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정책연구보고서

Home > 2. 발간물 > 정책연구보고서

정책연구소보고서 게시판 상세(제목, 저자, 발행일, 권호, 첨부)
제목 생애주기별 심리상담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저자 신재은 外
발행일 2023. 12.
권호 2023-21
첨부 생애주기별 심리상담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pdf 미리보기
목차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3
2. 연구 방법 및 절차 8


대상별 심리상담 및 국내외 지원정책 현황 11

1. 심리상담의 이해 13
2. 아동·청소년 심리상담관련 지원 정책 17
3. 청년 심리상담관련 지원 정책 37
4. 중장년 및 노년 심리상담관련 지원정책 49
5. 소결 60


경기도 심리상담 지원사업 현황 65

1. 아동/청소년 심리상담 지원사업 67
2. 청년 심리상담 지원사업 72
3. 중장년 심리상담 지원사업 73
4. 노인 심리상담 지원사업 74
5. 기타 심리상담 지원사업 75
6. 소결 81


경기도 심리적 안녕에 관한 실태 분석 85

1. 실태조사 개요 87
2. 조사분석 결과 95
3. 소결 152


결론 157

1. 요약 159
2. 정책적 과제 167

참고문헌 177

부록 187
1. 경기도민 심리적 안녕 실태조사 설문지 189
2. 경기도민 심리적 안녕 실태조사 결과 201
요약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발달 및 심리적 특성과 국내외 및 경기도 심리상담 지원사업 현황, 그리고 경기도민의 심리적 안녕 실태를 파악하고, 생애주기별 심리상담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함
  •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경기도의 생애주기별 심리상담 지원사업 현황을 살펴보았고, 경기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하여 자료를 분석함
  • 아동의 경우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하는 2018 아동․청소년패널 자료 중 본 조사에 포함된 변인과 유사한 변인에 대한 초4학년 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함(조사시점 2021년도 중1). 해당 패널 데이터에서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아동은 594명(남자 284명, 여자 310명)으로 구성되어 있음

 

 

  • 심리상담 지원사업
  • 경기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심리상담 지원사업은 주로 복지국과 여성가족국에 많이 분포되어 있고, 그 외에 평생교육국, 사회적경제국 등에서 실시되고 있음
  • 아동․청소년
  •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심리상담 지원을 하는 중앙부처는 여성가족부, 교육청, 교육부, 보건복지부로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지원하고 있음
  • 경기도에서 진행되는 아동청소년 대상의 심리상담 지원사업은 생애주기별로 볼 때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청소년과, 여성정책과, 가족다문화과, 복지사업과, 아동돌봄과 등에서 사업을 지원하고 있음
  • 청년
  • 청년을 대상으로 심리상담 지원을 하는 중앙부처는 고용노동부, 교육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로 직간접적으로 청년층의 정신건강을 지원하고 있음
  • 경기도에서 청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상담 지원사업은 매우 적은 수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 중장년 및 노인
  •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공공차원의 노인상담 지원사업은 ‘경기도 노인종함상담센터’, ‘서울시 어르신 상담센터’, ‘대구중구 노인 상담소’의 3곳에서 전문적으로 제공하고 있음
  • 중년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심리상담 지원사업은 노년기보다 더욱 열악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 경기도 내 중장년 및 노인 대상의 심리상담 지원사업은 실질적으로 경기도노인종합상담센터에서 총괄하여 제공되고 있으며, 타 연령층에 비해 지원되는 심리상담 지원사업의 수가 절대적으로 적음

 

 

  • 경기도민의 심리적 안녕

일반적인 심리적 특성

  • 주관적 건강상태 및 심리상담 욕구
  • 신체 건강상태의 평균점수는 7점 만점에 28점, 스스로 평가하는 정신건강 상태의 평균점수는 7점 만점에 4.58점으로 나타남
  • 최근 1년간 자살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5%로 10명 중 2명 이상은 자살을 생각해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 중에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에 대한 응답 비율이 48.1%로, 10명 중 4명 이상이 일상생활 중에 스트레스를 느끼는 편으로 나타남
  • 과거 심리상담 이용경험율은 전체 3%로 나타났으며, 심리상담을 받았던 기관에 대해서는 ‘사설 상담센터’가 47.0%로 가장 높았음
  • 과거에 어떤 어려움으로 심리상담을 받았는지에 대해서는 정서 문제(61.7%)>가족 문제(32.0%)>‘대인관계문제(28.0%) 순으로 나타남
  • 경기도에서 심리상담 서비스 제공 시 이용 의향에 대해서 전체의 9%가 이용의사를 나타냈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이용 의향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 심리상담을 통해 다루고 싶은 영역에 대해서는 정서 영역이 3%로 가장 높았고, 제공받기를 원하는 심리상담 서비스 종류는 개인상담이 77.6%로 가장 높았음
  • 심리적 안녕에 관한 체감도
  • 삶의 만족감에 대한 평균점수는 7점 만점에 70점이며, 40대의 평균점수가 3.59점으로 가장 낮았음
  • 우울에 대한 평균점수는 3점 만점에 04점이며, 20대의 평균점수가 1.20점으로 가장 높았음. 불안에 대한 평균점수는 4점 만점에 2.29점이며, 20대의 평균점수가 2.42점으로 가장 높았음
  • 희망에 대한 평균점수는 4점 만점에 52점이며, 20대의 평균점수가 2.45점으로 가장 낮았음. 사회적 고립감에 대한 평균점수는 4점 만점에 2.55점이며, 70대의 평균점수가 2.58점으로 가장 높았음
  • 사회적 지지에 대한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46점이며, 40대의 평균점수가 3.34점으로 가장 낮았음
  • 발달과업 중요도와 현재 수행 정도
  • 청년기 발달과업 중요도의 대한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95점이며, 현재 수행정도에 대한 평균점수는 3.50점으로 나타남
  • 중장년기 발달과업 중요도의 대한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85점이며, 현재 수행정도의 대한 평균점수는 3.32점으로 나타남
  • 노년기 발달과업 중요도의 대한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03점이며, 현재 수행정도의 대한 평균점수는 3.62점으로 나타남

