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3
2. 연구 방법 및 절차 8
Ⅱ
대상별 심리상담 및 국내외 지원정책 현황 11
1. 심리상담의 이해 13
2. 아동·청소년 심리상담관련 지원 정책 17
3. 청년 심리상담관련 지원 정책 37
4. 중장년 및 노년 심리상담관련 지원정책 49
5. 소결 60
Ⅲ
경기도 심리상담 지원사업 현황 65
1. 아동/청소년 심리상담 지원사업 67
2. 청년 심리상담 지원사업 72
3. 중장년 심리상담 지원사업 73
4. 노인 심리상담 지원사업 74
5. 기타 심리상담 지원사업 75
6. 소결 81
Ⅳ
경기도 심리적 안녕에 관한 실태 분석 85
1. 실태조사 개요 87
2. 조사분석 결과 95
3. 소결 152
Ⅴ
결론 157
1. 요약 159
2. 정책적 과제 167
참고문헌 177
부록 187
1. 경기도민 심리적 안녕 실태조사 설문지 189
2. 경기도민 심리적 안녕 실태조사 결과 20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발달 및 심리적 특성과 국내외 및 경기도 심리상담 지원사업 현황, 그리고 경기도민의 심리적 안녕 실태를 파악하고, 생애주기별 심리상담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함
-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경기도의 생애주기별 심리상담 지원사업 현황을 살펴보았고, 경기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하여 자료를 분석함
- 아동의 경우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하는 2018 아동․청소년패널 자료 중 본 조사에 포함된 변인과 유사한 변인에 대한 초4학년 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함(조사시점 2021년도 중1). 해당 패널 데이터에서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아동은 594명(남자 284명, 여자 310명)으로 구성되어 있음
- 심리상담 지원사업
- 경기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심리상담 지원사업은 주로 복지국과 여성가족국에 많이 분포되어 있고, 그 외에 평생교육국, 사회적경제국 등에서 실시되고 있음
- 아동․청소년
-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심리상담 지원을 하는 중앙부처는 여성가족부, 교육청, 교육부, 보건복지부로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지원하고 있음
- 경기도에서 진행되는 아동청소년 대상의 심리상담 지원사업은 생애주기별로 볼 때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청소년과, 여성정책과, 가족다문화과, 복지사업과, 아동돌봄과 등에서 사업을 지원하고 있음
- 청년
- 청년을 대상으로 심리상담 지원을 하는 중앙부처는 고용노동부, 교육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로 직간접적으로 청년층의 정신건강을 지원하고 있음
- 경기도에서 청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상담 지원사업은 매우 적은 수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 중장년 및 노인
-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공공차원의 노인상담 지원사업은 ‘경기도 노인종함상담센터’, ‘서울시 어르신 상담센터’, ‘대구중구 노인 상담소’의 3곳에서 전문적으로 제공하고 있음
- 중년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심리상담 지원사업은 노년기보다 더욱 열악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 경기도 내 중장년 및 노인 대상의 심리상담 지원사업은 실질적으로 경기도노인종합상담센터에서 총괄하여 제공되고 있으며, 타 연령층에 비해 지원되는 심리상담 지원사업의 수가 절대적으로 적음
일반적인 심리적 특성
- 주관적 건강상태 및 심리상담 욕구
- 신체 건강상태의 평균점수는 7점 만점에 28점, 스스로 평가하는 정신건강 상태의 평균점수는 7점 만점에 4.58점으로 나타남
- 최근 1년간 자살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5%로 10명 중 2명 이상은 자살을 생각해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 중에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에 대한 응답 비율이 48.1%로, 10명 중 4명 이상이 일상생활 중에 스트레스를 느끼는 편으로 나타남
- 과거 심리상담 이용경험율은 전체 3%로 나타났으며, 심리상담을 받았던 기관에 대해서는 ‘사설 상담센터’가 47.0%로 가장 높았음
- 과거에 어떤 어려움으로 심리상담을 받았는지에 대해서는 정서 문제(61.7%)>가족 문제(32.0%)>‘대인관계문제(28.0%) 순으로 나타남
- 경기도에서 심리상담 서비스 제공 시 이용 의향에 대해서 전체의 9%가 이용의사를 나타냈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이용 의향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 심리상담을 통해 다루고 싶은 영역에 대해서는 정서 영역이 3%로 가장 높았고, 제공받기를 원하는 심리상담 서비스 종류는 개인상담이 77.6%로 가장 높았음
- 심리적 안녕에 관한 체감도
- 삶의 만족감에 대한 평균점수는 7점 만점에 70점이며, 40대의 평균점수가 3.59점으로 가장 낮았음
- 우울에 대한 평균점수는 3점 만점에 04점이며, 20대의 평균점수가 1.20점으로 가장 높았음. 불안에 대한 평균점수는 4점 만점에 2.29점이며, 20대의 평균점수가 2.42점으로 가장 높았음
- 희망에 대한 평균점수는 4점 만점에 52점이며, 20대의 평균점수가 2.45점으로 가장 낮았음. 사회적 고립감에 대한 평균점수는 4점 만점에 2.55점이며, 70대의 평균점수가 2.58점으로 가장 높았음
