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GWF REPORT 2016-10 학습동아리「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연구책임 󰠛󰠛 신재은 경기복지재단 선임연구위원 공동연구 󰠛󰠛 박미경 경기복지재단 전문연구원 나문주 경기복지재단 주임

감수위원 김형모 경기대학교 교수 박경연 호서대학교 겸임교수 ■ GGWF Report는 사회복지분야의 주요현안에 관하여 정책의 방향설정과 실현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ㆍ조사 를 통한 정책제안이나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작성된 자료입니다. ■ 본 보고서는 경기복지재단의 공식적인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과 관련한 의견이나 문 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Tel : 031-267-9351 Fax : 031-898-5938 E-mail : sje9820@ggwf.or.kr 요 약 1 □ 연구의 목적 ○ 학습동아리의 현황 및 요구분석, 성장요인 및 활성도 측정 - 경기복지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습동아리를 대상으로 학습동아리 활동의 실태 와 요구를 분석 - 학습동아리의 성장요인 및 활성도 측정 및 분석 ○ 학습동아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효과적인 동아리활동 운영 및 지원방안 제시 - 향후 학습동아리의 지속가능한 운영 방법 등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 연구의 범위 ○ 경기복지재단 학습동아리 만학도우 활동 회원 □ 연구 문제 ○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 학습동아리의 성장요인과 활성도 수준은 어떠한가? ○ 학습동아리의 성과 수준과 결정요인은 무엇인가? □ 사회복지종사자의 주도적 학습의지 고양과 전문성 강화 및 학습문화 조 성을 위한 학습동아리 지원 ○ 이에 그 첫 시작으로 2011년 학습동아리 인큐베이팅 사업을 추진하여 약 7개월 동안 39개 학습동아리에 333명이 참여함. 요약

감수위원 김형모 경기대학교 교수 박경연 호서대학교 겸임교수 ■ GGWF Report는 사회복지분야의 주요현안에 관하여 정책의 방향설정과 실현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ㆍ조사 를 통한 정책제안이나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작성된 자료입니다. ■ 본 보고서는 경기복지재단의 공식적인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과 관련한 의견이나 문 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Tel : 031-267-9351 Fax : 031-898-5938 E-mail : sje9820@ggwf.or.kr 요 약 1 □ 연구의 목적 ○ 학습동아리의 현황 및 요구분석, 성장요인 및 활성도 측정 - 경기복지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습동아리를 대상으로 학습동아리 활동의 실태 와 요구를 분석 - 학습동아리의 성장요인 및 활성도 측정 및 분석 ○ 학습동아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효과적인 동아리활동 운영 및 지원방안 제시 - 향후 학습동아리의 지속가능한 운영 방법 등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 연구의 범위 ○ 경기복지재단 학습동아리 만학도우 활동 회원 □ 연구 문제 ○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 학습동아리의 성장요인과 활성도 수준은 어떠한가? ○ 학습동아리의 성과 수준과 결정요인은 무엇인가? □ 사회복지종사자의 주도적 학습의지 고양과 전문성 강화 및 학습문화 조 성을 위한 학습동아리 지원 ○ 이에 그 첫 시작으로 2011년 학습동아리 인큐베이팅 사업을 추진하여 약 7개월 동안 39개 학습동아리에 333명이 참여함. 요약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2 ○ 2016년에는 지역사회네트워크 육성과 학습동아리 활동사이의 연계성을 강화하 고 단순학습활동을 넘어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배움의 실천을 목적으로, 도내 2 개 이상의 사회복지관련 시설 및 기관의 종사자로 조직된 학습동아리를 공모하 여 총 15개 동아리를 선정하고 지원하였음. (총 15개 동아리, 150명 활동회원, 소속기관 91개) ○ 2016년도 학습동아리 운영과정 학습동아리 공모&선정 -15개 동아리- 학습동아리 활동운영 (6개월) -활동일지- 현장 모니터링 (중간점검) 성장 공유워크샵 -최종결과보고- □ 요구분석 결과 ○ 학습동아리 모임주기는 월 1회를 가장 선호, 참여시간은 2~3시간이 적당하며, 하루 중 근무시간 중에 참여하기를 희망. 학습동아리 참여시 학습내용(74.7%) 을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응답함. ○ 학습동아리 저해요인으로는 31.9%가 참가자들의 소극적인 참여라고 응답하였 으며 학습동아리 참여목적에 대해서는 능력개발 및 전문성 함양(46.0%)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함. ○ 학습동아리에 대한 활동지원이 사회복지사 처우개선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질문 에 80.5%가 ‘예’라고 응답하였으며, 향후 학습동아리 참여 의향에 대해서는 83.9%가 그렇다 혹은 매우 그렇다고 답하였음. ○ 학습동아리에 참여하고 싶으나 실제로 참여하기 어렵게 만드는 사항에 대해 시 간부족이라고 과반수가 훨씬 넘는 60.3%가 응답함. 요 약 3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결과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을 구성하는 요소의 각 수준은 인적자원(4.23점), 내부조 직체계(3.89점), 물적자원(3.36점) 순으로 나타남. ○ 학습동아리 활성도 수준은 조직운영(4.13점), 학습활동(4.10점), 개인적 성장 (3.95점), 학습결과 활용(3.83점) 순으로 나타남. □ 성과평가 분석결과 ○ 학습동아리를 통해 가장 큰 교육적 성과는 스스로 성장(24.8%), 동일지역 인적 네트워크(24.8%), 전문성 함양과 능력개발(23.6%), 업무능력에 도움(19.9%) 등 다양한 성과들이 확인됨. ○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총 만족도는 4.17점(5점 만점)으로 전반적으로 만족도 수준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음. -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결과, 학습동아리 활성도 중에서는 조직운영과 학습결과 활 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 그리고 학습동아리 성장요 인 중에서 인적자원은 하위변수 중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모두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 학습동아리활동의 학습전이 분석결과 평균이 3.95점으로, 업무 및 전문성 측면 에서는 학습전이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나, 개인의 자아실현과 네트워킹에서는 다소 낮은 점수를 나타냄. - 학습전이 영향요인 분석결과, 학습동아리 활성도 중에서는 학습결과 활용과 개인 적 성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 그리고 학습동아리 성 장요인 중에서 인적자원 하위변수 중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모두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적자원 하위변수 중에서는 운영교보재가, 내부조직체계 하위변수 중 모임체계와 네트워킹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2 ○ 2016년에는 지역사회네트워크 육성과 학습동아리 활동사이의 연계성을 강화하 고 단순학습활동을 넘어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배움의 실천을 목적으로, 도내 2 개 이상의 사회복지관련 시설 및 기관의 종사자로 조직된 학습동아리를 공모하 여 총 15개 동아리를 선정하고 지원하였음. (총 15개 동아리, 150명 활동회원, 소속기관 91개) ○ 2016년도 학습동아리 운영과정 학습동아리 공모&선정 -15개 동아리- 학습동아리 활동운영 (6개월) -활동일지- 현장 모니터링 (중간점검) 성장 공유워크샵 -최종결과보고- □ 요구분석 결과 ○ 학습동아리 모임주기는 월 1회를 가장 선호, 참여시간은 2~3시간이 적당하며, 하루 중 근무시간 중에 참여하기를 희망. 학습동아리 참여시 학습내용(74.7%) 을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응답함. ○ 학습동아리 저해요인으로는 31.9%가 참가자들의 소극적인 참여라고 응답하였 으며 학습동아리 참여목적에 대해서는 능력개발 및 전문성 함양(46.0%)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함. ○ 학습동아리에 대한 활동지원이 사회복지사 처우개선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질문 에 80.5%가 ‘예’라고 응답하였으며, 향후 학습동아리 참여 의향에 대해서는 83.9%가 그렇다 혹은 매우 그렇다고 답하였음. ○ 학습동아리에 참여하고 싶으나 실제로 참여하기 어렵게 만드는 사항에 대해 시 간부족이라고 과반수가 훨씬 넘는 60.3%가 응답함. 요 약 3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결과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을 구성하는 요소의 각 수준은 인적자원(4.23점), 내부조 직체계(3.89점), 물적자원(3.36점) 순으로 나타남. ○ 학습동아리 활성도 수준은 조직운영(4.13점), 학습활동(4.10점), 개인적 성장 (3.95점), 학습결과 활용(3.83점) 순으로 나타남. □ 성과평가 분석결과 ○ 학습동아리를 통해 가장 큰 교육적 성과는 스스로 성장(24.8%), 동일지역 인적 네트워크(24.8%), 전문성 함양과 능력개발(23.6%), 업무능력에 도움(19.9%) 등 다양한 성과들이 확인됨. ○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총 만족도는 4.17점(5점 만점)으로 전반적으로 만족도 수준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음. -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결과, 학습동아리 활성도 중에서는 조직운영과 학습결과 활 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 그리고 학습동아리 성장요 인 중에서 인적자원은 하위변수 중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모두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 학습동아리활동의 학습전이 분석결과 평균이 3.95점으로, 업무 및 전문성 측면 에서는 학습전이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나, 개인의 자아실현과 네트워킹에서는 다소 낮은 점수를 나타냄. - 학습전이 영향요인 분석결과, 학습동아리 활성도 중에서는 학습결과 활용과 개인 적 성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 그리고 학습동아리 성 장요인 중에서 인적자원 하위변수 중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모두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적자원 하위변수 중에서는 운영교보재가, 내부조직체계 하위변수 중 모임체계와 네트워킹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4 □ 정책적 제언 ○ 학습동아리 지원방안의 다양화․차별화 - 첫째, 신생 동아리의 안정적인 지원체계 구축 필요 - 둘째, 학습동아리 분야별로 수퍼바이저 지원 - 셋째, 학습동아리별 지원금 차등 지원 - 넷째, 학습동아리의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 학습동아리 운영 가이드 제공 ○ 학습동아리 간 네트워킹 지원으로 학습문화 확산 - 학습경험의 공유 및 경험에 대한 피드백 제공 - 유사한 주제를 다루는 동아리들 간 학습내용 및 우수사례 공유, 신생동아리 에게는 운영방법 노하우 전수 ○ 학습동아리 지원체계 구축 - 학습동아리 활동 전반에 대한 체계적 운영지원 - 학습동아리 실무담당자의 전문성과 안목 필요 - 학습결과는 조직 내 업무뿐 아니라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활용하도록 장려 - 학습동아리활동 지원이 일회성이 아닌 지속성 바탕 ○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처우개선의 일환으로 학습동아리 지원 적극 장려 - 경기도는 ‘사회복지종사자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에 관한 조례’에 사회복지종사 자에 대한 교육훈련을 제8조제1항제4조에 추가, 사회복지사 교육훈련 강조하고 있음. - 학습동아리 참여 목적은 능력개발과 전문성 함양(46%)이 높게 나타나, 경기복지재 단은 만학도우를 시작으로 기관 별로 학습조직문화 구축 및 성과중심의 인적자원 개발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함. 그리고 만학도우는 직무관련 학습과 조직적응 지원에 서 점진적으로 직무별 전문가를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방향으로 추진함으로써 전문 성 함양을 지원하고, 궁극적으로 종사자 처우 및 지위향상 도모. ○ 학습동아리 회원구성 형태의 다양화와 성과 홍보 - 회원 구성의 요건을 다양화하여 기존방식 외에도 동일기관 종사자들로 구성된 형태 도 검토하고, 학습동아리 성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방안 마련 목 차 v 1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범위 및 절차 ·························································································· 3 Ⅱ 학습동아리 현황 및 연구변인 검토/ 5 1.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현황 ········································································· 5 2. 사회복지분야 학습동아리 현황 ···································································· 11 3.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특성 및 연구변인에 대한 검토 결과 ······················ 14 Ⅲ 연구결과 / 19 1. 조사방법 ····································································································· 19 2. 학습동아리 활동의 요구 분석결과 ······························································ 24 3. 학습동아리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결과 ····················································· 37 4. 학습동아리 성과평가 분석결과 ···································································· 41 Ⅳ 결론 / 61 1. 요약 ············································································································ 62 2. 제언 ············································································································ 65 참고문헌 / 71 목차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4 □ 정책적 제언 ○ 학습동아리 지원방안의 다양화․차별화 - 첫째, 신생 동아리의 안정적인 지원체계 구축 필요 - 둘째, 학습동아리 분야별로 수퍼바이저 지원 - 셋째, 학습동아리별 지원금 차등 지원 - 넷째, 학습동아리의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 학습동아리 운영 가이드 제공 ○ 학습동아리 간 네트워킹 지원으로 학습문화 확산 - 학습경험의 공유 및 경험에 대한 피드백 제공 - 유사한 주제를 다루는 동아리들 간 학습내용 및 우수사례 공유, 신생동아리 에게는 운영방법 노하우 전수 ○ 학습동아리 지원체계 구축 - 학습동아리 활동 전반에 대한 체계적 운영지원 - 학습동아리 실무담당자의 전문성과 안목 필요 - 학습결과는 조직 내 업무뿐 아니라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활용하도록 장려 - 학습동아리활동 지원이 일회성이 아닌 지속성 바탕 ○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처우개선의 일환으로 학습동아리 지원 적극 장려 - 경기도는 ‘사회복지종사자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에 관한 조례’에 사회복지종사 자에 대한 교육훈련을 제8조제1항제4조에 추가, 사회복지사 교육훈련 강조하고 있음. - 학습동아리 참여 목적은 능력개발과 전문성 함양(46%)이 높게 나타나, 경기복지재 단은 만학도우를 시작으로 기관 별로 학습조직문화 구축 및 성과중심의 인적자원 개발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함. 그리고 만학도우는 직무관련 학습과 조직적응 지원에 서 점진적으로 직무별 전문가를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방향으로 추진함으로써 전문 성 함양을 지원하고, 궁극적으로 종사자 처우 및 지위향상 도모. ○ 학습동아리 회원구성 형태의 다양화와 성과 홍보 - 회원 구성의 요건을 다양화하여 기존방식 외에도 동일기관 종사자들로 구성된 형태 도 검토하고, 학습동아리 성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방안 마련 목 차 v 1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범위 및 절차 ·························································································· 3 Ⅱ 학습동아리 현황 및 연구변인 검토/ 5 1.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현황 ········································································· 5 2. 사회복지분야 학습동아리 현황 ···································································· 11 3.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특성 및 연구변인에 대한 검토 결과 ······················ 14 Ⅲ 연구결과 / 19 1. 조사방법 ····································································································· 19 2. 학습동아리 활동의 요구 분석결과 ······························································ 24 3. 학습동아리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결과 ····················································· 37 4. 학습동아리 성과평가 분석결과 ···································································· 41 Ⅳ 결론 / 61 1. 요약 ············································································································ 62 2. 제언 ············································································································ 65 참고문헌 / 71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양질의 휴먼서비스 제공을 위한 조직구성원의 전문성 강화 학습활동 필요 - 지식기반 사회에서 창의적 사고를 기반으로 개인과 조직의 가치창출 및 효율성 증 대를 위해 학습조직이 요구되고 있음. 특히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이용자의 욕구에 부합하기 위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의 전문성을 강화시 키기 위한 학습활동이 적극 필요한 상황임. ○ 사회복지기관의 학습문화 조사 연구결과(신재은, 2010) - 자기주도적인 토론과 연구 및 네트워킹을 통해서 지식공유 활동을 하는, 학습동아 리를 지원하고 활성화할 필요성이 매우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남.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시작과 현재 - 경기복지재단은 2011년 학습동아리 인큐베이팅 사업을 추진하여 약 7개월 동안 39 개 학습동아리에 333명이 활동하였고, 현재 2016년에도 재단이 예산을 마련, 사회 복지현장 종사자들의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욕구를 반영하여 총 15개 동아리 150명을 지원하고 있음. - 이는 최근 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framework인 70:20:101) 적용을 통해 기관 자 1) 70:20:10 모델은 최근 인재육성을 위한 HRD 전략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데, 형식학습을 줄이고 경험을 통 한 학습을 늘리자는 것임. 조직원의 성장은 70%의 비형식 교육으로 업무 중, 20%는 코칭과 멘토링, 10%는 형식학습 개입과 구조화된 교육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으로, 경험을 통한 성장을 강조함. ⨠⨠Ⅰ 서 론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양질의 휴먼서비스 제공을 위한 조직구성원의 전문성 강화 학습활동 필요 - 지식기반 사회에서 창의적 사고를 기반으로 개인과 조직의 가치창출 및 효율성 증 대를 위해 학습조직이 요구되고 있음. 특히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이용자의 욕구에 부합하기 위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의 전문성을 강화시 키기 위한 학습활동이 적극 필요한 상황임. ○ 사회복지기관의 학습문화 조사 연구결과(신재은, 2010) - 자기주도적인 토론과 연구 및 네트워킹을 통해서 지식공유 활동을 하는, 학습동아 리를 지원하고 활성화할 필요성이 매우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남.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시작과 현재 - 경기복지재단은 2011년 학습동아리 인큐베이팅 사업을 추진하여 약 7개월 동안 39 개 학습동아리에 333명이 활동하였고, 현재 2016년에도 재단이 예산을 마련, 사회 복지현장 종사자들의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욕구를 반영하여 총 15개 동아리 150명을 지원하고 있음. - 이는 최근 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framework인 70:20:101) 적용을 통해 기관 자 1) 70:20:10 모델은 최근 인재육성을 위한 HRD 전략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데, 형식학습을 줄이고 경험을 통 한 학습을 늘리자는 것임. 조직원의 성장은 70%의 비형식 교육으로 업무 중, 20%는 코칭과 멘토링, 10%는 형식학습 개입과 구조화된 교육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으로, 경험을 통한 성장을 강조함. ⨠⨠Ⅰ 서 론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2 체적으로 성과중심의 인재육성을 실천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을 지역사회 기반 경 기복지재단이 선도적으로 추진함. - 그리고 조직 차원뿐 아니라, 구성원 개인이 실질적 업무(직무) 전문성을 키워 전문 가로 성장하고 이를 조직 및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질 향상에 적용하여 조직과 개인 이 win-win하는 학습조직 구축과 전문가 육성을 하는 학습동아리 활동 지원 ○ 학습동아리 현황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시가 필요한 상황 - 학습동아리사업은 운영에만 치중하다보니 학습동아리 운영현황이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데 한계가 있었음. 즉, 학습동아리 특성 및 현황 그리고 활성화 및 성장요인을 파악하거나 실제적인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연구가 미흡 하여 개별 학습동아리가 시행착오를 겪으며 활동하고 있음. - 이로 볼 때, 학습동아리에 대한 개별적인 사례들을 통합하여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동아리활동의 활성도와 성장요인을 검토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학습동아리 구 축과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제시할 필요가 있음. □ 연구의 목적 ○ 학습동아리의 현황 및 요구분석, 성장요인 및 활성도 측정 - 경기복지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습동아리를 대상으로 학습동아리 활동의 실태 와 요구를 분석 - 학습동아리의 성장요인 및 활성도 측정 ○ 학습동아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효과적인 동아리활동 운영 및 지원방안 제시 - 향후 학습동아리의 지속가능한 운영 방법 등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Ⅰ 서 론 3 2 연구범위 및 절차 □ 연구의 범위 ○ 경기복지재단 학습동아리 만학도우 활동 회원 □ 연구 문제 ○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 학습동아리의 성장요인과 활성화 수준은 어떠한가? ○ 학습동아리의 성과 수준과 결정요인은 무엇인가? □ 연구절차 ○ 본 연구는 [그림 Ⅰ-1]와 같은 절차로 진행됨. 첫째, 현황분석 단계는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현황과 특징, 타 기관 학습동아리 지원현황, 연구변인 관련 검토 등 분석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함. 둘째, 설문조사 단계는 현황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설문조사 도구를 개발하였고, 재단이 지원하는 학습동아리 조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셋째, 활성화방안 수립 단계는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습동아리 요구분석, 성 장요인 및 활성도 분석, 성과평가 분석을 하였음. 그리고 학습동아리를 활성화하 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음. [그림 Ⅰ-1] 연구절차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2 체적으로 성과중심의 인재육성을 실천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을 지역사회 기반 경 기복지재단이 선도적으로 추진함. - 그리고 조직 차원뿐 아니라, 구성원 개인이 실질적 업무(직무) 전문성을 키워 전문 가로 성장하고 이를 조직 및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질 향상에 적용하여 조직과 개인 이 win-win하는 학습조직 구축과 전문가 육성을 하는 학습동아리 활동 지원 ○ 학습동아리 현황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시가 필요한 상황 - 학습동아리사업은 운영에만 치중하다보니 학습동아리 운영현황이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데 한계가 있었음. 즉, 학습동아리 특성 및 현황 그리고 활성화 및 성장요인을 파악하거나 실제적인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연구가 미흡 하여 개별 학습동아리가 시행착오를 겪으며 활동하고 있음. - 이로 볼 때, 학습동아리에 대한 개별적인 사례들을 통합하여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동아리활동의 활성도와 성장요인을 검토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학습동아리 구 축과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제시할 필요가 있음. □ 연구의 목적 ○ 학습동아리의 현황 및 요구분석, 성장요인 및 활성도 측정 - 경기복지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습동아리를 대상으로 학습동아리 활동의 실태 와 요구를 분석 - 학습동아리의 성장요인 및 활성도 측정 ○ 학습동아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효과적인 동아리활동 운영 및 지원방안 제시 - 향후 학습동아리의 지속가능한 운영 방법 등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Ⅰ 서 론 3 2 연구범위 및 절차 □ 연구의 범위 ○ 경기복지재단 학습동아리 만학도우 활동 회원 □ 연구 문제 ○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 학습동아리의 성장요인과 활성화 수준은 어떠한가? ○ 학습동아리의 성과 수준과 결정요인은 무엇인가? □ 연구절차 ○ 본 연구는 [그림 Ⅰ-1]와 같은 절차로 진행됨. 첫째, 현황분석 단계는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현황과 특징, 타 기관 학습동아리 지원현황, 연구변인 관련 검토 등 분석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함. 둘째, 설문조사 단계는 현황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설문조사 도구를 개발하였고, 재단이 지원하는 학습동아리 조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셋째, 활성화방안 수립 단계는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습동아리 요구분석, 성 장요인 및 활성도 분석, 성과평가 분석을 하였음. 그리고 학습동아리를 활성화하 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음. [그림 Ⅰ-1] 연구절차

