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
서론 1
1. 연구의 목적 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Ⅱ
|
나눔문화 거버넌스와 경기도 현황 7
1. 나눔문화, 거버넌스, 플랫폼 및 상호관계에 대한 고찰 9
2. 경기도 나눔문화 현황 20
3. 시사점 53
Ⅲ
|
나눔문화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방안 55
1. 나눔문화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모델의 필요성 57
2. 거버넌스 체계로서 ‘경기도 나눔문화 플랫폼(안)’구축의 전략적 목표 62
3. ‘경기나눔문화 플랫폼’ 기본 모델 75
Ⅳ
|
결론 91
1. 연구의 요약 93
2. 정책적 제언 – 행·재정적 지원체계 96
|
참고문헌 99
연구 배경 및 목적
- 경기도는 31개 시군의 다양한 구조 속에서 각 시군별 혹은 기관별 개별로 개별적 활동을 벌이고 있어, 이들을 통합적으로 연계하고 정보를 취합할 수 있는 중점 기관은 부재한 상황임
- 부산광역시(2009년), 강원도(2009년) 등 광역시도에서 센터 설립을 통해 지역중점관리기관을 설치하여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정보망을 구축운영하는 것에 비해 경기도는 중점기관이 부재한 상황
- 사회공헌에서의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은 개인과 기업의 두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으며, 기 설치된 사회공헌정보센터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단순 연계기능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음
- 그러나 개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부분도 개인기부자의 수 또한 과거에 비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을 고려하여, 경기도형 사회공헌정보센터에서는 양자를 포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
- 이에 나눔문화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의 필요성과 타당성 조사를 통해 향후 경기도의 종합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
나눔문화, 거버넌스, 플랫폼 및 상호관계에 대한 고찰
- 일반적인 비법률적 용어인 ‘나눔’의 법률적 용어는 ‘기부’로 활용되고 있으며, 기부의 범위는 사회환경적 변화에 따라 금전이나 물품에서 식품, 자원봉사, 장기기증 까지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
- 본 연구에서의 ‘나눔’의 의미는 개인(또는 단체)의 자발성비보상성·공공성을 바탕으로 행하는 물질적·시간적 나눔을 의미
- 거버넌스는 지역사회의 복지정책결정과정에서 합리성의 확보 및 협력가능성 제고, 공급주체간 역할 재정립, 복지서비스의 효율성 및 통합성 증대, 지역사회복지역량강화, 지역사회 조직활동 및 연대활동의 발전 등의 장점을 가짐(류진석. 2011)
- 나눔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직적 거버넌스 구조와 더불어 책임성과 주도적 역할도 공유하는 수평적 거버넌스 구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형 거버넌스 조직’으로 확장하는 것도 중요
- 기존의 나눔구조는 기부자와 중개기관, 수혜자의 3 주체간 선형성의 일방향적 진행구조를 가지고 있어 투명성, 중복성, 낮은 효율성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 플랫폼 등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해결책 마련이 필요
- 그러나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나눔 구조하에서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순환형쌍방향적 구조로의 변화와 더불어 불특정 다수의 다양한 사용자(이해관계자)가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짐
-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나눔활성화 방안은 ⅰ)기부자의 편의성 증진, ⅱ)신뢰성 및 투명성 제고, ⅲ)풀뿌리 기관의 참여 증진, ⅳ)중개기관 효율성 증진 등의 장점을 가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