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정책연구보고서

Home > 발간물 > 정책연구보고서

정책연구소보고서 게시판 상세(제목, 저자, 발행일, 권호, 첨부)
제목 경기도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저자 석희정 外
발행일 2024. 11.
권호 2024-11
첨부 경기도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pdf 미리보기
목차
목차

Ⅰ. 서론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
연구방법 ……………………………………………… 12
Ⅱ. 문헌 검토 및 현황

문헌 검토 ……………………………………………… 17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사업운영 현황 분석('19~'23) …… 32
Ⅲ. 경기도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 실태조사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 이용자 실태조사 ……… 75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 이해관계자 FGI ……… 122
Ⅳ.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사업 개선방안

주요쟁점별 개선방안 ………………………………… 153
정책제언 ……………………………………………… 162
참고문헌 ………………………………………………… 167

부록 …………………………………………………… 169
요약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사업 현황분석과 서비스이용자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일상생활에 도움이 필요한 저소득 등록장애인의 자립생활

과 사회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연구방법

○ 문헌연구

– 경기도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사업 도입배경 및 주요내용 검토

– 중앙정부 및 서울시 유사사업 비교 분석

– 경기도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사업 현황분석

○ 실태분석

–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 이용자 실태조사

– 이해관계자 초점집단인터뷰(FGI)

○ 자문회의

– 현행 지원사 사업의 핵심쟁점, 사업의 효율성과 안정적 운영을 위한 개선과제, 사

업의 중장기적 발전을 위한 경기도, 지자체, 수행기관별 개선과제 등 전문가 자문

의견 수렴

□ 문헌검토 및 유사사업 비교분석

○ 경기도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사업 도입배경 및 정책적 필요성

– 장애인활동지원제도 등 기존 제도의 사각지대 존재

– 임신·출산·육아 과정에 어려움을 겪는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보장 요구

– 장애인 가정의 양육지원 수요 증가에 따른 장애인 부모의 양육환경 개선 필요성 증대

– 단순 돌봄서비스에서 전문적인 생활지원 서비스로의 전환

 

i) 경기도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경기도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사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음

–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사업은 생활지원, 산모지원, 육아지원 3가지 서비스로 구성

– ’24년 기준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총사업비는 3,650,700천원임

– ’23년 기준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사업성과는 서비스 이용 현황 총 437명이었고,

서비스 유형별로는 생활지원 401명, 산모지원 1명, 육아지원 35명이 이용함

○ 경기도 중앙정부 및 타 지자체 유사사업 비교 분석

– 중앙정부 및 서울시 대비 경기도 사업의 강점(Strengths)

・ 통합적 생애주기별 지원체계 구축

・ 유연한 서비스 운영체계

・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 중앙정부 및 서울시 대비 경기도 사업의 한계점

・ 제도적 사각지대 발생

・ 서비스 제공량의 불충분성

・ 품질관리 체계의 불완전성

・ 통합적인 지원체계 미흡

□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사업운영 현황분석

○ 예산 규모와 집행의 불균형 문제 개선

○ 서비스 유형별 이용 불균형 심화

○ 지역 간 서비스 격차 발생

○ 서비스 이용의 계절적 변동성

○ 장애 유형별 서비스 접근성 격차

○ 신규 이용자 감소 추세

□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 이용자 실태조사

○ 본 조사 목적은 맞춤형 지원사 사업의 전반적인 운영 실태와 이용자의 욕구

및 만족도 등을 파악하는 것임

 

ii)요약

○ 표본추출은 ’24년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를 추진한 29개 시군의 32개

수행기관에 속한 이용자 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 서비스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장애 특성

– 전체 응답자(164명) 가운데, 여성은 91명으로 55.49%를 차지해 남성(44.51%)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함

– 평균연령은 55.05세로 나타났으며, 최소 10세에서 최대 90세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됨

– 거주지역 분포를 살펴본 결과, 가장 많은 응답자가 동두천시에 거주하는 것(17명,

10.37%)으로 나타남

– 가구 유형을 살펴본 결과, 1인 가구인 경우가 101명(61.59%)을 차지해 가장 높은 비

율을 보였음

– 전체 응답자(164명) 가운데, 지체장애가 46명으로 28.51%를 차지해 가장 많은 것으

로 나타남

– 응답자의 장애 정도를 살펴보면,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중증장애인)’이 93명

(56.71%)으로 ‘장애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70명, 42.68%)’ 보다 많음

○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특성

– 사업 이용자들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 유형은 ‘생활지원’(143명, 87.20%)이 가