Ⅱ 학 습 동 아 리 현 황 및 연 구 변 인 검 토 5 1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현황 □ 사회복지종사자의 주도적 학습의지 고양과 전문성 강화 및 학습문화 조 성을 위한 학습동아리 지원 ○ 사회복지기관의 학습조직문화 조사(신재은, 2010)에서 학습조직문화에 대한 구 성원 전체의 인식을 보면, 대체로 높은 편은 아니지만(3.20~3.40/5점), 그 중 에서 자율적 역량강화(3.40)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주도적 학습의지(3.02)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그림 Ⅱ-1] 학습조직문화 영역별 점수 ⨠⨠Ⅱ 학습동아리 현황 및 연구변인 검토

Ⅱ 학 습 동 아 리 현 황 및 연 구 변 인 검 토 5 1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현황 □ 사회복지종사자의 주도적 학습의지 고양과 전문성 강화 및 학습문화 조 성을 위한 학습동아리 지원 ○ 사회복지기관의 학습조직문화 조사(신재은, 2010)에서 학습조직문화에 대한 구 성원 전체의 인식을 보면, 대체로 높은 편은 아니지만(3.20~3.40/5점), 그 중 에서 자율적 역량강화(3.40)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주도적 학습의지(3.02)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그림 Ⅱ-1] 학습조직문화 영역별 점수 ⨠⨠Ⅱ 학습동아리 현황 및 연구변인 검토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6 따라서 조직의 발전과 연계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구성원 전문성 강화를 촉진 할 수 있는 제도마련이 필요함. 기관의 규모가 작아 개인별로 독립적인 업무 추 진이 많지만, 부서 또는 기관 내 다른 동료와의 토론 및 연구문화 정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 - 또한 자기주도적 학습의지 및 개인-조직간 상호연계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 습조직 문화 개선의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이러한 결과는 자기주도적인 토론과 연구 및 네트워킹을 통해서 지식공유 활동을 하는 학습동아리를 지원하고 활성화할 필요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어 학습동아 리 지원 사업이 시작됨. - 인적자원의 전문성과 복지서비스의 질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을 감안할 때, 학습 동아리 지원과 활성화를 통해 사회복지종사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평생학습과 학습문화 조성은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음. ○ 이에 그 첫 시작으로 2011년 학습동아리 인큐베이팅 사업을 추진하여 약 7개월 동안 39개 학습동아리에 333명이 참여함. - 실무현장에서 필요한 학습주제를 동아리 구성원 스스로가 선정함으로써 업무수행 에 필요한 이론 및 기술습득을 통하여 역량강화가 이루어졌다는 평을 받았으며 처 음 실시되는 사업으로 명확한 운영방안(예산포함)이 정립되지 않아 사업추진에 어 려움이 있었음. ○ 2016년에는 지역사회네트워크 육성과 학습동아리 활동사이의 연계성을 강화하 고 단순학습활동을 넘어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배움의 실천을 목적으로, 도내 2 개 이상의 사회복지관련 시설 및 기관의 종사자로 조직된 학습동아리를 공모하 여 총 15개 동아리를 선정하고 지원하였음.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 네이밍 : 2011년에 이어 두 번째로 사회복지현장 학습지원사 업인 ‘학습동아리’를 운영함에 있어 학습동아리의 친화력과 지속성부여가 가능한 이미지 전달을 위해 ‘브랜드 네이밍’ 공모를 실시함. 공모를 통해 「만학도우(滿學 道友)」라는 네이밍을 갖게 되었으며 만학도우(滿學道友)는 ‘가득 찬 배움의 길동 무’라는 뜻임. Ⅱ 학 습 동 아 리 현 황 및 연 구 변 인 검 토 7 - 15개 동아리에는 총 150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이 속한 기관은 91개 기관으로, 2016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활동하였고 최소 5회 이상 정기적인 모임을 진 행, 활동 후 5일 이내 매회 활동일지를 제출하고 현장방문모니터링을 통해 동아리 활동에 대한 중간운영점검을 실시하였음. - 또한 동아리활동이 마무리된 후, 최종결과보고서 제출은 물론 모든 동아리가 한 자 리에 모여 각각의 활동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성장공유워크샵」을 가짐. 이 자 리는 지역사회네트워크 육성과 더불어 학습동아리의 활력 도모 및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제공하고자 실시되었음. ○ 학습동아리지원 사업 운영과정 학습동아리 공모&선정 -15개 동아리- 학습동아리 활동운영 (6개월) -활동일지- 현장 모니터링 (중간점검) 성장 공유워크샵 -최종결과보고- ○ 15개 동아리 학습주제를 크게 5가지로 분류하여 보면, 지역조직화 3개 팀, 역량 강화 6개 팀, 인권 2개 팀, 사례관리 3개 팀, 상담 1개 팀으로 분류됨. 또한 이 주제에 따라 동아리 유형을 심화학습형, 전문탐구형, 사회참여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아래 표는 2016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에 대한 현황을 정리한 것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6 따라서 조직의 발전과 연계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구성원 전문성 강화를 촉진 할 수 있는 제도마련이 필요함. 기관의 규모가 작아 개인별로 독립적인 업무 추 진이 많지만, 부서 또는 기관 내 다른 동료와의 토론 및 연구문화 정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 - 또한 자기주도적 학습의지 및 개인-조직간 상호연계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 습조직 문화 개선의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이러한 결과는 자기주도적인 토론과 연구 및 네트워킹을 통해서 지식공유 활동을 하는 학습동아리를 지원하고 활성화할 필요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어 학습동아 리 지원 사업이 시작됨. - 인적자원의 전문성과 복지서비스의 질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을 감안할 때, 학습 동아리 지원과 활성화를 통해 사회복지종사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평생학습과 학습문화 조성은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음. ○ 이에 그 첫 시작으로 2011년 학습동아리 인큐베이팅 사업을 추진하여 약 7개월 동안 39개 학습동아리에 333명이 참여함. - 실무현장에서 필요한 학습주제를 동아리 구성원 스스로가 선정함으로써 업무수행 에 필요한 이론 및 기술습득을 통하여 역량강화가 이루어졌다는 평을 받았으며 처 음 실시되는 사업으로 명확한 운영방안(예산포함)이 정립되지 않아 사업추진에 어 려움이 있었음. ○ 2016년에는 지역사회네트워크 육성과 학습동아리 활동사이의 연계성을 강화하 고 단순학습활동을 넘어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배움의 실천을 목적으로, 도내 2 개 이상의 사회복지관련 시설 및 기관의 종사자로 조직된 학습동아리를 공모하 여 총 15개 동아리를 선정하고 지원하였음.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 네이밍 : 2011년에 이어 두 번째로 사회복지현장 학습지원사 업인 ‘학습동아리’를 운영함에 있어 학습동아리의 친화력과 지속성부여가 가능한 이미지 전달을 위해 ‘브랜드 네이밍’ 공모를 실시함. 공모를 통해 「만학도우(滿學 道友)」라는 네이밍을 갖게 되었으며 만학도우(滿學道友)는 ‘가득 찬 배움의 길동 무’라는 뜻임. Ⅱ 학 습 동 아 리 현 황 및 연 구 변 인 검 토 7 - 15개 동아리에는 총 150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이 속한 기관은 91개 기관으로, 2016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활동하였고 최소 5회 이상 정기적인 모임을 진 행, 활동 후 5일 이내 매회 활동일지를 제출하고 현장방문모니터링을 통해 동아리 활동에 대한 중간운영점검을 실시하였음. - 또한 동아리활동이 마무리된 후, 최종결과보고서 제출은 물론 모든 동아리가 한 자 리에 모여 각각의 활동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성장공유워크샵」을 가짐. 이 자 리는 지역사회네트워크 육성과 더불어 학습동아리의 활력 도모 및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제공하고자 실시되었음. ○ 학습동아리지원 사업 운영과정 학습동아리 공모&선정 -15개 동아리- 학습동아리 활동운영 (6개월) -활동일지- 현장 모니터링 (중간점검) 성장 공유워크샵 -최종결과보고- ○ 15개 동아리 학습주제를 크게 5가지로 분류하여 보면, 지역조직화 3개 팀, 역량 강화 6개 팀, 인권 2개 팀, 사례관리 3개 팀, 상담 1개 팀으로 분류됨. 또한 이 주제에 따라 동아리 유형을 심화학습형, 전문탐구형, 사회참여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아래 표는 2016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에 대한 현황을 정리한 것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8 동아리명 참여인원(인원/기관) 학습주제 동아리 유형 주제별 분류 비고 15개 동아리, 총 150명, 소속기관 91개 경기포럼 인이모 6명/4개 인권에 대한 의미를 명확히 형성하고, 삶의 현장 속에서 인권을 끊임없이 사고하며 연계 전문탐구형 인권 공유와 배움의 플랫폼 '큐브' 14명/2개 복지프로그램 공유와 학습을 통한 성장 심화학습형 역량강화 마들길 19명/19개 한국사례관리의 맥락변화를 위한 실천길잡이 전문탐구형 사례관리 복지를 쓰는 사람들 5명/5개 사회복지인문학 관련 글쓰기 및 문집발간 심화학습형 역량강화 부천해피모 8명/8개 해결중심가치관으로 아이들을 돌보는 101가지 질문 심화학습형 역량강화 사고뭉치 -수사망 16명/7개 사례관리 질적 평가 역량강화 전문탐구형 사례관리 심리상담이론 8명/8개 전문적 상담이론의 현장 적용을 위한 학습 전문탐구형 상담 우리는 우주인 10명/7개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종사자 및 이용자의 인권권익을 지원 전문탐구형 인권 인연(因緣) 9명/4개 사람책(현장주민활동가)을 통한 주민조직사업 기술 습득 사회참여형 지역조직화 중도 포기 지역사회조직가 양성모임 8명/8개 지역사회조직가 교육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을 중심으로) 사회참여형 지역조직화 지화자 12명/3개 주민조직화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나누고 공유 사회참여형 지역조직화 청사진 17명/4개 사회복지홍보마케팅, 사회복지홍보기법 지식 습득 및 활용 심화학습형 역량강화 포천 무궁무진 S-campus 5명/2개 사회복지전문가의 역량강화 교육 심화학습형 역량강화 모내기 7명/5개 모금 및 후원 관련된 실무지식 학습 심화학습형 역량강화 힐링스터디 6명/5개 사회복지종사자의 강점관점 사례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 전문탐구형 사례관리 <표 Ⅱ-5> 2016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 현황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 활동 총 15개 동아리 중, ‘동아리 대표의 이직으로 인한 회원 참여율 저조’로 중도 포기 1개 팀을 제외하고, 14개 동아리는 활발한 활동으로 총 6개월간의 활동을 마무리하였으며 주요활동 시간과 장소 그리고 학습방식은 다음과 같았음. Ⅱ 학 습 동 아 리 현 황 및 연 구 변 인 검 토 9 - 첫 번째 활동 시간을 살펴보면, 3개 팀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동아리는 근무시간 내 소속 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평균적으로 16시부터 시작하여 보통 3~4시간 의 활동시간을 가졌으며 이외 3개 팀은 주말과 퇴근 후 시간을 활용하여 학습동아 리 활동을 진행하였음. - 두 번째, 모임장소를 살펴보면 대부분 소속 기관의 공간을 순회하며 이용하고 있었 으며, 이 외에는 인근 카페나 학습이 용이한 커뮤니티 공간을 활용하기도 함. - 세 번째, 학습방식으로는 기본적인 이론학습과 아울러 토의 중심의 학습방식이 대 부분이었으며, 매 회 주제에 따른 개인적인 학습내용을 발제하고 그 내용에 대해 서로 토의하는 학습방식이었음. ‘수퍼바이저’가 있는 동아리는 매회 학습주제에 대한 간략한 요약 및 질문에 대한 전문적인 피드백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도 하 는 학습활동이 진행되었음. - 또한 주제에 따라 준비된 발표내용을 직접 시연해보고 시연 내용에 대해 서로 보완, 수정의견을 주고받으며 개인적 학습 성장을 이루어내는 동아리도 있었음. 이렇게 학 습한 내용들을 공개적으로 발표하고 좀 더 깊이 있게 배우는 발표회나 워크숍, 세미 나 등을 통해 주위 동료와 학습결과를 나누는 장을 마련하는 동아리도 있었음. ○ 현장방문 모니터링 - 학습동아리의 활동과정을 살펴보고, 진행내용에 대한 자체 평가 기회 제공과 지원 예산의 효율적인 사용을 점검하기 위해 학습동아리 활동시작과 동시에 이루어진 현장모니터링은 5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음. - 현장모니터링 과정에서 제시된 활동회원들의 의견들을 간략히 정리해보면, ‘지역 적인 특성(북부권)과 업무량(소규모시설)등으로 집합교육 참여의 어려움이 있었는 데, 동아리 활동을 통해서는 적재적시에 필요한 학습이 이루어지다보니 업무능력 및 전문성 향상에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과 함께 ‘배움으로 채울 수 없 는 사회복지현장업무에 대한 소진 예방과 동료애(결속력과 친밀감) 형성’까지 이 루어졌다는 의견이 다수 있었음. - 이 외에도 현장모니터링 과정에서 제시된 ‘동아리운영 활성화에 대한 지속성 담보’, ‘학습주제에 대한 수퍼바이저 제공’, ‘타 동아리와의 교류’ 등의 의견들은 향후 사 업진행에 있어 적극적으로 수렴해야할 부분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8 동아리명 참여인원(인원/기관) 학습주제 동아리 유형 주제별 분류 비고 15개 동아리, 총 150명, 소속기관 91개 경기포럼 인이모 6명/4개 인권에 대한 의미를 명확히 형성하고, 삶의 현장 속에서 인권을 끊임없이 사고하며 연계 전문탐구형 인권 공유와 배움의 플랫폼 '큐브' 14명/2개 복지프로그램 공유와 학습을 통한 성장 심화학습형 역량강화 마들길 19명/19개 한국사례관리의 맥락변화를 위한 실천길잡이 전문탐구형 사례관리 복지를 쓰는 사람들 5명/5개 사회복지인문학 관련 글쓰기 및 문집발간 심화학습형 역량강화 부천해피모 8명/8개 해결중심가치관으로 아이들을 돌보는 101가지 질문 심화학습형 역량강화 사고뭉치 -수사망 16명/7개 사례관리 질적 평가 역량강화 전문탐구형 사례관리 심리상담이론 8명/8개 전문적 상담이론의 현장 적용을 위한 학습 전문탐구형 상담 우리는 우주인 10명/7개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종사자 및 이용자의 인권권익을 지원 전문탐구형 인권 인연(因緣) 9명/4개 사람책(현장주민활동가)을 통한 주민조직사업 기술 습득 사회참여형 지역조직화 중도 포기 지역사회조직가 양성모임 8명/8개 지역사회조직가 교육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을 중심으로) 사회참여형 지역조직화 지화자 12명/3개 주민조직화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나누고 공유 사회참여형 지역조직화 청사진 17명/4개 사회복지홍보마케팅, 사회복지홍보기법 지식 습득 및 활용 심화학습형 역량강화 포천 무궁무진 S-campus 5명/2개 사회복지전문가의 역량강화 교육 심화학습형 역량강화 모내기 7명/5개 모금 및 후원 관련된 실무지식 학습 심화학습형 역량강화 힐링스터디 6명/5개 사회복지종사자의 강점관점 사례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 전문탐구형 사례관리 <표 Ⅱ-5> 2016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 현황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 활동 총 15개 동아리 중, ‘동아리 대표의 이직으로 인한 회원 참여율 저조’로 중도 포기 1개 팀을 제외하고, 14개 동아리는 활발한 활동으로 총 6개월간의 활동을 마무리하였으며 주요활동 시간과 장소 그리고 학습방식은 다음과 같았음. Ⅱ 학 습 동 아 리 현 황 및 연 구 변 인 검 토 9 - 첫 번째 활동 시간을 살펴보면, 3개 팀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동아리는 근무시간 내 소속 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평균적으로 16시부터 시작하여 보통 3~4시간 의 활동시간을 가졌으며 이외 3개 팀은 주말과 퇴근 후 시간을 활용하여 학습동아 리 활동을 진행하였음. - 두 번째, 모임장소를 살펴보면 대부분 소속 기관의 공간을 순회하며 이용하고 있었 으며, 이 외에는 인근 카페나 학습이 용이한 커뮤니티 공간을 활용하기도 함. - 세 번째, 학습방식으로는 기본적인 이론학습과 아울러 토의 중심의 학습방식이 대 부분이었으며, 매 회 주제에 따른 개인적인 학습내용을 발제하고 그 내용에 대해 서로 토의하는 학습방식이었음. ‘수퍼바이저’가 있는 동아리는 매회 학습주제에 대한 간략한 요약 및 질문에 대한 전문적인 피드백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도 하 는 학습활동이 진행되었음. - 또한 주제에 따라 준비된 발표내용을 직접 시연해보고 시연 내용에 대해 서로 보완, 수정의견을 주고받으며 개인적 학습 성장을 이루어내는 동아리도 있었음. 이렇게 학 습한 내용들을 공개적으로 발표하고 좀 더 깊이 있게 배우는 발표회나 워크숍, 세미 나 등을 통해 주위 동료와 학습결과를 나누는 장을 마련하는 동아리도 있었음. ○ 현장방문 모니터링 - 학습동아리의 활동과정을 살펴보고, 진행내용에 대한 자체 평가 기회 제공과 지원 예산의 효율적인 사용을 점검하기 위해 학습동아리 활동시작과 동시에 이루어진 현장모니터링은 5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음. - 현장모니터링 과정에서 제시된 활동회원들의 의견들을 간략히 정리해보면, ‘지역 적인 특성(북부권)과 업무량(소규모시설)등으로 집합교육 참여의 어려움이 있었는 데, 동아리 활동을 통해서는 적재적시에 필요한 학습이 이루어지다보니 업무능력 및 전문성 향상에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과 함께 ‘배움으로 채울 수 없 는 사회복지현장업무에 대한 소진 예방과 동료애(결속력과 친밀감) 형성’까지 이 루어졌다는 의견이 다수 있었음. - 이 외에도 현장모니터링 과정에서 제시된 ‘동아리운영 활성화에 대한 지속성 담보’, ‘학습주제에 대한 수퍼바이저 제공’, ‘타 동아리와의 교류’ 등의 의견들은 향후 사 업진행에 있어 적극적으로 수렴해야할 부분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10 - 성장공유 워크숍 5월부터 10월까지 학습동아리활동이 마무리되면 최종결과보고서를 제출하고, 「성 장공유 워크숍」을 통해 동아리활동의 전반적인 내용과 성과에 대한 공유가 이루 어짐. 성장공유 워크숍은 동아리 활동 회원들에게 소속감 부여와 성취감 제고를 위 해서 마련하였음. - 이 자리에서는 각 동아리마다 활동내용과 소감에 대해 서로 발표가 진행되었고, 발 표내용과 최종결과보고서, 그리고 현장모니터링 결과를 종합하여 활동이 우수한 팀에게 지지와 격려의 의미를 담아 시상이 이루어졌음. 또한 이 자리는 동아리 대 표단의 의견을 수렴하여, 특강(주제: ‘배움의 무한도전’)과 감성공연 그리고, 만 찬과 소통의 장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음. 이러한 성장공유워크숍의 성과는 동아 리 활동의 지속성을 부여하고 학습동아리의 활성화의 성장동력을 제공함에 있음. 갤러리워크를 통한 활동과정 안내 12개 동아리 발표 우수팀 시상 우수팀 시상 <그림 Ⅱ-2> 성장공유워크숍 활동 모습 Ⅱ 학 습 동 아 리 현 황 및 연 구 변 인 검 토 11 2 사회복지분야 학습동아리 현황 사회복지분야 학습동아리 현황으로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 전남복지재단, 중부재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각 기관의 홈페이지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함. □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 ○ 경기도사복지사협회 사회복지사 지원 사업 ‘소그룹 활동지원’을 살펴봄. -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에서 2016년에 실시한 사회복지사 동호회 소그룹 활동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음. 이 사업은 협회소속 회원들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 여 결속력을 다지고 협회참여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됨. - 따라서 자격조건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3년 회비납부 회원 및 평생회 비 납부회원이어야 함. 그리고 소모임 활동은 팀당 5명 이상 구성할 것을 권장하 고, 회원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나 재충전 프로그램 등의 내용으로 진행됨. 협회는 최대 50만원을 지원함. 구분 내 용 목적 •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 회원 간의 네트워크 형성 • 회원 간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소통의 기회를 만듦으로써 회원들 간의 결속력을 다짐 • 협회활동과 관련하여 회원들의 참여기회를 높임으로써 회원들의 협회 참여 강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8. ~ 2016. 12. 16.(5개월) • 내 용 : 사회복지사 소그룹활동 (전문성 향상, 재충전 프로그램 등) 결성 지원 • 대 상 : ① 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 ②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 2014년~2016년 3년 회비납부 회원 및 평생회비 납부 회원 선정 • 선 정 팀 : 총 4개 팀 • 구성인원 : 1개 팀 당 5명 이상 • 종 류 :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재충전 프로그램(자유) 등 지원금 •한 팀당 최대 50만원 <표 Ⅱ-1>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사 동호회 지원사업‘소그룹 활동지원’내용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10 - 성장공유 워크숍 5월부터 10월까지 학습동아리활동이 마무리되면 최종결과보고서를 제출하고, 「성 장공유 워크숍」을 통해 동아리활동의 전반적인 내용과 성과에 대한 공유가 이루 어짐. 성장공유 워크숍은 동아리 활동 회원들에게 소속감 부여와 성취감 제고를 위 해서 마련하였음. - 이 자리에서는 각 동아리마다 활동내용과 소감에 대해 서로 발표가 진행되었고, 발 표내용과 최종결과보고서, 그리고 현장모니터링 결과를 종합하여 활동이 우수한 팀에게 지지와 격려의 의미를 담아 시상이 이루어졌음. 또한 이 자리는 동아리 대 표단의 의견을 수렴하여, 특강(주제: ‘배움의 무한도전’)과 감성공연 그리고, 만 찬과 소통의 장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음. 이러한 성장공유워크숍의 성과는 동아 리 활동의 지속성을 부여하고 학습동아리의 활성화의 성장동력을 제공함에 있음. 갤러리워크를 통한 활동과정 안내 12개 동아리 발표 우수팀 시상 우수팀 시상 <그림 Ⅱ-2> 성장공유워크숍 활동 모습 Ⅱ 학 습 동 아 리 현 황 및 연 구 변 인 검 토 11 2 사회복지분야 학습동아리 현황 사회복지분야 학습동아리 현황으로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 전남복지재단, 중부재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각 기관의 홈페이지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함. □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 ○ 경기도사복지사협회 사회복지사 지원 사업 ‘소그룹 활동지원’을 살펴봄. -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에서 2016년에 실시한 사회복지사 동호회 소그룹 활동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음. 이 사업은 협회소속 회원들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 여 결속력을 다지고 협회참여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됨. - 따라서 자격조건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3년 회비납부 회원 및 평생회 비 납부회원이어야 함. 그리고 소모임 활동은 팀당 5명 이상 구성할 것을 권장하 고, 회원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나 재충전 프로그램 등의 내용으로 진행됨. 협회는 최대 50만원을 지원함. 구분 내 용 목적 •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 회원 간의 네트워크 형성 • 회원 간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소통의 기회를 만듦으로써 회원들 간의 결속력을 다짐 • 협회활동과 관련하여 회원들의 참여기회를 높임으로써 회원들의 협회 참여 강화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8. ~ 2016. 12. 16.(5개월) • 내 용 : 사회복지사 소그룹활동 (전문성 향상, 재충전 프로그램 등) 결성 지원 • 대 상 : ① 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 ②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 2014년~2016년 3년 회비납부 회원 및 평생회비 납부 회원 선정 • 선 정 팀 : 총 4개 팀 • 구성인원 : 1개 팀 당 5명 이상 • 종 류 :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재충전 프로그램(자유) 등 지원금 •한 팀당 최대 50만원 <표 Ⅱ-1>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사 동호회 지원사업‘소그룹 활동지원’내용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12 □ 전남복지재단 ○ 다음으로, 전남복지재단의 사회복지 학습동아리 지원 사업을 살펴봄. - 전남복지재단은 2011년 경기복지재단이 사회복지분야 전국 최초로 실시한 ‘학습동 아리’사업을 벤치마킹하여 2015년부터 2016년 현재까지 학습동아리 지원 사업을 진행함. - 사회복지종사자의 분야별 전문성 향상을 목적으로 학습 및 연구활동을 지원하며, 전 남도 내 사회복지시설(기관, 단체) 소속의 사회복지종사자로 조직된 동아리로, 동아 리 당 8~15명으로 구성하여 총 10개 팀에 각 200만원을 지원하고 있음. 