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GWF REPORT 2016-18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책임 󰠛 최조순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공동연구 󰠛 박예은 경기복지재단 연구원

감수위원 여관현 교수(안양대학교 공공정책학과) 박성현 박사(전라남도의회 입법조사관) ■ GGWF Report는 사회복지분야의 주요현안에 관하여 정책의 방향설정과 실현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ㆍ 조사를 통한 정책제안이나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작성된 자료입니다. ■ 본 보고서는 경기복지재단의 공식적인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과 관련한 의견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Tel : 031-267-9345 Fax : 031-898-5935 E-mail : ehjs11@ggwf.or.kr

요 약 i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 확대에 따른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접수와 심사, 대 상자 관리 체계와 청년 지원을 위한 통합 지원 서비스 체계의 필요성 증대 - 온라인 접수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참여자의 편의성 증대, 대상자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효율성 증대 - 더불어 청년 지원 정책들이 각 부처별, 기관별 분산되어 있어 접근성이 낮고 사용 편의성이 미흡의 한계 보완을 위한 통합 지원 체계 구축 ○ 본 연구의 목적은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 온라인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통 해 관리・지원 기능의 효율성, 정보의 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한 편의성 향상 을 위한 체계 및 방안을 모색하는 것임 - 이를 위하여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시스템’, ‘청년정책 관련 정보 통합지원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청년계층의 체계적 정보관리 및 접근성 향상을 위 한 다양한 채널 체계 구축’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 □ 연구 결과 ○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의 방향은 크게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효과성 제고’, ‘청년 관련 정보 통합서비스 제공’, ‘이용접근성 향상’ 측면의 통합 추진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효과성 제고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온라인 통합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통해 참여기회 확대 및 관리 업무의 효율성 증진 - 청년 관련 정보 통합서비스 제공 : 청년 대상별 채용정보, 교육훈련정보, 주거 지원, 복지서비스, 통합회원관리 체계 등 청년 관련 정보 통합서비스 제공을 통 한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 향상 - 이용접근성 향상 : 모바일 기기별 최적화된 반응형 웹 구현을 통한 접근성 향상 요약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ii ○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체계 구축의 단계는 크게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 및 관련 자료 제출, 청년통장 대상자 심사, 대상자 관리, 사후관리 단계로 구성 -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 및 심사 단계 :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관련 자료 및 증빙서류 제출 및 처리과정 안내 등 보다 체계화된 서비스 강화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 향상 - 대상자 관리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의 인적변동사항, 주소지 변동 등 기본적 인적사항 수정・보완과 대상자의 통장적립금 내역조회 및 관리 등의 기능 제공 ○ 청년관련 정책 통합지원 체계 구축은 ‘취업지원’, ‘교육지원’, ‘주거지원’, ‘복 지지원’, ‘통합회원 관리’ 중심의 체계 구축 - 취업지원 : 경기도 내 공공일자리 및 채용공고 등 취업정보 연계 지원, ‘청년지 원 사업’ 콘텐츠 생산 및 관리부서와 협력 체계 구축 등 종합 체계 구현 ・ 성별, 학력, 지역, 관심직업 등 관심정보를 활용하여 개인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직업정보 제공 ・ 근로 청년이 타 직장으로 이직, 업종 변경 시 해당 직장 및 업종에 대한 경험, 노하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적극적인 이・전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멘토링 서 비스 지원 - 교육지원 : 청년계층의 교육 훈련을 지원하는 온라인 학습기능 확대 및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강화 및 안정적 교육 콘텐 츠 제공을 위한 지원 플랫폼 구축 - 주거지원 : 청년의 가장 우선적인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주거지원에 대해 실시 간으로 다양한 주거지원 정보 확인 및 서비스 연계가 통합된 서비스 지원 - 복지지원 : 청년계층이 필요로 하는 복지 서비스 및 지원 등의 종합지원 체계 - 통합 회원관리 체계 : 사용자 편의 증진을 위한 기존의 네이버, 구글, SNS 등의 계정과 연동하여 쉽고 편리한 회원가입 및 로그인 등 회원관리 체계 구축 ○ 모바일에서 이용가능한 반응형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 개발을 통한 사용자의 이용접근성 향상 등 다양한 접근 채널 체계 구축 - 웹 페이지, 모바일 앱, 모바일 웹, SNS 등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다양한 접근 채널 제공

요 약 iii □ 정책 제언 ○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기 위 해서는 총괄적인 역할 수행을 위한 주체 설정 -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은 현재 경기복지재단이 주요 내용의 콘텐츠 개발과 운영 을 담당하고, 관련 시스템은 일자리재단에서 구축. 경기도 내 산하기관(경기도평 생교육진흥원, 중소기업지원센터 등)이 제공하는 콘텐츠 및 지원 서비스가 효율 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 경기도청 내 주관 업무 주체(부서) 설정 - 청년지원플랫폼의 조기 정착을 위해서는 신규 시스템 개발보다는 기존의 시스 템의 연계를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더 효율적 ・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의 교육지원 시스템, 중소기업지원센터의 청년창업지원 시스템, 보건복지부의 복지로, LH의 마이 홈시스템을 활용한 주거지원 서비스 등이 대표적임 ○ 청년계층의 수요를 고려한 탄력적・유기적 시스템 구축 - 공급자 중심의 지원 시스템 구축이 아닌 청년계층의 수요를 고려하여 탄력적 이고 유기적인 시스템의 구축・운영 체계 정립 ・ 청년의 정책 수요 및 지원 욕구는 계층별, 연령별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청년 계층의 획일적 수요를 고려한 시스템이 아닌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개방형 시 스템 체계로 구축 ・ 청년 수요 변동에 따라 지원 플랫폼 내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서비스의 다양한 구성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 ○ 청년지원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접근 전략이 필요 - 1단계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를 중심으로 한 관리 기능 및 지원 서비스에 대 한 시스템 구축 및 연계가 필요 ・ 관련 시스템 구축을 통해 업무 효율성 확보 및 관리 체계의 신뢰도 증진 ・ 1단계에서는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를 중심으로 한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기능, 사례관리, 취업정보 연계 및 멘토링 서비스, 교육관리 서비스부터 우선 제공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iv - 2단계 : 협력네트워크 구축의 단계로 경기복지재단에서 제공되지 못하는 지원 영역(주거, 복지 서비스 등)에 대해서는 유관기관 콘텐츠와 시스템을 연계 ・ 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의 교육지원시스템, 중소기업지원센터 창업지원 시스템, LH의 주거정보시스템, 보건복지부의 복지로 시스템 등 연계 및 통합 서비스 제공 체계 구축 - 3단계 : 청년지원 플랫폼의 고도화 단계로 청년계층의 수요에 대한 적극적 반영 및 수요자 맞춤형 지원서비스를 발굴 ・ 청년지원 서비스 영역 확대, 청년 맞춤형 서비스 연계 발굴 체계 구축 ・ 청년통장 관리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스템 오류와 메뉴 개선 등을 지속적은 피드백 과정을 통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 <청년지원 플랫폼 단계별 추진 내용>

목 차 v Ⅰ 서 론 / 1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관리 여건 분석 / 3 1.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관리 체계 진단 ·········································· 3 2. 청년의 지원・서비스 욕구 분석 ·································································· 7 3. 청년 지원 플랫폼 구축 사례 ···································································· 10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 21 1.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향 ····································· 21 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시스템 구축 방안 ············································ 24 1)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시스템 구축 ······················································ 24 2) 청년 지원 시스템 구축 ········································································· 28 Ⅳ 결 론 / 37 참고문헌 / 43 목차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vi 표 차례 <표 Ⅱ-1>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 지원・서비스 욕구 현황 ························ 8 <표 Ⅱ-2>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 교육 및 역량강화 세부 현황 ··············· 9 <표 Ⅱ-3> 청년들이 희망하는 멘토의 요건 ··················································· 9