장 많았고, 다음으로 ‘육아지원’(20명, 12.20%)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서비스 이용 빈도는 ‘주 3~4회 이용’하는 경우가 112명(68.29%)으로 절반 이상을 차

지함

– 월별 서비스 이용 시간은 평균 50.63시간으로 최소 8시간부터 최대 160시간까지 이

용하는 것으로 확인됨

– 유사 서비스 이용 여부를 조사한 결과, 대다수(154명, 93.90%)가 유사 서비스를 현

재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이용자들이 본 서비스를 알게 된 경로는 ‘읍면동 주민센터 안내’(64명, 39.02%)가 가

장 많았음

– 이용자들이 본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 계기는 ‘일상생활 지원이 필요해서’(134명,

81.71%)가 가장 많았음

 

iii)경기도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서비스 내용의 적절성

– 현재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 내용이 이용자의 필요도를 충족하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평균 4.68점으로 나타났음

– 서비스 내용 중 가장 도움이 되는 부분 1순위는 ‘가사지원’(119명, 72.56%)으로 나타

났으며, 2순위는 ‘외출활동지원’(36명, 30.77%)이었음

– 맞춤형 지원사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 4.68점으로 높게 나타났음

– 현재 제공되고 있지 않지만 추가로 필요한 서비스에 대해 주관식으로 조사한 결과 ‘현

재 서비스에 만족함(추가로 필요한 서비스 없음)’이 81명(49.39%)으로 가장 많았음

○ 서비스 대상자 선정기준의 적절성

– 맞춤형 지원사 사업의 대상자 선정기준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조사사한

결과, 평균 4.27점으로 나타남

– 맞춤형 지원사 사업의 대상자 선정기준 가운데 가장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가장

많은 이용자들(88명, 36.67%)이 ‘장애 정도’라고 응답함

– 맞춤형 지원사 사업의 대상자 선정기준 가운데 소득기준의 적절성을 조사한 결과, 평

균 3.76점으로 나타남

– 서비스 이용 자격 유지를 위한 재판정 주기로는 ‘3년마다’라고 응답한 이용자가

34.15%(56명)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으로 ‘재판정 불필요’라고 응답한 이용자가

30.49%(50명)로 많았음

○ 서비스 시간 및 기간의 적정성

– 현재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 시간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지 분석한 결과, 평균 3.88점

으로 나타남

– 서비스 이용 기간의 적절성은 평균 4.13점으로 확인됨

– 서비스 이용 시간 조정 방식에 대한 선호를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89명, 54.60%)의

이용자들이 현재 방식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남

○ 서비스 품질 및 만족도

– 맞춤형 지원사에 대한 만족도를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조사한 결과, 지원사의 전문성

(평균 4.43점)보다 지원사의 태도(평균 4.55점)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확인됨

–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평균 4.58점으로 나타나 이용자들

의 만족도가 높은 편임을 확인할 수 있음

 

iv)요약

– 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서비스 시간 확대’라고 응답한 이용자

가 66명(40.24%)으로 가장 많았음

– 맞춤형 지원사와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점을 조사한 결과, ‘신뢰관

계’(98명, 59.76%)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함

○ 지역사회 참여 활동의 변화

–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를 이용한 후 이용자의 지역사회 참여 활동이 증가했는지를 5

점 척도를 활용해 조사한 결과, 평균 3.95점으로 나타남

–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를 이용한 후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사회 참여 활동의 내용 1순

위는 ‘외출 및 여가활동’(124명, 75.61%)으로 나타남

– 서비스 이용 후 삶의 질이 향상되었는지를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평균 4.5점으로 평가됨

– 서비스 이용 후 가장 크게 변화된 점으로, ‘정서적 안정’이라고 응답한 이용자(83명,

50.61%)가 가장 많았음

○ 유사 서비스와의 중복성 및 연계

– 응답자 중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지 조사한 결

과, 유사 서비스 이용 경험이 없는 응답자(116명, 70.37%)가 대다수였음

– 타 유사 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은, 타 유사 서비스에 비해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으로 자기부담금이 없는 것으로 평가하였음(15명, 31.91%)

– 서비스 이용 종결 후 다른 서비스 연계가 필요한지를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평균

3.88점으로 평가됨

○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 서비스와 관련된 주요 측면들에 대한 응답자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가장 높은 평가

를 받은 항목은 다음과 같음

–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 이용자들의 서비스 만족도와 관련된 주요 항목들 간의 상관관

