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역 | 실태조사 주요 내용 | 정책 목표 | 적정기준 | 
| 소득 | ․ 경기도 월평균소득 338만원 ․ 전체 빈곤율 : 10.2%(절대), 12.2%(상대) ․ 아동빈곤율 : 5.6%, 5.8% ․ 노인빈곤율 : 37.7%, 47.1% ․ 장애인빈곤율 : 38.8%, 48.0% | 경기도는 경제적인 욕구가 있는 모든 도민에게 거주지역의 수준에 맞게 필요한 급여를 제공한다 | ․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를 최소화하여 기본생활을 유지하도록 함 ․ 이를 위해 상대빈곤율을 2020년까지 도민 11.2%, 아동 5.8%, 노인 44.2%, 장애인 41.5%로 감소하는 것으로 목표로 함 | 
| 일자리 | ․ 경기도고용율 : 61.4% ․ 노인고용률 : 25.3% ․ 장애인고용률 : 2.49% | 경기도는 일자리 참여욕구가 있는 모든 도민에게 거주지역의 수준에 맞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 ․ 노인고용율 : 30.2%(전국수준) ․ 장애인고용률 : 3.5%(강원수준) | 
| 주거 | ․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 4.6% ․ 주거비 부담(RIR) : 30.5% ․ 공공임대주택 공급률 : 7.3% | 경기도는 도민이 거주지역과 상관없이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 4.6%유지 ․ 주거비 부담 : 25.0% 이하 | 
| 노인 돌봄 | ․ 돌봄필요노인 :16.6% ․ 돌봄서비스 이용률 : 19.4% ․ 돌봄비용부담 : 월소득의 15.8% | 경기도는 돌봄이 필요한 가구가 소득과 무관하게 거주지역에서 제공하는 돌봄서비스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 돌봄서비스 이용률 : 35.8% 이상 ․ 돌봄비용부담 : 월소득 7% 미만 | 
| 장애인 돌봄 | ․ 돌봄필요장애인 : 40.1% ․ 돌봄서비스 이용률 : 20.0% ․ 돌봄비용부담 : 월소득 8.4% | ․ 돌봄서비스 이용률 : 40.1%이상 ․ 돌봄비용부담 : 월평균 5% 미만 | 
| 건강 | ․ 만성질환 발병률 : 22.0% ․ 건강검진율 : 53.4% ․ 노인자살률 : 73.8명(10만명 당) | 경기도는 모든 도민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원한다 | ․ 만성질환 발병율 : 고혈압 8.5%, 이상지질혈증 2.8%, 뇌졸중 0.2%, 당뇨병 3.1%, 관절염 1.9% ․ 노인자살률 : 전국 평균 64.2명 | 
| 인프라 | ․ 사회복지관 : 73개소 ․ 노인복지관 : 62개소 ․ 장애인복지관 : 31개소 | 경기도는 모든 도민의 여가를 위한 시설을 대상별 수요에 맞게 공급한다 | ․ 사회복지관 : 12.7만명당 1개소(90개소) ․ 노인복지관 : 1.5만명당 1개소(79개소) ․ 장애인복지관 : 1만명당 1개소(41개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