목 차 vii 그림 차례 <그림 Ⅱ-1>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절차 및 사례관리 영역 ·························· 4 <그림 Ⅱ-2>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 관리 화면 ·········································· 6 <그림 Ⅱ-3> 일하는 청년통장 저축 관리 체계 ············································· 6 <그림 Ⅱ-4> 서울시 청년취업멘토 서비스 운영체계 ··································· 12 <그림 Ⅱ-5> 청년희망재단 청년희망채움사업 추진 체계 ···························· 14 <그림 Ⅱ-6> 청년아카데미 인재 육성 교육 내용 ········································ 14 <그림 Ⅱ-7> 청년아카데미 멘토서비스 운영 체계 ······································· 16 <그림 Ⅱ-8> HUB PoT 아이디어 공유 화면 ················································ 17 <그림 Ⅱ-9> HUB PoT 커뮤니티 서비스 운영 체계 ··································· 18 <그림 Ⅲ-1>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향 ··················· 23 <그림 Ⅲ-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의 주요 주체 및 역할 ··· 24 <그림 Ⅲ-3>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안내 화면(예시) ·································· 25 <그림 Ⅲ-4>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선정 체계 및 주요 내용 ··················· 26 <그림 Ⅲ-5>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자 관리 화면(예시) ······························ 27 <그림 Ⅲ-6> 경기복지재단의 일하는 청년통장 시스템과 농협 시스템의 연계 방안(안) ·················································· 27 <그림 Ⅲ-7> 청년지원 플랫폼 구축으로 인한 취업정보 획득 체계 변화 ··· 28 <그림 Ⅲ-8> 멘토링 지원 서비스 지원 체계(안) ········································· 29 <그림 Ⅲ-9> 교육 지원 플랫폼 구축 체계(안) ············································· 31 <그림 Ⅲ-10> 자가진단을 통한 주거서비스 제공(예시) ······························ 32 <그림 Ⅲ-11> 거주지역 및 인근지역 공공임대주택 검색 서비스(예시) ······ 32 <그림 Ⅲ-12> 청년지원 플랫폼과 연계된 복지로의 복지서비스 신청 (예시) ··· 33 <그림 Ⅲ-13> 회원가입 및 로그인 화면(예시) ············································· 34 <그림 Ⅲ-14> 청년지원 서비스 연계 및 제공 체계 ···································· 35 <그림 Ⅳ-1>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시스템 구축(안) ·································· 39 <그림 Ⅳ-2> 청년지원 플랫폼 단계별 추진 내용 ········································ 40

Ⅰ 서 론 1 ○ 2016년 5월 시행된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이후 2017년까지 10,000명으로 대상 확대에 따라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관리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증대 - 현재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부터 최종 선정단계에 이르기까지 오프라인 전달체 계를 중심으로 진행됨에 따라 읍・면・동, 시・군 담당자의 업무 부담이 가중 - 체계적인 신청접수와 심사, 대상자 관리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의 필요성 증대 ・ 접수 시스템의 통합으로 업무 효율성 증가 및 사용자 편의성 증대를 통한 정책 체감도 및 만족도 향상 - 일하는 청년통장 적립금 지급 후 대상자의 체계적인 사후관리 지원의 기반 마 련 차원에서도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 증대 ○ 경기도 내 추진되고 있는 일자리, 창업, 해외취업, 교육 등 다양한 청년 관 련 지원정책들이 분절적으로 운영됨에 따라 청년층의 접근성이 낮고 사용 편의성이 제약되는 현실적 한계 발생 - 청년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정책에 대해서는 각 분야별로 해당 기관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각 해당 사이트 및 기관 방문을 통해 서비스를 제 공받아야 하는 비효율성이 발생 - 청년지원 정책 관련 정보를 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통해 청년지원 정책의 정보 제공 창구를 통합 체계 구축 필요 ・ ‘청년지원 사업(교육, 창업, 복지 등)’ 콘텐츠 생산 및 관리부서(기관) 간 협력 ・ 취업 및 직업 정보의 통합 지원을 통한 청년계층의 접근성 및 편의성 증진 ⨠⨠Ⅰ 서 론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2 ○ 본 연구의 목적은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 온라인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통 해 관리・지원 기능의 효율성, 정보의 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한 편의성 향상 을 위한 체계 및 방안을 모색하는 것임 - 첫째,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시스템 구축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 및 계좌관리를 위한 체계적 관리 시스템 구축 ・ 일하는 청년통장 온라인 접수・심사 시스템 구축 ・ 일하는 청년통장 적립금의 체계적 관리 체계 구축 - 둘째, 청년정책 관련 정보 통합지원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 청년지원 사업 콘텐츠 생산 및 관리 부서와의 협력체계 구축 ・ 일자리 플러스센터 등 외부기관과의 정보연계를 통한 양질의 정보 제공 ・ 공공일자리 및 채용 공고 등 경기도 청년관련 정보 연계 지원 ・ 콘텐츠 이용 및 관리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관리 기능 ・ 지속적인 청년 수요에 기반 한 서비스 지원 체계 구축 - 셋째, 회원관리 시스템 구축 ・ 청년계층의 편의 증진을 위한 SNS 및 구글 등과 연계한 접속 시스템 구축 ・ 사용자 불편 최소화를 위한 체계적인 회원관리 시스템 구축 ○ 본 연구의 결과는 2017년 상반기까지 구축되는 청년지원 플랫폼의 방향성 과 기본 구성 콘텐츠로 활용될 것임 -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심사-최종선정’ 과정과 대상자 관리 체계, 청년 취업 및 멘토링 서비스, 복지 및 주거, 교육 등의 서비스는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를 중심으로 관련 시스템 구현 - 이를 토대로 도내 일반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청년지원 플랫폼의 콘텐츠 구성 의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

Ⅱ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 관 리 여 건 분 석 3 - 1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관리 체계 진단 1)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관리 체계 ○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추진 체계는 크게 신청・접수단계, 자격확인 및 참여자 선정단계, 약정 체결 및 통장개설 단계, 사례관리 단계로 구분 - 신청・접수 단계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공고 후 자격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 들을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관련 서류 일체를 받아 접수 - 자격확인 및 참여자 선정 : 접수된 서류를 토대로 공적조회(행복e음)를 통해 실제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 후보를 선정한 후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 를 최종 확정 - 약정체결 및 통장개설 : 최종 선정된 대상자를 중심으로 약정(협약)체결 후 일하는 청년통장 협력 은행과 통장 개설 - 사례관리 단계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를 중심으로 참가자 저축 독려, 금융 교육, 사례 관리, 멘토링 지원, 적립금 지급 및 사후 관리 등 개별 대상자를 중 심으로 통장관리 및 신청 서비스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 및 사례관리가 진행 ・ 사례관리 기간은 최초 적립금 납입 이후 최종적으로 만기 해지 시 적립금을 지 급받는 단계까지 약 3년의 기간이 소요 ・ 적립금 지급 후 본인의 필요에 따라 사후관리가 필요한 경우, 지원 및 서비스 기간 연계를 통해 후속적인 사례관리 제공 가능 ⨠⨠Ⅱ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관리 여건 분석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4 <그림 Ⅱ-1>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절차 및 사례관리 영역 ○ 참가자 관리는 인적사항 변동, 전출・입 관리, 대상자 재직확인 등 일하는 청년통장 자격요건 유지 등의 사항을 관리 - 인적사항 변동 : 참가자의 개명, 주민등록사항 변경, 연락처 변경, 주소지 변동 등 기본적인 개인정보를 관리 - 전・출입 관리 : 경기도 내에서 시・군의 전출・입은 해지 사유가 되지 않으나 시・도 간 전・출입은 해지 사유에 해당하므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 - 대상자 재직 확인 : 일하는 청년통장은 근로유지를 전제로 하는 사업이기 때문 에 근로 유지 및 근로활동에 대해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 ○ 저축관리는 참가자의 저축여부를 관리함으로써 미저축으로 인한 참가자의 중도 탈락 및 관련 불이익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관리 - 주요 내용으로는 저축상황 점검, 미저축 관리, 일시 중지(유예신청) 등의 관리 를 통해 참가자의 불이익을 최소화 ○ 금융교육 등 교육 지원은 참가자에게 3년 간 자산형성, 재무・금융・일자리 교육 등을 통해 합리적인 소비, 생활여건 개선 등을 위한 서비스 지원 - 교육지원은 참가자 전체에게 제공하되, 참가자의 선호에 따라 선택하여 관련 교육을 수강할 수 있도록 관련 콘텐츠 및 커리큘럼 제공