구분 내 용 목적 • 사회복지 종사자의 분야별 전문성 향상을 위해 정기 학습·연구 활동 동아리에 대한 지원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4. ~ 2016. 10.(7개월) • 내 용 : 사회복지 학습동아리 지원 사업 • 대 상 : 전남도내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에 근거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기관·단체) 소속의 사회복지종사자로 조직된 학습·연구 동아리 모집부문 • 직무능력 향상(기획, 상담, 실습 등) • 소통향상(자기이해, 조직관리, 리더십 등) • 창의적 활동(문화, 예술, 인문학 등) • 기타 자기개발 및 역량강화 관련 등 선정 • 선정팀 : 총 10개 동아리• 구성인원 : 동아리별 회원수 : 8~15명 지원금 • 동아리별 지원액 2,000천원 내외 <표 Ⅱ-2> 전남복지재단 ‘사회복지 학습동아리 지원 사업’내용 □ 중부재단 ○ 전국대상으로 하는 중부재단의 ‘이:룸’동아리 지원 사업을 살펴봄. - 중부재단은 2012년부터 현재까지 학습동아리를 지원하고 있는데, 사회복지실무자 들 간 학습, 네트워킹, 프로젝트 등 다양한 자발적 모임을 지원하고 있음. - 동아리는 최소 3개 기관 실무자로 구성된 팀으로, 팀당 6~10인 이내로 하여 총 15 개팀 내외를 선정하고 팀별 최대 150만원을 지원함. Ⅱ 학 습 동 아 리 현 황 및 연 구 변 인 검 토 13 구분 내 용 목적 •‘같은 업무’, 또는 ‘동일한 관심주제’를 갖는 사회복지실무자들끼리 삼삼오오 모여 학습(스터디), 네트워킹, 프로젝트 등 다양한 형태의 자발적인 모임 지원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5. ~ 2016. 11.(7개월) • 내 용 : 사회복지실무자 지식공유네트워크 • 대 상 : (전국대상) 최소 3개 기관 실무자로 구성된 팀으로 사회복지실무자 선정 • 선정팀 : 총 15개 팀 내외• 구성인원 : 기간 중 6~7회 모임/팀당 6~10인내로 구성 지원금 • 팀별 최대 150만원 지원 <표 Ⅱ-3> 중부재단 ‘이:룸’내용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12 □ 전남복지재단 ○ 다음으로, 전남복지재단의 사회복지 학습동아리 지원 사업을 살펴봄. - 전남복지재단은 2011년 경기복지재단이 사회복지분야 전국 최초로 실시한 ‘학습동 아리’사업을 벤치마킹하여 2015년부터 2016년 현재까지 학습동아리 지원 사업을 진행함. - 사회복지종사자의 분야별 전문성 향상을 목적으로 학습 및 연구활동을 지원하며, 전 남도 내 사회복지시설(기관, 단체) 소속의 사회복지종사자로 조직된 동아리로, 동아 리 당 8~15명으로 구성하여 총 10개 팀에 각 200만원을 지원하고 있음. 구분 내 용 목적 • 사회복지 종사자의 분야별 전문성 향상을 위해 정기 학습·연구 활동 동아리에 대한 지원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4. ~ 2016. 10.(7개월) • 내 용 : 사회복지 학습동아리 지원 사업 • 대 상 : 전남도내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에 근거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기관·단체) 소속의 사회복지종사자로 조직된 학습·연구 동아리 모집부문 • 직무능력 향상(기획, 상담, 실습 등) • 소통향상(자기이해, 조직관리, 리더십 등) • 창의적 활동(문화, 예술, 인문학 등) • 기타 자기개발 및 역량강화 관련 등 선정 • 선정팀 : 총 10개 동아리• 구성인원 : 동아리별 회원수 : 8~15명 지원금 • 동아리별 지원액 2,000천원 내외 <표 Ⅱ-2> 전남복지재단 ‘사회복지 학습동아리 지원 사업’내용 □ 중부재단 ○ 전국대상으로 하는 중부재단의 ‘이:룸’동아리 지원 사업을 살펴봄. - 중부재단은 2012년부터 현재까지 학습동아리를 지원하고 있는데, 사회복지실무자 들 간 학습, 네트워킹, 프로젝트 등 다양한 자발적 모임을 지원하고 있음. - 동아리는 최소 3개 기관 실무자로 구성된 팀으로, 팀당 6~10인 이내로 하여 총 15 개팀 내외를 선정하고 팀별 최대 150만원을 지원함. Ⅱ 학 습 동 아 리 현 황 및 연 구 변 인 검 토 13 구분 내 용 목적 •‘같은 업무’, 또는 ‘동일한 관심주제’를 갖는 사회복지실무자들끼리 삼삼오오 모여 학습(스터디), 네트워킹, 프로젝트 등 다양한 형태의 자발적인 모임 지원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16. 5. ~ 2016. 11.(7개월) • 내 용 : 사회복지실무자 지식공유네트워크 • 대 상 : (전국대상) 최소 3개 기관 실무자로 구성된 팀으로 사회복지실무자 선정 • 선정팀 : 총 15개 팀 내외• 구성인원 : 기간 중 6~7회 모임/팀당 6~10인내로 구성 지원금 • 팀별 최대 150만원 지원 <표 Ⅱ-3> 중부재단 ‘이:룸’내용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14 3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특성 및 연구변인에 대한 검토 결과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특성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는 사회복지종사자 5명~15명 내외의 성인학습자들이 자발 적으로 모여 정기적인 만남과 정해진 주제에 따라 학습과 토론을 하여 평생학습 을 실천하는 소모임임. - 일반적으로 학습동아리는 스웨덴이나 미국에서의 스터디서클(Study Circle) 또는 호주의 학습서클(Learning Circle), 일본의 자주학습조직(自主學習組織)과 유사어 로, 같은 주제에 관심을 가진 성인들이 자발적으로 함께 모여 공부하는 모임으로 정기적인 만남과 정해진 주제에 따라 학습과 토론을 하며 평생학습을 실천하는 소 모임을 말함. 이런 일반적인 학습동아리 개념과 만학도우의 성격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음. - 그러나 학습동아리 만학도우는 친목이나 사교를 위한 모임이 아니며, 정해진 주제 와 목표에 대한 학습과 토론이라는 명확한 목적을 지님. 다만, 스웨덴이나 미국의 학습동아리가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한 탐구 및 토론이 중심이라면 만학도우는 대체로 구성원의 지식이나 능력개발을 위한 동아리 형태가 주를 이룸. 향후에는 사 회복지종사자들의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가 지역사회개발이므로 학습주제를 지역 사회 문제에 대한 탐구와 토론 그리고 실천 활동으로 넓혀가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겠음. - 도내 타 학습동아리와 비교할 때,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의 사회복지사 동호회 지 원사업은 팀당 5명 이상으로 하여 협회 회원 간 네트워크 형성, 결속력 강화 그리 고 협회참여 강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재단의 학습동아리와는 목적을 달리함.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회원은 사회복지사에만 한정짓지 않고, 사회복지사 뿐 만 아니라 사회복지시설 및 관련 기관 종사자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함. - 학습동아리 참여자는 도내 사회복지종사자로서 공공 및 민간기관, 사회복지사 자 격증유무 여부, 각 사회복지영역 등에 대한 제한이 없음. 따라서 구성원들은 사회 복지사를 비롯하여 전문상담사, 민간 및 통합사례관리사, 인권강사, 간호사, 관리 Ⅱ 학 습 동 아 리 현 황 및 연 구 변 인 검 토 15 자(기관장), 기관의 행정사무직 등이 참여하였고, 직급 또한 실무자부터 기관장에 이르기까지 활동을 함. - 이에 비하여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의 경우는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3년 회비납부 회원 및 평생회비 납부 회원으로 한정하고 있어, 동아리 회원 자격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음.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는 광역 경기도의 지리적 여건을 고려하여 교육적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북부권 소재 동아리를 우선 선정함으로써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자 노력함. 그리고 2개 이상의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의 종사자로 조직된 동아리 로 폭넓은 네트워크를 강조함.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 15개 중 큐브, 심리상담이론, 청사진, 포천무궁무진 S-campus, 힐링스터디 5개 동아리가 북부권에 있으며, 총 동아리의 1/3에 해당 함. 이들 동아리에 속한 기관수는 21개이고, 총 동아리원은 50명임. - 그리고 학습동아리 만학도우는 2개 이상의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의 종사자로 조직 된 동아리들로 다양한 학습네트워크를 조성하여 종사자들 간 소통의 기회를 만들 고자 함. 따라서 학습동아리 만학도우는 동아리 당 2개에서 19개 기관의 종사자들 로 조직되어 운영되었으며, 팀당 100만원을 지원함. - 한편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의 경우는 지역적 안배에 대한 고려나 2개 기관 이상의 종사자가 함께 하나의 동아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기준이 드러나지 않았으며, 1개 팀당 5명 이상을 선정 기준으로 하고, 팀당 최대 50만원을 지원함. □ 연구변인에 대한 검토 결과 ○ 학습동아리는 정체되어 있는 조직이 아니라 부분들 간에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 받으며 성장․변화해 가는 역동적인 조직체임. 즉, 정해진 것을 학습하는 것이 아 니라 학습을 통해 경험과 지식을 만들어감. 특히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경우, 다양한 기관과 구성원으로 구성되어 동아리 내부의 역동에 따라 활성여부 및 효 과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 따라서 학습동아리 만학도우가 지속적으로 발전 하기 위해서는 활성화 수준과 활성화를 지원하는 성장요인에 대해 확인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것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14 3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특성 및 연구변인에 대한 검토 결과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특성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는 사회복지종사자 5명~15명 내외의 성인학습자들이 자발 적으로 모여 정기적인 만남과 정해진 주제에 따라 학습과 토론을 하여 평생학습 을 실천하는 소모임임. - 일반적으로 학습동아리는 스웨덴이나 미국에서의 스터디서클(Study Circle) 또는 호주의 학습서클(Learning Circle), 일본의 자주학습조직(自主學習組織)과 유사어 로, 같은 주제에 관심을 가진 성인들이 자발적으로 함께 모여 공부하는 모임으로 정기적인 만남과 정해진 주제에 따라 학습과 토론을 하며 평생학습을 실천하는 소 모임을 말함. 이런 일반적인 학습동아리 개념과 만학도우의 성격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음. - 그러나 학습동아리 만학도우는 친목이나 사교를 위한 모임이 아니며, 정해진 주제 와 목표에 대한 학습과 토론이라는 명확한 목적을 지님. 다만, 스웨덴이나 미국의 학습동아리가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한 탐구 및 토론이 중심이라면 만학도우는 대체로 구성원의 지식이나 능력개발을 위한 동아리 형태가 주를 이룸. 향후에는 사 회복지종사자들의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가 지역사회개발이므로 학습주제를 지역 사회 문제에 대한 탐구와 토론 그리고 실천 활동으로 넓혀가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겠음. - 도내 타 학습동아리와 비교할 때,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의 사회복지사 동호회 지 원사업은 팀당 5명 이상으로 하여 협회 회원 간 네트워크 형성, 결속력 강화 그리 고 협회참여 강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재단의 학습동아리와는 목적을 달리함.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회원은 사회복지사에만 한정짓지 않고, 사회복지사 뿐 만 아니라 사회복지시설 및 관련 기관 종사자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함. - 학습동아리 참여자는 도내 사회복지종사자로서 공공 및 민간기관, 사회복지사 자 격증유무 여부, 각 사회복지영역 등에 대한 제한이 없음. 따라서 구성원들은 사회 복지사를 비롯하여 전문상담사, 민간 및 통합사례관리사, 인권강사, 간호사, 관리 Ⅱ 학 습 동 아 리 현 황 및 연 구 변 인 검 토 15 자(기관장), 기관의 행정사무직 등이 참여하였고, 직급 또한 실무자부터 기관장에 이르기까지 활동을 함. - 이에 비하여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의 경우는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3년 회비납부 회원 및 평생회비 납부 회원으로 한정하고 있어, 동아리 회원 자격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음.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는 광역 경기도의 지리적 여건을 고려하여 교육적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북부권 소재 동아리를 우선 선정함으로써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자 노력함. 그리고 2개 이상의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의 종사자로 조직된 동아리 로 폭넓은 네트워크를 강조함.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 15개 중 큐브, 심리상담이론, 청사진, 포천무궁무진 S-campus, 힐링스터디 5개 동아리가 북부권에 있으며, 총 동아리의 1/3에 해당 함. 이들 동아리에 속한 기관수는 21개이고, 총 동아리원은 50명임. - 그리고 학습동아리 만학도우는 2개 이상의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의 종사자로 조직 된 동아리들로 다양한 학습네트워크를 조성하여 종사자들 간 소통의 기회를 만들 고자 함. 따라서 학습동아리 만학도우는 동아리 당 2개에서 19개 기관의 종사자들 로 조직되어 운영되었으며, 팀당 100만원을 지원함. - 한편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의 경우는 지역적 안배에 대한 고려나 2개 기관 이상의 종사자가 함께 하나의 동아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기준이 드러나지 않았으며, 1개 팀당 5명 이상을 선정 기준으로 하고, 팀당 최대 50만원을 지원함. □ 연구변인에 대한 검토 결과 ○ 학습동아리는 정체되어 있는 조직이 아니라 부분들 간에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 받으며 성장․변화해 가는 역동적인 조직체임. 즉, 정해진 것을 학습하는 것이 아 니라 학습을 통해 경험과 지식을 만들어감. 특히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경우, 다양한 기관과 구성원으로 구성되어 동아리 내부의 역동에 따라 활성여부 및 효 과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 따라서 학습동아리 만학도우가 지속적으로 발전 하기 위해서는 활성화 수준과 활성화를 지원하는 성장요인에 대해 확인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것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16 - 학습동아리가 조직되는 과정은 조직준비 단계, 조직화 단계, 학습동아리간 연합활 동 단계, 운영 및 활성화 단계를 거치는데(이지혜, 홍숙희, 박상옥, 2001), 학습동 아리가 활성화된 경우,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대인관계 및 생활에 활기 가 생기며 자아실현의 기회를 마련할 뿐 아니라(홍숙희, 2001), 지속적인 만남과 자발적인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며, 학습활동의 결과를 발표하거나 지역사회에 환원 하는 기회를 갖는 특성이 있음(이지혜, 홍숙희, 박상옥, 2001; 오혁진, 2006)을 제 시함. 따라서 학습동아리 만학도우가 단순 학습활동에서 그치지 않고 업무적용 및 지역사회 환원에 이르기까지 활성화 여부를 측정하는 것은 향후 학습동아리 만학 도우의 발전방향 제안에 의미가 있겠음. - 한편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지원하는 다양한 상황들이 존재하는데 인적자원, 물적 자원, 내부조직체계 등 성장요인이 존재함(서희정, 2010). 인적자원 중 리더는 학 습동아리를 이끄는 학습자의 대표로서 그룹의 성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SCRSC, 1994, 1998), 실무자는 학습동아리와 가장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담당 자로서 학습동아리 활동을 간접적으로 촉진함(이지헤, 홍숙희, 박상옥, 2001; 최현 자, 2010). 그리고 구성원은 학습에 대한 열의가 높고(이지혜, 홍숙희, 박상옥, 2001),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을수록(이종만 외, 2004) 학습동아리 활동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침. - 성장요인 중 물적자원으로 모임장소와 시설이 갖추어졌을 때 학습활동이 활성화되 고(최슬기, 2008), 학습동아리 활동에 필요한 재정의 확보는 모임의 지속과 원활한 학습활동을 위한 토대가 되며(심영애, 2008; 허혜숙, 2003), 내부조직체계 즉, 학 습동아리의 목표설정, 구성원 수, 정기적인 모임, 구성원의 역할정립 등이 명확할 수록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음(서희정, 2010). ○ 한편,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활성도 및 성장요인뿐 아니라 학습동아리 활동의 효과성 또한 동아리활동 지속성과 지원체계 마련에 중요한 요인임. - 프로그램평가에는 Kirkpatrick(1994)의 4단계 평가모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 는데, 프로그램의 성과를 반응, 학습, 행동, 결과의 4단계로 제시함. 본 연구에서 는 학습동아리 주제가 대체로 동아리 구성원들의 직무와 연계되어 있음을 고려하 여 학습동아리 활동의 효과(성과) 분석을 반응평가(만족도 평가)와 행동평가(학습 Ⅱ 학 습 동 아 리 현 황 및 연 구 변 인 검 토 17 전이도 평가)를 중심으로 측정하고자 함. - 반응평가(만족도 평가)인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는 학습과정에 참여한 학습자가 학습 에 얼마나 만족하였는지에 관한 학습자의 반응인데, 이것은 지식습득에 있어서 중 요한 요인으로 작용함(Merriam, 2001). 만족도에는 학습한 내용뿐만 아니라, 학 습방법, 학습시간, 지원체계, 성과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할 수 있음. 이렇게 다 양한 요소들이 고려되고 있는 만족도는 학습성과 측정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여 겨지고 있음. 평생학습 참여만족도를 다룬 선행연구와 학습동아리 참여에 따른 교 육만족도 관련 선행연구(고유선, 2012; 김희선, 2004; 유은숙, 2006)에 따르면, 학습내용, 학습방법, 학습시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만족도가 상이함을 발견할 수 있음. 그리고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은 개인의 요구나 필요를 충족하 기 위해 참여하기 때문에 학습동아리에 대한 내용과 교육방법에 대한 기대가 높을 수 있음. 따라서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학습동아리 만족도를 측정하 는 것은 평생교육발전을 위해 필요함. 이에 학습동아리 만족도를 학습내용, 학습방 법, 학습시간, 지원체계, 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봄. - 두 번째로, 행동평가인 학습전이는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유지함으로써 현업에서 학습한 내용을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학습자가 학습을 통해 습득한 지식, 기 술, 태도를 업무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정도를 의미함(나승일, 김기용, 2007). 이러한 학습전이의 정의에서 볼 수 있듯이 학습동아리 활동에서의 학습전 이는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해 학습한 전문지식과 스킬, 태도를 사회복지종사자들 이 실제 다양한 복지업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음. Tracey 등 (1995)은 학습을 지속하는 환경이 교육훈련 후 전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 혔는데, 학습지속 문화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학습전이도가 높게 나타남. Dubin(1990)과 Zager(1988)의 연구에서 지속적인 학습문화가 교육 이후 업무에 적용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음(고송이, 2013 재인용). 대체로 학습활동이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과에 기여하였는가에 초점을 두므로, 학습동아리 활동이 잘 수행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구성원의 능력이 향상되어 조 직이 지원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는 것은 매우 중요 함. 따라서 학습동아리 만학도우 활동의 학습전이를 검증하여 그 성과를 확인하고, 조직차원에서 학습동아리의 지원 가치를 평가해 볼 필요가 있음.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16 - 학습동아리가 조직되는 과정은 조직준비 단계, 조직화 단계, 학습동아리간 연합활 동 단계, 운영 및 활성화 단계를 거치는데(이지혜, 홍숙희, 박상옥, 2001), 학습동 아리가 활성화된 경우,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대인관계 및 생활에 활기 가 생기며 자아실현의 기회를 마련할 뿐 아니라(홍숙희, 2001), 지속적인 만남과 자발적인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며, 학습활동의 결과를 발표하거나 지역사회에 환원 하는 기회를 갖는 특성이 있음(이지혜, 홍숙희, 박상옥, 2001; 오혁진, 2006)을 제 시함. 따라서 학습동아리 만학도우가 단순 학습활동에서 그치지 않고 업무적용 및 지역사회 환원에 이르기까지 활성화 여부를 측정하는 것은 향후 학습동아리 만학 도우의 발전방향 제안에 의미가 있겠음. - 한편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지원하는 다양한 상황들이 존재하는데 인적자원, 물적 자원, 내부조직체계 등 성장요인이 존재함(서희정, 2010). 인적자원 중 리더는 학 습동아리를 이끄는 학습자의 대표로서 그룹의 성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SCRSC, 1994, 1998), 실무자는 학습동아리와 가장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담당 자로서 학습동아리 활동을 간접적으로 촉진함(이지헤, 홍숙희, 박상옥, 2001; 최현 자, 2010). 그리고 구성원은 학습에 대한 열의가 높고(이지혜, 홍숙희, 박상옥, 2001),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을수록(이종만 외, 2004) 학습동아리 활동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침. - 성장요인 중 물적자원으로 모임장소와 시설이 갖추어졌을 때 학습활동이 활성화되 고(최슬기, 2008), 학습동아리 활동에 필요한 재정의 확보는 모임의 지속과 원활한 학습활동을 위한 토대가 되며(심영애, 2008; 허혜숙, 2003), 내부조직체계 즉, 학 습동아리의 목표설정, 구성원 수, 정기적인 모임, 구성원의 역할정립 등이 명확할 수록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음(서희정, 2010). ○ 한편,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활성도 및 성장요인뿐 아니라 학습동아리 활동의 효과성 또한 동아리활동 지속성과 지원체계 마련에 중요한 요인임. - 프로그램평가에는 Kirkpatrick(1994)의 4단계 평가모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 는데, 프로그램의 성과를 반응, 학습, 행동, 결과의 4단계로 제시함. 본 연구에서 는 학습동아리 주제가 대체로 동아리 구성원들의 직무와 연계되어 있음을 고려하 여 학습동아리 활동의 효과(성과) 분석을 반응평가(만족도 평가)와 행동평가(학습 Ⅱ 학 습 동 아 리 현 황 및 연 구 변 인 검 토 17 전이도 평가)를 중심으로 측정하고자 함. - 반응평가(만족도 평가)인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는 학습과정에 참여한 학습자가 학습 에 얼마나 만족하였는지에 관한 학습자의 반응인데, 이것은 지식습득에 있어서 중 요한 요인으로 작용함(Merriam, 2001). 만족도에는 학습한 내용뿐만 아니라, 학 습방법, 학습시간, 지원체계, 성과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할 수 있음. 이렇게 다 양한 요소들이 고려되고 있는 만족도는 학습성과 측정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여 겨지고 있음. 평생학습 참여만족도를 다룬 선행연구와 학습동아리 참여에 따른 교 육만족도 관련 선행연구(고유선, 2012; 김희선, 2004; 유은숙, 2006)에 따르면, 학습내용, 학습방법, 학습시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만족도가 상이함을 발견할 수 있음. 그리고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은 개인의 요구나 필요를 충족하 기 위해 참여하기 때문에 학습동아리에 대한 내용과 교육방법에 대한 기대가 높을 수 있음. 따라서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학습동아리 만족도를 측정하 는 것은 평생교육발전을 위해 필요함. 이에 학습동아리 만족도를 학습내용, 학습방 법, 학습시간, 지원체계, 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봄. - 두 번째로, 행동평가인 학습전이는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유지함으로써 현업에서 학습한 내용을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학습자가 학습을 통해 습득한 지식, 기 술, 태도를 업무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정도를 의미함(나승일, 김기용, 2007). 이러한 학습전이의 정의에서 볼 수 있듯이 학습동아리 활동에서의 학습전 이는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해 학습한 전문지식과 스킬, 태도를 사회복지종사자들 이 실제 다양한 복지업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음. Tracey 등 (1995)은 학습을 지속하는 환경이 교육훈련 후 전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 혔는데, 학습지속 문화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학습전이도가 높게 나타남. Dubin(1990)과 Zager(1988)의 연구에서 지속적인 학습문화가 교육 이후 업무에 적용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음(고송이, 2013 재인용). 대체로 학습활동이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과에 기여하였는가에 초점을 두므로, 학습동아리 활동이 잘 수행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구성원의 능력이 향상되어 조 직이 지원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는 것은 매우 중요 함. 따라서 학습동아리 만학도우 활동의 학습전이를 검증하여 그 성과를 확인하고, 조직차원에서 학습동아리의 지원 가치를 평가해 볼 필요가 있음.