 

생애주기별 심리적 특성

  • 조사대상 전체
  • 삶의 만족, 희망 등 긍정화된 심리적 변인은 중간응답치를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남. 긍정적인 변인에서는 노인기가 높게 나타났고, 부정적인 변인에서는 청년기가 높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었음
  • 우울변인의 경우 노년기를 제외한 전체 연령대에서 평균적으로 우울한 경향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었음
  • 자살에 대한 생각은 보통 이상으로 보고하고 있는 응답자가 457명으로 전체 응답자 2000명의 약 85%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남
  • 발달과업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모든 생애주기 단계에서 중요도를 인식하는 것에 비해 현재 자신의 발달과업 수행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남
  • 경기도에서 제공하는 심리상담 서비스 이용을 희망하는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 2,000명 중 1,238명(61.9%)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청년기 7%, 중장년기 67.9%, 노년기 41.3% 순으로 심리상담 희망 의향을 나타냄
  • 아동청소년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하는 2018 아동․청소년패널 자료 중 본 연구의 실태조사에 포함된 변인과 유사한 변인에 대한 초등4학년 4차년도 데이터 분석을 활용함(조사대상은 경기도 거주기준 아동 594명으로 남자284명, 여자310명 임)
  • 아동․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변인은 학업성취만족도, 자존감, 그릿, 친구관계가 정적으로 유의했으며, 우울은 아동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 특히 부모의 방임이 아동·청소년의 우울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남
  • 청년
  • 청년기는 다른 세대에 비하여 우울, 불안, 스트레스, 자살사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삶의 만족과 주관적 정신건강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남
  • 심리상담 제공 시 이용 의향을 묻는 질문에 대해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령이 낮을수록 심리상담 서비스를 이용하겠다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청년기 발달과업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확인한 결과 중요도와 수행정도 간 차이를 보였으며, 모든 과업 영역에서 중요도만큼 현재 수행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남
  • 중장년 및 노년
  • 40,50대의 중장년과 60,70대의 노년은 상반되는 답변이 많았고 특히, 40대는 60,70대와는 정반대의 결과를 보임
  • 60대의 경우 주관적인 신체건강, 정신건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스트레스 수준도 가장 낮게 나타남. 반면 40, 50대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 모두 좋지 않다고 평가하였고 자살생각, 스트레스, 불안은 청년층 다음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냄
  • 70대는 삶의 만족과 사회적 지지에서 가장 높은 평균을 보인데 반해, 40대는 가장 낮은 삶의 만족과 사회적지지 수준을 보임
  • 70대는 고립감이 높은 것에 비해 사회적 지지에 있어서 높게 지각하였고, 40대는 고립감이 가장 낮았는데, 반면 사회적 지지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지각을 나타냄.
  • 발달과업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확인한 결과 중장년기와 노년기 모두에서 중요도와 수행정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임
  • 정책적 과제
  • 아동청소년
  • 아동․청소년의 발달과업을 고려한 심리상담 지원과 예방적 차원의 접근
  • 아동청소년의 기초역량 강화
  • 심리상담 서비스 개선
  • 청년
  • 경기도 청년층의 심리적 건강을 위한 예방적이고 성장지향적 지원
  • 청년층을 위한 전문적 심리상담 지원과 심리건강서비스 확충
  • 경기도 청년층을 위한 예방적/세대별 심리상담적 접근
  • 중장년 및 노인
  • 장년층 대상의 다양한 심리상담 프로그램 제공 시급
  • 우울 예방을 위한 캠페인과 교육, 다학제간 통합적 치료모형 고려
  • 온라인상담, 찾아가는 상담의 활성화
  • 경기도의 과제
  • 정부의 정신건강정책 대전환(2023.12.)을 고려한 경기도 심리상담 지원정책 마련
  • 경기도 심리상담 지원서비스를 총괄하는 지원체계 구축과 종합적 지원계획 수립
  • 심리상담지원체계 강화와 상담방식의 다양화
  • 도민의 삶의 질을 관리할 수 있는 정책적 캠페인 사업 추진
  • 도민의 심리적 안녕을 위한 예방적 차원의 지원과 지속적 후속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