Ⅱ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 관 리 여 건 분 석 5 ○ 사례관리 및 멘토링 지원은 참가자의 중도탈락을 방지하고 일자리 유지 및 참여가구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관련 서비스 제공 - 참여자 전수에 대한 사례관리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신청자 중심의 선 별적인 사례관리를 시행 - 멘토링 지원은 이・전직을 준비하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해당 분야 선경험자의 노하우 및 정보 제공 등을 지원 ○ 적립금 지급 및 사후관리는 적립금 수령 후 창업, 취업, 주거자금 등의 활용 용도에 맞게 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과의 연계를 진행 - 적립금 지급 이후 일하는 청년통장에 대한 서비스는 종결되며, 필요한 서비스 에 대해서는 유관기관으로 연계를 통해 지원 2)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관리 실태 ○ 일하는 청년통장 실효성 증진을 위하여 참가자 관리, 금융교육, 사례관리 및 멘토링, 적립금지원 및 사후 관리 등 지원・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 나, 수기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효율성 확보가 시급 - 일하는 청년통장 약정체결 및 통장 개설 이후의 과정의 대부분이 관련 시스템 의 부재로 수기에 의한 작업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음 ○ 참가자 관리는 현재 경기복지재단 내 ‘일하는 청년통장’ 엑셀DB를 통해 관 리되고 있어, 효율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상황임 - 하나의 정형화된 시스템 및 폼을 토대로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엑셀 시트 내 각 개인별 인적사항을 수기로 수정・보완하여 관리하고 있음 - 대상자 관리가 수기로 진행되기 때문에 일부 사항에 대한 누락 가능성이 존재 하며, 대상자 확대 시 체계적 관리가 어려운 상황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음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6 <그림 Ⅱ-2>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 관리 화면 ○ 저축관리는 경기복지재단이 1차로 농협에서 제공된 엑셀 DB를 제공받은 후 최종 적립금 확인 및 매칭지원금 지급 후 관련 사항을 최종적으로 수정・ 보완하는 형태로 관리 - 적립금 납입 최종일인 매월 20일 이후 농협에서 경기복지재단으로 최종 적립 금 내역 및 대상자 명단을 엑셀 DB로 송부하면, 경기복지재단은 매월 25일까 지 대상자에게 전화 및 문자로 적립금 독려 후 26일 농협으로 최종 적립금 납 입 대상자 및 적립금 내역을 확인 후 매칭지원금 지급하는 형태로 운영 - 해당 저축관리의 전 과정이 엑셀 DB로 정리되고 있어, 효율성을 확보하기 어려움 <그림 Ⅱ-3> 일하는 청년통장 저축 관리 체계

Ⅱ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 관 리 여 건 분 석 7 - 저축 내역을 농협과 경기복지재단 간 일단위로 엑셀DB로 주고받기 때문에 내 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지 못함으로써 업무 추진의 효율성 확보가 미흡 ○ 금융교육 및 사례관리 현황 등 사례관리 시스템도 구축되지 않아 현재 엑셀 DB를 활용하여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음 - 교육 이수 대상자, 저축관련 상담 내역, 상담 및 사례관리 지원 등의 내용을 엑 셀 DB로 관리함으로써 대상자 누락 등의 발생가능성이 높음 ○ 현재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관리 실태는 최초 설계된 지원 체계와는 달리 관련 시스템의 부재로 실제 지원・관리는 최소로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이 루어지고 있음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의 실질적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자산형성 지원뿐만 아니라 금융 및 신용 교육, 멘토링 지원 등 교육과 사후관리 서비스 연계가 중요 ・ 자산형성 프로그램 자체로 개인의 태도변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금융 및 신용교육, 멘토링 지원 등의 사후관리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관련 효과는 더 증대될 수 있음 - 대상자 관리 및 저축관리 등에 대해서만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수준이며, 금 융 교육 멘토링 지원 등과 같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부분은 현재 실질적인 공백인 상황임 ・ 대상자의 실질적인 관리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담인력(4명)의 부족과 대상 자 관리 시스템의 미구축 등 관리 체계가 미흡하여 서비스 제공의 공백이 발생 2 청년의 지원・서비스 욕구 분석 ○ 2016년 청년통장 1차 대상자 및 2차 대상자 1,100명을 대상으로 지원 서 비스(정책)에 대한 조사 결과 주거 지원, 교육 지원, 창업 및 취업 지원, 복 지서비스의 순으로 나타남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8 - 지원서비스에 대한 수요조사는 1차 대상자(500명) 선정 이후 5월 20일~5월 25 일, 2차 대상자(1,000명)는 12월 8일 ~ 12월 13일 사이에 조사됨 ・ 총 1,500명 대상 중 1,100명이 해당 조사에 응답하여, 해당 분석을 진행 ・ 지원서비스에 대한 수요조사는 별도의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된 것이 아니라 약 정식 체결 및 이후 불참자를 대상으로 금융태도변화조사 설문 문항 중 지원 서 비스 관련 설문을 통해 조사 - 전체 응답자의 약 25.4%(279명)는 주거지원 관련 정책지원을 응답하였으며, 26.4%(290명)는 창업 및 취업관련 지원을 응답하였음 - 교육 및 역량강화 지원은 전체 응답자의 18%(198명)가 응답한 것으로 나타남 구분 응답자 수(%) 주거지원 279명(25.4%) 교육 및 역량강화 지원 198명(18.0%) 취업 및 창업 지원 290명(26.4%) 이・전직 지원(멘토링 등) 150명(13.6%) 복지서비스 연계(돌봄, 양육 등) 70명(6.4%) 의료 및 건강 지원 100명(9.1%) 기타 서비스(상담 등) 연계 13명(1.2%) 총계 1,100명(100) <표 Ⅱ-1>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 지원・서비스 욕구 현황 ○ 교육 및 역량강화 지원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제공 서비스에 대해서는 금융 및 신용교육, 직무 역량강화 교육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 - 교육 및 역량강화 지원에 응답한 198명 중 약 41.8%는 금융 및 신용, 재무 교 육의 필요성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32.6%는 업무역량강화, 직무교육 등의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응답 ・ 1차 금융태도변화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309명)의 약 12.8%는 저축습관이 형 성되어 있지 않아 청년통장 적립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응답 - 다음으로 인문학 및 철학 등 소양교육의 필요하다고 응답, 인문학 초청 강연 등 기타 의견의 순으로 나타남

