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경기복지거버넌스

Home > 주요사업 > 복지협력강화 > 경기복지거버넌스

1.경기복지거버넌스로고경기복지거버넌스란?

경기도민의 복지체감도 향상을 위해 민·관이 상시 소통하는 쌍방향 협의체계 구축 필요성 증대에 따라 도 및 도의회 사회보장 분야 전문가, 도민이 함께 참여하여 복지현안을 논의·합의하는 기구

※ 운영근거

   – 「경기도 사회보장위원회 구성 및 운영 조례」 제10조
   – 「경기복지거버넌스 운영규정」

2.설립목적

   ○ 현장과 도정과의 소통 시스템 마련 및 협업을 통한 신뢰 구축
   ○ 민·관 협치를 통한 경기도 사회보장 정책의 효율적 실행 및 도민 정책체감도 향상

3.주요활동

   ○ 경기도 사회보장 정책 발굴·심의·연계·건의·자문
   ○ 경기도 및 시군 지역사회보장계획 모니터링
   ○ 사회보장 정책 연구·조사,포럼,사업 등 추진

4.주요연혁

경기복지거버넌스 체계 구축 - 2015. 12. 31. 경기도 사회보장위원회 구성 및 운영 조례 제정 / 제1기(2016. 4. 14. ~ 2018. 4. 13) - 2016. 4. 14. 제1기 경기복지거버넌스 출범식 및 운영 2017.7.12. 경기복지거버넌스 1주년 기념포럼 '경기복지거버넌스 미래와 전망' 2017.12.11. 제1기 경기복지거버넌스 성과평가회 / 제2기 (2018. 4. 14. ~ 2020. 4. 13.) - 2018. 4. 14. 제2기 경기복지거버넌스 출범 및 운영 2019. 5. 7. 경기복지거버넌스지원단 설치·현판식 2019. 12. 12. 제2기 경기복지거버넌스 결과보고회 / 제3기 (2020.4. 14. ~ 2022.7.31.) - 2020.4. 14. 제3기 경기복지거버넌스 출범 및 운영 2021.12.15. 2021년 경기복지거버넌스 결과보고회 2022. 5. 19. 제3기 경기복지거버넌스 정책발표회 / 제4기 (2022. 8. 29. ~ 2924.7.31.) - 2022. 8. 29. 제4기 경기복지거버넌스 개편 및 출범 2022. 10. 24. 제4기 경기복지거버넌스 출범식 2023. 6. 28. 제4기 경기복지거버넌스 교육·소통 워크숍 2023. 12. 6. 2023년 경기복지거버넌스 결과공유회 / 제5기 (2024. 8. 30. ~ 2026. 7. 31.) - 2024. 8. 30. 제5기 경기복지거버넌스 출범 2024. 10. 21. 제5기 경기복지거버넌스 출범식

5.제5기 경기복지거버넌스 구성체계

경기도 사회보장위원회 - 역할 및 기능 = 시도의 사회보장 증진을 위하여 사회보장급여법 제 40조제2항의 업무 심의·자문 ① 시도의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시행·평가에 관한 사항 ② 시도의 지역사회보장조사 및 지역사회보장지표에 관한 사항 ③ 시도의 사회보장급여 제공에 관한 사항 ④ 시도의 사회보장 추진과 관련한 중요사항 등 / 사무국 - 역할 및 기능 = 경기도 사회보장위원회 구성 및 운영조례 제11조 (전담기구의 제정 등) ① 사회보장 정책 관련 거버넌스 운영 지원 ② 사회보장 정책 발굴·제안 활동 지원 ③ 시군 균형발전 역량강화 지원 등 / 실무협의회 - 역할 및 기능 = 경기도 사회보장위원회 구성 및 운영조례 제10조 (실무협의회) ① 사회보장위원회 시전심의사항에 대한 사전 실무검토 ② 사회보장 정책발굴 및 건의 ③ 전문위원회 간 조정 및 연계·협력 / 사회보장 전문위원회 - 역할 및 기능 = ① 사회보장 현안 논의 및 정책 발굴 ② 경기도 지역사회보장계획 모니터링, 아동, 노인, 장애인 ,생활·주거보장, 건강, 고용노동, 문화여가, 환경, 시군

 

◇ 운영체계

※정책의제 반영 경로 / 전문위원회 - 사회보장 관련 의제 발의(민·관 참여자) → 실무위원회 - 복지의제 논의 및 협의안 도출 → 사회보장위원회 - 협의안에 대한 심의·자문·건의(최종심의) → 경기도 - 정책 반영  여부 검토 및 시행 등

◇ 전담기구 지정·운영

   「경기복지거버넌스」 효율적 운영 및 사무의 처리를 위한 전담기구를 경기복지재단 사회보장위원회지원팀으로 지정·운영
   ※ 지정근거 : 「경기도 사회보장위원회 구성 및 운영 조례」 제11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