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단기정책보고서

Home > 2. 발간물 > 단기정책보고서

단기정책보고서 게시판 상세(제목, 저자, 발행일, 권호, 첨부)
제목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의 디지털역량 및 디지털역량교육 요구분석 연구
저자 신재은 外
발행일 2023. 8.
권호 2023-10
첨부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의 디지털역량 및 디지털역량교육 요구분석 연구.pdf 미리보기
목차

서론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3
3. 연구방법 및 절차 4



디지털역량과 디지털역량교육 / 7

1. 디지털역량과 디지털역량교육 7
2. 사회복지종사자의 디지털역량과 디지털역량교육 17
3. 소결 23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의 디지털역량 분석 결과 / 25

1.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25
2. 설문조사 분석 31



결론 / 85

1. 요약 85
2. 정책제언 89


참고문헌 / 95


부록 / 97
요약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경기도 사회복지시설종사자 디지털역량 교육요구 분석을 통해 향후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디지털역량 및 디지털역량교육 관련 문헌 검토,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디지털역량 인식 및 디지털역량 교육 요구분석을 진행함

□ 연구방법
○ 문헌검토
– 디지털역량과 디지털역량 교육 관련 문헌 검토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디지털역량교육 관련 문헌 검토
○ 자문회의 및 FGI : 학계 전문가, 현장전문가 대상 자문회의 및 FGI 실시
– 내ㆍ외부 전문가의 선행 문헌검토를 통한 사회복지종사자의 디지털역량 구성 및 교육내용 추출
– 현장전문가 및 학계전문가와 FGI를 통해 1차 추출된 내용을 검토하고 수정ㆍ보완하여 설문도구로 활용
○ 설문조사
– 설문대상 : 경기도 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 설문조사에 참여한 사회복지시설은 노인복지시설(이용시설, 생활시설), 장애인복지시설(이용시설, 생활시설), 아동복지시설(이용시설, 생활시설), 종합사회복지관임
– 설문내용 : 디지털역량 인식, 디지털역량 교육요구 등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관련된 7문항, 디지털역량 인식 10문항, 디지털역량 교육요구 28문항, 선호교육 방식 10문항으로 구성
– 설문방식 : 웹 설문을 통한 온라인조사 실시
– 설문협조체계 : 경기도 사회복지사협회 등 경기도 내 사회복지직능단체 협조 요청
– 분석방법 :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정, ANOVA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
□ 연구결과
○ 문헌검토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 포커스 그룹 인터뷰 전 사회복지교육전문가 1인과 교육공학 교수 1인이 문헌검토를 통해 디지털역량 구성요소, 교육요구를 도출함
・ 디지털역량 구성요소는 총 12개 항목으로 디지털 공통역량 4개, 디지털 직무역량 4개, 디지털 리더십역량으로 4개가 도출됨
・ 디지털역량의 교육요구는 총 23개 항목으로 디지털 공통역량 8개, 디지털 직무역량 12개, 디지털 리더십역량으로 3개가 도출됨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디지털역량의 구성요소, 교육요구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함
・ 수정된 디지털역량 구성요소는 총 10개 항목으로 디지털 공통역량 3개, 디지털 직무역량 5개, 디지털 리더십역량으로 2개가 도출됨
・ 수정된 디지털역량 교육요구는 총 28개 항목으로 디지털 공통역량 9개, 디지털 직무역량 15개, 디지털 리더십역량으로 4개가 도출됨
○ 설문조사 분석
– 디지털역량 인식 결과
・ 디지털역량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디지털 혁신마인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데이터 분석·활용은 가장 낮게 나타났음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디지털역량의 보유도와 중요도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항목에서 보유도보다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직위별 디지털역량의 보유도와 중요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에서도 기관장, 부장, 과장, 팀장, 팀원 모두, 모든 항목에서 보유도보다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디지털역량 교육요구의 현재 수준과 참여의사 수준
・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의 디지털역량 교육요구에 대한 현재 수준은 정보보안 이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빅데이터 분석이 가장 낮게 나타났음
・ 디지털역량 교육요구의 참여의사 수준을 살펴보면 정보보안 이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스마트 헬스케어(인지훈련 등) 기기의 이해가 가장 낮게 나타났음
・ 디지털역량 교육요구의 현재 수준과 참여의사 수준을 살펴보면 28개 항목 중 22개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음(스마트복지의 개념 이해, 사회복지와 디지털 혁신 마인드, 최신 디지털 기술 체험 및 업무적용 사례, 국내외 스마트 사회복지 사례, 스마트 돌봄 케어 기기의 이해, 스마트 돌봄 케어 기기의 이해, 스마트 헬스케어(인지훈련 등) 기기의 이해, 스마트 헬스케어(인지훈련 등) 기기의 활용, 인공지능(AI) 활용 사례와 적용, 파일 관리 공유 드라이브 활용법(구글 스마트워크 등), 3D 프린팅 기초와 실습, 협업도구 활용, 사회복지 그룹웨어 활용 디지털 콘텐츠 기획, 모바일 콘텐츠 제작 도구 활용, 영상 편집, 데이터 처리 및 분석, 빅데이터 분석, 공유복지 플랫폼 이해와 활용, 디지털 데이터를 활용한 의사결정, 디지털 사회와 조직문화, 내부 직원의 디지털역량 관리, 조직의 디지털역량 관리)
– 디지털역량 관련 현황 및 선호 교육방식
・ 스마트워크 도입 여부를 설문한 결과, 도입함 46.90%, 도입하지 않음 34.40%, 잘 모름이 18.70%로 나타남
・ 기관에서 스마트워크를 도입하기 어려운 이유를 설문한 결과, 활용프로그램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한 비용 문제, 디지털 기술에 대한 낮은 인식과 이해, 디지털역량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부재, 직원들의 디지털역량 부족, 경직된 조직문화와 분위기 순으로 나타남
・ 2021년과 2022년의 디지털역량 관련 교육참여 횟수과 교육참여 시간을 살펴보면, 2021년보다 2022년의 교육참여 횟수 및 시간이 증가하였음
・ 선호하는 교육방법은 사례중심 교육(사례공유, 토의), 발표식 교육(실습, 발표)이며 선호하는 교육규모는 소규모(10명 내외), 중규모(20~50명), 선호하는 교육기간은 1일, 2일이 많이 나타났음