- 사회적 지지에 대한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46점이며, 40대의 평균점수가 3.34점으로 가장 낮았음
- 발달과업 중요도와 현재 수행 정도
- 청년기 발달과업 중요도의 대한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95점이며, 현재 수행정도에 대한 평균점수는 3.50점으로 나타남
- 중장년기 발달과업 중요도의 대한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85점이며, 현재 수행정도의 대한 평균점수는 3.32점으로 나타남
- 노년기 발달과업 중요도의 대한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03점이며, 현재 수행정도의 대한 평균점수는 3.62점으로 나타남
생애주기별 심리적 특성
- 조사대상 전체
- 삶의 만족, 희망 등 긍정화된 심리적 변인은 중간응답치를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남. 긍정적인 변인에서는 노인기가 높게 나타났고, 부정적인 변인에서는 청년기가 높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었음
- 우울변인의 경우 노년기를 제외한 전체 연령대에서 평균적으로 우울한 경향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었음
- 자살에 대한 생각은 보통 이상으로 보고하고 있는 응답자가 457명으로 전체 응답자 2000명의 약 85%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남
- 발달과업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모든 생애주기 단계에서 중요도를 인식하는 것에 비해 현재 자신의 발달과업 수행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남
- 경기도에서 제공하는 심리상담 서비스 이용을 희망하는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 2,000명 중 1,238명(61.9%)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청년기 7%, 중장년기 67.9%, 노년기 41.3% 순으로 심리상담 희망 의향을 나타냄
- 아동청소년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하는 2018 아동․청소년패널 자료 중 본 연구의 실태조사에 포함된 변인과 유사한 변인에 대한 초등4학년 4차년도 데이터 분석을 활용함(조사대상은 경기도 거주기준 아동 594명으로 남자284명, 여자310명 임)
- 아동․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변인은 학업성취만족도, 자존감, 그릿, 친구관계가 정적으로 유의했으며, 우울은 아동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 특히 부모의 방임이 아동·청소년의 우울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남
- 청년
- 청년기는 다른 세대에 비하여 우울, 불안, 스트레스, 자살사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삶의 만족과 주관적 정신건강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남
- 심리상담 제공 시 이용 의향을 묻는 질문에 대해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령이 낮을수록 심리상담 서비스를 이용하겠다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청년기 발달과업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확인한 결과 중요도와 수행정도 간 차이를 보였으며, 모든 과업 영역에서 중요도만큼 현재 수행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남
- 중장년 및 노년
- 40,50대의 중장년과 60,70대의 노년은 상반되는 답변이 많았고 특히, 40대는 60,70대와는 정반대의 결과를 보임
- 60대의 경우 주관적인 신체건강, 정신건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스트레스 수준도 가장 낮게 나타남. 반면 40, 50대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 모두 좋지 않다고 평가하였고 자살생각, 스트레스, 불안은 청년층 다음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냄
- 70대는 삶의 만족과 사회적 지지에서 가장 높은 평균을 보인데 반해, 40대는 가장 낮은 삶의 만족과 사회적지지 수준을 보임
- 70대는 고립감이 높은 것에 비해 사회적 지지에 있어서 높게 지각하였고, 40대는 고립감이 가장 낮았는데, 반면 사회적 지지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지각을 나타냄.
- 발달과업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확인한 결과 중장년기와 노년기 모두에서 중요도와 수행정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임
- 정책적 과제
- 아동청소년
- 아동․청소년의 발달과업을 고려한 심리상담 지원과 예방적 차원의 접근
- 아동청소년의 기초역량 강화
- 심리상담 서비스 개선
- 청년
- 경기도 청년층의 심리적 건강을 위한 예방적이고 성장지향적 지원
- 청년층을 위한 전문적 심리상담 지원과 심리건강서비스 확충
- 경기도 청년층을 위한 예방적/세대별 심리상담적 접근
- 중장년 및 노인
- 장년층 대상의 다양한 심리상담 프로그램 제공 시급
- 우울 예방을 위한 캠페인과 교육, 다학제간 통합적 치료모형 고려
- 온라인상담, 찾아가는 상담의 활성화
- 경기도의 과제
- 정부의 정신건강정책 대전환(2023.12.)을 고려한 경기도 심리상담 지원정책 마련
- 경기도 심리상담 지원서비스를 총괄하는 지원체계 구축과 종합적 지원계획 수립
- 심리상담지원체계 강화와 상담방식의 다양화
- 도민의 삶의 질을 관리할 수 있는 정책적 캠페인 사업 추진
- 도민의 심리적 안녕을 위한 예방적 차원의 지원과 지속적 후속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