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단기정책보고서

Home > 발간물 > 단기정책보고서

단기정책보고서 게시판 상세(제목, 저자, 발행일, 권호, 첨부)
제목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통합사례관리 실태분석 : 초기단계를 중심으로
저자 경기복지재단
발행일 2018.09
권호 2018-22
첨부 GGWF REPORT 2018-22_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통합사례관리실태분석.pdf 미리보기
목차

|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4







|
문헌검토 / 7

1. 읍면동 중심 복지전달체계 구축과 업무현황 7
2. 대면서비스방식으로 업무전환과 공공인력의 전문성 강화 9







|
설문조사 결과분석 / 17

1. 조사개요 17
2. 설문조사 결과 22
3. 소결 49







|
결 론 / 53

1. 요약 53
2. 정책적 제언 54







|
참고문헌 / 59



|
부록 / 61


요약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정부는 복지사각지대 해소와 복지체감도 향상을 위해 복지전달체계를 시군구 중심에서 읍면동 중심으로 확대하여 주민이 찾아오기 쉽고 주민 곁으로 찾아가는 복지를 추구
  • 이에 따라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역할도 찾아가는 방문상담, 복지사각지대 발굴, 통합사례관리 등의 최일선 전문가로서의 역할전환이 요구
  • 특히 통합사례관리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욕구를 가진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연계 및 제공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사업으로 첫 만남과 초기상담 및 욕구조사에 이르는 초기단계가 내실있게 수행될 때 맞춤형 복지서비스의 명확한 방향설정 가능
  • 개인의 가치관에 치우치지 않고 사회복지가치 기반의 실천을 바탕으로 통합사례관리를 위한 각종 기술을 갖춘 전문적 자질을 갖춘 담당자 필요
  • 본 연구는 읍면동 맞춤형복지팀의 통합사례관리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통합사례관리의 초기단계에 중점을 두어서 이를 수행하는데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회복지가치와 지식 그리고 기술에 대한 이해와 실천수준, 교육요구 등 실태를 파악
    – 향후 연구결과는 공공복지상담 가이드 개발 및 교육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

 

연구방법

  • 문헌분석을 통해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추진과 읍면동 맞춤형복지팀 주요업무 검토
  • 통합사례관리 업무 담당자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한 초기단계 실태 파악
  • 읍면동 맞춤형복지팀의 통합사례관리담당 공무원과 통합사례관리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여 총 241개의 데이터를 설문분석에 활용함. 읍면동 통합사례관리업무 담당 공무원의 분석 데이터는 총 163부이고 통합사례관리사는 총 78부
  • 조사내용은 ①통합사례관리 업무의 중요도, 수행도, 난이도 ②통합사례관리 초기단계(첫 만남~욕구조사)의 실태 ③통합사례관리 초기단계 과업의 중요도, 수행도 난이도 ④통합사례관리를 위한 가치와 기술에 대한 인지여부, 사용여부, 중요도 ⑤강점관점 및 생태체계관점 사례관리 실천정도로 구성

 

설문조사 결과

  • 통합사례관리업무의 전 과정에서 초기단계에 해당하는 초기상담과 욕구 및 위기도 조사 과업은 통합사례관리에서 특별히 중요하고 어려운 단계로 나타남
  • 초기상담, 욕구 및 위기도 조사, 서비스 제공 계획수립 과업은 중요도, 수행도, 난이도는 평균점수보다 높게 나타난 과업으로, 업무 중에 많이 수행하는 과업이지만 여전히 어렵고 통합사례관리에서 중요한 업무임을 알 수 있음
  • 통합사례관리담당공무원들은 통합사례관리 초기단계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및 가이드 제공 등의 지원을 제공해야 함
  • 상담에 비협조적인 대상자와도 원활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체계적인 상담지식 및 스킬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뿐만 아니라, 관련분야 전문가와 교류하거나 슈퍼비전에 참여하는 등의 비형식교육에도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함
  • 통합사례관리 초기단계에게 역량강화가 필요한 영역은 관계구축, 자원사정, 욕구사정, 강점사정의 영역임을 알 수 있어, 교육 및 가이드 개발 등을 통한 역량강화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
  • 통합사례관리를 위한 기술은 충분히 체득화하지 못하여 업무 현장에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단순 지식을 전달하는 수준이 아닌 사례별 구체적인 가이드 제공이나 지속적은 반복 실습이 가능한 교육과정 지원이 필요함
  • 강점관점 및 생태체계관점의 통합사례관리 실천은 미흡한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통합사례관리사와 비교하여도 그 수준이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통합사례관리의 기술적인 측면 뿐 만 아니라 관점에 대한 교육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함

 

정책적 제언

  • 공공인력이 통합사례관리 초기단계(첫 만남~욕구조사)에 관한 지식과 기술의 체득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분화된 교육설계를 통한 집중적 교육과 상세하고 정교한 실천가이드의 제공이 필요
  • 통합사례관리 초기단계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은 실습형 참여식 교육방식을 대폭 도입해서 현장과 유사한 상황을 연습하고 익히는 학(學)과 습(習)이 병행되어야하며, 전문적인 지도를 제공하여야 함
  • 공공복지서비스의 질을 확보하고 복지체감도 향상이라는 정책방향이 안착하려면 조직차원의 구조적 문제점 개선과 지원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읍면동장의 적극적인 복지리더로서 역할수행이 요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