□ 정책제언
○ 사회복지종사자 대상의 디지털역량 강화 교육과정의 개발·보급
– 공무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중앙 및 지자체 차원에서 사회복지종사자의 디지털역량과 관련하여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균형있게 제공하여 디지털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음
– 사회복지사협회 등 사회복지직능단체나 시설 및 경기복지재단은 보수교육 및 직무교육에 다양한 디지털역량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교육생의 디지털역량 수준과 직무 및 직급에 적합한 교육 제공
– 교육생의 디지털역량 수준과 직급 및 직무를 고려한 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
– 교육내용에서 공통교육과 선택교육으로 구분하고, 디지털 공통역량에 해당하는 디지털 혁신마인드(스마트복지의 개념 이해, 디지털역량의 필요성 이해), 디지털 트렌드 이해(인간과 디지털기술 이해, 사회복지와 디지털 혁신 마인드, 최신 디지털 기술 체험 및 적용사례), 디지털 윤리(디지털 윤리와 시민의식, 저작권 및 개인정보보호, 정보보안 이해)는 공통교육으로 개설하여 전 직급에 걸쳐 디지털 사회와 윤리 등 기본적인 교육을 제공하도록 할 필요가 있음
– 선택교육은 실무중심 교육으로 교과목을 구성하여 직급 및 역할에 따라 폭넓은 선택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임
– 난이도에 따라 교육내용을 기초-중급-심화 과정 등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제공해 체계적으로 디지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
○ 사회복지시설 유형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
– 사회복지현장에서 교육 참여의사가 높은 교육을 중심으로 시설유형에 따라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그리고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디지털 기술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시설유형 및 특성을 고려한 현장 적용사례와 적용방법을 제공하여 교육의 실효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
– 이를 통해 현장에서 요구하는 교육을 제공할 뿐 아니라 시설유형별 맞춤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디지털역량강화 교육의 참여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임
○ 종사자 직무교육 방식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시도
– 종사자가 디지털에 친숙하고 그 활용이 유용함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을 실시할 때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학습효과와 강의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음
– 연구결과에서도 단순 강의식 집체교육(4.4%)은 선호되는 교육방법이 아님. 사례중심 교육과는 블랜디드 러닝 학습방법을 도입하여 개별 선호도에 맞는 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함
○ 디지털 활용 프로그램과 인프라 지원
– 개별 종사자의 디지털역량만 강조할 경우 종사자의 업무 부담만 커질 수 있으므로 기관의 디지털 시스템 역량(기기 및 네트워크 보급 등)이 우선적이며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임
– 뿐만 아니라 종사자의 디지털역량 교육 참여를 위한 기본적인 활용프로그램 및 인프라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임
– 이와 더불어서 디지털기술 기반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개발 및 구축, 법규마련 등 스마트워크 근무환경을 조성하고 기관의 혁신적인 조직문화의 마련이 필요할 것임
○ 디지털역량에 대한 인식수준 제고 및 기관장 디지털 리더십 역량강화
– 사회복지조직 차원에서는 디지털역량 강화와 스마트기술 활용에 대한 전폭적인 리더(기관장)의 의지와 지원이 요구됨
– 이를 위해서 기관장의 디지털역량에 대한 인식 제고와 디지털역량 개발을 통해 리더십 역량의 강화도 강조될 필요가 있으며, 기관장 대상의 보수교육 또는 직무교육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