Ⅱ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 관 리 여 건 분 석 9 구분 응답자 수(%) 금융 및 신용, 재무 교육 83명(41.9%) 업무역량강화, 직무교육(NCS 기반 교육 포함) 65명(32.8%) 인문학 및 철학 등 소양교육 35명(17.7%) 기타(초청강사 특강) 15명(7.6%) 총계 198명(100%) 주:교육 및 역량강화에 대한 세부 현황은 교육 및 교육역량강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대상자만 응답 <표 Ⅱ-2>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 교육 및 역량강화 세부 현황 ○ 이·전직(멘토링) 지원 서비스와 관련하여 청년들이 희망하는 멘토의 자격 은 책임감과 성실성, 청년의 입장을 이해, 5년 이내 관련분야 선경험자 등 이 우선 자격으로 나타남 - 이·전직(멘토링)지원과 관련하여 ‘5년 이내 관련 분야 경험’이 22.0%로 가장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책임감과 성실함’ 19.3%, ‘청년의 입장 을 잘 이해’ 18.0%로 나타남 - 청년들의 입장에서 볼 때, 멘토의 자격은 청년에 대한 공감과 해당 직업 및 직 무에 대한 현실적인 조언이 가능한 멘토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남 구분 응답자 수(%) 관련분야의 높은 인지도 17명(11.3%) 책임감과 성실함 29명(19.3%) 진실성이 있는 조언 23명(15.3%) 청년의 입장을 잘 이해 27명(18.0%) 관련 분야 경력 2년 이상 21명(14.0%) 5년 이내 관련 분야 경험 33명(22.0%) 총계 150명(100) 주:청년들이 희망하는 멘토의 요건은 이·전직(멘토링)지원에 응답한 대상자만 응답 <표 Ⅱ-3> 청년들이 희망하는 멘토의 요건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10 ○ 청년통장 대상자의 지원·서비스 수요 결과, 응답비율이 높은 창업 및 취업, 주거지원, 교육 및 역량강화, 이·전직(멘토링) 서비스는 우선적으로 제공 - 청년계층의 수요가 높은 영역부터 지원 플랫폼 내에서 우선 구축하여 청년계 층의 사용편의성과 접근성 향상 ・ 청년들이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영역은 이미 각 영역에서 제공되고 있는 부분이 므로, 청년지원 플랫폼에서 관련 정보 및 지원 체계의 통합·연계 - 지원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추후 청년계층의 수요를 탄력적 으로 반영하여 단계별로 구축 ・ 청년구직지원금 등 신규 정책 추진 시 사후적인 체계관리 및 지원 체계 구축 3 청년 지원 플랫폼 구축 사례 1) 서울시 청년플랫폼 □ 개요 ○ 서울시 청년 플랫폼은 서울시 청년에게 구직, 취업연계, 취업자 사후관리, 청년취업멘토 등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축 - 서울시 청년플랫폼의 주요 기능은 청년취재단, 청년취업멘토단, 블로킹 웹서 비스, 구직・취업연계, 취업자 사후관리 등임 - 청년취재단 : 구직자가 작성하는 구인정보 기능으로 만19세~만39세 청년들로 서울지역의 구인정보를 취재하고 기사화하는 활동을 지원 - 청년취업멘토링 : 온라인에서 취업 등 진로설계를 고민하는 멘티에게 사회경 험과 지식이 풍부한 멘토의 상담, 조언 지원 및 연계 - 블로킹・웹 서비스 : 청년취재단이 취재한 기업정보를 공유하고, 1:1 온라인 멘 토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서비스 연계 - 구직・취업연계 : 기업별, 분야별 설명회 공유, 직종별 매칭 데이 등을 개최하 여 청년구직자와 구인기업과 연계 - 취업자 사후관리 : 고용유지 모니터링과 관련 성공 사례에 대한 사례집 제작 및 배포, 온라인 공유

Ⅱ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 관 리 여 건 분 석 11 □ 운영 내용 ○ 청년취재단 - 청년취재단은 서울시의 ‘서울일자리 플러스센터’와 ‘서울 JOB스’에서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만 19세~만39세 청년들이 서울지역의 구인정보를 취재하고 기사화하는 활동 지원. 분기별 정기적으로 25명씩 모집하여 운영 - 청년취재단은 구인사업장에서 회사의 가치가 드러날 수 있도록 구직자에게는 일자리를 결정할 수 있는 상세한 구인정보를 제공 ・ 임금, 근무시간 외 회사의 비전과 지속가능성, 조직문화, 주요 업무, 직원들의 생각 등 상세한 구인정보 제공을 통해 구직자들이 자신의 능력과 가치관에 맞 는 일자리를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정보 제공 - 청년취재단은 좋은 일자리에 대한 가치관 정립을 위한 교육 이수 ・ 청년취재단 역량강화를 위해 20시간의 교육을 이수 ・ 강소기업 및 사회적 경제 영역의 일자리에 대한 이해, 인터뷰 글쓰기, 사진 교 육 등 관련 내용 취재 기술과 기사화에 대한 교육 실시 ○ 청년멘토링 - 온라인에서 취업 등 진로설계를 고민하는 구직자에게 사회경험과 지식이 풍부 한 선배의 상담, 조언 등을 통해 청년 구직자 스스로 주도적 진로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원 ・ 구직자(멘티)의 지원 희망 분야별 기업현장 선배의 생생한 경험 공유를 통해 기업현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해와 취업준비에 기여 - 2017년 1월 현재 제공되는 분야는 호텔관광, 마케팅, 금융 분야에 한정하여 멘토 단이 운영 ・ 호텔관광 멘토단의 경우 약 10여명의 멘토 활동 중 - 운영방법 : 5개 분야별 4명의 멘토, 12명의 멘티가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운영 ・ 온라인 1:1 멘토링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비공개로 진행 ・ 멘토링 기간 중 2회의 오프라인 집단 멘토링 진행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12 자료:서울일자리플러스센터 홈페이지(http://job.seoul.go.kr) <그림 Ⅱ-4> 서울시 청년취업멘토 서비스 운영체계 ○ 서울청년 플랫폼 내 블로킹・웹 서비스. 구직・취업연계, 취업자 사후관리 등 의 기능은 현재 온라인 지원이 제공되고 있지 않음 - 블로킹・웹 서비스, 구직・취업연계, 취업자 사후관리 등의 온라인 지원 기능은 방향성과 주요 내용은 제시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은 제 공되지 않고 있음 2) 청년희망재단 청년희망아카데미 □ 개요 ○ 청년희망아카데미는 청년 일자리 통합정보 제공, 멘토링, 기업의 고용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인재 영성 등을 통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구축 - 일자리 통합정보 제공 : 청년고용포털과 연계하여 취업 포털 서비스 제공 - 멘토링 서비스 : 취업, 창업, 해외진출 등 각 분야 전문가 1,000명의 멘토단을 구성하여 관심 분야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 제공 - 기업맞춤형 인재양성 : 문화콘텐츠 융・복합 훈련, 프리미엄 관광가이드 육성 등 기업 인력수요를 바탕으로 훈련과정을 발굴 지원 - 일자리・창업 능력개발 사업 : 청년글로벌 보부상 등 수요 맞춤형 사업으로 수 출전문가 육성 및 중소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 등 창업 연계

Ⅱ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 관 리 여 건 분 석 13 □ 운영 내용 ○ 일자리 통합정보 제공 - 취업정보 제공 및 기업과의 일자리 연계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온라인 서비 스로, 청년고용 포탈을 통한 구인정보 제공, 온라인 열린 채용, 스타트Up-청 년취Up 매칭, 청년 면접비용 지원 등을 제공 - 청년고용 포탈 : 청년 관련 구인 관련 정보를 지역별, 직종별 등 취업정보를 패 키지 형태로 제공 - 온라인 열린 채용 : 청년희망재단이 주관하는 온라인 채용행사로 자격요건에 해당하는 모든 지원자들에게 1차 면접의 기회를 제공 - 스타트Up-청년취Up 매칭 : 우수한 청년인재의 구직수요와 유망 스타트업의 구인 수요를 매칭 지원 ・ 청년과 스타트업 기업의 매칭 성공 시 인재지원금 최대 300만원(50만원×6개월) 지원 - 청년면접비용 지원 :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들에게 면접 시 소요되는 경비(면접 복장 대여, 이력서 사진촬영, 교통비, 숙박비 등)을 지원하여 구직활동에 대한 비용 부담을 경감 ・ 지원대상 : 취업성공패키지 3단계 참여자 중 고용센터에서 선정된 청년, 청년희 망재단에서 선정한 취업박람회에 참여하여 채용면접에 1차 합격한 청년 ・ 지원 내용 : 1인당 60만원, 6개월 지원(3개월 지원 후 취업여부에 따라 3개월 추가 지원) ○ 청년일자리 제안 사업 - 청년들이 직접 제안한 아이디어를 청년희망재단 사업으로 직접 운영하거나 아 이디어를 제안한 청년단체를 지원하는 사업 ・ 제안된 아이디어를 심사・선정하여 청년희망재단 사업화 또는 기업, 청년단체(대학 동아리 포함)에서 추진하는 청년문제 해결 프로젝트 중 적정한 사업과 매칭 지원 ・ 정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지원하는 사업과 중첩되는 경우 해당 사업을 활용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14 <그림 Ⅱ-6> 청년아카데미 인재 육성 교육 내용 자료:청년희망재단 홈페이지(http://www.youthhopefoundation.kr/) <그림 Ⅱ-5> 청년희망재단 청년희망채움사업 추진 체계 ○ 육재 육성 - 기업의 인력수요를 바탕으로 맞춤형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제공 - 국내・외 기업의 인력수요를 토대로 해당 교육이 진행되며, 분야, 지역, 이론 및 실습교육, 모의면접 등의 내용으로 운영

