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정책연구보고서

Home > 발간물 > 정책연구보고서

정책연구소보고서 게시판 상세(제목, 저자, 발행일, 권호, 첨부)
제목 경기도 시설장애인의 자립과정 경험 연구
저자 이병화 外
발행일 2022. 12.
권호 2022-21
첨부 경기도 시설장애인의 자립과정 경험 연구.pdf 미리보기
목차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3
2. 연구 내용 및 방법 4


이론적 배경 7
1. 장애인과 자립 9
2. 장애인 자립 관련 선행연구 15
3. 소결 26


경기도 자립장애인 자립과정 인터뷰 29
1. 조사개요 31
2. 분석결과 33
3. 소결 54


경기도 자립장애인의 자립인식과 욕구분석 59
1. 분석개요 61
2. 분석절차 62
3. 분석결과 69
4. 소결 83


결론 및 제언 87
1. 결론 89
2. 제언 93

참고문헌 99

부록 105
1. 93개 Q 모집단 107
요약

1. 연구목적과 내용
□ 연구목적
○ 시설 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 과정을 세부적으로 파악하여 정책 방향을 마련하는 것임

□ 연구내용 및 방법
○ 연구내용
– 시설장애인의 자립 관련 동향 및 선행연구 분석 정리
– 시설장애인의 자립 과정 인터뷰
・ 지역사회 자립한 장애인을 시설의 추천을 받아 개인별 심층인터뷰
・ 자립 전 생활, 자립의 이유, 자립 준비 과정, 자립생활 초기 적응 과정, 현재 자립생활 실태, 향후 자립생활 전망 파악
– 자립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인식과 욕구파악
– 시설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정책 방향 마련
○ 연구방법
– 문헌검토 : 시설장애인의 자립 관련 동향 및 선행연구 분석 정리
– 자문회의 : 학계 및 현장 전문가, 관련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인터뷰 문항 개발, 연구의 방향성 및 대안 마련에 대한 의견 청취
– 인터뷰 : 시설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퇴소하여 자립정착금을 받고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1:1 심층인터뷰 7명 수행
– Q 방법론 : 자립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인식과 욕구를 유형별로 파악하여 지원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자립 과정에서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조사(30명)
・ Q 방법론은 인간의 주관성을 강조하며 이를 과학의 대상으로 포함시켜 인간의 심리적 내면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방법론으로 개인의 내면적 인식의 다양성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음
・ 일반적인 심리학적 연구방법과 달리 통계학적 연구방법이 포함되어있어 과학적 근거와 논리적 기반 마련에 유리함
2. 자립과정 인터뷰
□ 인터뷰 개요
○ 인터뷰 대상
– 거주시설 및 장애인 자립생활지원센터의 추천을 받은 7명(지체·뇌병변 장애인 3명, 발달장애인 3명, 시각장애인 1명)을 대상으로 실시함. 시설에서 생활하는 장애인이 주로 발달장애 및 지체ㆍ뇌병변 장애인임을 고려하여 추천받음
○ 인터뷰 방법
– 인터뷰 대상자와 사전 유선으로 방문을 약속하여 가정을 방문하거나 장애인의 일터, 자택 주변의 조용한 카페에서 1:1로 인터뷰 진행하였으며 약 2시간 진행
○ 질문내용
– 자립 전 생활, 자립의 이유, 자립 준비과정, 자립생활 초기 적응과정, 현재 자립생활, 향후 자립생활에 대한 전망, 자립생활의 의미

□ 인터뷰 분석 결과

3. Q 방법론을 활용한 자립에 대한 인식과 욕구분석
□ Q 방법론 수행 개요
○ 수행목적 : 장애인 자립 경험에 대해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주관성과 인식의 차이를 유형화하여 분석해 보고, 유형별로 장애인 자립과 관련하여 필요한 욕구와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함
○ 분석절차

