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및 방법 	3 
Ⅱ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인연령의 상향조정 공론 현황 / 5
1. 노화와 노인연령기준	5 
2. 노년기 연령정체성 및 연령규범	8 
3. 정책대상자로 법령에 나타난 노인의 연령규정 	13 
4. 관련단체의 공론화 및 일본의 ‘고령자의 재정의’ 동향	16 
Ⅲ
  노인연령의 상향조정 공론에 따른 관련분야별 논점 분석 / 23
1. 보건학적 측면에서의 노인연령 상향 	23 
2. 공적연금 수급연령 상향조정과 정년연장 관련 해외사례	29 
3. FGI분석	36 
Ⅳ
  결론 및 제언 / 41
1. ‘신체능력과 기대여명’을 고려한 노인연령 조정 검토 유의미	41
2. ‘노인에서 신중년’으로의 사회적 인식과 이해의 과제	43
3. ‘정책대상자’로서 노인연령의 조정에 따른 지자체의 보완적 역할 모색 
    필요 	44
  참고문헌 / 47
  부    록 / 49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인 연령 상향 조정 공론화 검토를 통하여 사회에 미치는 영향 및 연령기준 조정에 고려해야 할 점과 더불어 경기도의 대응방안의 제시에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