Ⅱ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 관 리 여 건 분 석 15 자료:청년희망재단 홈페이지(http://www.youthhopefoundation.kr/) ○ 청년 멘토링 서비스 - 청년 구직자의 실무중심 직무 파악과 올바른 구직 방향 설정을 위하여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 총 1,000명의 멘토단 인력풀을 구축하고, 온・오프라인을 통해 언제, 어디서 나 멘토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유형별 멘토링 제공 ・ 멘토단이 운영되는 분야는 사업관리, 경영・회계・사무, 금융・보험, 교육・자연・ 사회과학, 보건・의료 등 약 25개 분야를 운영 ・ 온라인 멘토 : 카페, 블로그, SNS 등 온라인 소통공간을 제공하여, 취업・창업 을 지원 ・ 오프라인 멘토 : 멘토에 의해 멘티를 선발하고, 주기적으로 오프라인 멘토링 서 비스를 제공. 멘토 1명당 5명~8명 내외의 멘티를 매칭하여 3개월 동안 정기적 운영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16 자료:청년희망아카데미 홈페이지(http://yhf.kr/mentoring) <그림 Ⅱ-7> 청년아카데미 멘토서비스 운영 체계 3) HUB PoT(청년창업지원플랫폼) □ 개요 ○ HUB PoT는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들의 아이디어 공유와 창업에 대한 정보 교로를 지원하는 온라인 플랫폼 - HUB PoT는 민간(CJ올리브네트웍스)에서 청년 창업에 대한 고민과 선배 경험자의 조언이 온라인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고리 만들기에서 시작 - HUB PoT의 주요 기능은 아이디어팟(창업아이디어 계획 공유, 아디이어 시 현), 멘토 서비스, 의견 및 정보교환 등을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 운영 내용 ○ 아디이어 팟 - 아이디어 : 창업 아이디어, 계획 등에 대한 공유와 함께 창업할 대상자도 동시 에 모집하는 온라인 연계 서비스 지원 ・ 창업에 대한 분야는 식품 서비스, 환경 에너지, Digital Media, 정보통신, 기타 등 10개 분야임

Ⅱ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 관 리 여 건 분 석 17 ・ 각 영역에 대해 아이디어 제안자가 관련 창업계획과 내용에 대해 계획서를 올 리면, 관련 사항에 대하여 멘토와 관련 분야 관심이 있는 청년들이 의견과 사업 에 참여하고, 이후 개발과 마케팅 등 실질적인 창업으로 이어지는 단계로 진행 ・ 창업에 대한 아이디어 내용은 회원 승인을 받는 대상에 한하여 공개되는 폐쇄 형 구조로 운영 - 데모데이 : 창업이 가능한 수준의 사업계획서를 등록하고, 사업성, 자금모집 등 사업의 실현가능성에 대해 피드백 서비스 지원 자료:HUB PoT 홈페이지(https://www.hubpot.co.kr/idea-pot/idea) <그림 Ⅱ-8> HUB PoT 아이디어 공유 화면 ○ 멘토 서비스 - 예비 창업가와 멘토를 매칭하는 서비스로 제공되는 멘토들 중 본인의 창업분 야와 가장 적합성이 높은 멘티에게 온라인 및 오프라인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 - 현재 IT, 사업・서비스 기획, 창업 및 홍보 등의 분야 중심으로 멘토들이 활동 하고 있으며, 전문가뿐만 아니라 기관도 멘토로 활동 ○ 커뮤니티 서비스 - 창업에 도움이 되는 정부 정책, 정보, 창업준비 단계부터 폐업단계까지 필요한 정보 등을 제공 - 창업준비 : 창업교육과 멘토링, 아이디어개발, 사업계획서, 초기 자본금 마련 등 관련 정보 및 기관 정보 제공 - 창업실행 : 조직구성 및 운영, 영업 및 유통망, 시설 확보 등 본격적인 창업 운 영단계 필요한 정보 제공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18 - 회수 및 폐업 : 창업 실패사례 공유, 폐업 시 관련 절차, 기관에 대한 정보 제공 - 기타 : 세무, 기타 법률, 정부지원 등에 대한 정보 공유 자료:HUB PoT 홈페이지(https://www.hubpot.co.kr/idea-pot/idea) <그림 Ⅱ-9> HUB PoT 커뮤니티 서비스 운영 체계 4) 시사점 ○ 서울의 청년플랫폼, 청년희망재단의 청년아카데미, HUB PoT을 살펴본 결 과, 청년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욕구를 해소하기 위한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음 - 서울 청년플랫폼은 고용서비스와 취업에 대한 선경험 습득 및 공유를 위한 멘 토링 서비스 제공 - 청년아카데미는 고용과 기업수요형 교육, 취업에 대한 선경험 습득 및 공유를 위한 멘토링 서비스 제공 - HUB PoT는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아이디어의 발전, 창업에 대한 성경험 습득 및 공유를 위한 멘토링 서비스 제공

Ⅱ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 관 리 여 건 분 석 19 ○ 청년지원 플랫폼 운영사례들이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에 주 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 첫째, 청년계층이 필요로 하는 고용 관련 서비스뿐만 아니라 청년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 공급이 필요 ・ 일하는 청년들의 경우 고용, 멘토링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주거, 사회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지원 플랫폼에서 제공되도록 기본적인 설계가 필요 - 둘째, 청년계층들이 직무 및 직업에 대한 선경험 습득 및 이식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멘토링 서비스 지원 체계 구축 ・ 앞에서 살펴본 청년지원 플랫폼에서 공통적으로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으며, 서울시의 경우 취업연계 서비스를 제공되지 않지만, 우선적으로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청년희망아카데미와 같이 다양한 분야의 멘토 Pool을 조성하여 다양한 멘토 서 비스가 온라인에서 제공될 수 있는 기반 구축 필요 - 셋째, 청년희망아카데미의 경우 모바일 App을 통해 이용접근성을 향상 ・ App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한 이용접근성 향상을 통해 상시적인 접근 체계 강화 - 넷째, 청년지원 플랫폼은 청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및 지원서비스를 연계하 되, 각 분야별로 시스템을 구축하기보다는 기존의 시스템을 연계함으로써 효율 성 제고 ・ 서울청년 플랫폼의 경우 취업 및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별도로 구 축하기보다는 기존의 일자리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 시스템을 연계하여 활용

