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3
2. 연구 목적 및 방법	6
3. 연구 한계	10
Ⅱ 노인일자리와 자원봉사의 현황 11
1. 노인일자리와 자원봉사의 개념	13
2. 경기도 노인일자리와 자원봉사의 현황 및 과제	24
3. 국외사례	34
Ⅲ 노인일자리와 자원봉사명의 영역 재분류 37
1. 영역 재분류 개요	39
2. 노인일자리 영역	51
3. 자원봉사 영역	57
4. 호환가능 영역	61
Ⅳ 분석결과 69
1. 노인일자리 영역	71
2. 자원봉사 영역	72
3. 호환가능 영역	73
4. FGI 분석	76
Ⅴ 결론 및 제언  85
1. 영역의 가이드라인	87
2. 노인일자리와 자원봉사의 호환가능 영역의 활성화	90
3. 행정부처 및 관련기관의 연계도모를 위한 지자체의 역할	92
참고문헌	95
Ⅵ 부록 97
부록 1. 현장 FGI 가이드	99
부록 2. 현장전문가의 재분류표	101
부록 3. 노인자원봉사 및 시민서비스현황 – 국외사례	119
연구목적
첫째, 경기도의 노인일자리와 자원봉사의 중간적 영역의 가능성을 모색하여 노인에 적합한 근로형태의 영역으로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영역의 가이드라인 제시에 있음.
둘째, 노인일자리와 자원봉사의 영역에 초점을 두고 두 영역의 재분류를 통하여 고령사회의 다양한 사회참여의 일환으로 갈등이 없이 서로 어울릴 수 있는 영역의 융화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