Ⅲ 연 구 결 과 19 1 조사방법 □ 연구대상 및 표집 ○ 본 연구에서는 2016년 5월부터 10월까지 활동한 학습동아리 구성원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음. 학습동아리 활동 5개월 차에 접어들 시기에 설문지 를 배포하여 총 87명으로부터 설문응답을 수집하였음. ○ 설문조사에 응답한 학습동아리 활동 구성원은 총 87명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은 <표 Ⅲ-1>에 제시함. - 먼저 성별은 여성이 55명(63.2%), 남성이 32명(36.8%)으로 여성이 과반수 이상이 었고, 연령은 20대 36명(41.4%)으로 가장 많았고, 30대와 40대는 각각 22명 (25.3%), 50대 이상 7명(8.0%)이었음. 학력은 대다수가 대졸 50명(57.5%)이었으 며, 이어 대학원 재학 이상 24명(27.6%), 전문대 졸 13명(14.9%)순이었음. - 근무경력은 1년 이상~3년 미만이 28명(32.2%), 5년 이상~10년 미만 19명(21.8%), 3년 이상~5년 미만 14명(16.1%), 10년 이상~15년 미만 11명(12.6%), 1년 미만 7명 (8.0%)으로 나타났음. 학습동아리 내 역할에 대한 응답은 일반회원이 68명(78.2%) 로 가장 많았으며 리더(대표) 14명(16.1%), 임원(서기)는 5명(5.7%)순이었음. - 다음으로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경험여부에서는 ‘없음’이 66명(75.9%), ‘있음’이 21명(24.1%)으로 이번 학습동아리 참여가 처음인 회원들이 많음을 알 수 있었음. 직업은 사회복지사가 72명(82.8%)로 대다수의 학습동아리 회원이 사회복지사임을 알 수 있으며, 사회복지시설 종사자(행정사무, 시설관리 등) 8명(9.2%), 상담사 6 명(6.9%), 기타 1명(1.1%) 순으로 응답함. ⨠⨠Ⅲ 연구 결과

Ⅲ 연 구 결 과 19 1 조사방법 □ 연구대상 및 표집 ○ 본 연구에서는 2016년 5월부터 10월까지 활동한 학습동아리 구성원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음. 학습동아리 활동 5개월 차에 접어들 시기에 설문지 를 배포하여 총 87명으로부터 설문응답을 수집하였음. ○ 설문조사에 응답한 학습동아리 활동 구성원은 총 87명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은 <표 Ⅲ-1>에 제시함. - 먼저 성별은 여성이 55명(63.2%), 남성이 32명(36.8%)으로 여성이 과반수 이상이 었고, 연령은 20대 36명(41.4%)으로 가장 많았고, 30대와 40대는 각각 22명 (25.3%), 50대 이상 7명(8.0%)이었음. 학력은 대다수가 대졸 50명(57.5%)이었으 며, 이어 대학원 재학 이상 24명(27.6%), 전문대 졸 13명(14.9%)순이었음. - 근무경력은 1년 이상~3년 미만이 28명(32.2%), 5년 이상~10년 미만 19명(21.8%), 3년 이상~5년 미만 14명(16.1%), 10년 이상~15년 미만 11명(12.6%), 1년 미만 7명 (8.0%)으로 나타났음. 학습동아리 내 역할에 대한 응답은 일반회원이 68명(78.2%) 로 가장 많았으며 리더(대표) 14명(16.1%), 임원(서기)는 5명(5.7%)순이었음. - 다음으로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경험여부에서는 ‘없음’이 66명(75.9%), ‘있음’이 21명(24.1%)으로 이번 학습동아리 참여가 처음인 회원들이 많음을 알 수 있었음. 직업은 사회복지사가 72명(82.8%)로 대다수의 학습동아리 회원이 사회복지사임을 알 수 있으며, 사회복지시설 종사자(행정사무, 시설관리 등) 8명(9.2%), 상담사 6 명(6.9%), 기타 1명(1.1%) 순으로 응답함. ⨠⨠Ⅲ 연구 결과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20 - 마지막으로 직급을 살펴보면 실무급(담당/대리급)이 45명(51.7%)로 과반수를 차지 하고 있으며 과장․팀장급 25명(28.7%), 부장․국장급 3명(3.4%), 관장급 6명(6.9%), 기타 8명(9.2%)로 기타에는 통합사례관리사가 포함되어 있음. 변수 구분 빈도(명) 백분율(%) 성별 남성 32 36.8여성 55 63.2 연령 20대 36 41.4 30대 22 25.3 40대 22 25.3 50대 이상 7 8.0 학력 전문대 졸 13 14.9 대졸 50 57.5 대학원 재학 이상 24 27.6 근무경력 1년 미만 7 8.0 1년 이상 ~ 3년 미만 28 32.2 3년 이상 ~ 5년 미만 14 16.1 5년 이상 ~ 10년 미만 19 21.8 10년 이상 ~ 15년 미만 11 12.6 15년 이상 8 9.2 역할 리더(대표) 14 16.1 임원(서기) 5 5.7 일반회원 68 78.2 학습동아리 이전경험 있음 21 24.1 없음 66 75.9 직업 사회복지사 72 82.8 상담사 6 6.9 사회복지시설 종사자(행정사무/시설관리 등) 8 9.2 기타 1 1.1 직급 실무급(담당/대리급) 45 51.7 과장・팀장급 25 28.7 부장・국장급 3 3.4 관장급 6 6.9 기타 8 9.2 <표 Ⅲ-1> 인구사회학적 특성 (단위 : 명, %) Ⅲ 연 구 결 과 21 □ 변수의 정의와 측정 ○ 본 연구는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함. 설문조사방법은 양적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전체 설문지는 학습동아리 일반적 실태(운영평가, 성과평가), 학습동아리 활성도(조직운영, 학습활동, 학습결과활용, 개인적성장), 성장요인(인적자원, 물적자원, 내부조직체계), 학습전이, 인구사회학적 변수의 일곱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69문항으로 구성함. - 설문문항은 일반적 실태와 인구사회학적 부분을 제외하고 자기보고식(self- reporting)형태의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1점(전혀 그렇지 않다)부터 5 점(매우 그렇다) 사이에 한 가지를 응답하도록 설계함. ○ 학습동아리 일반적 실태와 인구통계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의 측정도구는 다음 과 같음. - 먼저, 학습동아리의 성장요인은 학습동아리의 성장을 지원하여 활성화에 이르도록 돕는 다양한 요인을 의미하며, 내부구성원, 인간관계, 외부 관련 인사, 학습활동, 활용시설, 재정 및 행정적 지원 등이 성장요인에 해당될 수 있음. 본 연구에서는 서희정(2010)의 연구를 바탕으로 물적자원, 인적자원, 내부조직체계 등 세 가지로 정리함. 첫째, 인적자원에는 학습동아리와 밀접하게 관련된 리더, 기관실무자, 구성원이 포 함되며 리더는 학습동아리를 이끌어가는 대표로 전문가일수록 학습활동 및 모임지 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둘째, 물적자원에는 학습동아리 활동에 필요한 장소, 각종 시설 및 재정이 포함되 며 학습동아리 활동을 위한 모임장소와 시설이 갖추어져 있을 때 학습활동이 활성 화 됨. 셋째, 내부조직체계에는 학습동아리의 목표설정, 구성원 수, 정기모임, 네트워킹 구성 등의 요소로 내부조직체계가 명확할수록 학습동아리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음. 또한 구성원간의 정기적인 만남은 지속적인 학습활동 뿐 아니라 인간적인 긴 밀성과 교제를 뒷받침해 주며 결과적으로도 학습의 효과성도 높이게 됨. 이상의 내 용을 정리하면 다음 <표 Ⅲ-2>과 같음.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20 - 마지막으로 직급을 살펴보면 실무급(담당/대리급)이 45명(51.7%)로 과반수를 차지 하고 있으며 과장․팀장급 25명(28.7%), 부장․국장급 3명(3.4%), 관장급 6명(6.9%), 기타 8명(9.2%)로 기타에는 통합사례관리사가 포함되어 있음. 변수 구분 빈도(명) 백분율(%) 성별 남성 32 36.8여성 55 63.2 연령 20대 36 41.4 30대 22 25.3 40대 22 25.3 50대 이상 7 8.0 학력 전문대 졸 13 14.9 대졸 50 57.5 대학원 재학 이상 24 27.6 근무경력 1년 미만 7 8.0 1년 이상 ~ 3년 미만 28 32.2 3년 이상 ~ 5년 미만 14 16.1 5년 이상 ~ 10년 미만 19 21.8 10년 이상 ~ 15년 미만 11 12.6 15년 이상 8 9.2 역할 리더(대표) 14 16.1 임원(서기) 5 5.7 일반회원 68 78.2 학습동아리 이전경험 있음 21 24.1 없음 66 75.9 직업 사회복지사 72 82.8 상담사 6 6.9 사회복지시설 종사자(행정사무/시설관리 등) 8 9.2 기타 1 1.1 직급 실무급(담당/대리급) 45 51.7 과장・팀장급 25 28.7 부장・국장급 3 3.4 관장급 6 6.9 기타 8 9.2 <표 Ⅲ-1> 인구사회학적 특성 (단위 : 명, %) Ⅲ 연 구 결 과 21 □ 변수의 정의와 측정 ○ 본 연구는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함. 설문조사방법은 양적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전체 설문지는 학습동아리 일반적 실태(운영평가, 성과평가), 학습동아리 활성도(조직운영, 학습활동, 학습결과활용, 개인적성장), 성장요인(인적자원, 물적자원, 내부조직체계), 학습전이, 인구사회학적 변수의 일곱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69문항으로 구성함. - 설문문항은 일반적 실태와 인구사회학적 부분을 제외하고 자기보고식(self- reporting)형태의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1점(전혀 그렇지 않다)부터 5 점(매우 그렇다) 사이에 한 가지를 응답하도록 설계함. ○ 학습동아리 일반적 실태와 인구통계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의 측정도구는 다음 과 같음. - 먼저, 학습동아리의 성장요인은 학습동아리의 성장을 지원하여 활성화에 이르도록 돕는 다양한 요인을 의미하며, 내부구성원, 인간관계, 외부 관련 인사, 학습활동, 활용시설, 재정 및 행정적 지원 등이 성장요인에 해당될 수 있음. 본 연구에서는 서희정(2010)의 연구를 바탕으로 물적자원, 인적자원, 내부조직체계 등 세 가지로 정리함. 첫째, 인적자원에는 학습동아리와 밀접하게 관련된 리더, 기관실무자, 구성원이 포 함되며 리더는 학습동아리를 이끌어가는 대표로 전문가일수록 학습활동 및 모임지 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둘째, 물적자원에는 학습동아리 활동에 필요한 장소, 각종 시설 및 재정이 포함되 며 학습동아리 활동을 위한 모임장소와 시설이 갖추어져 있을 때 학습활동이 활성 화 됨. 셋째, 내부조직체계에는 학습동아리의 목표설정, 구성원 수, 정기모임, 네트워킹 구성 등의 요소로 내부조직체계가 명확할수록 학습동아리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음. 또한 구성원간의 정기적인 만남은 지속적인 학습활동 뿐 아니라 인간적인 긴 밀성과 교제를 뒷받침해 주며 결과적으로도 학습의 효과성도 높이게 됨. 이상의 내 용을 정리하면 다음 <표 Ⅲ-2>과 같음.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22 - 다음으로, 학습동아리 활성도는 학습동아리의 최종 성장단계인 활성화 단계의 특 성을 얼마나 갖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개인적 성장, 구성원 관계 및 모임, 인적․물적 자원활용, 학습결과의 활용, 학습활동 요인을 의미함.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활성 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서희정(2010)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함. 활성도 요인을 자 세히 살펴보면, 체계적인 조직구성과 재정확보, 구성원간의 긴밀한 유대관계 등을 포함하는 조직운영과 정기적인 모임, 심화학습 등을 포함하는 학습활동, 학습결과 가 사회복지현장 업무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를 묻는 학습결과활용, 지식의 축적 및 재구성을 통한 개인적 성장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음. - 학습전이는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업무현장에서 어느 정도 활용하고 있는지를 측정 할 뿐만 아니라, 학습훈련전이의 결과로 인해 업무수행의 수준이 향상되고 직무수 행 상에서 부딪히는 이슈와 문제점들을 해결함으로써 상사 및 동료들로부터 긍정적 피드백을 받는 것까지 포괄하여 측정할 필요성이 있음. 이 연구에서는 최정인 (2015)의 연구에서 활용된 총 5개 문항으로 구성함. ○ 통제변수 - 회귀분석에서 성별(남/여), 연령(20대/30대 이상), 경력(3년 미만/3년 이상), 직급 (실무자/관리자)와 같은 인구사회항목을 통제변수로 투입하였음. ○ 변수의 하위영역, 문항 수, 신뢰도 - 각 변수 및 하위 영역의 신뢰도(Cronbach'α)는 다음과 같음. 변수의 신뢰도에는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수의 하위척도 신뢰도 역시 대체로 양호 함. 다만 물적자원 변수의 재정 척도의 경우 신뢰도가 0.35로 매우 낮음. 따라서 이 척도는 회귀분석에서 하위척도로 투입하지 않았음. Ⅲ 연 구 결 과 23 척도 하위척도 문항수 하위 신뢰도 전체 신뢰도 학습동아리 활성도 조직운영 8 0.84 .917학습활동 6 0.84 학습결과활용 3 0.68 개인적 성장 3 0.86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인적자원 리더 및 구성원 6 0.87 .916실무자 및 전문가 6 0.88 물적자원 운영교보재 2 0.83 .655장소 및 시설 3 0.70 재정 2 0.35 내부조직 체계 운영체계 5 0.75 .804모임체계 3 0.69 네트워킹 2 0.91 학습전이 - 5 - 0.92 <표 Ⅲ-2> 설문문항 구성 및 신뢰도 추정 결과 ○ 분석방법 및 자료의 적절성 - 본 연구에서는 빈도분석 및 평균계산 등의 기술통계를 활용하였고, 각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2)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변수의 영향력은 유의수준(α=0.05)에서 검증했으며, 각 변수가 회귀분석을 적용하기에 적절한지 판단하기 위해 변수의 정규성과 다중공선성(공차, VIF) 여부 등을 확인한 결과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다만 표본의 크기가 87명으로서 다중회 귀분석을 하기에 다소 적은 크기이나 독립변수 수에 비해 표본의 크기는 최소한 5 배~10배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이학식, 2012)는 기준으로 볼 때 큰 문제는 없음. 일부 결측값이 발견되었으나 평균으로 대체해서 처리하였음. 통계 프로그램은 SPSS를 사용함. 2) 일반적으로 회귀분석의 용도는 이론적 근거에 따라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설명적 용도와 최적의 예측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예측의 용도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Full모형으로 회귀분석 을 실시하고 후자의 경우 설명력이 약한 변수를 제거한 Reduced모형으로 실시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전자의 용도로 실시하였다. 이유는 첫째, 각 독립변수의 영향력 여부를 검증하는데 일차적인 관심이 있고 둘째, 최적의 모형을 구축할 만큼 큰 표본을 활용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22 - 다음으로, 학습동아리 활성도는 학습동아리의 최종 성장단계인 활성화 단계의 특 성을 얼마나 갖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개인적 성장, 구성원 관계 및 모임, 인적․물적 자원활용, 학습결과의 활용, 학습활동 요인을 의미함. 학습동아리 만학도우의 활성 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서희정(2010)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함. 활성도 요인을 자 세히 살펴보면, 체계적인 조직구성과 재정확보, 구성원간의 긴밀한 유대관계 등을 포함하는 조직운영과 정기적인 모임, 심화학습 등을 포함하는 학습활동, 학습결과 가 사회복지현장 업무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를 묻는 학습결과활용, 지식의 축적 및 재구성을 통한 개인적 성장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음. - 학습전이는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업무현장에서 어느 정도 활용하고 있는지를 측정 할 뿐만 아니라, 학습훈련전이의 결과로 인해 업무수행의 수준이 향상되고 직무수 행 상에서 부딪히는 이슈와 문제점들을 해결함으로써 상사 및 동료들로부터 긍정적 피드백을 받는 것까지 포괄하여 측정할 필요성이 있음. 이 연구에서는 최정인 (2015)의 연구에서 활용된 총 5개 문항으로 구성함. ○ 통제변수 - 회귀분석에서 성별(남/여), 연령(20대/30대 이상), 경력(3년 미만/3년 이상), 직급 (실무자/관리자)와 같은 인구사회항목을 통제변수로 투입하였음. ○ 변수의 하위영역, 문항 수, 신뢰도 - 각 변수 및 하위 영역의 신뢰도(Cronbach'α)는 다음과 같음. 변수의 신뢰도에는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수의 하위척도 신뢰도 역시 대체로 양호 함. 다만 물적자원 변수의 재정 척도의 경우 신뢰도가 0.35로 매우 낮음. 따라서 이 척도는 회귀분석에서 하위척도로 투입하지 않았음. Ⅲ 연 구 결 과 23 척도 하위척도 문항수 하위 신뢰도 전체 신뢰도 학습동아리 활성도 조직운영 8 0.84 .917학습활동 6 0.84 학습결과활용 3 0.68 개인적 성장 3 0.86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인적자원 리더 및 구성원 6 0.87 .916실무자 및 전문가 6 0.88 물적자원 운영교보재 2 0.83 .655장소 및 시설 3 0.70 재정 2 0.35 내부조직 체계 운영체계 5 0.75 .804모임체계 3 0.69 네트워킹 2 0.91 학습전이 - 5 - 0.92 <표 Ⅲ-2> 설문문항 구성 및 신뢰도 추정 결과 ○ 분석방법 및 자료의 적절성 - 본 연구에서는 빈도분석 및 평균계산 등의 기술통계를 활용하였고, 각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2)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변수의 영향력은 유의수준(α=0.05)에서 검증했으며, 각 변수가 회귀분석을 적용하기에 적절한지 판단하기 위해 변수의 정규성과 다중공선성(공차, VIF) 여부 등을 확인한 결과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다만 표본의 크기가 87명으로서 다중회 귀분석을 하기에 다소 적은 크기이나 독립변수 수에 비해 표본의 크기는 최소한 5 배~10배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이학식, 2012)는 기준으로 볼 때 큰 문제는 없음. 일부 결측값이 발견되었으나 평균으로 대체해서 처리하였음. 통계 프로그램은 SPSS를 사용함. 2) 일반적으로 회귀분석의 용도는 이론적 근거에 따라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설명적 용도와 최적의 예측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예측의 용도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Full모형으로 회귀분석 을 실시하고 후자의 경우 설명력이 약한 변수를 제거한 Reduced모형으로 실시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전자의 용도로 실시하였다. 이유는 첫째, 각 독립변수의 영향력 여부를 검증하는데 일차적인 관심이 있고 둘째, 최적의 모형을 구축할 만큼 큰 표본을 활용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24 2 학습동아리 활동의 요구 분석결과 ○ 학습동아리의 모임주기는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학습동아 리의 적절한 모임주기에 대해 월 1회라는 응답이 55명(63.2%)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2주 1회 의견이 16명(18.4%) 순으로 나타났음. 월 1회가 적절하다고 볼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주 1회 5 5.7 2주 1회 16 18.4 월 1회 55 63.2 월 2회 11 12.6 합계 87 100.0 <표 Ⅲ-3> 학습동아리의 모임주기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주 1회 2주 1회 월 1회 월 2회 5.7 18.4 63.2 12.6 <그림 Ⅲ-1> 학습동아리 모임주기 (단위: %) Ⅲ 연 구 결 과 25 ○ 1일 기준, 적절한 학습동아리 참여 시간을 조사한 결과, 2시간이라는 응답이 62 명(71.3%)으로 높게 나타났음. 그 다음으로 19명(21.8%)이 3시간으로 응답하였 고, 2시간 정도로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1시간 4 4.6 2시간 62 71.3 3시간 19 21.8 4시간 이상 2 2.3 합계 87 100.0 <표 Ⅲ-4>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시간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이상 4.6 71.3 21.8 2.3 <그림 Ⅲ-2>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시간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24 2 학습동아리 활동의 요구 분석결과 ○ 학습동아리의 모임주기는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학습동아 리의 적절한 모임주기에 대해 월 1회라는 응답이 55명(63.2%)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2주 1회 의견이 16명(18.4%) 순으로 나타났음. 월 1회가 적절하다고 볼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주 1회 5 5.7 2주 1회 16 18.4 월 1회 55 63.2 월 2회 11 12.6 합계 87 100.0 <표 Ⅲ-3> 학습동아리의 모임주기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주 1회 2주 1회 월 1회 월 2회 5.7 18.4 63.2 12.6 <그림 Ⅲ-1> 학습동아리 모임주기 (단위: %) Ⅲ 연 구 결 과 25 ○ 1일 기준, 적절한 학습동아리 참여 시간을 조사한 결과, 2시간이라는 응답이 62 명(71.3%)으로 높게 나타났음. 그 다음으로 19명(21.8%)이 3시간으로 응답하였 고, 2시간 정도로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1시간 4 4.6 2시간 62 71.3 3시간 19 21.8 4시간 이상 2 2.3 합계 87 100.0 <표 Ⅲ-4>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시간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이상 4.6 71.3 21.8 2.3 <그림 Ⅲ-2>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시간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26 ○ 하루 중 어느 시기에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응답자 58명(66.7%)이 근무시간 중이라고 답했고 24명(27.6%)은 근무시간 이 후가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음. 근무시간 중에 희망하는 비율이 매우 높음. 구분 빈도 퍼센트 근무시간 전 1 1.1 근무시간 중 58 66.7 근무시간 후 24 27.6 휴일 4 4.6 합계 87 100.0 <표 Ⅲ-5> 하루 중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때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근무시간 전 근무시간 중 근무시간 후 휴일 1.1 66.7 27.6 4.6 <그림 Ⅲ-3> 하루 중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때 (단위: %) Ⅲ 연 구 결 과 27 ○ 학습동아리 참여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기준에 대해 응답자 중 65명(74.7%)이 학습 내용이라 답하였음. 다른 기준들에 비해 학습내용이 의사결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됨을 알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학습 내용 65 74.7 학습 방법 6 6.9 학습 기간 1 1.1 수퍼바이저 4 4.6 학습시설 및 장소 2 2.3 참가 구성원 9 10.3 합계 87 100.0 <표 Ⅲ-6> 학습동아리 참여시 고려사항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학습 내용 학습 방법 학습 기간 슈퍼바이저 학습시설 및 장소 참가 구성원 74.7 6.9 1.1 4.6 2.3 10.3 <그림 Ⅲ-4> 학습동아리 참여시 고려사항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26 ○ 하루 중 어느 시기에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응답자 58명(66.7%)이 근무시간 중이라고 답했고 24명(27.6%)은 근무시간 이 후가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음. 근무시간 중에 희망하는 비율이 매우 높음. 구분 빈도 퍼센트 근무시간 전 1 1.1 근무시간 중 58 66.7 근무시간 후 24 27.6 휴일 4 4.6 합계 87 100.0 <표 Ⅲ-5> 하루 중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때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근무시간 전 근무시간 중 근무시간 후 휴일 1.1 66.7 27.6 4.6 <그림 Ⅲ-3> 하루 중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 때 (단위: %) Ⅲ 연 구 결 과 27 ○ 학습동아리 참여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기준에 대해 응답자 중 65명(74.7%)이 학습 내용이라 답하였음. 다른 기준들에 비해 학습내용이 의사결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됨을 알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학습 내용 65 74.7 학습 방법 6 6.9 학습 기간 1 1.1 수퍼바이저 4 4.6 학습시설 및 장소 2 2.3 참가 구성원 9 10.3 합계 87 100.0 <표 Ⅲ-6> 학습동아리 참여시 고려사항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학습 내용 학습 방법 학습 기간 슈퍼바이저 학습시설 및 장소 참가 구성원 74.7 6.9 1.1 4.6 2.3 10.3 <그림 Ⅲ-4> 학습동아리 참여시 고려사항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28 ○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위한 의견으로 33명(37.9%)은 교육프로그램 참가 후 실무 자의 권유를 선택했고, 28명(32.2%)은 지역에 있는 기관 및 단체를 통한 홍보 방법을 희망했으며, 25명(28.7%)이 동료의 소개를 적절한 홍보방법으로 선정하 였음. 다양한 방법이 지지를 얻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동료의 소개 25 28.7 교육프로그램 참가 후 실무자의 권유 33 37.9 지역에 있는 기관 및 단체를 통해 28 32.2 기타 1 1.1 합계 87 100.0 <표 Ⅲ-7> 학습동아리 홍보방법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동료의 소개 참가 실무자의 권유 지역 기관 및 단체를 통해 기타 28.7 37.9 32.2 1.1 <그림 Ⅲ-5> 학습동아리 홍보방법 (단위: %) Ⅲ 연 구 결 과 29 ○ 학습동아리의 바람직한 운영방법에 대해 응답자 70명(46.4%)이 소집단의 토의 방법을 지지했고, 26명(17.2%)은 실습과 시연이 적절하다 평가했음. 소집단을 통한 집단적 문제해결 및 실습 등 학습동아리 구성원들이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강사의 강의 중심 24 15.9 소집단의 토의 방법 70 46.4 관찰, 견학 18 11.9 시청각 자료 시청 7 4.6 공개 토론 6 4.0 실습, 시연 26 17.2 합계 151 100.0 <표 Ⅲ-8> 효과적 운영방법 (복수응답)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강사의 강의 중심 소집단의 토의 방법 관찰 견학 시청각 자료 시청 공개 토론 실습 시연 15.9 46.4 11.9 4.6 4 17.2 <그림 Ⅲ-6> 효과적 운영방법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28 ○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위한 의견으로 33명(37.9%)은 교육프로그램 참가 후 실무 자의 권유를 선택했고, 28명(32.2%)은 지역에 있는 기관 및 단체를 통한 홍보 방법을 희망했으며, 25명(28.7%)이 동료의 소개를 적절한 홍보방법으로 선정하 였음. 다양한 방법이 지지를 얻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동료의 소개 25 28.7 교육프로그램 참가 후 실무자의 권유 33 37.9 지역에 있는 기관 및 단체를 통해 28 32.2 기타 1 1.1 합계 87 100.0 <표 Ⅲ-7> 학습동아리 홍보방법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동료의 소개 참가 실무자의 권유 지역 기관 및 단체를 통해 기타 28.7 37.9 32.2 1.1 <그림 Ⅲ-5> 학습동아리 홍보방법 (단위: %) Ⅲ 연 구 결 과 29 ○ 학습동아리의 바람직한 운영방법에 대해 응답자 70명(46.4%)이 소집단의 토의 방법을 지지했고, 26명(17.2%)은 실습과 시연이 적절하다 평가했음. 소집단을 통한 집단적 문제해결 및 실습 등 학습동아리 구성원들이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강사의 강의 중심 24 15.9 소집단의 토의 방법 70 46.4 관찰, 견학 18 11.9 시청각 자료 시청 7 4.6 공개 토론 6 4.0 실습, 시연 26 17.2 합계 151 100.0 <표 Ⅲ-8> 효과적 운영방법 (복수응답)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강사의 강의 중심 소집단의 토의 방법 관찰 견학 시청각 자료 시청 공개 토론 실습 시연 15.9 46.4 11.9 4.6 4 17.2 <그림 Ⅲ-6> 효과적 운영방법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30 ○ 학습동아리 운영의 저해요인에 대해 73명(31.9%)이 참가자들의 소극적인 참여 를 주요 이유로 선정했고 그 다음으로 43명(18.8%)이 학습 내용의 빈약함을, 40명(17.5%)이 수퍼바이저의 부재를 이유로 들었음. 참가자들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를 통해 참여도를 높일 방안이 필요함. 