Ⅲ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플 랫 폼 구 축 방 안 21 - 1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향 ○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의 전제는 플랫폼 참여자들 간 상 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와 혜택을 주는 온라인 시스템 구축임 - 청년계층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와 서비스 공급자를 연계하고 상호교류를 활 발하게 함으로써 청년계층이 지원 플랫폼 내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데 있음 - 수요자인 청년입장에서 볼 때, 청년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청년 스스로 찾아 내고 제공받기까지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에 대한 미인지로 혜택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 - 공급자입장에서는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를 체계적・효율적 관리와 청년들의 니즈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 ・ 청년통장 대상자 확대에 따른 체계적·효율적 관리 시스템의 부재는 대상자 관 리를 위한 업무 누수현상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통장 및 교육, 사례관리 영역 에서 대상자 누락 발생 가능 ○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의 방향은 크게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효과성 제고’, ‘청년 관련 정보 통합서비스 제공’, ‘이용접근성 향상’ 측면에서 추진 ⨠⨠Ⅲ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22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효과성 제고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온라인 통합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통해 참여기회 확대 및 관리 업무의 효율성 증진 - 청년 관련 정보 통합서비스 제공 : 청년 대상별 채용정보, 교육훈련정보, 주거 지원, 복지서비스, 회원관리 시스템 등 청년 관련 정보 통합서비스 제공을 통한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 향상 - 이용접근성 향상 : 모바일 기기별 최적화된 반응형 웹 구현을 통한 접근성 향상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일하는 청년통장 관련’ 시스템 구축 - 일하는 청년통장 관련 시스템 구축 내용은 크게 사업 안내, 온라인 신청, 통장 관리, 사후관리 기능을 중심으로 구성 -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시스템의 주요 대상은 ‘일하는 청년통장’ 가입 대상 청년과 관리자(경기복지재단)임 ・ 청년통장 가입 대상자는 본인의 통장 적립금 내역 및 교육 현황, 상담 및 사례 관리 신청 시 해당 시스템 활용 ・ 관리자(경기복지재단)는 청년통장 가입대상자의 적립금 등 통장관리, 사례관 리, 상담 등의 내용을 기록・관리 ○ 취업, 교육, 주거 복지 등 청년 관련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는 기존의 각 정책 혹은 사업별로 단절된 서비스 제공의 형태에서 채널통합 및 맞춤형서비스 제공을 위한 완결성 있는 체계로 전환하여 서비스 제공 - 기존 주거지원, 복지서비스, 교육 훈련 등 청년관련 사업이 각 부서별로 분산되 었던 부분을 부서 및 기관과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단일한 체계로 전환 - 해당 서비스의 이용은 1차적으로 일하는 청년통장 가입 대상자를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점진적으로 경기도 내 청년계층으로 대상 확대 ・ 취업지원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도내 워크넷, 일자리센터 정보 등을 연계하여 일 하는 청년통장 가입대상자와 도내 일반 청년들도 이용 가능 - 청년계층의 편의 증진을 위한 SNS 및 구글 등과 연계한 접속 시스템 구축 등 을 통해 사용자 불편 최소화 및 체계적 회원관리 시스템 구축

Ⅲ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플 랫 폼 구 축 방 안 23 ○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별 최적화된 반응 체계 구축으로 모바일 이용접근성 향상 - 모바일 이용접근성 향상을 통해 상시적인 접근을 통해 정보 접근성 강화 - 청년 지원 플랫폼은 다양한 특성을 가진 청년들의 접근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 요하기 때문에 가능한 청년계층이 이용하는데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특성을 반영 - 모바일에서 이용가능한 반응형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 개발을 통한 접근성 향상 ・ PC와 테블릿, 휴대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반응형 홈 페이지 구축 ・ 반응형 웹은 접속자(사용자)의 화면 크기에 따라 홈페이지 사이즈가 사용자 화 면 크기에 따라 줄었다 늘었다하는 반응에서 유래 ・ 반응형 웹사이트와 연동된 하이브리드 방식의 모바일 앱 서비스 체계 구축 - 주기적인 청년들의 지원 서비스 수요조사를 통한 제공 서비스 및 메뉴 구성 개선 ・ 지원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메뉴기능은 청년들의 수요에 탄력적으로 반응하여 새로운 선호 또는 파생되는 서비스들이 단계적으로 제공을 보장 <그림 Ⅲ-1>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향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24 -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의 주요 이해관계자는 공공(경기도, 경기복지재 단, 경기도 일자리 재단), 이용자(일하는 청년통장, 일반 청년 등), 유관기관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보건복지부, LH, 한국은행 등) ・ 공공(경기도, 경기복지재단, 경기도 일자리재단) : 청년지원 플랫폼 시스템 구 축, 일하는 청년통장 운영・관리, 복지, 취업 등 지원 서비스 제공 ・ 이용자 :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자 및 대상자는 일하는 청년통장 적립금 내역 조 회뿐만 아니라 복지, 주거, 교육 등 지원 서비스 이용. 일반 청년은 복지, 주거, 교육 등 청년 지원서비스 이용 ・ 유관기관(보건복지부, LH, 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 한국은행 등)은 일하는 청 년통장 및 일반 청년에게 분아별 제공가능 콘텐츠 제공 및 서비스 연계. 경기복 지재단의 경우 금융, 신용, 재무 등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제공 역할 수행 <그림 Ⅲ-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의 주요 주체 및 역할 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시스템 구축 방안 1)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시스템 구축 ○ 일하는 청년통장 시스템 구축의 단계는 크게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 및 관련 자료 제출, 청년통장 대상자 심사, 대상자 관리, 사후관리 단계로 구성

Ⅲ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플 랫 폼 구 축 방 안 25 - 일하는 청년통장 시스템은 참가자의 신청서 접수단계부터 대상자 사후관리 단 계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 체계 구축 -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 및 심사 단계 :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관련 자료 및 증빙 서류 제출 및 처리과정 안내 등 보다 체계화된 서비스 강화를 통해 사용도 만족 도 향상 ・ 일하는 청년통장에 대한 사업 안내 및 신청 자격, 지원 조건 등 통장사업 전반 에 대한 사항 안내 <그림 Ⅲ-3>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안내 화면(예시)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26 ・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서를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접수할 수 있도록 사 용자 화면을 설계하고, 접수된 신청서 및 첨부 자료가 문서로 자동 저장되어 관 리자 및 심사위원에게 전달될 수 있는 문서자동화 시스템 도입 ・ 접수된 신청서 및 증빙서류 등은 일정한 신청서 양식 등으로 결과물 출력 및 Raw Data 등의 엑셀 파일 형식으로 저장 및 출력 기능 구현 ・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선정 체계와 주요 시스템 구성 내용은 다음 <그림 Ⅲ-4>와 같음 <그림 Ⅲ-4>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선정 체계 및 주요 내용 - 대상자 관리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의 인적변동사항, 주소지 변동 등 기본적 인적사항 수정・보완과 대상자의 통장적립금 내역조회 및 관리 등의 기능 제공 ・ 대상자 관리는 매월 청년통장 적립금 내역, 상담 및 사례관리 내역, 교육 대상자 등을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과 회원정보 변경, 중도해지자, 중도탈락자 등 지원금 관리 ・ 대상자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일하는 청년통장 협력은행인 ‘농협’의 일하는 청년통장 계좌관리 및 조회 시스템의 연동 체계 구축

Ⅲ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플 랫 폼 구 축 방 안 27 <그림 Ⅲ-5>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자 관리 화면(예시) ・ 일하는 청년통장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대상자의 적립금 납입현황 및 적립 총액 등에 대해 실시간으로 관련 Data를 주고받을 수 있는 체계가 구현되지 않 으면 통장관리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어려움 ・ 농협에서 경기복지재단에 제공하는 통장납입 등 관련 Data는 1일 단위로 업데이 트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하되, 농협에서 중개서버까지 통장납입 현황 등 Data 생성 및 송출 시스템은 농협 내부시스템으로 구축 <그림 Ⅲ-6> 경기복지재단의 일하는 청년통장 시스템과 농협 시스템의 연계 방안(안)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28 2) 청년 지원 시스템 구축 (1) 취업지원 ○ 경기도 내 공공일자리 및 채용공고 등 취업정보 연계 지원, ‘청년지원 사업’ 콘텐츠 생산 및 관리부서와 협력 체계 구축 등을 통한 취업 지원 정책의 종 합 체계 구현 - 현재 공공일자리 및 채용공고 등은 해당기관 홈페이지 및 워크넷, 민간 구직 포털 등에 산발적으로 정보제공 ・ 해당 취업 관련 정보 접근을 위해서는 해당 서비스 제공 홈페이지의 웹서핑을 통해 해당 정보 습득 - 이러한 현실적 여건을 보완하여 청년지원 플랫폼 내 취업지원 메뉴를 통해 실 시간 연계를 통한 일자리 정보 제공 - 현행 직업정보 획득체계는 각각의 직업 및 취업정보 제공 사이트 및 포털을 방문 해야 하는 불편함과 각각의 정보 확인을 위한 많은 시간 소요가 발생 - 청년지원 플랫폼을 통한 통합 직업정보 획득체계는 공공 및 민간에서 제공되 는 직업정보가 청년지원 플랫폼으로 결집되어 실시간 정보 획득이 가능하며, 각각 상이한 정보 제공 시 정보 확인을 위한 시간 소요가 상대적으로 적음 <그림 Ⅲ-7> 청년지원 플랫폼 구축으로 인한 취업정보 획득 체계 변화

