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단기정책보고서

Home > 2. 발간물 > 단기정책보고서

단기정책보고서 게시판 상세(제목, 저자, 발행일, 권호, 첨부)
제목 치매 안심사회를 위한 ‘경기도 치매안심센터’의 활성화 방안
저자 김춘남 外
발행일 2023. 8.
권호 2023-14
첨부 치매 안심사회를 위한 ‘경기도 치매안심센터’의 활성화 방안.pdf 미리보기
목차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5






치매사회와 국내·외 치매정책 동향 / 9

1. 치매사회와 국내·외 치매정책 동향 9
2. 경기도 치매안심센터 운영 현황 21
3. 소결 30






경기도 치매안심센터 활성화 저해요인 사례분석 / 33

1. 분석 개요 33
2. 경기도 치매안심센터 현황 사례분석 34
3. FGI 39
4. 소결 48






경기도 치매안심센터의 활성화 방안 / 51


1. 치매노인의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를 위한 맞춤형 경기도 치매안심센터의 유연한 운영 필요 51
2. 치매안심센터 고유의 기능을 살린 아웃리치 서비스 제공 54
3. 치매쉼터 기능 확대 55
4. 고용안정 및 경기도 치매안심서비스의 균형적 제공 57






참고문헌 / 59
요약

□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 안심사회를 위한 ‘경기도 치매안심센터’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구체적으로 경기도 치매안심센터의 현황 및 사업내용의 심층분석을 통하여 센터 활성화 저해요인 및 과제를 도출하여 활성화 방안 마련
– 첫째, 경기도 치매안심센터 현황과 사업내용의 심층분석을 통하여 센터 활성화 저해요인 및 개선 과제 탐색
– 둘째, 사업 관련 담당자 FGI를 통한 관계자 및 전문가 현장 의견수렴
– 셋째, 경기도 치매안심센터의 활성화 방안 제시

□ 연구 방법
○ 문헌 검토, 경기도 치매안심센터 현황 및 사업내용 심층분석
– 치매사회의 현황 및 행정자료 분석, 국내·외 관련 치매정책 동향분석
– 경기도 치매안심센터 운영현황 및 센터 활성화 저해요인을 중심으로 심층분석
・ 경기도 46개소 치매안심센터 사례 심층분석: 경기도 지역맞춤형 치매안심센터 운영방안 연구(2021), 경기도 치매안심센터 사업운영 사례집(2021), 경기도 치매안심센터 2022년 활동보고서(2022) 중심으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현황 및 사례 심층분석
・ 경기도 치매안심센터 사업운영 사례집(2021): 총 88개 사업의 내용분석 및 사업 재구성
○ FGI, 현장 및 학계 의견수렴
– 사업관련 담당자(관리직 및 사업별 담당자) 2그룹으로 구분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구성하여 실시
・ FGI 주요 질문내용은 1)치매안심센터 사업의 경험 2)향후 치매안심센터 사업의 지속을 위해 필요한 요소 3)치매안심센터의 역할에 대한 내용 등으로 구성
– 분석자료를 근거로 관련 학계 전문가와 치매안심센터의 활성화를 위한 실천 가능한 정책 등 논의

□ 정책제언
○ 치매노인의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를 위한 맞춤형 경기도 치매안심센터의 유연한 운영 필요
–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경기도 치매안심센터 두 가지 유형, ‘도시형과 도농복합 및 농촌형’으로 유연한 운영
– 치매사회, 치매노인의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를 위한 경기도 지역맞춤형 치매안심센터로서 핵심적 역할 수행
・ 익숙한 곳에서 계속 살아갈 수 있도록 지역맞춤형 치매안심센터로서 치매예방 및 치매인식개선, 치매쉼터 제공 등 핵심적인 서비스 제공에 집중
○ 치매안심센터 고유의 기능을 살린 아웃리치 서비스 제공
– 지역사회 내 치매 인식개선 및 치매친화적 문화 조성을 위한 아웃리치 서비스 개발 및 확대 제공
– 치매당사자 및 치매가족, 치매에 관심을 가진 모든 분들을 위한 치매안심센터로서 특성을 살린 서비스 제공
・ 치매안심센터의 특화사업의 새로운 시도로서 특성을 살린 서비스 개발 및 제공
○ 치매쉼터 기능 확대
– 치매안심센터의 가장 큰 한계는 돌봄 및 쉼터 기능이 제한적인 점으로 낮시간 동안 경증의 인지기능저하 대상자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 확대 등을 통하여 치매가족의 삶의 질 향상과 부양부담 경감에 기여
– 치매어르신의 등록, 사례관리, 돌봄 가족의 부담 완화 지원 등 서비스 공급 차원으로 보건복지부와 지자체 보건소의 치매안심센터 운영과 치매안심마을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더욱 치매친화 생활환경 조성에 참여
– 치매안심센터의 서비스 내용과 품질을 개선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평가 중심보다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컨설팅이 중요
○ 고용안정 및 경기도 치매안심서비스의 균형적 제공
– 치매안심센터의 핵심 인력인 사회복지사, 작업치료사, 간호사 등 복지와 보건 및 의료 영역의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인력고용체계 구축
・ 불안정한 고용 형태는 이직률을 높이고 사업의 연속성이 떨어짐. 이에 안정적인 인력 고용체계 구축과 더불어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하여 핵심 인력이 활동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역량 강화 등 교육지원 체계 마련 필요
・ 보건, 의료, 복지 전문 직종 간 협업을 위하여 업무 내용을 명확하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조직(시스템) 중심의 접근을 통한 협업을 도모
・ 협업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치매안심센터가 관련 기관에 줄 수 있는 자원(인적, 물적)이나 서비스 등을 먼저 진단하고 어떠한 것이 가능한지에 대해 구체화
– 경기도의 역할은 경기도 치매안심서비스의 균형적인 제공
・ 앞서 언급한 아웃리치 서비스 제공 및 치매쉼터 운영에 있어서 경기도의 지역적 차이를 고려하여 치매안심서비스의 균형적인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경기도가 집중해야 할 역할
・ 서비스 아웃리치 강화 및 치매쉼터 확대시 필요한 인력은 자원봉사자의 활용 또는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사회공헌 일자리로 연계 가능성 검토
・ ‘경기도 치매안심서비스’를 소책자 또는 브로슈어, 치매안심사회를 위한 주요 정보 제공의 유튜브(U-tube) 등을 개발하여 관심 있는 이들에게 정보 제공 및 치매안심센터의 홍보와 동시에 경기도의 균형적인 치매안심서비스 제공으로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