구분 빈도 퍼센트 수퍼바이저의 부재 40 17.5 학습 내용의 빈약 43 18.8 참가자들의 소극적인 참여 73 31.9 참가자의 재정적인 부담 34 14.8 동아리 리더(대표)의 소극적인 활동 13 5.7 기타 26 11.4 합계 229 100.0 <표 Ⅲ-9> 운영저해 요인 (복수응답)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수퍼바이저의 부재 학습 내용의 빈약 참가자들의 소극적인 참여 참가자의 재정적인 부담 동아리 리더(대표)의 소극적인 활동 기타 17.5 18.8 31.9 14.8 5.7 11.4 <그림 Ⅲ-7> 운영저해 요인 (단위: %) Ⅲ 연 구 결 과 31 ○ 학습동아리 참여 목적에 대해 응답자 40명(46.0%)이 능력개발 및 전문성 함양 이라 응답하였고, 23명(26.4%)은 교육적 소양과 견문을 넓히기 위해서라고 응 답하였음. 그리고 14명(16.1%)이 친목도모 등의 목적을 선택하였음. 구분 빈도 퍼센트 사회복지사로서의 능력개발과 전문성 함양을 위해서 40 46.0 참여 동아리의 주제에 대한 교육적 소양과 견문을 넓히기 위해서 23 26.4 지역의 사회복지 동향파악에 필요한 도움(정보)를 얻기 위해서 4 4.6 지역 내 네트워크를 통한 친목도모와 직장 생활의 활력을 얻기 위해서 14 16.1 소진 예방 및 해소를 위해서 6 6.9 합계 87 100.0 <표 Ⅲ-10> 학습동아리 참여 목적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능력개발과 전문성 함양 교육적 소양과 견문 지역의 사회복지 동향파악 지역 내 네트워크 친목도모 소진예방 및 해소 46 26.4 4.6 16.1 6.9 <그림 Ⅲ-8> 학습동아리 참여 목적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30 ○ 학습동아리 운영의 저해요인에 대해 73명(31.9%)이 참가자들의 소극적인 참여 를 주요 이유로 선정했고 그 다음으로 43명(18.8%)이 학습 내용의 빈약함을, 40명(17.5%)이 수퍼바이저의 부재를 이유로 들었음. 참가자들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를 통해 참여도를 높일 방안이 필요함. 구분 빈도 퍼센트 수퍼바이저의 부재 40 17.5 학습 내용의 빈약 43 18.8 참가자들의 소극적인 참여 73 31.9 참가자의 재정적인 부담 34 14.8 동아리 리더(대표)의 소극적인 활동 13 5.7 기타 26 11.4 합계 229 100.0 <표 Ⅲ-9> 운영저해 요인 (복수응답)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수퍼바이저의 부재 학습 내용의 빈약 참가자들의 소극적인 참여 참가자의 재정적인 부담 동아리 리더(대표)의 소극적인 활동 기타 17.5 18.8 31.9 14.8 5.7 11.4 <그림 Ⅲ-7> 운영저해 요인 (단위: %) Ⅲ 연 구 결 과 31 ○ 학습동아리 참여 목적에 대해 응답자 40명(46.0%)이 능력개발 및 전문성 함양 이라 응답하였고, 23명(26.4%)은 교육적 소양과 견문을 넓히기 위해서라고 응 답하였음. 그리고 14명(16.1%)이 친목도모 등의 목적을 선택하였음. 구분 빈도 퍼센트 사회복지사로서의 능력개발과 전문성 함양을 위해서 40 46.0 참여 동아리의 주제에 대한 교육적 소양과 견문을 넓히기 위해서 23 26.4 지역의 사회복지 동향파악에 필요한 도움(정보)를 얻기 위해서 4 4.6 지역 내 네트워크를 통한 친목도모와 직장 생활의 활력을 얻기 위해서 14 16.1 소진 예방 및 해소를 위해서 6 6.9 합계 87 100.0 <표 Ⅲ-10> 학습동아리 참여 목적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능력개발과 전문성 함양 교육적 소양과 견문 지역의 사회복지 동향파악 지역 내 네트워크 친목도모 소진예방 및 해소 46 26.4 4.6 16.1 6.9 <그림 Ⅲ-8> 학습동아리 참여 목적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32 ○ 학습동아리에 대한 활동지원이 종사자의 처우개선에 포함되는지를 질문한 결 과, 응답자 70명(80.5%)이 “예”라고 응답하였음. 따라서 대다수의 구성원들 이 학습동아리 활동지원을 종사자 처우개선의 한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예 70 80.5 아니오 17 19.5 합계 87 100.0 <표 Ⅲ-11> 학습동아리 지원이 처우개선에 해당되는지 여부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예 아니오 80.5 19.5 <그림 Ⅲ-9> 학습동아리 지원이 처우개선에 해당되는지 여부 (단위: %) Ⅲ 연 구 결 과 33 ○ 앞의 문항에 “예”라고 답한 응답자들에게 처우개선의 방법으로서 학습동아리 형태의 자기개발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이 얼마나 절실히 필요한가에 대해 질문한 결과, 응답자 모두 필요하다고 답하였음. 구분 빈도 퍼센트 필요 24 34.3 매우 필요 46 65.7 합계 70 100.0 <표 Ⅲ-12> 처우개선을 위한 지원 필요 여부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필요 매우 필요 34.3 65.7 <그림 Ⅲ-10> 처우개선을 위한 지원 필요 여부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32 ○ 학습동아리에 대한 활동지원이 종사자의 처우개선에 포함되는지를 질문한 결 과, 응답자 70명(80.5%)이 “예”라고 응답하였음. 따라서 대다수의 구성원들 이 학습동아리 활동지원을 종사자 처우개선의 한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예 70 80.5 아니오 17 19.5 합계 87 100.0 <표 Ⅲ-11> 학습동아리 지원이 처우개선에 해당되는지 여부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예 아니오 80.5 19.5 <그림 Ⅲ-9> 학습동아리 지원이 처우개선에 해당되는지 여부 (단위: %) Ⅲ 연 구 결 과 33 ○ 앞의 문항에 “예”라고 답한 응답자들에게 처우개선의 방법으로서 학습동아리 형태의 자기개발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이 얼마나 절실히 필요한가에 대해 질문한 결과, 응답자 모두 필요하다고 답하였음. 구분 빈도 퍼센트 필요 24 34.3 매우 필요 46 65.7 합계 70 100.0 <표 Ⅲ-12> 처우개선을 위한 지원 필요 여부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필요 매우 필요 34.3 65.7 <그림 Ⅲ-10> 처우개선을 위한 지원 필요 여부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34 ○ 향후 학습동아리 참여 의향에 대해 응답자 73명(83.9%)이 “그렇다” 혹은 “매우 그렇다”고 답하였음. 이는 학습동아리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그렇지 않다 2 2.3 보통이다 12 13.8 그렇다 37 42.5 매우 그렇다 36 41.4 합계 87 100.0 <표 Ⅲ-13> 향후 참여 의향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2.3 13.8 42.5 41.4 <그림 Ⅲ-11> 향후 참여 의향 (단위: %) Ⅲ 연 구 결 과 35 ○ 향후 희망하는 학습동아리 주제에 대해 응답자 중 29명(33.3%)이 지역사회 네 트워크형 분야를 선정했고, 그 다음으로 28명(32.2%)은 전문탐구형(전문영역별 공동토의와 탐구) 분야를 선정함. 이 외에 심화학습형과 문제해결형 분야에 대 한 관심도 일부 확인되었음. 구분 빈도 퍼센트 심화학습형(심층지식 및 기술습득) 14 16.1 전문탐구형(전문영역별 공동토의와 탐구) 28 32.2 문제해결형(문제해결 모색 및 실천) 14 16.1 지역사회 네트워크형 29 33.3 기타 2 2.3 합계 87 100.0 <표 Ⅲ-14> 향후 참여 희망 분야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심화학습형 전문탐구형 문제해결형 지역사회 네트워크형 기타 16.1 32.2 16.1 33.3 2.3 <그림 Ⅲ-12> 향후 참여 희망 분야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34 ○ 향후 학습동아리 참여 의향에 대해 응답자 73명(83.9%)이 “그렇다” 혹은 “매우 그렇다”고 답하였음. 이는 학습동아리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그렇지 않다 2 2.3 보통이다 12 13.8 그렇다 37 42.5 매우 그렇다 36 41.4 합계 87 100.0 <표 Ⅲ-13> 향후 참여 의향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2.3 13.8 42.5 41.4 <그림 Ⅲ-11> 향후 참여 의향 (단위: %) Ⅲ 연 구 결 과 35 ○ 향후 희망하는 학습동아리 주제에 대해 응답자 중 29명(33.3%)이 지역사회 네 트워크형 분야를 선정했고, 그 다음으로 28명(32.2%)은 전문탐구형(전문영역별 공동토의와 탐구) 분야를 선정함. 이 외에 심화학습형과 문제해결형 분야에 대 한 관심도 일부 확인되었음. 구분 빈도 퍼센트 심화학습형(심층지식 및 기술습득) 14 16.1 전문탐구형(전문영역별 공동토의와 탐구) 28 32.2 문제해결형(문제해결 모색 및 실천) 14 16.1 지역사회 네트워크형 29 33.3 기타 2 2.3 합계 87 100.0 <표 Ⅲ-14> 향후 참여 희망 분야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심화학습형 전문탐구형 문제해결형 지역사회 네트워크형 기타 16.1 32.2 16.1 33.3 2.3 <그림 Ⅲ-12> 향후 참여 희망 분야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36 ○ 학습동아리에 참여하고 싶으나 실제로 참여를 어렵게 만드는 사항에 대해 응답 자 중 53명(60.9%)이 시간 부족을 이유로 선택했고, 그 외에 근무지(주거지)에 서 학습동아리 부재(10명, 11.5%), 자발적 학습에 대한 필요성 인식 부족(8명, 9.2%) 등의 의견이 도출되었음. 구분 빈도 퍼센트 자발적 학습에 대한 필요성 인식 부족 8 9.2%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서 53 60.9% 학습동아리에 대한 안내 및 정보가 부족해서 8 9.2% 지역 내 네트워크 형성이 안 되어 있어서 4 4.6% 근무지(거주지)에서 학습동아리 활동이 없어서 10 11.5% 기타 4 4.6% 합계 87 100.0 <표 Ⅲ-15> 참여 어려운 이유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자발적학습 인식 부족 시간적인 여유 학습동아리 정보부족 지역 내 네트워크 형성 없음 인근에 학습동아리 활동 부재 기타 9.2 60.9 9.2 4.6 11.5 4.6 <그림 Ⅲ-13> 참여 어려운 이유 (단위: %) Ⅲ 연 구 결 과 37 3 학습동아리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결과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분석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의 평균은 3.89점, 표준편차 .491로 나타났음. 학습동아리 성장요인은 인적자원, 물적자원, 내부조직체계로 구성되는데, 이 중 인적자원에 대한 평균점수가 4.2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음. 그 다음으로는 내부조직체계 3.89점, 물적자원 3.36점 순으로 나타났음. 즉, 동아리를 구성하고 지원하는 인력의 성장수준은 매우 높은 반면, 동아리의 물리적 재정은 다른 요인에 비해 원만하지 못함을 알 수 있음. 변수 평균 표준편차 인적자원 4.23 .546 물적자원 3.36 .659 내부조직체계 3.89 .557 전체 3.89 .491 <표 Ⅲ-16>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변수의 기술통계 0 1 2 3 4 5 인적자원 물적자원 내부조직체계 전체 4.23 3.36 3.89 3.89 <그림 Ⅲ-14>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변수의 기술통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36 ○ 학습동아리에 참여하고 싶으나 실제로 참여를 어렵게 만드는 사항에 대해 응답 자 중 53명(60.9%)이 시간 부족을 이유로 선택했고, 그 외에 근무지(주거지)에 서 학습동아리 부재(10명, 11.5%), 자발적 학습에 대한 필요성 인식 부족(8명, 9.2%) 등의 의견이 도출되었음. 구분 빈도 퍼센트 자발적 학습에 대한 필요성 인식 부족 8 9.2%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서 53 60.9% 학습동아리에 대한 안내 및 정보가 부족해서 8 9.2% 지역 내 네트워크 형성이 안 되어 있어서 4 4.6% 근무지(거주지)에서 학습동아리 활동이 없어서 10 11.5% 기타 4 4.6% 합계 87 100.0 <표 Ⅲ-15> 참여 어려운 이유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자발적학습 인식 부족 시간적인 여유 학습동아리 정보부족 지역 내 네트워크 형성 없음 인근에 학습동아리 활동 부재 기타 9.2 60.9 9.2 4.6 11.5 4.6 <그림 Ⅲ-13> 참여 어려운 이유 (단위: %) Ⅲ 연 구 결 과 37 3 학습동아리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결과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분석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의 평균은 3.89점, 표준편차 .491로 나타났음. 학습동아리 성장요인은 인적자원, 물적자원, 내부조직체계로 구성되는데, 이 중 인적자원에 대한 평균점수가 4.2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음. 그 다음으로는 내부조직체계 3.89점, 물적자원 3.36점 순으로 나타났음. 즉, 동아리를 구성하고 지원하는 인력의 성장수준은 매우 높은 반면, 동아리의 물리적 재정은 다른 요인에 비해 원만하지 못함을 알 수 있음. 변수 평균 표준편차 인적자원 4.23 .546 물적자원 3.36 .659 내부조직체계 3.89 .557 전체 3.89 .491 <표 Ⅲ-16>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변수의 기술통계 0 1 2 3 4 5 인적자원 물적자원 내부조직체계 전체 4.23 3.36 3.89 3.89 <그림 Ⅲ-14>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변수의 기술통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38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의 하위변수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인적자원요인 중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내부조직체계요인 중 운영체계, 모임체 계의 점수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물적자원의 운영교보재, 장소 및 시설, 내부조직체계 중 네트워킹은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음. 학습동아리 구성원과 관 련자들은 그들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으며, 모임 운영을 위한 체계 역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 반면, 학습동아리 운영을 위한 장소, 교보재 등의 확보가 쉽지 않고 학습동아리 간의 네트워킹 형성이 어려움을 알 수 있음. 변수 평균 표준편차 인적자원 리더 및 구성원 4.25 .583실무자 및 전문가 4.21 .608 물적자원 운영교보재 3.74 .891장소 및 시설 3.75 .835 내부조직체계 운영체계 3.99 .604 모임체계 4.33 .672 네트워킹 2.95 1.114 <표 Ⅲ-17>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하위변수의 기술통계 0 1 2 3 4 5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운영교보재 장소 및 시설 운영체계 모임체계 네트워킹 4.25 4.21 3.74 3.75 3.99 4.33 2.95 <그림 Ⅲ-15>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하위변수의 기술통계 Ⅲ 연 구 결 과 39 □ 학습동아리 활성도 분석 ○ 학습동아리 활성도를 분석한 결과, 활성도 평균은 4.06점, 표준편차 .508로 나 타났음. 학습동아리 활성도의 하위변수는 조직운영, 학습활동, 학습결과 활용, 개인적 성장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 조직운영과 학습활동은 각각 평균 4.13점과 4.10점을 나타나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음. 반면, 개인적 성장은 3.95점, 학습결 과 활용은 3.83점으로 다소 낮게 나타났음. 즉, 학습동아리를 형성하여 운영하 는 단계는 매우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한 학습결과의 활용 및 개인적 성장은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알 수 있음. 변수 평균 표준편차 조직운영 4.13 .549 학습활동 4.10 .621 학습결과 활용 3.83 .687 개인적 성장 3.95 .702 전체 4.06 .508 <표 Ⅲ-18> 활성도 하위요인의 기술통계 0 1 2 3 4 5 조직운영 학습활동 학습결과활용 개인적 성장 전체 4.13 4.1 3.83 3.95 4.06 <그림 Ⅲ-16> 활성도 하위요인의 기술통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38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의 하위변수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인적자원요인 중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내부조직체계요인 중 운영체계, 모임체 계의 점수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물적자원의 운영교보재, 장소 및 시설, 내부조직체계 중 네트워킹은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음. 학습동아리 구성원과 관 련자들은 그들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으며, 모임 운영을 위한 체계 역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 반면, 학습동아리 운영을 위한 장소, 교보재 등의 확보가 쉽지 않고 학습동아리 간의 네트워킹 형성이 어려움을 알 수 있음. 변수 평균 표준편차 인적자원 리더 및 구성원 4.25 .583실무자 및 전문가 4.21 .608 물적자원 운영교보재 3.74 .891장소 및 시설 3.75 .835 내부조직체계 운영체계 3.99 .604 모임체계 4.33 .672 네트워킹 2.95 1.114 <표 Ⅲ-17>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하위변수의 기술통계 0 1 2 3 4 5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운영교보재 장소 및 시설 운영체계 모임체계 네트워킹 4.25 4.21 3.74 3.75 3.99 4.33 2.95 <그림 Ⅲ-15>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하위변수의 기술통계 Ⅲ 연 구 결 과 39 □ 학습동아리 활성도 분석 ○ 학습동아리 활성도를 분석한 결과, 활성도 평균은 4.06점, 표준편차 .508로 나 타났음. 학습동아리 활성도의 하위변수는 조직운영, 학습활동, 학습결과 활용, 개인적 성장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 조직운영과 학습활동은 각각 평균 4.13점과 4.10점을 나타나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음. 반면, 개인적 성장은 3.95점, 학습결 과 활용은 3.83점으로 다소 낮게 나타났음. 즉, 학습동아리를 형성하여 운영하 는 단계는 매우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한 학습결과의 활용 및 개인적 성장은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알 수 있음. 변수 평균 표준편차 조직운영 4.13 .549 학습활동 4.10 .621 학습결과 활용 3.83 .687 개인적 성장 3.95 .702 전체 4.06 .508 <표 Ⅲ-18> 활성도 하위요인의 기술통계 0 1 2 3 4 5 조직운영 학습활동 학습결과활용 개인적 성장 전체 4.13 4.1 3.83 3.95 4.06 <그림 Ⅲ-16> 활성도 하위요인의 기술통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40 ○ 학습동아리 활성도에 대한 집단 간 평균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성별, 연령, 학 력, 근무경력, 학습동아리 이전경험, 직급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선택함. 분석 결과, 학력에 따른 학습활동의 평균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대학원 재 학 이상의 학력자가 대졸 이하의 학력자 보다 학습활동에 대한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음. 변수 학력 N 평균 표준편차 t값 학습활동 대졸 이하 68 3.98 0.622 .001**대학원 재학 이상 24 4.49 0.450 <표 Ⅲ-19> 학력에 따른 학습활동 평균점수 **p<.01 0 1 2 3 4 5 대졸 이하 대학원 재학 이상 3.98 4.49 <그림 Ⅲ-17> 학력에 따른 학습활동 평균점수 Ⅲ 연 구 결 과 41 4 학습동아리 성과평가 분석 결과 □ 만족도 평가 분석 ○ 학습동아리의 학습내용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40명(46.0%)이 만족, 37명 (42.5%)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통 및 불만족 의견은 매우 적게 나타났음. 따라서 이 영역에 대한 만족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불만족 2 2.3 보통 8 9.2 만족 40 46.0 매우 만족 37 42.5 합계 87 100.0 <표 Ⅲ-20> 학습내용 만족도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2.3 9.2 46 42.5 <그림 Ⅲ-18> 학습내용 만족도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40 ○ 학습동아리 활성도에 대한 집단 간 평균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성별, 연령, 학 력, 근무경력, 학습동아리 이전경험, 직급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선택함. 분석 결과, 학력에 따른 학습활동의 평균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대학원 재 학 이상의 학력자가 대졸 이하의 학력자 보다 학습활동에 대한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음. 변수 학력 N 평균 표준편차 t값 학습활동 대졸 이하 68 3.98 0.622 .001**대학원 재학 이상 24 4.49 0.450 <표 Ⅲ-19> 학력에 따른 학습활동 평균점수 **p<.01 0 1 2 3 4 5 대졸 이하 대학원 재학 이상 3.98 4.49 <그림 Ⅲ-17> 학력에 따른 학습활동 평균점수 Ⅲ 연 구 결 과 41 4 학습동아리 성과평가 분석 결과 □ 만족도 평가 분석 ○ 학습동아리의 학습내용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40명(46.0%)이 만족, 37명 (42.5%)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통 및 불만족 의견은 매우 적게 나타났음. 따라서 이 영역에 대한 만족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음. 구분 빈도 퍼센트 불만족 2 2.3 보통 8 9.2 만족 40 46.0 매우 만족 37 42.5 합계 87 100.0 <표 Ⅲ-20> 학습내용 만족도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2.3 9.2 46 42.5 <그림 Ⅲ-18> 학습내용 만족도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42 ○ 학습동아리의 학습방법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44명(50.6%)이 만족, 30명 (34.5%)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만족 의견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음. 구분 빈도 퍼센트 보통 13 14.9 만족 44 50.6 매우 만족 30 34.5 합계 87 100.0 <표 Ⅲ-21> 학습방법 만족도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보통 만족 매우 만족 14.9 50.6 34.5 <그림 Ⅲ-19> 학습방법 만족도 (단위: %) Ⅲ 연 구 결 과 43 ○ 학습동아리 학습시간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49명(56.3%)이 만족, 29명 (33.3%)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통 및 불만족 의견은 매우 적게 나타났음. 구분 빈도 퍼센트 불만족 1 1.1 보통 8 9.2 만족 49 56.3 매우 만족 29 33.3 합계 87 100.0 <표 Ⅲ-22> 학습시간 만족도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1.1 9.2 56.3 33.3 <그림 Ⅲ-20> 학습시간 만족도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42 ○ 학습동아리의 학습방법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44명(50.6%)이 만족, 30명 (34.5%)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만족 의견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음. 구분 빈도 퍼센트 보통 13 14.9 만족 44 50.6 매우 만족 30 34.5 합계 87 100.0 <표 Ⅲ-21> 학습방법 만족도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보통 만족 매우 만족 14.9 50.6 34.5 <그림 Ⅲ-19> 학습방법 만족도 (단위: %) Ⅲ 연 구 결 과 43 ○ 학습동아리 학습시간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49명(56.3%)이 만족, 29명 (33.3%)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통 및 불만족 의견은 매우 적게 나타났음. 구분 빈도 퍼센트 불만족 1 1.1 보통 8 9.2 만족 49 56.3 매우 만족 29 33.3 합계 87 100.0 <표 Ⅲ-22> 학습시간 만족도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1.1 9.2 56.3 33.3 <그림 Ⅲ-20> 학습시간 만족도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44 ○ 학습동아리 지원체계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38명(43.7%)이 만족, 32명 (36.8%)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통 및 불만족 의견은 매우 적게 나타났음. 구분 빈도 퍼센트 불만족 2 2.3 보통 15 17.2 만족 38 43.7 매우 만족 32 36.8 합계 87 100.0 <표 Ⅲ-23> 지원체계 만족도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2.3 17.2 43.7 36.8 <그림 Ⅲ-21> 지원체계 만족도 (단위: %) Ⅲ 연 구 결 과 45 ○ 학습동아리 성과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49명(56.3%)이 만족, 21명(24.1%)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구분 빈도 퍼센트 불만족 1 1.1 보통 16 18.4 만족 49 56.3 매우 만족 21 24.1 합계 87 100.0 <표 Ⅲ-24> 성과 만족도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1.1 18.4 56.3 24.1 <그림 Ⅲ-22> 성과 만족도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44 ○ 학습동아리 지원체계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38명(43.7%)이 만족, 32명 (36.8%)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통 및 불만족 의견은 매우 적게 나타났음. 구분 빈도 퍼센트 불만족 2 2.3 보통 15 17.2 만족 38 43.7 매우 만족 32 36.8 합계 87 100.0 <표 Ⅲ-23> 지원체계 만족도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2.3 17.2 43.7 36.8 <그림 Ⅲ-21> 지원체계 만족도 (단위: %) Ⅲ 연 구 결 과 45 ○ 학습동아리 성과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49명(56.3%)이 만족, 21명(24.1%)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구분 빈도 퍼센트 불만족 1 1.1 보통 16 18.4 만족 49 56.3 매우 만족 21 24.1 합계 87 100.0 <표 Ⅲ-24> 성과 만족도 (단위 : 명, %) 0 20 40 60 80 100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1.1 18.4 56.3 24.1 <그림 Ⅲ-22> 성과 만족도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46 ○ 각 만족도 점수의 평균을 비교하면 학습내용 점수가 가장 높고 상대적으로 성과 영역의 점수가 낮음. 그러나 총 만족도 점수의 평균이 4.17점으로 나타났듯이 점수가 4점 이상이므로 전반적으로 만족도 수준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음. 따 라서 본 학습동아리 사업은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구분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① 학습내용 87 2 5 4.28 .730 ② 학습방법 87 3 5 4.19 .681 ③ 학습시간 87 2 5 4.21 .656 ④ 지원체계 87 2 5 4.14 .789 ⑤ 성과 87 2 5 4.02 .690 총 만족도 (5점 환산) 87 2.80 5.00 4.17 .571 <표 Ⅲ-25> 총 만족도 (단위 : 명, %) ○ 이번 학습동아리를 통해 얻게 된 가장 큰 교육적 성과를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 자 중 40명(24.8%)이 “스스로 성장”을 선택했고, 또 다른 40명(24.8%)은 “동 일지역 인적 네트워크”를 선택했음. 그리고 38명(23.6%)은 “전문성 함양과 능 력개발”을 성과로 평가했고, 32명(19.9%)은 “업무능력에 도움”을 선택하는 등 다양한 성과들이 확인되었음. 구분 빈도 퍼센트 사회복지사로서 스스로 배우며 성장하는 자체가 좋다. 40 24.8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능력개발에 도움이 된다. 38 23.6 학습동아리 참여는 자아실현에 도움이 된다. 11 6.8 현실적으로 업무와 관련된 업무능력에 도움이 된다. 32 19.9 같은 지역 내 비슷한 업무를 하는 동료들을 만나고 사귈 수 있어 도움이 된다. 40 24.8 합계 161 100.0 <표 Ⅲ-26> 교육적 성과 내용 (복수응답) (단위 : 명, %) Ⅲ 연 구 결 과 47 0 20 40 60 80 100 스스로 배우며 성장 전문성 함양, 능력개발 자아실현 도움 업무능력 도움 동료들과 친목 24.8 23.6 6.8 19.9 24.8 <그림 Ⅲ-23> 교육적 성과 내용 □ 학습전이 분석 ○ 학습동아리의 활동의 학습전이 분석결과 평균이 3.95점으로 나타났음. 