Ⅲ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플 랫 폼 구 축 방 안 29 - 직업정보 관련 통합 지원체계 구축은 청년들이 자신에 맞는 직업정보를 효율 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채널의 일원화와 맞춤형 직업정보 서비스 제공이 가능 ○ 맞춤형 직업 추천서비스 제공 - 성별, 학력, 지역, 관심직업 등 관심정보를 활용하여 개인별 특성에 맞는 맞춤 형 직업정보 제공 ・ 청년취업자가 청년지원플랫폼 내 직업명, 직업 조건 등의 검색 기록을 토대로 서비스 이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직업정보 제공 ○ 멘토링 지원 서비스 - 근로 청년이 타 직장으로 이직, 업종 변경 시 해당 직장 및 업종에 대한 경험, 노하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적극적인 이・전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 해당 서비스는 신청자가 희망하는 영역 및 멘토 검색 후 상담신청 → 온라인 멘토링과 오프라인 멘토링 방식 선택 → 해당 서비스 제공 받은 후 멘토 및 서 비스 평가 ・ 멘토링 서비스 제공방식은 온라인 방식과 오프라인 방식을 병행 운영 <그림 Ⅲ-8> 멘토링 지원 서비스 지원 체계(안) -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별 멘토단을 구성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청년들이 멘토링 서비를 받을 수 있는 기반 구축이 선행 ・ 멘토단 인력풀은 금융·보험, 보건·의료, 사회복지, 문화·예술, 환경, 농림어업, 식품가공, 정보통신 등 분야별로 그룹화하여 구직방향 설계부터 실무까지 맞춤 형으로 제공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30 ・ 경기복지재단은 멘토 Pool 구성 및 멘토 검증, 멘토 지원 시스템 구축 등 멘토 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운영 체계 구축 및 관리 ・ 경기복지재단에서 구축한 운영체계를 토대로 온라인 지원서비스와 연계 - 멘토링 지원 서비스는 1차로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를 중심으로 운영 후, 관 련 시스템 정립 후 일반청년을 대상으로 확대・운영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와 일반 청년을 대상으로 동시에 진행할 경우, 관련 분 야 멘토 pool 구축 및 운영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 에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일반 청년으로 확대 (2) 교육 지원 ○ 경기도 내 31개 시・군별 일자리 센터, 경기복지재단, 경기도평생교육진흥 원 등 교육지원 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 훈련프로그램을 하나의 지원 체계 로 통합 운영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금융, 신용, 재무 등의 교육 콘텐츠는 경기복지재단에서 제작・운영 ・ 청년통장 대상자에 대한 교육 계획 및 일정, 교육 관리는 경기복지재단에서 총 괄적으로 운영 관리 - 청년계층의 교육 훈련을 지원하는 온라인 학습기능 확대 및 다양한 콘텐츠 서 비스 제공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강화 ・ 청년들의 교육 욕구는 다양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에서 제 공하는 인문학, 철학, 정보 등의 교육콘텐츠 연계・활용 ○ 청년계층의 교육지원을 위한 플랫폼의 주요 구성내용은 다음과 같음 - 유연하고 확장가능한 교육 플랫폼 구축 : 다양한 학습 콘텐츠 및 유관 기관별 학습 내용 연계가 가능한 체계 구축 - 자기재발 학습지원이 가능한 체계 구축 : 청년지원 플랫폼이 교육 지원의 허브 기능이 수행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공개 개방형 학습 체계 구축 - 모바일러닝이 가능한 체계 구축 : 모바일 서비스 기능 확대 및 활용 체계 구축

Ⅲ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플 랫 폼 구 축 방 안 31 자료 :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2016)을 토대로 수정 <그림 Ⅲ-9> 교육 지원 플랫폼 구축 체계(안) (3) 주거 지원 ○ 청년의 가장 우선적인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주거지원에 대해 실시간으로 다양한 주거지원 정보 확인 및 서비스 연계가 통합된 서비스 지원 - 청년들의 경우, 자신에게 제공되는 주거복지 서비스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부재하기 때문에 LH 및 국토해양부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마이홈, 국토해양부 온나라 시스템 등의 연계 운영 ○ LH에서 운영하고 있는 ‘마이홈’ 주거복지 제공 포털의 경우, 제공받을 수 있는 주거복지서비스 자가진단, 제공가능한 주거서비스, 지역 내 제공되는 주거복지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 제공 - 내게 맞는 주거복지 : 자신에게 맞는 생애주기별 주거지원정책과 관련 정보 제공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32 - 자가진단 서비스 : 자신의 소득, 자산, 가구구성 등 기초자료 입력을 통해 제공받 을 수 있는 주거지원 서비스를 쉽게 검색 가능 자료 : 마이홈(https://www.myhome.go.kr) <그림 Ⅲ-10> 자가진단을 통한 주거서비스 제공(예시) - 공공임대주택 정보 제공 : 거주 지역 및 인근 지역 입주 가능한 공공임대주택 의 정보(위치, 평형, 입주가격, 임대료) 등 제공 자료 : 마이홈(https://www.myhome.go.kr) <그림 Ⅲ-11> 거주지역 및 인근지역 공공임대주택 검색 서비스(예시)

Ⅲ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플 랫 폼 구 축 방 안 33 (4) 복지 지원 ○ 청년계층이 필요로 하는 복지 서비스 및 지원 등의 종합지원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복지로 시스템과 지원플랫폼과 연계 체계 구축 - 현재 ‘복지로’를 통해 생애주기형 복지서비스 제공 정보 및 온라인 신청이 가능 한 체계 구축 - 해당 복지 지원을 위한 복지 서비스 포털 사이트를 청년지원 플랫폼에 연계 및 구동하여 청년지원 플랫폼 방문 시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신청 ・ 별도의 복지서비스 체계 및 DB를 생성하지 않고, 기존의 복지로의 정보를 활용하 여 서비스를 제공하되 내부 DB에 복지로의 정보를 저장하여 서비스 연계 ○ 청년지원플랫폼 메뉴 탭에서 복지서비스 선택 후 서비스 신청은 ‘복지로’로 연동 - 복지로에서 본인에게 필요한 복지서비스 신청 후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 연계 자료 : 복지로 홈페이지(http://online.bokjiro.go.kr) <그림 Ⅲ-12> 청년지원 플랫폼과 연계된 복지로의 복지서비스 신청 (예시)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34 (5) 통합 회원관리 체계 구축 ○ 청년지원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회원가입을 전제로 하는 시스템으로 구축하되, OS(Operating System) 및 브라우저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나 쉽게 편리 하게 로그인하여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 - 사용자 편의 증진을 위해 페이스 북, 네이버, 트위터, 구글 등 간편 로그인 연계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로그인하여 사용자 불편 최소화 <그림 Ⅲ-13> 회원가입 및 로그인 화면(예시) (6) 청년지원 서비스 콘텐츠 연계 체계 ○ 각 기관별 흩어져 있는 다양한 지원 서비스 정보를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 및 청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청년지원 플랫폼에 등록 및 연계 - 각 기관별 제공되는 서비스 분류 체계는 영역별로 대분류하고, 각 영역별로 제공 가능 서비스를 중심으로 중분류, 세분류하여 서비스 목록을 분류하여 각 영역별 메뉴로 제공 ・ 각 기관별 서비스는 경기도 일자리 재단에서 구축・운영하는 청년지원 플랫폼에 각 기관이 관련 콘텐츠 등록 후 서비스 연계 ・ 경기도 일자리재단은 청년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 욕구를 반영하여 관련 서비 스 제공기관의 지원서비스 수집 및 연계

