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연구기반사업보고서

Home > 발간물 > 연구기반사업보고서

연구기반사업보고서 게시판 상세(제목, 저자, 발행일, 주최, 주관, 첨부)
제목 2017 사회복지시설평가 사후관리사업
저자 경기복지재단
발행일 2017.12
주최 연구기반사업보고서
주관 2017-05
첨부 [사2017-05] 2017 사회복지시설평가 사후관리사업.pdf 미리보기
목차

|
사회복지시설평가 사후관리사업의 개요 1

1. 사업배경 3
2. 사업추진경과 및 효과성 확인 5
3. 2016년 사회복지시설평가 9
4. 2017년 사업추진과정 10







|
사후관리사업 추진결과 13

1. A시설(아동복지시설) 15
2. B시설(아동복지시설) 23
3. C시설(아동복지시설) 32
4. D시설(장애인거주시설) 40
5. E시설(장애인거주시설) 47
6. F시설(장애인거주시설) 54
7. G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61
8. H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68
9. I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74
10. J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82
11. K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89
12. L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95
13. M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102
14. N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108







|
사후관리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115

1. 만족도 조사 117
2. 개선방안 119







|
부 록 123
요약

사회복지시설평가 사후관리사업의 개요

  • 사회복지시설평가는 사회복지시설의 운영 효율화와 서비스 질 향상을 통한 복지수준 향상을 목적으로 함
  • 2016년 사회복지시설평가는 아동복지시설 34개소, 장애인거주시설 81개소, 장애인단기시설 23개소, 장애인공동생활가정 123개소, 장애인직업재활시설 66개소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음
  • 2016년 평가결과 아동복지시설의 경우 34개소 중 최우수(A등급) 19개소, 우수(B등급) 5개소, 양호(C등급) 4개소, 보통(D등급) 2개소, 미흡(F등급) 4개소, 장애인거주시설의 경우 81개소 중 최우수 42개소, 우수 30개소, 양호 3개소, 미흡 6개소,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경우 66개소 중 최우수 28개소, 우수 27개소, 양호(C등급) 9개소, 보통 16개소, 미흡 31개소로 나타남
  • 2016년 평가결과에 따르면 2014년 재단에서 실시한 사회복지시설평가 사후관리 사업의 대상시설 13개소(2013년 시설평가 양호등급 시설) 중 4개소가 최우수, 8개소가 우수시설로 평가되었으며, 1개소는 양호등급을 유지하여 대상시설의 3%가 평가등급이 향상되었음
  • 사회복지시설평가 사후관리 사업의 목적은 시설 운영개선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시설에 대하여 컨설팅 지원 등을 통해 시설서비스 수준 향상 및 시설 운영의 선진화를 도모하는 데 있음
  •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사업대상시설 33개소 중 0%인 32개소가 평가등급이 향상되었음. 따라서 사후관리는 사회복지시설의 운영개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어 지속적인 사업수행의 필요성이 제기됨
  • 사후관리 컨설팅은 아동복지시설 3개소, 장애인거주시설 3개소, 장애인직업재활시설 8개소를 대상으로, 대상시설 선정, 자문단 구성, 대상시설 의견수렴, 현장자문, 자체평가, 만족도조사 과정으로 진행되었음

 

사후관리사업 추진결과

  • A시설(아동복지시설)
  • 2016년 시설평가 결과 A, C, D, F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A영역에서 2개, B영역 1개, C영역 2개, D영역 4개, E영역 1개, F영역 2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2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7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시설환경을 개선하고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21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B시설(아동복지시설)
  • 2016년 시설평가 결과 A, C, D, F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A영역에서 2개, B영역 1개, C영역 2개, D영역 4개, E영역 1개, F영역 2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2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7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시설환경을 개선하고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24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C시설(아동복지시설)
  • 2016년 시설평가 결과 C, E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A영역에서 1개, C영역 1개, E영역 1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2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7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아동 및 직원의 인권보장 노력을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개선되어 14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D시설(장애인거주시설)
  • 2016년 시설평가 결과 B, C, D, E, F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B영역에서 1개, C영역 1개, D영역 6개, E영역 1개, F영역 2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2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7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고 자원봉사자 관리를 체계화 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27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E시설(장애인거주시설)
  • 2016년 시설평가 결과 B, C, D, F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C영역에서 1개, D영역 4개, E영역 2개, F영역 2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2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7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고 자원봉사자 관리를 체계화 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19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F시설(장애인거주시설)
  • 2016년 시설평가 결과 C, D, F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C영역에서 1개, D영역 3개, E영역 1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2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7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고 이용자 및 직원의 인권보장 노력을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17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G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 2016년 시설평가 결과 B, C, D, F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C영역에서 1개, D영역 4개, F영역 1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2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7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고 후원금품 관리를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25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H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 2016년 시설평가 결과 A, B, C, E, F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A영역에서 3개, B영역 1개, C영역 3개, D영역 1개, E영역 1개, F영역 2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2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7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시설환경을 개선하고 인적자원 관리를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25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I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 2016년 시설평가 결과 B, C, D, E, F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B영역에서 1개, C영역 3개, D영역 4개, E영역 3개, F영역 2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2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7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인적자원 및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고 이용자 권리를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32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J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 2016년 시설평가 결과 B, C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A영역에서 1개, B영역 1개, C영역 4개, D영역 2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2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7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인적자원 및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17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K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 2016년 시설평가 결과 A, D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A영역에서 2개, D영역 3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2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7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시설환경을 개선하고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25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L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 2016년 시설평가 결과 B, C,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A영역에서 1개, B영역 1개, C영역 1개, D영역 3개, F영역 1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2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7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22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M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 2016년 시설평가 결과 B, C, D, F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B영역에서 1개, C영역 2개, D영역 3개, E영역 1개, F영역 1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2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7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인적자원 및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19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N시설(장애인직업재활시설)
  • 2016년 시설평가 결과 B, D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D영역 5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2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7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21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사후관리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 만족도조사 결과, 컨설팅 진행 과정 및 내용, 시설 및 종사자의 수용 및 적용정도, 컨설턴트 및 사업담당자의 자질 및 태도 등 컨설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평균이 65점(5점 척도)으로 비교적 높게 나왔음
  • 사후관리사업의 개선방안으로 다음사항을 제시
  • 사후관리사업 운영의 내실화
  • 사업의 필요성과 진행과정에 대한 충분한 사전공유
  • 취약한 부분에 대한 집중 관리
  • 대상시설 현황에 따른 컨설팅 방식 다변화
  • 사회복지시설 유형별 우수시설 연계체계 마련
  •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지원체계 마련
  • 컨설턴트 인력풀 구축
  • 사후관리사업의 제도화
  • 담당공무원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 운영개선 효과가 큰 시설에 대한 인센티브 마련
  • 직원역량강화 기회로 연계
  • 사회복지시설 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통합적인 지원체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