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1】한미 쇠고기 협상이 타결되어 미국 쇠고기가 수입된 경우 우리나라에서         변종CJD가 발생할 위험성은 얼마나 됩니까?  | 
 
  ⇒ 미국산 쇠고기 수입으로 인한 변종CJD 발생 위험은 매우 낮습니다.  | 
 
  ○ 1986년 영국에서 시작된 광우병(소, BSE) 유행이 이제는 정점을 지나서 매우       감소하고 있고, 이와 관련된 변종CJD 환자 발생도 급격하게 감소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변종CJD 환자 발생 위험이 매우 낮은 상태입니다.
    ○ 미국에서도 1997년 동물성사료 사용을 제한하면서 그 이후에 태어난 소에서는        광우병이 발생한 사례가 없으며, 미국 자체에서 발생한 변종CJD환자도 없습니다.
    ※ 미국 광우병 발생 현황 : 3두 발생(이중 1두는 캐나다에서 도입)   ※ 미국 변종CJD환자 발생 현황 : 3명(2명은 영국, 1명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감염됨)   ※ MBC PD수첩에서 변종CJD가 의심된다고 보도된 환자는 미국 질병관리청(CDC)       예비조사결과, 변종CJD가 아닌 것으로 밝힘(5.5 미국 농무부 브리핑)
 
   | 
 
문2】유전자 상으로 우리나라 사람이 변종CJD에 걸릴 위험이 더 높은가?   | 
 
  ⇒ 아직까지 우리나라 사람이 다른 인종에 비해서 변종CJD 위험이 높다고 단정할      수 있는 근거는 없습니다. 향후에 심도있는 조사와 연구를 통해 밝혀내는      것이 필요합니다.  | 
 
  ○ 단일 유전자 하나가 변종CJD 발병을 좌우하지는 않고 발병에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합니다.
    ○ 변종CJD에도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다른 발병위험요인들이 있을 것이며 또한         인종적인 차이도 있을 것입니다.
      – 현재까지 영국에서 발생한 변종CJD환자들 중 절대 다수에서 129번 유전자형이         MM형으로 나온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건강한 인구 중에서 MM형 인구비율은        나라마다 다른데, 동양인에서 MM형 인구가 90%이상으로 많은 편입니다. 
    ※ 우리나라 94%, 일본 93%, 대만 97%, 영국 36%, 미국 41%
 
   | 
 
문3】우리나라의 변종CJD에 대한 대책은 무엇입니까?  | 
 
 ⇒ 우리나라는 변종CJD감시와 관리에 민간과 정부가 긴밀히 협조하면서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 정부는 변종CJD를 감시하기 위해, 2001년 2월부터 CJD(변종CJD 포함)를  법정       전염병으로 지정하여 관리해오고 있습니다.      – 신경과 전문의가 근무하는 전국 의료기관  323개소를 표본감시의료기관으로       지정하여, CJD 환자 및 의심환자 신고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신고된 CJD환자에 대해서는 역학조사관(의사)이  정밀하게 사례조사를 하여       변종CJD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 또한  , , 전용실험실 운영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문4】전세계적으로 변종CJD환자는 얼마나 발생하였으며, 우리나라에도      발생한 적이 있습니까?  | 
 
  ⇒ 우리나라는 변종CJD는 발생한 적이 없습니다.  | 
 
  ○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변종CJD환자는 11개국에서 204명이 발생하였습니다.       (‘08.4월 현재, 영국 정부 자료) 
      – 모든 변종CDJ환자는 광우병 발생 지역에서 거주하거나 여행한 경력이       있습니다.  
 
 
 
 
국가  |  
 
영국  |  
 
프랑스  |  
 
아일랜드  |  
 
미국  |  
 
네덜란드  |  
 
캐나다  |   
 
 
환자수  |  
 
163  |  
 
23  |  
 
4  |  
 
3  |  
 
2  |  
 
1  |   
 
 
국가  |  
 
이탈리아  |  
 
일본  |  
 
포르투갈  |  
 
스페인  |  
 
사우디아라비아  |   
 
 
환자수  |  
 
1  |  
 
1  |  
 
2  |  
 
3  |  
 
1  |  
   | 
 
문5】국내에서 변종CJD환자가 사망하였다고 언론에 보도된 적이 있는데      사실인가요?  | 
 
  ⇒ 언론에서 보도된 사망환자는 산발성CJD 환자로 변종 CJD와는 무관합니다.  | 
 
  ○ 보도된 환자(‘06.1월 보건소를 통해서 신고)는 발생 연령(50대 중반), 뇌파 및       MRI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CJD로 진단되었으며, 사례조사를 실시한 결과        산발성CJD로 최종 진단된 환자입니다.
      – 산발성CJD는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산발적으로 생기며, 전세계적으로        모든 나라에서 인구100만명당 0.5 ~ 1명꼴로 발생합니다.             – 변종CJD는 광우병에 걸린 소의 위험물질(변형 프리온 단백질)이 오염된       식품을 먹어서 생기는 신종 질환이며, 산발성CJD와는 다른 질환으로, 산발성        CJD를 변종CJD로 혼동하면 안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