□ 분석결과(자립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인식과 자립유형)
○ 1유형 : 철저한 준비형
– 철저한 준비형은 자립을 위해서는 충분하고 철저한 자립 준비가 반드시 필요하며, 제대로 된 준비 없이 섣불리 자립하는 것은 오히려 장애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문항5) 생각하고 있음.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 연령, 장애유형에 있어 특정 집단에 치우치지 않고 모두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
– 특히 자립 준비의 중요성을 매우 강조하고 있으므로, 자립에 대해 미리 체험해 보면서 자립에 필요한 교육과 지원을 제공하는 체험 홈이 자립에 있어 반드시 필요하며(문항6)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음
– 혼자 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기 때문에 주위의 도움을 통해 자립을 준비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고(문항3), 현재도 활동지원사의 도움이 있기에 생활이 가능하다고(문항11) 생각함. 자립에 있어서 정부의 지원이 많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음(문항4)
– 자립 전 많은 준비를 하였으며, 자립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배우고 익히며(문항9), 주위 자립한 친구들을 통해 자립 준비와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얻으며(문항19) 일상을 잘 살기 위한 준비를 계속하고 있음
– 미래에 대한 걱정이 많은데(문항24) 특히, 자신의 몸이 아플까봐 건강을 가장 걱정하고 있음(문항 22). 자유로운 자립생활에 대해 만족해하고 있지만, 장애로 인한 여러 현실적인 제약이 있어 주어진 생활과 여건에 맞춰 살고 있음
○ 2유형: 관계 중심형
– 관계 중심형은 자립생활에 있어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에 대한 욕구가 매우 크며, 자립 이후 사람들과 함께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소통할 기회가 많아짐에 따라 만족해하고 있음(문항 8).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의 비율이 여성보다 2배 이상 더 높고, 50대 이상이 중심을 이루고 있음
– 사람들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들은 시설에서 많은 사람들과 불편한 관계를 맺으며 힘들어했었는데(문항1) 자립 이후 주위 사람들과의 관계를 자유롭게 형성하면서 삶의 만족도가 매우 높아졌음(문항8). 활동지원사와도 친밀하고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여(문항 11) 자신의 삶에서 꼭 필요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있음
– 지역사회 안에서 활동하며 사람들을 만나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있으며, 정부지원도 자립장애인의 지역사회 활동 지원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함(문항4)
○ 3유형: 적응 진행형
– 적응 진행형으로 자립생활이 아직 편하고 익숙하지 않아 계속해서 적응하려고 노력 중인 유형임. 자립 전 생활이 힘들었기 때문에 자립을 선택하였으며 자립 전보다 지금이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음.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40대 중년층이 중심이 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변화를 두려워하고 안정을 추구하는 중년 나이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자립 전 익숙한 생활에서 벗어나 새로운 환경에서 적응해 나가는 과정이 부담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자립생활이 주는 설렘과 자유도 좋지만 동시에 두려움과 걱정이 더 크다고(문항 7) 느낄 때가 많음. 가사일을 비롯하여 혼자 사는 것이 힘들게 느껴질 때가 있으며(문항 14), 혼자 생활을 하는 것이 두렵기에 활동지원사에게 많은 부분을 의지하는 경향이 있음(문항 11). 정부의 지원에도 다양한 부분에 대해 상당히 의지하고 있으며(문항4), 개인별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함(문항 13)
○ 4유형: 자유와 책임형
– 자유와 책임형으로 자립생활의 자유에 대해 만족하며 진심으로 즐기고 있으며, 자유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생활을 책임져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최선을 다하고 있음.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4배 더 높고, 다른 유형에 비해 정신적 장애인이 많이 속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자립 전의 생활과 비교하여 내가 원하는 대로 하고 싶은 대로 살 수 있는 지금의 삶에 매우 만족하고 있으며(문항12), 현재 자립하여 혼자 사는 삶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아서 자립 전의 생활로 돌아가고 싶지 않은 마음이 매우 강함(문항26)
– 성공적인 자립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제력이라고 생각하는데(문항 29), 경제력을 갖추기 위해 장애인도 일해서 소득을 얻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함(문항31). 이들에게 돈이 중요한 이유는 돈이 있어야 자유롭게 자신이 원하는 활동들을 할 수 있기 때문임. 활동지원사는 자신의 활동을 도와주는 고맙고 꼭 필요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음(문항11)
– 자신이 스스로 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움을 받는 데 도움을 준 사람 덕분에 자립할 수 있었음에 감사하며(문항4), 주위 사람 덕분에 걱정 없이 자립생활을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함(문항18). 자신감 있게 자립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봄(문항4)

4. 제언(정책방향)
□ 경기도
○ 체험홈 확대와 체험홈에서의 거주기간 연장
○ 주거지원정책 및 자립생활정착금 확대

□ 시군 및 민간의 역할
○ 자립지원 정책 홍보 강화
○ 지역사회 내 장애인 편의시설 인프라 확대
○ 자립장애인을 위한 사회적 관계망 형성 지원
□ 자립장애인의 자립인식과 욕구유형에 따른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