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전체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장애인구 역시 고령화가 되고 있는데, 이는 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른 수명연장에 기인함
    – 고령장애인의 문제는 신체적, 심리ㆍ정서적 문제와 함께 노인문제ㆍ장애문제가 동반 되어 나타나고 있음
    – 경기도의 경우, 2015년 고령화율은 38.4%로 전국보다 장애인의 고령화율은 낮으나 군단위에서 고령화율이 더 높고 대부분의 장애인이 중고령층에 집중되어 있음
    – 최근 인구 고령화와 함께 고령장애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정책 연구는 여타 장애인 대상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관심이 필요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고령장애인의 실태 및 욕구 파악을 통해 정책과제를 마련 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음
      ・ 첫째, 고령장애인의 개념정리와 경기도 고령장애인 현황 파악
      ・ 둘째, 경기도 고령장애인의 실태 및 욕구 파악
      ・ 셋째, 경기도 고령장애인 지원을 위한 정책대안 제시
 
□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 연구범위
    – 공간적 범위 : 경기도
    – 내용적 범위 : 고령장애인 실태 파악
    – 연구내용
      ・ 고령장애인의 개념 및 경기도 고령장애인 현황 분석
      ・ 국내외 고령장애인 정책 동향 분석
      ・ 고령장애인 인터뷰 및 실태ㆍ욕구 분석
      ・ 고령장애인 지원을 위한 정책대안 마련
  ○ 연구방법
    – 문헌, 자료검토 및 분석
    – 고령장애인의 개념 및 고령장애인 현황 분석
    – 자문회의
    – FGI 및 2차 자료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