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
연구개요 3
1. 연구배경 및 목적 3
2. 연구방법 8
Ⅱ
|
읍면동 복지허브화 컨설팅의 개념 및 범위 13
1. 경기도 읍면동 복지허브화 특징 및 현황 13
2. 컨설팅 사업의 개념과 범위 20
Ⅲ
|
읍면동 복지허브화 컨설팅 모형(안) 29
1. 컨설팅 수요조사 29
2. 읍면동 복지허브화 컨설팅 내용 37
3. 읍면동 복지허브화 컨설팅 과정과 컨설턴트 61
Ⅳ
|
읍면동 복지허브화 컨설팅 모형 현장 점검 67
1. 컨설팅 현장적용 준비 67
2. 각 단계별 컨설팅 현장 적용 67
3. 읍면동 복지허브화 컨설팅 모형 현장적용 평가 74
Ⅴ
|
읍면동 복지허브화 컨설팅 모형 83
1. 읍면동 복지허브화 컨설팅의 개념과 목적 83
2. 읍면동 복지허브화 컨설팅 모형 87
|
참고문헌 91
|
부 록 별권으로 발간
읍면동 복지허브화 지원을 위한 영역별 Q&A
연구 배경 및 목적
- 2017년 새정부 출범이전까지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모형으로 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을 추진되었으며, 허브화 사업은 2015년~2018년 완성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었음
-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핵심은 접근성이 높은 읍면동단위에서 주민들에게 보다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대민서비스의 상당수가 읍면동 차원으로 이관되었음
- 관련업무의 체계적 수행을 위해서는 전문성 향상과 체계적 업무수행이 필요함. 이를 위해 광역차원에서 시군, 읍면동을 지원하는 컨설팅이 필요
- 컨설팅 사업이 일정정도의 전문성을 기초로 하고 있다는 점, 과제도출과 관련 솔루션 제공이라는 점에서 체계화된 사업운영과정이 전제되어야 함. 이에 경기도 읍면동 복지허브화 컨설팅 사업추진을 위한 모형 개발이 필요
컨설팅 모형 개발 과정
컨설팅 수요조사
|
⇓
|
문헌 검토
|
⇓
|
컨설팅 모형(안) 구성
|
⇓
|
컨설팅 사업 현장점검
|
⇓
|
컨설팅 모형 최종확정
|
- 선행연구검토를 통해 읍면동복지허브화 컨설팅 모형개발은 컨설팅 수요조사, 문헌검토, 컨설팅 초안 모형 마련, 현정점검, 컨설팅 모형 최종확정과정으로 진행
- 수요조사는 컨설팅 사업이 필요한지, 어떤 내용에 대한 컨설팅 수요가 있는지 파악함
- 문헌검토는 컨설팅을 진행하기 위한 주요내용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됨. 각종 사업안내를 중심으로 주요내용을 도출함
- 컨설팅사업 현장점검은 경기도 31개 시군 중 26개 시군내 28개 읍면동이 참여해서 추진하였음. 현장검점과정에서 컨설팅 모형 수정필요한 부문, 적절성 검토 이후 수정사항을 점검
- 총 5개분야, 10개 소분류로 컨설팅 수행의 주요 내용을 마련함
읍면동 복지허브화 컨설팅은 복지사각지대를 포함하여 복지욕구가 있는 지역주민들에게 읍면동이 허브화역할을 수행하여 통합적인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함
- 구체적으로 읍면동 복지허브화 컨설팅은 맞춤형복지팀의 여건과 업무현황, 각 단위사업별 계획과 추진 과정에서 당면과제를 해결하고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원 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읍면동 복지허브화 컨설팅의 범위는 업무수행체계와 업무수행역량에 집중
컨설팅 수행과정은 여타 분야의 컨설팅사업과 유사하게 신청과 진단, 활동계획수립, 실행, 평가 및 환류로 추진
- 민간 기업대상 컨설팅의 계약과 착수가 중요한 단계이지만, 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의 경우 공공기관에서 수행하는 업무이며 별도의 계약이 없다는 점에서 자발적으로 신청해 참여하도록 유도
- 진단은 관련 자료(지역현황 자료, 업무분장자료, 업무분석), 실무자 인터뷰를 활용
- 활동계획 수립은 컨설팅 영역별, 지역별 컨설턴트를 구성하여 team approach로 지역별 솔루션을 구상함. 이때 해당 지역의 민간협의체 위원, 민간복지기관 종사자 등 다양한 지역관계자가 참여
- 실행은 해당 지역에서 컨설팅을 진행하는 단계이며, 실행과정에서 이뤄지는 서비스는 진단에 따른 분석결과 보고, 자문 및 토론, 사례중심의 실습, 퍼실리테이션 방식의 사업발굴 등으로 진행됨
- 평가는 컨설팅 이후 만족도 조사 뿐만 아니라 사후 컨설팅 대상 읍면동을 방문해 컨설팅 내용이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검토하고, 이를 통해 추가적인 솔루션 제공 및 컨설팅 모형 수정을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