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Ⅱ. 빈곤의 측정방법과 한국의 빈곤실태
1. 가구소득(100만원미만)?소득범주별 분포
2. 전체?성별실업률
3. 비임금(자영업), 임시?일용근로자
4. 4년제 대학교졸업자비율(30대 이상)
5. 고등학교졸업자비율(20세 이상)
6. 장애인인구비율
7. 노인인구비율
8. 외국인인구비율
9. 이혼자율
10. 한부모가정
11. 빈곤율
12. 전체공공부조수급비율
13. 국민기초생활보장, 긴급지원, 무한돌봄수급가구 비율
14. 시?군별 가구부채비율
15. 임대주택보급률 및 종류
16. 자살율(인구 10만명당)
17. 경기도 권역별 복지욕구
Ⅲ. 결 론
? 부 록
▣빈곤지도의 목적과 의의
빈곤은 시간과 공간적 의미에서 상대적이라는 점이 특징임. 이런 특징은 사회변화와 지역에 맞춰서 빈곤층의 생활 및 규모 등이 측정되어야 함을 요구함.
경기도 빈곤지도는 가독성 있는 지도를 활용하여 지역별 상대적 빈곤과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 변수들의 분포를 보여주는 것에 목적이 있음.
▣경기 외곽지역의 높은 상대적 빈곤율
경기도는 도시, 도농복합, 산업단지, 농촌의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상대빈곤율도 도시보다는 농촌 및 도농복합 지역으로 갈수록 높게 나타남.
-빈곤율, 자살율, 기초생활수급비율, 장애인인구비율, 노인인구비율 등 빈곤과 밀접한 요인들이 연천군, 동두천시, 포천시, 가평군, 양평군, 여주군, 이천시, 안성시, 의정부시에 주로 편중되어 있음. 이 지역은 모두 경기 외곽지역임.
가구부채율, 4년제 대학졸업자, 실업자율, 한부모가정, 이혼율은 도심 지역으로 밀집되어 있음.
전반적으로 경기도는 도시와 농촌, 산업구조와 인구구성에 따라 빈곤율이 다르게 나타남.
-서울근교의 지역은 실업율과, 가구부채율 등이 높음. 반면, 경기 외곽의 농촌지역은 노인, 장애인 인구비율이 높고 빈곤율, 자살율 등이 높게 나타남.
서울과의 접근성을 기반으로 발생하는 지역적 격차는 주로 주거와 일자리에 따른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경기도 전체적으로 주거와 일자리를 중심으로 하는 복지정책이 설계되어야 함.
▣향후 취약계층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한 복지욕구 파악 필요
이혼율, 한부모가정과 국민임대주택보급률, 노인, 장애인인구비율 등의 지역 간 집중도 유형이 유사하게 나타남.
-사회복지 생활시설이 경기 외곽지역으로 다수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노인인구 및 장애인인구비율도 경기 외곽지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특성에는 환경(부동산 가격, 일자리 등)의 요인에 따라 인구이동이 이루어짐을 가정할 수 있음.
특정지역에 취약계층이 편중되는 이유 등을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계층별, 지역별, 특성별 맞춤형 복지정책 설계가 필요.
▣경기도 내 철저한 지역균형발전 계획의 수립 필요
지역의 균형적 발전을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광역단위인 경기도의 중추적 역할이 필요
-특정지역의 인구 및 산업구조는 그 지역의 복지수준과 사회적자본에 결정적 영향을 미침으로 사회⋅경제적 환경에 대응하는 복지정책이 요구됨.