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연구기반사업보고서

Home > 2. 발간물 > 연구기반사업보고서

연구기반사업보고서 게시판 상세(제목, 저자, 발행일, 주최, 주관, 첨부)
제목 2016 경기도 읍면동 복지허브화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저자 경기복지재단
발행일 2016.12
주최 연구기반사업보고서
주관 2016-07
첨부 [사2016-07] 2016 경기도 읍면동 복지허브화 지원사업 결과보고서.pdf 미리보기
목차


2016년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 지원사업 개요 / 1
1. 사업배경 3
2. 사업추진경과 4
3. 사업수행체계 6
4. 사업추진과정 7



모니터링 추진 결과 / 13
1. 모니터링 지표 및 대상 지역 15
2. 모니터링의 주요 결과 20



교육사업 결과 / 27
1. 읍면동 복지허브화 관리자 교육 결과 29
2. 읍면동 복지허브화 실무자 교육 결과 32
3. 교육사업 운영 소결 35



총 평 / 37
1. 모니터링 사업 활성화 39
2. 교육사업 확대 40
3. 컨설팅 사업 신규 추진 필요 42
4. 모니터링-교육-컨설팅(향후) 유기적 결합 43
5. 중앙과 경기도 간 행정적 협조 강화 43
표 차례


<표 Ⅰ-1> 읍면동 복지허브화 모니터링단 8
<표 Ⅰ-2> 읍면동 복지허브화 교육과정 10
<표 Ⅰ-3> 읍면동 복지허브화 교육수행 실적 10
<표 Ⅱ-1> 1차 모니터링 확인 사항 16
<표 Ⅱ-2> 2차 모니터링 확인 사항 17
<표 Ⅱ-3> 읍면동 복지허브화 모니터링 대상 지역 19
<표 Ⅱ-4> 경기도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구성 현황(3/4분기) 23
<표 Ⅱ-5> 경기도 내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현황(1월~9월) 24
<표 Ⅲ-1> 동장 교육강사 30
<표 Ⅲ-2> 팀장 교육강사 30
<표 Ⅲ-3> 협의체 교육강사 33
<표 Ⅲ-4> 실무자 교육 강사 33
<표 Ⅳ-1>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 제5조, 6조 41
요약

 

2016년의 복지정책의 중요한 변화는 단연 “읍면동 복지허브화”라는 복지전달체계 개편일 것이다. 이 개편은 조직과 인력을 추가로 배치하면서 각 읍면동을 지역사회보장의 허브로 탈바꿈하겠다는 전환이다. 이를 위해 ‘주민센터’를 ‘행정복지센터’로 명칭변경 하였다. 또한, 행정복지센터 내 새롭게 신설되는 맞춤형복지팀은 사례관리, 방문상담, 민관협력 등 전문적인 사회복지실천 기법을 공공에서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담팀을 구성한 것이다.

전달체계 개편은 조직과 인력의 배열 대한 문제이고 각기 산재된 제도와 자원을 통합조정하고 서비스를 연계하는 등의 조정 역할이 중요하다. 그 중심에는 역시 ‘사람’이 있다. 사각지대에 처해 있는 사람을 발굴하고 또 지원하기 위해 사람이 제도와 자원을 연결하는 것이다. 결국 서비스를 받는 대상도 사람이고 서비스를 전달하는 주체도 사람임으로 전달체계 구조 내 핵심적 행위자에 대한 지지와 역량개발이 필요한 것이다.

안타깝게도 복지부의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전달체계 개편 방향에서 공공인력의 역량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통합적인 계획과 수단은 함께 계획되지 못했다. 단지 일부 기관을 통해 제도변화의 취지와 기본 방향 및 업무수행 내용에 대하여 교육하는 수준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공인력은 읍면동 변화에 대한 적응과 함께 수행 역량도 급히 강화해야 하는 요구에 직면해 있다고 볼 수 있다.

경기도와 경기복지재단에서는 이러한 중앙정부의 제도변화에 따라 시군 및 읍면동이 적절히 적응하면서도 정책적 의도와 부합하는 발전이 될 수 있도록 교육과 모니터링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재단은 정책연구실장을 필두로 사회정책팀, 역량강화팀, 복지협력팀 간 협업을 통해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지원단’을 경기도와 공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사업보고서는 2016년 한해 동안 재단 읍면동복지허브화추진지원단의 활동과정을 정리하고 향후 허브화의 착근을 위해서 개선해야하는 점들을 제안한 것이다. 추진단은 한 해 동안 70여회 이상 현장방문을 수행하고 15여개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아마도 이런 지지와 노력 덕분에 경기도의 읍면동 복지허브화는 안정되고 올바르게 안착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