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2. 연구범위 및 한계 • 4
Ⅱ. 이론적 논의 및 분석틀 / 8
1. 일자리지원사업의 정의 및 범위 • 8
2. 일자리지원사업 조정의 필요성 • 20
3. 일자리지원사업 중복 및 사각지대 분석 • 22
Ⅲ. 연구방법 / 28
1. 일자리지원사업 조사내용 • 28
2. 분석모델 • 31
Ⅳ. 경기도내 일자리지원사업 분석 / 34
1. 전국 대비 경기도 일자리지원사업 수행기관 분포 • 34
2. 경기도 일자리지원사업 수행기관 분포 • 43
3. 경기도 일자리지원사업 프로그램 분포 • 55
Ⅴ. 결론 / 80
1. 요약 • 80
2. 정책 제언 • 84
❏ 참고문헌 / 88
❏ 부록 1 / 91
부록 2 / 100
부록 3 / 102
외환위기 이후 일자리가 사회적 화두로 제시됨.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생산적 복지’ 등 노동연계복지를 강화하였고, 노인, 장애인, 여성, 취약계층에 대한 다양한 일자리지원사업이 급속도로 증대하게 되었음. 이에 일자리지원사업의 통합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음.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첫째, 경기도내 일자리지원사업 수행기관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일자리지원사업 내용을 분석하고 각 제공기관별로 어떤 대상과 특징을 가지고 일자리지원사업을 제공하는지 살펴봄. 이 과정에서 유사한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살펴보도록 함. 둘째, 시·군별 인구수, 실업자수, 노인인구수, 여성인구수 등을 고려하여 일자리지원사업의 입지계수, 형평성 지수를 활용해 일자리지원사업의 분포 정도를 분석함.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313개 일자리지원사업 수행기관에서 실제 수행하고 있는 일자리지원사업을 행정자료와 설문을 통해 분석했음. 또한 비형평성계수와 입지계수를 활용해 중복과 누락분석의 과학성을 확보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