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정책연구보고서

Home > 발간물 > 정책연구보고서

정책연구소보고서 게시판 상세(제목, 저자, 발행일, 권호, 첨부)
제목 사회복지사의 경력개발 방안 연구
저자 경기복지재단
발행일 2013.07
권호 2013-03
첨부 2013_03사회복지사의 경력개발 방안 연구-종합사회복지관 직무전문성 육성방안을 중심으로.pdf 미리보기
목차
Ⅰ서 론




Ⅱ이론적 배경



1.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개발 관련 요인
1)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개념과 요소
2) 환경변화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관련 요인
3) 사회복지사의 역량
4) 사회복지사의 역량 선행연구 고찰
5)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직무교육 선행연구 고찰

2. 경력개발제도
1) 경력개발의 개념
2) 경력개발제도
3) 경력경로 설정 모형
4) 경력개발 사례


Ⅲ연구방법



1. 연구절차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분석방법


Ⅳ연구결과


1. 경력개발제도 인식조사
1) 경력개발제도 인식현황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과 분석

2. 경력개발제도 도입 및 운영조건
1) 경력개발을 위한 선결조건(중복응답)
2) 보상방법
3) 경력개발 지원을 위해 필요한 제도(중복응답)
4) 경력개발을 못하는 이유(중복응답)
5) 경력개발을 위한 역량강화방법(중복응답)
6) 경력개발 지원방법
7) 경력개발 유형
8) 직무전문성이 높은 직무(중복응답)
9) 직무전환 희망
3. 대표직무 및 역량
1) 대표직무 선정
2) 직무역량 모델링
3) 직무역량 설문분석 결과

4. 경력개발제도 설계
1) 직무전문가육성 표준 직무경력 경로
2) 경력개발제도 운영
3) 경력개발지원제도

5. 경력개발제도를 연계한 직무전문가 육성체계
1) 역량개발계획
) 역량대비 교육과정 매칭을 통한 교육과정 로드맵 수립
3) 역량모델 활용방안


Ⅴ결론


1. 요약
1) 설문분석 결과
2) 경력개발제도 설계
3) 경력개발제도를 연계한 직무전문가 육성체계
2. 정책제언

■ 참고문헌
요약

본 연구는 경기도 내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사의 직무전문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 목적은 첫째,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둘째, 종합사회복지관의 대표직무 선정과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역량모델을 도출하여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전문역량을 진단한 후 경력개발제도와 연계한 경력경로와 직무전문가 육성체계를 제시하며, 셋째, 경력개발제도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절차는 다음과같다.


첫째, 현황분석을 실시하였다. 현황분석은 문헌조사를 통해서 우리나라 공공
민간부문에서의 경력개발제도를 비롯하여 경력개발운영, 경력개발제도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둘째, 현황분석을 토대로 포커스그룹인터뷰,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종합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전문역량 도출과 검증, 경력개발인식과 운영체계에 관한 설문지를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참여자는 총 247명이었다.

셋째,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토대로 경력개발제도와 연계한 경력경로와 직무전문가 육성체계 그리고 경력개발제도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인식은 근속년수가 7년 이상인 사회복지사가 높았으며, 직급별로도 과국장급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개발제도 도입을 위한 운영조건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는,

경력개발을 위한 선결조건으로 직무분석과 직무분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경력개발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과중한 업무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개발을 위한 역량강화방법은 수퍼비전(supervision)체계 구축으로 나타났으며, 경력개발을 위한 지원방법으로는 ‘근무시간 내’의 학습과 자기개발 참여 용이성/활용이 응답빈도가 가장 많았다. 한편 경력개발에 대한 선호하는 유형으로는 ‘여러 분야의 직무를 경험한 후 한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하고 싶다.’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직무전환과 관련한 응답은 7년 이상~10년 미만의 집단에서 직무전환을 가장 많이 희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직무전문역량과 관련하여 사례관리, 지역사회조직화, 프로그램 개발 및 관리, 조직관리 및 행정, 4가지 대표직무로 구분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대표직무별로 중요도와 실행도가 가장 높은 역량을 살펴보면, 사례관리 직무는 클라이언트 욕구파악 역량, 지역사회조직화 직무는 지역사회욕구조사/분석 역량, 프로그램 개발 및 관리 직무는 프로포절 작성 역량, 마지막으로 조직관리 및 행정 직무는 인력관리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IPA검증결과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현저히 떨어져 시급히 개선이 필요한 집중노력영역에 있어서는, 사례관리 직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지역사회조직화 직무는 지역사회(주민) 이해, 지역자원분석/관리, 주민리더발굴/양성 역량이었고, 프로그램 개발 및 관리 직무는 프로그램전략 수립, 조사설계/분석, 프로그램 마케팅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관리 및 행정 직무는 직원육성과정개발/평가, 직무관리, 위기관리 역량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집중노력영역은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설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개발제도를 설계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경력개발제도를 연계한 직무전문가 육성체계도 마련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제언을 하였다.

첫째, 종합사회복지관의 경력개발체계 수립 및 제도 구축의 필요성

둘째, 경력개발을 위한 종합사회복지관의 직무관리체계 강화

셋째, 경력개발을 위한 지원체계로 수퍼비전과 학습체계 강화

넷째, 본 연구로 도출된 직무역량군을 직무교육과 경력개발을 위해 진단과 평가도구로 적극 활용

다섯째, 경력개발체계 구축을 활성화 및 인식화를 제고하기 위해 시설평가체계에서의 지표 내용, 관련 교과목 지침에서의 논의 강화

마지막으로 경기복지재단이 경력개발 제도 구축과 종합사회복지관에서의 경력개발에 관한 교육과정 개발과 지원체계를 마련 및 운용

이상의 연구결과가 사회복지사의 경력개발을 지원하고 경력개발제도의 마련과 개선의 계기가 되어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강화되고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에 기여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