참여를 촉진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29 사래울 카메라 부천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역곡2동복지협의체 최초선정년도 2016년 지원년도 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3,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수급자 자녀들은 경제적인 이유로 사교육에서 제외 되고 다양한 문화체험 기회를 박탈당함 -특히 역곡2동은 원도심 지역으로 문화 소외 지역임  복지 및 문화 사각지대 청소년들에게 미디어교육을 실시하여 문화 활동 기회 제공 주요 사업 내용  부천시민미디어센터와 연계하여 저소득 아동 및 청 소년을 대상으로 미디어 교육 실시 -초급과정부터 고급과정까지 단계별 교육 진행  영상 제작 및 제작 발표회 -영상제작 실습 및 영상을 통한 지역 스토리를 발굴 -시민영상 축제 등 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저소득층 자녀 문화 체험 활동 기회 부여로 문화적 감수성 향상 -복지 및 문화 사각지대 청소년들에게 진로 방향 제시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30 우리 함께 연극하자 안산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웰피해피바이러스 최초선정년도 2015년 지원년도 2015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지원금) 5,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대부분이 저소득 가정, 맞벌이 가정 등으로 부모의 돌봄을 충분히 받 지 못하고 있어 정서적 문제 지니고 있음 -외로움, 애정결핍 등 정서적 문제와 교우관계가 원 만하지 못해 낮은 자존감 및 성취감으로 위축된 아 동들도 존재  아동들의 감정발산 및 해소가 필요 주요 사업 내용  어린이 연극팀 구성 및 운영 -각 센터별 연극팀 창단 및 지역 대표 극단 창단 -교육 및 연습, 발표회 등  직업체험 기회 제공을 위한 연극 전문팀 재능기부 프 로그램 -연출, 작가, 배우, 메이크업아티스트 등 전문가로 전문팀 구성 -직업체험 희망 기관에서 프로그램 제공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자존감 회복과 감정해소  지역 아동극단으로 창단 -향후 배출 된 아동들은 청소년 연극단체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 마련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31 多우리 시흥시 시설기반형 추진단체 거모종합사회복지관 최초선정년도 2016년 지원년도 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3,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거모동은 높은 결혼이주여성의 비율에도 불구하고 불편한 교통 여건으로 다문화 프로그램 혜택이 낮음  이에 다문화가정의 역량강화 및 지역과 함께하는 나 눔 문화 형성을 목적으로 결혼이민여성이 주체가 되 는 복지공동체를 조직 주요 사업 내용  문화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한국어 교실, 한국음식 배우기 등  가족 관계 증진 프로그램 -자조모임, 나들이 등  자녀 양육지원 프로그램 -양육 정보 공유, 다문화(어머니의 나라) 이해교육 및 자녀 한글교육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지속적인 한국어교육 및 식문화 교육, 역사탐방을 통 해 한국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  공동육아를 통해 육아경험을 공유하고 올바른 육아 법 및 한국음식에 대한 이해 증진 프로그램 운영  결혼이민여성 강사가 전하는 다문화이해교육을 통한 지역 내 함께 더불어 사는 공동체 의식 확산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32 도란도란 원예사랑방 의왕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더좋은 원예복지공동체 최초선정년도 2016년 지원년도 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2,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의왕시는 고령화 도시로 노인에 대한 지역의 관심과 인식개선의 필요성이 증대됨  노령기에 해당되는 시기는 역할상실로 경제적 어려 움을 가짐은 물론 여가 및 문화에 대한 욕구가 증대 되는 시기임  원예활동을 통해 여가 및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함과 동시에 소일거리를 창출하고자 함 주요 사업 내용  지역 내 경로당 3개소를 선정하여 원예프로그램 실시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다양한 대상층의 재능기부활동을 통해 원예복지를 실현  지속적인 교육사업과 체험학습장 활성화를 통해 수 익을 창출하여 지역사회에 더불어 사는 공동체로서 의 정체성 확립  주민주도의 자율 공동체로서 원예복지를 통해 자립 적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개인의 능력향상과 공동 체 의식을 함양하여 더불어 상생하는 복지를 실현

부 록: 복 지 공 동 체 소 개 133 NOW&HERE 남양주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수동사랑학부모회 최초선정년도 2016년 지워년도 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3,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최근 지역 내 공단화 과정에서 지역의 정체성 혼란이 가중되면서, 소속감 및 지역의 공동체 의식이 저하 -전 세대가 함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소속감 및 자존감 회복과 공동체 의식을 확산시키고자 함  또한 문화소외 지역인 수동의 아동, 청소년들에게 지 역 어른들의 재능기부를 통해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 주요 사업 내용  자연식재료 탐색 및 농사체험 프로그램 -농장 견학, 버섯, 산나물 등의 재배과정 및 효능, 쓰 임새 등을 탐색  가족 요리 경연대회 및 시식회 -수동의 로컬 푸드 또는 각 가정에서 오래전부터 전 해 내려오는 음식을 주제로 요리대회 실시  펀앤펀 동아리 운영 -수화배우기, 방송 댄스, 바리스타 등 문화 활동을 지원하는 동아리 운영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자발적인 재능기부와 자원봉사 운영을 위한 인프라 구축  장기적인 지역주민 간 소통 및 나눔 실천을 위한 체 계 정립

경기도 복지공동체 사업의 진단 및 발전방안 모색 134 어울마당 남양주시 주민조직기반형 추진단체 늘품협동조합 최초선정년도 2016년 지원년도 2016년 운영지원금 (경기도, 시‧군 지원금) 3,000천원(1년) 복지공동체 추진 배경  성인 발달장애인은 지역사회 적응능력과 대인관계 형성,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경험하며, 보호자들 또한 장기적인 돌봄 수행으로 인하여 문화 활동을 누리기 힘들며 사회적 관계망 형성에도 한계가 있음  성인발달장애인의 자립 능력 향상, 보호자의 돌봄 스 트레스 해소 및 정신적, 심리적 안정 도모, 장애가족 의 가족 기능 향상을 위하여 장애인과 보호자, 비장 애 지역주민이 함께 하는 문화 프로그램을 추진 주요 사업 내용  풍물동아리 운영 -풍물 및 난타 교육, 발표회 등  사진동아리 운영 -사진촬영 활동, 전시회 등 향후 계획 및 기대효과  장애인의 건전한 여가 문화 조성의 기회 및 자신의 능력을 배양시키고 사회성 향상에 기여  지역 공연문화 활성화를 통한 지역사회와 소통 및 참 여 기회 증대  지속적인 활동 및 공연 등 장애인들이 프로그램 공급 자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자존감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