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없는 성장이 지속되면서 복지국가의 고용창출 정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해외 주요 선진국의 고용창출정책의 핵심적인 목표는 실업률을 낮추기 보다는 고용률을 높이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목표와 관련하여 공공의 고용창출을 지원하는 근로연계복지와 일자리 창출정책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1998년 후반 도입된 공공근로사업을 시작으로 2000년 자활사업, 2003년 사회적일자리사업, 2011년 사회보장기본법의 개정으로 인한 사회서비스 영역의 확대 등 일련의 정책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 정책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공공의 일자리창출사업에서 나타난 사회서비스 영역에 대한 주목은 우리 사회전반의 사회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인식을 제고하였으며, 서비스 공급 및 수요를 확충하는 계기가 되었다. 사회서비스는 고령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수요에 대해 사회가 공동으로 대응체계를 갖추도록 하는 사회보장의 한 축이다. 이러한 사회서비스의 확충은 사회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창출함과 동시에 사회구성원의 서비스 욕구에도 부응하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