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연구기반사업보고서

Home > 2. 발간물 > 연구기반사업보고서

연구기반사업보고서 게시판 상세(제목, 저자, 발행일, 주최, 주관, 첨부)
제목 2018 사회복지시설평가 사후관리사업
저자 경기복지재단
발행일 2018.12
주최 연구기반사업보고서
주관 2018-03
첨부 [사2018-03]2018 사회복지시설평가 사후관리사업.pdf 미리보기
목차

|
사회복지시설평가 사후관리사업의 개요 1

1. 사업배경 3
2. 사업추진경과 및 효과성 확인 5
3. 2017년 사회복지시설평가 9
4. 2018년 사업추진과정 11







|
사후관리사업 추진결과 13

1. A시설(노숙인복지시설) 15
2. B시설(노숙인복지시설) 23
3. C시설(정신재활시설) 31
4. D시설(정신재활시설) 38
5. E시설(정신재활시설) 46
6. F시설(정신재활시설) 52
7. G시설(정신재활시설) 59







|
사후관리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67

1. 만족도 조사 69
2. 개선방안 71







|
부록 75


요약

사회복지시설평가 사후관리사업의 개요

  • 사회복지시설평가는 사회복지시설의 운영 효율화와 서비스 질 향상을 통한 복지수준 향상을 목적으로 함
  • 2017년 사회복지시설평가는 노숙인복지시설 13개소, 장애인복지관 30개소, 정신요양시설 6개소, 정신재활시설 38개소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음
  • 2017년 평가결과 노숙인복지시설의 경우 13개소 중 최우수(A등급) 4개소, 우수(B등급) 4개소, 양호(C등급) 2개소, 보통(D등급) 2개소, 미흡(F등급) 1개소, 장애인복지관의 경우 30개소 중 최우수 29개소, 우수 1개소, 정신요양시설의 경우 6개소 중 최우수 4개소, 우수 2개소, 정신재활시설의 경우 38개소 중 최우수 22개소, 우수 9개소, 양호 5개소, 보통 1개소, 미흡 1개소로 나타남
  • 2017년 평가결과에 따르면 2015년 재단에서 실시한 사회복지시설평가 사후관리 사업의 대상시설 1개소(2014년 시설평가 양호등급 시설)가 최우수로 평가되어 대상시설의 100%가 평가등급이 향상되었음
  • 사회복지시설평가 사후관리 사업의 목적은 시설 운영개선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시설에 대하여 컨설팅 지원 등을 통해 시설서비스 수준 향상 및 시설 운영의 선진화를 도모하는 데 있음
  •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사업대상시설 34개소 중 1%인 33개소가 평가등급이 향상되었음. 따라서 사후관리는 사회복지시설의 운영개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어 지속적인 사업수행의 필요성이 제기됨
  • 사후관리 컨설팅은 노숙인복지시설 2개소, 정신재활시설 5개소를 대상으로, 대상시설 선정, 자문단 구성, 대상시설 의견수렴, 현장자문, 자체평가, 만족도조사 과정으로 진행되었음

사후관리사업 추진결과

  • A시설(노숙인복지시설)
  • 2017년 시설평가 결과 A, B, C, F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A영역에서 2개, B영역 1개, C영역 4 , D영역 1 , F영역 3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3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8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시설환경을 개선하고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개선되어 12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B시설(노숙인복지시설)
  • 2017년 시설평가 결과 B, C, F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A영역에서 1개, C영역 4개, D영역 1개, E영역 1개, F영역 3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3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8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시설환경을 개선하고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개선되어 14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C시설(정신재활시설)
  • 2017년 시설평가 결과 A, B, C, D, F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A영역에서 1개, B영역 1개, C영역 1개, D영역 3개, F영역 1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3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8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아동 및 직원의 인권보장 노력을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개선되어 19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D시설(정신재활시설)
  • 2017년 시설평가 결과 A, B, C, D, F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A영역에서 1개, B영역 1개, C영역 2개, D영역 2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3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8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고 자원봉사자 관리를 체계화 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개선되어 14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E시설(정신재활시설)
  • 2017년 시설평가 결과 A, B, C, E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A영역에서 1개, B영역 2개, C영역 4개, D영역 2개, E영역 2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3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8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고 자원봉사자 관리를 체계화 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33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F시설(정신재활시설)
  • 2017년 시설평가 결과 B, D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B영역에서 2개, C영역 1개, D영역 4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3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8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고 이용자 및 직원의 인권보장 노력을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개선되어 18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 G시설(정신재활시설)
  • 2017년 시설평가 결과 B, D, E영역이 C등급이하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B영역에서 1개, D영역 5개, E영역 1개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취약한 영역의 개선을 위하여 우수시설 벤치마킹과 3회의 현장자문을 실시하였음
  • 2018년 자체평가결과 컨설팅을 통해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하고 후원금품 관리를 강화하는 등 취약한 영역이 크게 개선되어 25점이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됨

사후관리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 만족도조사 결과, 컨설팅 진행 과정 및 내용, 시설 및 종사자의 수용 및 적용정도, 컨설턴트 및 사업담당자의 자질 및 태도 등 컨설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평균이 80점(5점 척도)으로 비교적 높게 나왔음
  • 사후관리사업의 개선방안으로 다음사항을 제시
  • 사후관리사업 운영의 내실화
  • 사업의 필요성과 진행과정에 대한 충분한 사전공유
  • 취약한 부분에 대한 집중 관리
  • 대상시설 현황에 따른 컨설팅 방식 다변화
  • 사회복지시설 유형별 우수시설 연계체계 마련
  •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지원체계 마련
  • 재단 연구인력 참여 확대
  • 사후관리사업의 제도화
  • 담당공무원의 적극적인 참여와 역할 부여
  • 운영개선 효과가 큰 시설에 대한 인센티브 마련
  • 직원역량강화 기회로 연계
  • 사회복지시설 서비스 품질향상 지원체계 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