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시사점

– 주 이용집단의 특성 고려한 서비스 내용 및 지원사 양성과정 개발

– 장애 유형을 고려한 지원사 양성 과정 구축

– 장애정도 및 소득 선정기준 개선

– 서비스 이용 시간의 양적 측면의 제고 및 제공 시간의 개별 유연화

– 서비스 만족도 및 품질개선을 위한 우선순위 설정 필요

 

v)경기도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지역사회 참여 증대를 위한 제도적 개선

– 정서적 지원 및 사회활동 지원 강화 등

□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 이해관계자 FGI

○ 본 FGI의 목적은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사업 현황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문제점

및 개선점, 서비스 유형별 품질 및 만족도, 사업의 방향성 등 이해관계자집단별

의견을 수렴하여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FGI 참여자 선정 기준은 경기도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사업의 각 서비스 영역

을 경험 및 제공 이력이 있는 이해관계자들을 수행기관들로부터 추천받아 참여

의사가 있는 대상자를 선정함

– 첫째, 사업 수행기관 사업담당자

– 둘째,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 셋째, 서비스 이용 중이거나 자격 조건 미충족으로 중단한 장애인

○ 시사점

– 사업의 고유성 강화:산모・육아지원 유형의 지원 강화

– 복지 사각지대의 잠재적 대상자 지원 포함:이용자의 불가피한 상황을 대비한 수급

자격 예외 조항 신설

– 사업운영의 구체화 및 체계화:도 차원의 구체적 가이드라인 마련 및 홍보, 장애 유

형 및 장애 정도에 따른 서비스 지원 시간의 유연한 활용, 이용자와 지원사 간 매칭

기한 설정 및 인수인계 고려, 통합관리 체계 구축

– 교육의 내실화로 서비스 질 향상:형평성 있는 교육체계, 장애인의 개별 욕구 및 문

제에 적절한 콘텐츠 개발

– 지원사의 처우개선:안정적인 근로시간 확보, 복리후생 개선

□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사업의 주요쟁점 및 개선방안

○ 쟁점 1:서비스 수요-공급 간 불균형 해소

– 서비스 유형 간 심각한 이용 불균형

– 지원사 수급의 불균형 심화

– 지역 간 서비스 격차 심화

 

vi)요약

○ 서비스 수요-공급 간 불균형 해소를 위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음

– 산모・육아지원 서비스 특성화:산모・육아지원 전담 지원사 도입, 산모·육아지원 가산

수당 추가 지급

○ 쟁점 2:제도적 사각지대 해소

– 서비스 대상자 선정기준의 제한성

– 서비스 제공 시간의 불충분성

– 제도 설계상 서비스 공백 문제 발생

– 잠재적인 사각지대 발생

○ 제도적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음

– 도 신규 지원대상 발굴 및 확대

– 긴급 위기상황 대응체계 구축

– 장애 및 가구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체계 도입

– 서비스 이용의 실효성 제고

○ 쟁점 3:서비스 품질관리 체계 구축

– 기존 서비스 표준화체계 미흡

– 전문적인 인력관리체계의 한계

○ 서비스 품질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음

– 서비스 표준화체계 구축:서비스 유형별 표준화된 업무지침을 마련하고, 특수상황에

대비한 대응매뉴얼 개발・보급, 전산관리시스템 구축, 현장점검 강화 등 실효적 품질

관리체계 구축

– 인력 관리체계 개편을 통한 전문화 강화:교육과정 개편 및 교육 접근성 제고를 통한

교육체계 강화, 지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영역별 교육과정 도입

○ 쟁점 4:지원사 처우개선 및 전문성 강화

– 열악한 근로조건과 낮은 처우 수준

–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미비

○ 지원사 처우개선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음

– 지원사 처우개선:현행 지원사 수당체계 개선, 지원사 복리후생제도 확대 및 우수 근

무자 인센티브 부여

 

vii)경기도 장애인 맞춤형 지원사 서비스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체계 개편: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운영을 통한 지원사의 전

문성 강화, 권역별 순회교육 및 교육참여 지원을 통한 교육 접근성 제고

□ 정책적 제언

○ 첫째, 경기도의 역할은 다음과 같음

– 서비스 품질관리체계 확립

– 지원사 처우개선 및 안정적 근로환경 조성

– 제도적 사각지대 해소 및 서비스 확대

○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은 다음과 같음

– 서비스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발굴체계 구축

– 장애 및 가구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수행기관 관리·감독 강화

– 지원사 근로 여건 개선 및 처우 강화

○ 셋째, 사업 수행기관의 역할은 다음과 같음

– 서비스 품질관리체계 구축

– 지원사 교육·훈련체계 지원

– 고충처리 상담체계 및 지역사회 연계체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