학습전이 수준을 측정하는 각 문항별 평균점수를 살펴보면, ‘사회복지사로서 스스로 배우 며 성장하는 자체가 좋다’,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능력개발에 도움이 된다’, ‘현실적으로 업무와 관련된 업무능력에 도움이 된다’ 문항은 모두 4.0이상의 평균점수를 보여 업무 및 전문성 측면에서는 학습전이가 수준이 높다 고 볼 수 있음. 다만, 개인의 자아실현과 유사업무를 수행하는 동료와의 네트워 킹에 있어서는 다소 낮은 점수를 나타냈음. 구분 평균 표준편차 학습전이 3.95 .725 세 부 문 항 사회복지사로서 스스로 배우며 성장하는 자체가 좋다. 4.01 .764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능력개발에 도움이 된다. 4.08 .805 학습동아리 참여는 자아실현에 도움이 된다. 3.60 .937 현실적으로 업무와 관련된 업무능력에 도움이 된다. 4.09 .761 같은 지역 내 비슷한 업무를 하는 동료들을 만나고 사귈 수 있어 도움이 된다. 3.93 .865 <표 Ⅲ-27> 학습전이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46 ○ 각 만족도 점수의 평균을 비교하면 학습내용 점수가 가장 높고 상대적으로 성과 영역의 점수가 낮음. 그러나 총 만족도 점수의 평균이 4.17점으로 나타났듯이 점수가 4점 이상이므로 전반적으로 만족도 수준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음. 따 라서 본 학습동아리 사업은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구분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① 학습내용 87 2 5 4.28 .730 ② 학습방법 87 3 5 4.19 .681 ③ 학습시간 87 2 5 4.21 .656 ④ 지원체계 87 2 5 4.14 .789 ⑤ 성과 87 2 5 4.02 .690 총 만족도 (5점 환산) 87 2.80 5.00 4.17 .571 <표 Ⅲ-25> 총 만족도 (단위 : 명, %) ○ 이번 학습동아리를 통해 얻게 된 가장 큰 교육적 성과를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 자 중 40명(24.8%)이 “스스로 성장”을 선택했고, 또 다른 40명(24.8%)은 “동 일지역 인적 네트워크”를 선택했음. 그리고 38명(23.6%)은 “전문성 함양과 능 력개발”을 성과로 평가했고, 32명(19.9%)은 “업무능력에 도움”을 선택하는 등 다양한 성과들이 확인되었음. 구분 빈도 퍼센트 사회복지사로서 스스로 배우며 성장하는 자체가 좋다. 40 24.8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능력개발에 도움이 된다. 38 23.6 학습동아리 참여는 자아실현에 도움이 된다. 11 6.8 현실적으로 업무와 관련된 업무능력에 도움이 된다. 32 19.9 같은 지역 내 비슷한 업무를 하는 동료들을 만나고 사귈 수 있어 도움이 된다. 40 24.8 합계 161 100.0 <표 Ⅲ-26> 교육적 성과 내용 (복수응답) (단위 : 명, %) Ⅲ 연 구 결 과 47 0 20 40 60 80 100 스스로 배우며 성장 전문성 함양, 능력개발 자아실현 도움 업무능력 도움 동료들과 친목 24.8 23.6 6.8 19.9 24.8 <그림 Ⅲ-23> 교육적 성과 내용 □ 학습전이 분석 ○ 학습동아리의 활동의 학습전이 분석결과 평균이 3.95점으로 나타났음. 학습전이 수준을 측정하는 각 문항별 평균점수를 살펴보면, ‘사회복지사로서 스스로 배우 며 성장하는 자체가 좋다’,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능력개발에 도움이 된다’, ‘현실적으로 업무와 관련된 업무능력에 도움이 된다’ 문항은 모두 4.0이상의 평균점수를 보여 업무 및 전문성 측면에서는 학습전이가 수준이 높다 고 볼 수 있음. 다만, 개인의 자아실현과 유사업무를 수행하는 동료와의 네트워 킹에 있어서는 다소 낮은 점수를 나타냈음. 구분 평균 표준편차 학습전이 3.95 .725 세 부 문 항 사회복지사로서 스스로 배우며 성장하는 자체가 좋다. 4.01 .764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능력개발에 도움이 된다. 4.08 .805 학습동아리 참여는 자아실현에 도움이 된다. 3.60 .937 현실적으로 업무와 관련된 업무능력에 도움이 된다. 4.09 .761 같은 지역 내 비슷한 업무를 하는 동료들을 만나고 사귈 수 있어 도움이 된다. 3.93 .865 <표 Ⅲ-27> 학습전이 (단위: %)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48 □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 학습동아리 활동의 대표적 성과인 만족도에 어떤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음. 만족도는 5개 영역의 만족도 항목(① 학습내용 ② 학습방법 ③ 학습시간 ④ 지원체계 ⑤ 성과)을 합한 총 만족도를 투입함. ○ 활성도의 하위변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기술통계 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들 간에 적절 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변수 평균 표준편차 만족도 4.18 0.57 조직운영 4.15 0.53 학습활동 4.11 0.63 학습결과활용 3.83 0.70 개인적 성장 3.96 0.71 <표 Ⅲ-28> 변수의 기술통계 변수 만족도 조직운영 학습활동 학습결과활용 개인적 성장 만족도 1.00 조직운영 0.55 1.00 학습활동 0.42 0.62 1.00 학습결과활용 0.59 0.57 0.64 1.00 개인적 성장 0.51 0.47 0.59 0.71 1.00 <표 Ⅲ-29> 변수의 상관관계 ○ 학습동아리 활성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4개 변수를 독립 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음(F=9.15, p=0.00). 모형의 설명력은 49%로 나타남. 각 변수별 Ⅲ 연 구 결 과 49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활동과 개인적 성장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조직운영과 학습결과활용이 유의수준(α=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조직화가 잘 될수록, 학습결과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록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볼 수 있음.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 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0.95 0.45   2.10 0.04     통 제 변 수 성별 0.18 0.10 0.15 1.81 0.07 0.96 1.04 연령 0.02 0.13 0.02 0.16 0.87 0.51 1.95 경력 (0.09) 0.13 0.08 0.73 0.46 0.58 1.73 직급 0.29 0.14 0.26 2.13 0.04 0.46 2.15 독 립 변 수 조직운영 0.32 0.12 0.30 2.75 0.01 0.56 1.78 학습활동 (0.13) 0.12 0.14 1.07 0.29 0.40 2.50 학습결과활용 0.35 0.11 0.42 3.11 0.00 0.36 2.75 개인적 성장 0.12 0.10 0.15 1.21 0.23 0.46 2.16 F 9.15 (p=0.00) R2 0.49 <표 Ⅲ-30> 회귀분석 결과 ○ 인적자원의 하위변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기술통 계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들 간에 적 절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변수 평균 표준편차 만족도 4.18 0.58 리더 및 구성원 4.28 0.57 실무자 및 전문가 4.21 0.62 <표 Ⅲ-31> 변수의 기술통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48 □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 학습동아리 활동의 대표적 성과인 만족도에 어떤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음. 만족도는 5개 영역의 만족도 항목(① 학습내용 ② 학습방법 ③ 학습시간 ④ 지원체계 ⑤ 성과)을 합한 총 만족도를 투입함. ○ 활성도의 하위변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기술통계 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들 간에 적절 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변수 평균 표준편차 만족도 4.18 0.57 조직운영 4.15 0.53 학습활동 4.11 0.63 학습결과활용 3.83 0.70 개인적 성장 3.96 0.71 <표 Ⅲ-28> 변수의 기술통계 변수 만족도 조직운영 학습활동 학습결과활용 개인적 성장 만족도 1.00 조직운영 0.55 1.00 학습활동 0.42 0.62 1.00 학습결과활용 0.59 0.57 0.64 1.00 개인적 성장 0.51 0.47 0.59 0.71 1.00 <표 Ⅲ-29> 변수의 상관관계 ○ 학습동아리 활성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4개 변수를 독립 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음(F=9.15, p=0.00). 모형의 설명력은 49%로 나타남. 각 변수별 Ⅲ 연 구 결 과 49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활동과 개인적 성장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조직운영과 학습결과활용이 유의수준(α=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조직화가 잘 될수록, 학습결과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록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볼 수 있음.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 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0.95 0.45   2.10 0.04     통 제 변 수 성별 0.18 0.10 0.15 1.81 0.07 0.96 1.04 연령 0.02 0.13 0.02 0.16 0.87 0.51 1.95 경력 (0.09) 0.13 0.08 0.73 0.46 0.58 1.73 직급 0.29 0.14 0.26 2.13 0.04 0.46 2.15 독 립 변 수 조직운영 0.32 0.12 0.30 2.75 0.01 0.56 1.78 학습활동 (0.13) 0.12 0.14 1.07 0.29 0.40 2.50 학습결과활용 0.35 0.11 0.42 3.11 0.00 0.36 2.75 개인적 성장 0.12 0.10 0.15 1.21 0.23 0.46 2.16 F 9.15 (p=0.00) R2 0.49 <표 Ⅲ-30> 회귀분석 결과 ○ 인적자원의 하위변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기술통 계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들 간에 적 절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변수 평균 표준편차 만족도 4.18 0.58 리더 및 구성원 4.28 0.57 실무자 및 전문가 4.21 0.62 <표 Ⅲ-31> 변수의 기술통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50 구분 만족도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만족도 1.00 리더 및 구성원 0.47 1.00 실무자 및 전문가 0.49 0.68 1.00 <표 Ⅲ-32> 변수의 상관관계 ○ 학습동아리 인적자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개 변수를 독 립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음(F=7.88, p=0.00). 모형의 설명력은 39%로 나타남. 각 변수 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리더 및 구성원과 실무자 및 전문가 변수 모두 유의수 준(α=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리더와 구성원이 각자의 역할에 충실하고, 학습동아리 담당 실무자가 이 사업을 체계적 으로 지원하는 동시에 전문가들이 전문지식과 기술을 전달할수록 구성원의 만 족도가 향상되는 것임.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0.98 0.53   1.85 0.07     통 제 변 수 성별 0.22 0.11 0.19 2.00 0.05 0.94 1.07 연령 0.02 0.14 0.02 0.17 0.86 0.57 1.74 경력 0.16 0.14 0.13 1.16 0.25 0.61 1.64 직급 0.40 0.15 0.35 2.66 0.01 0.47 2.13 독 립 변 수 리더 및 구성원 0.21 0.13 0.20 1.62 0.11 0.52 1.93 실무자 및 전문가 0.39 0.12 0.42 3.28 0.00 0.51 1.98 F 7.88 (p=0.00) R2 0.39 <표 Ⅲ-33> 회귀분석 결과 Ⅲ 연 구 결 과 51 ○ 물적자원의 하위변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기술통 계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들 간에 적 절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변수 평균 표준편차 만족도 4.18 0.57 운영교보재 3.75 0.87 장소 및 시설 3.77 0.84 <표 Ⅲ-34> 변수의 기술통계 변수 만족도 운영교보재 장소 및 시설 만족도 1.00 운영교보재 0.19 1.00 장소 및 시설 0.07 0.38 1.00 <표 Ⅲ-35> 변수의 상관관계 ○ 학습동아리 물적자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개 변수를 독 립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 지 않음(F=1.56, p=0.17). 모형의 설명력은 11%로 나타남. 모형이 유의하지 않 고 독립변수의 영향력도 없음. 운영교보재와 장소 및 시설은 만족도에 전혀 영 향력이 없음을 알 수 있음.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50 구분 만족도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만족도 1.00 리더 및 구성원 0.47 1.00 실무자 및 전문가 0.49 0.68 1.00 <표 Ⅲ-32> 변수의 상관관계 ○ 학습동아리 인적자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개 변수를 독 립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음(F=7.88, p=0.00). 모형의 설명력은 39%로 나타남. 각 변수 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리더 및 구성원과 실무자 및 전문가 변수 모두 유의수 준(α=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리더와 구성원이 각자의 역할에 충실하고, 학습동아리 담당 실무자가 이 사업을 체계적 으로 지원하는 동시에 전문가들이 전문지식과 기술을 전달할수록 구성원의 만 족도가 향상되는 것임.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0.98 0.53   1.85 0.07     통 제 변 수 성별 0.22 0.11 0.19 2.00 0.05 0.94 1.07 연령 0.02 0.14 0.02 0.17 0.86 0.57 1.74 경력 0.16 0.14 0.13 1.16 0.25 0.61 1.64 직급 0.40 0.15 0.35 2.66 0.01 0.47 2.13 독 립 변 수 리더 및 구성원 0.21 0.13 0.20 1.62 0.11 0.52 1.93 실무자 및 전문가 0.39 0.12 0.42 3.28 0.00 0.51 1.98 F 7.88 (p=0.00) R2 0.39 <표 Ⅲ-33> 회귀분석 결과 Ⅲ 연 구 결 과 51 ○ 물적자원의 하위변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기술통 계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들 간에 적 절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변수 평균 표준편차 만족도 4.18 0.57 운영교보재 3.75 0.87 장소 및 시설 3.77 0.84 <표 Ⅲ-34> 변수의 기술통계 변수 만족도 운영교보재 장소 및 시설 만족도 1.00 운영교보재 0.19 1.00 장소 및 시설 0.07 0.38 1.00 <표 Ⅲ-35> 변수의 상관관계 ○ 학습동아리 물적자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개 변수를 독 립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 지 않음(F=1.56, p=0.17). 모형의 설명력은 11%로 나타남. 모형이 유의하지 않 고 독립변수의 영향력도 없음. 운영교보재와 장소 및 시설은 만족도에 전혀 영 향력이 없음을 알 수 있음.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52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3.47 0.39   8.80 0.00     통 제 변 수 성별 0.17 0.13 0.14 1.29 0.20 0.96 1.04 연령 0.10 0.17 0.09 0.62 0.54 0.56 1.78 경력 0.27 0.16 0.24 1.70 0.09 0.60 1.66 직급 0.24 0.18 0.21 1.36 0.18 0.47 2.13 독 립 변 수 운영교보재 0.12 0.08 0.18 1.51 0.14 0.82 1.22 장소 및 시설 0.02 0.08 0.04 0.30 0.76 0.79 1.26 F 1.56 (p=0.17) R2 0.11 <표 Ⅲ-36> 회귀분석 결과 ○ 내부조직체계의 하위변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기 술통계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들 간 에 적절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변수 평균 표준편차 만족도 4.19 0.57 운영체계 4.00 0.61 모임체계 4.37 0.65 네트워킹 2.99 1.11 <표 Ⅲ-37> 변수의 기술통계 구분 만족도 운영체계 모임체계 네트워킹 만족도 1.00 운영체계 0.08 1.00 모임체계 0.17 0.66 1.00 네트워킹 0.23 0.21 0.19 1.00 <표 Ⅲ-38> 변수의 상관관계 Ⅲ 연 구 결 과 53 ○ 학습동아리 내부조직체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3개 변수를 독립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음(F=1.84, p=0.09). 모형이 유의하지 않으므로 각 독립변수의 영향력 을 분석할 여지가 없음.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3.22 0.51   6.29 0.00     통 제 변 수 성별 0.21 0.13 0.18 1.62 0.11 0.94 1.06 연령 0.08 0.17 0.07 0.45 0.65 0.52 1.91 경력 0.21 0.16 0.19 1.35 0.18 0.60 1.66 직급 0.27 0.18 0.24 1.51 0.13 0.46 2.16 독 립 변 수 운영체계 0.09 0.14 0.09 0.62 0.54 0.52 1.92 모임체계 0.11 0.13 0.12 0.83 0.41 0.51 1.96 네트워킹 0.11 0.06 0.21 1.85 0.07 0.93 1.08 F 1.84 (p=0.09) R2 0.15 <표 Ⅲ-39> 회귀분석 결과 □ 학습전이 결정요인 분석 ○ 학습동아리 활동의 대표적 성과인 학습전이에 어떤 변수들이 영향이 미치는지 를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음. ○ 활성도의 하위변수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기술통 계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들 간에 적 절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52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3.47 0.39   8.80 0.00     통 제 변 수 성별 0.17 0.13 0.14 1.29 0.20 0.96 1.04 연령 0.10 0.17 0.09 0.62 0.54 0.56 1.78 경력 0.27 0.16 0.24 1.70 0.09 0.60 1.66 직급 0.24 0.18 0.21 1.36 0.18 0.47 2.13 독 립 변 수 운영교보재 0.12 0.08 0.18 1.51 0.14 0.82 1.22 장소 및 시설 0.02 0.08 0.04 0.30 0.76 0.79 1.26 F 1.56 (p=0.17) R2 0.11 <표 Ⅲ-36> 회귀분석 결과 ○ 내부조직체계의 하위변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기 술통계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들 간 에 적절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변수 평균 표준편차 만족도 4.19 0.57 운영체계 4.00 0.61 모임체계 4.37 0.65 네트워킹 2.99 1.11 <표 Ⅲ-37> 변수의 기술통계 구분 만족도 운영체계 모임체계 네트워킹 만족도 1.00 운영체계 0.08 1.00 모임체계 0.17 0.66 1.00 네트워킹 0.23 0.21 0.19 1.00 <표 Ⅲ-38> 변수의 상관관계 Ⅲ 연 구 결 과 53 ○ 학습동아리 내부조직체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3개 변수를 독립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음(F=1.84, p=0.09). 모형이 유의하지 않으므로 각 독립변수의 영향력 을 분석할 여지가 없음.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3.22 0.51   6.29 0.00     통 제 변 수 성별 0.21 0.13 0.18 1.62 0.11 0.94 1.06 연령 0.08 0.17 0.07 0.45 0.65 0.52 1.91 경력 0.21 0.16 0.19 1.35 0.18 0.60 1.66 직급 0.27 0.18 0.24 1.51 0.13 0.46 2.16 독 립 변 수 운영체계 0.09 0.14 0.09 0.62 0.54 0.52 1.92 모임체계 0.11 0.13 0.12 0.83 0.41 0.51 1.96 네트워킹 0.11 0.06 0.21 1.85 0.07 0.93 1.08 F 1.84 (p=0.09) R2 0.15 <표 Ⅲ-39> 회귀분석 결과 □ 학습전이 결정요인 분석 ○ 학습동아리 활동의 대표적 성과인 학습전이에 어떤 변수들이 영향이 미치는지 를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음. ○ 활성도의 하위변수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기술통 계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들 간에 적 절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54 변수 평균 표준편차 학습전이 3.97 0.72 조직운영 4.16 0.53 학습활동 4.11 0.63 학습결과활용 3.84 0.70 개인적 성장 3.95 0.71 <표 Ⅲ-43> 변수의 기술통계 변수 학습전이 조직운영 학습활동 학습결과활용 개인적 성장 학습전이 1.00 조직운영 0.55 1.00 학습활동 0.62 0.63 1.00 학습결과활용 0.74 0.56 0.65 1.00 개인적 성장 0.68 0.48 0.59 0.72 1.00 <표 Ⅲ-44> 변수의 상관관계 ○ 학습동아리 활성도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4개 변수를 독 립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함 (F=17.33, p=0.00). 모형의 설명력은 65%로 나타남. 각 변수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직운영과 학습활동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학습결과활용과 개 인적 성장이 유의수준(α=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학습결과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개인이 성장경험을 할수록 학습 전이가 강화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Ⅲ 연 구 결 과 55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 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0.55 0.47   1.18 0.24     통 제 변 수 성별 0.18 0.10 0.12 1.75 0.08 0.96 1.04 연령 0.10 0.14 0.07 0.71 0.48 0.49 2.02 경력 0.23 0.13 0.16 1.79 0.08 0.60 1.67 직급 0.06 0.14 0.05 0.45 0.66 0.46 2.16 독 립 변 수 조직운영 0.18 0.12 0.13 1.46 0.15 0.55 1.80 학습활동 0.13 0.12 0.12 1.07 0.29 0.39 2.56 학습결과활용 0.38 0.12 0.37 3.24 0.00 0.36 2.79 개인적 성장 0.27 0.10 0.26 2.58 0.01 0.45 2.21 F 17.33 (p=0.00) R2 0.65 <표 Ⅲ-45> 회귀분석 결과 ○ 인적자원의 하위변수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기술 통계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들 간에 적절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변수 평균 표준편차 학습전이 3.95 0.74 리더 및 구성원 4.27 0.57 실무자 및 전문가 4.20 0.61 <표 Ⅲ-46> 변수의 기술통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54 변수 평균 표준편차 학습전이 3.97 0.72 조직운영 4.16 0.53 학습활동 4.11 0.63 학습결과활용 3.84 0.70 개인적 성장 3.95 0.71 <표 Ⅲ-43> 변수의 기술통계 변수 학습전이 조직운영 학습활동 학습결과활용 개인적 성장 학습전이 1.00 조직운영 0.55 1.00 학습활동 0.62 0.63 1.00 학습결과활용 0.74 0.56 0.65 1.00 개인적 성장 0.68 0.48 0.59 0.72 1.00 <표 Ⅲ-44> 변수의 상관관계 ○ 학습동아리 활성도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4개 변수를 독 립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함 (F=17.33, p=0.00). 모형의 설명력은 65%로 나타남. 각 변수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직운영과 학습활동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학습결과활용과 개 인적 성장이 유의수준(α=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학습결과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개인이 성장경험을 할수록 학습 전이가 강화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Ⅲ 연 구 결 과 55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 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0.55 0.47   1.18 0.24     통 제 변 수 성별 0.18 0.10 0.12 1.75 0.08 0.96 1.04 연령 0.10 0.14 0.07 0.71 0.48 0.49 2.02 경력 0.23 0.13 0.16 1.79 0.08 0.60 1.67 직급 0.06 0.14 0.05 0.45 0.66 0.46 2.16 독 립 변 수 조직운영 0.18 0.12 0.13 1.46 0.15 0.55 1.80 학습활동 0.13 0.12 0.12 1.07 0.29 0.39 2.56 학습결과활용 0.38 0.12 0.37 3.24 0.00 0.36 2.79 개인적 성장 0.27 0.10 0.26 2.58 0.01 0.45 2.21 F 17.33 (p=0.00) R2 0.65 <표 Ⅲ-45> 회귀분석 결과 ○ 인적자원의 하위변수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기술 통계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들 간에 적절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변수 평균 표준편차 학습전이 3.95 0.74 리더 및 구성원 4.27 0.57 실무자 및 전문가 4.20 0.61 <표 Ⅲ-46> 변수의 기술통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56 구분 학습전이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학습전이 1.00 리더 및 구성원 0.64 1.00 실무자 및 전문가 0.61 0.66 1.00 <표 Ⅲ-47> 변수의 상관관계 ○ 학습동아리 인적자원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개 변수를 독립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음(F=13.50, p=0.00). 모형의 설명력은 52%로 나타남. 각 변 수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리더 및 구성원과 실무자 및 전문가 변수가 유의수 준(α=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리더와 구성원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학습동아리 담당 실무자가 이 사업을 체계적으 로 지원하는 동시에 전문가가 전문지식과 기술을 전달할수록 구성원의 학습전 이가 강화되는 것임.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0.36 0.58   0.61 0.54     통 제 변 수 성별 0.20 0.12 0.13 1.58 0.12 0.94 1.06 연령 0.11 0.15 0.07 0.69 0.49 0.59 1.71 경력 0.26 0.15 0.18 1.76 0.08 0.64 1.57 직급 0.15 0.17 0.10 0.89 0.37 0.48 2.10 독 립 변 수 리더 및 구성원 0.56 0.14 0.43 3.98 0.00 0.54 1.84 실무자 및 전문가 0.37 0.13 0.31 2.78 0.01 0.53 1.90 F 13.50 (p=0.00) R2 0.52 <표 Ⅲ-48> 회귀분석 결과 Ⅲ 연 구 결 과 57 ○ 물적자원의 하위변수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기술통계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 들 간에 적절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변수 평균 표준편차 학습전이 3.95 0.73 운영교보재 3.73 0.89 장소 및 시설 3.76 0.84 <표 Ⅲ-49> 변수의 기술통계 변수 학습전이 운영교보재 장소 및 시설 학습전이 1.00 운영교보재 0.33 1.00 장소 및 시설 0.16 0.40 1.00 <표 Ⅲ-50> 변수의 상관관계 ○ 학습동아리 물적자원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개 변수 를 독립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 로 유의함(F=3.67, p=0.00). 