Ⅲ 경 기 도 일 하 는 청 년 통 장 지 원 플 랫 폼 구 축 방 안 35 - 청년지원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목록 및 지원에 대한 정보는 홈페이지, 모바일 앱/웹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청년계층에게 제공 ・ 청년지원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관련 정보 및 서비스 제공 ・ 청년지원 서비스의 제공은 오프라인으로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서비스 신청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모바일 앱/웹을 통해 해당 신청자에게 정보 제공 <그림 Ⅲ-14> 청년지원 서비스 연계 및 제공 체계

Ⅳ 결 론 37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 확대에 따른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접수와 심사, 대 상자 관리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필요 - 온라인 접수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참여자의 편의성 증대, 대상자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효율성 증대 - 더불어 청년 지원 정책들이 각 부처별, 기관별 분산되어 있어 접근성이 낮고 사용 편의성이 미흡 ○ 본 연구의 목적은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 온라인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통 해 관리・지원 기능의 효율성, 정보의 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한 편의성 향상 을 위한 체계 및 방안을 모색하는 것임 - 이를 위하여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시스템’, ‘청년정책 관련 정보 통합지원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체계적인 청년정책 관련 정보관리 및 축적을 위한 시 스템 구축’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음 ○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의 방향은 크게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효과성 제고’, ‘청년 관련 정보 통합서비스 제공’, ‘이용접근성 향상’ 측면의 통합 추진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효과성 제고 :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의 온라인 통합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통해 참여기회 확대 및 관리 업무의 효율성 증진 - 청년 관련 정보 통합서비스 제공 : 청년 대상별 채용정보, 교육훈련정보, 주거 지원, 복지서비스 등 청년 관련 정보 통합서비스 제공을 통한 서비스 이용의 ⨠⨠Ⅳ 결 론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38 편의성 향상 - 이용접근성 향상 : 모바일 기기별 최적화된 반응형 웹 구현을 통한 접근성 향상 ○ 일하는 청년통장 시스템 구축의 단계는 크게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 및 관련 자료 제출, 청년통장 대상자 심사, 대상자 관리, 사후관리 단계로 구성 -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 및 심사 단계 : 일하는 청년통장 신청관련 자료 및 증빙 서류 제출 및 처리과정 안내 등 보다 체계화된 서비스 강화를 통해 사용도 만족 도 향상 - 대상자 관리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의 인적변동사항, 주소지 변동 등 기본적 인적사항 수정・보완과 대상자의 통장적립금 내역조회 및 관리 등의 기능 제공 ○ 청년관련 정책 통합지원 체계 구축은 ‘취업지원’, ‘교육지원’, ‘주거지원’, ‘복 지지원’, ‘통합 회원관리 체계’ 중심의 체계 구축 - 취업지원 : 경기도 내 공공일자리 및 채용공고 등 취업정보 연계 지원, ‘청년지 원 사업’ 콘텐츠 생산 및 관리부서와 협력 체계 구축 등 종합 체계 구현 ・ 성별, 학력, 지역, 관심직업 등 관심정보를 활용하여 개인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직업정보 제공 ・ 근로 청년이 타 직장으로 이직, 업종 변경 시 해당 직장 및 업종에 대한 경험, 노하우 등을 지원함으로써 적극적인 이・전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멘토링 서 비스 지원 - 교육지원 : 청년계층의 교육 훈련을 지원하는 온라인 학습기능 확대 및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강화 및 안정적 교육 콘텐 츠 제공을 위한 지원 플랫폼 구축 - 주거지원 : 청년의 가장 우선적인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주거지원에 대해 실시 간으로 다양한 주거지원 정보 확인 및 서비스 연계가 통합된 서비스 지원 - 복지지원 : 청년계층이 필요로 하는 복지 서비스 및 지원 등의 종합지원 체계 - 통합 회원관리 체계 : 사용자 편의 증진을 위한 기존의 네이버, 구글, SNS 등의 계정과 연동하여 쉽고 편리한 회원가입 및 로그인 등 회원관리 체계 구축

Ⅳ 결 론 39 ○ 모바일에서 이용가능한 반응형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 개발을 통한 사용자 의 이용접근성 향상 - 휴대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반응형 홈페이지 구축 ○ 청년지원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접근 전략이 필요 - 1단계 :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를 중심으로 한 관리 기능 및 지원 서비스에 대 한 시스템 구축 및 연계가 필요 ・ 관련 시스템 구축을 통해 업무 효율성 확보 및 관리 체계의 신뢰도 증진 ・ 1단계에서는 일하는 청년통장 대상자를 중심으로 한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기능, 사례관리, 취업정보 연계 및 멘토링 서비스, 교육관리 서비스부터 우선 제공 ・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시스템과 관련하여 17년 상반기까지 구축되어야 할 시스 템 내용과 구성은 다음<그림 Ⅳ-1>과 같음 <그림 Ⅳ-1> 일하는 청년통장 관리 시스템 구축(안) - 2단계 : 협력네트워크 구축의 단계로 경기복지재단에서 제공되지 못하는 지원 영역(주거, 복지 서비스 등)에 대해서는 유관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콘텐츠와 시스템을 연계 ・ 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의 교육지원시스템, 중소기업지원센터 창업지원 시스템, LH의 주거정보시스템, 보건복지부의 복지로 시스템 등 연계 서비스 체계 구축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 방안 40 - 3단계 : 청년지원 플랫폼의 고도화 단계로 청년계층의 수요에 대한 적극적 반영 및 수요자 맞춤형 지원서비스를 발굴 ・ 청년지원 서비스 영역 확대, 청년 맞춤형 서비스 연계 발굴 체계 구축 ・ 청년통장 관리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스템 오류와 메뉴 개선 등을 지속적은 피드백 과정을 통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 <그림 Ⅳ-2> 청년지원 플랫폼 단계별 추진 내용

Ⅳ 결 론 41 ○ 일하는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 구축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기 위 해서는 총괄적인 역할 수행을 위한 주체 설정 - 청년통장 지원 플랫폼은 현재 경기복지재단이 주요 내용의 콘텐츠 개발과 운영이 이루어지고, 관련 시스템은 일자리재단에서 구축되고 있는 바, 유기 적인 업무 연계 및 협력을 조율할 수 있는 주체 설정이 필요 ・ 기존이 기 구축된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의 지식 시스템, 중소기업지원센터 의 청년 창업지원시스템 등은 경기도 차원에서 각 주체들의 이해관계를 조 정할 수 있는 주체의 부재 시 시간 소모가 클 것으로 예상 - 이미 구축・운영되고 있는 분야별 온라인 시스템을 청년지원플랫폼에 연계함으 로써 시스템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 ○ 청년계층의 수요를 고려한 탄력적・유기적 시스템 구축 - 공급자 중심의 지원 시스템 구축이 아닌 청년계층의 수요를 고려하여 탄력적 이고 유기적인 시스템의 구축・운영 체계 정립 ・ 청년의 정책 수요 및 지원 욕구는 계층별, 연령별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청년 계층의 획일적 수요를 고려한 시스템이 아닌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개방형 시 스템 체계로 구축 ・ 청년계층이 필요로 하는 지원 서비스 중 제공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가장 시급 한 서비스부터 우선 제공하여 순차적으로 서비스 확대 ・ 청년 수요 변동에 따라 지원 플랫폼 내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서비스의 다양한 구성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

참 고 문 헌 43 < 국내서적 > 경기도 일자리재단(2016). 󰡔고용지원 플랫폼 구축 사업추진 계획󰡕. 내부자료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2016). 󰡔차세대 통합 이러닝시스템 구축 2단계 사업 계획󰡕, 국가 공무원인재개발원. 한국정보화진흥원(2015). 󰡔행정서비스 통합제공 플랫폼 구축 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행정자치부(2015). 󰡔온라인 자원봉사 활성화 및 관리방안 연구󰡕, 행정자치부. < 신문기사 및 웹사이트 > 복지로 http://online.bokjiro.go.kr 서울시 청년플랫폼 http://job.seoul.go.kr 청년희망재단 청년희망아카데미 http://yhf.kr 청년희망재단 http://www.youthhopefoundation.kr 통계청 http://kostat.go.kr HUB PoT https://www.hubpot.co.kr LH 마이홈 https://www.myhome.go.kr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