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정책연구보고서

Home > 2. 발간물 > 정책연구보고서

정책연구소보고서 게시판 상세(제목, 저자, 발행일, 권호, 첨부)
제목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의 핵심역량진단도구개발 연구 : 중간관리자를 중심으로
저자 경기복지재단
발행일 2018.08
권호 2018-04
첨부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의 핵심역량진단도구개발 연구 보고서_편집_0905.pdf 미리보기
목차

|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의 절차 및 방법 5
3. 용어의 정의 12







|
선행연구 검토 13

1. 역량의 개념 15
2. 사회복지기관 중간관리자의 역할과 핵심역량 관련 선행연구 17
3. 중간관리자 핵심역량 추출 26







|
핵심역량진단도구 개발 31

1. 전문가 면담 및 자문을 통한 핵심역량과 기초문항 도출 33
2. FGI를 통한 핵심역량과 기초문항 검토 38
3.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및 진단도구 예비문항 도출 43
4. 진단도구 예비문항의 구성타당도 검증 62
5. 최종 핵심역량 진단도구 확정 76







|
결론 및 제언 79

1. 요약 81
2. 정책적 제언 83







|
참고문헌 87



|
부록 91


요약

연구의 필요성

  • 역량에 기반하여 교육수요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역량의 도출과 이를 진단할 수 있는 진단도구개발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기관 중간관리자들이 역할 수행 시 요구되는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함
  • 팀 체제 하에서 중간관리자의 책임과 역할이 강조되는 사회복지조직의 특성을 바탕으로 중간관리자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함

 

연구의 절차

  • 문헌분석을 통해 요인을 구성하고 통계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요인의 구성을 재조정하고자, 전문가 자문, FGI, 설문조사를 통한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구인타당도 검증의 연구방법을 사용함

 

중간관리자 핵심역량진단도구 개발

  • 핵심역량진단도구의 기초문항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중간관리자 핵심역량과 기초문항을 추출하였고, 이를 HRD 전문가 인터뷰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수정보완함
  • 최종 6개 핵심역량, 15개 하위역량, 70개 문항 도출함
  • 2차에 걸친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통해 사회복지 현장의 특성이 반영된 역량구성과 진단문항 보완함
  • 1차 FGI에서는 역량명과 역량 구성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여 3개 역량에 대한 하위역량을 1개씩 추가하였고, 2차 FGI에서는 역량진단문항의 문구의 적절성을 검토하여 중간관리자의 행동특성에 부합하도록 수정함
  • FGI를 통해 6개 핵심역량, 18개 하위역량, 77개 문항을 도출함
  •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핵심역량과 하위영역 정의, 진단문항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함
  • 1차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4점 미만의 타당도를 보인 문항에 대한 문장을 수정하고, 모호한 표현이나 의미가 중복되거나 유사한 문항은 구체적인 행동묘사 표현으로 각 문항의 의미가 차별화 될 수 있도록 재진술함
  • 2차 내용 타당도 검증 결과 역량의 구성, 역량정의, 역량진단문항이 논리적으로 타당하게 잘 구성되었음을 검증함
  •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최종 도출된 역량과 예비문항은 6개 핵심역량, 18개 하위역량, 77개 문항임
  •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핵심역량진단도구 예비문항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함
  •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커뮤니케이션 역량관련 1문항, 상황관리 역량관련 3문항, 총 4문항을 삭제함
  • 역량의 구성을 살펴보면,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전달력과 수용력, 문서 커뮤니케이션으로, 팀워크 역량은 협력촉진과 팀시너지 창출로, 상황관리 역량은 상황판단, 문제예방, 문제해결, 갈등조정으로, 성과관리 역량은 사업관리, 팀시너지 창출로, 변화관리 역량은 변화분석, 변화촉진, 네트워크 역량으로, 직업윤리 역량은 인간존중, 책무성, 권익옹호로 구성됨
  •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서는 팀워크 관련 2개 문항을 삭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각 요인 및 핵심역량 전체의 모형적합도는 적합하였음
  • 상기의 절차를 통해 6개 핵심역량, 17개 하위역량 최종 71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핵심역량진단도구를 개발함

 

정책적 제언

  • 개발된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중간관리자가의 현 수준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간관리자를 위한 교육계획 수립이 필요함
  • 중간관리자교육의 전체 그림 속에서 중간관리자 핵심역량이 이해되어야 하며, 전체 중간관리자교육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활용되어야 함
  • 예비중간관리자 교육 및 현직 중간관리자 교육의 전체적인 그림 속에서 중간관리자들이 규명된 핵심역량들을 연계성을 갖추고, 개발 및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함
  • 사회복지기관 중간관리자의 핵심역량진단도구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선정 및 개발하고, 이를 통해 중간관리자의 역량강화를 지원하여야 함
  • 경기복지재단은 중간관리자의 핵심역량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강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여야 함
  • 중간관리자 개인의 역량을 스스로 진단하여 자신의 역량수준에 따라 학습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웹기반 역량진단시스템 개발이 필요함
  • 도출된 중간관리자 핵심역량은 선발, 채용과 배치 시 평가준거로 활용 가능함
  • 채용 및 선발에 활용 시, 기관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도출된 핵심역량을 활용한 별도의 평가도구 개발이 필요함

 

 

키워드

사회복지기관, 중간관리자, 핵심역량, 행동지표, 진단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