모형의 설명력은 22%로 나타남. 운영교보재만이 학습전이에 유의수준(α=0.05)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학습전이에 양질의 운영교보재 제공이 긍정적 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알 수 있음.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56 구분 학습전이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학습전이 1.00 리더 및 구성원 0.64 1.00 실무자 및 전문가 0.61 0.66 1.00 <표 Ⅲ-47> 변수의 상관관계 ○ 학습동아리 인적자원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개 변수를 독립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음(F=13.50, p=0.00). 모형의 설명력은 52%로 나타남. 각 변 수별 효과를 분석한 결과, 리더 및 구성원과 실무자 및 전문가 변수가 유의수 준(α=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리더와 구성원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학습동아리 담당 실무자가 이 사업을 체계적으 로 지원하는 동시에 전문가가 전문지식과 기술을 전달할수록 구성원의 학습전 이가 강화되는 것임.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0.36 0.58   0.61 0.54     통 제 변 수 성별 0.20 0.12 0.13 1.58 0.12 0.94 1.06 연령 0.11 0.15 0.07 0.69 0.49 0.59 1.71 경력 0.26 0.15 0.18 1.76 0.08 0.64 1.57 직급 0.15 0.17 0.10 0.89 0.37 0.48 2.10 독 립 변 수 리더 및 구성원 0.56 0.14 0.43 3.98 0.00 0.54 1.84 실무자 및 전문가 0.37 0.13 0.31 2.78 0.01 0.53 1.90 F 13.50 (p=0.00) R2 0.52 <표 Ⅲ-48> 회귀분석 결과 Ⅲ 연 구 결 과 57 ○ 물적자원의 하위변수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의 기술통계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 들 간에 적절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변수 평균 표준편차 학습전이 3.95 0.73 운영교보재 3.73 0.89 장소 및 시설 3.76 0.84 <표 Ⅲ-49> 변수의 기술통계 변수 학습전이 운영교보재 장소 및 시설 학습전이 1.00 운영교보재 0.33 1.00 장소 및 시설 0.16 0.40 1.00 <표 Ⅲ-50> 변수의 상관관계 ○ 학습동아리 물적자원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개 변수 를 독립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 로 유의함(F=3.67, p=0.00). 모형의 설명력은 22%로 나타남. 운영교보재만이 학습전이에 유의수준(α=0.05)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학습전이에 양질의 운영교보재 제공이 긍정적 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알 수 있음.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58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3.53 0.46   7.60 0.00     통 제 변 수 성별 0.28 0.15 0.18 1.80 0.08 0.96 1.04 연령 0.16 0.19 0.11 0.84 0.40 0.57 1.75 경력 0.44 0.19 0.30 2.33 0.02 0.63 1.59 직급 0.02 0.21 0.01 0.10 0.92 0.47 2.11 독립변수 운영교보재 0.29 0.09 0.36 3.23 0.00 0.81 1.24 장소 및 시설 0.06 0.10 0.07 0.65 0.52 0.77 1.30 F 3.67 (p=0.00) R2 0.22 <표 Ⅲ-51> 회귀분석 결과 ○ 내부조직체계의 하위변수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 수의 기술통계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들 간에 적절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변수 평균 표준편차 학습전이 3.96 0.74 운영체계 3.98 0.60 모임체계 4.33 0.69 네트워킹 2.99 1.10 <표 Ⅲ-52> 변수의 기술통계 구분 학습전이 운영체계 모임체계 네트워킹 학습전이 1.00 운영체계 0.33 1.00 모임체계 0.48 0.64 1.00 네트워킹 0.34 0.22 0.23 1.00 <표 Ⅲ-53> 변수의 상관관계 Ⅲ 연 구 결 과 59 ○ 학습동아리 내부조직체계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3개 변수 를 독립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 의한 것으로 나타났음(F=6.39, p=0.00). 모형의 설명력은 38%로 나타남. 독 립변수 중에서 모임체계와 네트워킹이 유의수준(α=0.05)에서 통계적으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모임이 체계성을 갖추고 학습동아리가 다른 동아리들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할수록 학습전이 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확 인할 수 있음.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 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2.18 0.55   3.96 0.00     통 제 변 수 성별 0.29 0.14 0.19 2.03 0.05 0.94 1.06 연령 0.02 0.18 0.01 0.09 0.93 0.56 1.80 경력 0.34 0.17 0.23 1.97 0.05 0.63 1.58 직급 0.02 0.20 0.01 0.11 0.92 0.47 2.14 독 립 변 수 운영체계 0.04 0.15 0.03 0.28 0.78 0.54 1.85 모임체계 0.49 0.13 0.46 3.63 0.00 0.54 1.87 네트워킹 0.15 0.06 0.22 2.30 0.02 0.92 1.09 F 6.39 (p=0.00) R2 0.38 <표 Ⅲ-54> 회귀분석 결과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58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3.53 0.46   7.60 0.00     통 제 변 수 성별 0.28 0.15 0.18 1.80 0.08 0.96 1.04 연령 0.16 0.19 0.11 0.84 0.40 0.57 1.75 경력 0.44 0.19 0.30 2.33 0.02 0.63 1.59 직급 0.02 0.21 0.01 0.10 0.92 0.47 2.11 독립변수 운영교보재 0.29 0.09 0.36 3.23 0.00 0.81 1.24 장소 및 시설 0.06 0.10 0.07 0.65 0.52 0.77 1.30 F 3.67 (p=0.00) R2 0.22 <표 Ⅲ-51> 회귀분석 결과 ○ 내부조직체계의 하위변수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 수의 기술통계값을 산출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음.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변수들 간에 적절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변수 평균 표준편차 학습전이 3.96 0.74 운영체계 3.98 0.60 모임체계 4.33 0.69 네트워킹 2.99 1.10 <표 Ⅲ-52> 변수의 기술통계 구분 학습전이 운영체계 모임체계 네트워킹 학습전이 1.00 운영체계 0.33 1.00 모임체계 0.48 0.64 1.00 네트워킹 0.34 0.22 0.23 1.00 <표 Ⅲ-53> 변수의 상관관계 Ⅲ 연 구 결 과 59 ○ 학습동아리 내부조직체계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3개 변수 를 독립변수로 투입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우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 의한 것으로 나타났음(F=6.39, p=0.00). 모형의 설명력은 38%로 나타남. 독 립변수 중에서 모임체계와 네트워킹이 유의수준(α=0.05)에서 통계적으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모임이 체계성을 갖추고 학습동아리가 다른 동아리들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할수록 학습전이 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확 인할 수 있음. 구분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공선성 B 표준오차 베타 공차 VIF 상수 2.18 0.55   3.96 0.00     통 제 변 수 성별 0.29 0.14 0.19 2.03 0.05 0.94 1.06 연령 0.02 0.18 0.01 0.09 0.93 0.56 1.80 경력 0.34 0.17 0.23 1.97 0.05 0.63 1.58 직급 0.02 0.20 0.01 0.11 0.92 0.47 2.14 독 립 변 수 운영체계 0.04 0.15 0.03 0.28 0.78 0.54 1.85 모임체계 0.49 0.13 0.46 3.63 0.00 0.54 1.87 네트워킹 0.15 0.06 0.22 2.30 0.02 0.92 1.09 F 6.39 (p=0.00) R2 0.38 <표 Ⅲ-54> 회귀분석 결과

Ⅳ 결 론 61 ○ 21세기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조직의 환경변화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고, 그 변화속도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것임. 이로 인해 조직의 지속적 발전을 추구 하기 위해 새로운 무한자원인 ‘지식’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됨(강황선, 2000). 따라서 조직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지식을 어떻게 창출, 공유, 활용하여 조직성과 를 극대화할 것인가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 ○ 사회복지조직도 복잡한 환경, 끊임없는 변화의 물결에 능동적 대처하고 복지전 문성 제고를 위해서는 이러한 변화의 방향을 제대로 파악하고 적절히 대응해야 함. 이를 위해서는 조직구성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학습활동이 중요하다는 인 식을 해야 함. ○ 이에 재단에서는 2011년과 2016년에 사회복지종사자의 학습활동지원을 하였으 나 운영에만 치중, 학습동아리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한계가 있음. 또한 사회복지종사자를 대상으로 학습동아리 활동으로 인한 업무성과를 다룬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므로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가 절실 히 필요함. ○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종사자들의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 학습동아리 효과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 을 둠. ⨠⨠Ⅳ 결론

Ⅳ 결 론 61 ○ 21세기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조직의 환경변화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고, 그 변화속도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것임. 이로 인해 조직의 지속적 발전을 추구 하기 위해 새로운 무한자원인 ‘지식’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됨(강황선, 2000). 따라서 조직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지식을 어떻게 창출, 공유, 활용하여 조직성과 를 극대화할 것인가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 ○ 사회복지조직도 복잡한 환경, 끊임없는 변화의 물결에 능동적 대처하고 복지전 문성 제고를 위해서는 이러한 변화의 방향을 제대로 파악하고 적절히 대응해야 함. 이를 위해서는 조직구성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학습활동이 중요하다는 인 식을 해야 함. ○ 이에 재단에서는 2011년과 2016년에 사회복지종사자의 학습활동지원을 하였으 나 운영에만 치중, 학습동아리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한계가 있음. 또한 사회복지종사자를 대상으로 학습동아리 활동으로 인한 업무성과를 다룬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므로 학습동아리에 대한 연구가 절실 히 필요함. ○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종사자들의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 학습동아리 효과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 을 둠. ⨠⨠Ⅳ 결론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62 1 요약 □ 요구 분석결과 ○ 학습동아리 모임주기는 월 1회를 가장 선호하였고 참여시간은 2~3시간이 적당하 며, 하루 중 근무시간 중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남. 또한 학습동아리 참여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기준은 학습내용(74.7%)이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되었 고,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 참가 후 실무자의 권유(37.9%), 지역에 있는 기관 및 단체(32.2%), 동료의 소개(28.7%) 등 다양한 방법이 지지를 얻는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학습동아리 운영방법은 소집단의 토의방법(46.4%), 실습과 시연(17.2%) 순으로 적절하다는 평가를 했음. 이로 보아 소집단을 통한 집단적 문제해결 및 실습 등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방법에 관심이 높음. ○ 학습동아리 운영의 저해요인에 대해 참가자들의 소극적인 참여(31.9%), 학습내 용의 빈약(18.8%), 수퍼바이저의 부재(17.5%)를 이유로 들었음. 참가자들의 학 습동기 부여로 참여도를 높일 방안 필요. 한편, 학습동아리 참여 목적에 대해 능력개발 및 전문성 함양(46.0%), 교육적 소양과 견문 확장(26.4%), 친목도모 (16.1%) 등으로 나타남. ○ 학습동아리에 대한 활동지원이 처우개선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질문에 80.5%가 ‘예’라고 응답하여, 대다수 구성원들이 학습동아리 활동지원을 종사자 처우개선 의 한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그리고 ‘예’라고 답한 응답자은 모 두 처우개선의 방법으로서 학습동아리 형태의 자기개발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음. ○ 향후 학습동아리 참여 의향에 대해 83.9%가 ‘그렇다’ 혹은 ‘매우 그렇다’ 고 답하여, 학습동아리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그리고 향후 희망하는 학습동아리 주제에 대해 지역사회 네트워크형(33.3%), 전문탐구형(전문영역별 공동토의와 탐구), 심화학습형(심층지식 및 기술습득) Ⅳ 결 론 63 순으로 나타남. 마지막으로 학습동아리에 참여하고 싶으나 실제로 참여하기 어 렵게 만드는 사항에 대해 시간부족(60.0%)을 이유로 선택했고, 그 외에 근무지 (거주지)에서 학습동아리 부재(11.5%), 자발적 학습에 대한 필요성 인식 부족 (9.2%) 순으로 나타남.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결과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을 구성하는 요소의 각 수준은 인적자원(4.23점), 내부조 직체계(3.89점), 물적자원(3.36점) 순으로 나타남. 특히, 인적자원요인 중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내부조직체계요인 중 운영체계, 모임체계의 점수 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물적자원의 운영교보재, 장소 및 시설, 내부조직체 계 중 네트워킹은 평균보다 낮게 나타남. ○ 학습동아리 활성도 수준은 조직운영(4.13점), 학습활동(4.10점), 개인적 성장 (3.95점), 학습결과 활용(3.83점) 순으로 나타남. 학습동아리 활성도에 대한 집 단 간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에 따른 학습활동의 평균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자가 대졸 이하의 학력자 보다 학습활동 에 대한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함. □ 성과평가 분석결과 ○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총 만족도는 4.17점(5점 만점)으로 전반적으로 만족도 수준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음. 따라서 본 학습동아리 사업은 매우 성공적이라 고 평가할 수 있음. - 학습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46.0%가 만족, 42.5%가 매우 만족하였고, 보통(9.2%) 및 불만족(2.3%)은 매우 적게 나타나 이 영역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음. - 학습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이 56.5%, 매우 만족이 34.5%로 나타났고 불만족 의견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학습시간에 대한 만족도는 56.3%가 만족, 33.3%가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남. - 지원체계에 대한 만족도는 43.7%가 만족, 36.8%가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 고 보통 및 불만족은 매우 적게 나타남.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62 1 요약 □ 요구 분석결과 ○ 학습동아리 모임주기는 월 1회를 가장 선호하였고 참여시간은 2~3시간이 적당하 며, 하루 중 근무시간 중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남. 또한 학습동아리 참여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기준은 학습내용(74.7%)이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되었 고,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 참가 후 실무자의 권유(37.9%), 지역에 있는 기관 및 단체(32.2%), 동료의 소개(28.7%) 등 다양한 방법이 지지를 얻는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학습동아리 운영방법은 소집단의 토의방법(46.4%), 실습과 시연(17.2%) 순으로 적절하다는 평가를 했음. 이로 보아 소집단을 통한 집단적 문제해결 및 실습 등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방법에 관심이 높음. ○ 학습동아리 운영의 저해요인에 대해 참가자들의 소극적인 참여(31.9%), 학습내 용의 빈약(18.8%), 수퍼바이저의 부재(17.5%)를 이유로 들었음. 참가자들의 학 습동기 부여로 참여도를 높일 방안 필요. 한편, 학습동아리 참여 목적에 대해 능력개발 및 전문성 함양(46.0%), 교육적 소양과 견문 확장(26.4%), 친목도모 (16.1%) 등으로 나타남. ○ 학습동아리에 대한 활동지원이 처우개선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질문에 80.5%가 ‘예’라고 응답하여, 대다수 구성원들이 학습동아리 활동지원을 종사자 처우개선 의 한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그리고 ‘예’라고 답한 응답자은 모 두 처우개선의 방법으로서 학습동아리 형태의 자기개발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음. ○ 향후 학습동아리 참여 의향에 대해 83.9%가 ‘그렇다’ 혹은 ‘매우 그렇다’ 고 답하여, 학습동아리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그리고 향후 희망하는 학습동아리 주제에 대해 지역사회 네트워크형(33.3%), 전문탐구형(전문영역별 공동토의와 탐구), 심화학습형(심층지식 및 기술습득) Ⅳ 결 론 63 순으로 나타남. 마지막으로 학습동아리에 참여하고 싶으나 실제로 참여하기 어 렵게 만드는 사항에 대해 시간부족(60.0%)을 이유로 선택했고, 그 외에 근무지 (거주지)에서 학습동아리 부재(11.5%), 자발적 학습에 대한 필요성 인식 부족 (9.2%) 순으로 나타남.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결과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을 구성하는 요소의 각 수준은 인적자원(4.23점), 내부조 직체계(3.89점), 물적자원(3.36점) 순으로 나타남. 특히, 인적자원요인 중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내부조직체계요인 중 운영체계, 모임체계의 점수 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물적자원의 운영교보재, 장소 및 시설, 내부조직체 계 중 네트워킹은 평균보다 낮게 나타남. ○ 학습동아리 활성도 수준은 조직운영(4.13점), 학습활동(4.10점), 개인적 성장 (3.95점), 학습결과 활용(3.83점) 순으로 나타남. 학습동아리 활성도에 대한 집 단 간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에 따른 학습활동의 평균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자가 대졸 이하의 학력자 보다 학습활동 에 대한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함. □ 성과평가 분석결과 ○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총 만족도는 4.17점(5점 만점)으로 전반적으로 만족도 수준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음. 따라서 본 학습동아리 사업은 매우 성공적이라 고 평가할 수 있음. - 학습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46.0%가 만족, 42.5%가 매우 만족하였고, 보통(9.2%) 및 불만족(2.3%)은 매우 적게 나타나 이 영역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음. - 학습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이 56.5%, 매우 만족이 34.5%로 나타났고 불만족 의견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학습시간에 대한 만족도는 56.3%가 만족, 33.3%가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남. - 지원체계에 대한 만족도는 43.7%가 만족, 36.8%가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 고 보통 및 불만족은 매우 적게 나타남.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64 - 성과에 대한 만족도는 56.3%가 만족, 24.1%가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학습동아리를 통해 얻게 된 가장 큰 교육적 성과에 대해서는 스스로 성장 (24.8%), 동일지역 인적 네트워크(24.8%), 전문성 함양과 능력개발(23.6%), 업무능력에 도움(19.9%) 등 다양한 성과들이 확인되었음. ○ 학습동아리활동의 학습전이 분석결과 평균이 3.95점으로 나타났고, 세부 문항의 평균점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업무 및 전문성 측면에서는 학습전이가 수준이 높 게 나타났으나, 개인의 자아실현과 유사업무를 수행하는 동료와의 네트워킹에 있어서는 다소 낮은 점수를 나타냄. ○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학습동아리 활성도 중에서는 조직운영과 학습결과 활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 따라서 조직화가 잘 될수록, 학습결과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할수록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중에서 인적자원은 하위변수 중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따라서 리더와 구성원이 각자의 역할에 충실하게 참여할수록, 학습동아리 담당 실무자의 체계적 인 지원과 전문가들이 전문지식과 기술을 전달할수록 학습전이 효과가 증진된다고 해석할 수 있음. ○ 학습전이 영향요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학습동아리 활성도 중에서는 학습결과 활용과 개인적 성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 따라서 학습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할수록, 그리고 학습동아리 경험이 개인의 성장에 도움이 될수록 학습전이를 촉진하는 것으로 해 석할 수 있음.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중에서 첫째, 인적자원은 하위변수 중 리더 및 구성원, 실무 자 및 전문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따라서 리더와 구성원이 각자의 역할에 충실하게 참여할수록, 학습동아리 담당 실무자의 Ⅳ 결 론 65 체계적인 지원과 전문가들이 전문지식과 기술을 전달할수록 학습전이 효과가 증진 된다고 해석할 수 있음. 둘째, 물적 자원은 하위변수 중에서는 운영교보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나, 운영교보재의 내용이 충실하게 마련되어야 학습전이가 강화 됨을 알 수 있음 셋째, 내부조직체계는 하위변인 중 모임체계와 네트워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 향을 미치며, 운영체계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로 볼 때, 학습동아리 회원 수가 적절하고 정기적인 모임과 연락망 구축, 다른 학습동아 리와 네트워크 구축이 학습전이의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음. 2 제언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사회복지종사자들의 학습동아리 활동을 활성화하고 긍정적 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몇 가지 운영방안을 제언하고자 함. ○ 먼저,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음. - 최근까지 경기도 내 사회복지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학습동아리 활동의 실태를 조사 하고, 체계적으로 학습동아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임. 본 연구는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활성화 및 동아리 구성원들의 요구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주었다 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음. - 또한, 본 연구는 학습동아리 성장요인에 대해 실무자의 주관적 관점보다는 객관적 인 도구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으로 그 요인을 규명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음. 이 로써 추후 사회복지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학습동아리가 지속가능한 지원을 위해 역점을 두어야 할 점을 밝혔음.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64 - 성과에 대한 만족도는 56.3%가 만족, 24.1%가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학습동아리를 통해 얻게 된 가장 큰 교육적 성과에 대해서는 스스로 성장 (24.8%), 동일지역 인적 네트워크(24.8%), 전문성 함양과 능력개발(23.6%), 업무능력에 도움(19.9%) 등 다양한 성과들이 확인되었음. ○ 학습동아리활동의 학습전이 분석결과 평균이 3.95점으로 나타났고, 세부 문항의 평균점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업무 및 전문성 측면에서는 학습전이가 수준이 높 게 나타났으나, 개인의 자아실현과 유사업무를 수행하는 동료와의 네트워킹에 있어서는 다소 낮은 점수를 나타냄. ○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학습동아리 활성도 중에서는 조직운영과 학습결과 활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 따라서 조직화가 잘 될수록, 학습결과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할수록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중에서 인적자원은 하위변수 중 리더 및 구성원, 실무자 및 전문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따라서 리더와 구성원이 각자의 역할에 충실하게 참여할수록, 학습동아리 담당 실무자의 체계적 인 지원과 전문가들이 전문지식과 기술을 전달할수록 학습전이 효과가 증진된다고 해석할 수 있음. ○ 학습전이 영향요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학습동아리 활성도 중에서는 학습결과 활용과 개인적 성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 따라서 학습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할수록, 그리고 학습동아리 경험이 개인의 성장에 도움이 될수록 학습전이를 촉진하는 것으로 해 석할 수 있음. - 학습동아리 성장요인 중에서 첫째, 인적자원은 하위변수 중 리더 및 구성원, 실무 자 및 전문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따라서 리더와 구성원이 각자의 역할에 충실하게 참여할수록, 학습동아리 담당 실무자의 Ⅳ 결 론 65 체계적인 지원과 전문가들이 전문지식과 기술을 전달할수록 학습전이 효과가 증진 된다고 해석할 수 있음. 둘째, 물적 자원은 하위변수 중에서는 운영교보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나, 운영교보재의 내용이 충실하게 마련되어야 학습전이가 강화 됨을 알 수 있음 셋째, 내부조직체계는 하위변인 중 모임체계와 네트워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 향을 미치며, 운영체계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로 볼 때, 학습동아리 회원 수가 적절하고 정기적인 모임과 연락망 구축, 다른 학습동아 리와 네트워크 구축이 학습전이의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음. 2 제언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사회복지종사자들의 학습동아리 활동을 활성화하고 긍정적 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몇 가지 운영방안을 제언하고자 함. ○ 먼저,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음. - 최근까지 경기도 내 사회복지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학습동아리 활동의 실태를 조사 하고, 체계적으로 학습동아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임. 본 연구는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활성화 및 동아리 구성원들의 요구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주었다 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음. - 또한, 본 연구는 학습동아리 성장요인에 대해 실무자의 주관적 관점보다는 객관적 인 도구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으로 그 요인을 규명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음. 이 로써 추후 사회복지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학습동아리가 지속가능한 지원을 위해 역점을 두어야 할 점을 밝혔음.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66 다음으로 정책적 제언은 아래와 같음. ○ 학습동아리 지원방안의 다양화 · 차별화하여야 함.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학습동아리 활동 운영의 저해요인으로는 참여자들의 소극적인 참여, 학습내용 의 빈약, 수퍼바이저의 부재로 나타나,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하고 차별화된 지원방안이 필요함. - 첫째, 신생 동아리의 안정적인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함. 금년 경기복지재단에서 진 행된 만학도우 학습동아리 사업의 참여자 현황을 살펴보면, 학습동아리 경험이 없 는 참여자가 75%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들이 학습동아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기존의 학습동아리 활동경험이 전무하거나 신입직원으로 구성된 동아리에게는 학습동아리 운영에 대한 조언 및 자문, 장소제공 등의 지원체계를 마 련하여 학습동아리 활동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함. - 둘째, 학습동아리 분야별로 수퍼바이저를 지원할 필요가 있음. 재단의 만학도우 학 습동아리 사업에 지속적으로 대상이 되는 분야를 선정하여 각 분야별로 수퍼바이 저 풀을 구축함. 수퍼바이저 지원을 희망하는 학습동아리와 연계하여, 학습동아리 학습내용의 전문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함. - 셋째, 학습동아리별 지원금 차등 지원임. 학습동아리 구성 회원 수와 활동횟수에 관계없이 일괄 지원하던 지원금을 회원 수와 활동계획 횟수에 따라 차등 지원하도 록 하여 예산의 적절한 분배를 이루도록 함. 이를 통해 학습동아리의 물적자원에 대한 요구를 합리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 - 넷째, 학습동아리의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 학습동아리 운영 가이드를 제공함. 학습 동아리 운영 가이드에는 본 연구결과에서 학습동아리 활동의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학습동아리 운영체계, 학습결과 활용방안, 학습동아리 운 영을 위한 각종 자원의 중요성 등을 제시하여, 학습동아리 구성원들이 동아리 운영 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 또한 학습동아리 운영 가이드를 통해 학습동아리 관 리 방안을 문서화하고 이를 근거로 학습동아리에 대한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Ⅳ 결 론 67 ○ 학습동아리 간 네트워킹 지원으로 학습문화를 확산하여야 함. 학습동아리 성장 요인 분석 결과, 물적자원 다음으로 내부조직체계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음. - 학습경험의 공유 및 경험에 대한 피드백 기회 제공은 동아리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자극이 될 수 있음(김한별 외, 2012). 따라서 동아리 상호간 정기적 교류를 통한 학습결과의 공유는 구성원의 학습동기와 동아리 참여를 촉진하고, 뿐만 아니라 학 습동아리 간 네트워킹을 통해 학습문화를 확산하고 발전시키는 동력이 될 수 있음. - 특히, 유사한 주제를 다루는 동아리들 간에는 서로의 학습내용과 우수사례 등을 공 유하여 학습동아리를 통한 학습활동의 질 향상을 유도하고, 신생동아리에게는 안 정적인 동아리 운영방법에 대한 노하우를 전수하여 학습에 대한 몰입의 동기부여 를 제공함. - 뿐만 아니라, 사전 워크숍을 통해 동아리 운영 예산의 사용방법에 대한 안내를 하고, 활동의 중간시기에 중간보고회 형식의 장을 마련하여 활동내용을 공유하고 동아리활 동의 애로점을 점검 및 개선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동아리의 질적 성장을 도모함. ○ 학습동아리 활동에 따른 만족도와 학습전이 증진을 위해 학습동아리 지원체계 를 구축해야 함. - 첫째, 학습동아리 활동 전에 교육내용, 교육방법 구성, 교보재 준비, 전문가 연계 등 학습활동 준비의 충실도와 활동 후 피드백을 통한 보완 등 체계적 운영이 이루 어지도록 지원하여야 함. 이 과정에서 동아리 구성원들의 소속감과 연대감, 친밀 감, 활동 지속성 등을 유인하기 위해 특히 학습동아리 리더의 역할과 리더십을 강 화할 필요가 있음. - 둘째, 학습동아리 지원에 정확한 업무추진 방식을 구축해야 함. 이를 위해 학습동 아리사업 담당자는 전문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전문성과 안목을 갖추고 있어야 함. 그리고 학습동아리 활동 전 준비도 파악, 활동 중 집단의 역동 모니터링, 활동 후 피드백 등 업무추진 로드맵을 마련하고 학습동아리와 공유하여야 함. - 셋째, 학습동아리 성과의 영향요인은 학습결과의 활용과 자기성장에 도움여부로 밝혀짐. 따라서 학습결과는 조직 내 업무뿐 아니라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활용하도 록 적극 장려하고, 발표회나 워크숍 또는 세미나 등으로 학습동아리 간 학습과정 및 학습결과에 대한 발표와 공유기회를 주기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음. 이러한 과 정을 통해 동아리 참여 동기를 자극하고, 과업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함.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66 다음으로 정책적 제언은 아래와 같음. ○ 학습동아리 지원방안의 다양화 · 차별화하여야 함.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학습동아리 활동 운영의 저해요인으로는 참여자들의 소극적인 참여, 학습내용 의 빈약, 수퍼바이저의 부재로 나타나,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하고 차별화된 지원방안이 필요함. - 첫째, 신생 동아리의 안정적인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함. 금년 경기복지재단에서 진 행된 만학도우 학습동아리 사업의 참여자 현황을 살펴보면, 학습동아리 경험이 없 는 참여자가 75%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들이 학습동아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기존의 학습동아리 활동경험이 전무하거나 신입직원으로 구성된 동아리에게는 학습동아리 운영에 대한 조언 및 자문, 장소제공 등의 지원체계를 마 련하여 학습동아리 활동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함. - 둘째, 학습동아리 분야별로 수퍼바이저를 지원할 필요가 있음. 재단의 만학도우 학 습동아리 사업에 지속적으로 대상이 되는 분야를 선정하여 각 분야별로 수퍼바이 저 풀을 구축함. 수퍼바이저 지원을 희망하는 학습동아리와 연계하여, 학습동아리 학습내용의 전문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함. - 셋째, 학습동아리별 지원금 차등 지원임. 학습동아리 구성 회원 수와 활동횟수에 관계없이 일괄 지원하던 지원금을 회원 수와 활동계획 횟수에 따라 차등 지원하도 록 하여 예산의 적절한 분배를 이루도록 함. 이를 통해 학습동아리의 물적자원에 대한 요구를 합리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 - 넷째, 학습동아리의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 학습동아리 운영 가이드를 제공함. 학습 동아리 운영 가이드에는 본 연구결과에서 학습동아리 활동의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학습동아리 운영체계, 학습결과 활용방안, 학습동아리 운 영을 위한 각종 자원의 중요성 등을 제시하여, 학습동아리 구성원들이 동아리 운영 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 또한 학습동아리 운영 가이드를 통해 학습동아리 관 리 방안을 문서화하고 이를 근거로 학습동아리에 대한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Ⅳ 결 론 67 ○ 학습동아리 간 네트워킹 지원으로 학습문화를 확산하여야 함. 학습동아리 성장 요인 분석 결과, 물적자원 다음으로 내부조직체계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음. - 학습경험의 공유 및 경험에 대한 피드백 기회 제공은 동아리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자극이 될 수 있음(김한별 외, 2012). 따라서 동아리 상호간 정기적 교류를 통한 학습결과의 공유는 구성원의 학습동기와 동아리 참여를 촉진하고, 뿐만 아니라 학 습동아리 간 네트워킹을 통해 학습문화를 확산하고 발전시키는 동력이 될 수 있음. - 특히, 유사한 주제를 다루는 동아리들 간에는 서로의 학습내용과 우수사례 등을 공 유하여 학습동아리를 통한 학습활동의 질 향상을 유도하고, 신생동아리에게는 안 정적인 동아리 운영방법에 대한 노하우를 전수하여 학습에 대한 몰입의 동기부여 를 제공함. - 뿐만 아니라, 사전 워크숍을 통해 동아리 운영 예산의 사용방법에 대한 안내를 하고, 활동의 중간시기에 중간보고회 형식의 장을 마련하여 활동내용을 공유하고 동아리활 동의 애로점을 점검 및 개선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동아리의 질적 성장을 도모함. ○ 학습동아리 활동에 따른 만족도와 학습전이 증진을 위해 학습동아리 지원체계 를 구축해야 함. - 첫째, 학습동아리 활동 전에 교육내용, 교육방법 구성, 교보재 준비, 전문가 연계 등 학습활동 준비의 충실도와 활동 후 피드백을 통한 보완 등 체계적 운영이 이루 어지도록 지원하여야 함. 이 과정에서 동아리 구성원들의 소속감과 연대감, 친밀 감, 활동 지속성 등을 유인하기 위해 특히 학습동아리 리더의 역할과 리더십을 강 화할 필요가 있음. - 둘째, 학습동아리 지원에 정확한 업무추진 방식을 구축해야 함. 이를 위해 학습동 아리사업 담당자는 전문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전문성과 안목을 갖추고 있어야 함. 그리고 학습동아리 활동 전 준비도 파악, 활동 중 집단의 역동 모니터링, 활동 후 피드백 등 업무추진 로드맵을 마련하고 학습동아리와 공유하여야 함. - 셋째, 학습동아리 성과의 영향요인은 학습결과의 활용과 자기성장에 도움여부로 밝혀짐. 따라서 학습결과는 조직 내 업무뿐 아니라 지역사회로 확대하여 활용하도 록 적극 장려하고, 발표회나 워크숍 또는 세미나 등으로 학습동아리 간 학습과정 및 학습결과에 대한 발표와 공유기회를 주기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음. 이러한 과 정을 통해 동아리 참여 동기를 자극하고, 과업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함.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68 - 넷째, 학습동아리 활동지원이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 추진을 통해 사회복지종사자 들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업무능력 및 전문성 향상뿐 아니라 업무에 대 한 소진예방과 동료 간 결속력 형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 ○ 사회복지기관종사자 처우개선의 일환으로 학습동아리 지원을 적극 장려하여야 함. 본 연구의 결과, 대다수의 학습동아리 구성원들이 학습동아리 활동지원을 종사자 처우개선의 한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학습동아리 형 태의 자기개발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이 절실함을 살펴볼 수 있었음. - 경기도는 ‘사회복지종사자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에 관한 조례’에 사회복지종사자 에 대한 교육훈련을 제8조제1항제4조에 추가하여 사회복지사 교육훈련을 강조하고 있음. 대면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종사자들이 평생학습으로 써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기개발을 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학습 동아리를 지원하고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음. - 궁극적으로는 학습동아리사업의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사회복지기관의 학습문화 구축과 사회복지사의 주도적 학습의지를 고양시켜 개인의 성장과 기관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 특히, 학습동아리 참여목적 설문결과 46%가 사회복지사로서 능력개발과 전문성 함 양을 위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남. 이에 경기복지재단은 학습동아리 만학도우를 시 작으로 학습조직문화 구축 및 성과중심의 인적자원개발을 기관 별로 실행할 수 있 도록 추진해 나가고자 함. 그리고 만학도우는 직무관련 학습동아리 뿐만 아니라 조 직적응(조직사회화)를 지원하는 동아리 활동도 인정하여 초기단계에는 유연하게 운 영하고, 점차 학습동아리 활동을 직무별 전문가를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고자 함.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종사자 처우 및 지위향상을 도모함. ○ 학습동아리 회원구성 형태의 다양화와 학습동아리활동 성과에 대한 홍보가 필 요함. 이를 통해 학습동아리의 적극적 참여와 학습동아리구성원 소속기관의 관 심과 지원을 용이하게 이끌어내어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유도함. - 요구 분석결과, 학습동아리 활동에 참여할 시간 부족(60.0%), 참가자들의 소극적 참여(31.9%), 근무지 내 학습동아리 부재(11.5%), 기관차원의 지원과 배려가 부족 Ⅳ 결 론 69 등이 동아리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 이에 만학도우 학습동아리 회 원구성(2개 기관 이상 5명 이상의 종사자로 구성을 장려) 형태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음. 즉 기존의 방식을 장려하되, 동일기관의 종사자들로 구성된 학습동아리 형태 도 개방하여 활발하게 학습동아리 참여를 끌어내는 것도 바람직하겠음. 재단의 학 습동아리 지원 사업의 목적은 사회복지종사자의 주도적 학습의지를 고양하여 사회 복지기관의 학습조직문화 조성의 마중물 역할을 하는 것이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 복지기관이 주도적으로 소모임 평생교육을 지원하고 학습문화를 구축하도록 유도 하는 것임. 따라서 사회복지종사자들의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위한 동아리 구성방 식의 다양화에 대한 검토가 요구됨. - 또한 학습동아리 활동이 개인적 성장뿐 아니라 업무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 치며, 이것은 기관 차원에서도 양질의 복지서비스 제공에 토대가 됨을 인식할 수 있도록 재단은 성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함. - 이에 재단은 학습동아리활동 성과의 홍보를 위해, 20017년부터 운영되는 경기복지 재단의 온라인사이트 지식공유 플랫폼 내에 ‘학습동아리 활동 공간’을 마련, 동 아리별 모임일정안내 및 학습결과 공유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활 용할 계획임. 이로써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학습동아리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것임.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68 - 넷째, 학습동아리 활동지원이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 추진을 통해 사회복지종사자 들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업무능력 및 전문성 향상뿐 아니라 업무에 대 한 소진예방과 동료 간 결속력 형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 ○ 사회복지기관종사자 처우개선의 일환으로 학습동아리 지원을 적극 장려하여야 함. 본 연구의 결과, 대다수의 학습동아리 구성원들이 학습동아리 활동지원을 종사자 처우개선의 한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학습동아리 형 태의 자기개발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이 절실함을 살펴볼 수 있었음. - 경기도는 ‘사회복지종사자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에 관한 조례’에 사회복지종사자 에 대한 교육훈련을 제8조제1항제4조에 추가하여 사회복지사 교육훈련을 강조하고 있음. 대면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종사자들이 평생학습으로 써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기개발을 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학습 동아리를 지원하고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음. - 궁극적으로는 학습동아리사업의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사회복지기관의 학습문화 구축과 사회복지사의 주도적 학습의지를 고양시켜 개인의 성장과 기관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 특히, 학습동아리 참여목적 설문결과 46%가 사회복지사로서 능력개발과 전문성 함 양을 위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남. 이에 경기복지재단은 학습동아리 만학도우를 시 작으로 학습조직문화 구축 및 성과중심의 인적자원개발을 기관 별로 실행할 수 있 도록 추진해 나가고자 함. 그리고 만학도우는 직무관련 학습동아리 뿐만 아니라 조 직적응(조직사회화)를 지원하는 동아리 활동도 인정하여 초기단계에는 유연하게 운 영하고, 점차 학습동아리 활동을 직무별 전문가를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고자 함.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종사자 처우 및 지위향상을 도모함. ○ 학습동아리 회원구성 형태의 다양화와 학습동아리활동 성과에 대한 홍보가 필 요함. 이를 통해 학습동아리의 적극적 참여와 학습동아리구성원 소속기관의 관 심과 지원을 용이하게 이끌어내어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유도함. - 요구 분석결과, 학습동아리 활동에 참여할 시간 부족(60.0%), 참가자들의 소극적 참여(31.9%), 근무지 내 학습동아리 부재(11.5%), 기관차원의 지원과 배려가 부족 Ⅳ 결 론 69 등이 동아리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 이에 만학도우 학습동아리 회 원구성(2개 기관 이상 5명 이상의 종사자로 구성을 장려) 형태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음. 즉 기존의 방식을 장려하되, 동일기관의 종사자들로 구성된 학습동아리 형태 도 개방하여 활발하게 학습동아리 참여를 끌어내는 것도 바람직하겠음. 재단의 학 습동아리 지원 사업의 목적은 사회복지종사자의 주도적 학습의지를 고양하여 사회 복지기관의 학습조직문화 조성의 마중물 역할을 하는 것이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 복지기관이 주도적으로 소모임 평생교육을 지원하고 학습문화를 구축하도록 유도 하는 것임. 따라서 사회복지종사자들의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위한 동아리 구성방 식의 다양화에 대한 검토가 요구됨. - 또한 학습동아리 활동이 개인적 성장뿐 아니라 업무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 치며, 이것은 기관 차원에서도 양질의 복지서비스 제공에 토대가 됨을 인식할 수 있도록 재단은 성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방안을 마련하여야 함. - 이에 재단은 학습동아리활동 성과의 홍보를 위해, 20017년부터 운영되는 경기복지 재단의 온라인사이트 지식공유 플랫폼 내에 ‘학습동아리 활동 공간’을 마련, 동 아리별 모임일정안내 및 학습결과 공유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활 용할 계획임. 이로써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학습동아리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것임.

참 고 문 헌 71 고송이(2013). 기업교육에서 조직지원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고유선(2012). 성인학습자의 학습동아리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김태희(2015). 학습동아리 구성원의 지식공유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몰입의 매개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한별·김영옥(2012). 구성원 관점에서 본 평생학습 동아리의 운영원리: C시 학습동아리 구 성원의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42, 73~96. 김희선(2004). 주부의 댄스스포츠 참가정도와 참여만족에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나승일·김기용(2007). 서울대학교 직업교육 CEO과정 참여자의 학습전이 수준. 한국농산업 교육학회, 39(4), pp. 111-141. 서희정(2010). 소그룹 평생학습조직 활성도 측정도구 개발 및 성장요인과의 구조분석. 동국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재은(2010). 사회복지종사자의 역량중심 교육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경기복지재단. 유은숙(2009). 소집단 활동을 통한 통합적 독서교육 방안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종만·이지혜·홍숙희·김영희(2004). 학습동아리 운영사례집.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지혜(2001). 학습공동체 운동의 의미와 전략, 마을 전체가 배움터이다: 학습공동체를 위한 다양한 사람들. 서울: 한국 YMCA연맹. 이지혜·홍숙희(2002). 학습동아리활동에 나타난 학습역동: 성인여성학습동아리 사례를 중심 으로. 평생교육학연구, 8(1), 177-200. 이학식(2012).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회귀분석. 집현재. 홍길표·임효창(2006). 공무원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산학경영 연구, 19(2), pp. 95-116. 최정인(2015). 일터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 감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ndura, A.(199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Gupta, A. K. & Govindarajan, V.(2000). Knowledge flows within multinational 참고문헌

참 고 문 헌 71 고송이(2013). 기업교육에서 조직지원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고유선(2012). 성인학습자의 학습동아리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김태희(2015). 학습동아리 구성원의 지식공유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몰입의 매개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한별·김영옥(2012). 구성원 관점에서 본 평생학습 동아리의 운영원리: C시 학습동아리 구 성원의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42, 73~96. 김희선(2004). 주부의 댄스스포츠 참가정도와 참여만족에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나승일·김기용(2007). 서울대학교 직업교육 CEO과정 참여자의 학습전이 수준. 한국농산업 교육학회, 39(4), pp. 111-141. 서희정(2010). 소그룹 평생학습조직 활성도 측정도구 개발 및 성장요인과의 구조분석. 동국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재은(2010). 사회복지종사자의 역량중심 교육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경기복지재단. 유은숙(2009). 소집단 활동을 통한 통합적 독서교육 방안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종만·이지혜·홍숙희·김영희(2004). 학습동아리 운영사례집.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지혜(2001). 학습공동체 운동의 의미와 전략, 마을 전체가 배움터이다: 학습공동체를 위한 다양한 사람들. 서울: 한국 YMCA연맹. 이지혜·홍숙희(2002). 학습동아리활동에 나타난 학습역동: 성인여성학습동아리 사례를 중심 으로. 평생교육학연구, 8(1), 177-200. 이학식(2012).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회귀분석. 집현재. 홍길표·임효창(2006). 공무원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산학경영 연구, 19(2), pp. 95-116. 최정인(2015). 일터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 감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ndura, A.(199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Gupta, A. K. & Govindarajan, V.(2000). Knowledge flows within multinational 참고문헌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72 corporation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1(4), 473-496. Kirkpatrick, D. L.(1994). Evaluation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San Francisco:Berrett-Koehler. Tracey, J. B. S. I. Tannenbaum, & Kavangh M. J.(1995). Applying Trained Skills on the Job : The Importance of the Work Environ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 239-252. 경기복지재단 GGWF REPORT 2016-10 학습동아리「만학도우(滿學道友)」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발행일 2016년 12월 발행인 배수용 대표이사 직무대행 이사 발행처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 440-851 Tel. 1577-4312 Fax. 031-898-5938 Homepage. ggwf.gg.go.kr

학습동아리 만학도우(滿學道友) 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72 corporation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1(4), 473-496. Kirkpatrick, D. L.(1994). Evaluation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San Francisco:Berrett-Koehler. Tracey, J. B. S. I. Tannenbaum, & Kavangh M. J.(1995). Applying Trained Skills on the Job : The Importance of the Work Environ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 239-252. 경기복지재단 GGWF REPORT 2016-10 학습동아리「만학도우(滿學道友)」성장요인과 활성도 분석 연구 발행일 2016년 12월 발행인 배수용 대표이사 직무대행 이사 발행처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파장동 179) 󰂕󰂕 440-851 Tel. 1577-4312 Fax. 031-898-5938 Homepage. ggwf.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